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뇌환(雷丸) 무엇인가? ≫

병든 참대나무 뿌리에 기생하는 뇌환균 버섯

 

 

 

 

 

 

 

 

noehwan-1

noehwan-1

 

 

[병든 참대나무 뿌리에 기생하는 뇌환, 뇌환을 얇게 썰은 모습, 사진출처: 일본/대만/한국 구글 이미지 검색]

▶ 기혈의 흐름이 막힌 것을 뚫어주는 작용, 간기능 활성화 작용, 구충 작용, 해열 작용, 해독 작용, 설사 작용, 살충 작용, 소아풍간경련, 촌백충을 배출하는 데,
삼충[촌백충, 십이지장충, 요충]을 없애는 데, 소감하고 살충하는 데, 소아풍간으로 체종대안하고 하루에 수십번씩 눈을 치켜뜨며 경련을 일으키는 증상, 소아한열, 경제불안[울며 놀래고 불안한 증상], 조충구제[임상보고], 십이지장충구제[임상보고], 요충병구제[임상보고], 충적복통, 감질, 뇌전증[간질], 위속의 열을 제거하는데, 중풍을 다스리는 뇌환      

뇌환은 참대뿌리에 기생하는 구멍장이버섯과의 직경 1~4cm 되는 덩어리 모양의 균핵 버섯이다.

뇌환의 학명은 <
Polyporus mylittae Cook. et Mass.; Omphalia lapidescens Schroet.>이다. 일명 죽령(竹苓)이라고도 한다. 균핵으로 불규칙한 덩어리이며 지름 1~3cm이다. 바깥 면은 회갈색~흑갈색으로 그물모양의 주름이 뚜렷하다. 질은 단단하며 무겁고 절단면은 흰색~연한 노란색이다. 냄새가 없고 맛은 약간 쓰고 달며 씹으면 점액성이다.

균핵체는 보통 불규칙하고 단단한 덩어리 모양이며 비틀어진 덩이 모양이거나 비틀어진 난형이고 지름이 0.8~2.5cm이고(혹은 4cm되는 것도 있다) 표면이 흑갈색이며 가늘고 균사체는 납백색(蠟白色)이고 반투명하고 점성이 조금 있으며 같은 색의 무늬가 있다. 월동 후에 균사체에서 새로운 자실체(子實體)가 생기지만 보통 보기 드물다. 대부분 병든 대나무 뿌리 부분에서 기생한다.

중국에서는 양자강(揚子江) 유역 이남의 각 성(省) 및 감숙(甘肅), 섬서(陝西), 호북(湖北), 하남(河南) 등지에 분포되어 있다.

<
뇌환(雷丸)>이란 이름의 유래는 <우레가 치며 비가 온 뒤 많이 돋아나는 둥근 모양의 버섯>이라는 뜻에서 전해온 것이라고 한다.

대나무뿌리에 기생하는 버섯인 뇌환의 여러 가지 이름은 뇌환[雷丸=léi wán=레이: 신농본초경(神農本草經)], 뇌시[雷矢: 범자계연(范子計然)], 뇌실[雷實: 오보본초(吳普本草)], 죽령[竹苓, 죽시:竹矢, 뇌부:雷賻, 뇌설:雷楔: 본초강목(本草綱目)], 죽림자[竹林子, 죽영지:竹鈴芝: 중약지(中藥誌)], 목련자[木連子: 광서중약지(廣西中藥誌)], 라이간[らいがん=雷丸, 라이간킨:ライガンキン=雷丸菌: 일문명(日文名)] 등으로 부른다.

[채취]


<중약대사전>: "봄, 가을과 겨울에 채취할 수 있지만 가을에 더 많이 한다. 가지와 잎이 말라서 누렇게 된 병든 대나무를 택하여 뿌리부분의 균핵을 파낸 다음 씻어 햇볕에 말린다."

[약재(藥材)]


<중약대사전>: "말린 균핵은 둥글거나 불규칙한 덩어리 모양을 이루고 크기가 같지 않으며 지름이 1~2cm이다. 표면은 자갈색 또는 회갈색이고 전체에 약간 돌출된 그물 모양의 주름이 있다. 질은 단단하고 무거우며 쉽게 갈라지지 않는다. 깨뜨리면 단면이 평탄하지 않고 분백색 또는 연한 회황색이고 과립 모양 또는 가루 성분을 이룬다. 질이 조밀한 것은 반투명한 모양인데 반투명 및 투명한 부분이 교체된 무늬를 볼 수 있다. 냄새는 없고 맛은 쓰며 씹으면 알갱이가 씹히는 감이 나고 약간 찐득찐득하며 오래 씹으면 녹아서 찌꺼기가 없어 진다. 알이 크고 올골지며 질이 단단하고 표면이 자갈색이며 속이 백색이고 진흙, 모래가 없는 것이 좋다.

