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의학대계(中國醫學大系) 무엇인가?

사고전서 중 자부의 97종 1,864권 1,311책

 

 

 

 

중국의학대계(中國醫學大系)란 청나라 때 편집된 총서인 사고전서(四庫全書)인 총 3,458종 7만 9,582권에 이르는 경(經), 사(史), 자(子), 집(集)의 4부 중 자부(子部)인 의가류(醫家類)에 해당되는 97종 1,864권 1,311책을 골라 따로 간행한 것

중국의학대계에 대해서
<두산백과사전>에서는 이렇게 적고 있다.

[중국의학대계(中國醫學大系)

사고전서(四庫全書) 가운데 의학관련 서적들만 골라내어 따로 간행한 것.

사고전서란 청나라 때 편집된 총서로서 1741년 청나라 황제 건륭제(乾隆帝)의 명으로 당시까지 현존하던 서적을 수집하여 10년여의 기간에 걸쳐 원본에 따라 새로 편찬한 것이다. 그 규모는 총 3,458종 7만 9582권에 이르는데 이들은 경(經) • 사(史) • 자(子) • 집(集)의 4부로 나뉘어졌는데, 모두 7벌을 만들어 4벌은 각지의 서고에 분산 수장하고 3벌은 민간에게 개방시켰다.

《중국의학대계》는 자금성(紫禁城) 안 남동쪽 구석 쪽에 있는 문연각(文淵閣)에 보관되어 있던 사고전서 가운데 자부(子部)인 의가류(醫家類)에 해당되는 97종 1,864권 1,311책을 골라 따로 간행한 것이다. 여기에는 중국에서 가장 오래된 의서인 《황제내경(黃帝內經)》을 비롯하여《난경본의(難經本義)》 • 《비급천금요방(備急千金要方)》 • 《외대비요(外臺秘要)》 • 《부인대전양방(婦人大全良方:부인대전)》 • 《보제방(普濟方)》 • 《본초강목(本草綱目)》 • 《경악전서(景岳全書)》 등 중요한 의서가 망라되어 있어 한국에서도 중국 의학 및 한의학을 연구하는 데 귀중한 자료가 되고 있다.
]

중국의학대계에 대해서
<브리태니커대사전>에서는 이렇게 적고 있다.

[중국의학대계(中國醫學大系)

중국 의학서, 한의학서, 한의학

사고전서(四庫全書) 중 한의학(중의학) 관련 서적을 따로 분류하여 편찬한 것.

명(明)이 멸망하고 학식과 문화수준이 낮은 청(淸)이 중국을 통일하면서, 청조는 중화(中華) 문명을 배워서 통치를 잘하고 인재를 키우기 위한 하나의 방편으로 거대한 편찬사업을 진행했다. 이에 따라 청조 건륭제(乾隆帝)의 칙령에 의해 편찬된 사고전서는 '중국 5,000년 사상 최대의 총서'로 알려졌다.

사고전서의 편찬사업에는 관련 학자 360명을 비롯하여 중국 내 광대한 지역으로부터 각 전문분야 수천명의 박학한 학자들과 1만 5,000여 명의 필사자(筆寫者)가 동원되었고, 1781년 완성될 때까지 근 10년의 세월이 소요되었다. 칙찬본(勅撰本)·내부본(內府本)·각성채진본(各省採進本)·개인진헌본(個人進獻本)·영락대전본(永樂大典本) 등 중국 각처에 수장되어 있던 모든 희귀본들이 빠짐 없이 수집되어 사고전서관(四庫全書館)으로 이송되었고, 여기서 문자의 교감(校勘)과 고증(考證)·해제(解題)·분류·편집 작업을 거쳐 사고전서는 총 1,864권으로 원본 그대로 저록(著錄)되었다.

