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종단과 차귀섬 무엇인가?

호종단(胡宗旦)과 차귀섬(遮歸島)에 얽힌 설화

 

 

 

 

▶ 제주특별자치도 남제주군 서귀포읍(현재: 서귀포시)

제주도는 지리학적으로 약 120만년 전부터 2만 5천년 전까지 5단계의 화산활동에 의하여 형성된 섬이라고 한다. 제주 섬에 사람이 거주하게 된 것은 선사시대 유적 발굴에 의하면 약 1만년 전부터 사람들이 살았다고 하는데, 그 역사 만큼이나 제주 섬사람들의 이야기가 구구절절하게 구전으로 전해져 오고 있다는 것은 탐라국 제주도가 과거에는 주권 국가였다는 것을 증명해주고 있다. 이제 21세기 제주도는 세계자연유산 유네스코 등재를 계기로 전세계인 모두가 태어나서 꼭 한번 가 보고 싶은 "평화의 섬" 제주를 향해 힘차게 도약하고 있다.

이제 환상의 섬 제주도의 호종단과 차귀섬에 대한 기막힌 설화에 대해서 박영준의
<한국의전설>에서는 다음과 같이 기록하고 있다.

[고려 16대 예종 임금 때였다.

중국에서는 고려국 제주도에서 훌륭한 인재가 태어나리라는 관측이 떠돌았다.  

뛰어난 인물이 태어나는 것을 시기한 중구 조정에서는 압승지술(壓勝之術)이 능한 호종단을 불러들였다.

『고려국 제주도에 빼어난 인물이 태어날 조짐이 있으니 그대는 제주도로 건너가서 제주도에 있는 13혈(穴)을 찾아 모두 막도록 하라.』

이러한 명을 내렸다.

명을 받은 호종단은 제주도로 건너왔다. 그리고 남원면(南元面)에 사는 감목 김씨를 부하로 삼았다.
호종단이 맨 처음에 침을 놓은 곳은 표선면(表善面) 옥기(의귀리:衣貴里)에 있는 혈이었다.

그 침을 감목 김씨에게 맡기고 호종단은 다음 혈을 찾아 떠났다.

호종단이 떠난 지 얼마 지나지 않아서였다. 갑자기 침이 흔들리기 시작하는 것이었다.

감목 김씨는 슬그머니 침을 반쯤 빼어 버렸다. 이윽고 돌아온 호종단이 눈치를 채고 말았다.
호종단은 감목 김씨에게 그 곳에 집을 짓고 살 것을 권했다. 그래서 김씨는 그 곳에 집을 마련했다.  
그리고 혈에 침을 놓지 않은 호종단에게 감사를 드렸다.

어느 날 해질 무렵이었다.

묘령의 여인이 감목 김씨의 집앞을 지나가고 있었다.

『죄송합니다만 하룻밤 묵어 가도록 해 주십시오. 갈길은 멀고 날은 점점 어두워 오니 아무래도 하룻밤 신세를 져야겠습니다.』

그 여인은 김씨에게 이렇게 청했다.

딱하게 여긴 김씨는 여인의 청을 들어 주었다. 그러나 남자와 여자가 한방에서 잠을 자게 되었으니 온전하게 밤을 보낼 리가 없었다.

마침내 그 여인은 김씨의 아내가 되고 말았다.
그들 부부는 남들이 부러워할 만큼 금실이 좋았고, 행복한 나날을 보냈다.

그 후 호종단은 또 서귀포읍(西歸浦邑) 서홍리로 혈을 뜨기 위해 떠났다.

호종단이 서홍리에 닿기 전의 일이었다. 백발 노인이 밭을 갈고 있는 한 농부에게 나타나서 점심 그릇인 행기에 물을 가득히 담고서 그것을 소 짐바리 속에 감추면서 부탁을 하는 것이었다.

『만일에 누가 와서 이 물을 찾더라도 모른다고 하시오.』

농부가 그러마고 대답하자 노인은 어디론지 사라져 버렸다.

얼마 후에 한 사람이 농부 앞으로 다가왔다.

『이 근처에 꼬부랑나무 아랫물이 어디 있소?』

사나이는 호종단이었다. 호종단은 그 근처를 한참동단 헤매었다. 그러나 물을 찾을 수가 없었다.

『분명히 이 근처에 물이 있을 터인데 못 찾다니......。분하구나.』

마침내 호종단은 자기의 술서(術書)를 찢어 버리고서 어디로인지 떠나고 말았다.

그리하여 호종단이 그 때 혈을 뜨지 못했기 때문에 지금까지도 서홍리에는 지장샘물이 철철 흘러나오고 있다는 것이다.

호종단이 중국으로 가려고 북제주군 한경면(翰京面) 고산리(高山里) 앞 바다에 있는 차귀섬(遮歸島: 죽도:竹島) 부근에 이르렀을 때였다.

한 마리의 날쌘 매가 날아와 별안간에 폭풍으로 변하여 호종단의 배를 침몰시켜 버렸다.

전해 오는 얘기에 의하면 한라산의 수호신이 매로 변해서 호종단이 못되게 군 행동에 대해 복수를 한 것이라고 한다.

후세 사람들은 호종단이 귀국하는 것을 막았다 하여, 죽도(竹島)라고 부르던 섬을 차귀섬이라 고쳐 부르게 되었다는 것이다.
]

이 전설을 통해서 거대한 땅을 가진 중국이 한반도 제주의 아름다운 섬에 반해서 시기하고 부러워했다는 것은 욕심이 지나치면 천벌을 받을 수 있다는 것을 암암리에 증명해주고 있는 것 같다. 흔히 심는대로 거둔다는 말과 뿌린대로 거둔다는 말처럼 그 사람이 살아서 무슨 행동을 했느냐에 따라서 그 가치가 평가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2007년 5월 25~29일 제주도 약초 관찰여행에서 사진을 총 1,122장을 찍었으며 해상도가 잘 잡힌 사진을 엄선하여 약초산행 기념사진방에 올려 한라산의 생태계를 한눈에 보고 행복을 맛볼 수 있기를 바란다.  아래의 순서대로 마우스를 클릭하면 한곳에 50장씩의 사진을 감상할 수 있다.

1, 제 68부 이곳을 클릭: http://jdm0777.com/jdm/yakchosanhang-68.htm

2, 제 69부 이곳을 클릭: 
http://jdm0777.com/jdm/yakchosanhang-69.htm

3, 제 70부 이곳을 클릭: 
http://jdm0777.com/jdm/yakchosanhang-70.htm

4,
제 71부 이곳을 클릭: http://jdm0777.com/jdm/yakchosanhang-71.htm

5,
제 72부 이곳을 클릭: http://jdm0777.com/jdm/yakchosanhang-72.htm

제주도 식물에 대한 전반적인 내용을 보려면 이곳을 클릭: ≪ 제주도식물 무엇인가? ≫


(글/ 약초연구가 & 동아대 & 신라대 대체의학 외래교수 전동명)

문의 및 연락처: 010-2545-0777 ; 051-464-0307

홈주소: http://jdm0777.com

페이스북 주소: http://www.facebook.com/jdmsanyacho

이메일: jdm0777@
naver.com

 


 

홈페이지 주소 : http://jdm0777.com 클릭하시면 홈으로 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