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흙버섯(화목층공균, 상황버섯) 무엇인가?

중국에서 상황으로 알려진 진흙버섯

 

 

 

 

 

 

 

 

 

 

 

 

 

 

[진흙버섯의 어릴 때 모습과 성숙한 후의 모습, 사진출처: 일본/대만/한국 구글 이미지 검색]

땀샘의 분비를 억제하는 작용, 항암작용, 건위작용, 정장작용, 해독작용, 항종양(Sarcoma 180/마우스, 억제율 87.4%, Ehrlich 복수암/마우스, 억제율 80%), 혈림, 제복 및 음경삽통, 탈항사혈이 멎지 않는 증상, 부인의 노손, 월수불단, 혈갈잠지, 소로첩극, 나력궤란, 혈붕, 혈림, 탈항 하혈, 대하, 무월경, 여자의 붕중 대하, 월경 혈응, 산후 혈응, 남자의 현벽, 복혈, 하적혈, 이질로 피를 쏟는 것과 부인의 명치 밑이 아픈 것, 어혈, 징가, 음동(음부가 아픈 것), 무자(임신이 안되는 것), 오래된 설사, 벽음, 적취, 복통, 금창(칼에 베인 상처), 식은땀, 면역 세포 활성, 복강 식세포 활성, 땀샘 분비 억제, 구토, 도한, 부인병, 월경불순, 비허, 설사, 자궁출혈 및 대하, 월경불순, 장출혈, 오장 및 위장 기능을 활성화시키는 진흙버섯(상황버섯)

진흙버섯은 담자균류(擔子菌類) 민주름목 소나무비늘버섯과의 목질 버섯이다.

진흙버섯의 학명은 <Phellinus igniarius (L. ex Fr.) Quel.>이다. 활엽수, 특히 오리나무, 자작나무류의 고목에서 발생한다. 갓 윗면은 말굽 모양 또는 반원형이며 밑면은 두껍게 부풀어 커져서 혹과 같은 느낌이 든다. 크기는 지름 10~30cm, 두께 5~15cm이며 때로는 더 큰 것도 있다. 표면은 회갈색에서 흑갈색인데 오래되면 탄화하여 흑색으로 되며 이랑홈과 가로세로의 균열이 생긴다. 내부의 살은 암갈색으로 단단하다. 아랫면은 암갈색이고 자실층의 관공(管孔)은 여러 층이며 공구(孔口)는 매우 미세하다.

포자가 형성되는 관공구는 해마다 아래쪽에 생기므로 단면은 나이테 모양을 이룬다. 포자는 새로운 관공 내에 형성되고 구형으로 무색이며 자실층에는 강모체가 있고, 포자 무늬는 백색이다. 목재에 백부(白腐)를 일으키는 리그닌 분해균으로 식용할 수 없다. 세계적으로 널리 분포한다.

<중약대사전>: "래원(來源): 다공균과(多孔菌科) 식물 침층공(
針層孔)의 자실체이다.

원식물(原植物): 침층공[
針層孔: Phellinus igniarius (L. ex Fr.) Quel.]

포막은 목질이고 편평한 반구형 혹은 말굽 모양이며 2~12x3~21cm이고 두께는 1.5~10cm이며 연한 갈색 내지 암회색 혹은 흑색이고 세월이 흐르면 보통 균열한다. 겉껍데기는 없으며 초기에는 가늘고 미세한 보드라운 털이 있고 나중에 털이 없어지며 동심(同心) 환능(環稜)이 있다. 가장자리는 무딘 모양이고 옅은 커피색이며 아랫쪽에는 자실체가 없다.

균육(菌肉)은 짙은 커피색이고 목질이다. 균관(菌管)은 층이 많고 순서는 확살하지 않으며 세월이 지난 균관층에는 백색의 균사가 충만해 있다. 관 어귀는 갈색이다. 포자는 구형에 가깝고 미끈미끈하며 광택이 있고 5~6x4~5미크론이다.

내버들, 버드나무, 자작나무, 상수리나무 등의 수간에서 난다.

