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철쑥(인진호) 무엇인가?

개울 및 강가와 바닷가 모래땅에 자생하는 사철쑥

 

 

 

 

 

 

 

 

 

 

[사철쑥의 어린잎, 줄기, 열매, 종자의 모습, 사진출처: 일본/대만/한국 구글 이미지 검색]

 

 

茵陈蒿

茵陈蒿(花序)

 

 

[사철쑥의 잎, 꽃, 열매의 모습, 사진출처: 일본/대만/한국 구글 이미지 검색]

▶ 이담작용, 해열 및 항미생물 작용, 강압작용, 간 기능 보호작용, 간 세포 재생작용 탁월, 고 콜레스테롤 강하 작용, 지질이 분해 작용, 관상 동맥 확장 작용, 혈압 강하 작용, 항암작용, 살균작용, 해열작용, 이뇨작용, 항미생물작용
[결핵균, 디프테리아균, 탄저균, 티푸스균, 이질균, 황색포도상구균 등의 발육 억제], 진통작용, 항염증작용, 담즙분비촉진작용, 이뇨, 간염, 콩팥염, 각종 염증 질환, 발열성 황달, 해열, 습열로 인한 황달로 열이 나고 전신황색, 소변이 붉고 적은 증상, 즉 급성 간염에 탁월한 반응, 전염성 간염, 심장 율동 이상, 고 콜레스테롤, 만성간염, 전염성 간염, 간경변증, 간암, 담낭염, 담낭결석, 습진, 옴, 버짐, 풍진 등의 피부 질환에도 널리 활용되는 사철쑥

사철쑥은 국화과 쑥속에 속하는 여러해살이풀이다.

사철쑥의 학명은 <Artemisia capillaris Thunb.>이다. 쑥속은 북반구에 약 250여종이 있으며 우리나라에는 약 25종이 분포하고 있다.

또한 일본, 만주, 중국, 아무르, 몽고, 시베리아, 인도, 유럽, 북아메리카에 분포되어 있다. 쑥속을 뜻하는 학명 'Artenisia Linn
é'의 뜻에 관해서 'Artenisia'는 '부인병에 유효하다'는 뜻으로 그리스 신화의 'Artemis(Diana)' 여신을 기념하여 'Linné'가 명명하였다고 한다.

사철쑥은 다년생 초본식물로 높이는 40~100cm이다. 줄기는 곧고 목질화하였으며 표면에 세로무늬가 있고 자색이며 분지가 많다. 늙은 가지는 털이 없지만 어린 가지는 회백색의 가늘고 부드러운 털로 덮여 있다. 영양 가지의 잎자루는 길이가 약 1.5cm이고 잎몸은 2~3회 깃꼴로 분열하였거나 손 바닥 모양으로 분열하였으며 작은 열편은 실 모양이거나 달걀 모양이고 흰 견모로 조밀하게 덮여 있다. 꽃가지의 잎은 잎자루는 없고 깃꼴로 분열하였으며 열편은 실 모양이거나 털대롱 모양이고 기부는 줄기를 싸며 녹색이고 털이 없다. 두상 화서는 여러 개이고 밀집하여 원추형을 이룬다. 총포는 구형이고 꽃떡잎은 3~4층이며 털이 없고 바깥층의 것은 작고 둥근 달걀 모양이며 안쪽 층의 것은 타원형이고 배면(背面)의 중앙은 녹색이며 가장자리는 막질이다. 꽃은 잡성이고 연한 자색이며 모두
관상화(管狀花)이다. 암꽃은 길이가 약 1mm이고 암술은 한 개이며 알술머리는 2개로 갈라졌다. 양성화(兩性花)는 약간 길고 끝이 팽대하였으며 5개로 갈라졌고 열편은 삼각형이며 하부는 수축하여 거꿀 달걀꼴로 되었다. 수술은 5개이고 꽃밥은 합해졌으며 선단은 뾰족한 꼬리 모양이고 기부에는 짧고 뾰족한 돌기가 있다. 암술은 한 개이고 암술 머리는 사람 머리 모양이며 분열하지 않았다. 수과(瘦果)는 긴 타원형이며 털이 없다. 개화기는 9~10월이고 결실기는 11~12월이다.

사철쑥의 올라오는 어린잎은 다 자란잎과 실제로 차이가 많이 난다. 봄에 올라올 때, 자랄 때, 무성할 때, 꽃필 때, 겨울철 잎이 말랐을 때, 각각의 시기마다 전혀 다른 식물로 보이기도 한다.

산비탈, 강기슭, 냇가, 모래 자갈 땅, 바닷가 모래땅 및
해안 산비탈에서 많이 자란다.

현재 우리나라에서는 산과 들에 자라는 줄기가 죽지 않는 쑥을 인진쑥으로 사용하고 있지만 중국에서는 개울 부근이나 강가 및 바닷가 모래땅에서 줄기가 죽지 않는 '사철쑥'을 인진쑥으로 주로 사용하고 있으며 아래와 같이 4가지 종류를 지역에 따라 인진쑥으로 함께 사용하고 있기도 하다.  

