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귀나물(야자고) 무엇인가?

중국이 원산지인 소귀나물

 

 

 

 

 

 

 

 

img1.jpg

img1.jpg

img1.jpg

img1.jpg

 

 

[좁은잎 소귀나물의 잎, 꽃대, 열매의 모습, 사진출처: 일본/대만/한국 구글 이미지 검색]

 

 

img1.jpg

img1.jpg

img1.jpg

 

 

[소귀나물의 잎, 꽃, 열매, 뿌리의 모습, 사진출처: 일본/대만/한국 구글 이미지 검색]

해열, 해독, 양혈, 부기를 가라앉히는데, 구자양, 황달, 나력, 뱀에 물린 상처, 악독창, 티눈, 림프절염을 다스리는 소귀나물(야자고)

소귀나물은 속씨식물문 외떡잎식물강 택사과 소귀나물속의 여러해살이풀이다.

소귀나물의 학명은 <Sagittaria trifolia>라고 한다. 중국이 원산지이며 한때 논밭에서 재배하였다. 땅속줄기가 옆으로 뻗으며 끝에 덩이줄기가 달린다. 잎은 전부 뿌리에서 나와서 서로 얼싸안고 자라며 50-70cm의 잎자루 끝에 화살형의 잎몸이 달린다. 잎 사이에서 긴 꽃줄기가 자라서 많은 꽃이 층층으로 달린다. 꽃은 단성이고 암꽃은 밑부분에, 수꽃은 윗부분에 달리며 백색이다. 꽃받침조각과 꽃잎은 3개씩이고 수술과 암술은 많다. 열매는 둥글게 모여 달리고 연한 녹색이다. 덩이줄기를 식용 또는 약용으로 하며 관상용으로 심는다.

택사과의 벗풀속은 전세계에 약 20종이 있으며 우리나라에는 약 5종이 분포하고 있다.

1-
잔보풀[올미, 가차라기: Sagittaria pygmaea Miq.]
2-
보풀[Sagittaria aginashi Mak.]
3-
벗풀[소귀나물, 석고나물, 자고, 가는벗풀: Sagittaria trifolia L. ; 참고로 이종은 화살모양의 잎몸의 뒷부분의 갈래조각과 땅속뿌리줄기 등의 특징에 따라서 일부 심어기르는 소귀나물:Sagittaria trifolia var. sinensis ; 저절로 자라는 가는 벗풀:Sagittaria trifolia form. longiloba; 또는 Sagittaria trifolia var. angustiloba; Sagittaria trifolia var. minor로 나누어 분류하기도 한다.]
4-
대택보풀[대택소귀나물, 대택자고: Sagittaria natans Pall. ; 우리나라 북부의 물엉덩이, 늪, 진펄 등이 고인물에서 자란다. 북한 함경북도 길주 대택에서 나는 쇠귀나물)]
5-
쇠귀나물[Sagittaria obtusa Thunberg. S. ; 서울 근교 경기도에서 볼 수 있고 벗풀의 품종내 및 품종간 교잡 후대에 의한 형태 형질의 변이로 보여진다.] 등이 자라고 있다.

잎의 모습이 소의 귀를 닮았다고 하여 '소귀나물'이라고도 부른다. 높이는 1m 정도까지 자라며 수염뿌리가 있다. 전체적 잎몸은 좁을 화살촉 모양이며 꼭대기 부분의 열편이 귀 모양 열편보다 짧고 길이는 3.5~9cm이고 끝이 길고 뾰족하며 녹색이다.  

연못이나 늪, 밭 가운데,
얕은 물에서 자라며 옆으로 벋는 뿌리줄기 끝에 작은 알줄기가 달린다. 뿌리잎은 잎자루 밑 부분이 서로 감싸면서 모여 나 비스듬히 선다. 화살 밑처럼 갈라진 잎몸의 양쪽 갈래조각은 길게 자라고 끝이 뾰족하며 가장자리가 밋밋하다. 잎의 윗부분은 달걀형이나 타원형으로 선형인 보풀보다 넓다. 8~10월에 20~80cm 높이로 자란 꽃줄기에 흰색 꽃이 층층으로 달리는데 윗부분에는 노란색 수술을 가진 수꽃이 달리고 밑 부분에는 암꽃이 달린다.  

총상화서로 작은 꽃은 일반적으로 3개가 돌려나고 아랫 부분의 암꽃에는 짧은 꽃자루가 있는데 위의 것이 수꽃이며 수꽃에는 가늘고 긴 꽃자루가 있다. 꽃떡잎은 피침형이고 기부는 약간 뭉쳐 있다. 꽃잎은 꽃받침 조각보다 크고 희며 기부에 자색 반점이 있는 것도 있다. 수술은 많고 연한 자줏빛을 띤다. 열매는 뒤틀린 거꿀달걀꼴이고 지름은 4~5.5mm이며 편평하고 배부와 복부에 얇은 날개가 있다.  

벗풀과 비슷하게 생긴 보풀(
Sagittaria aginashi Makino)도 물가에서 자라는 여러해살이풀이다. 뿌리 잎은 긴 잎자루 끝에 화살 모양의 기다란 잎이 달린다. 7~9월에 30~80cm 높이로 자란 꽃줄기에 흰색꽃이 층층으로 돌려 가며 핀다. 잎이 벗풀보다 좁은 것으로 구별된다.  