중국의 동북(東北), 화북(華北), 서북(西北) 및 사천(四川), 운남(雲南) 등지에 분포한다."

진흙버섯의 여러 가지 이름은 상황[桑黃=sāng huáng=후앙, 상신:桑臣, 상이:桑耳: 약성론(藥性論)], 호손안[胡孫眼: 유양잡조(酉陽雜俎)], 상황고[桑黃菇: 찬요기방(纂要奇方)], 침층공[針層孔=zhēn céng kǒng=V: 중약대사전(中藥大辭典)], 침열제[針裂蹄=zhēn liè tí=리에: 중국약용진균도감(中國藥用眞菌圖鑑), 약학학보(藥學學報), 중국본초도록(中國本草圖錄)], 화목층공균[火木層孔菌: 대만생물다양성자신입구망(台灣生物多樣性資訊入口網)], 키코부타케[キコブタケ, 호쿠치타메모도키:ホクチタケモドキ, 니세호쿠치타케:ニセホクチタケ, 키코부아나타케:キコブアナタケ: 일문명(日文名)], 화목상황[火木桑黃: 신칭, 원색한국약용버섯도감 558], 말똥진흙버섯, 진흙버섯, 상황버섯 등으로 부른다.

[성분]


<중약대사전>: "agaricie acid(제품명: agaricin)을 약 4%(균사체는 agaricic acid를 함유하지 않는다), 지방산(주요한 것은 C22, C24의 포화지방산), C23, C25의 포화탄화수소, 아미노산(주요한 것은 글리신, 아스파라긴산), 싱아산, 트리테르펜산, 방향족산, 에르고스테롤 및 크실로즈산화효소, 카탈라제, 우레아제, lipase, sucrase, 말타아제, 락타아제, 셀룰라아제 등 여러 가지 효소를 함유한다."

[약리작용]


<중약대사전>: "agaricic acid에는
땀샘의 분비를 억제하는 작용이 있어서 외국에서는 예전에 식은땀을 치료하는데 사용했는데 수시간 이내에 작용이 시작되어 24시간 지속된다. 투여량은 30mg/회 혹은 100mg/일을 초과하면 안 된다. 일반적으로 연속해서 1~5일 사용할 필요가 있고 비교적 좋은 치료 효과가 있으며 심한 부작용은 없다. 그 작용 기구에 대하여 비교적 많은 연구가 진행되었다고 하지만 완전히 해명되지는 않았으며 식물 신경계와는 관계가 없는 듯하다. 그것은 타액선의 분비를 억제하지 않는다. 국소 자극성이 있어 대량으로 경구 복용하면 구토, 설사를 일으키고 또 피하 주사는 할 수 없다. 그것에는 디기탈리스와 같은 작용이 있어 저농도에서 평활근을 흥분시키고 대량에서는 억제 작용을 일으키며 중독량은 연수의 혈관 운동 중추, 호흡 중추를 먼저 흥분시킨 다음 마비시킨다는 보고가 있다."

[성미]


<약성론>: "맛은 달고 매우며 성질은 독이 없다."

[약효와 주치]


1, <중약대사전>: "혈붕(血崩), 혈림(血淋), 탈항 하혈, 대하, 무월경을 치료한다."

2, <약성론>: "여자의 붕중(崩中) 대하, 월경 혈응(血凝), 산후 혈응(血凝), 남자의 현벽(痃癖)을 치료하며 더불어 복혈(伏血), 하적혈(下赤血)을 치료한다."

[용법과 용량]


<중약대사전>: "내복: 1~2돈을 물로 달여서 복용하거나 환을 만들어 먹거나 가루내어 먹는다.

외용: 가루내어 개어서 바른다."

뽕나무에서 자라는 진흙버섯인 상황버섯에 대해서 허준의 <동의보감>에서는 다음과 같이 기록하고 있다.

