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 무엇인가?

천년묵은 쑥을 구설초(狗舌草)로 부르며 부인병의 성약 쑥

 

 

 

 

 

 

 

 

 

 

 

 

[일반적으로 쑥으로 불리는 쑥, 산쑥, 약쑥, 참쑥, 황해쑥의 봄철 어린잎, 잎 뒷면, 전초 자란 모습, 꽃봉오리, 푸른 열매, 익은 열매, 겨울철 마른 열매, 참쑥 종자의 모습, 사진출처: 일본/대만/한국 구글 이미지 검색]

▶ 항암작용[소화도암, 유선암, 위암, 비강암류혈, 갑상선류 등], 항균작용, 진정약, 진경약, 전간, 경련, 마비, 전신강직, 산통, 두통, 치통, 한센병, 매독, 임질, 뇌부종, 류마티즘, 통풍, 기침멎이, 발한, 해열, 기관지염, 기관지천식, 폐결핵, 폐렴, 감기, 이뇨약, 담즙내기약, 월경이 고르지 못할 때, 임신중독, 자궁섬유종, 벌레 및 뱀에 물린데, 토혈, 하혈, 코피가 멎지 않을 때, 대변후 하혈이나 설사가 멎지 않을 때, 부인 백대하, 사마귀, 부인 적대하혈이나 오랜 하혈이 멎지 않을 때, 산모의 대변하혈, 백리, 토사가 멎지 않을 때, 비장과 위장의 허한이나 통증, 얼굴이나 몸에 창이 생겨 진물이 날 때, 인후가 붓고 아플 때, 임신부가 바람을 쐬어 중풍이나 인사불성이 되었을 때, 모든 감기 열 오한 또는 전신 동통, 식은 땀이 날 때, 모든 눈의 충혈, 모든 창독, 종통, 오래 된 이질이나 적리, 사지, 손발과 무릎 그리고 허리부분 및 위장 및 자궁 냉통, 여자의 음부 습양, 종통, 백대, 백탁, 악취 및 긴축이완, 남자의 낭습, 제병축음환, 습관성 월경 불순, 여자의 심한 하혈과 하혈이 오래 가며 멎지 않는 데, 얼굴이나 몸에 종기가 나서 진물이나 고름이 흐를 때, 치창, 치루 및 악창 그리고 창구가 아물지 않는 것, 갓난아기 목욕시킬 때, 각기병, 월경과다, 백대하, 여자의 붕루하혈, 습진, 저절로 땀이 나면서 멎지 않을 때, 임신중 갑자기 태동불안, 요통, 태아가 움직여 심통이 생기거나 하혈이 멎지 않을 때, 기능성 자궁 출혈, 산후 출혈, 기관지염, 폐결핵, 칼 낫등에 다친 상처, 불임증, 황달, 각종 부인병의 성약이며 만병을 다스리는 쑥

쑥은 국화과에 속하는 다년생 초본 식물이다.  

쑥의 학명은 <Artemisia princeps var. orientalis 'Pampan' Hara>이다. 쑥은 까마득히 아주 먼 옛날부터 사람보다 먼저 이 지구상에 존재하였으며, 말없이 인류에게 유익을 주고 있는 식물중에 하나이다. 인류는 쑥을 알게 모르게 오랜 옛적부터 식용으로 또는 약용으로 훌륭하게 사용하여 왔다.  

봄철에 파릇파릇하게 올라오는 새순을 채취하여 멥쌀가루를 넣고 쑥떡을 만들어 먹으면 그 맛과 향이 일품이다. 아마도 어린 시절에 쑥떡을 맛보지 않는 사람이 아무도 없을 정도로 우리에게 대단히 친근한 풀이다. 쑥은 산과 들, 길옆이나 논밭두렁, 빈집터 등 뿌리를 내릴 수 있는 곳이면 어김없이 올라오고 아무데서나 쑥쑥 자란다고 하여 쑥이라고 불렀다고 전해진다. 일본 히로시마와 나가사키에 원자폭탄이 떨어져 폐허가 되었을 때 제일 먼저 올라온 것이 쑥이라고 해서 "쑥밭"이 되었다고 한다.  

단군신화에도 쑥과 마늘이 등장하며 우리 민족이 가뭄이나 내란이 일어나 극심한 기근을 겪을 때에도 죽지 않도록 굶주린 배를 채워준 것이 바로 쑥이다. 시골에서는 낫이나 연장에 다쳐서 피가 날 때 쑥잎을 짓이겨 바르거나 코피가 날 때 쑥을 뜯어 손바닥으로 비빈다음 코에 막고 있으면 코피가 곧 멎는다. 필자도 시골에 살 때 여러번 쑥의 효능을 체험을 통해서 알게 되었다.     

쑥을 흔히
의초(醫草)라고 부르는데, 쑥이 약초로 귀중하게 사용되어 왔음을 증명해 주는 단어이다.  

쑥의 여러 가지 이름은
괴호[魁蒿=kuí hāo=쿠이하오, 조선애:朝鮮艾, 애초:艾草, 작애:作艾, 애봉:艾蓬, 뇌소:藾蕭, :苹, 유야애:有野艾, 첨엽애:尖葉艾, 세엽애:細葉艾, 압장애:鴨掌艾, 관엽애:寬葉艾, 소엽애:小葉艾, 점애:蔪艾, 반엽애:斑葉艾, 홍경애:紅莖艾, 기애:祁艾: 유기백과(維基百科)], 애엽[艾葉=ài yè=아이: 신농본초경집주(神農本草經集註)], [艾: 시경(詩經)], 빙대[氷: 이아(爾牙)], 애호[艾蒿: 이아 곽박주(爾牙 郭璞注)], 의초[醫草: 명의별록(名醫別錄)], 구초[灸草: 비아(雅)], 기애[蘄艾: 기애전(蘄艾傳)], 황초[黃草: 본초강목(本草綱目)], 가애[家艾: 의림찬요(醫林纂要)], 첨애[甛艾: 본초구원(本草求原)], 초봉[草蓬, 애봉:艾蓬, 낭미호자:狼尾蒿子, 향애:香艾, 야연두:野蓮頭, 아급애:阿及艾: 중약대사전(中藥大辭典)], 야애호[野艾蒿: 식물명실도고(植物名實圖考), 부분(部分)], 왕후호[王候蒿: 운남식물명록(雲南植物名錄)], 오월애[五月艾: 광동(廣東)], 야애[野艾: 호남(湖南)], 애엽[艾葉, 황화애:黃花艾, 단오애:端午艾: 광서(廣西)], 도여격-사리이일[陶如格-沙里爾日: 몽어명(蒙語名=몽골어)], 이와요모기[イワヨモギ=岩蓬, 카즈자키요모기:カズザキヨモギ: 일문명(日文名)], [蒿], , 모기태쑥, 약쑥, 타래쑥, 사자발쑥, 싸주아리쑥, 사재발쑥, 바로쑥, 애초 등으로 부른다.

시골에서 여름철에 모기가 극성을 부리면 쑥을 말려 불을 피워 모기를 쫓아내는데 사용한다. 말린쑥은 또한 뜸을 뜨는 재료로 사용되며 옛날 불을 일으킬때 부싯깃으로도 이용되어 왔다. 어린잎으로 쑥국을 해먹고 쑥과 쌀가루를 배합하여 쑥버무리를 만들어 먹기도 한다. 그 외에도 쑥밥, 쑥덕, 쑥술, 쑥튀김, 쑥경단, 쑥인절미, 쑥송편, 쑥계피떡, 쑥개떡, 쑥단자, 쑥절편, 쑥굴레등을 만들어 먹는다. 현대에는 쑥을 목욕탕 욕조에 넣어 쑥탕으로 사용하거나 쑥으로 만든 피부미용 비누, 쑥찜기구, 쑥좌욕기 등 쑥의 활용가치가 대단히 많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른 봄철에 쑥국을 끓여 먹는 기록이
<규곤시의방, 시의전서, 동국세시기> 등에 기록되어 있는데, 쑥탕 또는 애탕을 만드는 방법은 어린 쑥을 살짝 데쳐서 다진 쇠고기를 섞고 파, 마늘, 소금, 참기름, 깨소금, 후춧가루로 양념하여 완자모양으로 빚은 다음, 육수를 준비하여 맑은 장국으로 끓이다가 완자에 밀가루와 달걀을 씌워서 장국에 넣고 잠깐 끓여서 만든다. 쑥국은 주로 맑은 장국으로 끓이는데 된장을 풀어 토장국을 만들어 먹거나 쑥을 완자 모양으로 빚어 만들거나 살짝 데쳐낸 쑥을 그대로 넣고 끓여 먹을 수 있다. 경상남도 밀양과 전라남도에서는 쑥굴리를 만들어 먹는 떡으로 유명한데, 찹쌀가루 찐 것에 삶은 쑥을 넣고 안반에 친 다음 한움큼씩 떼어 녹두소를 넣고 둥글게 빚어 녹두 고물을 묻혀 만든다. 먹을 때 조청을 찍어 먹는데, 조청에 생강즙을 섞으면 또 다른 맛이 있다고 한다. 특히 쑥글리에 들어가는 쑥은 연두색의 어린 쑥이 들어가야 보들보들하며 쫄깃쫄깃한 맛이 난다고 한다.       


[<<봄철에 싱싱하게 자라고 있는 쑥>>]

쑥의 정식 학명은(Artemisia princeps var. orientalis 'Pampan' Hara)이다. 쑥을 한자로 애엽(艾葉)이라고 부르며
(Artemisia princeps Pampan), 약쑥(Artemisia asiatica Nakai), 산쑥(Artemisia montana Pampan), 황해쑥(Artemisia argyi Lev. et. Vnt)의 잎을 쑥으로 주로 사용한다.  

쑥의 높이는 약 60~120센티미터에 달하며 원줄기에 종선이 있고 전체가 거미줄 같은 털로 덮여 있다.  근경이 옆으로 뻗으면서 군데군데에서 싹이 나와 군생한다. 뿌리에서 올라온 잎은 나중에 쓰러지며 줄기에서 올라온 잎은 가탁엽이 있다. 잎 뒷면에 백색 털이 밀생한다. 가장자리는 밋밋하거나 결각상이며 위로 올라갈수록 잎이 작아진다. 꽃은 7~10월에 피며 길이 2.5~3.5밀리이고 지름은 1.5밀리로서 화경이 거의 없다. 잎 사이에서 꽃대가 올라와 분홍빛 두상화가 핀다. 열매는 수과이다.      

