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우콩 무엇인가?

잎이 칡을 닮았고 열매가 터져도 검은콩이 떨어지지 않는 여우콩

 

 

 

 

 

 

 

 

 

img1.jpg

 

 

[여우콩의 잎, 꽃, 열매의 모습, 사진출처: 일본/대만/한국 구글 이미지 검색]

양혈해독, 소종지통, 벌레에게 물린데, 독풀이약, 허리와 배가 아픈데, 가래약, 염증약, 산욕열, 나력, 옹종, 정창, 백후, 소아감적, 월경통, 종독, 뱀에 물린 상처, 충수염, 가려움증, 습관성 요통, 안통, 변비, 혈관을 부드럽게 하는데, 장과 위를 튼튼하게 하는데, 세포노화방지, 복통, 아후, 봄나물, 식용, 각막백반, 두통을 다스리는 여우콩

여우콩은 쌍떡잎식물 장미목 콩과의 덩굴성 여러해살이풀이다.

여우콩의 학명은 <
Rhynchosia volubilis Lour.>이다. 덩굴에는 밑을 향한 털이 있다. 잎은 어긋나고 3개의 작은잎으로 되어 있다. 작은잎은 달걀을 거꾸로 세운 모양 또는 달걀을 거꾸로 세운 모양의 사각형이고 털이 있으며, 뒷면에는 황갈색의 선점(腺點)과 더불어 맥 위에 털이 밀생하고 가장자리가 밋밋하다.

꽃은 8∼9월에 피고 황색으로 나비모양이며 총상꽃차례에 10∼20개씩 달린다. 포는 타원형으로 갈색이다. 꽃받침은 털이 밀생하고 선점이 있다. 열매는 9∼10월에 결실하며 협과이다. 꼬투리는 편평한 타원형이고 길이 15mm 정도로서 2개의 종자가 들어 있으며, 성숙하면 붉은빛이 돌고 터진 다음에도 종자가 달려 있다.

여우콩이라는 이름과 관련하여 겨울철에도 빨간 콩껍질에 아주 작고 까만 열매가 두 개씩 붙어 있는 모습이 여우의 작은 눈과 닮았다고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필자도 산행을 하다가 여우콩을 발견하면 입에 넣고 날로 씹어 먹는데 맛도 고소하고 먹기에 좋았다. 메주콩을 날로 씹지 않고 삼키듯이 날 것으로 식후에 10~20개 정도씩 물로 삼키면 위와 장을 튼튼하게 하고 세포노화방지, 피를 맑게 하는데, 변비 해소 및 혈관을 부드럽게 하는데 유익하다.

일본에서는 여우콩을 <
탄키리마메(タンキリマメ=痰切豆)>라고 부르는데 한자 그대로 가래를 없애주는 콩으로 목에서 들끓는 가래를 말끔히 해소하는데 사용해 왔다는 것을 잘 말해주고 있다.

종자는 약용한다. 우리나라의 제주도와 전라도 및 경상도 지방에서 야생한다, 일본, 중국, 필리핀에 분포한다.

여우콩의 뿌리를 녹곽근[
鹿藿根]이라고 하며 함께 약용한다.

여우콩의 다른 이름은
녹곽[鹿藿=huò=후오: 신농본초경(神農本草經)], [蔨: 이아(爾雅)], 녹두[鹿豆: 이아(爾雅), 곽박주(郭璞注)], 호두[豆=그릇호,콩두, 야녹두:野綠豆: 본초강목(本草綱目)], 야황두[野黃豆: 중국주요식물도설, 두과(中國主要植物圖說, 豆科)], 노서안[老鼠眼: 광주식물지(廣州植物誌)], 노서두[老鼠豆, 야모두:野毛豆, 문수:門瘦, 주곤등:酒藤: 호남약물지(湖南藥物誌)], 조안정두[鳥眼睛豆, 대엽야녹두:大葉野綠豆: 절강천목산약식지(浙江天目山藥植誌)], 탄키리마메[タンキリマメ=痰切豆: 일문명(日文名)], 녹각, 개녹곽, 덩굴들콩, 여우콩 등으로 부른다.

