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뱀허물(사퇴) 무엇인가? ≫

진정 해독 눈병 살충작용하는 뱀허물

 

 

 

 

 

 

 

 

 

 

[각종뱀의 허물인 사퇴의 모습, 사진출처: 일본/대만/한국 구글 이미지 검색]

▶ 살충작용, 풍을 제거, 경계안정, 부종, 후풍구창, 혀가 굳어 마비되는 증상, 목예내장, 정창, 옹종, 개선, 백내장, 중이염, 유방의 종창 및 동통, 소변불통, 요충, 두부사상균증, 전풍, 소아 뇌수종, 뇌포충증, 유행성 이하선염, 림프절 결핵, 맥립종(다래끼),
진정, 독풀이, 항염증, 경간, 인후종통, 가려움증, 치질, 종창, 나력, 풍을 제거, 계종, 간질의 악한 발열, 언어 장해, 소아경련, 소아 경기, 간질, 충독, 구토, 해수, 목이 벌겋게 붓고 아프며 막힌 감이 있는 인후병, 각종 악창, 기생충 구제, 임신부로 하여금 태아가 빨리 나오게 하며 태아가 머리부터 나오지 않고 다리나 엉덩이가 먼저 나오는 역산을 치료, 눈을 밝게 하는데, 눈 안에 군살이 생기는 것을 없애는데, 이하선염에 효험있는 뱀허물      

뱀은 파충류(爬蟲類) 유린목(有鱗目)에 속하는 척추동물이다. 뱀은 다리와 각질화된 비늘이 없어 악어(파충류 악어목)도 아니고, 등껍질이 없기 때문에 거북(파충류 거북목)도 아니다. 뱀은 도마뱀과와 같이 유린목에 속해 있으나 도마뱀과는 차이가 있어 별개의 아목(亞目)으로 분류된다. 뱀은 가늘고 긴 모양을 가진 파충류의 일종으로 등에는 작은 비늘이 규칙적으로 배열되어 있고 배에는 가늘고 긴 배비늘이 일렬로 배열되어 있다.

뱀은 어느 한 종의 이름이 아니라 살모사, 불살모사, 유혈목이(늘메기,
화사, 꽃 뱀, 너불대, 너불메기), 밀뱀, 구렁이 등을 일반적으로 가리키는 이름이다. 또한 파충류 가운데서 네다리를 가지지 않은 동물들을 통털어 뱀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뱀은 눈꺼풀과 겉귀가 없다. 이에 반하여 도마뱀은 눈꺼풀과 외부에서 식별할 수 있는 귀를 가지고 있다. 또 뱀은 다리가 없다. 하지만 가끔 비단구렁이 종류는 다리가 퇴화되어 몸통 밖으로 튀어나온 돌기를 볼 수 있다.

뱀들은 종류에 따라서 비늘의 수에 차이가 있다. 그러므로 뱀의 종류를 나누는 데는 머리 부분과 몸통의 비늘 배열이 중요하다.

뱀은 북극과 남극, 아이슬란드, 뉴질랜드와 대양의 일부 섬 지방을 제외하고는 세계 거의 모든 곳에 살고 있다.

땅속, 물속, 바닷속 그리고 사막에서도 살고 있어 어쩌면 지구상에서 가장 환경에 잘 적응한 동물이라고 볼 수 있다.

비단구렁이류, 파이프뱀류, 보아뱀류, 장님뱀류, 뱀류, 코브라류 그리고 독사류를 포함해 그 종류는 대략 2,400여 종이나 되는데, 우리나라에는 현재 남한과 북한을 합쳐서 약 14종이 살고 있다.

뱀은 독특한 생김새와 행동, 사람을 죽이는 강한 독 때문에 항상 인간에게 두려움과 호기심의 존재로 여겨졌으며 때로는 우상으로 숭배되기도 하였다.

비단뱀인 왕구렁이는 길이가 9~10m정도이며, 몸무게는 약 110kg이나 된다. 뱀들 가운데서 가장 큰 종이다. 주로 열대지방의 산림에서 사는데 주로 밤에 활동한다. 알을 낳는데 관상용으로 기르기도 한다. 수명은 약 20여년간 사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뱀허물의 다른 이름은
사태[
蛻=shé tuì=투이, 용자의:龍子衣, 사부:蛇符, 용자단의:龍子單衣, 궁피:弓皮: 신농본초경(神農本草經)], 용피[龍皮, 용단의:龍單衣, 사근:蛇筋, 사부:附: 오보본초(吳普本草)], 사피[皮: 뇌공포구론(雷公포灸論)], 용자피[龍子皮: 명의별록(名醫別錄)], 사태피[皮: 약성론(藥性論)], 사각[蛇殼, 사퇴:蛇退: 본초강목(本草綱目)], 용의[龍衣: 분류초약성(分類草藥性)], 청용의[靑龍衣: 절강중약수책(浙江中藥手冊)], 장충피[長蟲皮: 하남중약수책(河南中藥手冊)], 백용의[白龍衣: 산서중약지(山西中藥誌)], 다세이[ダセイ=蛇蛻: 일문명(日文名)], 뱀허물, 뱀껍질 등으로 부른다.

[채취]


<
중약대사전>: "1년 내내 채취할 수 있으나, 3~4월에 가장 많다. 채집 후 흙이나 모래를 털어 버리고 햇볕에 말리거나 또는 통풍이 잘되는 곳에서 말린다."

[약재]


<
중약대사전>: "마른 허물은 원통형이고 반투명한 피막이며 납작한 모양이거나 주름이 지고 쪼그라들었거나 부수어져 있다. 완전한 것은 길이 1m 이상이다. 등쪽은 은회색이며 광택이 있는 능형이거나 타원형이고 반투명한 비늘 조각이 있다. 복부는 유백색이거나 약간 황색을 띠며 비늘 조각은 장방형이고 엎어 놓은 기왓장 모양으로 배열되어 있다. 질은 가볍고 부드러우며 쉽게 부서진다. 만지면 감촉이 미끌미끌하다. 냄새는 약간 비리며 맛은 담담하거나 약간 짜다. 색이 희고 껍질이 미세하며 근(筋)이 길고 억세고 모양이 완전하며 흙모래나 잡물이 없는 것을 상품으로 친다."

[성분]


1, <
중약대사전>: "사태에는 골질(골소=骨素: ossein)이 함유되어 있다."

2, <
동물성동약>: "왕구렁이(Pyton molurus bivittatus Schiegel) 허물은 케라틴으로 되어 있는데 그속에 총질소 14.65%, 후민질소 0.26%, 모노아미노산 질소 13.5%, 시스틴 0.14%, 아르기닌 0.08%, 아미노태질소 1.35%가 들어 있다. 개별 아미노산함량은 알라닌 2.0%, 발린 2.0%, 로이신 2.0%, 이소로이신 0.3%, 페닐알라닌 2.0%, 티로진 6.0%, 글루타민산 0.2%이다. 또한 많은 양의 납모양물질이 들어 있다.

꽃무늬뱀의 허물에는 콜라겐과 여러 가지 아미노산들, 불포화지방산들이 들어있다.

늘메기허물에는 콜라겐, 아미노산, 글리코겐, 핵산, 아미노펩티다제, β-글루쿠로니다제, 젖산데옥시다제, 이소스테아린산데옥시다제, 2, 3-포스포피리딘누클레오티드디아포라제, 에스테라제, 글루코-6-포스포데옥시다제, 포스포라제 등이 들어 있다."


[법제]


1, <
중약대사전>: "감초물로 씻고 햇볕에 말려 거기에 황주(黃酒)를 분무해서 냄비에 넣고 노랗게 될 때까지 약한 불로 볶는다(뱀허물 100근당 술 5근을 사용한다)."

2, <신농본초경>: "푹 고으면 좋다."

3, <뇌공포구론>: "쓸 때는 먼저 가옥 밑에 깊이 1자 2치의 구덩이를 하나 파고 그 속에 뱀허물을 하룻밤 넣어 두었다가 묘시(卯時: 오전 5시부터 7시)에 꺼내어 식초에 잠깐 담그었다가 불에 쬐어서 사용한다."

