부산입술대고둥 무엇인가?

나층이 10~11층으로 방망이 모양을 하고 있는 부산입술대고둥

 

 

 

 

 

 

 

 

 

 

 

 

[<<살아있는 부산입술대고둥이 흰더듬이 2개를 내밀고 더듬이 끝의 눈을 뜨고 있으며 빨판처럼 생긴 입과 입속에는 치실있으며 좌권으로 말린 나층이 10~11층으로 방망이 모양을 하고 있는 모습, 사진-출처: JDM 촬영>>]

▶ 관상용, 사육용, 나층이 10~11층으로 방망이 모양, 토종 논우렁이처럼 알을 낳는 것이 아닌 새끼가 나오는 난태생, 부산이 모식산지, 항암작용, 눈을 밝게 하는 작용, 담을 삭이고 통증을 제거하는 작용, 청열, 이수, 명목, 수종, 임탁, 소갈, 목적예장, 종독, 음식을 먹고 토하는 경우, 위산과다로 속이 쓰리고 아픈 경우, 눈의 통증이 오래 낫지 않는데, 담과 열로 인한 기관지염, 기침을 멎게 하는데, 임파선 결핵, 축농증, 간장과 신장을 강화시키는데, 머리가 맑아지고 기운이 나며 눈과 귀가 밝아지게 하는데, 속에 열이 있어서 가슴이 답답한 것을 없애주는데, 숙취를 풀어주는데, 인체에 진액을 만들어 주는데, 목구멍이 건조하여 깔깔한데, 화상, 부스럼, 간의 열을 내리는데, 소변이 잘 나가게 하는데, 황달, 방광염, 술독을 치료하는데, 탈항, 치질, 치루, 눈이 빨갛고 눈동자가 속을 가려지는 것을 치료하는데, 갈증, 이질 다스리는 부산입술대고둥

부산입술대고둥연체동물문 복족강 이새아강 병안목 곡수뇨관아목 입술대고둥상과 입술대고둥과 입술대고둥속의 연체동물 패류이다.

부산입술대고둥의 학명은 <
Euphaedusa fusaniana Pilsbry & Hirase, 1908>이다. 나층은 10~11층으로 방망이 모양을 하며 각 나층에 고운 성장맥이 있다. 성패는 옅은 적갈색이나 노패가 되면 회갈색을 띤다. 각구의 끝은 두꺼워지고 약간 퍼진다. 상판은 뚜렷하고 하판은 내부 깊은 곳에 있으며 하축판은 발달하여 순연에 도달한다. 긴 주벽이 있고 비스듬한 짧은 상강벽과 하강벽이 있고 월상벽이 있는 것도 있다. 난태생(어미의 몸 안에서 발생 및 부화하여 유생상태로 나오는 것)인 종이다.

부산입술대고둥은 한국 특산종으로 부산이
모식산지이다.

<
모식산지란?>: <<
모식산지(type lodality)는 그 종이 어디에 서식하는지, 어떤 환경에 서식하는지, 다른 종과 어떠한 생태적 차이를 보이는지, 진화적으로 어떻게 분화되었는지 등을 알리는 아주 기초적인 기록이다.

모식(模式, type)이란 생물학에서 특정 분류군의 특징을 정의하는 성격이다. 어떤 생물종이 정식 학명을 얻도록 하는 특정 표본 또는 표본군을 모식표본(模式標本, type specimen)이라고 하고, 어떤 생물 분류군을 대표하는 종을 모식종이라고 한다. 과거(1900년 이전 식물학)에는 표본보다는 분류군에 대하여 모식성이 판단되었었다.