쑥의 맛은 쓰고 매우며 성질은 따뜻하다. 비장, 간장, 신장, 폐장에 들어간다. 쑥은 산한(散寒), 안태(安胎), 온경(溫經), 이기혈(理氣血), 이담(利膽), 제습(除濕), 지혈(止血), 지통(止痛), 지양(止痒)의 효능이 있어, 기혈을 조절하고 한습을 제거하며 경을 덥히고 지혈하며 태를 안정시키는 효능이 있다. 복부 냉통, 설사로 인한 근육 경련, 만성 설사와 만성 이질, 토혈, 비출혈, 하혈, 월경불순, 붕루, 대하, 태동불안, 옹양, 개선을 치료한다. 하루 4~12그램을 물로 달여서 복용한다. 환을 짓거나 가루내어 먹거나 또는 찧은 즙을 복용한다. 외용시 찧은 융으로 뜸쑥을 만들거나 찧어서 바른다. 탕액으로 김을 쐬거나 씻거나 볶아서 온습포한다.

쑥의 성질은 차나 익히면 열이 있고 많이 먹으면 안된다. 열독이 뇌에 침투하기 때문이다. 내복하거나 쑥찜, 쑥뜸 등으로 만병을 치료할 수 있다. 특히 부인병에는 성약이 된다. 약효가 가장 효력이 있는 것은 음력 5월 5일 단오절때 아직 해를 보지 않는 쑥을 채집하여 말린 다음 솜 모양으로 찧어 보관하는 것이 가장 좋다고 한다. 일반적으로 쑥을 채취하는 시기는 봄부터 여름에 잎은 무성하지만, 꽃이 아직 피지 않았을 때에 채집하여 햇볕에 말리거나 또는 그늘에서 말린다.

쑥을 법제하는 방법에 관해서 이시진이 쓴
<본초강목>에서는 다음과 같이 기록하고 있다.  

"쑥은 오래된 것을 부드럽게 수치하여 쓰는데 이것을 숙애(熟艾) 즉 오래묵은쑥이라고 한다. 
만약 신선한 쑥을 뜸에 쓰면 근맥을 상하기 때문이다. 깨끗한 잎을 골라서 먼지, 부스러기를 제거하고 돌절구에 넣고 나무 절구공이로 잘 찧는다. 그것을 체로 쳐서 잡질을 제거하고 흰 것을 골라서 다시 솜처럼 부드럽게 될 때까지 찧는다.  

쓸 때에 불에 쬐어 말리면 뜸을 뜰 때 불이 잘 붙는다. 부인병에 환제, 가루내어 쓸 경우에는 숙애를 식초로 끓인 다음 말리고 찧어 떡처럼 만들어 약한 불에 쬐어 말려 다시 짓찧어 가루내어 쓴다. 찹쌀가루로 떡을 만들거나 술로 볶은 것은 좋지 않다. 홍씨 '용제수필'에는, 쑥을 가공하는 것은 힘들기 때문에 백복령 3~5조각을 넣어 함께 맷돌에 갈면 고운 가루로 된다고 쓰여 있는데 이 역시 한 가지 방법이라고 할 수 있다. 또한
천년 묵은 쑥을 구설초(狗舌草)라고 부른다."  

중국의 <본초연의>에서는 이렇게 기록하고 있다.  

"말린 다음 찧어 푸른 찌꺼기를 체로 쳐서 버리고 흰 것을 취한다. 이것에 석유황을 가한 것이 곧 유황쑥이고 뜸을 뜨는데 쓴다. 쌀가루를 약간 가하여 찧어서 가루내어 복용약에 넣는다."


중국의 <중약대사전>에서는 법제 방법을 이렇게 기록하고 있다.  

"
쑥잎: 불순물과 자루를 제거한 다음 먼지나 부스러기를 체로 쳐서 버린다. 쑥융: 햇볕에 말려 먼지를 제거한 깨끗한 쑥잎을 빻아서 융(絨)으로 만들고 그 중에서 단단한 줄기와 잎자루를 제거하며 먼지를 체로 쳐서 버린다. 쑥탄: 깨끗한 쑥잎을 남비에 넣고 센불로 70퍼센트 정도 검게 변할 때까지 볶아서 식초를 섞은 다음 철사로 된 체에 친다. 아직 충분하게 볶아지지 않은 것은 다시 볶아서 꺼낸 다음 말리고 식혀서 3일 후에 저장해 둔다.(쑥잎 60킬로그램당 식초 9킬로그램)"

주의사항으로 음허로 인하여 화가 성한 증상, 혈열로 인하여 열이 나는 환자, 실혈증이 있는 증상에는 금하거나 신중히 사용해야 한다.  

쑥속은 북반구에 약 400여종(조선식물지 제 7권 150면; 한국식물도감 제 2권 327면은 약 250종)이 있으며 우리나라에는 약 38종(조선식물지 제 7권 150면; 한국식물도감 제 2권 327면은 약 25종)이 알려져 있다.

우리나라에 외래종 및 변종을 포함하여 약 60여종이 분포되어 있다.

우리나라에 자라거나 외국에서 도입되어 재배되는 쑥의 종류 및 변종을 살펴보면
1, 가는물쑥, 2, 가는잎쑥, 3, 가세제비쑥, 4, 개똥쑥(잔잎쑥), 5, 개철쑥(갯사철쑥), 6, 갯쑥, 7, 갯제비쑥, 8, 광대쑥, 9, 구와쑥(은쑥), 10, 국화잎쑥, 11, 그늘쑥, 12, 금쑥, 13, 넓은잎쑥, 14, 넓은잎외대쑥, 15, 넓은잎외잎쑥, 16, 노랑실쑥, 17, 더위지기쑥(부덕쑥), 18, 덤불쑥, 19, 두메쑥, 20, 맑은대쑥(개제비쑥), 21, 명천쑥, 22, 물쑥, 23, 밭쑥, 24, 백두산쑥, 25, 비단쑥, 26, 비로봉쑥, 27 비쑥, 28, 뺑쑥, 29 사철쑥(애탕쑥), 30, 산쑥, 31, 산흰쑥(흰쑥), 32, 섬쑥(섬제비쑥), 33, 실제비쑥, 34, 쑥(약쑥, 사자발쑥), 35, 시나쑥(산토닌쑥), 36, 싸주아리쑥, 37, 쓴쑥(웜우드) 38, 애기쑥, 39, 왕사철쑥, 40, 외잎물쑥, 41, 외잎쑥(구우초), 42, 율무쑥, 43, 인도쑥, 44, 제비쑥, 45, 좀더위지기쑥, 46, 좀시나쑥, 47, 증산쑥, 48, 참쑥1, 49, 참쑥2(부엉다리쑥), 50, 큰비쑥(바다가쑥), 51, 큰사철쑥, 52, 큰제비쑥, 53, 타래쑥, 54, 털비쑥, 55, 털산쑥, 56, 황해쑥(모기쑥), 57, 호리쑥, 58, 흰더위지기, 59, 흰쑥, 60, 흰사철쑥, 61, 흰산쑥 62, 하이브리드 개똥쑥(F1), 63, 하이브리드 개똥쑥(F2) 64, 하이브리드 개똥쑥(F3) 등이 있다.

쑥의 효능에 대해서 북측에서 펴낸
<약초의 성분과 이용>에서는 다음가 같이 기록하고 있다.

[쑥(Artemisia vulgaris L.)

다른 이름: 약쑥, 애, 애초이다.  

식물: 높이는 약 80센티미터 되는 여러해살이 풀이다. 잎은 아랫면이 길고 흰 털이 배게 있어 흰색을 띤다. 여름과 가을에 밤색의 둥근 꽃이삭이 가지 끝에 여러 개 달린다. 각지의 낮은 사과 산기슭, 들에서 널리 자란다. 잎(애엽) 또는 잎이 붙은 윗가지를 따서 햇볕에 말린다.  

성분: 전초에 정유, 탄닌질, 수지, 쓴맛물질, 아르테미신, 아스코르부산, 카로틴이 있다. 잎에는 정유, 시네올, 투욘, 보르네올, 파라핀, 아데닌, 콜린, 비타민 A, B, D 등이 들어 있다.

뿌리: 다당류인 아르테모오스가 약 1.8퍼센트와 0.1퍼센트까지의 정유가 있는데 디히드로마트리카린데 스테롤과 테트라데카트린 그리고 이눌린과 점액이 있다. 마른잎을 부스러뜨린 털에는 납 2.3퍼센트, 트리코자놀, 헨트리아콘탄, 카프르산, 팔미트산, 스테아르산 등의 지방산 혼합물이 있다.

작용:
잎의 물 추출액은 집토끼의 떼낸 장과 개구리의 떼낸 심장에 대하여 억제작용을 하며 혈압을 내린다. 흰쥐에게 1주일 동안 피하주사하면 모세혈관 투과성이 억제된다. 집토끼에게 정맥주사 할 때 피응고 시간이 짧아지지 않는 것으로 보아 피멎이작용은 뚜렷하지 않다고 한다. 또한 온열중추를 자극한 집토끼에게 물 추출액을 먹이면 열이 내려가지만 치사량에 가까운 많은 양을 먹어야 하므로 열내림약으로 쓰기는 힘들다.

응용: 동의치료에서 수렴성 피멎이약, 아픔멎이약으로 자궁출혈, 배아픔, 피똥이 있을 때 쓰며 강장보혈약으로 쓴다. 그리고 마른잎을 비벼서 겉면의 털을 모아 뜸뜨는 데 쓴다. 6월 초순에 채취한 것이 좋다. 마른잎에서 약 5퍼센트의 털을 얻을 수 있다.

민간에서는 전초를 진정약, 진경약으로 전간, 경련, 마비, 전신강직에 쓰며 아픔멎이약으로는 산통, 머리아픔, 이쑤심, 위암, 문둥병, 매독, 임질, 뇌부종, 류머티즘, 통풍, 진경약, 기침멎이약, 발한해열약으로는 기관지염, 기관지천식, 폐결핵, 폐렴, 감기 등에 쓴다. 또한 오줌내기약, 담즙내기약으로도 쓴다. 뿌리는 월경이 고르지 못할 때와 유산시킬때, 임신중독, 자궁섬유종에 쓴다. 또한 신선한 잎을 짓찧어 벌레나 뱀에 물린 데 바른다.  

