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세미오이(사과) 무엇인가?

옛날 솥을 딱는데 사용되었던 수세미오이

 

 

 

 

 

 

 

 

img1.jpg img1.jpg

 

 

[수세미오이 잎, 꽃, 열매, 열매속 스펀지의 모습, 사진출처: 인터넷 구글 이미지 검색]

살충작용(곤충을 죽이는 작용), 화담작용, 해열작용, 소염작용, 지통작용, 강력한 설사작용, 거담작용, 해독작용, 항간염작용, 객혈작용, 항균작용, 회충구제(임상보고), 신경성 피부염(임상보고), 만성기관지염(임상보고), 위축성 비염, 만성 부비강염(임상보고), 해열, 해독, 거담, 지혈, 소염, 진통, 양혈, 요통, 축농증, 비염, 변비, 인후염, 음낭편추, 수족 동상으로 생긴 창, 해수, 코피, 풍치통, 충치통, 폐경, 월경불순, 월경과소, 항문염증, 월경이 안멎거나 오랜 하혈, 해수, 천식, 열병으로 열이 몹시 나면서 가슴이 답답하고 목이 마른 데, 치질, 산기증, 탈장, 식체, 주체, 출혈, 헌데, 황달, 과음, 지방질 과식, 입안의 냄새, 변비, 전신 통증 등과 피부가 당기고 아픈 데, 요도가 따갑고 아픈 데, 젖이 나오지 않는 데, 기혈을 잘 돌게 하고 풍사와 피의 열을 없애며 소변이 잘 나오게 함, 협통, 사지통증, 유선염, 장출혈, 무월경, 빈뇨, 부종, 옹종, 습진, 장염을 다스리는 수세미오이

수세미오이는 여주속 박과에 속하는 일년생 초본 식물이다.

수세미오이의 학명은 <Luffa cylindrica Roem>이다. 여름에 노란빛의 단성화가 암수 한그루로 피는데 수꽃은 총상 꽃차례를 이루고 암꽃은 잎겨드랑이에 한 개가 핀다. 열매는 원기둥 모양의 긴액과이며 길이 50~100센티미터이고 돔쏙돔쏙한 몇 개의 세로줄이 있다. 열대 아시아 원산으로 우리나라에서 오래전부터 재배하여 온 것으로 추정된다. 우리나라 각처의 담장이나 울타리에 올리는 덩굴성 식물로 길이 12미터까지 자라며, 줄기의 단면은 오각형이다.

홍만선의
<산림경제>에도 수세미 오이의 재배방법 및 식용, 약용, 세척용도가 자세히 기록되어 있는 것으로 미루어 널리 이용되었고 많이 재배되었음을 알 수 있다. 1970년대 중반부터 현대식 수세미가 등장함과 동시에 수세미오이의 생산량도 급감하기 시작하였다. 주요품종으로는 다루마종, 츠루구미종, 하마나종, 텐류종 등이 있다.

수세미오이에 대해서 <중약대사전>에서 이르기를 "1, 박과 식물 사과[絲瓜: 수세미외=Luffa cylindrica (L.) Roem.] 또는 월사과(粤
絲瓜)의 신선하고 어린 열매 또는 잘 익은 열매를 말린 천고루(骷髏)이다.

