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진쑥(만년호=산인진) 무엇인가?

산비탈과 들에 자생하며 겨울에도 죽지 않는 반떨기나무

 

 

 

 

 

 

 

 

 

 

 

 

[산인진의 전초, 푸른 전초, 흰색털 전초, 잎 앞면, 잎 뒷면, 꽃, 열매, 종자의 모습, 사진출처: 일본/대만/한국 구글 이미지 검색]

▶ 담즘분비촉진작용[이담작용], 항균작용, 이뇨작용, 해열작용, 청열해독, 양혈지혈, 간염, 충수염[맹장염], 소아경풍, 음허조열, 황달, 급성 및 만성 간염, 위염, 피부가 가렵고 창진이 있을 때, 간경화[간경변증], 간암, 배뇨장애를 다스리는 더위지기(산인진쑥)

더위지기 즉 산인진은 국화과 쑥속에 속하는 여러해살이풀인
다년생 낙엽관목인 반떨기나무이다.

더위지기 즉 산인진의 학명 및 이명은 <
Artemisia iwayomogi Kitamura ; Artemisia messerschmidtiana Bess. var. viridis Bess. ; Artemisia sacrorum Ledeb. var. messerschmidtiana (Bess.) Y. R. Ling>이다. 잎 뒷면에 흰 털이 밀생하는 것을 흰더위지기라고 부른다.

쑥숙은 전세계에 약 250종이 분포하고 있으며 우리나라에는 약 25종이 분포되어 있다. 더위지기는 무더운 여름철 더위를 이기게 하는 효능이 있다고 해서 붙여진 이름이라고 한다. 또는 겨울에도 줄기가 죽지 않고 사철 살아있다고 해서 사철쑥이라고 부른다.

산비탈과 들에서 자란다. 일반쑥은 겨울철에 줄기가 시들어 죽지만 인진은 줄기는 목질화되어 겨울에도 죽지 않고 나무처럼 여러해를 살아간다. 잎은 어긋나고 난형이며 2회 깃 모양으로 깊게 갈라지며 갈래는 선형이고 끝이 뾰족하고 보통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다. 잎 양면에 흰 털이 있으나 나중에 떨어지고 잎자루가 있으며 뒷면은 연한 녹색이다. 꽃은 노란색으로 피며 두상화서는 잎겨드랑이에 총상으로 달리며 둥근 모양으로 늘어진다. 개화기는 7~8월이고 결실기는 9~11월이다.  

현재 우리나라에서는 산과 들에 자라는 줄기가 죽지 않는 쑥을 인진쑥으로 사용하고 있지만 중국에서는 개울 부근이나 강가 및 바닷가 모래땅에서 줄기가 죽지 않는 '사철쑥'을 인진쑥으로 주로 사용하고 있으며 아래와 같이 4가지 종류를 지역에 따라 인진쑥으로 함께 사용하고 있기도 하다.  

중국에서는 바닷가 모래땅에서 자라는 '
사철쑥(
Artemisia capillaris Thumb)'을 인진쑥으로 사용하며 그외에도 지역에 따라서 '비쑥(Artemisia scoparia Wald. et Kitaib)'을 빈호(濱蒿), 북인진(北茵蔯)이라 하여 인진쑥으로 사용하고 있으며 중국의 동북 등지에서는 소백호(小白蒿: Artemisia frigida Will.)가 인진쑥으로, 중국 서장 지역에서는 경직호(直蒿: Artemisia stricta Edgew.)를 인진쑥으로 사용하고 있다.  

인진호(
茵蔯蒿)로 불리는 인진쑥이 몇가지 종류가 추가된 것에 대한 필자의 추측은 이렇게 된 원인이 쑥의 종류가 대단히 많고 효능 또한 비슷한 점들이 많아서 이러한 현상이 나타났다고 사료된다.  

