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생이(민물 거북) 무엇인가?

물과 육지에 걸쳐서 사는 담수성 거북

 

 

 

 

 

 

 

 

 

 

 

 

[<<남생이의 다양한 모습, 사진 출처: 일본/대만/한국 구글 이미지 검색>>]

자음잠양, 보신건위, 신음부족, 골증노열, 구수유정, 붕루대하, 골위, 소아신문불합, 적백대하, 징가, 학질, 5가지 치질, 음식창, 습비로 다리가 늘어지고 약해진 것, 노복, 음이 허한데, 식적으로 열이 나는 것, 뼈가 이어지게하는데, 어혈을 몰아내는데, 혈증으로 마비된 것, 습장, 풍비로 다리를 잘 쓰지 못하는 것, 귀 먹었을 때, 토혈, 뉵혈[코피]을 다스리는 민물 거북 남생이

남생이는 척삭동물문 파충강 거북목 남생이과 남생이속의 민물거북이다. 대부분 무리지어 살며 보통 늪, 호수, 하천에서 서식한다. 물과 육지에 걸쳐 생활하는 담수성 거북이다.

남생이의 학명은 <Chinemys reevesii (Gray)>이다. 등딱지 길이는 2025cm이며 30cm에 이르는 것도 있다. 단단한 등딱지는 진한 갈색인데, 가장자리가 매끄럽고 앞끝이 둥글게 패어 있으며, 뒤끝은 깊게 패어 있다. 각 딱지에는 누런 녹색 테두리가 쳐져 있고, 드물게 희미한 검정무늬가 있다. 등 가운데 선의 융기는 낮으며 검정색이다. 배딱지는 등딱지와 길이가 거의 같다. 머리 뒤쪽은 잔비늘로 덮여 있고, 옆면 가장자리에는 노란색의 불규칙한 세로줄이 여러 개 나 있다. 네 다리는 넓은 비늘로 덮여 있다.

겨울이 되면 진흙 속에서 월동하였다가 6~8월경에 물가 모래나 부드러운 흙 속에 구멍을 파서 515개의 알을 낳는다. 파놓은 구멍에 자신의 배설물을 뿌려 단단하게 만든다. 알은 약 2개월 정도가 지나면 부화한다.

성질은 온순하고 길들이기 쉽지만 겨드랑이 밑에서 악취가 난다. 생명력이 매우 강하기 때문에 웬만한 상처를 입어도 생명에 지장이 없을 정도이다. 식성은 잡식성으로 물고기, 갑각류, 수생식물 따위를 먹는다. 사육할 때는 빵이나 지렁이도 잘 먹는다. 민간이나 한방에서는 자양, 강장, 보신 등에 효능이 있다고 알려져 약으로 이용하는데, 배딱지를 말려서 달여 먹거나 알 또는 가루로 만들어 복용하기도 한다.

한국, 일본, 중국, 타이완 등지에 분포한다. 한국의 경우 제주도를 제외한 전역에 분포한다. 2005317일 천연기념물 제453호로 지정되었고, 2012531일 멸종위기야생생물 2급으로 지정되어 보호받고 있다.

<
거북>은 파충강 거북목 동물의 총칭이다. 지구상에 서식하는 파충류 중 가장 오래 전부터 존재해온 동물 중 하나로 평가되며, 가장 오래된 화석종으로는 중생대 트라이아스기 이후의 지층에서 발견되었다. 이들 화석종은 현존하는 거북류와 별 차이가 없으나 거북의 진화 과정은 아직 밝혀진 것이 없다.

거북의 조상으로 보이는 에우노토사우루스(Eunotosaurus)는 늑골이 편평하고 둥그스름하게 몸을 둘러싸고 있다.

거북류는 특수한 피부와 등딱지 및 배딱지를 가지는 점에서 다른 파충류(·악어 등)와는 구별된다. 일부 바다거북류를 제외하고 현존하는 거북의 대다수는 강이나 못·늪 등의 물과 습지에 살면서 육지 생활도 하는 수륙 양서(兩棲)의 습성을 갖고 있는데, 이 서식 상태는 23천만 년을 살아온 거북의 대표적인 모습이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거북은 장수하는 동물로 유명하다. 그 명성은 과거부터 유명해서 거북은 십장생에 포함되는 동물이다. 흔히 반려동물로 사육되는 소형종들도 제대로 키우면 30~40년 이상 살 수 있으며 바다거북은 보통 40~50년 정도, 장수거북과 대부분의 땅거북들은 100~150년 정도는 산다. 200년 가량 사는 거북도 나온다.

