석이버섯(석목이) 무엇인가?

깊은산 바위에 붙은 귀 돌버섯

 

 

 

 

 

 

 

 

 

 

 

 

[바위에서 자라는 석이버섯, 밧줄을 매달고 석이버섯을 채취하는 모습, 사진출처: 일본/대만/한국 구글 이미지검색]  

▶ 항암작용, 장수작용, 건위작용, 복통, 이질, 탈항, 만성기관지염[임상보고], 강장, 강정, 가을철 김장을 할 때[김치 양념으로 석이버섯을 넣으면 김치가 잘 시지 않고 싱싱함을 유지함], 지혈, 치루, 백대하, 적리, 각혈, 하혈, 얼굴빛을 좋게하고 장수하게하게 하는데, 소화불량을 다스리는 석이버섯

석이버섯은 석이과 석이속인 지의류(地衣類)의 일종이다.

석이버섯의 학명은 <Umbilicaria esculenta (Miyoshi) Minks ;
Gyrophora esculenta Miyoshi>이다. 깊은 산의 바위에 붙어서 자라는 엽상지의(葉狀地衣)이다. 마치 바위에 붙은 귀같다고 해서 석이라고 부른다. 지의체는 지름 3∼10cm(간혹 30 cm)의 넓은 단엽상으로 거의 원형이고 혁질(革質)인데 건조시에는 위쪽으로 말린다.

표면은 황갈색 또는 갈색으로 광택이 없고 밋밋하며 때로는 반점 모양으로 탈락하는 노출된 백색의 수층이 국부적으로 나타난다. 뒷면은 흑갈색 또는 흑색으로 미세한 과립상 돌기가 있고 전체가 검으며 짧은 헛뿌리가 밀생한다.


마르면 단단하지만 물에 담그면 회록색으로 변하고 연하게 된다. 자기(子器)는 지의체의 표면에 생기는데 흑색이고 표면이 말린 모양으로 지름 1∼2밀리미터 이며 포자는 무색이고 1실이다. 석이는 맛이 담백하여 튀김 요리에 많이 쓰인다. 지로포르산의 성분이 있어 중국 한방에서는 강장, 각혈, 하혈 등에 지혈제로 이용한다. 한국, 중국, 일본 등지에 분포한다.

석이버섯에 대해서 중국의 <중약대사전>에서 표현하기를 "
원식물체는 홑잎이고 두꺼운 막질이다. 건조하면 파삭하고 부서지기 쉽다. 생장하지 않았을 때는 대체로 원형이고 가장자리의 갈라진 틈은 매우 얕다. 크게 되면 윤곽은 대개 타원형이다. 가장 클 때에는 지름이 18센티미터가 된다. 불규칙한 물결 모양의 기상이 있으며 가장자리는 얕게 벌어져 있다. 열편은 모양이 불규칙하다. 배꼽의 뒤쪽에는 돌기되어 있다. 표면은 쪼그라져 주름이 잡혀 있고 뇌모양으로 도드라진 그물무늬나 여러 개의 굵은 맥락으로 되어 있다. 크고 작은 구멍이 있고 헛 뿌리는 구멍의 중간에서 표면을 향하여 뻗어 있다. 윗표면은 약간 회색이나 회갈색이나 연한 갈색이며 매끌매끌한 작은 조각이 붙어 있다. 모체와 비슷한 작은 잎몸을 가진 것도 있는데 지름은 7mm이다. 밑표면은 회갈흑색이나 흑색이다. 배꼽은 청회색인데 흑색이 섞여 있으며 지름은 4~10mm이다. 헛뿌리는 흑색이고 산호 모양으로 분지되었고 조직은 빽빽한 융모 모양이나 덩어리 모양으로 되어 있으며 원식물체의 밑 표면을 덮고 있다. 자낭반은 대략 수십 개이고 흑색이다. 자루가 없고 원형이나 삼각형 내지 타원형이다. 햇볕이 잘 드는 벼랑에서 자란다. 중국의 절강(浙江), 안휘(安徽), 강서(江西) 등지에 분포한다."라고 기록하고 있다.

※ 참조: 중국에서는 아래와 같은 석이 종류를 함께 약용으로 활용하고 있다.

1, 홍석이
[
石耳: Umbilicaria hypococcinea (Jatta) Llano.]
윗표면은 회색이거나 암회색이며 밑면은 홍색으로 황갈색을 약간 띠고 가장자리는 짙은 갈색이다.