1년생 덩굴성 초본 식물이다. 어릴 때는 전체에 부드러운 털이 밀생하고 오래 되면 털이 거의 없어진다. 줄기는 길이가 7~10m에 달하여 원형이고 보통 모서리가 있다. 어린 줄기는 녹색이며 부드러운 털이 성글 게 나 있고 덩굴손이 보통 세 가닥으로 갈라진다. 잎은 어긋아며 잎자루는 다각형이고 부드러운 털이 있으며 길이는 4~9cm이다. 잎은 둥근 심장형으로 길이는 8~25cm이고 너비는 15~25cm이며 손 바닥 모양으로 3~7개로 갈라지고 열편(裂片)은 보통 삼각형이며 끝이 뾰족하며 가장자리에는 작은 톱니가 있다. 윗면은 짙은 녹색 밑면은 담녹색이며 어릴 때는 가시털이 있고 늙으면 거칠고 털이 없어진다. 중륵맥은 3~7개이다. 꽃은 단성이며 자웅 동주이다. 자화(雌花)는 단생하며 자루가 있고 수꽃은 총상 화서이다. 화악은 깊이 갈라져 있고 열편은 녹색의 달걀 모양 피침형이고 바깥 쪽은 가는 유모로 덮여 있다. 꽃부리는 황색, 연한 황색, 또는 백색에 가까우며 5개로 깊게 갈라지고 열편은 넓은 거꿀달걀 모양으로 길이는 3~5cm, 너비는 2.4~4.5cm이며 가장자리는 물결 모양이다. 수술은 3~5개이고 꽃밥은 2실이며 S자형으로 만곡되어 있다. 꽃실은 분리되어 있고 기부는 팽대되어 있으며 부드러운 털로 덮여 있다. 하위 씨방이고 원기둥 모양이며 3실이고 밑씨가 많이 있다. 암술머리는 3개이고 큼직하며 각각 2개로 갈라져서 밖으로 펼쳐져 있다. 열매는 아래로 매달려 있으며 긴 원기둥 모양으로 길이는 18~60cm이다. 어릴 때에는 녹색을 띤 백색이며 짙은 녹색을 띤 세로 무늬가 있고 익으면 황녹색이나 녹갈색으로 변한다. 과육 속에는 단단하고 질긴 그물 모양의 섬유가 있다. 종자는 장방형의 달갈 모양으로 넙적하고 검으며 가장자리에 날개가 있다. 개화기는 5~7월, 결실기는 6~9월이다. 중국 각지에서 재배한다.

2, 월사과(粤
絲瓜: Laffa autangula Roxb.)
모양은 사과(
絲瓜)와 비슷하지만 다음과 같은 점에서 다르다. 잎은 손 바닥 모양으로 얕게 갈라져 있다. 수술은 2~3개이고 열매는 비교적 짧고 작으며 뚜렷한 모서리가 있다. 중국의 광동(廣東), 광서(廣西) 등지에서 재배한다."

수세미오이
열매의 다른 이름은 사과[絲瓜=sī guā=꾸아, 천조과:天瓜, 순양과:純陽瓜, 도양채:倒陽菜: 전남본초(南本草)], 천사과[天絲瓜, 천라:天羅, 만과:: 본사방(本事方)], 면과[綿瓜: 속본사방(續本事方)], 포과[布瓜: 고금합벽사류비요(古今合事類備要)], 천라과[天羅瓜: 보제방(普濟方)], 어자[魚: 기효양방(奇效良方)], 천락사[天絡絲: 의학정전(醫學正傳)], 천라포과[天羅布瓜: 부인양방보유(婦人良方補遺)], 우자[刺, 세과라과:洗羅瓜: 본초강목(本草綱目)], 천라서[天羅: 군방보(郡芳譜)], 방선[紡線: 의림찬요(醫林纂要)], 채과[菜瓜: 식물명휘(植物名彙)], 수과[水瓜: 영남채약록(嶺南採藥錄)], 겸과[瓜: 중국약물지(中國藥物誌)], 서과[瓜, 체과:瓜: 광주식물지(廣州植物誌)], 니과[瓜: 광서중수의약식(廣西中獸醫藥植)], 월사과[絲瓜, 천고루:天骷髏: 중약대사전(中藥大辭典)], 헤치마[ヘチマ=糸瓜, 천사과:天糸瓜: 일본명(日本名)],수세미오이, 수세미외 등으로 부른다.

수세미오이 종자의 다른 이름은
사과자[絲瓜子: 요가성(姚可成), 식물본초(食物本草)], 오우자[烏牛子: 본초강목습유(本草綱目拾遺)] 등으로 부른다.

수세미오이 뿌리를
사과근[絲瓜根: 전남본초(
南本草)]이라고 한다.

수세미오이 잎을
사과엽[絲瓜葉: 전남본초(
南本草)]이라고 한다.

수세미오이 줄기를
사과등[絲瓜藤: 본초강목(本草綱目)]이라고 부른다.

수세미오이 꽃을
사과화[絲瓜花: 전남본초(
南本草)]라고 한다.

수세미오이 꼭지를
사과체[絲瓜蒂: 본초구원(本草求原)]이라고 부른다.

수세미오이 열매껍질을
사과피[絲瓜皮: 전남본초(
南本草)]라고 한다.

[채취]


<열매>


<중약대사전>: "여름과 가을에 어린 것을 채집하고 노사과(老絲瓜)인 천고루(天
骷髏)는 늦가을에 채집한다."

<종자>


<중약대사전>: "가을에 잘 익은 열매를 따서 사과락(絲瓜絡)을 만들 때에 종자를 수집하여 햇볕에 말린다."

