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양) 무엇인가?

주인의 말을 잘 따르는 순종의 대표적인 상징 양

 

 

 

 

 

 

 

 

 

 

[어린양과 다자란 양의 모습, 사진출처: 일본/대만/한국 구글 이미지 검색]

 

 

양구산양증식센터 내 산양 중국산양 본문 이미지 1

 

 

[우리나라 산양, 히말라야산양, 중국산양의 모습, 사진출처: 일본/대만/한국 구글 이미지 검색]

▶ 항종양작용, 마음을 안정시키는 작용, 피부를 윤택해지게하는 작용, 근육과 살을 튼튼히 하는 작용, 자보, 강장, 비위의 기능을 강화시키는데, 위와 대소장의 근육을 생기게 하는데, 성질이 따뜻하여 뱃속을 덥혀 주므로 아랫배가 차고 당기며 아픈 한산을 치료하는데, 허리와 다리, 무릎의 뼈와 근육, 인대를 강화시키는데, 혈액순환을 잘 시키므로 시리고 아픈 증상을 해소하는데, 남자가 지나친 스트레스와 노동으로 몸이 피혜해졌을 때, 힘이 생기고 머리가 맑아지며 정력이 증강되게 하는데, 몸이 약해져서 손발이 차고 추위를 많이 타며 찬 것을 싫어하는 경우, 머리에 땀이 많이 나는 경우, 임산부가 아이를 낳고 심신이 피로해졌을 때, 마음이 약해 잘 놀라는 아이, 신장이 약하여 몸이 여위는 경우, 몸의 정력을 많이 소모하여 기혈이 부족한 허로의 병, 밥맛이 없어 잘 먹지 않게 되고 어깨가 무겁고 허리와 등이 뻐근하게 아프며 식은 땀이 나는데, 오랜 병을 앓아서 몸에 살이 없고 옆구리에서는 물이 차고 음식을 제대로 먹지 못하는데, 팔다리에 열이 달아오르는 경우, 심장과 폐를 윤택하게 하는데, 당뇨로 인한 갈증을 해소하는데, 얼굴을 윤택하게 하고 정신을 맑게 하는데, 오랫동안 낫지 않는 기침, 부인의 대하, 각종 종기, 부스럼, 기미, 피부를 윤택하게 하는데, 오래도록 낫지 않는 두통, 명목, 야맹증, 빈혈, 허약소수, 자유여질, 두뇌의 대풍한출, 중초를 튼튼하게 하는데, 마음을 가라앉히는데, 경계를 멈추게 하는데, 근골을 강하게 하는데, 요슬이약, 통증을 완화시키는데, 산부에게 이롭게 하는데, 풍현수질, 소아 경간, 오로칠상, 골증, 뇌열, 두현, 눈을 밝게하는데, 익기보허, 중초를 따뜻하게 하는데, 완하, 허로이수, 요슬위연, 산후의 허냉, 복통, 한산, 중허, 반위, 장과 위를 두껍게 하는데, 식욕을 돋구는데, 살찌고 튼튼하게 하는데, 추위를 타는 것을 막는 음식 양고기, 허로한냉을 다스리는 양(산양)

양(羊: sheep)은 소목 즉 우제목(偶蹄目) 솟과 양속의 총칭이다.

학명은 <Ovis aries L.>이다. 양은 가축인 면양(O. aries), 무플런양(mouflon), 아르갈리양(argalii), 빅혼(bighorn), 우리알(urial), 아시아무플런(Asian mouflon), 달리빅혼(dallii bighorn), 시베리아빅혼(Siberean bighorn), 아메리카빅혼(Rockey mountain sheep) 등 야생의 양인 산양(Capra hircul L.)을 포함한다.

염소류와 비슷해서 구별하기 어려우나, 양의 뿔은 단면이 삼각형이고 앞가두리는 곧으며 대개는 뒤쪽의 아래를 향해 소용돌이 모양으로 굽는다. 또 염소류의 수컷에는 꼬리의 밑부분 아랫면에 1쌍의 취선(臭腺)이 있으나, 양에서는 이 선이 없고 안하선(眼下腺), 제간선(蹄間腺), 서혜선(鼠蹊腺)이 있다. 두골에는 누공(淚孔)이 안와연(眼窩緣) 안쪽으로 뚫려 있는데, 이 점이 염소류와 다르다. 다른 반추동물과 마찬가지로 먹이를 되새김질하며, 위는 4실로 나누어진다.

뿔은 암수 모두 없는 것과 수컷에만 있는 것, 암수 모두에 있는 것 등 여러 가지이며, 대개 수컷의 뿔이 크다. 몸의 크기는 품종이나 조건에 따라 다르며, 수컷이 암컷보다 크다. 대형인 것은 몸길이가 수컷 1.2m, 암컷 1m이고, 어깨높이는 수컷 1m, 암컷 90㎝이며, 몸무게는 수컷 115㎏, 암컷 95㎏이다. 주둥이는 좁고, 털이 있으며, 입술은 가동성이다. 아래턱에 수염이 없다. 꼬리는 야생종이 짧고 가축종은 긴데, 굵게 자라 지방이 저장되어 있는 품종도 있다.

가축종은 체모가 조밀하며, 굵은 털은 거의 없고 솜과 같은 털이 대부분인데, 이 털을 면모(緬毛)라고 한다. 얼굴과 네 다리에만 약간 굵은 털이 있는데, 가늘고 곱슬곱슬하다. 그러나 야생종에는 굵은 털과 솜털이 모두 있다. 털의 표면은 좁고 날카로운 비늘이 지붕에 깐 기와처럼 빽빽이 늘어서 있으므로 압축하면 서로 얽혀서 펠트가 된다. 털 1개의 굵기는 털의 품질이 좋은 레스터종의 경우 약 500분의 1㎝, 잭슨메리노가 약 2,000분의 1㎝이며, 빛깔은 흰색, 검은색, 갈색, 붉은색이다.

양은 떼를 지어 살며, 높은 곳에 올라가기를 좋아한다. 성질은 온순하고, 풀, 나뭇잎, 나무껍질 등의 식물질을 먹는다. 임신기간은 147∼161일이고, 한배에 1∼2마리의 새끼를 낳는데, 다산종은 3∼5마리를 낳는다. 갓낳은 새끼는 눈을 뜰 수 있고, 양털 모양의 털이 있다. 생후 1개월이면 먹이를 먹고, 3개월이면 이유한다. 2년이 지나면 새끼를 낳을 수 있으며, 7∼8년까지 번식에 이용된다.