궁귀교애탕: 만드는 방법은 당귀뿌리, 함박꽃뿌리, 지황뿌리 각각 4그램, 궁궁이뿌리줄기, 감초뿌리 각각 3그램, 갖풀, 약쑥 각각 2그램으로 200밀리리터 되게 달여 하반신의 출혈 즉 치출혈, 자궁출혈에 하루 3번 나누어 먹는다.]

각종 쑥의 효능(가나다순)

1,
맑은대쑥(개제비쑥, 개쑥, 암려: Artemisia keiskeana Miq)
거습, 독사에 물린데, 무월경, 발기불능, 생리불순, 임포텐츠, 소화촉진, 어혈, 타박상, 풍습성 관절통, 풍습성 사지마비 동통, 해산후 어혈로 인한 하복부 동통 등.

성분: Capillanin, Capillon, Capillin, dehydrofalcarinone, Tridecatrine, Triene, Ponticaepoxide
독성이 없으며, 다년생 초본으로 30~80cm이며, 7~9월에 꽃이 피며, 10월에 열매를 맺는다. 식용 및 약용한다. 전국 산지에서 자라며, 일본, 만주, 중국에 분포한다.

2, 바닷가쑥(Artemisia fukudo Mak)

간염, 담낭결석, 신장결석, 콩팥염 등.

3,
사철쑥(인진호, 애탕쑥, 면인진, 융호, 더위지기, 인진: Artemisia capillaris Thumb)
간염, 담즙분비, 무좀, 이뇨, 콩팥염, 항염증, 황달, 해열, 두통, 풍습, 개선, 창질, 안질, 세안, 학질, 타박상, 관절염, 발한, 명안, 소염 등.

성분: Capillarin, Capillin, Capillon, Cineol, Eucalyptol, Cajeputol, Arthemisiaketone, 1-β-Artemisia-alcohol, Essential oil, 1-α-pinene, Benzyl-alcohol-acetate, d-2-Methyl butyrate, Caryophylleneoxide, Pentacosane, Hexanol

4, 산쑥(Artemisia gigantea Kitamura), (A. vulgaris L. var. indica Maxim. f. montana Nakai)

기관지천식, 농피증, 뇌염, 뜸쑥, 설사, 신경쇠약, 신석증, 임신중독, 지혈, 폐결핵, 해독, 해열 등.

5, 산토닌쑥(마리티마쑥: Artemisia maritima L)

구충, 요충, 회충구제 등.

6, 시나쑥(시멘시나: Artemisia cina Berg)

류머티즘, 살균, 신경통, 피부병 조직 재생 촉진, 화상 등. 

7, 비단쑥(Artemisia lagocephala Fisch. ex Bses.DC)

각종 소화기 질병, 변비 등.

8,
비쑥(Artemisia scoparia Wald. et Kitaib)
가래, 가슴아픔, 개선, 과식, 곽란, 기생충감염, 누혈, 머리아픔, 산수하혈, 설사, 신경쇠약, 신석증, 안태, 억균, 이뇨, 이담작용, 전간, 지혈, 진경, 진통, 척수신경근염, 콩팥결석(싱아산염, 인산염에 의한 결석), 하리, 항염증, 해열, 황달, 호흡기 질병, 회충 등.

성분: 정유(β-피넨, α-피넨, 미르센, 캄펜, 보르네올, 투욘), 알칼로이드, 수지, 레몬산, 사과산, 싱아산, 초산, 프로피온산, 카페산, 클로로겐산, 피로갈롤 계통의 탄닌질, 콜린, 옥시카르복시산, 옥시쿠마린인 디메틸에스쿨레틴, 스코파론, 스코폴레틴 등.

독성이 없으며 식용 및 약용한다. 다년생초본으로 60~90cm까지 자라며, 8~9월에 꽃이 피어 10월에 열매를 맺는다. 제주 및 중부지방 해변 모래땅에서 자란다.

9,
(Artemisia vulgaris L)
항암작용(소화도암, 유선암, 위암, 갑상선류, 비강암류혈 등), 항균작용, 가슴이 냉한데, 각기병, 간경화, 간장염, 갓난아기 목욕시킬때, 강장보호, 강정, 개선, 경련, 과식, 곽란, 구충, 구토, 기관지염, 냉병, 네프로제, 누혈, 눈충혈, 대하증, 더위증, 딸꾹질, 류머티즘, 만성위염, 머리비듬, 면역력 증진, 몸이 냉한데, 변비, 복수, 복통, 부인냉병, 부인병, 부인붕루, 불임증, 비출혈, 사마귀, 산후배앓이, 산후하혈, 산모의 대변 하혈, 산후 팔다리를 못쓸때, 생인손, 설사, 소염, 수렴제, 습비, 식욕증진, 식은땀, 신경통, 아기 푸른똥 누는데, 안태, 연주창, 오심, 옴, 요통, 월경과다, 월경불순, 위냉증, 위아토니, 위염, 음식먹고 체한데, 이명, 이완출혈, 이질, 인후가 붓고 아플때, 자궁출혈, 재채기, 적백리, 정혈, 중풍, 지혈, 진통, 창독, 천식, 치질, 치출혈, 치통, 칼이나 낫에 베인 상처, 토사곽란, 토혈과 각혈, 통경, 폐결핵, 편도선염, 피로회복, 하리, 하혈, 학질, 항균, 해독, 허냉, 헛배 부른데, 황달, 회충 등.

성분: Cineol, Eucalyptol, Cajeputol, Artemisin, Heptadecatrin-2-4-9-triene-8-10-16, Monogynin, Adetone, Dehydrofalcarinene, Tridecatrine, Triene

독성이 없으며 식용 및 약용한다. 다년생 초본으로 키는 60~90cm이며, 7월에 꽃이 펴서 10월에 열매를 맺는다. 전국의 산지, 밭, 밭둑에서 자란다.

10,
인진쑥(산인진, 조선인진, 댕강쑥, 더위지기, 사철쑥, 생당쑥, 인진: Artemisia messerschmiktiana Besset),(A. sacrorum Ledeb. var. latiloba A. freyniana Krasch)
간염, 간장해독, 당낭염, 담즙분비촉진, 이뇨, 이물배설촉진, 지방간, 항염증, 해열, 황달 등. 

11,
잔잎쑥(개똥쑥, 황화호, 취호, 초고, 향고: Artemisia annua L)
항바이러스 작용, 면역 기능 향상 작용, 해열 작용, 심근 수축력 억제 작용, 혈관 생성 억제 작용, 항염 작용, 항임신 작용, 항말라리아 작용, 항암작용, 담즙분비작용, 면역조절작용, 항산화작용, 항균작용, 항기생충 작용, 피부과민반응에 대한 억제 작용, 학질 원충 억제 작용, 혈압 강하 작용, 피부 진균 억제 작용, 소염작용, 살충작용, 항규페효과, 항섬유효과, 쓴맛건위약, 가려움증, 열내림약, 피멎이약, 고혈압, 당뇨병, 급성 간염, 만성기관지염, 진해, 거담, 천식, 홍반성낭창, 간디스토마, 구강 점막의 편평태선, 폐섬유증, 결핵열, 학질(말라리아), 변비해소, 여름철 더위로 인한 메스꺼움, 위궤양, 소화불량, 숙취해소, 전립선치료, 구토, 개선, 가슴이 답답하고 열이 많은 증상, 소테일레리아병, 뼛골이 쑤시면서 열이 날 때, 손과 발에 열이 나는 증상, 여름 질환(구갈, 다한, 원기 손상), 조열, 미열, 골증조열, 백별구 증가, 구강 점막염, 여름 감기에 열이 나면서 아픈데, 피부 습진, 갈증, 소염, 진통제, 아토피염, 관절염, 개선, 소양, 지일성 피부염, 열병 후 진액손상, 간헐열, 급성 황달, 홍반성 낭창, 다이어트(비만증), 신경성 열병, 만성 열병, 혈변, 토혈, 코피, 염증약, 신경성 피부염, 곪은 상처를 빨리 터지게 하는 약, 해열, 해서, 발열, 식욕부진, 각종암(폐암, 간암,위암, 유방암, 자궁암, 중추신경계암, 결장암, 직장암, 머리와 목부분암, 림프종, 자궁경부암, 흑색종, 골수종, 구강암, 췌장암, 뇌하수체암, 전립선암, 육종, 대장암, 백혈병 등), 피부 궤양, 비뇨기과 트러블, 헤르니아, 상처와 부상, 동상, 뱀에 물린 곳, 사마귀, 종양, 치질(내부 및 외부), 독화살로 인한 상처(그것에 대한 해독 치료), 남성의 성적 질환, 광견병, 유아 경련, 사과 해충 방제, 피부병, 벌에 쏘인 데, 태선, 옴, 농피증, 류마티즘, 식용, 황달 등.

성분: Cineol, Eucalyptol, Artemisiaketone, 1-β-Artemisia alcohol, Benzyl alcohol, 1-α-1-pinene, Caryopylleneoxide, pentacosane, Hexanol, d-2-Methyl butyrate, Essential oil

독성이 없으며 식용 및 약용한다. 냄새가 나고 1년생 초본으로서 60cm까자 자라며 8월에 꽃이 피고 10월에 열매를 맺는다. 제주도 및 충남, 시베리아, 서부아시아, 동부유럽에 분포한다.

12,
개사철쑥(청호, 호, 초호, 흑호, 큰꽃사철쑥, 큰사철쑥: Artemisia apiacea Hance)
개선, 벌독, 안질, 악창, 이뇨, 지혈, 창종, 풍습, 해독, 황달, 해열, 허약체질 등.    

성분: Cineol, Eucalyptol, Cajeputol, Artemisiaketone, 1-β-Artemisia alcohol, Essential oil, 1-α-pinene, Benzyl alcohol, d-2-Methyl butyrate, Caryopylleneoxide, pentacosane, Hexanol

독성이 없으며 약용 및 식용한다. 냄새가 나고 2년생 초본으로서 1m까지 자란다. 7~9월에 꽃이 피며 10월에 열매를 맺는다. 제주, 남부, 중부, 북부에 자라며 일본, 중국, 만주에도 분포한다.