인진호(
茵蔯蒿)로 불리는 인진쑥이 몇가지 종류가 추가된 것에 대한 필자의 추측은 이렇게 된 원인이 쑥의 종류가 대단히 많고 효능 또한 비슷한 점들이 많아서 이러한 현상이 나타났다고 사료된다.  

※ 참조: 중국에서 사용하는 인진호(茵陳)에는 아래와 같은 종류를 함께 포함시키고 있다.

1-인진호[
茵陳蒿=사철쑥: Artemisia capillaris Thunb]

2-저모호[
豬毛蒿, 빈호:濱蒿, 북인진:北茵蔯=비쑥: Artemisia scoparia Wald. et Kitaib]

3-소백호[
小白蒿: Artemisia frigida Will.]

4-경직호[
直蒿: Artemisia stricta Edgew.]

사철쑥의 여러 가지 이름은 인진호[茵陳蒿=yīn chén hāo=하오: 신농본초경(神農本草經)], 인진[因塵: 오보본초(吳普本草)], 마선[馬先: 광아(廣雅)], 인진호[茵蔯蒿: 뇌공포자론(雷公炮炙論)], 인진[茵陳: 신농본초경집주(神農本草經集注)], 인진호[因陳蒿: 본초습유(本草拾遺)], 면인진[綿茵陳: 본초봉원(本草逢原)], 융호[絨蒿, 세엽청호:細葉靑蒿: 광서중수의약식(廣西中獸醫藥植)], 취호[臭蒿, 안여초:安呂草: 강소식약지(江蘇植藥誌)], 파파호[婆婆蒿: 산동중약(山東中藥)], 야란호[野蘭蒿: 호남약물지(湖南藥物誌)], 카와라요모기[カワラヨモギ=河原蓬: 일문명(日文名)], 중국 인진쑥, 사철쑥, 더위지기, 애땅쑥, 애탕쑥 등으로 부른다. 

중국에서는 바닷가 모래땅에서 자라는 '
사철쑥(
Artemisia capillaris Thumb)'을 인진쑥으로 사용하며 그외에도 지역에 따라서 '비쑥(Artemisia scoparia Wald. et Kitaib)'을 빈호(濱蒿), 북인진(北茵蔯)이라 하여 인진쑥으로 사용하고 있으며 중국의 동북 등지에서는 소백호(小白蒿: Artemisia frigida Will.)가 인진쑥으로, 중국 서장 지역에서는 경직호(直蒿: Artemisia stricta Edgew.)를 인진쑥으로 사용하고 있다.  

[채취]


1, <중약대사전>:
"주로 봄에 어린 싹의 높이가 3치가 되었을 때에 채취하여 불순물과 진흙을 제거하고 볕에 말린다.

2, <본초도경>:
"5~7월경에 줄기와 잎을 베어 그늘에서 말린다."

[약재(藥材)]


<중약대사전>: "꽃이 필 때 지상부를 베어 그늘에서 말려 잘 게 썰어서 사용한다.

건조한 모의 대부분은 뭉쳐진 상태가 되고 회녹색이며 전체에 솜 모양의 부드러운 흰털이 촘촘하게 덮여 있다. 줄기는 가늘고 작으며 길이는 6~10cm이고 대부분은 만곡되었거나 꺾여져 있다.

분지는 가늘고 기부는 조금 굵으며 지름은 1.5mm이고 표면의 흰털을 제거하면 세로무늬가 똑독하게 나타난다. 완전한 잎에는 대부분 잎자루가 있고 가는 줄기와 연결되어 있다. 잎은 분열하여 실모양을 나타낸다. 특유한 향기가 있고 맛은 약간 쓰다. 신선하고 부드러우며 회녹색이고 향기가 짙은 것이 양품이다.

상술한 품종 이외에 동속 식물인
비쑥(Artemisia scoparia Waldst. et Kitaib.)을 빈호(濱蒿), 북인진(北茵陳)이라고도 한다.

또한
소백호(小白蒿: Artemisia frigida Willd.) 등의 유묘(幼苗: 어린싹)가 있어 중국 동북(東北) 등지에서는 인진호(茵陳蒿)로 사용되고 있다.

또한
경직호(勁直蒿: Artemisia stricta Edgew.)의 어린싹을 중국 서장(西藏) 지역에서는 인진호(茵陳蒿)로 사용하고 있다."