중국의 주산지는 사천(四川), 귀주(貴州), 운남(雲南), 호북(湖北), 광서(廣西), 섬서(陝西)이다. 그외에 절강(浙江), 호남(湖南), 광동(廣東), 안휘(安徽), 복건(福建) 등지에서도 난다."

[성분]


<중약대사전>: "수분 0.5%, 회분 4.0%, ether 가용성분 0.6%, 알코올 가용성분 22%가 들어 있다. 주성분은 protease의 일종인 뇌환소(雷丸素)인데 함량은 약 3%이다. 뇌환소는 촌백충을 없에는 유효성분이지만 가열하면 약효가 상실된다. 이 효소는 PH 8의 용액 속에서 활성이 가장 강하고 산성용액에서는 무효이다. 약알칼리성(PH8)용액 10ml 중에 0.06mg이 들어 있으면 protein 분해 작용을 일으킨다."

[약리작용]


<중약대사전>: "
1, 조충구제 작용: 약을 쓰지 않고 저절로 배출된 조충의 마디를 30℃되는 5~30% 뇌환 침출액에 넣으면 빠른 것은 2시간 40분내에, 늦은 것은 9시간 후에 죽는다. 그러나 생리식염수에서는 40~62시간, 증류수에서는 24~30시간 생존한다. 뇌환에는 사람에게 기생하는 유구(有鉤: 갈고리가 있는 것)조충, 무구(無鉤)조충과 개의 조충구제 작용이 있다. 뇌환을 복용한 후 배출된 조충을 따뜻한 생리식염수에 넣으면 대다수가 활동하지 못하고 그 마디는 뚜렷하게 파괴된다. 따라서 뇌환의 구제 작용은 조충의 마비가 아니라 뇌환중의 protease단백질 분해 효소에 의한 체질파괴에 있다.

2, 회충에 대한 작용:
in vitro에서 돼지 회충에 대해서는 효과가 있지만 체내에 기생하고 있는 회충에는 효과가 없다.

3, 질트리코모나스에 대한 작용:
10% 뇌환 달임 제제를 배양기에 1:1농도로 가하면 5분후에 대부분의 충제는 과립으로 변형되고 일부 충제는 계속 활동한다."

[성미]


1, <중약대사전>: "맛은 쓰고 성질은 차며 독이 조금 있다."

2, <신농본초경소>: "맛은 쓰고 성질은 차다."


3
, <명의별록>: "맛은 짜고 성질은 약가 차며 독이 조금 있다."

4, <본초강목>: "맛은 달고 조금쓰며 성질은 평하다."

5, <의림찬요>: "맛은 쓰고 시큼하며 성질은 차다."

[귀경(歸經)]


1, <중약대사전>: "위경(胃經), 대장경(大腸經)에 들어간다."

2, <본초휘언(本草彙言)>: "수족양명경(手足陽明經)에 들어간다."


3
, <뇌공포제약성해(雷公製藥性解)>: "폐(肺), 비(脾), 위경(胃經)에 들어간다."

4, <옥추약해(玉楸藥解)>: "수소음심(手少陰心), 족궐음간경(足厥陰肝經)에 들어간다."

[약효와 주치]


1, <중약대사전>: "소적(消積), 살충(殺蟲)하는 효능이 있다. 충
적복통(蟲積腹痛), 감질(疳疾), 풍간(風癎)을 치료한다."

2, <신농본초경>: "삼충(三蟲: 촌백충, 십이지장충, 요충)을 없애고 독기를 제거하며 위 속의 열을 내리는데 남자에게 이롭고 여자에게는 이롭지 않으며 마고(摩膏)로 만들어 사용하면 소아의 여러 가지 병을 제거한다."


3
, <명의별록>: "사기(邪氣)를 쫓고 악풍한출(惡風汗出), 피중열(皮中熱), 결적(結積)을 제거하며 백충, 촌백충을 스스로 배출되게 한다."

4, <약성론>: "축풍(逐風)하고 전간광주(癲癎狂走)를 다스리며 회충을 없앤다."

5, <옥추약해>: "열을 내리고 간장을 소생시키하며 촌백충을 없애고 구풍(驅風), 제간(除癎)하며 소아의 땀을 멎게 한다."

