맥아(보리길금) 무엇인가?

겉보리를 싹을 틔운 보리길금

 

 

 

 

 

 

 

 

 

 

[살아 있는 겉보리, 발근 및 발아하는 겉보리, 싹을 틔운 것을 말린 보리길금의 모습, 사진출처: 일본/대만/한국 구글 이미지 검색]

항균작용, 유선분비작용, 소화촉진작용, 혈당강하작용, 간기능보호작용, 고지혈증 강하작용, 소식화적, 회유, 식적불소, 복창설사, 오심구토, 식욕부진, 파냉기, 식욕촉진, 곽란, 제번, 징결제거, 분만 촉진, 급만성간염[임상보고], 유즙울적, 산후의 발열로 젖이 나오지 않고 탱탱하게 부풀어 오르는 데 젖먹이가 없어 이를 없애야 하는 경우, 배불리 먹고 바로 누우면 곡노병에 걸리게 되는데 팔다리가 묵직하고 눕기를 좋아하며 식후 더욱 심해지는 증상, 산후의 복부팽만으로 몸을 뒤척이지 못하고 숨이 가쁘며 안절부절하는 증상, 쾌격진식하는 처방, 유방창통, 탄산증, 피부진균 감염, 급성간염, 복부팽만감, 지방제거, 변비해소, 장을 튼튼하게 하는데, 유즙분비과다를 다스리는 맥아

5, <의학계원>: "비위(脾胃)의 허한 것을 보하고 장위(腸胃)를 편안하게 한다. 보드랍게 짓찧어 노르스름하게 볶고 가루내어 복용한다."

6, <전남본초>: "중초를 편안하게 하고 하기(下氣)하며 구토를 그치게 하고 숙식(宿食)을 소화시키며 탄산증(呑酸症)을 멎게 하고 설사를 그치게 하며 소위관격(消胃寬膈)한다. 또 여성의 유즙불수(乳汁不收), 유즙불지(乳汁不止)를 치료한다."


맥아(麥芽)는 벼과의 대맥(大麥=보리: Hordeum vulgare Linné)의 싹을 내어 말린 후 살짝 볶아서 만든 약재를 말한다.

맥아는 한국, 중국에서 활용하고 일본은 사용하지 않는다. 맥아는 대맥이라 부르는 겉보리의 싹을 띄운 것을 부르는 말로 얼미(蘖米)라 부르기도 했는데 이는 살아도 살아있는 것 같지 않음을 의미하는 얼(孽)과 유사하여 살아있는 사물을 이용하여 사람을 살린다는 뜻으로 사용되었다.

이 약은 달콤한 냄새가 있다. 맛은 약간 달고, 성질은 따듯하다. 맥아는 비위허약으로 인한 소화 장애에 효과가 있고, 특히 밀가루음식에 대한 소화불량에 쓰인다. 또한 유즙분비 부족에 효과가 있다. 약리작용으로 소화촉진 작용과 혈당강하작용이 보고 되었다.

맥아는 질이 단단하고 싹이 2cm 이내이며 황색이다. 한쪽 끝에는 어린 싹이 있고 다른 쪽에는 어린 뿌리가 있으며 바깥면은 엷은 황색이고 배유는 유백색이다. 질은 단단하며 부서지기 쉽다.

맥아의 여러 가지 이름은
생맥아[生麥芽=shēng mài yá=마이: 백도백과(百度百科)], 맥아[麥芽=mài yá=마이: 본초강목(本草綱目)], 대맥얼[大麥糵: 약성론(藥性論)], 맥얼[麥糵: 일화자제가본초(日華子諸家本草)], 대맥모[大麥毛: 전남본초(滇南本草)], 대맥아[大麥芽: 본초휘언(本草彙言)], 바쿠가[ばくが=麦芽: 일문명(日文名)], 몰트[malt: 영명(英名)], 광맥얼[穬麥蘖], 얼미[蘖米], 곡맥[谷麥], 보리길금 등으로 부른다.

[제법(製法)]


<중약대사전>: "보리를 물에 담갔다가 건져내어 광주리에 넣고 그 위를 부들로 엮어 만든 꾸러미로 덮어놓고 자주 물을 주어 싹의 길이가 3~5mm 가량 되었을 때 꺼내어 햇볕에 말린다."