<뿌리>


<중약대사전>: "여름, 가을에 씻어서 그대로 사용하거나 말려서 쓴다."

<줄기>


<중약대사전>: "여름, 가을에 채취한다."

<꽃>


<중약대사전>: "여름에 꽃이 필 때 채취한다."

<꼭지>


<중약대사전>: "여름, 가을에 채취한다."

<열매껍질>


<중약대사전>: ""여름, 가을에 사과(絲瓜)를 먹을 때에 깍아낸 과피를 햇볕에 말린다.

[약재(藥材)]


<종자>


<중약대사전>: "만른 종자는 납작한 타원형이며 길이 약 1.2cm, 너비 약 7mm, 두게 약 2mm이다. 종피(種皮)는 회흑색 또는 흑색이며 가장자리에 폭이 매우 좁은 날개가 있고 날개의 한쪽에 봉합선이 있으며 윗 쪽에 두 갈래 형태인 돌기가 1쌍 있다. 종피는 약간 단단하며 쪼개면 막상(膜狀)의 회록색 내측 종피가 자엽(子葉)을 감싸고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자엽은 2개이며 황백색이다. 냄새가 없고 맛은 좀 쓰다. 중국 대부분 지역에서 생산된다."

[성분]


<열매>


<중약대사전>: "사과(絲瓜)의 열매는 사포닌(saponin), 고미질(苦味質), luffein, 대량의 점액 및 citrulline을 함유한다. 사과(絲瓜)의 액즙은 사포닌(saponin), 점액, xylan, 지방, 단백질, 비타민 C, 비타민 B를 함유한다.

월사과(
絲瓜) 전체에는 곤충을 죽이는 작용이 있다. 그 열매는 물고기에 대한 독성이 매우 강하며 rotenone은 확인되지 않았지만 청산(靑酸)을 함유하고 있다."

<종자>


<중약대사전>: "사과(絲瓜)의 종자는 지방유 23.5~38.9%를 함유한다. 주성분으로 리놀산, 팔미틴산, 스테아린산, 오레인산 등의 글리세리드 및 인지질 0.47%, 스쿠알렌, α-spinasterol 등이 있으며 또한 triterpenoid saponin, 멜라닌(알칼리 융해 및 산화하면 카테콜을 생성한다)과 cucurbitacin B를 함유하고 그 외에 단백질, 당류 등도 있다."

<잎>


<중약대사전>: "사과(絲瓜)의 잎은 사포닌을 함유하며, 월사과(
絲瓜) 잎은 시안화 수소산을 함유한다."

<줄기>


<중약대사전>: "사과등(絲瓜藤)은 사포닌을 함유한다."

<꽃>


<중약대사전>: "꽃에는 glutamine, asparagic acid, arginine이 함유되어 있으며 asparagine은 수꽃보다 암꽃에 많이 함유되어 있으며 ricin, alanine은 수꽃에 많다."

[약리작용]


<종자>


<중약대사전>: "사과(絲瓜)의 종자에는 강한 설사 작용이 있으며 복용량은 종자 7~10개 분의 분말이다. 15~20개를 복용하면 심한 설사를 일으킨다.

유효 성분은 elatine이다. 뿌리도 설사약으로 쓰인다. cucurbitacin B와 elaterin에는 항간염작용이 있다. 상세한 것은 과체(瓜
)를 참조할 것. 종자에 함유된 사포닌은 개구리의 심장에 대하여 디기탈리스와 같은 작용이 있으며 객혈작용도 있다. 물고기에 대하여 아주 강한 독성이 있으며 개구리의 MLD(최소 치사량)는 0.2g/kg이다. 1mg/kg의 알코올 엑스 투여로 개가 사망하였는데 침을 흘리고 구토, 설사하는 현상이 나타났다. 부검 결과 장관(腸管)에 대한 자극, 특히 소장에 대한 자극이 심하다는 것이 판명 되었다. 종자에서 분리된 고정유(固定油) 5~12ml를 개에게 투여하면 설사, 구토, 장출혈을 일으키고 비교적 적은 투여량으로도 침을 흘리고 구토를 일으킨다. 종자에는 곤충을 죽이는 작용이 있다는 것이 증명되었다."