[성분]


<중약대사전>: "
인진호(茵陳蒿)는 이담(利膽) 작용의 유효 성분인 scoparone 즉 6.7-dimethoxycoumarin을 함유하고 있다. 함유율은 계절에 따라 다른데 개화기가 제일 높아 1.98%이다. 또 chlorogenic acid, caffeic acid도 함유한다. 전초는 정유를 약 0.27% 함유하는데 과수(果穗) 중의 함유량이 비교적 많아 함유율은 1%에 달한다. 그 성분은 β-pinene, capillin, capillone, capillene, capillarin이다. 또 지방유를 함유하며 그 지방산은 stearic acid, palmitic acid, oleic acid, linoleic acid, arachidic acid, montanic acid이다. 무기 성분으로서 염화 칼륨을 함유한다. 종자도 scoparone 및 염화 칼륨을 함유한다.

비쑥은 scoparone을 함유하고 함유율은 부위와 계절에 의해 다른데 꽃봉오리에는 0.5%, 꽃과 종자에는 2%, 개화기의 전초에는 0.46%, 개화 전의 꽃에는 1.52%이다. 그러나 유묘(幼苗)에는 scoparone이 없고 chlorogenic acid가 들어 있다. 전초는 정유를 약 0.6% 함유하고 개화기이 함유율이 제일 높아 약 0.95%에 달한다. 그 성분은 thujyl alcohol, carvon, 1.8-cineole, thujone, geranyl acetate, cadinene, eugenol, α-pinene, β-pinene, agropyrene 등이다. 또 지방유를 함유하며 그 지방산은 myristic acid  5.1%, palmitic acid 23.48%, stearic acid 24.43%, arachidic acid 18.04%, linoleic acid 11.25%, oleic acid 10.09% 이다.

비염화 부분에는 β-sitosterol을 19.81% 함유한다. 이외에 또 일종의 이담(利膽) 성분인 4-hydroxy acetophenone을 함유한다. 또 cholin, salicylic acid, nonandioic acid, caryophyllene epoxide 등을 함유한다. 뿌리는 β-sitosterol 및 oxalic acid 등을 함유한다."

[약리작용]


<중약대사전>: "
1, 이담작용(利膽作用) 

인진 탕제, 인진치자(茵陳梔子) 탕제, 인진호탕(茵陳蒿湯: 인진(茵陳), 치자(梔子), 대황(大黃)을 3:1, 5:1의 비율로 사용한 탕제) 및 알코올 추출물은 모두 rat의 담즙 분비를 촉진하는 작용을 하지만 그리 현저하지는 않고 인진(茵陳) 탕제의 건강한 사람에 대한 담낭 수축(X-선 검사)은 얼마 안 되며 용적 변화도 현저하지 않다. 인진(茵陳)의 침출액 및 정제농축침액(精製濃縮浸液: 정유를 제거한 것과 제거하지 않은 것 두 가지)은 급성 담낭 삽관 및 만성 담낭 누관인 개에 대해 뚜렷한 이담작용이 있다. 그 유효 성분은 물과 알코올에 용해될 수 있는 물질이고 정유의 작용은 있다해도 매우 약하다. 그러나 중국의 남경산(南京産) 인진(茵陳)에서 분리해 낸 정유는 guinea pig에 대해 이담작용이 있다는 보고도 있다. 인진(茵陳) 및 비쑥의 꽃봉오리에서 분리해 낸 6.7-dimethoxycoumarin, 4-hydroxyacetophenone을 십이지장에 투약하면 마취한 rat의 총담관 삽관 및 만성 담낭루인 개의 담즙 분비를 증가시킨다. 인진(茵陳)의 유묘(幼苗)에서 추출한 chlorogenic acid(수용성 유기산)을 총담관 삽관의 rat에게 정맥 주사하면 약 30분 후에 이담작용이 나타나고 그 약용량 로르수와 담즙 분비 증가의 백분율은 직선 관계를 이룬다. chlorogenic acid의 가수 분해물인 caffeic acid에도 이담작용이 있다. 인진호탕 및 인진엑스는 수(輸) 담관을 결찰(結紮)한 토끼의 혈중 빌리루빈을 낮춘다(수술에 의한 간세포 변성의 영향은 이차적인 것에 지나지 않는다).

2, 실험성 간염에 대한 영향


인진호탕(茵陳
蒿湯), 인진치자대황(茵陳梔子大黃) 탕제는 모두 사염화 탄소 중독성 간염인 쥐의 사망률을 낮춘다. 사염화 탄소 중독성 간염인 개에 대하여 인진(茵陳)의 침출액 및 정제농축침액(精製濃縮浸液)의 이담(利膽) 작용은 정상적인 개에 비해서 현저하다. 인진 탕제 및 인진 정유는 사염화 탄소 중독성 간염인 토끼의 혈청 transaminase에 대해 작용하지 않는다. 그러나 정유는 간염에 걸린 토끼의 식사량을 증가시키지만 virus성 간염에 걸린 쥐의 사망률을 낮추거나 간장 세포와 병변을 개선하는 작용이 없다. 인진호(茵陳蒿) 탕제는 토끼의 간장 세포의 재생을 촉진하는 작용이 있다.