13, 털산쑥(Artemisia gmelini Web. ex Stechm), (A. sacrorum Ledeb. ; A. iwayomogi Kitam)
가래, 구충, 나병치료약, 담즙분비, 대장염, 류머티즘, 머리아픔, 적리, 지혈, 진통, 항염증, 해열 등.

14, 황새쑥(Artemisia argyi Leveille et Vaniot)
강장, 설사, 위염, 장산통, 지혈, 토혈 등.

15, 산흰쑥(
Artemisia sieversiana Willd.)
이뇨작용, 항염증작용, 황색포도상구균 및 대장균 억제작용, 급성세균성이질, 소염, 기침, 땀내기약, 기관지염, 감기, 위장병, 변비, 구충제, 방사선에 의한 손상과 궤양, 트라코마의 염증약, 기관지천식, 항알레르기약, 해독, 거조습(袪燥湿), 지혈, 건위, 소종, 지통, 치풍습, 이질, 소변이 붉은데, 악창, 풍한습비(風寒濕), 황달, 열리(熱痢), 옴과 악성 종기, 보중익기(補中益氣), 모발(毛髮)을 자라게 하고 검게 함, 마음이 불안하고 식욕이 없고 항상 허기진 증세, 열황(熱黃) 및 심통(心痛) 제거, 여름의 폭수리(暴水痢), 임력질(淋疾), 개선 등.

성분:
본 식물의 녹색 부분은 일종의 sesquiterpene류, sieversinin을 함유한다. 지상 부분은 또 sieversin, absinthin을 함유한다. 지상 부분은 또 sieversin, absinthin을 함유한다. 건조 식물은 알칼로이드 0.12~0.2%, pyrocatechol tannin 0.499%, flavonoid 0.831%, lactone, rutin, isoquercetin도 포함한다.

독성이 없으며,
약용식물(药用植物), 사료용식물(饲用植物), 방향식물(芳香植物)로 활용된다.

16, 인도쑥(
Artemisia dubia Wall. for. elatior Pampan)
해열, 두통, 풍습, 이뇨, 황달, 개선, 창질, 안질, 세안, 학질, 타박상, 관절염, 발한, 명안, 소염 등.

성분: Capillarin, Capillin, Capillon, Cineol, Eucalyptol, Cajeputol, Arthemisiaketone, 1-β-Artemisia- alcohol, Essential oil, 1-α-pinene, Benzyl-alcohol, acetate, d-2-Methyl butyrate, Caryopylleneoxide, pentacosane, Hexanol

17, 뺑쑥(
Artemisia feddei Leveil et van.)
해열, 두통, 풍습, 이뇨, 황달, 개선, 창종 등.

성분: Capillanin, Capillon, Capillin, dehydrofalcarinone, Tridecatrine, Triene, Ponticaepoxide
독성이 없으며, 다년생 초본으로 1.5m까지 자라며, 8~9월에 꽃이 피며, 11월에 열매를 맺는다. 식용 및 약용, 사료용으로 쓴다. 전국 산야지에서 자란다.

18,
제비쑥(자불쑥, 청호, 초호: Artemisia japonica Thunb.)
쓴맛건위약, 열내림약, 피멎이약, 고혈압, 만성기관지염, 진해, 해열, 지혈, 타박상, 거담, 천식, 홍반성낭창, 간디스토마, 구강 점막의 편평태선, 결핵열, 학질(말라리아), 여름철 더위로 인한 메스꺼움, 구토, 가슴이 답답하고 열이 많은 증상, 뼛골이 쑤시면서 열이 날 때, 손과 발에 열이 나는 증상, 여름 감기에 열이 나면서 아픈데, 간헐열, 황달, 신경성 열병, 만성 열병, 혈변, 토혈, 염증약, 곪은 상처를 빨리 터지게 하는 약, 백혈병, 피부병, 벌에 쏘인 데, 태선, 옴, 농피증, 류마티즘, 황달 등.

성분: Capillanin, Capillon, Capillin, dehydrofalcarinone, Tridecatrine, Triene, Ponticaepoxide
독성이 없으며, 다년생 초본으로 60~90cm까지 자라며, 8~9월에 꽃이 피며, 10월에 열매를 맺는다. 식용 및 약용, 사료용으로 쓴다. 전국의 밭, 밭주변, 제방, 바닷가의 빈터, 살과 들 등지에서 자라며, 일본, 대만, 중국, 만주, 우수리, 필리핀 등지에 분포한다.

19, 외잎쑥(구우초:九牛草:
Artemisia monophylla Kitamura; A. Viridissina(Komarov) Pampanini)
토혈, 해열, 통경, 당뇨병, 구충, 중풍, 치질, 이질, 고혈압, 두풍, 만성위장염(특효), 자양강장, 신경통, 복수 등.

성분: Cineol, Eucalyptol, Cajeputol, Artemisin, Heptadecatrin-2-4-9-triene-8-10-16, Monogynin, Ponticaepoxide, Adetone, Dehydrofalcarinene, Tridecatrine, Ttiene

독성이 없으며, 다년생 초본으로 60~90cm까지 자라며, 7~8월에 꽃이 피며, 10월에 열매를 맺는다. 식용 및 약용으로 쓴다. 강원도 평안남도, 함경남도 고산지대에 야생하며 전국의 고산지대에 자라며, 일본에 분포한다.

20, 더위지기(
Artemisia iwayomogi Kitamura)
산후하혈, 지혈, 회충, 곽란, 하리, 소염성 이뇨제, 개선, 안태, 과식, 누혈 등.

성분: Cineol, Eucalyptol, Cajeputol, Artemisin, Ponticaepoxide, Dehydrofalcarinene, Tridecatrine, Ttiene, Heptadecatrin-2-4-9-triene-8-10-16

독성이 없으며, 잎지는 관목 모양으로 1m까지 자라며, 7~8월에 꽃이 피며, 9~10월에 열매를 맺는다. 식용 및 약용으로 쓴다. 중부, 북부 고산지대에 자라며, 일본에 분포한다.

21,
쓴쑥(웜우드: Artemisia absinthium L.)
강장작용, 소화촉진작용, 방부작용, 해독작용, 우울증, 이뇨, 소염, 담즙분비촉진제, 고미, 간질병, 황달, 방향성 건위제, 해열제, 이담, 신경성질환, 자궁격려, 선형동물 구제, 회충 구제, 장열, 납중독의 독성을 약하게 하는 역할, 부작용(환각, 혼수상태, 바보, 천치의 원인이 되며 상습적으로 먹으면 경련 상태에서 죽음을 가져온다), 장열 등.

독성이 있다.
유럽 원산으로 맛이 엄청 쓴 것이 특징이다. 압생트라고도 하며 환각작용이 있어 유럽에서 '압생트'라는 술을 금지시키기도 하였다.


22, 사자발쑥


23, 싸주아리쑥

쑥을 이용한 질병 치료를 열거하면 다음과 같다.

1, 토혈, 하혈
계란 크기 만한 오래된 쑥 덩어리 3개를 물 5되로 삶아 2되가 되게 달인 후 이것을 하루 3차례 복용하면 된다. [천금방(千金方)]

2, 코피가 멎지 않을 때
쑥을 태워 잿가루를 만들어 콧구멍에 불어 넣으면 된다.  또 쑥잎 한 묶음을 삶아 그 물을 매일 3 차례 식후마다 한 찻잔식 복용해도 효과가 있다. [태평성혜방(
太平成惠方)]

3, 대변후 하혈이나 설사가 멎지 않을 때

쑥잎 한 묶음과 생강 5조각을 달여 농즙이 되면 한 번에 복용한다. 효력이 없으면 재차 복용하되 매일 3 차례 복용해도 좋다. [천금방(千金方)]

4, 부인 백대하
(임상보고)

쑥 20그램을 달여 찌꺼기를 버린 액에 계란 2개를 넣고 삶아서 그 계란을 복용하고 즙을 마신다. 이것을 5일간 계속한다. [중약대사전(中藥大辭典)]

5, 사마귀
(임상보고)

신선한 쑥잎으로 환부를 1일 수회씩 사마귀가 자연 탈락할 때까지 계속 마찰 시킨다. 치료 12건 중 가장 빠른 것은 3일, 가장 늦은 것도 10일 이면 탈락하였다. [중약대사전(中藥大辭典)]

6, 부인 적대하혈이나 오랜 하혈이 멎지 않을 때

쑥 한 묶음에 생강 3.75그램과 마른 생강 3.75그램을 물 5사발로 달여 반이 되면 즙을 짜고 다시 아교주(阿膠珠)를 넣고 달여 녹인다. 이것을 매일 3차례 식간마다 한 번씩 복용하면 곧 낫는다.

7, 산모의 대변하혈

쑥 잎 한 묶음과 생강 5조각을 진하게 달여 한번에 복용한다. 이와 같이 2~3차례 복용하면 낫는다. 산후 복통에도 효과가 있다.

8, 백리(白痢)

쑥잎 150그램과 건강을 태워만든 건강탄 37.5글매에 식초 한 숟가락을 넣고 물 3사발로 달여 반이 된 다음 하루 세 번에 나누어 식간마다 복용하면 매우 효과가 있다.

9, 토사가 멎지 않을 때 

쑥잎 한 묶음에 물 2사발을 부어 한사발이 될 때까지 삶은 다음 한 번에 복용하면 곧 멎는다. 멎지 않을 때에는 다시 복용한다.

10, 비장과 위장의 허한이나 통증

쑥잎을 가루로 만들어 찻숟가락으로 2 숟가락을 따끈한 물로 복용하면 효력이 있다.

11, 얼굴이나 몸에 창이 생겨 진물이 날 때

쑥잎 한 묶음에 식초 반 사발과 물 산 사발, 술 한 숟가락과 소금을 약간 넣어 진하게 졸인다. 이것을 창의 대소에 따라 창호지를 잘라 졸인즙을 찍어 하루 2~3번 바꾸어 붙이면 된다.

12, 인후가 붓고 아플 때

쑥잎 한 묶음을 물 3사발로 끓여 반이 된 다음 천천히 삼킨다. 그리고 쑥잎 한 묶음을 식초 반 컵과 섞어 찧은 뒤 목 외부에 하루 두 번씩 바꾸어 붙이면 된다.

13, 임신부가 바람을 쐬어 중풍이나 인사불성이 되었을 때

속히 쑥잎 300그램에 식초 한사발을 타 뜨겁게 볶은 뒤 헝겁으로 싸서 산부의 배꼽에 대고 그 위에 모포를 덮는다. 식으면 바꾸어 주고 내복에는 생강차를 먹인다.  이렇게 하면 깨어난다.