현재 지구상에 생존하는 것은 12240여 종이 알려졌으며 한국 사회가 선진국 대열에 들어서면서 개와 고양이를 비롯하여 거북이, 뱀, 도마뱀, 개구리와 같은 파충류도 반려동물로서 인기가 높아지고 있다. 그리고 반려식물이라는 카테고리도 생겨 식물도 사람이 살아가는데 정신적으로 위안을 주므로 사람들은 사회가 발전할수록 점점 더 외로워지고 그만큼 어떤 대상으로부터 위로를 받고 싶어하는 심리로 인하여 반려동식물들이 점점더 우리 생활속을 파고들어가고 있고 갈수록 그 인기가 더해지고 있다.

우리나라에 서식하는 바다거북
, 장수거북, 남생이, 중국줄무늬목거북(보석 거북), 붉은귀거북, 자라 등이 알려져 있으나 반려동물로 기르는 거북이 애호가들로 인하여 현재 생태계교란 생물로 지정된 척추동물은 대다수가 반수생 거북으로 2023년 현재, 붉은귀거북과 리버쿠터, 중국줄무늬목거북, 악어거북, 레드벨리쿠터, 늑대거북이 지정되어있는 상태이다. 본래에는 붉은귀거북 단 1종만이 지정되어 있었지만 2020년을 기점으로 반수생 거북류들이 하나둘 생태계교란 생물로 지정되기 시작했다. 따라서 현재 주력으로 분양되는 종인 페닌슐라쿠터와 사향거북, 진흙거북, 비단거북 역시 생태계교란 생물로 지정될 가능성이 생겨, 그 숫자는 계속 늘어날 것으로 사료된다.

남생이의 여러 가지 이름은
오귀[烏龜=wū guī=꾸이: 태평성혜방(太平聖惠方)], [龜: 주례(周禮], 수귀[水龜: 이아(爾雅)], 원서[元緖: 최표(崔豹), 고금주(古今注)], 금구[金龜: 중약대사전(中藥大辭典)], 중화초귀[中華草龜=zhōng huá cǎo guī=후아차오V꾸이, 금선구:金線龜, 묵구:墨龜, 니구:泥龜, 산구:山龜, 취청구:臭青龜, 장수구:長壽龜, 팔괘구:八卦龜, 중화금구:中華金龜, 초구:草龜, 진주구:珍珠龜: 백도백과(百度百科), 유기백과(維基百科)], 쿠사가메[クサガメ=草亀, 취구:臭亀, -부스쿠사가메:リーブスクサガメ, 킨센가메:キンセンガメ, 제니가메:ゼニガメ=幼体: 일문명(日文名)], 북이, 남생이 등으로 부른다.

남생이
등딱지의 여러 가지 이름은 귀판[
板, 패장:敗將, 패귀판:敗板: 일화자제가본초(日華子諸家本草)], 귀갑[甲, 신옥:神屋: 신농본초경(神農本草經)], 귀각[龜殼: 회남자(淮南子)], 패귀갑[敗龜甲: 소품방(小品方)], 귀통[龜筒: 본초연의(本草衍義)], 귀복갑[龜腹甲: 의림찬요(醫林纂要)], 귀저갑[龜底甲: 약품화의(藥品化義)], 귀하갑[龜下甲: 주진형(朱震亨)], 원무판[元武板, 타니판:拖泥板: 약재학(藥材學)]등으로 부른다.

남생이이
고기의 다른 이름은 귀육[
肉: 명의별록(名醫別錄)]이라고 부른다.

남생이이
혈액의 다른 이름은 귀혈[
龜血: 약성론(藥性論)]이라고 부른다.

남생이
쓸개즙의 다른 이름은 귀담즙[龜膽汁: 본초강목(
本草綱目)]이라고 부른다.

남생이 복부의 껍데기를 오랫동안 끓여서 만든
아교질의 여러 가지 이름은 귀판교[龜板膠: 임증지남의안(臨證指南醫案)], 귀판고[
板膏: 본초정(本草正)], 귀교[龜膠: 본초휘언(本草彙言)], 귀갑교[龜甲膠: 사천중약지(四川中藥誌)]등으로 부른다.

[채취]


<등딱지>

<중약대사전>: "1년 내내 잡을 수 있지만 가을과 겨울에 많이 잡는다. 죽인 후 근육을 긇어내고 복부의 껍데기를 취하여 깨끗이 씻고 햇볕에서 말리거나 그늘진 곳에서 말리낟. 이를 <혈판(血板)>이가고 한다. 죽은 후 삶아서 꺼낸 복부의 껍데기를 <탕판(湯版)>이라 한다. 이전의 상품은 모두 <복갑(腹甲: 복부의 껍데기)>이었지만 요즘에는 <배갑(背갑: 등부분의 껍데기)>도 사용한다."

