쥐 무엇인가?

굴속에 낟알을 저축하는 습성이 있는 쥐

 

 

 

 

 

 

 

 

 

 

[색깔이 다양한 쥐 종류의 모습, 사진출처: 일본/대만/한국 구글 이미지 검색]

▶ 발목을 삐거나 근육과 뼈가 끊어졌을 때, 어린아이가 만성 소화 불량으로 몸이 야위고 배가 부른 경우, 천식, 해수, 골증열, 피로가 극심하고 팔다리가 뼈만 앙상할 때, 산후에 젖이 나오지 않을 때, 경기, 야맹증, 청맹, 귀가 갑자기 안들릴 때, 오랜청력장애, 소아 경간, 과로에 의해 여위는 증상, 부스럼, 기생충 구제, 칼에 베인 상처, 오랫동안 귀가 들리지 않는 증상, 눈이 어두워서 뚜렷이 보이지 않는 증상, 녹내장, 화상, 탕상, 화농한 창, 동창, 골절창, 지혈, 창상, 복부팽만, 절상 출혈, 창종, 열병, 농혈이 있는 나력, 코의 안팎에서 혈농이 나오는 증상, 소아 경련, 호산증[창자가 음낭으로 내려왔다 들어갔다 하는 병증], 찔린 화살촉이 나오지 않은 경우, 난산, 염증, 감기를 앓고 난 뒤 기혈이 정상으로 회복되기 전에 과로 스트레스 음식 성생활 등으로 정기를 상하여 병이 다시 도져서 열이 나는데, 여성의 생리가 끊어졌을 때, 아랫배가 화끈 달면서 아프고 요도로 하얀 점액이 나온는 것을 다스리는 쥐

쥐는 쥐과에 속하는 젖먹이류의 한종이다.

쥐의 학명은 <
Muridae Illiger, 1811>이다. 쥐는 집, 하수, 풀숲, 경지, 채소밭, 묘지, 강변 제방 등에 서식한다. 쥐의 굴은 복잡한데 도중에 몇 갈래로 나뉘고 길다. 한밤중에 활동이 제일 왕성하다. 잡식성으로 보통 농작물을 상식한다. 매년 6~10번씩 새끼를 낳는데 한 번에 5~14마리 이상 낳는다.

집쥐의 몸길이는 10cm 이상이다. 25cm에 달하는 것도 있다. 꼬리의 길이는 몸길이의 4/5 정도이다. 몸의 등똑은 검은 잿빛이고 배쪽은 흰잿빛이다. 집쥐는 집주변에 산다.

땅속에 굴을 파는데 굴속에는 둥지가 있는 곳, 먹이를 저축하는 곳, 변소로 이용하는 곳 등을 따로 만들며 그것들을 연결하는 통로를 만든다. 또한 밖으로 드나드는 구멍외에 예비구멍을 낸다. 물에서 헤염도 치고 자맥질도 잘한다. 1년에 8~9번 새끼를 치는데 한배에 최고 16마리까지 낳는다. 주로 낟알을 먹는다. 굴속에 낟알을 저축하는 습성이 있다. 한 개 굴속에 수킬로그램의 낟알을 저축하기도 한다.

집쥐는 우리 나라 각지에 분포되어있으며 전세계에 널리 분포되어있다. 낟알을 많이 먹으며 병을 퍼뜨리기 때문에 해롭기도 하다.

생쥐는 쥐과에 속하는 젖먹이류의 한종이다. 생쥐의 몸길이는 8cm 정도이다. 몸의 등쪽은 잿빛밤색이며 배쪽은 흰색이다. 등에는 검고 긴 털들이 섞여 있다. 주둥이의 양쪽에는 10여개의 수염이 있다.

생쥐는 집의 옷장, 책장, 벽틈, 천장, 창고 등에서 산다. 집쥐처럼 땅속에 긴 구멍을 파지 않는다. 밤낮 활동한다. 낟알과 기타 음식물을 먹는다. 땅속에 뚫린 구멍이나 어둡고 조용한 구석에 솜, 종이, 벼짚 등으로 둥지를 만들고 한배에 5~7마리의 새끼를 낳는다.

1년에 6~7번 새끼를 친다.

