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쑥(저모호=빈호) 무엇인가?

바닷가의 모래땅에서 자라는 빗자루 같은 쑥

 

 

 

 

 

 

 

 

 

 

 

 

[비쑥의 자잘한 잎, 전초, 줄기, 꽃봉오리, 뿌리의 모습, 사진출처: 일본/대만/한국 구글 이미지 검색]

▶ 설사 작용, 아픔멎이 작용, 항염증 작용, 안태 작용, 평활근 이완 작용, 이뇨 작용[오줌내기 작용], 억균 작용, 이담 작용, 해열 및 항미생물 작용, 강압 작용, 방광 근육의 이완 작용, 진경 작용, 진통 작용, 결석의 용해도를 높여 오줌에 풀리게 하는 작용, 청열이습, 퇴황, 황달형 간염, 신석증[싱아산염, 인산염에 의한 결석], 오줌내기약, 열물내기약, 염증약, 가래약, 콩팥 결석, 황달, 호흡기질병, 항염, 호흡기 질병, 해열, 콩팥의 핏줄을 확장, 전간, 설사, 신경쇠약, 모세 혈관 강화약, 여성들의 각종 질병, 산후 하혈, 자궁 출혈, 기생충감염, 진경, 요도 염증 예방, 갖가지 기생충증, 기침, 열나는데, 간질, 곽란, 억균, 아픔멎이[진통], 척수신경근염, 머리아픔[두통], 가슴아픔을 다스리는 비쑥

비쑥은 바닷가 모래땅에 자라는 한해살이풀이다.

비쑥의 학명은 <Artemisia scoparia Wald. et Kitaib.>이다. 키는 60~90cm이며 전체에 회백색 털이 있다. 뿌리는 굵고 방추형이며 대개 윗부분에서 가지가 갈라진다. 근생엽은 꽃이 필 때 없어진다. 경생엽은 어긋나고 적갈색이다. 길이 3~5cm이고 너비 2~5cm이다. 1~2회 깃 모양으로 갈라지며 갈래는 실 모양으로 끝이 날카롭고 톱니가 없으며 잎자루는 길다. 꽃은 황갈색이고 지름 1.2~1.5mm의 두상화서가 줄기 끝에 큰 원추화서 모양을 이루며 꽃이 피기 전에는 밑으로 처진다. 개화기는 8~9월이다. 어린잎은 식용하며 사철쑥에 비해서 꽃이 대형이다.

이름의 유래는 생김새가 빗자루 같은 쑥 종류라는 뜻에서 유래되었다.

쑥속(Artemisia Linne)은 전세계 어디든지 분포되어 있는 생명력이 강한 식물이다. 특히 북반구에 약 250종이 분포되어 있고 우리나라에 외래종 및 변종을 포함하여 약 60여종이 분포되어 있다.

우리나라에 자라거나 외국에서 도입되어 재배되는 쑥의 종류 및 변종을 살펴보면
1, 가는물쑥, 2, 가는잎쑥, 3, 가세제비쑥, 4, 개똥쑥(잔잎쑥), 5, 개철쑥(갯사철쑥), 6, 갯쑥, 7, 갯제비쑥, 8, 광대쑥, 9, 구와쑥(은쑥), 10, 국화잎쑥, 11, 그늘쑥, 12, 금쑥, 13, 넓은잎쑥, 14, 넓은잎외대쑥, 15, 넓은잎외잎쑥, 16, 노랑실쑥, 17, 더위지기쑥(부덕쑥), 18, 덤불쑥, 19, 두메쑥, 20, 맑은대쑥(개제비쑥), 21, 명천쑥, 22, 물쑥, 23, 밭쑥, 24, 백두산쑥, 25, 비단쑥, 26, 비로봉쑥, 27, 비쑥, 28, 뺑쑥, 29 사철쑥(애탕쑥), 30, 산쑥, 31, 산흰쑥(흰쑥), 32, 섬쑥(섬제비쑥), 33, 실제비쑥, 34, 쑥(약쑥, 사자발쑥), 35, 시나쑥(산토닌쑥), 36, 싸주아리쑥, 37, 쓴쑥(웜우드) 38, 애기쑥, 39, 왕사철쑥, 40, 외잎물쑥, 41, 외잎쑥(구우초), 42, 율무쑥, 43, 인도쑥, 44, 제비쑥, 45, 좀더위지기쑥, 46, 좀시나쑥, 47, 증산쑥, 48, 참쑥1, 49, 참쑥2(부엉다리쑥), 50, 큰비쑥(바다가쑥), 51, 큰사철쑥, 52, 큰제비쑥, 53, 타래쑥, 54, 털비쑥, 55, 털산쑥, 56, 황해쑥(모기쑥), 57, 호리쑥, 58, 흰더위지기, 59, 흰쑥, 60, 흰사철쑥, 61, 흰산쑥 62, 하이브리드 개똥쑥(F1), 63, 하이브리드 개똥쑥(F2) 64, 하이브리드 개똥쑥(F3) 등이 있다.

