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두콩(도두) 무엇인가?

외형의 생김새가 풀을 써는 작두를 닮은 작두콩

 

 

 

 

 

 

 

 

 

 

[작두콩의 잎, 꽃, 열매, 종자의 모습, 사진출처: 일본/대만/한국 구글 이미지 검색]

항종양작용, 백일해, 비염, 축농증, 허한성 딸꾹질, 고창[헛배 부른 데], 신허요통, 가래가 나오면서 기침하는 데, 온중강역, 익신장원, 온중하기, 복부창만, 보신[신장강화], 기체로 인하여 딸꾹질이 나고 가슴이 답답한 증상, 어린아이의 산증[헤르니아], 백일해, 격식증[가슴과 배가 부어올라 통증이 있고 음식물을 삼키기 어려우며 신물을 토하는 병]으로 토하고 음식을 넘기지 못하는 증상, 활혈통경, 지사, 산어지통, 허한애역, 구리[오랜설사], 타박상으로 근육이 다쳤을 때, 류머티스성 요통, 신경성 두통, 만성 이질, 무월경, 질타손상[타박상], 구토, 초기경부 임파선 결핵, 잇몸이 썩어 문드러지는 증상, 후비, 후선, 딸꾹질, 이질, 두통, 요통을 다스리는 작두콩

작두콩은 콩과 해녀콩속에 속하는 덩굴성 한해살이풀이다.

작두콩의 학명은 <
Canavalia gladiata (Jacq.) DC>이다. 해녀콩속은 전세계 특히 열대 지방에 약 50종이 분포하고 있으며 우리나라에는 1종에 작두콩(줄작두콩), 해녀콩이 있다. 잎은 삼출겹잎이고 잎자루는 길고 잎과 원줄기에 털이 없다. 개화기는 6~8월에 꽃은 나비 모양의 연한 붉은색 또는 흰색으로 핀다. 잎겨드랑이에 10여 송이가 이삭화서로 달리고 화축은 길며 활처럼 구부러져 있고 열매는 협과이며 작두 모양으로 너비 5cm 가량에 길이는 30cm 이다. 결실기는 8~10월이다.

씨는 10~14개 정도 들어 있으며 납작하고 황색, 검은색, 흰색의 종류가 있다. 원산지는 열대지방이다.

제주특별자치도 토끼섬에 해녀콩이 자생하고 있는데, 아마도 열대 또는 난대에서 자라는 해녀콩의 열매가 바닷물에 떠내려와서 자란 것으로 추측하고 있다. 해녀콩의 개화기는 6~8월이고 결실기는 10월이다.

작두콩의 다른 이름은
도두[刀豆=
dāo dòu=따오또우: 구황본초(救荒本草)], 협검두[挾劍豆: 유양잡조(酉陽雜)], 도두자[刀豆子: 전남본초(南本草)], 대익두[大豆: 본초구원(本草求原)], 대도두[大刀豆: 분류초약성(分類草藥性)], 관도두[關刀豆: 광서중수의약식(廣西中獸醫藥植)], 도초두[刀豆: 육천본초(陸川本草)], 도파두[刀巴豆: 사천중약지(四川中藥誌)], 마도두[馬刀豆: 민동본초(東本草)], 도배두[刀培豆: 강서초약(江西草藥)], 나타마메[ナタマメ=鉈豆, 토우즈:トウズ=刀豆, 타치마메:タチマメ, 타테하키:タテハキ=帯刀=剣の豆: 일문명(日文名)], 줄작두콩, 작두콩 등으로 부른다.

작두콩의 종자인 도두(刀豆), 뿌리인 도두근(刀豆根), 작두콩 꼬투리 껍질인 도두각(刀豆殼)도 모두 약용한다.

