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박테리아, 바이러스,
인체에 유익한 미네랄까지 제거, 물이 산성화됨, 각종 오염 물질이 99% 이상 걸러지는
역삼투압수
1,
지식경제용어사전
[역삼투압법(Reverse Osmosis)
약어: RO
반투막(Semipermeable-Membrane)과 삼투압을 이용하여 해수 등에 녹아 있는 물질을 제거하여 순도가 높은 담수를 얻는 방법이다.]
2,
네이버 블로그 커피정수기
[역삼투압 (R/O)
필터
반투막으로 격리되어 있는 침투막 한쪽에 고농도의 용액을, 다른 한쪽에는 저농도의
용액을 넣었을 때 자연의 확산 현상으로 저농도의 요액이 고농도 쪽으로 이동하는 현상이 바로 삼투 현상이며, 이때 발생하는 수위의 차이를
삼투압이라고 합니다.
그러나, 고농도 용액에 삼투압 이상의 압력을 가하면 역으로 고농도 용액에서 저농도
용액쪽으로 이동하는 현상이 발생하는데, 이를 역삼투 현상이라 하며, 이때 발생하는 수위의 차이를 역삼투압이라고 합니다.

이 원리를 이용하여 물분자만 반투막을 통과시켜 물을 정화하는 장치를 역삼투압 설비라고
합니다.
역삼투압 필터는 박테리아, 바이러스 등 각종 오염 물질이 99% 이상 걸러지므로,
순수한 물 분자만이 통과하게 됩니다.
하지만, 인체에 유익한 미네랄까지 제거하기에, 물이 산성화되는 문제점이 있기도
합니다. 또한, 원수의 약 80% 정도의 물을 폐수로 버리므로, 물 낭비가 심하게 발생하기도
합니다.
필터 기공은 0.0001 미크론 이하입니다.
역삼투압 정수기
필터구성도
역삼투압 정수기의 경우 적절한 수압이 있어야만 정수가
가능합니다.
그러므로, 수압이 약한 경우 승압필터는 반드시 있어야만 하며, 펌프의 보호를 위해
1번 필터를 거친후 펌프를 연결합니다. 오토셧업은 정수탱크에 물이 가득찬 경우 물의 흐름을 정지시키므로, 폐수로 버려지는
물의 낭비를 막습니다.
중공사막 방식
필터구성도
1.
침전필터: 수돗물속의 녹, 모래 등 큰 크기의 불순물을
제거합니다.
2. 선카본필터: 수돗물의 염소 성분을 제거합니다.
3. 중공사막필터:
정수기의 핵심필터로써 미네랄 성분을 제외한 물의 이물질을
제거합니다.
4. 후카본 필터: 정수된 물의 물의 맛을 향상시켜 줍니다.

프리,
포스트 카본(활성탄) 필터 프리카본 필터는 탄소가 불순물을 흡착한다는 원리를 응용하여 섭씨 1천도 이상의
고온에서 인체에 무해한 야자껍질, 톱밥, 나무, 숯, 석탄등을 태워서 만듭니다.
이 과정에서 표면에 틈새가 생겨 활성탄 1g 당 표면적이 1천 2백 평방m 에 달하게
됩니다.

활성탄의 흡착력은 이 미세한 틈에 오염물질이 끼어들어 가는 과정에서 나타나며, 물
속의 염소, 불쾌한 맛, 나쁜 맛 등을 빨아들이는 역할을 합니다.
그러나, 미생물이나 중금속, 각종 화학 독성물질은 흡착하지
못합니다.
또한, 활성탄의 흡착 능력에는 한계가 있고, 사용기간이 길어지면 유기물질 등이 부착되
세균이 번식할 우려가 있습니다.
따라서, 주기적인 교체가 필요합니다.
세디먼트
필터란?

SEDIMENT FILTER (침전필터)는 1단계 전처리 필터로써 첫 단계에 장착되는
필터입니다.
상수도나 지하수에 함유되어 있는 먼지, 모래, 수도관의 녹물등과 같은 부유물질을
제거하여 2단계 필터의 수명을 연장시켜주는 중요한 필터입니다.
첫 단계에 장착되기에 수명은 가장 짧으며 교환주기는 2~6개월까지 수질과 사용량에
따라 차이가 있습니다.
재질은 폴리프로필렌이며 1마이크론 이상의 입자를 제거하도록 설계되어
집니다.
블럭카본필터와 실버블럭카본필터
분말 상태가 아닌 성형화된 필터로써, 충격, 마모, 열, 화학물질등에 강한 성질을 지니며, 최초 사용시 분말 활성탄에 비해 활성탄 분진이 거의 방출되지 않습니다.
더불어 유로를 형성하지 않으므로, 세균이 필터내부에 서식할 수 있는 공간을 없애줍니다.
분말 활성탄과 달리 입자 상태가 아닌 블럭형이므로 펄터의 특성이 쉽게 파괴되지 않으며, 필터 고유의 기능을 장기간 유지합니다.
