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고전서(四庫全書) 무엇인가?

총 3,458종 7만 9,582권의 방대한 중국의 보물

 

 

 

 

사고전서(四庫全書)는 청나라 건륭(乾隆) 연간에 칙명에 의해 만들어진 총서(叢書)인 총 3,458종 7만 9,582권에 이르는 경(經), 사(史), 자(子), 집(集)의 4부로 이루어져 있으며, 중국 고대로부터 당대(當代)까지의 모든 서적을 망라했다는 의미에서 붙여진 이름

1, 사고전서에 대해서
<네이버백과사전>에서는 이렇게 적고 있다.

[사고전서(四庫全書)

요약:
중국 청(淸)나라 때 편집된 총서.

본문:
중국에서는 유서(類書)의 편집이 성행하였는데, 청나라 때에도 《고금도서집성(古今圖書集成)》이 있으나, 유서는 원문을 모두 싣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이에 미흡한 느낌을 가졌던 건륭제(乾隆帝)가 1741년에 천하의 서(書)를 수집한다는 소(詔)를 내려 1772년에 편찬소(編纂所)인 사고전서관이 개설되었고, 1781년에는 《사고전서》의 첫 한 벌이 완성되었다. 그 후 궁정에 4벌(熱河의 文津閣, 北京圓明園에 文源閣, 紫禁城 안에 文淵閣, 奉天의 文溯閣), 민간에 열람시키는 3벌 등 7벌이 만들어졌다. 수록된 책은 3,458종, 7만 9582권(각 벌의 서적 수는 동일하지 않음)에 이르렀으며, 경(經), 사(史), 자(子), 집(集)의 4부로 분류 편집되었다.

수집된 서적 중에는 청왕조(淸王朝)로서 못마땅하여 소각하거나 판목(版木)을 부수는 등, 이른바 금서(禁書)가 된 것도 많았으며, 수록된 책 중에서도 부분적으로 고쳐진 것도 있다. 수록된 서적은 모두 8행 22자로 고쳐 썼으며, 분류와 제요(提要)를 붙였다. 편집의 중심인물은 총찬관(總纂官)인 기윤(紀昀)을 비롯하여 대진(戴震), 소진함(邵晉涵), 주영년(周永年) 등이다.
]

img2.jpg
[영인되어 중국에서 판매되고 있는 <문연각 사고전서>]


img1.jpgimg1.jpg
img1.jpg

[문진각 사고전서 전체의 사진]


2,
사고전서에 대해서 <네이버한국문학사전>에서는 이렇게 적고 있다.

[사고전서(四庫全書)

중국 청대 건륭(乾隆) 연간에 칙명에 의해 만들어진 총서(叢書).


사고전서(四庫全書)라는 명칭은 경, 사, 자, 집(經, 史, 子, 集)의 4부(部)로 이루어져 있으며, 중국 고대로부터 당대(當代)까지의 모든 서적을 망라했다는 의미에서 붙여진 이름이다. 청(淸)은 만주족이 세운 이민족의 왕조였지만, 무력으로만 중국을 지배한 것은 아니고 초기부터 과거제도를 시행하고 과세를 경감하는 등 온건한 정책을 통하여 민심을 수습하고자 힘썼다. 또한 수차례의 문자옥(文字獄) 사건의 예에서 보다시피 한족(漢族) 지식인들에 대해 직접적으로 엄격한 사상 통제를 가하기도 하였지만, 한편으로는 제왕들과 귀족들이 솔선하여 한족과 동일한 교육을 받고 공맹(孔孟)의 윤리 도덕을 훈도 받으며, 한족과 같이 고문(古文)과 시사(詩詞)를 짓는 등, 문화정책을 통해 한족들의 반청(反淸) 의식을 누그러뜨리기에 노력하였다. 특히 강희제(康熙帝:1662~1735 재위)와 건륭제(乾隆帝:1736~1795 재위)는 적극적인 학술 부흥책을 펼치면서 중국 문화의 보호 육성이라는 명목으로 문화사업을 펼쳐 한족 지식인들을 회유하기에 힘썼다. 강희제 때에 편찬된 ≪명사(明史)≫, ≪연감류함(淵鑑類函)≫, ≪패문운부(佩文韻府)≫, ≪강희자전(康熙字典)≫, ≪고금도서집성(古今圖書集成)≫등과, 건륭제 때에 편찬된 ≪통감집람(通鑑輯覽)≫, ≪속통지(續通志)≫, ≪속문헌통고(續文獻通考)≫, ≪청통전(淸通典)≫, ≪대청일통지(大淸一統志)≫ 등도 ≪사고전서≫와 더불어 모두가 이러한 문화사업의 일환으로 추진되어 이루어진 것이었다.

고종(高宗)은 건륭 38년(1773) 2월 편찬 본부로서 북경에 사고전서관(四庫全書館)을 세우고 정총재(正總裁:전체 일을 총괄하는 총책임자), 부총재(副總裁:총재의 일을 보좌)를 필두로, 총찬관(總纂官:편집을 총괄), 총교관(總校官:교정을 총괄), 총목협감관(總目協勘官:전체 도서의 총목록을 담당), 한림원제조관(翰林院提調官:한림원의 장서를 관장), 무영전제조관(武英殿提調官:무영전의 장서를 관장) 등의 부서에 황족 및 당시의 대관, 학자들 뿐만 아니라 몽고인, 조선인 등 외국인까지 총 360명의 인원을 동원하여 사업을 추진하였다. 처음에는 4부 만을 만들기로 한 결정에 따라 건륭 47년(1782)에 제1부를 완성하여, 북경의 궁 안에 세운
문연각(文淵閣)에 이를 수장하였다. 이듬해에 차례로 나머지 3부를 완성하여 봉천(奉天:지금의 沈陽)의 문소각(文溯閣), 원명원(圓明園)의 문원각(文源閣), 열하(熱河)의 행궁(行宮) 안 문진각(文津閣)에 보관하였다. 제1부가 완성되었을 때 고종은 다시 3부를 더 만들도록 명하여 건륭 52년(1787)에 모두 완성되었는데, 뒤에 만들어진 3부는 양주(揚州)의 문회각(文匯閣), 진강(鎭江)의 문종각(文宗閣), 항주(抗州)의 문란각(文瀾閣)에 보관하여 일반인들이 열람할 수 있게 하였다. 결국 ≪사고전서≫는 건륭제의 명에 따라 360명이 참가한 사고전서관의 주관으로 15년의 세월에 걸쳐 필사(筆寫) 인원만 총 3,826명이 동원되어 이루어진 것이다.

여기에 수록된 도서의 수는 1965년 중화서국(中華書局)에서 영인한 ≪서고전서총목 四庫全書總目≫의 통계에 의하면
모두 3,461종 79,309권이고, 존목(存目, 서목 만을 기록한 것)은 6,790종에 93,551권이 들어 있어 기본적으로 건륭 이전의 중요한 중국 도서를 모두 모아 정리한 것이라 할 수 있다. ≪사고전서≫는 각 성(省)의 지방관들이 채집하여 진상한 ‘각성채진본(各省採進本)’, 장서가들이 소장하고 있다가 황제의 명령으로 진상한 ‘사인진헌본(私人進獻本)’, 당시에 유통되고 있던 ‘통행본(通行本)’ 등의 민간본과, 청조의 장서로서 강희(康熙) 이후 청조의 조정에서 칙찬(勅撰)한 도서인 ‘칙찬본(勅撰本)’, 궁정에 소장하고 있던 ‘내부본(內府本)’, 그리고 명대에 편찬된 ≪영락대전 永樂大全≫에서 뽑아 낸 ‘영락대전본(永樂大典本)’ 등을 저본으로 하여 이루어졌다. ≪사고전서≫에 수록할 것인가의 여부는, 먼저 각 찬수관(纂修官)의 검정을 거쳐 총찬수관(總纂修官)이 사전 결정을 한 후, 총재가 건륭제에게 올리면 건륭제가 최종 결정을 내리는 엄밀한 심사 과정을 거쳤다. ≪사고전서≫를 ≪흠정사고전서(欽定四庫全書)≫라고 부르기도 하는 것은 이 때문이다.

이러한 심사 과정에서 어떤 저본이건 수록할 도서의 내용이 청조에 장애가 되는 것이면, 도서의 일부를 삭제해 버리거나 고치기도 하였으며, 때로는 완전히 없애기도 하였다. ≪청대금서지견록서(淸代禁書知見錄書)≫에 의하면, 이 때에 소각된 서적이 ≪사고전서≫에 수록된 서적의 수와 맞먹는 3,000여 종 이상 약 6,7만 부나 된다고 하며, 진내건(陳乃乾)의 ≪금서총록 禁書總錄≫의 통계에 의하면 완전히 없애버린 것이 2,453부, 일부를 없애버린 것이 402부, 일부를 수정한 것이 1,918부에 이른다. 따라서 ≪四庫全書≫의 편찬 목적이 중국 문화의 보전과 발전을 위한 것이었다기보다 오히려 사상 통제에 더 큰 목적이 있었다고 볼 수 있다.

≪사고전서≫의 목차는 크게
경, 사, 자, 집의 4부로 나뉘어 있고, 각 부는 다시 여러 유(類)로 나뉘어 있으며, 유 밑에 다시 자목(子目)을 나누었다. 귀속시킬 류가 없는 도서의 경우에는 부록에 실어 유나 자목의 뒤에 따로 붙였다. 그 분류는 다음과 같다.

1) 경부 10류
는 역(易), 서(書), 시(詩), 예(禮), 춘추(春秋), 효경(孝經), 오경총의(五經總義), 사서(四書), 악(樂), 소학(小學) 등이고,

2) 사부 15류
는 정사(正史), 편년(編年), 기사본말(紀事本末), 별사(別史), 잡사(雜史), 조령주의(詔令奏議), 전기(傳記), 사초(史鈔), 재기(載記), 시령(時令), 지리(地理), 직관(職官), 정서(政書), 목록(目錄), 사평(史評) 등이고,

3) 자부 14류
는 유가(儒家), 병가(兵家), 법가(法家), 농가(農家), 의가(醫家), 천문산법(天文算法), 술수(術數), 예술(藝術), 보록(譜錄), 잡가(雜家), 유서(類書), 소설가(小說家), 석가(釋家), 도가(道家) 등이고,
4) 집부 5류는 초사(楚辭), 별집(別集), 총집(總集), 시문평(詩文評), 사곡(詞曲) 등이다.

또한 각 류의 자목에 있어, 지리(地理)는 9자목, 정서(政書)는 6子目, 술수(術數)는 7자목, 예술(藝術)과 보록(譜錄)은 각각 4자목, 잡가(雜家)는 5자목, 사곡(詞曲)은 4자목으로 조리 정연하게 나누었고, 또한 경(經)부의 예(禮)유와 사(史)부의 조령주의(詔令奏議)류, 목록(目錄)류, 그리고 자(子)부의 천문산법(天文算法)류와 소설가(小說家)류 역시 약간의 자목으로 나누어 찾기 편리하게 하였다. 같은 자목에 속하는 도서의 배열은 저자의 연대의 순서에 따랐으며 역대 제왕의 저작은 각 조대(朝代)의 첫머리에 배열하였다. 만약 저자의 연대가 같은 경우는 관직에 먼저 오른 순서나 과거 급제의 순서에 따랐고, 그것도 상고할 수 없는 경우에는 각 조대의 끝에 배열하였다.

옛 책에 주석을 붙인 경우에는 주석을 붙인 시대에 의하지 않고 옛 책의 시대를 따랐다. 그리고 ≪사고전서≫는 4개 부의 앞머리에 각각의 총서(總序)가 붙어 있고, 총 44류의 앞머리에는 소서(小序)가 있다. 또한 수록한 도서들마다 제요(提要)를 붙여, 작가의 출신지, 시대 배경, 도서의 장단점, 여러 학설의 차이점, 문자의 증삭, 편질(編帙)의 분합(分合) 등을 아주 상세하게 따져서 전체적 내용의 줄거리를 이해하기에 편리하게 되어 있다.
]

3,
사고전서에 대해서 <국어국문학자료사전>에서는 이렇게 적고 있다.

[사고전서(四庫全書)


중국 청(清) 건륭(乾隆) 때에 만들어진 총서(叢書). <사고전서(四庫全書)>는 명(明) 성제(成帝) 때 만들어진 <영락대전(永樂大典)>과 더불어 인본(印本) 시대에 나온 중국의 사본 서적 가운데 그 규모가 가장 큰 것으로도 유명하다. <사고전서>는 청 고종(高宗 : 乾隆皇帝)의 뜻에 의하여 편찬된 총서로써 경(經), 사(史), 자(子), 집(集) 각 부문의 내용을 포괄하여 고대로부터 당대(當代)에 이르기까지의 3,470종의 저작 79,070권을 모아 36,000 책으로 분장(分裝)하였으며, 따로 <사고전서총목제요(四庫全書總目提要)> 1백 권이 있다.

이 책의 편찬업무는 건륭 38년(1773) 2월에 편찬 본부를 개설함으로써 시작되었다. 처음에 4부만을 만들기로 결정하여 건륭 47년(1782)까지 9년 여의 세월이 걸려 제1부의 선사(繕寫)가 끝나 특별히 북경(北京)의 궁(宮) 안에 문연각(文淵閣)을 세우고 이를 수장(收藏)하였다. 이듬해 다른 3부도 차례로 완성되어 각각 봉천(奉天)의 문소각(文溯閣), 원명원(圓明園)의 문원각(文源閣) 및 열하(熱河)에 있는 황제의 행궁(行官) 안의 문진각(文津閣)에 나누어 배치하였다. 건륭제는 다시 3부를 더 베끼도록 명령하고, 양주(揚州) · 진강(鎭江) 및 항주(杭州)에 이를 분장(分藏)하였다. 이 작업은 건륭 47년(1782) 7월에 시작하여 건륭 52년(1787) 6월에 완성하였다. 양주의 문회각(文匯閣), 진강의 문종각(文宗閣), 항주의 문난각(文瀾閣)에 나누어 비치된 <사고전서>는 모든 독서인에게 개방되었다. 이렇게 하여 만들어진 7부의 <사고전서>는 그것을 완성하기 위하여 전후 15년이란 긴 세월이 소요되었고, 무려 25만 여 책을 붓글씨로 베꼈던 것이다.