14, 모든 감기 열 오한 또는 전신 동통

쑥잎 75그램에 생강 5조각과 물 2그릇을 타서 반이 되도록 끓인 뒤 한 번에 복용하면 땀이 나면서 곧 낫는다.

15, 식은 땀이 날 때

쑥 7.5그램, 오매 5개에 물 2그릇을 부어 1그릇이 되도록 삶은 다음 취침시에 복용하면 매우 효력이 있다.

16, 모든 눈의 충혈

쑥잎을 연기가 나도록 태우면서 빈사발로 덮는다. 오래 두면 사발 안에 그을음이 묻는다. 여기에 뜨거운 물을 약간 부어 젓으면 검은 물이 된다. 이 검은 물을 탈지면에 적셔 눈을 씻으면 곧 낫는다.

17, 모든 창독, 종통

쑥잎탕을 내복하고 쑥 잎을 태워 잿가루를 만들어 외부에 바르면 된다. 진물이 날 때에는 가루를 그대로 바르고 진물이 없을 때에는 가루를 참기름에 개어 바르면 된다. 쑥잎, 뽕잎을 같은 양으로 넣어 삶은 물을 섞어 목욕하면 모든 풍습, 종양, 개선 및 신경통을 치료할 수 있다. 여기에 약간의 유황을 섞으면 더욱 좋다.

18, 오래 된 이질이나 적리

쑥잎 한 묶음과 귤 껍질 한 묶음에 소금 약간을 넣고 물 3사발로 끓여 1사발 반이 되면 3등분해서 매일 3차례 식간마다 한 번씩 복용하면 매우 좋다.

19, 사지, 손발, 무릎, 허리부분, 위장 및 자궁 냉통

잘 찧은 연한 쑥 뭉치를 헝겁 주머니에 가득 담고 자주 아픈 곳에 묶어 두면 아주 효력이 있다.

20, 여자의 음부 습양, 종통, 백대, 백탁, 악취 및 긴축이완, 남자의 낭습

쑥잎 한 묶음, 석류껍질 전체 2~3개, 콩알 만한 크기의 백반 5개, 국화 10송이를 물 5사발로 졸여 2사발이 되면 이것을 따끈하게 해 음부를 3~5회씩 씻으면 된다.  씻고 나서 탈지면에 약물을 찍어 음부내에 삽입하면 치병뿐만 아니라 음부를 축소시킬 수 있으므로 이 방법은 병 유무에 관계없이 해볼 만한 것이다. 이 처방은 남자의 낭습증에도 좋다.

21, 제병축음환(除病縮陰丸)

쑥잎, 석류 껍질, 흰 국화를 같은 양으로 말려 가루로 만들고 꿀로 개어 대추만한 크기로 빚어 2개를 얇은 탈지면에 잘 싸서 음부 내에 삽입 한다. 오후 1~2시에 삽입하고 7~8시에 씻어 버리면 된다. 이것은 병 예방뿐만 아니라 음강을 축소시키는 데 아주 묘하다.

22, 습관성 월경 불순

쑥잎, 전당귀 등을 같은 양으로 가루를 만들고 꿀로 개어 녹두알 만한 크기로 환약을 빚는다. 그리고 아침 공복에 연한 소금물로 50알, 취침 전에는 연한 술로 50알을 복용하면 된다.

23, 여자의 심한 하혈과 하혈이 오래 가며 멎지 않는 데

쑥 한 묶음에 아교주
(阿膠珠: 아교주란 아교를 잘게 썰어 활석가루와 함께 볶아 아교가 부풀어 작은 원형의 알 모양이 되면 활석가루를 걸러 낸 것을 말한다.) 7.5그램 그리고 건강 3.75그램을 더하여(건강이 없으면 생강 큰 것 세 조각도 된다.) 물 5사발로 먼저 쑥잎 생강을 삶아 2.5 사발이 되면 짜서 쑥잎과 생강을 버리고 여기에 아교주를 넣고 달인 다음 다 풀어지면 3등분하여 매일 3차례 식간마다 1등분씩 복용하면 된다. 장복하면 효력이 있다.

24, 얼굴이나 몸에 종기가 나서 진물이나 고름이 흐를 때

쑥잎 한 묶음에 식초 반 그릇과 물 1사발과 술 1숟가락 그리고 약간의 소금을 넣고 진하게 달여서 창호지를 종기 크기대로 오려 약을 발라 부치면 된다. 하루에 3~5차례 바꾸어 주어야 한다.

25, 치창, 치루 및 악창 그리고 창구가 아물지 않는 것

쑥잎 탕으로 자주 쐬이고 씻으면 된다. 완전 치료가 안되더라도 보조 치료는 된다.

26, 갓난아기 목욕시킬 때

쑥잎이나 뽕잎을 넣은 따뜻한 물로 목욕을 시키면 소아의 피부병을 방지할 수 있다.

27, 각기병

잘 찧은 쑥잎을 잘 싸서 짜매면 통양(痛痒)과 물이 흐르는 것을 완화시킨다. 그러나 이 처방으로 완치한 사람도 있다.

28, 월경과다

쑥잎을 식초로 볶은 것 약 12그램, 계란 노른자위 2개를 먼저 쑥잎을 물 한 사발로 달여 반이 되면 이 물로 계란 노른자위를 식전에 복용하면 된다. 이것은 매일 3차례 한 번씩 5일간 계속하고는 중지하고 다음 달 월경에 확인해 보고 효력이 없으면 다시 복용한다.

29, 백대하

계란 1개, 쑥잎 37.5그램을 술로 달여 이것을 매일 3차례 식전마다 한 번씩 복용하면 된다.

30, 여자의 붕루하혈

쑥잎 한 묶음을 물 2사발로 달여 반이 되면 이 물로 계란 1개를 풀어 먹으면 된다. 매일 3차례 식전마다 한 번 복용하되 계속 복용하면 곧 효력을 본다.

31, 습진

쑥잎탄, 고반, 황백 각 같은 양을 함께 곱게 가루내어 참기름에 개어 조제로 만들어 환부에 바른다. [내몽고, 중초약신의료법자료선편(
內蒙古,中草藥新醫療法資料選編)]

32, 저절로 땀이 나면서 멎지 않을 때

오래된 쑥 8그램, 백복신 12그램, 오매 3개를 물 1컵으로 8할이 되게 달여 취침 전에 따뜻하게 해서 복용한다. [본초강목(本草綱目)]

33, 임신중 갑자기 태동불안, 요통, 태아가 움직여 심통이 생기거나 하혈이 멎지 않을 때

계란 크기의 쑥잎을 술 4되로 2되가 될 때까지 졸여 2회로 나누어 복용한다. [주후방(
肘後方)]

34, 기능성 자궁 출혈, 산후 출혈

쑥잎탄 37.5그램, 포황, 민들레 각 20그램을 쓴다. 1일 1첩을 두 번 달여 2회로 나누어 복용한다. [내몽고, 중초약신의료법자료선편(
內蒙古,中草藥新醫療法資料選編)]

35, 기관지염

마른 쑥잎 세 되에 물을 한 말쯤 넣고 한 되쯤 되게 달인다. 이것을 짜서 찌꺼기를 버리고 그 물을 한두 번에 나누어 먹고 땀을 푹 낸다. [인산쑥뜸요법]

36, 폐결핵

폐결핵으로 가슴이 답답하고 아프며 미열이 계속나고 때때로 가래에 피가 섞여 나올 때 쓴다. 닭을 잡아서 내장은 버리고 그 속에 쑥을 넣고 불을 붙여 방안을 연기로 채운 다음, 그 방안에 들어가 한 5분쯤씩 연기를 들여 마신다. 하루에 두 번씩 반복한다. [인산쑥뜸요법]

37, 칼 낫등에 다친 상처

살아있는 쑥잎이나 줄기를 즉시 뜯어 짓찧어 즙을 내어 이 즙을 환부에 바른다.

38, 불임증

삼지구엽초인 음양곽과 쑥을 같은 양씩 한데 두고 오래 달여 찌꺼기는 짜서 버리고 물엿처럼 될 때까지 계속 달여서 이것을 한번에 반 숟가락씩 하루에 3번, 식전에 먹는다. 20~30일 이상 계속 먹는다. [인산쑥뜸요법]

39, 황달

사철쑥은 갯가나 지방등에 많이 나는데 높이 2~ 3척이 되고 잎이나 줄기가 가늘고도 가지가 많이 나 있으며 가을에 조알 정도 크기의 열매가 몰려 난다. 이것을 꽃봉오리가 맺는 시기에 뜯어 그늘에서 말리고, 줄기, 잎, 꽃과 함께 4~5센티미터로 자른 것 약 20그램에 감초 소량과 물 3홉에 삶아 2홉이 되도록 해서 차 대신 복용하면 유효하다. [일본 민간요법 아까혼]

40, 쑥독

쑥잎을 오래 먹어서 중독이 되면 열이 나고 기가 위로 치밀어 발광하여 날뛰며 눈에 침범하여 헌데가 나는 데는 감두탕을 차게 하여 먹거나 쪽잎즙 또는 녹두즙을 먹는다. [제중신편 417면]


≪ 강화도에서 자라는 싸주아리쑥 ≫

쑥하면 강화쑥을 제일로 치는데, 강화도에는 쑥이 지천으로 널려 있었다고 한다. 강화도 자생하는 쑥은 대략 5~6종이 있는데, 그중에서도 강화도와 자월도에서 나는 '싸주아리쑥'을 최고로 친다. 특히 싸주아리쑥은 강화군에서도 마니산을 중심으로 한 인근 길상면 선두 4리, 동검리, 흥왕리, 화조면 여차리, 사기리, 자흥리 등지에 주로 분포되어 있다고 한다. 특히 자흥리와 선두리의 경계 지점에는 과거 조선 시대에 나라이 지정 쑥밭으로 보이는 "쑥밭다리"가 지금까지도 지명으로 남아 있어 좋은 쑥의 본고장이라는 것을 역사가 증명해 주고 있는 것이다.  