[상이(桑耳: 뽕나무버섯)

성질이 평()하고(따뜻하다[]고도 한다) 맛이 달며[] 독이 약간 있다. 이질로 피를 쏟는 것과 부인의 명치 밑이 아픈 것, 붕루, 적백대하를 치료한다[본초].

일명 상황(桑黃)이라고도 한다[본초].]

진흙버섯의 효능에 대해서 박완희, 이호득의 <원색한국약용버섯도감> 558-559면에서는 다음과 같이 기록하고 있다.

[말똥진흙버섯Phellinus igniarius (L. ex Fr.) Quel.

Fomes igniarius (L. ex Fr.) Kickx
Polyporus igniarius L. ex Fr.
생약명: 화목상황(火木桑黃: 신칭)
중국명: 화목층공균(火木層孔菌), 상황(桑黃)
일본명: 키코부타케(キコブタケ)

형태: 갓은 너비 10~20cm, 두께 5~15cm로 말굽형, 반구형 또는 종형이며, 표면은 동심상의 환구와 종횡으로 균열이 있고 회갈색, 회흑색 또는 흑갈색이며 각피는 없다. 신생부인 갓 둘레는 갈색이며, 조직은 목질(木質)로 딱딱하고 암갈색이다. 갓 하면은 암갈색이고 아래로 볼록하다. 관공은 다층이고 각 층의 두께는 0.1~0.5cm이며, 각 층의 경계는 불분명하다. 관공구는 원형이고 미세하며 1mm4~5개가 있다. 포자는 5~6x4~5로 유구형이며, 표면은 펼활하고 아밀로이드이며, 포자문은 백색이다.

생태: 각종 활엽수, 특히 자작나무, 오리나무, 버드나무 등의 생목이나 고목 위에 발생하며, 목재 백색 부후성 다년생 버섯이다.

분포: 한국, 일본, 중국 등 북반구 온대 이북

성미
: 맛은 약간 쓰고 성질은 차다.

효능: 이오장(利五臟), 선장기(宣臟氣), 지혈(止血), 연견(軟堅), 배독(排毒), 활혈(活血), 화음(化飮), 화위지사(和胃止瀉)57,61

성분: ergosterol
포화지방산 2
agaricic acid(=laricic acid, 그림7)61, glycine, aspartic acid, oxalic acid53

NH2 CH2 COOH
glycine
HOOCCH2 CHCOOH
aspartic acid
COOH

COOH
oxalic acid

약리 작용: 항종양(Sarcoma 180/마우스, 억제율 87.4% 55, 57, 59, Ehrlich 복수암/마우스, 억제율 80% 55, 59)
면역 세포 활성 154
복강 식세포 활성 154
땀샘 분비 억제

적응증
: 붕루대하(崩漏帶下), 징가적취(癥瘕積聚), 혈림(血淋), 탕항사혈(脫肛瀉血), 구토(嘔吐), 벽음(癖飮), 도한(盜汗), 부인병, 월경불순 57,59

비허(脾虛), 설사(泄瀉): 자실체 16~30g을 물에 끓여서 12회 복용한다. 59.]

뽕나무에서 자라는 진흙버섯인 상황버섯에 대해서 명나라 이천이 기록한 <의학입문>에서는 다음과 같이 기록하고 있다.

[상이(桑耳: 뽕나무버섯)

맛은 달다. 독이 있다. 검은 것은 여자의 적백대하(赤白帶下), 어혈(瘀血), 징가(癥瘕), 음동(陰疼: 음부가 아픈 것), 무자(無子: 임신이 안되는 것)을 치료한다. 누렇게 익은 황숙(黃熟)을 놔두면 진백(陳白) 즉 희어지는데, 오래된 설사를 멎게 하고 기운을 돋운다. 금색(金色)이 나는 것인 상황(桑黃)은 벽음(癖飮), 적취(積聚), 복통, 금창(金瘡: 칼에 베인 상처)를 치료한다.]

진흙버섯 즉 상황버섯의 효능에 대해서 중국에서 펴낸 <중국본초도록> 3191012호에서는 다음과 같이 기록하고 있다.