[약재(藥材)]


<중약대사전>: "열매는 원기둥꼴의 양끝이 뾰족한 모양으로 길이가 8~12mm, 지름이 2.5~3.5mm이다. 윗끝에 길이가 약 3mm 되는 황갈색의 어린 눈이 있고 아래쪽의 끝에는 아주 가늘고 꼬부라진 수염뿌리가 몇 개 있는데 길이가 0.2~1.0(~2.0)cm이다. 수염뿌리가 없는 것도 소수 있다. 표면은 황색 혹은 연한 황갈색이고 뒷면은 겉겨에 싸여 있고 맥이 5개 있으며 앞면은 속겨에 싸여 있고 오목하고 길게 팬 줄이 1가닥 있다. 겉겨와 속겨를 벗겨내면 열매껍질이다. 열매껍질은 연한 황색이고 막처럼 보드랍고 얇으며 씨껍질은 얇고 열매껍질과 분리하기 어려우며 뒷면의 기부(基部)에는 긴 타원형처럼 생긴 눈이 있는데 연한 황백색이고 길이가 3~5mm이며, 앞면 중앙에는 갈색의 세로 홈이 1개 있다. 배젖은 매우 크고 유백색이며 분성(粉性)이다. 냄새는 없고 맛은 조금 달다. 빛깔이 누렇고 알이 큼직하며 옹골지고 눈이 온전한 것이 좋다. 중국 각지에서 모두 산출된다."

[성분(成分)]


<중약대사전>: "맥아에는 diastase, invertase, 비타민(vitamin) B, 지방, 인지질, dextrin, maltose, glucose 등이 함유되어 있다."

[약리작용]


<중약대사전>: "맥아는 소화 효소와 비타민(vitamin) B를 함유하고 있기 때문에 소화를 돕는 작용이 있다. Hordeum dislichon으로 만든 자료를 가축에게 먹였을 때 보통 중독을 일으킨다는 보고가 있었다. 연구 결과 맥아의 잔뿌리에는 일종의 독소인 maltoxine이 함유되어 있고 후에 이것이 candicine, 즉 p-hydroxy-β-phenylethyl trimethyl ammonium 염기(염기)라는 것을 알게 되었다. 그 작용 원리는 decamethonium과 비슷하며 일종의 신속한 탈분극 즉 거극화(去極化)형의 근육 이완제로서 탈분극 작용이 있을 뿐만 아니라 또 근육의 아세틸 콜린에 대한 민감성을 낮추고 근막(筋膜) 및 근섬유 전체의 정상적인 정지 전위를 낮출 수 있다. 일부 조직에서는 또 nicotine양 작용을 나타낼 수도 있다."

[포제(
炮製)]

<중약대사전>: "
1-초맥아(麥芽): 맥아를 솥 안에서 노스스름하게 약간 볶고 꺼내어 식힌다.

2-초맥아(
麥芽): 위와 같은 방법으로 누르스름하게 될 때까지 볶고 꺼내어 식힌다."

[성미(性味)]


1, <중약대사전>: "맛은 달고 성질은 조금 따뜻하다"

2, <약성론>: "맛은 달고 독이 없다."

3, <탕액본초>: "성질은 따뜻하고 맛은 달고 짜며 독이 없다."

4, <본초재신>: "맛은 다록 성질은 평하며 독이 없다."

[귀경(歸經)]


1, <중약대사전>: "비(脾), 위경(胃經)에 들어간다."

2, <뇌공포제약성해>: "비(脾), 위경(胃經)에 들어간다."

3, <본초휘언>: "족태음(足太陰), 양명(陽明), 수양명경(手陽明經)에 들어간다."

[약효(藥效)와 주치(主治)]


1, <중약대사전>: "소식(消食), 화중(和中), 하기(下氣)하는 효능이 있다. 소화 불량, 완복창만(脘腹脹滿), 식욕 부진, 구토 설사, 유창불소(乳脹不消)를 치료한다"

2, <약성론>: "숙식(宿食)을 소화시키고 파냉기(破冷氣)하며 심복창만(心腹脹滿)을 제거한다."