인진쑥의 다른 이름은
만년호[萬年蒿=wàn nián hāo=니앤하오: 장백산식물약지(長白山植物藥誌)], 백만년호[白万年蒿: 내몽고식물지(内蒙古植物志)], 백련호[白蓮蒿: 전국중초약휘편(全國中草藥彙編)], 회련호[灰莲蒿: 백도백과(百度百科)], 만년봉[万年蓬: 요녕(辽宁)], 철간호[铁秆蒿: 동북(东北)], 공호[供蒿: 길림(吉林)], 밀모백련호[密毛白莲蒿, 밀모세열협련호:密毛细裂叶莲蒿, 황호:黄蒿: 식물지(植物智)], 길길격모일음-서파알[吉吉格毛日音—西巴嘎, 합이-사와격:哈尔—砂瓦格: 몽골어], 이와요모기[イワヨモギ=岩蓬: 일문명(日文名)], 산인진[山茵蔯, 인진호:茵蔯, 생당쑥: 북측명], 한인진[韓茵蔯, 더위지기: 남측명], 조선인진호, 사철쑥, 인진, 인진쑥, 산인진쑥, 흰더위지기 등으로 부른다.

쑥속(Artemisia Linne)은 전세계 어디든지 분포되어 있는 생명력이 강한 식물이다. 특히 북반구에 약 250종이 분포되어 있고 우리나라에 약 30여종이 분포되어 있다.  

우리나라에 나는 쑥의 종류를 살펴보면
가는잎쑥, 개똥쑥(잔잎쑥), 개사철쑥(갯사철쑥), 구와쑥(은쑥), 그늘쑥, 금쑥, 넓은잎외잎쑥, 더위지기(부덕쑥), 덤불쑥, 맑은대쑥(개제비쑥), 명천쑥, 물쑥, 비단쑥, 비쑥, 뺑쑥, 사철쑥(애탕쑥), 산쑥, 산흰쑥(흰쑥), 섬쑥(섬제비쑥), 실제비쑥, 쑥(약쑥, 사자발쑥), 시나쑥, 싸주아리쑥, 외잎물쑥, 외잎쑥, 율무쑥, 인도쑥, 제비쑥, 참쑥1, 참쑥2(부엉다리쑥), 큰비쑥(바다가쑥), 큰제비쑥, 타래쑥, 털산쑥, 황해쑥(모기쑥), 흰더위지기, 흰쑥, 흰사철쑥, 흰산쑥 등이 있다.

산인진의 효능에 대해서 북한에서 펴낸
<동의학사전>에서는 이렇게 기록하고 있다.

[인진호(
茵蔯蒿) //생당쑥, 산인진(茵蔯)// [본초]

국화과에 속하는 다년생 풀인 생당쑥(Artemisia messerschmidtiana Bess. var. viridis Bess.)의 전초를 말린 것이다.

각지의 산기슭과 길섶, 들에서 자란다. 여름철 꽃이 피기 전에 전초를 베어 그늘에서 말린다.

맛은 쓰고 매우며 성질은 차다. 방광경, 비경, 위경에 작용한다.

열을 내리고 습을 없애며 소변이 잘 나오게 한다. 약리실험에서 물엑기스가 이담작용, 이뇨작용, 해열작용을 나타낸다.

정유성분과 스코폴레틴성분도 이담작용을 나타낸다.

황달, 급성 및 만성 간염, 위염, 배뇨장애 등에 쓴다. 하루 8~20g을 물로 달여 먹는다. 엑기스를 뽑아 알약이나 환약에도 넣는다.

다른 나라에서는 사철
쑥(Artemisia capillaris Thumb.)을 생당쑥으로 쓴다.]

산인진의 효능에 대해 안덕균의
<한국본초도감>에서는 다음과 같이 기록하고 있다.

[한인진(韓
茵蔯)

국화과의 갈잎떨기나무 더위지기(
Artemisia iwayomogi Kitamura)의 지상부이다.

성미:
맛은 쓰고 성질은 서늘하다.

효능:
청열이습(淸熱利濕)

해설:
① 습열(濕熱)이 원인이 되어 일어난 급성간염으로 전신과 눈에 황달이 생기는 것을 치료한다. ② 소변을 잘 못보는 증상, ③ 피부가 가렵고 창진이 있을 때에 효험을 보인다. ④ 만성간염, 간경변증, 간암 등에 1회 15~20g씩 사용한다.