[약재(藥材)]


<등딱지>

<중약대사전>: "말린 복부의 껍데기는 대체로 판자 모양인데 직사각형 모양의 타원형으로 옆구리의 껍데기가 양쪽에 날개처럼 붙어 있다. 길이가 10~20cm, 너비가 7~10cm, 두께가 약 5mm이고 겉표면은 황갈색이거나 갈색인데 이따금 자갈색 무늬가 있다. 속표면은 황백색이거나 회백색이다. 12개의 복부의 비늘과 껍데기는 서로서로 끼워져 있는데 한데 끼워져 있는 곳은 톱니 모양의 틈이 있다. 앞쪽이 끝은 좀 좁고 안으로 오목하게 들어가 <V>자형의 결각(缺刻)으로 되었다. 양쪽 옆구리의 껍데기는 4쌍의 비늘과 껍데기로 이루어졌고 그 양끝에 흔히 가장자리의 비늘과 껍데기가 남아 있는 경우가 많다. <혈판(血板)>의 표면은 반들반들하고 겉거죽은 남아 있으며 간혹 피 자국이 있는 것도 있다. <탕판(湯板)>은 광택이 없고 거죽이 떨어지고 없다. 질이 단단하고 잘라 낸 면의 테두리는 상아(象牙)처럼 하얗고 단단하다. 안쪽은 불투명한 흰색이거나 빨간색이고 작은 구멍이 있다. 비린내가 나고 맛이 좀 짜다. <혈판(血板)>이고 크며 온전하고 깨끗하고 썩은 고기가 없는 것이 좋다.

주산지는 호북(湖北), 안휘(安徽), 강소(江蘇), 절강(浙江), 호남(湖南) 등지이다. 이밖에 광동(廣東), 사천(四川), 귀주(貴州), 복건(福建), 섬서(陝西), 하남(河南), 상해(上海) 등지에서도 난다."

[성분]


<등딱지>

<중약대사전>: "colloid, fats 및 칼슘염이 들어 있다."

[포제(
炮製)]

<등딱지>

1, <중약대사전>: "
① 귀판(龜板): 맑은 물에 담가 남은 고기를 뜯어내고 깨끗이 씻어서 햇빛에 말린 다음 작은 덩이로 부슨다.

② 초귀판(醋龜板):
모래를 가마에 넣고 뜨겁게 볶은 후 생귀판(生龜板)을 넣고 저으면서 표면이 좀 누른빛이 날 때까지 볶는다. 체로 쳐서 모래를 버린다음 식초를 넣은 그릇에 좀 담갔다가 꺼내어 물로 씻고 햇볕에 말린다. 귀판 50kg에 식초 15kg을 쓴다."

2, <식료본초>: "소(酥: 크림)를 발라서 굽는다."

3, <본초연의보유>: "소(酥: 크림), 술, 돼지 기름 등을 발라서 구워 쓴다."

[성미]


<등딱지>


1, <중약대사전>: "맛은 짜고 달며 성질은 평하다."

2, <신농본초경>: "맛은 짜며 성질은 평하다."

3, <명의별록>: "달고 독이 있다."

4, <약성론>: "독이 없다."

[귀경(歸經)]


<등딱지>


1, <중약대사전>: "간(肝), 신경(腎經)에 들어간다."

2, <뇌공포제약성해>: "심(心), 비(脾), 간(肝), 3경(三經)에 들어간다."

3, <본초경소>: "족소음경(足少陰經)에 들어간다."

[약효(藥效)와 주치(主治)]


<등딱지>


1, <중약대사전>: "자음(滋陰), 잠양(潛陽), 보신(補腎), 건골(健骨)하는 효능이 있다. 신음부족(腎陰不足), 골증 노열, 토혈, 코피, 만성 해수, 유정, 자궁 대출혈과 조금씩 오랫동안 계속되는 자궁출혈, 대하, 요통, 골위음허풍동(骨
陰虛風動), 만성 이질, 만성 학질, 치질, 어린이의 신문(囟門)이 닫혀지지 않는 증세를 치료한다."

2, <신농본초경>: "조금씩 오랫동안 계속되는 적백대하를 다스리고 징가(
癥瘕), 해학(痎瘧), 다섯가지의 치질, 심한 음부 소양증, 습비(濕痺), 팔다리가 묵직하고 허약한 것, 어린이의 신문(囟門)이 닫혀지지 않는 증상을 치료한다."

3, <명의별록>: "머리에 난 부스럼이 마르지 않는 증상, 여자의 음창(陰瘡) 및 경에기(驚
氣), 심복통(心腹痛), 오래 서 있을 수 없는 증상, 골중한열(骨中寒熱), 상한노복(傷寒勞復), 또는 기체한열(肌體寒熱)로 빈사상태에 빠진 증세를 다스린다. 달여서 복용하면 익기자지(益氣資智)하고 식욕을 증진시킨다."

