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마귀(당랑) 무엇인가?

호랑이처럼 포식 능력이 대단히 뛰어난 사마귀

 

 

 

 

 

 

 

 

 

 

 

 

 

 

[왕사마귀의 알, 사마귀 알에서 새끼들이 나오는 장면, 어린 유충들, 갈색형과 녹색형, 일본에 서식하는 독특한 사마귀의 모습, 사진출처: 일본/대만/한국 구글 이미지 검색]

목구멍이 붓고 아픈 증상, 치질, 어린이의 급경풍으로 인한 경련, 화살촉을 나오게 하는데, 보심, 완간, 거풍열, 정경간, 심에 들어가 설열기하고 어혈을 없애는데, 심장의 기능을 강화하는데, 간장을 완화시키는데, 어린아이가 놀라서 경련을 일으키는 것을 다스리는데, 후증, 병정에 관계없이 목구멍이 붓고 아프거나 혹은 진무른 증상, 각기증[비, 수각기]의 치료, 신체에 난 사마귀를 다스리는 사마귀

사마귀는 동물계 절지동물문 곤충강 유시아강 신시하강 망시상목 사마귀목 사마귀과 사마귀속에 속하는 곤충이다.

사마귀의 학명은 <Tenodera angustipennis Saussure 1869>이다. 한국의 사마귀는 모두 2과 9종이 알려져 있다. 사마귀과에 1-<왕사마귀(Tenodera sinensis Saussure 1871)>, 2-<사마귀(Tenodera angustipennis Saussure 1869)>, 3-<좀사마귀(Statilia maculata Thunberg 1784)>, 4-<민무늬좀사마귀(Statilia nemoralis Saussure 1870)>, 5-<황라사마귀(Mantis religiosa sinica Bazyluk 1960)>, 6-<넓적배사마귀(Hierodula patellifera Audinet-Serville 1839)>, 7-<붉은긴가슴넓적배사마귀(Hierodula chinensis Werner, 1929)>, 8-<좁쌀사마귀(Amantis nawai Shiraki 1908)>, 애기사마귀과의 9-<애기사마귀(Acromantis japonica Westwood 1889)> 등이 있다.

모든 사마귀목 곤충은 포식 능력이 뛰어나 다른 작은 곤충이나 무척추동물을 잡아 먹는다. 사냥할 때를 빼고는 주위와 어울리도록 위장하고 있어 잘 움직이지 않는데 천적을 만나거나 위험에 닥치면 죽은 척하거나 반대로 날개를 펼치며 위협적인 행동을 한다. 사마귀 종류는 전세계 약 2,000종이 알려져 있으며, 우리나라에는 9종이 보고되었다. 특히 뜨거운 열대 지방에 많이 서식하고 있다.

왕사마귀는 몸 길이는 평균 75~95mm이며 녹색형과 갈색형이 있다. 대한민국에서 가장 큰 사마귀로, 풀밭이나 숲의 풀숲에서 관찰되며, 늦가을에 거품 같은 분비물로 만든 알집에 알을 낳는데, 이 알집이 공기 중에서 굳어진 상태로 월동한다. 사마귀의 알집이 타원형에 가까운 데 비해 알집이 굵고 크며 양쪽 또는 한쪽 모서리가 편평해 짧은 원통형으로 보인다. 한국, 중국, 일본, 동남아시아에 널리 분포한다.

나뭇가지나 잡초 위에서 먹이를 기다리며, 애벌레 때에는 진딧물과 같은 작은 동물을 잡아먹다가 점차 자라면서 힘이 강해져 잠자리, 메뚜기, 나비, 매미, 벌 등 다양한 곤충을 먹이로 삼는다. 북아메리카에서도 서식하는데 원종(原種)은 아니며 1900년대 초에 친환경 해충방제를 위해 외부에서 도입된 것으로 중국사마귀(Chinese Mantis)라고 불린다.

북아메리카에 도입된 왕사마귀는 소형 조류의 포식자로 돌변하여 벌새를 잡아먹기도 하며 북아메리카의 토종 사마귀보다 중국에서 들여온 외래종 왕사마귀의 새 사냥 비율이 더 높았다. 같은 속에 속하는 사마귀와 혼동되기도 한다. 그러나 크기, 뒷날개의 무늬 존재 여부로 구별이 가능하다.