분류군은 여러 비슷한 생명체들을 묶어 과학적 이름인 학명을 부여한 것으로서 특정 생명체는 포함하고 나머지는 배제하는 집합이다. 이 포함 여부 기준은 논문으로 출판(기재)된 설명에 따르며 이것을 위해 모식표본이 사용된다. 모식표본은 대형 박물관의 연구소장품이나 기타 유사 기관에서 보관하여 과학자들이 접근할 수 있도록 한다.
>>


패류에는 바다에서 자라는 해산패, 담수에서 자라는 담수패, 육지에서 자라는 육산패 등이 있다. 2002년에 발행된 <한국패류도감>에서는 총 1,681종의 국내 연체동물 수종을 기록하고 있다.

2007년에 발행된 <세계패류도감>에서는 국내에 유입된 2,356종의 외국산 연체동물이 실려 있다. 그 중에 해산종이 2,273종이며 비 해산종은 83종이다. 가까운 일본이 자국산 10,000여종을 기록하고, 영국의 대영박물관이 13,500여종을 소장하고 있다. 앞으로도 국내 및 외국산 패류의 종수는 새로운 종이 계속 밝혀질 것으로 기대된다.


부산입술대고둥의 여러 가지 이름은
부산입술대고둥,
Euphaedusa fusaniana Pilsbry & Hirase, 1908[학명(學名)] 등으로 부른다.

부산입술대고둥과 관련하여
<한국의 멸종위기종>에서는 아래와 같이 기록하도 있다.

[부산입술대고둥

학명: Euphaedusa fusaniana Pilsbry & Hirase, 1908
분류체계: 연체동물문 >> 복족강 >> 유폐목 >> 입술대고둥과 >> 입술대고둥속- MOLLUSCA >> GASTROPODA >> EUPULMONATA >> CLAUSILIIDAE >> Euphaedusa
보호관리 현황(이력): 국가적색목록
평가결과: 관심대상(LC)

[개요]

껍데기 높이는 16mm, 지름은 4mm로 홀쭉한 방추형이다. 나층은 10-11층으로 방망이 모양이며 각층에 고운 성장맥이 있다. 각구의 끝은 두꺼워지고 약간 퍼진다. 상판은 뚜렷하고, 하판은 내부 깊은 곳에 있다. 하축판은 발달하여 수연에 도달한다. 세밀하고 기울어진 방사맥으로 덮여 있고 이것은 체층에서 판상으로 변한다. 패각은 황백색 내지 황색이다. 봉합은 깊다. 나탑은 왼쪽을 향해 말려 있다. 축순과 내순은 좁고, 작은이로 홈이 파여 있다. 각정은 구형으로 각지지 않는다. 자웅동체이며 난태생으로 발생은 직접 이루어진다. 숲 속의 다소 건조한 관목림 밑이나 돌무덤 속 또는 나무줄기에 붙어 서식한다. 부산 지역이 모식산지이다. 경상남도, 부산, 거제도, 전라남도, 거문도, 완도, 지리산 등에 분포하는 한국 고유종이다.

[분류학적 특징]

패각은 홀쭉한 방추형이다. 나층은 11층으로 세밀하고 기울어진 방사맥으로 덮혀있고 이것은 체층에서 판상으로 변한다. 패각은 황백색에서 황색이다. 봉합은 깊다. 나탑은 왼쪽을 향해 말려 있다. 축순과 내순은 좁고, 작은이로 홈이 파여 있다. 각정은 구형으로 각지지 않는다. 각경 4mm, 각고 16mm.

[분포현황]

한반도(제주도, 거문도, 부산광역시, 제주도, 거문도, 완도, 거제도, 여수, 지리산)

[서식지 / 생육지 특성]

자웅동체이며 난태생으로 발생은 직접 이루어진다. 숲 속의 다소 건조한 관목림 밑이나 돌무덤 속 또는 나무줄기에 붙어 서식한다. 부산 지역이 모식산지이다.]

부산입술대고둥의 상세 자료와 관련하여 <국가 생물다양성 정보공유체계>에서는 다음과 같이 기록하고 있다.

