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지나물(미국제비꽃) 무엇인가?

심장 모양의 잎이 작은 밥그릇인 종지를 닮은 미국제비꽃

 

 

 

 

 

 

 

 

 

 

 

 

[<<종지나물의 봄철 올라오는 햇잎, 종지처럼 둥근 형태의 잎, 꽃이 핀 전초, 흰색바탕에 자주색꽃, 흰색바탕에 청자색꽃, 흰색바탕에 변종인 점박이색꽃의 모습, 사진-출처: JDM 촬영>>]

감기, 발열, 두통, 인후염, 기침, 천식, 기관지염, 흉막염, 폐결핵, 이질, 유방염, 여드름, 습진, 피부염, 봄나물용[쌈, 생으로나 데쳐서 무침, 전, 꽃은 꽃을 수놓아 꽃전을 부쳐서 먹음], 건선증 및 외상성 종기 및 암을 다스리는 미국제비꽃

종지나물은 제비꽃과에 속하는 여러해살이풀이다.

종지나물의 학명은 <
Viola sororia Willd. ; Viola papilionacea Pursh, 1814>이다. 원산지는 북미 즉 북아메리카 중부와 동부의 풍부한 숲, 초원, 강 근처에서 서식한다.

8·15 직후 미국에서 건너온 귀화식물이다. 미국제비꽃이라고도 부른다. 밑동에서 잎이 다보록하게 솟아나고, 잎자루는 잎몸보다 길다. 잎은 작은 밥그릇인 종지 모양이고, 심장형이며, 끝은 약간 뾰족하고, 잎 가장자리에는 톱니가 있다.

꽃은 4~5월경에 자색, 흰색 외에도 흰색 바탕에 남색, 얼룩무늬색, 청자색, 황록색, 점박이색, 연한 자주색 바탕에 얼룩무늬색 등이 섞여 있고 열매는 긴 타원형이며, 녹색 또는 검은 자주색이고, 씨는 검은 갈색이다. 씨앗 번식과 포기나누기로 번식한다.

종지나물의 이름의 유래는 심장 즉 하트 모양의 잎이 우리가 흔히 밥상에서 사용하는 작은 밥그릇인 '종지'를 닮았다고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종지나물은 우리나라에 들어와 꽃의 변종이 심해서 다양한 이름으로도 불린다. 기본색은 흰색 바탕에 남색의 큰꽃을 피우는데 그 외에도 은하수나 점박이 또는 얼룩무늬가 들어 있는 꽃들이 피어서 붙여진 이름들이 예를 들어
은하수제비꽃, 얼룩제비꽃, 얼룩무늬제비꽃, 점박이제비꽃, 주근깨제비꽃 등으로 부르고 있다.

※ 참조:
중국에서 펴낸 <중국본초도록>에서는 아래에 25가지 종류의 제비꽃을 약용으로 활용하고 있다.

1, 지정-1[地丁-1,
광판근채:光瓣菫菜, 호제비꽃: Viola yedoensis Makino.=1753]


2, [화두초-2[鏵頭草-2,
자화지정:紫花地丁: Viola philippica Cav. ssp. munda W. Beck.=3231]



3, 지정-2[地丁-2, 미구대:
米口袋, Gueldenstaedtia verna (Georgi) A. Bor.=2680]


4, 동북근채[東北菫菜, 지정:地丁,
제비꽃: Viola mandshurica W. Beck.=2213]


5, 화두초-1[鏵頭草-1, 백화지정:白花地丁, 장악근채:長萼菫菜,
흰제비꽃: Viola patrinii DC. ; Viola inconspicua Bl.=1750]


6, 주변강[走邊疆, 계퇴근채:鷄腿菫菜,
졸방제비꽃: Viola acuminata Ledeb.=1283]


7, 극엽근채[戟葉菫菜: Viola betoniciolia Smith=3695]


8, 쌍화황근채[雙花黃菫菜,
장백제비꽃: Viola biflora L.=1749]


9, 지핵도[地核桃, 모과근채:毛果菫菜,
둥근털제비꽃: Viola collina Bess.=4750]


10, 지황과[地黃瓜, 포상근채:葡狀菫菜, 포복근:葡伏菫, 백지황과:白地黃瓜, 지백채:地白菜, 야백채:野白菜, 냉독초:冷毒草, 왕과초:王瓜草, 황과초:黃瓜草, 황과향:黃瓜香, 황과채:黃瓜菜, 은다시:銀茶匙, 석백채:石白菜, 설리청:雪里靑: Viola diffusa Ging=3230]


11, 정독초[
毒草, 열엽근채:裂葉菫菜, 남산제비꽃: Viola dissecta Ledeb.=2212]


12, 흥안근채[興安菫菜: Viola gmeliniana Roemer et Schultes.=4246]