비슷한 성분이 들어 있어 위의 몇가지
 식물을 모두 약용으로 사용할 수 있다. 소귀나물의 잎은 나물로 먹으며 덩이뿌리도 식용하는데, 중국, 일본에서도 조림을 하여 정월요리로 먹는 습관이 있다. 덩이뿌리는 껍질을 벗겨서 물에 담가 우려내는데, 수산이 포함되어 있어 덩이뿌리를 데친물은 따라 버리는 것이 좋다고 한다. 백합뿌리를 닮았고 쌉싸라한 맛이 있어 조림을 해서 먹으면 마치 밤을 먹는 느낌을 즐길 수 있다고 한다.

소귀나물의 종소명(種小名)은 '삼엽(三葉)의'라는 뜻을 가지고 있다.

소귀나물[
Sagittaria trifolia L. var. angustifolia (Sieb.) Kitag.]에 대해서 중국의 <중약대사전>에서는 다음과 같이 소개하고 있다.

"다년생 초본 식물로 직립하며 높이는 1m에 이르고 수염뿌리가 있다. 잎몸은 좁고 화살촉 모양이며 꼭대기 부분의 열편이 귀 모양 열편보다 짧고 길이는 3.5~9cm이며 끝이 길고 뾰족하며 녹색이다. 총상화서이다.

작은 꽃은 일반적으로 3개가 돌려나고 아랫 부분의 암꽃에는 짧은 꽃자루가 있는데 위의 것이 수꽃이며 수꽃에는 가늘고 긴 꽃자루가 있다. 꽃떡잎은 피침형이고 기부는 약간 뭉쳐 있다. 꽃잎은 꽃받침 조각보다 크고 희며 기부에 자색 반점이 있는 것도 있다. 수술은 많고 연한 자주빛을 띤다. 심피(芯皮)는 다수가 이생하고 함께 모여 구형을 이룬다. 열매는 뒤틀린 거꿀달걀꼴이고 지름은 4~5.5mm이며 편평하고 배부와 복부에 얇은 날개가 있다. 개화기는 여름이다.

연못이나 늪, 밭 가운데서 자란다. 중국의 화동(華東)과 서남 각지에 분포한다."


[소귀나물, 보풀, 벗풀 구별법]


1, 소귀나물
[택사과: Sagittaria sagittifola var. edulis]
논이나 밭에서 심어 기르는 중국 원산의 여러해살이풀. 땅속 줄기 끝에
큰 덩이줄기가 달린다. 잎은 뿌리에서 나와 모여 나고 넓은 화살 모양이며 잎자루가 길다. 잎 사이에서 긴 꽃줄기가 나와 흰색 꽃이 핀다. 암꽃은 아래쪽에 달리고 수꽃은 위쪽에 달린다. 열매는 녹색이며 납작하고 둥글다.

img1.jpg

[소귀나물의 둥근 괴경, 사진출처: 일본 구글 이미지 검색]


<
중국생물물종명록(中國生物物种名錄), 2011년판(年版)>: "정명: Sagittaria trifolia L.(accepted name) 이명: ① Sagittaria latifolia Willd. (synonym) ② Sagittaria sagittifolia L. (synonym) ③ Sagittaria sagittifolia var. L. var. angustifolia Siebold (synonym) ④ Sagittaria sagittifolia var. L. var. longiloba Turcz. (synonym) ⑤ Sagittaria trifolia f. L. f. longiloba (Turcz.) Makino (synonym) ⑥ Sagittaria trifolia var. L. var. angustifolia (Siebold) Kitag. (synonym) ⑦ Sagittaria trifolia var. L. var. retusa J. K. Chen, S. C. Sun et H. Q. Wang (synonym)"

中文種名:野慈姑學名:Sagittaria trifolia L.
[야자고의 전체 모습, 사진출처: 대만 구글 이미지 검색]


오감정보:
벗풀과 비슷하지만 잎이 넓고 크며 커다란 덩이줄기가 달린다.

2, 보풀
[택사과: Sagittaria aginashi]

<국가표준식물명록>: "정명: Sagittaria aginashi Makino ; 이명: Sagittaria sagittifolia var. aginashi Makino."

논이나 연못가에서 자라며 7~9월에 꽃피는 여러해살이풀. 벗풀과 달리 옆으로 벋는
덩이줄기가 없다. 대신 가을에 잎자루 밑부분에 여러 개의 살눈이 달린다. 잎은 잎자루 밑이 줄기를 감싸며 모여난다.

<야생화 쉽게 찾기 460면> "물가에 사는 여러해살이풀. 뿌리잎은 긴 잎자루 끝에 화살 모양의 기다란 잎이 달린다. 7~9월에 30~80cm 높이로 자란 꽃줄기에 흰색꽃이 층층으로 돌려 가며 핀다."

오감정보:
잎몸은 화살촉처럼 갈라지는데, 벗풀에 비해 가늘고 긴 편이다. 30~80cm 높이로 자란 꽃줄기의 위쪽에 수꽃이 달리고 밑에 암꽃이 달린다.

3, 벗풀
[택사과: Sagittaria sagittifola]

<국가표준식물명록>: "
정명: Sagittaria sagittifola subsp. leucopetala (Mig.) Hartog. 이명: Sagittaria sagittifola L.  Sagittaria trifolia L.  Sagittaria trifolia for. longiloba Makino.  Sagittaria trifolia var. typica Makino."

물가에서 자라며 8~10월에 꽃피는 여러해살이풀. 땅 속에 옆으로 벋는 뿌리 줄기가 있고 그 끝에 덩이줄기가 달린다.