[1, 산양(山羊:Capra hircus L.: 도홍경(陶弘景)]


몸길이 1~1.2m이다. 머리는 길고 목은 짧으며 귀는 크고 입은 좁고 길다. 암컷과 수컷의 이마에 모두 뿔이 나 있는데 수컷의 뿔이 더 크다. 뿔의 기부는 약간 삼각형을 이루고 끝은 약간 뒤로 구부러져 있다. 각질이고 속이 비어 있으며 표면에 고리 무늬가 있거나 앞면이 혹 모양을 하고 있다. 수컷의 턱 밑에는 총상의 수염이 나 있다. 사지는 가늘며 꼬리는 짧고 쳐지지 않았다. 온몸이 굵고 곧은 짧은 털로 덮여 있다. 털은 흰색, 검은색, 회색이거나 흑백이 섞여 있다. 집짐승의 하나로서 품종이 매우 많다. 성질은 활발하고 높은 곳에 잘 오르며 짧은 풀, 관목, 나뭇잎을 잘 먹는다. 대개는 가을, 겨울에 교배하고 임신 기간은 140~156일이며 한 번에 1~4마리의 새끼를 낳는다. 중국 각지에 매우 널리 분포되어 있다. [중약대사전]

[2, 면양(山羊: Ovis aries L.: 본초강목(本草綱目)]

체구는 통통하고 비교적 크며 머리는 짧다. 수컷은 뿔이 크며 구부러져 나선형을 이룬다. 암컷은 뿔이 없거나 매우 작고 가늘다. 입술은 얇다. 사지가 튼튼하고 꼬리는 가늘며 긴 것, 통통한 것, 짧은 것 등 모양이 여러 가지이다. 온 몸에 털이 빽빽이 덮여 있는데 털은 촘촘하고 길면서 부드럽고 꼬불꼬불하며 대부분 백색이다. 집짐승의 하나로 품종이 매우 많다. 겁이 많아 군집성이 강하다. 대부분 가을, 겨울에 교배하고 임신 기간은 145~152일이며 한 번에 1~5마리의 새끼를 낳는다. 중국 각지에 거의 다 분포하지만 서북부와 북부에 많다. [중약대사전]

중국에서는 <산양>과 <면양> 두 부류의 양을 합쳐서 함께 양고기로 사용하고 있다.

<양>

산양 및 면양의 여러 가지 이름은
면양[綿羊=
mián yáng=미앤: 본초강목(本草綱目)], 산양[山羊=shān yáng=: 도홍경(陶弘景)], 히츠지[ヒツジ=羊=綿羊=양: 일문명(日文名)], 야기[ヤギ=山羊=野羊=산양: 일문명(日文名)], 들양, , 산양 등으로 부른다.

산양 및 면양의 고기의 다른 이름은
양육[羊肉: 신농본초경집주(神農本草經集注)]이라고 한다.

산양 및 면양의 가죽의 다른 이름은
양피[羊皮: 식료본초(食療本草)]라고 한다.

산양 및 면양의 뼈의 다른 이름은
양골[羊骨: 명의별록(名醫別錄)]이라고 한다.

산양 및 면양의 골수 또는 척수의 다른 이름은
양수[羊髓: 명의별록(名醫別錄)]라고 부른다.

산양 및 면양의 뇌의 다른 이름은
양뇌[羊腦: 천금(千金), 식치(食治)]라고 부른다.

산양 및 면양의 뿔의 다른 이름은
고양각[
羖羊角: 신농본초경(神農本草經)]이라고 부른다.

산양 및 면양의 갑상선의 다른 이름은
양엽[羊
: 본초강목(本草綱目)]이라고 부른다.

산양 및 면양의 발굽 고기의 다른 이름은
양제육[羊蹄肉: 천금(千金), 식치(食治)]이라고 부른다.

산양 및 면양의 심장의 다른 이름은
양심[羊心: 명의별록(名醫別錄)]이라고 부른다.

산양 및 면양의 간장이 다른 이름은
양간[羊肝: 약성론(藥性論)]이라고 부른다.

산양 및 면양의 폐의 다른 이름은
양폐[羊肺: 명의별록(名醫別錄)]라고 부른다.

산양 및 면양의 신장의 여러 가지 이름은
양신[羊腎: 명의별록(名醫別錄)], 양신자[羊腎子: 계봉보제방(鷄峰普濟方)], 양요자[羊腰子: 본초술(本草述)] 등으로 부른다.

산양 및 면양의 췌장의 다른 이름은
양이[羊
: 본초강목(本草綱目)]라고 부른다.

산양 및 면양의 위장의 여러 가지 이름은
양두[羊
: 천금(千金), 식치(食治)], 양위[羊胃: 장문중(張文仲)], 양비치[羊膍胵: 본초강목(本草綱目)] 등으로 부른다.

산양 및 면양의 방광의 여러 가지 이름은
양포[羊
脬: 본초강목(本草綱目)], 양포:羊胞: 천금방(千金方)]등으로 부른다.

산양 및 면양의 고환의 여러 가지 이름은
양외신[羊外腎: 본초강목(本草綱目)], 양석자[羊石子: 본사방(本事方)], 양신[羊腎: 사천중약지(四川中藥誌)] 등으로 부른다.

산양 및 면양의 쓸개의 다른 이름은
양담[羊膽: 신농본초경집주(神農本草經集注)]이라고 부른다.

산양 및 면양의 지방의 다른 이름은
양지[양지: 천금(千金), 식치(食治)]라고 부른다.

산양 및 면양의 젖의 다른 이름은
양유[羊乳: 신농본초경집주(神農本草經集注)]라고 부른다.

산양 및 면양의 태아의 다른 이름은
양태[羊胎, 본초봉원(本草逢原)]라고 부른다.

<산양>


산양의 수염의 다른 이름은
양수[羊鬚: 본초강목(本草綱目)]라고 부른다.

산양의 담낭에 생긴 결석의 다른 이름은
양황[羊黃: 육천본초(陸川本草)]이라고 부른다.

산양의 위 속의 들어 있는 풀 덩어리의 여러 가지 이름은
양해자[羊
子: 본초강목(本草綱目)], 양애[羊哀: 철경록(輟耕錄)], 백초단[百草丹: 본초강목습유(本草綱目拾遺)] 등으로 부른다.

[성분]

<고기>


<중약대사전>: "양의 종류, 나이, 영양 상태, 부위 등에 따라 차이가 있다. 정육을 예로 들면 수분 68%, 단백질 17.3%, 지방 13.6%, 탄수화물 0.5%, 회분 1%, 칼슘 15mg%, 인 168mg%, 철 3mg%가 들어 있다.

그 밖에도 비타민 B1 0.07mg%, 비타민 B2 0.13mg%, nicotinic acid 4.9mg%, cholesterol 70mg%가 들어 있다."

[약리작용]


<뿔>


<중약대사전>: "
항종양작용: mouse에게 Ehrlich씨 복수암을 접종하고 3일후에 위에 관류하는 방법으로 면양(綿羊)의 뿔 100%의 전제(煎劑)를 1일 0.1mg/10g을 주거나 혹은 5%의 농도로 사료속에 혼합하여 투여하였다. 투약한지 4주째에 관위한 경우 종양의 체적(體積) 계산에 의하면 그 억제율은 79.69%였고, 종양의 중량계산에 의하면 그 억제율은 75.43%였다. 면양각(綿羊角)을 사료에 혼합한 경우는 체적계산에 의하면 그 억제율은 46.24%였고, 종양의 중량계산에 의하면 그 억제율은 31.65%였다. 위에 관류하는 방법의 항종양효과는 사료에 혼합하여 주는 것보다도 좋았다."