6, <섬서중약지>: "소적살충(消積殺蟲)하며 열을 내리고 해독한다. 충적복통(蟲積腹痛), 소아의 감적(疳積), 위내열(胃內熱)을 치료한다. 촌백충증에 대한 치료효과가 상당히 좋다."

[용법과 용량]


<중약대사전>: "내복: 하루 7.5~12g을 물로 달여서 복용한다. 또는 환을 짓거나 가루내어 쓴다.

외용: 가루내어 뿌리거나 달인 물로 씻는다."

[배합(配合)과 금기(禁忌:
주의사항)]

1, <중약대사전>: "기생충이 있고 비위(脾胃)가 허한(虛寒)한 자에게는 신중하게 써야 한다."

2, <명의별록>: "
오랜기간 복용하면 음위(陰
: 정력감퇴)가 생긴다. 빨간 것은 사람을 죽인다."

3
, <신농본초경집주>: "여실(實), 후박(厚朴)을 사로 한다. 칡뿌리와 상오(相惡)한다."

4, <약성론>: "편축(
萹蓄: 마디풀), 칡뿌리와 상오(相惡)한다. 원화(花)를 사(使)로 한다."

5, <의학입문>: "
오래 복용하면 음(陰)을 상한다."

6, <본초휘언>: "기생충증으로 앓은지 오래되어 비위(脾胃)가 쇠약한 자는 금한다."

뇌환의 효능과 관련하여 조선시대 허준이 기록한 <동의보감>에서는 다음과 같이 기록하고 있다.

[뇌환(雷丸)

성질은 차며[寒] 맛은 쓰고[苦] 짜며[鹹] 조금 독이 있다. 3가지 충과 촌백충을 죽이고 고독을 없앤다. 참대뿌리에 생긴 혹이다.

○ 흰 것이 좋은데 식초에 담갔다가 싸서 구워 검은 껍질을 버리고 약한 불기운에 말려 쓴다[입문].

웅사환(雄砂丸)

여러 가지 충을 잘 죽인다.

쇠고비(관중), 산석류피 각각 20g, 담배풀열매(鶴蝨), 참느릅(무이), 마른옻(건칠), 백강잠 각각 12g, 주사, 석웅황(웅황),
뇌환, 감수 각각 6g.

위의 약들을 가루를 내어 쌀가루풀에 반죽하여 삼씨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10알씩 미음에 풀어서 새벽(4-5시)에 먹는다. 사향을 조금 넣으면 더 좋다[입문].

추충환(追蟲丸)


충적을 내려가게 한다.

나팔꽃검은씨(흑견우자, 맏물가루를 낸다) 40g, 대황 12g, 사군자육 8g, 목향, 빈랑, 참느릅(무이), 석회 각각 4.8g.

위의 약들을 가루낸다. 그리고 먼저 주염열매(조각)와 고련근피를 진하게 달여서 그 물 2사발을 받아 다시 고약처럼 되게 졸인다. 여기에 약가루를 반죽하여 벽오동씨만하게 알약을 만들어 겉에 침향가루를 입힌 다음
뇌환가루를 또 입힌다. 한번에 50알씩 빈속에 사탕물로 먹으면 충이 나오고 병이 낫는다[회춘].]

뇌환의 효능과 관련하여 조선 명종 및 선조때의 내의인 양예수가 쓴
<
의림촬요>에서는 다음과 같이 기록되어 있다.

[만응환(萬應丸)

여러 가지 충(蟲)을 내보낸다.빈랑(檳榔) 20G(가루낸다), 대황(大黃) 320G(가루낸다), 흑축(黑丑) 160G(가루낸다), 고련근피(苦楝根皮) 600G, 조협(皂莢) 10꼬투리(좀이 먹지 않은 것).위의 약에서 먼저 조협(皂莢)과 고련근피(苦楝根皮) 두 가지를 물 큰 사발로 한 사발을 넣고 졸여서 고약(膏藥)을 만든 다음 빈랑(檳榔) 등 세 가지 약가루로 반죽하여 환약(丸藥)을 만든다. 먼저 이 약 겉에 침향(沈香)가루를 입힌 다음 뇌환(雷丸), 목향(木香)가루를 입힌다. 한번에 3알씩 새벽에 설탕물로 먹는다(이상은 『부여(附餘)』).