[부산입술대고둥

학명: Euphaedusa fusaniana (Pilsbry & Hirase, 1908)


[<<부산입술대고둥의 패각 모습>>]

분류체계: Animalia > Mollusca(연체동물문) > Gastropoda(복족강) > Heterobranchia(이새아강) > Euthyneura > Eupulmonata > Stylommatophora(병안목) > Sigmurethra(곡수뇨관아목) > Clausiliidae(입술대고둥상과) > Clausiliidae(입술대고둥과) > Euphaedusa(입술대고둥속)
분류군: 무척추동물(곤충제외)
국가지정: 고유종, 국외반출 승인대상 생물자원
자원정보: 생물다양성 3건 / 표본 31건 / 유전자원 0건 / 유전정보 0건 / 그외 0건

[<<분류군 정보>>]

[개요]

껍데기 높이는 16mm, 지름은 4mm로 홀쭉한 방추형이다. 나층은 10~11층으로 방망이 모양이며 각층에 고운 성장맥이 있다. 각구의 끝은 두꺼워지고 약간 퍼진다. 상판은 뚜렷하고, 하판은 내부 깊은 곳에 있다. 하축판은 발달하여 수연에 도달한다. 세밀하고 기울어진 방사맥으로 덮여 있고 이것은 체층에서 판상으로 변한다. 패각은 황백색 내지 황색이다. 봉합은 깊다. 나탑은 왼쪽을 향해 말려 있다. 축순과 내순은 좁고, 작은이로 홈이 파여 있다. 각정은 구형으로 각지지 않는다. 자웅동체이며 난태생으로 발생은 직접 이루어진다. 숲속의 다소 건조한 관목림 밑이나 돌무덤 속 또는 나무줄기에 붙어 서식한다. 부산 지역이 모식산지이다. 경상남도, 부산, 거제도, 전라남도, 거문도, 완도, 지리산 등에 분포하는 한국 고유종이다.[1]

[형태]

패각의 나층은 10~11층으로 좁고 긴 방추형이다. 각 나층에 고운 성장맥이 나타난다. 성패는 옅은 적갈색이나 노패(老貝)가 되면 회갈색을 띤다. 각구의 끝은 두꺼워지고 약간 퍼진다. 상판은 뚜렷하고, 하판은 내부 깊은 곳에 있으며 하축판은 발달하여 순연에 도달한다. 긴 주벽이 있고 비스듬한 짧은 상강벽과 하강벽이 있고 월상벽이 있는 것도 있다. 성체의 크기는 각고 16mm, 각경 4mm 정도이다.[2]

패각은 홀쭉한 방추형이다. 나층은 11층으로 세밀하고 기울어진 방사맥으로 덮여이었고 이것은 체층에서 판상으로 변한다. 패각은 황백색에서 황색이다. 봉합은 깊다. 나탑은 왼쪽을 향해 말려 있다. 축순과 내순은 좁고, 작은이로 홈이 파여 있다. 각정은 구형으로 각지지 않는다. 각경 4mm, 각고 16mm.[3]

[분포]

경기도, 강원도, 충청북도, 경상북도, 경상남도, 전라북도, 전라남도, 제주도[2]

한반도(제주도, 거문도, 부산광역시, 제주도, 거문도, 완도, 거제도, 여수, 지리산)[3]

[생태]

숲속의 고목 아래나 관목림 사이에 서식한다. 발생은 유패를 방출하는 난태생이다.[2]

[해설]

본 종은 부산에서 채집되어 Pilsbry와 Hirase에 의하여 1908년에 처음 보고되었으며, 그 이후로 Kwon(1990)과 Min(2004) 등의 제주도, 거문도, 완도, 거제도, 여수, 부산, 지리산, 통도사, 울산, 단양, 소백산, 울진, 여주 연천, 광릉, 양평 등의 채집 기록이 있다.