[성미]


<고기>


1, <중약대사전>: "맛은 달며 성질은 따뜻하다."

2, <명의별록>: "맛은 달며 성질은 매우 뜨겁고 독이 없다."

3, <천금, 식치>: "양의 머릿고기의 성질은 평하다."

4, <맹선>: "성질은 따뜻하다."

5, <본초강목>: "양의 머릿고기의 맛은 달여 성질은 평하고 독이 없다."

<뿔>

1, <중약대사전>: "맛은 짜고 성질은 서늘하다."

2, <신농본초경>: "맛은 짜고 성질은 따뜻하다."

3, <명의별록>: "맛은 쓰고 성질은 약간 차며 독이 없다."

4, <약성론>: "성질이 아주 차다."

[귀경(歸經)]

<고기>


1, <중약대사전>: "비(脾), 신경(腎經)에 작용한다."

2, <본초휘언>: "수족양명경(手足陽明經)에 들어간다."

3, <본초재신>: "심(心), 비(脾), 신(腎)의 3경(經)에 들어간다."

<뿔>


1, <중약대사전>: "간(肝), 심경(心經)에 들어간다."

2, <신농본초경소>: "폐(肺), 심(心), 간(肝)의 3경(三經)에 들어간다."

3, <요약분제(要藥分劑)>: "비(脾), 폐(肺)의 2경(二經)에 들어간다."

[약효와 주치]


<고기>


1, <중약대사전>: "익기보허(益氣補虛)하며 중초를 따뜻하게 하고 완하(緩下)하는 효능이 있다. 허로이수(虛勞羸瘦), 요슬위연(腰膝痠軟), 산후의 허냉(虛冷), 복통, 한산(寒疝), 중허(中虛), 반위(反胃)를 치료한다."

2, <명의별록>: "중초를 따뜻하게 하고 자유여질(字乳餘疾) 및 두뇌의 대풍한출(大風汗出), 허로한냉(虛勞寒冷)을 치료하며 중초를 튼튼하게 하고 마음을 가라앉히며 경계를 멈추게 한다."

3, <천금, 식치>: "주로 중초를 따뜻하게 하고 통증을 완화시키며 산부에게 이로운 효능이 있다. 머릿고기는 주로 풍현수질(風眩瘦疾), 소아 경간, 오로칠상(五勞七傷)을 치료한다."

4, <일화자제가본초>: "식욕을 돋구고 살찌고 튼튼하게 하는 효능이 있다. 머릿고기는 골증(骨蒸), 뇌열(腦熱), 두현(頭眩)을 치료하고 눈을 밝게 한다."

5, <일용본초>: "요슬이약(腰膝羸弱)을 치료하고 근골을 강하게 하며
장위(腸胃)를 두껍게 한다."

<뿔>


1, <중약대사전>: "청열(淸熱), 진경(鎭驚), 명목(明目), 해독하는 효능이 있다. 소아의 경간(驚癎), 풍열두통(風熱頭痛), 번민, 토혈, 청맹과니, 종독을 치료한다."

2, <신농본초경소>: "청맹과니를 치료하고 눈을 밝게 하며 옴벌레를 없애고 한설(寒泄)을 멎게 하며 경계(驚悸)를 진정시킨다."

3, <명의별록>: "백절중(百節中)의 결기(結氣), 신경성 두통 및 토혈, 여성의 산후 여통(餘痛)을 치료한다."

4, <약성론>: "산후의 악혈(惡血), 번민을 치료할 때는 태운 재를 술로 복용한다. 또한 소아의 경간을 치료한다."

5, <식료본초>: "뿔을 태운 재로 누하(漏下)의 악혈(惡血)을 치료한다."

[용법과 용량]

<고기>


<중약대사전>: "내복: 삶거나 물로 달여서 복용한다."

<뿔>

<중약대사전>: "내복: 3.7~7.4g을 물로 달여서 복용하거나 혹은 약성이 남게 태운 다음 갈아서 가루로 만들어 먹는다.

외용: 태운 다음 달아서 가루로 만들어 개어서 바른다."

[배합(配合)과 금기(禁忌:
주의사항)]

<고기>


1, <중약대사전>: "외감시사(外感時邪) 또는 숙열(宿熱)이 있는 사람이 복용해서는 안 된다."

2, <금궤요략>: "숙열(宿熱)이 있는 사람은 금기이다."

3, <신농본초경집주>: "반하(半夏), 창포(菖蒲)가 들어 있는 약을 쓰는 사람은 양고기를 먹으면 안 된다."

4, <천금, 식치>: "격심하게 하리(下痢)한 다음에는 양고기, 골수 및 뼈국을 먹지 말아야 한다. 먹으면 번열이 잘 내리지 않고 설사를 일으킨다."

5, <의학입문>: "원래 담화(痰火: 천식)가 있는 사람이 먹으면 골증(骨蒸)을 일으킨다."

<뿔>


<신농본초경집주>: "토사자(
菟絲子)를 사(使)로 한다."

양의 효능에 대해서 박영준의
<한방동물보감> 419-421면에서는 다음과 같이 알려주고 있다.

[
양고기

기원:
소과 동물, 산양 또는 면양의 고기.

성미:
맛이 달고 성질이 따뜻하다. 비장과 신장에 작용한다.

성분:
지방, 당, 칼슘, 인, 철, 티아민, 락토플라빈, 니코틴산, 아스코르빈산, 콜레스테롤, 트립시노겐 등이 들어 있다.

약효:
비위의 기능을 강화시켜서 위와 대소장의 근육을 생기게 하고 소화 흡수가 잘 되므로 양고기를 먹으면 살이 찐다. 성질이 따뜻하여 뱃속을 덥혀 주므로 아랫배가 차고 당기며 아픈 한산을 치료한다. 허리와 다리, 무릎의 뼈와 근육, 인대를 강화시키고 혈액순환을 잘 시키므로 시리고 아픈 증상을 해소한다.

남자가 지나친 스트레스와 노동으로 몸이 피혜해졌을 때 양고기를 먹으면 힘이 생기고 머리가 맑아지며 정력이 증강된다.

몸이 약해져서 손발이 차고 추위를 많이 타며 찬 것을 싫어하는 경우, 머리에 땀이 많이 나는 경우, 임산부가 아이를 낳고 심신이 피로해졌을 때 먹으면 아주 좋다. 마음을 안정시키는 작용이 있어 마음이 약해 잘 놀라는 아이에게 먹이면 좋다.

양의 뱃속에 있는 태는 신장이 약하여 몸이 여위는 경우에 사용한다.
양의 껍질에는 멜라닌 색소와 지방이 많이 포함되어 있다. 특히 면양에 지방이 많다. 털을 제거하고 껍질을 국으로 끓여 먹으면, 몸의 정력을 많이 소모하여 기혈이 부족한것이 허로의 병인데, 따라서 밥맛이 없어 잘 먹지 않게 되고 어깨가 무겁고 허리와 등이 뻐근하게 아프며 식은 땀이 나는데 좋다. 오랜 병을 앓아서 몸에 살이 없고 옆구리에서는 물이 차고 음식을 제대로 먹지 못하는데, 팔다리에 열이 달아오르는 경우 양위 1개와 삽주뿌리 300g을 넣고 끓여서 하루에 3번씩 3일간 먹는다. 양젖은 심장과 폐를 윤택하게 하여 당뇨로 인한 갈증을 해소하고 얼굴을 윤택하게 하고 정신을 맑게 한다.

