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사철쑥(청호) 무엇인가?

들 및 강과 바닷가 및 냇가 모래땅에 자생하는 큰꽃사철쑥

 

 

 

 

 

 

 

 

img1.jpg

 

 

[개사철쑥의 잎, 꽃, 열매, 종자의 모습, 사진출처: 일본/대만/한국 구글 이미지 검색]

 

 

 

 

[개사철쑥 꽃, 꿀벌 화분 채취 및 활짝핀 꽃, 꽃받침, 사진출처: 일본/대만/한국 구글 이미지 검색]

▶ 항암작용,
항학작용[항말라리아작용], 항균작용, 항기생충작용, 해열작용, 진통작용, 면역작용, 대심혈관계통작용, 항혈흡충작용, 항병원미생물적작용, 청열양혈, 퇴허열, 해서, 급만성경풍, 대장하혈, 풍습성관절염, 폐결핵으로 인한 조열, 여름에 더위로 인한 발열 증상과 땀이 없는 증상, 간 기능을 활성화, 허로발열, 적열안삽, 금창, 타박상, 치아종통, 정이로 인해 피고름이 멎지 않는 증상, 주치변혈, 난미염, 위통, 서독열리, 적백리, 소양학질, 저녁에 열이 나고 아침에 내려가며 땀을 흘리고 목이 말라 갈증이 나며 맥좌현열이 한쪽으로 기울어쳐 중한 증상, 담이 심하여 열이 있을 뿐 한이 없는 온학, 허로구학, 학질한열, 허로, 도한, 번열, 구건, 노수, 골증노, 체수, 발갈, 한열, 소양삼초의 습갈열울, 기기불창, 구토를 동반하는 흉비, 학질과 같은 오한과 발열이 있는 증상, 온병으로 밤에는 열이 나며 아침에는 식으나 그 열이 안에 쌓여 있는 증상, 결핵병조열, 상서발열무한, 더위를 푸는데, 학질[말라리아], 코피, 치통, 타박상, 금창, 귀고름, 치질, 황달, 종기, 시력증진, 산발을 없애는데[새치 머리를 없애는데], 머리카락을 자라게 하는데, 흰머리를 검게하는데, 설사, 대장하혈, 구토, 도한, 위통, 각종암[폐암, 간암, 위암, 유선암 등], 열내림약, 지혈약, 해독약, 악창, 말벌에 쏘인 것을 다스리는 개사철쑥

개사철쑥은 국화과에 들이나 강기슭, 바닷가, 냇가 모래땅에서 자라는 1년생 또는 2년생 초본이다.

개사철쑥의 학명은 <
Artemisia apiacea Hance>이다. 높이 1m가량이고 전체가 매끄럽고 털이 없으며 가지가 많다. 줄기는 원기둥 모양으로서 어릴 때는 청록색으로 표면에 가는 세로 홈이 있으며 하부는 조금 목질화되었고 상부는 잎겨드랑이 사이에 분지가 나와 있다. 잎은 어긋나며 2회 깃모양으로 완전분열되었고 제 1회의 열편은 타원형이며 제 2회 열편은 선 모양으로 가장자리가 밋밋하거나 각 변에 1~3개 깃꼴겹잎이 얕게 갈라져 있고 끝이 뾰족하며 양면 모두 매끄럽고 털이 없으며 청녹색이다. 뿌리에서 돋은 잎과 밑부분의 잎은 꽃이 필 때 쓰러지고 장타원형이며 길이 9~15cm, 너비 3.5~5.5cm로서 2회 우상으로 갈라지고 열편은 장타원형으로서 옆으로 퍼지며 중축 윗부분이 빗살처럼 되고 제 2차 열편은 너비 1.5~2mm로서 끝이 뾰족한 치아상의 톱니가 있음 중앙부의 잎은 길이 6cm로서 장타원형이고 2회 우상으로 깊게 갈라지며 제 1차 열편은 드문드문 달리고 작은 열편은 너비가 보통 0.5mm 정도로서 결각상의 톱니가 있다.

꽃은 7~9월에 황록색의 꽃이 피며 길이 3.5~4mm이고 지름 5~6mm로서 반구형이고 가지 끝과 원줄기 끝에 한쪽으로 치우쳐 있는 총상화서에 달리며 꽃자루는 길이 2~6mm이다. 꽃의 크기는 개똥쑥에 비해 좀더 크고 반(半) 공모양이다. 총포편은 둥글고 포편은 3줄로 배열되며 장타원형으로서 외편은 약간 짧고 중편과 내편은 길이가 같으며 뒷면이 녹색이고 잔점이 있으며 가장자리가 건막질(乾膜質)이다. 암꽃의 꽃부리는 길이 1.5mm 정도이고 양성화의 꽃부리는 길이 1.8mm 정도이며 수과는 길이 1mm 정도로서 장타원형이고 털이 없다. 수과는 사각원형 내지 타원형으로 아주 작으며 갈색이다. 결실기는 9~10월이다.

개사철쑥은 향기롭고 맛은 약간 쓰며 질이 연하고 녹색이며 산뜻한 향기가 난다. 봄에 어린순을 나물로 먹는다.

개사철쑥꽃의 크기(두화의 지름이 5~7mm)가 개똥쑥꽃(두화의 지름 1.5mm)보다 5배 정도 더 크므로 구별할 수 있다.

다른 이름은
청호[菁蒿=jīng hāo=하호, 초호:草蒿, 방궤:方潰: 신농본초경(神農本草經)], [蒿: 시경(詩經)], 향호[香蒿: 설문(說文)], [: 모시전(毛詩傳)], 신호[img1.jpg: 촉본초(蜀本草)], 삼경초[三庚草: 이참암본초(履岩本草)], 야란호[野蘭蒿: 현대실용중약(現代實用中藥)], 흑호[黑蒿: 산동중약(山東中藥)], 백염량[白染良: 민동본초(東本草)], 늠호[廪蒿, 인진호:茵陈蒿, 사호:邪蒿,평호:苹蒿: 중국 바이두백과사전], 카와라닌징[カワラニンジン, 노닌징:ノニンジン, 카와라요모기:カワラヨモギ: 일문명(日文名)], 큰사철쑥, 큰꽃사철쑥, 개사철쑥 등으로 부른다.

참고로 중국에서는 청호(菁蒿: Artemisa apiacea Hance) 즉 '개사철쑥' 외에도 황화호(黃花蒿: Artenisia annua Linné) 즉 '개똥쑥'도 청호로 쓰기도 하며, 이외에도 일부지역에서 습관적으로 청호로 쓰이는 종류는 빈호(濱蒿: Artemisia scoparia Wald. et Kitaib) 즉 '비쑥'을 동북지역에서 청호로 사용한다. 모호(牡蒿: Artemisia japonica Thunb.) 즉 '제비쑥'은 상해, 강소, 사천 등지에서 청호로 쓰고 있다.

개사철쑥의 뿌리를
청호근[菁蒿根: 전남본초(南本草)], 열매를 청호자[菁蒿子: 식료본초(食療本草)], 줄기속에 작은 구멍을 뚫고 살고 있는 벌레인 청호두충[靑蒿蟲: 본초강목(本草綱目), 청호주충[靑蒿蟲: 품휘정요속집(品彙精要續集)], 청호충[菁蒿蟲: 본초추진(本草推陳)], 잎을 증류하여 얻은 액체를 청호로[靑蒿露: 중국의학대사전(中國醫學大辭典)]도 모두 약용한다.

[채취]


<전초>


1, <중약대사전>:
"여름에 꽃피기 전에 줄기와 잎이 푸른 것을 골라 지상 부분을 잘라내고 그늘에서 말린다."

2, <약초의 성분과 이용>:
"여름철 꽃피기 전에 잎이 붙은 줄기를 베어 그늘에서 말린다."

<씨앗>


<중약대사전>: "
가을에 열매가 성숙했을 때 과지(果枝)를 제거하고 털어서 햇볕에 말린다."

<
청호두충(靑蒿蟲)>

<중약대사전>: "
여름에 청호(菁蒿)의 줄기에 작은 구멍이 있으면 그 안에 청호두충(靑蒿蟲)이 있는데 칼로 자르고 꺼내어 주사(朱砂), 경분(輕粉)을 넣어 환을 만든다. 말려 보관한다."

[약재(藥材)]


<중약대사전>: "
1, 청호(菁蒿=개사철쑥: Artemisa apiacea Hance)의 건조한 전초로서 길이는 60~90cm이다. 줄기는 원기둥 모양이고 표면은 황녹색 혹은 녹갈색으로 세로로 홈 모양의 근(筋)과 능선이 있으며 털이 없고 가벼우며 잘 끊어지고 단면은 섬유상이며 황백색이고 중앙에 백색의 부드러운 고갱이가 있다. 잎몸은 일부가 떨어지고 남아 있는 잎은 오그라든 상태로 말려 있고 녹갈색이며 잘 부서진다. 향기롭고 맛은 약간 쓰며 질이 연하고 녹색이며 산뜻한 향기가 나는 것이 품질이 좋다.

2, 말린 황화호(黃花蒿=개똥쑥:
Artemisia annua L.)의 전초이다. 상세한 내용은 '개똥쑥'조목을 참조하라.
중국의 대부분 지역에서 난다. 우리나라 전역에도 자란다.

이외에 일부 지역에서 습관적으로 청호(菁蒿)로 쓰이고 있는 것에는 아래와 같은 종류가 있다.

① 청호(菁蒿=개사철쑥: Artemisa apiacea Hance)와 빈호(濱蒿=비쑥:
Artemisia scoparia Wald. et Kitaib)의 묵은 가지로 전자는 중국의 하북(河北), 산동(山東), 강소(江蘇), 복건(福建), 광서(廣西), 호남(湖南), 호북(湖北) 등지에서 쓰고 후자는 동북 지역에서 쓴다.

상세한 내용은 '인진호(茵陳蒿=사철쑥:
Artemisia capillaris Thunb.)'조목을 참조하라.

② 주로 상해(上海), 강소(江蘇), 사천(四川) 등지에서 쓴다. 상세한 내용은 모호(牡蒿=제비쑥: Artemisia japonica Thunb.) 조목을 참조하라."

[성분]


1, <중약대사전>:
"청호(菁蒿)에는 고미질(苦味質), 정유와 abrotanine, vitamin A가 함유되어 있다. 정유 성분에는 β-bourbonene, farnesyl acetate, caryophyllene, β-humulene, ε-cadinene, δ-cadinene, α-pinene, β-pinene, camphene, lymonene, 1, 8-cineole, artemisia ketone, α-thujone, copaene, γ-cadinene이 들어 있다."

2, <신주해 본초강목 제 5권, 각주>:
"전초(全草)의 정유중(精油中)에 β-bourbonene, farnesyl acetate, caryophyllene, β-humulene, ε-cadinene, δ-cadinene, α-pinene, β-pinene, camphene, lymonene, 1, 8-cineole, artemisia ketone, α-thujone, copaene, γ-cadinene 등이 인정(認定)받고 있다."

[약리작용]


<중약대사전>: "
청호(菁蒿)의 침제(1:3)는 시험관 내에서 한 종류의 피부 진균에 대한 억제 작용이 있다. 그 에틸 알코올 추출물의 시험관 내에서의 항균 농도는 7.8mg/ml이며 그 효과는 연교(連翹), 황백(黃柏), 조휴(蚤休)와 비슷한데 황련(黃連), 여지초(枝草), 황금(黃芩)과 금은화(金銀花)보다는 약하다."

[포제(
炮製: 개사철쑥 법제법]

<중약대사전>: "
1, 청호(菁蒿): 불순물과 남은 뿌리를 제거한 다음 물을 적셔 축축하게 해서 잘라 햇볕에 말린다.

2, 별혈청호(
鱉血菁蒿): 청호를 큰 그릇에 담고 더운 물로 희석한 별혈(鱉血: 자라피)이 흡수되면 솥에 넣고 약한 불에 슬쩍 볶은 후 통풍이 잘 되는 곳에서 말린다(청호편:菁蒿片 100근 당 자라 200마리의 피를 쓴다)."

[맛과 성질]


<전초>

1, <중약대사전>: "
맛은 쓰며 약간 맵고 성질은 차다."

2, <신농본초경>: "맛은 쓰고 약간 맵고 성질은 차다."

3, <본초정>: "맛은 약간 맵고 성질은 차다."

4, <본초구진>: "맛은 달며 약간 맵고 기(氣)는 차며 무독하다. "

<씨앗>

<일화자제가본초>: "맛은 달고 성질은 냉하고 독이 없다."

<청호로(靑蒿露)>

맛은 쓰며 성질은 차고 독이 없다.

[귀경]


1, <중약대사전>: "
간(肝), 담경(膽經)에 들어간다."

2, <전남본초>: "비위(脾胃)에 들어간다."

3, <본초강목>: "소양(少陽), 궐음경(厥陰經)의 혈분(血分)에 들어간다."

4, <본초신편>: "위(胃), 간(肝), 심(心), 신(腎)의 4경(經)에 들어간다."

[약의 효능과 주된 치료]


<전초>

1, <중약대사전>: "
열(熱)을 제거하고 더위를 풀며 제증(除蒸)하는 효능이 있다. 온병서열(溫病暑熱), 골증노열(骨蒸勞熱), 학질, 황달, 소양을 치료한다."

2, <신농본초경>: "개소가양(疥瘙痂癢), 악성 종기를 치료하고 살슬(殺虱)하며 관절 사이에 남아 있는 열을 제거하며 시력을 아주 좋게 한다."

3, <당본초>: "신선한 것을 잘라 창(瘡)에 붙이면 지혈하는 효과가 높고 새살이 돋아나게 하며 동통을 멈추게 한다."

4, <식료본초>: "원기를 북돋우고 머리카락을 자라게 하며 중초를 보하고 시력을 아주 좋게 하며 풍독(風毒)을 살(煞: 죽일살)하고 골증(骨蒸)을 치료한다. 태운 재에 즙을 붓고 석회(石灰)를 넣고 달여서 악창반염(惡瘡瘢厴)을 치료한다."

5, <본초습유>: "부인의 혈기(血氣), 복내만(腹內滿) 및 냉열구리(冷熱久痢)를 치료한다. 가을과 겨울에는 종자를 쓰고 봄과 여름에는 싹을 찧은 즙을 복용한다. 또한 햇볕에 말려 가루낸 것을 소변으로 충복한다. 만약 한기(寒氣)가 드는 경우에는 술로 달인다."

6, <일화자제가본초>: "머리가 자라고 검게 하며 검은 머리가 희지 않게 하고 흰머리를 검게하며 심통열황(心痛熱黃)을 치료하는 데에 신선한 즙을 마시고 바른다. 사리(瀉痢)에는 미음으로 가루 5전비(錢匕)를 섞어 복용한다. "

7, <전남본초>: "습열을 제거하고 담을 제거한다. 담화(痰火), 조잡(嘈雜), 현기증을 치료하고 이소변(利小便), 혈분(血分)에서 열사(熱邪)를 제거하며 대장풍열하혈(大腸風熱下血)을 멎게 하고 5종(種)의 노열(勞熱), 발열오한(發熱惡寒)을 물리친다."

8, <본초강목>: "학질로 인한 오한과 발열을 치료한다."

9, <본초신편>: "서열(暑熱)을 제거한다."

10, <생초약성비요>: "소아식적(小兒食積)을 치료하고 개라(疥癩)을 씻는다."

11, <의림찬요>: "혈중의 습열을 제거한다. 황달 및 울화불서(鬱火不舒)의 증상을 치료한다."

<뿌리>


<중약대사전>: "
노열골증(勞熱骨蒸), 관절 산통(酸痛), 변혈을 치료한다."

<씨앗>

1, <중약대사전>: "
열을 내리고 시력을 아주 좋게 하며 기생충을 구제하는 효능이 있다. 노열골증(勞熱骨蒸), 이질, 악창(惡瘡), 개선(疥癬), 풍진을 치료한다."

2, <본초습유>: "부인의 혈기(血氣), 복내만(腹內滿), 및 냉열과 오래된 이질을 치료한다. 가을과 겨울에는 종자를, 봄과 여름에는 싹을 사용한다. 찧어서 짜낸 즙을 복용한다. 또은 햇볕에 말려 분말로 하고 소변에 타서 복용한다. 만약 차면 술로 끓인다."

3, <일화자제가본초>: "시력을 아주 좋게 하고 식욕을 증진 하는데 볶아서 복용한다. 노(癆: 중독로)를 치료하려면 건강한 사람의 소변에 담갔다가 복용한다. 악창(惡瘡), 개선(疥癬), 풍진을 치료하고 슬(虱: 이)를 죽이려면 탕액으로 씻는다."

4, <본초강목>: "약효는 청호(靑蒿)의 잎과 같다."

<꽃>


<본초강목>: "
[적열(積熱)의 안삽(眼)] 3월 3일, 혹은 5월 5일에 청호(青蒿)의 화(花: 꽃) 혹은 씨를 채취하여 그늘에서 말려서 분말을 만들어 2전(錢)씩을 공심(空心)에 정화수(井華水)로 복용한다. 오래 복용하면 눈이 밝아지고, 야간(夜間)에도 독서(讀書)를 할 수 있다. 이것을 청금산(靑金散)이라고 명칭(名稱)한다. <십편양방(十便良方)>"

<청호로(靑蒿露)>

<중약대사전>: "
시력을 아주 좋게 하고 열을 내리며 서사(暑邪)를 없애고 피예(辟穢)하는 효능이 있다. 노수골증(勞瘦骨蒸), 허열(虛熱), 허번(虛煩), 도한(盜汗), 구학(久瘧), 구리(久痢), 욕노(蓐勞)를 치료한다."

<
청호두충(靑蒿蟲)>

1, <본초강목>: "급, 만성 경풍의 치료에 쓰인다."

2, <본초추진>: "유행성 B형 뇌염, 뇌막염, 경련, 추축(抽稸)의 치료에 쓰인다. 진정시키고 경련을 멎게 하는 효능이 있다. 성인의 경련성 질환에도 쓸 수 있다."

[사용방법과 용량]


<전초>

<중약대사전>: "
1.5~3돈을 물로 달여 복용하거나 환을 짓거나 가루내어 쓴다.