보호현황:
한국적색목록 관심대상종

기준표본:
미상

일반표본:
강원대학교, 민패류연구소[2]

[출처]

[1] 국립생물자원관, 한반도생물자원포털(2010)

[2] 국립생물자원관, 한반도고유종(2014)

[3] 국립생물자원관, 한반도고유종특성평가및총람발간(2009).
]

부산입술대고둥에 대해서 2002년에 발행한 민덕기의 <신원색한국패류도감> 제 197면 748호에서는 다음과 같이 기록하고 있다.

[부산입술대고둥

학명: Euphaedusa fusaniana (Pilsbry & Hirase, 1908)

패각은 중소형으로 길고 가는 방추형이다. 나층은 10~11층으로 방망이 모양을 하며 각 층에 고운 성장맥이 있다. 성패는 옅은 적갈색이나 노패(老貝)가 되면 회갈색을 띤다. 각구의 끝은 두꺼워지고 약간 퍼진다. 상판은 뚜렷하고, 하판은 내부 깊은 곳에 있으며 하축판은 발달하여 순안에 도달한다. 긴 부벽이 있고 비스듬한 짧은 상강벽과 하강벽이 있고 월상벽이 있는 것도 있다. 고목의 아래나 밭가의 관목림 사이에 서식한다. 난태생을 한다. 목포입술대고둥과 유사하나 본 종은 나층 수가 적고 하축판이 발달하여 외순과 저순 사이에 나타나는 치이점이 있다.
한국 특산종으로 부산이 모식 산지이다.



● 크기: 각경 4mm, 각고 16mm

● 채집지: 제주도, 거문도, 완도, 진도, 거제도, 여수, 부산, 지리산, 울산, 단양, 소백산, 울진, 여주.

[입술대고둥과(Family Clausiliidae)]

패각은 중소형으로 길고 가는 방추형이다. 유럽, 중국, 일본에 분포한다. 국내에는 3속 5종의 서식이 확인되고 있으나 이외에 새로운 미기록종이 서식하고 있을 가능성이 높다. 일본에는 약 50속 150여종이 알려져 있다. 모두가 좌선(좌권)이고 난생 또는 난태생을 한다. 내순의 치상돌기(상판, 하판, 하축판)와 각구 오른쪽 체층에 벽(주벽, 상강벽, 월상벽, 하강벽)이 분류의 기준이 된다. 육산종이다.]  

고둥, 고둥껍질, 갯고둥, 녹상라, 민칭이, 키토산의 효능에 대해서 박영준의 <한방동물보감> 252-255면에서는 다음과 같이 기록하고 있다.

[고둥

학명: Bellamya quadrata
한약명: 라사(螺獅)
생태: 생김새는 원추형이다. 하구, 호수, 연못, 논에서 생활한다.
성미: 성질이 차고 맛이 달다.
약효: 간의 열을 내리고 소변이 잘 나가게 한다. 그래서 황달과 방광염 그리고 술독을 치료한다. 탈항과 치질, 치루에 효과가 있다. 또한 갈증과 이질에도 사용한다. 눈을 밝게 하는 작용이 있으며 눈이 빨갛고 눈동자가 속을 가려지는 것을 치료한다.
주의 사항: 위가 차고 오래도록 설사를 하는 사람은 먹지 않는다. 많이 먹으면 복통이 생긴다.

고등 껍질

한약명: 백라사각(白螺獅殼)
형태: 고둥을 오래 두어 백색이 된 것으로 해변가에서 많이 볼 수 있다.
성미: 맛이 달고 성질이 차다.
약효: 담을 삭이고 통증을 제거하는 작용이 있어 음식을 먹고 토하는 경우와 위산과다로 속이 쓰리고 아픈 경우에 사용한다. 담과 열로 인한 기관지염에 사용하여 기침을 멎게 한다. 그 외에 임파선 결핵, 축농증, 탈항, 치질, 화상, 부스럼에 이용한다.
사용법: 불에 달궈 빻아서 가루내어 사용하는데, 1회에 4~12그램씩 먹는다.