양의 췌장은 아밀라제, 팡크레아틴, 트립신, 카르복시펩티다제, 뉴클레아제, 락타제 등이 있다. 오랫동안 낫지 않는 기침과 부인의 대하, 각종 종기, 부스럼, 그리고 기미를 없앤다.

양의 뇌에 들어 있는 아스코르빈산, 락토프라빈, 니코틴산, 티아민, 레시틴, 세베브로시드, 단백질, 지방, 칼슘, 인, 철은 피부를 윤택하게 하고 기미를 제거한다. 오래도록 낫지 않는 두통을 치료한다.

주의 사항:
감기로 열이 있거나 원래 속에 열이 있는 사람은 먹지 않는 것이 좋다. 심하게 설사를 한 후에 양고기와 골수 뼈의 즙을 먹으면 속에 열이 생겨서 가슴이 답답해 진다.

맞는 체질:
소음인.

[양의 심장]


성미:
맛이 달고 성질이 따뜻하다.

약효:
맺힌 것을 풀어주는 작용이 있어서, 감정으로 마음이 상하고 스트레스로 기가 가슴에 몰린 것을 풀어준다. 심장을 강하게 하는 역할을 이용하여 잘 놀라고 그 때마다 두근거리는 증상에 사용한다.

[양의 간]


성미:
맛이 달고 쓰며 성질이 서늘하다.

성분:
단백질, 지방, 당, 칼슘, 인, 철, 티아민, 니코틴산, 아스코르빈산, 비타민 A가 있다.

약효:
철분이 많이 함유되어 있어서 피를 형성하는데 도움을 주므로 빈혈에 좋다. 간에 필요한 각종 영양소와 미네랄 등이 있으므로 간이 튼튼해지고 눈이 밝아진다. 그러므로 간이 약해져 생기는 야맹증과 눈이 아두워지고 별이 보이는 증상을 치료한다.

[양의 갑상선]


맛이 달고 성질은 따뜻하다. 단순성 갑상선종이나 지방변성 갑상선종에 사용한다. 후자는 목에 비교적 큰 멍우리가 넗게 퍼져서 생기는 것으로 눌러보면 물렁물렁하다. 젊은 여성에 많은 것으로 피부색은 정상이다. 기분이 나쁘고 스트레스를 받으면 커진다.

[양의 골수]


맛이 달고 성질은 따뜻하다. 폐에 열이 있어서 진액이 소모되면 피부와 털이 거칠어지고 위축되며 기침을 하고 숨이 차게 된다. 근육과 뼈, 살이 영양 장애로 인하여 힘이 없어지고 가늘어질 때 양의 골수를 먹으면 치료가 된다. 이는 양의 골수에 피부를 윤택해지게하고 근육과 살을 튼튼히 하는 작용이 있기 때문이다.

[양의 고환]


한약명은 양외신(羊外腎)이며 맛이 달고 성질은 따뜻하다. 신장을 튼튼히 하여 허리 아름 증상과 여성의 대하를 치료한다. 양의 고환에는 호르몬이 들어 있어 남성의 발기부전이나 소변을 찔끔찔끔 자주 보는 것, 그리고 고환이 붓고 아픈 증상을 치료한다. 양외신을 먹으면 힘이 솟아나서 작업의 능률이 오른다. 식은땀과 당뇨에도 좋다. 발기부전과 허약증에 10~15g을 먹는다.
]

양 몸속 간장의 효능에 대해서 중국에서 펴낸 <중국본초도록> 제 1권 255면 483호에서는 다음과 같이 기록하고 있다.

[면양(綿羊)

기원: 우과(牛科: Bovidae) 동물인 면양(綿羊=양: Ovis aries L.)의 간장(肝臟)이다.

형태: 몸길이는 1∼1.2m로서 체구가 풍만하고 넓게 퍼져있다. 수컷은 뿔이 큰 데 나선상의 만곡을 나타내며 어미 양은 뿔이 없거나 가늘면서 작다. 머리는 길고 목은 짧으며 키가 크고, 주둥이는 좁으며 입술은 긴 입술로 얇으며 영활하다. 사지(四肢)는 강건하고, 꼬리의 형태는 수장미(瘦長尾)와 비미(肥尾)의 두 종류가 있다. 전체는 빽빽한 면모(綿毛)로 덮이는데 털은 유연하고 말려있으며 대부분 백색(白色)이다.



분포: 집에서 기르는 가축으로 전 중국에 고루 분포되어 있으며 서북과 북부지역에 많다.

채취 및 제법: 도살한 뒤 배를 가르고 간장(肝臟)을 꺼낸다.

성분: 여러 종류의 영양물질과 vitamin A, B12 등.

기미: 맛은 달고 쓰며 성질은 서늘하다.

효능: 자보(滋補), 강장(强壯), 명목(明目).

주치: 야맹증(夜盲症), 빈혈(貧血), 허약소수(虛弱消瘦).

용량: 3∼6g.

참고문헌: 회편(滙編), 하권, 885면.]

양 및 산양으로 질병을 치료하는 방법은 아래와 같다.

<고기>


1, 신기(腎氣)를 보양하고, 양도(陽道)를 강하게 하는 처방

지방을 제거한 흰 양고기 반 근을 날 것으로 마늘과 같이 3일에 한 번씩 복용한다. [식의심경(食醫心鏡)]

2, 오로칠상(五勞七傷)에 의한 허냉(虛冷)

비양육(肥羊肉) 다리 1개를 뚜껑을 꼭 덮고 고아서 국과 고기를 복용한다. [본초강목(本草綱目)]

3, 산후의 복중산통(腹中疝痛), 복중한산(腹中寒疝), 허로부족(虛勞不足)

당귀(當歸) 3냥, 생강(生薑) 5냥, 양육(羊肉) 1근에 물 8되를 넣고 3되가 되게 고아 1일 3회씩 복용한다. [금궤요략(金
要略), 당귀생강양육탕(當歸生薑羊肉湯)]

4, 아침에 식사하면 밤에 토하고 밤에 식사하면 아침에 토하는 반위(反胃)

지방막을 제거하고 말린 양고기를 마늘이나 향신료(香辛料)와 함께 공복에 적당히 복용한다. [맹선(孟詵), 필효방(必效方)]

5, 허한학질(虛寒
瘧疾)
양고기로 비병(肥餠)을 만들어 많이 먹고 저녁에 술을 마신 다음 더운 곳에 누워 땀을 낸다. [요승탄집험방(姚僧坦集驗方)]

6, 삼음학(三陰
), 구학(久)
양고기오 갑어(甲魚)를 쓰는데 추울 때는 양고기를 많이 넣고 더울 때는 갑어(甲魚)를 많이 넣어 설탕과 소금을 넣어 고아서 작은 사발로 한사발씩 복용한다. [절강중의잡지(浙江中醫雜誌)]