[성분]

<중약대사전>: "작두콩
의 성분은 종자에는 urease, hemagglutinine, canavanine 등이 들어 있다. 어린 콩에는 canavalia gibberellin Ⅰ과 Ⅱ가 들어 있고, 기타 starch, protein, fat 등이 들어 있으며, 잎에도 canavanine이 들어 있다. C. ensiformis에는 concanavalia A 등 몇 가지의 globulin이 들어 있으며 이밖에 urease, glucosidase, argininosuccinase, arginase, canaline, canavanine, 1-α-amino-δ-hydroxyvaleric acid, 1-homoserine 등이 들어 있다. 근래에 concanavalia A가 종양세포에 대하여 특수한 작용이 있는 것이 발견되어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약리작용]


<중약대사전>: "
작두콩의 약리작용은 양도두(洋刀豆)의 concanavalin A는 식물혈구응집소(PHA)의 일종으로서 항 종양작용이 있다. 구체적 특성은 '채두(菜豆)'의 항을 참조한다. concanavalin A는 사람의 임파구를 변형시키지만(즉, 임파세포가 자극을 받아 림프모(임파모:淋巴母) 세포(Lymphoblast)로 변하게 된다) 상응되는 세포 독성이 생기지 않은 것이 아니고 다른 PHA로 인하여 생기는 세포 독성을 억제시킨다. 금전서(金田鼠)의 태아에서 concanavalin A는 바이러스나 발암제로 처리한 후 얻은 변형세포에 대한 독성이 정상 세포에 대한 독성보다 컸다. concanavalin A는 (트립신{trypsin}으로 처리한 것) 종양 세포 변형후(mouse의 변형된 섬유모:纖維母 세포)를 정상 세포의 생장상태로 회복시킨다. concanavalin A와 맥아(麥芽), 대두(大豆) 속의 glucoprotein(PHA)은 YAC세포(일종의 Moloney 바이러스가 일으킨 복수형(腹水型) 림프 종양세포)를 응집시키지만 concanavalin A에는 YAC세포에 대하여 뚜렷한 독성 작용이 있었다. in vitro에서 125㎍의 concanavalin A와 YAC세포를 24시간 함께 배양하면 95%의 세포가 용해되었다. in vitro 시험에서 성장한 mouse의 복강에 YAC세포를 주입한 후 1시간, 2일, 5일 후에 다시 concanavalin A 1mg을 복강 주사하면 종양 억제율이 각각 70%, 50%, 20%였다. concanavalin A는 각종 발암제에 의해 변형된 세포를 응집시키지만 정상 세포에 대해서는 트립선 처리를 거쳐야만 응집된다. 이러한 응집 작용은 α-methyl-D-mannopyranoside와 경쟁적 길항 작용이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이로부터 concanavalin A는 변형된 세포 포면막(膜)의 glucose 혹은 mannose와 같은 부위가 밀폐되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채취]


<종자>


<중약대사전>: "
가을에 종자가 여물면 열매를 따서 말린 다음 종자를 채취한다. 또는 먼저 벗겨내어 종자를 채취하여 말린다."

<꼬투리>


<중약대사전>: "
가을에 작두콩이 여물면 콩을 털어서 콩코뚜리를 말린다. 건조하고 통풍이 잘되는 곳에 보관하여 벌레 먹는 것을 방지해야 한다."

[성미]


<종자>


1, <중약대사전>: "
맛은 달고 성질은 따뜻하다."

2, <본초강목>: "맛은 달고 성질은 평하며 독이 없다."

3, <본초종신>: "맛은 달고 성질은 따뜻하다."

<꼬투리>


1, <중약대사전>: "
맛은 달고 성질은 평하다."

2, <의림찬요>: "맛은 달고 쓰며 짜고 성질은 평하다."

3, <천주본초>: "맛은 달고 성질은 평하며 독이 없다."

<뿌리>


1, <중약대사전>: "
맛은 쓰고 성질은 따뜻하다."

2, <의림찬요(醫林
纂要)>: "맛이 쓰고 짜다."

3, <분류초약성(分類草藥性)>: "성질이 평하고 독이 없다."

4, <육천본초(陸川本草)>: "맛은 달고 성질은 따뜻하다."

[귀경]


<본초촬요>: "수(手), 족양명경(足陽明經)에 들어간다."

[약효와 주치]


<종자>


1, <중약대사전>: "
온중하기(溫中下氣), 온신보원(溫腎補元)한다. 허한(虛寒)으로 인한 딸꾹질, 구토, 복창(腹脹), 신허요통(腎虛腰痛), 담천(痰喘)을 치료한다."