장군환(將軍丸)

전시노채(傳屍勞瘵)를 치료한다.대황(大黃)(9번 쪄서 센 불기운에 말린 것)·사향(麝香)(간 것) 4G, 관중(貫衆)·조협(皂莢)(껍질을 버리고 졸인 젖을 발라 구운 것)·도인(桃仁)(去皮尖)·빈랑(檳榔)·뇌환(雷丸) 각 40G, 무이(蕪荑) 20G, 별갑(鱉甲)(식초를 발라 노랗게 구운 것) 40G.위의 약을 가루내어 먼저 청호엽(靑蒿葉) 80G, 동쪽으로 향한 복숭아나무[도(桃)], 버드나무[유(柳)], 추리나무[이(李)], 뽕나무[상(桑)] 등의 잎 각각 7잎을 물 1사발에 넣고 7분쯤 되게 달여 찌꺼기를 짜 버린 다음 거기에 꿀을 1잔 넣고 다시 졸여 고약(膏藥)이 된 다음에 위의 약가루와 사향(麝香), 안식향(安息香)을 넣고 잘 짓찧어 벽오동씨만하게 환약(丸藥)을 만든다. 한번에 30알씩 식전(食前)에 대조(大棗) 달인 물로 먹는다.

괴질(怪疾)

뱃속에서 소리가 나는 데는 판람즙(板藍汁) 1잔을 5번에 나누어 먹는다. 또한 이것을 응성충(應聲蟲)이라고도 하는데 뇌환(雷丸)을 먹어도 낫는다.]

뇌환의 효능에 대하여 황도연이 쓴 <방약합편>에서는 다음과 같이 기록하고 있다.

[뇌환(雷丸)

雷丸味苦善殺蟲
뇌환미고선살충


癲癎蠱毒治兒功
전간고독치아공


뇌환은 맛이 쓴데
살충작용 강하다오
전간 고독에 쓰지마는
소아병에 더 좋다네

○ 뇌환은 독이 좀 있다.
○ 감초즙에 축여 찌거나 싸서 구워서 쓴다.
○ 철을 금기하며 갈근과 상오약이다[본초].
]

뇌환의 효능에 대해서 북한에서 펴낸 <동의학사전>에서는 다음과 같이 기록하고 있다.

[뇌환(雷丸) [본초]

구멍버섯과에 속하는 뇌환균(Omphalia lapidescens Schroet.)의 균핵을 말린 것이다.

뇌환균은 참대뿌리에 기생한다. 가을에 뇌환을 캐서 물에 씻어 햇볕에 말린다. 맛은 쓰고 짜며 성질은 차다. 위경, 대장경에 작용한다. 구충작용을 한다. 뇌환에 들어 있는
단백분해효소가 조충의 각피를 녹여버린다.

회충, 십이지장충도 죽인다. 주로 조충증에 쓰며 회충증, 십이지장충증, 요충증에도 쓴다.

한번에 15~20g씩 하루 2~3번 산제, 환약 형태로 3일 동안 계속 먹는다.
탕약으로 쓰면 구충작용을 나타내는 유효성분이 파괴된다.
]

뇌환균의 효능에 대해서 북한에서 펴낸 <약초의 성분과 이용>에서는 다음과 같이 기록하고 있다.

[뇌환균(Omphalia lapidescens Schroeter)

다른이름:
뇌실, 죽령

식물: 참대뿌리에 기생하는 직경 1~4cm 되는 덩어리 모양의 균핵이다. 겉은 검은색이고 속은 희며 굳다.남부의 참대밭에서 자란다. 뇌환이란 이름은 우레가 치며 비가 온 뒤 많이 돋아나는 둥근 모양의 버섯이라는 뜻에서 전해온 것이다.

균핵(뇌환): 아무 때나 균핵을 따서 말린다.

성분: 유효성분은 밝혀지지 않았으나 촌충의 껍질을 녹이는 효소(약 3%)가 있다고 한다. 효소활성은 pH=8에서 높고 산성 또는 끓이면 없어진다. 에테르엑스 0.6%, 알코올엑스 1.3%, 물엑스 22%, 회분 4%가 있다. 많은 Mg염도 있다.

응용: 촌충떼기약으로 한번에 20g씩 하루 3번 2~3일 동안 먹는다. 이 약은 다른 촌충떼기약과는 달리 촌충을 죽인다. 한번에 60g까지 먹어서 효과를 본 예도 있다.

뇌환균을 배양하여 벌레떼기약을 만들기도 한다.무균조작으로 뇌환절편을 만들어 토양침출액이 들어 있는 우무배양기나 또는 맥아즙우무배양기에서 사면배양한다. 배양온도는 25~29℃이다. 2주일 지나면 배양액의 150ml에서 2~4g의 균체를 얻는다.

균체가루를 한번에 10g씩 하루에 3번 먹으면 충란음전율은 75%이다.