<중국의학대계>는 베이징[北京]의 자금성(紫禁城) 남동쪽에 세워진 천자(天子)의 장서각(藏書閣)인 문연각(文淵閣)에 보관되어 있던 것으로, 경(經)·사(史)·자(子)·집(集)의 4부(部)로 분류되어 있는 사고전서 중 자부 의가류(醫家類)에 해당된다. 구성은 원본 97종 1,864권 1,311책을 수록한 역대 중국의 진귀본 의서를 집대성하여 이루어졌다. 중국 최고(最古)의 의서인 〈황제내경소문 皇帝內經素問〉·〈영추경 靈樞經〉·〈난경본의 難經本義〉를 비롯하여, 〈비급천금방 備急千金方〉·〈외대비요 外臺秘要〉·〈부인대전양방 婦人大全良方〉·〈보제방 普濟方〉·〈설씨의안 薛氏醫案〉등 중국의 중세 의학을 대표하는 책들이 수록되어 있으며, 〈본초강목 本草綱目〉·〈유경 類經〉·〈경악전서 景岳全書〉 등 우리나라에 많이 알려진 명·청대의 책들이 모두 망라되어 편찬되어 있다. 그밖에도 〈난대궤범 蘭臺軌範〉·〈신농본초경백종록 神農本草經百種錄〉·〈상한류방 傷寒類方〉·〈의학원류론 醫學源流論〉 등의 책들이 〈중국의학대계〉의 마지막 책(冊)에 수록되어 있다. 최근 한국에서도 영인본을 쉽게 구입할 수 있으며, 한의학도(韓醫學徒)들이나 학자들이 많이 참조하는 중요한 한의학 서적 중의 하나이다.
]

중국의학대계는 사고전서 자부인 의가류의 733~785책으로서 영인본 그대로 53권으로 출판되었다.  제 1권부터 53권에 이르기까지 방대한 97종 의서 1,864권의 목록과 저자를 소개하면 아래와 같다.

1, 중국의학대계 제 1권(733책)


① 황제내경소문
(黃帝內經素問)[
전국시대 1~9권 81편, 신화적 인물 황제 기백 대화, 진한()시대 황제 이름 가탁()하여 저작?]
② 영추경(靈樞經)[
전국시대 1~9권 81편, 신화적 인물 황제 기백 대화, 진한()시대 황제 이름 가탁()하여 저작?]
③ 난경본의(難經本義)[원나라 활수(滑壽)저, 총 2권, 1361년]
④ 침구갑을경(鍼灸甲乙經)[서진 안정조나인(
西晉 安定朝那人), 황보밀(皇甫謐)편찬, 총 10권, 259년]

2, 중국의학대계 제 2권(734책)


① 금궤요략론주(金
要略論注)[한나라의 장기(張機) 즉 장중경(張仲景)저, 청나라 서빈(徐彬)주석, 총 24권, 1671년]
② 상한론주석(傷寒論注釋)[
한나라의 장기(張機) 즉 장중경(張仲景)저, 청나라 서빈(徐彬)주석, 총 10권, 1671년]
③ 상한명리론(傷寒明理論)[진나라 왕숙화(王叔和)저, 금(金)의 성무기(成無己)주석, 총 4권, 1156년]
④ 상한론방(傷寒論方)[금(金)의 성무기(成無己)저, 총 1권, 1144년?]
⑤ 부후비급방(附後備急方)[
진(晋)의 갈홍(葛洪)저,양(梁)의 도홍경 및 금(金)의 양용도(楊用道)보충, 456~536년경?]
⑥ 저씨유서(
氏遺書)[무덤속관에 남제(南齊)의 저징(褚澄)저, 총 1권, ?]
⑦ 소씨제병원후론(巢氏諸病源候論)[수(
)나라의 소원방(巢元方)저, 총 50권, 610년]

3, 중국의학대계 제 3권(735책)


① 비급천금요방(備急千金要方)
[
당나라 손사막(孫思邈, 581~682)저, 총 30권, 233문 5300방, 기원 7C 중엽(652~659?)]
② 은해정미(銀海精微)[송나라 이후, 안과의 저서, 손사막의 이름을 빌어 편찬, 상.하권, 연대미상?]

4, 중국의학대계 제 4권(736책)


① 외대비요방(外臺秘要方)1
[당. 왕도(王燾, 670~755)저, 총 40권, 1104문 6900방, 송. 임억 손조 등 교정, 기원 752년]

5, 중국의학대계 제 5권(737책)


① 외대비요방(外臺秘要方)2
[당. 왕도(王燾, 670~755)저, 총 40권, 1104문 6900방, 송. 임억 손조 등 교정, 기원 752년]

6, 중국의학대계 제 6권(738책)