외용: 짓찧어 붙이거나 가루를 바른다."

<씨앗>

<중약대사전>: "
내복: 1~2돈을 물로 달여서 복용한다. 또는 가루로 만들어 복용한다.

외용: 탕액으로 씻는다."

<
청호두충(靑蒿蟲)>

<중약대사전>: "
내복: 환을 만들어 복용한다."

[배합(配合)과 금기(禁忌:
주의사항)]


1, <신농본초경소(神農本草經疏)>: "산후 혈허(血虛), 내한하리(內寒下痢), 식욕이 없고 설사를 하는 사람은 복용해서는 안 된다. 산후 비위박약(脾胃薄弱)한 증상에는 당귀(當歸), 지황(地黃)과 같이 쓰지 못한다.

2, <본초통현(本草通玄)>: "위허(胃虛)한 사람에게는 쓰지 않는다."

개사철쑥의 효능에 관하여 기원 1613년 허준의
<동의보감>에서는 다음과 같이 알려주고 있다.

[
초호(草蒿: 제비쑥, 개사철쑥)   

허로를 낫게 하고 식은땀[盜汗]을 멎게 하며 뼈마디에 있는 열매를 없애고 눈을 밝게 한다. 중초를 보하고 기를 도와주며 얼굴색을 좋게하고 흰머리칼을 검게 하며 열황(熱黃)을 낫게 하고 사기(邪氣)와 귀독(鬼毒)을 없앤다.   

○ 곳곳에 있는데 요즘 청호(靑蒿)라고 하는 것이 이것이다. 봄기운을 가장 일찍 받고 줄기와 잎은 보통 쑥과 같은데 이 쑥의 빛은 아주 푸르기 때문에 냄새가 향기롭다. 진하게 푸른 것이 좋다. 동변에 7일 동안 담갔다가 햇볕에 말려 쓴다[본초].

※ jdm 각주:
동의보감에서 초호라고 하여 한글로 '제비쑥'이라고 표기해 놓았는데, 아래의 청호, 제목에 초호라고 밝힘으로써 제비쑥 보다는 '개사철쑥'을 의미하는 것이 더 정확하다. 정확한 구분이 없던 시대에 지역에 따라서는 비슷하게 생긴 것을 함께 포함시켜 쓰는 경우가 있다.
]

개사철쑥에 대해서 기원 약 150~250년경 위나라의 오보(吳普)가 저술한
<신농본초경> 제 3권 하품 20번째에서 다음과 같이 기록하고 있다.

[초호(艸蒿)

[원문(原文)]


味苦寒, 主疥搔, 痂
, 惡創, 殺蝨, 留熱在骨節間, 明目, 一名 靑蒿, 一名 方潰, 生川澤.
미고한, 주개소, 가양, 악창, 살슬, 유열재골절간, 명목, 일명 청호, 일명 방궤, 생천택.

名醫曰, 生華陰.
명의왈, 생화음.

案說文云蒿, 菣也, 菣, 香蒿也, 或作img1.jpg.
안설문운호, 긴야, 긴, 향호야, 혹작긴.

爾雅云蒿菣, 郭璞云今人呼靑蒿香中炙啖者爲菣.
이아운호긴, 곽박운금인호청호향중자담자위긴.

史記司馬相如傳,
注漢書音義曰, 蒿也.
사기사마상여전, 암려주한서음의왈암려, 호야.

陶弘景云, 卽今靑蒿.
도홍경운, 즉금청호.

[번역(
飜譯)]

초호(草蒿)는
맛은 쓰고 성질은 차다. 옴이나 부스럼으로 생긴 소양증, 악창을 치료하며, 이를 죽인다. 골절사이에 머무른 열을 치료하고 눈을 밝게한다.

일명(
一名) 청호(靑蒿: 개사철쑥)라고 하고, 일명(一名) 방궤(方潰)라고도 하며, 냇가나 연못주변에서 자란다.

명의왈(
名醫曰) 화음(華陰) 지역에서 자란다.

설문(
說文)에 이르기를 호()는 긴()이며, 긴()을 향호(香蒿)라고 하며, 또는 긴(img1.jpg)이라고 한다.

이아(
爾雅)에 이르기를 호()는 긴()이며, 곽박(郭璞)은 말하기를 지금 사람들은 청호(靑蒿)라고 부르며, 향채(香菜) 속에 삶아 먹을 수 있는 것이 긴()이다.

사기(
史記) 사마(司馬)에 전하기를 암려(菴)는 한서(漢書)에서 말한 암려(菴)가 이 호(蒿)를 말한 것이다.

도홍경(
陶弘景)이 이르기를 지금의 이것이 곧 청호(靑蒿: 개사철쑥)이다.]

개사철쑥에 대해서 기원 약 150~250년경 위나라의 오보(吳普)가 저술하였고 명나라의 이시진(李時珍), 청나라의 장로(張
), 장지총(張志聰=장은암:張隱庵), 섭천사(葉天士), 서영태(徐靈胎), 진수원(陳修園)의 주해인 '본 7가(家) 합주본'인 <한글 신농본초경> 442면에서 다음과 같이 기록하고 있다.

[초호(草蒿)

[원문(原文)]


苦, 寒, 主疥搔, 痂
, 惡創, 殺蝨, 留熱在骨節間, 明目, 一名 靑蒿, 一名 方潰, 生川澤.

[번역(
飜譯)]

맛이 쓰고 기(氣)는 차다. 개소(疥搔), 가양(癢), 악창(惡創)을 주관하고 벌레를 죽이고 골 관절에 열()이 남아 있는 것을 치료하고 눈을 밝게한다. 일명 청호(靑蒿: 개사철쑥), 방궤(方潰)라고 한다. 천택(川澤)에서 난다.

[주해(註解)]


<
장지총(張志聰=장은암:張隱庵)>: "청호(靑蒿: 개사철쑥)는 봄에 싹과 잎이 나고 청색을 띠며 뿌리는 백색을 띠고 기미(氣味)가 쓰고 차서 무릇 금수지정(金水之精)을 받고 춘생지기(春生之氣)를 얻는다. 주로 개소(疥搔), 가양(癢), 악창(惡創)을 치료한다는 것은 기미(氣味)가 쓰고 차서 쓴맛은 벌레를 죽이고 찬 기운은 열()을 씻어낸다. 또한 살충이라는 것은 개소(疥搔)를 치료하는 것뿐만 아니라 벌레도 죽인다는 말이다.

또한 골 관절의 사이에 열(
)이 남아있는 것을 치료한다는 것은 가양악창(惡創)을 치료할 뿐만 아니라 골 관절 사이에 열()이 남아있는 것도 치료한다는 말이다. 금수지정(金水之精)을 내려 받고 춘생지기(春生之氣)를 얻으니 눈을 밝게 한다. <본초숭원(本草崇原)>"]

6세기 전반(기원 500년 전반) 중국 위진남북조시대 가사협(賈思勰)이 쓴 현존하는 세계 최고의 가치를 지닌 고대 농업서로서 10권으로 쓴 <제민요술(齊民要術)> 750-751면에서는 개사철쑥을 청호로 언급하고 있는데 다음과 같이 기록하고 있다.

[호(蒿: 쑥)

<이아(爾雅)>: "호(
)는 긴(菣: 개사철쑥)이다. 번(: 산흰쑥)은 파호(皤蒿: 흰쑥)이다." 주(注): "지금 사람들이 향긋해서 구워먹는 청호(靑蒿: 개사철쑥) 긴(菣: 개사철쑥)이라고 부른다. 번()은 흰쑥이다."

<예외편(禮外篇)>: "주대에 국왕의 은덕을 천하에 고루 펼치니 쑥이 크고 무성하게 자랐다. 가져다가 궁정의 기둥으로 삼고 궁 이름을 '호궁(蒿宮)'이라고 불렀다."

<신선복식경(神仙服食經)>: "'칠금방(七擒方)'에서 11월에 방륵(旁勒)을 채취한다고 하였다. 방륵은 흰쑥이다. 흰 토끼가 먹으면 800년을 산다."
]


개사철쑥에 대하여 기원 1575년에 명나라 이천(李梴)이 저술한
<의학입문(醫學入門)> 진주표 역해 664면에서는 다음과 같이 기록하고 있다.

[초호(草蒿)

초호(草蒿, 청호:靑蒿: 개사철쑥)는 고한(苦寒: 맛은 쓰고 성질은 차며)하고 노열(勞熱)을 없애주며,

이질, 설사와 잘 때 땀이 나는 것, 출혈을 멎게 하네.

위(胃)를 통하게 하고 중초를 보하여 명치를 편안하게 하고,

칼에 베일 상처, 악창, 가려움증, 통증을 물리친다네.


호(蒿)는 고(高) 즉 '높다'는 뜻이니, 가을이 되어도 높이 서 있기에 그렇게 부르는 것이다. 즉 청호(
靑蒿)이다. 향기나는 나물인 향채(香菜)와 섞어 먹어도 된다. 독은 없다. 골증노열(骨蒸勞熱), 냉열(冷熱)이 오르내리는 것, 오래된 이질인 구리(久痢)를 주치하고, 설사, 잘 때 땀이 나는 것인 도한(盜汗)에 가장 신묘하다. 개위(開胃) 즉 위(胃)를 통하게 하고, 명목(明目) 즉 눈을 밝게하며, 보중익기(補中益氣) 즉 중초를 보하여  기운을 북돋우며, 주안색(駐顔色) 즉 얼굴빛을 좋게 하고, 흑모발(黑毛髮) 즉 털과 머리카락을 검게한다. 심통(心痛) 즉 명치가 아픈 것을 멎게 하고, 열이 나고 황달이 나는 것, 귀기(鬼氣), 시주(尸
)가 잠복하여 계속되는 것, 복내만(腹內滿) 즉 여자의 혈기(血氣)가 체하여 뱃속이 그득한 것에 쓴다. 악창(惡瘡), 개(疥: 가려움증), 선(癬: 버짐), 풍진(風疹)을 치료하고 벌레를 죽인다. 날로 찧어서 칼에 베인 상처인 금창(金瘡)에 바르면 출혈을 멎게 하고 살이 나게 하며 통증을 멎게 한다. 태워서 재와 떨어지는 즙액을 석회와 같이 끓이면서 고약을 만들어 붙이면 좋지 않은 군살인 악육(惡肉)을 제거한다.

○ 뿌리, 줄기, 꽃, 잎은 모두 약에 넣어서 쓸 수 있다.
네 가지를 다 같이 쓰는 것은 삼가야 하는데, 같이 쓰면 고질(痼疾: 오래 끌면서 잘 낫지 않는 병)이 생긴다. 봄, 여름에 묘(苗)인 싹을 채취하고, 가을, 겨울에는 씨를 채취하는데, 동변(童便: 사내아이 오줌)에 7주야를 재워두었다가 꺼내어 햇볕에 말린다.]

개사철쑥과 그 줄기에 기생하는 벌레에 대해 기원 1596년 명나라 이시진이 기록한
<본초강목> 일본어 번역판인 <신주해 본초강목>을 한국어로 번역한 김종하의 <신주해 본초강목> 제 5권 49-54면, 제 10권 241면에서는 다음과 같이 기록하고 있다.

[
청호(靑蒿) [본경(本經), 하품(下品)]

학명(學名): Artemisia apiacea Hance.
과명(科名): 국과(菊科)

[석명(釋名)]
초호(草蒿) [본경(本經)] 방궤(方潰) [본경(本經)]
긴(菣) <음견거성=音牽去聲> 신호(img1.jpg蒿) [촉본(蜀本)] 향호(香蒿) [연의(衍義)]

보승왈(保昇曰), 초호(草蒿)는 강동지방(江東地方)에서 신호(img1.jpg蒿)라 부른다. 기취(氣臭)가
신(img1.jpg: 족제비)과 흡사한 까닭이다. 북방(北方)에서는 청호(靑蒿)라 부른다. 이아(爾雅)에 <호(蒿)는 긴(菣)이다> 라고 되어 있으며 손염(孫炎)의 주(註)에 <형초지방(荊楚地方)에서는 호(蒿)를 긴(菣)이라 한다> 라고 하고, 곽박(郭璞)의 주(註)에는 <지금 사람들은 청호(靑蒿)라 부른다. 향채(香菜) 속에 자식(炙食)할 수 있는 것이 긴(菣)이다> 라고 했으니 바로 이것이다. 시진왈(時珍曰), 안자(晏子)에 <호(蒿)란 초(草)의 높은 것이다> 라고 하였다. 살펴보면 이아(爾雅)에 호류(蒿類) 가운데 오직 긴(菣)만이 호(蒿)의 단칭(單稱)이 되어 있는 것은, 다른 제호(諸蒿)는 모두 엽(葉)의 배면(背面)이 흰색인데 이 호(蒿) 만은 푸르다는 점(點)이 다른 제호(諸蒿)와 다르기 때문이 아닐지.

[
집해(集解)] 별록(別錄)에 있기를, 초호(草蒿)는 화음(華陰)의 천택(川澤)에 자생한다. 홍경왈(弘景曰), 제처(諸處)에 있다. 즉 지금의 청호(靑蒿)이다. 세간(世間)에서는 역시 이것을 따서 향채(香菜)를 섞어 먹는다.

보승왈(保昇曰), 어린 것은 초(醋)에 절여서 저(
葅: 채소절임)로 해 먹으면 매우 향기(香氣)롭다. 잎은 인진호(茵蔯蒿: 사철쑥)와 흡사하나 배면(背面)이 백색(白色)이 아니다. 높이는 4척(尺)가량 된다. 4월, 5월에 채집(採集)해서 햇볕에 말려 약(藥) 넣는다. 시(詩)에 <유유(呦呦: 흐느껴 우는)하게 우는 사슴이 들의 호(蒿: 쑥)를 먹는다> 라고 나오는데 바로 이 호(蒿)를 말한 것이다.

송왈(頌曰), 청호(靑蒿)는 봄에 싹이 올라오고,
잎은 극히 가늘며 먹을 수 있다. 여름이 되면 높이 4~5척(尺)이 되며, 추후(秋後)에 가느다란 담황색(淡黃色)의 꽃이 피고, 꽃 밑에 속미(粟米: 좁쌀) 크기의 열매를 맺는다. 8~9월에 열매를 채집(採集)해서 음건(陰乾: 그늘에서 말림)한다. 근(根), 경(莖), 자(子), 엽(葉) 모두를 약(藥)에 넣어 쓴다. 건자(乾炙)해서 음료를 만들면 향기(香氣)가 아주 좋다.

종석왈(宗奭曰), 청호(靑蒿)는 봄을 가장 먼저 맞이하므로 일반(一般)에서 이것을 채집(採集)해서 소채(蔬菜)로한다. 뿌리는 굵고 잎은 향기롭다. 심괄(沈括)의 몽계필담(夢溪筆談)에 <
청호(靑蒿)는 한 종류인데도 두 종류가 있으며, 한 종류는 황색(黃色: 개똥쑥)이다. 다른 한 종류는 청색(靑色: 개사철쑥)으로 본초(本草)에서 청호(靑蒿)라고 말하는 것이 이것이다. 역시 구별(區別)은 있다. 섬서(陝西), 은(銀), 수지방(綏地方)의 호총중(蒿叢中: 쑥종류중) 때로 일량주(一兩株)가 특히 눈에 돋보이는 푸른 것이 있는데 그 지방(地方)에서는 이것을 향호(香蒿)라고 한다. 줄기와 잎은 통상(通常)의 호(蒿)와 동일(同一)하지만 단지 통상(通常)의 호(蒿)는 색(色)이 담청(淡靑)인데 이 호(蒿)는 심청(深靑)이다. 소나무와 회목(檜木)과 색(色)이 비슷하지만 가을이 깊어지면 다른 다른 쑥은 모두 황색(黃色)으로 변(變)한다. 이 호(蒿)만은 더욱 푸르고 그 기(氣)는 분방(芬芳)하다. 아마 옛 사람들은이 심청(深靑)의 것을 사용(使用)해서 뛰어난 것이라 단정(斷定)한 듯하다. 이것이 아니고서는 모든 종류의 쑥 가운에 하나라도 푸르지 않았던 예(例)는 없었던 것이다> 라고 하였다.

시진왈(時珍曰), 청호(靑蒿)는 2월에 싹이 나고, 줄기는 거칠고, 손가락만큼 굵으며 부드럽다. 줄기와 잎이 모두 색깔은 심청(深靑)색이다. 그 잎은 약간은 인진(茵蔯: 사철쑥)과 흡사하지만 앞뒷면이 완전히 푸르고, 뿌리는 희고 여물다. 7~8월에 가느다란 황화(黃花)를 피우고 제법 향기(香氣)롭다. 크기가 마자(痲子: 삼씨)가량 되는 열매를 맺고, 속에는 세자(細子)가 들어 있다.  

[수치(修治)]
효왈(斅曰), 무릇 이것을 쓰고자 한다면 중간(中間) 것이 묘(妙)하다. 슬(膝: 무릎)에 도(到)하면 우러러 보고 요(腰: 허리)에 도(到)하면 외면하고 만다. 자(子)을 사용할 때는 잎을 쓰면 안 된다. 뿌리를 사용할 때는 줄기를 쓰면 안 된다. 자(子), 엽(葉), 근(根), 경(莖)의 4가지를 동시에 모두 사용하면 고질(痼疾: 오래 끌면서 잘 낫지 않는 병)병이 걸리고 만다. 잎을 채취해서 사용할 때는 7살 사내아이 7명에게서 받은 소변에 7주야(晝夜)를 담갔다가 녹출(
: 건져내어)하고 쇄건(曬乾: 햇볕에 말려서)하여 사용한다.

<엽(葉), 경(莖), 근(根),
자(子)> [기미(氣味)] [맛은 쓰고 성질은 차며 독이 없다] 시진왈(時珍曰), 유황(硫黃)을 복(伏)한다.

