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른진흙버섯(담황목층공균, 황금상황) 무엇인가?

활엽수의 고목 및 줄기에서 자라는 마른진흙버섯

 

 

 

 

 

 

 

 

 

 

 

 

[마른진흙버섯이 활엽수에 붙어 자라는 모습과 버섯 아랫면의 자실층 모습, 사진출처: 일본/대만/한국 구글 이미지 검색]

▶ 건위작용, 항종양(Sarcoma 180/마우스, 억제율 90%, Ehrlich 복수암/마우스, 억제율 60%), 복수암치료, 각종암(소화기 계통의 암인 위암, 식도암, 십이지장암, 결장암, 직장암을 비롯한 간암의 절제 수술후 화학요법을 병행할 때 면역기능을 항진함), 면역기능 활성화, 비장강화, 습기제거, 위장활성화, 자궁출혈 및 대하, 월경불순, 장출혈, 소화기 계통의 질환(위, 대장, 직장, 식도 등), 당뇨병, 천연염료용, 보비, 거습, 건위, 비위불적, 소화불량을 다스리는 마른진흙버섯

마른진흙버섯은 담자균문 소나무비늘버섯목 소나무비늘버섯과 진흙버섯속의 목재 백색 부후성 버섯이다.

마른진흙버섯의 학명은 <Phellinus gilvus (Schwein. ex Fr.) Pat. ; Polyporus gilvus Schw. ex Fr. ; Fuscoporia gilva (Schwein.) T. Wagner et M. Fisch.>이다.
자실체의 폭은 나비 3-8이고 두께는 5-10로 반원형이거나 편평하고 다수가 겹쳐서 발생하며 기부가 내린 주름살처럼 붙어서 위아래의 것이 서로 연결된다. 표면은 황갈색 또는 다갈색이고 희미한 고리 무늬와 빳빳한 다발로 된 털이 있으며 뾰족하고 작은 사마귀 같은 돌기가 밀포되어 상어 껍질 모양을 한다. 살은 황갈색이고 두께는 3-7로 건조한 진흙질이다.

아랫면은 황갈색 또는 암갈색으로 관공의 길이는 1-5로 구멍은 원형이며 작고 관공은 길며 1사이에 5-7개가 있다. 포자의 크기는 4-5×2.5-3로 긴 타원형이고 표면은 매끄럽고 무색이다. 보통은 1년생 버섯(열대에서는 다년생)이며 균모는 발생은 1년 내내 활엽수의 고목에 나는 목재부후균이다.

여름부터 가을까지 활엽수의 죽은나무, 줄기, 가지 위에 중생하는 1~3
년생 목재 백색 부후성 버섯이다. 우리나라에서 2000년 초에 대량 재배에 성공하여 버섯을 재배하는 농민들에 의해 생산되고 있으며 재배산이 건조 1킬로그램에 100만원 전후로 판매되고 있다.

마른진흙버섯의 여러가지 이름은 담황목층공균[淡黄木层孔菌=dàn huáng mù céng kǒng jūn=후앙V, 조피침층공:粗皮针层孔: 백도백과(百度百科)], 조피침층공균[粗皮針層孔菌=cū pí zhēn céng kǒng=V: 중국약용진균도감(中國藥用眞菌圖鑑), 중국본초도록(中國本草圖錄)], 조피침층공균[粗皮針層孔菌: 원색한국약용버섯도감 557], 넷도타케[ネンドタケ粘土茸: 일문명(日文名)], mustard yellow polypore[영명(英名)], 장수상황[마른진흙버섯: 2013 한국의 버섯목록 379면 1396호], 상황버섯, 황금상황, 바나듐 황금상황버섯, 황금상황버섯, 진흙빛혹버섯 등으로 부른다.

마른진흙버섯의 효능에 대해서 박완희, 이호득의 <원색한국약용버섯도감> 557면에서는 다음과 같이 기록하고 있다.

[마른진흙버섯

Phellinus gilvus (Schw. ex Fr.) Pat.
Polyporus gilvus Schw. ex Fr.