갯고둥

약효: 눈의 통증이 오래 낫지 않는 것을 다스리니 살아있는 고둥을 취하여 뚜껑을 열고 황연을 조금 넣어 두면 즙이 나오는데 그것을 눈에 넣는다. 바다 속의 작은 소라이다.

녹상라

학명: Limnaea
한자명: 녹상라(綠桑螺)
기원: 추실라(椎實螺)과 동물의 추실라
약효: 탈항에 이를 태워서 돼지기름에 개어 환부에 붙인다. 소아경풍에 일곱 개를 불에 말려 가루내어 죽과 함께 먹는다. 본초강목에서는 상우와 달팽이 그리고 활유는 같은 종류이나 모양이 다르다. 그 효능도 서로 비슷하나 상유는 경기를 치료하는데 백강잠과 상표초와 같은 효과가 같다. 뽕나무를 먹는 것은 그 기가 간에 작용하여 풍을 다스린다고 설명한다.

민칭이

학명: Ballacta exarata (Philippi)
한약명: 토철(吐鐵)/ 이명: 니라(泥螺), 무른개비, 명주달걀고동
성미: 맛이 달고 짜며 성질이 차다.
약효: 간장과 신장을 강화시키는 기능이 있어서 머리가 맑아지고 기운이 나며 눈과 귀가 밝아진다. 속에 열이 있어서 가슴이 답답한 것을 없애주고 숙취를 풀어준다. 인체에 진액을 만들어 주는 역할을 하여 민챙이를 먹으면 목구멍이 건조하여 깔깔한 것이 낫는다.

키토산(chitin)

1832년에 장수풍뎅이의 겉날개에서 처음으로 분리되어 <투구>를 뜻하는 그리스어 <키톤>에서 이름을 딴 것이다. 게에 함유되어 있는 식이섬유가 항암작용이 있다는 보고가 있다. 키틴은 게, 새우, 크릴 등의 갑각류, 오징어, 패류, 곤충류, 버섯, 치즈, 세균의 세포벽 등에 분포되어 있다.]

[<<부산입술대고둥 요점 정리>>]

<1-이름>: <<부산입술대고둥>>

<2-과명>:
<<입술대고둥과>>

<3-학명>:
<<Euphaedusa fusaniana Pilsbry & Hirase, 1908>>

<4-원산지>:
<<부산 지역이 모식산지, 경상남도, 부산, 거제도, 전라남도, 거문도, 완도, 지리산 등에 분포하는 한국 고유종>>

<5-효능/효과>:
<<관상용, 사육용, 알을 낳지 않는 난태생으로 두 마리 이상 있으면 번식이 가능, 상추, 당근 야채를 공급하여 쉽게 사육할 수 있음, <
한방동물보감-252-255>: [[항암작용, 눈을 밝게 하는 작용, 담을 삭이고 통증을 제거하는 작용, 청열, 이수, 명목, 수종, 임탁, 소갈, 목적예장, 종독, 음식을 먹고 토하는 경우, 위산과다로 속이 쓰리고 아픈 경우, 눈의 통증이 오래 낫지 않는데, 담과 열로 인한 기관지염, 기침을 멎게 하는데, 임파선 결핵, 축농증, 간장과 신장을 강화시키는데, 머리가 맑아지고 기운이 나며 눈과 귀가 밝아지게 하는데, 속에 열이 있어서 가슴이 답답한 것을 없애주는데, 숙취를 풀어주는데, 인체에 진액을 만들어 주는데, 목구멍이 건조하여 깔깔한데, 화상, 부스럼, 간의 열을 내리는데, 소변이 잘 나가게 하는데, 황달, 방광염, 술독을 치료하는데, 탈항, 치질, 치루, 눈이 빨갛고 눈동자가 속을 가려지는 것을 치료하는데, 갈증, 이질]]>>