<야생화 쉽게 찾기 461면> "얕은 물에서 자라는 여러해살이풀. 옆으로 벋는 뿌리줄기 끝에 작은 알줄기가 달린다. 뿌리잎은 잎자루 밑 부분이 서로 감싸면서 모여 나 비스듬히 선다. 화살 밑처럼 갈라진 잎몸의 양쪽 갈래조각은 길 게 자라고 끝이 뾰족하여 가장자리가 밋밋하다. 잎의 윗부분은 달걀형이나 타원형으로 선형인 보풀보다 넓다. 8~10월에 20~80cm 높이로 자란 꽃줄기에 흰색 꽃이 층층으로 달리는데 윗부분에는 노란색 수술을 가진 수꽃이 달리고 밑 부분에는 암꽃이 달린다."

오감정보:
잎은 잎자루 밑이 줄기를 감싸며 모여 난다. 잎몸은 화살촉처럼 갈라지는데, 보풀보다 크고 넓다. 20~80cm 높이로 자란 꽃줄기의 위쪽에 수꽃이 달리고 밑에 암꽃이 달린다. [출처: 오감으로 찾는 우리 풀꽃 411면]

소귀나물의 다른 이름은
야자고[野慈姑=
cí gū=V, 수자고:水慈姑, 자고묘:慈姑苗: 사천중약지(四川中藥誌)], 전도초[剪刀草: 분류초약성(分類草藥性)], 연미초[燕尾草: 귀주초약(貴州草藥)], 장판자고[長瓣慈姑: 중약대사전(中藥大辭典)], 화하자고[华夏慈菇, 장판자고:长瓣慈姑: 중국생물물종명록(中國生物物种名錄)], 쿠와이[クワイ=慈姑=자고, 시로쿠와이=白クワイ, 아오쿠와이=青クワイ, 전초=논풀=田草, 燕尾草=연미초=제비꼬리풀, 쿠와에=クワエ: 일문명(日文名)], 우이채[牛耳菜], 곡사[鵠瀉], 급사[及瀉], 망우[芒芋], 수사[水瀉], 벗풀, 가는벗풀, 대택보풀, 대택소귀나물[함북 길주 대택에 나는 쇠귀나물], 가차라기, 대택자고, 잔보풀, 올미, 보풀, 쇠기나물[북한방언], 석고나물, 소귀나물, 쇠귀나물 등으로 부른다.  

[채취]


<중약대사전>: "여름, 가을에 채취한다."

[성분]


<일본 위키 백과사전>: "탄수화물의 이외에 칼륨, 엽산(葉酸), 카테킨 등을 포함한다."

[성미]


1, <사천중약지(四川中藥誌)>: "맛은 맵고 성질은 차며 독성이 약간 있다."

2, <귀주초약(貴州草藥)>: "맛은 달며 성질은 차다."

[약효와 주치]


1, <중약대사전>: "황달, 나력, 뱀에 물린 상처를 치료한다."

2, <분류초약성(分類草藥性)>: "뱀에 물린 상처를 치료하고 모든 악독창(惡毒瘡)에 붙인다."

3, <귀주초약(貴州草藥)>: "열을 내리고 해독하며 양혈(
血)하고 부기를 가라앉힌다."

[용법과 용량]


<중약대사전>: "내복: 0.5~1냥을 물로 달여서 복용한다.

외용: 짓찧어 바르거나 가루내어 개어서 바른다."


소귀나물 및 보풀의 효능에 대해서 안덕균의
<한국본초도감> 192면 213호에서는 이렇게 기록하고 있다.

[야자고(
野慈姑)

택사과의 여러해살이풀 소귀나물(Sagittaria trifolia Linne var. edulis {Sieb} Ohwi), 보풀(Sagittaria aginashi Makino)의 지상부이다.

성미:
맛은 달고 성질은 차다.

효능:
황달(黃疸), 나력(
瘰癧), 사교상(蛇咬傷)

해설:
① 황달에 이 약물 40g을 물을 넣고 달여서 복용하고, ② 뱀에 물린 데 짓찧어 붙인다. ③ 림프절염과 악창(惡瘡)에도 짓찧어 환부에 붙인다.]

좁은잎소귀나물의 효능
에 대해서 중국에서 펴낸 <중국본초도록> 제 5권 193면 2385호에서는 이와 같이 기록하고 있다.

[협엽자고(狹葉慈姑)

기원:
택사과(澤瀉科: Alismataceae)식물인 협엽자고(狹葉慈姑: Sagittaria trifolia L. var. angustifolia (Sieb.) Kitag.)의 전초(全草)이다.

형태:
수생하는 다년생 초본이며 높이는 약 1m이다. 잎은 좁고 전도형(剪刀形)을 나타내며 정단(頂端)은 비교적 엽저의 이(耳) 열편보다 짧고, 잎끝은 모두 길게 뾰족하다. 총상화서(總狀花序)이고 보통 작은 꽃이 3송이가 돌려나며, 하부의 암꽃에는 가늘고 긴자루가 있고, 포편(苞片)은 피침형(披針形)이고, 꽃잎은 꽃받침잎보다 비교적 크며 백색(白色)이고 기부(基部)에 자색(紫色)의 반점이 있으며, 수술은 여러개이고, 심피(心皮)는 여러개이며 이생(離生)하고 밀집해서 원구상(圓球狀)을 이룬다. 열매는 한쪽으로 기울어진 사도란형(斜倒卵形)이고 편평하며 배부(背部)와 복부(腹部)에 모두 얇은 날개가 있다. 꽃피는 시기는 7-9월이다.



분포: 늪지와 논에서 자란다.중국의 화동(華東), 서남(西南) 등에 분포한다.

채취 및 제법:
가을에 채취하여 깨끗이 씻어서 햇볕에 말린다.