[채취]


<중약대사전>: "5~6월에 채취하여 햇볕에 말려 건조한 곳에 저장한다."

[성미]


1, <신농본초경>: "맛은 쓰고 성질은 평하다."

2, <명의별록>: "독이 없다."

[귀경]


<신농본초경소>: "족양명(足陽明), 태음(太陰), 궐음경(厥陰經)에 들어간다."

[약효와 주치]


<줄기, 잎, 열매>

1, <중약대사전>: "피를 차게하고 해독하는 효능이 있다. 두통, 요통과 복통, 산욕열(産褥熱), 나양(
瘍), 조그마한 종기, 유주(流注: 근육, 뼈 따위에 생기는 화농성 질환의 고름이 흘러나오는 증세)를 치료한다."

2, <신농본초경>: "여자의 요통과 복통, 충수염, 나양(
瘍), 양기(瘍氣)를 다스린다."

3, <강서, 초약수책>: "가래를 삭이고 해독하며, 살충(殺蟲)하고 풍습(風濕)을 제거하며 화혈기(和血氣)한다. 충수염, 나양(
瘍), 두통, 안통(眼痛), 복통을 치료한다."

<뿌리>


<중약대사전>: "소아감적(小兒疳積), 여성의 생리통, 나양, 부스럼을 치료한다."

[용법과 용량]


<중약대사전>: "내복: 11~18.5g을 물로 달여서 복용한다.

외용: 짓찧어 바른다."

여우콩의 효능에 대해서 북한에서 펴낸
<약초의 성분과 이용> 407면에서는 다음과 같이 기록하고 있다.

[덩굴들콩(Rhynchosia volubilis Loureiro)

다른 이름:
여우콩

식물:
여러해살이풀이다, 밤색 털이 있고, 잎은 달걀 모양의 쪽잎이 3개 모인 겹잎이다. 여름철에 노란꽃이 핀다. 열매는 타원형 꼬투리인데 검붉은색으로 여문다.

중부와 남부의 산과 들에서 자란다.

응용:
민간에서 전초를 허리와 배가 아픈데, 머리 아픈 데 달여 먹는다. 가래약으로도 쓴다.]

여우콩의 효능에 대해서 중국에서 펴낸 <중국본초도록> 제 10권 82면 4671호에서는 다음과 같이 알려주고 있다.

[녹곽(鹿藿)

기원: 두과(豆科=콩과: Leguminosae)식물인 녹곽(鹿藿=여우콩: Rhynchosia volubilis Lour.)의 줄기, 잎, 종자(種子)이다.

형태:
덩굴성 초본이고 줄기는 털로 덮여 있다. 잎은 우상복엽(羽狀複葉)으로 어긋나고 소엽(小葉)은 3개이고 난상능형(卵狀菱形) 혹은 능형(菱形)이고 길이는 3.5∼5cm이고 잎끝은 둔두(鈍頭)이거나 혹은 단첨두(短尖頭)이며 뒷면은 털로 덮여 있고 또한 선점(腺點)이 있으며, 탁엽(托葉)은 피침형(披針形)이고 소탁엽(小托葉)은 추상(錐狀)이다. 총상화서(總狀花序)는 액생(腋生)하고 보통 10여 송이의 꽃이 있으며, 꽃은 황색(黃色)이고, 꽃받침은 5개로 가늘게 갈라지며, 화관(花冠)은 접형화관이고, 수술은 10개이고 양체(兩體)(9+1)이며, 암술대의 아래부분은 털로 덮여 있다. 열매는 협과(莢果)로 털이 조금 나 있고 홍색(紅色)이며, 종자(種子)는 2개이고 흑색(黑色)이다. 분포: 광야의 풀밭이나 관목숲에서 자란다. 중국의 장강(長江)유역과 그 이남 각지에 분포한다. 우리나라에서는 전라도 및 경상도에서 자란다.



채취 및 제법:
여름에 줄기, 잎을 채취하고, 가을에 종자(種子)를 채취하여 햇볕에 말린다.

기미:
맛은 쓰고 성질은 평하다.

효능:
양혈해독(凉血解毒), 소종지통(消腫止痛)한다.