3, 해열 및 항미생물 작용


인진호탕(茵陳
蒿湯), 인진 침제는 인위적으로 발열시킨 토끼에 대해 해열 작용이 있다. 인진 및 그외 동속 식물(Artemisia tridentata 및 Artemisia nova)의 정유는 in vitro에서 황색 포도상 구균에 대해 뚜렷한 억제 작용이 있고 적리균, 용혈성 연쇄 구균, 폐렴 쌍구균, 디프테리아균, 우형(牛型) 및 인형(人型) 결핵균에 대해서도 상당한 억제 작용이 있다. 4-hydroxy-acetophenone과 glyseofulvin을 동시에 rat에게 복용시키면 glyseofulvin의 흡수가 명백히 증가되어 그 혈중 농도가 명백히 상승한다. 인진의 정유는 in vitro에서 피부 병원성 진균의 생장을 억제하며 그 항진균 유효 성분은 capillin이다. 인진은 구인(
蚯蚓: 지렁이) 및 사람, 돼지의 회충을 마비시키는 작용이 있다. 비쑥(1:10)은 ECHO virus에 대해 억제 작용이 있지만, 감염과 동시에 또는 감염 후에 투약하면 오직 병상을 지연시킬 수 있을 뿐이다.

4, 강압 작용


인진수침액(
茵陳水侵液) 및 정제한 침액에는 강압 작용이 있다. 6, 7-dimethoxycoumarin의 정맥 주사 및 십이자장 투약은 rat, 고양이, 토끼, 개에 대해 강압 작용을 나타낸다. 이것은 중추 및 내장 혈관의 확장에 의한 것같다. 또 심실 세동이 있는 토끼의 적출 심장관 동맥의 류량(流量)을 현저히 증가 시키고 또한 수축 리듬을 회복시킨다. 고양이, 토끼의 심전도 관찰에서는 일과성 방실 전도 차단 및 실내 전도 차단이 나타난다.

5, 이뇨 작용


인진의 수침액, 정제 농축 침액 및 6,7-dimethoxycoumarin은 모두 개에 대해 이뇨 작용이 있다. 인진의 정유는 중독성 간염인 토끼의 요량을 증가시키고 오줌의 색깔도 황색에서 맑은 색으로 변화시킨다.

6, 기타 작용


인진의 탕제 3g/kg을 실험성 동맥 죽상(粥狀) 경화를 갖고 있는 토끼에게 투약하면 2~3주일 후에 혈청 콜레스테롤 및 β-리포 단백질을 낮출 수 있어 β/y 비율은 대조균보다 낮지만 C/P 치는 대조군보다 높으며 대동맥궁의 병변(病變) 및 내장의 지방 침착에 대해서도 보호 작용이 있다. 인진의 탕제는 in vitro에서 Ehrlich 복수암에 대해 억제 작용이 있고 Ehrlich 복수암을 접종한 쥐에 대해 초기에만 효과가 있다. 인진의 동속 식물(Artemisia caerulescens L.)의 정유의 유제(乳劑)는 쥐로 하여금 전간양(癲癎樣) 발작을 일으키게 하는데 그 작용 부위는 대뇌 피질이다. 중국의 사천산(四川産) 인진의 침출액은 개으 체내 장(腸)과 토기의 적출 장(腸)에 대해 억제 작용이 있고 중국의 제남산(濟南産) 인진의 침제, 탕제 및 알코올 침출액은 토끼의 적출 장(腸)에 대해 약간의 흥분 작용이 있다.

인진의 침액은 임신하지 않은 토끼 및 산후의 guinea pig의 적출 자궁에 대해 흥분 작용이 있다. 또 두꺼비의 적출 심장에 대해서 억제 작용이 있다.

독성 실험: 개에게 인진의 정제한 침액(생약 1g에 상당함)을 매일 경구 투여시켜도 독성 반응은 나타나지 않았고 안정, 기면(嗜眠) 현상이 나타날 뿐이다. 6,7-dimethoxycoumarin을 쥐에게 1회에 10g/kg 내복시키면 대개는 조용히 누운 채 호흡 곤란이 일어나 일반적으로 5시간이면 사망한다. 쥐의 경구투여 1회분 LD50은 7.246g/kg이다."

사철쑥의 효능에 대해서 북측에서 펴낸
<약초의 성분과 이용>에서는 다음과 같이 기록하고 있다.

[사철쑥(Artemisia capillaris Thunb.)

다른 이름: 더위지기, 인진

식물: 높이 약 60cm 되는 여러해살이풀이다. 잎은 2번 깃처럼 깊이 갈라졌고 갈라진 조각은 실 모양이다. 가을철에 가지 끝에 직경 2~3mm의 둥근 꽃이삭을 이루며 핀다.
각지의 개울가나 바닷가의 모래땅에 자란다.

전초: 꽃이삭이 달린 윗가지를 베어 그늘에 말린다.