13, 장병근채[長柄菫菜, 모병근채:毛柄菫菜,
흰털제비꽃: Viola hirtipes S. Moore=2725]


14, 장악근채[長萼菫菜, 이두초:犂頭草: Viola inconspicua Bl.=713]


15, 몽고근채[蒙古菫菜,
경성제비꽃, 몽골제비꽃: Viola mongolica Franch.=2726]


16, 향근채[香菫菜,
향제비꽃, 향기제비꽃: Viola odorata L.=1284]


17, 조개근채[早開菫菜, 자화지정:紫花地丁: Viola prionantha Bge.=714]


18, 고산고혈근채[高山庫頁菫菜,
참졸방제비꽃, 왜졸방제비꽃, 북졸방제비꽃, 사할린오랑캐, 왕졸방제비꽃, 참졸방나물: Viola sacchalinensis De Boiss var. alpicola  P. Y. Fu et Y. C. Teng.=1751]


19, 산근채[山菫菜, 삼각엽근채:三角葉菫菜: Viola triangulifolia W. Beck.=4751]


20, 삼색근[三色菫,
삼색제비꽃, 팬지(Pansy), 비욜라 팬지: Viola tricolor L.=215]


21, 계심칠[鷄心七, 초병근채:鞘柄菫菜: Viola vaginata Maxim.=2727]


22, 반엽근채[斑葉菫菜,
알록제비꽃, 청자오랑캐, 청알록제비꽃, 알록오랑캐, 얼룩오랑캐, 무늬가 있는 제비꽃: Viola variegeta Fisch.=1752]


23, 소독약[消毒藥, 근채:菫菜,
콩제비꽃, 콩오랑캐, 조개나물, 조갑지나물, 좀턱제비꽃: Viola verecunda A. Grey=4247]


24, 황화근채[黃花菫菜,
노랑제비꽃, 노랑오랑캐, 노랑오랑캐꽃: Viola xanthopetala Nakai=1285]


25, 운남근채[雲南菫菜,
운남제비꽃: Viola yunnanfuensis W. Beck.=4248]


종지나물의 여러 가지 이름은
보통남근채[普通蓝堇菜=pǔ tōng lán jǐn cài=VV차이, 남근채:藍菫菜, 저매근채:姐妹堇菜, 보통초전근채:普通草甸堇菜, 자근채:紫堇菜, 여동성연화:女同性恋花, 용모람근채:茸毛蓝堇菜, 임지근채:林地堇菜, 초원남근채:草原蓝堇菜, 전원근채:前院堇菜: 대중본초(大众本草)], 커먼 블루 바이올렛[Common Blue Violet, common meadow violet, purple violet, the lesbian flower, woolly blue violet, hooded violet, wood violet: 영명(英名)], 아메리카스미레사이신[アメリカスミレサイシン=亜米利加菫細辛, 비오라 소로리아:ヴィオラ・ソロリア=Viola Sororia, 파피리오나케아=パピリオナケア=Papilionacea: 일문명(日文名)], 은하수제비꽃, 얼룩제비꽃, 얼룩무늬제비꽃, 점박이제비꽃, 주근깨제비꽃, 서양제비꽃, 종지나물, 미국제비꽃 등으로 부른다.

※ 참조:
아래는 중국의 <중약대사전>에서 3가지 종류의 제비꽃 효능을 기록한 것으로 다른 제비꽃 종류와 함께 참고용으로 고려해 볼 수 있다.

[채취]


<중약대사전>: "1, <자화지정(紫花地丁), 이두초(犁頭草)>: 5~8월에 채취한다. 열매가 성숙하면 뿌리를 포함한 전초를 채취하여 흙을 털어 버리고 햇볕에 말린다.

2, <미구대(米口袋), 소미구대(小米口袋)>: 봄과 가을에 뿌리를 포함한 전초를 채취하여 햇볕에 말리거나 생것을 그대로 쓴다.

3, <화남용담(華南龍膽)>: 봄, 여름에 채취한다. 꽃이 피면 전초를 채취하여 햇볕에 말린다."

[약재(藥材)]


<중약대사전>: "
1, <자화지정(紫花地丁)>: 근채지정(
菫菜地丁)이라고도 한다. 자화지정(紫花地丁), 이두초(犁頭草)의 뿌리를 포함한 전초이다. 시판되고 있는 것을 보통 찌그러지고 구부러져 불규칙적인 덩어리를 이룬다. 주근은 여러개이고 길이는 3~5cm, 지름은 1~3mm이다. 표면은 쭈글쭈글하고 거칠며 황토색이고 물결 모양으로 만곡되었으며 수염뿌리의 흔적이 있다. 지상 부분은 짙은 녹색 혹은 황록색이다. 잎자루는 있으며 더운 물에 담가 연하게 하여 펼치면 긴 타원형 혹은 선모양 피침형으로 되며 전체에 털이 덮여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꽃자루는 가늘고 길며 끝에 보통 3개로 갈라진 삭과가 있고 안에는 둥근 공 모양이고 담황갈색인 씨앗이 많이 들어 있다. 질은 약하며 쉽게 부스러진다. 냄새는 조금 고약하고 맛은 쓰고 떫으며 또한 점성(粘性)이 있다.