[주치(主治)]
[개소(疥瘙), 가양(痂痒), 악창(惡瘡), 슬(蝨)을 살(殺)한다. 유열(留熱)이 골절(骨節) 사이에 있는 것을 다스리며, 눈을 밝게 한다] <본경(本經)>

[귀기(鬼氣), 시주(尸
)의 복류(伏留), 부인(婦人)의 혈기(血氣)로 복내(腹內)가 충만(充滿)한 것 및 냉열(冷熱), 구리(久痢), 가을과 겨울에는 자(子)를 쓰고, 봄과 여름에는 묘(苗)를 쓴다. 어느 것이나 도즙(搗汁)을 복용하고 또 폭건(暴乾)해서 분말을 만들어 뇨(尿: 소변)를 넣은 술로 화(和)하여 복용한다] <장기(藏器)>

[중(中)을 보(補)하고, 기(氣)를 익(益)하며,
몸이 가벼워지고, 노(勞)를 보(補)하며, 안색(顔色)의 쇠퇴(衰退)를 멈추고, 모발(毛髮)을 길고 검게 하며, 노쇠(老衰)하지 않고 동시에 산발(蒜髮: 새치 머리)을 거(去: 없애주며)하며 풍독(
風毒)을 살(殺)한다. 심통(心痛), 열황(熱黃)에는 생(生)것을 찧어 즙(汁)을 복용(服用)하고 또한 바른다] <대명(大明)>

[학질한열(
瘧疾寒熱)을 치(治)한다] <시진(時珍)>

[생(生)것을 찧어서 금창(金瘡)에 부(
)하면 지혈(止血)되고 지동(止疼)하는 데 좋다] <소공(蘇恭)>

[소회(燒灰)하여 종이를 격(隔)하여 임즙(淋汁)을 취(取)해 석회(石灰)에 화(和)하고 달여서 용(用)하면 악창(惡瘡)의 식육(
肉), 염반(瘢)을 치(治)한다] <맹선(孟詵)>

[발명(發明)]
송왈(頌曰), 청호(靑蒿)는 골증(骨蒸), 열로(熱勞)를 치료(治療)하기에 가장 좋으며 고방(古方)에서는 이것을 단용(單用)하고 있다.

시진왈(時珍曰), 청호(靑蒿)는 춘목(春木), 소양기(少陽氣)를 받는 일이 가장 빠르므로 주된 치효(治效)가 있는 병증(病證)은 모두 소양(少陽), 궐음(厥陰)의 혈분병(血分病)이다. 살펴 보건대 월령통찬(月令通纂)에 <복중(伏中)의 경일(庚日)에 청호(靑蒿)를 채집(採集)해서 집안에 걸어두면 사기(邪氣)를 물리친다. 음건(陰乾)하고 분말로 만들어 저장(貯藏)하였다가 동지(冬至)와 원일(元日)에 가족(家族)이 각(各) 이전(二錢)을 복용(服用)하면 좋다> 라고 하였다. 이것에 연유해서 본다면 청호(青蒿)가 귀주(鬼疰), 복시(伏尸)를 치(治)한다는 말은 대개 복(伏)하는 작용(作用)이 있는 것으로 보여 진다.

[부방(附方)]
구사(舊四), 신십삼(新十三). [남녀(男女)의 노수(勞瘦)] 청호(
靑蒿)를 잘게 다져서 물 삼승(三升), 동뇨(童尿) 오승(五升)과 함께 일승반(一升半)으로 달이고, 앙금을 제거(除去)한 다음 용기(容器)에 넣어서 전고(煎膏)하여 오자(梧子: 벽오동씨) 크기의 환(丸)을 만들어 공심(空心) 때와 취침시(就寢時)에 20환(丸)씩을 온주(溫酒)로 복용(服用)한다. <두문방(斗門方)>

[허로한열(虛勞寒熱)]
지체(肢體)가 나른하고 동(疼)하는 데는 남녀불문(南女不問)하고 8~9월에 청호(
靑蒿)가 열매를 맺을 때 채집(採集)해서 지경(枝梗)은 제거(除去) 한 다음 동뇨(童尿: 사내아이 소변)에다 3일 동안 담갔다가 쇄건(曬乾: 햇볕에 말려서)하고 분말로 만들어 2전(錢)씩을 오매(烏梅) 1개(個)의 전탕(煎湯)으로 복용한다. <영원방(靈苑方)>

[골증귀기(骨蒸鬼氣)]
동뇨(童尿: 사내아이 소변) 오대두(五大斗)를 징청(澄清)하여 8~9월에 자(子)를 품은 가장 적당(適當)한 때에 채집(採集)한 청호(靑蒿) 5두(斗)를 잘게 다지고 화(和)하여서 대부(大釜: 큰가마)에 넣고 맹화(猛火: 센불)로 삼대두(三大斗)가 되게 달인다. 앙금을 제거(除去)하고, 솥을 한번 깨끗이 한 후에 다시 미화(微火: 약한불)로 2대두(大斗) 정도로 달인다. 저담(豬膽) 1개를 넣어서 함게 1대두반(大斗半)으로 달여서 불을 끄고 식기를 기다려서 자기(瓷器)에 담아 복용할 때는 감초(甘草) 2~3량(兩)을 자숙(炙熟)하여 작말(作末)하고 그것과 전화(煎和)하여 천저도(千杵搗)하여 환(丸)을 만들어 공복(空腹) 때에 20환(丸)을 죽음(粥飲)으로 복용하고, 차츰 30환(丸)까지 증가(增加)해서 먹게 한다. <최원호(崔元亮), 해상방(海上方)>

[골증번열(骨蒸煩熱)]
청호(青蒿) 한 움큼, 저담즙(豬膽汁) 1개(개), 행인(杏仁) 40개(個)의 피첨(皮尖)을 제거한 것을 볶고, 동뇨(童尿: 사내아이 소변) 일대잔(一大盞)을 5분(分)으로 달여서 공심(空心)에 온복(溫服)한다. <십편양방(十便良方)>

[허로도한(虛勞盜汗)]
번열(煩熱)하면서 구건(口乾)하는 데는 청호(青蒿) 1근(斤)의 즙(汁)을 내어 오고(熬膏)하고 인삼말(人參末), 맥문동말(麥門冬末) 각(各) 1량(兩)을 넣어서 환(丸)이 되게 오(熬)하고 오자(梧子: 벽오동씨) 크기의 환(丸)으로 만들어 매(每) 식후(食後)에 20환(丸)을 미음(米飲)으로 복용한다. 이것을 청호환(青蒿丸)이라 명(名)한다. <성제총록(聖濟總錄)>

[학질한열(瘧疾寒熱)]
주후방(肘後方)에서는 청호(青蒿) 한 움큼, 물 2승(升)의 도즙(搗汁)을 복용한다. 존인방(仁存方)에서는 5월 5일 미명(未明)에 채집(採集)해서 음건(陰乾)한 청호(青蒿) 4량(兩), 작말(作末)한 계심(桂心) 1량(兩)을 발작(發作)하기 전(前)에 술로 2전(錢)을 복용한다. 경험방(經驗方)에서는 단오일(端午日)에 채집(採集)해서 음건(陰乾)한 청호엽(青蒿葉), 계심(桂心) 등분(等分)을 작말(作末)해서 1전(錢)씩을 복용한다. 한(寒)하는 데는 열주(熱酒)로, 열(熱)하는 데는 냉주(冷酒)로 발작(發作)하는 날의 오경(五更)에 복용한다. 절대로
발물(發物)을 기(忌)한다.

[담(痰)이 심(甚)한 온학(溫瘧)]
열(熱)하기만 하고 한(寒)하지 않는 데는 청호(青蒿) 2냥(兩)을 동뇨(童尿: 사내아이 소변)에 담갔다가 배(焙)하여 황단(黃丹) 반량(半兩)과 분말을 만들어 2전(錢)씩을 백탕(白湯)으로 조(調)하고 복용한다. <인존방(仁存方)>

[적, 백하리(赤, 白下痢)]
5월 5일에 채집(採集)한 청호(青蒿)와 애엽(艾葉) 등분(等分)을 두시(豆豉)와 함께 찧어서 병(餅)을 만들어 햇볕에 말린 것을 호시단(蒿豉丹)이라 한다. 이것을 일병(一餅)씩 물 1잔반(盞半)으로 달여서 복용한다. <성제총록(聖濟總錄)>

[비중뉵혈(鼻中衄血)]
청호(青蒿)의 도즙(搗汁)을 복용하고, 동시(同時)에 비중(鼻中: 콧속)을 막으면 매우 효험(效驗)이 있다. <위생간이방(衛生易簡方)>

[주치(酒痔)의 변혈(便血)]
청호(青蒿)를 써서 잎을 사용할 때는 줄기를 쓰지 말 것이며, 줄기를 사용할 때는 잎을 쓰지 말고 작말(作末)해서 배변(排便) 전(前)에 냉수(冷水)로, 배변(排便) 후(後)에는 주수(酒水)로 조(調)하고 복용한다. <영류검방(永類鈐方)>

[금창(金瘡), 박손(撲損)]
주후방(肘後方)에서는 청호(青蒿)를 찧어서 환부(患部)를 봉(封)하면 혈(血)이 멎고 유(癒)한다. 어느 방(方)에는 청호(青蒿), 마엽(麻葉), 석회(石灰) 등분(等分)을 5월 5일에 찧어서 화(和)하고 쇄건(
曬乾: 햇볕에 말려서)해서 사용할 때에 분말로 해서 차(搽)한다.

[아치종통(牙齒腫痛)]
청호(青蒿) 한 움큼을 물로 달여서 입을 헹군다. <제급방(濟急方)>

[독봉(毒蜂)의 석상(螫傷)]
청호(青蒿)을 씹어서 봉(封)해두면 안전(安全)하다. <주후방(肘後方)>

[이(耳)에 농즙(濃汁)이 나오는 것]
청호말(青蒿末)을 면(綿)에 싸서 귓속에 넣는다. <성혜방(聖惠方)>

[비중(鼻中)의 식육(息肉)]
청호회(青蒿灰), 석회(石灰) 등분(等分)의 임즙(淋汁)을 오고(熬膏)해서 점(點)한다. <성제총록(聖濟總錄)>

자(子)
[기미(氣味)] [맛은 달고 성질은 냉하며 독이 없다]

[주치(主治)]
[눈이 밝아지고, 위(胃)를 여는데는 볶아서 사용한다. 노수(勞瘦)를 치료하고, 신체(身體)를 장건(壯健)하게 하는 데는 뇨(尿: 소변)에 담갔다가 사용한다. 악창(惡瘡), 개선(疥癬), 풍진(風
()을 치료하는 데는 물에 달여서 씻는다] <대명(大明)>  

[귀기(鬼氣)를 치료하는 데는 작말(作末)하여 술로 방촌비(方寸匕)를 복용한다]
<맹선(孟詵)>

[공력(功力)은 잎과 동일(同一)하다]
<시진(時珍)>

[부방(
附方)] 신일(新一). [적열(積熱)의 안삽(眼)] 3월 3일, 혹은 5월 5일에 청호(青蒿)의 화(花: 꽃) 혹은 씨를 채취하여 그늘에서 말려서 분말을 만들어 2전(錢)씩을 공심(空心)에 정화수(井華水)로 복용한다. 오래 복용하면 눈이 밝아지고, 야간(夜間)에도 독서(讀書)를 할 수 있다. 이것을 청금산(靑金散)이라고 명칭(名稱)한다. <십편양방(十便良方)>

절간(節間: 줄기속)의 충(蟲)
충부(蟲部)를 참조(參照).

[각주]


청호(靑蒿), 집해문(集解文)을 깊이 고찰(考察)하면 너무나 인삼(人蔘)과 흡사하다.

긴음견(菣音牽) 또는 현인절음(玄刃切音).

신(img1.jpg)은 너구리의 일종(一種). "옥편(明文 漢韓大字典)의 한자의 뜻은 <족제비 신>으로 되어 있다." [JDM]

중국시장(中國市場)에서의 청호(靑蒿)는 원래 수삼(水蔘)의 지상부(地上部) 전초(全草)지만 이밖에 근연(近緣)인 인진호(茵蔯蒿), 장호(壯蒿), 빈호(浜蒿), 황화호(黃花蒿) 등의 지상부(地上部) 전초(全草)도 청호(靑蒿)로서 취급되어 이 모든 식물(植物)의 유묘(幼苗)를 인진호(茵蔯蒿) 성묘(成苗)의 지상부(地上部) 전초(全草)를 청호(靑蒿)로서 통칭(通稱)하고 있는 것 같다. <중약지(中藥誌)>, <약재학(藥材學)> 참조(參照). 고미건위(苦味健胃), 지혈살충약(止血殺蟲약) 등에 사용(使用)한다.

화음(華陰)은 석부(石部) 백석영(白石英)의 주(註)를 참조(參照). 화산(華山) 북쪽 지방(地方), 섬서성(陝西省) 화음현(華陰縣).

청호(靑蒿: 개사철쑥), 황화호(黃花蒿: 개똥쑥)와는 서로 비슷하지만 초(稍)가 다르다. 1류(一類)의 2종(二種)이라 한 것은 이것을 지적(指摘)한 것 같다.  

은(銀)은 은주(銀州). 산초류(山草類) 시호(柴胡)의 주(주)를 참조(參照). 구치(舊治)는 섬서성(陝西省) 미지현(米脂縣) 서북(西北).

수(綏)는 서위(西魏)에 치(置)한 수주(綏州), 즉 섬서성(陝西省) 수덕현(綏德縣).

슬(膝)에 도(到)한다는 것은 성장(成長)의 중도(中途)인 것, 요(腰)에 도(到)한다는 것은 충분히 성장(成長)한 것을 말한다.

청호(靑蒿)의 꽃, 과수(果穗)는 채집(採集)한 것을 <청호자(靑蒿子)>나 <향호자(香蒿子)>라 부르며 청호(靑蒿)처럼 약(藥)에 쓴다. <약재학(藥材學)> 1112면.

[성분(成分)] 전초(全草)의 정유중(精油中)에 β-bourbonene, farnesyl acetate, caryophyllene, β-humulene, ε-cadinene, δ-cadinene, α-pinene, β-pinene, camphene, 1imonene, 1, 8cineole, artemisiaketone, α-thujone, copaene, Τ-cadinene 등이 인정(認定)받고 있다.

유(留)는 대관(大觀)에 연(連)으로 나와 있고, 시주(尸
)의 복련(伏連)은 시병(尸病)의 일종(一種)인 복시(伏시)를 가리키는 듯, 병명휘해(病名彙解)에 설(說)이 있다.

산발(蒜髮)은 반발(斑髮)을 말한 것. 새치 머리.

<찧어>는 대관(大觀)에 뇌(
)로 나와 있다. 가씨(柯氏) <대관본초(大観本草)>, 회명헌(晦明軒) <정화본초(政和本草)>에는 <도(搗)> 자(字)로 되어 있다.

복(伏)은 삼복(三伏)을 말하며 하지(夏至) 후 제 삼경일(三庚日)을 초복(初伏)으로 해서 제 사경일(四庚日)을 중복(中伏)으로, 입추(立秋) 후(後) 제 일경일(一庚日)을 말복(末伏)으로 친다.

발물(發物)은 상세(詳細)하지 않다. 자격성(刺擊性) 식물(食物)을 지적(指摘)한 듯.

대관(大觀)에는 진((: 땀띠진, 두드러기진) 아래에 살충(殺蟲)의 이자(二字)가 있다.


청호두충(靑蒿
充) <강목(綱目)>

영명(英名): Stem borer of Artemisia dracunculus

[집해(集解)] 시진왈(時珍曰), 이것은 청호(靑蒿)의 절간(節間)에 있는 충(蟲)이다. 형상(形狀)은 작은 잠(蠶: 누에)과 같으며, 역시 아(蛾: 나방)가 된다.

[기미(氣味)] 결(缺)

[주치(主治)]
[급성(急性), 만성(慢性)의 경풍(
驚風)에 이 충(蟲)을 찧고 주사(硃砂), 홍분(汞粉) 각(각) 5분(分)을 혼화(混和)하여 속립(粟粒) 크기의 환(丸)을 만들어, 1세(歲)에 1환(丸)의 비율(比率)로 유즙(乳汁)으로 복용한다] <시진(時珍)>

[발명(發明)]


시진왈(時珍曰), 고방(古方)에서는 사용하지 않고 있으나, 보영집(保集)에는 경풍(驚風)을 치료하는데 사용하고 있는데, <십중(十中) 1도 틀리지 않는다> 라고 하였으며, 그 시(詩)에 <일반(一半)의 주사(硃砂) 일반(一半)의 설(雪), 그 공(功)은 오직 청호(靑蒿)의 절(節)에 있다. 또한 임교사거(任敎死去)한 자(者)라도 그 혼(魂)을 다시 돌아오게 한다. 복용시에는 모름지기 생인혈(生人血: 유즙)을 사용한다> 라고 하였다.

[각주]


생인혈(生人血)은 유즙(乳汁)의 별명(別名)이다.]

개사철쑥에 대해서 북한에서 번역한 1885년의 황도연의
<방약합편> 351면에서는 다음과 같이 기록하고 있다.

[개사철쑥(청호)

靑蒿氣寒
熱膏 虛寒盜汗骨蒸勞
청호기한동열고 허한도한골증로

개사철쑥은 성질 차서
열을 잘 내리우고
허한증과 식은땀
골증로를 치료하네

○ 족소양경, 족궐음경의 혈분에 작용한다.
○ 동변에 7일간 담가두었다가 햇볕에 말이어 쓴다.
○ 유황독을 억제 한다(본초).
]

개사철쑥에 대해서 안덕균의
《CD-ROM 한국의 약초》939호에서는 다음과 같이 알려주고 있다.

[향호(香蒿)

[기원]
국화과의 두해살이풀 개사철쑥(Artemisia apiacea Hance)의 지상부이다.

[성미]
맛은 쓰고, 약성은 차다.

[효능주치]
청열양혈(淸熱凉血), 퇴허열(退虛熱), 해서(解暑)한다.] 

개사철쑥에 관해서 안덕균의
<한국본초도감> 263면 331호에서는 아래와 같이 기록하고 있다.

[향호(香蒿)

국화과의 두해살이풀 개사철쑥(Artemisia apiacea Hance)의 지상부이다.

성미:
맛은 쓰고, 약성은 차다.