약리:
① 담즙 분비 촉진 작용을 나타내고, ② 항균 작용을 보인다.

임상보고:
만성간염, 간경화, 간암에 다른 약물과 배합해서 사용하자 현저한 반응을 나타냈다.]


주의사항으로 습열사가 원인이 아닌 황달에는 복용해서는 안된다.

1, <신농본초경소>: "축혈발황(蓄血發黃)의 경우에는 금기이다."
2, <득배본초>: "열이 심한 발황(發黃), 습기(濕氣)가 없는 증상에는 모두 금기이다."

산인진의 효능에 대해서 중국에서 펴낸 <중국본초도록> 제 6권 173면 2873호에서는 다음과 같이 기록하고 있다.

[만년호(萬年蒿)

기원: 국과(菊科=국화과: Compositae)식물인 만년호(萬年蒿=산인진: Artemisia sacrorum Ledeb.)의 전초(全草)이다.

형태: 다년생 초본으로 높이는 40-80cm이다. 줄기는 직립하며 세로로 난 무늬가 있고 암자색(暗紫色)이며 중간 부분 이상에서 대부 분 분지한다. 잎은 어긋나며 잎자루가 있고 가탁엽(假托葉)도 있으며, 엽신은 난상(卵狀) 타원형(橢圓形)으로 2회 우상심열(羽狀深裂) 또는 전열(全裂)하며 길이는 4-6cm이고 열편(裂片)은 피침형(披針形)으로 가장자리에는 거치(鋸齒) 가 약간 있거나 전연(全緣)이며 앞면은 짙은 녹색(綠色)으로 가는 유선점이 있고 뒷면에는 회백색(灰白色)의 가늘고 짧은 면모(綿毛)가 조밀하게 난다. 두상화서(頭狀花序)는 구형(球形)이고 아래로 늘어져 있으며 짧은 꽃자루가 있고, 꽃은 황색(黃色)으로 전체가 통상화(筒狀花)이다. 수과(瘦果)는 긴 원형(圓形)이며 관모(冠毛)가 없다. 꽃 피는 시기는 7-8월이다.



분포: 산비탈, 길가에서 자란다. 중국의 각지에 분포한다.

채취 및 제법: 여름, 가을에 채취하고 거두어 그늘에서 말린다.

성분: flavonoid, volatile oils.

기미: 맛은 쓰고 매우며 성질은 평하다.

효능: 청열해독(淸熱解毒), 양혈지혈(凉血止血).

주치: 간염(肝炎), 충수염(蟲垂炎), 소아경풍(小兒驚風), 음허조열(陰虛潮熱).

용량: 10-30g.

참고문헌: 장백산식물약지(長白山植物藥誌), 1128면.]

인진쑥의 전설에 대해서 이풍원의
<이야기 본초강목>에서는 이렇게 기록하고 있다.

[3월 쑥은 약, 4월 쑥은 불쏘시개

- 인진(茵蔯) -


중국의 어느 지방에 얼굴색은 마치 생강 같이 노랗고, 눈은 쑥 들어가고, 비쩍 마른 한 병자가 있었다. 그가 지팡이를 짚은 채로 힘들 게 명의 화타(華陀)를 찾아왔다.

"의원님, 제 병을 고쳐주십시오."

화타가 보니 그가 황달에 걸려 있는 것을 금방 알 수 있었다.

"황달을 치료하는 의원은 한 분도 없었습니다. 저도 방법이 없군요."

병자는 화타마저도 치료하지 못한다는 말을 듣고서 대단히 실망하여 무거운 발걸음을 돌렸다. 그저 죽기만을 기다리는 일밖에는 달리 아무런 방도가 없었다. 불행인지 다행인지 병자는 그렇게 반년을 죽지 않고 보냈다.

화타가 길을 가다가 우연히 황달에 걸렸었던 병자를 다시 만났다.  
그 병자는 오히려 얼굴색이 전보다 무척 좋아졌으며, 병은 완전히 나은 것 같았다. 화타는 놀라서 물었다.