성분: 전초와 꽃이삭, 씨, 선열매에는 6, 7-디메틸에스쿨레틴, 카필라린, 스코폴린, 스코폴레틴이 있다. 뿌리에는 이눌린, 탄닌질, 수지, 0.1%의 정유, 전초에는 0.23%~1%의 정유가 있다. 정유에는 아그로피렌 1.8%, α-피넨, 카필린(녹는점 81℃), 카필론 C12 H12, 카필렌과 이소쿠마린인 카필라린이 있는데 주성분은 카필린이다.

어린싹에는 스코폴레틴, 꽃필 때의 잎에는 2%까지의 대메틸에스쿨레틴이 있다. 씨에는 0.5%의 6, 7-디메틸에스쿨레틴, 열매에는 약 1%의 정유가 있다. 정유의 주성분은 카필린, 카필렌, 카필론이다. 이처럼 생육 시기에 따라 쿠마린과 정유 조성이 크게 다르다.

작용: 전초의 물 추출액과 디메틸에스쿨레틴은 개에게 정맥주사할 때 열물의 분비를 뚜렷하게 늘린다. 그리고 집토끼의 떼낸 장과 새끼집의 운동을 억제 한다. 정유는 여러 가지 미생물 특히 피부병원성 사상균에 대한 센 발육억제 및 살균작용이 있으며 카필린은 400만 배의 희석용액에서도 피부병성 진균인 티리코피톤이 자라는 것을 억제한다. 또한 무좀균에도 센 살균작용이 있다. 쿠마린 화합물은 아픔멎이, 항염증작용이 있다.

인진호탕은 열물분비(담즙분비=쓸개즙분비)가 병적인 환자에게서 열물분비를 정상으로 회복시킨다. 인진호탕을 이루고 있는 동약의 이담작용은 인진호(사철쑥)에서 약하고 장군풀뿌리와 산치자에서 없거나 약하지만 이것들을 배합한 처방은 센 이담작용이 있다.

응용: 중국과 일본에서 인진호라 하여 염증약, 오줌내기약, 열물내기약으로 발열성 황달, 간염, 콩팥염 등에 쓴다.

사철쑥 달임약(10~20g:200cc): 하루 3번 나누어 먹는다.]

사철쑥의 효능에 대해 안덕균의
<한국본초도감> 112면 101호에서는 이렇게 기록하고 있다.

[인진호(茵蔯蒿)

국화과의 여러해살이풀 사철쑥(Artemisia capillaris Thunb.)의 어린싹이다.

성미: 맛은 쓰고 성질은 약간 차다.

효능: 청열(淸熱), 이습(利濕), 퇴황(退黃)

해설: ① 습열(濕熱)로 인한 황달로 열이 나고 전신황색, 소변이 붉고 적은 증상, 즉 급성 간염에 탁월한 반응을 보인다. 만성간염, 간경변증, 간암에도 좋은 치료제이다. ② 담낭염, 담낭결석에도 활용되며, ③ 습진, 옴, 버짐, 풍진 등의 피부 질환에도 널리 활용된다.

성분: scoparone, 6-7-dimethoxy coumarin, β-pinene, chlorogenic acid, caffeic acid, capillin, capillene, capillarin 등이 알려져다.

약리: ① 인진의 여러 제제들은 담즙 분비를 촉진시키고 ② 실험성 간염에 간 기능 보호작용이 현저하며, 특히 간세포의 재생 작용이 탁월하다. ③ 지질의 분해 작용, 관상 동맥 확장 작용과 혈압 강하 작용이 나타나고, ④ 해열, 이뇨 작용이 있다. ⑤ 항미생물 작용이 있어서 결핵균, 디프테리아균, 탄저균, 티푸스균, 이질균, 황색포도상구균 등의 발육을 억제하고, ⑥ 실험성 복수암 세포에도 억제 효과를 보인다.

임상보고: ① 전염성 간염에 1회 40~60g을 물을 넣고 달여서 복용하자 해열 및 간(肝) 용적 축소와 효소의 활성 반응이 나타났으며, ② 인진 80g, 대추 18개를 넣고 달여서 복용하자 심장 율동 이상에 좋은 반응을 보였다. ③ 고(高) 콜레스테롤 환자에게서 콜레스테롤치 강하 작용을 보였고, ④ 휘방성 정유 성분들은 피부진균 억제 반응을 나타냈다.]

사철쑥의 효능에 대해 북측에서 펴낸
<동의학사전>에서는 아래과 같이 기록하고 있다.

[
사철쑥 [본초]

국화과에 속하는 다년생 풀인 사철쑥(Artemisia capillaris Thunb.)의 전초를 말린 것이다. 각지의 산기슭과 개울가의 모래땅에서 자란다. 늦봄부터 이른 여름 사이에 10~15cm 정도 자란 어린 전초를 베어 그늘에서 말린다.

맛은 쓰고 매우며 성질은 서늘하다. 간경, 비경, 방광경에 작용한다. 열(熱)을 내리고 습(濕)을 없애며 소변을 잘 누게 한다.