효능:
청열양혈(淸熱凉血), 퇴허열(退虛熱), 해서(解暑)

해설:
① 폐결핵으로 인한 조열(潮熱)을 내리고, ② 학질 치료 및 ③ 여름에 더위로 인한 발열 증상과 땀이 없는 증상에 활용된다. ④ 간 기능을 활성화시키기도 한다.]

개사철쑥에 대해 북한에서 펴낸
<약초의 성분과 이용> 707면에서는 이렇게 적고 있다.

[큰꽃사철쑥(Artemisia apiacea Hance)

다른 이름: 개사철쑥, 큰사철쑥

식물: 높이 1~1.5m 되는 두해살이풀이다. 잎은 2번의 깃겹잎으로 되었다. 여름철에 노란풀색의 꽃이삭이 한쪽으로 기울어져 핀다.

각지의 개울가 모래땅에서 흔히 자란다.

전초: 여름철 꽃피기 전에 잎이 붙은 줄기를 베어 그늘에서 말린다.

성분: 전초에 쓴맛성분, 정유 카로티노이드와 프로비타민 A, 아브로타닌이 들어 있다.

응용: 여름철에 전초를 베어 말린 것을 동의치료에서 청호라고 하여 여러 가지 열성병에 열내림약으로 쓴다. 또한 피멎이약, 독풀이약으로 악창, 벌독 등에도 쓴다. 동약 청호로는 잔잎쑥(개똥쑥), 제비쑥도 쓴다.

청호합제: 큰꽃사철쑥, 형개꽃이삭 각각 75g, 으아리뿌리 18.5g을 물에 달여 하루 3번 나누어 먹는다.]

개사철쑥에 대해서 중국에서 펴낸 <중국본초도록> 제 5권 175면 2349호에서는 다음과 같이 기록하고 있다.

[향호(香蒿), 청호(靑蒿)

기원: 국과(菊科=국화과: Compositae)식물인 향호(香蒿=개사철쑥: Artemisia apiacea Hance)의 전초(全草)이다.

형태: 일년생 초본이다. 줄기는 직립하고 높이는 40-150cm이며 분지가 많다.하부의 잎은 꽃이 필 때 말라버리며, 중부의 잎은 구원형(矩圓形)이고 2차우상(次羽狀)으로 깊이 갈라지며 열편(裂片)은 구원상(矩圓狀) 선형(線形) 내지 선형(線形)이고, 상부의 잎은 작고 우상(羽狀)으로 얕게 갈라진다. 두상화서(頭狀花序)는 여러개이고 구형(球形)이며 꽃이 핀 후에 아래로 기울어지며 총상(總狀) 혹은 복총상(複總狀)을 이루고 짧은 자루와 선형(線形)의 포엽(苞葉)이 있고, 총포(總苞)는 3층이며, 화서(花序)는 구형(球形)이고, 꽃은 통상화(筒狀花)이며 외층은 암꽃이고 내층은 양성화이다. 수과(瘦果)는 구원형(矩圓形)이다. 꽃피는 시기는 7-9월이다.



분포: 산지의 계곡 숲가에서 자란다. 중국의 대부분 지방에 분포한다.우리나라에서는 냇가의 모래땅에서 자란다.

채취 및 제법: 가을에 채취해서 햇볕에 말리고 토막을 낸다.

기미: 맛은 쓰고 성질은 차다.

효능: 청열양혈(淸熱凉血), 퇴허열(退虛熱), 해서(解暑).

주치: 결핵병조열(結核病潮熱), 학질(瘧疾), 상서발열무한(傷暑發熱無汗).

용량: 3-9g.

참고문헌: 회편(滙編), 상권, 483면.]

개사철쑥의 독성 유무 및 식용에 대해 <한국식물대보감> 자원편(資源編), 하권(下券) 286~287면에서는 이렇게 기록하고 있다.

[속명(俗名: 개사철쑥)

일본(日本): 카와라
닌징(カワラニンジン), 노닌징(ノニンジン), 카와라요모기(カワラヨモギ)
학명(學名):
Artemisia apiacea Hance
자원구분(資源區分): 약용(藥用), 식용(食用)
용도(用途): 이뇨(利尿), 창종(瘡腫), 풍습(風濕), 황달(黃疸), 개선(疥癬), 창종(瘡腫), 안질(眼疾)
이용부위(利用部位): 전초(全草)
경제성(經濟性): 유망(有望)
독성(毒性): 방향(芳香)
성분(成分): Cineol, Eucalyptol, Cajeputol, Artemisiaketone, 1-β-Artemisia alcohol, Essential oil, 1-α-1-Pinene, Benzyl alcohol, d-2-Mehtyl butyrate, Caryopylleneoxide, Pentacosane, Hexanol
생육상(生育相) 전장(全長): 이년생초본(二年生草本), 1m
생식상(生殖相) 염색체(染色體): 양성화(兩性花), 직생난자(直生卵子), 상명종자(常命種子)
개화(開花) 월(月): 7~9월
결실(結實) 과실(果實): 10월, 수과(瘦果)
분포생육지(分布生育地) 지세(地勢): 제주(濟州), 남부(南部), 중부(中部), 천변지(川邊地)
지질(地質) 토양(土壤):
현무암계(玄武岩系), 변성퇴적암계(變成堆積岩系), 경상계(慶尙系), 반암계(斑岩系)
내성(耐性): 내한성(耐旱性), 내화성(耐化性)
일조성(日照性): 양지(陽地), 단일성(短日性) 
개발방안(開發方案): 계통분리법(系統分離法), 생태육종법(生態育種法), 실생법(實生法), 종간잡종법(種間雜種法), 분주법(分株法), 삽목법(揷木法).]

개사철쑥의 항암작용과 관련해서 <한국항암본초>에서는 이렇게 기술하고 있다.

[청호(靑蒿: Herba Artemisiae Annuae)

기원: 개똥쑥 또는 개사철쑥의 전초
과명: 국화과 Compositae
식물명: 개똥쑥
학명: Artemisia annua L.
중명: 황화호(
黃花蒿: huáng huā hāo:후앙후아하오)
영명: Sweet Wormwood
일명: クソニンジン(
糞人参: 쿠소닌징)

높이 80~120cm의 1~2년초로 털이 없으며 강한 향기가 있다. 잎은 3회 우상복엽이고 길이 4~10cm이며 최종열편의 폭은 0.3mm정도 이다. 6~8월에 개화하며 두화가 원추상으로 달린다. 두화는 반구형으로 직경 1.5mm 정도이며 황색이다. 포편은 타원형으로 녹색이다. 수과는 길이 0.7mm 정도이다.

생육지: 잡초지.
분포: 전국 각지.
채집: 개화기에 전초를 채집하여 그늘에서 말린다.
번식: 9~10월 또는 3~4월에 파종한다.

성분: 전초에 항말라리아 원충의 유효성분 Arteannuin 및 Arteannuin B 등이 있다. 잎에는 Scopoletin, Coumarin, Artemisin, Eupatene, 3,5-Dihydroxy-6, 7, 3', 4'-tetramethoxy flavon 등이 있다. 건조약재에는 0.18%의 정유가 있다. 정유에 Keton유, Artemisiaketone, 장뇌, Cineole, L-β-Artemisia alcohol의 초산 ester, Pinene, Camphene, 1, 8-cineole, Cadinene, Caryophyllene, Sesquiterepene alcohol, Cuminaldehyde, Phenol, Hexanal, Benzyl acetate, Benzyl d-2-methylbutyrate, Caryophyllene oxide, Pentacosane, Scopoletin, Scopolin이 있다. 인도산의 황화호에 Pseudosantonin, K-santonin이 있다.

일반약리: 생약과 Arteannuin은 쥐의 말라리아와 원숭이 말라리아원충의 적혈구내 발육에 대하여 뚜렷한 억제작용이 있으나 투여를 마치면 재발하는 경우가 많았다. 황화호는 여러 가지 피부병 원진균에 대한 억제 작용이 있다.

항암약리: 체외의 Screening에 있어서 황화호에는 JTC-26에 대한 70~90%의 억제율이 있다.

성미: 맛은 맵고 쓰며 성질은 차며 독이 없다.

적용: 간, 폐, 위에 작용한다.

약효: 열을 내림(청해서열:淸解暑熱), 학질 치료(절학:
截瘧), 구풍제양(驅風除), 건위(健胃).

적응증: 중서(中暑), 학질(
疾), 조열(潮熱), 소아경풍(小兒驚風), 도한(盜汗), 소화불량, 종창(腫瘡), 독충교상(毒蟲咬傷), 사독(蛇毒), 풍진소양(風疹瘙痒).

용법과 용량: 하루 3~9g을 물로 달여서 복용하고, 외용시 찧어서 바른다.

항암임상응용

1, 폐암, 간암, 위암, 유선암:
청호에 등리근(藤梨根), 야포도근(野葡萄根), 반변련(半邊蓮), 단삼(丹參), 백화사설초, 대황, 불수(佛手), 지유(地楡)등을 배합한다.

2, 각종암증:
청호 10~15g을 물로 달여서 3회씩 장기적으로 복용한다.

3, 암증에 미열이 있는 경우:
청호, 백미(白薇), 지골피(地骨皮), 황금(黃芩) 각 15g, 백화사설초 30~60g을 물로 달여서 복용한다.

참고문헌

① Chem. Abstract. 34: 7529g, 1940.
② 약학통보(藥學通報) 15(10): 39, 1980.
③ Chem. Abstract. 39, 1980.
④ 강소신의학원(江蘇新醫學院), 중약대사전(中藥大辭典), 2053, 1977.
⑤ C. A. 29, 45226, 1935.
⑥ 중의연구원 중약연구소(中醫硏究院 中藥硏究所), 청호항암연구(靑蒿抗癌硏究), 1978.
⑦ 항암중약적 연구(抗癌中藥的 硏究), 국외의학(國外醫學), 종류분책(腫瘤分冊) (2): 70, 1980.
⑧ 상민의(常敏毅), 항암본초(抗癌本草), 180~181, 1987.
⑨ 중의약연구자료(中醫藥硏究資料) (6), 1978.
⑩ 상해중의약잡지(上海中醫藥藥雜誌) (3), 1979.
]

개사철쑥에 대해서
<잡초> 제 2권 410-412면에서는 다음과 같이 기록하고 있다.

[
개사철쑥(Gaesachulssug) [국화과=국과(菊科: Compositae)]

학명(學名): Artemisia apiacea Hance ex Walp. -Artemisia carvifolia Buch. -Harm. var. apiacea Psmpan.


                        <전초>                                    <식물체의 일부>


                                <종자: 41배 확대>

중국명(中國名): 향호(香蒿), 청호(靑蒿)
일명(日名): 카와라닌징(カワラニンジン), 노닌징(ノニンジン)
발생지(發生地): 밭, 밭둑

이름의 유래:
   종소명(種小名) 'apiacea'는 'Apium L.(솔잎미나리속)의 잎과 비슷한' 그리고 다른 종소명
   'carvifolia'는 'Carum cardi L.(갈루자:葛縷子)의 잎과 닮은'이라는 뜻이다. 

형태:
   밭, 하천변, 황무지 등에 자라는 1년생 또는 월년생초본이다. 줄기는 높이 40~15cm이다.
   잎은 2회 우상(羽狀)으로 심열(深裂)되며 털이 없고 종열편(終裂片)은 폭이 1.5~2mm이다.
   꽃은 8~9월에 피며 두화(頭花)는 총상(總狀)으로 달리고 전체 모습이 원추화서(圓錐花序)를 이룬다.
   총포(總苞)는 구형(球形)으로 지름 5~6cm이고 열매인 수과(瘦果)는 길이 1mm이다.

분포:
   전국에 자라며, 지리적으로 일본, 만주, 중국에 분포한다.

농업상의 특성:
   월년생초본으로서 인가의 빈터, 냇가의 모래땅 그리고 들 등지에서 자란다1),2),3).
   밭과 밭주변에서도 생육한다.
   원래 중국에서 약용식물로 들여와 재배되던 것이 귀화된 것으로 보인다.
   어린 순은 나물로 하고 전초(全草)를 약용으로 하는데 선병질(腺病質)과 허약자(虛弱者)에 쓴다1),2),3).

인용문헌

1) 이우철(李愚喆). 1996. 원색한국기준식물도감(原色韓國基準植物圖鑑) 도서출판 아카데미서적 p. 345
2) 이창복(李昌福). 1980. 대한식물도감(大韓植物圖鑑) 향문사(鄕文社) p. 756
3) 이영노(李永魯). 1996. 원색한국식물도감(原色韓國植物圖鑑) (주)교학사 p. 829.
]

개사철쑥에 대해서 인터넷 중국의
<바이두백과사전>에서는 아래와 같이 기록하고 있다.

[
청호(青蒿)

科技名词定义


中文名称: 青蒿
英文名称: Herba Artemisiae Annuae(拉) ; sweet wormwood herb
定义: 菊科 植物 黄花蒿 Artemisia annua L.干燥地上部分。
应用学科: 中医药学(一级学科);中药学(二级学科);中药(三级学科) 以上内容由全国科学技术名词审定委员会审定公布

百科名片
   

青蒿古名“菣”(qìn)。为菊科 植物 青蒿Artemisia annua L.的干燥地上部分。清热解暑,除蒸,截疟。用于暑邪发热,阴虚发热,夜热早凉,骨蒸劳热,疟疾寒热,湿热黄疸。是一种廉价的抗疟疾药。

中文学名: 青蒿

拉丁学名: Sweet Wormwood Herb,Herb of Sweet Wormwood

别称: 草蒿,廪蒿,茵陈蒿,邪蒿,香蒿,苹蒿,黑蒿,白染艮

二名法: Artemisia carvifolia

门: 被子植物门
纲: 双子叶植物纲
目: 菊目
科: 菊科
属: 蒿属
种: 青蒿
亚种: 大头青蒿
分布区域: 尼泊尔、印度、日本、越南、朝鲜、缅甸,中国大陆
拉丁名: Artemisia carvifolia

植物属性


形态特征


青蒿-原植物(图2)

一年生草本;植株有香气。一些地方也叫牛尿蒿。主根单一,垂直,侧根少。茎单生,高30—150厘米,上部多分枝,幼时绿色,有纵纹,下部稍木质化,纤细,无毛。叶两面青绿色或淡绿色,无毛;基生叶与茎下部叶三回栉齿状羽状分裂,有长叶柄,花期叶凋谢;中部叶长圆形、长圆状卵形或椭圆形,长5—15厘米,宽2—5.5厘米,二回栉齿状羽状分裂,第一回全裂,每侧有裂片4—6枚,裂片长圆形,基部楔形,每裂片具多枚长三角形的栉齿或为细小、略呈线状披针形的小裂片,先端锐尖,两侧常有1—3枚小裂齿或无裂齿,中轴与裂片羽轴常有小锯齿,叶柄长0.5—1厘米,基部有小形半抱茎的假托叶;上部叶与苞片叶一(至二)回栉齿状羽状分裂,无柄。头状花序半球形或近半球形,直径3.5—4毫米,具短梗,下垂,基部有线形的小苞叶,在分枝上排成穗状花序式的总状花序,并在茎上组成中等开展的圆锥花序;总苞片3—4层,外层总苞片狭小,长卵形或卵状披针形,背面绿色,无毛,有细小白点,边缘宽膜质,叶互生,暗绿色或棕绿色,卷缩,碎,中层总苞片稍大,宽卵形或长卵形,边宽膜质,内层总苞片半膜质或膜质,顶端圆;花序托球形;花淡黄色;雌花10—20朵,花冠狭管状,檐部具2裂齿,花柱伸出花冠管外,先端2叉,叉端尖;两性花30—40朵,孕育或中间若干朵不孕育,花冠管状,花药线形,上端附属物尖,长三角形,基部圆钝,花柱与花冠等长或略长于花冠,顶端2叉,叉端截形,有睫毛。瘦果长圆形至椭圆形。花果期6—9月。

地理分布


青蒿-原植物(图3)

产吉林、辽宁、河北(南部)、陕西(南部)、山东、江苏、安徽、浙江、江西、福建、河南、湖北、湖南、广东、广西、四川(东部)、贵州、云南等省区   常星散生于低海拔、湿润的河岸边砂地、山谷、林缘、路旁等,也见于滨海地区。   朝鲜、日本、越南(北部)、缅甸、印度(北部)及尼泊尔等也有。   模式标本采自喜马拉雅山脉东南部地区。

中药属性


药材概述


[用药禁忌]


1.《本草经疏》:产后血虚,内寒作泻,及饮食停滞泄泻者,勿用。凡产后脾胃薄弱。   

2.《本草通玄》:胃虚者,不敢投也。   

[性味与归经]


苦,辛,寒。归肝、胆经、三焦、肾经。   

[采制]


秋季花盛开进割取地上部分,除去老茎,阴干。   

[炮制]


1.青蒿: 拣去杂质,除去残根,水淋使润,切段,晒干。   

2.鳖血青蒿: 取青蒿段,置大盆内,淋入用温水少许稀释的鳖血,拌匀,稍闷,待鳖血吸收后,入锅内文火微炒,取出,晾干。(每青蒿段100斤,用活鳖200个取血)。

功能与主治


清透虚热,凉血除蒸,除蒸,截疟。用于暑邪发热,阴虚发热,夜热早凉,骨蒸劳热,疟疾寒热,湿热黄疸。   该品苦寒清热,辛香透散,善使阴分伏热透达外散,为阴虚发热要药,此外兼有解暑,截虐之功。   

1,解暑: 可治外感暑热,发热烦渴。   

2,截虐: 主治疟疾引起的寒热往来。   

3,凉血,退虚热: 善治阴虚发热,骨蒸劳热,及温热病后期,热入阴分,夜热早凉者。

剂量/用法用量
 

内服:煎汤,6-15克,治疟疾可用20-40克,不宜久煎;鲜品用量加倍,水浸绞汁饮;或入丸、散。外用:适量,研末调敷;或鲜品捣敷;或煎水洗。

药用价值


[항학작용(抗疟作用)]