<사고전서>의 내원(來源)은 다섯 가지였다. 첫째, 건륭황제가 각 성(省)에 명령하여 사들이고 거두어들인 책으로 이들은 그 내용을 심사한 뒤에 채택하였으니, <사고전서총목>에서는 채진본(采進本)이라 부르고 있다. 둘째, 원래 궁내에 저장되어 있던 구각본(舊刻本)과 초본(抄本)으로 이를 내부본(內府本)이라 부른다. 셋째, 청초(清初)부터 당시에 이르기까지 역대 황제의 명령에 의하여 편찬된 각종의 관서(官書)로써 이를 칙찬본(勅撰本)이라 부른다. 넷째, 당시 일부의 장서가들이 건륭 황제의 명령에 따라 진헌(進獻)한 것으로 이를 진헌본(進獻本)이라 부른다. 다섯째, <영락대전> 중에서 집일(輯逸)된 것으로 이를 영락대전본이라 부른다. 그 당시 이 작업을 영도한 것은 건륭의 세 아들과 몇 사람의 군기대신(軍機大臣)이었으나 실제 책임은 총찬관(總纂官) 기균(紀畇)과 총교관(總校官) 육비지가 담당하였다.

그리고 편찬관으로는 대부분 당시 유명한 한림(翰林)과 학자들이 동원되었는데 소진함(邵晉涵), 대진, 주영년(周永年) 등이 참여하였고, 천문, 산학 분야의 교관(敎官)에는 진제신(陣際新) 등이, 회도(繪圖) 분야의 교관에는 문응룡(門應龍)등이, 전예 등 고체자(古體字) 분야의 교관에는 왕염손(王念孫) 등이 참여하였는데, 이들은 모두 당시 전국적으로 이름난 학자들이었다. 그리고 글씨, 장정 등 업무에 동원된 인원만 하여도 많을 때에는 3천 8백 여 명에 달하였다.

<사고전서>의 편찬이 완성된 후 건륭 황제는 또 수시로 내용의 삭제, 증가, 교체 등을 명령하였는데, 7각(七閣)의 <사고전서>가 똑같이 이에 따르지는 못하였다. 그러므로 <사고전서>의 종류와 권수 및 책수에 대해서도 몇 가지 다른 설이 나오게 되었고 기록된 숫자도 다르다. 건륭 황제가 이처럼 많은 시간과 정열을 소모하면서 <사고전서>의 편찬을 계획 추진한 이유는 명(明) 성조(成祖)의 <영락대전> 편찬동기와 어느 면에서 상통된다. 명이 멸망되고 청인이 중국을 통치하게 되자 한인(漢人)들의 격렬한 반항이 발생하였다. 그리하여 많은 학자들의 저작 중에는 은연 청족(清族)을 배척하는 사상이 담기게 되어 청나라 초기에는 몇 차례의 대규모
필화 사건이 발생하기도 하였다.

마침내 통치자는 그러한 잔악한 수단으로는 인심의 진압이 어렵다는 것을 깨달았다. 그리하여 한(漢), 당(唐)시대 황제들의 행동을 모방하여, 고인들의 문헌, 저술 등을 수집, 정리하여 편찬함으로써 당대 문인, 사대부들의 관심을 정치에서 문화사업면으로 전향토록 꾀하였던 것이다. <사고전서>의 편찬업무를 담당하기 위하여 어용적으로 설립되었던 사고관(四庫館)은 서적의 심사 업무도 겸하고 있었다. 그리하여 사고관은 또 고인의 저작 중 특히 송(宋), 명(明)인의 저작 중에서 민족 의식에 관한 내용은 모두 이를 깎아 버렸으므로 결국 <사고전서>에 수록된 책 가운데 많은 책이 원래의 내용이 아니게 되었다. 청나라가 망하고 중화민국 정부가 수립된 후 상무인서관(商務印書館)에서는 그 가운데 중요한 것 231종을 골라 영인본으로 간행한 바 있다. 이것이 <사고전서진본(四庫全書珍本)>의 초집(初集)이다.

<사고전서진본> 외에 일찌기 강남(江南)의 삼각(三閣)이 독서인에게 개방되었을 때, 일부 독서인과 장서가가 주로 이미 실전되었거나 한견(罕見)되는 것을 골라 초교(抄校) 간행한 것이 있으니, 장해붕(張海鵬)의 <학진토원(學津討源)> <묵해금대(墨海金臺)>, 전희조(錢熙祚)의 <지해(指海)> <수산각총서(守山閣叢書)> 등의 대부분이 사고본의 내용이다. 7고(庫)에 나누어 비치되었던 <사고전서>의 그 뒤 형편은 원명원(圓明園) 문원각에 수장되었던 책은 제2차 아편전쟁 때 전부 불타 버렸으며, 문연각에 수장되었던 것은 고궁박물관(古宮博物館)에 두었던 것을 지금 대만(臺灣)으로 옮겨 놓았으며, 문진각에 두었던 것은 민국초에 경사도서관(京師圖書館)으로 옮겼다가 지금은 북경도서관(北京圖書館)에 보존되어 있다.

문소각에 두었던 것은 지금의 요녕도서관(遼寧圖書館)에 귀속되어 있다. 강남 3각의 문회각과 문종각의 것은 태평천국란(太平天國亂)때 청군(清軍)이 불살라 버렸고, 문난각(文瀾閣)에 두었던 것도 그 당시 비적(匪賊)들에게 도둑맞거나 불탔다. 당시 항주의 장서가 정병(丁丙), 정신(丁申) 형제가 자력으로 그 중 일부분을 수집하였고, 그 뒤 계속 일부를 초보(初補)한 것을 신해혁명 후 절강성립도서관(浙江省立圖書館)에서 접수하여 보관하고, 나머지는 사람을 북경에 파견하여 초보토록 하여, 1925년에 작업 전부를 마쳤다. 이리하여 원래 7부였던 <사고전서>는 그 중 4부만이 오늘날까지 전한다.
]

사고전서의 분류법에 따라 책을 엮은 방법은 아래와 같다.

1, 경부(
經部) 10류

1) 역(易):
2) 서(書):
3) 시(詩):
4) 예(禮):
5) 춘추(春秋):
6) 효경(孝經):
7) 오경총의(五經總義):
8) 사서(四書):
9) 악(樂):
10) 소학(小學):

春秋左传 大学 尔雅 论语 孟子 尚书 诗经 孝经 仪礼 中庸 周易

2, 사부(
史部) 15류

1) 정사(正史):
2) 편년(編年):
3) 기사본말(紀事本末):
4) 별사(別史):
5) 잡사(雜史):
6) 조령주의(詔令奏議):
7) 전기(傳記):
8) 사초(史鈔):
9) 재기(載記):
10) 시령(時令):
11) 지리(地理):
12) 직관(職官):
13) 정서(政書):
14) 목록(目錄):
15) 사평(史評):

北齐书 北史 曹子建集 陈书 大宋宣和遗事 国语 汉书 后汉书 金史 晋书 警世通言 旧唐书 旧五代史 开元天宝遗事 梁书 辽史 洛阳伽蓝记 明史 穆天子传 南齐书 南史 清史稿 三国志 山海经 史记 史通 书目答问 水经注 宋史 宋书 隋书 魏书 文史通义 新唐书 新五代史 醒世恒言 元史 战国策 贞观政要 周书

3, 자부(
子部) 14류

1) 유가(儒家):
2) 병가(兵家):
3) 법가(法家):
4) 농가(農家):
5) 의가(醫家):
6) 천문산법(天文算法):
7) 술수(術數):
8) 예술(藝術):
9) 보록(譜錄):
10) 잡가(雜家):
11) 유서(類書):
12) 소설가(小說家):
13) 석가(釋家):
14) 도가(道家):

茶经 初刻拍案惊奇 东京梦华录 二刻拍案惊奇 公孙龙子 鬼谷子 韩非子 红楼梦 淮南子 黄帝内经素问 黄庭内景经 黄庭外景经 金刚经 近思录 九章算术 老子 乐府杂录 聊斋志异 列子 林泉高致 六祖坛经 吕氏春秋 洛阳牡丹记 墨子 棋经 容斋随笔 三国演义 世说新语 水浒传 四十二章经 搜神记 孙子兵法 太上感应篇 武林旧事 西游记 心经 新书 荀子 颜氏家训 扬子法言 阴符经 尹文子 游仙窟 喻世明言 周易参同契 庄子

4, 집부(
集部) 5류

1) 초사(楚辭):
2) 별집(別集):
3) 총집(總集):
4) 시문평(詩文評):
5) 사곡(詞曲):

楚辞 窦娥冤 二十四诗品 古文观止 绝妙好词 乐府诗集 柳宗元集 六朝文絜 六一诗话 牡丹亭 欧阳修集 全宋词 人间词话 诗品 苏轼集 唐诗三百首 陶渊明集 文心雕龙 文选 西厢记 玉台新咏 百家姓 千家诗 全唐诗

《蒙学》 百家姓 千家诗 千字文 三字经 声律启蒙 增广贤文

《四库全书》的内容是十分丰富的。按照内容分类,包括4部44类66属。分经、史、子、集四部,故名四库。经部包括易类、书类、诗类、礼类、春秋类、孝经类、五经总义类、四书类、乐类、小学类等10个大类,其中礼类又分周礼、仪礼、礼记、三礼总义、通礼、杂礼书6属,小学类又分训诂、字书、韵书3属;史部包括正史类、编年类、纪事本末类、杂史类、别史类、诏令奏议类、传记类、史钞类、载记类、时令类、地理类、职官类、政书类、目录类、史评类等15个大类,其中诏令奏议类又分诏令、奏议2属,传记类又分圣贤、名人、总录、杂录、别录5属,地理类又分宫殿疏、总志、都会郡县、河渠、边防、山川、古迹、杂记、游记、外记10属,职官类又分官制、官箴2属,政书类又分通制、典礼、邦计、军政、法令、考工6属,目录类又分经籍、金石2属;子部包括儒家类、兵家类、法家类、农家类、医家类、天文算法类、术数类、艺术类、谱录类、杂家类、类书类、小说家类、释家类、道家类等14大类,其中天文算法类又分推步、算书2属,术数类又分数学、占侯、相宅相墓、占卜、命书相书、阴阳五行、杂技术7属,艺术类又分书画、琴谱、篆刻、杂技4属,谱录类又分器物、食谱、草木鸟兽虫鱼3属,杂家类又分杂学、杂考、杂说、杂品、杂纂、杂编6属,小说家类又分杂事、异闻、琐语3属;集部包括楚辞、别集、总集、诗文评、词曲等5个大类,其中词曲类又分词集、词选、词话、词谱词韵、南北曲5属。

除了章回小说、戏剧著作之外,以上门类基本上包括了社会上流布的各种图书。就著者而言,包括妇女,僧人、道家、宦官、军人、帝王、外国人等在内的各类人物的著作。

img1.jpg
img2.jpg


문연각 사고전서 1997년 CD-ROM판


img1.jpg
[文渊阁—四库全书(原文电子版)(153 CD-ROM)]

编辑推荐

当当网独家精心为您奉献

浩如烟海的中华文化典籍是世界文明历史上最博大、最宏伟的宝藏之一,
二百多年前创修的《四库全书》可以称为中华传统文化最丰富最完备的集成之作中国文、史、哲、理、工、医,几乎所有的学科都能够从中找到它的源头和血脉,几乎所有关于中国的新兴学科都能从这里找到它生存发展的泥土和营养。从那时开始,作为国家正统、民族根基的象征,已成为中国乃至东方读书人安身立命梦寐以求的圭臬和后代王朝维系统治弘扬大业的[传国之宝]。

内容提要


《四库全书》共收书三千四百多种、七万九千多卷、三万六千多册,分为经、史、予、集四部。为了保存这批精典文献,由皇帝[御批监制],从全国征集三千八百多文人学士,集中在京城,历时十年,用工整的正楷抄书七部,连同底本,共八部。建阁深藏,世人难得一见。虽然由数千人抄写,但字体风格端庄规范,笔笔不拘,如出一人。所以,无论从内容上还是从形式上看,都具有十分难得的研究、收藏和欣赏价值。后几经战乱,损毁过半,更使这套世界出版史上的巨制,成为举世罕见的无价之宝。

《四库全书》规模宏大,卷帙繁多,使得查阅保存极为不便,其昂贵的价格又使人望而却步,种种原因使得此书不能广为流传,世人难得一见。为保存和弘扬中华五千年文化,使这部巨著走入寻常百姓之家,使之成为人们案头常备的资料,同时满足人们收藏《四库全书》的愿望。济南汇文科技开发中心研制了《四库全书》原文电子版,经中华民人共和国新闻出版总署批准,由武汉大学出版社出版。

28621.jpg
[CD-ROM판 사고전서]


書籍番号

28621

書名

文淵閣《四庫全書》CD-ROM 原文電子版(簡装版)

シリーズ

 

データ

CD-ROM 153片

ISBN

7-90063-499-1

編著者

 

出版年

2004年8月 

出版者

武漢大学出版社

価格(税込)

41,160円(特価)


《四庫全書》共收書三千四百多種、七万九千多巻、三万六千多册,分為経、史、子、集四部。為了保存這批精典文献,由皇帝御批監制,従全国征集三千八百多文人学士,集中在京城,歴時十年,用工整的正楷抄書七部,連同底本,共八部。

建閣深蔵,世人難得一見。雖然由数千人抄写,但字体風格端庄規範,筆筆不拘,如出一人。所以,無論従内容上還是従形式上看,都具有十分難得的研究、収蔵和欣賞価値。後幾経戦乱,損毀過半,更使這套世界出版史上的巨制,成為挙世罕見的無価之宝。《四庫全書》原文電子版嚢括了経、史、子、集四部的所有文献,共計二百余万頁,
一百五十三張光盤(《四庫全書》経部24張光盤)、史部46張光盤)、子部38張光盤)、集部45張光盤))。

它採用図像方式存儲文献資料,保存了原書的風貌,并提供書目検索功能,不但能按原書目録検索,而且能[句多]方便地按書名、作者、作者朝代、盤号、書号検索;為方便閲読,系統提供了標記注釈功能,読者可加自己的標記;[ロ/力]外系統還提供縮放顕示、裁剪、打印等功能。整個系統在WINDOWS系統下運行,備有詳細聯機説明,操作簡単,易学易用。

img1.jpg

[CD-ROM판 사고전서 자부의 의가류 CD 305번의 <황제내경소문>]

img1.jpg

[CD-ROM판 사고전서 자부의 CD 305번 첫 번째 <흠정수시통고>의 오가피 사진]

img1.jpg
[CD-ROM판 사고전서 자부의 CD 305번 첫 번째 <흠정수시통고>의 오가피 해설]

중국은 다민족 국가로서 미국과 마찬가지로 다양한 인종과 언어 및 문화가 함께 공존하고 있다.