※ 참조: 중국에서 사용하는 인진호(
茵陳)에는 아래와 같은 종류를 함께 포함시키고 있다.

1-인진호[
茵陳蒿=사철쑥: Artemisia capillaris Thunb]

2-저모호[
豬毛蒿, 빈호:濱蒿, 북인진:北茵蔯=비쑥: Artemisia scoparia Wald. et Kitaib]

3-소백호[
小白蒿: Artemisia frigida Will.]

4-경직호[
直蒿: Artemisia stricta Edgew.]

비쑥의 여러 가지 이름은
저모호[豬毛蒿=zhū máo hāo=마오하오: 유기백과(維基百科)], 석인진[石茵陳, 산인진:山茵陳, 서인진:西茵陳, 북인진:北茵陳: 본초강목(本草綱目)], 야동호[野同蒿, 백호:白蒿: 구황본초(救荒本草), 식물명실도고(植物名實圖考)], 소추애[掃帚艾: 광주식물지(廣州植物志)], 토인진[土茵陳: 남방성구속칭(南方省區俗稱)], 동북인진호[東北茵陳蒿: 동북, 화북성구속칭(東北、華北省區俗稱)], 빈호[濱蒿: 서북성구속칭(西北省區俗稱)], 백두호[白頭蒿: 하북(河北)], 향호[香蒿: 하북섬서(河北陝西)], 취호[臭蒿: 하북(河北), 내몽고(內蒙古)], 미호[米蒿: 내몽고(內蒙古)], 면호[棉蒿, 사호:沙蒿: 산서(山西)], 백모호[白毛蒿, 회모호:灰毛蒿, 모빈호:毛濱蒿: 길림(吉林)], 황호[黃蒿: 내몽고(內蒙古), 흑룡강(黑龍江), 길림(吉林)], 소백호[小白蒿: 섬서(陝西)], 영춘호[迎春蒿, 황모호:黃毛蒿: 감숙(甘肅)], 백인진[白茵陳, 백청호동:白青蒿同, 모모호:毛毛蒿: 사천(四川)], 융호[絨蒿: 광서(廣西)], 아각롱[阿各弄, 이마간-사리이일:伊麻干-沙里爾日, 아만-사리이일:雅曼-沙里爾日: 몽어명(蒙語名=몽골어)], 아포천[亞布泉: 유오이어명(維吾爾語名=위구르어)], 아중[阿仲: 사천서부장어명(四川西部藏語名=쓰촨성 서부 티베트어)], 찰이왕[察爾旺: 청해장어명(青海藏語名=칭하이티베트어)], 빈호[濱蒿=bīn hāo=하오, 북인진:北茵陳: 중약대사전(中藥大辭典)], 하마요모기[ハマヨモギ: 일문명(日文名)], 빗자루 같은 쑥, 비쑥 등으로 부른다.

[성분]


1, <중약대사전>: "
비쑥은 scoparone을 함유하고 함유율은 부위와 계절에 의해 다른데 꽃봉오리에는 0.5%, 꽃과 종자에는 2%, 개화기의 전초에는 0.46%, 개화 전의 꽃에는 1.52%이다. 그러나 유묘(幼苗)에는 scoparone이 없고 chlorogenic acid가 들어 있다. 전초는 정유를 약 0.6% 함유하고 개화기이 함유율이 제일 높아 약 0.95%에 달한다. 그 성분은 thujyl alcohol, carvon, 1.8-cineole, thujone, geranyl acetate, cadinene, eugenol, α-pinene, β-pinene, agropyrene 등이다. 또 지방유를 함유하며 그 지방산은 myristic acid  5.1%, palmitic acid 23.48%, stearic acid 24.43%, arachidic acid 18.04%, linoleic acid 11.25%, oleic acid 10.09% 이다.

비염화 부분에는 β-sitosterol을 19.81% 함유한다. 이외에 또 일종의 이담(利膽) 성분인 4-hydroxy acetophenone을 함유한다. 또 cholin, salicylic acid, nonandioic acid, caryophyllene epoxide 등을 함유한다. 뿌리는 β-sitosterol 및 oxalic acid 등을 함유한다."