青蒿-中药材

青蒿乙醚提取中性部分和其稀醇浸膏对鼠疟、猴疟和人疟均呈显著抗疟作用。体内试验表明,青蒿素对疟原虫红细胞内期有杀灭作用,而对红细胞外期和红细胞前期无效。青蒿素具有快速抑制原虫成熟的作用。蒿甲醚乳剂的抗疟效果优于还原青蒿素琥珀酸钠水剂,是治疗凶险型疟疾的理想剂型。青蒿琥酯2.5、5、10、15mg/kg,2次/天,连续3天,皮肤外搽,治疗猴疟均有不同程度疗效。5、10mg/kg,2次/天,连续10天,皮肤外搽即可使猴疟转阴。加入适量促透氮酮,可提高抗疟作用。脱羰青蒿素和碳杂脱羰青蒿素对小鼠体内的伯氏疟原虫K173株的ED50和ED90分别为12.6mg/kg和25.8mg/kg。体外试验表明,青蒿素可明显抑制恶性疟原虫无性体的生长,有直接杀伤作用。青蒿素、蒿甲醚和氯喹对恶性疟原虫的IC50分别为75.2,29.4.和43.2nmol/L。青蒿素酯钠对恶性疟原虫6个分离株(包括抗氯喹株)有抑制作用。   

[항균작용(抗菌作用)]


青蒿水煎液对表皮葡萄球菌、卡他球菌、炭疽杆菌、白喉杆菌有较强的抑菌作用,对金黄色葡萄球菌、绿脓杆菌、痢疾杆菌、结核秆菌等也有一定的抑制作用。青蒿挥发油在0.25%浓度时,对所有皮肤癣菌有抑菌作用,在1%浓度时,对所有皮肤癣菌有杀菌作用。青蒿素有抗流感病毒的作用。青蒿酯钠对金葡萄、福氏痢疾杆菌、大肠杆菌、卡他球菌,甲型和乙型副伤寒秆菌均有一定的抗菌作用。青蒿中的谷甾醇和豆甾醇亦有抗病毒作用。   

[항기생충작용(抗寄生虫作用)]


青蒿(图7)

青蒿乙醚提取物、稀醇浸膏及青蒿素对鼠疟、猴疟、人疟均呈显著抗疟作用。体外培养提示,青蒿素对疟原虫有直接杀灭作用。电镜观察证明,青蒿素主要作用于疟原虫红细胞内期无性体的膜相结构,首先作用于食物色膜、表膜和线粒体膜,其次是核膜和内质网。此外对核内染色体亦有影响。由于食物泡膜发生变化,阻断了疟原虫摄取营养的早期阶段,使疟原虫迅速发生氨基酸饥饿,形成自噬泡,并不断排出体外,使泡浆大量损失,内部结构瓦解而死亡。青蒿素对间日疟、恶性疟及抗氯喹地区恶性疟均有疗效高、退热及原虫转阴时间快的特点,尤其适于抢救凶险性疟疾,但复燃率高。此外,青蒿尚有抗血吸虫及钩端螺旋体作用。   

[해열작용(解热作用)]


用蒸馏法制备的青蒿注射液,对百、白、破三联疫苗致热的家兔有明显的解热作用。青蒿与金银花组方,利用蒸馏法制备的青银注射液,对伤寒、副伤寒甲、乙三联菌苗致热的家兔,有比单味青蒿注射液更为显著的退热效果,其降温特点迅速而持久,优于柴胡和安痛定注射液对照组。金银花与青蒿有协同解热作用。  

[면역작용(免疫作用)]


用小鼠足垫试验、淋巴细胞转化试验、兔疫特异玫瑰花试验和溶血空斑试验等4项免疫指标观察青蒿素的免疫作用,发现青蒿素对体液免疫有明显的抑制作用,对细胞免疫有促进作用,可能具有免疫调节作。青蒿素、蒿甲醚有促进脾TS细胞增殖功能。肌肉注射蒿甲醚对Begle大外周血T、B、Tu及Tr淋巴细胞亦有明显抑制作用。亦明显降低正常小鼠血清IgG含量、增加脾脏重量。降低鸡红细胞致敏小鼠血清IgG含量。静脉注射青蒿素50-100mg/kg能显著提高小鼠腹腔巨噬细胞吞噬率(50.2-53.1%)和吞噬指数(1.58-1.91)。青蒿素还可提高淋巴细胞转化率,促进细胞免疫作用。青蒿琥酯可促进Ts细胞增殖,抑制TE细胞产生,阻止白细胞介素及各种炎症介质的释放,从而起到免疫调节作用。
[대심혈관계통적작용(对心血管系统的作用)]


兔心灌注表明,青蒿素可减慢心率,抑制心肌收缩力,降低冠脉流量。静脉注射有降血压作用,但不影响去甲肾上腺素的升压反应,认为主要系对心脏的直接抑制所改。静脉注射20mg/kg青蒿素可抗乌头碱所致兔心律失常。   

[기타작용(其它作用)]


青蒿琥酯能显著缩短小鼠戊巴比妥睡眼时间。青蒿素对实验性矽肺有明显疗效。蒿甲醚对小鼠有辐射防护作用。

真假青蒿


{青蒿] 又名香蒿。为菊科 植物 青蒿(Artemisia apiacea = Artemisia carvifolia)的全草。主产于安徽、河南、江苏、河北、陕西、山西、山东等地。不含青蒿素。   

[黄花蒿]


又名臭蒿,苦蒿,香苦草,黄蒿。为菊科植物黄花蒿( Artemisia annua)的全草。商品均以色青绿、干燥、质嫩、未开花、气味浓郁者为佳。含青蒿素。   

[牡蒿]


为菊科 植物 牡蒿( Artemisia japonica)的全草。在江苏、上海、四川等地药材市场上作“青蒿”使用。   

[茵陈蒿]


为菊科 植物 茵陈蒿(Artemisia capillaris)的全草。东北地区常作“青蒿”入药。不含青蒿素。   

[小花蒿]


菊科 植物 小花蒿(Artemisia parviflora)的全草。以青蒿收载入《滇南本草》,云南昆明亦称此为青蒿。   在以上提到的五种蒿草中,只有黄花蒿Artemisia annua含青蒿素。二十世纪七十年代以前出版的中文版中药书籍中的药用“青蒿”只有一种,即青蒿(香蒿):Artemisia apiacea Hance。在发现青蒿素以后,二十世纪七十年代以后出版的中药书籍将入药“青蒿”改为:“包括青蒿( Artemisia apiacea Hance)和黄花蒿( Artemisia annua L.),两种均可入药”。中华人民共和国卫生部编撰《中华人民共和国药典中药彩色图集》(1990年版)时将药用“青蒿”定为:“该品为菊科植物黄花蒿Artemisia annua L.的干燥地上部分”,不再提Artemisia apiacea Hance。从此中药的‘青蒿’变成了‘黄花蒿’。但目前除提取青蒿素在使用黄花蒿外,中药依然沿用青蒿(Artemisia apiacea Hance)入药。

生药材鉴定


[性状鉴别]
茎圆柱形,上部多分枝,长30-  青蒿(图8)

80cm,直径0.2-0.6cm,表面黄绿色或棕黄色,具纵棱线;质略硬,易折断,断面中部有髓。叶互生,暗绿色或棕绿色,卷缩,碎,完整者展平后为三回羽状深裂,裂片及小裂片矩圆形或长椭圆形,两面被短毛。气香特异,味微苦。以色绿、叶多、香气浓者为佳。   

[显微鉴别]


叶片表面观:上下表皮细胞形状不规则,垂周壁波状弯曲,长径18-41(-80)μm,脉脊上的表皮细胞呈窄长方形。气孔椭圆形,不定式。表面布满非腺毛和腺毛。非腺毛于中脉附近多风,为T字形毛,壁细胞横向延伸或在柄处折成V字形,长240-480(-816)μm,柄由3-8细胞组成,单列,基部柄细胞较大,壁细胞常脱落。腺毛椭圆形,无柄,两个半圆形分泌细胞相对排列,常充满淡黄色挥发油。    

[名典鉴别]


1、《神农本草经》:“草蒿味苦寒。一名青蒿。生川泽。”[1]   

2、梁·《名医别录》:“青蒿生华阴川泽。”   

3、陶弘景曰:“处处有之,即今青蒿,人亦取杂香菜食之。”   

4、五代·韩保升曰:“嫩时醋淹为俎,自然香。叶似茵陈蒿而背不白,高四尺许,四月、五月采,日干入药。”

5、宋·苏颂曰:“青蒿春生苗,叶极细,可食。至夏高四五尺,秋后开细淡黄花,花下梗结子,如粟米大,八九月采子阴干。根茎子叶并人药用……”   

6、寇宗奭曰:“青蒿得春最早,人剔以为蔬,根赤叶香。沈括《梦溪笔谈》云:青蒿一类,自有二种:一种黄色,一种青色。本草谓之青蒿,亦有所别也。陕西银绥之间,蒿丛中时有一两窠,迥然青色者,土人谓之青蒿。茎叶与常蒿一同,但常蒿色淡青,此蒿深青,如松桧之色。至深秋余蒿并黄,此蒿犹青,其气芬芳。恐古人所用,以深青者为胜。不然,诸蒿何尝不青?”   

7、明·《本草蒙筌》:“草蒿。川谷川泽,随处有生。叶实根茎并堪入药,春夏采用茎叶为宜。”并言及邪蒿、牡蒿等。又按:“谚云三月茵陈四月蒿,人每诵之。祗疑两药一种,因分老嫩而异名也。殊不知叶虽近似,种却不同。草蒿叶背面俱青,且结花实;茵陈叶面青背白,花实全无。况遇寒冬,尤大差异。茵陈茎干不凋,至春复旧干上发叶,因干陈老,故名茵陈。草蒿茎干俱凋,至春再从根下起苗,如草重出,乃名草蒿。发旧干者三月可采,产新苗者四月才成。”   

8、李时珍曰:“青蒿二月生苗,茎粗如指而肥软,茎叶色并深青。其叶微似茵陈,而面背俱青,其根白硬。七八月开细黄花颇香。结实大如麻子,中有细子。”   

9、清·《本草求真》:“青蒿性禀芬芳。其形有类山茵陈。……使子勿使叶,使根勿使茎。”

青蒿素

[通用名称]
青蒿素

[英文名称]
Artemisinin

[中文别名]
黄花蒿素、黄蒿素

[英文别名]
Arteannuin、Artemisinine、Qinghaosu分子式:C15H22O5   

[分子量]
282.33 无色针状晶体,味苦。在丙酮、醋酸乙酯、氯仿、苯及冰醋酸中易溶,在乙醇和甲醇、乙醚及石油醚中可溶解,在水中几乎不溶。   

[熔点]
156-157℃(水煎后分解)青篙素是从中药青篙中提取的有过氧基团的倍半萜内酯药物。其对鼠疟原虫红内期超微结构的影响,主要是疟原虫膜系结构的改变,该药首先作用于食物泡膜、表膜、线粒体,其次是核膜、内质网,此外对核内染色质也有一定的影响。提示青篙素的作用方式主要是干扰表膜-线粒体的功能。可能是青篙素作用于食物泡膜,从而阻断了营养摄取的最早阶段,使疟原虫较快出现氨基酸饥饿,迅速形成自噬泡,并不断排出虫体外,使疟原虫损失大量胞浆而死亡。体外培养的恶性疟原虫对氚标记的异亮氨酸的摄入情况也显示其起始作用方式可能是抑制原虫蛋白合成。   

青篙素口服后由肠道迅速吸收,0.5~1小时后血药浓度达高峰,4小时后下降一半,72小时血中仅含微量。它在红细胞内的浓度低于血浆中的浓度。吸收后分布于组织内,以肠、肝、肾的含量较多。该品为脂溶性物质,故可透过血脑屏障进入脑组织。在体内代谢很快,代谢物的结构和性质还不清楚。主要从肾及肠道排出,24小时可排出84%,72小时仅少量残留。由于代谢与排泄均快,有效血药浓度维持时间短,不利于彻底杀灭疟原虫,故复发率较高。青篙素衍生物青篙酯,T1/2为0.5小时,故应反复给药。   

主要用于间日疟、恶性疟的症状控制,以及耐氯喹虫株的治疗,也可用以治疗凶险型恶性疟,如脑型、黄疸型等。亦可用以治疗系统性红斑狼疮与盘状红斑狼疮。   

成人常用量: (1)控制疟疾症状(包括间日疟与耐氯喹恶性疟),口服,首次1克,6- 8小时后0.5克,第 2、3日各0.5克;直肠给药,首次0.6克,4小时后0.6克,第 2、3日各0.4克。(2)恶性脑型疟,肌内注射,首剂0.6克,第 2、3日各肌注0.15克。 (3)系统性红斑狼疮或盘状红斑狼疮,第1个月每次口服0.1克,一日 2次;第2个月每次0.1克,每日 3次;第3个月每次0.1克,每日 4次。肌肉注射,首次剂量0.2克,6-8小时以后给药0.1克,第二,第三日各肌肉注射0.1克,总量0.5克.重症第4日再给0.1克,或连用3日,每日0.3克,总量0.9克.小儿每公斤体重15毫克,分3日肌肉注射。口服,首次剂量1克,6-8小时以后再服0.5克,第2,3日各服0.5克,三日一疗程,总量2.5克.小儿每公斤体重15毫克,按上述方法3日内服完。注射部位疼痛,硬块. 青蒿素治疗系统性红斑狼疮及盘状红斑狼疮均可获不同程度的缓解。治疗初期病情可能有所加重,全身出现蚁走感,半个月后逐渐减轻,月余后一般情况改善。妊娠早期慎用。

青蒿(图5)

青蒿素毒住低,使用安全,一般无明显不良反应。少数病例出现食欲减退、恶心呕吐、腹泻等胃肠道反应,但不严重。水混悬剂对注射部位有轻度刺激。个别人一过性转氨酶升高,轻度皮疹。少数人有恶心,呕吐,腹泻等,可自行恢复. 青蒿素毒性低,使用安全,一般无明显不良反应。少数病例出现食欲减退、恶心、呕吐、腹泻等胃肠道反应,但不严重。水混悬剂对注射部位有轻度刺激。   

相互作用: 1.该品必须与伯氨喹合用根治间日疟。 2.与甲氧苄胺嘧啶合用有增效作用,并可减少近期复燃或复发。世界卫生组织在对全世界抗疟工作进行总结和分析后,认为单方青蒿素的使用容易使疟原虫产生耐药性,提出了停止使用单方青蒿素,改用复方青蒿素的建议。

保健饮品


蒿性味苦寒,但不伤脾胃。具有清热解暑,退虚热、宣化湿热的功效。青蒿含有挥发油、青蒿素等成分,有明显的降温解热作用,还能帮助排汗。所以,夏日将青蒿水煎液作为清凉饮料,是防治中暑的良药。每次用青蒿12克,加适量水煎后服用,热饮或放凉饮用均可。若加入绿豆、菊花、冰糖,则更是香甜可口的防暑佳品。编辑本段人工栽培基本要求

青蒿是一年生草本植物,为菊科艾属植物黄花蒿。株高40-150厘米以上,全生育期120天左右。喜湿润、忌干旱,怕渍水,光照要求充足。青蒿药用价值很高,青蒿素的衍生物可生产很多系列药品。青蒿素主治疟疾、结核病潮热,治中暑、皮肤瘙痒、荨麻疹、脂溢性皮炎和灭蚊等。全草入药,洗净鲜用或晒干制药。青蒿作物粗生易管,生长期短,投资少,收益快。现将其生产栽培技术要点介绍如下:

幼苗假植


应选择水源充足的田块,起厢种植。要求厢面宽1.2米,假植规格株行距为10-15厘米。假植后加强肥水管理。可用腐熟人粪尿或亩用复合肥5公斤冲粪水淋施,做到勤施薄施。大约假植18-20天左右(气温低时约需25-30天)当植株生长到10-15厘米时,即可移至大田种植。

本田准备


本田应选择水源有保证,能排能灌的田块。经深翻梨耙、碎土。每亩施腐熟农家肥或土杂肥2000-2500斤,磷肥50-60斤作基肥。开沟起厢种植。起厢规格为:宽1.2米,沟宽0.4米,沟深0.2-0.5米,每厢种二行,株行距为0.8×0.8米。

适时移栽


当假植苗达到10-15厘米时进行移栽,移栽时选择阴天或晴天下午进行。栽后淋足定根水。可合理密植,亩植1000株左右。

田间管理


移栽后应加强田间管理。做到科学施肥,合理排灌。可分三个阶段施肥。第一阶段:移栽一个星期左右轻施复合肥或农家肥。亩用复合肥10-15斤或用0.3%的复合肥水淋施。第二阶段:移栽后15-20天,每亩开穴施复合肥35斤左右或腐熟农家肥,施肥后进行复土。第三阶段:移栽35-45天后亩施50斤复合肥或农家肥,结合培土。大田种植要防渍水,在雨季注重排除渍水,干旱时要及时灌水。

病虫害防治


[病害]


青蒿主要病害是茎腐病。在多雨季节,如发生茎腐病,可用灭病威或托布津防治。  

[虫害]


青蒿主要害虫有蚜虫,应在其迁飞扩散前喷药,亩用40%乐果或20%速灭丁或蚜虱净等喷雾防治。

适时收获


青蒿生长最旺盛期即花蕾期进行收获。选择晴天,砍倒主杆,在大田晒一天。第二天收起在晒场晒干,打落其子叶,子叶继续晒干,符合收购要求即可销售。编辑本段现代研究主要成分

青蒿(图6)

含倍半萜类,如青蒿素(Qinghaosu, Artemisinin)、青蒿素G(Artemisinin G)、青蒿甲素(Qinghaosu-Ⅰ)、青蒿乙素(Qinghaosu-Ⅱ)、青蒿丙素(Qinghaosu-Ⅲ)、青蒿丁素(Qinghaosu-Ⅳ)、青蒿戊素(Qinghaosu-Ⅴ)、表脱氧青蒿乙素(Epideoxyarteannuin B)、青蒿醇(Artemisinol)、青蒿酸甲酯(Methylart eannuate)、青蒿酸(Artemisic acid)、6,7-脱氢青蒿酸(6,7-Dehydroartemisinic acid)、环氧青蒿酸(Epoxyarteannuinic acid). 亦含挥发性成分,如莰烯(Camphene)、β-莰烯(β-Camphene)、异蒿酮(Isoartemisia ketone)、左旋樟脑(l-Camphor)、β-丁香烯(β-Caryophyllene)、β-蒎烯(β-Pinene)以及α-蒎烯(α-Pinene)、蒿酮(Artemisia ketone)、樟脑(Camphor)、月桂烯(Myrcene)、柠檬烯(Limonene)、γ-松油烯(γ-Terpinene)、α-松油醇(α-Terpineol)、反式丁香烯(Trans- caryophyllene)、反式-β-金合欢烯(Trans-β-farnesene)、异戊酸龙脑酯(Bornyl isovalerate)、γ-荜澄茄烯(γ-Cadinene)、δ-荜澄茄烯(δ-Cadinene)、α-榄香烯(α-Elemene)、β-榄香烯(β-Elemene)、γ-榄香烯(γ-Elemene)、β-马啊里烯(β-Maaline- ne)、γ-衣兰油烯(γ-Muurolene)、顺式香芹醇(Cis-carveol)、乙酸龙脑酯(Bornyl acetate)、β-香树脂乙酸酯(β-Amyrin acetate)等.   尚含黄酮类成分,如:山柰黄素(Kaemp- ferol)、槲皮黄素(Quercetin)、黄色黄素(Luteolin)、藤菊黄素(Patuletin)、槲皮黄素-3-芸香甙(Quercetin-3-rutinoside)、黄色黄素-7-O-葡萄糖甙(Luteolin-7-O-glycoside)、山萘黄素-3-O-葡萄糖甙(Kaempferol-3-O-glycoside)、槲皮黄素-3-O-葡萄糖甙(Quercetin-3-O-glycoside)、藤菊黄素-3-O-葡萄糖甙(Patuletin-3-O-glycoside)、6-甲氧基山萘黄素-3-O-葡萄糖甙(6-Methoxy- kaempferol-3-O-glycoside)、猫眼草酚(Chrysosp- lenol-D)、泽兰黄素(Eupatorin)、柽柳黄素(Tamarixetin)、蓟黄素(Cirsimaritin)、万寿菊甙-3-甲醚(Quercetagetin-3-methyl ether)、鼠李黄素(Rhamnetin)、泻鼠李黄素(Rhamnocitrin)等.   还含香豆素(Coumarin)、6-甲氧基-7-羟基香豆素(6-Methoxy-7-hydroxycoumarin)等香豆素类成分以及β-半乳糖甙酶(β-Galactosidace)、β-葡萄糖甙酶(β-Glucosidase)、β-谷甾醇(β-Sitosterol)、豆甾醇(Stigmasterol)和棕榈酸(Palmitic acid)等.