4, <약성론>: "탈항을 치료한다."

5, <사성본초>: "풍각약(風脚弱)을 다스리려면 구워 가루내어 술로 복용한다."

6, <일화자제가본초>: "혈림비(血
痳痺)를 치료한다."

7, <본초연의>: "보심(補心)한다."

8, <일용본초>: "허리와 무릎이 노작지금하여 오래 서 있을 수 없는 증상을 치료한다."

9, <주진형>: "보음(補陰)하고 음혈부족(陰血不足)을 다스리며 어혈을 없애고 적리를 멎게 하며 속근골(續筋骨)한다. 피로, 팔다리에 맥이 없는 증상을 치료한다."

10, <본초몽전>: "전적으로 음(陰)이 쇠약해진 것을 보하고 신(腎)이 손상된 것을 자양한다."

11, <본초강목>: "허리와 다리가 시큰시큰 쑤시고 아픈 증상을 다스리고 심신(心腎)을 보하며 익대장(益大腸)하고 만성 이질과 설사를 멎게 하며 난산을 다스리고 조그마한 종기를 없애며, 하퇴 궤양에 대운 재를 바른다."

12, <본경봉원>: "태운 재를 술로 복용하면 두창(痘瘡)을 치료한다."

13, <의림찬요>: "골증 노열, 토혈, 코피, 장풍치혈(腸風痔血), 음허혈증(陰虛血證)을 치료한다."

[용법과 용량]


<등딱지>


<중약대사전>: "내복: 11.1~29.6g을 물로 달여서 복용한다. 바싹 졸여서 고(고)를 만들어 먹거나 혹은 환을 짓거나 가루내어 복용한다.

외용: 태운 재를 가루내어 바른다."

[배합(配合)과 금기(禁忌:
주의사항)]

<등딱지>


1, <중약대사전>: "임신부나 위(胃)에 한습(寒濕)이 있는 자는 복용하지 말아야 한다."

2, <신농본초경집주>: "사삼(沙蔘), 비렴(
蜚蠊: 바퀴 비, 바퀴 렴)과 상오(相惡)한다."

3, <약대>: "구담(狗膽)과 상외(相畏)한다."

4, <본초비요>: "인삼(人蔘)과 상오(相惡)한다."

5, <신농본초경소>: "임신부는 쓰지 않는 것이 좋다. 허한데 열이 없는 환자도 복용하지 않는 것이 좋다."

거북이(남생이)
의 효능에 대해서 허준의 <동의보감>에서는 다음과 같이 기록하고 있다.

[귀갑(龜甲: 남생이 등딱지)

성질이 평()하고 맛이 짜면서 달고[鹹] 독이 있다(독이 없다고도 한다). 적백대하를 치료하고 징가를 헤치며[破癥瘕] 학질과 5가지 치질, 음식창과 습비로 다리가 늘어지고 약해진 것을 치료한다[본초].

징가를 헤치고 대하를 멎게 하며 학질과 노복(勞復)을 치료한다[의감].

일명 신옥(神屋)이라고도 하는데 강과 호수에서 산다. 아무 때나 잡아서 써도 좋다. 누기가 차지 않게 해야 한다. 누기가 차면 독이 생긴다[본초].

남생이 배딱지는 산 채로 벗긴 것이 제일 좋은데 졸인 젖[]을 발라 굽거나 술에 담갔다가 구워서 쓴다[입문].

귀판(龜板)

성질과 맛을 남생이 등딱지와 같다.

등딱지는 귀갑이라고 하고 배딱지는 귀판이라고 한다. 이것은 다 음(陰)이 허(虛)하거나 식적(食積)으로 열이 나는 것을 치료한다[입문].

남생이 배딱지는 음을 보하고 뼈가 이어지게[] 하며 어혈을 몰아낸다[의감].

배 밑에 송곳으로 구멍 열 개를 뚫을 수 있는 것이 패구(敗龜)인데 혈증으로 마비된 것을 치료한다. 의학책에는 패구가 많이 씌어 있는데 이것은 송곳으로 지져서 구멍을 많이 뚫은 것을 쓴다는 말이다. 이것을 누천기(漏天機)라고 한다[본초].

남생이는 음()가운데서 음이 많은 동물인데 북쪽의 기운을 받아서 생긴 것이기 때문에 음을 세게 보한다[단심].

귀육(龜肉)

성질이 따뜻하고[] 맛이 시다[]. 습장(濕瘴), 풍비(風痺)로 다리를 잘 쓰지 못하는 것을 치료한다. 먹는 방법은 자라와 같다.