[상황(桑黃)

기원: 다공균과(多孔菌科=구멍장이버섯과: Ployporaceae)진균인 침층공균(針層孔菌=진흙버섯, 상황버섯: Phellinus igniarius (L. ex Fr.) Quel.)의 자실체(子實體)이다.

형태: 자실체(子實體)는 목질(木質)로 자루가 없다. (균모)은 납작한 반구형(半球形) 또는 낮은 말굽형으로 520 × 730cm이며 천갈색(淺褐色)과 회색(灰色) 또는 흑색(黑色)인데 늙으면 뚜렷한 균열이 있고 동심의 고리능선이 있으며 각피(殼皮)는 없다. 균모의 살은 짙은 커피색으로 목질(木質)이고, 균관(菌管)과 균육(菌肉)은 같은 색으로 여러층이며 층의 순서는 뚜렷하지 않고 길이는 15cm이다. 관공면(管孔面)은 수갈색(銹褐色)이며 항상 철()돌기가 있고 관공(管孔)은 원형(圓形)이다. 포자(胞子)는 구형(球形)에 가깝고 흑색(黑色)이며 강모(剛毛)는 적고 정단(頂端)은 뾰족하고 기부(基部)는 팽대하다.



분포: 백양나무와 버드나무 등의 활엽수 나무 몸통 위에서 자란다. 동북(東北), 화북(華北), 서북(西北) 및 사천(四川), 운남(雲南)에 분포(分佈)한다.

채취 및 제법: 가을철에 거두어 절편한 후 햇볕에 말린다.

성분: agaricic acid, 지방산(脂肪酸), amino acids .

기미: 맛은 약간 쓰고 성질은 차다.

효능: 이오장(利五臟), 선장기(宣腸氣), 지혈(止血), 연견(軟堅), 배독(排毒).

주치: 붕루대하(崩漏帶下), 징하적취(癥瘕積聚) 벽음(癖飮), 비허(脾虛), 설사(泄瀉).

용량: 16-19g.

부주(附註): 단지 뽕나무 위에서 자라는 것을 상황(桑黃)이라고 부르는데 동종(同種)의 다른 나무 위에서 자라는 것도 또한 같은 효과가 있다.

참고문헌: 중약대사전, 하권, 4037; 중국약용진균도감(中國藥用眞菌圖鑑), 181.]

뽕나무에서 자라는 진흙버섯인 상황버섯에 대해서 <한국전통지식포탈>에서는 다음과 같이 기록하고 있다.

[상황(桑黃)

학명: Phellinus igniarius (L. ex Fr.) Quel.
라틴명: Phellini Polyporus
일반명: 말똥진흙버섯
과명
: 소나무비늘버섯과(Hymenochaetaceae)
약용부위: 자실체

[효능]

지혈(止血)
출혈(出血)을 그치게 하는 효능임

지사
(止瀉)
설사(泄瀉)를 치료하는 효능임

화음
(化飮)
몸 안에 생긴 수음(水飮)을 없애는 효능임

화혈
(和血)
()의 운행을 조화롭게 하는 효능임

[주치병증]

경폐(經閉)
여자가 18세 이상이 되어도 월경이 없거나 또는 계속 월경이 있다가 임신, 수유기를 제외하고 3개월 이상 연속 월경이 없는 병증.

대하(帶下)
(1)
여성의 성기에서 흘러나오는 분비물. 월경 전, 배란기, 임신기 외에 비정상적으로 많거나 면면히 이어지고 수반 증상이 있으면 병적임. (2) 옛날에 부인과 질병을 총칭한 것.

벽음(癖飮)
유음(留飮), 현음(懸飮), 수음(水飮)이 흉협(胸脇)에 정체(停滯)해서 발생함. 옆구리가 창만(脹滿)해서 불쾌하고, 기침하면 통증이 더 심하고, 몸을 옆으로 돌리거나 호흡할 때 당기며 아프고, 심하면 흉협비만(胸脇痞滿), 발열, 건구(乾嘔), 단기(短氣) 등이 나타남.

