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북이(남생이) 무엇인가?

물과 육지에 걸쳐서 사는 담수성 거북

 

 

 

 

 

 

 

 

 

 

 

 

[거북이(남생이)의 다양한 모습, 사진출처: 일본/대만/한국 구글 이미지 검색]

자음잠양, 보신건위, 신음부족, 골증노열, 구수유정, 붕루대하, 골위, 소아신문불합, 적백대하, 징가, 학질, 5가지 치질, 음식창, 습비로 다리가 늘어지고 약해진 것, 노복, 음이 허한데, 식적으로 열이 나는 것, 뼈가 이어지게하는데, 어혈을 몰아내는데, 혈증으로 마비된 것, 습장, 풍비로 다리를 잘 쓰지 못하는 것, 귀 먹었을 때, 토혈, 뉵혈(코피)을 다스리는 거북이(남생이)

거북이(남생이)는 거북목 늪거북과의 파충류이다. 대부분 무리지어 살며 보통 늪, 호수, 하천에서 서식한다. 물과 육지에 걸쳐 생활하는 담수성 거북이다.

남생이의 학명은 <Chinemys reevesii (Gray)>이다. 등딱지 길이는 2025cm이며 30cm에 이르는 것도 있다. 단단한 등딱지는 진한 갈색인데, 가장자리가 매끄럽고 앞끝이 둥글게 패어 있으며, 뒤끝은 깊게 패어 있다. 각 딱지에는 누런 녹색 테두리가 쳐져 있고, 드물게 희미한 검정무늬가 있다. 등 가운데 선의 융기는 낮으며 검정색이다. 배딱지는 등딱지와 길이가 거의 같다. 머리 뒤쪽은 잔비늘로 덮여 있고, 옆면 가장자리에는 노란색의 불규칙한 세로줄이 여러 개 나 있다. 네 다리는 넓은 비늘로 덮여 있다.

겨울이 되면 진흙 속에서 월동하였다가 6~8월경에 물가 모래나 부드러운 흙 속에 구멍을 파서 515개의 알을 낳는다. 파놓은 구멍에 자신의 배설물을 뿌려 단단하게 만든다. 알은 약 2개월 정도가 지나면 부화한다.

성질은 온순하고 길들이기 쉽지만 겨드랑이 밑에서 악취가 난다. 생명력이 매우 강하기 때문에 웬만한 상처를 입어도 생명에 지장이 없을 정도이다. 식성은 잡식성으로 물고기, 갑각류, 수생식물 따위를 먹는다. 사육할 때는 빵이나 지렁이도 잘 먹는다. 민간이나 한방에서는 자양, 강장, 보신 등에 효능이 있다고 알려져 약으로 이용하는데, 배딱지를 말려서 달여 먹거나 알 또는 가루로 만들어 복용하기도 한다.

한국, 일본, 중국, 타이완 등지에 분포한다. 한국의 경우 제주도를 제외한 전역에 분포한다. 2005317일 천연기념물 제453호로 지정되었고, 2012531일 멸종위기야생생물 2급으로 지정되어 보호받고 있다.

<
거북>은 파충강 거북목 동물의 총칭이다. 지구상에 서식하는 파충류 중 가장 오래 전부터 존재해온 동물 중 하나로 평가되며, 가장 오래된 화석종으로는 중생대 트라이아스기 이후의 지층에서 발견되었다. 이들 화석종은 현존하는 거북류와 별 차이가 없으나 거북의 진화 과정은 아직 밝혀진 것이 없다.

거북의 조상으로 보이는 에우노토사우루스(Eunotosaurus)는 늑골이 편평하고 둥그스름하게 몸을 둘러싸고 있다. 현재 지구상에 생존하는 것은 12240여 종이 알려졌으며 한국에서는 바다거북과의 바다거북, 장수거북과의 장수거북, 남생이과의 남생이, 자라과의 자라 등 4종이 알려져 있다.

거북류는 특수한 피부와 등딱지 및 배딱지를 가지는 점에서 다른 파충류(·악어 등)와는 구별된다. 일부 바다거북류를 제외하고 현존하는 거북의 대다수는 강이나 못·늪 등의 물과 습지에 살면서 육지 생활도 하는 수륙 양서(兩棲)의 습성을 갖고 있는데, 이 서식 상태는 23천만 년을 살아온 거북의 대표적인 모습이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거북의 종류로는 1-갈라파고스땅거북, 2-검정늪거북, 3-늑대거북, 4-대모거북, 5-돼지코강거북, 6-등갑가시거북, 7-마다가스카르방사상거북, 8-마타마타거북, 9-바다거북, 10-붉은귀거북, 11-붉은다리거북, 12-붉은바다거북, 13-아프리카가시거북, 14-악어거북, 15-알다브라코끼리거북, 16-엘더브라큰거북, 17-자라, 18-장수거북, 19-헛가시거북 등이 있다.