2, 반형석이
[盤形石耳: Gyrophora tornata Ach.]
표면은 짙은 갈색이며 안쪽은 갈색이다.

3, 주홍혁각의
[朱紅革殼衣: Dermatocarpon miniatum (L.) Mann.]
표면은 회백색이며 안쪽은 갈색이다.

4, 석이
[
石耳: Umbilicaria esculenta (Miyoshi) Minks ; Gyrophora esculenta Miyoshi]
윗 표면은 회갈색 또는 갈색으로 광택은 없다.

석이버섯의 여러 가지 이름은
석이[石耳=shí ěr=V: 일용본초(日用本草)], 영지[靈芝: 영원방(靈苑方)], 석목이[石木耳: 음편신참(飮片新參)], 암고[岩: 강서성방치만성기관지염자료휘편(江西省防治慢性氣管支炎資料彙編)], 홍복석이[紅腹石耳: 지의식물도감(地衣植物圖鑑)], 이와타케[イワタケ=岩茸=石茸, 지세키:じせき: 일문명(日文名)], 돌버섯지의, 바위버섯지의, 돌버섯, 바위버섯, 석용, 석이, 석이버섯, 백의 등으로 부른다.

[채취]

<중약대사전>: "일년 내내 채집할 수 있으며 그늘에서 말린다." 

[약재]

<중약대사전>: "건조한 석이는 불규칙한 원형의 편상(片狀)으로 주름이 많다. 외표면은 회갈색이거나 갈색이고 내측은 회색이다. 단면에는 뚜렷한 흑색과 백색의 2층면이 보인다. 약간 냄새가 나고 맛은 싱겁다. 모양이 크고 파손되지 않은 것이 양품이다."

[포제(
炮製)]

<중약대사전>: "이물질을 제거한 다음 깨끗이 씻어 햇볕에 말린다."

[성미]


1, <중약대사전>: "맛은 달며 성질은 평하다."

2, <일용본초(日用本草)>: "맛은 달며 성질은 차고 독이 없다."

3, <본초강목(本草綱目)>: "맛은 달며 성질은 평하고 독이 없다."

4, <의림찬요(醫林纂要)>: "맛은 짜고 쓰며 성질은 차다."

[약효와 주치]


1, <중약대사전>: "양(陽)을 기르고 지혈하는 효능이 있다. 노해(勞咳), 토혈(吐血), 장풍하혈(腸風下血), 치루, 탈항을 치료한다."

2, <일용본초(日用本草)>: "심기(心氣)를 맑게하고 위(胃)를 양(養)하며 지혈한다."

3, <본초강목(本草綱目)>: "시력을 아주 좋게 하고 정(精)을 보익한다."

4, <의림찬요(醫林纂要)>: "심장을 강화하고 위기(胃氣)를 맑게 한다. 장풍치루를 치료하고 수(水)를 통하게 하며 열독을 제거한다."

5, <영남채약록(嶺南採藥錄)>: "화(火)를 내리고 설사를 멈추게 한다."

6, <음편신참(飮片新參)>: "폐기를 맑게 하고 음(陰)을 기르며 노해(勞咳), 토혈(吐血)을 치료한다."

[용법과 용량]


<중약대사전>: "내복: 환을 만들거나 가루내어 먹는다."


석이버섯의 효능에 대하여 허준이 쓴
<동의보감>에서는 다음과 같이 정의하고 있다.

[석이(
石耳)

○ 성질은 차고(일설에서는 평하다고 하였다), 맛은 달며, 독은 없다. 가슴을 시원하게 하고 위(胃)를 보하며, 피나는 것을 멎게하고, 오랫동안 살 수 있게 하고 얼굴빛을 좋아지게 하며, 배고프지 않게 한다. 높은 산의 벼랑에서 나는 것을 영지(靈芝)라고 한다.(일용)
]

석이버섯에 대해 북한에서 펴낸
<약초의 성분과 이용> 110면에서는 다음과 같이 기록하고 있다.

[돌버섯지의(바위버섯지의)

학명:
Umbilicaria esculenta (Miyoshi) Minks(Gyrophora esculenta Miyoshi)

다른 이름:
돌버섯, 석용, 석이, 백의

식물:
산 속의 벼랑 위에 붙어 자란다. 직경이 3~10cm 되고 불규칙한 둥근 판 모양의 가죽 같다. 윗면은 어두운 밤색이고 매끈하지만 부서지기 쉽고 바위에서 잘 떨어지지 않는다.