4, <본초강목>: "뱀허물을 사용하려면, 먼저 주엽나무열매 달인물(조협수=
水)로 깨끗이 씻어 대나무에 감거나, 술이나 식초 또는 벌꿀에 담갔다가 노랗게 될 때까지 구워 사용한다. 또는 약성이 남을 정도로 굽거나 염니(鹽泥)로 굳혀서 강한 불로 굽거나 해서 적당히 사용한다."

[성미]


1, <
중약대사전>: "맛은 달고 짜며 성질은 평하고 유독하다."

2, <신농본초경>: "맛은 짜고 성질은 평하다."

3, <명의별록>: "맛은 달고 무독하다."

4, <약성론>: "유독하다."

[귀경]


1, <신농본초경소>: "간경(肝經)에 들어간다."

2, <본초재신>: "간(肝), 비(脾)의 2경(經)에 들어간다."

[약의 효능과 주된 치료]


1, <
중약대사전>: "풍(風)을 제거하고 경계(驚悸)를 안정시키며 예()를 제거하고 부종을 내리며 살충하는 효능이 있다. 소아경간(小兒痙癎), 후풍구창(喉風口瘡), 혀가 굳어 마비되는 증상, 목예내장(目內障), 정창(瘡), 옹종, 이하선염, 치루(痔瘻), 개선(疥癬)을 치료한다."

2, <신농본초경>: "소아의 경간계종(驚癎
瘈瘲), 간질(癎疾), 한열(寒熱), 장치(腸痔), 벌레나 독사에 의한 경간(驚癎)을 치료한다."

3, <명의별록>: "혀가 돌지 않고 골이 흔들이는 증상, 성인의 오사(五邪)에 의한 언어 장해, 오창, 구토를 동반하는 해수를 치료하며 눈을 밝게 한다."

4, <약성론>: "후비(喉
)를 치료한다."

5, <일화자제가본초>: "구역을 멈춘다. 소아의 경계객오(痙悸客
)을 치료하며 분만을 촉진하고 역양(瘍), 백전풍을 치료한다."

6, <용약심법>: "각막백탁을 제거한다."

7, <본초강목>: "거풍(祛風)하고 살충한다. 태운 가루를 복용하면 부인의 취유(吹乳), 성인의 후풍(喉風)을 치료하며 각막 혼탁을 없애고 혀가 굳은 증상을 치료하며 소아의 중설(重舌), 중구개(重口蓋), 순긴(脣緊), 해로(解
), 면창(面瘡), 월식(月蝕), 천포창, 성인의 정종(腫), 누창종독(漏瘡腫毒) 등에 바른다. 탕액으로 여러 가지 악충에 의한 상처를 씻는다."

8, <의림찬요>: "간기(肝氣)를 이완시키고 심(心)을 보하며 독열(毒熱), 풍습을 제거한다."

9, <분류초약성>: "안창두풍(眼脹頭風)을 치료한다. 강한 불에 구워서 갈아 창(瘡), 화상에 바르며 습창(濕瘡)의 수(水)를 거두어서 창질(瘡疾)을 치료한다."

[사용방법과 용량]


<
중약대사전>: "내복: 하루 0.5~1돈을 물로 달여서 복용하거나 가루내어 먹는다.

외용: 물로 달여서 씻거나 가루내어 조합해서 바른다."

[주의사항]


1, <
중약대사전>: "임신부는 복용하면 안 된다."

2, <약대>: "자석(磁石)을 꺼린다."

3, <본초강목>: "임신부는 복용하면 안 된다."

4, <신농본초경소>: "소아 경간이나 전간으로 외사(外邪)에 의하여 심복문통(心腹紋痛)하고 창만하여 기(氣)가 심흉(心胸)을 짓누르지 않으며 간(肝), 심(心)이 허(虛)가 아닌 자에게는 효과가 없다."

뱀허물이 임신때 피해야 할 약물로 소개되어 있다. 허준이 쓴
<동의보감>에는 이러한 내용이 나온다.

[
임신 때 꺼려야 할 약물(약물금기=藥物禁忌)

노래에는 완청(莞靑), 반묘(斑猫), 거머리(수질), 등에, 오두, 부자, 천웅, 야갈, 수은, 파두, 쇠무릎(우슬), 율무쌀(의이인), 왕지네(오공), 삼릉, 대자석, 원화, 사향, 버들옻(대극),
뱀허물(사태), 석웅황(웅황), 진황, 마아초, 망초, 모란뿌리껍질(목단피), 계피, 홰나무꽃(괴화), 나팔꽃씨(견우), 주염열매(조각), 끼무릇(반하), 천남성, 통초, 패랭이꽃(구맥), 건강, 게발톱, 노사, 마른 옻, 복숭아씨(도인), 지담, 띠뿌리(모근) 등을 쓰지 않는 것이 좋다고 하였다[정전].   

○ 척촉화, 도루래(누고), 우황, 박새뿌리(여로), 금박, 은박, 호분, 도마뱀, 날다람쥐, 매미허물(선각), 용뇌, 고슴도치가죽(자위피), 화살나무껍질(귀전우), 저계, 마도, 옷좀(의어), 마늘, 약누룩(신국), 돌아욱씨(규자), 서각, 대황 등도 써서는 안 된다[국방].
]

뱀허물과 관련해서 허준이 쓴
<동의보감>에서는 이렇게 기록하고 있다.

[
사태(蛇蛻, 뱀허물)   

성질이 평(平)하고 맛이 짜며 독이 없다(독이 있다고도 한다). 어린이의 120가지 경간과 전질(癲疾), 어린이가 5가지 사기로 미쳐서 날치는 것[五邪狂亂], 여러 가지 귀매(鬼魅), 후비(喉痺), 고독을 치료하고 쉽게 몸풀게 한다. 또한 눈에 생긴 장예가 심한 것도 없애고 악창도 치료한다.   

○ 일명 용자의(龍子衣)라고도 하는데 들판에서 산다. 음력 5월 5일부터 15일 사이에 모아 들이되 돌 위에 있는 것으로 온전한 것[完全]이 좋다. 그리고 은빛같이 흰 것을 써야 한다.   

○ 뱀허물은 입에서부터 벗는데 이때에는 눈알도 함께 벗어진다. 이것은 눈약으로 쓴다[본초].   

○ 흙 속에 하룻밤 동안 묻어 두었다가 식초에 담갔다 구워 말려 쓰거나 약성이 남게 태워서 쓴다[입문].
]

황도연이 쓴
<방약합편>에서는 뱀허물에 대해서 다음과 같이 기록하고 있다.

[
사퇴(蛇退)

뱀허물은 악기 막고

예막을 잘 없앤다오

치질 충독 낫게 하며

경간 경련 멎게 하네

○ 자석 및 술과 상외약이다[본초].
]

뱀허물과 관련해서 박영준씨가 쓴
<한방동물보감>에서는 다음과 같이 적고 있다.

[뱀허물

한약명:
사태(蛇
)

성미:
맛이 달고 짜다. 성질이 평이하고 독이 없다. 간과 비장에 작용한다.

약효:
풍을 제거하고 경련을 멈추게 하므로 소아의 경기와 간질을 치료한다. 목이 벌겋게 붓고 아프며 막힌 감이 있는 인후병과 이하선염에 효과가 있다. 임신부로 하여금 태아가 빨리 나오게 하며 태아가 머리부터 나오지 않고 다리나 엉덩이가 먼저 나오는 역산을 치료한다. 본초에는 뱀이 입으로부터 허물을 벗고 눈도 또한 따라 나오므로 안구의 병에 많이 쓴다고 하였다. 따라서 뱀허물은 눈을 밝게 하고 눈 안에 군살이 생기는 것을 없애준다. 살충하는 작용도 있어서 각종 악창과 기생충을 치료한다.

주의사항:
임신부는 먹지 않는다.

법제:
흙 속에 묻어서 하룻밤 새우고 식초에 담가서 불에 말려 쓴다. 혹은 약성이 남을 정도로 불에 태워서 사용한다.]

뱀허물의 효능에 대해 북한에서 펴낸
<동물성동약>에서는 이렇게 기록하고 있다.