현재 56개 민족이 연합하고 있고 광할한 땅을 소유하고 있는데, 상대적으로 국토가 작은 우리나라 한반도 전체와 비교해 볼 때도 진실로 대국이라는 것을 한눈에 볼 수 있다. 국가경제력도 엄청 발전하여 영미세계강국이 위협을 느낄 정도로 군사력 및 경제력이 눈부실정도로 장족의 발전을 하고 있는 나라이기도 하다.  

한족과 소수민족과 관련하여
<
羅香林 著, 中國民族史, 臺北 中華文化出版事業社 1953 출간>에 의하면 이렇게 기록하고 있다.

[
한족과 소수민족(漢族과 少數民族)

1. 漢族(한족)

한족은 중국에서 인구가 가장 많은 민족이다. 1990년 인구조사때
1,042,482,187명으로 전국인구 비중의 91.99%였다.한족인구의 총적인 추세는 성장하나 전국인구 비율은 감소 추세이다.인구의 지역적 분포를 보면 한족은 황하유역으로부터 발원하였으며 이후 점차적으로 전국각지로 분포되었다.주요 거주지역은 황하주강 장강의 3대 유역 및 송요평원이다.장기적인 역사발전중 다른 소수민족들과 광범위한 정치, 경제, 문화교류를 진행하였으며 여러 가지 방면에서 소수민족보다 발전하였으며 중국에서 주도적 역할을한다. 중국의 5천년 역사를 보면 원조, 청조를 제외하고는 모두 한족이 집권하였다. 한족은 농후한 도덕관념이 있다. 서로돕고 단결하여 이웃끼리 화목하게지내는 것을 중시한다.

한족의 거주방식은 보통 3대가 한집 에서 사는데 선대는 후대를 사랑하고 후대는 선대를 존경한다. 한족의 집은 주로 기와집이며 도시에서는 보편적으로 철근콘크리터로 되었으며 대다수는 고층으로 변한다. 세계적으로 분포된 식당을 보면 한족은 풍부한 음식문화를 갖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한족의 음식은 신선하고 맛있으며 지역에 따라 맛이 틀린다. 전국적으로 유명한 요리로는 사천, 광동, 산동요리등이 있다. 한족의 혼인제도는 일부일처제이다. 한족의 결혼은 자유연애로 이전과 같이 부모가 결정하는 것은 아니다. 과거의 한족 가정은 남자는 밭갈이를 하고 여자는 천을 짜는 소농경제에서 소위 말하는“남자주외, 여자주내”에서 남존여비사상이 존재하였다. 현재는 부녀의 사회직위가 높아가고 경제적 으로 독립함에 따라 부부는 가정에서의 지위가 평등한 추세로 발전하였다.

2. 壯族(장족)

장족은 인구 15,489,630명으로 중국에서 한족 다음으로 많은 인구를 가진 민족이다.장족의 주거주지는 광서 장족자치구이며92%의 장족이 살고 있다.장족은 고대에 찬란한 문화를 창조하였으며 노래를 즐겨부르는 풍습이 있다. 장족은“마란”이라는 주택에거주하기 좋아한다.이런 마란은 나무로 만들어졌으며 어떤 지방에는 대나무로 한다.마란건축은 지면으로부터 상당히 높은 받침대가 있고 그위에 집을 짓는다.윗층은 사람이 살고 아랫층은 가축을 기르거나 물건을 저장하는 창고로 활용한다. 이런 집은 통풍이 잘 되고 건조하며 또한 햇빛이 충분하다.장족의 소박하고 자연적인 신미는 먼저 그들의 예절에서 볼 수 있다.장족은 열성적이며물건을 받을 때 매우 예절을 중시한다 장족은 전신에 금은 등의 장식을 하는 것이 아주 드물며 짙게 화장도 하지 않는다. 

3. 回族(회족)

회족은 인구 8,612,001명으로서 주거주지는 영하 회족자치구와 감숙이나 분포지역은 전국각지이며 대분산 소집중된 성라기의 멋진 구조로 되었다. 회족은 소박하고, 너그럽고 단결력이 강한 민족이다.회족은 한족과 오랫동안 같이 살았기 때문에 회족의 복장은 한족과 비슷하다.“유향”이라는 회족의 전통 음식이 있는데 밀가루나 찹쌀가루를 사용하여 식용유로 튀겨서 만든다.명절이나 결혼식이 있을때 유향을 주고 받으며 서로의 인정을 나눈다.회족은 돼지를 기르지 않고 돼지고기도 먹지 않는다. 회족의 혼인관념은 한족과 비교하여 특별한 것은 없으나 독신을 반대한다.서북지역의 회족의 결혼연은 매우 풍성하고 민족적 특색이 있다.회족의 결혼연은 술과 담배로 초대하지  않고 즉석에서 밥먹고 헤어지며 매우 간단하다. 회족은 과부가 수절하는 것을 주장하지 않고 재가를 허용한다.

4. 위글(Uighur)족

인구 7,207,024명으로 주거주지는 신강위글족자치구이다.위글족은 열정적이고 미를 추구하며 선명한 민족 심미경향을 지니고 있다.위글족은 또한 “북을 들면 춤추고 싶고 기타를 치면 노래하고싶다” 이것은 위글족의  심미적인 예술적 기질을 잘 표현하고 있다.위글족은 주로 흙을사용하여 집을 지으며 지붕을 평평하게하여 지붕에 독특한 창문 혹은 지붕화원을 만든다.위글족은 평소 선명하고 우아한 옷차림을 즐긴다.위글족은 이슬람교를 신앙한다. 위글족은사람을대하고 선물을 받을때 예절에 주의하며 언어행실의 아름다움을 매우 중요시한다.가무는 위글족의 천성이다.남녀노소 모두 즐긴다.위글족은 장기적인 역사발전과정에서 열성적이고 명랑하고 활발한 민족기질을 형성하였다.

5. 彛族(이족)

이족은 인구6,578,524명으로 주거주지는 운남성과 사천성이다.각지의 이족은 모두 공통적인 노이문을 사용하는데 그 어법과 단어는 모두 일치한다.이족 동포는 정을 중요시한다.이족은 어릴 때부터 굳센의지를 교육받는다.이족여자는 배우자를 선택할 때 신체가건강하고 성격이 용감한 남자를 선택한다.이족의 남녀복장은 주로 청색과 흑색이다.이족의 인간관계는 기본적으로 노예주와 노예사이의 그런 극단 대립의 관계이다.많은 사회현상은 선명하게 존과비 강과약 부와빈 등의 양극화의 현상이 뚜렸하다.

6. 苗族(묘족)

인구 7,383,622명으로 주로 귀주성과 호남성에 거주한다. 묘족은 그들이 입는 옷색깔에 따라홍묘,흑묘,백묘,청묘,화묘5류로 나눈다.묘족은 불절불굴의 영웅기개를 갖고 있으며 그들의 생활에잘반영되어 나타난다.그것은 즉 영웅,우아,이상, 인내,굳셈을 그들의 심미관으로 삼는다.묘족은 예술을 애호하며 시가를 좋아한다.묘족의 생활중“요마랑”이라는 남녀가 자유연애하는 사교활동이 있다.묘족의 옷차림을 케쥬얼과 정장으로 크게 나눌 때 케쥬얼은주로 남,녹,청등의 색깔의 옷이며 악세사리는 차가운 색깔로 한다.정장은 우아하고화려하게 홍색,황색등으로 한다.묘족은“弔脚樓”는 그들의 전통 거옥형태로 보통 3층으로1층에는 가축을 기르고 2층은 사람이 거주하며 3층은 창고이다.조각루 건축시 못을 사용하지 않으며 조형이 잘 되어 있다.

7. 滿洲族(만주족)

인구 9,846,776명으로 요녕성과 흑용강성에 주로 거주한다. 만주족은 사냥을 즐기며 곰, 수달,사슴등을 사냥하며 물고기도 잡아가며 생활한다.현재에도 유행하는 치포는 만주족 고대의 치포에서 온 것이다.남자의 치포는 남색,회색,청색이며 여자의 것은 주로 백색이다.

만주족은 머리장식에 상당히 신경을 쓴다.만주족의 식품은 다종다양하며 풍미가 독특하다.만주족은 찰떡을 즐겨먹으며 신채는 만주족이 가장 즐겨먹는 야채이다.만주족의 전통 정원은 그들의 민족특색이 깔려있는 건물과 장식이 있다.만주족은 실내장식에 매우 신경을 쓴다.만주족은 예절을 중시하며 노인을 존경한다.만주족은 개를 좋아하며 때리지도 죽이지도 않는다. 그리고 개고기도 먹지 않는다.만주족은 어린아이들을 교육시킬 때 밝고 소박하게 그리고 사냥하는 민족의 거친 풍격을 함께 갖추도록 한다.

8. 藏族(장족) 

장족은 인구 4,593,072명으로 주거주지는 서장 자치구와 사천성등지이다.장족은 서장고원의 개척자이며 중국의 통일적이고 하나의 유구한 역사를 갖고 있는 민족이다.고원의 대자연의 색채와조화를 이룬 장족 특유의 용감하고 열성적인감각을 키웠다. 장족은불교를 신앙하는 그들은 속칭“라마교”라 부른다.라마교의 건축은 독특한 점을 갖고 있다.즉 산을 따라 사묘를 지었으며 아래로부터 위로 종형으로 건축을 지었으며 중심 사찰은 중간에 제일 높게솟아아래로 굽어본다장족은 박대하고 웅위롭고 숭고한 미를 숭상한다. 숭고함은 그들의 정신적 영혼이며 심미의식의 특징이다장족의 가옥은 지붕위 문턱 창살에 청색으로 만든 불상과 경문각석이 놓여있다.장족의 복장 특색은 긴 소매 넓은 허리 큰 깃이다. 직선적이고 넓은 단은 색채대비가 강렬하다.

9. 蒙古族(몽고족)

인구 4,802,407명으로 주거주지는 내몽고와 요녕성이다.몽고족은 건장하며 거칠기로 이름났다 즉 그들의생활 방식과민족풍습에는 웅건한기세가 있고 문학양식은 금가철망식의 끈질김이 있다.고대 몽고족은 물과 풀을 따라 생활하는 유목민족이며 나무와 모전으로 둘러쌓인 몽고포 안에서생활하였다.이런 원형의 활동장막은 바람과 눈을 막고 움직이기 편리하여 유목생활에 특히 유용하였다몽고족은 색깔이 찬란한 몽고치포를즐겨 입으며 여기에 황녹색의 비단띠를 두르기를 좋아한다그들의 음식은 주로 양고기와 버터를 먹고쌀가루를 부식으로 하며도시에서는 양식을 위주로 한다.그들은 몽고특유의 우유차와 술을 자주 마신다.몽고족은 백색을 민족심미의식의색조로 한다.흑색은 몽고족이 꺼리는 색깔이다.몽고족의 춤예술은웅위롭고 나는 동작을 하며 그자태는 유연하고우아하다. “那達幕”는 오락이라는 뜻인데 몽고족의굉장한 명절이다.매년 한번씩 6월에서 9월 사이에 진행한다.여기에는 씨름, 활쏘기,말타기 등의 경기가 있다.

10. 土家族(토가족)

인구 5,725,049명으로 주거주지는 호남과 호북이다. 토가족은 그들의 독특한 언어가 있으나 문자는 없다. 토가족은 무술을 즐긴다. 이런 무술을 즐기는 정신과 강인한 정신은 그들의 민족역사에 깊숙히 뿌리 박고 있다. 토가족은 춤을 즐기며 형식이 다양하여 손춤, 발춤, 전무 등이 있다. 토가족은 자유연애를하며 청춘남녀 두사람만 좋으면 정수로 차를  함께 애정가요를 부르며 천천히 마신다.

11. 布依族(포의족)

인구 2,548,294명으로서 주요 분포지역은 귀주성 금남 포의 주자치주와 안순지구의 포이족자치현이다. 부이족은 불교와 기독교를 신앙하며 언어는 漢臧언어계에 속한다. 수려한 자연풍경과 풍부한 농산물로 오랫동안 비교적 안정적인 생활은 포의족을 미를 추구하는 너그롭고 선량한 민족으로 만들었다. 포의족의 가옥은 돌로 만들어졌으며 1층은 가축을 기르고 2층은 사람이 거주한다. 포이족은 염색기술이 뛰어나며 부녀자들은 치장을 하는데 신경을 쓴다. 포이족의 옷차림은 소박하고 청순하다. 포이족은 그 됨됨이가 성실하고 대범하다. 포이족은 술을 권할 때 예의를 중시하며 진문술,교제술, 격당술, 전전술, 천잔술, 송객술 등이 있다. 포의족은 공공복리를 위해 봉사하는 선량한 전통정신이 있다.