생쥐는 우리 나라의 각지에 분포되어 있으며 거의 전세계에 퍼져 있다. 낟알과 식료품을 먹으며 가구와 옷, 책 등을 쏠아서 못쓰게 만들 뿐 아니라 병을 퍼뜨리므로 해롭기도 하다.

등줄쥐는 쥐과에 속하는 젖먹이류의 한 종이다. 등줄쥐의 몸길이는 7~12cm 정도이며 꼬리의 길이는 7~8cm 정도이다. 몸의 털은 거칠다. 몸의 등쪽은 검은 잿빛밤색이고 배쪽은 흰재색이다. 대가리부터 몸의 뒤끝에 이르기까지 등골을 따라 검은줄이 있다.

등줄쥐는 산기슭의 밭이나 풀숲에서 산다. 땅속에 굴을 파는데 굴속에서는 변소, 창고, 둥지, 다니는 길 등이 있다. 낮에는 굴속에서 휴식하다가 어두워지면 밖에 나와 활동한다. 낟알과 열매, 풀씨 등을 먹는 마른 나뭇잎, 볏짚, 솜 등으로 만든다. 1년에 4~5번 새끼치는데 한배에 4~5마리의 새끼를 낳는다.

등줄쥐는 우리 나라 각지에 분포되어 있으며 중국 동북지방, 러시아 남부 시베리아지방, 유럽에도 있다. 낟알을 먹으며 병을 퍼뜨리므로 해롭기도 하다.

이러한 쥐들은 설치류로서 정상적으로 앞이빨을 가는 젖먹이류의 한 집단이다. 산토끼, 다람쥐, 집쥐 등과 같은 동물들의 앞이빨에는 뿌리가 없고 계속 자란다. 그러므로 이런 동물들은 앞이빨로 나무와 같은 물질을 쏠아서 이빨을 간다. 토기가 우리의 널판자를 갉아내는 것은 바로 이러한 이유 때문이다. 송곳이는 없다. 번식력이 매우 강하다. 설치류 가운데는 청서, 해리서, 해리, 산토끼 등 털가죽과 고기를 주는 짐슬들도 있고, 집쥐, 생쥐, 등줄쥐 등과 같은 낟알을 먹거나 가구, 옷, 책 등을 못쓰게 만들고 질병을 퍼뜨리는 짐승들도 있다.

쥐는 생태계의 고리 역할을 하기 때문에 다람쥐나 고양이, 족제비, 뱀 등의 먹이사슬로서 매우 중요한 자리를 차지하고 있다. 집주변에 쥐가 너무 많이 번성하면 쥐를 잡아 먹는 독이 없는 안전한 구렁이나 고양이와 같은 동물을 기르거나 올무로 잡아서 적당히 균형을 잡아야 한다. 아주 옛날 우리 조상들은 구렁이를 집집마다 자연적으로 기르고 있어서 쥐덫이나 쥐약을 놓지 않아도 구렁이들이 알아서 적당히 먹이사슬이 되어 잡아 먹었기 때문에 쥐들로 부터의 피해를 예방할 수 있었다. 구렁이는 이로운 동물로 신성시하기까지 했으므로 구렁이를 잡아먹지 않고 구렁이가 담을 넘어가는 모습을 바라만보고 고맙게 생각했던 시대가 있었다.

하지만 어느 순간에 맹독성 농약이나 쥐약을 놓아 잡는 바람에 쥐를 먹고 사는 구렁이, 능구렁이, 물뱀 등이 거의 몰살되어 생태계의 균형이 깨지고 말았다. 또한 농약으로 인해 메뚜기 및 개구리도 사라져 가고 있다. 이제부터라도 맹독성 농약이나 쥐약같은 것을 사용하지 않음으로 생태계를 파괴하고 자연계에 역행하는 행위는 더 이상 해서는 안될 것이다.

조물주는 분명히 쥐를 창조한 목적이 있기 때문에 우리 인류와 함께 살도록 만들어 놓은 것이기 때문이다.