기미:
맛은 맵고 성질은 차며 독이 조금 있다.

효능:
청열양혈(淸熱凉血), 소종(消腫).

주치:
황달(黃疸), 나력(瘰癧), 사교상(蛇咬傷).

용량:
9-15g.

참고문헌:
중약대사전, 하권 4415면.]


야자고에 대해서 대만에서 펴낸 <대만대백과전서(臺灣大百科全書)>에서는 다음과 같이 기록하고 있다.

[野慈姑

說到野慈姑這植物,一定要好好介紹它,畢竟像她這麼可愛的植物在台灣愈來愈少了。野慈姑在台灣的消失不是因為人們討厭它特意清除,也不是因為它有神奇的療效,原因很單純,影響卻是很嚴重,適合它生活的棲息地正在快速的消失中。

野慈姑為澤瀉科慈姑屬的多年生水生植物,早期全島平地的水田池塘都能發現它的存在,由於野慈姑有細長箭形的葉,以葉柄為中軸形成一個Y字型,像似把剪刀,故又被人叫做”三腳剪”。野慈姑它那細長葉柄配上箭形的葉在淺水區挺出水面生長,在植物種類相對單純的水域環境顯得相當顯目。約莫夏季,它會開出白色的小花,三朵圍呈一輪,一輪輪排列成長串狀,前半段約3-5輪由雄花構成,黃色的花藥,非常容易辨識;後半段則由雌花所圍成,3片花瓣,3片萼片,而成熟後的瘦果成特殊具翼的斜三角形,總之是個外形出眾的可愛傢伙。具膨大的地下球莖可聚積養分,用以渡過較差的環境,但也還是逃不了人類開發的壓力。

這數十年來,台灣經濟迅速地發展,工商業取代了傳統的農業,隨處可見的水田和池塘一個個填上了柏油和水泥,蓋了工廠和大樓,少數存在的水田也因除草劑和農藥的濫用,迫使僅存的族群數量日漸減少。人們為了生活及便利擠壓了野慈姑賴以生存的水域棲地,無家可歸的野慈姑無奈地逐漸淡出舞台,從平日生活的記憶中消失,也從台灣這座島上消失,這也是台灣許多水生植物共同的悲歌。

近幾年,生態工法及原生植物的推廣頗受重視,使我們有多了些機會看到野慈姑的出現,但心情上卻有點複雜,很高興能再見到這可愛的植物,卻都是在長在人造的水池或堤岸,不然就是在花市或庭園裡,野慈姑它現在也許因為人為的種植而存活了,但未來呢?若沒有了大自然的家,它們永遠還是孤兒。人類的進步就是這樣無情地建築在自然環境及生物的破壞上,而就算事後保育工作做得多完美,原本失去的也不可能再回復了,行為前多三思啊!

<<野慈姑小檔案>>

學名: Sagittaria trifolia(澤瀉科慈姑屬)

中名: 慈姑

別名: 三腳剪、水芋、野茨菰、矮慈姑、野慈姑

分類特徵: 具匍匐莖之多年生草本;匍匐莖細長。葉箭形,具5-7 條脈,先端漸尖,兩側裂片常較中間裂片長;葉柄長,具葉鞘。總狀花序,偶在基部分枝,共 3-5 輪,每輪 3 朵花,有苞片。雌花長在下輪,具花梗;雄花具較長的花梗,雄蕊多數,花藥黃色;萼片卵形;花瓣為萼片兩倍大。瘦果斜三角形,具翼及喙。

分布及生育地環境: 全島水田、溝渠及池塘中。

參考資料: 行政院農業委員會《台灣維管束植物簡誌》
]

야자고에 대해서 중국 <바이두 백과사전>에서는 다음과 같이 기록하고 있다.

[野慈姑

百科名片: 野慈姑,别名狭叶慈姑、三脚剪、水芋。为慈姑的变种 ,多年生草本植物,与慈姑相比比,野慈姑植株较矮,叶片较小、薄。中国各地均有分布。

查看精彩图册

中文学名: 野慈姑
别称: 慈姑
二名法: Sagittaria trifolia
界: 植物界
门: 被子植物门
纲: 单子叶植物纲
目: 泽泻目
科: 泽泻科
属: 慈姑属
种: 野慈姑
分布区域: 中国东北、华北、西北、华东、华南、西南等地

[基本信息]  

名称: 野慈姑   
别名: 狭叶慈姑、三脚剪、水芋   
学名: Sagittariatrifolia  野慈姑
类别: 多年生草本,水生或泥地生   
种属: 被子植物门单子叶纲泽泻目泽泻科慈姑属   
分布: 中国东北、华北、西北、华东、华南、西南等地   
用途: 食用、药用   
特点: 总状花序,雌雄同株   
危害: 生长在稻田里影响水稻生长

[形态特征]  

野慈姑为慈菇的变种,从栽培状态逸生。多年生挺水型水生植物。高50-100厘米,根状茎横生,较粗壮,顶端膨大成球茎,长2-4厘米,径约1厘米,土黄色。基生叶簇生,叶形变化极大。多数为狭箭形,通常顶裂片短于侧裂片,顶端裂片长4-9厘米,宽1-2厘米,基部裂片长4-18厘米,宽6-11毫米。顶裂片与侧裂片之间缢缩,叶柄粗壮,长20-40厘米,基部扩大成鞘状,边缘膜质。7-10月开花,花梗直立,高20-70厘米,粗壮,总状花序或圆锥形花序,花白色,雌雄同株。10-11月结果,同时形成地下球茎。种子褐色。霜冻后地上部分枯死。   