거북이 즉 남생이의 여러 가지 이름은
오귀[烏龜=wū guī=꾸이: 태평성혜방(太平聖惠方)], [龜: 주례(周禮], 수귀[水龜: 이아(爾雅)], 원서[元緖: 최표(崔豹), 고금주(古今注)], 금구[金龜: 중약대사전(中藥大辭典)], 중화초귀[中華草龜=zhōng huá cǎo guī=후아차오V꾸이, 금선구:金線龜, 묵구:墨龜, 니구:泥龜, 산구:山龜, 취청구:臭青龜, 장수구:長壽龜, 팔괘구:八卦龜, 중화금구:中華金龜, 초구:草龜, 진주구:珍珠龜: 백도백과(百度百科), 유기백과(維基百科)], 쿠사가메[クサガメ=草亀, 취구:臭亀, -부스쿠사가메:リーブスクサガメ, 킨센가메:キンセンガメ, 제니가메:ゼニガメ=幼体: 일문명(日文名)], 북이, 남생이 등으로 부른다.

거북이
등딱지의 여러 가지 이름은 귀판[
板, 패장:敗將, 패귀판:敗板: 일화자제가본초(日華子諸家本草)], 귀갑[甲, 신옥:神屋: 신농본초경(神農本草經)], 귀각[龜殼: 회남자(淮南子)], 패귀갑[敗龜甲: 소품방(小品方)], 귀통[龜筒: 본초연의(本草衍義)], 귀복갑[龜腹甲: 의림찬요(醫林纂要)], 귀저갑[龜底甲: 약품화의(藥品化義)], 귀하갑[龜下甲: 주진형(朱震亨)], 원무판[元武板, 타니판:拖泥板: 약재학(藥材學)]등으로 부른다.

거북이
고기의 다른 이름은 귀육[
肉: 명의별록(名醫別錄)]이라고 부른다.

거북이
혈액의 다른 이름은 귀혈[
龜血: 약성론(藥性論)]이라고 부른다.

거북이
쓸개즙의 다른 이름은 귀담즙[龜膽汁: 본초강목(
本草綱目)]이라고 부른다.

거북이 복부의 껍데기를 오랫동안 끓여서 만든
아교질의 여러 가지 이름은 귀판교[龜板膠: 임증지남의안(臨證指南醫案)], 귀판고[
板膏: 본초정(本草正)], 귀교[龜膠: 본초휘언(本草彙言)], 귀갑교[龜甲膠: 사천중약지(四川中藥誌)]등으로 부른다.

[성미]


<등딱지>


<본초강목>: "맛은 달며 성질은 평하고 독이 없다."

<고기>


1, <식료본초>: "약간 따뜻하다."

2, <본초강목>: "맛은 달며 성질은 평하고 독이 조금 있다."

<쓸개>


<본초강목>: "맛은 쓰며 성질은 차고 독이 있다."

[약효(藥效)와 주치(主治)]


<등딱지>


1, <본초습유>: "효능은 자라의 별갑(
鼈甲)과 같으며 구워서 술에 담가 나력을 치료하고 기생충을 구제하며 풍(風)을 구축하고 악창(惡瘡), 치루(痔瘻), 풍완개소(風頑疥瘙)를 치료한다."

2, <일화자제가본초>: "오장의 사기(邪氣)를 치료하고 모든 충독, 악독을 제거하며 근골을 이어준다."

3, <본초도경>: "부인(婦人)의 혈열(血熱)을 치료한다."

<고기>


1, <도홍경>: "보(補)하는 효능이 있다."

2, <식료본초>: "오장의 사기(邪氣)를 위주로 모든 충독을 제거하고 약독을 제거하며 근육을 결합시킨다."

3, <본초습유>: "습기를 다스린다."

<쓸개>


<본초강목>: "후비(喉痺)를 치료한다. 생강(
生薑), 박하즙(薄荷汁)으로 조금 용해하여 복용한 후 토한다."

<지방>


<장정(張鼎)>: "마풍(摩風)과 악창(惡瘡)을 치료한다."

[자라의 용법과 용량]


<등딱지>


<중약대사전>: "내복: 3~8돈을 달이거나 고약처럼 졸이거나 환을 짓거나 가루내어 복용한다.

외용: 가루를 살포하거나 개어 붙인다."

<고기>


<중약대사전>: "내복: 끓여 먹거나 환을 지어 복용한다."

<등딱지 아교즙>


<중약대사전>: "내복: 끓인물 혹은 황주(黃酒)에 녹여서 1~3돈씩 복용한다."

[자라의 배합(配合)과 금기(禁忌:
주의사항)]

<등딱지>


1, <중약대사전>: "비위양쇠(脾胃陽衰), 식감변당(食減便
)한 환자나 임신부는 신중히 고려하고 복용해야 한다."

2, <신농본초경집주>: "반석(礬石)을 쓰면 안 된다."

3, <약성론>: "이석(理石)을 꺼린다."

4, <신농본초경소>: "임신기에 쓰지 못하며 무릇 음허위약(陰虛胃弱), 음허설사(陰虛泄瀉), 산후 설사, 산후 소화 불량, 식욕 부진 및 구토 등의 증세가 있으면 모두 금기이다."

5, <본경봉원>: "간허무열(肝虛無熱)에 금기이다."

