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수세보원(壽世保元) ≫ 명(明) · 금계(金谿) 운림 공정현(雲林 龔廷賢) 편(編)
수세보원목록(壽世保元目錄)
권일(卷一)
1. 의설(醫說): 1면 2. 오장육부맥병허실(五臟六腑脈病虛實) (범십일조:凡十一條): 2면 3. 오장보사주치례(五臟補瀉主治例): 8면 4. 십이경락(十二經絡): 9면 5. 기경팔맥(奇經八脈): 11면 6. 진맥(診脈): 11면 7. 칠표팔리총귀사맥(七表八裡總歸四脈): 12면 8. 논오장견사맥응병시(論五臟見四脈應病詩): 15면 9. 내인맥(內因脈): 16면 10. 외인맥(外因脈): 16면 11. 불내불외인맥(不內不外因脈): 16면 12. 정사맥형후가(定死脈形候歌): 16면 13. 맥변생사(脈辨生死): 17면 14. 진잡병생사맥가(診雜病生死脈歌): 17면 15. 진폭병가(診暴病歌): 18면 16. 제맥의기생사(諸脈宜忌生死): 18면 17. 편작화타찰성색비결(扁鵲華佗察聲色秘訣): 20면 18. 진오장육부기절증후(診五臟六腑氣絕症候): 22면 19. 장부론(臟腑論): 23면 20. 혈기론(血氣論): 24면 21. 비위론(脾胃論): 25면 22. 오운육기론(五運六氣論): 26면 23. 오운주병(五運主病): 28면 24. 육기위병(六氣為病): 30면 25. 항칙해승내제체용설(亢則害承乃製體用說): 35면 26. 의론(醫論): 37면 27. 본초(本草): 37면 28. 약론(藥論): 37면 29. 약유오법(藥有五法): 39면 30. 약성가괄(藥性歌括)(공사백미:共四百味): 40면
권이(卷二)
1. 중풍(中風): 64면 2. 예방중풍(豫防中風): 79면 3. 상한(傷寒): 80면 4. 사시감모(四時感冒): 104면 5. 중한(中寒): 108면 6. 온역, 장기(瘟疫、瘴氣): 110면 7. 중서(中暑): 114면 8. 중습(中濕): 121면 9. 내상(內傷): 127면 10. 화증(火症): 124면 11. 음식(飲食): 133면 12. 울증(鬱症): 140면
권삼(卷三)
1. 담음(痰飲): 143면 2. 해수(咳嗽): 149면 3. 천급(喘急): 154면 4. 효후(哮吼): 156면 5. 학질(瘧疾): 160면 6. 이질(痢疾): 166면 7. 설사(泄瀉): 171면 8. 곽란(霍亂): 177면 9. 구토(嘔吐): 181면 10. 번위(翻胃): 185면 11. 애역(呃逆): 188면 12. 애기(噯氣): 192면 13. 탄산(吞酸): 193면 14. 조잡(嘈雜): 195면 15. 제기(諸氣): 197면 16. 비만(痞滿): 200면 17. 고창(鼓脹): 202면 18. 수종(水腫): 207면 19. 적취(積聚): 214면 20. 오달(五疸): 220면
권사(卷四)
1. 보익(補益): 226면 2. 노인(老人): 245면 3. 고냉(痼冷): 249면 4. 반진(斑疹): 252면 5. 발열(發熱): 254면 6. 노채(勞瘵): 259면 7. 토혈(吐血): 267면 8. 육혈(衄血): 272면 9. 해혈(咳血): 273면 10. 각혈(咯血): 274면 11. 구혈(嘔血): 275면 12. 타혈(唾血): 276면 13. 변혈(便血): 276면 14. 닉혈(溺血=요혈:尿血): 280면 15. 오열(惡熱): 281면 16. 오한(惡寒): 282면 17. 한증(汗症): 282면
권오(卷五)
1. 현훈(眩暈): 287면 2. 마목(麻木): 290면 3. 전광(癲狂): 294면 4. 간증(癇症): 299면 5. 건망(健忘): 303면 6. 경계(驚悸): 305면 7. 정충(怔忡): 307면 8. 허번(虛煩): 309면 9. 불매(不寐): 310면 10. 궐증(厥症): 312면 11. 심위통(心胃痛): 313면 12. 복통(腹痛): 320면 13. 요통(腰痛): 324면 14. 협통(脅痛): 327면 15. 비통(臂痛): 329면 16. 견배통(肩背痛): 330면 17. 통풍(痛風): 332면 18. 각기(腳氣): 336면 19. 퇴산( 疝): 343면 20. 위벽(痿躄): 384면 21. 소갈(消渴): 351면 22. 치병(痓病): 354면 23. 탁증(濁症): 356면 24. 유정(遺精): 360면 25. 제림(諸淋): 364면 26. 관격(關格): 367면 27. 유닉(遺溺): 368면 28. 소변폐(小便閉): 370면 29. 대변폐(大便閉): 373면 30. 이변폐(二便閉): 376면 31. 치루(痔漏): 378면 32. 체기(體氣): 382면 33. 탈항(脫肛): 384면 34. 제충(諸蟲): 386면