비 온 다음 물기 있을 때 뜯는 것이 좋다.

성분:
데프지트, 기로포린산이 있다.

응용:
민간요법으로는 적리 치료에 달여서 먹는다.

위를 보하고 피를 멈추며 얼굴색을 좋게 한다 하여 예로부터 나물로 먹었다.
]

석이버섯의 효능에 대해서 북한에서 펴낸
<세계유용식물사전> 277면에서는 다음과 같이 기록하고 있다.

[
돌버섯지의

학명:
Umbilicaria esculenta (Miyoshi) Minks.=Gyrophora esculenta Miyoshi
다른 이름:
바위버섯, 석이
중:
석이(石耳)
일:
이와타케(
イワタケ)

돌버섯지의과(
Umbilicariaceae)의 식용 및 약용지의식물. 우리나라 각지의 깊은산 바위절벽에 돋는다. 중국, 일본에 퍼져 있다. 지의체는 잎모양지의류로서 길동근모양, 둥근모양인데 마르면 위쪽으로 말리며 직경은 3~10cm 드물게는 30cm인 것도 있다. 앞면은 잿빛밤색이고 뒷면에는 검은색의 가짜뿌리가 빽빽이있고 가운데부분에 도드라기가 있는데 이것으로 바위에 붙는다. 자낭은 둥근통모양이고 8개의 포자가 줄지어 있다. 포자는 색이 없는 길둥근모양이고 크기는 16~30x8~12㎛이다. 마른지의체에는 조단백 46.0%, 조지방 3.36%, 조섬유 10.12%, 조회분 8.20%와 환원당 3.25%, 소당류 0.59%, 물풀림성다당류 11.67%, 유기산 1.03% 들어 있다. 고급식품으로 윗껍질층을 벗겨내고 기름튀기 혹은 데쳐서 식초를 넣어 메워 먹는다. 강장약으로 쓰며 각혈, 하혈 등에 피멎이약초로 쓴다.]

석이버섯의 효능에 대해서 북한에서 펴낸 <조선버섯도감> 210면에서는 다음과 같이 기록하고 있다.

[바위버섯

[지의류]

학명: Gyrophora esculenta Miyoshi

다른 이름: 석이

버섯은 잎모양, 타원형, 둥근모양에 가까우며 직경은 5~10cm이다. 겉면은 잿빛밤색이고 뒷면에는 검은밤색의 바늘털이 빽빽이 있고 가운데부분에 도드라기(제상체)가 있는데 이것으로 바위에 붙는다. 자낭은 둥근통모양이고 8개의 포자가 줄지어 있다.

포자는 색이 없는 타원형이고 크기는 16~30x8~12μ이다.이 버섯은 바위, 절벽에 나는 여러해살이버섯이므로 따는 시기는 따로 없지만 물기가 있을 때에 따는 것이 좋다. 마르면 바위돌에 들어붙어서 뜯어내기 힘들 뿐 아니라 잘 부스러진다. 먹는다.
]

석이버섯을 김장에 넣는 것과 관련하여 우석대학교 생명공학부 교수 조덕현의 <버섯> 112-113면에서는 다음과 같이 기록하고 있다.

[김장에 넣는 석이버섯

가을철 김장을 할 때 김치 양념으로 석이버섯이라는 것을 넣는다. 이 버섯을 넣으면 김치가 잘 시지 않고 싱싱함을 유지하기 때문이다.

석이버섯은 그 생활상을 보아 엄밀한 의미에서 버섯이라기보다는 <지의류(地衣類)>에 속한다고 할 수 있다.

지의류란 녹조류와 공생하는 균류를 말한다. 균류가 균사를 통해 물을 빨아들이면 녹조류는 엽록소를 이용하여 광합성을 하고 양분을 만들어 균류에게도 공급한다. 그러나 석이버섯의 번식 방법 역시 다른 버섯처럼 생식세포인 포자를 만든다는 점에서는 같다.