중국명: 조피침층공균(粗皮針層孔菌)
일문명: 넷도타케(ネンドタケ粘土茸)

형태: 갓은 너비 ~8cm, 두께 0.5~1cm로 반원형~편평형이며, 표면은 황갈색~갈황색이고 불분명한 환문이 있으며, 짧고 빳빳한 털 또는 사마귀 모양의 돌기가 밀포되어 있다. 조직은 황갈색으로 두께 0.3~0.7cm이고, 건조한 점토질이다. 갓 하면은 황갈색~암갈색이고, 관공은 길이 0.1~0.5cm이며, 관공구는 원형이고 미세하며 1mm5~7개가 있다. 포자는 4~5x2.5~3로 장타원형이고 백색이고, 표면은 평활하다.

생태: 여름부터 가을까지 활엽수의 고목 줄기 위에 중생하는 1~3년생 목재 백색 부후성 버섯이다.

분포: 한국, 일본, 중국 등 전세계

효능: 보비(補脾), 거습(祛濕), 건위(健胃) 59

약리 작용: 항종양(Sarcoma 180/마우스, 억제율 100%, Ehrlich 복수암/마우스, 억제율 100%) 59

적응증: 비위불적(脾胃不適), 소화불량 61.]

마른진흙버섯의 효능에 대해서 중국에서 펴낸 <중국본초도록> 4231520호에서는 다음과 같이 기록하고 있다.

[조피침층공(粗皮針層孔)

기원: 다공균과(多孔菌科=구멍장이버섯과: Polyporaceae) 진균(眞菌)인 조피침층공(粗皮針層孔=마른진흙버섯: Phellinus gilvus (Schw.) Pat.)의 자실체(子實體)이다.

형태: 균걔(菌蓋: )는 코르크질이며 편반구형(扁半球形) 내지 패각형(貝殼形)으로 보통 복와상(覆瓦狀)으로 겹쳐나며 상하가 서로 연결되어 있고, 두께는 3-6x5-10cm이며 회갈색(灰褐色) 내지 수갈색(銹褐色)이고 분모(粉毛)가 밀생하며 거칠고 조잡하며, 가장자리는 얇고 예리하며 균개면(菌蓋面: 갓표면)에 비해 색이 엷다. ()은 수황색(銹黃色) 내지 수갈색(銹褐色)이다. 균관(菌管)은 여러층으로 길이가 15mm이고, 관공면(管孔面)은 황갈색(黃褐色) 내지 암갈색(暗褐色)이며, 관공(管孔)은 원형(圓形) 내지 다각형(多角形)이다. 포자(胞子)는 구형(球形)에 가깝고 광활하며 무색(無色)이다. 강모(剛毛)는 비교적 많으며 송곳모양이고 갈색(褐色)이다.



분포: 활엽수 및 침엽수의 썩은 나무 위에서 자란다. 중국의 각 성()에 분포(分布)한다.

채취 및 제법: 가을철에 따서 햇볕에 말린다.

효능: 보비(補脾), 거습(祛濕), 건위(健胃).

주치: 민간(民間): 비위불적(脾胃不適), 소화불량(消化不良).

용량: 1020g.

참고문헌: 중국약용진균도감(中國藥用眞菌圖鑑), 175.]

마른진흙버섯 즉 황금상황버섯 재배 성공에 대해서 <오마이뉴스> 2003723일자에서는 다음과 같이 기록하고 있다.

[황금상황버섯 대량 생산 길 열려

황금상황버섯에 함유되어 있는 항암성분분석과 톱밥을 이용한 속성재배기술에 대한 연구 결과가 나와 관심을 끌고 있다.

황금상황버섯(Phellinus gilvus=마른진흙버섯)은 분류학적으로 담자균문, 균심강, 민주름버섯목, 소나무비닐버섯과에 속하는 목재부후균으로, 생약학 또는 민간에서는 항암효과 등 면역 활성 물질이 함유되어 있는 것으로 알려져있는 약용버섯이다.