6, <득배본초>: "냉노징가(
冷勞癥瘕)한 사람은 먹지 않는 것이 좋고 혈조(血燥)에는 금기이다."

<고기>


1, <중약대사전>: "비위양허(脾胃陽虛)와 임신부는 금기이다."

2, <일용본초>: "
반석(礬石)과 상반한다."

3, <본초비요>: "
현채(莧菜), 계란을 꺼린다."

4, <본초종신>: "비허(脾虛)는 절대 금기이다."

5, <수식거음식보>: "임신부, 중허(中虛)하고 한습(寒濕)이 내부에서 성(盛)하는 증, 유행성 질환이 채 가시지 않은 경우에는 절대 금기이다."

6, <동의보감>: "
자라를 먹을 때에 비름()을 먹어서는 안 된다."

<등딱지 아교즙>


<중약대사전>: "비허(脾虛)로 인한 식사량 감퇴 증상이 있는 환자와 임신부는 금한다."

거북이(남생이)
의 효능에 대해서 허준의 <동의보감>에서는 다음과 같이 기록하고 있다.

[귀갑(龜甲: 남생이 등딱지)

성질이 평()하고 맛이 짜면서 달고[鹹] 독이 있다(독이 없다고도 한다). 적백대하를 치료하고 징가를 헤치며[破癥瘕] 학질과 5가지 치질, 음식창과 습비로 다리가 늘어지고 약해진 것을 치료한다[본초].

징가를 헤치고 대하를 멎게 하며 학질과 노복(勞復)을 치료한다[의감].

일명 신옥(神屋)이라고도 하는데 강과 호수에서 산다. 아무 때나 잡아서 써도 좋다. 누기가 차지 않게 해야 한다. 누기가 차면 독이 생긴다[본초].

남생이 배딱지는 산 채로 벗긴 것이 제일 좋은데 졸인 젖[]을 발라 굽거나 술에 담갔다가 구워서 쓴다[입문].

귀판(龜板)

성질과 맛을 남생이 등딱지와 같다.

등딱지는 귀갑이라고 하고 배딱지는 귀판이라고 한다. 이것은 다 음(陰)이 허(虛)하거나 식적(食積)으로 열이 나는 것을 치료한다[입문].

남생이 배딱지는 음을 보하고 뼈가 이어지게[] 하며 어혈을 몰아낸다[의감].

배 밑에 송곳으로 구멍 열 개를 뚫을 수 있는 것이 패구(敗龜)인데 혈증으로 마비된 것을 치료한다. 의학책에는 패구가 많이 씌어 있는데 이것은 송곳으로 지져서 구멍을 많이 뚫은 것을 쓴다는 말이다. 이것을 누천기(漏天機)라고 한다[본초].

남생이는 음()가운데서 음이 많은 동물인데 북쪽의 기운을 받아서 생긴 것이기 때문에 음을 세게 보한다[단심].

귀육(龜肉)

성질이 따뜻하고[] 맛이 시다[]. 습장(濕瘴), 풍비(風痺)로 다리를 잘 쓰지 못하는 것을 치료한다. 먹는 방법은 자라와 같다.

음력 12월에는 남생이의 고기를 먹지 말아야 한다. 먹으면 몸에 몹시 나쁘다. 대단히 신령스러운 동물이기 때문에 경솔하게 죽이지도 말아야 한다[본초].

귀뇨(龜尿)

이 오줌을 귀 먹었을[耳聾] 때에 귀 안에 넣으면 곧 낫는다.

남생이의 오줌을 구하기가 매우 어렵다. 남생이를 그릇에 담아 놓고 거울을 비쳐 주면 제 그림자를 보고 성욕이 생겨서 오줌을 싸게 된다. 또한 종이심지에 불을 달아 꽁무니에 쪼여 주어도 오줌을 눈다[본초].

남생이를 연잎 위에 놓고 돼지 갈기털[猪鬃]로 콧속을 찔러 주어도 오줌을 눈다[유취].

남생이 몸둥이의 아래위를 뜨겁게 해주면서 들고 흔들어도 오줌을 눈다[속방].

남생이를 연잎 위에 놓고 거울을 비쳐 주면 오줌을 누는데 다른 방법들은 다 이 방법만큼 빠르질 못하다[강목].]

남생이의 효능에 대해서 중국에서 펴낸 <중국본초도록> 32311469호에서는 다음과 같이 기록학 있다.

[오구(烏龜: 구판=龜板)

기원: 구과(龜科=늪거북과: Testudinidae)의 동물인 오구(烏龜=남생이: Chinemys reevesii (Gray))의 복갑(腹甲)이다.

형태: 몸은 편원형(扁圓形)이고 등배 모두 경갑(硬甲)을 가지고 있다. 주둥이 끝은 뾰족하고 둥글고, 턱은 이빨이 없이 각질(角質)의 부리를 이루며 목은 신축성이 좋다. 배면(背面)의 인갑(鱗甲)은 종갈색(棕褐色)이고 중앙에 5개의 척린갑(脊鱗甲)이 있으며 양측에 각각 4개의 늑린갑(肋鱗甲)이 있고, 연갑(緣甲)은 각 측에 11개가 있고 항갑(肛甲)2개이다. (腹面)은 인갑(鱗甲)12개이고 담황색(淡黃色)이다. 사지(四肢)는 편평하고 지간(指間) 및 지간(趾間)에는 물갈퀴가 있다.