2, <전남본초>: "비장(脾臟)을 튼튼하게 한다."

3, <본초강목>: "온중하기(溫中下氣), 이장위(利腸胃)하고 딸꾹질을 멎게 하며 익신보원(益腎補元)한다."

4, <중약재수책>: "보신(補腎), 산한(散寒), 하기(下氣), 이장위(利腸胃), 지구토(止嘔吐)한다. 신기허손(腎氣虛損), 장위불화(腸胃不和), 구역(嘔逆), 복창(腹脹), 토사(吐瀉)를 치료한다."

5, <사천중약지>: "가슴 속이 그득하게 불러올라 갑갑한 증상 및 복통, 신기불귀원(腎氣不歸元) 및 이질을 치료한다."

<꼬투리>

1, <중약대사전>: "
화중하기(和中下氣)하고 어혈을 없애며 혈액순환을 촉진하는 효능이 있다. 반위(反胃), 딸꾹질, 만성 이질, 무월경, 후비(喉痺), 후선(喉癬)을 치료한다."

2, <의림찬요>: "화중(和中), 교심신(交心腎)하고 딸꾹질을 멎게 한다."

3, <중경초약>: "어혈을 없애고 혈액 순환을 촉진한다. 요통, 혈기통(血氣痛)을 치료한다."

<뿌리>


1, <중약대사전>: "
신경성 두통, 류마티스성 요척통(腰脊痛), 산증, 만성 이질, 무월경, 타박상을 치료한다."

2, <의림찬요>: "신기(腎氣)가 심(心)을 쳐서 가슴이 쓰리고 아픈 증상을 치료하고 충맥(衝脈)을 통하게 하고 제수화(濟水火), 교심신(交心腎)한다."

3, <본초강목습유>: "신경성 두통을 치료한다."

4, <분류초약성>: "타박상, 방광산시(膀胱疝氣)를 치료한다."

5, <남영시약물지>: "소염(消炎), 행혈(行血), 통경(通經)한다. 류머티스성 요척통, 무월경, 만성 이질, 치통을 치료한다. 외용하여 양매창(楊梅瘡)을 치료한다."

[용법과 용량]


<종자>


<중약대사전>: "
내복: 하루 11~19g을 물로 달여서 먹거나 혹은 약성이 남게 볶은 다음 갈아서 가루로 만들어 먹는다."

<뿌리>


<중약대사전>: "
내복: 하루 11~19g을 물로 달여서 먹는다.

외용: 짓찧어 바른다."

[배합(配合)과 금기(禁忌:
주의사항)]

<사천중약지>: "위열(胃熱)이 성한 자는 복용에 주의해야 한다."

작두콩의 효능에 대해서 북한에서 펴낸
<동의학사전>에서는 이렇게 기록하고 있다.

[대도추(大刀豆) //작두콩, 도두(刀豆), 도두자(刀豆子)// [약용식품]

콩과에 속하는 작두콩(Canavalia ensiformis DC.)의 여문 씨를 말린 것이다. 각지에서 심는다. 가을에 콩꼬투리를 따서 씨를 내어 말린다. 맛은 달고 성질은 따뜻하다. 위경, 대장경에 작용한다.

중초(中焦)를 덥혀 주고 기(氣)를 내리며 신기(腎氣)를 보한다. 약리실험에서 항종양활성을 나타낸다. 허한성 딸꾹질, 구토, 고창(鼓脹: 헛배 부른 데), 신허요통(腎虛腰痛), 가래가 나오면서 기침하는 데 등에 쓴다.

하루 9∼15g을 부스러뜨려 달여 먹거나 검게 볶아 가루내어 먹는다. 대도두 깍지는 구토, 딸꾹질, 이질 등에 쓰며, 뿌리는 두통, 요통, 이질, 타박상 등에 쓴다.
]

작두콩의 효능에 대해 안덕균의《CD-ROM 한국의 약초》에서는 이렇게 기록하고 있다.

[도두(刀豆)

[기원] 콩과의 한해살이 초본식물인 작두콩(Canavalia gladiata DC.)의 종자이다.

[성미] 맛은 쓰고, 약성은 따뜻하다.