2, <약초의 성분과 이용>:
"비쑥 전초에 0.08~1.1%, 뿌리에 0.14%의 정유가 있다.
전초의 정유 함량은 꽃필 때 제일 높다. 정유의 조성은 β-피넨(약 30%까지), α-피넨(4%), 미르센(10%), 캄펜, 보르네올, 투욘으로 이루어졌다.

전초에는 알칼로이드 0.4%, 수지 4,35~5.57%, 유기산인 레몬산, 사과산, 싱아산, 초산, 프로피온산, 카페산, 클로로겐산, 피로갈롤 계통의 탄닌질(3.6~4.7%), 콜린, 옥시쿠마린인 디메틸에스쿨레틴, 0.92%의 스코파론이 있다. 스코폴레틴이 있다는 자료도 있다.

꽃과 전초에는 또한 10개 이상의 플라보노이드 성분이 약 4.4% 있다.
수지물질은 뿌리에 1.08~1.37%, 꽃에 7.91%, 탄닌질은 뿌리에 2.1~2.6% 있다. 열매에는 디메틸에스쿨레틴이 0.7~2% 있다.

옥시카르복시산은 어린식물 즉 뿌리잎에 많고 쿠마린 성분은 꽃피고 열매가 열릴 때 많다."

[약리작용]


1, <중약대사전>:
"1, 이담작용(利膽作用):
 
인진(茵陳) 및 비쑥의 꽃봉오리에서 분리해 낸 6.7-dimethoxycoumarin, 4-hydroxyacetophenone을 십이지장에 투약하면 마취한 rat의 총담관 삽관 및 만성 담낭루인 개의 담즙 분비를 증가시킨다.

2, 해열 및 항미생물 작용:


비쑥(1:10)은 ECHO virus에 대해 억제 작용이 있지만, 감염과 동시에 또는 감염 후에 투약하면 오직 병상을 지연시킬 수 있을 뿐이다. [중약대사전]

2, <약초의 성분과 이용>:
"비쑥 전초의 우림약과 정유는 동물실험에서 오줌내기작용이 있다. 정유는 또한 설사작용도 한다. 흰쥐에게 정유를 1~5ml/kg 먹여도 독작용은 없다.

비쑥 정유로 만든 약은 임상 실험에서 신석증에 대한 좋은 치료 효과가 있었다. 즉 오줌내기, 아픔멎이, 진경 및 억균작용이 있으며
오줌과 같이 결석이 떨어져 나오게 한다. 이 약의 아픔멎이작용은 정유성분인 보르네올, 미르센, 캄펜에 의한 평활근이완작용으로 생각된다. 항염증작용은 정유성분이 산화되어 생긴 페놀성 물질이 오줌과 같이 배설되면서 억균작용을 하기 때문이다.  

또한 이 약에 들어 있는 멘텐, 멘톨, 멘톤은 콩팥의 핏줄을 확장하여 오줌내기작용을 한다. 에틸렌디아미노테트라초산의 디에틸에스테르와 사과산의 에틸에스테르는 결석의 용해도를 높여 오줌에 풀리게 하는 작용이 있다. 또한 정유 성분에 의한 방광근육의 이완작용은 결석이 떨어져 나오기 쉽게 한다.

전초 달임약은 또한 이담작용이 있는데 작용 성분은 옥시카르복시산과 옥시쿠마린으로 보고 있다. 민간에서 어린 식물은 황달 치료에 쓰는 것으로 미루어 옥시카르복시산을 작용 성분으로 보는 견해도 있다. 플라보노이드 성분은 비타민 P 활성이 있고 따라서 총페놀성 화합물 제제를 만들어 모세혈관강화약으로 쓴다."

비쑥의 효능에 대해서 북한에서 펴낸
<약초의 성분과 이용>에서는 다음과 같이 기록하고 있다.

[비쑥(Artemisia scoparia Wald. et Kitaib.)

식물: 사철쑥과 비슷하나 한해살이풀이다. 꽃이삭은 직경 1.5~2mm로 작다. 염색체 분석에 의하면 비쑥과 사철쑥은 갈라보기 힘들며 생태적 변이로서 모두 비쑥으로 보아야 한다는 견해도 있다.

각지의 개울가, 길섶, 동둑의 양지에서 널리 자란다.

전초: 여름철에 잎과 꽃이삭이 붙은 윗가지를 베어 그늘에 말린다.