약리작용(药理作用)


1, 항학작용(抗疟作用)
 
动物实验证明: 青蒿乙醚提取中性部分和其稀醇浸膏对鼠疟、猴疟和人疟均有显著抗疟作用.青蒿素对疟原虫红细胞内期有杀灭作用,但对红细胞外期和红细胞前期无效.

鼠疟实验表明: 青蒿素的抗疟作用快,抑制作用明显增强.青蒿素的特点在于快速抑制原虫成熟.青蒿素的衍生物蒿甲醚及青蒿酯钠亦有抗疟作用,蒿甲醚乳剂的抗疟效果优于还原青蒿素琥珀酸钠水剂,对凶险型疟疾患者可能是更理想的剂型.

体外实验表明: 青蒿素可明显抑制恶性疟原虫无性体的生长,有直接杀伤作用.青蒿素的作用相当于氯喹的 1.13~1.16 倍.有报道指出,测试青蒿素、蒿甲醚及青蒿酯钠的抗疟效应表明:青蒿酯钠效果最好,为氯喹的16 倍,为青蒿素的14.3 倍,青蒿素和蒿甲醚的抗疟效果与氯喹相近.关于青蒿素及其衍生物青蒿酯钠的抗疟作用原理,有报道认为,其主要作用于疟原虫的膜系结构.它们首先作用于食物泡、表膜、线粒体,其次是核膜、内质网、核内染色物质等.由于干扰原虫表膜——线粒体的功能,可能阻止原虫消化酶解宿主的血红蛋白成为氨基酸,使疟原虫无法得到自身蛋白质的原料,很快产生氨基酸饥饿,迅速形成自噬泡,并不断排出虫体外,使疟原虫损失大量胞浆,导致虫体瓦解、死亡.青蒿酯钠进入体内后通过还原青蒿素抑制疟原虫表膜-食物泡膜、线粒体膜系细胞色素氧化酶的功能,从而阻断以宿主红细胞胞浆为营养的供应.因此,青蒿的抗疟作用原理,既不同于乙胺嘧啶、磺胺类药物那样干扰疟原虫的叶酸代谢;也不像奎宁、氯喹那样使疟原虫DNA 受抑制以干扰疟原虫的繁殖,而可能是抑制疟原虫表膜-食物泡膜、线粒体膜系细胞色素氧化酶的功能,而直接杀灭疟原虫.   

青蒿素抗疟的复发率较高.亦可诱发抗药性,但比氯喹慢得多.对鼠疟抗氯喹株显示低度交叉抗药性.有人认为,青蒿素与黄芪、党参配伍可降低复发率,与周效磺胺无协同作用.青蒿素伍用伯喹,二者有增效作用.青蒿素、周效磺胺、乙胺嘧啶、伯喹四药伍用一次疗法,有副反应轻、在体内有效浓度维持时间长等特点,既可弥补青蒿素排泄快,单剂或短疗程易复燃的缺点,亦可防止交叉抗药性,临床试验结果疗效显著.   

2, 항혈흡충작용(抗血吸虫作用)
 
小鼠实验表明: 青蒿素对血吸虫成虫有明显的杀灭作用,其促使虫体“肝移”时间虽较缓慢,但杀虫作用则较迅速,对雌虫的作用更为明显.青蒿素对小鼠、兔及猴的血吸虫病有较好疗效,减虫率可达 80.4%,且无副作用.但不能杀死动物体内的全部成虫.青蒿酯和蒿甲醚治疗感染血吸虫的小鼠及兔,疗效在 90%左右,但在治疗剂量时蒿甲醚能引起宿主肝脏较明显的损害.   

3, 항병원미생물적작용(抗病原微生物的作用)
 
青蒿水煎剂对表皮葡萄球菌、卡他球菌、炭疽杆菌、白喉杆菌有较强的抑菌作用,对金黄色葡萄球菌、绿脓杆菌、痢疾杆菌、结核杆菌等也有一定的抑菌作用.青蒿挥发油对所有皮肤癣菌有抑菌(0. 25%)和杀菌(1%)作用.青蒿酯钠对金黄色葡萄球菌、福氏痢疾杆菌、大肠杆菌、卡他球菌,甲型和乙型副伤寒杆菌等均有一定程度的抗菌作用;对铁锈色小孢子癣菌、絮状表皮癣菌也有抑制作用.青蒿中的谷甾醇和豆甾醇有抗病毒作用.青蒿素有抗流感病毒的作用.醇提取物在试管内对钩端螺旋体的抗菌浓度为7.8mg/ml,效力与连翘、黄柏、蚤休相似,而弱于黄连、荔枝草、黄芩与金银花.   

4, 해열(解热)、진통작용(镇痛作用)
 
青蒿注射液对百、白、破三联疫苗致热的家兔有明显的解热作用.青蒿、金银花组方制备的青银注射液,对伤寒、副伤寒甲乙三联菌苗致热的家兔,其退热作用较单味青蒿注射液显著.提示金银花和青蒿有协同解热作用.其退热特点迅速而持久,优于柴胡和安痛定注射液.   

5, 대심혈관계통적작용(对心血管系统的作用)
 
青蒿素对离体兔心灌注,有减慢心率、抑制心肌收缩力、降低冠脉流量的作用.青蒿素口服或静注,亦有减慢心率的作用.对于乌头碱所致的兔心率失常,青蒿素 8mg/kg 静脉注射无作用,20mg/kg 静脉注射有一定的抗心律失常作用.

青蒿素静脉注射对兔有降低血压的作用,其降压的主要机制是青蒿素对心脏的抑制作用所致.青蒿素的降压作用既不影响肾上腺素的升压反应,亦不受阿托品和苯海拉明的影响.提示青蒿素无肾上腺素α-受体阻断作用,亦无拟胆碱作用或组胺释放作用.   

6, 기타작용(其它作用) 

蒿甲醚能明显降低正常小鼠血清IgG含量、增加脾脏重量.蒿甲醚、青蒿素有促进脾TS细胞增殖功能,从而起到抑制IgG的作用.青蒿素50~100mg/kg 静脉注射后能显著提高小鼠腹腔巨噬细胞的吞噬率和吞噬指数.青蒿素可提高淋巴细胞的转化率,有促进机体细胞的免疫作用,并有某些抗病毒作用.青蒿琥酯可促进TS细胞增殖,抑制TE细胞产生,阻止白细胞介素及各种炎症介质的释放,从而起到免疫调节作用.黄花蒿水煎液氯仿提取物对大鼠有明显的利胆作用.黄花蒿中的挥发油和东莨菪素有明显的镇咳、平喘作用.青蒿素对兔和豚鼠离体回肠无作用,但能抑制乙酰胆碱或组胺引起的收缩.青蒿琥酯能显著缩短小鼠戊巴比妥睡眠时间.

药物动力学


青篙素及其衍生物的药代动力学:用放射免疫测定法检测,给狗静脉注射青蒿酯6mg/kg,测得T1/2为0.45小时;肌肉注射蒿甲醚油剂10mg/kg和30mg/kg,血药浓度达峰时间分别在给药后4.0、6.5小时,MRT值为7.0、9.2小时,注射较口服利用度高,青蒿素比蒿甲醚在血中消除时间快,可能是药效低的原因之一。   

药物进入机体,部分以游离形式到达靶部位发挥作用,相当一部分可与血浆蛋白结合。大、小鼠静脉注射H-蒿甲醚后,测放射性在肝内含量最高,其次在小鼠为肾及肾上腺,大鼠为肺和肾上腺。从尿和粪中排出,尿中可分出4个转化物,即氢化青蒿素、还原氢化青蒿素、五元环内酯甲酮化合物、9,1O-二羟基氢化青蒿素,均无抗疟作用,提示青蒿素体内代谢转化是一失活过程,其结构特征是失去过氧桥。编辑本段中医传承医学考证

1.陶弘景:草蒿,处处有之,即今青蒿,人亦取杂香菜食之。   

2.《蜀本草》:《图经》云,青蒿叶似茵陈蒿而背不白,高四尺许,四月、五月采苗,日干,江东人呼为卂蒿,为其臭似卂北人呼为青蒿。   

3.《本草图经》:青蒿,今处处有之。春生苗叶,至夏高三、五尺,秋后开细淡黄花,花下便结子,如粟米大,八、九月间采子,阴干。根、茎、子、叶并入药用,干者炙作饮香尤佳。   

4.《梦溪笔谈》:蒿之类至多。如青蒿一类,自有两种,有黄色者,有青色者,《本草》谓之青蒿,亦恐有别也。陕西、绥、银之间有青蒿,在蒿丛之间,时有一两株,迥然青色,土人谓之香蒿,茎叶与常蒿悉同,但常蒿色绿,而此蒿色青翠,一如松桧之色,至深秋,余蒿并黄,此蒿独青,气稍芬芳。恐古人所用,以此为胜。   

5.《本草蒙筌》:按谚云,三月茵陈四月蒿,人每诵之,只疑两药一种,因分老嫩而异名也,殊不知叶虽近似,种却不同。草蒿叶背面俱青,且结花实;茵陈叶面青背白,花实全无。况遇寒冬,尤大差异,茵陈茎于不雕,至春复旧干上发叶,因干陈老,故名茵陈;草蒿茎干俱雕,至春再从根下起苗,如草重出,乃名草蒿。发旧干者三月可采,产新苗者,四月才成,是指采从先后为云,非以苗分老嫩为说也。   

6.《本草纲目》:青蒿二月生苗,茎粗如指而肥软,茎叶色并深青,其叶微似茵陈,而面背俱青,其根白硬;七、八月间开细黄花,颇香;结实大如麻子,中有细子。   

7.《本草新编》:青蒿,味苦,气寒,无毒。入胃、肝、心、肾四经。专解骨蒸劳热,尤能泻暑热之火,愈风瘙痒,止虚烦盗汗,开胃,安心痛,明目辟邪,养脾气,此药最佳。盖青蒿泻火热,又不耗伤气血,用之以佐气血之药,大建奇功。可君可臣,而又可佐使,无往不宜也。但必须多用。因其体既轻,而性兼补阴,少用转不得力。夫人身最嫌火盛,泻火之药动必伤阴,欲其泻火不损阴者,原无多味,乌可置青蒿于无用之地耶。人身不离阴阳,火盛则阴不生,阳不长,阴阳既不生长,势必阴阳不交而身病矣。倘不平其火,而徒补其阳,则火盛而阳益旺;不平其火,徒补其阴,则水燥而阴愈衰。故无论补阴补阳,总以平火为先务。然火又宜养,而不宜平。火过旺,则阴阳不生;过衰,则阴阳又不长。必寓补于平之中,而后阳得之安,阴得之而泰也。

各家论述


1.《本草图经》:青蒿,治骨蒸劳热为最,古方多单用之。   

2.《本草新编》:青蒿,专解骨蒸劳热,尤能泄暑热之火,泄火热而不耗气血,用之以佐气血之药,大建奇功,可君可臣,而又可佐可使,无不宜也。但必须多用,因其体既轻,而性兼补阴,少用转不得力。又青蒿之退阴火,退骨中之火也,然不独退骨中之火,即肌肤之火,未尝不共泻之也,故阴虚而又感邪者,最宜用耳。又青蒿最宜沙参、地骨皮共用,则泻阴火更捷,青蒿能引骨中之火,行于肌表,而沙参、地骨皮只能凉骨中之火,而不能外泄也。   

3.《本经逢原》:青蒿亦有两种,一种发于早春,叶青如绵茵陈,专泻丙丁之火,能利水道,与绵茵陈之性不甚相远;一种盛于夏秋,微黄似地肤子,为少阳、厥阴血分之药,茎紫者为良。   