① 노신경(
顱顖經)[한나라 위신(衛迅?)저, 소아과총서, 후한시대 장중경의 제자, 상.하권, 연대미상]
② 동인침구경(銅人鍼灸經)
[송나라 인종(仁宗)때 왕유덕(王惟德?)저, 침구저술서, 총 7권, 작자연대미상]
③ 명당구경(明堂灸經)[원나라 서방자(西方子)저, 원대초기간행, 총 8권, 연대미상]
④ 박제방(博濟方)[송나라 왕곤(王袞)저, 총 5권, 1047년]
⑤ 소침양방(蘇沈良方)[송나라 소식(消軾). 침괄(沈括)공저, 총 8권, 연대미상]
⑥ 수친양노신서(壽親養老新書)[송나라 진직(陳直)저, 원대의 추현(鄒鉉)이 증보, 양생서, 총 1권, 1307년]
⑦ 각기치법총요(脚氣治法總要)[송나라 동급(董汲)저, 총 2권, 약 11세기말?]
⑧ 여사비요방(旅舍備要方)[송나라 동급(董汲)저, 총 1권, 약 11세기 간행?]
⑨ 소문입식운기론오(素問入式運氣論奧)[송나라 유온서(劉溫舒)저, 상.중.하권, 연대미상]
부록: 황제내경소문유편(黃帝內經素問遺篇)[1권 80방, 작자연대미상]
⑩ 상한미지론(傷寒微旨論)
[송나라 한기화(韓祇和)저, 총 2권, 1086년]
⑪ 상한총병론(傷寒總病論)
[송나라 방안시(龐安時)저, 동병(董炳)편찬, 총 6권, 1100년]
부록: 상한론음훈(傷寒論音訓)
부록: 수치약법(修治藥法)

7, 중국의학대계 제 7권(739책)


① 성제총록찬요(聖濟總錄纂要)[송나라 휘종칙(
徽宗敕)저, 정림(程林)교정 편성, 총 26권, 기원 17세기경]

8, 중국의학대계 제 8권(740책)

① 증류본초(證類本草)[송나라 당신미(唐愼微)저, 조효충(曹孝忠)교정, 구종석(寇宗奭) 연의(衍義: 뜻을 넓여 자세히 설명한 것), 총 30권, 1116년]

9, 중국의학대계 제 9권(741책)


① 전생지미방(全生指迷方)[송나라 왕황(
王贶)저, 총 4권, 12세기초 간행]
② 소아위생총미론방(小兒衛生總微論方)
[송나라 송태의국(宋太醫局: 1208-1224년)편찬, 하대임(何大任)교정, 남송시대 소와과 저서, 총 20권, 13세기초 간행]
③ 유증보제본사방(類證普濟本事方)[송나라 허숙미(許叔微:1079~1154년)저, 총 10권, 만년에 평생 응용한 경험방 및 의안 정리 편찬]
④ 태평혜민화제국방(太平惠民和劑局方)[송나라 진사문(陳師文), 봉칙(奉
)공저, 총 10권, 1107년 전후]
부록: 지남총론(指南總論)[송나라 진사문(陳師文), 봉칙(奉
)공저, 상.중.하권, 1107년 전후]
⑤ 전신적용방(傳信適用方)[송나라 오언기(
吳彥夔)저, 상.하권, 1180년]
⑥ 위제보서(
濟寶書)[송나라 동헌거사(東軒居士)저, 상.하권, 외과저서, 12세기초 편찬]

10, 중국의학대계 제 10권(742책)


① 의설(醫說)[송나라 장고(張
)저, 총 10권, 1224년]
부록: 목록(目錄)
② 침구자생경(鍼灸資生經)[송나라 왕집중(王執中)저, 총 7권, 1220년]
③ 부인대전양방(婦人大全良方)[송나라 진자명(陳子明)저, 총 24권, 1237년]
부록: 목록(目錄)
부록: 변식수제약물법도(辨識修製藥物法度)

11, 중국의학대계 제 11권(743책)


① 태의국제과정문격(太醫局諸科程文格)[송나라 송대의과시험문제답모음집, 총 9권, 연대미상]
② 산육보경집(産育寶慶集)[송나라 이사성(李師聖), 곽계중(郭稽中)공편, 상.하권, 연대미상]
③ 삼인극일병증방론(三因極一病證方論)[송나라 진언(陳言)저, 총 18권, 1174년]
④ 집험배저방(集驗背疽方)[송나라 이신(李迅)저, 총 1권, 1196년]
⑤ 제생방(濟生方)[송나라 엄용화(
嚴用和)저, 총 8권, 1253년]
⑥ 산보제방(産寶諸方)[송나라 동급(董汲)저, 총 1권, 약 11세기말?]