[
인공적으로 재배된 황금상황버섯 정재식]

이 버섯은
2002년에 경상북도 농업기술원에서 등록한 신품종으로 현재 상주, 경산, 의성 등지에서 재배되고 있으며 재배면적이 확대되고 있는 추세이다.

지금까지 원목을 이용한 인공재배에 관한 연구는 있으나, 원목재배는 노동력과 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단점이 있어, 2000년부터 2년간 경북 농업기술원이 톱밥을 이용한 인공재배 가능성에 대한 시험을 수행하였는바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황금상황(Phellinus gilvus)을 참나무톱밥, 미강, 참나무원목에 인공재배한 결과, 참나무톱밥 처리에서 배양소요일수 28, 자실체 건물중 92g, 참나무원목처리는 배양소요일수 56, 자실체 건물중 38.7g으로 나타나 배양소요일수는 약 50% 단축되었고, 수확량이 약 2배 정도로 증수되어 톱밥재배가 유리하였다.

이상의 시험결과로 상황버섯(Phellinus gilvus)의 톱밥재배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원목재배와는 달리 기계화 및 13~4기작 재배가 가능하여 버섯재배농민의 소득증대가 기대된다.

한편 더욱 심도깊은 연구를 위하여 2003년부터 경북대학교와 공동연구를 수행한 결과 기존에 재배되고 있는 장수상황 품종과 일반성분 등이 거의 비슷한 것으로 나타나 농업기술원에서 육성한 황금상황버섯의 대량생산이 이루어질 경우 식품 산업화와 면역활성제제 개발이 가속화될 것으로 전망된다.

금후 상황버섯류 추출물의 실험동물에의 항암효능 및 독성검정과 대량생산체제 확립을 위한 상황버섯 품종별 톱밥재배 이용성을 계속 검토할 계획이다.]

마른진흙버섯의 효능에 대해서 중국의 인터넷 백과사전인 <백도백과(百度百科)>에서는 다음과 같이 기록하고 있다.

[담황목층공균(淡黄木层孔菌)

동물이명(同物异名): Polyporus gilvus Schw. : Fr.
분류지위(分类地位): 다공균과(多孔菌科), 목층공균속(木层孔菌属)
중문학명(中文学名): 담황목층공균(淡黄木层孔菌)
랍정학명(拉丁学名): Phillinus gilvus (Schw. : Fr.) Pat.
별    칭(别    称): 조피침층공(粗皮针层孔)
(): 비습균목(非褶菌目)

[목록(目录)]

1-형태특정(形态特征)
2-
생태습성(生态习性)
3-
분포지구(分布地区)
4-
경제용도(经济用途)

[형태특정(形态特征)]

子实体中等大木栓质无菌柄菌盖平状而反卷半圆形复瓦状1-4 cm×1.5-10cm2-15mm锈褐色浅朽叶色至浅粟色无环带有粗毛或粗糙菌盖边缘薄锐常呈黄色菌肉浅锈黄色至锈褐色3-10mm菌管长2-6.5mm罕有2-3管口咖啡色至浅烟色每毫米6-8刚毛多褐色锥形15-35μm×4.5-6μm菌丝有色不分枝或稀分枝有横隔无锁状连合25-3μm孢子无色光滑宽椭圆形至近球形4-5μm×3.5-4μm[1]



[생태습성(生态习性)]

生柳女真等阔叶树及柳杉等针叶树的腐木上[1]

淡黄木层孔菌分布地区编辑 黑龙江吉林河北河南山西陕西安徽四川江苏浙江江西湖南贵州云南广西海南福建台湾广东等[1]

[경제용도(经济用途)]

属木腐菌被侵害枯立木倒木和伐木桩木材产生白色腐朽药用有보비(补脾)、거습(祛湿)、건위작용(健胃作用)对小白鼠肉瘤180的抑制率90%对艾氏癌的抑制率为60%常在木耳段木上出现被视为杂菌[1]

[
참고자료(参考资料)]

1,
淡黄木层孔菌, 中国百科网[引用日期 2013-11-24.]