분포: 대개 모여서 살고 하천, , 호수에 서식하며 육식성이다. 중국의 호북(湖北), 호남(湖南), 안휘(安徽), 강소(江蘇) 등에 분포한다.

채취 및 제법: 연중 잡을 수 있고 죽인 후에 근육(筋肉)을 제거하고 복갑(腹甲)을 취해서 깨끗이 씻고 햇볕에 말린다.

성분: 교질, 지방, 칼슘염.

기미: 맛은 짜면서 달고 성질은 평하다.

효능: 자음잠양(滋陰潛陽), 보신건위(補腎健骨).

주치: 신음부족(腎陰不足), 골증노열(骨蒸勞熱), 토혈(吐血), 뉵혈(衄血), 구수유정(久嗽遺精), 붕루대하(崩漏帶下), 골위(骨痿), 소아신문불합(小兒顖門不合) .

용량: 15~40g.

참고문헌: 중약대사전, 상권, 2348.]

중국에 자생하는 민물거북이의 한종류인 삼선폐각구의 효능에 대해서 중국에서 펴낸 <중국본초도록> 32311470호에서는 다음과 같이 기록하고 있다.

[삼선폐각구(三線閉殼龜)

기원: 구과(龜科=늪거북과: Testudinidae)의 동물인 삼선폐각구(三線閉殼龜: Coura trifasciata (Bell))의 전체(全體)이다.

형태: 두부(頭部)는 광택이 있으며 비늘이 없고 각막(殼膜)은 뚜렷하고 둥글다. 경각판(頸角板)은 좁고 길며, 추각판(椎角板)5개이고, 늑각판(肋角板)은 양측에 4개씩 있고, 연각판(緣角板)은 각 측에 11개씩이며, 둔각판(臀角板)은 너비보다 길이가 길고, 배각판(背角板)에는 3개의 종릉(縱稜)이 있다. 배갑(背甲)과 복갑(腹甲)은 길이가 같고 양측은 인대(靭帶)로 연결되어있다. 배면각(背面角)은 종색(棕色)이고, 배면(背面)은 흑색(黑色)이고, 변연각판(邊緣角板)은 황색(黃色)을 띤다.



분포: 산골짜기의 계류 사이에서 자라고 잡식성이다. 중국의 복건(福建), 광동(廣東), 해남도(海南島), 광서(廣西) 등에 분포한다.

채취 및 제법: 여름과 가을에 잡아서 신선한 상태로 사용한다.

성분: 교질, 칼슘염.

기미: 맛은 달고 성질은 차다.

효능: 활혈(活血), 소종(消腫), 해독(解毒).

주치: 인후종통(咽喉腫痛), 나력농종(瘰癧膿腫), 풍습비통(風濕痺痛), 만성골수염(慢性骨髓炎), 관절결핵(關節結核), 비대성척추염(肥大性脊椎炎).

용량: 6-10g.

참고문헌: 중국약용동물지(中國藥用動物誌), 2, 290.]

자라와 큰자라, 남생이의 요리 이용방법은 비슷함으로 아래의 자라 요리 방법에 따라 적용할 수 있다.

[자라를 이용한 각종 요리법]


1, <<수산물료리 69-71면>>:
<<1-자라고기국:

[음식감]


1, 자라다리살: 100g
2, 파: 10g
3, 마늘: 3g
4, 맛내기: 0.5g
5, 후추가루: 0.5g
6, 소금: 3g

[만드는 법]


① 자라는 뒤집어놓고(배가 위로 향하게) 칼끝으로 옆을 덜아가며 벤 다음 다시 바로 놓아 등딱지를 떼넨다. 배안의 흰알은 버리고 노란알만 따로 꺼내어 그릇에 담는다. 발 4개를 떼내고 껍질을 벗긴다. 발목은 잘라 버린다. 자라피는 받아 놓는다. 다리살을 제외한 고기는 다른 요리를 만드는데 쓴다.

② 껍질을 벗긴 다리살을 찬물에 담가 핏물을 뽑는다. 약 20분 동안 담가두면 핏물이 없어진다. 파와 마늘은 다진다.

③ 남비에 물(0.4리터)을 붓고 자라다리살을 안쳐서 끓인다. 다리살이 익으면 건져놓고 국물은 소금으로 간을 싱겁게 맞춘다. 다리살을 두께 0.3cm 되게 저민다.

④ 국물에 다리살을 두고 1~2분 동안 더 끓인 다음 맛내기, 다진파와 마늘을 넣어 맛을 들인다. 이것을 덥힌 그릇에 담고 후추가루를 쳐서 낸다.

※ 참조:
알을 넣어 같이 끓일 수도 있다.

★ 토막상식:
자라고기국은 황달, 콩팥병, 결핵환자들에게 좋은 음식이다.