7, 위한하리(胃寒下痢)

양고기 1근, 낭탕자(
莨菪子) 가루 1냥을 잘 섞어 솜으로 싸서 하복부에 댄다. [외대비요방(外臺秘要方)]

8, 붕중거혈(崩中去血), 적시부지(積時不止)

지방질이 많은 양고기 3근, 건강(乾薑)과 당귀(當歸) 각 3냥, 생지황(生地黃) 2근을 가늘게 썬 다음 물 2말을 넣고 양고기를 고아 1말 3되를 만들고 지황(地黃)즙 및 기타 약재를 넣어 고아서 3되가 되게 한 후 4회로 나누어 복용한다. 여위고 약한 사람이 이것을 먹으면 매우 좋다. [천금방(千金方)]

<>

9,




<뿔>


00, 소아 간질

고양각(
羖羊角)을 약성이 남게 태운 것을 술로 적은 양을 복용한다. [보제방(普濟方)]

00, 풍(風)으로 마음이 번거롭고 황홀하며 배가 아프고 때로는 민절(悶絶)한 후에 깨어날 때

고양각(
羖羊角)의 부스러기를 약간 볶고 보드랍게 찧어 체로 쳐서 가루로 만든다. 수시로 알맞게 데운 술로 3.7g을 복용한다. [태평성혜방(太平聖惠方)]

00, 급성 토혈이 멎지 않을 때

계심(桂心) 37g, 노르스름하게 볶아 구운 양각(羊角) 2개를 찧어 체로 쳐서 가루를 만든다. 수시로 찹살죽으로 7.4g을 복용한다. [태평성혜방(太平聖惠方)]

00, 타박상으로 인한 통증

양각(羊角)의 부스러기를 설탕물에 넣고 휘저어, 기와 위에서 구운 다음 가루를 낸다. 1회 7.4g을 술로 복용하고 바로 아픈 곳을 문지른다. [간편단방(簡便單方)]

00, 몸이나 얼굴에 갑자기 생긴 붉은 반점 혹은 관자종(
子腫)이 생겼을 때
고양각(
羖羊角)을 태운 재를 달걀 흰자위 고루 섞어서 바른다. [주후방(肘後方)]

00, 수사(水瀉)를 자주하고 잘 낫지 않을 때

고양각(
羖羊角) 1개에 백반(白礬)을 채워넣고 태운 재를 보드랍게 갈아서 가루로 만든다. 매 식전에 새로 길은 물에 개어서 7.4g을 복용한다. [태평성혜방(太平聖惠方)]

00.
추위를 타는 것을 막는 음식-5향 양고기
양고기는 소고기보다 카로리 함량이 더 많으므로 이것을 먹으면 추위를 타지 않을 수 있다. 양고기 500g을 큼직큼직하게 토막내어 삶아 식힌다. 그리고 회향, 계피, 화초, 생강, 후추가루를 각각 같은 양으로 섞은 다음 5g을 소금(식염)과 술을 적당히 넣고 섞는다. 삶은 양고기를 얇게 썰어 5향가루로 된 조미료에 버무려 반찬으로 먹는다. [출처: 건강은 보배 105면]


[각가(各家)의 논술(論述)]


<고기>


<이고(李
)>: "양고기는 맛이 달고 성질이 뜨거우며 혈허(血虛)를 잘 보양할 수 있는 효과가 뚜렷한 물질이다. 또한 형태가 있는 기육(肌肉)의 기(氣)를 잘 보양한다. 대체로 약미(藥味)가 양고기와 같은 것은 모두 보(補)할 수 있다. 따라서 보(補)는 허약한 것을 제거한다고 할 수 있다. 인삼, 양고기가 이에 속한다. 인삼은 보기(補氣)하고 양고기는 보형(補形)한다."

<뿔>


<신농본초경소(神農本草經疏)>: "양각(羊角)은 폐(肺), 간(肝), 심(心)의 3경(經)에 들어가는 약이며 특히 간(肝)에 잘 들어간다. <신농본초경(神農本草經)>에서 이르기를 '고양각은 짜고 따뜻하다' 하였고 <명의별록(名醫別錄)>에서는 '쓰고 약간 차다'하였으며
견권(甄權)은 아주 차다하였는데 그 효능을 가만히 살펴보면 고양각은 쓰고 차다. 고한(苦寒)하지 않으면 청맹과니, 신경성 두통, 토혈, 경계(驚悸)를 치료하고 옴벌레를 없앨 수 없다. 대개 청맹은 간열(肝熱)로 인하여 생기고 경계(驚悸)는 심열(心熱)로 인하여 생기며 옴벌레는 습열(濕熱)로 인하여 생기고 신경성 두통은 화열(火熱)이 상승하여 생기며 토혈은 열독(熱毒)이 혈(血)을 손상하여 생긴다. 고한(苦寒)은 한마디로 말해서 여러 가지의 열을 없앨 수 있기에 상술한 여러 증상을 치료할 수 있다. 그것은 또한 백절중(百節中)의 결기(結氣), 여성의 산후여통(産後餘痛)을 치료할 수 있는데 이것 역시 혈(血)의 열기(熱氣)가 막혀 된 것이다."

양의 다양한 쓰임새와 관련하여 <성경통찰> 제 2권 145-147면에서는 다음과 같이 기록하고 있다.

[양(sheep)

목축 생활에서 중요한 동물 가운데 하나. (창 24:35; 26:14) 양은 반추 동물 즉 되새김질을 하는 동물이다. 고대 팔레스타인에서 우세종은 오늘날과 마찬가지로 꼬리가 넓적한 양이 주종을 이루었을 것이다. 이 양은 눈에 띄게 기름진 꼬리가 특징인데, 꼬리의 무게는 대개 약 4.5킬로그램 또는 그 이상 나간다. (출 29:22; 레 3:9 비교) 양은 일반적으로 색깔이 하얀색이었지만(아 6:6), 암갈색 양이나 얼룩덜룩한 양도 있었다. (창 30:32) 목축 사회에서 욥과 같은 큰 부자는 수천 마리의 양을 소유하였다. (욥 1:3, 16; 42:12) 아마도 이스라엘 사람들은 어린양을 애완동물로도 키웠을 것이다.—삼하 12:3; 렘 11:19.

사육하는 양은 목자가 없을 때 무력하고 두려워한다. 양들은 길을 잃고 흩어지며 완전히 적들의 손아귀에 들어가고 만다. (민 27:16, 17; 렘 23:4; 겔 34:5, 6, 8; 미 5:8) 양은 인도를 받아들이며 목자를 충실하게 따른다. 양은 목자의 음성을 알아들을 수 있으며 그에게만 반응을 보인다. (요 10:2-5) J. 하틀리 저 「그리스와 레반트 지방에서의 연구」(
Researches in Greece and the Levant, 런던, 1831년, 321, 322면)의 한 구절은 이 점을 다음과 같이 설명해 준다.