황록색이며 파손되지 않고 불순물이 없는 것이 양품이다. 주로 중국 강소(江蘇), 절강(浙江), 안휘(安徽) 등지에서 난다.

2, <첨지정(甛地丁)>:
미구대지정(米口袋地丁), 나복지정(蘿蔔地丁)이라고도 한다. 미구대(米口袋) 혹은 소미구대(小米口袋)의 뿌리 또는 뿌리를 포함한 전초이다. 주근은 방추형, 긴 송곳 모양 또는 긴 원기둥 모양이고 길이는 10~20cm, 지름은 3~6mm이다. 표면은 적갈색 혹은 황토색이며 거칠고 세로로 주름 무늬가 있으며 약간 꼬여 있다. 받침뿌리나 수염뿌리가 숙존하는 것도 있고 옆으로 향한 껍질눈이 점선 모양으로 약간 돌출되어 있으며 색은 조금 짙다. 상단에 뿌리에서 난 잎이 많이 있다. 잎은 깃꼴 겹잎이고 잎자루는 가늘고 길며 잎몸은 타원형 또는 긴 타원형이고
흰색의 부드러운 털로 엎여 있으며 대부분 회녹색을 띤다. 때로는 원기둥 모양의 협과가 있고 그 표면에는 부드러운 털이 빽빽하게 나 있으며 갈라져 있는 것과 갈라지지 않는 것이 있다. 주근은 질이 단단하고 조금 탄력이 있으며 쉽게 끊어지지 않는다. 절단면은 섬유가 풍부하고 젖빛이며 안쪽은 기복이 있어서 약간 과립상이고 유황색을 띠며 방사상의 무늬가 있다. 냄새는 약간 고약하며 맛은 싱겁고 약간 달다. 뿌리가 굵고 길며 잎이 녹색이고 불순물이 없는 것이 양품이다. 주로 중국의 동북(東北), 강소(江蘇), 강서(江西), 호남(湖南), 호북(湖北) 등지에서 난다.

3, <용담지정(龍膽地丁)>: 화남지정(華南地丁)이라고도 한다. 화남용담(華南龍膽)의 꽃을 포함한 전초이다. 보통 말랐기 때문에 오그라들어서 주름이 있고 불규칙한 덩어리를 이루며 근부(根部)는 황토색이다. 뜨거운 물에 담가서 연하게 만들어 펼쳐서 관찰하면 줄기는 기부에서 많이 총생하고 자홍색이며 선단에 옅은 자색 혹은 옅은 황토색인 종(鐘) 모양의 꽃이 있다. 잎은 2개씩 마주 나며 타원형 혹은 긴 타원형이며 잎자루는 매우 짧거나 없다. 기부에 가까운 잎은 밀집되어 있고 조금 크며 윗부분의 잎은 성글고 크기가 작다. 질은 약간 무르고 쉽게 부서진다. 청초와 같은 냄새가 나며 맛은 싱겁고 약간 쓴맛이 있다. 그루가 작으며 잎이 녹색이고 꽃이 자색인 것이 양품이다.주로 중국의 광서(廣西), 광동(廣東) 등지에서 난다.지정(地丁)의 약재는 종류가 매우 많으며 상술한 것 외에 광동(廣東)에서는 장악근채(長萼菫菜), 섬서(陝西)에서는 백화근채(白花菫菜: Viola patrinii DC.), 신강(新疆)에서는 향근(香菫: Viola oxycentra Juz.)의 뿌리를 포함한 전초를 자화지정(紫花地丁)으로 쓰고 있다. 또한 고지정(苦地丁)도 동북(東北), 내몽고(內蒙古), 하북(河北), 청해(靑海), 산동(山東) 등지에서 지정(地丁)으로서 약용된다."

[성분]

1, <중약대사전>: "자화지정
(紫花地丁)의 성분은 전초에는 배당체, 플라보노이드, 납(蠟: cerotin 산과 불포화산 등의 ester류에서 생김)이 함유되어 있다. 꽃에는 납(蠟)이 함유되어 있고 그 중에는 포화산(주로 cerotin산) 34.9%, 불포화산 5.8%, 알코올류 10.3%, 탄화수소 약 47%가 함유되어 있다."

2, <우리약초로 지키는 생활한방>: "체로틱산, 플라본 등을 함유하고 있다.  특히 제비꽃잎에는 비타민 C를 풍부하게 함유하고 있는데 그 양은 오렌지의 4배나 된다."