마른진흙버섯의 효능에 대해서 야생버섯애호가 최종수의 <약용버섯이야기(81)>에서는 다음과 같이 기록하고 있다.

[마른진흙버섯

마른진흙버섯은 중국 전통의학에서 약용으로 사용하는데 그 효능으로 비장을 보하고(補脾) 습기를 제거하며(祛濕), 위장을 활성화하여 튼튼하게 해준다(健胃), 그래서 비장과 위장이 좋지 않거나 소화불량이 있을 때 사용하면 좋다고 한다.


[
www.jadam.kr 2015-11-28 [ 최종수 ] 마른진흙버섯: Phellinus gilvus(Schwein.) Pat. =Polyporus gilvus(Schwein.) Fr. 영어이름: Mustard-yellow Polypore, Oak Conk]

자실체는 1년생 또는 다년생으로 작거나 중간 크기의 반원꼴 또는 부채꼴을 가지고 층층이 겹쳐 돋고 15cm 너비에 2.5cm 두께 까지 자란다. 자실체 갓 위쪽은 우단 처럼 보이거나 또는 미세한 털로 덮여있고 거칠다. 노균이 되면 다소 평활하게 된다. 색깔은 녹슨 것처럼 보이는 황색에서 황토색 또는 암적색이고 가장자리는 노란색인 것이 특징이다. 노균이 되면 거므스름해 진다. 다소 환문을 보여준다.

포자를 방출하는 자실층은 회갈색에서 적갈색이고 포자색은 흰색이다. 조직은 가죽 같거나 코르크질이고 밝은 황토색에서 황갈색이다. 냄새는 별 특이한 것이 없다.

발생: 일년내내 죽은 활엽수 위에 단생 또는 그룹으로 돋는데 흔히 일렬로 또는 중첩하여 다발로 돋는다. 가끔 침엽수에도 돋지만 특히 참나무를 좋아하는 부생균으로 살아있는 참나무에 백색부후를 일으킨다. 흔한 편이고 질겨서 식용할 수 없다.


[
www.jadam.kr 2015-11-28 [ 최종수 ] 역시 마른진흙버섯]

[진흙버섯속
(Phellinus species) 버섯의 전통 의학적 사용]

호주의 원주민들은 인후염이 있을 때 진흙버섯속 버섯을 태워 그 연기를 들여 마신다고 한다
. 또 인후염, 기침, , 설사, 폐질환이 있을 때 진흙버섯속 버섯을 살짝 태워 긁어낸 가루를 물에 타서 복용한다. 또 버섯 달임물은 그 성질이 차서 내장의 독을 풀어 회복해 준다고 믿는다. 소화기관을 달래주는 이뇨제와 강장제로 사용하여 설사를 멈추게하는 데 좋다고 한다. 또 진흙버섯속 버섯을 얇게 썰어 두드려 부드럽게 만들어 외용(外用) 지혈제로 사용하기도 한다.

특히 마른진흙버섯은 중국 전통의학에서 약용으로 사용하는데 그 효능으로 비장을 보하고(補脾) 습기를 제거하며(祛濕), 위장을 활성화하여 튼튼하게 해준다(健胃), 그래서 비장과 위장이 좋지 않거나 소화불량이 있을 때 사용하면 좋다고 한다.

[현대 의학적 사용]

뿐만 아니라 마른진흙버섯에는 항종양 작용이 있어 쥐 실험에서
Sarcoma 180 억제율 90%, Ehrlich 복수암 60% 억제율을 보여준다고 한다. 특히 한국에서 연구한 바에 따르면 마른진흙버섯은 sarcoma 180 암과 P388 암세포 억제 작용이 있다고 한다.


[
www.jadam.kr 2015-11-28 [ 최종수 ]]

[그 밖의 마른진흙버섯의 용도]

천연염료로 이용
: 사용하는 매염제에 따라서 동물성 섬유, 이를테면 털실이나 실크에 베이지색, 엷은 황갈색, 회갈색 물감을 들이는 천연염색에 사용할 수 있다.