“지난밤에 나는 요한 10:3의 말씀에 주의를 돌려서 ··· 양에게 이름을 붙여 주는 것이 그리스에서 보통 있는 일인지 하인에게 물어보았다. 그는 그렇다고 하면서, 목자가 양의 이름을 부르면 양은 목자의 말에 따른다고 알려 주었다. 오늘 아침 나에게는 이 말이 사실이라는 것을 확인해 볼 수 있는 기회가 있었다. 양 떼를 지나가면서 하인에게 했던 것과 같은 질문을 목자에게 하였더니, 목자도 나에게 같은 대답을 해 주었다. 그래서 그에게 양 한 마리를 불러 보라고 하였다. 목자가 양 한 마리를 부르자, 양은 즉시 목초와 무리를 떠나 기쁨을 표현하면서 달려와 목자의 손에 안겼다. 나는 그처럼 즉각 순응하는 것을 전에 그 어떤 동물한테서도 보지 못하였다. 또한 이 나라의 양들이
낯선 사람은 따라가지 않고 그에게서 도망한다는 것도 사실이다. ··· 목자가 나에게 해 준 말에 따르면, 그의 양들 중 여러 마리가 아직도 길들여지지 않아서 아직 자기의 이름을 익히지 못하였지만 가르치면 모두 이름을 익히게 될 것이라고 한다.”—목자 참조.

고대에 양을 기르기에 적합했던 지역 중에는 네게브(삼상 15:7, 9), 하란(창 29:2-4), 미디안 땅(출 2:16), 갈멜의 도시가 있었던 유다 산간 지방(삼상 25:2), 우스 땅(욥 1:1, 3), 바산과 길르앗(신 32:14; 미 7:14)이 있었다.

양은 히브리인들과 다른 민족들에게 여러 가지 생산물을 제공해 주었다. 숫양의 뿔로는 용기나 뿔나팔을 만들었다. (수 6:4-6, 8, 13; 삼첫 16:1) 양가죽은 때때로 의복으로 쓰였고(히 11:37), 붉게 염색한 숫양 가죽은 장막 건축에 쓰였다. (출 26:14) 양털로 짜서 만든 모직물은 아마도 가장 일반적인 의복 재료였을 것이다. (욥 31:20; 잠 27:26) 양은 중요한 교역품 중 하나였으며(겔 27:21), 조공으로 바치기까지 하였다. (왕둘 3:4; 대둘 17:11) 양의 젖과 고기는 모두 식품으로 쓰였다. (신 14:4; 32:14; 삼둘 17:29; 사 7:21, 22) 양고기와 어린양 고기는 왕들과 총독들과 기타 사람들이 일상적으로 즐겨 먹던 음식이었다.—삼첫 8:17; 왕첫 4:22, 23; 느 5:18; 암 6:4.

고기는 삶거나 구워서 조리하였다. 유월절 때에는 일 년 된 숫양이나 숫염소를 가죽을 벗기고 내장을 씻은 후에 통째로 구웠다. (출 12:5, 9) 양을 삶아서 조리할 때는 먼저 가죽을 벗기고 토막을 내었다. 때때로 뼈를 깨서 골수를 빼내기도 하였다. 그리고 살과 뼈를 큰 그릇에 함께 넣고 삶았다. (겔 24:3-6, 10; 미 3:1-3) 일단 고기가 다 익으면, 고기를 솥에서 꺼내고, 남은 국물은 따로 식탁에 올렸다. (판 6:19 비교) 어린양 고기를 손님에게 대접하는 것은 후대의 표현이었다.—삼둘 12:4.

양털을 깎는 때는 기대감을 가지고 기다리는 때였는데, 그때가 수확하는 때와 비슷하였기 때문이다. 이때는 잔치를 벌이고 즐겼다.—삼첫 25:2, 11, 36; 삼둘 13:23, 24, 28.

모세의 율법은 양의 기름을 먹는 것과(레 7:23-25), 양과 그 새끼를 같은 날 잡는 것을 금하였다. (레 22:28) 또한 율법에는 길을 잃은 양과 잃어버렸거나 병신이 되거나 도둑을 맞은 양과 관련된 문제를 다루는 규정이 포함되어 있었다. (출 22:1, 4, 9-13; 신 22:1, 2) 이스라엘의 양 떼와 소 떼가 축복을 받느냐 저주를 받느냐는 이스라엘이 하느님의 법에 순종하느냐에 달려 있었다.—신 7:12, 13; 28:2, 4, 15, 18, 31, 51.

양은 인류 역사 초기부터 희생으로 바쳐졌다. (창 4:2, 4; 22:7, 8, 13; 욥 42:8) 율법 아래서 처음 난 어린 숫양은 모두 희생으로 바쳐야 하였지만, 적어도 팔 일은 되어야 바칠 수 있었다. 처음 난 수나귀를 구속하기 위해서도 양을 바쳐야 하였다. (출 34:19, 20; 레 22:27) 숫양은 죄과 제물(레 5:15, 16, 18; 6:6), 번제물(레 9:3; 16:3; 23:12), 친교 희생(레 9:4)으로 바쳐졌다. 또한 숫양은 아론계 제사장을 위한 임직식 제물로도 쓰였다. (출 29:22; 레 8:22-28) 매일 일 년 된 숫양 두 마리는 항상 바치는 번제물로 쓰였다. (출 29:38-42) 항상 바치는 번제물과는 별도로, 월초에 그리고 연례 축제와 관련하여 숫양과 어린 숫양을 희생으로 바쳤다. (민 28:11, 17-19, 26, 27; 29:1-38) 숫양은 이스라엘의 제물들 가운데 그처럼 두드러진 것이어서 예언자 사무엘은 “숫양의 기름”을 “희생 제물”의 대구 표현으로 사용하였다. (삼상 15:22) 하지만 때때로 어린 암양도 친교 희생(레 3:6), 속죄 제물(레 4:32; 민 6:14), 죄과 제물(레 5:6)로 바칠 수 있었다.

예언적·비유적 용법: 성경에서 흔히 “양”은 방어 능력이 없고 순진한, 때로는 학대받는, 여호와의 백성을 의미하기도 한다. (삼하 24:17; 시 44:11, 22; 95:7; 119:176; 마 10:6, 16; 요 21:16, 17; 로 8:36) 불충실한 목자 또는 지도자 아래서 하느님의 양들인 이스라엘 사람들은 큰 고통을 받았다. 여호와께서는 예언자 에스겔을 통하여 방치된 양들의 몹시 애처로운 상태를 다음과 같이 표현하셨다. “너희는 ··· 양 떼는 먹이지 않는다. 너희는 병약한 양들을 강하게 하지 않았고, 병든 양을 고쳐 주지 않았으며, 상한 양을 싸매어 주지 않았고, 흩어진 양을 다시 데려오지 않았으며, 잃어버린 양을 찾으려고 하지 않았다. 오히려 거칠고도 포학하게 그들을 복종시켰다. 그래서 그들은 목자가 없기 때문에 점차 흩어졌다. 온갖 들짐승의 먹이가 되[었다].” (겔 34:3-5) 그와는 대조적으로 예수의 인도를 따르는 그분의 양들은 “적은 무리”나 “다른 양들” 모두 훌륭한 보살핌을 받는다. (누 12:32; 요 10:4, 14, 16; 계 7:16, 17) 예수께서는 그분의 형제들 중 가장 작은 자에게 선을 행하는 사람들을 양에 비유하셨지만, 그렇게 하기를 거부하는 사람들은 염소에 비하셨다.—마 25:31-45.

