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혈(三姓穴) 무엇인가?

삼성혈(三姓穴)에 얽힌 설화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제주도는 지리학적으로 약 120만년 전부터 2만 5천년 전까지 5단계의 화산활동에 의하여 형성된 섬이라고 한다. 제주 섬에 사람이 거주하게 된 것은 선사시대 유적 발굴에 의하면 약 1만년 전부터 사람들이 살았다고 하는데, 그 역사 만큼이나 제주 섬사람들의 이야기가 구구절절하게 구전으로 전해져 오고 있다는 것은 탐라국 제주도가 과거에는 주권 국가였다는 것을 증명해주고 있다. 이제 21세기 제주도는 세계자연유산 유네스코 등재를 계기로 전세계인 모두가 태어나서 꼭 한번 가 보고 싶은 "평화의 섬" 제주를 향해 힘차게 도약하고 있다.

이제 환상의 섬 제주도의 <삼성혈(三姓穴)>에 대한 기막힌 설화에 대해서 박영준씨가 쓴
<한국의전설>에서는 다음과 같이 기록하고 있다.

[제주시 오현단(五賢壇)에서 동쪽 길을 따라 남쪽으로 얼마쯤 가노라면 노송(老松)이 우거진 곳에 삼성사(三姓祠)라는 사당이 있고 사당 안에 삼성혈(三姓穴)이라는 구멍이 있다. 그런데 이 삼성혈에는 다음과 같은 전설이 전해 내려오고 있다.

아득한 옛날, 탐진(耽津: 지금의 제주도)에는 어느 때부터인가 고을나(高乙那), 부을나(夫乙那), 양을나(良乙那) 등 삼신(三神)이 굴속에서 생활하고 있었다.

그런데 이 삼신의 십육대 손인 고후(高厚), 고청(高淸) 시대에 이르러 고, 부, 양 삼신은 서로 힘을 합해서 천하를 두루 탐험하기로 작정하고 구멍에서 나와 영주산(지금의 한라산)으로 올라갔다.

『저기 저 나무가 배를 만드는데는 안성마춤일세.』
『암, 그렇군. 빨리 배를 만들어 미지의 세상을 구경하자구.』

영주산에 오른 삼성은 나무를 베어 손수 배를 만들기 시작했다. 며칠 후 배가 완성되자 배를 바다에 띄우고 배위에 올라탔다. 삼성은 바다에서 파도와 싸우며 노를 저어 나갔다.  며칠 후 그들은 어느 육지에 닿게 되었다.

그 곳은 지금의 전라 남도 강진(康津) 땅이었다.
고, 부, 양 세 성이 강진 땅에 배를 대기 그 전날 밤이었다.

신라의 서울 서라벌 왕성에서 임금은 전날 밤에 이상한 꿈을 꾸었던 것이다.

대궐 남쪽에서 홀연히 큰 별이 솟아 오르더니 서라벌을 대낮 같이 밝혀 주는 꿈이었다.

<허허, 무슨 꿈이 이상도 하다. 하기야 길조(吉兆)인 듯 싶은데...... 하여간 태사(太師)를 불러서 물어 보아야겠구나.>

꿈을 깬 왕은 태사를 불러들여 해몽을 시켰다.

『상감마마, 간밤의 폐하의 꿈은 남쪽에서 귀빈이 올 징조이옵나이다.』

태사는 이렇게 예언을 했다.

그럴 즈음 탐진에서 나온 삼성은 강진 땅에 올랐던 것이다.
며칠 후였다.
서라벌에는 이상한 차림의 세 사나이가 나타났다.
그들은 신라의 왕을 뵙자고 청했다.
이 말을 들은 왕은 기꺼이 그들을 맞아들였다. 꿈이 맞아들었다는 생각을 하면서.

세 사나이는 바로 고, 부, 양 삼성이었다.

왕은 그들을 맞이하여 대접을 극진히 하고서 성만 있고 이름이 없는 그들에게 이름을 지어 주기로 하였다.
이윽고 왕은 맨 먼저 고을나에게 말을 꺼냈다.

『얼마 전 동쪽에서 큰 별이 유난히 밝게 짐의 궁궐을 비추는 꿈을 꾸고서 그대들을 만나게 되었는데 아마 그대가 별을 좌우하는 힘을 가지고 있는 듯하니 그대의 이름을 성주(星主)라고 부르겠노라.』

『폐하의 후덕을 입사온 소인이 다시 과분한 칭송과 더불어 이름을 갖게 되와 황공무지로소이다.』

고을나가 이렇게 사례하자 왕은 이번에는 양을나를 향해서 말했다.