사마귀를 <버마재비>라고 부르는데 그 이름의 유래는 '버마재비'는 다름 아닌 '범아재비'를 발음 나는 대로 적은 어형이며, '범아재비'는 '호랑이'를 뜻하는 '범'과 '아저씨'와 같은 의미의 '아재비'가 결합된 어형이다.

동식물 이름에 붙은 '아재비'는 이에 선행하는 동식물과 생김새나 습성이 흡사한 또 다른 동식물을 지시하는 역할을 한다. '아재비'가 이와 같은 역할을 할 수 있는 것은, 이것이 아주 가까운 남자 친족을 두루 지시하는 데 쓰였기 때문이다. 웬만한 남자 친족을 '아재비'라 두루 이르듯, 모양이나 습성이 엇비슷한 동식물을 먼 친족뻘로 간주한 채, '아재비'를 이용하여 그렇게 명명한 것이다. '버마재비'는 '범의 먼 친족뻘 되는 곤충'쯤으로 이해된다.

작은 곤충에 불과한 '버마재비'가 '아재비'를 통하여 크고 무서운 '범'에 비견된 것은, 이것이 적이 나타나면 마치 범 즉 호랑이가 포효하며 앞발을 쳐드는 자세와 흡사하게 앞발을 높이 들어 대결 자세를 취하고, 또 먹잇감이 있으면 마치 범이 뭇짐승을 닥치는 대로 공격하여 잡아먹듯 벼락같이 공격하여 잡아먹기 때문이다. 곧 '범'과 흡사한 데가 있어 '범'을 끌어들여 명명한 것이라고 한다.

※ 참조:
중국에서는 아래와 같은 사마귀 종류를 모두 당랑이라고 하여 함께 약용하고 있다.

1-대도랑
[大刀螂: Paratenodera sinensis Saussure.]
중국 대부분 지역에 분포되어 있다.

2-소도랑
[小刀螂: Statilia maculata Thunb.]
중국의 대부분 지역에 분포되어 있다.

3-박시당랑
[薄翅螳螂: Mantis religiosa L.]
중국의 대부분 지역에 분포되어 있다.

4-거부당랑
[巨斧螳螂: Hierodula patellifera Serville]
중국의 대부분 지역에 분포되어 있다.

5-화북도랑
[華北刀螂: Paratenodera augustipennis Saussure]
중국의 대부분 지역에 분포되어 있다.

사마귀의 여러 가지 이름은
당랑[螳螂
=táng láng=: 명의별록(名醫別錄)], 불과[不過, 당낭:螳, 막학:莫貈, :蛑: 이아(爾雅)], 식우[蝕肬: 신농본초경(神農本草經)], [: 방언(方言)], 기부[父: 설문해자(設文解字)], 천마[天馬: 여씨춘추(呂氏春秋) 고유주(高誘注)], 당랑[螗螂, 석랑:石螂: 이아(爾雅), 곽박주(郭璞注)], 거부[拒, 도랑:刀螂, 당랑:螳螂: 본초강목(本草綱目)], 흘우[肬: 방언(方言), 곽박해(郭璞解)], 작부[, 작랑:郞: 설문해자주(設文解字注)], 대도랑[大刀螂, 소도랑:小刀螂: 중약대사전(中藥大辭典)], 맨티스[Mantis: 영명(英名)], 카마키리[カマキリ=蟷螂, 카마세츠:かませつ=鎌切, 하에토리무시:はえとりむし=蠅取虫: 일문명(日文名)], 버마재비[범의 먼 친족뻘 되는 곤충이란 뜻], 연가시, 좀사마귀, 민무늬좀사마귀, 황라사마귀, 넓적배사마귀, 붉은긴가슴넓적배사마귀, 좁쌀사마귀, 작은사마귀, 애기사마귀, 사마귀, 큰사마귀, 왕사마귀 등으로 부른다.

사마귀 알집인 난소의 다른 이름은
상표소[桑螵
: 신농본초경(神農本草經)]라고 부른다.

[채취 및 제법]

<중약대사전>: "여름과 가을에 잡는
다."

[성분]


<중약대사전>: "
녹색 사마귀의 체액은 알칼리성으로 PH 7.8~9.0이고 갈색 사마귀의 체액은 산성으로 PH 5~6이다. 아마 음식물과 관계가 있을지 모른다. 체외에서 이 두가지 색소가 나타내는 색깔은 산성, 알칼리성에 의하여 서로 변한다. M. reliniosa의 갈색 색소는 모두 biliverdin 및 그와 유사한 물질이다. M. religiosa의 피하 및 혈액에는 모두 biliverdin이 들어 있다. 고등 동물에 들어 있는 glycine은 biliverdin을 합성하는 재료이다."