약리실험에서 이담작용, 해열작용, 강압작용, 혈당량을 낮추는 작용, 손상된 간실질회복촉진작용, 억균작용, 항바이러스작용, 회충마비작용 등이 밝혀졌다. 간염, 소변불리, 소양증, 창양(瘡瘍), 옴 등에 쓴다.

하루 10~15g을 탕약으로 먹는다. 외용약으로 쓸 때는 달인 물로 씻는다. 다른 나라에서는 사철쑥을 인진호로 쓰고 있다.
]

사철쑥의 항암작용에 대해 중국의 상민의 의
<항암본초(抗癌本草)> 314~315면에서는 항암작용에 대해 이렇게 밝히고 있다.

[인진호(茵陳蒿)

이 약은 국화과 쑥속 식물 사철쑥(Artemisia capillaris-역자)의 유묘(幼苗)로서 인진(茵陳), 백호(白蒿), 세엽(細葉), 청호(靑蒿)라고도 부른다. 주성분은 쿠마린(Coumarin), 클로로겐산(Chlorogenic acid), 카페인산과 정유이다.
쑥속 식물은 대부분 항암활성을 갖고 있다. 일본 민간에서는 쑥(Artemisia princeps)의 잎을 달여 먹음으로서 여러 가지 암병(癌病)을 치료하고 있다.

[항암 약리]


1, 사철쑥은 발암(發癌) 곰팡이류와 발암독물(發癌毒物)을 억제하는 매우 강한 작용이 있다. 본품의 누른 누룩 곰팡이의 억제율, 누른 누룩 곰팡이 균소 B1의 억제율은 100%에 이르렀다.

2, 사철쑥의 열수(熱水) 추출물은 복수형육류(腹水型肉瘤)-180 억제율이 21.6%이고 에타놀 추출물은 억제율이 18.5%이다.

[시용 방제]


입술암: 인진, 은자호(銀紫胡), 서각(犀角), 석곡(石斛), 지각(枳殼), 맥문동(麥門冬), 감초(甘草), 생지(生地), 황금(黃芩), 지모(知母), 비파엽(批杷葉) 각 3g, 담죽엽(淡竹葉), 등심초(燈心草) 각 20g, 달여 식후에 먹는다. [외과정종(外科正宗), 이진(爾唇)] 

원발성 간암: 인진 12g, 산치(山梔), 삼릉, 아출(芽朮), 천산갑(穿山甲), 울금(鬱金), 지각(枳殼: 볶은 것) 각 9g, 생모려(生牡蠣), 반지련(半枝蓮), 칠엽일지화(七葉一枝花), 백화사설초(白花蛇舌草) 각 30g, 봉방(蜂房) 15g. 증상에 따라 가감한다. [상해중의약잡지(上海中醫藥雜誌), (9), 1979년.]

[역대 평의]


<명의별록>: "전신이 누렇게 되는 증, 소변불통을 다스리며 두열(頭熱)을 제거하고 복하를 없앤다."

<일화자본초>: "전염병, 열광(熱狂), 두통, 현기증, 풍통(風痛), 장주, 여인징하, 내손핍절증(內損乏絶症)을 다스린다."

<본초몽전>: "체(滯)를 내리고 지통(止痛)하며 관격(寬膈)하고 담(痰)을 삭인다."
]

사철쑥에 대해서
<잡초> 제 2권 413-415면에서는 다음과 같이 기록하고 있다.

[
개사철쑥(Sachulssug) [국화과=국과(菊科: Compositae)]

학명(學名): Artemisia capillaris Thunb.


                <생육초기>                       <생육중기>                <종자: 28배 확대>

중국명(中國名):
인진호(茵陳蒿), 인진(茵陳)
일명(日名): 카와라요모기(カワラヨモギ)
발생지(發生地): 밭, 밭둑

이름의 유래:
   종소명(種小名)은 라틴어 'Capillus'(머리털)에 어원을 둔 말이며 '털 모양의' 또는 '털처럼 가는'
   이라는 뜻이다. 

형태:
   해안이나 물가의 모래땅에 자라는 다년생초본이다. 줄기는 높이 30~100cm, 밑부분이 목질화된다.
   꽃이 피지 않는 가지의 잎은 잎자루가 길고 2회 우상(羽狀)으로 갈라지며 열편(裂片)은 실처럼 가늘고
   견모(絹毛)로 덮인다. 꽃이 피는 가지는 중앙부의 잎은 길이 1.5~9cm, 나비 1~7mm, 2회 우상으로 갈라
   지고 위로 올라갈수록 작아진다.

   꽃은 9~10월에 피며 커다란 원추화서(圓錐花序)에 다수의 두화(頭花)가 빽빽하게 붙는다. 두화는
   구형(球形)으로 길이 1.5~2mm, 꽃자루는 1~2mm, 총포(總苞)는 구형이다.
   수과(瘦果)는 장타원형으로 길이 0.8mm, 무모(無毛)이다.