<잎>


<중약대사전>: "사과(絲瓜)이 잎 또는 전초의 물추출물(탕제에 알코올을 가하여 침전물을 제거한 것)은 guinea pig의 적출 회장에 대한 아세틸코린의 수축 작용을 뚜렷하게 저하시키며 히스타민의 작용에 대해서도 매우 비슷한 영향을 주지만, 이것은 비교적 약하다. 탕제는 회장에 대하여 가벼운 흥분 작용이 있으며 토끼의 적출 자궁에 대해서는 현저한 흥분 작용이 있다. 물추출물은 토끼의 적출 십이지장에 대해서 뚜렷한 작용은 없었다. rat의 횡격막-횡격 신경 표본에 대해서도 특별한 작용이 없었다. 달인 탕제는 두꺼비의 복직근에 대하여 현저한 흥분 작용이 있었다. rat의 후지 관류 시험에서는 명확한 작용이 없었다. 마취한 개에게 생약 0.1g/kg에 상당하는 탕제를 정맥 주사한 결과 혈압을 낮추는 작용이 나타났다. 마우스에게 신선한 생약 20g/kg을 사용한 물 추출물을 복강 주사해도 뚜렷한 작용이 없었다. 한 마리에 1g의 생약을 사용한 탕제를 주사했더니 뚜렷한 독성은 없었다. 잎에 함유된 사포닌에는 지해 거담 작용이 있었다(사과등:絲瓜藤을 참조)."

<줄기>


<중약대사전>: "
1, 해수를 거담하는 작용: 마우스에 사과등(絲瓜藤)의 탕제, 사과등(絲瓜藤)의 신선한 즙액 및 줄기와 잎의 메탄올 추출물(L13)을 경구 투여한 결과, 이산화 유황 또는 암모니아수로 유발시킨 기침에 대하여 제각기 어느 정도의 지해 작용이 있었다. 마취시킨 개에게 사과등(絲瓜藤)의 탕제 5g/kg을 경구 투여해도 호흡기도의 점액 분비량에는 현저한 변화가 없었다. 마우스에게 사과등(絲瓜藤)과 잎의 메탄올 추출물을 경구 투여한 결과, 페놀레드 분비 작용을 현저히 증가 시켰다(phenol red법).

2, 항균작용:
사과등(絲瓜藤)의 분말 탕제와 알코올침출제는 호흡기도에서 흔히 보는 세균에 대하여 비교적 약한 억제 작용이 있으며 폐첨구균(폐첨구균)에 대한 작용은 약간 강하다. 사과등(絲瓜藤)의 신선한 즙액에는 균을 억제하는 작용이 없다.

독성:
rat에게 사과등(絲瓜藤)의 탕제 10g/kg을 14일간 경구 투여했으나 체중, 체온, 심전도 및 간장, 신장, 심장, 폐등 내장에 뚜렷한 영향은 없었다. 개에게 5g/kg을 경우 투여해도 간 기능에 이상은 발견되지 않았다."

[성미]


<열매>


1, <중약대사전>: "맛은 달고 성질은 서늘하다."

2, <본초강목>: "맛은 달며 성질은 평하고 독이 없다."

3, <본초봉원>: "맛은 달며 성질은 차고 독이 없다."

4, <의림찬요>: "맛은 달고 성질은 차다."

<종자>


<요가성(姚可成), 식물본초(食物本草)>: "쓴 것은 기(氣)가 한(寒)하고 독이 있으며 단 것은 독이 없다."

<뿌리>


<중약대사전>: "맛은 달며 성질은 평하고 독이 없다."

<줄기>


<본초구원>: "맛은 쓰며 성질은 약간 차고 독이 조금 있다."

<꽃>


<전남본초>: "맛은 달며 약간 쓴맛이 있고 성질은 차다."

[귀경(歸經)]


<열매>

1, <중약대사전>: "간(肝), 위(胃)의 경(經)에 들어간다."

2, <득배본초>: "수태음경(手太陰經)에 들어간다."

3, <본초구진>: "경락(經絡)에 들어가는 한편 장(腸), 위(胃)의 2경(經)에 들어간다."

4, <본초재신>: "간(肝), 신(腎)의 2경(經)에 들어간다."

<줄기>


<본초재신>: "심(心), 비(脾), 신(腎)의 3경(經)에 들어간다."

[약효와 주치]


<열매>

1, <주진형(朱震亨)>: "두창불쾌(痘瘡不快)의 치료에는 말라 죽은 것을 약성이 남을 정도로 볶아서 주사(朱砂)를 넣고 가루내어 꿀과 물로 개어서 복용한다."

2, <본초몽전>: "두창각통(痘瘡脚痛)의 치료에는 태워서 재로 만들어 바른다."