多年生草木,泥地生或水生,具有地下匍匐茎,匍匐茎的末端为小球茎,圆球形。叶基生,叶片箭形,先端尖锐;花序总状,花茎长约30至70公分,花3-5朵轮生,雌花再下,萼片形花被片反卷,花瓣长于萼,白色,心皮多,聚合成球形;雄花在上,雄蕊多数。瘦果斜倒卵形,扁平,背腹均有翅。   

同属的水生植物还有:慈姑:S.trifolia。又名茨菇。多年生草本植物,高50-100厘米。球茎球形或长球形,上具较粗的顶芽。叶箭形,较大,长25-40厘米,宽10-20厘米,叶柄长。花果期6-10月,从叶腋间抽生花茎1-2枚,花白色,成总状花序。瘦果斜倒卵形,背腹两面有翅。为栽培食用蔬菜。

[生长习性]  

野慈姑适应性强,喜光,喜在水肥充足的沟渠及浅水中生长。慈姑喜温暖湿润环境,生长的适宜温度为20-25℃。宜肥沃的黏壤土。    

用球茎或顶芽进行繁殖。通常在3月下旬将种球茎催芽,或4月上旬露地插顶芽育苗,株行距9厘米左右,5月上旬种植布置于园林水景的低洼地,行距40厘米,株距30厘米。   

生长期间需经常清除杂草,并追施2-3次肥料。有黑粉病、稻风虱等危害,应注意防治。越冬时应保持0℃以上的泥温。   

慈姑类植物叶形奇特秀美,可数株或数十株种植于河边,与其它水生植物配植布置水面景观,对浮叶型水生植物可起衬景作用。   

野慈姑和慈姑一样,喜欢生长在多水潮湿的环境里。

[中医中药]

药材信息

[药材名] 野慈姑   
[拉丁名] SagittariatrifoliaL.Var.Angusti-folia(Sieb.)Kitag.(长瓣慈姑)   
[别名] 剪刀草、水慈姑、慈姑苗、燕尾草   
[名称考证] 剪刀草(《分类草药性》)、水慈姑、慈姑苗(《四川中药志》)、燕尾草(《贵州草药》)   
[科目来源] 泽泻科植物   
[药用部位] 长瓣慈姑的全草。   
[性味归经] 辛、甘、寒、有小毒《四川中药志》:“性寒,味辛,有小毒。”《贵州草药》:“性寒,味甘。”入肺、肝、肾三经。   
[功效分类] 清热药   
[功效主治] 解毒疗疮、清热利胆。治黄疸,瘰疬,蛇咬伤。   
[用法用量] 服:煎汤,0.5-1两。外用:捣敷或研未调敷。  
[资源分布] 分布华东及西南各地。   
[古籍考证] 出自《四川中药志》。   
[参考出处]《四川中药志》   
[功效分类] 清热药   
[相关药材] 金慈姑、慈姑、花慈姑、叶慈姑   
[关键词] 解毒、疗疮、清热、利胆、黄疸、瘰疬、蛇咬伤

[相关选方]

① 治黄疸病:水慈姑、倒触伞各一两。煨水服。(《贵州草药》)② 治九子疡:水慈姑根、黄山药根、独脚莲根各等分。研末,以适量调甜酒敷患处。(《贵州草药》)③ 治蛇伤:一野慈姑、一支蒿。捣绒,包患处。(《四川中药志》)二水慈姑炕干研末,用二至三钱调水敷患者头顶百会穴;又用适量敷患处。(《贵州草药》)三鲜水慈姑二两,煨水服;并用适量煨水洗伤处。(《贵州草药》)

[原生形态]

长瓣慈姑多年生水生草本,直立,高可达1米。须根。叶片窄狭,呈剪刀形,顶端的裂片较耳裂片为短,长3.5~9厘米,先端均长尖,绿色。总状花序;小花一般为3朵轮生,下部雌花具短梗,上部为雄花,具细长的梗;苞片披针形,基部略联合:花瓣较萼片大,白色,基部间或有紫色斑点;雄蕊多数,带堇色;心皮多数离生,密集成圆球状。果实斜倒卵形,直径4~5.5毫米,扁平,背部腹面均具薄翅。花期夏季。

[培育繁殖]

野慈姑花单性、雌雄同株,花序含多数花,雌花先于雄花开放,存在不严格的花序内雌雄异熟,但每植株可能有2个以上花序同时开放、同一花序内不同分枝上雌雄花也可同时开放,因而有自交机会。人工隔离和控制授粉试验表明,该种自交可育。野外观察发现,野慈姑以虫媒传粉为主,访花昆虫可促成同株异花传粉。但本研究的结果(t>90%)提示,该种可能存在一种内在的生理机制,对同种的自花/异花花粉竞争或雄配子体选择起作用。   

野慈姑花单性、雌雄同株,花序含多数花,雌花先于雄花开放,存在不严格的花序内雌雄异熟,但每植株可能有2个以上花序同时开放、同一花序内不同分枝上雌雄花也可同时开放,因而有自交机会。人工隔离和控制授粉试验表明,该种自交可育。野外观察发现,野慈姑以虫媒传粉为主,访花昆虫可促成同株异花传粉。但本研究的结果(t>90%)提示,该种可能存在一种内在的生理机制,对同种的自花/异花花粉竞争或雄配子体选择起作用。   