<6-장소>:
<<2023-9-18-월요일, JDM-거주 부산
화신@ 뒤편 비탈 경사진 면, 저녁, 아이폰-13-프로 맥스 촬영>>

<7-기타>: <<자웅동체이며 알을 낳지 않는 난태생으로 발생은 직접 이루어짐, 숲 속의 다소 건조한 관목림 밑이나 돌무덤 속 또는 나무줄기에 붙어 서식, 껍데기 높이는 16mm, 지름은 4mm로 홀쭉한 방추형, 나층은 10-11층으로 방망이 모양이며 각층에 고운 성장맥이 있음, 각구의 끝은 두꺼워지고 약간 퍼짐, 상판은 뚜렷하고, 하판은 내부 깊은 곳에 있음, 하축판은 발달하여 수연에 도달함, 세밀하고 기울어진 방사맥으로 덮여 있고 이것은 체층에서 판상으로 변함, 패각은 황백색 내지 황색이다. 봉합은 깊고, 나탑은 왼쪽을 향해 말려 있음, 축순과 내순은 좁고, 작은이로 홈이 파여 있음, 각정은 구형으로 각지지 않음, 본 종은 부산에서 채집되어 Pilsbry와 Hirase에 의하여 1908년에 처음 보고되었으며, 그 이후로 Kwon(1990)과 Min(2004) 등의 제주도, 거문도, 완도, 거제도, 여수, 부산, 지리산, 통도사, 울산, 단양, 소백산, 울진, 여주 연천, 광릉, 양평 등의 채집 기록이 있음, 보호관리 현황, 국가적색목록 평가결과: 관심대상(LC), 한국의 멸종위기종>>

<※ 참고 및 주의사항>:
<<고둥의 효능이 나와 있다고 하여 '한국의 멸종위기종'에 기록되어 있는 종은 식용 및 약용을 할 수 없다. 법적으로 처벌을 받을 수 있다. 당연히 보호를 받아야 한다. 식용 및 약용은 멸종위기종이 아닌 흔하고 쉽게 채취할 수 있는 해산패 및 육산패, 식용달팽이 등을 이용할 수 있다.>>

jdm 필자는 2023-9-18-월요일, JDM-거주 부산 초량 2동 화신@ 뒤편 비탈 경사진 면, 저녁, 아이폰-13-프로 맥스 촬영할 수 있는 행복을 맛볼 수 있었다.

참으로 다양한 종류의 해산패, 담수패, 육산패가 존재한다는 것은 신묘막측하기 그지 없다. 이 모든 영광은 다양한 패류를 직접 만드신 조물주께 돌아가야 할 것이다.  

상기 자료는 약초연구가로서 지구상에 존재하는 천연물질의 우수성을 널리 알리고 질병으로 고통을 겪고 있는 환우들에게 희망을 주며 기능성 식품과 신약을 개발하는데 통찰력을 갖게하고 약초를 사랑하는 모든 사람에게 정보의 목적으로 공개하는 것임을 밝혀 둔다.  


(글/ 약초연구가 & 동아대 & 신라대 대체의학 외래교수 전동명)

부산입술대고둥 사진 감상: 1, 2, 3, 4, 5, 6, 7, 네이버+구글+일본구글+대만구글: 1, 2, 3, 4,

문의 및 연락처: 010-2545-0777 ; 051-464-0307

홈주소: http://jdm0777.com

페이스북 주소: http://www.facebook.com/jdmsanyacho

메일: jdm0777@naver.com


참조: 아래의 다양한 나비와 나방, 갑각류, 패류, 곤충들, 어류, 양서류, 파충류, 조류, 포유류, 해조류, 환형동물들도 함께 고려해 보시기 바랍니다.