싸주아리쑥의 어원에 대해서 최초에 쑥이 번식되기 시작한 밭을 가리켜 씨자리에서 유래하였거나 인근 사기리의 지명에서 사기리쑥-사자리쑥의 변화과정을 거쳐 싸자리 또는 싸주아리라는 말로 변하지 않았는가 하는 견해도 있다. 그리하여 싸자리쑥, 싸다리쑥, 호랑이쑥, 싸주아리쑥으로 부르는데, 다른 약쑥에 비해 키가 작은 30~60센티미터 가량이고 잎에 윤기가 나며 잎끝이 둥글고 중심 줄기가 희고 쑥대가 가늘며 흰 털이 보숭보숭 나는 등 그 특유한 냄새가 좀 부드러운 것이 특징을 가졌다.  

일반쑥의 냄새가 독한 성격을 지닌데 비해 싸주아리는 무척 향기로우며 일반 쑥의 경우, 말리면 중심줄기가 검어지는데 비해 싸주아리는 하얗게 되며 잘 건조했을 때, 일반 쑥이 대체로 검은 색을 띄는데 비해 싸주아리 쑥은 누런 빛을 띤다고 한다.   

인산 김일훈의
<신약>에서는 이 땅의 쑥은 모두가 이 땅 특유의 감로정(甘露精)의 영향을 받아 영약으로 자라고 있으나 이 가운데서도 특히 강화쑥은 모든 면에서 인정받는다. 또한 암약을 풍부히 함유한 서해 바닷바람 속의 염기를 받은 데다 중국 대륙에서 오는 황하의 황토까지 머금으며 자란 때문에 약성이 뛰어나다고 극찬하고 있다. 쑥은 가꾸지 않아도 쑥쑥 잘 자라지만 싸주아리쑥이 효험이 있다고 소문이 나는 바람에 강화도의 쑥이 돈벌이에 급급한 상혼에 의해 뿌리까지 마구 채취해 가는 바람에 "쑥밭"이 되어가고 있다고 하니 참으로 안타까운 심정이 아닐 수 없다. 또한 지역 주민들의 무관심으로 풀을 죽이는 제초제에 의해 멸종되어가고 있다고 한다. 희귀종의 쑥은 국가 차원에서 잘 보호하고 육성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예전에는 다 자란 쑥대로 삿갓도 만들고 지붕도 이었다고 전해지는데 가난한 사람의 집을 봉실 즉 쑥집, 봉문 즉 쑥대문이라고 부른다. 또한 50세가 되면 머리털이 약쑥같이 희여진다고 하여 애년(艾年)이라고 하고 50세가 넘으면 애로(艾老)라고 불렀다고 전해진다.

쑥으로 술을 담가 먹는 것에 관해서 정해철의 <식의득효방>에서는 이렇게 기록하고 있다.

[
쑥술(애초주:艾草酒)

[재료] 쑥은 옛날부터 길초(吉草)로 여겨 왔다. 그래서 지방에 따라서는 쑥이 액운을 없앤다고 해서 단오날에 창포와 함께 쑥을 지붕에 얹어 놓거나, 쑥울 우린 물로 목욕하는 풍습이 전해지고 있다. 쑥은 이름 봄에 캔 것은 식용하고 단오 전후에 캔 것은 약용한다.

[이용부분] 잎과 줄기

[채취시기] 단오(端午: 음력 5월 5일을 말함)전. 대개 양력으로 6월 초순이 됨.

[빚는 법] 쑥을 물에 씻어 그늘에 말렸다가 잘게 썰어 그릇에 넣고 2~2.5배의 배갈이나 소주를 붓는다. 설탕은 3분의 1정도로 하고 후에 더 넣어도 좋다. 1개월 후면 쓸 수 있으나 숙성하기까지는 2개월이 걸린다.

[맛과 효용] 익으면 담황색의 되는데 특이한 향기가 있어서 마시기 좋다. 쑥은 위장을 튼튼하게 해줄 뿐만 아니라 천식에도 뛰어난 약효를 나타낸다. 또 쑥에는 비타민 A와 C도 많이 함유되어 있어서 야맹증이나 피부미용에 좋다.]

쑥찜의 효능에 대해서 진태준의 <제주도 민간요법>에서는 다음과 같이 기록하고 있다.

[
쑥 찜

속 명: 숙침, 숙구침
한 명: 애엽증(艾葉蒸)
별 명: 애호증, 황초증, 의초증, 구초증, 병초증
효 능: 출혈, 위장병, 복통, 대하

[생산지와 채집시기]


쑥은 엉거시과에 속한 다년초로서 초봄에 땅속이 숙근에서 싹이 돋는다. 쑥의 높이는 60~90센티미터까지 자라며 꽃은 7~10월에 연한 분홍색으로 피고 잎은 특이한 방향성이 있다. 쑥 맛은 쓰고 약성은 따스하나 독이 없어 이용도가 높다 하겠다.

쑥은 중국, 몽고, 만주, 일본, 한국등 동남아 전역에 거의 없는 곳이 없을 정도로 두루 분포되어 있다.

주로 야산과 들과 밭이나 도로변 등에 많으며, 특히 우리나라에서는 옛날부터 강화도 쑥이 유명하였으나 그곳의 쑥만으로는 수요의 부족으로 인하여 지금은 인천 앞바다의 자월도 쑥을 많이 사용하고 있다. 같은 쑥이라 할지라도 바닷가나 섬에서 자생하는 것이 더욱 약효가 좋다고 해서 애용된다. 그래서 제주도 쑥도 한몫 치게 된다.

쑥을 야산에서 다량 채취한다는 것은 8~9월 경이 적합하지만 가정용으로 소량씩 채집하는 것은 단오 날이 좋다는 속신이 있어서 제주도에서는 흔히 음력 5월 5일에 채집하고 있음을 볼 수 있다. 최근 이러한 쑥은 말려서 일본으로 다량 수출되고 있기 때문에 그 전보다 값이 비싼 편이며 그들은 이 쑥으로 찹쌀떡을 만들어 먹으면 속병에 좋다고 해서 애용하고 있는 듯 하다.

[참 고]

쑥에 대한 전설을 잠깐 살펴 보자. 쑥은 언제부터 인간이 사용하였는지는 확실히 알 수 없으나 우리 단군신화 속에 "쑥과 마늘을 먹은 곰이 여신으로 화하여 단군을 낳았다"는 이야기가 있는데 이것이 비록 신화이기는 하지만 먼 옛날부터 우리 조상들이 쑥을 식이로서 사용하였음을 엿볼 수 있겠다.

중국의
<명의별록>에는 "주로 백병을 구한다" 하였음을 볼 때 쑥이 구술(灸術)을 시행하는 데도 기본적 재료가 되었었음을 짐작할 수 있다.

[제조법]

찜질로 사용되는 쑥은 주로 마르지 않은 생쑥을 사용하는 것이 보다 좋다. 그 찜질 방법으로서는 찜질을 필요로 하는 상처가 컸을 경우에는 깨끗하게 채집한 쑥의 잎을 절구나 기타 방법으로 짓찧어 그대로나 아니면 짛어서 상처에 붙이고 붕대로 감아 묶어 둔다.

그리고 상처가 적은 곳이라면 쑥잎을 손바닥에서 비벼 상처에 대고 붕대로 꼭 동여 매고 몇 시간을 그대로 둔다. 대개 이 방법은 들에서 작업도중 상처를 입었을 때 하는 응급 치료법으로 사용되고 있다.

[사용 및 복용법]

쑥을 찜질로 사용할 경우는 대체로 출혈이 되고 있거나 아니면 출혈성 소질이 있는 상처에 많이 사용된다. 그 외로는 마른 쑥으로 구술에 있어서 가장 중요하게 사용되며 초생아와 산모의 목욕용으로 많이 쓰여진다. 쑥을 떡으로 만들어 먹은 외에도 쑥으로 먹는 경우도 많고, 달여서 먹기도 하며 또한 환을 만들어 복용하기도 하나 이는 그때 그때 환자의 병세에 따라 처방이 각기 달라 질 수 있다.

[효 과]

이 쑥은 여러가지 출혈에 있어 지혈제로서 좋으며, 그 밖에 월경불순과 자궁출혈, 비출혈, 외상, 치질, 대하에도 유효하며, 안태와 일절의 냉기 예방에도 특효가 있다.

[고 방]

1, 우리의 민간 습속에 있어 쑥의 이용도가 높다함은 앞에서도 지적한 바 있지만 코피를 흘리는 데도 특효가 있다. 쑥을 비벼 코구멍을 막으면 곧 지혈된다는 사실이다. 그 밖에 몇 가지의 경우를 들어 보면 다음과 같은 것이 있다.
2, 임신태동과 복통, 하혈에도 쑥을 달여 마시면 좋다.
3, 산후하혈에는 마른 쑥잎 18그램과 다년생 생강 18그램을 진하게 달여서 한번에 마시면 좋다.
4, 산후에 팔 다리가 마비된 데에는 숙잎과 뽕잎을 뜨거운 온돌 위에 펴고 그 위에 누워 땀을 내면 기효하다.
5, 소아의 제창에는 쑥을 불에 태워서 그 재를 분말로 만들어 배꼽에 붙이고 붕대로 감아 두면 신기하게 낫는다.
6, 옴 즉 개선에는 쑥을 초에 달여 즙으로 환부를 자주 씻으면 낫는다.
7, 축농증과 비후성비염에는 쑥에 유황가루를 조금 넣어 대추알 정도 크기로 환을 만든 다음 쑥 봉오리에 불을 붙이고 차 스푼에 넣어 입안에 넣었다가 빼는 일을 되풀이 하면 낫는다. 그 시간은 1회에 5~6초씩 하되 보통 10~15회를 반복한다. 이러한 치료법을 2~3개월 하면 낫는다. 이처럼 쑥의 민간요법은 우리의 국조신화 단군 할아버지의 이야기로부터 그 사용 가치와 효용도는 조금도 감소됨이 없이 두루 사용되고 있음을 알 수 잇다. 참으로 대자연이 마련해 준 우리 인간 생명의 보배로운 초약이라고 할만 하다.
]

≪ 성서에 나오는 "쓴 쑥" ≫

쑥을 영어로 웜우드(wormwood)라고 하며 성서에 "쓴 쑥"이라는 단어가 나오는데 히브리어로 '라아나' 그리스어로 '압신토스'라고 한다. 쓴 쑥이라는 이 단어는 진한 쓴맛이 나며 향기가 강한 여러 종의 식물을 가리키는데, 그 가운데는 다소 나무처럼 생긴 것도 적지 않다.