3, <약초의 성분과 이용>: "잎과 꽃에 정유, 플라보노이드, 사포닌, 비타민 C, 살리실산, 색소 등이 있다. 정유의 주성분은 살리실산메틸에스테르이다. 색소 성분은 β-카로틴, 비올라틴, 플라보크산틴 C40 H56 03(녹는점 184℃)이다." 

4, <중국본초도록>: "
배당체류, flavonoid, 및 파라핀(파라핀계 탄화수소 또는 고급 포화탄화수소로 이루어진 파라핀납이나 유동파라핀의 총칭으로 주된 특징은 반응성이 약하고 화학약품에 대하여 내성이 있는 점이다. 중유유분에 함유되어 있으며 연고, 좌약, 크레용, 양초나 전기절연재료 등으로 쓰인다)."

5, <항암식물사전>: "
전초에는 배당체, 플라보노이드, 루틴, 정유, 사포닌, 아스코르빈산이 들어 있다. 색소로서는 Β-카로틴, 비올라틴, 플라보크산틴(C40H56O3, 융해점 184℃) 등이 들어 있다. H3C-CH2-CH=CH-(CH2)2-CH=CH-CHO 보라색알데하이드(비등점 89∼90℃/12MMHG)"

[약리작용]


<중약대사전>: "자화지정
(紫花地丁)은 in vitro에서 결핵균의 생장을 억제하는 작용이 있다. 그의 알코올 추출물은 Leptospira에 대하여 31mg/ml으로 작용을 나타내지만 탕제에서는 62mg/ml 이상이 아니면 작용이 나타지 않는다(직접 현미경 검사법과 시험관 배양법). 그외에 자화지정에는 청열(淸熱), 소종(消腫), 소염 등의 작용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포제(
炮製)]

<중약대사전>: "불순물을 제거하고 물로 흙을
씻어 버린 후에 썰어서 햇볕에 말린다."

[성미]


1, <중약대사전>: "맛은 쓰고 성질은 차다."

2
, <전남본초>: "맛은 쓰고 성질은 차다."

3, <본초강목>: "맛은 쓰고 매우며 성질은 차고 독이 없다."

[귀경(歸經)]


1, <중약대사전>: "
심(心), 간경(肝經)에 들어간다."

2, <옥추약해>: "수소음심(手少陰心), 족소양담경(足少陽膽經)에 들어간다."

3, <요약분제>: "간(肝), 비(脾)의 2경(經)에 들어간다."

[약효와 주치]


1, <중약대사전>: "열을 내리고 습을 수렴하며 해독하고 부기를 가라앉히는 효능이 있다.
정창(疔瘡), 옹종, 나력(결핵성 경부 림프선염), 황달, 이질, 설사, 목적(目赤), 후비, 독사에 물린 상처를 치료한다."

2
, <전남본초>: "어혈을 잘 없애고 옹저개라(癰疽疥癩), 구종(九腫)의 치질, 제창독증(諸瘡毒症)을 치료한다."

3, <본초강목>: "등에 생긴 모든 옹종, 나력, 무명 종독, 악성 종기를 다스린다."

4, <본초구원>: "양혈(凉血)하며 종독을 제거한다. 혈열(血熱)로 인한 근위(筋痿)를 치료하며 상처에 바르면 특히 효과가 있다."

5, <영남채약록>: "하제(下劑)와 토제(吐劑)로 쓰인다."

6, <상해상용중초약>: "열을 제거하고 해독하며 외용으로 쓰면 독을 배출시키고 부기를 가라앉힌다. 목적(目赤)으로 인한 종통, 맥립종(麥粒腫:
다래끼), 정창종독(疔瘡腫毒), 급성 유선염, 장염으로 인한 하리, 독사에 물린 상처를 치료한다."

7, <소의, 중초약수책>: "각종 화농성 감염, 독사에 물린 상처, 림프 결핵, 황달, 신염, 방광염, 관절의 종통, 변혈, 비출혈, 결막염, 전립선염을 치료한다."


[용법과 용량]


<중약대사전>: "
내복:0.5~1냥(신선한 것이면 2~3냥)을 물로 달여서 복용한다. 또는 찧어서 즙으로 하거나 갈아서 분말로 쓴다.

외용: 찧어서 바른다. 또는 끓여 졸여서 고제(膏劑)로 하여 붙인다."

[배합(配合)과 금기(禁忌: 주의사항)]

1, <중약대사전>:
"체질이 허한(虛寒)한 사람은 복용을 금한다."

2, <일본위키백과사전>:
"독성(毒性): 독성분(毒成分): 비오린( ビオリン), 사포닌(サポニン)、비오라루친(ビオラルチン), 구리코사이도(グリコサイド), 독부위(毒部位): 종자(種子), 근경(根茎), 독증상(毒症状): 구토(嘔吐), 신경마비(神経麻痺), 심장마비(心臓麻痺)." 

3, <대중본초(
大众本草)>: "적당히 먹으면 안전할 수 있습니다.