12. 朝鮮族(조선족)

인구 1,923,361명으로 주요 분포지역은 길림성 연변족자치주 장백산 조선족자치현 흑룡강 요녕등지이다. 종교는 불교와 기독교이며 언어는 알타이어계이다. 조선족은 유구한 역사의 민족이며 문화가 발달하고 노래 잘 하고 춤 잘 추는 민족으로 불리운다. 조선족은 백의민족이며 백색을 선호한다. 어른을 존경하고 어린이를 사랑하는 것은 조선족의 오래된 전통이다. 그들은 예절교육을 중시한다. 조선족은 대자연의 물과 꽃을 좋아한다. 널뛰기와 그네타기는 그들 특유의 놀이문화이다. 조선족은 아름다운 언어구사와 자연스런 교류를 갈망하며 다른 민족에서는 찾아 볼수 없는 일반어와 경어가 있다.

13. 동(Tong)족

인구 2,508,624명으로 주거주지는 귀주성 묘족동족자치주, 옥평동족자치현 , 신황동족자치현, 광서 동족자치현등지이다. 종교는 불교와 기독교이다. 언어는 한장어계열이다. 동족은 집체관념을 매우 중요시하며 그들의 문화체육활동에서 잘 나타난다. 동족은 투우를 좋아하며 그들 특유의 놀이중의 하나는 “꽃포빼앗기”이다. 동족은 단결을 중요시하며 단결, 우애를 미로 여기며 집체이익을 위해 봉사하는 것을 영광으로 여기며 이를 자기의 행동규범으로 한다. 동족은 여자를 존중하고 여신을 미의 화신으로 생각한다.

14. 瑤族(요족)

인구 2,137,033명으로 주요 분포지역은 광서 두안요족자치현,운남, 광동, 귀주 등이다. 그들은 윈시종교를 신앙하며 언어는 한장어계 묘요어족 등 한자통용이다. 요족은 유구한 역사를 갖고 있는 산거민족이다. 요족마을은 인심이 후하고 예절밝고 공손하다. 청춘남녀의 사교활동은 비교적 자유이며 요족의 결혼의식은 특별하다. 묘족청년의 결혼은 풍부한 선물도 없고 여자는 남자에게 옷과 가구를 요구하지도 않는다. 요족은 사냥을 즐기며 집을 나설때는 사냥총을 들고 사냥개를 데리고 간다. 요족민은 인정미를 추구한다. 즉 친구정, 연인정, 부모정, 아들정 그리고 한집이 곤란을 당하면 백집이 도와주는 이웃사이의 정도 있다. 요족은 특히 노인을 공경한다. 요족은 자기것이 아니면 안 가진다는 관념은 요족지구에서 볼수 있는 고귀한 미풍양속이다.

15. 白族(백족)

인구 1,598,052명으로서 주거주지는 운남 대리백족자치주 호남, 쌍식등이다. 불교, 본주교, 기독교등을 신앙하며 언어는 한장언어계, 장면언어족이며 한자를 통용한다. 백족은 꽃나무를 좋아하며 이런 꽃나무에 대한 정취는 백족의 안정적인 심미 특징을 나타낸다.  백족은 윗사람을 존경하고 열정적으로 사람을 대한다. 백족은 유명한 대련 조각 예술이 있으며 또 음악과 춤을 즐긴다. 백족의 남자복장은 특별한 점이 없으나 여자복장은 아직 고대의 풍격을 유지하고 있다.

16. 하니(Hani)족

인구 1,254,800명으로 주요 분포지역은 운남성 홍하하니이족자치주,강역,서쌍판나,원강 등지이다.원시적인 종교를 신앙하며 언어는 한 장언어 계장면어족,이어지하니문등을 사용한다.하니족은청남색을 좋아하며 하니족 처녀는 자신 치장에 신경을 쓴다.하니족의 가무는 새와 밀접한 관계가 있다. 15세에 이르러 한 동네 같은 또래들과 서로 머리핀을 교환하는 것으로 청년기에 들어섰다는 것을 축하한다.하니족은 부자가 연명하며 모녀는 연명 못한다.

17. 하사크(HasakeKazakh)족

인구 1,110,718명으로서 주요 분포지역은 신강 이리하사코자치주, 목대하사코자치주등지이다.종교는 이슬람교를 신앙하며 언어는 알타이어계이며 하사코문자가 있다.하사코족은 유목민족이다. 초목에 따라 거주지를 옮긴다. 그들의 말타기, 양낚기, 처녀쫓기 등은 하사크족 특유의 문화 오락 활동이다.

18. 대(Dai)족

인구 1,025,402명으로 주요 분포지역은 서쌍판나대족자치주와 덕홍 대족자치주이다. 종교는 불교를 신앙하며 언어는 한 장언어계,장따이어지로통용대문이 있다.대족은 시적인 민족이며 미를  사랑하고  미를 감상할줄 안다.그들은 대대로 물을 따라 살아왔다.대족은  공작새를 좋아하며 공작새가 깃을 펴는 것을 행운을  가져다 준다고 생각한다.그들은 공작새의 춤을 본따서 다채로운 공작춤을 추기도 한다.대족은 선량하고 예절이 있으며 친구 사귀기를 좋아한다.또한  감정이 풍부하고 세심한 극히 이상적인 민족이다. 대족의 건축은 단순하면서도 단조롭지아니하고 색채는 화려하면서도  촌스럽지 않다.참나무로 만든집,절,탑은 대족 특유의 건축양식이다. 

19. 이(Li)족

인구 1,112,498명으로서 주요 분포지역은 해남 이족묘족자치주이다. 종교는 원시종교를 신앙하며 언어는 한 장어계, 이어지이며 이문이 있다. 이족은 선의 예술에 대하여 조예가있다.신체의  문신이라든지 선물의 장식은그들의 지혜로운 재능을 담고 있다. 이족은 체육활동을 좋아하며 군중적인 덩굴뚫기 등의 행사가 있다.이족은 자유연애결혼이며 쌍방이 서로 마음이 통할때 약혼을 한다.

20. 이수(Lisu)족        

인구 574,589명으로서 주요 분포지역은 운남 노강 이수족 자치주이다. 종교는 원시신앙과 기독교를 신봉한다. 언어는 한장어계, 장면어족, 이어지이며 이수문이 있다. 이수족은 노래 잘 하고 춤을 잘 추어  가무의 왕국으로 불리운다. 그들은 사냥하기를 좋아한다. 결혼은 자유연애로 이루어지며 약탈혼인의 풍습도 있다.

21. 사(She)족

인구 634,700으로 주요 분포지역은 복건의 영덕, 절강의 창주, 금화 등지이다. 종교는 불교와 기독교이며 언어는 한장어계,묘요어족이며 한문을 통용한다. 그들은 홍봉차, 무이차등의 특산차가 있다. 혼인풍속은 비교적 자유적이다. 그들의 결혼의식은 간단하고 극히 소박하다.

22. 라고(Lagu)족

인구 411,545명으로서 주요 거주지역은 운남 란창라고족자치주이다. 종교는 불교이며 언어는 한장어계 장면어족이어지이며 라고문을 쓴다. 라고민은 산거민족이며 범 잘 잡기로 이름났다. 라고족은 흑색을 좋아하며 복장은 주로 검은 천으로 만들며 꽃천으로 도안과 꽃변을 두른다. 라고족의 혼인은 자유연애로 이루어지며 배우자 선택기준은 일,  생김새, 노래와 춤을 추는 정도로 판단 선택한다. 그들의 춤에는 공작춤, 범잡기춤, 풍수춤 등이 있다.

23. 와(Wa)족

인구 351,980명으로 주거주지는 운남서맹,창원,란창등지이다.종교는 불교와 기독교를신봉한다.언어는 남아어계,맹고면어족이며 와문이있다.옷장식을 선명하게하고 부녀자는 치마를  주로 입는다.남자는 긴바지를 즐겨 입는다.와족은 마음이 아름다우며  토지신을 숭상한다.남녀는 자유연애를 하며 그들의 가정은 온정하고 남녀평등이다.

24. 水族(수족)

인구 347,116명으로 귀주성 삼도수족자치현, 여파독산등지이다. 종교는 소수인이 기독교를 신봉하며 언어는 한장어계, 장동어족이며 한자를 통용한다. 수족지향은 동고왕국으로 불리운다. 동고는 수족의 제일 신성하고 아름다운 상징이다. 수족의 복장은 남, 백, 청 3색이 위주이며 홍색 황색등 화려한 색을  꺼린다. 혼인은 자유혼이다.

25. 東鄕族(동향족)

인구 373,669명으로서 주거주지는 감숙 동향자치현,강락현등이다.종교는 이슬람교를 신앙하며 알타이어, 몽고어족,동향어이며 한문통용이다.동향족의 복장은 회족,한족,만족의 특점을 본땄다.부녀자의 옷차림은 화려하고빨간색과 수화를 좋아한다.동향족의 남자는 평범한 모자를 쓴다.그리고 짧은 머리에  수염을 기른다.동향족의 혼인은 부모가 결정하며결혼전 남녀는  얼굴을 마주할 수 없다.동향족의 문화는 풍부하고 다채롭다.

26. 納西族(납서족)

인구 277,750명으로서 주거주지는 운남 여강 납서족 자치현이며 종교는 카토릭과 라마교를 신봉한다. 언어는 한장어계 장면어족이며 납서문이 있다. 납서민족은 보수적이며 우아하고 소박하다. 납서족은 자유연애를 하며 그들이 거주하는 방은 나무로 되었으며 일반적으로 3층으로 되어있다. 납서족은 문화를 사랑하여 독서습작을 생활의  제1요소로 삼는다. 음악은 납서 전통문화의 산물이다. 납서족은 회화를 좋아하며 동파화는 납서족의 대표적인 회화유산이다.

27. 土族(토족)

인구 192,568명으로 주거주지는 청해 토족 자치현이다. 종교는 라마교이며 언어는 알타어계, 몽고어족이며 한문통용이다. 토족의 혼인풍속은 독특한점이 있다. 그들은 음악을 좋아하며 복장은 오색찬란하다.

28. 키르키즈(Kirghiz)족

인구 143,537명으로 주거주지역은 신강 키르키즈자치현이다. 종교는 이슬람교를 신앙하며 언어는 아타이어 이며 키르키즈문이 있다. 그들은 설산을 숭배하며 키르키즈족이 쓰고 있는 전모는 설산을 상징한다. 복장은 유목민족의 독특함이있고 장식품을 달고 다니기를 좋아한다.  그들의 체육활동은 주로 말을 타면서 하는 것이며 종류가 많고 상당히 재미가 있다. 그들은 문학창작을 애호하며 그중 민간시가는 중요한 위치를 차지한다. 그들의 민간예술도안이 풍부하고 다채로우며 주 대상물은 고대악기, 산매, 파도, 구름 동물 등이다.

29. 창(Qiang)족

인구 198,303명으로 사천 무한창조차치현이 주거주지이다. 종교는 불교와 기독교이다.  언어는 한장어계 장면어족 이며 한문통용이다. 그들의 건축은 웅위롭고 풍부한 심미를 체현한다. 그들에게는 “跳沙朗, 跳莢甲, 跳皮鼓”등의 형식의 춤이있다.

30. 달갈(Dawor)족

인구 121,463명으로 주거주지는 내몽고, 흑용강, 신강등지이다. 종교는 샤마니즘, 다신교, 라마교이며 언어는 알타이어족, 달갈족어이며 한문통용이다. 그들은 유구한 사냥의 역사를 가지고 있으며 곰방대를 잘 만든다. 그들의 문학활동은 상당히 왕성하며 주로 민간노래형식이다.

31. 경포(Jingpo)족

인구 119,209명으로서 주거주지는 운남이다. 종교는 원시신앙과 기독교를 신앙한다 언어는 한장어계, 장면어, 경포어이며 경포문이 있다. 그들은 부지런하고 용감하며 노래와 춤도 즐긴다. 경포족은 하루가 지난 밥은 먹지않는 습관이 있으며 새밥을 먹기전에는 먼저 개에게 주는 풍습이있다. 단결은 경포족의 숭고한 사회미덕이며 거주집은 완전히 참나무로 만들었다.

32. 마로(Mulao)족

인구 160,648명으로서 주거주지는 귀주와 광서지역이다. 그들은 원시종교를 신앙하며 언어는 한장어계이며 한문통용이다. 그들은 중추절에 오리고기를 먹으면서 노인들로부터 비장하고 감동적인 전설을 듣는다. 그들은 자유연애이나 결혼시는 부모의 명에 따른다. 의반절은 그들의 성대한 명절이다. 집회를 가지고 제사를 지내는 것외에 악단을 초청하여 북을 두드리고 쟁이를 울리며 노래하고 춤춘다.

33. 撤拉族(철납족)

인구 87,546명으로서 주거주지는 청해와 감숙이다. 그들의 언어는 알타이어계이며 한문통용이다. 그들은 주로 농사를 지으며 원예에 능통하다. 혼례식에는 낙타극을 하는데 낙타는 그들의 길상물이다. 그들의 결혼식은 오후에 여자집에서 거행한다.

34. 布朗族(포랑족)

인구 82,398명으로서 운남을 주거주지로 한다. 종교는 소승불교이며 언어는 남아어계이며 그들의 문자는 없다. 민족풍속은 원시적이고 소박하며 보수적이다. 그들은 태양을 숭배하며 참나무쥐, 하마등을 신성시 여긴다. 청춘남녀는 결혼하기전에 성년제를 지내는데 치아를 검게 색칠한다. 그들은 일부일처제가 엄격하며 이름은 모자연명제와 부자연명제가 있다.

35. 錫伯族(석백족)

인구 172,932명으로서 주로 신강,길림,요녕등지에서 산다.종교는 원시종교 샤머니즘이며 언어는 알타이어이며 한문통용이다.조상에 제사를 지내는 것을 중시하며 종교의식은 그리 강하지 않다.그들은 노래를  잘 부르고 춤도 잘 추며 사냥을 좋아한다.

36. 고로(Golao)족

인구 438,192명으로서 주거지는 귀주, 광서지역이다.종교는 원시종교이며 언어는 한장어계이며한문통용이다.그들의 복장은  남자는 짧은 치마,여자는 긴 치마를 입는다.결혼식은소박하고 그들 특유의 전통적인 풍격이 있다.기본적으로 중매,약혼, 결혼의 3단계를 거쳐 주로 음력섣달에 많이 한다.그들에게는 명절이 많으며 조상을 숭배한다.