주치:
(莖: 줄기), (葉: 잎)- 두통(頭痛), 요동복통(腰疼腹痛), 산욕열(産褥熱), 나력(瘰癧). 외용(外用)- 옹종(癰腫), 정창(疔瘡). 종자(種子)- 백후(白喉), 아후(蛾喉). 외용(外用)- 각막백반(角膜白斑).

용량:
9∼15g. 외용시(外用時)에는 적량(適量)을 사용한다.

참고문헌:
중약대사전, 하권 4648호 ; 광서민족약간편(廣西民族藥簡編), 136면.]


여우콩의 효능에 대해서 북한에서 펴낸
<세계유용식물사전> 263-264면에서는 다음과 같이 기록하고 있다.

[
덩굴돌콩(여우콩) [
Rhynchosia volubilis Lour.]

중: 녹곽(
鹿藿)
일: 탄키리마메(タンキリマメ
=痰切豆)

콩과(Fabaceae)의 여러해살이덩굴풀. 우리 나라 중부, 남부, 제주도의 산기슭, 들판에서 자란다. 중국, 일본에 퍼져 있다. 줄기는 가늘고 길며 덩굴지거나 다른 물체에 감기여 올라 가며 밤색털이 있다. 잎은 어기여 나고 3개의 쪽잎으로 된 겹잎이다. 가운데 쪽잎은 거꿀닭알모양이며 옆에 나는 쪽잎은 이그러진 모양이고 좀 작다. 7~8월에 잎아귀에서 한 개의 꽃대가 나오고 겹송이모양꽃차례를 이루거나 혹은 2~3개의 송이모양꽃차례를 이루면서 노란나비모양꽃이 10~20개 핀다. 열매는 길이 12~15mm, 너비 8mm정도인 좀 납작한 길둥근모양의 모두의 열매이며 9~10월에 익고 1~2개의 씨가 들어 있다. 씨를 먹으며 벌레에게 물린데 독풀이약으로 쓴다. 민간에서 식물체를 허리와 배가 아픈데, 머리가 아픈데 달여 먹는다. 가래약으로도 쓴다. 일본에서는 열매, 잎을 염증약으로 쓴다.
]

[여우콩 대형사진 비교 감상]



[사진 출처: 한국야생식물종자은행]


[사진 출처: 농촌진흥청]

[여우콩과 큰여우콩 구별하는 방법]


1, <여우콩>:
"제주, 전남, 경남의 산기슭이나 풀밭에서 자라며 길이는 80~100cm이다. 개화기는 8~9월이다. 열매는 가운데가 잘록한 타원형이고 붉은색으로 익으면 갈라지면서 2개의 검은색 씨를 드러낸다. 씨는 꼬투리 안쪽에 붙어 있다. 큰여우콩에 비해 작은잎이 두껍고 털이 많으며 마름모 모양이고 끝이 짧게 뾰족한 점이 다르다. 큰여우콩에 비해 쉽게 발견되지 않는다. 솜털이 난 줄기가 약간 붉은색을 띠고 있다."

1) <한국의 야생화 바로 알기 436면>:
"원포인트: 큰여우콩에 비해 작은잎이 두껍고 털이 많으며 마름모 모양이고 끝이 짧게 뾰족한 점이 다르다. 큰여우콩에 비해 드문 편이다."

2, <큰여우콩>:
"우리나라 전역의 산기슭이나 풀밭에서 자라는 여러해살이풀이다. 길이는 80~100cm이다. 개화기는 7~9월이다. 열매는 가운데가 잘록한 타원형이고 붉은색으로 익으면 갈라지면서 2개의 검은색 씨를 드러낸다. 씨는 꼬투리 안쪽에 붙어 있다. 여우콩에 비해 작은잎이 얇고 털이 적으며 난형이고 길게 뾰족한 점이 다르다. 여우콩에 비해 흔하게 발견된다. 솜털이 난 줄기가 녹색을 띠고 있다."

2) <한국의 야생화 바로 알기 437면>:
"원포인트: 여우콩에 비해 작은잎이 얇고 털이 적으며 난형이고 끝이 길 게 뾰족한 점이 다르다. 여우콩에 비해 흔한 편이다."