이 속의 식물은 메틸 살리실레이트와 제비꽃을 함유하고 있습니다.

종지나물(미국제비꽃)은
구토와 설사를 유발할 수 있습니다.
메틸 살리실레이트를 과도하게 섭취하면
메스꺼움, 구토, 발열, 저혈압, 이명, 의식 혼란, 경련, 실명 및 신부전과 같은 증상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금기(禁忌):

임신 중이거나 수유 중

출혈 문제

약물 상호작용(한약재 및 건강기능식품 등 포함):

혈액 약물 희석: 조합은 주의해야 합니다. 이러한 약물에는 와파린, 클로피도그렐, 아스피린 등이 포함되며 더 많은 약물은 의사와 상담하십시오.
"

종지나물을 봄나물로 먹는 것과 관련하여 이영득의 <산나물 들나물 대백과> 제 255면에서는 다음과 같이 기록하고 있다.

[종지나물

제비꽃과ㅣ여러해살이풀

크기:
20cm 정도
꽃 피는 때:
4~5월
자라는 곳:
뜰, 빈 터

심장 모양 잎이 종지를 닮았다고 종지나물이다. 미국제비꽃이라고도 한다. 뜰에 심어 가꾸고, 절로 퍼져 자라기도 한다. 부드러운 잎은 쌈이나 무쳐 무쳐 먹는다. 다른 나물과 데쳐서 무치기도 한다. 쓴 나물과 섞으면 맛이 잘 어우러진다. 잎과 꽃을 수놓아 꽃전도 부친다.

나물 할 때




나물 하는 방법


잎-부드러운 잎을 뜯는다.

꽃-딴다.

추천 음식


잎-쌈, 생으로나 데쳐서 무침, 전

꽃-꽃전.
]

종지나물 즉 미국제비꽃의 효능 및 주의사항과 관련하여 중국의 인터넷 사이트인 <대중본초(大众本草)>에서는 다음과 같이 기록하고 있다.

[보통남근채(普通蓝堇菜)

중문명(中文名): 보통남근채(普通蓝堇菜)
영(외)문명[英(外)文名: Common Blue Violet]
랍정학명(拉丁学名): Viola sororia
별명(别名): 姐妹堇菜, 普通草甸堇菜,紫堇菜,女同性恋花,茸毛蓝堇菜,林地堇菜,草原蓝堇菜,前院堇菜
도편작자(图片作者): Sara Hollerich, U.S. Fish and Wildlife Service, Neal Smith National Wildlife Refuge

原产北美洲。
堇菜科。
可供观赏。
花和叶食用,也泡茶饮用。叶富含维生素A和C,花中有较多维生素C。
叶、花、根和全草药用。

传统医学用途:感冒,发热,头痛,咽喉炎,咳嗽,哮喘,支气管炎,胸膜炎,肺结核,痢疾,乳腺炎,痤疮,湿疹,皮炎,银屑病,创伤,疖痈,癌症,等等。均缺乏科学证据。

适量食用也许是安全的。
该属植物含堇菜碱和水杨酸甲酯。
堇菜碱也许会引起呕吐和腹泻。
水杨酸甲酯过量摄入可导致恶心、呕吐、发热、,低血压、耳鸣、意识混乱、抽搐、失明和肾衰竭等症状。

禁忌:
怀孕或正在哺乳
出血问题

药物相互作用(含草药和保健品等):
稀释血液药物:共剂应谨慎。此类药物包括华法林、氯吡格雷和阿司匹林等, 更多的请咨询医生。

<파파고 번역>: <<
북아메리카가 원산지입니다.

제비꽃과.
관람할 수 있습니다.

꽃과 잎을 먹으며 차도 타서 마십니다. 잎은 비타민 A와 C가 풍부하고 꽃에는 비타민 C가 더 많습니다.
잎, 꽃, 뿌리 및 전체 약초용입니다.

전통적인 의학적 용도:
감기, 발열, 두통, 인후염, 기침, 천식, 기관지염, 흉막염, 폐결핵, 이질, 유방염, 여드름, 습진, 피부염을 앓고 있으며 건선증 및 외상성 종기 및 암 등이 있습니다. 모두 과학적 증거가 부족합니다.

적당히 먹으면 안전할 수 있습니다.

이 속의 식물은 메틸 살리실레이트와 제비꽃을 함유하고 있습니다.

종지나물(미국제비꽃)은
구토와 설사를 유발할 수 있습니다.
메틸 살리실레이트를 과도하게 섭취하면
메스꺼움, 구토, 발열, 저혈압, 이명, 의식 혼란, 경련, 실명 및 신부전과 같은 증상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금기(禁忌):

임신 중이거나 수유 중

출혈 문제

약물 상호작용(한약재 및 건강기능식품 등 포함):

혈액 약물 희석: 조합은 주의해야 합니다. 이러한 약물에는 와파린, 클로피도그렐, 아스피린 등이 포함되며 더 많은 약물은 의사와 상담하십시오.
>>
]

제비꽃으로 질병을 치료하는 방법은 아래와 같다.