[뱀허물(사퇴)

라틴어: Serpentis Periostracym; 영어: Snake slough; 러시아어: Экзувийиз кожи полоза; 중국어: 사태(蛇
); 일본어: 지야타이히(じやたいひ), 다세이(だせい)

기원: 뱀과(Colubridae)에 속하는 누룩뱀(Elaphe dione pallas), 밀뱀(E. rufodorsata), 섬사(Diodon rufozonatum cantor)의 벗은 허물을 말린 것이다. 이밖에도 구렁이, 꼬리줄무늬뱀, 눌메기 등도 쓰인다.

분포: 누룩뱀, 밀뱀, 섬사는 우리나라 각지의 평지에 분포되어 있다. 세계적으로 중국 동북지방, 시베리야지방에 분포되어 있다.

[동물형태]


누룩뱀:
대가리, 몸뚱이, 꼬리로 되어 있다.

밀뱀:
몸길이는 59~110cm이다.

섬사:
몸길이 70~100cm이다.

[채취 및 가공]


4~5월 또는 9~10월에 산이나 풀밭, 바위틈 등에 있는 뱀허물을 채취한다.

가공:
모래와 흙을 깨긋이 씻어 버리고 말린다.

법제:
짧게 썰어서 쓰거나 술을 뿌리고 약한 불로 누렇게 될 깨까지 볶아서 쓴다.

[동약형태]


원통형의 반투명한 피막질이다. 압착되어 주름이 잡혀 있다.

[성분]


왕구렁이(Pyton molurus bivittatus Schiegel) 허물은 케라틴으로 되어 있는데 그속에 총질소 14.65%, 후민질소 0.26%, 모노아미노산 질소 13.5%, 시스틴 0.14%, 아르기닌 0.08%, 아미노태질소 1.35%가 들어 있다. 개별 아미노산함량은 알라닌 2.0%, 발린 2.0%, 로이신 2.0%, 이소로이신 0.3%, 페닐알라닌 2.0%, 티로진 6.0%, 글루타민산 0.2%이다. 또한 많은 양의 납모양물질이 들어 있다. 꽃무늬뱀의 허물에는 콜라겐과 여러 가지 아미노산들, 불포화지방산들이 들어있다. 늘메기허물에는 콜라겐, 아미노산, 글리코겐, 핵산, 아미노펩티다제, β-글루쿠로니다제, 젖산데옥시다제, 이소스테아린산데옥시다제, 2, 3-포스포피리딘누클레오티드디아포라제, 에스테라제, 글루코-6-포스포데옥시다제, 포스포라제 등이 들어 있다.

[응용]


진정, 독풀이, 항염증, 살충약으로서 경간, 인후종통, 가려움증, 치질, 종창, 나력, 이하선염 등에 쓴다. 4.5~9.0g 먹는다. 외용으로는 가루내어 바른다.

금기: 임신부에게는 쓰지 말아야 한다.

[제제 및 처방]


섬사주사약:
뱀유효성분엑스, 벤질알코올, 주사용증류수로 만든 주사약이다. 류마티스성관절염때 한번에 2ml씩 하루 1~2번 근육주사한다.

사퇴탕:
뱀허물 볶은 것 3개, 족두리풀뿌리, 구등, 단너삼(황기), 감초 각각 15g, 대황 31g, 매미허물 4개를 가루내고 물 8부를 넣고 달여 4부로 졸인 다음 찌꺼기는 버리고 우황을 조금 넣는다. 어린이 경간으로 열이 날 때 한번에 3g씩 밥먹은 다음 따뜻한 물과 함께 먹는다.

사퇴산:
뱀허물 1개, 용뇌 0.6g, 진주 0.3g을 가루낸다. 백내장때에 하루 3번 눈에 넣는다.

사퇴고:
꿀벌 21개, 뱀허물 2.2g, 왕지네 2마리, 노야기 130g에 물을 넣고 끓여 찌꺼기를 버린 다음 농마 62g을 넣어 7일 동안 끓인다. 나력때 바른다.

사퇴정:
뱀허물을 볶은 것, 붉나무벌레집, 용골 4.5g을 섞어서 가루내고 사향을 적은양 넣어 동그랗게 만든다. 항문 주위에 고름이 나고 피가 멎지 않을 때 바른다.]

뱀허물로 질병을 치료하는 방법은 아래와 같다.

1,
견순(繭唇)   
※ 입술이 조여들어 입을 벌리지도 다물지도 못하여 음식을 먹지 못하는 것을 말하는데 빨리 치료하지 않으면 위험하다. 이것은 이상한 병인데 견순이라고도 하고 긴순(緊唇)이라고도 하며 심순(瀋唇)이라고도 한다.

실증이면 사황산(瀉黃散, 처방은 5장문에 있다)이나 사황음자를 쓰고 부었으면 의이인탕(薏苡仁湯, 처방은 위에 있다)을 쓰면서 겸해서 황백산과 백회산을 붙여야 한다[제생
]

또한 뱀허물(사태)이나 굼벵이(제조)를 태워 가루를 내서 돼지기름(저지)에 개어 붙여도 된다[득효]. [동의보감(東醫寶鑑)]   

2, 누치(瘻痔)
  
※ 진물이 나오면서 퍼지고 진물며 오래되면 벌레가 생겨 항문을 파먹기 때문에 구멍이 생기는 것을 말한다. 치료하는 방법은 아래에 있는 치루(痔瘻)치료법과 같다[강목].   

오치산(五痔散)   
5가지 치질을 비롯한 모든 치질을 다 치료한다.    
돼지의 왼쪽 발목 위에 달린 발굽(장치를 치료한다), 자라등딱지(별갑, 수치질을 치료한다), 고슴도치가죽(자위피, 암치질을 치료한다), 노봉방(맥치를 치료한다),
뱀허물(사퇴, 기치를 치료한다).   

위의 약들을 각각 약성이 남게 태워 가루내서 고루 섞는다. 한번에 8g씩 쓰는데 사향을 조금 섞어서 빈속에 물에 타 먹는다[삼인].   

○ 일명 오회산(五灰散)이라고도 한다. 5가지 약의 양은 각각 같다[단심].   

신응산(神應散)   
5가지 치질을 치료한다.   
누런 소의 뿔속뼈(황우각새=黃牛角
, 부스러뜨린다) 1개, 뱀허물(사태) 1개, 주염열매(저아조각) 7꼬투리, 천산갑 7쪽, 고슴도치가죽(좌위피=剉猬皮, 썬 것) 40g.   

위의 약들을 잘게 썰어서 단지 안에 넣은 다음 소금을 넣어 이긴 진흙으로 아가리를 잘 싸발라 벌겋게 달구었다가 식힌다. 다음 약을 꺼내어 보드랍게 가루낸다. 잠잘 무렵에 먼저 호두 1알을 잘 씹어서 좋은 술 1잔으로 넘기고 자다가 새벽에 위의 약가루를 12g씩 데운 술에 타서 먹고 오전 8시경에 또 한번 먹어야 한다. 비록 오랜 병이라고 하여도 세번 넘기지 않아 낫는다[강목]. [동의보감(
東醫寶鑑)]

3, 눈을 밝게 하고 내장(內障)과 예막(
膜)을 없어지게 하는데

사태(蛇蛻, 뱀허물)   

눈을 밝게 하고 내장과 예막을 없어지게 한다. 식초에 담갔다가 구워 말린 다음 가루를 내어 먹거나 알약을 만들어 먹어도 다 좋다.   

○ 뱀의 허물이 벗어질 때에는 주둥이에서부터 벗어지면서 눈알까지 벗어지므로 이것이 예막(
膜)을 없애준다는 것은 이러한 뜻을 취한 것이다.[본초]. [동의보감(東醫寶鑑)]

4,
어린이의 120종의 경간(驚癎)

사태(蛇蛻, 뱀허물)   

어린이의 120종의 경간(驚癎)을 치료한다. 뱀허물을 태운 가루를 먹인다.   