비허설사(脾虛泄瀉)
비기(脾氣)가 본래 허한데다가 병을 앓고 나서 찬 것을 지나치게 많이 복용하거나 음식을 잘 맞추지 못하여 비위(脾胃)를 손상시킴으로써 발생한 설사. [증인맥치(症因脈治)] <비허설사(脾虛泄瀉)>에서 "비허사의 증상은 몸이 약하고 찬 것을 겁내며 얼굴이 누렇게 뜨고, 손발이 모두 차며 팔다리가 나른하고 먹거나 마시고 싶은 생각이 ...

징가적취(癥瘕積聚)
징가(癥瘕)로 뱃속에 결괴(結塊)가 생겨 항상 배가 더부룩하거나 아픈 병증

탈항사혈
(脫肛瀉血)
탈항 되어서 피가 배출되는 것

혈림
(血淋)
임증(淋症)의 하나. 소변이 껄끄럽고 아프면서 피가 섞여 나오는 증. 열이 성해 혈을 쳐서 혈이 상도(常道)를 벗어나 소장(小腸)을 거쳐 포중(脬中)으로 하주(下注)해 소변과 함께 나옴. 또 혈허(血虛), 하원허랭(下元虛冷), 어혈정축(瘀血停蓄) 등으로 일어남. 하원이 허랭하면 배뇨시에 동통이 심하지 않고, 소변이 담홍색이며, ...

혈붕(血崩)
월경 주기가 아닌데도 갑자기 음도(陰道)에서 대량의 출혈이 있는 병증. [부인양방대전(婦人良方大全)] 1권에 나옴. 붕중(崩中), 혈산붕(血山崩), 혈붕부지(血崩不止), 폭붕(暴崩)이라고도 함. 지나친 과로로 기()가 허하여 경혈(經血)을 섭제(攝制)하지 못하거나 매우 화를 내서 간()을 상하여 간이 혈을 저장하지 못하기 ...

성미: 미고(微苦), ()

작용부위: (); ()

[
관련논문]

1-상황버섯이 인간 백혈병 세포주인 HL-60 세포의 분화유도 및 증식에 미치는 영향
2-상황보리 추출물에 의한 p21 Bax 발현 증가와 caspase 활성화를 통한 U937 인체백혈병
3-세포의 apoptosis 유발
4-생물전환법으로 만들어진 대두 비배당체 이소플라본을 섭취한 고지방 식이 쥐의 항고지혈 효과 및 결과에 의한 외삽적용 농도 결정
5-Phellinus igniarius로부터 분리한 단백다당류의 분리 및 특성
6-상황(桑黃) 배양균사체의 활성에 관한 연구(I)
7-PL-2
상황버섯 KT&G로부터의 새로운 Furanone 유도체, Phellinone
8-
배양상황버섯 자실체의 승홍투여로 유도된 흰쥐 신기능에 미치는 영향
9-유산균 발효에 의한 버섯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10-β-Glucuronidase 저해 활성이 우수한 결명자를 첨가한 상황 균사체 배양액의 생리활성 시판버섯의 부위별 항산화능과 유비퀴논 함량
11-큰눈물버섯 (Psathyrella velutina)으로부터 분리한 단백다당체 PVP의 항암.면역활성
12-갈색계 천연색소 추출물의 항산화 특성
13-수종의 생약 물 추출물의 BNL cl.2 Cells 보호효과
14-상황의 이화학적 규격 연구
15-상홍백출산(桑紅白朮散)이 생쥐 대장암세포의 간전이억제와 면역활성화에 미치는 효과
16-수종 한약제의 위암세포에 대한 항암작용 효능 검색 및 약리작용에 관한 분자생물학적 연구
17-Propolis를 이용한 육류양념소스 개발.