[성
미]

<의림찬요>: "맛은 달고 짜며 성질은 따뜻하다."


[약효와 주치]


1, <
중약대사전>: "목구멍이 붓고 아픈 증상, 치질을 치료한다."

2,
<본초강목>: "어린이의 급경풍(急驚風)으로 인한 경련을 치료하며 화살촉을 나오게 하며 산 것은 사마귀를 떨어지게 한다."

3, <의림찬요>: "
보심(補心), 완간(緩肝), 거풍열(去風熱), 정경간(定驚癎)한다. 심(心)에 들어가 설열기(泄熱氣)하고 어혈을 없앤다."


[용법과 용량]


<중약대사전>: "내복: 환을 만들어 먹거나 가루내어 복용한다.

외용: 가루내어 코나 목구멍에 불어 넣는다. 혹은 개어서 바른
다.
"

[배합(配合)과 금기(禁忌:
주의사항)]

<인터넷 검색 자료>: "사마귀 알은 방광에 염증이 있는 사람이나 소양인의 음허증상에는 사용하지 않는다. 음허 증상이 있으면서 발기장애가 있는 사람이 먹으면 성기에 통증이 나타나며 조루 증상이 나타나게 된다.
"

사마귀의 효능에 대해서 박영준의 <한방동물보감> 제 142~143면에서는 다음과 같이 기록하고 있다.

[사마귀

학명: Paratenodera sinensis Saussure

한약명: 당랑(螳螂)

이명: 식우(蝕肬)

기원: 메뚜기목 사마귀과에 속하는 곤충

생태: 여름과 가을 사이에 잡는다. 사마귀는 교미 중에 수컷을 머리로부터 다 씹어 먹어 버린다. 수놈은 머리를 완전히 먹어 버려도 몸둥이는 끝까지 암놈의 엉덩이에 달라붙어 교미를 끝내게 된다.

성미: 성질이 따뜻하며 맛이 달고 짜다.

약효: 심장의 기능을 강화하고 간장을 완화시켜서 어린아이가 놀라서 경련을 일으키는 것을 다스린다. 목구멍이 붓고 아플 때 효험을 볼 수 있다. 치질에 사용한다. 예전에는 살아있는 사마귀는 사마귀가 사마귀를 뜯어먹게 했다.

용법: 사마귀 전체를 말리거나 불에 태워 분말을 만들어서 복용해도 좋다.]

사마귀 알집의 효능에 대해서 박영준의
<한방동물보감> 제 143면에서는 다음과 같이 기록하고 있다.

[사마귀의 알집

한약명: 상표초(桑螵帩)

기원: 사마귀가 뽕나무에 낳아 놓은 알집을 건조한 것.

약효: 성신경을 자극하는 작용이 있어서 발기부전, 정력 부족에 사용한다. 소변을 축소시켜서 오줌을 자주보거나 소변이 탁한 경우에 효과가 있다. 성질이 따뜻하여 신장 기능을 강화시킨다. 따라서 요통, 유정, 어지럼증에 사용하는데 이는 단백질이 많고 술소, 철, 칼슘 등이 들어 있기 때문이다.]

북한에서 살모사 면역 부활 주사약과 사마귀 알집 주사약의 놀라운 효능과 관련하여 <자주시보> 2018년 3월 9일자에서는 다음과 같이 기록하고 있다.

[북, 살모사면역부활주사약과 사마귀알집주사약 호평

북 매체 ‘조선의 오늘’은 “최근 공화국의 진영무역회사에서는 인체 내에 부작용이 없으면서도 면역부활작용이 뚜렷한 살모사면역부활주사약과 사마귀알집주사약을 만들어 내놓아 사람들의 호평을 받고 있다”고 전했다.