[효능주치] 온중하기(溫中下氣), 익신장원(益腎壯元)한다.

[임상응용] 신체가 허약하고 차서 일어나는 딸꾹질, 구토, 복부창만, 이질을 치료하고, 신(腎)기능허약으로 인한 요통에 효과가 있다.

[약리] 카나바린은 혈구응집소의 일종으로 항종양작용을 나타낸다.

[화학성분] canavanine, canavalmine, γ-guanidinooxypropylamine, aminopropylcanavalmine, aminobutylcanavalmine, concanavaline A, agglutinin 등을 함유하고 있다.]

작두콩의 효능에 대해 중국에서 펴낸 <중국본초도록> 제 2권 70면 613호에서는 이렇게 기록하고 있다.

[도두(刀豆)

기원: 두과(豆科=콩과: Leguminosae)식물인 도두(刀豆=작두콩: Canavalia gladiata (Jacq.) DC.)의 종자(種子), 과각(果殼), 근(根)이다.

형태: 덩굴성 초본이다. 줄기에 털이 없거나 약간 있다. 잎은 삼출복엽(三出複葉)으로 소엽(小葉)은 넓은 난형(卵形)이며 털은 없고, 측생(側生)하는 소엽(小葉)의 엽저는 기울어져 있다. 총상화서(總狀花序)가 액생(腋生)하며 꽃은 담홍색(淡紅色) 혹은 담자색(淡紫色)이고, 꽃받침은 다섯갈래이며, 화관은 접형(蝶形)이고, 수술은 10개로서 양체(兩體: 9+1)이다. 열매는 협과(莢果)로서 장방형(長方形)이다. 종자(種子)은 신형(腎形)이고, 종피(種皮)은 홍색(紅色) 또는 갈색(褐色)이다.



분포: 재배한다. 중국(中國)의 화동(華東), 화남(華南), 화중(華中)에서 재배한다.

채취 및 제법: 가을에 채취(採取)하여 햇볕에 말린다.

성분: 요소, canavanine.

기미: 맛은 달고 성질은 따뜻하다.

효능: 종자(種子) - 온중강역(溫中降逆), 보신(補腎). 과각(果殼) - 활혈통경(活血通經), 지사(止瀉). 근(根) - 산어지통(散瘀止痛).

주치: 종자(種子) - 허한애역(虛寒呃逆), 신허요통(腎虛腰痛). 과각(果殼) - 구리(久痢), 무월경(無月經). 근(根) - 질타손상(跌打損傷).

용량: 종자(種子) - 4.5∼9g. 과각(果殼), 근(根) - 30∼60g.

참고문헌: 회편(滙編), 하권, 9면.]

작두콩의 열매, 열매껍질, 뿌리로 질병을 치료하는 방법은 아래와 같다.

1, 기체(氣滯)로 인하여 딸꾹질이 나고 가슴이 답답한 증상

터져 갈라진 묵은 작두콩 7.5~11g을 끓인 물로 먹는다. [의급(醫級), 도두산(刀豆散)]

2, 신허요통(腎虛腰痛)

작두콩 2알을 돼지콩팥에 넣고 잎으로 싸서 삶아 먹는다. [중경초약(重慶草藥)]

3, 백일해

작두콩 10알(부스러뜨린 것), 감초 3.7g에 빙당(氷糖) 적당량과 물 한 잔반을 넣고 한 잔으로 졸아들 때까지 달여서 찌꺼기를 버리고 자주 마신다. [강서중의약(江西中醫藥)]

4, 축농증

묵은 작두콩을 약한 불에 말려 가루내어 11g을 술로 먹는다. [연희요집험양방(年希堯集驗良方)]

5, 어린아이의 산증(헤르니아)

작두콩 가루 5.6g을 끓인 물에 타서 먹는다. [호남약물지(湖南藥物誌)]

6, 격식증(膈食症: 가슴과 배가 부어올라 통증이 있고 음식물을 삼키기 어려우며 신물을 토하는 병)으로 토하고 음식을 넘기지 못하는 증상

작두콩꼬투리껍질 18.5g, 함감람(鹹橄欖) 3알, 반하(半夏) 11g을 물로 달여서 먹는다. [천주본초(泉州本草)]