1, 정창종독(疔瘡腫毒)

자화지정초의 찧은 즙을 복용한다. [천금방(千金方)]

2, 등에 생긴 옹저와 각종 무명 종독

자화지정초를 7월 상순~8월 상순에 채집하여 백면(白麵:
메밀가루)과 잘 혼합하여 소금과 식초에 하룻밤 담그고 환부에 바른다. [손천인집효방(孫天仁集效方)]

3, 각종 악성 종기

자화지정 뿌리를 햇볕에 말려 통에 넣고 태워서 그 연기를 창(瘡)에 쏘인다. 황색의 즙이 나오며 그것을 모두 제거하면 치료된다. [위생이간방(衛生易簡方)]

4, 유취(乳吹:
산전이나 산후에 유방에 멍울이 서면서 붓고 아픈 증상)와 일체의 독(毒)
황화지정(黃花地丁: 민들레), 자화지정 각 300g을 흐르는 물에 씻어서 끓이고 찌꺼기를 제거한 후 다시 졸여서 고제(膏劑)하여 붙인다. [혜직당경험방(惠直堂經驗方), 지정고(地丁膏)]

5, 각종 화농성 감염, 림프 결핵
① 자화지정, 민들레, 반변련(半邊蓮: 수염가래꽃) 각 19g을 물로 달여서 복용하며 찌꺼기를 환부에 바른다.
② 신선한 자화지정, 신선한 야국화 각 37.5g을 찧은 즙을 2회로 나누어 복용하고 찌꺼기는 바른다.
③ 신선한 자화지정, 신선한 부용화(芙蓉花) 각 같은 양에 식염(食鹽) 소량을 넣고 함께 짓찧어 환부에 바른다. 동시에 자화지정 75~113g을 물로 달여서 복용한다. [소의(蘇醫), 중초약수책(中草藥手冊)]

6, 실열장옹(實熱腸癰)으로 인한 출혈

신선한 자화지정 30g~37.5g(건조품이면 19g~30g)을 물 1사발을 붓고 반 사발 될 때가지 달여서 매일 2회 식전에 복용한다. [복건민간초약(福建民間草藥)]

7, 황달로 인한 내열(內熱)

지정의 분말 11g을 술로 복용한다. [건곤생의비온(乾坤生意秘
)]

8, 장염, 이질

자화지정, 홍등(紅藤) 각 37.5g, 마의초(
蟻草) 75g, 황금(黃芩) 11g을 물로 달여서 복용한다. [소의(蘇醫), 중초약수책(中草藥手冊)]

9, 전립선염

자화지정, 자삼(紫蔘), 질경이전초 각 19g, 해금사(海金沙) 37.5g을 물 700cc로 달여 반으로 줄면 매일 1제(劑)를 2회로 나누어 며칠 계속해서 복용한다. [소의(蘇醫), 중초약수책(中草藥手冊)]

10, 후비(喉痺:
목구멍이 저리는 증세)
전두초(箭頭草)의 잎을 갈아 장(醬) 소량을 넣고 붓에 묻혀서 목구멍에 넣어 토하게 한다. [보제방(普濟方)]

11, 소아 주마아감(走馬牙疳:
잇몸이 썩고 이가 빠지는 증상)으로 궤란되어 악취를 방출하는 경우
자화지정의 뿌리 적당량을 새 기와에 올려 놓고 구워서 가루내어 환부에 문질러 바른다. [전남본초(滇南本草)]

12, 소아의 간열(肝熱)로 인한 코피

신선한 제비꽃 전초 75~113g에 벌꿀 37.5g을 넣고 달여서 며칠 동안 계속 복용한다. [호북(湖北), 중초약토방법(中草藥土方法)]

13, 독사의 물린 상처

① 신선한 자화지정의 찧은 즙 1술잔을 내복하며 찌꺼기에 웅황(雄黃) 소량을 넣고 개어서 환부에 바른다. [소의(蘇醫), 중초약수책(中草藥手冊)]

② 신선한 자화지정, 신선한 과자금(瓜子金), 신선한 반변련(半邊蓮: 수염가래꽃) 각 적당량을 함께 진흙 모양으로 될 때까지 찧어서 환부에 바른다. [하남중초약수책(河南中草藥手冊)]

14, 타박상

신선한 자화지정을 짓찧어서 조제하여 바른다. [호북(湖北), 중초약토방법(中草藥土方法)]

15, 개라(疥癩:
나병=문둥병)
자화지정을 대풍자유(大楓子油), 수은(水銀), 유황(硫黃)과 함께 찧어서 외용한다. [영남약채록(嶺南採藥錄)]