12, 중국의학대계 제 12권(744책)


① 인재직지(仁齋直指)[송나라 양사영(楊士瀛)저, 총 26권, 1264년]
부유(附遺): 인재상한류서(仁齋傷寒類書)[송나라 양사영(楊士瀛)저, 명나라 주숭정(朱崇正)증보, 총 7권, 연대미상]
② 급구선방(急救仙方)[총 6권, 작자연대미상]
③ 소문원기원병식(素問元機原病式)[금나라 유완소(劉完素: 1120~1200년)저, 총 1권, 연대미상]
④ 선명방론(宣明方論)[금나라 유완소(劉完素)저, 총 15권, '선명론방' 또는 '황제내경선명론방', 1172년]
⑤ 상한직격방(傷寒直格方)[금나라 유완소(劉完素)저, 상.중.하권, 연대미상]

부록: 상한표본심법류췌(傷寒標本心法類萃)[금나라 유완소(劉完素)저, 상.하권, 연대미상]


13, 중국의학대계 제 13권(745책)


① 병기기의보명집(病機氣宜保命集)[금나라 장원소(張元素)저, 상.중.하권, '보명집'이라고도 함, 1186년]
② 유문사친(儒門事親)[금나라 장종정(張從正)저, 총 15권, 연대미상]
③ 내외상변혹론(內外傷辨惑論)[금나라 이고(李
)저, 상.중.하권, 1247년]
④ 비위론(脾胃論)[금나라 이고(李
)저, 상.중.하권, 약 13세기 간행]
⑤ 난실비장(蘭室秘藏)[금나라 이고(李
)저, 상.중.하권, 약 1336년 간행?]
⑥ 차사난지(此事難知)[원나라 왕호고(王好古)저, 스승 '이고'의 의술 모은것, 총 2권, 1308년]
⑦ 의루원융(醫壘元戎)[원나라 왕호고(王好古)저, 총 22권, 1297년]
⑧ 탕액본초(湯液本草)[원나라 왕호고(王好古)저, 상.중.하권, 1289년]

14, 중국의학대계 제 14권(746책)


① 서죽당경험방(瑞竹堂經驗方)[원나라 사도목(沙圖穆)편찬, 총 15권, 1326년]
② 세의득효방(世醫得效方)[원나라 위역림(危亦林)저, 총 20권, 1345년]
③ 격치여론(格致餘論)[원나라 주진형(朱震亨)저, 총 1권, 1347년]
④ 국방발휘(局方發揮)[원나라 주진형(朱震亨)저, 총 1권, 약 14세기 간행]
⑤ 금궤구현(金
鉤玄)[원나라 주진형(朱震亨)저, 대원예(戴原禮)교정 및 보충, 총 3권, 약 14세기 간행]
⑥ 편작신응침구옥룡경(扁鵲神應鍼灸玉龍經)[원나라 왕국서(王國瑞)저, 총 1권, 1329년]
⑦ 외과정의(外科精義)[원나라 제덕(齊德)저, 총 2권, 연대미상]
⑧ 맥결간오(脈訣刊誤)[원나라 대계종(戴啓宗)저, 명나라 왕기(汪機) 1523년 보정, 총 2권]
부록: 맥서요어(脈書要語)
부록: 교세혹맥론(矯世或脈論)
⑨ 의경소회집(醫經溯
集)[원나라 왕이(王履)저, 상.하권, 1368년]

15, 중국의학대계 제 15권(747책)


① 보제방(普濟方)1[명나라 주숙(朱
)저, 총 426권, 1960론,2175항,778법,61,739방, 15세기초 간행]

16, 중국의학대계 제 16권(748책)


① 보제방(普濟方)2[명나라 주숙(朱
)저, 총 426권, 1960론,2175항,778법,61,739방, 15세기초 간행]

17, 중국의학대계 제 17권(749책)


① 보제방(普濟方)3[명나라 주숙(朱
)저, 총 426권, 1960론,2175항,778법,61,739방, 15세기초 간행]

18, 중국의학대계 제 18권(750책)


① 보제방(普濟方)4[명나라 주숙(朱
)저, 총 426권, 1960론,2175항,778법,61,739방, 15세기초 간행]

19, 중국의학대계 제 19권(751책)


① 보제방(普濟方)5[명나라 주숙(朱
)저, 총 426권, 1960론,2175항,778법,61,739방, 15세기초 간행]