37. 毛南族(모남족)

인구 72,370명으로서 주로 광서지역에 거주한다.원시종교를  신앙하며 언어는 한장어계,동수어지 등이며 한문통용이다.그들의 수공예품이 우수하며 청춘남여의 귀중한 결혼선물이다.

38. 塔吉克族(탑길극족)

인구 33,223명으로서 주거주지는 신강이다.종교는 이슬람교를 신앙하며 언어는 인도,유럽계이며 위글문 통용이다.그들은 반유목민 생활을 하며 산매를 숭배한다.그들의 음악은풍부한 선율과 화려하고 유창한 내용으로 되어있다.복장은 솜옷과 자켓이 위주이며 빨간색을 좋아한다. 결혼식은 겨울에 주로 진행하며 그 기간은 3일동안 지속된다.그들의 생활은소박하고 근면하다.

39. 普米族(보미족)

인구 29,721명으로서 주거주지는 운남이다. 종교는 라마교를 신봉한다. 언어는 한 장어계이며 한문통용이다. 그들은 개를 좋아하여 때리지도 먹지도 아니한다. 그들의 집은 나무로 짓는다. 그들의 혼인, 연애는 상당히 자유스럽다.

40. 怒族(노족)

인구 27,190명으로서 주거주지는 운남이다. 종교는 샤머니즘, 천주교, 라마교등을 신앙한다. 언어는 한장어계, 장면어족이며 문자는 없다. 노족의 여자들은 주로 마로 만든 치마를 입는다. 노족의 혼인에는 아직 원시적인  면이 남아 있다. 일부일처제의 씨족외 혼인을 엄격히 지킨다.

41. 阿昌族(아창족)

인구 27,718명으로서 주거주지는 운남이다. 종교는 소승불교이며 언어는 한장어계, 아창어지이며 한문통용이다. 그들은 검은 것을 아름다움으로 간주하며 결혼한 남자는 검은 천으로 머리를 두른다. 처녀들의 복장은 검은색이며 노인들은 일년내내 검은 옷을 입는다. 그들은 또한 치아가 검은 것을 아름다움으로 여긴다. 그들은 자유연애를 추구한다. 무술을 즐기고 용맹하며 소박한 기질을 가지고 있다.

42. 鄂溫克族(악온극족)

인구 26,379명으로서 주거주지는 내몽고 흑용강 등지이다. 종교는 샤머니즘이며 언어는 알타이어계이며 목구문에서는 몽고문을 농촌에서는 한문통용으로 하고 있다. 그들은 주로 목축업과 사냥에 종사하며 농업에 종사하는 사람은 소수이다. 겨울철에 썰매는 주요한 교통수단이다. 그들은 유희를 좋아하며 엄격한 족외혼을 지킨다.

43. 우즈배크(Uzbek)족

인구 14,763명으로서 우루무치, 카셔, 이닝등지가 주거주지이다. 언어는 알타이어계에 속하며 우즈배크문이 있다. 종교는 이슬람교를 신앙한다. 꽃모자를 쓰기를 좋아하며 부녀자는 머리수건을 두르며 원피스를 입는다. 그들의 가옥은 벽돌과 나무로 지었으며 정원에 나무화초를 심는다. 혼인은 자유연애이고 결혼은 본족내에서만 배우자를 정한다. 결혼식은 여자집에서 거행한다.

44. 德昻族(덕앙족)

인구 15,461명으로서 주거주지는 운남 덕홍지역이다.종교는 소승불교를 신앙하며 언어는 남아어계이며 문자는 없다.그들은 소박하고 성실하며 노동을 중시한다.복장은 흑색의 옷을 많이 입으며 혼인은 자유혼이다.

45. 京族(경족)

인구 18,749명으로 주거주지는 광서이다.종교는 소수인만  기독교를 믿는다.월남에서는경족이 최대 민족임.언어는 남아시아계이며  한문통용이다. 그들의 주업은 어업이며 밭농사도 조금 한다.그들은 자유연애를 한다.

46. 基諾族(기낙족)

인구 18,022명으로서 주요 분포지역은 운남지역이다.종교는 원시종교이며 언어는 한 장어계이다.이들은 귀구멍이 큰 것을 미로 간주하며 주건축자재는 대나무이다.

47. 裕固族(유고족)

인구 12,297명으로서 주거주지는 감숙이다.종교는 라마교를 신앙하며 언어는 알타이어계이며 한문통용이다.그들은 유목을 위주로 살아가며 복장은 주로 가축의 가죽으로 한다.남자는 원형의 평모자를 쓴다.혼인은 비교적 자유이다.결혼식은 2일간 노래속에서진행되는데 첫날은 신부집 둘째날은 신랑집에서 한다.

48. 保安族(보안족)

인구 12,297명으로서 주거주지는 감숙지역이다.종교는 이슬람교이며 언어는 알타이어계이며 한문통용이다.그들은 풍부한 공예품이  있다.평상시에도 허리에 칼을 차고다닌다.  보안족은 주로 구두로 전해오는 구두문화가 있으며 형식은 전통적인  이야기체이다.그들은 보통 금요일에 결혼식을 올리며 길거리에서 치른다.보안족의 남자는 평소 모자를 쓰며 새하얀 옷에 청보쪼끼를 입는다.부녀자는 깃이 큰 옷에 큰 쪼끼를 입는다.

49. 門巴族(문파족)

인구 7,475명으로서 주거주지는 서장이다.그들은 원시종교를 신앙하며 언어는 한족어계이며 장문통용이다.노래 잘 부르고 춤 잘추며  민간극이 풍부하다.수공업이 발달되어 생산품을장족지역까지 판매를한다.그들의 복장은 색채가 눈부시고 곡선이 아름답고 우아하다.

50. 獨龍族(독용족)

인구 5,816명으로서 주거주지는 운남 공산독용족자치현이다.원시적인 종교를 신앙하며 언어는 한장어계의 장면어족에 속하며 그들  고유의 독용문을 가지고있다.이민족의 풍습에는아직도 윈시적인 특점을 지니고 있다. 도갱화종의 원시적인 농업을 위주로 고기잡이,채집,사냥이 중요한 생산수단이다. 이민족의 혼인제도는 원시적인 혼인형태를 유지하고 있다.처자매 부부형제혼,족내혼,군혼 등도 있다.

51. 鄂倫春族(악륜극족)

인구 7,004명으로서 내몽고 흑룡강 등지에 주로 분포되어 있다.종교는샤머니즘이며 언어는 알타이어계이며 한문통용이다.그들은 임업과 수렵을 하며 부분적으로 농지를 경작한다그들의 생활은 노루와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다.가옥은 원시적인 유동성풍막으로서 선인주로 불리운다.악륜 극족의 화피조각은 이민족의 특색을 잘 나타내고 있다.

52. 탑탑아(Tatar)족

인구 5,064명으로서 주거주지는 신강의 우루무치, 이닝지역이다. 종교는 이슬람교를 신앙하며 언어는 알타이어계이며 탑탑아문자가 있다. 그러나 지금은 위글문을 많이 사용한다. 그들은 문화수준이 높고 노래와 춤에 능하다. 자유연애를 하며 복장은 깨끗하고 청결하며 화려하다. 탑탑아족의 이름은 본인명, 아버지명, 부락명등의 3개부분으로 나뉜다.

53. 我羅斯族(러시아족)

인구 13,500명으로 주거주지역은 신강의 이닝, 우루무치등지에 살고 있다. 종교는 동정교이며 언어는 인구어계이며 러시아문을 통용한다. 그들은 성격이 거칠고 유모적이며 민족자존심이 아주 강하다. 노란색을 싫어하고 푸른색을 좋아한다. 이들은 쇠고기를 즐겨 먹는다. 러시아족 여성은 치마입기를 좋아하며 귀걸이, 목걸이, 십자가를 편애한다. 부활절과 성탄절은 그들의 전통명절이다.

54. 珞巴族(낙파족)

인구 2,312명으로서 주거주지는 서장지역이다. 종교는 원시신앙이며 한장어계이며 서장문자를 쓴다. 낙파족은 사냥을 위주로하는 농사도 짓는다. 힘과 용기는 이민족이 첫째로 갖추어야 할 소질이다. 복장으로서 남자는 산양가죽을 걸치기를 좋아하며 들소가죽으로 만든 옷을 입기도 한다. 그들은 솔직하고 공정한 마음씨를 갖고 있다.

55. 高山族(고산족)

인구 2,877명으로 주거주지는 복건지역이다. 원시종교를 신앙하고 언어는 인도네시아어족에 속하며 그들 고유의 문자는 없다. 복장은 대체로 화려하다. 일반적으로 남성복에는 깃털모자, 뿔모자 또는 꽃모자가 하나 달려있고 여성복은 대부분 가디건식으로 되어있다. 이민족의 조각과 자수예술은 아주 유명하다. 사냥과 물고기잡이를 즐기는데 물고기를 잡을 때는 통나무배를 이용한다. 가옥형태는 배모양으로 많이 되어있다. 이민족은 노래 잘 부르고 춤 잘 추는 민족이다. 대표적인 악기는 풍금, 피리, 하모니카 등이다.

56. 赫哲族(혁철족)

인구 4,254명으로서 주거주지는 흑용강, 동강등이다.종교는 샤머니즘이다.그들은 어업, 사냥, 농업등에 종사하며 지금까지 원시사회의 씨족조직을 보존하고 있다.물고기가죽으로 옷을  만들어 입고 소박한 생활을 한다. 혁철족의 문화생활은 풍부하고 다채롭다. 청춘남녀들은 연애시 음악으로 사랑을 주고받고 한다.
]

중국 전통의학에 대해서 중국국제방송홈페이지
<중국백과(中國百科)>에서는 이렇게 기록하고 있다.

[
중국전통의학개황

1.중국 전통의학 개황


중국의 전통의학은 중화 민족이 장기간의 의료, 생활 실천속에서 부단히 축적하고 반복적인 총화를 통하여 점차적으로 형성된 독특한 이론 풍격을 갖춘 의학 체계다.



중국 전통의학은 중국 각 민족 의학의 총칭으로써 주로 한족의학, 티베트족 의학, 몽골족 의학, 위글족 의학, 조선족 의학 등 민족 의학이 포괄 된다. 중국 전통 의학중에서 한족의 인구가 가장 많고 문자역사가 가장 오래고 역사 문화가 비교적 긴 원인으로 한족의학은 중국 나아가서는 세계적으로도 영향력이 가장 크다. 19세기에 서방 의학이 중국에 들어오고 보급된 후 한족 의학은 또 중의(中醫)”로 불리우며 서의즉 서방 의학과 구분 되였다.

2.중의의 역사

중국의 전통 의학중에서 한족 의학의 역사가 가장 오래고 실천 경험과 이론 인식이 가장 풍부하다.

중의는 중국 황하 유역으로부터 발전했으며 오래전부터 학술 체계를 이루어 왔습니다.중의는 기나긴 발전과정을 경과하면서 서로 다른 부단한 창조와 허다한 명의들을 배출해 냈으며 많은 중요 학파와 명작들을 남겼다.

지금으로부터 3천여년전인 은상(殷商) 시대에 벌써 중국 의료위생과 10여가지 질병에 대한 기재가 갑골문으로 돼 있다. 주나라 때에는 벌써 보고, 듣고, 묻고, 진맥하는 등 진단 방법과 약물, 침구, 수술등 치료 방법을 사용했으며 진한 시기에는 “황제 내경(黃帝內經)”과 같은 체계적인 이론 저서들이 형성되었으며 이 책은 현존하는 의학 저서중 가장 오랜 중의 이론성 경전 저작이다. 장중경의 “상한 잡병론(傷寒雜病論)”은 각종 잡병에 대하여 변증법적인 진단 치료원칙을 전문 논술한 저서로써 수세의 임상 의학의 발전에 기초를 마련했다. 한대에 와서 외과학은 상당한 수준에 도달했는바 “삼국지” 기재에 따르면 명의 화타는 이미 전신 마취제인 “마비산(麻沸散)”을 사용하여 각종 외과 수술을 진행했다.

위진 남북조 (기원 220년—589년)시기부터 수당 5대(기원581년—960년)에 이르기까지는 진맥진단에서 돌출한 성과를 이룩했다. 진대 명의 왕숙화의 저서인 “맥경(脈經)”은 24종의 맥상을 규납했는데 이 책은 중국 의학에 아주 큰 영향력을 낳았을 뿐 아니라 외국에 까지 전파되었다. 이 시기에 와서 의학 각 과의 전과화가 이미 성숙된 단계에 있었다.

이 시기 침구 전서에는 “침구갑을경(針久甲乙經)”이 있고,
 “포박자(抱朴子)”, “주후방(주后方)”은 연단의 대표적 저서이다. 제약 방면에는 “뢰공포구논(雷公砲灸論)”이 있고 외과에는 “유연자괴유방(劉涓子傀遺方)”, 병원저서에는 “제병원후논(諸病源后論)”이 있으며 소아과에는 “로신경”이 있으며 “신수본초(新修本草)”는 세계적인 첫 약전서로 손꼽힌다. 이외에도 안과 저서로는 “은해정미(銀海精微)” 등등이 있다. 또한 당대에는 손사일의  “천금 요방(千金要方)”과 왕도의 “외대 비요(外臺秘要)” 등 대형 방서들도 나왔다.

송대(기원 960년—1279년)의 의학 교육중에서 침구학이 중대한 개혁을 이룩했다. 왕유일의 저서인 “동인 수혈침구 도경(銅人수穴針久圖經)”이 있으며 후에 그는 또 등신 대침구 동인 2구를 설계 제작해 교학시 학생들의 실습 조작에 이용했다.

이 창조는 후세 침구의 발전에 커다란 영향력을 낳았다. 명대(1368년—1644년)에 이르러 많은 의학가들이 상한, 온병과 온역 등 병분리 작업을 완성했고 청대에 이르러 온병학설은 성숙단계에 이르러 “온열논” 등 저서들이 나왔다.