2-자라알국


[음식감]


1, 자라알: 80g
2, 파: 5g
3, 마늘: 2g
4, 맛내기: 0.5g
5, 후추가루: 0.5g
6, 소금: 3g

[만드는 법]


① 자라알을 씻어서 채반에 건져놓아 물을 뺀다. 이때 흰알은 버리고 노란알만 쓴다. 파와 마늘은 다진다.

② 남비에 물(0.4리터)을 붓고 끓이다가 물이 세게 끓을 때 자라알을 넣어 끓인다.

자라알이 익으면 소금으로 간을 맞추고 다진 파와 마늘을 넣는다.

③ 국을 그릇에 담고 맛내기와 후추가루를 쳐서 낸다.

※ 토막상식:
자라고기국과 자라알국은 몸을 추세우는데 효과가 있는 영양가 높은 음식으로서 예로부터 치료영양제로 널리 이용하였다. 특히 허약자들에게 좋다.

자라의 고기, 등딱지, 대가리, 피 등은 고려약으로 쓰인다.

만성소모성질병때의 열나기, 열성질병의 회복기, 식은 땀, 어린이 연골증, 신경쇠약증, 요도결석증, 불임증, 자간, 빈혈, 산후자궁하수, 탈항, 생리가 많을 때, 배안에 생긴 혹, 학질(말라리아), 덴데 등에 쓰며 간이 굳어지거나 기례가 커진데도 쓴다.

① 요도결석증에는 자라등딱지를 거멓게 태워 보드랍게 가루내어 한번에 4~5g씩 하루 3번 끼니 1시간 전에 덥힌 술에 타서 먹는다. 허리가 아픈데는 하루 2번 술에 타서 먹는다.

② 불임증, 생리장애, 생식기발육부전, 부정출혈 등에는 자라등딱지를 말려서 가루내어 한번에 10~15g씩 하루 3번 끼니 전에 먹는다.

③ 임신자간, 해산자간, 산후자간 때에는 자라피를 내어 마시거나 고기를 끓여 먹는다.

④ 어린이가 몹시 여위면서 목이 가늘어지고 배가 커지며 소화가 되지 않고 설사하는 감질에는 자라피를 1번에 1ml씩 하루 한번 먹인다.

⑤ 황달, 심장병, 폐결핵에는 한번에 자라 1마리분의 고기를 잘게 썰어서 국을 끓여 먹되 하루에 2번 먹는다.

⑥ 결핵으로 미열이 계속 나느데는 자라등딱지 30g, 지모, 제비쑥, 구기자뿌리껍질, 대나무뿌리, 진교 각각 10g, 호황련 3g 등을 물에 달여 하루 2~3번에 나누어 먹는다.

⑦ 항문이 빠져 나오는데는 자라대가리를 그늘에서 말려서 볶은 다음 보드랍게 가루를 내어 한번에 한숟가락씩 하루 2번 미음에 타먹는다. 그리고 항문에 가루를 발라준다.

⑧ 학질(말라리아)에는 자라고기를 잘게 썰어서 양념에 재워두었다가 끓여서 발작하기 3시간 전에 먹되 3~4번 거듭 먹는다. 이밖에도 자라등딱지, 고기 등은 요도염, 자궁출혈, 간경변증, 만성기관지염, 식은 땀을 흘리고 열이 나는데 등에 기본 약재로 쓰인다.>>

2, <<조선료리전집 297-301면>>:
<<자라:

자라는 우리 나라의 전반적 호수와 강하천들에서 산다. 자라고기로는 건강과 장수에 특효가 있는 자라곰과 자라탕을 만들어 먹을 수 있으며 찜을 비롯한 여러 가지 요리도 만들어 먹을 수 있다.

자라 등껍데기와 피는 귀한 약재로 쓰인다.

1-자라버섯찜


[재료]


1, 자라: 1kg
2, 표고버섯: 400g
3, 양파: 20g
4, 소금: 7g
5, 간장: 10g
6, 설탕: 5g
7, 소주: 10g
8, 파: 10g
9, 마늘: 10g
10, 생강: 5g
11, 후추: 1g
12, 실고추: 1g

[만드는 방법]


① 자라고기는 토막으로 썰어 소주, 간장, 소금, 설탕을 넣고 재웠다가 파, 생강, 후추를 넣고 푹 찐다.

② 고기가 익으면 썬 표고버섯과 양파, 잘게 썬 파와 마늘, 실고추를 얹어 다시 쪄서 낸다.

2-자라두부탕

[재료]


1, 자라: 1kg
2, 두부: 300g
3, 고추: 50g
4, 소금: 8g
5, 간장: 5g
6, 소주: 20g
7, 파: 50g
8, 마늘: 10g
9, 고수풀: 10g
10, 후추가루: 1g

[만드는 방법]


① 자라는 토막으로 썰어 끓는 물에 데치고 고추와 두부는 나박모양으로 썬다.

② 자라 토막을 삶다가 소주, 간장, 생강, 소금을 넣고 푹 끓인다.