慈姑属是泽泻科中的一个较大的属,有30余种,广布于世界各地。依陈家宽(1989),中国产慈姑属植物共8种,分别属于冠果草亚属(Subgen?Lophotocarpus)和慈姑亚属(Subgen?Sagittaria)[16]。根据作者对慈姑属交配系统的定量研究,国产慈姑属植物中,较原始的冠果草[S.guayanensisH.B.K.ssp.lappula(DDon)Bojin](t=0)为专性自交系统,处于进化中间阶段的小慈姑(S.potamogetifoliaMerr?)(t=50.0%~81.9%)和 矮慈姑(S.pygmaeaMiq.)(t=49?9%)为自交/异交兼性系统,而较为进化的野慈姑(t=91.0%~98.0%)为异交占绝对优势的交配系统,这一系列结果正好与上述关于慈姑属系统演化的观点相吻合。

[相关研究]

稻田治野慈姑

水稻移栽田有野慈姑发生,不知道用什么药防治。在水稻田施用苄嘧磺隆等除草剂对野慈姑、雨久花等杂草防效不佳。   

据延边大学农学院吴明根等人研究,在除草剂应用较早的吉林省,20世纪70年代中期以前,当地稻田发生的恶性杂草主要是禾本科杂草稻稗、莎草科杂草和眼子菜等;到80年代中期,由于大量使用酰胺类、氨基甲酸酯类、三氮苯类除草剂,禾本科杂草和眼子菜等得到了控制,莎草科杂草逐步上升为优势杂草;到90年代中期,由于普及使用以农得时(苄嘧磺隆)为主的磺酰脲类除草剂,基本控制住了莎草科杂草的蔓延趋势;从90年代后期开始,过去不属于稻田主要杂草的泽泻科杂草野慈姑、雨久花科杂草雨久花以及过去当地未发现的菊科杂草狼把草、大狼把草和柳叶鬼针草等杂草大量发生,成为当地稻田恶性杂草。  

吴明根等人的试验结果表明,连续十多年使用农得时的稻田开始出现抗药生态型雨久花、野慈姑。其中对农得时表现出抗性的雨久花对草克星(吡嘧磺隆)表现出交叉抗性。而野慈姑表现出不同的趋势,对农得时表现出很强的抗性,对同属一类的草克星敏感,在两者之间无交叉抗性。这些抗药生态型雨久花、野慈姑对其他类型除草剂如吡唑特、苯达松、扑草净、2甲4氯钠盐很敏感。   

在江苏省,一些稻田草相的演变也有类似趋势,应引起重视。在发现磺酰脲类除草剂对野慈姑、雨久花的防除效果不佳时,应改用苯达松、2甲4氯等其他类型的除草剂。近年来一些地区反映使用苄嘧磺隆、吡嘧磺隆等除草剂对野慈姑无效,但经试验分析未见野慈姑对磺酰脲类除草剂产生抗药性,药效差的原因是某些苄嘧磺隆、吡嘧磺隆及其与丁草胺等除草剂的复配剂质量有问题,含量不足或混配不合理;或者是因为干旱缺水,施药后水层浅或短期内无水,药效难以发挥。生产上应注意选用草克星等质量好的除草剂,并严格按用药要求用药。

[自然群体异交率]

用自然群体取样和同工酶遗传标记的方法对沼生植物野慈姑(SagittariatrifoliaLinn.)及其变型长瓣慈姑[S.trifoliaLinn.f.longiloba(Turcz.)Makino]的异交率作了定量研究,3个自然群体的异交率估计值为=91.0%~98.0%,表明该种为异交占绝对优势的交配系统。在野慈姑各群体间未发现异交率的显著差异。交配过程构成了高等动物或高等植物亲代与子代间、子代与子代间的基本联系。与高等动物不同的是,高等植物不同类群乃至种内不同群体、不同个体之间交配式样有着较大幅度的变化,了解交配系统(matingsystem)是研究植物群体中基因传递的前提。异交率(outcrossingrate)为交配系统的特征参数。20世纪20年代,植物遗传学家开始用形态学标记对植物群体的异交率作定量估计,1970年以后由于蛋白质电泳技术的运用和精心设计的统计学模型的引入,对植物交配系统及其多样性有了较多的了解。   

本研究以野慈姑(SagittariatrifoliaLinn.)为对象,对其自然群体的异交率作定量估测。野慈姑是一种常见的沼生草本植物,为栽培慈姑[华夏慈姑S?trifoliaLinn?var?sinensis(Sims)Makino]的野生亲缘种。该种兼有性生殖和营养繁殖,花单性同株且为不严格的花序内雌雄异熟。野慈姑种下分化显著,是研究植物微观进化的好材料。

[材料和方法]

供试材料取自野慈姑3个自然群体:⑴ 湖南茶陵群体(CL9609)⑵ 湖北红安群体(HA9610)⑶ 湖北武昌群体(WC9611)其中群体CL9609为野慈姑的一种下变型——长瓣慈姑[S.trifoliaLinn.f.longiloba(Turcz?)Makino]。   在考察群体自然状况的基础上,从每群体随机取已开花植株各32~36株作为亲代(母本)样本;收集植株上成熟的聚合瘦果培养出幼苗,每家系抽取幼苗20~40株为子代样本。   

20世纪80年代以来,异交率研究常用多基因座估计法进行。水生植物克隆繁殖发达,给选择遗传标记带来困难,最近的有关研究仍采用单基因座估计法。本研究中异交率的估测采用同工酶单基因标记和经典的统计模型。在用聚丙烯酰胺凝胶电泳法对多种同工酶进行分析后,筛选一明显而可靠的基因作为遗传标记;检测亲代样本在标记基因上的基因型频率,推算花粉库中雄配子体基因型频率;抽取标记基因上为纯合型母本的子代检测标记基因上的杂合率,计算异交率最大可能性估计值。