4.《重庆堂随笔》:青蒿,专解湿热,而气芳香,故为湿温疫疠要药。又清肝、胆血分之伏热,故为女子淋带、小儿痉痫疳NI神剂,《本草》未言,特为发之。   

5.《神农本草经》:主疥瘙痂痒,恶疮,杀虱,留热在骨节间,明目。   

6.《唐本草》:生挼敷金疮,大止血,生肉,止疼痛。   

7.《食疗本草》:益气,长发,补中,明目,煞风毒。治骨蒸。烧灰淋汁,和石灰煎,治恶疮瘢靥。   

8.《本草拾遗》:主妇人血气,腹内满,及冷热久痢。秋冬用子,春夏用苗,并捣绞汁服。亦暴干为末,小便冲服。如觉冷,用酒煮。   

9.《日华子本草》:长毛发,发黑不老,兼去蒜发,心痛热黄,生捣汁服并敷之。泻痢,饭饮调末五钱匕。   

10.《滇南本草》:去湿热,消痰。治痰火嘈杂眩晕。利小便,凉血,止大肠风热下血,退五种劳热,发烧怕冷。

11.《本草纲目》:治疟疾寒热。   

12.《本草新编》:退暑热。   

13.《生草药性备要》:治小儿食积,洗疥癞。   

14.《医林纂要》:清血中湿热,治黄疸及郁火不舒之证。

青蒿历史


青蒿古名“菣”(qìn),意为“治疗疟疾之草”。   

自古以来,中国各地中医草医使用数种不同的蒿草以“青蒿”入药。但从1593年出版李时珍《本草纲目》至1975年的近400年的历史中,青蒿( 又名香蒿,拉丁学名Artemisia apiacea Hance)一直被尊为正品,稳居‘太子’之位。其它均为赘品( 假药)。   在中医药千年的历史中,现今大名鼎鼎的黄花蒿( 又名臭蒿,拉丁学名Artemisia annua L.)连假药资格都没有,因为它的苦味较大,很难当成青蒿( 香蒿)来卖钱。老百姓只是用它来薰薰蚊子而已。公元1990年,黄花蒿忽然时来运转,摇身一变取代了青蒿的‘太子’的地位,一举成名天下知。   要说臭蒿“狸猫换太子”一事,就要追溯到20世纪下叶。1959年,越共中央委员会决定武装统一越南,并派遣大量军事人员前往南越组织武装颠覆。1961五月,应南越吴廷琰政府要求,美国肯尼迪总统派遣了一支特种部队进驻南越,标志着越战的开始。作为社会主义国家的前苏联和中国绝对不会袖手旁观,全力以赴地支持北越政府。越战逐步升级,越打越烈。   60年代中期,除了提供大批物质金钱支援越南北方政府以外,中国政府派遣中国人民解放军6886部队秘密入越参战。身上没有任何中国人民解放军的标志,解放军战士身着越南人民军的黄绿色军装,头戴胡志明帽,在越南的丛林中周旋。战士们纷纷感染疟疾,其中恶性疟疾死亡率极高,极大地影响战斗力。但是当时抗疟特效药氯喹已经产生抗药性,医护人员对战斗人员大量减员一筹莫展,毛泽东主席和中央军委对此十分关注。与此同时,越共军队也因患疟疾大量减员,越共中央胡志明主席请求中国政府代为研究寻找能替代氯喹治疗疟疾的新药。   1967年5月23日,毛泽东下令在全国范围内开展研究工作,要寻找能够替代氯喹治疗疟疾的新药。周恩来总理直接参与,国务院专门成立“5.23”办公室。卫生部中医研究院中药研究所、山东省中医药研究所、云南省药物研究所等数十家国家级和省市级的研究机构在各大军区所属的“5.23”办公室领导下,承担了这项当时较为秘密和重大的科研工作。1967年5月至1972年底的五年中,各地承担5.23项目的科研人员把中医药老祖宗几千年留下来的瓶瓶罐罐翻了个底朝天,检验了无数的中草药治疗疟疾的成方、单方、验方、秘方。花掉了以亿元计算的人民币,大量的人力物力,结果是一无所作获。如果不是一个偶然的事件的发生,今人何以评说就不得而知了。   当年“5.23”工程的盛况可窥一斑。“根据全国“五二三”项目领导小组的统一安排,云南省于1971年成立了“昆明五二三领导小组”,以昆明军区后勤卫生部、省卫生厅、省科委等单位为成员,部队和地方共有30多个科研机构参加,直接参与研究工作的科研人员前后约320多人;全省涉及16个地州的30多个县,1400多个生产队,搜集民间抗疟疾中草药单方、验方4300余个;其它省主要参与研制的单位有6个,主要协作单位有39个。一场全国性协作、全国集团军式的“抗疟”战斗悄无声息地展开了。”   “在大量查阅“本草”记载及其它医药典籍、资料的基础上,科班出身的科研人员积极向民族、民间医生收集治疗“打摆子”单方、验方及驱蚊、灭蚊的方法。在搜集、整理、采集、试验研究后,把注意力逐步集中到了中药“常山”及马兜科植物“金不换”、“管兰香”上,这些药物虽具有明显的抗疟效果,但遗憾的是又具有无法克服的毒性。”   车到山疑无路,柳暗花明又一村。一个偶然事件的发生改写了中药青蒿的历史。1972年底,云南“5.23”领导小组办公室主任傅良书,副主任周建波,李舒从北京参加完全国“5.23”会议回来,向科研人员传达时提到,北京中医药研究院中药研究所发现青蒿的粗提取物有边缘抗疟作用,但前景不看好,已停止了对此研究,建议他们筛选一下本地的蒿属植物进行研究。   “1973年新年,罗泽渊到家住云南大学的朋友家玩,在云大校园里意外地发现了许多苦蒿”。“抱着试一试的想法,采了一大把抱回药物研究所。之后,她制备了苦蒿不同溶剂的提取物,顺利地分得了数种结晶成份。当从事多年抗疟药药效学筛选工作的黄衡看到编号为结晶体三的化合物过筛结果时,惊讶地发现,原本被感染得呈“满天星”状的小鼠血片中,疟原虫竟全部消失了。“会不会只是一个偶然”,黄衡惊喜之余冷静地提醒自己。但是,多次试验结果重现后,他激动了,“这不是偶然,我们真的找到有效的抗疟成分了。”黄衡把这份意外之喜告诉了组里的其它成员。一时间,全体人激动难抑,多年的努力没有白费,总算看到了一线希望之光。”   “经过进一步的经药效学、药理学研究,到三月底,课题小组成员们证明了苦蒿结晶三确实具有高效、低毒抗鼠疟的特点。与此同时,罗开均将苦蒿的植物标本送请著名分类专家吴征镒教授鉴定,定名为菊科蒿雪大头黄花蒿。因此,他们将该结晶命名为黄花蒿素。“戚育芳告诉大家说四川的青蒿也是黄花蒿,开花期比云南晚,说不定四川会有。没有耽搁,戚育芳和詹尔益马上打点行装赶赴重庆。得知重庆市医药公司正准备处理一批不合格的青蒿药材。大喜过望之下,他们一口气买下了500公斤,回到所里加工提取,发现这批蒿中的有效成份很多,可以从中提取大量的结晶。” 黄花蒿素的发现为‘假青蒿’黄花蒿中若干年后“狸猫换太子”奠定了坚实的基础。

药方选录


1.治疗虚劳盗汗、烦热、口干:青蒿一斤 取汁熬膏入人参末、麦冬末各一两 熬至可丸丸如梧桐子大.每食后米饮下二十丸.(《圣济总录》青蒿丸)   

2.治疗赤白痢下:青蒿、艾叶等份.同豆豉捣作饼 日干.每用一饼以水一盏半煎服.(《圣济总录》蒿豉丹)   
3、治疗暑毒热痢:青蒿叶一两 甘草一钱.水煎服.(《圣济总录》)   

4.治疗虚劳久疟:青蒿捣汁煎过 如常酿酒饮.(《本草纲目》)   

5.治疗疟疾寒热:青蒿一握以水二升渍 绞取汁尽服之.(《补缺肘后方》)   

6.治疗温病夜热早凉 热退无汗热自阴来者:青蒿二钱 鳖甲五钱细生地四钱 知母二钱丹皮三钱.水五杯 煮取二杯日再服.(《温病条辨》青蒿鳖甲汤)   

7.治疗鼻中衄血:青蒿捣汁服之 并塞鼻中.(《卫生易简方》)   

8.治疗酒痔便血:青蒿(用叶不用茎 用茎不用叶)为末粪前(便血用)冷水、粪后(便血用)水酒调服.(《永类钤方》)   

9.治疗蜂螫人:青蒿捣敷之.(《补缺肘后方》)   

10.治少阳三焦湿遏热郁,气机不畅,胸痞作呕,寒热如疟者:青蒿脑钱半至二钱,淡竹茹三钱,仙半夏钱半,赤茯苓三钱,青子芩钱半至三钱,生枳壳钱半,陈广皮钱半,碧玉散(包)三钱。水煎服。(《通俗伤寒论》蒿芩清胆汤)    

11、治骨蒸劳,体瘦、发渴、寒热:青蒿一斤(取叶曝干,捣罗为末),桃仁一斤(酒浸,去皮尖,麸炒令黄。研烂),甘草半(五)两(生捣罗为末)。另以童子小便三斗,于瓷瓮中盛,于糠火上煎令如稀饧,却倾于铜器中,下诸药,又于糠火上煎,以柳木篦搅之,看稀稠得所,候可丸,即丸如梧桐子大,以粗疏布袋盛。每日空心温童子小便下三十丸,日晚再服。(《圣惠方》青蒿圆)   

12.治劳瘦:青蒿(细锉)嫩者一升,以水三升,童子小便五升,同煎成膏,丸如梧桐子大。每服十丸,温酒下,不以时。(《鸡峰普济方》青蒿煎)   

13.治温疟痰甚,但热不寒:青蒿二两(童子小便浸焙),黄丹半两。为末。每服二钱,白汤调下。(《仁存堂经验方》)   

14.治阑尾炎、胃痛:青蒿、毕拨等量。先将青蒿焙黄,共捣成细末。早、午、晚饭前白开水冲服,每次二克。(内蒙古《中草药新医疗法资料选编》)   

15.治聤耳脓血出不止:青蒿捣末,绵裹纳耳中。(《圣惠方》)   

16.治牙齿肿痛:青蒿一握,煎水漱之。(《济急仙方》)   

17.治金疮扑损: ① 青蒿捣封之。 ② 青蒿、麻叶、石灰等分。捣和晒干,临时为末搽之。(《肘后方》)

营养知识

[青蒿知识介绍]

青蒿为菊科植物黄花蒿的地上部分。花蕾期采收,割取地上部分,切碎,晒干。   青蒿茎圆柱形,上部分枝,长30至80厘米,直径0.2至0.6厘米;表面黄绿色或棕黄色,具纵棱线;质略硬,易折断,断面中部有髓。叶互生,暗绿色或棕绿色,卷缩易碎,完整者呈三回羽状深裂,小裂片矩圆形或长椭圆形,两面被短毛。气香特异,味微苦。以色绿,叶多,香气浓者为佳。  

[青蒿补充信息]


根据炮制方法的不同分为青蒿、鳖血青蒿、炒青蒿,炮制后贮干燥容器内,鳖血蒿密闭,置阴凉干燥处,防蛀。

[青蒿适合人群]


脾胃虚寒者慎服。   

[蒿食疗作用]


青蒿味苦、微辛,性寒,归肝、胆、肾经,芬芳清冽,透内内外 具有清热退蒸,清暑截疟,除湿杀虫的功效   主治阴虚潮热骨蒸,外感温热暑湿,头目昏晕,疟疾,黄疸,泻痢,疥癣,皮肤瘙痒。   

[青蒿食物相克]


青蒿忌与当归、地黄同用。   

[青蒿做法指导]


青蒿常与藿香、佩兰、滑石等用于外感暑热;和黄芩、半夏、竹茹等用于温热病寒热往来及疟疾等症。用于阴虚发热或原因不明的低热,常和秦艽、鳖甲、地骨皮等同用。用于夏季感受暑热,常配银花、连翘同用;治疗多种虚热,如骨蒸劳热、盗汗、温病热入阴分,亦可治疗久热不退及小儿夏季热,该品治疗疟疾发热疗效颇佳,常配鲜荷叶、鲜竹叶、金银花、滑石甘草、西瓜翠衣等配伍;该品苦寒清热,辛香透散,善使阴分伏热透达外散,为阴虚发热要药。此外,兼有解暑、截疟之功,常与茵陈、栀子、黄连、黄柏、蛇床子、苦参等配伍。编辑本段

地理名称


“青蒿”又为地名,在山西吕梁境内,化属中阳县。编辑本段

基因工程

研究人员将基因插入大肠杆菌中以合成治疗疟疾的青蒿素前体物质采用新老结合的方式,一种源自植物的名为青蒿素artemisinin的药物目前被用来有效地治疗抗药性疟疾。如果用从菊科类黄花蒿中提取的青蒿素来治疗疟疾,每一成人剂量的药约需1.5美元,这在疟疾死亡人数最多的非洲地区,大多数人是负担不起的。这种从自然界直接提取的青蒿素对发展中国家的许多疟疾患者而言太昂贵了,但一项精细的基因工程计划有望提供更为廉价的以青蒿素为基础的抗疟治疗。据世界卫生组织(WHO)报道,全世界每年因感染疟疾而死亡的人数多达100多万。引起疟疾的寄生虫恶性疟原虫对于传统的抗疟药已经产生了抗药性,而青蒿素及其衍生物被认为是治疗抗药性疟疾的有效方法。2003年4月,自愿的医疗团体枣医生无国界组织呼吁开展国际性援助以促进"以青蒿素为基础的联合治疗方案(artemisinin-based combination therapy, ACT)的迅速实施,该治疗方案是由WHO推荐并证实是有效的。“ACT方案”是通过青蒿素配合其他作用机制的传统抗疟药来治疗疟疾。词条图册更多图册词条图片(8张)

[参考资料]


1,  青蒿的鉴别方法 .康美中药网[引用日期 2012-07-19].

扩展阅读:

1, 中医中药大全: http://www.zhongyiwang.net.cn/

2, 青蒿的功效与作用: http://www.aizhongyao.com/index.php?doc-view-216.html

开放分类: 健康,医疗,植物,中草药,全草.
]

개사철쑥으로 질병을 치료하는 방법은 아래와 같다.

<전초>


1, 온병(溫病)으로 밤에는 열이 나며 아침에는 식으나 그 열이 안에 쌓여 있는 증상

개사철쑥 2돈, 별갑(鱉甲) 5돈, 세생지(細生地) 4돈, 지모(知母) 2돈, 단피(丹皮) 3돈을 물 5컵을 넣고 달여 2컵이 되게 한 후 매일 복용한다. [온병조변(溫病條弁), 청호별갑탕(菁蒿鱉甲湯)]

2, 소양삼초(少陽三焦)의 습갈열울(濕渴熱鬱), 기기불창(氣機不暢), 구토를 동반하는 흉비(胸
), 학질과 같은 오한과 발열이 있는 증상
청호뇌(菁蒿腦) 1.5~2돈, 담죽여(淡竹茹) 3돈, 선반하(仙半夏) 1.5돈, 적복령(赤茯
) 3돈, 청자금(靑子芩) 1.5~3돈, 생지각(生枳殼) 1.5돈, 진광피(陳廣皮) 1.5돈, 싼 벽옥산(碧玉散) 3돈을 달여 복용한다. [통속상한론(通俗傷寒論), 호금청담탕(蒿芩淸膽湯)]

3, 골증노(骨蒸勞), 체수(體瘦), 발갈(發渴), 한열(寒熱)
개사철쑥(잘 마른 잎을 찧어 체에 친 가루) 1근, 도인(桃仁: 술에 담가 껍질과 끝을 제거하고 누렇게 볶은 후 가루낸 것) 1근, 감초(날 것을 찧어서 체에 친 가루) 반 냥, 젖먹이 사내아이의 소변 3말을 독에 넣고 약한 불에서 달여 물엿처럼 되게 한 후 구리그릇에 넣고 약을 넣어 다시 약한 불에 달여 벽오동씨 크기의 환을 밎어 거친 자루에 넣어 둔다. 매일 공복에 사내아이의 소변을 따뜻하게 하여 30환을 복용한다. [태평성혜방(太平聖惠方), 청호원(菁蒿圓)]

4, 노수(勞瘦)

개사철쑥(어리고 부드러운 것을 채썬 것) 1되를 물 3되, 젖먹이 사내아이의 소변 5되를 달여 고(膏)로 하여 벽오동씨 크기의 환을 짓는다. 1회 수시로 10환을 복용한다. [계봉보제방(鷄峰普濟方), 청호전(菁蒿煎)]

5, 허로(虛勞), 도한(盜汗), 번열(煩熱), 구건(口乾)

개사철쑥 1근을 즙을 내어 인삼 가루, 맥동(麥冬) 가루를 각 1냥을 넣고 달여 벽오동씨 크기의 환을 지어 식후에 미음으로 20환을 복용한다. [성제총록(聖濟總錄), 청호환(菁蒿丸)]

6, 학질한열(
寒熱)
개사철쑥 한 줌을 물 2되에 담갔다가 짜낸 즙을 전부 복용한다. [보결주후방(補缺
後方)]

7, 허로구학(虛勞久
)
개사철쑥을 찧은 즙을 끓여 술에 담가 두었다가 복용한다. [본초강목(本草綱目), 청호주(菁蒿酒)]

8, 담(痰)이 심하여 열이 있을 뿐 한(寒)이 없는 온학(溫
)
개사철쑥(젖먹이 사내아이의 소변에 담갔다가 볶은 것) 2냥, 가루낸 황단(黃丹) 반 냥을 1회 2돈을 끓인 물로 복용한다. [인존당경험방(仁存堂經驗方)]

9, 소양학질(少陽
疾), 저녁에 열이 나고 아침에 내려가며 땀을 흘리고 목이 말라 갈증이 나며 맥좌현열(脈左弦熱)이 한쪽으로 기울어져 중한 증상
개사철쑥 3돈, 지모(知母) 2돈, 뽕잎 2돈, 별갑(鱉甲) 5돈, 단피(丹皮) 2돈, 화분(花粉) 2돈을 물 5컵으로 달여 2컵이 되게 하여 발작하기 전에 2회에 나누어 온복한다. [탕병조변(湯病條弁)]

10, 적백리(赤白痢)

개사철쑥과 애엽(艾葉) 등분을 두시(豆
)와 같이 찧어 떡모양으로 하여 햇볕에 말린 것을 1회 1개를 물 1컵 반을 넣고 달여서 복용한다. [성제총록(聖濟總錄), 호고단(蒿鼓丹)]

11, 서독열리(暑毒熱痢)

개사철쑥잎 1냥, 감초 1돈을 물로 달여 복용한다. [성제총록(聖濟總錄)]

12, 난미염(
尾炎), 위통(胃痛)
개사철쑥, 필발(
蓽茇) 같은 양을 준비하여 먼저 개사철쑥을 누렇게 볶아서 함께 가루낸다. 아침, 점심, 저녁 식전에 1회 2g을 끓인 물로 복용한다. [내몽고(內蒙古), 중초약신의료법자료선편(中草藥新醫療法資料選編)]

13, 주치변혈(酒痔便血)

개사철쑥(잎을 쓰면 줄기는 버림, 혹은 줄기를 쓰면 잎은 버림)가루, 배변 전에는 찬물로, 배변 후에는 물과 술로 복용한다. [영류검방(永類
方)]

14, 비중(鼻中) 출혈

개사철쑥을 찧어 즙을 복용함과 동시에 비공(鼻孔)에 넣는다. [위생이간방(衛生易簡方)]

15, 정이(
耳)로 인해 피고름이 멎지 않는 증상
개사철쑥가루를 솜에 싸서 귀에 넣는다. [태평성혜방(太平聖惠方)]

16, 치아 종통(腫痛)

개사철쑥 한 줌을 달인 탕액으로 양치질한다. [제급선방(濟急仙方)]

17, 벌에 쏘인 상처

개사철쑥을 찧어 바른다. [보결주후방(補缺
後方)]

18, 금창(金瘡), 타박상

① 개사철쑥을 찧어 상처에 붙힌다.
② 개사철쑥, 마엽(麻葉), 석회(石灰) 같은 양을 함께 찧어 햇볕에 말려 두고 치료할 때마다 바른다. [주후방(
後方)]

<씨앗>


19, 적열안삽(積熱眼
)
개사철쑥꽃이나 씨앗을 채취하여 응달에서 말려 가루내어 정화수로 빈속에 2돈식 복용한다. [십편양방(十便良方), 청금산(靑金散)]

<뿌리>


20, 허로발열(虛勞發熱)

개사철쑥 뿌리 1돈, 지골피(地骨皮) 1돈, 볶은 시호근(柴胡根) 1돈, 구운 별갑(鱉甲) 1돈, 석곡(石斛) 1돈, 인경약(引經藥)으로는 청명류(淸明柳) 1돈을 달여서 사내아이 소변을 조금 넣어 복용한다. [전남본초(
南本草)]

21, 풍습성 관절염

개사철쑥 뿌리 5돈~1냥, 우모(牛毛) 혹은 저각(猪脚) 7촌(寸)을 두 시간 가량 끓여서 식전에 복용한다. [민동본초(
東本草)]

22, 대장하혈(大腸下血)

개사철쑥 뿌리를 물로 달여서 복용한다. [전남본초(
南本草)]

<청호두충(靑蒿
蟲)>

23, 급, 만성 경풍

개사철쑥 줄기속에 사는 벌레를 주사(朱砂), 홍분(
粉), 각 5푼과 함께 찧어서 좁쌀 크기의 환을 지어 나이 숫자만큼 유즙으로 복용한다. [본초강목(本草綱目)]

24, 흰머리를 검게하는데, 혈액순환, 관절염, 근골통, 중이염, 대소변을 잘나가게 하는데, 피로회복, 변비, 다이어트 등......
[2013년 8월 31일 현재 체험담]

[개사철쑥을 달여 먹고 각종 질병을 치유한 류인규 약사모 회원의 놀라운 체험담

“무식이 큰일을 낸다”고 하지요.