음력 12월에는 남생이의 고기를 먹지 말아야 한다. 먹으면 몸에 몹시 나쁘다. 대단히 신령스러운 동물이기 때문에 경솔하게 죽이지도 말아야 한다[본초].

귀뇨(龜尿)

이 오줌을 귀 먹었을[耳聾] 때에 귀 안에 넣으면 곧 낫는다.

남생이의 오줌을 구하기가 매우 어렵다. 남생이를 그릇에 담아 놓고 거울을 비쳐 주면 제 그림자를 보고 성욕이 생겨서 오줌을 싸게 된다. 또한 종이심지에 불을 달아 꽁무니에 쪼여 주어도 오줌을 눈다[본초].

남생이를 연잎 위에 놓고 돼지 갈기털[猪鬃]로 콧속을 찔러 주어도 오줌을 눈다[유취].

남생이 몸둥이의 아래위를 뜨겁게 해주면서 들고 흔들어도 오줌을 눈다[속방].

남생이를 연잎 위에 놓고 거울을 비쳐 주면 오줌을 누는데 다른 방법들은 다 이 방법만큼 빠르질 못하다[강목].]

남생이의 효능에 대해서 중국에서 펴낸 <중국본초도록> 32311469호에서는 다음과 같이 기록학 있다.

[오구(烏龜: 구판=龜板)

기원: 구과(龜科=늪거북과: Testudinidae)의 동물인 오구(烏龜=남생이: Chinemys reevesii (Gray))의 복갑(腹甲)이다.

형태: 몸은 편원형(扁圓形)이고 등배 모두 경갑(硬甲)을 가지고 있다. 주둥이 끝은 뾰족하고 둥글고, 턱은 이빨이 없이 각질(角質)의 부리를 이루며 목은 신축성이 좋다. 배면(背面)의 인갑(鱗甲)은 종갈색(棕褐色)이고 중앙에 5개의 척린갑(脊鱗甲)이 있으며 양측에 각각 4개의 늑린갑(肋鱗甲)이 있고, 연갑(緣甲)은 각 측에 11개가 있고 항갑(肛甲)2개이다. (腹面)은 인갑(鱗甲)12개이고 담황색(淡黃色)이다. 사지(四肢)는 편평하고 지간(指間) 및 지간(趾間)에는 물갈퀴가 있다.



분포: 대개 모여서 살고 하천, , 호수에 서식하며 육식성이다. 중국의 호북(湖北), 호남(湖南), 안휘(安徽), 강소(江蘇) 등에 분포한다.

채취 및 제법: 연중 잡을 수 있고 죽인 후에 근육(筋肉)을 제거하고 복갑(腹甲)을 취해서 깨끗이 씻고 햇볕에 말린다.

성분: 교질, 지방, 칼슘염.

기미: 맛은 짜면서 달고 성질은 평하다.

효능: 자음잠양(滋陰潛陽), 보신건위(補腎健骨).

주치: 신음부족(腎陰不足), 골증노열(骨蒸勞熱), 토혈(吐血), 뉵혈(衄血), 구수유정(久嗽遺精), 붕루대하(崩漏帶下), 골위(骨痿), 소아신문불합(小兒顖門不合) .

용량: 15~40g.

참고문헌: 중약대사전, 상권, 2348.]

중국에 자생하는 민물거북이의 한종류인 삼선폐각구의 효능에 대해서 중국에서 펴낸 <중국본초도록> 32311470호에서는 다음과 같이 기록하고 있다.

[삼선폐각구(三線閉殼龜)

기원: 구과(龜科=늪거북과: Testudinidae)의 동물인 삼선폐각구(三線閉殼龜: Coura trifasciata (Bell))의 전체(全體)이다.

형태: 두부(頭部)는 광택이 있으며 비늘이 없고 각막(殼膜)은 뚜렷하고 둥글다. 경각판(頸角板)은 좁고 길며, 추각판(椎角板)5개이고, 늑각판(肋角板)은 양측에 4개씩 있고, 연각판(緣角板)은 각 측에 11개씩이며, 둔각판(臀角板)은 너비보다 길이가 길고, 배각판(背角板)에는 3개의 종릉(縱稜)이 있다. 배갑(背甲)과 복갑(腹甲)은 길이가 같고 양측은 인대(靭帶)로 연결되어있다. 배면각(背面角)은 종색(棕色)이고, 배면(背面)은 흑색(黑色)이고, 변연각판(邊緣角板)은 황색(黃色)을 띤다.



분포: 산골짜기의 계류 사이에서 자라고 잡식성이다. 중국의 복건(福建), 광동(廣東), 해남도(海南島), 광서(廣西) 등에 분포한다.

채취 및 제법: 여름과 가을에 잡아서 신선한 상태로 사용한다.