[群体的自然状况]

群体CL9609:位于湖南省茶陵县湖里(26°50′N,113°40′E)沼泽,长瓣慈姑生于沼泽周缘一150m2的弃耕田中,水深0~10cm,花序平均密度11.0个/m2,具2个或更多花序的植株占60%左右,伴生植物为禾本科、莎草科若干种。取样时间为9月上旬。

群体HA9610:位于湖北省红安县城郊(31°20′N,114°40′E),野慈姑生于一面积约180m2的莲塘中,水深5~30cm,莲与野慈姑混生,莲叶为挺水状态,伴生植物还有空心莲子草(Alternantheraphiloxeroides)及禾本科、莎草科若干种。野慈姑花序平均密度43个/m,具2个或更多花序的植株占30%左右。取样时间为10月初。   

群体WC9611:位于湖北省武汉市郊南湖附近(30°30′N,114°20′E),野慈姑生于一面积约400m2的莲塘中,塘中无积水,莲叶已干枯、倒伏,伴生植物还有空心莲子草及禾本科、莎草科若干种。野慈姑花序平均密度2.0个/m2,具2个或更多花序的植株占80%左右。取样时间为11月初。

[基因型频率]

用聚丙烯酰胺凝胶电泳法得到供试材料的酯酶(EST)、过氧化物酶(PER)、苹果酸脱氢酶(MDH)、苹果酸酶(ME)和谷氨酸脱氢酶(GDH)等8种同工酶酶谱,经反复比较分析,发现酯酶同工酶Est-1是最为明显且稳定的多态基因座(图1),故选择该基因座为遗传标记。本研究所用标准电泳条件[分离胶浓度10%、a:b=37.5、pH=8.9、胶板规格120mm(长)×104mm(宽)×1mm(厚);浓缩胶浓度4%、pH=6.8;电极液为Tris-甘氨酸缓冲液,pH=8.3;稳压250V,电泳3.5h]下,该基因的迁移率Rf=0.28~0.34。野慈姑3个群体的亲代(孢子体)样本在Est-1位点上共被检出3个等位基因:Est-11、Est-12和Est-13,它们组成了6种基因型。   

[野慈姑3个自然群体在Est-1基因座的基因型频率]

img1.jpg
 
[子代杂合率与异交率]

对每群体各5个Est-1基因座纯合型亲本(母本)的子代样本作了电泳检测,得出各家系子代杂合率,推算出异交率的最大可能性估计值,其平均值为91.0%~98.0%,详见表2。结果显示,野慈姑为自交占绝对优势的交配系统。尽管群体CL9609为野慈姑种下变型长瓣慈姑所组成,它们在形态上明显区别于组成其他二群体的植物,但本研究所涉及的3个群体在异交率方面并无显著差异。当然,植物种内群体间乃至群体内异交率的差异普遍存在,也见于慈姑属某些种内,要对野慈姑的交配系统类型作出准确判断,应有更多群体的、最好是多基因座的异交率估计结果。

影响异交率的因素

野慈姑花单性、雌雄同株,花序含多数花,雌花先于雄花开放,存在不严格的花序内雌雄异熟,但每植株可能有2个以上花序同时开放、同一花序内不同分枝上雌雄花也可同时开放,因而有自交机会。人工隔离和控制授粉试验表明,该种自交可育(表3)。野外观察发现,野慈姑以虫媒传粉为主,访花昆虫可促成同株异花传粉。但本研究的结果(>90%)提示,该种可能存在一种内在的生理机制,对同种的自花/异花花粉竞争或雄配子体选择起作用。   

[野慈姑在人工隔离和控制授粉后的结实率]

img1.jpg

[交配系统与系统演化]

慈姑属是泽泻科中的一个较大的属,有30余种,广布于世界各地。依陈家宽(1989),中国产慈姑属植物共8种,分别属于冠果草亚属(Subgen?Lophotocarpus)和慈姑亚属(Subgen?Sagittaria)。根据作者对慈姑属交配系统的定量研究,国产慈姑属植物中,较原始的冠果草[S.guayanensisH.B.K.ssp.lappula(D?Don)Bojin](=0)为专性自交系统,处于进化中间阶段的小慈姑(S.potamogetifoliaMerr?)(=50.0%~81.9%)和矮慈姑(S.pygmaeaMiq.)(=49.9%)为自交/异交兼性系统,而较为进化的野慈姑(=91.0%~98.0%)为异交占绝对优势的交配系统,这一系列结果正好与上述关于慈姑属系统演化的观点相吻合。

img1.jpg

[相关新闻]

北京晚报11月19日讯,今天记者从怀柔区获悉,怀柔湿地刚刚发现了黑鹳、丘角菱等11种国家一二级野生保护动植物,其中格菱、野慈姑两种植物在北京首次发现,另有两种首此发现的植物正在考证名称。   

记者了解到,今年怀柔对怀柔水库、怀沙河、怀九河、白河流域等地湿地资源进行了抢救性普查保护。普查结果显示,怀柔区现有湿地总面积46153亩,占全区总面积的1.45%;主要河流、蓄水区的水质基本保持在Ⅱ级以上,在白河、汤河及怀沙、怀九河流域均有发现世界濒危、国家一级保护野生鸟类——黑鹳,且种群数量较大。   

据怀柔区林业局介绍,在对区内白河流域进行湿地普查时,在汤河口镇大黄塘一带水域发现了十多只国际濒危物种黑鹳,种群和数量之大在北京地区非常罕见。据相关专家介绍,在怀柔发现黑鹳尚为首次,“这些黑鹳是来这里繁殖的,它们每年三四月迁来,十月下旬离开。”调查显示,白河流域滩旁的悬崖石缝,是黑鹳筑巢栖息的繁殖地,这里植被良好,环境幽僻,沮河湿地适宜鸟类生存。再加之人为干扰非常少,湖中小鱼小虾丰富,为它们提供了充足的食物。目前,怀柔区森林公安处已采取措施加强保护.
]

소귀나물로 질병을 치료하는 방법은 아래와 같다.