또한 마른균체 100g을 2~3배의 아세톤으로 우려내어 풀리는 물질을 갈라버리고 10% 글리세롤수 500ml로 우려낸다. 추출액을 40℃에서 감압농축하고 졸인액에 3배의 아세톤 또는 알코올을 넣으면 앙금이 생긴다. 이것을 걸러 말리면 약 1g의 가루를 얻는다. 이 물질은 강한 단백소화효소로 쓰인다. 이 효소 0.3g을 하루 3번 3일 동안 먹는다. 부작용이 없는 촌충떼기약이다.

균핵에는 마그네슘염이 많아서 설사 작용이 있으며 따로 설사약을 쓸 필요가 없다.

촌충뿐 아니라 회충증에도 쓰는데 가루로 써야 하며
달여 먹으면 효과가 적다.

동의치료에서는 벌레가 있어 배가 아플 때에 사군자나무열매, 빈랑나무씨, 매화나무선열매껍질, 마른생강을 섞어 쓴다. 어린이의 감적, 충적에는 담배풀열매, 사군자나무열매, 호황련, 무이 등을 쓴다.
]

noehwan-1
[<<뇌환의 사진 모습, 사진출처: 중국 웹사이트: http://www3.100md.com>>]

뇌환의 효능에 대해서 <한의학대사전>에서는 다음과 같이 기록하고 있다.

[뇌환(雷丸)

구멍버섯과 식물인 뇌환균(Omphalia lapidescens Schroet.)의 균핵을 말린 것이다. 뇌환균은 참대 뿌리에 기생한다.

가을에 뇌환을 캐 물에 씻어 햇볕에 말린다.

맛은 쓰고 짜며 성질은 차다.

위경(胃經), 대장경(大腸經)에 작용한다. 구충 작용을 한다.

뇌환에 들어 있는 단백 분해 효소가 촌백충의 각피를 녹여 버린다. 회충, 십이지장충도 죽인다. 주로 촌백충증에 쓰며 회충증, 십이지장충증, 요충증에도 쓴다.

한 번에 15~20g씩 하루 2~3번 산제, 환약 형태로 3일 동안 계속 먹는다. 탕약으로 쓰면 구충 작용을 나타내는 유효 성분이 파괴된다.
]

뇌환으로 질병을 치료하는 방법은 아래와 같다.

1, 촌백충을 배출하는 처방

뇌환을 물에 담궈 연하게 해서 껍질을 제거하고 썰어 약한 불에 쬐어 말린 다음 가루낸다. 오전 3~5시에 구운 고기 소량을 먹고 바로 뇌환 3.75g을 묽은 죽 2g에 타서 복용한다. [경험전방(經驗前方)]

2,
삼충(三蟲: 촌백충, 십이지장충, 요충)을 없애는 처방
뇌환(불에 쬐어 말린 것) 37.5g, 궁궁이 37.5g을 짓찧어 체로 쳐서 보드라운 가루로 만들어 빈속에 1회, 3.75g을 좁쌀죽에 타서 복용한다. 낮과 저녁 때에 각 1회씩 복용한다. [성제총록(聖濟總錄), 뇌환산(雷丸散)]

3, 소감(消疳)하고 살충(殺蟲)하는 처방

뇌환, 사군자(使君子: 불에 쬐어 말려 껍질을 제거한 것), 학슬(鶴
), 비자육(榧子肉), 빈랑(檳) 각 같은양을 가루내고 1회 3.75g을 따뜻한 죽에 타서 젖을 먹이기 전에 복용시킨다. [양씨가장방(楊氏家藏方), 뇌환산(雷丸散)]

4, 소아풍간(小兒風癎)으로 체종대안(
掣瘲戴眼)하고 하루에 수십번씩 눈을 치켜뜨며 경련을 일으키는 증상
계란 노른자만한 뇌환, 망초(莽草), 돼지기름 500g, 먼저 돼지 기름을 달여서 찌꺼기를 제거하고 약을 넣은 다음 약한 불에 달여서 7번 끓어오르게 하고 찌꺼기를 제거하여 아픈 곳에 바른다. 소아가 아픈 곳을 모를 때에는 먼저 복부와 등을 만지고 이로부터 다른 곳을 50회 만진다. 음부나 눈 근처에 바르면 안 된다. 한 살짜리 아이에게는 비단천에 약을 싸서 몸을 문지르고 불을 쪼인다. 성인의 적풍(賊風)도 치료한다. [보제방(普濟方), 뇌환고(雷丸膏)]

5, 소아한열(小兒寒熱), 경제불안(驚啼不安: 울며 놀래고 불안한 증상)