본 동물의
껍질을 서피[鼠皮: 본초강목(本草綱目)], 을 서간[鼠肝: 신농본초경집주(神農本草經集注)], 쓸개를 서담[鼠膽: 신농본초경집주(神農本草經集注)], 고환을 서신[鼠腎: 의림찬요(醫林纂要)], 지방유를 서지[鼠脂: 본초도경(本草圖經)]라고 하여 모두 약용한다.

쥐의 여러 가지 이름은
[鼠=
shǔ=V: 명의별록(名醫別錄)], 수서[首鼠: 사기(史記)], 노서[老鼠: 두문방(斗門方)], 서가[鼠佳, :鼠: 비아(雅)], 가녹[家鹿: 본초강목(本草綱目)], 갈가서[褐家鼠, 흑가서:黑家鼠, 황흉서:黃胸鼠: 중약대사전(中藥大辭典)], 네즈미[ねずみ=: 일문명(日文名)], 마우스[Mouse=생쥐, 래트:Rat=시궁쥐: 영명(英名)], el ratón[생쥐, la rata=시궁쥐: 스페인어], Mus[생쥐, Rattus=시궁쥐: 라틴어], 네즈미[ねずみ=鼠=: 일문명(日文名)], 마우스[Mouse=생쥐, 래트:Rat=시궁쥐: 영명(英名)], el ratón[생쥐, la rata=시궁쥐: 스페인어], Mus[생쥐, Rattus=시궁쥐: 라틴어], 엄지쥐[새끼쥐: 북한어], , 집쥐, 들쥐, 등줄쥐, 생쥐, 새앙쥐 등으로 부른다.   

[성미]


1, <중약대사전>: "맛은 달고 성질은 평하다."

2, <명의별록>: "수컷쥐는 성질아 약간 따뜻하고 독이 없다. 고기는 열이 있고 독이 없다."

3, <약총결(藥總訣)>: "수컷쥐는 맛이 달다."

4, <의림찬요>: "맛은 달고 짜며 성질은 평하다."

<쓸개>


<옥추약해(玉楸藥解)>: "맛은 쓰고 성질은 차다."

[귀경]


<쓸개>


<옥추약해(玉楸藥解)>: "수소음심(手少陰心), 족소양담(足少陽膽), 족궐음간(足厥陰肝)의 경(經)에 들어간다."

[약효와 주치]


1, <중약대사전>: "과로에 의해 여위는 증상, 팽창, 소아의 감적(疳積), 화상, 골절, 동상, 부스럼을 치료한다."

2, <명의별록>: "수컷쥐는 위절(
踒折)을 치료하고 근골을 잇는다. 이것을 찧어서 바르는데 3일에 한 번 갈아 준다. 소아의 포로(哺露)로 배가 커지는 증상에는 고기를 구워서 복용한다."

3, <맹선>: "수컷쥐는 소아의 간질(癎疾: 또는 감질:疳疾)을 주치한다. 배가 커지고 마구 먹으려 하는 증상에는 황토에 싸서 구워 뼈를 빼고 고기에 오미즙(五味汁)을 넣어 국으로 하여 복용한다."

4, <일화자제가본초>: "소아의 경간을 치료한다. 기름으로 졸여서 녹인 다음 납을 넣어 화상에 의한 창(瘡)에 바른다."

5, <본초도경>: "주로 골증노극(骨蒸勞極), 사지가 여위고 약한 증상을 치료하고 기생충을 구제한다. 또 소아의 감수(疳
)을 치료하는 데에는 뼈를 제거하고 술로 푹 달여서 쓴다."

6, <산서방(産書方)>: "유즙을 나오게 하는 데는 고깃국으로 하여 복용한다."

7, <본초강목>: "수컷쥐를 석회(石灰)와 함께 찧어서 칼에 베인 상처에 바른다. 고기는 구워서 복용하면 소아의 한열제감(寒熱諸疳)을 치료한다."

<간>


1, <신농본초경집주>: "난산을 치료한다."

2, <본초강목>: "찔린 화살촉이 나오지 않는 경우의 치료에는 이것을 찧어서 바른다."

<쓸개>


1, <중약대사전>: "녹내장, 야맹증, 화농성 중이염을 치료한다."

2, <신농본초경집주>: "주로 목암(目暗)을 치료한다."