○ 몸에 생긴 여러 가지 헌데에는 뱀허물을 태워 가루를 낸 다음 돼지기름에 개어 붙인다[본초]. [동의보감(
東醫寶鑑)]

5,
후폐(喉閉: 목구멍이 부어 막혀서 숨쉬기 불편한 것)

사태(蛇蛻, 뱀허물)   

후폐(喉閉)
증을 치료한다. 태워서 가루를 내어 목 안에 불어넣는다.    

[註]
후폐(喉閉): 목구멍이 부어 막혀서 숨쉬기 불편한 것.   

○ 전후풍(纏喉風)으로 숨을 잘 쉬지 못하는 데는 뱀허물(누렇게 구운 것)과 당귀를 같은 양으로 하여 쓰는데 가루를 내서 한번에 4g씩 술에 타 먹으면 낫는다[본초]. [동의보감(
東醫寶鑑)]

6, 긴순(緊唇)과 볼 안쪽, 입천장이 허는 것과 잇몸이 부은 것


사태(蛇蛻, 뱀허물)   

긴순(緊唇)과 볼 안쪽, 입천장이 허는 것과 잇몸이 부은 것을 치료하는데 태워 가루를 내서 먼저 입 안을 씻어 낸 다음 바른다[본초]. [동의보감(
東醫寶鑑)]

7, 백전풍(白
風), 백철(白img1.jpg), 역양풍(癧瘍風)

사태(蛇蛻, 뱀허물)

백전풍, 백철, 역양풍을 치료한다. 뱀허물을 구워 가루를 낸 다음 식초로 개어 바른다. 뱀허물을 달인 물로 바르기도 한다[본초]. [동의보감(
東醫寶鑑)]   

8, 학질(
瘧疾)

사태(蛇蛻, 뱀허물)   

학질을 치료한다. 발작할 날에 뱀허물을 취하여 양쪽 귓구멍을 막아준다. 또한 손에 조금 쥐고 있으면 좋다[본초]. [동의보감(
東醫寶鑑)]

9, 악창(
惡瘡)
○ 악창이 오랫동안 낫지 않는 데는 뱀허물(사태)을 태워 가루내서 돼지기름에 개어 붙인다[본초]. [동의보감(
東醫寶鑑)]

○ 
사퇴(蛇退)

악창(惡瘡)이 오랫동안 낫지 않는 것을 치료한다. 사퇴(蛇退)를 태워 가루내어 돼지기름에 개어서 붙이면 신기한 효과가 있다. [의방신감(醫方新鑑)]


10, 마마를 앓은 뒤에 생기는 두후예막(痘後
膜)

강국산(羌菊散)   

마마를 앓은 뒤에 예막이 생겨서 아프며 눈이 부셔뜨지 못하는 것을 치료한다.   

강호리(강활), 매미허물(선각), 뱀허물(사태), 방풍, 단국화(감국), 곡정초, 속새(목적), 산치자, 남가새열매(백질려), 대황, 황련, 감초 각각 같은 양.

위의 약들을 가루를 내어 한번에 4g씩 쌀 씻은 맑은 물에 타 먹인다[득효]. [동의보감(
東醫寶鑑)]

11, 예막(
膜)

도인개장산(道人開障散)   

여러 가지 내장과 예막을 치료한다.   

뱀허물(사태, 씻어서 약한 불기운에 말린 것), 매미허물(선퇴), 황련 각각 20g, 감초 8g, 녹두껍질(녹두피) 40g.   

위의 약들을 거칠게 가루를 내어 한번에 8g씩 물에 달여 끼니 뒤에 먹는다[직지]. [동의보감(
東醫寶鑑)]

12, 음부가 부은 것, 음부가 가려운 것, 음부가 헌 것, 음부가 찬 것, 성생활을 하면 피가 나오는 것(
음종음양음창음냉교접출혈=陰腫陰痒陰瘡陰冷交接出血)  

○ 음부에 하감창(下疳瘡)이 생기는 것은 월경 후에 이내 성생활을 하여 탁기(濁氣)가 음도(陰道)에 잠복되었기 때문이다. 이렇게 생긴 감창은 남자의 투정창(妬精瘡)과 비슷하다. 이런 데는 황단, 백반(구운 것), 마디풀(앥蓄), 고본 각각 40g, 유황, 뱀도랏열매(사상자), 형개 각각 20g,
뱀허물(사태) 1개(불에 태운다) 등 약들을 가루내서 쓰는데 따로 형개와 뱀도랏열매(사상자)를 넣고 달인 물을 따뜻하게 하여 씻은 다음 마른 것으로 닦고 참기름에 위의 약가루를 개어 바른다[득효]. [동의보감(
東醫寶鑑)]

13, 젖을 잘 나오게 하는 것(하유즙=下乳汁)


기운이 막혀서 젖이 적으면 누로산을 쓰고 기운이 몰려서 젖이 적으면 용천산을 쓴다[입문].   

누로산(漏蘆散)   

젖이 몰리고 막혀서 잘 나오지 않고 젖몸이 붓고 아프면서 옹종(癰腫)이 되려고 할 때에 이 약을 먹으면 저절로 사그라진다.   

뻐꾹채(漏蘆) 10g,
뱀허물(사태, 태운 것) 1개, 하늘타리(瓜蔞) 1개.   

위의 약들을 가루를 내어 한번에 8g씩 술에 타서 아무 때나 먹고 나서 더운 국을 먹는다. 만일 젖이 많으면서 몹시 아프면 뜨거운 천으로 찜질한다[양방]. [동의보감(
東醫寶鑑)]

누로산(漏蘆散)

누로(漏蘆: 뻐꾹채) 10g,
사퇴(蛇退)(燒存性: 태운것), 택고(澤姑: 하늘타리 열매) 각 1개.

위의 약을 가루내어 한번에 8g씩 하루 2∼3번 술에 타서 식간(食間)에 먹는다.

이 처방은 열(熱)을 내리고 젖을 잘 나오게 한다.
기울(氣鬱)로 유즙(乳汁)이 적게 나오고 유방(乳房)이 아프며 멍울이 지는 데 쓴다. [동의치료경험집성]


14, 침음창(浸淫瘡)


※ 침음창이란 처음에는 조그마한 헌데가 나서 먼저 가렵고 다음에는 아프며 진물이 흐르고 점차 퍼지며 살이 진물면서 온몸에 퍼지는 것을 말한다. 멀구슬나무뿌리(고련근)를 약성이 남게 태워 가루내서 돼지기름에 개어 붙이는데 진물이 나오면 약가루를 마른 채로 뿌린다. 그런데 먼저 너삼(고삼)과 빈랑껍질을 달인 물로 씻고 뿌려야 한다[입문].   

○ 침음창이 입에서부터 시작하여 팔다리로 퍼지는 것은 치료할 수 있고 팔다리에서 시작하여 입으로 퍼져 올라가는 것은 치료하기 어렵다[중경].   

○ 어린이의 침음창에는 고호산을 쓰는 것이 좋다[강목].   

고호산(苦瓠散)    

고호(조롱박) 80g,
뱀허물(사태, 태운 것), 노봉방(약간 닦은 것) 각각 20g.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기름에 개서 천에 발라 붙인다[강목]. [동의보감(
東醫寶鑑)]   

15, 탈저정(脫疽
)   

『내경』에 “평소 기름진 음식을 지나치게 먹으면 발에 큰 정창(
瘡)이 생긴다”고 씌어 있다. 대개 기름진 음식과 주색으로 말미암아 나쁜 독기가 몰리고 뭉쳤을 때나 소갈을 오래 앓은 뒤에 흔히 이런 헌데가 생긴다. 『영추경』에 “발의 옆에 난 헌데를 여저(疽)라고 하고 발가락에 난 헌데를 탈저(脫疽)라고 하는데 그 생김새가 검붉은 것은 치료하기 어렵다. 치료하여도 낫지 않으면 빨리 잘라버려야 하지 그렇지 않으면 죽울 수 있다”고 한 것이 바로 이것을 두고 한 말이다. 탈저라는 것은 발가락마디가 헤어지고 썩어서 떨어져 나간다는 말이다[입문].  

또 한 가지 처방    
정저로 위독해진 것을 치료하는데 두번만 먹으면 곧 낫는다. 경한 것은 한번만 먹어도 낫는다.   