석이버섯은 우리 나라, 일본, 러시아의 연해주 등지에 분포하는데, 깊은 산 속의 암벽이나 비교적 낮은 땅의 암벽에서 군생 즉 무리지어 자란다. 얇은 나뭇잎 모양으로 생겼으며 그 종류도 여러 가지이다. 이 버섯의 아랫부분은 흑색이고 가는 헛뿌리가 밀생하고 있으며 가운데에 조그만 자루가 있어서 바위에 달라붙는다. 습기를 머금으면 탄력이 생기지만 마르면 쉽게 갈라지는 것이 특징이다.
]

석이버섯의 효능에 대해서 우리 주변에서 볼 수 있는 지의류 199종을 기록하였으며 국립수목원에서 펴낸 <지의류생태도감> 232면에서는 다음과 같이 기록하고 있다.

[석이

학명: Umbilicaria esculenta (Miyoshi) Minks<석이버섯>으로 잘 알려진 지의류로 식용 및 약용한다. 중고산지대 햇빛이 잘 드는 바위에 착생하여 자라는 원형의 중대형 엽상지의류로 군집을 이루어 자란다.

건조시에는 갈색을, 젖은 상태에서는 연한 녹색을 띤다. 아랫면은 기근이 없이 매끄럽고 지의체 중심부에 착생부위인 제상체가 존재한다.
]

석이버섯의 효능에 대해 중국에서 펴낸
<중국본초도록> 제 4권 39면 1552호에서는 다음과 같이 기록하고 있다. 

[석이(石耳)

기원: 석이과(石耳科: Umbilicariaceae)식물인 석이(石耳: Umbilicaria esculenta (Miyoshi) Minks.)의 전주자실체(全株子實體)이다.

형태: 지의체(地衣體)는 단엽상(單葉狀)의 근원형(近圓形)으로 혁질(革質)이며 직경(直徑)은5∼12cm내외이다. 열편(裂片)의 가장자리는 갈기 갈기 찢겨진 모양이다. 윗 표면(表面)은 회갈색(灰褐色) 또는 갈색(褐色)으로 광택은 없으며, 소량의 분쇄상(粉刷狀) 분상층(粉霜層)으로 덮여 있거나 덮여 있지 않기도 하고 평활하며, 피층(皮層)의 국부(局部)가 반점(斑點)모양으로 떨어져 나가거나, 흰색의 수층(髓層)이 노출될 때도 있다. 아래 표면(表面)은 흑갈색(黑褐色) 내지 흑색(黑色)이며 작은 과립상(果粒狀) 돌기가 있고 같은 색의 굵고 짧으며 분지(分枝)된 가근(假根)이 덮고 있다. 제(臍: 배꼽)를 중심으로 방사상(放射狀)의 굵고 단단한 맥문(脈紋)이 있을 때도 있다.



분포: 고산의 절벽 바위 위에서 자란다. 중국의 흑룡강(黑龍江), 길림(吉林), 강서(江西), 안휘(安徽), 서장(西藏)에 분포한다.

채취 및 제법: 연중 채취가 가능하며 잡초를 떨어내고 햇볕에 말린다.

성분:
gyrophoric acid.

기미:
맛은 달고 성질은 평하며 독이 없다.

효능:
양음(養陰), 지혈(止血).


주치: 노상해혈(勞傷咳血), 장풍하혈(腸風下血), 치루(痔漏), 탈항(脫肛). 항균소(抗菌素)의 원료로 쓰이며, 그밖에 수용성 지의(地衣) 다당(多糖)은 고도의 항암 활성을 지닌다.

용량:
하루 15∼20g을 사용한다.

참고문헌:
중약대사전(中藥大辭典), 상권, 1203면 ; 약용지의(藥用地衣), 28면 ; 회편(滙編), 하권, 179면.]

[<<밧줄에 매달린 광주리에 사람이 타고 바위 절벽에서 석이를 채취하는 옛 일본 사람들의 모습, 사진 출처: 일본 위키 백과>>]

석이버섯으로 질병을 치료하는 방법은 아래와 같다.

1, 탈항으로 인해 하혈이 멎지 않는 증상

살짝 볶은 석이버섯 5냥, 태워서 재로 한 백반(白礬) 1냥, 곱게 간 밀타승(密
陀僧: 광물성 약재인 산화납) 1냥을 고운 체로 쳐서 수침(水浸)하였다가 쪄 내어 벽오동씨 크기의 환을 만든다. 매번 식전에 죽으로 20환을 복용한다.

2, 만성기관지염
(임상보고)
암고(岩
: 석이버섯) 25g(수제:首劑 50g), 돈적신육(豚赤身肉: 붉은돼지고기살) 150g에 소금을 조금 가하여 물에 찐다. 오전에 한번 쪄서 즙을 복용하고 오후에 한 번 쪄서 약, 고기, 즙을 전부 복용한다.