분포:
   전국에 자라며, 지리적으로 일본, 대만, 중국, 만주, 우수리, 필리핀 등지에 분포한다.

농업상의 특성:
   다년생초본이며 냇가나 해안의 모래땅에 난다1),2),3).
   밭, 밭주변 그리고 길가 등지에서도 생육한다. 어린 순을 식용으로 하고 전초(全草)를 약용으로 하는데
   이뇨제(利尿劑)로 그리고 황달(黃疸)에도 쓴다 1),2),3).

인용문헌

1) 이창복(李昌福). 1980. 대한식물도감(大韓植物圖鑑) 향문사(鄕文社) p. 755
2) 이우철(李愚喆). 1996. 원색한국기준식물도감(原色韓國基準植物圖鑑) 도서출판 아카데미서적 p. 346
3) 이영노(李永魯). 1996. 원색한국식물도감(原色韓國植物圖鑑) (주)교학사 p. 830.
]


사철쑥으로 질병을 치료하는 방법은 아래와 같다.

1, 양명병(陽明病)으로 머리에서 목까지만 땀니 나고 몸에서는 땀이 나지 않으며 소변이 불리하고 갈증이 나서 물을 마시려 하고 어열(瘀熱)이 속에 있어 몸이 황색으로 되는 증상

인진호(茵陳蒿) 6량, 치자(梔子) 14개(엄지손가락 크기), 대황(大黃) 2냥(껍질을 제거)을 준비한다. 인진을 물 한 말 2되로 6되가 되게 달이고 상술한 두 가지 약을 넣고 다시 3되가 되게 달여 찌거기를 버리고 3회로 나누어 복용한다. 소변이 잘 나오게 되고 오줌이 조각즙(
汁)처럼 된다. [상한론(傷寒論), 인진호탕(茵陳蒿湯)]

2, 발황(發黃), 맥침세지(脈沈細遲), 지체역냉(肢體逆冷), 요이상자한(腰以上自汗)

인진 2냥, 8조각으로 한 부자 1개, 구운 말린 생강 1냥 반, 구운 감초 1냥을 거칠 게 갈아 4회분으로 나누어 달여서 복용한다. [옥기미의(玉機微義), 인진사역탕(茵陳四逆湯)]

3, 몸이 금색(金色)처럼 노랗게 되고 말하기 싫어하며 사지가 무기력해서 자거나 눕기 좋아하는 증상과 점액(粘液) 구토

인진호, 백선피(白蘚皮) 각 1냥을 거친 가루로 만들어 체에 쳐서 매회에 3전비(錢匕)를 물 1컵으로 6할이 되게 달이고 찌꺼기를 제거해서 1일 3회, 식전에 온복한다. [성제총록(聖濟總錄)]

4, 남자 주달(酒疸)

인진호 4대, 치자 7개, 전라(田螺: 큰 것) 1개를 모두 껍질째로 함께 짓찧어서 오래 끓인 백주(白酒) 1잔(큰잔)을 타서 마신다. [본초강목(本草綱目)]

5, 감기, 황달, 칠창(漆瘡: 옻오른데)

인진 5돈을 달여서 복용한다. [호남약물지(湖南藥物誌)]

6, 전신풍양생개창(全身風
生疥瘡)
인진을 양에 관계없이 달여서 진한 즙으로 해서 씻는다. [천금방(千金方)]

7, 풍소은진(風瘙
疹), 피부종양(皮膚腫癢)
인진호 1냥, 하엽(荷葉) 반 냥을 찧고 체로 쳐서 산제로 하여 1회에 1전비(錢匕)를 식후에 찬 꿀물로 복용한다. [성제총록(聖濟總錄), 인진호산(茵陳蒿散)]

8, 역양풍병(
癧瘍風病)
인진호 2줌을 물 1말 5되로 7되가 되게 달인다. 먼저 조각탕(
湯)으로 환부를 씻은 다음 이 탕으로 씻는다. 차가워지면 또 다시 덥힌다. 하루 건너 씻는다. 소홀히 하면 아프기 시작한다. [최씨찬요방(崔氏纂要方)]

9, 전염성 간염
(임상보고)
① 탕제: 인진호를 1회 1~1.5냥을 물로 달여 1일에 3회 복용한다. 소하는 적당히 줄인다. 황달형 전염성 간염 32례를 치료한 결과 복용 후에 신속히 열이 내리고 황달 소실과 간장 비대의 축소에 대해 뚜렷한 효과가 있었다. 1치료 기간은 평균 7일이다. 약을 복용하는 중에 부작용은 나타나지 않았다. 또 치료 후에 재발하지도 않았다.