7, 허한(虛寒)으로 딸꾹질하는 증상

작두콩꼬투리껍질을 약성이 남게 태운 다음 갈아서 가루로 만든다. 한 번에 7.5~11g을 끓인 물로 먹는다. [복건중초약(福建中草藥)]

8, 만성 이질

작두콩꼬투리껍질을 밥위에 놓고 쪄서 설탕을 묻혀 먹는다. [종복당공선양방(種福堂公選良方)]

9, 요통

작두콩꼬투리껍질을 약성이 남게 태워서 가루를 낸다. 고급 술로 먹는다. 그리고 조각(
角)을 태우면서 연기를 쐰다. [만씨가초방(萬氏家抄方)]

10, 여성의 무월경으로 옆구리와 배가 그득하게 불러오르면서 아픈 증상

작두콩꼬투리껍질을 약한 불에 쬐어 말려 가루낸다. 1회 3.75g을 황주(黃酒)로 먹는다. 사향(麝香)을 조금 넣어 먹으면 더 좋다. [경험광집(經驗廣集)]

11, 후비(喉痺)

약성이 남게 태운 작두콩꼬투리껍질을 청대(靑黛)와 함께 갈아서 가루내어 불어 넣는다. [천주본초(泉州本草)]

12, 후선(喉癬)

작두콩꼬투리껍질을 태운 재 0.1~0.15g을 불어 넣는다. [장씨비효방(張氏秘效方)]

13, 잇몸이 썩어 문드러지는 증상

작두콩꼬투리껍질을 태운재에 빙편(氷片)을 넣어 문지른다. 침이 나오면 낫는다. [의방일반주(醫方一盤珠)]

14, 초기 경부(頸部) 임파선 결핵

신선한 작두콩꼬투리껍질 37.5g, 오리알 1개를 술과 물로 푹 끓여 먹는다. [복건중초약(福建中草藥)]

15, 신경성 두통

작두콩뿌리 18.5g을 술로 달여서 먹는다. [의림집청(醫林集聽)]

16, 류머티스성 요통

작두콩뿌리 37.5g에 술과 물을 절반씩 넣고 달여서 먹는다. [강서초약(江西草藥)]

17, 신허요통(腎虛腰痛)

작두콩뿌리 37.5g을 달여서 찌꺼기를 버리고 약물에다 찹쌀을 넣고 약한 불에 장시간 고아 먹는다. 매일 한 번 먹는다. [강서초약(江西草藥)]

18, 타박상으로 근육을 다쳤을 때의 치료

작두콩뿌리를 보드랍게 짓찧은 다음 술로 쪄서 아픈 곳에 바른다. [육천본초(陸川本草)]

19, 타박상의 치료

작두콩뿌리, 화마경(火麻梗) 각 같은 양을 태운 가루를 술에 타서 한 번에 한잔씩 먹고 또 아픈 곳에 바른다. [중경초약(重慶草藥)]

[<<작두콩 재배 방법>>]


1, <중약대사전>:
<<1, 기후와 토양: 따뜻한 기후가 적합하다. 찬 기후에 견디지 못한다. 배수가 잘 되고 푸석푸석한 사질토양이 좋다.

2, 심기:
종자번식을 사용한다. 중국의 사천성에서는 청명(淸明) 전후에 심는다고 한다. 씨껍질은 단단하고 수분을 잘 흡수하지 못하므로 종자를 하룻동안 물에 담갔다가 심어야 한다. 드문드분 좋은 곳에 심되 이랑사이의 거리를 66cm, 포기 사이의 거리를 50cm로 하여 구멍을 10cm쯤 깊이로 파고 구멍마다 종자 3~4개씩 넣은 후 돼지 분뇨를 주고 흙을 3cm 가량 두께로 덮는다. 10여일 지나면 싹이 나온다. 우리나라에서는 파종은 3월 25~5월 5일 사이에 최적기는 4월 5일경에 심는 것이 좋다.