③ 자라고기가 푹 익으면 고추, 두부, 채로 썬 파, 다진 마늘, 잘게 썬 고추, 후추가루를 넣고 잠간 끓여서 탕그릇에 담는다.

3-자라구이

[재료]


1, 자라: 1kg
2, 양파: 100g
3, 고추: 100g
4, 소금: 7g
5, 간장: 10g
6, 설탕: 5g
7, 참기름: 10g
8, 소주: 10g
9, 파: 20g
10, 마늘: 10g
11, 생강: 5g
12, 겨자: 10g
13, 후추가루: 0.5g

[만드는 방법]


① 자라고기는 토막으로 썰어 물에 데친 다음 간장, 소주, 파, 마늘, 생강, 설탕, 겨자, 소금, 후추가루, 참기름을 넣고 재운다.

② 양파와 고추는 나박 모양으로 썰어 자라와 같이 재운다.

③ 꼬챙이에 자라, 양파, 고추를 꿰어 숯불에서 구워 낸다.

4-자라동과탕

[재료]


1, 자라: 1kg
2, 동과: 2개
3, 말린 밥조개살: 50g
4, 소금: 10g
5, 소주: 20g
6, 생강: 15g
7, 후추: 1g
8, 실파: 0.5g
9, 실고추: 0.5g

[만드는 방법]


① 자라고기는 토막으로 썰어 끓는 물에 데친다.

② 찜그릇에 데친 자라고기토막, 생강, 나박모양으로 썬 동과, 물, 소주, 소금, 후추, 말린 밥조개살을 넣고 푹 찐다.

③ 동과는 통것으로 모양을 잡아 뚜껑을 만들고 속을 파낸 다음 찐것들을 넣고 실파, 실고추로 고명한 다음 다시 쪄서 낸다.

5-자라졸임

[재료]


1, 자라: 1kg
2, 양파: 50g
3, 고추: 50g
4, 소금: 6g
5, 간장: 20g
6, 식초: 10g
7, 기름: 10g
8, 설탕: 10g
9, 소주: 10g
10, 마늘: 5g
11, 생강: 10g
12, 참깨: 1g
13, 후추: 1g

[만드는 방법]


① 자라고기는 토막으로 썰어 끓는 물에 데친다음 기름, 설탕, 간장, 소금, 생강, 후추, 소주, 식초를 넣고 서서히 졸인다..

② 고기가 익으면 잘게 썬 고추와 양파, 다진 마늘을 넣고 한소금 끓여서 볶은 참깨를 뿌린다.>>

※ 참조:
아래의 사진은
중국 하남성에서 출토된 중국 최초의 국가이며 신권통치로 불리는 상()나라(기원전 1600~1046년), 높이: 10cm길이21.4cm넓이: 16cm, 무게 1.6kg의 구리로 만든 큰자라 모양의 왕의 도장의 모습과 갑골문자(甲骨文字)의 모습이다.

자라로 질병을 치료하는 방법은 아래와 같다.

<등딱지>


1, 남녀 골증노수(骨蒸勞瘦)

별갑(
鱉甲) 한 개(초:醋로 노랗게 굽는다)에 호황련(胡黃連) 2돈을 넣고 함께 가루낸다. 이 가루를 청호(靑蒿)를 달인 물로 1방촌비(方寸匕: 고대 약물의 분말을 재던 기구명칭이다. 그 모양이 마치 적은 숟가락 같은데, 그 크기가 1촌 정방형이므로 이와같이 부르게 되었다. 일방촌비는 약 2.74밀리리터에 해당하며 쇠나 돌 가루를 담으면 약 2그램이고, 풀이나 나무 가루를 담으면 약 1그램이다.) 약 1그램을 복용한다. [손사막(孫思邈)]

2, 골증야열노수(骨蒸夜熱勞瘦), 골절번열(骨節煩熱), 혹은 기침을 하여 피가 나오는 증상

별갑(
鱉甲) 1근(끓는 물에 기름때를 깨끗이 씻는다). 북사삼(北沙參) 4냥, 회숙지(懷熟地)와 맥문동(麥門冬) 각 6냥, 백복령(白茯) 3냥, 진광피(陳廣皮) 3냥.

이상의 약들에 물 50사발을 넣고 10사발 되게 달인 약물과 그 찌꺼기를 다시 달인 약물을 약한 불에 엿처럼 달인다. 이것을 달인 꿀 4냥에 섞어서 아침 저녁으로 몇 숟가락씩 끓인 맹물로 복용한다. [본초휘언(本草彙言)]

3, 열사(熱邪)가 하초(下焦)에 깊이 들어가고 맥이 침수(沈數)하고 혀가 마르며 이가 검어지고 손가락이 떨리증세, 급히 경궐(痙厥)을 방지해야 하는 경우

자감초(炙甘草) 6돈, 건지황(乾地黃) 6돈, 생백작(生白芍) 6돈, 아교(阿膠) 3돈, 맥동(麥冬: 거심:去心) 5돈, 마인(麻仁) 3돈, 생모려(生牡蠣) 5돈, 생별갑(生
鱉甲) 8돈에 물 8컵을 넣고 한 컵에 8할씩 세 컵으로 되게 달여 3번에 나누어 복용한다. [온병조변(溫病條辨), 이갑부맥탕(二甲復脈湯)]

[각가(各家)의 논술(論述)]


<등딱지>


1, <본경봉원(本經逢原>:
"원갑(
黿甲: 큰자라)의 효능은 별갑(鱉甲: 자라)과 같은데 별(鱉: 자라)은 간(肝)으로 가고 원(黿: 큰자라)은 비(脾)로 간다. 그러기에 그의 주치에는 약간 다른 점이 있다."