권육(卷六)
1. 두통(頭痛): 389면 2. 수발(鬚髮): 393면 3. 면병(面病): 396면 4. 이병(耳病): 399면 5. 비병(鼻病): 403면 6. 구설(口舌): 407면 7. 견진(繭唇): 412면 8. 아치(牙齒): 413면 9. 안목(眼目): 420면 10. 후비(喉痺): 428면 11. 결핵(結核): 439면 12. 영류(癭瘤): 443면 13. 폐옹(肺癰): 445면 14. 폐위(肺痿): 446면 15. 심루(心漏): 446면
권칠(卷七)
1. 부과총론(婦科總論): 448면 2. 조경제방(調經諸方): 449면 3. 단산방(斷產方): 459면 4. 경폐(經閉): 460면 5. 붕루(崩漏): 463면 6. 대하(帶下): 468면 7. 허로(虛勞): 473면 8. 구사(求嗣): 478면 9. 임신(妊娠): 483면 10. 산육(產育): 499면 11. 산후(產後): 503면 12. 소산(小產): 514면 13. 유병(乳病): 516면 14. 유암(乳岩): 519면 15. 통유(通乳): 520면 16. 단유(斷乳): 522면 17. 부인통치(婦人通治): 523면 18. 부인잡병(婦人雜病): 526면 19. 가병(茄病): 530면
권팔(卷八)
1. 아과총론(兒科總論): 532면 2. 급경(急驚): 539면 3. 만경(慢驚): 542면 4. 만비(慢脾): 544면 5. 제감(諸疳): 545면 6. 적벽(積癖): 547면 7. 열증(熱症): 550면 8. 감모(感冒): 552면 9. 비위(脾胃): 553면 10. 상식(傷食): 554면 11. 토사(吐瀉): 557면 12. 이질(痢疾): 561면 13. 학질(瘧疾): 563면 14. 담천(痰喘): 565면 15. 해수(咳嗽): 566면 16. 발사(發痧): 568면 17. 통치(通治): 569면 18. 소아초생(小兒初生): 571면 19. 소아오의(小兒五宜): 571면 20. 세아법(洗兒法): 572면 21. 단제법(斷臍法): 572면 22. 변증론(變蒸論): 572면 23. 초생잡증론(初生雜症論): 573면 24. 태열(胎熱): 574면 25. 태한(胎寒): 574면 26. 태비(胎肥): 575면 27. 태겁(胎怯): 575면 28. 태황(胎黃): 575면 29. 태경(胎驚): 576면 30. 쇄두(鎖肚): 576면 31. 불유(不乳): 576면 32. 촬구(撮口): 577면 33. 금풍(噤風): 577면 34. 제풍(臍風): 578면 35. 객오(客忤): 579면 36. 불뇨(不尿): 579면 37. 야제(夜啼): 579면 38. 중오(中惡): 580면 39. 천조(天弔): 580면 40. 아구(鵝口): 581면 41. 구창(口瘡): 581면 42. 중설(重舌): 582면 43. 목설(木舌): 583면 44. 농설(弄舌): 583면 45. 아감(牙疳): 584면 46. 흘니토(吃泥土): 585면 47. 단독, 적유(丹毒、赤游): 585면 48. 후비, 유아(喉痺、乳蛾): 586면 49. 안질(眼疾): 586면 50. 이질(耳疾): 587면 51. 비창(鼻瘡): 588면 52. 두창(頭瘡): 588면 53. 제창(臍瘡): 589면 54. 충통(蟲痛): 590면 55. 미골통(尾骨痛): 591면 56. 음종산기(陰腫, 疝氣): 591면 57. 반양기통(盤陽, 氣痛): 592면 58. 탈항(脫肛): 592면 59. 유뇨(遺尿): 593면 60. 요탁(尿濁): 593면 61. 변혈(便血): 594면 62. 하림(下淋): 594면 63. 토혈, 육혈(吐血、衄血): 594면 64. 대소변폐(大小便閉): 595면 65. 수종(水腫): 596면 66. 황달(黃疸): 596면 67. 한증(汗症): 597면 68. 해로(解顱): 598면 69. 학절(鶴節): 598면 70. 행지(行遲): 599면 71. 어지(語遲): 599면 72. 치지(齒遲): 600면 73. 제지(諸遲): 600면 74. 구흉(龜胸): 600면 75. 구배(龜背): 601면 76. 체이(滯頤): 601면 77. 신함(囟陷): 602면 78. 신전(囟填): 602면 79. 수권(手拳): 602면 80. 각권(腳拳): 603면 81. 두창(痘瘡): 603면 82. 마진(痲疹): 627면