[2015년 3월 백두산 약초관찰 때 만난 큰여우콩의 모습]



[여우콩과 큰여우콩의 잎과 줄기의 다른 모습, 사진 출처: 일본 구글 이미지 검색]

여우콩으로 질병을 치료하는 방법은 아래와 같다.

<줄기, 잎, 열매>


1, 습관성 두통

신선한 여우콩 30g을 물로 달여서 복용한다. [강서, 초약수책(江西, 草藥手冊)]

2, 여성의 산욕열(産褥熱)

여우콩의 줄기와 잎 11~18.5g을 물로 달여서 복용한다. [강서, 초약수책(江西, 草藥手冊)]

3, 나양(
瘍)
여우콩 18.5g, 두부(豆腐) 적당량에 물을 붓고 같이 끓여서 복용한다. [강서, 초약수책(江西, 草藥手冊)]

4, 유주(流注), 조그마한 종기

신선한 여우콩을 짓찧은 것에 소주 적당량을 넣고 함께 짓찧어 바른다. [강서, 초약수책(江西, 草藥手冊)]

<뿌리>


5, 소아 감적

여우콩 뿌리 11g을 물로 달여서 복용한다. [호남약물지(
湖南藥物誌)]

6, 월경통

여우콩 뿌리 11g, 천궁(川芎) 11g, 목방기(木防己) 15g, 산반자근(算盤子根) 11g을 물로 달여서 복용한다. [호남약물지(
湖南藥物誌)]

7, 종독

여우콩 뿌리를 뭉근한 불에 오래 삶아 소금을 넣고 함께 찧어 바른다. [
절강천목산약식지(浙江天目山藥植誌)]

8, 뱀에 물린 상처

여우콩 뿌리를 짓찧어 상처에 바른다. [
절강천목산약식지(浙江天目山藥植誌)]

9, 나력

여우콩 뿌리 18.5g을 정육 75g을 삶은 고깃국에 달여서 복용한다. [강서, 초약수책(江西, 草藥手冊)]

10, 변비, 세포노화방지, 피를 맑게 하는데, 혈관을 부드럽게 하는데

"노란 메주콩을 날 것으로 한번에 10알씩 하루 3번 씹지 않고 삼킨다. [6000가지 처방 제 1권 222면]

"각종
콩은 혈중 콜레스테롤을 낮춰주고 피를 맑게하며 혈관을 부드럽게 하는 작용이 있고, 세포의 노화를 방지하고 성기능을 강하게 하며, 섬유질이 풍부하여 변비를 해소하는데도 뛰어난 효과가 있다. 목에 넘기기 좋은 콩종류는 황대두, 흑대두, 쥐눈이콩, 여우콩 등 대단히 많은 종류가 있는데 작두콩 처럼 지나치게 크지 않는 이상 일반적인 콩은 목에 넘길 때 큰 부담을 주지 않는다. 이웃나라 일본에서도 날콩을 먹으면 약효가 더 있다고 하며 싹이 난 콩을 먹으면 더 좋다고 알려져 있다. 

특히 날콩을 먹으면 변비에 탁월한 효능이 있다. 먹는 방법은 날콩을 매일 5~10알씩 물로 삼키면 된다. 씹어 먹으면 비린내가 나므로 콩의 종류를 불문하고 날콩을 하루 3 번씩 복용하면 각종 생활습관병으로부터 벗어날 수 있다. 처음부터 10알씩 먹고 설사를 하는 사람은 3~4알부터 시작하여 다시 점진적으로 늘려갈 수 있다." [민간요법]


[각가(各家)의 논술(論述)]


<신농본초경소(神農本草經疏)>:
"녹곽은 해독하고 피를 차게 하는 약이다. 고로 충수염, 나력, 가려움증을 다스린다. 여성에게서는 혈액을 다스린다. 혈허(血虛)로 열이 있으면 허리와 배가 아파 기분이 좋지 않은데 쓰고 서늘한 기운으로써 열을 없애면 혈(血)이 자양을 받게 되기에 상술한 여성의 증상을 치료하게 된다."