"당신의 병을 어느 의원이 치료했습니까? 저에게 알려 주십시오. 제가 그에게 가서 의술을 더 배워야겠습니다."

"전에 선생님을 뵌 후로는 의원에게 찾아간 적이 없습니다. 자연적으로 나았습니다."

화타는 믿지 못하겠다는 얼굴로 다시 물었다.

"그러면 어떤 약을 먹었습니까?"

"아무런 약도 안 먹었습니다."

"참으로 이상한 일이군요!"

화타는 머리를 갸웃거리며 생각했다. 그러자 그가 말을 이었다.

"초봄에 양식이 떨어져 산에 있는 풀을 뜯어 먹으며 살았지요."

"맞아! 바로 그거야! 풀에는 약의 성분이 들어 있어서 당신도 모르는 사이에 병이 치료된 것요. 저에게 알려 주시겠습니까?  당신이 어떤 풀을 먹었고, 또 얼마나 먹었는지?"

"이름은 모르지만, 대충 한 달 가까이 먹었습니다."

화타는 그가 도대체 어떤 풀을 먹었는지 알고 싶어 그와 동행하여 산에 올랐다. 산허리까지 가서 그 사름은 부근에 있는 풀을 가리켰다.

"이것은 쑥이 아닌가?! 이것이 황달을 치료하는 풀이란 말인가? 그래, 이 풀을 캐다가 시험을 해보자!"

화타는 황달에 걸린 환자에게 쑥을 복용하도록 하였다. 몇 번 복용하였지만, 병이 나아지는 기색을 찾아볼 수 없었다. 화타는 예의 황달병 환자가 약초를 잘못 알려준 것이 아닌가 싶어 다시 그를 방문했다.

"당신이 정말 이 쑥을 먹었습니까?"

"맞아요! 바로 이 풀이에요. 틀림없어요."

그 사람은 확신했다. 화타는 잠시 생각하다가 다시 물었다.

"당신이 언제 쑥을 먹었지요?"

"음력 3월경이지요."

"그렇군! 춘삼월에는 만물이 생기를 충만하게 받지, 맞아! 3월의 쑥이 효과가 있는 거야."

이듬해 봄이 되어 춘삼월에 화타는 쑥을 뜯어 황달 환자에게 복용시켰다. 이번에는 효과가 매우 좋았다. 환자는 점점 병의 상태가 호전되었다. 이상한 것은 봄이 지난 쑥은 아무런 효과를 보이지 않는다는 것이다.

화타는 쑥의 약효를 조사하기 위하여 매년 시험을 해보았다. 달마다 채집한 쑥의 뿌리, 줄기, 잎을 구분하여 보관하고 환자에게 복용시켰다. 시간이 흐른 뒤, 마침내 새싹의 잎과 줄기가 황달을 치료하는 약이 된다는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화타는 사람들에게 이를 구별시키기 위하여 새싹의 잎을 <인진(茵蔯)>이라 이름 지었다. 황달이 치료되지 않은 원인은 오래된 쑥이었기 때문에 이런 뜻의 <인진(因蔯)>에다 풀 초(艸)를 붙여 인진(茵蔯)으로 명명하였다.  

화타는 이런 시를 지었다.

삼월적봉규인진(三月的蓬叫茵蔯)

사월생적지시봉(四月生的只是蓬)

희망후인요뢰기(希望後人要牢記)

삼월적인진능치병(三月的茵蔯能治病)

사월적봉지능당시소(四月的蓬只能當柴燒)


삼월의 쑥은 인진이라 부르고,

사월의 생긴 것은 쑥이다.

후세 사람들은 꼭 기억하길 바란다.

삼월의 인진은 병을 치료하지만,

사월의 쑥은 단지 불쏘시개감이다.
]

더위지기(인진쑥)으로 질병을 치료하는 방법은 아래와 같다.