[비고(備考)]

<등딱지>

1, <본초강목(本草綱目)>:
"별(
) 가운데서 제일 큰것은 별갑(鱉甲)이다. 강에는 크기가 1~2장인 것이 있다. 남방의 사람들은 잡아서 식용한다.

그 고기에는 오색(五色)이 있는데 흰 것이 많다. 알은 닭, 오리알과 같은데 한 번에 100~200개를 낳는다. 사람들은 그것을 파내어 소금에 절여 식용한다."

2, <본초강목(本草綱目)>:
"원(
黿)은 별()과에 비해서 크다. 등에는 뇌퇴(: 부은모양 뇌, 크게부은모양 퇴)가 있고 청황색이며 머리는 크고 목은 황색이다. 장(腸)은 목에 속한다."

상기 자료는 약초연구가로서 우리땅에 존재하는 천연물질의 우수성을 널리 알리고 질병으로 고통을 겪고 있는 환우들에게 희망을 주며 기능성 식품이나 신약을 개발하는데 통찰력을 갖게하고 약초를 사랑하는 모든 사람에게 정보의 목적으로 공개하는 것임을 밝혀 둔다.

 

(글/ 약초연구가 & 동아대 & 신라대 대체의학 외래교수 전동명)

거북이(남생이)
사진 감상 일본구글+대만구글+홍콩구글: 1, 2, 3, 4, 5,

문의 및 연락처: 010-2545-0777 ; 051-464-0307

주소: http://jdm0777.com

페이스북 주소: http://www.facebook.com/jdmsanyacho

메일: jdm0777@naver.com

참조: 아래의 다양한 나비와 나방, 갑각류, 패류, 곤충들, 어류, 양서류, 파충류, 조류, 포유류, 해조류, 환형동물들도 함께 고려해 보시기 바랍니다.

 

 