토봉방 1개,
뱀허물(사태, 온전한 것) 1개.   

위의 약들을 그릇에 담고 진흙으로 잘 싸발라서 불에 달구는데 약성이 남게 달군다. 이것을 보드랍게 가루내어 한번에 4g씩 빈속에 좋은 술에 타 먹는다. 그러면 조금 있다가 뱃속이 몹시 아프다. 그러다가 아픔이 멎으면 헌데에서 누런 물이 나온다. 이때에 곧 오성탕을 먹어야 한다[서죽]. [동의보감(
東醫寶鑑)]

16, 투침(偸鍼)  

눈초리[목제=目眥]에 종기가 생긴 것을 민간에서는 투침이라고 한다[강목].  

○ 눈초리에 작은 물집이 생겼는데, 미세한 붉은 점이 헌데와 같은 경우 침으로 터뜨리면 곧 낫기 때문에 '투침'이라고 한다. 이것은 실제로 태양경(太陽經)에 맺힌 열을 풀어 주는 것이다[의림].    

신선퇴운환(神仙退雲丸)   

일명 발운퇴예환(撥雲退싄丸)이라고도 한다. 일체 예막(
膜)과 내장(內障), 외장(外障)으로 눈이 침침하고 눈동자가 안보일 경우를 치료하는데, 이를 복용하고 누차 효과를 본 참으로 좋은 처방이다.   

당귀(술에 씻은 것) 60g, 궁궁이(천궁), 속새(목적, 마디를 버리고 동변에 담갔다가 약한 불기운에 말린 것), 밀몽화, 형개수, 지골피, 남가새열매(백질려), 단국화(감국), 강호리(강활) 각각 40g, 조피열매(산초, 닦은 것) 30g, 하늘타리뿌리(과루근), 지실, 순비기열매(만형자), 박하, 결명씨(결명자, 닦은 것), 감초(닦은 것) 각각 20g,
뱀허물(사태), 매미허물(선태), 황련 각각 12g.   

위의 약들을 가루를 내어 꿀에 반죽해서 40g으로 10알을 만들어 한번에 1알씩 찻물이나 끓인 물에 풀어 먹는다[정전]. [동의보감(
東醫寶鑑)]  

17, 풍으로 머리가 흔들리는 것[풍두선=風頭旋]


풍(風)으로 머리가 흔들리는 것은 별로 아프지도 않고 자기도 알지 못하게 머리가 늘 저절로 흔들리는 것이다.   

○ 간풍(肝風)이 심하면 머리가 흔들린다[강목].   

○ 치료하는 방법은 두풍증 때와 같다.   

○ 어떤 어린이가 7년 동안이나 머리를 흔들고 3년 동안이나 하혈(下血)을 계속하여 여러 가지 처방으로 치료하였으나 효과가 없었다. 그리하여 나는 간에 혈액이 성하고 밖으로부터 풍열이 침범했기 때문이라고 생각하였다. 즉 간(肝)은 목(木)에 속하는데 목이 지나치게 성하면 비토(脾土)가 간목의 억제를 받게 된다. 그런데 비(脾)와 폐(肺)는 모자관계이므로 이것들이 다 간의 억제를 받게 되어 대변으로 피가 계속 나오는 것이라고 인정하였다. 그리하여 간을 억제하고 풍을 몰아내며 비를 보하는 약 몇 첩을 먹였는데 한 10일이 지나서 대변으로 피가 나오던 것은 멎고 흰고름이 나오다가 병이 나았다.   

○ 방풍 120g, 하늘타리뿌리(과루근), 황기(꿀물에 축여 볶은 것), 강호리(강활), 집함박꽃뿌리(백작약) 각각 20g, 서각(가루낸 것), 감초 각각 10g.
뱀허물(사태, 빨갛게 구운 것), 조구등씨(釣藤鉤子), 마황 각각 4g 등 위의 약들을 가루를 내어 대추살에 반죽한 다음 벽오동씨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50-70알씩 박하를 달인 물로 끼니 뒤에 먹는데 두번만 먹으면 머리가 흔들리는 것과 대변으로 피가 나오는 것이 낫는다[강목]. [동의보감(
東醫寶鑑)]

18, 소아의 풍간경열(風癎驚熱)

뱀허물 3치를 구운 것과 묘엽(苗葉)을 제거하고 썰어 저민 세신(細辛), 썰어 저민 구등(鉤藤), 자감초(炙甘草)를 각각 0.5냥, 3회 찌고 썰어 저며서 구운 대황(大黃) 1냥, 굽고 날개, 머리, 발을 떼어 버린 책선(
蚱蟬: 말매미) 4마리를 거칠 게 찧어서 체로 친다. 한 첩에 1돈을 물 적당량으로 절반이 되게 달여서 찌꺼기를 제거하여 우황(牛黃)을 조금 넣고 고루 저어서 식후에 온복한다. [성체총록(聖濟總錄), 사퇴탕(蛇蛻湯)]

19, 전후풍[
纏喉風: 인두(咽頭) 및 하함(下), 림프선염종(腺炎腫), 갑상선(甲狀腺) 및 경(頸)림프선염종(腺炎腫), 인후가 죄이는 것 같은 느낌이 있는 증상, 기(氣)가 통하지 않는 증상
노랗게 구운 뱀허물, 당귀(當歸) 각각 같은 양을 가루내어 더운 술로 1전비(錢匕:
중국 고대 한나라에서 약물을 계량하던 구리로 만든 동전으로 떠낸 분량이다. 1전비는 지금의 약 2g에 해당한다.)를 조합해서 복용한 후에 구토하면 치유된다. [의준(醫準)]

20, 소아의 인후마비에 의해 부어서 아픈 증상

뱀허물을 구워서 가루내어 유즙으로 1돈 복용한다. [식의심경(食醫心經)]

21, 소아의 토혈 및 중설(重舌)

구운 뱀허물을 가루내어 인유(人乳)로 복용한다. [천금방(千金方)]

22, 소아의 중구개(重口蓋) 중단(重斷)에 의하여 부어서 아픈 증상, 입안에서 군침이 나오는 증상

뱀허물을 구워서 재로 만들어 곱게 갈아 조금만 복용한다. [태평성혜방(太平聖惠方)]

23, 소아의 구창

뱀허물을 물에 담가 연하게 해서 입안의 창(瘡)을 닦는다. [성제총록(聖濟總錄)]

24, 백내장

뱀허물 1구(具)를 빙편(氷片) 2푼, 은주(銀朱) 1푼을 쓰는 데, 먼저 뱀허물을 약성이 남을 정도로 구워서 기타의 약물과 함께 갈아서 미세한 분말로 만든다. 1일에 3회, 1회에 조금씩 눈에 넣는다. [내몽고(內蒙古), 중초약신의료법자료선편(中草藥新醫療法資料選編)]

25, 두독(痘毒)에 의한 목예(目
)
뱀허물의 분말 2돈, 짓찧은 과루인(瓜蔞仁) 5돈, 양(羊)의 간(肝) 1조각을 잘라 내어, 그 안에 약의 분말 2돈을 넣고 실로 단단히 동여 매어서 쌀뜨물로 푹 달여 때때로 소아에게 복용시킨다. [소아두진방론(小兒痘疹方論), 사태산(蛇蛻散)]

26, 반진입안(斑疹入眼: 눈에 생긴 반창:斑瘡), 예막만정성주자(
膜慢睛成珠子: 진주알처럼 된 각막 혼탁)
마발(馬勃) 1냥, 조협자(皂
子) 27개, 뱀허물 1구(具) 등을 작은 단지에 넣고 진흙으로 봉하여 연기가 나지 않게 약성이 남을 정도로 구워서 가루내어, 1돈을 따뜻한 물로 복용한다. [소아반진비급방론(小兒斑疹備急方論)]

27, 화농(化膿)이 미숙한 옹저

뱀허물을 재가 될 때까지 굽고 미세한 분말로 하여 식초로 개어 종양(腫瘍)에 바른다. 마르면 갈아 바른다. 뱀허물만을 붙여도 된다. [성제총록(聖濟總錄)]