3, <천금, 식치>: "소식(消食), 화중(和中)한다. 설사를 멎게 하려면 분말을 검붉게 볶고 빻아 밀기울로 만들어 깨끗한 초장(酢漿)에 섞어 낮에 3회, 밤에 1회 복용한다."

4, <일화자제가본초>: "온중(溫中), 하기(下氣)하고 식욕을 촉진시키며 곽란을 멎게 하고 제번(除煩)하며 징결(
癥結)을 제거하고 분만을 촉진시키며 낙태시키기도 한다."

5, <의학계원>: "비위(脾胃)의 허한 것을 보하고 장위(腸胃)를 편안하게 한다. 보드랍게 짓찧어 노르스름하게 볶고 가루내어 복용한다."

6, <전남본초>: "중초를 편안하게 하고 하기(下氣)하며 구토를 그치게 하고 숙식(宿食)을 소화시키며 탄산증(呑酸症)을 멎게 하고 설사를 그치게 하며 소위관격(消胃寬膈)한다. 또 여성의 유즙불수(乳汁不收), 유즙불지(乳汁不止)를 치료한다."

[용법(用法)과 용량(用量)]


<중약대사전>: "내복: 11~19g을 물로 달여서 복용한다. 또는 환을 만들거나 가루내어 먹는다"

[배합(配合)과 금기(禁忌:
주의사항)]

1, <식성본초>: "오래 복용하면 소신(消腎)하기 때문에 많이 먹어서는 안 된다."

2, <탕액본초>: "두구(豆
), 축사(縮砂), 목과(木瓜), 작약(芍藥), 오미자(五味子), 오매(烏梅)를 사(使)로 한다."

3, <신농본초경소>: "적체(積滯), 비위허(脾胃虛)가 없는 자는 쓰지 말아야 한다."

4, <본초정>: "임신부는 많이 복용해서는 안 된다."

5, <약품화의>: "담화(痰火)로 천식하는 사람과 임신부는 절대 사용하지 말아야 한다."

맥아의 효능에 대해서 안덕균의
《CD-ROM 한국의 약초》236호에서는 다음과 같이 기록하고 있다.

[맥아(麥芽)

[기원]
이 약은 벼과에 속한 월년생의 초본식물인 보리(Hordeum vulgare L.)의 발아시킨 과실이다. 꽃은 4∼5월에 피고, 채취는 6월에 한다.

[성미]
맛은 달고, 약성은 평범하다. 비(脾), 위경(胃經)에 들어간다.

[효능주치]
소식화적(消食化積), 회유(回乳)하므로 식적불소(食積不消), 복창설사(腹脹泄瀉), 오심구토(惡心嘔吐), 식욕부진(食慾不振), 유즙울적(乳汁鬱積), 유방창통(乳房脹痛)을 치료한다.

[임상응용]


1. 소식화중(消食和中)
음식물 장애로 소화가 안되고 복부가 팽만해지며, 식욕이 전혀 없고, 신트림을 하며, 때로 속이 쓰리고 구토를 하는 증상에 신곡(神즿), 산사(山
), 계내금(鷄內金)을 각 8g씩 배합하면 강력한 소화기능을 얻게 된다. 만약 비위장(脾胃臟)이 허약하고 소화가 안되며, 밥을 적게 먹고 변이 묽은 사람은 만삼(蔓參), 백출(白朮) 각 12g, 백복령(白茯쫢) 6g을 배합하거나 기타 보비(補脾), 익기(益氣)시키는 황기(黃쨝)를 12g 가미한다. 또한 소아가 음식소화를 못시키면서 젖을 토해내고, 음식을 적게 먹을 때에는 이 약을 가루내어 1회 4∼6g 복용시킨다.

2. 회유종창(回乳腫脹)
해산 후에 모유를 끊고자 할 때 이 약을 볶아 1회 60g을 달여서 복용하면 기운을 아래로 내리면서 유즙분비를 차단할 수 있다. 만약 유즙이 울결되어 유방이 부풀어 오르고 아플 때에도 역시 이 약을 달여서 복용한다. 또 망초(芒硝)를 가루내어 꿀에 개어 유방에 붙인다.