상황(桑黃)버섯의 항암효과[농업]

일반사항

식용으로 이용되는 뽕나무 버섯과는 다르며, 한의사들도 잘 모르는 희귀한 약재로서 한의서에 기록이 남아 있으나 구할수 없어 널리 사용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생산기술

암세포의 98% 이상을 퇴치할 수 있는 탁월한 항함 성분을 함유하고 있음이 확인되었으며, 현재 버섯을 구하지 못해 균사를 이용한 항암제를 개발 암치료에 획기적인 돌파구가 열릴 것으로 기대하며, 잠사곤충연구소의 미발표 연구 결과로는 노화억제에도 상당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참고사항

상황버섯은 68년 일본에서도 96.8% 항암효과가 있다는 실험결과를 얻어 학계의 대단한 관심을 끌었다.

자료조사자

이희삼, 잠사곤충연구소, 수원시 권선구 서둔동 61.]

진흙버섯(상황버섯)으로 질병을 치료하는 방법은 아래와 같다.

1, 혈림(血淋), 제복(臍腹) 및 음경삽통(陰莖澀痛)
강곡수근피(崗谷樹根皮) 1냥 반, 약간 구운 상황(桑黃) 1냥 반을 찧어 성근 체로 쳐서 가루를 만들어 매회 3돈을 중간 크기의 컵 1컵의물을 6할이 될 때까지 달여서 찌꺼기를 제거하고 수시로 온복한다. [태평성혜방(太平聖惠方)]

2,
탈항사혈(脫肛瀉血)이 멎지 않는 증상
구운 향부
(香附) 1, 살짝 구운 상황(桑黃) 1냥을 찧어서 체에 친 가루를 꿀로 반죽하여 벽오동 크기의 환을 만든다. 매번 식전에 죽으로 20환씩 복용한다. [태평성혜방(太平聖惠方]

3,
부인의 노손(勞損), 월수불단(月收不斷), 혈갈잠지(血竭暫止), 소로첩극(小勞輒劇)
상황(桑黃)을 찧어서 체에 쳐 가루를 내어 매번 식전에 더운 술에 풀어 2돈씩 복용한다. [태평성혜방(太平聖惠方]

4,
나력궤란(瘰癧潰爛)
상황고(桑黃菇) 5, 수홍두(水紅豆) 1, 백초상(百草霜) 3, 청태(靑苔) 2, 편뇌(片腦) 1푼을 가루내어 달걀 흰자로 개어서 바르고 차전(車前), 애엽(艾葉), 상피(桑皮)를 달여서 환부를 씻는다. [찬요기방(纂要奇方)]

※ 참조:
진흙버섯의 여러 가지 이명(異名)은 아래와 같다.

[
동물이명(同物異名)]

1-Agaricus igniarius (L.) E.H.L. Krause 1932 (synonym)
2-Boletus fomentarius var. ungulatus (Schaeff.) Pers. 1801 (synonym)
3-Boletus igniarius L. 1753 (synonym)
4-Fomes igniarius var. trivialis (Bres.) Killerm. 1928 (synonym)
5-Fomes igniarius (L.) Cooke 1885 (synonym)
6-Fomes igniarius f. alni Bondartsev 1935 (synonym)
7-Fomes igniarius f. nigricans Bondartsev 1935 (synonym)
8-Fomes nigricans (Fr.) Gillet 1878 (synonym)
9-Fomes nigricans var. nigricans (Fr.) Gillet 1878 (synonym)
10-Fomes trivialis (Fr.) Bres. 1931 (synonym)
11-Ganoderma trivialis Bres. (synonym)
12-Mucronoporus igniarius (L.) Ellis & Everh. 1889 (synonym)
13-Mucronoporus nigricans (Fr.) Ellis & Everh. 1889 (synonym)
14-Ochroporus alni (Bondartsev) Fiasson & Niemelä 1984 (synonym)
15-Ochroporus igniarius var. trivialis (Bres.) Niemelä 1985 (synonym)
16-Ochroporus igniarius (L.) J. Schröt. 1888 (synonym)
17-Phellinus alni (Bondartsev) Parmasto 1976 (synonym)
18-Phellinus igniarius f. alni (Bondartsev) Cetto 1987 (synonym)
19-Phellinus igniarius var. igniarius (L.) Quél. 1886 (synonym)
20-Phellinus igniarius subsp. nigricans (Fr.) Bourdot & Galzin 1925 (synonym)
21-Phellinus igniarius var. trivialis (Bres. ex Killerm.) Niemelä 1975 (synonym)
22-Phellinus nigricans (Fr.) P. Karst. 1899 (synonym)
23-Phellinus nigricans var. alni (Bondartsev) Zmitr. & Malysheva 2006 (synonym)
24-Phellinus trivialis (Bres.) Kreisel 1964 (synonym)
25-Placodes igniarius (L.) Quél. 1888 (synonym)
26-Placodes nigricans (Fr.) Quél. 1888 (synonym)
27-Polyporites igniarius (L.) Heer (synonym)
28-Polyporus igniarius (L.) Fr. 1821 (synonym)
29-Polyporus igniarius var. nigricans (Fr.) Jørst. 1937 (synonym)
30-Polyporus nigricans f. trivialis Fr. (synonym)
31-Pseudofomes nigricans (Fr.) Lázaro Ibiza 1916 (synonym)
32-Pyropolyporus igniarius (L.) Murrill 1903 (synonym)
33-Scindalma igniarium (L.) Kuntze 1898 (synonym)
34-Scindalma nigricans (Fr.) Kuntze 1898 (synonym) [출처:
대만생물다양성자신입구망(台灣生物多樣性資訊入口網)]