뇌환 1.13g, 모려(牡蠣) 1.13g, 황금(黃芩) 1.13g, 세신(細辛) 1.13g, 사상자(蛇床子) 37.5g에 물 1말을 넣고 7되가 되게 달여서 찌꺼기를 제거하고 2회에 나누어 적당한 온도로 하여 먼저 머리를 씻고(귀, 눈에 들어가지 않게 한다) 다음에 등과 팔을 씻고 나중에 허리 아래를 씻는다. 이것이 끝나면 바람을 맞지 말 게 가루를 뿌린다. [태평성혜방(太平聖惠方), 뇌환욕탕(雷丸浴湯)]

6, 소아에게 열이 있으나 땀이 나지 않는 증상

뇌환 150g, 분(粉) 250g을 찧고 체로 쳐서 가루내어 몸에 뿌린다. [천금방(千金方), 이물통한산(二物通汗散)]

7, 풍소피부은진동통(風瘙皮膚
疹疼痛)
뇌환, 인삼, 고삼, 우슬(牛膝: 수분이 충분히 스며들게 한 다음 얇게 잘라 약한 불에 쬐어 말린 것), 백부자(白附子: 불에 쬐어 말린 것), 방풍(防風: 가지를 제거한 것), 백화사(白花蛇: 수분이 충분히 스며들게 한 다음 껍질과 뼈를 제거하고 구운 것), 자감초(炙甘草: 썬 것) 각 75g, 단삼(丹蔘) 56g을 찧고 체로 쳐서 가루내어 1회 7.5g을 식전에 알맞게 데운 술로 복용한다. [성제총록(聖濟總錄), 뇌환산(雷丸散)]

8, 숫치질로서 서유창(鼠乳瘡)이 생기는 증상

뇌환, 학슬(鶴
虱: 볶은 것), 백반회(白礬灰) 각 37.5g, 조협침회(針灰), 볶은 박상유황(舶上硫黃: 가루) 각 18.5g을 함께 짓찧어 가루낸 다음 식초로 끓여서 벽오동 열매 만한 크기의 호환(糊丸)을 만들고 웅황(雄黃)가루를 바른다. 1회 20환씩 식전에 사향(麝香)과 알맞게 데운 술로 복용한다. [성제총록(聖濟總錄), 뇌환산(雷丸散)]

9, 조충구제
[임상보고]
뇌환가루 1회 20g을 끓여 식힌 물에 약간의 설탕과 함께 녹여 1일 3회, 연속 3일간 복용한다. 4일후에 황산 마그네슘 15~20g을 복용한다(복용하지 않아도 된다).

20례의 임상관찰 결과 충제의 대다수가 2~3일만에 모두 또는 마디가 배출되었는데 치료후 재 검사를 해보니 충제가 발견되지 않았고 모든 증상이 소실되었다. [중약대사전(中藥大辭典)]

10, 십이지장충구제
[임상보고]
뇌환가루와 적당량의 유당(乳糖) 또는 포도당 가루를 가하여 끓인 물에 타서 복용한다.

성인은 60g을 1회 복용하거나 3회로 나누어 복용한다(몸이 약한자는 2~3일 동안에 걸쳐 먹는 것이 좋다). 며칠 후 또 1제(劑)를 복용한다.

임상치료시험 11례에서 2회 이상 복용하고 1~3차례의 대변 검사결과 2례에서 충란(蟲卵)이 조금 발견된 외에 나머지는 음성으로 변하였다. 그러나 별도의 19례의 관찰에서 연속 2회 복용하고 재 검사를 해보니 만족할 만한 구충 효과가 없었다. [중약대사전(中藥大辭典)]

11, 요충병구제
[임상보고]
뇌환 3.75g, 대황(大黃) 11g, 이축(二丑) 11g을 함께 갈아 가루내어 아침 일찍 공복에 끓여 식힌 물로 1회 복용한다. 소아는 연령에 따라 감한다. 188례의 임상치료에서 2례가 무효하였고 나머지는 치유되었다. 일반적으로 복용후 1~2일에 기생충이 배출되고 자각증상이 소실되었다.