 

 

  1. 가리비(밥조개) 무엇인가?
  2. 가마우지똥(노자시) 무엇인가?
  3. 가물치 무엇인가?
  4. 감태 무엇인가?
  5. 갑오징어 무엇인가?
  6. 개(식견) 무엇인가?
  7. 개조개 무엇인가?
  8. 갯장어(하모) 무엇인가?
  9. 거머리(수질) 무엇인가?
  10. 거북이(남생이) 무엇인가?
  11. 게 무엇인가?
  12. 고둥 무엇인가?
  13. 고등어 무엇인가?
  14. 고래 무엇인가?
  15. 고슴도치 무엇인가?
  16. 고양이 무엇인가?
  17. 곰피 무엇인가?
  18. 구렁이 무엇인가?
  19. 군부 무엇인가?
  20. 군소 무엇인가?
  21. 굴(참굴) 무엇인가?
  22. 귀뚜라미 무엇인가?
  23. 김 무엇인가?
  24. 까마귀 무엇인가?
  25. 까치 무엇인가?
  26. 꾀꼬리 무엇인가?
  27. 꾀꼬리똥 무엇인가?
  28. 꿩 무엇인가?
  29. 꿩똥(치시) 무엇인가?
  30. 날개어리게 무엇인가?
  31. 날다람쥐(누서) 무엇인가?
  32. 넓적배사마귀 무엇인가?
  33. 네발나비 무엇인가?
  34. 노린재(구향충) 무엇인가?
  35. 누룩뱀 무엇인가?
  36. 누에 고치(잠견) 무엇인가?
  37. 누에 나방(원잠아) 무엇인가?
  38. 뉴트리아 무엇인가?
  39. 다람쥐 무엇인가?
  40. 다슬기 무엇인가?
  41. 다시마 무엇인가?
  42. 달고기 무엇인가?
  43. 달팽이 무엇인가?
  44. 닭 무엇인가?
  45. 닭똥(계분) 무엇인가?
  46. 도다리 무엇인가?
  47. 돼지 무엇인가?
  48. 두꺼비 무엇인가?
  49. 두더지(언서) 무엇인가?
  50. 두루미똥(학똥) 무엇인가?
  51. 땅벌 무엇인가?
  52. 뜸부기 무엇인가?
  53. 로열젤리(왕벌젖) 무엇인가?
  54. 말 무엇인가?
  55. 말똥성게 무엇인가?
  56. 말벌(장수말벌) 무엇인가?
  57. 말벌집(노봉방) 무엇인가?
  58. 매생이(매산태) 무엇인가?
  59. 먹장어(꼼장어) 무엇인가?
  60. 메기 무엇인가?
  61. 메추리 무엇인가?
  62. 멧돼지 무엇인가?
  63. 명태 무엇인가?
  64. 무당거미(낙신부) 무엇인가?
  65. 무자치(물뱀, 수사) 무엇인가?
  66. 문어 무엇인가?
  67. 미국흰불나방 무엇인가?
  68. 미꾸라지 무엇인가?
  69. 미꾸리 무엇인가?
  70. 미역 무엇인가?
  71. 민달팽이(알달팽이) 무엇인가?
  72. 바다뱀(해사) 무엇인가?
  73. 바퀴벌레(장랑) 무엇인가?
  74. 박쥐(복익) 무엇인가?
  75. 박쥐똥(야명사) 무엇인가?
  76. 방아깨비 무엇인가?
  77. 백사(순백사, 홍백사, 황백사, 설상사) 무엇인가?
  78. 뱀 무엇인가?
  79. 뱀술(사주) 무엇인가?
  80. 뱀장어 무엇인가?
  81. 뱀허물 무엇인가?
  82. 벌꿀(봉밀) 무엇인가?
  83. 복어 무엇인가?
  84. 봉독(벌침, 꿀벌독) 무엇인가?
  85. 봉침요법 무엇인가?
  86. 부산입술대고둥 무엇인가?
  87. 부채새우 무엇인가?
  88. 불가사리 무엇인가?
  89. 불개미(개미) 무엇인가?
  90. 붉은불개미(살인 개미) 무엇인가?
  91. 붕어 무엇인가?
  92. 붕장어(아나고) 무엇인가?