3, <본초강목>: "점안하여 시신경위축과 야맹증으로 인해 잘 보이지 않는 증상을 치료한다. 귀에 떨구어 청력 장애를 치료한다."

4, <옥추약해(玉楸藥解)>: "화살촉이 꽂혀서 빠지지 않는 증상, 화농성 중이염에 바른다."

<콩팥>


<중약대사전>: "소아의 경련, 호산(
狐疝: 창자가 음낭으로 내려왔다 들어갔다 하는 병증)을 치료한다."

<지방유(지방기름)>


1, <본초도경>: "탕화상으로 인한 창(瘡)을 치료한다."

2, <본초강목>: "이롱(청력 장애)을 주치한다."

<가죽>


<본초강목>: "태운 재로 옹저(癰疽)의 상처가 아물지 않는 경우에 상처를 싸맨다. 생가죽을 골저창(骨疽瘡)에 붙이면 곧 고름이 나오게 한다."

[용법과 용량]


<중약대사전>: "내복: 물로 달여서 복용하거나 태워서 재로 하거나 구워서 말려 찧은 가루를 복용한다.

외용: 달여서 고제(膏劑)로 한다. 기름에 담그거나 태워서 재로 한다. 또는 찧어서 바른다."

<지방유(지방기름)>

<중약대사전>: "외용: 바르거나 귓속에 넣는다."

쥐의 효능에 대해 박영준의
<한방동물보감>에서는 이렇게 적고 있다.

[쥐고기

한약명:
서육(鼠肉)

성미:
성질이 약간 따뜻하고 맛이 달다. 독이 없다.

약효:
발목을 삐거나 근육과 뼈가 끊어졌을 때 찧어서 붙인다. 어린아이가 만성소화 불량으로 몸이 야위고 배가 부른 경우에 구워서 먹고, 천식, 해수가 있는 경우에는 털이 나지 않는 새끼를 먹는다.

숫쥐고기는 골증열이나 피로가 극심하고 팔다리가 뼈만 앙상할 때, 산후에 젖이 나오지 않을 때, 기다란 짚에 황토를 개어 쥐를 싸서 장작불에 굽고, 짚을 뜯어 털이 벗겨진 고기를 먹는다. 또는 뼈는 버리고 술에 끓여서 약에 넣는다.

쥐의
고환은 어린아이가 경기를 하는 경웨 사용한다. 집쥐의 쓸개는 맛이 쓰고 성질이 차다. 눈을 밝게 하는 작용이 있어서 야맹증과 청맹이 있을 때 쓸개즙을 눈에 조금씩 떨어뜨린다. 귀가 갑자기 잘 안들리거나 염증이 생겼을 때에도 같은 방법으로 사용한다.

쥐의
는 사람을 여위게 하므로 먹지 않는다.

맞는 체질:
소음인

수컷 집쥐의 똥


한약명:
모서분(牡鼠糞)

성미:
맛이 쓰고 짜며 성질이 차다. 간과 콩팥, 대장에 작용한다.

약효:
감기를 앓고 난 뒤 기혈이 정상으로 회복되기 전에 과로, 스트레스, 음식, 성생활 등으로 정기를 상하여 병이 다시 도져서 열이 나는 경우에 사용한다. 여성의 생리가 끊어진 것을 통하게 한다. 성질이 차고 오줌을 잘 나오게 하는 작용이 있어서 아랫배가 화끈 달면서 아프고 요도로 하얀 점액이 나오는 것을 치료한다.

대나무쥐고기


학명:
Rhizomys sinensis Gray

한약명:
죽서(竹鼠)

성미:
맛이 달고 성질이 평이하다.

약효:
기혈을 생산하는 비위의 기능을 강화시키는 작용이 있어서 팔다리의 힘이 없고 온 몸이 나른하고 피로한 경우, 소화가 잘 안되는 경우에 사용할 수 있다. 기혈이 부족한 사람은 만성 소모성 질환인 결핵에 잘 걸린다. 주요 증상은 기침, 피가 섞인 가래, 조열, 식은땀, 가슴이 아프면서 몸이 마르는 것이다.