3, <의학입문>: "남녀의 모든 악창, 소아의 두진여독(痘疹餘毒), 유저(乳疽), 정창(
疔瘡)을 치료한다."

4, <본초강목>: "삶아서 복용하면 열을 없애고 장을 이롭게 한다. 묵은 것을 약성이 남을 정도로 볶아서 복용하면 풍기를 없애고 담을 삭이며 피를 맑게 하여 해독하고 살충한다. 경락을 잘 통하게 하고 혈맥을 원활하게 하며 젖을 잘 나오게 한다. 혈변, 혈뇨, 치루붕중(痔漏崩中), 황적(黃積), 산통난종(疝痛卵腫), 혈기(血氣)로 인한 통증, 옹저창종(癰疽瘡腫), 충치, 두진태독(痘疹胎毒)을 치료한다."

5, <왕연사(汪連仕), 채약서(採藥書)>: "천고루(天
骷髏)는 부인의 백대, 혈림(血淋), 고창적취(臌脹積聚), 모든 근골 동통을 치료한다."

6, <육천본초(陸川本草)>: "진액을 생성하여 갈증을 멈추게 하며 서기(暑氣)를 풀고 번조를 제거한다. 열병으로 인하여 목이 마른 증세, 몸에 열이 나서 번조(煩躁)한 증세를 치료한다."

<종자>


1, <중약대사전>: "수(水)를 배출시키고 열을 내리는 효능이 있다. 사지와 안면 부종, 석림(石淋: 요로결석), 장풍(腸風), 치루를 치료한다."

2, <요가성(姚可成), 식물본초(食物本草)>: "쓴 것은 수종과 사지와 안면 부종을 치료하며 수음(水飮)을 내리게 하며 토하게 한다. 단 것은 번조를 제거하고 갈증을 멎게 하며 심열(心熱)을 치료하고 수도(水道)를 통하게 하며 심폐를 조화시키고 석림(石淋)을 치료하며 회충을 토하게 한다."

3, <의림찬요>: "장풍(腸風), 치루(痔瘻), 붕루(崩漏)를 치료하며 모유를 잘 나오게 한다."

4, <남영시약물지>: "대변을 잘 나오게 한다."

<뿌리>


1, <중약대사전>: "혈(血)을 잘 순환하게 하고 부종을 내리는 효능이 있다. 편두통, 요통, 유선염, 인두염, 후두염, 장풍(腸風) 하혈, 치루를 치료한다."

2, <분류초약성>: "축종증, 치질, 뱀에 물린 상처를 치료한다."

3, <중경초약성>: "경락을 통하게 하고 혈행을 좋게 하며 종기를 삭이고 모유를 잘 나오게 한다. 유선염, 허리와 등의 긴장감과 통증을 치료한다."

<잎>


1, <중약대사전>: "열을 내리고 해독하는 효능이 있다. 옹저(癰疽), 정종(
疔腫), 창선(瘡癬=백선:白癬), 뱀에 물린 상처, 화상을 치료한다."

2, <본초강목>: "선창(癬瘡)에는 잎을 비벼서 자주 붙인다. 옹저(癰疽), 정종(
疔腫), 란퇴(卵)를 치료한다."

3, <본초봉원>: "찧은 생즙을 마시면 뱀의 독을 제거한다."

4, <수식거음식보>: "서기(暑氣)를 해소하고 해독한다. 사예(
痧穢)로 인한 복통을 치료하기 위해서는 즙을 짜서 복용한다."

5, <영남채약록>: "물로 달여서 복용하면 아후(鵝喉)를 치료한다."

6, <광주식물지>: "짓짛어서 옹저와 어린 아이의 여름 피부병 치료에 쓴다. 부은 것을 내리게 하고 염증을 삭인다."

<줄기>


1, <중약대사전>: "근(筋)을 이완시키고 혈액 순환을 촉진하며 비(脾)를 튼튼하게 하고 살충하는 효능이 있다. 요슬(腰膝) 사지의 마비, 월경불순, 수종, 충치, 비연(鼻淵), 잇몸의 출혈을 치료한다."

2, <본초강목>: "줄기와 뿌리는 충치, 뇌루(腦漏)를 치료하고 살충하며 해독한다."

3, <본초구원>: "혈맥을 부드럽게 하고 근(筋)과 경락을 활성화시키며 수액을 자양하고 음통(陰痛)을 멎게 한다. 또 중초를 보하고 비(脾)를 튼튼히 하며 수종을 제거한다. 피가 마르면서 적어지는 증상, 요슬(腰膝) 사지의 마비 및 저린 증상, 산후 경풍을 치료하며 월경을 조절한다."