230례를 관찰하였는데(평균 연령 50세 이상) 그중 단순형 178례에서, 조기 억제 23례, 유효 52례, 호전 73례, 무효 30례였는데 총유효율은 83.14%였다. 천식형 52례에서는 조기 억제 5례, 유효 9례, 호전 21례, 무효 17례로 총유효율은 67.3%였다. 복용 후 지해(止咳), 거담(祛痰), 평천(平喘) 효과가 나타난 최단 시간은 한 시간 반이며 환자의 대부분은 3일 이내에 효과가 나타났다. 28례 환자의 복용 전, 복용 중, 복용 후에 혈압을 측정했더니 처음 1첩 복용 후 몇몇 환자는 혈압이 내리고 2~3일에 정상 상태로 회복되었다. 5례의 고혈압을 병발한 환자 중에서 복용 후 2례가 정상 범위의 혈압으로 내려갔다.

부작용:
때때로 경도의 현기증이나 두통, 위장의 불쾌감, 힘이 없는 등의 증상이 나타나지만 복용을 중지할 필요는 없으며 2~3일이면 자연히 없어진다. 실험에 의하면 석이버섯은 α형 연쇄상 구균, 폐렴구균, 황색 포도상 구균 등에 대하여 모두 억제 작용이 없다는 것이 증명되었다. 약리 실험에서는 진해, 거담 효과가 있었다. [중약대사전]

[비고(備考)]


<월지(
誌)>: "조양(詔陽)의 제동(諸洞)에는 석이(石耳)가 많지만 반드시 청석(靑石)에 자란다. 대설 후 돌이 습기를 받고 희미하게 햇볕이 비치면 석이(石耳)가 난다. 큰 것은 면(面)을 이루고 이끼와 비슷하며 백색인데 이것을 바라보면 연기와 같다.

똑 꼭지가 있어 크고 작은 꽃이 피어 있는 것 같다. 이것을 끓이면 겉은 청자색으로서 부용(芙蓉)과 같고 속은 검고 주름이 잡혀 있다. 날이 밝기 전에 채취하면 실하고 두껍지만 햇볕을 받으면 점점 얇아지며 또 약간 물로 변화한다. 버섯류는 모드 그늘지고 축축한 기(氣)를 받고 냉기를 잘 발산하기에 흔히 생강과 함께 복용하면 좋지만 석이(石耳)는 맛이 달고 통통하며 성질이 평하고 독이 없으므로 많이 복용하면 피부를 촉촉하게 한다. 목이(木耳), 지이(地耳)보다 상등품이다."

석이버섯은 바위에 붙은 귀의 모습으로 볼수록 참으로 신비롭기만 하다. 비가오면 싱싱한 모습으로 바위에 앙증맞게 자라고 있다가 건조하면 쭈구러져 붙어 있는 모습을 하고 있다. 석이버섯은 불완전한 사람이 생각해 낼 수 없는 대자연에 존재하는 조물주의 신묘한 걸작품 중에 하나이다.


상기 자료는 약초연구가로서 우리땅에 존재하는 천연물질의 우수성을 널리 알리고 질병으로 고통을 겪고 있는 환우들에게 희망을 주며 신약을 개발하는데 통찰력을 갖게하고 약초를 사랑하는 모든 사람에게 정보의 목적으로 공개하는 것임을 밝혀 둔다.  

(글/ 약
초연구가 & 동아대 & 신라대 대체의학 외래교수 전동명)

석이버섯 사진 감상: 1, 2, 3, 4, 네어버+구글+다음+일본구글+대만구글: 1, 2, 3, 4, 5,

문의 및 연락처: 010-2545-0777 ; 051-464-0307

주소: http://jdm0777.com

페이스북 주소: http://www.facebook.com/jdmsanyacho

메일: jdm0777@naver.com

아래에 각종 버섯의 종류를 함께 참조해 보시기 바랍니다.