[비고(備考)]


1, <당본초(唐本草)>:
"녹곽은 어느 곳에나 있으며 싹은 완두와 비슷하고 긴 덩굴이 있다. 사람들은 이것을 뜯어 반찬으로 만들어 먹는데 콩같은 냄새가 있어서 녹두(鹿豆)라고도 부른다."

2, <본초강목(本草綱目)>:
"녹두(鹿豆)는 곧 야녹두(野鹿豆)이다. 밀밭에서 많이 나며 싹과 잎은 녹두와 비슷하나 작고 덩굴져 뻗으며 생것이나 삶은 것을 모두 식용한다. 3월에 연한 자줏빛의 꽃이 피고 작은 콩꼬투리가 달린다. 종자는 초자(椒子)만큼 크고 검은데 삶아 먹든가 갈아서 가루내어 떡으로 쪄서 먹는다."

필자는 부산근교를 우연히 걷던 중 사진으로만 본 여우콩을 발견하게 되었다. 마치 칡잎을 닮았는데 칡잎보다는 훨씬 작은 모습을 하고 있는 것이었다. 꽃을 보니 칡꽃처럼 크지 않으면서 색깔도 보라빛이 아니라 아주 작고 노란꽃이 앙증맞게 피어 있는 모습을 볼 수 있었다. 잎을 뜯어 맛을 보니 콩과에 속하는 것이라서 콩비린내가 나면서 칡잎을 씹는 것 비슷하다는 것을 느낄 수 있어 행복감을 느낄 수 있었다. 아래에 필자가 직접 찍은 8장의 사진을 감상해 볼 수 있다.

상기 자료는 약초연구가로서 지구상에 존재하는 천연물질의 우수성을 널리 알리고 질병으로 고통을 겪고 있는 환우들에게 희망을 주며 기능성 식품과 신약을 개발하는데 통찰력을 갖게하고 약초를 사랑하는 모든 사람에게 정보의 목적으로 공개하는 것임을 밝혀 둔다.   

(글/ 약초연구가 & 동아대 & 신라대 대체의학 외래교수 전동명)

여우콩 사진 감상: 1, 2, 3, 4, 5, 6, 7, 8, 9, 네이버+구글+다음+일본구글+대만구글: 1, 2, 3, 4, 5,

문의 및 연락처: 010-2545-0777 ; 051-464-0307

홈주소: http://jdm0777.com

페이스북 주소: http://www.facebook.com/jdmsanyacho

이메일: jdm0777@naver.com


아래의 비슷한 식물도 함께 고려해 보시기 바랍니다.

 

 

  1. 귀리(연맥) 무엇인가?
  2. 날콩(살아있는 모든 콩) 무엇인가?
  3. 녹두 무엇인가?
  4. 동부(강두) 무엇인가?
  5. 땅콩 무엇인가?
  6. 맥아 무엇인가?
  7. 밀(소맥) 무엇인가?
  8. 밀배아 무엇인가?
  9. 반두(쌀콩) 무엇인가?
  10. 발아현미 무엇인가?
  11. 벼(쌀) 무엇인가?
  12. 보리(대맥) 무엇인가?
  13. 수수 무엇인가?
  14. 쌀겨(미강) 무엇인가?
  15. 쌀뜨물(갱미감) 무엇인가?
  16. 쌀배아 무엇인가?
  17. 여우콩(녹곽) 무엇인가?
  18. 옥수수 무엇인가?
  19. 완두콩 무엇인가?
  20. 작두콩 무엇인가?
  21. 쥐눈이콩(서목태) 무엇인가?
  22. 찹쌀 무엇인가?
  23. 콩(모든콩) 무엇인가?
  24. 콩나물 무엇인가?
  25. 팥 무엇인가?
  26. 편두(까치콩) 무엇인가?
  27. 현미 무엇인가?
  28. 현미식초 무엇인가?
  29. 황대두(누런콩) 무엇인가?
  30. 흑대두(검은콩) 무엇인가?
  31. 흑초 무엇인가?

 

 

※ 아래에 jdm 필자가 찍은 여우콩 사진도 감상해 보시고 행복하시기 바랍니다~~~^.^

 









 

홈페이지 주소 : http://jdm0777.com 클릭하시면 홈으로 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