20, 중국의학대계 제 20권(752책)


① 보제방(普濟方)6[명나라 주숙(朱
)저, 총 426권, 1960론,2175항,778법,61,739방, 15세기초 간행]

21, 중국의학대계 제 21권(753책)


① 보제방(普濟方)7[명나라 주숙(朱
)저, 총 426권, 1960론,2175항,778법,61,739방, 15세기초 간행]

22, 중국의학대계 제 22권(754책)


① 보제방(普濟方)8[명나라 주숙(朱
)저, 총 426권, 1960론,2175항,778법,61,739방, 15세기초 간행]

23, 중국의학대계 제 23권(755책)

① 보제방(普濟方)9[명나라 주숙(朱
)저, 총 426권, 1960론,2175항,778법,61,739방, 15세기초 간행]

24, 중국의학대계 제 24권(756책)


① 보제방(普濟方)10[명나라 주숙(朱
)저, 총 426권, 1960론,2175항,778법,61,739방, 15세기초 간행]

25, 중국의학대계 제 25권(757책)


① 보제방(普濟方)11[명나라 주숙(朱
)저, 총 426권, 1960론,2175항,778법,61,739방, 15세기초 간행]

26, 중국의학대계 제 26권(758책)


① 보제방(普濟方)12[명나라 주숙(朱
)저, 총 426권, 1960론,2175항,778법,61,739방, 15세기초 간행]

27, 중국의학대계 제 27권(759책)


① 보제방(普濟方)13[명나라 주숙(朱
)저, 총 426권, 1960론,2175항,778법,61,739방, 15세기초 간행]

28, 중국의학대계 제 28권(760책)


① 보제방(普濟方)14[명나라 주숙(朱
)저, 총 426권, 1960론,2175항,778법,61,739방, 15세기초 간행]

29, 중국의학대계 제 29권(761책)


① 보제방(普濟方)15[명나라 주숙(朱
)저, 총 426권, 1960론,2175항,778법,61,739방, 15세기초 간행]

30, 중국의학대계 제 30권(762책)


① 옥기미의(玉機微義)[명나라 서용성(徐用誠: 자는 서언순:徐彦純)저, 유순(劉純)증보, 총 50권, 1369년]
② 인단록(仁端錄)[명나라 서겸(徐謙)저, 진규(陳葵)책정, 두진(痘疹: 천연두 및 마진) 전문서, 총 16권, 연대미상]

31, 중국의학대계 제 31권(763책)


① 설씨의안1(薛氏醫案)[명나라 설기(薛己: 기원 1488-1558년)저, 총 77권, 1529년]

32, 중국의학대계 제 32권(764책)


① 설씨의안2(薛氏醫案)[명나라 설기(薛己: 기원 1488-1558년)저, 총 77권, 1529년]

33, 중국의학대계 제 33권(765책)


① 추구사의(推求師意)[명나라 대원례(戴原禮)저, 왕기(汪機)교정, 상.하권, 1443년]
② 침구문대(鍼灸問對)[명나라 왕기(汪機)저, 침구문답형식, 상.중.하권, 1530년]
③ 외과리례(外科理例)[명나라 왕기(汪機)저, 총 7권, 1519년]
부록: 외과리례부방(外科理例附方)[89항]
④ 석산의안(石山醫案)[명나라 진각(陳
)편찬, 상.중.하권, 연대미상]
부록: 석산의안부록(石山醫案附錄)[45항]
⑤ 명의류안(名醫類案)[명나라 강관(江瓘)편집, 아들인 강응숙(江應宿)증보, 청나라 위지수(魏之琇)고증, 총 12권, 1552년]

34, 중국의학대계 제 34권(766책)

적수현주(赤水玄珠)[명나라 손일규(孫一奎)저, 1~30권, 1584년]
② 의지서여(醫旨緖餘)[명나라 손일규(孫一奎)저, 총 2권, 1522~1619년?]