성분: 교질, 칼슘염.

기미: 맛은 달고 성질은 차다.

효능: 활혈(活血), 소종(消腫), 해독(解毒).

주치: 인후종통(咽喉腫痛), 나력농종(瘰癧膿腫), 풍습비통(風濕痺痛), 만성골수염(慢性骨髓炎), 관절결핵(關節結核), 비대성척추염(肥大性脊椎炎).

용량: 6-10g.

참고문헌: 중국약용동물지(中國藥用動物誌), 2, 290.]

남생이 거북으로 질병을 치료하는 방법은 아래와 같다.

<등딱지>


1, 음화(陰火)를 내리우고 신수(腎水)를 보하는 처방

별크림을 발라 구운 구판(龜板) 222g, 갈색이 되게 볶은 황백(黃柏), 술에 담궈 볶은 지모(知母), 각 148g, 술로 찐 숙지황(熟地黃) 222g.

상술한 약을 가루내어 돼지 척수(脊髓)와 꿀로 환을 만든다. 빈속에 70환을 소금을 넣고 끓인 맹물로 복용한다. [단계심법(丹溪心法), 대보환(大補丸)]

2,

별다. [단계심법(丹溪心法), 보신환(補腎丸)]

3,

자다. []

4,
자다. []

5,
자다. []

6,
자다. []

7,
자다. []

8,
자다. []


[각가(各家)의 논술(論述)]


<등딱지>


1, <신농본초경소(神農本草經疏>:
"다."

2, <본초통현(本草通玄>: "다."

3, <약품화의(藥品化義>: "다."

[비고(備考)]

<등딱지>

1, <의림별록(醫林別錄)>:
"거북은 남해(南海)나 못 또는 호수(湖水)에 서식한다. 아무 때나 채취할 수 있으나 중습(中濕)하지 말아야 한다. 중습(中濕)하면 독이 있다."

2, <촉본초(蜀本草)>:
"<본초원경(本草圓經)>에 이르기를 이것은 강이나 호수에 서식하는 거북으로 호주(湖州), 강주(江州) 교주(交州)에서 나는 것은 모두 뼈가 두꺼우며 빛깔이 희다라고 하였다. 지금에 와서는 어디에나 있다."

3, <본초원경(本草圓經)>:
"거북 껍데기는 약용으로 쓴다. 산 거북에서 벗긴 껍데기가 제일 좋
다."

4, <본초강목(本草綱目)>:
"거북 껍데기를 옛날에는 등 껍데기와 배 껍데개를 모두 썼다. <일화자제가본초(日華子諸家本草)>에서 구판(龜板)을 쓰면서 부터 사람들은 모두 이에 따르게 되었
다."

※ 참조: 현재 전세계에 서식하고 있는 거북이 76종류는 아래와 같다.

1, <나무위키-2025-1-29-현재>:
<<
6.1. 땅거북

1-갈라파고스땅거북
2-버미즈브라운거북
3-경첩거북
4-그리스거북
5-나뭇잎거북
6-노란다리거북
7-붉은다리거북
8-마다가스카르거미거북
9-마다가스카르편평한등거미거북
10-마다가스카르방사거북
11-마다가스카르쟁기거북(보습거북)
12-마지네이트거북
13-설카타거북
14-셀레베스거북
15-알다브라땅거북
16-엘롱가타거북
17-오네이트 나무거북
18-이집트거북
19-임프레스거북
20-헤르만거북
21-별거북
22-인도별거북
23-표범무늬거북
24-팬케익거북
25-호스필드거북
26-차코거북

6.2. 민물거북


완전수생거북과 반수생거북의 차이는 사육하는데 육지가 필요한가의 여부로 분류한 것이다.

6.2.1. 완전수생거북

1-늑대거북

1)-플로리다 늑대거북
2)-멕시칸 늑대거북


3-악어거북
4-마타마타거북
5-자라
6-중국자라
7-돼지코거북
8-양쯔강대왕자라
9-아시아대왕자라

6.2.2. 반수생거북


1-남생이
2-사향거북(머스크 터틀)
3-진흙거북(머드 터틀)
4-멕시코 큰사향거북
5-레이저백사향(머스크)거북
6-노란배거북
7-지도거북(맵 터틀)
8-쿠터(리버쿠터, 페닌슐라쿠터 등)
9-아시아큰거북
10-보르네오강거북
11-
중국줄무늬목거북(보석 거북)
12-일본돌거북
13-비단거북
14-노란점박이거북
15-가시거북
16-다이아몬드백 테라핀
17-
붉은귀거북
18-뱀목거북
19-핑크벨리사이드넥
20-깁바거북
21-늪견목거북
22-밤색견목거북
23-검은견목거북
24-난쟁이견목거북
25-나뭇잎거북
26-아마존노랑점거북
27-스팽글리거북
28-큰머리거북