성분: 전초에 0.08~1.1%, 뿌리에 0.14%의 정유가 있다.
전초의 정유 함량은 꽃필 때 제일 높다. 정유의 조성은 β-피넨(약 30%까지), α-피넨(4%), 미르센(10%), 캄펜, 보르네올, 투욘으로 이루어졌다.

전초에는 알칼로이드 0.4%, 수지 4,35~5.57%, 유기산인 레몬산, 사과산, 싱아산, 초산, 프로피온산, 카페산, 클로로겐산, 피로갈롤 계통의 탄닌질(3.6~4.7%), 콜린, 옥시쿠마린인 디메틸에스쿨레틴, 0.92%의 스코파론이 있다. 스코폴레틴이 있다는 자료도 있다.

꽃과 전초에는 또한 10개 이상의 플라보노이드 성분이 약 4.4% 있다.
수지물질은 뿌리에 1.08~1.37%, 꽃에 7.91%, 탄닌질은 뿌리에 2.1~2.6% 있다. 열매에는 디메틸에스쿨레틴이 0.7~2% 있다.

옥시카르복시산은 어린식물 즉 뿌리잎에 많고 쿠마린 성분은 꽃피고 열매가 열릴 때 많다.

작용: 전초의 우림약과 정유는 동물실험에서 오줌내기작용이 있다. 정유는 또한 설사작용도 한다. 흰쥐에게 정유를 1~5ml/kg 먹여도 독작용은 없다.

비쑥 정유로 만든 약은 임상 실험에서 신석증에 대한 좋은 치료 효과가 있었다. 즉 오줌내기, 아픔멎이, 진경 및 억균작용이 있으며
오줌과 같이 결석이 떨어져 나오게 한다. 이 약의 아픔멎이작용은 정유성분인 보르네올, 미르센, 캄펜에 의한 평활근이완작용으로 생각된다. 항염증작용은 정유성분이 산화되어 생긴 페놀성 물질이 오줌과 같이 배설되면서 억균작용을 하기 때문이다.  

또한 이 약에 들어 있는 멘텐, 멘톨, 멘톤은 콩팥의 핏줄을 확장하여 오줌내기작용을 한다. 에틸렌디아미노테트라초산의 디에틸에스테르와 사과산의 에틸에스테르는 결석의 용해도를 높여 오줌에 풀리게 하는 작용이 있다. 또한 정유 성분에 의한 방광근육의 이완작용은 결석이 떨어져 나오기 쉽게 한다.

전초 달임약은 또한 이담작용이 있는데 작용 성분은 옥시카르복시산과 옥시쿠마린으로 보고 있다. 민간에서 어린 식물은 황달 치료에 쓰는 것으로 미루어 옥시카르복시산을 작용 성분으로 보는 견해도 있다. 플라보노이드 성분은 비타민 P 활성이 있고 따라서 총페놀성 화합물 제제를 만들어 모세혈관강화약으로 쓴다.

응용: 신석증(싱아산염, 인산염에 의한 결석) 치료에 쓴다.

다른 나라에서는 인진호라 하여 염증약, 오줌내기약, 열물내기약으로 쓴다.

민간에서는 전초를 열내림약, 가래약으로 호흡기질병에 쓰며 전간과 신경쇠약, 기생충감염, 척수신경근염, 머리아픔, 가슴아픔 등에도 쓴다.

아르테미솔: 비쑥 정유 3g, 박하유 0.9%, 에틸렌디아민테트라초산의 디에틸에스테르 0.1g, 사과산의 디에틸에스테르 1g, 살구씨기름 4g, 에탄올(95%) 1g을 섞어서 만든다.

연한 누런색의 액체이고 테르펜 냄새와 자극성 맛이 있다. 한번에 2~3방울씩 하루 3~4번 먹는다. 위액의 산도가 높은 환자는 밥먹은 다음에 먹는다. 요도의 염증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하루에 한 방울씩 먹는다. 병이 심한 정도에 따라 15방울까지 먹는다.
]

비쑥의 효능에 대해서 중국에서 펴낸 <중국본초도록> 제 6권 174면 2874호에서는 다음과 같이 기록하고 있다.

[저모호(猪毛蒿), 인진호(茵陳蒿)

기원: 국과(菊科=국화과: Compositae)식물인 저모호(猪毛蒿=비쑥: Artemisia scoparia Waldst. et Kit.)의 어린 싹이다.