16, 도망(稻芒:
벼의 까끄라기)이 목에 걸려서 나오지 않는 경우
제비꽃 전초를 씹어서 삼킨다. [건곤생의비온(乾坤生意秘
)]

17, 악성종양(각종암, 육종)

자화지정 15g, 당귀 15g, 대황 15g, 적작약 15g, 금은화 15g, 황기 15g, 감초 6g을 각각 잘 준비하여 거칠 게 가루내어 매회 30g씩에 물 400cc, 소주 400cc를 붓고 반으로 줄 때까지 달인 다음, 하룻동안 여러 차례로 나누어 따뜻하게 복용한다. [자화지정산]

18, 머리, 얼굴, 목뒤 등에 부스럼이 날 때

자화지정, 포공영, 금은화 각 15g, 야국화 9g, 자배천규 9g을 준비하여 800cc의 물을 붓고 반을 줄 때까지 달여 하룻 동안 나누어 마신다. [오미소독음]

19, 코피가 잦거나 잘 멈추지 않을 때

신선한 자화지정 80~120g에 꿀 40g을 섞고 물을 800cc~1200cc 정도 붓고 양이 반으로 줄 때까지 달여 며칠 동안으로 나누어 먹는다. [우리약초로 지키는 생활한방]

20, 위암, 후두암, 내장장기암

제비꽃 전초는 위암을 비롯한 내장장기암에 쓴다. 이때에는 제비꽃의 마른 전초 6∼15g을 하루량으로 하여 물에 달여 3번에 나누어 먹는다. [항암식물사전]  

21, 후두암

민간요법으로 자화지정(紫花地丁) 6∼15g을 하루량으로 하여 물에 달여 3번에 나누어 먹인다. [동의치료경험집성]

"
① 제애탕

자화지정(紫花地丁), 산두근(山豆根) 각 8g, 만타라자(蔓陀羅子) 5g.

위의 약을 물에 달여 하루 3번 식전(食前)에 먹는다(하루 2첩). 이 처방은
항암(抗癌)과 진통작용(鎭痛作用)이 있고 해열(解熱), 해독(解毒)한다. 후두암(喉頭癌)에 쓴다.

② 가산탕


산두근(山豆根), 자화지정(紫花地丁) 각 10g, 금은화(金銀花) 6g.

위의 약을 물에 달여 90㎖의 약물을 얻어 한번에 30㎖씩 하루 3번 식전(食前)에 먹는다. 이 처방은
항암(抗癌), 진통(鎭痛), 소염(消炎) 작용(作用)이 있다. 후두암(喉頭癌)에 쓴다.

③ 산제탕


의이인(薏苡仁) 8g, 산두근(山豆根), 자화지정(紫花地丁) 각 6g, 반하(半夏) 3g.

위의 약을 물에 달여 하루 3번 식전(食前)에 먹는다(하루 2첩). 이 처방은
항암(抗癌), 진통(鎭痛), 해열(解熱) 작용(作用)이 있으며 병원성(病原性) 세균(細菌)을 억누르고 염증(炎症)을 삭인다. 후두암(喉頭癌)으로 염증(炎症)이 있고 아픈 데 쓴다.

④ 금련탕-1


금은화(金銀花) 20g, 당귀(當歸), 유향(乳香), 행인(杏仁), 대황(大黃) 각 12g, 포공영(蒲公英) 10g, 감국(甘菊) 8g, 과루근(瓜蔞根), 작약(芍藥), 황금(黃芩), 반하(半夏) 각 6g, 지모(知母) 3g.

위의 약을 물에 달여 하루 3번에 나누어 식전(食前)에 먹는다. 이 처방은
항암(抗癌), 진통(鎭痛), 해열(解熱) 작용(作用)이 있으며 염증(炎症)을 가라앉히고 부종(浮腫)을 내린다.  후두암(喉頭癌) 초기(初期)에 쓴다." [동의치료경험집성]

22, 바이올렛 오일(Viola oil(Viola odorata)

달콤하며 낙엽 냄새와 비슷한 향이 나며 잎에서 오일을 얻는다. 진정 작용을 하며 불면증에 효과가 있다. 간 질환인 간염, 황달에 좋고 신장 질환, 수종, 임파선염과 기관지염에도 유효하다. 강력한 최음 효과가 있어서 성적인 각종 장애에 도움이 된다. 진통 효과도 있어서 류마티즘, 관절염의 통증도 완화시킨다. [한국의 허브 285면]

23, 불면증, 변비

제비꽃 말린 뿌리 2g을 1컵의 물에 넣고 반으로 줄 때까지 달여서 취침 전에 마시면 불면증, 변비에 좋다. [한국의 허브 284면]