“숫양”은 때때로 사람을 나타내기도 하는데, 특히 멸망받게 되어 있는 압제적인 국가 지도자들을 나타낸다. (렘 51:40; 겔 39:18) 에스겔 34:17-22에서 숫양과 숫염소와 살찐 양은 이스라엘의 불충실한 지도자들을 상징한다. 그들은 자기들을 위하여 제일 좋은 것들을 착복하고서, 마르고 병든 양들 곧 압제받고 착취당하며 혹사당하는 사람들을 위하여 남겨진 것은 더럽혔다.

예수 그리스도는 예언적으로 도살장에 끌려가는 양과 털 깎는 사람 앞에서 잠잠히 있는 암양으로 묘사되었다. (사 53:7; 행 8:32, 35. 베전 2:23 비교) 예수의 희생적인 역할 때문에, 침례자 요한은 예수를 “세상의 죄를 없애시는 하느님의 ‘어린 양’”이라고 밝히며, 계시록에서는 하느님의 아들을 가리켜 거듭거듭 “어린 양”이라고 부른다.—요 1:29; 계 5:6; 6:16; 7:14, 17; 14:1; 17:14; 19:7.

메디아·페르시아 세계 강국은 비유적으로 길이가 다른 두 개의 뿔을 가진 숫양으로 표현되었다. 긴 뿔은 페르시아의 왕들이 우월해진 것을 의미하였을 것으로 생각된다. (단 8:3-7, 20) 계시록 13:11에 나오는 땅에서 올라온 야수는 어린양처럼 두 뿔을 가지고 있는데, 이것은 해를 주지 않을 것처럼 보인다는 것을 암시한다. 그와 비슷하게 예수께서는 거짓 예언자들을 양의 덮개를 쓴 이리라고 말씀하셨는데, 그것은 그들이 해가 없어 보이지만 위험하기 때문이었다.—마 7:15.

‘숫양처럼 껑충껑충 뛰는 산’이라는 비유는 여호와께서 이스라엘에게 율법을 주실 때에 시나이 산이 진동한 것(출 19:18)을 암시하는 듯하다.—시 114:4-6. 시 29:5, 6; 68:8 비교.

들양: 히브리어 테오는 “들소”(「킹」), “영양”(「표준」, AS), “가젤”(Ro)로 다양하게 번역되었다. 하지만 쾰러와 바움가르트너 공편 「구약 성서 사전」(Lexicon in Veteris Testamenti Libros, 라이덴, 1958년, 1016면)은 “들양”을 가능한 번역 표현으로 제시하며, 그에 따라 신명기 14:5과 이사야 51:20에 이 단어는 “들양”으로 번역되어 있다.

들양은 그 외피로 사육하는 양과 구별되는데, 들양의 외피는 양모가 아니라 거친 털로 되어 있다. 현재 지리적으로 팔레스타인에서 가장 가까운 곳의 야생종 양은 아르메니아들양(Ovis gmelini)으로, 소아시아와 이란 동부의 산맥에 살고 있다. 이 종의 숫양은 어깨높이가 0.9미터가 채 안 된다.]

양은 반추동물 즉 소처럼 되새김질을 하는 동물 중 하나이다. 팔레스타인에서 우세종은 꼬리가 넓적한 양이 주종을 이루고 있고 눈에 띄게 기름진 꼬리가 특징인데, 꼬리의 무게는 약 5킬로그램 또는 그 이상 나간다.

양은 일반적으로 색깔이 하얀색이지만, 암갈색양이나 얼룩덜룩한 양도 있다. 또한 사람들은 말을 잘듣고 순종을 잘하는 어린양을 '애완동물'로 키웠다. 이러한 말을 잘 듣는 특성 때문에 양은 방어 능력이 없고 순진하기 때문에 폭군이나 불충실한 목자 또는 지도자 아래서 학대받는 사람들을 의미하기도 하였다.

사육하는 양들은 양을 돌보는 목자가 없을 때 무력하고 두려워한다. 양들은 길을 잃고 흩어지면 완전히 온갖 들짐승들의 손아귀에 들어가서 잡혀먹기도 한다.

양은 인도를 받아들이며 양을 치는 목자를 충실하게 잘 따르는 것이 특징이다. 양은 목자의 음성을 알아들을 수 있으며 그에게만 반응을 보이기도 한다.

그렇다. 어린양은 애완동물로 기르며, 양은 우리 인간에게 털과 가죽을 제공해 주어 옷으로 만들어 입기도 하고, 뼈와 살코기는 사람의 식탁에 올라오며 양의 젖도 훌륭한 식품으로 쓰이고 있다. 숫양의 뿔은 용기나 뿔나팔을 만드는 재료로 쓰인다. 붉게 염색한 숫양 가죽은 장막 건축에 사용되기도 한다. 이처럼 쓰임새와 용도가 다양한 양을 주신 조물주께 사람들은 고마움을 느껴야 할 것이다.

상기 자료는 약초연구가로서 지구상에 존재하는 천연물질의 우수성을 널리 알리고 질병으로 고통을 겪고 있는 환우들에게 희망을 주며 기능성 식품과 신약을 개발하는데 통찰력을 갖게하고 약초를 사랑하는 모든 사람에게 정보의 목적으로 공개하는 것임을 밝혀 둔다.  

(글/ 약초연구가 & 동아대 & 신라대 대체의학 외래교수 전동명)

양 사진 감상: 1, 2, 3, 4, 5, 6, 7, 8, 네이버+구글+다음+일본구글+대만구굴: 1, 2, 3, 4,

산양 사진 감상: 네이버+구글+일본구글+대만구글: 1, 2, 3, 4,

문의 및 연락처: 010-2545-0777 ; 051-464-0307

주소: http://jdm0777.com

페이스북 주소: http://www.facebook.com/jdmsanyacho

메일: jdm0777@naver.com

참조: 아래의 다양한 나비와 나방, 갑각류, 패류, 곤충들, 어류, 양서류, 파충류, 조류, 포유류, 해조류, 환형동물들도 함께 고려해 보시기 바랍니다.