인터넷 소식에 의하면 매체는 “사람의 질병은 인체 내의 면역기능과 밀접히 연관되어 있다”며 “그것은 면역기능이 외부로부터 들어오는 바이러스, 세균, 기생충 등에 의한 감염증을 미리 막을 뿐 아니라 인체 내에서 암화 되거나 변성된 세포 및 물질들을 찾아내어 제거해버리는 역할을 수행하는 특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사회발전과 더불어 늘어나는 컴퓨터 등에 의한 전자기파 피해와 스트레스, 약물남용 등은 사람의 면역을 떨구는 요인으로 된다. 면역은 또한 중년기에 이르면 점차 낮아지기 시작한다”며 “면역이 약해지면 암, 결핵, 간염, 감기, 페염, 소화장애, 대상포진을 비롯한 여러 가지 감염성 질병에 쉽게 걸리게 된다. 자료에 의하면 노인들 속에서 암에 의한 사망률이 높아지는 원인도 여기에 있다”고 전했다.

매체는 “연구사들이 수십 년간의 고심어린 노력 끝에 개발한 이 주사약들은 약리적 효과가 높아 오래전부터 민간에 널리 알려진 살모사와 사마귀알집의 아미노산을 최신 과학 기술에 의거하여 분리 정제한 강한 면역부활제들”이라고 소개했다.

그러면서 “여러 치료 예방 단위들에서 이 주사약들을 각각 도입한데 의하면 방사선법만으로 악성종양에 대한 치료를 진행할 때 나타나던 면역저하 등의 일련의 부작용이 없었으며 회복기일도 짧았다는 것이 확인되었”으며 “만성 호흡기 감염증에 걸린 환자들 속에서 효과가 좋았다”고 매체는 말했다.

또한 매체는 “평양시 선교구역에서 사는 50대 초엽의 한 여성은 10여년 전에 암수술을 받은 후 다른 부위에 전이된 상태였으나 몸이 너무 허약하여 신약 항암제를 쓸 수 없었다. 그런데 의료일꾼들의 권고를 받고 10여년 동안 해마다 이 주사약을 쓴 결과 그에게서는 전이조가 없어졌으며 면역이 약해 자주 앓군 하던 관절염, 위염 등이 현저히 개선된 것은 물론 감기에도 잘 걸리지 않게 되었”으며 “평양시 만경대구역에서 사는 60대 초엽의 한 주민은 여러 차례에 걸쳐 만성호흡기감염증이 재발되어 다른 약과 병합하여 이 주사를 맞은 결과 치료기일이 훨씬 단축되었다”고 효과를 전했다.
]

사마귀로 질병을 치료하는 방법은 아래와 같다.

1, 어린이의 급성 경풍(驚風)을 치료하고 진경(鎭痙)하는 처방

당랑(
螳螂) 1개, 석척(蜥蜴: 도마뱀), 적족오공(赤足蜈蚣) 1개를 함께 갈아서 가루내어 1회에 콧속에 불어 넣는다. [성제총록(聖濟總錄), 중분산(中分散)]

2, 후증(喉症) 병정(病程)에 관계없이 목구멍이 붓고 아프거나 혹은 진무른 증상

당랑(
螳螂) 1개(햇볕에 말린 것), 깨끗한 빙편(氷片) 3.7g, 붕사(硼砂) 2.59g, 정록악매(正綠梅: 꼭지 제거한 것) 1.85g을 가루 내어 목구멍에 불어 넣는다. 새살이 돋아나게 하고 염증을 없앤다. [복건(福建)]

3, 치질
갈색 사마귀를 구워 먹는다. [신본초강목(
新本草綱目)]

4, 각기증[비(痺), 수각기(水脚氣)]의 치료

당랑(
螳螂)의 몸통을 밥알과 같이 짓찧어 아픈 곳을 싸맨다. [동식물민간약(動植物民間藥)]

[비고(備考)]

<본초강목(本草綱目)>:
"당랑(
螳螂)은 머리를 쳐들고 팔을 휘두르며 목이 길고 배가 크며 두 개의 팔과 네 개의 다리가 능란하게 잽싸게 기어오르며 수염이 코 역할을 대신한다. 늦가을에 알을 낳고 방을 만들어 나뭇가지에 붙여 놓는다. 방은 1치 길이에 엄지손가락만큼 크고 그 안에는 많은 칸이 있는데 칸마다 구더기와 같은 새끼들이 들어 있다. 알은 망종(芒種)이 지나면 동시에 나온다. 고로 <뭘령(月令)>에서 이르기를 음력 5월에 사마귀 알이 부화한다고 하였다. 또 당랑은 <고방(古方)>에도 보이지 않흔데 <보제방(普濟方)>에서 "생각컨대 마땅히 <성제총록(聖濟總錄)>이어야 한다>에서 경풍(驚風)을 치료하고 경련을 진정시키는 데에 이것을 썼는데 '잠(蠶)'과 '갈(蝎)'이 경련을 진정시키는 것과 같은 뜻이고 <고방(古方)>의 풍약(風藥)에 표초(螵帩)를 많이 쓴 것은 당랑이 풍(風)을 치료하는 것과 같은 이치다 라고 하였다."