몸의 진액을 보충하면서 열을 제거하는 역할을 하는 대나무쥐고기를 먹으면 결핵으로 인한 기침과 가래 조열을 없앨 수 있다. 조열은 오후나 밤에 미열에 났다가 새벽에는 완전히 없어지는데, 손발바닥이 늘 열이 난다.
] 

중국 광동에서는 사람이 식용할 수 있는 식용쥐를 대량생산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하였다고 한다. 그점에 대해 <중국망신문중심(china.org.cn)>에서는 이렇게 기술하고 있다.

[광동 농민, 식용쥐 양식 성공

중국 광동(广东)사람들은 야생 고기를 좋아하는데 그 중 상등품에 속하는 망수(芒鼠, 식용쥐)가 있다. 사회의 진보와 생태환경 보호 관념이 추진됨에 따라 최근 몇 년 동안 야생동물인 망수는 거의 밥상 위에 오르지 못하고 있었으나 인공사료로 키워도 맛과 영양이 좋을 뿐만 아니라 야생 망수와 다른 맛으로 가지고 있는 사육 망수가 여전히 사람들의 사랑을 받고 있다.

위에베이산(粤北山) 스싱현(始兴县)에는 널리 이름이 난 ‘망수 사육 대왕’이 있는데 그가 바로 샤오관시(韶关市) 스싱현(始兴县) 루오바진(罗坝镇) 야오민촌(瑶民村) 촌민 덩챠오바오(邓桥保)이다. 루오바진 야오민촌은 샤오관시 동쪽 약 100km에 위치하며 스싱현에서 약 30km 떨어진 곳에 있다. 이 마을에는 100여 가구가 거주하고 있으며 마을사람들은 대나무로 집을 짓고 표고버섯, 목이버섯, 옥수수 재배로 생업을 삼고 있으며 겨울 죽순, 꿀, 약재 등도 생산하고 있다. 예전에는 마을사람들이 자주 사냥을 나가던 습관이 있었다.

덩챠오바오의 집은 작은 사합원(四合院: 중국의 전통주택)으로 단층집 안에 그가 사육하는 망수들이 두 개의 우리 속에서 사육되고 있다. 그는 야오산(瑶山)에서 태어나 자랐으며 어려서부터 부친과 함께 산으로 가 사냥을 했으며 아버지 대의 우수한 천성을 이어받았다. 그는 “많은 사람들은 교활한 토끼는 굴이 세 개나 있다고 알고 있으면서 망수도 굴이 세 개나 있다는 사실은 잘 모르고 있다. 그 중 두 개는 얕은 굴로 근처의 먹이를 찾기 위한 것이고 나머지 굴은 비교적 깊은데 이것은 몸을 숨기기 위한 곳이다. 망수는 겨울에 보온을 위해 일반적으로 4, 5미터 깊이로 굴을 판다”고 말했다.

그는 망수 사육을 우연한 기회에 하게 됐다고 밝혔다. 그는 “원래 촌민들이 경제수입을 늘리기 위해 농한기 때 산에 올라가 망수를 잡는 습관이 있었다. 한번은 굴을 파 망수 몇 마리를 잡았으나 너무 어려 팔 수가 없자 이것들을 사육해보는 것이 어떨까 하는 생각을 갑자기 하게 됐다. 망수는 대나무, 참억새 등을 먹는데 어차피 산에서 살기 때문에 망수의 먹이를 현지에서 조달할 수 있었다. 2000년부터 망수를 사육하기 시작했으며 망수의 성장기는 일반적으로 8개월로 1kg이상으로 자라면 내다 팔 수가 있다”고 밝혔다.

그는 숙련된 사육기술과 원활한 판매루트가 있어 사육 규모를 한층 더 확장시킬 계획이며 연내에 망수 암컷 300마리 이상을 사육할 예정이다. 현재 1만여 위안을 투자해 점유면적 60평방미터의 사육장을 건설해놓은 상태이다. 그의 사육 계획에 따르면 1년 동안 1000마리 정도의 망수를 팔아 연수입을 대략 10여 만 위안이 되도록 만들 생각이다.
]

쥐로 질병을 치료하는 방법은 아래와 같다.