식품산업에 이용: 여러 진흙버섯속 버섯들이 살리실산() 메틸 (HOCHCOOCH: 무색·수용성의 액체; 합성에 의해 또는 자작나무나 노루발풀을 부드럽게 하여 증류시켜 얻는다; 주로 향수·향료·외용약(外用藥)에 반대 자극제로 쓰인다.)이라는 향료 물질 발효에 도움을 주기 위하여 사용해 오고 있다. 이 살리실산 메틸이라는 물질은 보통 화학적 합성에 의하여 사용하고 있다.

[참고문헌]

Robert Rogers, The Fungal Pharmacy: The Complete Guide to Medicinal Mushrooms and Lichens of North America, Berkeley, Calif.: North Atlantic Press, 2011, pp. 322-326.
박완희, 이호득, 한국 약용버섯 도감, 서울: 교학사, 2003(재판), 557.]

마른진흙버섯은 장수상황이라고도 부르며 각종암(소화기 계통의 암인 위암, 식도암, 십이지장암, 결장암, 직장암을 비롯한 간암의 절제 수술후 화학요법을 병행할 때 면역기능을 항진함) 종양 저지율 96.7%(일본 국립암연구센터 88년), 면역기능 활성화, 비위부적, 소화불량, 비장강화, 습기제거, 위장활성화, 자궁출혈 및 대하, 월경불순, 장출혈, 위, 대장, 직장, 식도 등 소화기 계통의 질환에 약용한다.

필자도 약초관찰여행을 하다보면 마른진흙버섯이 활엽수 특히 도토리가 열리는 상수리나무, 참나무 종류 등의 죽은 고사목에 대량으로 군락을 이루고 있는 모습을 가끔씩 보게 된다. 촘촘히 무리지어 진흙색 황금빛을 발하고 있는 모습을 보노라면 감탄이 저절로 나온다.

우주 만물를 창조하신 조물주의 자연섭리에 따라 진흙버섯도 죽은 고사목의 성분을 빨아먹고 목재를 부식시켜 자연으로 되돌려놓는 청소부 역할을 하고 있다는 것에 대해서 한낮 미물에 불과한 균사체인 진흙버섯에게도 고마움을 느끼게 한다.     

상기 자료는 약초연구가로서 우리땅에 존재하는 천연물질의 우수성을 널리 알리고 질병으로 고통을 겪고 있는 환우들에게 희망을 주며 신약을 개발하는데 통찰력을 갖게하고 약초를 사랑하는 모든 사람에게 정보의 목적으로 공개하는 것임을 밝혀 둔다.

(글/ 약초연구가 & 동아대 & 신라대 대체의학 외래교수 전동명)

마른진흙버섯 사진 감상: 1, 2, 네이버+구글+다음+일본구글+대만구글 1, 2, 3, 4, 5,

른진흙버섯 상세 사진 일본 웹사이트: 1,  

문의 및 연락처: 010-2545-0777 ; 051-464-0307

주소: http://jdm0777.com

페이스북 주소: http://www.facebook.com/jdmsanyacho

메일: jdm0777@naver.com

아래의 버섯들 함께 참조해 보시기 바랍니다.

 

 