상기 자료는 약초연구가로서 우리땅에 존재하는 천연물질의 우수성을 널리 알리고 질병으로 고통을 겪고 있는 환우들에게 희망을 주며 신약을 개발하는데 통찰력을 갖게하고 약초를 사랑하는 모든 사람에게 정보의 목적으로 공개하는 것임을 밝혀 둔다.

(글/ 약초연구가 & 동아대 & 신라대 대체의학 외래교수 전동명)

진흙버섯 사진 감상: 1, 2, 3, 4, 5, 6, 7, 8, 9, 10, 11, 12, 네이버+구글+다음+일본구글+대만구글 1, 2, 3, 4, 5,

문의 및 연락처: 010-2545-0777 ; 051-464-0307

주소: http://jdm0777.com

페이스북 주소: http://www.facebook.com/jdmsanyacho

메일: jdm0777@naver.com

아래에 각종 진흙버섯의 종류도 함께 참조해 보시기 바랍니다.

 

 

  1. 가지진흙버섯 무엇인가?
  2. 검은진흙버섯 무엇인가?
  3. 겹층진흙버섯 무엇인가?
  4. 금빛진흙버섯 무엇인가?
  5. 낙엽송층버섯(송목층공균, 송상황) 무엇인가?
  6. 납작진흙버섯 무엇인가?
  7. 녹슨진흙버섯 무엇인가?
  8. 녹슨테진흙버섯 무엇인가?
  9. 마른진흙버섯(담황목층공균, 황금상황) 무엇인가?
  10. 말굽진흙버섯 무엇인가?
  11. 목질진흙버섯(열제침공균, 상황) 무엇인가?
  12. 버들진흙버섯 무엇인가?
  13. 벚나무진흙버섯(빈과목층공균, 벚나무상황) 무엇인가?
  14. 아까시나무 진흙버섯 무엇인가?
  15. 장수진흙버섯 무엇인가?
  16. 전나무진흙버섯 무엇인가?
  17. 진흙버섯(화목층공균, 상황버섯) 무엇인가?
  18. 찔레나무진흙버섯(다표자목층공균, 녹색말범부채버섯) 무엇인가?
  19. 찰진흙버섯(희경목층공균, 점토상황) 무엇인가?
  20. 참진흙버섯 무엇인가?
  21. 판상진흙버섯 무엇인가?

 

 

※ 아래에 진흙버섯 일본/대만/중국 구글 이미지 검색 사진도 감상해 보시고 행복하시기 바랍니다~~~^.^

 


 

홈페이지 주소 : http://jdm0777.com 클릭하시면 홈으로 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