1, 수고(水鼓) 및 석수(石水: 복부 팽만의 각 유형), 복창신종(腹脹身腫)의 치료

살진 쥐 한 마리의 가죽을 벗겨 잘 게 썰어 달여서 죽으로 하여 빈속에 복용한다. [식의심경(食醫心鏡)]

2, 소아의 징가(
癥瘕: 뱃속의 경결:硬結)의 치료
쥐고기를 탕액으로 죽을 끓여서 복용한다. [요화중(
和衆)]

3, 화상, 창상(瘡傷)의 치료

① 작은 쥐를 진흙에 싸서 구워 갈아서 채유(菜油)에 개어 바른다. [담야옹시험방(談野翁試驗方)]

② 갓 낳은 쥐의 새끼를 향유(香油)에 담가 부화(腐化: 발효)시켜서 바른다. [본초봉원(本草逢源)]

4, 동창과 골절창

12월의 쥐 한 마리를 기름 1되로 달여서 으깨어 찌꺼기를 버리고 짠 다음 다시 달여서 고제(膏劑)로 하여 바른다. [맹선(孟詵)]

5, 지혈, 절상 출혈

털이 없는 쥐와 석회(石灰)를 짓찧어서 환제로 하여 햇볕에 말렸다가 사용시에 가루내어 출혈이 있는 곳에 바른다. [육천본초(陸川本草), 노서약(老鼠藥)]

6, 창종, 열병(熱病)

큰 수컷쥐 한 마리를 청유(淸油) 1근으로 누룰 때까지 약한 불에 달여서 물 위에 기름을 떨어뜨려 보아 흩어지지 않으면 솜으로 받아 찌꺼기를 제거하고 맑게 되면 여러 번 잘 닦아 깨끗한 주전자에 넣어 또 다시 약한 불에 달여 기름을 넣고 황단(黃丹) 5냥을 넣어서 변색될 때까지 볶아서 버드나무 주걱으로 고루 젓는다. 다시 물위에 떨어뜨려 보아 엉기면 황납(黃臘) 한 냥을 넣고 검게 될 때까지 달여 고제(膏劑)로 하여 법랑 그릇에 담아 굳힌다. 창종(瘡腫)에 바르면 통증이 가시고 시원하다. [경험방(經驗方), 심서고(尋鼠膏)]

7, 혈농(血膿)이 있는 나력(
瘰癧) 환자의 치료
중간 크기의 쥐 한 마리를 달걀 크기로 잘라서 3살된 돼지의 12월의 돼지기름으로 뼈와 살이 무를 때까지 달여서 절반은 바르고 절반은 술로 복용한다. [보결주후방(補缺
後方)]

8, 코의 안팎에서 혈농(血膿)이 나오는 증상의 치료

쥐의 머리를 태워 재로 하여 12월의 돼지기름에 개어 상처 위에 바른다. [외대비요(外臺秘要)]

9, 파상풍의 병사(病邪)가 표면에 있어 한열구급(寒熱拘急)하고 입에 경련이 일어나 이를 악무는 증상

산 수컷쥐 한 마리를 철사로 묶어 우묵한 모양의 기와에 놓고 센 불로 약성이 남을 정도로 태워 곱게 갈아서 가루낸 것을 1첩으로 하여 따끈한 황주(黃酒)에 섞어서 복용한다. [의종금감(醫宗金鑑), 웅서산(雄鼠散)]

10, 창(瘡)에 의한 중풍의 증상으로 허리와 등에 경련이 있고 턱이 경련을 일으키며 사지가 강직되는 증상

쥐대가리 한 개를 꼬리와 함게 태워 재로 하여 곱게 갈아서 음력 12월의 돼지기름에 개어 바른다. [매사집험방(梅師集驗方)]

11, 청력 장애

쥐의 지방기름 반 홉과 청염(靑鹽) 1돈, 머리가 붙어 있는 지룡(地龍: 지렁이) 1개를 짠 즙을 쓰는데 쥐의 지방기름과 지렁이즙을 청염(靑鹽)으로 배합하고 따뜻하게 하여 솜에 묻혀서 환자를 가로 눕히고 귀에 짜 넣는다. [태평성혜방(太平聖惠方), 적이서지방(滴耳鼠脂方)] 