팔레스타인에서는 몇 종류의 쓴 쑥이 발견되는데, 특히 사막 지역에서 잘 발견된다. 가장 흔한 종은 높이 40센티미터로 자라는 작은 관목인 아르테미시아 헤르바알바(Artemisia herba-alba)이다. 성경에서는 쓴 쑥을 부도덕의 결과(잠언 5:4)와 바빌로니아 사람들의 손에 의해 유다와 예루살렘에 닥치게 되어 있었고 또 실제로 닥쳤던 쓰디쓴 경험에 비하였다. (예레미야 9:15; 23:15; 예레미야 애가 3:15, 19) 이것은 또한 불공정과 불의를 나타내고(아모스 5:7; 6:12), 배교자들과 관련해서 사용된다. (신명기 29:18) 계시록 8:11에서 "쓴쑥"은 압생트라 불리기도 하는, 쓰고 독성이 있는 물질을 의미한다.

전세계 쑥의 종류 316종의 인터넷 홈페지
<
http://auntiedogmasgardenspot.wordpress.com/2013/06/12/
artemisia-mugwort-wormwood-sagebrush-plant-care-guide/
> 학명을 abc순으로 정리하면 아래와 같다.

[쑥의 종류

1. Artemisia abrotanum L.–Southernwood, Southern Wormwood, Abrotanum, Lemon Plant

2. Artemisia absinthium L.–Grand Wormwood

3. Artemisia adamsii Besser

4. Artemisia afra Jacq. ex Willd.–African Wormwood, African Sagebrush

5. Artemisia alaskana Rydb.–Alaska Wormwood

6. Artemisia alcockii Pamp.

7. Artemisia aleutica Hultén–Aleutian Wormwood

8. Artemisia amoena Poljakov

9. Artemisia annua L.–Annual Wormwood, Sweet Sagewort, Sweet Annie[개똥쑥=잔잎쑥=황화호]

10. Artemisia araxina Takht.

11. Artemisia arborescens–Tree Wormwood

12. Artemisia arbuscula Nutt.–Little Sagebrush, Low Sagebrush, Black Sage

13. Artemisia arctica Less.–Boreal Sagebrush

14. Artemisia arctisibirica Korobkov

15. Artemisia arenaria DC.

16. Artemisia arenicola Krasch. ex Poljakov

17. Artemisia argentata Klokov

18. Artemisia argentea L’Hér.–Madeira wormwood

19. Artemisia argyi H.Lév. & Vaniot

20. Artemisia argyrophylla Ledeb.

21. Artemisia armeniaca Lam.

22. Artemisia aschurbajewii C.G.Aro

23. Artemisia australis Less.–'Āhinahina, O'ahu Wormwood[10]

24. Artemisia austriaca Jacq.

25. Artemisia avarica Minat.

26. Artemisia badhysi Krasch. & Lincz. ex Poljakov

27. Artemisia balchanorum Krasch.

28. Artemisia baldshuanica Krasch. & Zaprjag.

29. Artemisia bargusinensis Spreng.

30. Artemisia bejdemaniae Leonova

31. Artemisia biennis Willd.–Biennial Sagewort, Biennial Wormwood

32. Artemisia bigelovii A.Gray–Bigelow Sage, Bigelow Sagebrush

33. Artemisia borealis Pall.

34. Artemisia borotalensis Poljakov

35. Artemisia bottnica Lundstr. ex Kindb.

36. Artemisia caespitosa Ledeb.

37. Artemisia californica Less.–Coastal Sagebrush, California Sagebrush

38. Artemisia camelorum Krasch.

39. Artemisia campestris L.–Field Wormwood

40. Artemisia camphorata Vill.

41. Artemisia cana Pursh–Silver Sagebrush

42. Artemisia canadensis Michx.–Canada Wormwood

43. Artemisia capillaris Thunb.–Capillary Wormwood

44. Artemisia carruthii Wood ex Carruth.–Carruth Sagewort, Carruth’s Sagebrush

45. Artemisia caruifolia Buch.-Ham. ex Roxb.

46. Artemisia caucasica Willd.

47. Artemisia chamaemelifolia Vill.

48. Artemisia cina O.Berg & C.F.Schmidt–Santonica, Levant Wormseed

49. Artemisia ciniformis Krasch. & Popov ex Poljakov

50. Artemisia commutata Besser

51. Artemisia compacta Fisch. ex DC.

52. Artemisia cuspidata Krasch.

53. Artemisia czukavinae Filatova

54. Artemisia daghestanica Krasch. & Poretzky

55. Artemisia demissa Krasch.

56. Artemisia depauperata Krasch.

57. Artemisia deserti Krasch.

58. Artemisia desertorum Spreng.

59. Artemisia diffusa Krasch. ex Poljakov

60. Artemisia dimoana Popov

61. Artemisia dolosa Krasch.

62. Artemisia douglasiana Bess.–Douglas’ Mugwort, Douglas’ Sagewort

63. Artemisia dracunculus L.–Tarragon

64. Artemisia dubia Wall.[인도쑥]

65. Artemisia dubjanskyana Krasch. ex Poljakov

66. Artemisia dumosa Poljakov

67. Artemisia elongata Filatova & Ladygina

68. Artemisia eremophila Krasch. & Butkov ex Poljakov

69. Artemisia eriantha Ten.

70. Artemisia feddei H.Lév. & Vaniot

71. Artemisia fedtschenkoana Krasch.

72. Artemisia ferganensis Krasch. ex Poljakov

73. Artemisia filifolia Torr.–Sand Sagebrush, Sand Sagebush, Silvery Wormwood

74. Artemisia flava Jurtzev

75. Artemisia franserioides Greene–Ragweed Sagebrush

76. Artemisia freyniana (Pamp.) Krasch.

77. Artemisia frigida Willd.–Fringed Sagebrush, Fringed Sagewort, Prairie Sagewort

78. Artemisia fulvella Filatova & Ladygina

79. Artemisia furcata Bieb.–Forked Wormwood

80. Artemisia galinae Ikonn.

81. Artemisia genipi Weber ex Stechm.

82. Artemisia glabella Kar. & Kir.

83. Artemisia glacialis L.–Glacier Wormwood, Alpine Mugwort

84. Artemisia glanduligera Krasch. ex Poljakov

85. Artemisia glauca Pall. ex Willd.

86. Artemisia glaucina Krasch. ex Poljakov

87. Artemisia globosa Krasch.

88. Artemisia globularia Cham. ex Bess.–Purple Wormwood

89. Artemisia glomerata Ledeb.–Cudweed Sagewort, Pacific Alpine Wormwood

90. Artemisia gmelinii Webb ex Stechmann–Gmelin’s Wormwood

91. Artemisia gnaphalodes Nutt.

92. Artemisia gorjaevii Poljakov

93. Artemisia gracilescens Krasch. & Iljin

94. Artemisia granatensis Boiss. ex DC.

95. Artemisia gurganica (Krasch.) Filatova

96. Artemisia gypsacea Krasch., Popov & Lincz. ex Poljakov

97. Artemisia halodendron Turcz. ex Besser

98. Artemisia halophila Krasch.

99. Artemisia heptapotamica Poljakov

100. Artemisia herba-alba Asso–White Wormwood

101. Artemisia hippolyti Butkov

102. Artemisia hololeuca M.Bieb. ex Besser

103. Artemisia hulteniana Vorosch.

104. Artemisia incana (L.) Druce

105. Artemisia indica Willd.–Yomogi

106. Artemisia insulana Krasch.

107. Artemisia insularis Kitam.

108. Artemisia integrifolia L.

109. Artemisia issykkulensis Poljakov

110. Artemisia jacutica Drobow

111. Artemisia japonica Thunb.–Otoko Yomogi[제비쑥]

112. Artemisia juncea Kar. & Kir.

113. Artemisia karatavica Krasch. & Abolin ex Poljakov

114. Artemisia karavajevii Leonova

115. Artemisia kaschgarica Krasch.

116. Artemisia kauaiensis (Skottsberg) Skottsberg–'Āhinahina, Kaua'i Wormwood

117. Artemisia keiskeana Miq.[맑은대쑥]

118. Artemisia kelleri Krasch.

119. Artemisia kemrudica Krasch.

120. Artemisia knorringiana Krasch.

121. Artemisia kochiiformis Krasch. & Lincz. ex Poljakov

122. Artemisia koidzumii Nakai

123. Artemisia kopetdaghensis Krasch. ex Poljakov

124. Artemisia korovinii Poljakov

125. Artemisia korshinskyi Krasch. ex Poljakov

126. Artemisia krushiana Bess.–Krush’s Wormwood

127. Artemisia kulbadica Boiss. & Buhse

128. Artemisia kuschakewiczii C.G.A.Winkl.

129. Artemisia laciniata Willd.–Siberian Wormwood

130. Artemisia laciniatiformis Kom.

131. Artemisia lactiflora Kom.

132. Artemisia lagocephala (Besser) DC.

133. Artemisia lagopus Fisch. ex Besser

134. Artemisia lanata Willd.

135. Artemisia latifolia Ledeb.

136. Artemisia ledebouriana Besser

137. Artemisia lehmanniana Bunge

138. Artemisia leontopodioides Fisch. ex Besser

139. Artemisia lessingiana Besser

140. Artemisia leucodes Schrenk

141. Artemisia leucophylla (Turcz. ex Besser) Pamp.

142. Artemisia leucotricha Krasch. ex Ladygina

143. Artemisia lindleyana Bess.–Columbia River Wormwood

144. Artemisia lipskyi Poljakov

145. Artemisia littoricola Kitam.

146. Artemisia longifolia Nutt.–Longleaf Sagebrush, Longleaf Wormwood

147. Artemisia ludoviciana Nutt.–Gray Sagewort, Prairie Sage, White Sagebrush

148. Artemisia macilenta (Maxim.) Krasch.

149. Artemisia macrantha Ledeb.

150. Artemisia macrobotrys Ledeb.–Yukon Wormwood

151. Artemisia macrocephala Jacq. ex Besser

152. Artemisia macrorhiza Turcz.

153. Artemisia maracandica Bunge

154. Artemisia maritima L.–Sea Wormwood[산토닌쑥=마리티마쑥]

155. Artemisia marschalliana Spreng.

156. Artemisia martjanovii Krasch. ex Poljakov

157. Artemisia mauiensis (A.Gray) Skottsberg–'Āhinahina, Maui Wormwood