복용기간중 13례에서 일시적으로 경미한 복통이 나타났다. [중약대사전(中藥大辭典)]

[각가(各家)의 논술(論述)]


1, <신농본초경소(神農本草經疏)>:
"뇌환은 3충(蟲)을 죽인다. 백충, 촌충이 저절로 나온다는 것은 장위습열(腸胃濕熱)이 심하다는 것이다. 독기(毒氣)를 배설하고 위중(胃中)의 열사기(熱邪氣), 악풍(惡風), 한출(汗出), 피내(皮內)에 열(熱)이 쌓인다는 것은 장위사열(腸胃邪熱)이 성하다는 것이다. 본약의 고한(苦寒)은 이경[二經: 수족(手足)의 양명(陽明)]"의 습열사기(濕熱邪氣)를 제거함으로 상술한 여러 가지의 증상이 저절로 제거되는 것이다. 마고(摩膏)를 만들어 소아백병(小兒百病)을 치료한다는 것은 소아가 기름기 있는 음식을 잘 먹어 장위(腸胃)에 습열충적(濕熱蟲積)이 많게 된다. 고(苦)는 살충(殺蟲)하고 함한(鹹寒)은 열을 내리며 소적(消積)하기에 이것을 치료한다. <명의별록(名醫別錄)>에서 또 말하기를 오래 복용하면 음위(陰
)가 생긴다. 바로 본품이 지나치게 고한(苦寒)하여 치우쳐진 기(氣)가 양도(陽道)를 위()하게 할 수 있다. 본약은 살충(殺蟲)하는 외에 쓰는 일이 매우 적다."

2,
<본초술(本草述)>: "뇌환은 대나무의 여기(餘氣)가 맺혀진 것이다. 그 청음(淸陰)의 기운과 맛 때문에 또 소리(疏利)할 수 있으며 기혈(氣血)을 잘 통하게 해서 어찌 좋은 약이 아니겠는가, 그러나 통용(通用)하면 원기(元氣)를 상할 때가 있다. 이런 의미를 알게 되면 본품을 알맞게 잘 쓸 수 있다."

3, <본경봉원(本經逢原)>:
"
뇌환(雷丸)은 <천금방(千金方)>에서 소아상한(小兒傷寒)을 치료한다고 하였는데 복용할 수 없다. 처방에 늘 쓰는 것은 독기(毒氣)를 배설하는 효능을 취한 것이다."

[뇌환 재배 방법]


1, 기후와 토양

온난한 기후를 좋아한다. 토질이 건조하고 푸석푸석한 대숲 또는 나무그루 주위에서 자란다.

2, 심기

봄과 가을에 대숲 또는 나무그루 주위에 길이, 너비, 깊이가 90x60x60cm가 되는 구멍을 파고 신선한 모어등(毛魚藤: 콩과 식물:
Derris ellipeica (Wall),Bench.)을 불로 죽여 길이가 60cm 되는 토막을 내고 4~5토막을 한묶음으로 하여 구멍에 넣는다. 거기에 신선한 뇌환(雷丸)가루를 넣고 흙을 얇게 덮는데 배수가 잘 되도록 표면을 기와의 배면(背面) 모양으로 덮는다. [출처: 중약대사전]

늘 푸른 절개의 상징인 대나무가 균핵에 의해 죽은 다음 자신의 분신으로 버섯을 만들어 내는 과정은 정말 놀랍기만 하다. 우리 인간도 땅에 묻히는 그날까지 인간사회에 쓸모있고 필요한 존재가 되기 위해 열심히 노력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상기 자료는 약초연구가로서 우리땅에 존재하는 천연물질의 우수성을 널리 알리고 질병으로 고통을 겪고 있는 환우들에게 희망을 주며 신약을 개발하는데 통찰력을 갖게하고 약초를 사랑하는 모든 사람에게 정보의 목적으로 공개하는 것임을 밝혀 둔다.  

(글/ 약
초연구가 & 동아대 & 신라대 대체의학 외래교수 전동명)

뇌환 사진 감상: 1, 2, 네이버+구글+다음+일본구글+대만구글: 1, 2, 3, 4, 5,

문의 및 연락처: 010-2545-0777 ; 051-464-0307

주소: http://jdm0777.com

페이스북 주소: http://www.facebook.com/jdmsanyacho

메일: jdm0777@naver.com

참조: 죽봉령 무엇인가?

참조: 조릿대 무엇인가?

아래에 각종 버섯의 종류를 함께 참조해 보시기 바랍니다.