명대로부터 서방의학이 중국에 들어 오기 시작했는데 많은 의학가들은 “중서의회통(中西醫匯通)”을 주장하였는바 이는 당대 중서의 결합의 선구로 된다.

중의 기초 이론


중의의 기초 이론은 인체 생명활동과 질병변화 규율에 대한 이론 개괄이다. 주로 음양(陰陽), 5행(五行), 운기(運氣), 장상(腸象), 경락(經絡) 등 학설이 포함되며 병인(病因), 병기(病機), 진법(診法), 변증(辨證), 치측치법(治側治法), 예방(預防) 양생(養生) 등 내용이 포함된다.

음양은 중국 고대 철학의 범주에 속하는 것으로 사람들이 모순 현상의 관찰을 통하여 모순개념을 음양의 범주로 승화시키고 음양 2기의 길고 짧음으로 사물의 운동변화를 해석했다. 중의는 음양 대립 통일의 관념으로 인체 상하, 내외 각부분들 사이, 인체 생명이 자연 사회 등 외계와의 본잡한 연계를 설명한다. 음양 대립통일의 상대 평형은 인체 정상활동을 유지하고 보장하는 기초이며 음양 대립 통일 관계의 소실고 파괴는 인체 질병의 발생을 초래하고 생명의 정상적 활동에 영향 준다.

운기학설은 5운6기라고도 한다. 운기학설은 자연계의 천문, 기상, 기후 변화가 인체 건강과 질병에 대한 영향학설이다. 5운에는 목운(木運), 화운(火運), 토운(土運), 금운(金運), 수운(水運)이 포함되며 자연계 1년중 춘, 하, 장하(長夏), 추, 동의 계절 순환을 말하는 것이며 6기에는 1년 4계절중 풍(風), 한(寒), 서(暑), 습(濕), 조(燥), 화(火) 등 6종 기후의 인자이다. 운기학설은 천문 역법에 근거하여 연도의 기후 변화와 질병 발생 규율을 계산해 내는 방법이다.

중의의 진단법


의사는 시, 청, 후, 촉 등 감각 공능 혹은 환자거나 그 친족들과의 대화를 통하여 질병관련 각종 정보들을 계통적으로 장악하였으며 이에 기초하여 임상 치료를 진행했다. 진단법에는 망진(望診), 문진(聞診), 문진(問診), 절진(切診) 등 네가지 방법으로 통칭하여 4진이라하며 4진은 각기 독특한 작용이 있는 것으로 서로 대체하지 못 하며 임상시에 반드시 종합 운용하여야 병에 정확한 판단을 내리게 된다.

망진(望診)

망진은 장부 경락 등 이론에 근거하여 진행하는 진법이다. 인체 외부와 5장6부는 밀접한 관련이 있는바 예하면 인체의 5장6부 기능 활동이 변화를 일으키면 반드시 인체 외부에서 신(神), 색(色), 형(形), 태(態)등 각 방면의 변화를 동반한다. 때문에 인체 외부 관찰과 5관형태의 공능적 현화증상을 통하여 내장의 변화를 진단하기에 이른다.

문진(聞診)

문진은 의사가 자기의 청각과 후각을 이용하여 호나자가 내보내는 소리와 체내 배설물에서 풍기는 각종 냄새를 통하여 질병을 진단하는 방법이다.

소리를 통하여 발음과 관련된 기관의 질병을 발견할 수 있고 소리의 변화를 통하여 체내 각 장기의 변화를 진찰 할 수 있다. 소리를 듣는데는 말소리, 숨소리, 기침 소리, 침 넘기는 소리, 트림 소리 등이 포함된다.

후각에는 병체 후각과 병실 후각 두 가지로 나뉜다. 병체 후각에는 주로 나쁜 독소로 인체의 장기, 기혈, 진액에 패기가 생기며 체취와 배출물에서 생기는 것이고 병실 후각은 병체와 배설물에서 풍기는 것으로써 온역병같은 경우 썩고 퀴퀴한 냄새가 방안을 진동한다
.

문진(問診)

문진은 의사가 대화의 방식으로 호나자와 그 가족들로부터 환자의 질병 발생, 발전, 현재 상황, 치료 경과 등을 알아내는 진단법이다. 문진은 주로 객관적으로 알아 내기 어려운 질병, 예하면 질병체내 증상이 적거나 뚜렷하지 않을 때 문진을 통하여 정보를 얻으며 동시에 환자의 일상 생활,사업 환경, 음식 습관, 혼인관계 등 모든 정황을 파악 할 수 있다.

절진(切診)

절진은 의사가 환자의 체표를 접촉하고 누르는 방법으로 진단한는 것을 말한다. 절진에는 맥진과 안진 두가지로 나뉜다.맥진을 절맥, 진맥이라고도 하는데 맥상의 변화로 체내의 병상태을 절진하는 방법이다. 안진은 손으로 환자의 인체 해당 부위를 누르면서 국부의 변화 상태를 요해하고 그로부터 병든 부위의 성질과 병상황의 경중 등을 요해하는 절진 방법이다.

중약


중약은 중의들이 전통적으로 사용하는 질병 예방, 진단과 치료용 약유 물질이다. 주요 내원은 천연 약과 그 가공품으로서 식물약, 동물약, 광물약과 부분적 화학 생물제품약들이 포함된다.

중국에서 중약의 발명과 응용은 이미 수천년의 역사를 기록한다.하지만 중약이라는 단어는 비교적 늦게 나왔는데 그것은 서방 의학이 중국에 들어 온 후 이 두가지 의약학을 구분하기 위하여 나온 것이 중약이다.

중약역사

중국 역사에는 “신농이 백초를 맛보다 하루에 70번이나
  중독되었다”는 전설이 있다. 이는 고대 노동인민이 자연과 질병과의 투쟁에서 약물을 발견하고 경험을 축적하는 간고한 과정을 보여준 것으로써 또한 중약이 생산노동에서 기원했다는 진실한 기록이기도 하다.

일찍 하상주 시대(기원전 22세기로부터 기원전 256년까지)에 벌써 중국에는 약주와 탕액이 출현됐다. 서주(기원전 11세기로부터 기원전 771년까지)의 “시경’은 중국 현존 문헌중 제일 먼저 약물에 대한 기재가 된 서적이다. 가장 오랜 중의 이론 경전인 “내경”에는 “한(寒)자는 열(熱)이요 열자는 한이라”, “5미(味)소(所)입(入)”, “5장고욕보사(五腸苦欲補瀉)” 등 학설이 있는데 이는 중약의 기본 이론 기초로 된다.

최초의 약학 저서인 “신농본초경(神農本草經)”은 진한시기(기원전 221년 - 기원 220년) 많은 의학가들이 선진시기 풍부한 약학 자료를 수집 총화하여 만든
 서적으로 365종의 약재가 기록 되어 있다. 이는 오늘날까지도 임상실천에서 사용 되는 것들로서 중국 중약학의 초보적 확립이 이때 벌써 형성되었다는 것을 설명한다.

당대(기원 618년 - 907년)는 경제 번영기로서 이는 중약학의 발전을 촉진했다. 당정부는 선후하여 세계적인 첫 약전성 본초인 “당본초(唐本草)”의 편집 수정 사업을 완성했는데 저서에는 850종의 약재가 기록되었고 많은 약물 도표들이 삽입되어 중약학을 진일보 완벽화 하는 계기가 되었다.

명대(기원 1368년 - 1644년)에 이르러 의약학가 이시진이 27년간의 심혈로 중약학의 경전인 “본초 강목”을 완성했다. 이 저서에는 1892종의 약재가 기록 되었는데 이는 중국 본초사상 가장 위대한 대작이다.

1949년 새중국이 탄생된 후 중약의 식물학, 감정학, 화학, 약리학과 임상학 등 여러 방면의 연구를 광범히 전개하여 약물내원, 감별약재, 설명 작용 등에 과학적 근거를 제공했다. 전국적인 약원조사 기초상에서 1961년에 전국과 지방을 망라한 “중약지”를 편집 출판하고 1977년에는 “중약 대사전”을 출판하여 5767종의 중약재를 기재했다. 동시에 각종 중약 공구서적과 각종 중초약 저서들과 중약에 관한 신문 간행물들이 출판되고 각종 중약 과학 연구, 교학,
 생산 기구들이 잇따라 건립되었다.

중약의 자원

중국은 국토가 광활하고 지질 구조가 복잡하며 기후가 다양하여 부동한 생태환경을 조성하였다. 이는 다양한 약재의 생장에 유리한 조건으로 된다. 현재 중국에는 이미 개발한 중약재가 8천 여 종이나 되며 상용 경영품종만도 600여가지나 된다. 품종과 가지수에서 단연 세계 첫 자리다. 중약은 국내 수요뿐 아니라 멀리 80여개 나라와 지역에 수출하여 국제적으로 명성을 떨치고 있다.

중약의 응용

중약의 응용은 유구한 역사를 기록하고 있다. 중약은 중화 민족의 번영부강에서 중요한 역할을 해왔다. 중약은 오늘날도 중국 사람들의 의료 보건에서 중요한 자리를 차지한다. 중약 이론과 실천 경험은 중국 문화의 특점을 보여준다. 중약은 대다수가 천연약재에서 왔고 독소와 부작용이 적고 한 가지 약에 다양한 약성분이 포함되어 여러가지 질병을 치료에 광범이 응용된다. 중약은 또한 복방의 형식을 응용하여 합리적인 처방으로 구성되었음으로 복잡한 질병치료에 사용 할 수 있고 약효를 높이고 부작용을 감소시키는 작용을 한다.

중약의 응용은 중의학 이론의 기초이다. 약물의 작용은 인체에서 산생되는 치료 효과에 근거하는 것이다. 중약의 치료 기능은 자신의 약효로 결정되는 것이다. 중약의 약성은 주로 4기 5미 (한(寒), 열(熱), 온(溫), 냉(冷)과 산(酸), 고(苦), 감(甘), 신(辛) 함(咸)), 승강부침(升降浮沈), 귀경(歸經), 독성(毒性)으로 나뉜다. 안전하고 효과적으로 중약을 응용하기 위하여 반드시 중약의 배오(配伍), 금기(禁忌), 제량(劑量), 복법(服法)과 조제(調劑) 등 기본 지식을 장악해야 한다. 처방은 병증세의 부동한 요구와 약성의 부동한 특점에 따라 선택적으로 한 가지 이상의 약물을 배합하여 사용한다. 금기에는 주로 배합금기, 임신금기, 음식 금기와 증세 금기가 있다. 제량은 임상용 약물의 분량을 말하는 것으로
 한 가지 맛약과 중성약 성인 일인량이 포함되며 종합 처방중 약물사이의 비례용량도 포함된다.

중약의 발전

앞으로 중약의 연구방향은 주로 약재생산면에서 중약재의 전통적인 생산방식을 계승함과 아울러 우량종 품종의 육성에 힘을 넣어야 한다. 감초, 황계, 시호(柴葫) 등 수요량이 많은 야생 약재와 20여종 수입 약재의
  인공재배 특히는 종자 퇴화 현상을 막고 새로운 자원의 조사와 개발 사업에 힘을 넣어야 한다.

[침구]

침구

침구는 중국의 전통의학의 중요 구성부분이다. 최초에 침구는 일종의 의료 수단에 불과 했으나 그후 점차 하나의 학과로 되었다. 침구학은 침구 의료 기술, 임상 응용규율과 기초 이론의 학과이다.

침구는 유구한 역사가 있다. 고서적에 여러 차례 침구의 원시공구인 돌침이 등장하였다. 이 돌침은 지금으로부터 대략 8천년에서 4천년전인 신석기 시대의 산물로써 씨족 공동체 후기에 속한다. 중국은 고고학 발굴중 여러 차례 이런 돌침을 발굴해 냈다. 춘추시대(기원전 770년—기원전 476년)에 이르러 의학은 무당의 속박에서 벗어나 전문 의사가 생겨 났다. “춘추 좌씨전’의 기록에 의하면 명의 의완이 진경공을 진병할 때
 “공지불가 달지 불급 약불 도언 불가 위지(攻之不可達之 不及藥不到焉不可爲之)”라고 했는데 여기에서 달과 공은 침구에서 화침을 말한다.

전국시기로부터 서한시기(기원전 476년-기원25년) 에 이르러 제련 기술의 발달고 더불어 금속침구는 광범하게 보급되기 시작했다. 쇠침이 옛날의 돌침을 대체하고 실용범위도 확대되어 침구의 발전을 다그쳤다. 동한 삼국시기에 이르러 침구로 유명한 많은 의학가들이 출현했는데 그 중에는 황포밀의 저서인 “침구 갑을경”이 가장 완벽한 침구 경전으로 손꼽힌다. 량진, 남북조 시기(기원 256년-589년) 침구 전서는 보다 많이 나오게 되었으며 이 시기 중국의 침구는 멀리 조선과 일본 등 지로 전파되었다.

수당시기(기원 581년—907년) 침구는 전문 학과로 발전되었으며 당시의 의학 교육 기구인 태의서에 침구과가 설치되었다. 그 후 침구학술은 부단히 발전하였으며 16세기에 와서는 침구가 유럽에 까지 전파 되기에 이르렀다. 하지만 청대에 이르러 의학자들 사이에 약을 중요시하고 침구를 경시하는 경향이 일어 침구학의 발전에 영향을 끼쳤다.

1949년 중화인민 공화국이 창건된 후 침구는 커다란 발전을 이룩했다. 현재 전국적으로 2천 여개 중의 병원들에 모두 침구과가 설치되었고 침구에 대한 과학 연구도 이미 여러 계통의 임상에 거쳐 진행 되고 있다. 침구의 조절작용, 진통작용, 면역력 증강 작용, 경락(經絡) 현상, 경혈(經穴)과 장부(臟腑) 관련 등 문제에 대한 연구에서 대량의 가치있는 과학 실험 자료를 취득하게 되었다.

[추나]

추나 (推拿)

인체의 경락수혈(經絡髓穴)과 일정한 부위들에 특정한 조작수법(手法) 혹은 기체 활동으로 질병을 치료 예방하고 보건과 건강을 이루는 방법으로 추나 혹은 안마라고도 한다.