후카본 필터로 많이 사용합니다.
먹는 물의 수질
기준
수질검사항목과
기준(정수장 및 수도꼭지)
검사항목
|
수질기준
|
1) 일반세균 |
100FU/ml |
2) 대장균군 |
1/50ml |
3) 납(Pb) |
0.05mg/ℓ |
4) 불소(F) |
1.5mg/ℓ |
5) 비소(As) |
0.05mg/ℓ |
6) 셀레늄(Se) |
0.01mg/ℓ |
7) 수은(Hg) |
0.001mg/ℓ |
8) 시안(CN) |
0.01mg/ℓ |
9) 6가크롬(Cr+6) |
0.05mg/ℓ |
10) 암모니아성질소(NH3-N) |
0.5mg/ℓ |
11) 질산성질소
(NO3-N) |
10mg/ℓ |
12) 카드뮴(Cd) |
0.01mg/ℓ |
13) 보론(B) |
0.3mg/ℓ |
14) 페놀(Phenol) |
0.005mg/ℓ |
15) 총트리할로메탄 (THMs) |
0.1mg/ℓ |
16) 클로로포름
(Chloroform) |
0.08mg/ℓ |
17) 다이아지논 (Diazinon) |
0.02mg/ℓ |
18) 파라티온(Parathion) |
0.06mg/ℓ |
19) 말라티온(Malathion) |
0.25mg/ℓ |
20) 페니트로티온
(Fenitrothion) |
0.04mg/ℓ |
21) 카바릴(Carbaryl) |
0.07mg/ℓ |
22) 1.1.1-트라클로로에틴 (1.1.1
TCE) |
0.1mg/ℓ |
23) 테트라클로로에틸렌(PCE) |
0.01mg/ℓ |
24) 트리클로로에틸렌(TCE) |
0.03mg/ℓ |
25) 디클로로메탄
(Dichloromethane) |
0.02mg/ℓ |
26) 벤젠(Benzene) |
0.01mg/ℓ |
27) 톨루엔 (Toluene) |
0.4mg/ℓ |
28) 에틸벤젠 (Ethyl
benzene) |
0.3mg/ℓ |
29) 자일렌(Xylene) |
0.5mg/ℓ |
30) 1.1-디클로로
에틸렌 (1.1 Dichlo
roethylene) |
0.03mg/ℓ |
31) 사염화탄소 (Carbon
tetrachloride) |
0.002mg/ℓ |
32) 경도(Hardness) |
300mg/ℓ |
33) 과망간산칼륨소비량
(KMnO4) |
10mg/ℓ |
34) 냄새(Odor) |
무취 |
35) 맛(Taste) |
무미 |
36) 구리(Cu) |
1 |
37) 색도(Color) |
5도 |
38) 세제(ABC) |
0.5mg/ℓ |
39) 수소이온농도(pH) |
5.8-8.5 |
40) 아연(Zn) |
1mg/ℓ |
41) 염소이온(Cl-) |
250mg/ℓ |
42) 증발잔류물(RE) |
500mg/ℓ |
43) 철(Fe) |
0.3mg/ℓ |
44) 망간(Mn) |
0.3mg/ℓ |
45) 탁도(Turbidity) |
1NTU |
46)황산이온(SO4-2) |
200mg/ℓ |
47) 알루미늄(Al) |
0.2mg/ℓ |
48) 잔류염소 |
0.2mg/ℓ |
물과
인체
물은 체중의 55~65% 를 차지하며 인체에 가장 중요한 물질입니다. 가장 활동적인 부분 즉 혈액, 심장, 간, 근육 신장에 수분이 많습니다.
사람은 체내의 지방과 단백질의 절반을 잃고도 생명을 유지할 수 있지만, 체내 수분의 10%만 잃어도 위험한 상태가 되고 20~22% 를 손실하면 생명을 잃게 됩니다.
따라서 우리의 인체는 체내에 항상 일정량의 수분을 보유해야 하기때문에 수분 배설량과 섭취량의 균형을 이루어야 합니다.
사람은 하루에 1.5~2.5 리터의 물을 음료, 음식을 통해 섭취하고, 소변, 땀, 호흡, 대변을 통해 배설하게 됩니다.
우리 몸 안에서 수분은 다음과 같은 여러 가지 생리 기능을 담당합니다.
1) 영양소와 노폐물 운반 2) 삼투압과 산, 염기 평형 유지 3)
소화액 등 여러 분비액의 성분 4) 체내 모든 대사 과정의 매체가 되어 촉매 작용 5)
피부로부터의 수분 증발, 발한 등을 통한 체온 조절 6) 탄력이 있어서 체내 내장 기관을 외부의 충격에서 보호
물과
미네랄
미네랄 하면, 2가지 종류가 있습니다. 유기 미네랄(활성 미네랄)과 무기
미네랄(불활성 미네랄)로 구분됩니다.