사마귀의 생김새가 혐오스럽고 징그럽게 보일 수 있으나 조물주가 만들 때 사마귀만의 역할을 잘 할 수 있도록 만드신 것이 분명하다
.

그렇다. 지구상에 엄청난 곤충을 만들어 주시고 인류에게 수많은 곤충을 주신 조물주께 그 영광이 돌아가야 마땅할 것이다.


상기 자료는 약초연구가로서 우리땅에 존재하는 천연물질의 우수성을 널리 알리고 질병으로 고통을 겪고 있는 환우들에게 희망을 주며 신약을 개발하는데 통찰력을 갖게하고 약초를 사랑하는 모든 사람에게 정보의 목적으로 공개하는 것임을 밝혀 둔다.  


(글/ 약초연구가 & 동아대 & 신라대 대체의학 외래교수 전동명)

사마귀 사진 및 감상: 1, 2, 3, 4, 5, 6, 7, 8, 9, 네이버+구글+일본구글+대만구글: 1, 2, 3, 4,

사마귀 상세 사진 웹사이트: 1, 2,

문의 및 연락처: 010-2545-0777 ; 051-464-0307

홈주소: http://jdm0777.com

페이스북 주소: http://www.facebook.com/jdmsanyacho

이메일: jdm0777@naver.com


참조: 아래의 다양한 나비와 나방, 곤충들, 환형동물들도 함께 고려해 보시기 바랍니다.

 

 

  1. 고둥 무엇인가?
  2. 귀뚜라미 무엇인가?
  3. 넓적배사마귀 무엇인가?
  4. 네발나비 무엇인가?
  5. 노린재(구향충) 무엇인가?
  6. 누에 고치(잠견) 무엇인가?
  7. 누에 나방(원잠아) 무엇인가?
  8. 다슬기 무엇인가?
  9. 달팽이 무엇인가?
  10. 땅벌 무엇인가?
  11. 로열젤리(왕벌젖) 무엇인가?
  12. 말벌(장수말벌) 무엇인가?
  13. 말벌집(노봉방) 무엇인가?
  14. 미국흰불나방 무엇인가?
  15. 민달팽이(알달팽이) 무엇인가?
  16. 바퀴벌레(장랑) 무엇인가?
  17. 방아깨비 무엇인가?
  18. 벌꿀(봉밀) 무엇인가?
  19. 봉독(벌침, 꿀벌독) 무엇인가?
  20. 봉침요법 무엇인가?
  21. 부산입술대고둥 무엇인가?
  22. 불개미(개미) 무엇인가?
  23. 붉은불개미(살인 개미) 무엇인가?
  24. 뿔날개잎말이나방 무엇인가?
  25. 사마귀 알집(상표초) 무엇인가?
  26. 사마귀(당랑) 무엇인가?
  27. 아주까리누에나방 유충(피마잠) 무엇인가?
  28. 암끝검은표범나비 무엇인가?
  29. 옥색긴꼬리산누에나방 무엇인가?
  30. 왕달팽이 무엇인가?
  31. 왕흰줄태극나방 무엇인가?
  32. 우리벼메뚜기 무엇인가?
  33. 유리산누에나방 무엇인가?
  34. 은무늬모진애나방 무엇인가?
  35. 지네(오공) 무엇인가?
  36. 지렁이 무엇인가?
  37. 토종꿀벌(야생꿀벌) 무엇인가?
  38. 포플라잎말이명나방 무엇인가?
  39. 풀무치 무엇인가?
  40. 프로폴리스(벌풀) 무엇인가? 
  41. 호랑나비 무엇인가?
  42. 흰개미 무엇인가?
  43. 흰띠알락나방 무엇인가?
     

 

 

※ 아래에 일본 위키백과에서 다운로드한 사마귀 사진과 김종권 회원님이 찍은 사마귀 사진도 감상해 보시고 행복하시기 바랍니다~~~^.^

 








 

홈페이지 주소 : http://jdm0777.com 클릭하시면 홈으로 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