3, 경지 관리:
싹이 10cm쯤 크기로 자랐을 때 씨를 솎거나 보묘(補苗: 싹이 튼 후 성긴 곳에 다시 옮겨 심거나, 파종을 하는 것)하여 구멍마다 두그루씩 있게 한다. 사이갈이, 김매기와 함께 덧거름을 준다. 5월 하순에 받침대를 세워 줄기가 뻗어오르게 하며 다시 김매기를 하고 덧거름을 준다. 비료는 주로 돼지 분뇨를 준다.

4, 병충해의 예방과 퇴치:
충해로는 가뢰가 있는데 꽃과 열매를 먹어 버린다. 아침 전 이슬이 마르기 전 날지 못할 때 손으로 잡아 죽여야 한다.>>

작두콩은 그 빛깔이 붉은 것, 흰 것, 검은 것 등이 있으나 모두 동일하게 식용하거나 약용으로 사용한다.

동양의학에서는 붉은색은 심장에 들어가 작용한다. (심장+소장+불+쓴맛+붉은색+기쁨+피+여름+열+남쪽+혀+말하는것+단내+땀) 

흰색은 폐장에 들어가 작용한다. (폐장+대장+쇠+매운맛+흰색+슬픔+피부+가을+건조+서쪽+코+우는것+비린내+콧물) 

검은색은 신장에 들어가 작용한다. (신장+방광+물+짠맛+검정색+두려움+뼈+겨울+추위+북쪽+귀+신음하는 것+썩는냄새+가래)
 

이러한 원리로 작두콩의 각 색깔별로 인체에 미치는 작용이 다르다는 것을 엿볼 수 있다. 민간에서는
작두콩을 볶아 달여 먹거나 가루로 만들어 차로먹기도 하며 시골에서는 된장국이나 청국장등에 분말을 넣어 먹거나 일반콩처럼 메주를 쑤거나 간장을 담그기도 한다. 검은콩처럼 작두콩도 볶아서 술을 부어서 담가두었다가 마시기도 한다. 또한 비염 및 축농증에 작두콩을 볶아서 분말하여 먹는다.

상기 자료는 약초연구가로서 우리땅에 존재하는 천연물질의 우수성을 널리 알리고 질병으로 고통을 겪고 있는 환우들에게 희망을 주며 신약을 개발하는데 통찰력을 갖게하고 약초를 사랑하는 모든 사람에게 정보의 목적으로 공개하는 것임을 밝혀 둔다.  

(글/ 약초연구가 & 동아대 & 신라대 대체의학 외래교수 전동명)

작두콩의 대형 사진: 네이버+구글+다음+일본구글+대만구글: 1, 2, 3, 4, 5,

문의 및 연락처: 010-2545-0777 ; 051-464-0307

홈주소: http://jdm0777.com

페이스북 주소: http://www.facebook.com/jdmsanyacho

이메일: jdm0777@naver.com


아래의 비슷한 식물의 곡류도 함께 고려해 보시기 바랍니다.

 

 

  1. 귀리(연맥) 무엇인가?
  2. 녹두 무엇인가?
  3. 동부(강두) 무엇인가?
  4. 땅콩 무엇인가?
  5. 맥아 무엇인가?
  6. 밀(소맥) 무엇인가?
  7. 밀배아 무엇인가?
  8. 반두(쌀콩) 무엇인가?
  9. 발아현미 무엇인가?
  10. 벼(쌀) 무엇인가?
  11. 보리(대맥) 무엇인가?
  12. 수수 무엇인가?
  13. 쌀겨(미강) 무엇인가?
  14. 쌀배아 무엇인가?
  15. 여우콩(녹곽) 무엇인가?
  16. 옥수수 무엇인가?
  17. 완두콩 무엇인가?
  18. 작두콩 무엇인가?
  19. 쥐눈이콩(서목태) 무엇인가?
  20. 콩(모든콩) 무엇인가?
  21. 콩나물 무엇인가?
  22. 팥 무엇인가?
  23. 편두(까치콩) 무엇인가?
  24. 해녀콩 무엇인가?
  25. 현미 무엇인가?
  26. 황대두(누런콩) 무엇인가?
  27. 흑대두(검은콩) 무엇인가?

 

 

홈페이지 주소 : http://jdm0777.com 클릭하시면 홈으로 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