형태: 일년생 혹은 이년생 초본으로 높이는 30-60cm이다. 근생엽(根生葉)에는 긴 잎자루가 있고 비교적 좁으며 엽신은 넓은 난형(卵形)이고 길이는 2.5-7cm이며 열편(裂片)은 약간 난상(卵狀)으로 듬성듬성 떨어져 있으며, 경생엽(莖生葉)은 선상(線狀)이고 잎맥도 선상(線狀)이다. 두상화서(頭狀花序)는 직경은 약 1mm이며 꽃자루가 없거나 짧은 꽃자루가 있고 한쪽에 치우쳐져서 착생(着生)해 짧은 수(穗) 즉 이삭을 이루며, 총포편(總苞片)에는 넓은 막질(膜質)의 가장자리가 있고, 바깥층에는 암꽃이 5-7송이 있고, 중간부분에는 양성화가 약 4송이 있다. 열매는 수과(瘦果)로 구원형(矩圓形)이다.



분포: 모래땅, 강가, 물언덕 및 염전에서 자란다. 중국의 동북(東北), 서북(西北), 화북(華北)에 분포한다. 우리나라에서는 바닷가 모래땅에서 흔히 자란다.

채취 및 제법: 봄에 어린 싹의 높이가 6-7cm일 때 뿌리를 제거한 후 전초(全草)를 캐내어 잡질을 제거하고 햇볕에 말린다.

성분: volatile oils, 6, 7dimethoxycoumarin 등.

기미: 맛은 쓰고 매우며 성질은 서늘하다.

효능: 청열이습(淸熱利濕), 퇴황(退黃).

주치: 황달형 간염(黃疸型肝炎).

용량: 15-30g.

참고문헌: 회편(滙編), 상권, 605면.]

이른 봄철에 갓 돋아난 새싹은 여느 쑥처럼 국을 끊여 먹거나 떡을 만들어 먹는다. 특히 여성들의 질병에 좋다고 하여 민간에서는 산후하혈, 자궁출혈 등에도 흔히 쓴다. 안태작용이 있어 임신한 여성의 보약으로도 좋다고 하며, 갖가지 기생충증, 기침, 가래, 두통, 열나는 데, 척수신경근염, 간질, 신경쇠약, 곽란, 설사 등을 치료하는 데도 쓴다. 중국에서는 비쑥도 인진쑥에 포함하여 함께 약용하고 있다.

각종 쑥의 효능(가나다순)

1, 맑은대쑥(개제비쑥, 개쑥, 암려: Artemisia keiskeana Miq)

거습, 독사에 물린데, 무월경, 발기불능, 생리불순, 임포텐츠, 소화촉진, 어혈, 타박상, 풍습성 관절통, 풍습성 사지마비 동통, 해산후 어혈로 인한 하복부 동통 등.

성분: Capillanin, Capillon, Capillin, dehydrofalcarinone, Tridecatrine, Triene, Ponticaepoxide
독성이 없으며, 다년생 초본으로 30~80cm이며, 7~9월에 꽃이 피며, 10월에 열매를 맺는다. 식용 및 약용한다. 전국 산지에서 자라며, 일본, 만주, 중국에 분포한다.

2, 바닷가쑥(Artemisia fukudo Mak)

간염, 담낭결석, 신장결석, 콩팥염 등.

3, 사철쑥(더위지기, 인진: Artemisia capillaris Thumb)

간염, 담즙분비, 무좀, 이뇨, 콩팥염, 항염증, 황달, 해열, 두통, 풍습, 개선, 창질, 안질, 세안, 학질, 타박상, 관절염, 발한, 명안, 소염 등.

성분: Capillarin, Capillin, Capillon, Cineol, Eucalyptol, Cajeputol, Arthemisiaketone, 1-β-Artemisia-alcohol, Essential oil, 1-α-pinene, Benzyl-alcohol-acetate, d-2-Methyl butyrate, Caryophylleneoxide, Pentacosane, Hexanol

4, 산쑥(Artemisia gigantea Kitamura), (A. vulgaris L. var. indica Maxim. f. montana Nakai)

기관지천식, 농피증, 뇌염, 뜸쑥, 설사, 신경쇠약, 신석증, 임신중독, 지혈, 폐결핵, 해독, 해열 등.

5, 산토닌쑥(마리티마쑥: Artemisia maritima L)

구충, 요충, 회충구제 등.

6, 시나쑥(시멘시나: Artemisia cina Berg)

류머티즘, 살균, 신경통, 피부병 조직 재생 촉진, 화상 등. 

7, 비단쑥(Artemisia lagocephala Fisch. ex Bses.DC)

각종 소화기 질병, 변비 등.