추나의 기본 요령

추나는 중의 이론을 기본으로 변증론 치료 원리에 따라 진행하는 것이며 약물 치료를 결합하지 않으므로 부작용이 적어 많은 질병에 대하여 비교적 양호한 치료 효과를 볼 수 있는 간단한 치료 방법이다. 추나의 응용 범위는 아주 광범한바 흔히 보는 치료에는 경추병, 급성 척추 손상, 척추반 돌출증, 사지 관절 연조직 손상 등등이 있다.

추나의 손놀림은 일정한 규범동작과 기술 요령이 필요하고 지구적이고 힘있고 균형적이고 유연하며 심투 등 기본 요구가 있다. 추나의 수단은 손놀림의 조작에만 국한되는 것이 아니며 발, 어깨, 팦굽 등을 사용할 수도 있고 전문적인 추나 기구를 사용하여 진행 할 수도 있으며 때로는 특수 보조 고약이거나 안마 기름, 활석분 혹은 윤활제 같은 것을 보조적으로 사용하기도 한다. 추나법에는 다양한 이름들이 붙어 있는데 흔히 보는 것들로는 일지 단법(袒法), 유법(), 나법(拿法), 요법(搖法), 격법(擊法), 반법() 등등이 있다. 조작자들이 다름에 따라 자아 추나와 피동 추나 두 종류로 나누기도 한다. 피동추나는 주로 질병 예방에 사용되는데 소아 추나, 정골 추나, 기공 추나 등이 여기에 속한다.

자아 추나는 주로 보건 강신에 쓰이는데 안질 보건안마, 사지보건(四肢保健), 건위법(健胃法), 안신법(安神法) 등이 여기에 속한다. 

추나의 효능

추나의 효능:

1. 장부(腸腑) 기능조절. 중의는 인체의 병리 변화를 장부(腸腑) 기능의 실조로 귀결한다. 추나는 손놀림기교를 통하여 실조된 장부(腸腑)기능을 새롭게 평형시켜 질병을 치료와 보건 강신의 목적에 도달하게 된다.


(그림:추나의 손놀림)

2.
소통 경락혈기. 혈기는 생명 유지의 주요 물질이며 경락은 인체 기혈의 운행, 전도, 연락의 통로이다. 경락 기혈이 실조되면 외부의 나쁜 기들이 장기에 들어와 질병을 유발한다. 장기에 병이 생기면 경락을 통하여 인체 표면에 나타나기도 한다. 추나는 손놀림 자극을 통하여 경락기능과 기혈의 운행을 촉진하며 그로써 장기기능이 조화를 이루고 외부로 부터의 나쁜 기를 막으며 병치료의 목적에 도달하게된다.


(그림:추나 손놀림)

3.
근육과 골관절을 정리 해 준다. 추나수법(手法)은 피부에 자극하여 피부를 완화시켜주며 근육에 작용하여 살가죽을 소통시키고 혈맥에 응용되어 어혈을 풀고 소통을 원할이 한다. 때문에 추나수법(手法)은 외부로 오는 병이든 아니면 내부로부터 오는 얻은 병이든 모두 치료효과를 볼 수 있다.


(그림:추나 손놀림)

[소수민족의학]

1.민족의학 개황

중국의 전통의학은 한족의학 뿐 아니라 기타 소수민족의 의학도 포함된다. 여러 소수 민족들은 발전과정에서 부동한 지역, 문화 등 인소의 영향으로 특색있는 소수 민족 의학을 발전시켰다. 주로 티베트족의학, 몽골족 의학, 위그로족 의학, 조선족 의학, 쫭족의학, 따이족 의학,  리족의학, 묘족의약, 라구족 의약, 어룬춘족 의약 등이 있다.

여러 소수 민족의 역사와 문화가 부동함으로 민족 의학의 발전 상황도 서로 다르다. 어떤 소수민족들은 풍부한 진료 방법이 있고 독특한 의약 이론 체계를 이루고 있는가 하면 어떤 소수 민족들은 부분적인 의학 서적들을 보존하고 있으며 민간에서 전해내려오는 것들은 현재 계통적인 정리사업을 하는 중이다. 어떤 것은 문자 기재가 없이 간단한 처방 혹은 간이 치요법만이 전해 지는 것들로서 진일보 발굴과 정리가 필요하다.

부분적 소수민족 의학은 한족의학을 받아 들인 외 기타 나라의 의학도 받아 들여 본 민족의 의학 내용을 풍부히 했다. 티베트족 의학이 한족의 의학을 받아 들였는가 하면 고인도의 의학도 받아 들였고 몽골족 의학은 한족, 티베트족 의학 외에 러시아의학도 받아 들였다.

2.티베트 의학

티베트의학 기본상황

티베트 의학은 중국 전통의학중 중요한 조성부분이다. 티베트의학은 티베트민족을 위주로한 소수민족들이 유구한 의료실천속에서 창조 발전시킨 전통의학이다. 주로 티베트족들이 집거한 지역 이를테면 티베트, 사천, 청해, 감숙 등 성과 자치구들에 많이 유행되며 동시에 남아시아의 인도, 네팔 등 나라들에서도 광범히 유전되고 있다.

티베트의학은 청장고원에서 발원하였으며 민족, 사회화 자연환경적 특색이 짙다. 청장고원은 고산 한냉지대로서 교통이 불편하여 외계와의 교류가 어렵다. 때문에 티베트 의학은 오랫동안 고유한 전통을 이어 오고 있다. 예를들면 청장고원의 동식물 품종이 비교적 희소한바, 티베트 약은 대다수가 산소가 부족한 고산 환경속에서 생장하는 내한 동식물중에서 나오는 것이다.

티베트 의학 기본 이론

장기적인 생산 생활과 의료실천중에서 티베트의학은 초보적을 자체의 독특한 이론 체계를 형성했다.

3.
인학설

티베트 의학은 인체에는 3대 인소가 내존한다고 인정한다. 즉 룡() 적파(赤巴)배근(培根)이다. 7대 물질 기초 즉 식정징(食精徵), , ,지방, , 골수, ()를 말하며 3종 배설물 즉 소변, 대변, 땀이다. 3대 인소가 7대물질 기초와 3종 배설물의 운동 변화를 지배한다. 정상적인 생리 조건하에 상술한 3자는 상호 의존 상호 제약하며 상호 협조와 평형을 유지한다. 3자중 어느 한 인소 혹은 몇 개의 인소가 모종의 원인으로 너무 흥성하거나 쇠징되는 정황하에서 룡병, 적파병, 배근 병이 발생하게 되며 치료에서 3자 조절이 수요되고 협조 상태로 회복 되도록 해야 한다.

그중 룡()은 인체 생리 활동을 유지하는 동력으로써 그 성질은 한족 중의중의 풍과 기와 비슷하다. 하지만 그 함의는 풍이나 기보다 광법하다. 적파(赤巴)를 한어로 해석하면 담()이나 화()로서 중의의 의 성질이 있다. 주요 기능은 열능을 산생시키고 체온을 유지하며 위의 기능을 증강시키고 기색을 돋구고 담량을 키우며 지혜를 산생시키는 등 기능을 한다. 배근(培根)은 한어로 연()혹은 수()이다. 중의학에서의 진()()과 비슷하나 함의는 보다 광의하다. 인체내 진액 점액과 기타 수액의 물질와 기능은 밀접한 관계를 유지하고 있다.

질병 발생의 원리에 대하여 티베트의학에서는 룡, 적파, 배근 3자가 평형과 협조를 잃는데서 신체의 원기가 상해를 받고 그런 연고로 견강이 위급하게 된다는 것이다. 때문에 치료 목적은 이 3대 인소의 편성() 편쇠()현상을 조절하여 그 기능이 다시 협조를 이룩하도록 한다.

인체 해부와 생리

민족 습관과 민속관계로 말미암아  티베트의학에서는 인체의 해부와 생리를 비교적 깊이 있게 요해하고 있다. 인체내의 기관에 대하여 티베트의학에서도 역시 5 6부로 나눈다. 5장은 심장 간장 비장 페장과 신장을 말하며 6부는 대장 소장 위 방광 담과 3모휴(三姆休)를 말한다. 고대 티베트의사들은 각종 형상적 비유로 각 기관의 생리 기능을 설명했다. 례하면 심장을 국왕으로, 보좌에 앉아 있다고 했고 인체의 중앙에 있다고 했으며 페장은 대신과 태자와도 같아 군왕을 에워싸고 있으며 간장과 비장은 군왕의 대,소후()와 비()와 마찬가지로 군왕의 하단에 위치하며 관계가 밀접하고 신장은 한 집안의 대들보와도 같아 그것이 없으면 신체는 청사를 이루지 못 한다는 것이다.

티베트 특색요법

자법
(炙法
)

티베트 의사들이 자법(炙法)에서 주로 사용하는 원료는 쑥잎이다. 현재 쑥잎 자법(炙法)은 일반적으로 열()성병에 사용되지 않고 한성(寒性)병 치료에 응용되는데 특히는 위가 냉하거나 소화불량, 부종, 수종,머리 및 사지 황수(黃水), 허열병, 신경착란, 간질 건망증 등 치료에 이용된다. 티베트 의학에서 자법(炙法)은 모두 고정된 혈위(穴位)가 있다.

최토법(催吐法)

최토법은 약물 복용으로 구토를 유도하는 일종의 치요법이다. 주로 음식물 섭취후 소화 불량, 체하거나 독물질을 잘 못 먹었을 때 혹은 배속에서 기생충이 입안까지 올라 오다 다시 배속으로 들어 갔을 때, 혹은 위내에 자담(紫痰), 회담(灰痰) 등등 각종 배근이 차 있을 때 최토법을 사용하면 좋은 효과에 이를 수 있다. 토법에서 금기해야 할 부분은 노약자 임신부, 아동들은 이 법을 쓰지 않는 것이 좋다. 독물을 잘 못 섭취 한 경우 시간이 오래 되어 독물이 위에 있지 않을 경우 최토법을 사용하지 않는다.

부법(敷法)

바르는 요법은 티베트의학에서 비교적 특수한 방법으로서  외부에 바르는 것을 통하여 체내의 병증을 치료하는 방법이다. 방법이 간단하여 민간에서 많이 이용하는 요법이다. 티베트 의학에서는 부법(敷法)이 몸을 보()하는 작용을 하는 것으로써 사용범위도 비교적 광범하다. 피부가 거칠거나 출혈로 인한 허약증세, 과로피로, 실면 등에 널리 사용된다. 부법(敷法)에 바르는 약으로는 일반적으로 기름유가 기본이며 연고(軟膏)도 사용된다.

약욕요법(藥浴療法)

티베트 의학에서의 약욕법은 특색있는 자연 요법이다. 상용 약용 온천수는 류황온천 한수석 온천 범석온천 오령지 온천과 석회석 온천이다.

욕법은 수욕과 부욕 (敷浴) 두 가지인데 각자 특색이 있다. 수욕 요법은 5종의 천연 온천치료를 결합할 때 질병 치료 효과가 가장 뛰어 나다. 그 작용은 근육까지 들어 간 찬 기운을 치료하며 골수의 상열(傷熱), 독열 등 각종 열병을 치료한다. 부욕은 배합 혹은 불에 익히거나 삶은 약물을 포에 넣어서 병자의 병부위에 감싸거나 올려 놓아 치료효과에 이르는 요법이다.

3.몽골족의학

몽골의학 개황

몽골족의학은 몽골족이 장기간의 의료 실천속에서 점차적으로 형성되고 발전된 전통의학으로써 역사가 유구하고 내용이 풍부하다. 몽골족 의학은 몽골족 인민들이 질병과의 투쟁속에서 축적한 경험과 지혜의 결정체이며 또한 선명한 민족 특색과 지역 특점이 있는 의학과학이다.
 몽골약학은 치료중 용량이 적고 효과가 좋으며 경제적이고 간편한 등 특색이 있다.

몽골족 의학의 기본 이론

몽골의학은 “허의” “히라” “바다간” 3근의 관계로 인체의 생리 별리현상을 해석한다.

몽골의학에서 “허의”는 모든 생리 기능의 동력으로서 모든 사유, 언어, 동작과 각 장기의 기능활동은 모두 “허의”의 지배를 받는다. 만약 허의가 기능을 상실하면 장기 기능이 약해지고 정신에 의상이 오거나 실면 건망 등 증세를 보인다. “히라”는 몸에 열기가 있다는 뜻이다. 신체의 체온 각 조직 기관의 열능과 정신적 흥분 등은 모두 “히라”가 작용을 발휘해 생기는 현상이다. “히라”가 성(盛)하면 각종 온열병을 일으키는데 입안이 쓰고 신물을 토하며 정신이 안정되지 않는 등 증세를 일으킨다. “바다간”은 체내의 일종의 점액질 물질을 말하는데 한성(寒性)특성이 있다.
바다간이 기능을 상실하면 일반적인 한성(寒性)특성외에 수액(水液)의 소화 불량으로 각종 분비물의 증가현상을 초래한다. 

몽골족의학 특색요법

방혈요법

일정한 부위에서 얕은층 맥도 (정맥)을 따서 방혈(放血)하는 것으로 병든 혈을 뽑아내여 질병 치료와 예방효과에 이른다. 방혈요법은 어혈, “히라”로 인한 열성 질병, 이를테면 상열(傷熱)확산, 소열(騷熱), 역열(疫熱)통풍, 결핵병 등 열증 치료에 응용된다. 방열법은 준비 단계와 정식 방혈 두 보조로 나뉜다.

부황과 천자법(穿刺法)

이 방법은 부황과 방혈의 결합된 외치법(外治法)이다. 먼저 부위를 선택하고 부황을 부친다. 부황을 뗀 후 부황자리에 삼릉침 혹은 피부침으로 찾게 찌른다. 다시 부황을 부쳐 악혈(惡血)과 황수를 뽑아 내어 기혈 운행 개선으로 질병 치료목적에 이른다. 이 방법은 근육이 풍만하고 탄성이 있고 모발이 적은 곳이거나 골격 돌출 부위에 응용된다. 치료효과가 빠르고 치료 일정이 짧고 방법이 간단하고 환자의 고통이 적으며 위험성이 없는 등 특징이 있다.