28, 취내동종(吹
疼腫)
뱀허물 1자 7촌을 검게 될 때까지 굽고 미세한 분말로 하여 양질의 술 1잔으로 약간 데워서 돈복한다. 그다지 효과가 없을 때는 다시 복용한다. [산유집험방(産乳集驗方)]

29, 정창(
瘡)
① 계란 크기의 뱀허물을 물 4되로 3~4회 비등시켜 달여서 찌꺼기를 버리고 돈복한다. [천금방(千金方)]

② 구운 뱀허물의 재를 계란 흰자위에 섞어서 바른다. [천금방(千金方)]

30, 정창(
瘡)
하얀 뱀허물 1.5냥, 노봉방(말벌집) 0.5냥, 헝클어진 머리카락을 계란만큼(소아의 머리카락이 더 좋음)준비해 작두로 썰어 다리미 안에서 재가 되게 구워 미세한 분말로 만들어 산제로 해서 1회에 2돈(전비=錢匕)씩 공복에 미음으로 복용하고 이불을 덮어 땀을 내고 다시 한 번 복용한다. [성제총록(聖濟總錄), 사태산(蛇蛻散)]

31, 나력(癩
)이 궤란(潰爛)된 후
밀봉(蜜蜂) 21마리, 뱀허물 7.5푼, 오공(蜈蚣: 지네) 2마리(단오, 음력 5월 5일 전에 채집한 것이 좋다) 향유(香油) 4냥에 앞의 3가지를 넣고 볶아 찌꺼기를 버리고 정분(定粉) 2냥을 넣어, 젓가락 굵기의 뽕나무가지 7개로 신속하게 식혀서 화기(火氣)를 빼고 7일 째 되는 밤에 용지에 펴서 환부에 붙인다. [의종금감(醫宗金鑑), 사태고(蛇蛻膏)]

32, 중이염(
中耳炎: 중이의 염증)
뱀허물 97%, 작은 지주(蜘蛛: 거미) 2%, 빙편(氷片) 1%를 함께 갈아서 미세한 분말로 하여 병 속에 저장한다. 먼저 귓속의 농액을 깨끗이 닦아내고 1일에 1회씩 약가루를 불어 넣는다. [광서(廣西), 중초약신의료법처방집(中草藥新醫療法處方集)]

33, 유방의 종창(腫瘡) 및 동통(疼痛)

뱀허물, 녹각, 노봉방의 각 3돈을 약성이 남을 정도로 굽고 갈아서 미세한 분말로 한다. 1일에 2회, 1회에 1돈을 황주(黃酒)로 충복한다. [길림중초약(吉林中草藥)]

34, 화농성 창(瘡)으로 피나 물이 나오면서 멈추지 않는 증상

구워 태운 뱀허물, 오배자(五倍子), 용골(龍骨)을 각각 1.5돈, 속단(續斷) 5돈을 가루내어 사향(麝香)을 조금 넣고 타액(唾液: 입속의 침)으로 개어서 바른다. [단계심법(단계심법), 사태산(蛇蛻散)]

35, 선창(癬瘡)

구운 뱀허물 1구(具)를 술로 복용한다. [천금방(千金方)]

36, 소변불통

뱀허물 1구(具)를 약성이 남을 정도로 구워서 갈아 더운 술로 복용한다. [본초강목(本草綱目)]

37, 유미뇨(
乳糜尿=chyluria: 오줌에 유미 또는 지방구(脂肪球)가 혼합된 상태)
뱀허물 1자를 기왓장 위에서 볶아 건조 시킨 것을 갈아, 미세한 분말로 한다. 홍당(紅糖) 적당량을 가하여, 1일 한 첩씩 충복한다. [서주(徐州), 단방험방신의료법선편(單方驗方新醫療法選編)]

38, 요충

노랗게 구운 뱀허물 2돈, 빙편(氷片) 1푼을 함께 갈아서 미세한 분말로 하여, 취침 전에 항문에 바른다. [길림중초약(吉林中草藥)]

39, 소아 뇌수종

푹 끓인 뱀허물을 가루내어 돼지 악골과 잘 섞어서 1일에 3~4회 머리의 정수리 부분에 바른다. [천금방(千金方)]

40, 뇌낭미충병(腦囊尾蟲病: 뇌포충증=腦胞蟲症)
(임상보고)
뱀허물을 갈아서 미세한 분말로 하여 끓는 물로 1회에 2돈씩 1일 2회 복용한다. 동시에 대극탕(大戟湯: 빈랑(
檳榔) 2냥, 대극(大戟) 2돈, 목과(木瓜) 6돈, 구등(鉤藤) 4돈, 현훈(眩暈)이 있는 자에게는 국화(菊花) 4돈을 가하고 간염이 있는 자는 빈랑(檳榔)을 빼고 뇌환(雷丸) 6돈을 가하여 물 500ml를 붓고 달여서 150ml로 만들어, 1일 2회, 1회에 50ml를 복용하되 연속 30첩 정도 복용하면 좋다)을 복용한다. 10여년 간 1,000여 예를 관찰한 결과, 대다수는 투약 후, 3~4개월 이내에 효과가 나타났다. 뇌압박 증상(근육 경련, 실명, 실어, 두통 등)이 경감되고, 결졀이 감소되었거나 소실되었다. 약을 1년 이상 복용하면 증상이 완전히 소실될 수 있고 2년 이상 복용하면 더 좋은 효과를 얻게 된다. 그중 250례는 1년 이상 치료한 경우로 효과가 뚜렷한 것이 38례(15.2%), 효과가 있는 것이 160례(64%), 무효가 50례(20%), 사망 2례(0.8%)였다. [중약대사전(中藥大辭典)]

41, 유행성 이하선염
(임상보고)
뱀허물 2돈(성인 및 12세 이상의 아동은 용량을 배로 한다)을 깨끗이 씻고 잘 게 썰어 계란 2개를 넣고 뒤섞은 후 기름으로 볶아(소금을 가해도 된다) 1회에 복용한다. 90례의 환자 중, 5례가 2첩을 복용하였꼬 나머지는 모두 1첩만 복용하였는데 81%의 병례가 치료되어 2일 이내에 선종이 없어졌다. [중약대사전(中藥大辭典)]

42, 림프절 결핵
(임상보고)
잘 게 썬 뱀허물 3~6g, 계란 3개를 준비한다. 먼저 계란에 작은 구멍을 내어, 계란 흰자를 빼 내고 노른자만을 남긴다. 그 다음 계란 속에 뱀허물 1~2g을 넣고 종이에 풀을 발라 구멍을 막는다. 치료한 6례는 복용 후 70~90일만에 모두 치유되었다. [중약대사전(中藥大辭典)]

43, 맥립종(麥粒腫: 다래끼)
(임상보고)
완정(完整)된 뱀허물을 묵은 식초에 담갔다가 며칠 후 꺼내서 대략 5x8mm의 크기로 썰어 국부에 붙이고 그 위에 식초를 먹인 솜으로 덮고 고정시킨다. 24시간마다 1회씩 약을 바꾸어 붙이는데 완치될 때까지 계속한다. 1~3회의 치료를 거친 30례의 환자(30안=眼)에게 1~3회를 치료하였더니 27례가 치유되었다. 1년 동안의 추적 조사 결과 1례도 재발하지 않았다. [중약대사전(中藥大辭典)]

44, 중이염(
中耳炎: 중이의 염증)(임상보고)
뱀허물을 재가 될 때까지 굽고 미세한 분말로 하여 마유(麻油)로 배합한다. 사용할 때에는 먼저 과산화수소수로 환부를 깨끗이 씻고 닦아서 말린 후 면봉에 약을 묻혀서 매일 또는 하루 건너 1회씩 환부에 바른다. 치료한 21례에서 19례가 치유되었다. 또한 뱀허물, 봉와(蜂窩)의 각 3돈을 95%의 알코올 300ml에 담그고 7일 후에 여과하여, 1일에 3~4회씩 귀에 떨어뜨려 넣는다. 만성 화농성 중이염을 치료한 4례는 1주일 이내에 효과가 나타났다.