  1. 가리비(밥조개) 무엇인가?
  2. 가마우지똥(노자시) 무엇인가?
  3. 가물치 무엇인가?
  4. 감태 무엇인가?
  5. 갑오징어 무엇인가?
  6. 개(식견) 무엇인가?
  7. 개조개 무엇인가?
  8. 갯장어(하모) 무엇인가?
  9. 거머리(수질) 무엇인가?
  10. 거북이(남생이) 무엇인가?
  11. 게 무엇인가?
  12. 고둥 무엇인가?
  13. 고등어 무엇인가?
  14. 고래 무엇인가?
  15. 고슴도치 무엇인가?
  16. 고양이 무엇인가?
  17. 곰피 무엇인가?
  18. 구렁이 무엇인가?
  19. 군부 무엇인가?
  20. 군소 무엇인가?
  21. 굴(참굴) 무엇인가?
  22. 귀뚜라미 무엇인가?
  23. 김 무엇인가?
  24. 까마귀 무엇인가?
  25. 까치 무엇인가?
  26. 꾀꼬리 무엇인가?
  27. 꾀꼬리똥 무엇인가?
  28. 꿩 무엇인가?
  29. 꿩똥(치시) 무엇인가?
  30. 날개어리게 무엇인가?
  31. 날다람쥐(누서) 무엇인가?
  32. 넓적배사마귀 무엇인가?
  33. 네발나비 무엇인가?
  34. 노린재(구향충) 무엇인가?
  35. 누룩뱀 무엇인가?
  36. 누에 고치(잠견) 무엇인가?
  37. 누에 나방(원잠아) 무엇인가?
  38. 뉴트리아 무엇인가?
  39. 다람쥐 무엇인가?
  40. 다슬기 무엇인가?
  41. 다시마 무엇인가?
  42. 달고기 무엇인가?
  43. 달팽이 무엇인가?
  44. 닭 무엇인가?
  45. 닭똥(계분) 무엇인가?
  46. 도다리 무엇인가?
  47. 돼지 무엇인가?
  48. 두꺼비 무엇인가?
  49. 두더지(언서) 무엇인가?
  50. 두루미똥(학똥) 무엇인가?
  51. 땅벌 무엇인가?
  52. 뜸부기 무엇인가?
  53. 로열젤리(왕벌젖) 무엇인가?
  54. 말 무엇인가?
  55. 말똥성게 무엇인가?
  56. 말벌(장수말벌) 무엇인가?
  57. 말벌집(노봉방) 무엇인가?
  58. 매생이(매산태) 무엇인가?
  59. 먹장어(꼼장어) 무엇인가?
  60. 메기 무엇인가?
  61. 메추리 무엇인가?
  62. 멧돼지 무엇인가?
  63. 명태 무엇인가?
  64. 무당거미(낙신부) 무엇인가?
  65. 무자치(물뱀, 수사) 무엇인가?
  66. 문어 무엇인가?
  67. 미국흰불나방 무엇인가?
  68. 미꾸라지 무엇인가?
  69. 미꾸리 무엇인가?
  70. 미역 무엇인가?
  71. 민달팽이(알달팽이) 무엇인가?
  72. 바다뱀(해사) 무엇인가?
  73. 바퀴벌레(장랑) 무엇인가?
  74. 박쥐(복익) 무엇인가?
  75. 박쥐똥(야명사) 무엇인가?
  76. 방아깨비 무엇인가?
  77. 백사(순백사, 홍백사, 황백사, 설상사) 무엇인가?
  78. 뱀 무엇인가?
  79. 뱀술(사주) 무엇인가?
  80. 뱀장어 무엇인가?
  81. 뱀허물 무엇인가?
  82. 벌꿀(봉밀) 무엇인가?
  83. 복어 무엇인가?
  84. 봉독(벌침, 꿀벌독) 무엇인가?
  85. 봉침요법 무엇인가?
  86. 부산입술대고둥 무엇인가?
  87. 부채새우 무엇인가?
  88. 불가사리 무엇인가?
  89. 불개미(개미) 무엇인가?
  90. 붉은불개미(살인 개미) 무엇인가?
  91. 붕어 무엇인가?
  92. 붕장어(아나고) 무엇인가?
  93. 비둘기 무엇인가?
  94. 비둘기똥(좌반룡) 무엇인가?
  95. 뿔날개잎말이나방 무엇인가?
  96. 사마귀 알집(상표초) 무엇인가?
  97. 사마귀(당랑) 무엇인가?
  98. 산개구리 무엇인가?
  99. 살모사독 무엇인가?
  100. 삼광조(긴꼬리딱새) 무엇인가?
  101. 새우 무엇인가?
  102. 성게(보라성게) 무엇인가?
  103. 수리부엉이 무엇인가?
  104. 숭어 무엇인가?
  105. 아주까리누에나방 유충(피마잠) 무엇인가?
  106. 알달팽이(민달팽이) 무엇인가?
  107. 암끝검은표범나비 무엇인가?
  108. 연어 무엇인가?
  109. 오골계 무엇인가?
  110. 오골계똥(오자계시백+오자계분) 무엇인가?
  111. 오리 무엇인가?
  112. 오리똥(백압시) 무엇인가?
  113. 오소리(구환) 무엇인가?
  114. 오징어 무엇인가?
  115. 옥색긴꼬리산누에나방 무엇인가?
  116. 왕달팽이 무엇인가?
  117. 왕흰줄태극나방 무엇인가?
  118. 왜가리 무엇인가? 
  119. 우렁이 무엇인가?
  120. 우리벼메뚜기 무엇인가?
  121. 우뭇가사리 무엇인가?
  122. 우황 무엇인가?
  123. 원숭이 무엇인가?
  124. 유리산누에나방 무엇인가?
  125. 유황오리 무엇인가?
  126. 은무늬모진애나방 무엇인가?
  127. 잉어 무엇인가?
  128. 자라 무엇인가?
  129. 전복 무엇인가?
  130. 제비(가연) 무엇인가?
  131. 제비똥(연시) 무엇인가?
  132. 족제비(황서) 무엇인가?
  133. 쥐 무엇인가?
  134. 지네(오공) 무엇인가?
  135. 지렁이 무엇인가?
  136. 징거미새우(흑새우) 무엇인가?
  137. 참게 무엇인가?
  138. 참새 무엇인가?
  139. 참새똥(작시) 무엇인가?
  140. 천산갑 무엇인가?
  141. 철갑둥어 무엇인가?
  142. 철갑둥어 무엇인가?
  143. 청각 무엇인가?
  144. 청개구리 무엇인가?
  145. 청설모 무엇인가?
  146. 칠성장어 무엇인가?
  147. 크릴새우 무엇인가?
  148. 큰실말 무엇인가?
  149. 큰자라(원) 무엇인가?
  150. 토끼 무엇인가?
  151. 토종꿀벌(야생꿀벌) 무엇인가?
  152. 톳 무엇인가?
  153. 파래 무엇인가?
  154. 파충류의 세계 - 뱀의 신비
  155. 포플라잎말이명나방 무엇인가?
  156. 풀무치 무엇인가?
  157. 풍선말미잘 무엇인가?
  158. 프로폴리스(벌풀) 무엇인가? 
  159. 해변말미잘 무엇인가?
  160. 해삼 무엇인가?
  161. 해파리 무엇인가?
  162. 호랑나비 무엇인가?
  163. 홍합 무엇인가?
  164. 황소개구리 무엇인가?
  165. 후투티(오디새) 무엇인가?
  166. 흰개미 무엇인가?
  167. 흰띠알락나방 무엇인가?

 

 

홈페이지 주소 : http://jdm0777.com 클릭하시면 홈으로 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