권구(卷九) 외과제증(外科諸症)
1. 옹저(癰疽): 632면 2. 부골저(附骨疽): 641면 3. 둔옹(臀癰): 643면 4. 장옹(腸癰): 644면 5. 낭옹(囊癰): 645면 6. 현옹(懸癰): 645면 7. 나력(瘰癧): 646면 8. 정창(疔瘡): 650면 9. 변독(便毒): 651면 10. 하감(下疳): 653면 11. 양매창(楊梅瘡): 655면 12. 개창(疥瘡): 659면 13. 선창(癬瘡):661면 14. 독창(禿瘡):663면 15. 전풍(癜風): 664면 16. 여풍(癘風): 666면 17. 염창(臁瘡): 668면 18. 제창(諸瘡): 670면 19. 고약(膏藥): 677면 20. 장창(杖瘡): 681면 21. 절상(折傷): 682면 22. 파상풍(破傷風): 686면 23. 탕화(湯火): 688면 24. 충수(蟲獸): 689면
권십(卷十)
1. 단품잡치(單品雜治): 694면 2. 잡방(雜方): 702면 3. 통치(通治): 705면 4. 절양실식기비욕사방(絶糧失食饑憊欲死方): 709면 5. 금창(金瘡): 709면 6. 치상(齒傷): 711면 7. 중독(中毒): 712면 8. 골경(骨骾): 716면 9. 사수(邪祟): 717면 10. 오절(五絕): 721면 11. 정총(井塚): 722면 12. 고독(蠱毒): 722면 13. 구황벽곡(救荒辟谷): 724면 14. 구법(灸法): 726면
|
|
|
※
기타 참조
1,
공정현(龔廷賢) 인명.
16세기 중국 명나라 때의 의학자. 자(字)는 자재(子才), 호(號)는 운림(雲林)이며,
강서성(江西省) 금계(金谿) 사람이다. 대대로 의학자를 배출한 집안
출신이며, 부친 공신(龔信)은
태의원(太醫院)에서 임직하였다. 소년 시절 유학을 배우다가 후에 부친으로부터
의학을 배워 태의원 이목(吏目)을 역임하였다.
가업을 계승한
외에 현의(賢醫)를 찾아 가르침을 청하였고, 유명한 학자와 더불어 의술을
연구, 토론하였다. 편술이 많아서 <만병회춘(萬病回春)>, <수세보원(壽世保元)>,
<종행선방(種杏仙方)>, <운림신구(雲林神彀)>,
<본초포제약성부정형(本草炮制藥性賦定衡)>,
<노부금방(魯府禁方)> 등이 있다.
부친이 편찬하던 <고금의감(古今醫鑑)>을
완성시키기도 하였다. 그의 저술은 매우 광범위하여 진단(診斷), 내과(內科),
외과(外科), 부과(婦科), 아과(兒科), 오관과(五官科), 본초(本草) 등을
포괄하며 풍부한 내용과 임증 경험이 실려 있다. 주로 유명한 학설을
인용, 절충하였고 주관적인 견해는 매우 적은데, 일부 관념적 논증이
포함되어 있다. [동양의학대사전 1권 478면]
2,
수세보원(壽世保元)[공정현(龔廷賢), 명나라, 도서출판 의성당, 영인본, 1993년]
3,
만병회춘(萬病回春)[명나라 공정현(龔延賢), 1~8권, 계축문화사, 1977년]
4,
노부금방
비방집(秘方集
魯府禁方)[의성 금계 공정현 편(醫聖 金谿 龔延賢 編), 金泳出版社, 일본국원저, 백문섭 역,
1981년]
5,
[수세보원 자료 모음/ 약초연구가 & 동아대 대체의학 외래교수 전동명]
※ 문의 및 연락처: 010-2545-0777 ;
051-464-0307
※ 홈주소: http://jdm0777.com
※ 페이스북 주소: http://www.facebook.com/jdmsanyacho
※ 이메일: jdm0777@naver.com
※ 아래의
내용도 함께 참조해 보시기 바랍니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