 

 

  1. 갈색꽃구름버섯 무엇인가?
  2. 경피수설불로초(경피수설영지) 무엇인가?
  3. 광대버섯 무엇인가?
  4. 구름송편버섯(운지) 무엇인가?
  5. 꽃송이버섯 무엇인가?
  6. 꽃흰목이(차색은이) 무엇인가?
  7. 낙엽송층버섯(송목층공균, 송상황) 무엇인가?
  8. 노란달걀버섯 무엇인가?
  9. 노랑망태버섯(황군죽손) 무엇인가?
  10. 노루궁뎅이버섯 무엇인가?
  11. 녹선초(소화사고+통초사고) 무엇인가?
  12. 뇌환(雷丸) 무엇인가?
  13. 능이(향버섯) 무엇인가?
  14. 다발방패버섯 무엇인가?
  15. 다예사고 무엇인가?
  16. 달걀버섯 무엇인가?
  17. 댕구알버섯 무엇인가?
  18. 동충하초 무엇인가?
  19. 마귀곰보버섯 무엇인가?
  20. 마귀광대버섯 무엇인가?
  21. 마른진흙버섯(담황목층공균, 황금상황) 무엇인가?
  22. 말굽버섯 무엇인가?
  23. 말굽잔나비버섯 무엇인가?
  24. 말뚝버섯(백귀필) 무엇인가?
  25. 말징버섯 무엇인가?
  26. 망태말뚝버섯(죽손) 무엇인가?
  27. 먼지버섯 무엇인가?
  28. 목도리방귀버섯 무엇인가?
  29. 목이 무엇인가?
  30. 목질진흙버섯(열제침공균, 상황) 무엇인가?
  31. 받침애주름버섯(야광버섯) 무엇인가?
  32. 벚나무진흙버섯 무엇인가?
  33. 볏짚버섯 무엇인가?
  34. 복령 무엇인가?
  35. 불로초(영지) 무엇인가?
  36. 붉은사슴뿔버섯 무엇인가?
  37. 뽕나무버섯부치 무엇인가?
  38. 사고(갈심) 무엇인가?
  39. 상황버섯(목질열대구멍버섯) 무엇인가?
  40. 석이 무엇인가?
  41. 소나무잔나비버섯 무엇인가?
  42. 소혀버섯 무엇인가?
  43. 송이 무엇인가?
  44. 시루송편버섯 무엇인가?
  45. 아가리쿠스버섯 무엇인가?
  46. 아까시흰구멍버섯(장수버섯) 무엇인가?
  47. 알광대버섯 무엇인가?
  48. 여름덩이버섯(서양송로) 무엇인가?
  49. 옥수수깜부기 무엇인가?
  50. 유혈꽃구름버섯 무엇인가?
  51. 잎새버섯 무엇인가?
  52. 자흑색불로초(자흑색영지) 무엇인가?
  53. 잔나비불로초(잔나비걸상) 무엇인가?
  54. 접시껄껄이그물버섯 무엇인가?
  55. 좀나무싸리버섯 무엇인가?
  56. 좀말불버섯 무엇인가?
  57. 죽복령 무엇인가?
  58. 진흙버섯(화목층공균, 상황버섯) 무엇인가?
  59. 찔레나무진흙버섯(다표자목층공균, 녹색말범부채버섯) 무엇인가?
  60. 차가버섯(자작나무시루뻔버섯) 무엇인가?
  61. 찰진흙버섯(희경목층공균, 점토상황) 무엇인가?
  62. 천마 무엇인가?
  63. 천장사고 무엇인가?
  64. 치마버섯 무엇인가?
  65. 침엽수불로초(침엽수영지) 무엇인가?
  66. 코끼리말징버섯 무엇인가?
  67. 큰갓버섯 무엇인가?
  68. 큰장수버섯(편목영지) 무엇인가?
  69. 털목이 무엇인가?
  70. 테두리방귀버섯 무엇인가?
  71. 파리버섯 무엇인가?
  72. 한입버섯 무엇인가?
  73. 해면버섯 무엇인가?
  74. 홍석이 무엇인가?
  75. 화경솔밭버섯(달화경버섯) 무엇인가?
  76. 황토볏짚버섯 무엇인가?
  77. 흰구름송편버섯(백화운지) 무엇인가?
  78. 흰찐빵버섯 무엇인가?

 

 

※ 아래에 jdm 필자가 찍은 뇌환 사진도 감상해 보시고 행복하시기 바랍니다~~~^.^

 


병든 대나무 뿌리 부근에서 기생하여 자라는 "뇌환(雷丸)"


뇌환의 근접 촬영한 모습

뇌환은
참대뿌리에 기생하는 직경 1~4cm 되는 덩어리 모양의 균핵이며
겉은 검은색이고 속은 희며 굳고, 우리나라 남부의 참대밭에서 자란다.

뇌환
(雷丸)이란 이름은 우레가 치며 비가 온 뒤
많이 돋아나는 둥근 모양의 버섯이라는 뜻에서 전해온 것이라고 한다.

 

홈페이지 주소 : http://jdm0777.com 클릭하시면 홈으로 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