8, 비쑥(Artemisia scoparia Wald. et Kitaib)

가래, 가슴아픔, 개선, 과식, 곽란, 기생충감염, 누혈, 머리아픔, 산수하혈, 설사, 신경쇠약, 신석증, 안태, 억균, 이뇨, 이담작용, 전간, 지혈, 진경, 진통, 척수신경근염, 콩팥결석(싱아산염, 인산염에 의한 결석), 하리, 항염증, 해열, 황달, 호흡기 질병, 회충 등.

성분: 정유(β-피넨, α-피넨, 미르센, 캄펜, 보르네올, 투욘), 알칼로이드, 수지, 레몬산, 사과산, 싱아산, 초산, 프로피온산, 카페산, 클로로겐산, 피로갈롤 계통의 탄닌질, 콜린, 옥시카르복시산, 옥시쿠마린인 디메틸에스쿨레틴, 스코파론, 스코폴레틴 등.

독성이 없으며 식용 및 약용한다. 다년생초본으로 60~90cm까지 자라며, 8~9월에 꽃이 피어 10월에 열매를 맺는다. 제주 및 중부지방 해변 모래땅에서 자란다.

9, 쑥(Artemisia vulgaris L)

가슴이 냉한데, 각기병, 간경화, 간장염, 갓난아기 목욕시킬때, 강장보호, 강정, 개선, 경련, 과식, 곽란, 구충, 구토, 기관지염, 냉병, 네프로제, 누혈, 눈충혈, 대하증, 더위증, 딸꾹질, 류머티즘, 만성위염, 머리비듬, 면역력 증진, 몸이 냉한데, 변비, 복수, 복통, 부인냉병, 부인병, 부인붕루, 불임증, 비출혈, 사마귀, 산후배앓이, 산후하혈, 산모의 대변 하혈, 산후 팔다리를 못쓸때, 생인손, 설사, 소염, 수렴제, 습비, 식욕증진, 식은땀, 신경통, 아기 푸른똥 누는데, 안태, 연주창, 오심, 옴, 요통, 월경과다, 월경불순, 위냉증, 위아토니, 위염, 음식먹고 체한데, 이명, 이완출혈, 이질, 인후가 붓고 아플때, 자궁출혈, 재채기, 적백리, 정혈, 중풍, 지혈, 진통, 창독, 천식, 치질, 치출혈, 치통, 칼이나 낫에 베인 상처, 토사곽란, 토혈과 각혈, 통경, 폐결핵, 편도선염, 피로회복, 하리, 하혈, 학질, 항균, 해독, 허냉, 헛배 부른데, 황달, 회충 등.

성분: Cineol, Eucalyptol, Cajeputol, Artemisin, Heptadecatrin-2-4-9-triene-8-10-16, Monogynin, Adetone, Dehydrofalcarinene, Tridecatrine, Triene

독성이 없으며 식용 및 약용한다. 다년생 초본으로 키는 60~90cm이며, 7월에 꽃이 펴서 10월에 열매를 맺는다. 전국의 산지, 밭, 밭둑에서 자란다.

10, 인진쑥(댕강쑥, 더위지기, 사철쑥, 생당쑥, 인진: Artemisia messerschmiktiana Besset),(A. sacrorum Ledeb. var. latiloba A. freyniana Krasch)

간염, 간장해독, 당낭염, 담즙분비촉진, 이뇨, 이물배설촉진, 지방간, 항염증, 해열, 황달 등. 

11,
잔잎쑥(개똥쑥, 초고, 향고: Artemisia annua L)
항암작용, 담즙분비작용, 면역조절작용, 학질 원충 억제 작용, 혈압 강하 작용, 피부 진균 억제 작용, 쓴맛건위약, 열내림약, 피멎이약, 고혈압, 만성기관지염, 진해, 거담, 천식, 홍반성낭창, 간디스토마, 구강 점막의 편평태선, 결핵열, 학질(말라리아), 여름철 더위로 인한 메스꺼움, 구토, 가슴이 답답하고 열이 많은 증상, 뼛골이 쑤시면서 열이 날 때, 손과 발에 열이 나는 증상, 여름 감기에 열이 나면서 아픈데, 간헐열, 황달, 신경성 열병, 만성 열병, 혈변, 토혈, 염증약, 곪은 상처를 빨리 터지게 하는 약, 백혈병, 피부병, 벌에 쏘인 데, 태선, 옴, 농피증, 류마티즘, 황달 등.