  1. 갈색꽃구름버섯 무엇인가?
  2. 경피수설불로초(경피수설영지) 무엇인가?
  3. 광대버섯 무엇인가?
  4. 구름송편버섯(운지) 무엇인가?
  5. 꽃송이버섯 무엇인가?
  6. 꽃흰목이(차색은이) 무엇인가?
  7. 낙엽송층버섯(송목층공균, 송상황) 무엇인가?
  8. 노란달걀버섯 무엇인가?
  9. 노랑망태버섯(황군죽손) 무엇인가?
  10. 노루궁뎅이버섯 무엇인가?
  11. 녹선초(소화사고+통초사고) 무엇인가?
  12. 뇌환(雷丸) 무엇인가?
  13. 능이(향버섯) 무엇인가?
  14. 다발방패버섯 무엇인가?
  15. 다예사고 무엇인가?
  16. 달걀버섯 무엇인가?
  17. 댕구알버섯 무엇인가?
  18. 동충하초(冬蟲夏草) 무엇인가?
  19. 마귀곰보버섯 무엇인가?
  20. 마귀광대버섯 무엇인가?
  21. 마른진흙버섯(담황목층공균, 황금상황) 무엇인가?
  22. 말굽버섯 무엇인가?
  23. 말굽잔나비버섯 무엇인가?
  24. 말뚝버섯(백귀필) 무엇인가?
  25. 말불버섯 무엇인가?
  26. 말징버섯 무엇인가?
  27. 망태말뚝버섯(죽손) 무엇인가?
  28. 먼지버섯 무엇인가?
  29. 목도리방귀버섯 무엇인가?
  30. 목이 무엇인가?
  31. 목질진흙버섯(열제침공균, 상황) 무엇인가?
  32. 받침애주름버섯(야광버섯) 무엇인가?
  33. 벚나무진흙버섯 무엇인가?
  34. 볏짚버섯 무엇인가?
  35. 복령(복신) 무엇인가?
  36. 불로초(영지) 무엇인가?
  37. 붉은사슴뿔버섯 무엇인가?
  38. 뽕나무버섯부치(양균) 무엇인가?
  39. 사고(갈심) 무엇인가?
  40. 상황버섯(목질열대구멍버섯) 무엇인가?
  41. 서양송로(여름덩이버섯/대리석덩이버섯/검은덩이버섯) 무엇인가?
  42. 석이버섯(석목이) 무엇인가?
  43. 소나무잔나비버섯(천년영지) 무엇인가?
  44. 소혀버섯(우설균) 무엇인가?
  45. 송이 무엇인가?
  46. 시루송편버섯 무엇인가?
  47. 아가리쿠스버섯 무엇인가?
  48. 아까시흰구멍버섯(장수버섯) 무엇인가?
  49. 알광대버섯 무엇인가?
  50. 옥수수깜부기병균 무엇인가?
  51. 유혈꽃구름버섯 무엇인가?
  52. 잎새버섯 무엇인가?
  53. 자흑색불로초(자흑색영지) 무엇인가?
  54. 잔나비불로초(잔나비걸상) 무엇인가?
  55. 접시껄껄이그물버섯 무엇인가?
  56. 좀나무싸리버섯 무엇인가?
  57. 좀말불버섯 무엇인가?
  58. 죽복령 무엇인가?
  59. 진흙버섯(화목층공균, 상황버섯) 무엇인가?
  60. 찔레나무진흙버섯(다표자목층공균, 녹색말범부채버섯) 무엇인가?
  61. 차가버섯(자작나무시루뻔버섯) 무엇인가?
  62. 찰진흙버섯(희경목층공균, 점토상황) 무엇인가?
  63. 천마 무엇인가?
  64. 천장사고 무엇인가?
  65. 치마버섯 무엇인가?
  66. 침엽수불로초(침엽수영지) 무엇인가?
  67. 코끼리말징버섯 무엇인가?
  68. 큰갓버섯 무엇인가?
  69. 큰장수버섯(편목영지) 무엇인가?
  70. 털목이 무엇인가?
  71. 테두리방귀버섯 무엇인가?
  72. 파리버섯 무엇인가?
  73. 한입버섯 무엇인가?
  74. 해면버섯 무엇인가?
  75. 홍석이 무엇인가?
  76. 화경솔밭버섯(달화경버섯) 무엇인가?
  77. 황토볏짚버섯 무엇인가?
  78. 흰구름송편버섯(백화운지) 무엇인가?
  79. 흰찐빵버섯 무엇인가?

 

 

※ 아래에 jdm 필자가 2018년 10월 21일 밤 경남 000산에서 아이폰으로 야간에 찍은 대량 군락을 이루며 자라고 있는 마른진흙버섯 사진도 감상해 보시고 행복하시기 바랍니다~~~^.^

 

 

홈페이지 주소 : http://jdm0777.com 클릭하시면 홈으로 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