35, 중국의학대계 제 35권(767책)


① 증치준승(證治準繩)1[명나라 왕긍당(王肯堂)저, 총 44권, 1602년]

36, 중국의학대계 제 36권(768책)


① 증치준승(證治準繩)2[명나라 왕긍당(王肯堂)저, 총 44권, 1602년]

37, 중국의학대계 제 37권(769책)


① 증치준승(證治準繩)3[명나라 왕긍당(王肯堂)저, 총 44권, 1602년]

38, 중국의학대계 제 38권(770책)


① 증치준승(證治準繩)4[명나라 왕긍당(王肯堂)저, 총 44권, 1602년]

39, 중국의학대계 제 39권(771책)


① 증치준승(證治準繩)5[명나라 왕긍당(王肯堂)저, 총 44권, 1602년]

40, 중국의학대계 제 40권(772책)

본초강목(本草綱目)1[명나라 이시진(李時珍)저, 1~52권, 문연각 사고전서, 1596년]
부록:
본초강목부도(本草綱目附圖)[사진 부록]

41, 중국의학대계 제 41권(773책)

본초강목(本草綱目)2[명나라 이시진(李時珍)저, 1~52권, 문연각 사고전서, 1596년]

42, 중국의학대계 제 42권(774책)


본초강목(本草綱目)3[명나라 이시진(李時珍)저, 1~52권, 문연각 사고전서, 1596년]
② 기경팔맥고(奇經八脈考)[명나라 이시진(李時珍)저, 총 1권, 1578년]
③ 빈호맥학(瀕湖脈學)[명나라 이시진(李時珍)저, 총 1권, 1564년]

43, 중국의학대계 제 43권(775책)

① 상한론조변(傷寒論條辨)[명나라 방유집(方有執)저, 총 8권, 1592년]
② 본초초(本草
)[명나라 방유집(方有執)저, 총 1권, 상한론조변 부록, 1592년]
③ 혹문(或問)[명나라 방유집(方有執)저, 총 1권, 상한론조변 부록, 1592년]
④ 경서(痙書)[명나라 방유집(方有執)저, 총 1권, 상한론조변 부록, 1592년]
⑤ 선성재광필기(先醒齋廣筆記)[명나라
무희옹(繆希雍)저, 총 4권, 1546~1627년?]
⑥ 신농본초경소(神農本草經疏)[명나라
무희옹(繆希雍)저, 총 30권, 1625년]

44, 중국의학대계 제 44권(776책)

① 류경(類經)[명나라 장개빈(張介賓)저, 총 32권, 1624년]
② 류경도익(類經圖翼)[명나라 장개빈(張介賓)저, 총 11권, 1624년]
③ 류경부익(類經附翼)[명나라 장개빈(張介賓)저, 총 4권, 1624년]

45, 중국의학대계 제 45권(777책)

① 경악전서(景岳全書)1[명나라 장개빈(張介賓)저, 총 64권, 1624년]

46, 중국의학대계 제 46권(778책)


① 경악전서(景岳全書)2[명나라 장개빈(張介賓)저, 총 64권, 1624년]

47, 중국의학대계 제 47권(779책)


① 온역론(瘟疫論)[명나라 오유성(吳有性)저, 총 2권, 1642년]
② 해학논소(
痎瘧論疏)[명나라 노지신(盧之)저, 총 1권, 연대미상]
③ 본초승아반게(本草乘雅半偈)[명나라 노지신(盧之
)저, 총 10권, 연대미상]

48, 중국의학대계 제 48권(780책)


① 어찬의종금감(御纂醫宗金鑑)1[청나라 오겸(吳謙). 류유탁(劉裕鐸)등 저, 총 90권, 1742년]

49, 중국의학대계 제 49권(781책)


① 어찬의종금감(御纂醫宗金鑑)2[청나라 오겸(吳謙). 류유탁(劉裕鐸)등 저, 총 90권, 1742년]

50, 중국의학대계 제 50권(782책)

① 어찬의종금감(御纂醫宗金鑑)3[청나라 오겸(吳謙). 류유탁(劉裕鐸)등 저, 총 90권, 1742년]

51, 중국의학대계 제 51권(783책)


① 상론편(尙論篇)[청나라 유창(喩昌)저, 총 8권, 1648년]
② 의문법률(醫門法律)[청나라 유창(喩昌)저, 총 12권, 1658년]
③ 우의초(寓意草)[청나라 유창(喩昌)저, 총 4권, 1643년]
④ 상한설감(傷寒舌鑑)[청나라 장등(張登)저, 총 1권, 1667년]
⑤ 상한겸증석의(傷寒兼證析義)[청나라 장탁(張倬)저, 총 1권, 연대미상]
⑥ 강설원고방선주(絳雪園古方選註)[청나라 왕자접(王子接)저, 총 3권, 1732년]
⑦ 득의본초(得宜本草)[청나라 왕자접(王子接)저, 총 1권, 1732년]