성분: Cineol, Eucalyptol, Artemisiaketone, 1-β-Artemisia alcohol, Benzyl alcohol, 1-α-1-pinene, Caryopylleneoxide, pentacosane, Hexanol, d-2-Methyl butyrate, Essential oil

독성이 없으며 식용 및 약용한다. 냄새가 나고 1년생 초본으로서 60cm까자 자라며 8월에 꽃이 피고 10월에 열매를 맺는다. 제주도 및 충남, 시베리아, 서부아시아, 동부유럽에 분포한다.

12, 큰꽃사철쑥(개사철쑥, 큰사철쑥: Artemisia apiacea Hance)

개선, 벌독, 안질, 악창, 이뇨, 지혈, 창종, 풍습, 해독, 황달, 해열, 허약체질 등.    

성분: Cineol, Eucalyptol, Cajeputol, Artemisiaketone, 1-β-Artemisia alcohol, Essential oil, 1-α-pinene, Benzyl alcohol, d-2-Methyl butyrate, Caryopylleneoxide, pentacosane, Hexanol

독성이 없으며 약용 및 식용한다. 냄새가 나고 2년생 초본으로서 1m까지 자란다. 7~9월에 꽃이 피며 10월에 열매를 맺는다. 제주, 남부, 중부, 북부에 자라며 일본, 중국, 만주에도 분포한다.

13, 털산쑥(Artemisia gmelini Web. ex Stechm), (A. sacrorum Ledeb. ; A. iwayomogi Kitam)
가래, 구충, 나병치료약, 담즙분비, 대장염, 류머티즘, 머리아픔, 적리, 지혈, 진통, 항염증, 해열 등.

14, 황새쑥(Artemisia argyi Leveille et Vaniot)
강장, 설사, 위염, 장산통, 지혈, 토혈 등.

15, 산흰쑥(
Artemisia sieversiana Willd.)
이뇨작용, 항염증작용, 황색포도상구균 및 대장균 억제작용, 급성세균성이질, 소염, 기침, 땀내기약, 기관지염, 감기, 위장병, 변비, 구충제, 방사선에 의한 손상과 궤양, 트라코마의 염증약, 기관지천식, 항알레르기약, 해독, 거조습(袪燥湿), 지혈, 건위, 소종, 지통, 치풍습, 이질, 소변이 붉은데, 악창, 풍한습비(風寒濕), 황달, 열리(熱痢), 옴과 악성 종기, 보중익기(補中益氣), 모발(毛髮)을 자라게 하고 검게 함, 마음이 불안하고 식욕이 없고 항상 허기진 증세, 열황(熱黃) 및 심통(心痛) 제거, 여름의 폭수리(暴水痢), 임력질(淋疾), 개선 등.

성분:
본 식물의 녹색 부분은 일종의 sesquiterpene류, sieversinin을 함유한다. 지상 부분은 또 sieversin, absinthin을 함유한다. 지상 부분은 또 sieversin, absinthin을 함유한다. 건조 식물은 알칼로이드 0.12~0.2%, pyrocatechol tannin 0.499%, flavonoid 0.831%, lactone, rutin, isoquercetin도 포함한다.

독성이 없으며,
약용식물(药用植物), 사료용식물(饲用植物), 방향식물(芳香植物)로 활용된다.

16, 인도쑥(
Artemisia dubia Wall. for. elatior Pampan)
해열, 두통, 풍습, 이뇨, 황달, 개선, 창질, 안질, 세안, 학질, 타박상, 관절염, 발한, 명안, 소염 등.

성분: Capillarin, Capillin, Capillon, Cineol, Eucalyptol, Cajeputol, Arthemisiaketone, 1-β-Artemisia- alcohol, Essential oil, 1-α-pinene, Benzyl-alcohol, acetate, d-2-Methyl butyrate, Caryopylleneoxide, pentacosane, Hexanol

17, 뺑쑥(
Artemisia feddei Leveil et van.)
해열, 두통, 풍습, 이뇨, 황달, 개선, 창종 등.

성분: Capillanin, Capillon, Capillin, dehydrofalcarinone, Tridecatrine, Triene, Ponticaepoxide
독성이 없으며, 다년생 초본으로 1.5m까지 자라며, 8~9월에 꽃이 피며, 11월에 열매를 맺는다. 식용 및 약용, 사료용으로 쓴다. 전국 산야지에서 자란다.