6.2.3. 바다거북


1-붉은바다거북
2-푸른바다거북
3-매부리바다거북
4-장수거북
5-납작등바다거북
6-올리브바다거북
7-켐프각시바다거북

6.3. 습지거북


1-상자거북
2-암보이나상자거북
3-중국상자거북
4-아메리카상자거북
5-용골등상자거북
6-꽃등상자거북.
>>


상기 자료는 약초연구가로서 우리땅에 존재하는 천연물질의 우수성을 널리 알리고 질병으로 고통을 겪고 있는 환우들에게 희망을 주며 기능성 식품이나 신약을 개발하는데 통찰력을 갖게하고 약초를 사랑하는 모든 사람에게 정보의 목적으로 공개하는 것임을 밝혀 둔다.

 

(글/ 약초연구가 & 동아대 & 신라대 대체의학 외래교수 전동명)

거북이(남생이)
사진 감상 일본구글+대만구글+홍콩구글: 1, 2, 3, 4, 5,

문의 및 연락처: 010-2545-0777 ; 051-464-0307

주소: http://jdm0777.com

유튜브 주소: https://www.youtube.com/@jdm-sanyacho

페이스북 주소: http://www.facebook.com/jdmsanyacho

메일: jdm0777@naver.com

참조: 아래의 다양한 나비와 나방, 갑각류, 패류, 곤충들, 어류, 양서류, 파충류, 조류, 포유류, 해조류, 환형동물들도 함께 고려해 보시기 바랍니다.

 

 