52, 중국의학대계 제 52권(784책)


① 속명의류안(續名醫類案)1[청나라 위지수(魏之琇)저, 총 60권, 1770년]

53, 중국의학대계 제 53권(785책)


① 속명의류안(續名醫類案)2[청나라 위지수(魏之琇)저, 총 60권, 1770년]
② 난대궤범(蘭臺軌範)[청나라 서대춘(徐大椿)저, 총 8권, 1764년]
③ 신농본초경백종록(神農本草經百種錄)[청나라 서대춘(徐大椿)저, 총 1권, 1736년]
④ 상한류방(傷寒類方)[청나라 서대춘(徐大椿)저, 상.하권, 1759년]
⑤ 의학원류론(醫學源流論)[청나라 서대춘(徐大椿)저, 상.하권, 연대미상]

중국은 다민족 국가로서 미국과 마찬가지로 다양한 인종과 언어 및 문화가 함께 공존하고 있다.

현재 56개 민족이 연합하고 있고 광할한 땅을 소유하고 있는데, 상대적으로 국토가 작은 우리나라 한반도 전체와 비교해 볼 때도 진실로 대국이라는 것을 한눈에 볼 수 있다.  국가경제력도 엄청 발전하여 영미세계강국이 위협을 느낄 정도로 군사력 및 경제력이 눈부실정도로 장족의 발전을 하고 있는 나라이기도 하다.  

한족과 소수민족과 관련하여
<
羅香林 著, 中國民族史, 臺北 中華文化出版事業社 1953 출간>에 의하면 이렇게 기록하고 있다.

[
한족과 소수민족(漢族과 少數民族)

1. 漢族(한족)

한족은 중국에서 인구가 가장 많은 민족이다. 1990년 인구조사때
1,042,482,187명으로 전국인구 비중의 91.99%였다.한족인구의 총적인 추세는 성장하나 전국인구 비율은 감소 추세이다. 인구의 지역적 분포를 보면 한족은 황하유역으로부터 발원하였으며 이후 점차적으로 전국각지로 분포되었다.주요 거주지역은 황하주강 장강의 3대 유역 및 송요평원이다.장기적인 역사발전중 다른 소수민족들과 광범위한 정치, 경제, 문화교류를 진행하였으며 여러 가지 방면에서 소수민족보다 발전하였으며 중국에서 주도적 역할을한다. 중국의 5천년 역사를 보면 원조, 청조를 제외하고는 모두 한족이 집권하였다. 한족은 농후한 도덕관념이 있다. 서로돕고 단결하여 이웃끼리 화목하게지내는 것을 중시한다.

한족의 거주방식은 보통 3대가 한집 에서 사는데 선대는 후대를 사랑하고 후대는 선대를 존경한다. 한족의 집은 주로 기와집이며 도시에서는 보편적으로 철근콘크리터로 되었으며 대다수는 고층으로 변한다. 세계적으로 분포된 식당을 보면 한족은 풍부한 음식문화를 갖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한족의 음식은 신선하고 맛있으며 지역에 따라 맛이 틀린다. 전국적으로 유명한 요리로는 사천, 광동, 산동요리등이 있다. 한족의 혼인제도는 일부일처제이다. 한족의 결혼은 자유연애로 이전과 같이 부모가 결정하는 것은 아니다. 과거의 한족 가정은 남자는 밭갈이를 하고 여자는 천을 짜는 소농경제에서 소위 말하는“남자주외, 여자주내”에서 남존여비사상이 존재하였다. 현재는 부녀의 사회직위가 높아가고 경제적 으로 독립함에 따라 부부는 가정에서의 지위가 평등한 추세로 발전하였다.

2. 壯族(장족)

장족은 인구 15,489,630명으로 중국에서 한족 다음으로 많은 인구를 가진 민족이다.장족의 주거주지는 광서 장족자치구이며92%의 장족이 살고 있다.장족은 고대에 찬란한 문화를 창조하였으며 노래를 즐겨부르는 풍습이 있다. 장족은“마란”이라는 주택에거주하기 좋아한다.이런 마란은 나무로 만들어졌으며 어떤 지방에는 대나무로 한다.마란건축은 지면으로부터 상당히 높은 받침대가 있고 그위에 집을 짓는다.윗층은 사람이 살고 아랫층은 가축을 기르거나 물건을 저장하는 창고로 활용한다. 이런 집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