158. Artemisia maximovicziana Krasch. ex Poljakov

159. Artemisia medioxima Krasch. ex Poljakov

160. Artemisia messerschmidtiana Besser

161. Artemisia michauxiana Bess.–Michaux Sagebrush, Michaux’s Wormwood

162. Artemisia minor Jacq. ex Besser

163. Artemisia mogoltavica Poljakov

164. Artemisia mongolica (Besser) Fisch. ex Nakai

165. Artemisia mongolorum Krasch.

166. Artemisia montana (Nakai) Pamp.

167. Artemisia mucronulata Poljakov

168. Artemisia multisecta Leonova

169. Artemisia mutellina Vill.

170. Artemisia nachitschevanica Rzazade

171. Artemisia nakaii Pamp.

172. Artemisia namanganica Poljakov

173. Artemisia nana Gaudin

174. Artemisia negrei Ouyahya

175. Artemisia nesiotica Raven–Island Sagebrush

176. Artemisia nigricans Filatova & Ladygina

177. Artemisia niitakayamensis Hayata

178. Artemisia nilagirica (C.B.Clarke) Pamp.

179. Artemisia nitida Bertol.

180. Artemisia nortonii Pamp.

181. Artemisia norvegica Fr.–Norwegian Mugwort

182. Artemisia nova A.Nels.–Black Sagebrush

183. Artemisia nuristanica Kitam.

184. Artemisia obscura Pamp.

185. Artemisia obtusa Rydb.

186. Artemisia obtusiloba Ledeb.

187. Artemisia occidentalisichuanensis Y.R.Ling & S.Y.Zhao

188. Artemisia occidentalisinensis Y.R.Ling

189. Artemisia oelandica (Besser) Krasch.

190. Artemisia olchonensis Leonova

191. Artemisia oliveriana J.Gay ex Besser

192. Artemisia ordosica Krasch.

193. Artemisia orientalixizangensis Y.R.Ling & Humphries

194. Artemisia orientaliyunnanensis Y.R.Ling

195. Artemisia orthobotrys Kitag.

196. Artemisia packardiae J.Grimes & Ertter–Packard’s Wormwood, Succor Creek Sagebrush

197. Artemisia pallasiana Fisch. ex Besser

198. Artemisia palmeri A.Gray–San Diego Sagewort

199. Artemisia palustris L.

200. Artemisia pannosa Krasch.

201. Artemisia papposa S.F.Blake & Cronq.–Owyhee Sage, Owyhee Sagebrush

202. Artemisia parryi A.Gray–Parry’s Wormwood

203. Artemisia pattersonii A.Gray–Patterson’s Wormwood

204. Artemisia pectinata Pall.

205. Artemisia pedatifida Nutt.–Birdfoot Sagebrush

206. Artemisia pedemontana Balb.

207. Artemisia persica Boiss.

208. Artemisia pewzowii C.G.A.Winkl.

209. Artemisia phaeolepis Krasch.

210. Artemisia polysticha Poljakov

211. Artemisia pontica L.–Roman Wormwood

212. Artemisia porrecta Krasch. ex Poljakov

213. Artemisia porteri Cronq.–Porter’s Wormwood

214. Artemisia prasina Krasch. ex Poljak.

215. Artemisia princeps Pamp.–Japanese Mugwort, Yomogi

216. Artemisia proceriformis Krasch.

217. Artemisia prolixa Krasch. ex Poljak.

218. Artemisia punctigera Krasch. ex Poljakov

219. Artemisia purshiana Besser

220. Artemisia pycnocephala (Less.) DC.–Beach Wormwood

221. Artemisia pycnorhiza Ledeb.

222. Artemisia pygmaea A.Gray–Pygmy Sagebrush

223. Artemisia quinqueloba Trautv.

224. Artemisia remotiloba Krasch. ex Poljakov

225. Artemisia rhodantha Rupr.

226. Artemisia rigida (Nutt.) A.Gray–Scabland Sagebrush

227. Artemisia rothrockii A.Gray–Timberline Sagebrush

228. Artemisia roxburghiana Wall. ex Besser

229. Artemisia rubripes Nakai

230. Artemisia rupestris L.–Rock Wormwood

231. Artemisia rutifolia Stephan ex Spreng.

232. Artemisia sacrorum Ledeb. ex Hook.f.

233. Artemisia saissanica (Krasch.) Filatova

234. Artemisia saitoana Kitam.

235. Artemisia salsoloides Willd.

236. Artemisia samoiedorum Pamp.

237. Artemisia santolina Schrenk

238. Artemisia santolinifolia Turcz. ex Besser

239. Artemisia santonica L.

240. Artemisia saposhnikovii Krasch. ex Poljak.

241. Artemisia schischkinii Krasch.

242. Artemisia schmidtiana

243. Artemisia schrenkiana Ledeb.

244. Artemisia scoparia Waldst. & Kit.–Redstem Wormwood

245. Artemisia scopiformis Ledeb.

246. Artemisia scopulorum A.Gray–Alpine Sagebrush, Dwarf Sagebrush

247. Artemisia scotina Nevski

248. Artemisia senjavinensis Bess.–Arctic Wormwood

249. Artemisia semiarida (Krasch. & Lavrenko) Filatova

250. Artemisia senjavinensis Besser

251. Artemisia sericea Weber ex Stechm.

252. Artemisia serotina Bunge

253. Artemisia serrata Nutt.–Sawtooth Wormwood

254. Artemisia sieversiana Willd.[산흰쑥]

255. Artemisia skorniakowii C.G.A.Winkl.

256. Artemisia sogdiana Bunge

257. Artemisia songarica Schrenk

258. Artemisia spicigera K.Koch

259. Artemisia spinescens D.C.Eaton–Budsage

260. [ = Picrothamnus desertorum ]

261. Artemisia splendens Willd.

262. Artemisia stelleriana Bess.–Hoary Mugwort or Dusty Miller (one of several plants with this name)

263. Artemisia stenocephala Krasch. ex Poljak.

264. Artemisia stenophylla Kitam.

265. Artemisia stolonifera (Maxim.) Kom.

266. Artemisia subarctica Krasch.

267. Artemisia subchrysolepis Filatova

268. Artemisia sublessingiana Krasch. ex Poljakov

269. Artemisia subsalsa Filatova

270. Artemisia subviscosa Turcz. ex Besser

271. Artemisia succulenta Ledeb.

272. Artemisia suksdorfii Piper–Coastal Wormwood

273. Artemisia sylvatica Maxim.

274. Artemisia szowitziana (Besser) Grossh.

275. Artemisia tanacetifolia L.

276. Artemisia taurica Willd.

277. Artemisia tenuisecta Nevski

278. Artemisia terrae-albae Krasch.

279. Artemisia tianschanica Krasch. ex Poljak.

280. Artemisia tilesii Ledeb.–Tilesius’ Wormwood

281. Artemisia tomentella Trautv.

282. Artemisia tournefortiana Rchb.

283. Artemisia transbaicalensis Leonova

284. Artemisia transiliensis Poljakov

285. Artemisia trautvetteriana Besser

286. Artemisia tridentata Nutt.–Big Sagebrush, Blue Sage, Black Sage, Basin Sagebrush

287. Artemisia triniana Besser

288. Artemisia tripartita Rydb.–Threetip Sagebrush

289. Artemisia turanica Krasch.

290. Artemisia turcomanica Gand.

291. Artemisia umbelliformis Lam.–Alps Wormwood

292. Artemisia unalaskensis Rydb.

293. Artemisia underwoodii Rydb.

294. Artemisia uralensis Spreng. ex Besser

295. Artemisia uraorum Hultén

296. Artemisia uzbekistanica Poljakov

297. Artemisia vachanica Krasch. ex Poljak.

298. Artemisia valida Krasch. ex Poljak.

299. Artemisia verlotiorum Lamotte–Chinese Wormwood

300. Artemisia viridis Willd.

301. Artemisia vulgaris L.–Mugwort[쑥]

302. Artemisia wallichiana Besser

303. Artemisia waltonii J.R.Drumm. ex Pamp.

304. Artemisia wudanica Liou & W.Wang

305. Artemisia wulingshanensis Bar. & Skv. ex Liou

306. Artemisia wurzellii C.M.James & Stace

307. Artemisia xerophila Magnier

308. Artemisia xerophytica Krasch.

309. Artemisia xylorhiza Krasch. ex Filatova

310. Artemisia yadongensis Ling & Y.R.Ling

311. Artemisia yongii Y.R.Ling

312. Artemisia younghusbandii J.R.Drumm. ex Pamp.

313. Artemisia zayuensis Y.R.Ling

314. Artemisia zhaodongensis G.Y.Chang & M.Y.Liou

315. Artemisia zhongdianensis Y.R.Ling

316. Artemisia zollingeriana Sch.Bip.[11].]

지구상에 가장 흔하게 지천으로 널려 있는 쑥이 사실은 명약이며 우리 인체의 면역계를 튼튼하게 해주는 훌륭한 약초이며 식품이라는 것에 놀라움을 금할 길이 없다. 지구 가족의 건강을 위해서 쑥을 잘 이용한다면 불로장수하는데 큰 유익을 줄 것임을 믿어 의심치 않는다.

상기 자료는 약초연구가로서 우리땅에 존재하는 천연물질의 우수성을 널리 알리고 질병으로 고통을 겪고 있는 환우들에게 희망을 주며 신약을 개발하는데 통찰력을 갖게하고 약초를 사랑하는 모든 사람에게 정보의 목적으로 공개하는 것임을 밝혀 둔다.  

(글/ 약초연구가 & 동아대 & 신라대 대체의학 외래교수 전동명)

쑥 사진 감상: 1, 2, 3, 네이버+구글+다음+일본구글+대만구글: 1, 2, 3, 4, 5,

쑥 상세 사진 웹사이트: 1,

문의 및 연락처: 010-2545-0777 ; 051-464-0307

홈주소: http://jdm0777.com

페이스북 주소: http://www.facebook.com/jdmsanyacho

이메일: jdm0777@naver.com


참조: 아래의 쑥의 종류를 마우스로 클릭하여 함께 고려해 보시기 바랍니다.

 

 

 

 

홈페이지 주소 : http://jdm0777.com 클릭하시면 홈으로 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