12, 화농한 창(瘡)이 아물지 않는 증상

태운 쥐가죽 1장을 가루로 하여 상처에 바른다. [천금방(千金方)]

13, 소아의 경련 때문에 급, 만성 구별없이 간풍(肝風)이 크게 일어나고 수족이 경련하는 증상

쥐 고환 1쌍을 진사(辰砂) 몇 푼 또는 인삼(人蔘)과 함께 달여서 복용한다. [귀주성중의험방비방(貴州省中醫驗方秘方)]

14, 호산증(
狐疝症: 창자가 음낭으로 내려왔다 들어갔다 하는 병증)
쥐 고환을 약한 불에 쬐어 말려 갈아서 술로 먹는다. [귀주성중의험방비방(貴州省中醫驗方秘方)]

15, 눈이 어두워서 뚜렷이 보이지 않는 증상

쥐 쓸개의 즙을 점안한다. [태평성혜방(太平聖惠方)]

16, 귀가 갑자기 들리지 않는 증상

쥐 쓸개즙을 귀속에 넣는다. [보결주후방(補缺
後方)]

17, 오랫동안 귀가 들리지 않는 증상

센 불로 구운 천오두(川烏頭), 세신(細辛) 각 2돈, 담반(膽礬) 반돈, 쥐쓸개 1쌍을 부드럽게 가루내어 배합하고 고르게 섞어서 약한 불에 쬐어 말려 잘 갈아서 사향(麝香) 1푼 반을 가하여 거위털의 관을 통해 귓속에 불어 넣는다. 이 때 차(茶)를 입에 물고 약간 기다린다. [위생가보방(衛生家寶方), 승금투관산(勝金透關散)]

18, 오랜 청력 장애의 치료

웅담(熊膽) 1푼과 12월에 얻은 쥐쓸개 2개를 물에 섞어서 녹두 크기 만큼 귓속에 하루 1~2회 떨군다. [태평성혜방(太平聖惠方)]

19, 찔린 화살촉이 나오지 않는 경우

찔린 화살촉이 나오지 않을 때 쥐의 간을 찧어서 바른다. [본초강목(本草綱目)]

최근들어 흰쥐를 대량 양식하여 제약회사 및 연구소에서 인류의 질병을 극복하기 위해 실험용으로 많이 활용되고 있다. 쥐가 태어나 나름대로의 생을 살다가 죽는 것이 현실이다. 고대에 심한 흉년이 들어 기근을 겪을 때에 인류는 쥐를 잡아서 먹었다는 역사적 기록이 있다. 쥐는 분명 인류와 함께 살면서 자연계에 없어서는 안될 생태계의 중요한 고리 역할을 하고 있다. 우리 인간이 체험하고 겪어야 할 여러 가지 독성 실험을 대신 겪으면서 죽어가는 쥐에게 사람은 고마움을 느껴야 할 것이다.  

상기 자료는 약초연구가로서 우리땅에 존재하는 천연물질의 우수성을 널리 알리고 질병으로 고통을 겪고 있는 환우들에게 희망을 주며 신약을 개발하는데 통찰력을 갖게하고 약초를 사랑하는 모든 사람에게 정보의 목적으로 공개하는 것임을 밝혀 둔다.  

(글/ 약초연구가 & 동아대 & 신라대 대체의학 외래교수 전동명)

쥐 사진 감상: 1, 2, 3, 4, 네이버+구글+다음+일본구글+대만구글: 1, 2, 3, 4, 5,

문의 및 연락처: 010-2545-0777 ; 051-464-0307

홈주소: http://jdm0777.com

페이스북 주소: http://www.facebook.com/jdmsanyacho

이메일: jdm0777@naver.com


아래에 비슷한 종류들도 함께 참조해 보시기 바랍니다.

 

 

  1. 다람쥐 무엇인가?
  2. 두더지(언서) 무엇인가?
  3. 박쥐 무엇인가?
  4. 박쥐똥 무엇인가?
  5. 쥐 무엇인가?
  6. 청설모 무엇인가?

 

 

※ 아래에 jdm 필자가 찍은 흰 사진도 감상해 보시고 행복하시기 바랍니다~~~^.^

 

 

홈페이지 주소 : http://jdm0777.com 클릭하시면 홈으로 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