『그대는 얼굴이 아름답고 청초한 기상이니 왕자(王者)라고 부를 지어다.』

『황공하오이다.』

양을나는 왕에게 머리를 숙였다.

『그대는 말이 없고 얌전하여 마치 독안에 든 쥐와 같으니 이름을 도내(都內)라고 하련다.』

왕은 마지막으로 부을나의 이름을 지어 주었다.
이들 삼성이 신라 왕에게 부복하고 다시 탐진으로 돌아갈 차비를 하자 왕은 비단과 보물을 잔뜩 내어 주었다.

『이제 그대들이 돌아가려 하니 짐의 마음 심히 섭섭하오. 헌데 그대들은 탐진의 첫 자인 탐자와 신라의 끝자인 라자를 따서 '탐라(耽羅)'라고 나라 이름을 부른 것이 어떻겠소?』

『폐하, 좋은 말씀이옵니다. 앞으로는 탐라라고 부르겠사옵니다.』

삼성은 신라 왕의 말대로 나라 이름을 탐라로 정했다.
이리하여 제주의 옛 이름이 탐라도가 된 것이다.  
신라를 떠난 고, 부, 양 삼성이 맨 먼저 닺을 내린 곳이 탐라의 별도진 즉 지금의 제주시 별도진 지금의 제주시 화북동(禾北洞)이었다.  

이 곳에 상륙한 그들은 삼성혈이 그리 멀지 않았으나 오랜 뱃길에 시달린 탓으로 중간인 삼사석(三射石: 현 제주시 화북동 경내 일주 도로 북쪽에 있슴)에서 쉬게 되었다.
삼성은 실컷 잠을 자고 얼마 후에 깨어났다.

『우리 몸도 풀리게 할겸 활 쏘기 시합이나 하다가 갑시다.』

이렇게 부을나가 제의를 하자 양을나와 고을나도 선뜻 응낙을 했다.

이리하여 제일 먼저 고을나가 활을 쏘게 되었는데 그가 쏜 화살이 일내에 가서 떨러졌다.
다음에 양을나가 쏜 화살은 이내에 떨어졌고 부을나가 쏜 것은 삼내에 가서 떨어졌다. 그래서 이것이 지금의 제주시의 동명(洞名: 동의 이름)인 일도(一徒), 이도(二徒), 삼도(三徒)가 된 것이다.

활 쏘기가 끝나자 이들 삼성은 다시 전에 거처하던 삼성혈로 돌아와 혈거 생활을 계속했다.
하루는 그들은 바닷가로 먹을 것을 구하러 나갔다.
그 때였다.

바다 저 멀리 파도에 밀려오는 이상한 물체가 보였다.
그 물체는 오색찬란한 광채를 발하면서 떠오는 것이었다.
그것은 점점 가까워지면서 윤곽을 드러냈는데 커다란 궤짝이었다.

그 궤짝이 해변에 닿다 호기심에 가득한 삼성은 재빨리 궤짝을 육지로 끌어올려 뚜껑을 열어 보았다.

『아니, 이게 뭐야? 이상한 궤짝인 걸. 이 안에 궤짝이 세 개씩이나 또 들어 있네.』

그들은 큰 궤짝 속에 있는 작은 궤짝 세 개를 꺼내었다.
그리고 고을나가 먼저 한 궤짝을 열어 보니 그 안에는 오곡의 종자가 가득히 담겨져 있었다.

또 한 개의 궤짝을 양을나가 여니 그 속에는 짐승이 들어 있었고 마지막 궤짝 한 개를 부을나가 여니 그 궤짝에서는 어여뿐 세 처녀가 사쁜사쁜 걸어 나오는 것이다.

삼성은 깜짝 놀라 눈이 휘둥그래졌다.

궤짝에서 나온 세 처녀는 우의(羽衣)를 입었으며, 머리에는 천관(天冠)을 쓴 모습이 평범한 이 세상 여자는 아닌 성싶었다.

세 처녀는 삼성 앞으로 다가오더니 공손히 절을 하면서 옥이 구르듯하는 음성으로 말을 꺼냈다.