산마젖 요법

산마(酸馬)젖 요법은 몽골민족의 전통적 음식요법으로서 강신(强身)과 각종 질병의 치료 기능이 있다. 특히 상(傷)후 쇼크, 가슴 답답증세, 심전구(前區) 통증 치료에 뚜렷한 효과가 있다. 연구에 의하면 산마젖에는 인체에 유익한 당분, 단백질, 지방, 비타민 등 각종 유효 성분이 있다. 특히 비타민C 함량이 많고 아미노산, 광물질 등과 방향성 물질, 미량 원소 등이 풍부하다.

몽골의 정골술

몽골의 정골술은 역대 정골 의학가들이 축적한 민족 특색이 짙은 각종 골절과 관절 탈골, 연골조직 손상 등 병증에 사용되는 요법이다. 몽골 정골술은 정복고정, 안마, 약욕치료, 호리와 기능 단련 등 6개 보조로 진행된다. 해독, 근육 완화, 활혈(活血) 등 작용을 한다.

4.위그르족 의학

위그르 의학 개황

신강지역은 고대 서역에 속한다. 서한시기(기원 206년- 기원250년)서역을 가로 지난 실크로드는 신강의 상업 발전과 문화 교류를 촉진하였다. 동시에 중아시아 한복판인 신강에는 동서방 의학에 모이게 되었다. 이는 현지 민족들의 의약사업의 발전을 적극적 영향력을 낳았다. 때문에 위그르족 의학은 본 민족 의학을 풍부히 하고 발전시킨 기초상에서 동서방 부동한 지역의 민족 의약문화중 좋은 것들을 받아 들여 위그르족 민족 특색이 짙은 전통 의학체계를 이루었다.

위그르 의용약(醫用藥) 습관

조사에 의하면 신강위그르자치구에는 6백 여종의 위그르 약이 있는데 그중 많이 쓰이는 것들이 360 여종에 달하며 본 지역자원 약이 160 여종 으로 27%를 차지한다.

위그르족 약에서 습관적으로 방향성(芳香性)약물을 많이 사용하는데 사향, 룡연향(龍涎香) 해리향(海狸香), 대의초(黛衣草), 정향(丁香), 두구(豆寇)등이다. 이외에도 비교적 많이 사용하는 것들이 독성이 강한 약물들 이르테면 마전자(馬錢子), 만타라(曼陀羅), 천선자(天仙子) 낙타련(駱駝蓮) 등이다.

5.조선족 의학

조선족 의학은 조선족 고유 문화 기초 위에서 중의 약학의 이론을 흡수하고 본 민족의 질병 예방 치료 실천 경험을 결합한 전통의학 체계이다. 조선족은 자고 이래로 한족과 친선적으로 내왕한 민족으로서 문화적 교류는 유구한 역사를 기록한다. 물론 의학도 그 중의 하나다. 한족의 전통 의약지식을 흡수하는 동시에 조선족 의학가들은
 본 민족의 고유 문화와 민족 지역의 의료 실천을 결합하였다. 기원 19세기 이제마의 저서 “동의수세보원”조선족의 대표적 의학저서로써 이론으로부터 임상치료에 이르기까지 독특한 “4상의학” 학설을 내놓으면서 점차적으로 체계적인 조선의학을 내놓았다.

조선약학의 내원

조선민족의 약학은 주로 두 개 부류로 조성된다. 하나는 중약(한족약학)을 인용한 것이며 다른 하나는 민간요법에서 발굴된 것이다.

조선족 의학가들이 중의약 지식을 광범히 흡수하였으므로 조선족 의사들은 대량의 중약을 본 민족 질병 치료 예방의 무기로 삼았다. 예를들면 “4상약물”271종은 모두 중약에 기인한 것이며 “동의 4상 금궤 비방”에 수록된 1297개 처방, “한방 의학 지남”에 수록된 1500여개 처방, “동의 보감”에 수록된 15개 부류 1400여종 약재, “증보방 약합편”에 수록된 41개 부류 515조 약재 등이 기본적으로 중약을 인용한 것이다.

민간 요법은 비교적 유구한 역사를 기록한다. 특히는 1949년 이후 민족 의약의 발굴 정리 연구 사업을 광범히 벌려 본 민족의 약학을 풍부히 하였다.
 예를들면 도라지 닭곰은 보혈 효과가 있고 부인병에 효과적이며, 만년쑥을 다려 먹으면 부인과 냉병치료와 간을 보하는 작용이 있으며, 땅두릅 뿌리로 술을 빚어 마시면 풍습을 치료하며, 옥수수 수염으로 술을 빚어 마시면 간복수에 효험이 있다는 등등의 학설이다. 이런 약들이 조선족 약학의 절대 부분을 차지한다. 이외 많은 민간약들, 이를테면 목화, 전호의 뿌리는 머리를 검게하고 허리병 치료에 쓰인다든지 방갈석 가루로는 모든 외상 출혈에 쓰인다는 등 민간약들이 있다.

6.쫭족의학

쫭족 개황

쫭족은 중국 소수민족 중 인구가 가장 많은 민족입니다 . 당대(唐代)이후 점차적으로 독특한 민족 풍격을 형성했으며 한의학을 바탕으로 쫭족 의학이 형성됐다.당송시기(기원618 - 1279년) 방서중에 부분적으로 영남의 해독 장독치료 약방이 기재됐고 의서로 “영남방(嶺南方)”이 나와 쫭족 의약을 포함하여 남방 소수민족 의약이 중국 전통의약학중의 명확한 지위를 확립했다. 명청시기(기원 1348년 - 1911년)는 쫭족의학의 발전시기다. 이 시기 쫭족의학은 이시진의 “본초강목”이 광서 각지에 널리 전파 된외 지방 의약 교육기관이 출현으로 많은 쫭족 의학가들이 출현되었다.

고대 쫭족 의학의 발전을 돌아보면 비록 문자적인 기재는 없지만 사제간의 전수 교류와 구두로 류전되어 왔다. 하여 천백년의 세월속에 민간으로는 대량의 쫭족의약 비방과 처방들이 전해져 중국 전통의학의 발전에 기여했다.

쫭의의 용약(用藥)

쫭족약학은 발전중의 민족약학이다. 때문에 완전한 체계를 아직 이루지 못 했으며 기본적으로 민족 약과 민간약의 교차점에 있다. 쫭족 거주지역인 영남 아열대 지역에는 동식물 자원이 매우 풍부하다. 쫭족사람들이 뱀 쥐 날짐승 등 야생동물을 즐겨 먹는 습관이 있으므로 동물의 약응용이 비교적 보편적이다. 민간에는 역대로 내려 오면서 “부정보혈(扶正補血) 필배용 혈육지품(必配用 血肉之品)”이라는 용약 경험이 있다.

쫭약의 다른 한 특징은 해독이다. 쫭약의 해복 범위도 아주 광범한바 뱀독, 벌레독, 식물중독, 약물 중독, 등등이 해독 범위에 든다. 광서에서 유명한 뱀약은 쫭족약학의 한낱 공헌이다. 쫭의는 아주 소박한 진리에 기초하는 것으로써 그 어떤 독소가 병을 유발한다면 반드시 그에 상응한 해독치료 약이 있다는 것이다. 아울러 독약 자체도 일정한 량을 취하면 중요한 치료작용을 하는 좋은 약이라고 본다. “이독 공독(以毒 功毒)”바로 여기에 속하는 것이다.

7.회족의학


회족의학은 중국 전통의학과 아랍 이슬람 의학 “동서합벽(合壁)”의 산물이다. 금원조(金元朝)때에 이르러 회족 의약은 전성기를 이루어 회족 약물관련, 아랍의약학과 중국전통의학이 일체를 이루고 중국 회족 특색의 약물 대형 종합성 저서인 “회회약방(回回藥方)”등 저서가 나왔다.

“회회약방”에 기재된 약제로부터 보아 약물 제형의 응용으로부터 살펴보면 중국식의 환(丸), 산(散), 고(膏), 탕(湯)이 있는가 하면 아랍식 방향(芳香)휘발약, 적비제(滴鼻劑), 노주제(露酒劑), 유제(油劑), 당장제(糖奬劑)등이 있다.

회족의학은 기나긴 발전과정에 독특한 민간요법을 형성하였다. 회족의 민간 편방 처방에는 중요한 특점이 있는데 “약식 동료(藥食同療)” , “우약우식(寓藥于食)”이 바로 그것이다. 이것은 회족의 다양한 요리문화와 관련이 있다. 예를들면 깨기름으로 망초(芒硝)를 버무려 먹으면 변비와 식도염, 조기 식도암 등을 치료하는 것 등등이다.

8.묘족의학

묘족의학은 독(), (), (), (), (), ()은 인체에 병을 유발하는 6종 인소로 본다. 질병 진단은 진맥, 청진, 관찰, 문진이 기본이며 손으로 접촉하고 만져보며 타(), (), (), (), () 등 전통적인 진단방법이 있다.

묘족 의용약(醫用藥)은 대다수가 식물약, 동물약이며 소수의 광물약이 있다. 약의 특징으로 규납하여 열(), ()과 불열불냉(不熱不冷) 세 종류로 나눈다. 열약은 냉병을 치료하며 냉약은 열병을 치료하며 화약(和藥)은 몸을 보()한다. 불완전한 통계에 의하면 현재 흔히 쓰이는 약이 15백여종이나 되며 상용약이 2백 여 종이다.

묘족 약은 주로 묘족들이 집거하고 있는 묘령 산맥, 오몽산맥과 무릉산맥 등 지역에 집중돼 있다. 각 지역의 위도, 지리, 환경이 서로 다르고 용약(用藥)습관도 서로 다르다. 각 약재들의 분포도 서로 다르다. 일부 종류들 예를들하면 견혈비(見血飛), 어성초(魚腥草), 은화(銀花), 길경 같은 것들은 거의 모든 지역에 분포 돼 있으나 애납향(艾納香), 마빈낭(馬檳瑯), 금철쇄(金鐵鎖), 자금련(紫金蓮) 같은 것들은 부분적 지역과 해발고에서만 자란다. 최근 년간 묘족 집거지역들에 많은 약재 생산 기지를 건립하고 천마(天麻), 복령(茯岺), 두종(杜從) 등 약재를 인공 재배하고 있다.]

중국은 국토가 광활하고 인구가 13억명이 넘는 대국으로서 그 전해져 내려오는 의서 또한 방대함을 볼 수 있다. 지리적으로 가장 가까운 위치에 있으며 고대부터 우리나라와 밀접한 관계를 가져온 나라이기도 하다.

필자는 사고전서를 중국에 거주하고 계신 최용국 약사모 회원으로부터
<CD-ROM판 사고전서 153장>을 특별히 선물로 지원받아서 보관하고 있으며 필요시 컴퓨터에 넣고 원본 사진을 보면서 아주 요긴하게 사용하고 있다.

처음에
<CD-ROM판 사고전서 153장>을 선물받고 한국 윈도우 체제에 인스톨하여 설치하였으나 언어체제가 달라서 제대로 깔리지 않고 글씨도 한자가 깨져서 나오는 관계로 별도로 노트북 컴퓨터에 중국 윈도우 체제인 중국 XP를 별도로 깔아서 실행하여 보니 잘 볼 수 있게 되었다. 이 자리를 빌어 중국 옌벤에 계신 최용국 회원께 다시한번 감사를 드린다.

우리나라와 가장 가까운 중국과 일본의 의서들을 두루 참조하여 우리땅에 자라는 향약의 가치를 더욱  공고히 다지는 동시에 중국의 다민족 국가가 만들어 놓은 방대한 의서 가운데 필요한 부분만을 가려내어 취사 선택한다면 동약의학의 발전에 큰 역할을 할 것으로 믿어 의심치 않는다.

(글/ 약초연구가 & 동아대 & 신라대 대체의학 외래교수 전동명)

문의 및 연락처: 010-2545-0777 ; 051-464-0307

홈주소: http://jdm0777.com

페이스북 주소: http://www.facebook.com/jdmsanyacho

이메일: jdm0777@
naver.com

참고문헌: http://jdm0777.com/jdm-1/Chamgomunheon.htm

한국토종야생산야초연구소에 보관된 중국의학대계 1-53권 대형사진감상: 1,

아래의 내용도 함께 참조해 보시고 지나간 역사를 읽고 묵상함으로 행복하시기 바랍니다^^

 

 

  1. 백학과 동래 온천 무엇인가?
  2. 대한민국 의료역사 무엇인가?
  3. 선 바위에 깔린 중과 처녀 무엇인가?
  4. 해금강(海金剛)의 선남선녀 무엇인가?
  5. 처용랑(處容郞)과 망해사(望海寺) 무엇인가?
  6. 동의보감 무엇인가?
  7. 사고전서 무엇인가?
  8. 막걸리 무엇인가?
  9. 수세보원 무엇인가?
  10. 의방류취 무엇인가?
  11. 모반 양반과 사냥꾼 무엇인가?
  12. 조선부(朝鮮賦) 무엇인가?
  13. 백록담 무엇인가?
  14. 오백장군 무엇인가? 
  15. 중국의학대계 무엇인가?
  16. 한국의학대계 무엇인가?
  17. 용머리 바위 무엇인가?
  18. 서복과 불사약 무엇인가?
  19. 삼성혈 무엇인가?
  20. 제주도 식물 무엇인가?
  21. 주천석과 만산장 무엇인가?
  22. 향약구급방 무엇인가?
  23. 강선대(降仙臺) 무엇인가?
  24. 호종단과 차귀섬 무엇인가?
  25. 할으방당과 할망당 무엇인가?
  26. 천하장사 오찰방 무엇인가?

 


jdm 한국토종야생산야초연구소 도서실 자료실 중 일부


중국의학대계 1-53권 중 확대사진

 

홈페이지 주소 : http://jdm0777.com 클릭하시면 홈으로 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