3. 소간(疏肝)
간기울결(肝氣鬱結), 기체(氣滯)로 옆구리가 결리고 아프거나 그들먹하고 식사를 적게 하면서 트림이 날 때에 활용된다.

[임상연구]


1. 유즙분비과다.
생맥아 100∼200g을 달여서 1일 3∼4회 복용하면 유즙분비가 억제된다.

2. 급성간염
대맥아를 저온 발아시킨 것을 건조 후 분말로 만들어 15g씩 1일 3회 복용하였더니 간장부위의 동통, 피로, 저온, 식소(食少) 등의 증상이 개선되었다. 소수의 환자에서는 입안이 마르고, 입이 쓰며, 번조(煩躁)와 복통설사 등의 증상이 나타났다.

3. 피부진균 감염
맥아제(tincture)를 1일 2회 피부 환처에 바르면 4주를 전후해서 수족의 건선 등에서 자각증상의 소실, 피진(皮疹)소실 등의 증상이 나타났다.

[약리작용]


1. 맥아 중에는 소화효소와 비타민 B등이 들어있어서 소화작용을 돕고 있다.

2. 맥아 침출액을 먹었을 때에 토끼나 정상인의 혈당이 내려갔다. 토끼에게 200mg 주사했을 때 혈당이 40% 가량 내려갔고, 지속시간은 7시간이었다.

3. 유선분비작용
용량에 따라서 회유(回乳)와 최유(催乳)의 양방향으로 작용한다. 즉 용량을 적게 하였을 때에는 최유작용을 보이나 대량에서는 억제작용을 보인다.

4. 고지혈증 강하
고지혈증 모델 생위에게 맥아 달인물을 투여하였더니 콜레스테롤 함량이 내려갔다. 그리고 간기능 보호작용도 나타났다.

5. 항균작용
피부진균의 억제작용이 나타났다.

[용량]
10∼15g.
]

상기 자료는 약초연구가로서 지구상에 존재하는 천연물질의 우수성을 널리 알리고 질병으로 고통을 겪고 있는 환우들에게 희망을 주며 기능성 식품과 신약을 개발하는데 통찰력을 갖게하고 약초를 사랑하는 모든 사람에게 정보의 목적으로 공개하는 것임을 밝혀 둔다.   

(글/ 약초연구가 & 동아대 & 신라대 대체의학 외래교수 전동명)

맥아 즉 보리길금 사진 감상: 네이버+구글+다음+일본구글+대만구글: 1, 2, 3, 4, 5,

문의 및 연락처: 010-2545-0777 ; 051-464-0307

홈주소: http://jdm0777.com

페이스북 주소: http://www.facebook.com/jdmsanyacho

이메일: jdm0777@naver.com


아래의 비슷한 식물의 곡류도 함께 고려해 보시기 바랍니다.

 

 

  1. 귀리(연맥) 무엇인가?
  2. 녹두 무엇인가?
  3. 동부(강두) 무엇인가?
  4. 땅콩 무엇인가?
  5. 맥아 무엇인가?
  6. 밀(소맥) 무엇인가?
  7. 밀배아 무엇인가?
  8. 반두(쌀콩) 무엇인가?
  9. 발아현미 무엇인가?
  10. 벼(쌀) 무엇인가?
  11. 보리(대맥) 무엇인가?
  12. 수수 무엇인가?
  13. 쌀겨(미강) 무엇인가?
  14. 쌀뜨물(갱미감) 무엇인가?
  15. 쌀배아 무엇인가?
  16. 여우콩(녹곽) 무엇인가?
  17. 옥수수 무엇인가?
  18. 완두콩 무엇인가?
  19. 작두콩 무엇인가?
  20. 쥐눈이콩(서목태) 무엇인가?
  21. 찹쌀 무엇인가?
  22. 콩(모든콩) 무엇인가?
  23. 콩나물 무엇인가?
  24. 팥 무엇인가?
  25. 편두(까치콩) 무엇인가?
  26. 현미 무엇인가?
  27. 현미식초 무엇인가?
  28. 황대두(누런콩) 무엇인가?
  29. 흑대두(검은콩) 무엇인가?
  30. 흑초 무엇인가?

 

 

홈페이지 주소 : http://jdm0777.com 클릭하시면 홈으로 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