24, 습포 및 목욕

관절이 아플 때에는 말린 질경이와 섞어서 빻아 만든 즙으로 습포하면 진통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질경이와 제비꽃을 같은 분량으로 넣고 물의 분량이 반으로 될 때가지 그 즙을 거즈나 천에 적셔 통증 부위에 따뜻하게 습포한다. 또는 따뜻한 욕탕에 즙을 넣고 목욕을 한다. [한국의 허브 284면]

25, 유방염

제비꽃의 약효 성분은 일반 화농성 염증 질환을 비롯하여 종기, 악창, 유방염에 신통한 반응을 일으킨다. 유방염에는 제비꽃 잎을 채취한 뒤 건조시켜 분말로 만들고 식초에 개어서 환부에 붙이면 열을 내리고 부종을 제거하며 염증을 식혀준다. 또는 식초를 넣지 않고 생으로 찧어 환부에 붙여도 염증을 다스린다. [한국의 허브 284~285면]

26, 각종암, 암세포전이억제, 의약품, 건강보조식품, 피부미용제품

제비꽃에 항암활성물질이 들어 있다는 것에 대해서 서울대학교 박화목 교수는 2003년 9월 25일 대한민국특허청에 특허출원을 하였다. 자료 내용중 제비꽃 추출물이
<항암, 암세포전이, 의약품, 건강보조식품, 피부미용제품(아토피성 피부염의 완화효과, 피부트러블 유발균인 여드름, 무좀, 칸디다증, 질염 등, 미백, 수렴, 각질제거, 항산화, 잔주름제거, 보습, 영양 공급, 항알레르기, UV차단효과 등)>에 사용될 수 있으며, 특히 <각종암(위암, 간암, 췌장암, 혈액암, 폐암, 골암, 피부암, 두부 또는 경부암, 자궁암, 난소암, 직장암, 결장암, 유방암, 음문암종, 식도암, 소장암 등)> 질환의 예방 및 전이에 따른 통증 경감 및 치료에 효과적이고 안전한 항암 활성을 갖는다고 연구자료에서 밝히고 있다. 상세한 자료는 대한민국특허청에 문의해 볼 수 있다. [대한민국특허청]

27, 관절염

제비꽃은 봄의 화초로서 잘 알려져 있으며, 이 풀 전체와 차전초(질경이)를 섞어서 진하게 달여, 그 달인 즙에 타올을 적셔 짜서 따뜻할 때에 환부에 습포(濕布)한다. [석가가 남긴 건강법]

미국제비꽃으로 불리는 북미에서 건너와 뜰에 심어 가꾸던 것이 야생으로 번져 우리나라에 토착화된 종지나물은 이제 봄에 나물로도 먹고 꽃보기 식물로도 기르며 기타 수많은 제비꽃 종류들과 함께 전국에 퍼져 자라고 있다. 또한 꽃의 변종이 심해서 흰색 바탕에 다양한 형태의 꽃색을 보여주고 있다.

상기 자료는 약초연구가로서 지구상에 존재하는 천연물질의 우수성을 널리 알리고 질병으로 고통을 겪고 있는 환우들에게 희망을 주며 기능성 식품과 신약을 개발하는데 통찰력을 갖게하고 약초를 사랑하는 모든 사람에게 정보의 목적으로 공개하는 것임을 밝혀 둔다.  

(글/ 초연구가 & 동아대 & 신라대 대체의학 외래교수 전동명)

종지나물(미국제비꽃) 사진
감상: 1, 2, 3, 4, 5, 네이버+구글+다음+일본구글+대만구글: 1, 2, 3, 4,

종지나물(흰 바탕에 무늬색, 연한 자주색 바탕에 무늬색, 흰색, 점박이색, 자주색 등) 상세 사진 웹사이트: 1, 2, 3, 4, 5,

문의 및 연락처: 010-2545-0777 ; 051-464-0307

주소: http://jdm0777.com

페이스북 주소: http://www.facebook.com/jdmsanyacho

메일: jdm0777@naver.com

참조: 아래의 제비꽃의 종류를 함께 참조해 보시기 바랍니다. 

 

 

  1. 낚시제비꽃 무엇인가?
  2. 남산제비꽃 무엇인가?
  3. 노랑제비꽃 무엇인가?
  4. 둥근털제비꽃 무엇인가?
  5. 삼색제비꽃 무엇인가?
  6. 알록제비꽃 무엇인가?
  7. 제비꽃 무엇인가?
  8. 졸방제비꽃 무엇인가?
  9. 종지나물(미국제비꽃) 무엇인가?
  10. 콩제비꽃 무엇인가?
  11. 호제비꽃 무엇인가?
  12. 흰제비꽃 무엇인가?
  13. 흰털제비꽃 무엇인가?

 

 

※ 아래에 jdm 필자가 찍은 종지나물(미국제비꽃) 사진도 감상해 보시고 행복하시기 바랍니다~~~^.^

 

 

홈페이지 주소 : http://jdm0777.com 클릭하시면 홈으로 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