 

 

  1. 갈색꽃구름버섯 무엇인가?
  2. 경피수설불로초(경피수설영지) 무엇인가?
  3. 광대버섯 무엇인가?
  4. 구름송편버섯(운지) 무엇인가?
  5. 꽃송이버섯 무엇인가?
  6. 꽃흰목이(차색은이) 무엇인가?
  7. 낙엽송층버섯(송목층공균, 송상황) 무엇인가?
  8. 노란달걀버섯 무엇인가?
  9. 노랑망태버섯(황군죽손) 무엇인가?
  10. 노루궁뎅이버섯 무엇인가?
  11. 녹선초(소화사고+통초사고) 무엇인가?
  12. 뇌환(雷丸) 무엇인가?
  13. 능이(향버섯) 무엇인가?
  14. 다발방패버섯 무엇인가?
  15. 다예사고 무엇인가?
  16. 달걀버섯 무엇인가?
  17. 댕구알버섯 무엇인가?
  18. 동충하초(冬蟲夏草) 무엇인가?
  19. 마귀곰보버섯 무엇인가?
  20. 마귀광대버섯 무엇인가?
  21. 마른진흙버섯(담황목층공균, 황금상황) 무엇인가?
  22. 말굽버섯 무엇인가?
  23. 말굽잔나비버섯 무엇인가?
  24. 말뚝버섯(백귀필) 무엇인가?
  25. 말불버섯 무엇인가?
  26. 말징버섯 무엇인가?
  27. 망태말뚝버섯(죽손) 무엇인가?
  28. 먼지버섯 무엇인가?
  29. 목도리방귀버섯 무엇인가?
  30. 목이 무엇인가?
  31. 목질진흙버섯(열제침공균, 상황) 무엇인가?
  32. 받침애주름버섯(야광버섯) 무엇인가?
  33. 벚나무진흙버섯 무엇인가?
  34. 볏짚버섯 무엇인가?
  35. 복령(복신) 무엇인가?
  36. 불로초(영지) 무엇인가?
  37. 붉은사슴뿔버섯 무엇인가?
  38. 뽕나무버섯부치(양균) 무엇인가?
  39. 사고(갈심) 무엇인가?
  40. 상황버섯(목질열대구멍버섯) 무엇인가?
  41. 서양송로(여름덩이버섯/대리석덩이버섯/검은덩이버섯) 무엇인가?
  42. 석이버섯(석목이) 무엇인가?
  43. 소나무잔나비버섯(천년영지) 무엇인가?
  44. 소혀버섯(우설균) 무엇인가?
  45. 송이 무엇인가?
  46. 시루송편버섯 무엇인가?
  47. 아가리쿠스버섯 무엇인가?
  48. 아까시흰구멍버섯(장수버섯) 무엇인가?
  49. 알광대버섯 무엇인가?
  50. 옥수수깜부기병균 무엇인가?
  51. 유혈꽃구름버섯 무엇인가?
  52. 잎새버섯 무엇인가?
  53. 자흑색불로초(자흑색영지) 무엇인가?
  54. 잔나비불로초(잔나비걸상) 무엇인가?
  55. 접시껄껄이그물버섯 무엇인가?
  56. 좀나무싸리버섯 무엇인가?
  57. 좀말불버섯 무엇인가?
  58. 죽복령 무엇인가?
  59. 진흙버섯(화목층공균, 상황버섯) 무엇인가?
  60. 찔레나무진흙버섯(다표자목층공균, 녹색말범부채버섯) 무엇인가?
  61. 차가버섯(자작나무시루뻔버섯) 무엇인가?
  62. 찰진흙버섯(희경목층공균, 점토상황) 무엇인가?
  63. 천마 무엇인가?
  64. 천장사고 무엇인가?
  65. 치마버섯 무엇인가?
  66. 침엽수불로초(침엽수영지) 무엇인가?
  67. 코끼리말징버섯 무엇인가?
  68. 큰갓버섯 무엇인가?
  69. 큰장수버섯(편목영지) 무엇인가?
  70. 털목이 무엇인가?
  71. 테두리방귀버섯 무엇인가?
  72. 파리버섯 무엇인가?
  73. 한입버섯 무엇인가?
  74. 해면버섯 무엇인가?
  75. 홍석이 무엇인가?
  76. 화경솔밭버섯(달화경버섯) 무엇인가?
  77. 황토볏짚버섯 무엇인가?
  78. 흰구름송편버섯(백화운지) 무엇인가?
  79. 흰찐빵버섯 무엇인가?

 

 

※ 아래에 jdm 필자가 찍은 석이버섯 사진도 감상해 보시고 행복하시기 바랍니다~~~^.^

 

 

홈페이지 주소 : http://jdm0777.com 클릭하시면 홈으로 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