무기 미네랄은 공기, 흙, 물에 함유되어 있는 미네랄로 사람이 흡수할 수 없습니다. 오직 식물만이 광합성 작용으로 흡수할수 있으며 이때 무기 미네랄이 유기 미네랄로 변환됩니다.
반면, 유기 미네랄은 식물이나 동물의 세포에 함유되어 있으며 인체가 흡수할 수 있는 미네랄입니다.
물론, 무기 미네랄이라고 절대 위에서 이온화가 안되는 것은 아니며, 유기 미네랄 역시 100% 흡수되는 것도 아닙니다.
물속에는 유기 미네랄과 무기 미네랄이 함께 존재하는데 유기 미네랄은 1% 정도밖에 되지않는다고 합니다.
따라서 미네랄은 음식물에서 섭취하고, 물은 깨끗한 물을 마셔야 한다는 결론이 나옵니다.
미네랄에 관한 세계적인 권위자인 헨리 슈레더 박사는 "인체가 필요로 하는 물속에든 미네랄은 식품 속에 든 미네랄에 비해 중효한 것이
아니다"고 하였으며, 아메리칸 메디칼 저널지는 "신체가 필요로 하는 미네랄은 거의 식품을 통하여 충족되며 음료수를 통하여 되는것은 아니다" 라고 기술하고 있습니다.
흔히, 무슨 약수라해서 철분, 마그네슘, 칼슘 등의 미네랄이 많은 것을 자랑처럼 이야기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런 무기물은 불용성이라 식물만이 흡수할 수 있습니다.
진정으로 미네랄을 얻기 위해서라면 오히려 사과, 멸치 등을 섭치하는것이 더 좋습니다.]
3,
식품과학기술대사전
[막이용기술(membrane technology)
역삼투압법(reverse osmosis system)과 한외여과법(ultra filtration
system).
어느 것이나 반투막을 이용하여 액체의 농축과 용질의 분리나 분획에 이용되는 방법이기 때문에 막이용 혹은 막처리
기술이라고 한다. 정밀여과법(micro filtration system)은 미세구경의 막을 사용하여 0.1nm 이상의 미세입자를 분리하는
방법이다. 또한 전기 투석법에 의한 염류의 분리에 있어서도 하전막을 사용하기 때문에 전기투석도 포함시켜 막이용 기술이라고 한다. 역삼투압법과 한외여과법과의 차이는
그다지 명확하게 구별되지는 않지만 역삼투압법은 일반적으로 작은 용질분자의 취급에 이용된다. 용질의 분자량이 용매의 분자량과 10배 정도의 차이가
있는 것이 좋다. 일반적으로는 분자량수 10~10,000까지의 용질을 제거하는 경우에 사용된다. 바닷물이나 짠물의 담수화, 과즙 그리고 액상식품의 농축에 이용된다.
역삼투압법의 경우의 조작압력은
30~150kg/cm2 정도이고 사용되는 반투막은 acetylose 또는 그 유도체, 방향족 polyamide,
polybenzimidazolone 등이 사용된다. 한외여과법에 있어서는 용질의 분자량이 용매의 분자량에 비교하여 100배 이상 다른 경우의
분리가 대상으로 일반적으로는 분자량 1,000 이상~50,000 정도까지의 용질을 분리하는 경우에 사용된다. 예를 들어 과즙 중에서 펩티드, 펙틴 등의 분리에 의한 과즙의 청징처리, 대두유, 치즈 훼이 그리고 전분제조 중 발생하는 배수로부터 수용성 단백질의 분리 등에 사용된다. 조작압력은 0.5~6kg/cm2
정도이고 사용되는 반투막은 polyacryl nitrile, polyolefin계의 막이 사용되고 있다. 상기의 2개의 방법은 상온에서 산소의
영향 없이 또한 증발에 의한 농축방법에 요하는 에너지의 약 1/17로 농축, 분리하여 얻을 수 있는 큰 장점이 있지만 막의 성능저하, 세정, 살균의 면에서의 문제도 있어 결점이 없는 반투막의 개발, 효율적인 장치의 개발이
요망되고 있다.]
상기 자료는 약초연구가로서 지구상에 존재하는 천연물질의 우수성을
널리 알리고 질병으로 고통을 겪고 있는 환우들에게 희망을 주며 기능성 식품과 신약을 개발하는데 통찰력을 갖게하고 약초를 사랑하는 모든 사람에게
정보의 목적으로 공개하는 것임을 밝혀 둔다.
(글/ 약초연구가 & 동아대 &
신라대 대체의학 외래교수 전동명)
※ 문의 및 연락처: 010-2545-0777 ;
051-464-0307
※ 홈주소: http://jdm0777.com ; http://www.eherb.kr
※ 페이스북 주소: http://www.facebook.com/jdmsanyacho
※ 이메일: jdm0777@naver.com ; jdm0777@hanmail.net
※ 아래의 다양한 물 및 조미료, 알코올 종류도 함께 참조해 보시기 바랍니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