  1. 가리비(밥조개) 무엇인가?
  2. 가마우지똥(노자시) 무엇인가?
  3. 가물치 무엇인가?
  4. 감태 무엇인가?
  5. 갑오징어 무엇인가?
  6. 개(식견) 무엇인가?
  7. 개조개 무엇인가?
  8. 갯장어(하모) 무엇인가?
  9. 거머리(수질) 무엇인가?
  10. 게 무엇인가?
  11. 고둥 무엇인가?
  12. 고등어 무엇인가?
  13. 고래 무엇인가?
  14. 고슴도치 무엇인가?
  15. 고양이 무엇인가?
  16. 곰피 무엇인가?
  17. 구렁이 무엇인가?
  18. 군부 무엇인가?
  19. 군소 무엇인가?
  20. 굴(참굴) 무엇인가?
  21. 귀뚜라미 무엇인가?
  22. 김 무엇인가?
  23. 까마귀 무엇인가?
  24. 까치 무엇인가?
  25. 꾀꼬리 무엇인가?
  26. 꾀꼬리똥 무엇인가?
  27. 꿩 무엇인가?
  28. 꿩똥(치시) 무엇인가?
  29. 날개어리게 무엇인가?
  30. 날다람쥐(누서) 무엇인가?
  31. 남생이(민물 거북) 무엇인가?
  32. 넓적배사마귀 무엇인가?
  33. 네발나비 무엇인가?
  34. 노린재(구향충) 무엇인가?
  35. 누룩뱀 무엇인가?
  36. 누에 고치(잠견) 무엇인가?
  37. 누에 나방(원잠아) 무엇인가?
  38. 뉴트리아 무엇인가?
  39. 다람쥐 무엇인가?
  40. 다슬기 무엇인가?
  41. 다시마 무엇인가?
  42. 달고기 무엇인가?
  43. 달팽이 무엇인가?
  44. 닭 무엇인가?
  45. 닭똥(계분) 무엇인가?
  46. 도다리 무엇인가?
  47. 돼지 무엇인가?
  48. 두꺼비 무엇인가?
  49. 두더지(언서) 무엇인가?
  50. 두루미똥(학똥) 무엇인가?
  51. 땅벌 무엇인가?
  52. 뜸부기 무엇인가?
  53. 로열젤리(왕벌젖) 무엇인가?
  54. 말 무엇인가?
  55. 말똥성게 무엇인가?
  56. 말벌(장수말벌) 무엇인가?
  57. 말벌집(노봉방) 무엇인가?
  58. 매생이(매산태) 무엇인가?
  59. 먹장어(꼼장어) 무엇인가?
  60. 메기 무엇인가?
  61. 메추리 무엇인가?
  62. 멧돼지 무엇인가?
  63. 명태 무엇인가?
  64. 무당거미(낙신부) 무엇인가?
  65. 무자치(물뱀, 수사) 무엇인가?
  66. 문어 무엇인가?
  67. 미국흰불나방 무엇인가?
  68. 미꾸라지 무엇인가?
  69. 미꾸리 무엇인가?
  70. 미역 무엇인가?
  71. 민달팽이(알달팽이) 무엇인가?
  72. 바다뱀(해사) 무엇인가?
  73. 바퀴벌레(장랑) 무엇인가?
  74. 박쥐(복익) 무엇인가?
  75. 박쥐똥(야명사) 무엇인가?
  76. 방아깨비 무엇인가?
  77. 백사(순백사, 홍백사, 황백사, 설상사) 무엇인가?
  78. 뱀 무엇인가?
  79. 뱀술(사주) 무엇인가?
  80. 뱀장어 무엇인가?
  81. 뱀허물 무엇인가?
  82. 벌꿀(봉밀) 무엇인가?
  83. 복어 무엇인가?
  84. 봉독(벌침, 꿀벌독) 무엇인가?
  85. 봉침요법 무엇인가?
  86. 부산입술대고둥 무엇인가?
  87. 부채새우 무엇인가?
  88. 불가사리 무엇인가?
  89. 불개미(개미) 무엇인가?
  90. 붉은불개미(살인 개미) 무엇인가?
  91. 붕어 무엇인가?
  92. 붕장어(아나고) 무엇인가?
  93. 비둘기 무엇인가?
  94. 비둘기똥(좌반룡) 무엇인가?
  95. 뿔날개잎말이나방 무엇인가?
  96. 사마귀 알집(상표초) 무엇인가?
  97. 사마귀(당랑) 무엇인가?
  98. 산개구리 무엇인가?
  99. 살모사독 무엇인가?
  100. 삼광조(긴꼬리딱새) 무엇인가?
  101. 새우 무엇인가?
  102. 성게(보라성게) 무엇인가?
  103. 수리부엉이 무엇인가?
  104. 숭어 무엇인가?
  105. 아주까리누에나방 유충(피마잠) 무엇인가?
  106. 알달팽이(민달팽이) 무엇인가?
  107. 암끝검은표범나비 무엇인가?
  108. 연어 무엇인가?
  109. 오골계 무엇인가?
  110. 오골계똥(오자계시백+오자계분) 무엇인가?
  111. 오리 무엇인가?
  112. 오리똥(백압시) 무엇인가?
  113. 오소리(구환) 무엇인가?
  114. 오징어 무엇인가?
  115. 옥색긴꼬리산누에나방 무엇인가?
  116. 왕달팽이 무엇인가?
  117. 왕흰줄태극나방 무엇인가?
  118. 왜가리 무엇인가? 
  119. 우렁이 무엇인가?
  120. 우리벼메뚜기 무엇인가?
  121. 우뭇가사리 무엇인가?
  122. 우황 무엇인가?
  123. 원숭이 무엇인가?
  124. 유리산누에나방 무엇인가?
  125. 유황오리 무엇인가?
  126. 은무늬모진애나방 무엇인가?
  127. 잉어 무엇인가?
  128. 자라 무엇인가?
  129. 전복 무엇인가?
  130. 제비(가연) 무엇인가?
  131. 제비똥(연시) 무엇인가?
  132. 족제비(황서) 무엇인가?
  133. 쥐 무엇인가?
  134. 지네(오공) 무엇인가?
  135. 지렁이 무엇인가?
  136. 징거미새우(흑새우) 무엇인가?
  137. 참게 무엇인가?
  138. 참새 무엇인가?
  139. 참새똥(작시) 무엇인가?
  140. 천산갑 무엇인가?
  141. 철갑둥어 무엇인가?
  142. 철갑둥어 무엇인가?
  143. 청각 무엇인가?
  144. 청개구리 무엇인가?
  145. 청설모 무엇인가?
  146. 칠성장어 무엇인가?
  147. 크릴새우 무엇인가?
  148. 큰실말 무엇인가?
  149. 큰자라(원) 무엇인가?
  150. 토끼 무엇인가?
  151. 토종꿀벌(야생꿀벌) 무엇인가?
  152. 톳 무엇인가?
  153. 파래 무엇인가?
  154. 파충류의 세계 - 뱀의 신비
  155. 포플라잎말이명나방 무엇인가?
  156. 풀무치 무엇인가?
  157. 풍선말미잘 무엇인가?
  158. 프로폴리스(벌풀) 무엇인가? 
  159. 해변말미잘 무엇인가?
  160. 해삼 무엇인가?
  161. 해파리 무엇인가?
  162. 호랑나비 무엇인가?
  163. 홍합 무엇인가?
  164. 황소개구리 무엇인가?
  165. 후투티(오디새) 무엇인가?
  166. 흰개미 무엇인가?
  167. 흰띠알락나방 무엇인가?

 

 

홈페이지 주소 : http://jdm0777.com 클릭하시면 홈으로 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