② 시럽: 인진 2냥, 감초 1냥, 붉은 대추 24개에 물을 가해서 160ml로 달이고 또 설탕 시럽 40ml를 섞는다. 1~3세는 12ml, 3~5세는 15ml, 5~10세는 30ml를 1일 3회 복용시킨다. 치료한 14례(그 중 황달형은 13례)의 관찰에 의하면 체온이 정상으로 회복되는 기간은 평균 3일, 식욕이 좋아지는 기간은 평균 4.2일, 황달의 소실은 평균 7.6일, 간 기능이 정상으로 회복되는 것은 평균 10.5일, 간장의 축소는 평균 10일이었다.

③ 5% 인진 주사액: 하나의 혈위에 성인은 0.5ml, 소아는 0.3ml를 혈위 주사한다.

혈위를 택하는 방법: 제 1군은 간열혈(肝熱穴: 등의 5, 6 흉추극돌기옆 5푼인 곳, 양측), 간염점(肝炎点: 하지의 외과 상방(外
上方)의 3치, 양측), 우기문(右期門)이고 제 2군은 간유(肝兪: 양측), 중도(中都: 양측), 우장문(右章門)이다. 두 군을 교차로 1일에 1회 실시한다. 10~15일을 1치료 가간으로 하는데 2치료 기간 사이에 3~5일간 주사를 정지한다. 일반적으로 2~3치료 기간을 필요로 한다. 혈위 주사를 실시할 때에 먼저 혈위 주위에서 양성 반응을 나타내는 곳을 찾는다. 결절, 조색(條索), 민감한 압통점 또는 피부의 융기, 함몰 부분이 보이면 이 곳에 주사한다. 일반적으로 1~5회 주사해서 양성 반응이 사라지면 또 한번 혈위에 주사한다. 첫 반응이나 반응 부위가 없으면 직접 혈위에 주사한다.

조작 시의 주의 사항: 양성 반응물 또는 혈위의 선택은 정확히 실시한다. 침은 빨리 넣어 신속히 주사하고 신속히 침을 뽑는다. 주사 시에 침은 5~8분[기문(期門) 또는 장문(章門)은 비스듬히 찌르는 것이 좋다. 내장 손상 및 기흉(氣胸)을 초래하기 때문에 너무 깊게 찔러서는 안된다] 넣는다.

치료 효과: 급성 황달혈 46례의 치료에서 임상적 치유가 45례, 호전이 1례였다. 급성 무황달형 12례에서는 임상적 치유가 10례, 호전이 1례, 무효가 1례였다. 지연성 간염 4례에서는 임상적 치유가 2례, 호전이 1례, 무효가 1례였다. 만성 간염 3례에서는 임상적 치유가 1례, 호전이 1례, 무효가 1례였다. [중약대사전]

10, 인진조탕(茵陳棗湯)의 내복에 의한 부정맥과 Adams & Stockes 증후군
(임상보고)
인진조탕(茵陳棗湯: 인진[茵陳 2냥, 대추 18개를 달여서 아침, 저녁으로 분복한다]을 사용하여 전염성 간염을 치료하는 과정에서 성인 여성 환자 2례 중 한 예는 복용 후 1일에, 또 한 예는 복용 후 4일에 부정맥 및 Adams & Stockes 증후군의 격렬한 반응을 보여서 맥이 약해져서 잡히지 않고 심장 고동이 빨라지며 맥박이 불규칙해지고 식은 땀이 나며 경련을 일으켜 인사 불성이 되었고 또 현기증, 동계, cyanosis, 심장의 고동 및 호흡의 일시 정지 등의 증상이 발생하였다. 양쪽 모두 응급 치료를 실시했기 때문에 위기를 넘길 수 있었다. [중약대사전] 

가장 흔하게 지천으로 널려 있는 쑥이 우리 인체에 미치는 영향은 실로 놀랍기만하다.

상기 자료는 약초연구가로서 우리땅에 자라는 토종약초의 우수성을 널리 알리고 질병으로 고통을 겪고 있는 환우들에게 희망을 주며 신약을 개발하는데 통찰력을 갖게하고 약초를 사랑하는 모든 사람에게 정보의 목적으로 공개하는 것임을 밝혀 둔다.

 

(글/ 약초연구가 & 동아대 대체의학 외래교수 전동명)

사철쑥 사진 감상: 1, 2, 3, 4, 5, 6, 7, 8, 9, 10, 11, 네이버+구글+다음+일본구글+대만구글: 1, 2, 3, 4, 5,

사철쑥 꽃 사진 감상: 1, 2, 3, 4, 사철쑥 상세 사진 웹사이트: 1,

문의 및 연락처: 010-2545-0777 ; 051-464-0307

홈주소: http://jdm0777.com

페이스북 주소: http://www.facebook.com/jdmsanyacho

이메일: jdm0777@naver.com


참조: 아래의 쑥의 종류를 마우스로 클릭하여 함께 고려해 보시기 바랍니다.

 

 

 

 

※ 아래에 jdm 필자가 찍은 사철쑥 사진도 감상해 보시고 행복하시기 바랍니다~~~^.^

 

 

홈페이지 주소 : http://jdm0777.com 클릭하시면 홈으로 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