저는 김해에 살고 있는 68세 류인규라는 사람입니다. 우연히 TV를 보다

개똥쑥에 관하여 그 약의 효능을 알게 되었습니다. 약 60년의 제 기억을 더듬어 고향으로 무작정 찾아나섰지요. 하지만 제가 생각했던 개똥쑥은 어디에도 없었습니다. 옛날에는 냇가나 습지에 흔히 볼 수 있었는데...

이런저런 곳을 정처없이 찾아해매다 몇 몇 군데에서 그 쑥을 찾을 수 있었습니다. 알고보니 개발되지 않은 옛 그대로의 생태 속에만 자생하고 있다는 것을 알게되었습니다.

집으로 돌아와 쑥의 순한 순을 따서 삶은 물에 데쳐 먹었는데 향과 식감이 넘 좋았습니다. 그러다 쑥의 그 삶은 물색이 좋아 맛을 보니 넘 향이 좋고 목 넘김 이후 은근히 몸 속에서 박하와 같은 시원한 느낌이 들었습니다. 쑥을 차로 마시면서 처음에는
대. 소변을 시원하게 보았고, 먹기 시작한 3일 후 아침부터는 눈을 뜰 때에 정신이 맑아지고 피로감이 덜 하다는 걸 바로 느꼈습니다. 그래서 저희 집사람에게 권했습니다. 제법 심한 변비였는데, 역시 숙변이 제거 되면서 최근에는 매일 쾌변을 보는 효과를 보았습니다.

그때 갑자기 제 여동생이 생각이 났습니다. 2002년에 뇌출혈로 수술을 받아서 곁으로 보기엔 별 후유증이 없어보였지만, 생활 속에서 단어가 빨리 인식하지 못하는 증상, 다리에 감각이 잘 없어서 혈액 순환제를 복용하는 것을 알고 있었습니다. 여동생은 의심의 여지도 없이 쑥 다린 차를 마시기 시작해서 5일쯤이 지나 연락이 왔습니다.
감각이 없던 다리에 조금씩 감각이 생긴다는 것이었슶니다. 저는 너무 기뻐 개사철쑥을 더 구하기 위해 열심히 다녔습니다.

그러던 어느날 청천벽력 같은 소리를 들었습니다. 개똥쑥은 아주 쓰다는 것을 확인하고 일단 쑥차 마시는 것을 중단했습니다. 제가 먹고 있는 이 쑥차는 보리차처럼 먹기가 좋았습니다. 그래서 저는 이 쑥은 어떤 쑥인지 알기위해 또 백방으로 뛰어 다녔습니다.

민원도 넣었습니다.“너무 좋은 약인데 자세히 알고 싶다”고 말이죠... 몇 주후, 이것은
<개사철쑥>
이란 결과를 통보 받았습니다. 곧 저는 자녀들의 도움으로 인터넷을 검색했습니다.

그러다 동아대학 대체의학 외래교수 전동명 교수님의 글을 보고, 보다 구체적으로 개사철쑥이 얼마나 좋은 대체의약임을 알게되었습니다.

저는 이 쑥을 차로 마시기를 거의 3개월이 지난 지금!
흰 머리카락이 검게 나기 시작하면서 염색을 하지 않고, 또한 옛날부터 중이염을 앓았는데, 지금은 고름이 사라졌답니다. 물론 저희 집사람은 염증이 있던 관절이 확실히 좋아져서 1시간은 쉽게 걷는 운동을 하고 있습니다. 물론 제 여동생은 인지능력이 많이 빨라져 지금은 그런 증상이 거의 나타나지 않는다고 합니다. 체중도 개사척쑥을 먹기 전에는 66kg이었는데, 현재는 63kg으로 다이어트 효과까지도 체험을 하게 되었습니다.

정말 먹어 보지 않고서는 그 효능을 다 말 할 수 없는 부분이 많습니다.

이렇게 글로 적는 일이 넘 힘드네요......

우리 모두 건강하게 100세까지 무병장수합시다!! 화이팅!]

[각가(各家)의 논술(論述)]


<전초>


1, <본초도경(本草圖經)>:  
"청호(菁蒿)는 골증노열(骨蒸勞熱)하는데 가장 좋아 고방(古方)에서는 단용(單用)하는 경우가 많았다."

2, <본초신편(本草新編)>:
"청호(菁蒿)는 골증노열(骨蒸勞熱)을 전문으로 풀며 특히 서열(暑熱)의 화(火)를 배출시키는 작용이 있다. 화열(火熱)을 설(泄)하지만 기혈(氣血)을 소모하지 않으므로 이것을 기혈약(氣血藥)의 좌(佐)로 쓰면 매우 크게 효과를 볼 수 있다. 군(君)도 되고 신(臣)도 되며 또한 좌(佐), 사(使)로 하여도 모두 좋다.

그러나 그 체(體)가 가볍고 성질이 보음(補陰)을 겸하고 있으므로 조금 써서는 효과를 볼 수 없다. 청호(菁蒿)가 음화(陰火)를 물리친다고 하는 것은 골중(骨中)의 화(火)를 물리친다고 하는 것이다.

그러나 단순히 골중(骨中)의 화(火)뿐만 아니라 피부의 화(火)도 함께 사(瀉)한다. 그러므로 음허(陰虛)하고 사(邪)를 느낀 사람에게는 가장 적합한 것이다. 또한 청호(菁蒿)는 사삼(沙參), 지골피(地骨皮)와 함께 사용하면 음화(陰火)를 사(瀉)하는 것이 빨라지므로 더욱 좋다. 청호(菁蒿)는 골중(骨中)의 화(火)를 인도하며 기표(肌表)로 내보내는데 사삼(沙參), 지골피(地骨皮)는 다만 골중(骨中)의 화(火)를 서늘하게 할 뿐으로 밖으로 설(泄)하는 작용은 없다."

3, <본경봉원(本經逢元)>:
"청호(菁蒿)도 두 가지가 있는데 하나는 이른 봄에 싹이 트고 잎이 면인진(綿茵陳)과 같이 청색이며 병정(丙丁)의 화(火)를 사(瀉)하고 수도(水道)를 이롭게 하며 면인진(綿茵陳)의 성질과 그다지 차이는 없다. 다른 한 가지는 하추(夏秋)에 무성하게 자라는데 지부자(地膚子)처럼 약간 황색이며 소양(少陽)과 궐음(厥陰)의 혈분(血分)의 약이 된다. 줄기가 자색인 것이 품질이 좋다."

4, <중경당수필(重慶堂隨筆)>:
"청호(菁蒿)는 습열을 전문으로 풀어주며 기(氣)는 방향성(芳香性)이므로 습온역려(濕溫疫)의 주요한 약이다. 또 간(肝), 담(膽)의 혈분(血分)의 복열(伏熱)을 청(淸)하게 하므로 여자의 임대(淋帶), 소아경간감닉(小兒痙癎疳)의 아주 좋은 약이다. <본초(本草)>에는 서술되어 있지 않으므로 기재해 둔다."

<씨앗>


<본초정의(本草正義)>: "청호자(菁蒿子)는 오로지 골증(骨蒸)을 치료한다. 모든 종자는 중(重)하기에 이증(裏證)을 다스린다. 그리고 향기는 혈중(血中)의 체(滯)를 통하게 한다. 이것은 대고대한(大苦大寒)이 생성되는 기(氣)를 제거해 버리는 것과는 다르다."

[비고(備考)]


<전초>

1, <도홍경(陶弘景)>:
"초호(草蒿)는 도처에 있다. 이것은 지금의 청호(菁蒿)인데 사람들은 향채(香菜)로 혼돈하여 이것을 먹는다."

2, <촉본초(蜀本草)>:
"본초도경<本草圖經>에서는 청호엽(靑蒿葉)은 인진호(茵陳蒿)와 비슷하나 뒷면이 희지 않고 높이는 4자 정도이며 4, 5월에 묘(苗)를 취하여 햇볕에 말린다. 강동(江東) 사람이 신호(img1.jpg蒿)라고 부르는 것은 그 냄새가 신(img1.jpg: 족제비)과 비슷하기 때문이다. 북방 사람들은 청호(菁蒿)라 한다고 기재되어 있다."

3, <본초도경(本草圖經)>:
"청호(菁蒿)는 지금 어느 곳에나 있다. 봄에 싹이 나오고 여름에 3~5척이 되며 가을이 끝날 무렵에 연한 황색의 꽃이 피며 꽃 밑에 좁쌀 크기의 씨가 맺는다. 8, 9월에 종자를 채집하여 그늘에서 말린다. 뿌리, 줄기, 씨와 잎을 함께 약용하며 마른 것은 볶아서 음료로 마시면 향기가 특히 좋다."

4, <몽계필담(夢溪筆談)>:
"호(蒿)에는 종류가 매우 많다. 청호(菁蒿)의 한 종류만 해도 황색과 청색이 있는데  <본초(本草)>에서 청호(菁蒿)라고 한다. 본초서(本草書)에서 말하는 청호(菁蒿)에도 필시 구별법이 있을 것이다. 중국의 섬서(陝西), 주(州), 은주(銀州) 사이에 청호(菁蒿)가 있으며 호총(蒿叢) 속에서 자라고 1, 2주(株)가 특별히 청색을 띠는 것이 있는데 그 고장 사람들은 향호(香蒿)라 한다.

줄기와 잎은 보통 녹색인데 비하여 이 호(蒿)는 청취색이며 송(松)이나 회(檜)의 색을 띠고 있다.

늦은 가을이면 보통 쑥은 누렇게 되나 청호(菁蒿)는 청색이며 약간의 향기가 있다. 옛 사람들이 쓴 것은 아마 이러한 이유 때문일 것이다."

5, <본초몽전(本草蒙筌)>:
"속담에 의하면 3월은 인진(茵陳), 4월은 호(蒿)라고 했는데 이 양엽(兩葉)은 노약(老若)의 차이에 의해 명칭이 다른 게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들지만 잎은 비슷하나 종자가 같지 않다는 것을 전혀 모르고 있다.

초호(草蒿)는 잎의 양면이 모두 청색이며 화실(花實)이 달린다. 인진(茵陳)의 잎은 겉은 푸르고 안은 희며 화실(花實)이 다 없다. 추운 겨울이 되면 차이는 두드러진다.

인진(茵陳)은 줄기가 마르지 않고 봄, 여름이 되면 묵은 가지에서 새잎이 나온다. 가지가 진구(陳舊)이므로 인진(茵陳)이라 이름붙인 것이다. 초호(草蒿)의 경간(莖幹)은 모두 마르고 봄이 되면 뿌리에서 싹이 나오는데 풀과 같이 다시 나오므로 초호(草蒿)라고 이름붙인 것이다. 묵은 경간(莖幹)에서 나온 것은 3월에 채집하여 새싹이 나온 것은 4월에 자라므로 약으로 쓸 수 있다.

채집은 그 선후의 시기를 논했을 뿐, 싹이 성숙한 것이지 어린 것인지로 구분한 것은 아니다."

6, <본초강목(本草綱目)>:
"청호(菁蒿)는 2월에 싹이 나고 줄기는 손가락 정도로 굵고 연하며 경엽의 색은 모두 짙은 청색으로 그 잎은 인진(茵陳)과 비슷한데 안과 겉이 모두 푸르고 뿌리는 희고 단단하다.

7, 8월에 작고 노란 꽃이 피며 매우 향기롭다. 씨는 깨알 크기이고 그 중에는 작은 것도 있다."

<청호두충(靑蒿蟲)>

<본초강목>:
"청호(菁蒿)의 절간충(節間蟲)은 형상이 누에와 비슷하며 시간이 지나면 밤나방이 된다."

[개사철쑥 재배법]

1, 기후와 토양:
따뜻하고 약간 습기가 축축한 기후를 좋아하고 물빠짐이 좋은 사질 양토가 적합하다.

2, 심기:
종자로 번식시킨다. 싹틔우기는 비닐하우스에서 1~2월중에, 자연조건에서는 2~3월경에 사질 양토에 물을 충분히 준후 땅을 고르게 한뒤 고운 마사토나 고운 모래에 씨를 섞어서 골고루 흙 위에 뿌리고 넙적한 나무판으로 씨를 뿌린 위를 살짝 살짝 두드려 준다. 씨를 뿌린 위에 두껍게 흙을 덮으면 절대로 안된다. 왜냐하면 개똥쑥씨는 너무 작아서 두껍게 흙을 덮으면 싹이 올라올 수 없다. 씨를 뿌린후 물을 물뿌리개로 강하게주면 씨앗이 물에 떠내려가 한쪽으로 씨앗이 몰릴 수 있으므로 곱게 분무식으로 안개처럼 물을 주어야 한다.

일주일에서 14일 정도 되면 발아하는데, 어린싹이 손가락크기로 자라면 포트에 한포기씩 옮겨 심는다. 이제 포트에서 크기가 손 바닥 높이로 자라면 밭두둑을 만들어 실외로 옮겨서 포기 사이의 간격은 50~100cm 가량으로 하여 옮겨 심는다.

이렇게 하여 가끔씩 잡초를 제거해 주면 가지를 치면서 높이가 잘 자라면 1~2.5미터 높이까지 자란다.

3, 수확:
수확은 꽃이 피기 전에 가장 무성할 때가 좋다. 왜냐하면 꽃이 피고 익을 때는 벌써 전초가 말라서 줄기까지 시들어 버리기 때문이다. 씨앗을 받을려면 꽃이 만개한 뒤 열매가 영근 후 채취하여 씨를 받는다. 식용으로 나물이나 무침 등으로 사용할 때는 10~30cm 정도 자랐을 때 채취하면 나물이 연하고 부드럽다.

뿌리로 술을 담그기 위해서는 개사철쑥이 봄철에 30~40cm 정도 성장하여 꽃이 피기 전까지 뿌리를 캐어 깨끗이 씻은 후 30~56도 정도 되는 술에 담가 6개월 이상 숙성시킨 후 소주잔으로 한잔씩 취침 전에 약주로 마시면 좋다. [jdm 체험담]

조물주는 인류에게 쑥의 종류를 이땅에 풍부하게 자라게 하시고 훌륭한 먹거리와 향기를 맡으면서 살아갈 수 있도록 주셨다. 다른 쑥과 마찬가지로 개사철쑥도 지구촌에 살아가는 인류가 잘 활용하여 무병장수할 수 있기를 바란다.

개사철쑥을
민간에서는 봄철에 연한잎이 향기가 좋아서 나물로 먹는다. 개사철쑥으로 나물, 달임약, 떡, 지짐, 국, 식혜, 분말, 환, 막걸리, 입욕제, 엿, 마시는 천연 염색약, 마시는 발모제, 마시는 대머리 치료제, 기름, 술, 잎을 이용한 베게, 엑기스 주사제, 발효 효소, 김치, 차, 죽, 과자, 녹즙, 묵나물, 개사철쑥을 이용한 다양한 요리와 기타 제제를 각자가 잘 응용하여 질병에서부터 먹거리, 가정생활필수품까지 개사철쑥을 이용한 갖가지 방법을 많이 개발될 수 있기를 기대해 본다.

위의 기록처럼 고대 의학서적의 인체에 미치는 다양한 효능들과 아울러 류인규 회원님의 체험담에 이르기까지 개사철쑥을 잘 응용만 한다면 연세가 드신분들의 백발을 흑발로 변화시키고 흰머기가 드문드문 올라오는 '새치머리'까지 없어진다면 전세계 노인들에게 큰 행복을 안겨다 줄 수 있을 것으로 믿어 의심치 않는다.

이제 인류는 100살이 아니라 150세 이상 살 수 있는 무병장수의 시대로 성큼 다가오고 있다. 몸과 마음의 치유 시대인 천연 힐링시대에 자연의학을 잘 활용함으로써 누구나 아프지 않고 150세 이상 오래 오래 행복하게 살다가 조용히 눈을 감는 시대가 올 수 있기를 간절히 기대해 본다.

상기 자료는 약초연구가로서 지구상에 존재하는 천연물질의 우수성을 널리 알리고 질병으로 고통을 겪고 있는 환우들에게 희망을 주며 기능성 식품과 신약을 개발하는데 통찰력을 갖게하고 약초를 사랑하는 모든 사람에게 정보의 목적으로 공개하는 것임을 밝혀 둔다.  

(글/ 약초연구가 & 동아대 & 신라대 대체의학 외래교수 전동명)

참조: 아래에 누구나 프린터할 수 있는 아래한글 문서입니다. '주는 것이 받는 것 보다 더 행복하다'는 취지를 실천하기 위한 사랑과 자비의 서비스입니다. 경제적인 부담(종이값, 잉크, 토너 비용 등)이 되신다면 아래의 문서를 각자의 컴퓨터 및 기타 저장매체에 담아 놓고 볼 수 있습니다. 소중한 자원낭비가 되지 않기 위하여 프린터하기 전에 한번더 개인적으로 결정해 보시기 바랍니다. 여러분 모두도 다른 사람에게 더 많이 주어서 더 행복하시기 바랍니다.

아래한글문서 43쪽 분량을 프린터할 수 있는 사랑과 자비의 서비스: 1, 개사철쑥(청호) 무엇인가?

아래한글문서 1쪽 분량을 프린터할 수 있는  사랑과 자비의 서비스: 2, 개사철쑥(청호) 무엇인가?

개사철쑥 사진 감상: 네이버+구글+다음+대만구글+홍콩구글+일본구글: 1, 2, 3, 4, 5, 6,  


문의 및 연락처: 010-2545-0777 ; 051-464-0307

홈주소: http://jdm0777.com

페이스북 주소: http://www.facebook.com/jdmsanyacho

이메일: jdm0777@naver.com


참조: 아래의 쑥의 종류를 마우스로 클릭하여 함께 고려해 보시기 바랍니다.

 

 

 

 

홈페이지 주소 : http://jdm0777.com 클릭하시면 홈으로 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