  93. 비둘기 무엇인가?
  94. 비둘기똥(좌반룡) 무엇인가?
  95. 뿔날개잎말이나방 무엇인가?
  96. 사마귀 알집(상표초) 무엇인가?
  97. 사마귀(당랑) 무엇인가?
  98. 산개구리 무엇인가?
  99. 살모사독 무엇인가?
  100. 삼광조(긴꼬리딱새) 무엇인가?
  101. 새우 무엇인가?
  102. 성게(보라성게) 무엇인가?
  103. 수리부엉이 무엇인가?
  104. 숭어 무엇인가?
  105. 아주까리누에나방 유충(피마잠) 무엇인가?
  106. 알달팽이(민달팽이) 무엇인가?
  107. 암끝검은표범나비 무엇인가?
  108. 연어 무엇인가?
  109. 오골계 무엇인가?
  110. 오골계똥(오자계시백+오자계분) 무엇인가?
  111. 오리 무엇인가?
  112. 오리똥(백압시) 무엇인가?
  113. 오소리(구환) 무엇인가?
  114. 오징어 무엇인가?
  115. 옥색긴꼬리산누에나방 무엇인가?
  116. 왕달팽이 무엇인가?
  117. 왕흰줄태극나방 무엇인가?
  118. 왜가리 무엇인가? 
  119. 우렁이 무엇인가?
  120. 우리벼메뚜기 무엇인가?
  121. 우뭇가사리 무엇인가?
  122. 우황 무엇인가?
  123. 원숭이 무엇인가?
  124. 유리산누에나방 무엇인가?
  125. 유황오리 무엇인가?
  126. 은무늬모진애나방 무엇인가?
  127. 잉어 무엇인가?
  128. 자라 무엇인가?
  129. 전복 무엇인가?
  130. 제비(가연) 무엇인가?
  131. 제비똥(연시) 무엇인가?
  132. 족제비(황서) 무엇인가?
  133. 쥐 무엇인가?
  134. 지네(오공) 무엇인가?
  135. 지렁이 무엇인가?
  136. 징거미새우(흑새우) 무엇인가?
  137. 참게 무엇인가?
  138. 참새 무엇인가?
  139. 참새똥(작시) 무엇인가?
  140. 천산갑 무엇인가?
  141. 철갑둥어 무엇인가?
  142. 철갑둥어 무엇인가?
  143. 청각 무엇인가?
  144. 청개구리 무엇인가?
  145. 청설모 무엇인가?
  146. 칠성장어 무엇인가?
  147. 크릴새우 무엇인가?
  148. 큰실말 무엇인가?
  149. 큰자라(원) 무엇인가?
  150. 토끼 무엇인가?
  151. 토종꿀벌(야생꿀벌) 무엇인가?
  152. 톳 무엇인가?
  153. 파래 무엇인가?
  154. 파충류의 세계 - 뱀의 신비
  155. 포플라잎말이명나방 무엇인가?
  156. 풀무치 무엇인가?
  157. 풍선말미잘 무엇인가?
  158. 프로폴리스(벌풀) 무엇인가? 
  159. 해변말미잘 무엇인가?
  160. 해삼 무엇인가?
  161. 해파리 무엇인가?
  162. 호랑나비 무엇인가?
  163. 홍합 무엇인가?
  164. 황소개구리 무엇인가?
  165. 후투티(오디새) 무엇인가?
  166. 흰개미 무엇인가?
  167. 흰띠알락나방 무엇인가?

 

 

※ 아래에 jdm 필자가 2023-9-18-월요일, JDM-거주 부산 초량 2동 화신@ 뒤편 비탈 경사진 면, 저녁, 아이폰-13-프로 맥스 촬영한 사진도 함께 감상해 보시고 행복하시기 바랍니다~~~^^

 

 

홈페이지 주소 : http://jdm0777.com 클릭하시면 홈으로 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