이 외에 뱀허물을 계란에 섞어 부쳐서 난병(卵餠: 계란으로 떡처럼 만든 것)을 만들어 내복하여 경옹(頸癰: 급성 경부 림프절염 등)을 치료하였는데 현저한 효과가 있었다. 뱀허물, 급성자(急性子)로 정제를 만들어 하루에 10정(1정 당 뱀허물 0.09돈, 급성자 0.045돈)을 30~45일간 연속 복용하면 마내사충병(馬來絲蟲病)에 대하여 단독의 발작을 방지하거나 발작 횟수를 감소시키며 증상을 경감시키는 작용이 있다. [중약대사전(中藥大辭典)]

중이염이란?


[출처: 두산백과사전]

중이의 염증을 말한다. 급성과 만성으로 대별된다. 항생물질이 개발되기까지는 합병증 때문에 귀의 질병으로서는 중요시되
었으나 현재는 합병증도 거의 없어졌으며, 급성 중이염보다는 만성 중이염이 중요시되고 있고, 기능회복을 위한 고실성형술(鼓室成形術) 등을 실시한다. [출처: 두산백과사전]

45,
횡산(橫産), 도산(倒産), 난산(難産)

순생사태산(順生蛇蛻散)

횡산(橫産), 도산(倒産), 난산(難産)에 쓰는데 사태(蛇蛻)로 만든 약(藥)이다.

사태(蛇蛻) 2마리분(全), 잠퇴지(蠶退紙) 1장.

위의 두 가지 약(藥)을 깨끗한 사기병에 넣은 다음 소금을 넣고 이긴 진흙으로 싸발라서 약성(藥性)이 남게 태운다. 다음 가루내어 유백피(楡白皮) 달인 물에 유향(乳香)을 넣고 달인 물로 먹는다(『득효방(得效方)』에는 "검은 사태(蛇蛻) 1개와 선퇴(蟬退) 14개, 혈여(血餘) 1줌을 함께 태워서 가루내어 2번에 나누어 데운 술에 타서 연이어 2번 먹고 반듯하게 누워 있든가 소견침법(小絹鍼法)을 쓴다"고 씌어 있다). [의림촬요(
醫林撮要)]

46,
아이를 빨리 낳게 하는 데

용태산(龍蛻散)

아이를 빨리 낳게 하는 데 좋은 약(藥)이다.

선퇴(蟬退)(燒存性) 40g, 사태(蛇蛻) 1개(큰 것으로 약성(藥性)이 남게 태운다), 활석(滑石) 20g, 동규자(冬葵子)(微炒) 40g.

위의 약(藥)들을 가루내어 한번에 4g씩 물에 타서 약간 데워 먹는다. 뜨거운 물로 먹어서는 안된다(『득효방(得效方)』 부인문(婦人門).

○ 『단계방(丹溪方)』에 난산(難産)에는 익모초(益母草)를 고약(膏藥)처럼 졸여서 끓인 물에 타 먹는다고 씌어 있다. 또한 향유(香油)나 꿀을 더 넣고 섞어서 먹어도 난산(難産)을 치료한다고 씌어 있다. [의림촬요(醫林撮要)]

47,
횡산(橫産), 역산(逆産)으로 아이를 힘들게 낳거나 뱃속에서 죽은 아이가 잘 나오지 않는 데

우선단(遇仙丹)

횡산(橫産), 역산(逆産)으로 아이를 힘들게 낳거나 뱃속에서 죽은 아이가 잘 나오지 않는 데 써서 좋은 효과를 본 처방(處方)이다.

피마자(去殼) 14알, 주사(朱砂), 석웅황(石雄黃) 각 6g, 사태(蛇蛻) 1개(燒).

위의 약(藥)들을 가루내어 신좁쌀죽물에 지은 밥에 반죽하여 달걀노른자위만하게 환약(丸藥)을 만든다. 쓸 때는 먼저 산초(山椒) 끓인 물로 배꼽아래를 몇 번 씻은 다음 약(藥) 1알을 배꼽에 놓고 밀먹인 종이[납지(蠟紙)]를 덮는다. 다음 그 위에 천으로 싸매고 얼마 동안 있으면 아이를 낳는데 이때에 빨리 약(藥)을 떼버려야 한다(『역로(易老)』). [의림촬요(醫林撮要)]

48, 소아경련
(小兒痙攣)
사퇴(蛇退)를 태워 가루내어 1.5∼2g씩 젖에 타서 먹인다. [동의치료경험집성]

49, 두부사상균증과 전풍(癲風)

사퇴(蛇退)를 태워서 가루내어 식초(食醋)에 개어 바른다. [동의치료경험집성]

50, 치은염(齒齦
)
사퇴(蛇退)를 보드랍게 가루내어 부은 잇몸에 자주 바른다. 그러면 곧 부은 잇몸이 가라앉으며 통증(痛症)이 멎는다. [동의치료경험집성()]

51, 다래끼

사퇴(蛇退)를 식초(食醋)에 5∼7일간 담가 두었다가 건져내어 5∼8㎜ 크기로 잘라 다래끼가 생긴 곳에 붙이고 그 위에 식초(食醋)에 적신 약솜을 덮어 고정해두었다가 24시간 지나서 뗀다. [동의치료경험집성(東醫治療經驗集成)]

[각가(各家)의 논술(論述)]


<신농본초경소(神農本草經疏)>:
"뱀허물은 간에 들어가서 벽오(
辟惡)한다. 소아의 경간, 계종, 간질의 악한 발열, 사간(蛇癎)의 농설요두(弄舌搖頭), 성인의 오사(五邪), 언어 장해는 모두 간경의 병이지만, 뱀허물은 다른 약을 이끌어 간에 들어가서 사기(邪氣)를 흩어지게 하기 때문에 상술한 병증 등을 치료한다. 살충을 잘하기 때문에 장치(腸痔), 충독, 악창을 치료한다. 사(邪)가 제거되면 간목(肝木)은 편안해지기 때문에 구토나 해수가 멎고 눈이 밝아진다."

동양에서 기록된 성서에 보면 뱀이 자주 나오는데, 뱀(serpent, snake)은 히브리어로, <나하시, 탄닌, 체파, 치프오니>이며, 그리스어로는 <오피스>이다.

뱀은 길고 비늘로 덮여 있으며 사지가 없는 파충류이다. 뱀은 배 또는 흉곽을 이용하여 움직이며, 머리가 지면에서 가깝기 때문에 혀를 날름거리는 것이 흙을 핥는 것처럼 보인다. (창 3:14) 이스라엘에는 30여 종의 뱀이 살고 있다.

히브리어 나하시는 모든 종류의 뱀 또는 뱀과 비슷한 동물을 가리키는 총칭하는데, 다시 말해 일반적인 명칭인 것 같으며, 종종 특정 종류의 뱀을 의미하는 다른 히브리어들과 함께 쓰인다. (시 58:4; 140:3; 잠 23:32) 그래서 단 지파는 처음에 그냥 “뱀[나하시]”에 비하여졌다가, 이어서 구체적으로, 길가에 있다가 이스라엘의 적들을 공격하는 “뿔뱀[셰피폰]”에 비하여졌다. (창 49:17) 이 히브리어 단어는 동일하게 총칭어인 그리스어 단어 오피스에 해당되는 단어이다. 오늘날 이스라엘에 사는 뱀들 중 다수는 독사가 아니지만, 성서에서 언급하는 뱀은 주로 위험하거나 독이 있는 뱀이다.

사전 편집자들은 히브리어 '체파'와 '치프오니'가 독사를 가리키는 것으로 이해한다. 히브리어 발음은 어쩌면 그런 뱀들에게 다가갈 때에 슛 하고 내는 소리를 나타내는 것일지도 모른다. 두 단어 모두 살무사의 변종을 가리킬 수 있지만, 정확히 어떤 종인지는 불확실하다. 「킹 제임스 성경」(영문)은 이사야 11:8과 14:29 및 59:5, 그리고 예레미야 8:17에서 이 단어들을 신화 속의 동물인 “코카트리케”를 가리키는 것으로 부정확하게 번역하였다.