『저희들은 섬나라 벽랑국(碧浪國) 황제의 딸들이옵니다. 그리하온데 하루는 부왕께서 말씀하시기를 탐라라는 나라에 훌륭한 세 군주가 있으니 그 곳을 찾아 가서 각기 세 군주의 배필이 되라고 하시어서 오늘 이렇게 찾아 왔나이다. 그리하옵고 부왕께서는 오곡의 종자와 육축을 함께 보내시면서 너희들은 지어미의 도리만을 다할 것이 아니라 지아비를 도와 탐라나라 자손 만대에 번영과 영화를 누리게 하라고 말씀하셨나이다.』

세 처녀의 말을 들은 고, 양, 부 삼성은 벽랑국 황제의 깊은 뜻에 머리 숙여 하늘에 감사를 드렸다.

그리고 그들은 세 처녀와 각각 혼례를 치루어 잘 살았다고 하는데 삼성과 벽랑국 세 공주가 혼인 예식을 올렸다는 혼인지(婚姻址)가 남제주군 성산면(城山面) 온평리(溫平里)에 남아 있다고 한다.
]

제주도가 옛날에는 세 개의 성을 가진 혈족이 살았으며 그들이 탐라국의 왕조로서 번창한 시대가 있었음을 전설을 통해서 추리해 볼 수 있다. 그리고 바다 건너 가장 가까운 신라와 교류가 있었음을 잘 말해주고 있다.

2007년 5월 25~29일 제주도 약초 관찰여행에서 사진을 총 1,122장을 찍었으며 해상도가 잘 잡힌 사진을 엄선하여 약초산행 기념사진방에 올려 한라산의 생태계를 한눈에 보고 행복을 맛볼 수 있기를 바란다.  아래의 순서대로 마우스를 클릭하면 한곳에 50장씩의 사진을 감상할 수 있다.

1, 제 68부 이곳을 클릭: http://jdm0777.com/jdm/yakchosanhang-68.htm

2, 제 69부 이곳을 클릭: 
http://jdm0777.com/jdm/yakchosanhang-69.htm

3, 제 70부 이곳을 클릭: 
http://jdm0777.com/jdm/yakchosanhang-70.htm

4,
제 71부 이곳을 클릭: http://jdm0777.com/jdm/yakchosanhang-71.htm

5,
제 72부 이곳을 클릭: http://jdm0777.com/jdm/yakchosanhang-72.htm

제주도 식물에 대한 전반적인 내용을 보려면 이곳을 클릭: ≪ 제주도식물 무엇인가? ≫


(글/ 초연구가 & 동아대 & 신라대 대체의학 외래교수 전동명)

문의 및 연락처: 010-2545-0777 ; 051-464-0307

홈주소: http://jdm0777.com

페이스북 주소: http://www.facebook.com/jdmsanyacho

이메일: jdm0777@naver.com


아래의 내용도 함께 참조해 보시기 바랍니다.

 

 

  1. 고조선(古朝鮮) 왕검 조선(王儉 朝鮮) 무엇인가?
  2. 백학과 동래 온천 무엇인가?
  3. 대한민국 의료역사 무엇인가?
  4. 선 바위에 깔린 중과 처녀 무엇인가?
  5. 해금강(海金剛)의 선남선녀 무엇인가?
  6. 처용랑(處容郞)과 망해사(望海寺) 무엇인가?
  7. 동의보감 무엇인가?
  8. 사고전서 무엇인가?
  9. 막걸리 무엇인가?
  10. 수세보원 무엇인가?
  11. 의방류취 무엇인가?
  12. 모반 양반과 사냥꾼 무엇인가?
  13. 조선부(朝鮮賦) 무엇인가?
  14. 백록담 무엇인가?
  15. 오백장군 무엇인가? 
  16. 중국의학대계 무엇인가?
  17. 한국의학대계 무엇인가?
  18. 용머리 바위 무엇인가?
  19. 서복과 불사약 무엇인가?
  20. 삼성혈 무엇인가?
  21. 제주도 식물 무엇인가?
  22. 주천석과 만산장 무엇인가?
  23. 향약구급방 무엇인가?
  24. 강선대(降仙臺) 무엇인가?
  25. 호종단과 차귀섬 무엇인가?
  26. 할으방당과 할망당 무엇인가?
  27. 천하장사 오찰방 무엇인가?

 

 

홈페이지 주소 : http://jdm0777.com 클릭하시면 홈으로 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