1, 황달병

소귀나물, 도촉산(倒觸傘) 각 37.5g을 약한불에 달여서 복용한다. [귀주초약(
貴州草藥)]

2, 구자양(九子瘍)

소귀나물뿌리, 황산엽근(黃山葉根), 독각련근(獨脚蓮根) 같은 양을 갈아서 적당량을 첨주(甛酒)로 개어 환부에 바른다. [귀주초약(
貴州草藥)]

3, 뱀에 물린 상처

① 소귀나물, 일지호(一支蒿)를 짓찧어 부드럽게 만든 후 환부를 싸맨다. [사천중약지(
四川中藥誌)] 

② 소귀나물을 온돌에 말려서 가루내어 7.5~11g을 물로 개어 환자의 두정백회혈(頭頂百會穴)에 바른다. 또는 적당량을 환부에 바른다. [귀주초약(
貴州草藥)]

③ 신선한 소귀나물 75g을 약한 불에 오랫동안 달여 복용한다. 또는 적량을 약한 불에 오랫동안 달여 환부를 씻는다. [귀주초약(
貴州草藥)]

4, 티눈

메밀가루 4g, 쇠귀나물 전초 한 개를 갈아서 잘 개어 섞어서 천에 펴고 환부에 바른다. [민간요법]

일본에서는 사이타마현(埼玉縣), 히로시마현(廣島縣)에서 소귀나물이 대량 생산되는데, 최근에는 택지개발등으로 인해 생산량이 감소되고 있다고 한다. 현내(縣內)최대의 생산지인 고시가야시(越谷市)에서는 그 고장의 연구회가 쇠귀나물을 사용한 토종 맥주를 세계에서 처음으로 만드는등 쇠귀나물의 보급 활동에 노력하고 있으며, 히로시마현(廣島縣) 후쿠야마시(福山市)에서는, 기간 한정품으로 이름을 내걸고, 쇠귀나물로 만든 소주인 <후쿠야마(福山) 자라>를 판매하고 있다고 알려준다.

수생 또는 습지 식물이 우리 인체에 미치는 영향 또한 놀랍기만 하다. 우리나라에도 몇 군데 안되는 천연늪지대를 잘 보호하여 수생식물을 자손대대로 물려줄 수 있도록 노력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상기 자료는 약초연구가로서 지구상에 존재하는 천연물질의 우수성을 널리 알리고 질병으로 고통을 겪고 있는 환우들에게 희망을 주며 기능성 식품과 신약을 개발하는데 통찰력을 갖게하고 약초를 사랑하는 모든 사람에게 정보의 목적으로 공개하는 것임을 밝혀 둔다.   

(글/ 약초연구가 & 동아대 & 신라대 대체의학 외래교수 전동명)

참조: 아래에 누구나 프린터할 수 있는 아래한글 문서입니다. '주는 것이 받는 것 보다 더 행복하다'는 취지를 실천하기 위한 사랑과 자비의 서비스입니다. 경제적인 부담(종이값, 잉크, 토너 비용 등)이 되신다면 아래의 문서를 각자의 컴퓨터 및 기타 저장매체에 담아 놓고 볼 수 있습니다. 소중한 자원낭비가 되지 않기 위하여 프린터하기 전에 한번더 개인적으로 결정해 보시기 바랍니다. 여러분 모두도 다른 사람에게 더 많이 주어서 더 행복하시기 바랍니다.

아래한글문서 18쪽 분량을 프린터할 수 있는 사랑과 자비의 서비스: 1, 소귀나물(야자고) 무엇인가?

아래한글문서 1쪽 분량을 프린터할 수 있는  사랑과 자비의 서비스: 2, 소귀나물(야자고) 무엇인가?

소귀나물 사진 감상: 네이버+구글+다음+대만구글+일본구글:
1, 2, 3, 4, 5,

문의 및 연락처: 010-2545-0777 ; 051-464-0307

주소: http://jdm0777.com

페이스북 주소: http://www.facebook.com/jdmsanyacho

메일: jdm0777@naver.com

아래에 비슷한 식물도 함께 참조해 보시기 바랍니다.

 

 

  1. 꽃창포 무엇인가?
  2. 난쟁이붓꽃 무엇인가?
  3. 범부채 무엇인가?
  4. 벗풀(자고) 무엇인가?
  5. 보풀(수자고) 무엇인가?
  6. 부채붓꽃 무엇인가?
  7. 붓꽃 무엇인가?
  8. 사프란 무엇인가?
  9. 석창포 무엇인가?
  10. 소귀나물(야자고) 무엇인가?
  11. 술붓꽃 무엇인가?
  12. 애기범부채 무엇인가?
  13. 올미(압설두) 무엇인가?
  14. 자란(백급) 무엇인가?
  15. 제비붓꽃 무엇인가?
  16. 창포 무엇인가?
  17. 타래붓꽃 무엇인가?
  18. 택사 무엇인가?

 

 

홈페이지 주소 : http://jdm0777.com 클릭하시면 홈으로 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