모세의 지팡이가 뱀으로 변한 기록(출 7:9-13)에서는 히브리어 탄닌이 사용되었는데, 이 단어는 바다 괴물을 묘사하는 다른 성구들에 사용된 것에 비추어 볼 때 “큰뱀”을 가리키는 것 같다. (창 1:21; 욥 7:12; 시 74:13; 148:7; 사 27:1; 51:9) 이 단어가 독사를 가리키는 것이 분명한 성구들 가운데는 신명기 32:33과 시편 91:13이 있는데, 이 두 성구에서는 코브라가 함께 언급되어 있다. 유배 기간 이후의 예루살렘에 있던 샘 중에 하나는 “큰뱀의 샘”으로 알려졌다.—느 2:13.

뱀의 잘 알려진 특징들이 여러 성구에 언급되어 있으며, 그 가운데는 미끄러지듯 움직이는 것(욥 26:13), 무는 것과 돌담을 숨는 장소로 쓰는 것(전 10:8, 11; 암 5:19), 또한 조심성이 있는 것(창 3:1)이 있다. 예수께서는 제자들에게 이리 같은 반대자들 가운데 있을 때 어떻게 처신해야 할지 교훈하실 때에, 뱀의 조심성을 본보기로 사용하셨다.—마 10:16.

이와 같은 ‘조심성’에 대해 영국의 저명한 동물학자 H. W. 파커는 그의 저서 「뱀 박물지」(Snakes: A Natural History, 1977년, 49면)에서 이와 같이 설명한다. “최종 방어선에 접근해 왔을 때까지도, 처음 단계의 반격은 실제적인 것이기보다는 모의적인 것이다. 외견상 사납게 자주 돌진하지만, 목표물에 미치지 못하며 때때로 입조차 벌리고 있지 않다. 또한 이 단계에서 적이 후퇴하면, 신속히 물러나거나 도망할 준비를 하기 위해 슬그머니 똬리를 푸는 것도 드문 일이 아니다. 하지만 마침내 총력을 다한 공격을 해야 할 상황이 되면, 먹이를 잡을 때 대개 쓰는 방식을 취하기는 하지만 더 사납게 공격한다. 보통은 상대를 물은 다음 놓아주지만, 종에 따라서는 그냥 물고 있다가 그 공격자를 거듭해서 물거나 물어뜯기도 한다.”

비유적 용법으로 뱀은 여러 성구에서 비유적으로 사용된다. 악한 자의 거짓말은 뱀의 독액에 비유되고(시 58:3, 4), 악한 일을 꾸미는 자의 날카로운 혀는 뱀의 혀에 비유되며(시 140:3), 과도한 포도주는 뱀처럼 문다고 되어 있다. (잠 23:32) 여호와의 회복된 백성 가운데서 폭행과 상함이 없게 될 것이 ‘뱀이 흙을 먹이로 삼는 것’으로 예시되어 있다.—사 65:25.

뱀이라는 상징 표현은 블레셋(사 14:29)과 불충실한 유다(렘 8:17)와 이집트와 같은 특정한 나라들에 대한 하느님의 심판 선언에도 사용되었다. 이집트의 목소리는 뱀의 목소리에 비하여졌는데, 이것은 틀림없이 이집트가 패하여 슛 소리를 내며 퇴각하는 것이나 재난을 당하여서 국가의 발언권이 약해지는 것을 가리키는 말일 것이다. (렘 46:22) 이집트에 대한 언급은 뱀의 여신 우아치트의 보호의 표시로 머리쓰개의 앞면에 우라이우스 곧 신성한 뱀의 표상을 착용하는 이집트 파라오들의 관행이 헛되다는 것을 폭로하려는 표현일 수도 있다. 미가 7:17에서는 하느님의 백성을 반대하는 모든 나라들이 “뱀처럼 흙먼지를 핥”지 않을 수 없게 될 것이라고 예언한다.—또한 암 9:3 참조.

예레미야 51:34에서 시온에 거주하는 여자는 느부갓네살(네부카드네자르) 왕을 자신을 삼킨 “큰뱀”에 비하였다.

사탄 마귀 계시록 12:9과 20:2에서는 하느님의 주된 반대자인 사탄을 “원래의 뱀”이라 부르는데, 이는 분명 사탄이 에덴에서 여자와 의사소통을 하는 수단으로 문자적인 뱀을 사용하였기 때문일 것이다. (창 3:1-15) 또한 “원래의 뱀”인 사탄은 영적인 의미로 다른 반대자들의 조상이므로, 예수께서는 그와 같은 자들을 ‘뱀들, 독사의 자식들’로 분류하셨다.—마 23:33. 요 8:44; 요첫 3:12 비교.

거짓 종교에서 뱀은 이교에서 자주 사용되는 상징이었으며 종종 숭배의 대상이 되기도 하였다. (2권, 530면 사진) 메소포타미아, 가나안, 이집트에서는 뱀이 다산과 성의 여신의 상징이었다. 서로 얽혀 있는 두 마리의 뱀은 성적 결합을 통한 번식력을 의미하는 데 사용되었으며, 뱀은 거듭해서 허물을 벗기 때문에 지속적인 생명의 상징으로 사용되었다.

히스기야 왕은, 모세 시대에 광야에서 독사가 공격하였을 때에 사용된 구리 뱀을 산산이 부서뜨림으로, 자신의 신민들 가운데서 그 어떤 형태의 뱀 숭배도 근절시키기 위한 조처를 취하였다.—민 21:6-9; 왕둘 18:4.

성경에서 말하는 뱀의 좋은 특성이라면 '조심성이 있다.'라는 뜻이며, 나쁜 의미로는 조물주를 배반한 사탄 마귀를 상징하는 것으로 되어 있다.

동양의 아시아권 즉 한국, 중국, 일본에서는 뱀이 상서로운 동물로 그리고 뱀이 오래묵으면 용이 된다는 전설과 함께 신격화되어 있다.

지구상에 조물주는 온갖 동식물들을 이 땅에 만들어 놓고 사람의 눈을 즐겁게 하기 위해 볼거리를 수 없이 제공해주었다는 것을 볼 수 있다.

참으로 사람의 귀와 눈을 즐겁게 만들어 준 독특한 조물주의 지혜가 담겨 있다는 것을 믿어 의심치 않는다.

상기 자료는 약초연구가로서 우리땅에 존재하는 천연물질의 우수성을 널리 알리고 질병으로 고통을 겪고 있는 환우들에게 희망을 주며 신약을 개발하는데 통찰력을 갖게하고 약초를 사랑하는 모든 사람에게 정보의 목적으로 공개하는 것임을 밝혀 둔다.  

(글/
약초연구가 & 동아대 & 신라대 대체의학 외래교수 전동명)

뱀허물 사진 감상: 1, 2, 네이버+구글+야후+일본구글+대만구글: 1, 2, 3, 4, 5,

참조: 매미허물(선퇴) 무엇인가? 

문의 및 연락처: 010-2545-0777 ; 051-464-0307

홈주소: http://jdm0777.com

페이스북 주소: http://www.facebook.com/jdmsanyacho

이메일:
jdm0777@naver.com

참조: 아래의 뱀의 종류를 마우스로 클릭하면 좀더 상세한 자료를 볼 수 있습니다.

 

 

  1. 구렁이 무엇인가?
  2. 누룩뱀 무엇인가?
  3. 능구렁이 무엇인가?
  4. 무자치(수사) 무엇인가?
  5. 바다뱀(해사) 무엇인가?
  6. 백사(순백사, 홍백사, 황백사, 설상사) 무엇인가?
  7. 뱀 무엇인가?
  8. 뱀술(사주) 무엇인가?
  9. 뱀허물 무엇인가?
  10. 살모사 무엇인가?
  11. 살모사독 무엇인가?
  12. 유혈목이 무엇인가?
  13. 코브라독(안경뱀독) 무엇인가?
  14. 파충류의 세계 - 뱀의 신비

 

 

※ 아래에 jdm 필자가 찍은 뱀허물 사진도 참조해 보시고 조물주의 경이로움에 감동되시기를 바랍니다~~~^.^

 

 

홈페이지 주소 : http://jdm0777.com 클릭하시면 홈으로 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