1, 몸이 황금색처럼 노랗게 되고 말하기 싫어하며 사지가 무기력해서 자거나 눕기 좋아하는 증상과 점액(粘液) 구토를 하는데

인진쑥, 백선피 각 37.5g을 거친 가루로 만들어 체에 쳐서 매회에 3전비(錢匕: 중국 고대 한나라에서 약물을 계량하던 구리로 만든 동전으로 떠낸 분량이다. 1전비는 지금의 약 2g에 해당한다.)즉 6g을 물 1컵으로 6할이 되게 달이고 찌거기를 제거해서 1일 3회, 식전에 따뜻하게 해서 복용한다. [성제총록(聖濟總錄)]

2, 감기, 황달, 옻오른데

인진쑥 19g을 물로 달여서 복용한다. [호남약물지(湖南藥物誌)]

3, 전신풍양생개창(全身風
生疥瘡)
인진쑥을 양에 관계없이 물로 달여서 진한 즙으로 해서 씻는다. [천금방(千金方)]

최영전의
<한국민속식물>에서는 "쑥이 약초로 쓰인 것은 중국의 신농시대부터 이며 오래 묵은 것일수록 좋다. 옛날 왕급(王及)이라는 사람이 나귀를 타고 서천(西川)으로 가던 중 치질을 앓아 호두처럼 부어올라 열을 내고 쓰러졌는데 어떤 사람이 그 치료에는 뜸이 제일이라고 일러주어 즉시 시험했더니 장내가 따뜻해지고 국부에서 피덩이가 나와 닦았더니 낫더라고 전해진다.

인진쑥은 중국의 어떤 승려가 상한(傷寒)에 걸려 땀이 제대로 나오지 않아 온 몸이 누렇게 되고 고열이 계속되어 1년씩이나 낫지 않았다. 백약이 무효였는데 이 때 장중경(張仲景)이 더위지기를 써 보라고 일러주어 5일 먹었더니 3분의 1이 낫고, 10일 복용하니 3분의 2가 나았으며 20일 복용하니 완쾌되었더라고 한다."고 전해준다.   

쑥으로 여름철 모기를 쫓기위해 불을 피우던 옛시골 풍경이 문득 되살아 난다. 쑥뜸, 진통, 지혈, 지사, 옻오른데, 풀독, 습진, 가려움증, 치통, 목의 통증, 입안 종기 등 사용하는 방법 또한 무궁무진하다.  

그렇다. 쑥은 어디에서나 쑥쑥 자라는 대단히 뛰어난 생명력 때문에 동양의학에서는 민간요법으로 사랑을 받아온 풀이다. 또한 쑥의 탁월한 효능 때문에 의사의 풀이라는 뜻의 의초
(
醫草)로 불리고도 남을 만 하다. 어디든지 흔하게 자라고 있는 쑥을 바라볼 때 사람들은 값없이 무한정 사랑의 봉사 정신으로 자신을 사용하도록 인류에게 수천년 동안 제공해 준 쑥에게 다시한번 고마움을 느낄 필요가 있을 것이다. 사실 쑥과 같은 사람이 많이 존재할 때 전쟁없는 인류의 진정한 평화는 반드시 도래할 것이다. 모두가 쑥과 같은 사람이 되도록 다함께 노력해 보자!

(글/ 약초연구가 & 동아대 & 신라대 대체의학 외래교수 전동명)

더위지기(산인진/인진쑥) 사진 감상: 1, 2, 3, 4, 5,

더위지기(산인진/인진쑥) 꽃봉오리 사진 감상: 1, 2, 3, 네이버+구글+다음+일본구글+대만구글: 1, 2, 3, 4, 5,

더위지기(산인진) 상세 사신 웹사이트: 1,

문의 및 연락처: 010-2545-0777 ; 051-464-0307

홈주소: http://jdm0777.com

페이스북 주소: http://www.facebook.com/jdmsanyacho

이메일: jdm0777@naver.com


참조: 아래의 쑥의 종류를 마우스로 클릭하여 함께 고려해 보시기 바랍니다.

 

 

 

 

※ 아래에 jdm 필자가 찍은 더위지기(산인진) 사진도 감상해 보시고 행복하시기 바랍니다~~~^.^

 

 

홈페이지 주소 : http://jdm0777.com 클릭하시면 홈으로 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