 

 

  1. 가리비(밥조개) 무엇인가?
  2. 가마우지똥(노자시) 무엇인가?
  3. 가물치 무엇인가?
  4. 감태 무엇인가?
  5. 갑오징어 무엇인가?
  6. 개(반려견) 무엇인가?
  7. 개조개 무엇인가?
  8. 갯장어(하모) 무엇인가?
  9. 거머리(수질) 무엇인가?
  10. 거북이(남생이) 무엇인가?
  11. 게 무엇인가?
  12. 고둥 무엇인가?
  13. 고등어 무엇인가?
  14. 고래 무엇인가?
  15. 고슴도치 무엇인가?
  16. 고양이 무엇인가?
  17. 곰피 무엇인가?
  18. 구렁이 무엇인가?
  19. 군부 무엇인가?
  20. 군소 무엇인가?
  21. 굴(참굴) 무엇인가?
  22. 귀뚜라미 무엇인가?
  23. 김 무엇인가?
  24. 까마귀 무엇인가?
  25. 까치 무엇인가?
  26. 꾀꼬리 무엇인가?
  27. 꾀꼬리똥 무엇인가?
  28. 꿩 무엇인가?
  29. 꿩똥(치시) 무엇인가?
  30. 날개어리게 무엇인가?
  31. 날다람쥐(누서) 무엇인가?
  32. 넓적배사마귀 무엇인가?
  33. 네발나비 무엇인가?
  34. 노린재(구향충) 무엇인가?
  35. 누룩뱀 무엇인가?
  36. 누에 고치(잠견) 무엇인가?
  37. 누에 나방(원잠아) 무엇인가?
  38. 뉴트리아 무엇인가?
  39. 다람쥐 무엇인가?
  40. 다슬기 무엇인가?
  41. 다시마 무엇인가?
  42. 달고기 무엇인가?
  43. 달팽이 무엇인가?
  44. 닭 무엇인가?
  45. 닭똥(계분) 무엇인가?
  46. 도다리 무엇인가?
  47. 돼지 무엇인가?
  48. 두꺼비 무엇인가?
  49. 두더지(언서) 무엇인가?
  50. 두루미똥(학똥) 무엇인가?
  51. 땅벌 무엇인가?
  52. 뜸부기 무엇인가?
  53. 로열젤리(왕벌젖) 무엇인가?
  54. 말 무엇인가?
  55. 말똥성게 무엇인가?
  56. 말벌(장수말벌) 무엇인가?
  57. 말벌집(노봉방) 무엇인가?
  58. 매생이(매산태) 무엇인가?
  59. 먹장어(꼼장어) 무엇인가?
  60. 메기 무엇인가?
  61. 메추리 무엇인가?
  62. 멧돼지 무엇인가?
  63. 명태 무엇인가?
  64. 무당거미(낙신부) 무엇인가?
  65. 무자치(물뱀, 수사) 무엇인가?
  66. 문어 무엇인가?
  67. 미국흰불나방 무엇인가?
  68. 미꾸라지 무엇인가?
  69. 미꾸리 무엇인가?
  70. 미역 무엇인가?
  71. 민달팽이(알달팽이) 무엇인가?
  72. 바다뱀(해사) 무엇인가?
  73. 바퀴벌레(장랑) 무엇인가?
  74. 박쥐(복익) 무엇인가?
  75. 박쥐똥(야명사) 무엇인가?
  76. 방아깨비 무엇인가?
  77. 백사(순백사, 홍백사, 황백사, 설상사) 무엇인가?
  78. 뱀 무엇인가?
  79. 뱀술(사주) 무엇인가?
  80. 뱀장어 무엇인가?
  81. 뱀허물 무엇인가?
  82. 벌꿀(봉밀) 무엇인가?
  83. 복어 무엇인가?
  84. 봉독(벌침, 꿀벌독) 무엇인가?
  85. 봉침요법 무엇인가?
  86. 부산입술대고둥 무엇인가?
  87. 부채새우 무엇인가?
  88. 불가사리 무엇인가?
  89. 불개미(개미) 무엇인가?
  90. 붉은불개미(살인 개미) 무엇인가?
  91. 붕어 무엇인가?
  92. 붕장어(아나고) 무엇인가?
  93. 비둘기 무엇인가?
  94. 비둘기똥(좌반룡) 무엇인가?
  95. 뿔날개잎말이나방 무엇인가?
  96. 사마귀 알집(상표초) 무엇인가?
  97. 사마귀(당랑) 무엇인가?
  98. 산개구리 무엇인가?
  99. 살모사독 무엇인가?
  100. 삼광조(긴꼬리딱새) 무엇인가?
  101. 새우 무엇인가?
  102. 성게(보라성게) 무엇인가?
  103. 수리부엉이 무엇인가?
  104. 숭어 무엇인가?
  105. 아주까리누에나방 유충(피마잠) 무엇인가?
  106. 알달팽이(민달팽이) 무엇인가?
  107. 암끝검은표범나비 무엇인가?
  108. 연어 무엇인가?
  109. 오골계 무엇인가?
  110. 오골계똥(오자계시백+오자계분) 무엇인가?
  111. 오리 무엇인가?
  112. 오리똥(백압시) 무엇인가?
  113. 오소리(구환) 무엇인가?
  114. 오징어 무엇인가?
  115. 옥색긴꼬리산누에나방 무엇인가?
  116. 왕달팽이 무엇인가?
  117. 왕흰줄태극나방 무엇인가?
  118. 왜가리 무엇인가? 
  119. 우렁이 무엇인가?
  120. 우리벼메뚜기 무엇인가?
  121. 우뭇가사리 무엇인가?
  122. 우황 무엇인가?
  123. 원숭이 무엇인가?
  124. 유리산누에나방 무엇인가?
  125. 유황오리 무엇인가?
  126. 은무늬모진애나방 무엇인가?
  127. 잉어 무엇인가?
  128. 자라 무엇인가?
  129. 전복 무엇인가?
  130. 제비(가연) 무엇인가?
  131. 제비똥(연시) 무엇인가?
  132. 족제비(황서) 무엇인가?
  133. 쥐 무엇인가?
  134. 지네(오공) 무엇인가?
  135. 지렁이 무엇인가?
  136. 징거미새우(흑새우) 무엇인가?
  137. 참게 무엇인가?
  138. 참새 무엇인가?
  139. 참새똥(작시) 무엇인가?
  140. 천산갑 무엇인가?
  141. 철갑둥어 무엇인가?
  142. 철갑둥어 무엇인가?
  143. 청각 무엇인가?
  144. 청개구리 무엇인가?
  145. 청설모 무엇인가?
  146. 칠성장어 무엇인가?
  147. 크릴새우 무엇인가?
  148. 큰실말 무엇인가?
  149. 큰자라(원) 무엇인가?
  150. 토끼 무엇인가?
  151. 토종꿀벌(야생꿀벌) 무엇인가?
  152. 톳 무엇인가?
  153. 파래 무엇인가?
  154. 파충류의 세계 - 뱀의 신비
  155. 포플라잎말이명나방 무엇인가?
  156. 풀무치 무엇인가?
  157. 풍선말미잘 무엇인가?
  158. 프로폴리스(벌풀) 무엇인가? 
  159. 해변말미잘 무엇인가?
  160. 해삼 무엇인가?
  161. 해파리 무엇인가?
  162. 호랑나비 무엇인가?
  163. 홍합 무엇인가?
  164. 황소개구리 무엇인가?
  165. 후투티(오디새) 무엇인가?
  166. 흰개미 무엇인가?
  167. 흰띠알락나방 무엇인가?

 

 

※ 아래에 jdm 필자가 2014년 11월 8일 부산 광복동 롯데백화점 옥상의 양과 2023년 4월 22일 해운대수목원에서 찍은 양의 사진도 감상해 보시고 행복하시기 바랍니다~~~^.^

 

 

홈페이지 주소 : http://jdm0777.com 클릭하시면 홈으로 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