18, 제비쑥(자불쑥, 청호, 초호:
Artemisia japonica Thunb.)
쓴맛건위약, 열내림약, 피멎이약, 고혈압, 만성기관지염, 진해, 해열, 지혈, 타박상, 거담, 천식, 홍반성낭창, 간디스토마, 구강 점막의 편평태선, 결핵열, 학질(말라리아), 여름철 더위로 인한 메스꺼움, 구토, 가슴이 답답하고 열이 많은 증상, 뼛골이 쑤시면서 열이 날 때, 손과 발에 열이 나는 증상, 여름 감기에 열이 나면서 아픈데, 간헐열, 황달, 신경성 열병, 만성 열병, 혈변, 토혈, 염증약, 곪은 상처를 빨리 터지게 하는 약, 백혈병, 피부병, 벌에 쏘인 데, 태선, 옴, 농피증, 류마티즘, 황달 등.

성분: Capillanin, Capillon, Capillin, dehydrofalcarinone, Tridecatrine, Triene, Ponticaepoxide
독성이 없으며, 다년생 초본으로 60~90cm까지 자라며, 8~9월에 꽃이 피며, 10월에 열매를 맺는다. 식용 및 약용, 사료용으로 쓴다. 전국의 밭, 밭주변, 제방, 바닷가의 빈터, 살과 들 등지에서 자라며, 일본, 대만, 중국, 만주, 우수리, 필리핀 등지에 분포한다.

19, 외잎쑥(구우초:九牛草:
Artemisia monophylla Kitamura; A. Viridissina(Komarov) Pampanini)
토혈, 해열, 통경, 당뇨병, 구충, 중풍, 치질, 이질, 고혈압, 두풍, 만성위장염(특효), 자양강장, 신경통, 복수 등.

성분: Cineol, Eucalyptol, Cajeputol, Artemisin, Heptadecatrin-2-4-9-triene-8-10-16, Monogynin, Ponticaepoxide, Adetone, Dehydrofalcarinene, Tridecatrine, Ttiene

독성이 없으며, 다년생 초본으로 60~90cm까지 자라며, 7~8월에 꽃이 피며, 10월에 열매를 맺는다. 식용 및 약용으로 쓴다. 강원도 평안남도, 함경남도 고산지대에 야생하며 전국의 고산지대에 자라며, 일본에 분포한다.

20, 더위지기(
Artemisia iwayomogi Kitamura)
산후하혈, 지혈, 회충, 곽란, 하리, 소염성 이뇨제, 개선, 안태, 과식, 누혈 등.

성분: Cineol, Eucalyptol, Cajeputol, Artemisin, Ponticaepoxide, Dehydrofalcarinene, Tridecatrine, Ttiene, Heptadecatrin-2-4-9-triene-8-10-16

독성이 없으며, 잎지는 관목 모양으로 1m까지 자라며, 7~8월에 꽃이 피며, 9~10월에 열매를 맺는다. 식용 및 약용으로 쓴다. 중부, 북부 고산지대에 자라며, 일본에 분포한다.

비쑥을 비롯하여
지구상에 가장 흔하게 지천으로 널려 있는 쑥이 사실은 명약이며 우리 인체의 면역계를 튼튼하게 해주는 훌륭한 약초이며 식품이라는 것에 놀라움을 금할 길이 없다. 지구 가족의 건강을 위해서 쑥을 잘 이용한다면 불로장수하는데 큰 유익을 줄 것임을 믿어 의심치 않는다.

상기 자료는 약초연구가로서 지구상에 존재하는 천연물질의 우수성을 널리 알리고 질병으로 고통을 겪고 있는 환우들에게 희망을 주며 기능성 식품과 신약을 개발하는데 통찰력을 갖게하고 약초를 사랑하는 모든 사람에게 정보의 목적으로 공개하는 것임을 밝혀 둔다.  

(글/ 약초연구가 & 동아대 & 신라대 대체의학 외래교수 전동명)

비쑥 사진 감상: 1, 2, 3, 4, 5, 네이버+구글+다음+일본구글+대만구글: 1, 2, 3, 4, 5,

문의 및 연락처: 010-2545-0777 ; 051-464-0307

홈주소: http://jdm0777.com

페이스북 주소: http://www.facebook.com/jdmsanyacho

이메일: jdm0777@naver.com


참조: 아래의 쑥의 종류를 마우스로 클릭하여 함께 고려해 보시기 바랍니다.

 

 

 

 

※ 아래에 미국 구글 이미지 검색에서 다운로드한 비쑥 사진도 감상해 보시고 행복하시기 바랍니다~~~^.^

 

 

홈페이지 주소 : http://jdm0777.com 클릭하시면 홈으로 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