4, <영남채약록>: "서열(暑熱)을 제거한다."

<꽃>


1, <중약대사전>: "열을 내리고 해독하는 효능이 있다. 폐열 해수, 인후통, 비두염, 정창(
疔瘡), 치질을 치료한다."

2, <전남본초>: "폐열(肺熱)을 내리고 담을 제거하며 기(氣)를 내리고 해수를 멈추게 하며 인후통을 멈추게 하고 번갈을 없애며 상화(相火)를 내린다."

3, <분류초약성>: "정창(
疔瘡)에 바르면 화독을 없애고 부종을 내린다."

4, <육천본초>: "비두염(鼻
竇炎)을 치료한다."

5, <중경초약>: "열을 내리고 변(便)을 나오게 하며 창독(瘡毒), 치질을 치료한다."

<꼭지>


1, <학포잡소>: "소아의 두창을 치료한다."

2, <본초구원>: "사과체(絲瓜
)와 금침채(金針菜)는 모든 인후 부종 및 동통을 치료한다."

<열매껍질>


1, <중약대사전>: "금창(金瘡), 정창(
疔瘡), 좌판창(坐板瘡)을 치료한다."

2, <전남본초>: "햇볕에 말려 가루내어서 금창 동통을 치료한다."

3, <분류초약성>: "정창(
疔瘡)에 바르면 화독(火毒)을 물리치고 부은 것을 내린다."

[용법과 용량]

<열매>

<중약대사전>: "내복: 3~5돈(신선한 것은 2~4냥)을 물로 달여서 복용한다. 또는 태워서 재로 하여 가루낸다.

외용: 짓찧어 즙을 짜서 바르거나 가루내어 배합해서 바른다."

<종자>


<중약대사전>: "내복: 1~2돈을 물로 달이거나 눌을 정도 볶아서 가루내어 복용한다.

외용: 분말로 하여 개어서 바른다."

<뿌리>


<중약대사전>: "내복: 1~3돈(생것은 1~2냥)을 물로 달여서 복용하거나 약성이 남을 정도로 태워서 가루낸다.

외용: 달인 액으로 씻거나 즙을 내서 바른다."

<잎>


<중약대사전>: "내복: 1~3냥을 물로 달이거나 즙으 짜거나 가루내어 복용한다.

외용: 탕액으로 씻거나 찧어서 바르거나, 또는 가루내어 개어 바른다."

<줄기>


<중약대사전>: "내복: 1~2냥을 물로 달이거나 약성이 남을 정도로 강한 불로 태워서 가루내어 복용한다.

외용: 약성이 남을 정도로 강한 불로 태워서 가루낸 후 개어 바른다."

<꽃>


<중약대사전>: "내복: 2~3돈을 물로 달여서 복용한다.

외용: 짓짛어 붙인다."

[배합(配合)과 禁忌(금기:
주의사항)]

<열매>

1, <전남본초>: "많이 복용하면 명문(命門)과 상화(相火)를 손상하여 도양불거(倒陽不擧)가 되기 때문에 좋지 않다."

2, <본경봉원>: "사과(絲瓜)의 어린 것은 차고 매끌매끌하여 많이 복용하면 설사한다."

<종자>


1, <요가성(姚可成), 식물본초(食物本草)>: "각기, 허창(虛脹), 냉기 환자가 복용하면 병이 더 심해진다."

2, <득배본초>: "비허(脾虛)한 자는 사용을 금한다."

3, <남영시약물지>: "임신부는 복용을 해서는 안된다."

<열매껍질>


<중약대사전>: "외용: 배건(焙乾)하여 가루내서 개어 바른다."

수세미오이의 효능에 대해서
《CD-ROM 한국의 약초》363호에서는 이렇게 기록하고 있다.

[사과락(絲瓜絡)

[기원]
박과의 한해살이 덩굴성 초본식물인 수세미오이(Luffa cylindrica Roem)의 열매이다. 과실은 사과(絲瓜), 종자는 사과자(絲瓜子), 뿌리는 사과근(絲瓜根), 줄기는 사과등(絲瓜藤).이라 한다.

[성미]
사과락(絲瓜絡)의 맛은 달고, 약성은 서늘하다. 사과(絲瓜)의 맛은 달고, 약성은 서늘하다.

[효능주치]
사과락(絲瓜絡)은 해독화담(解毒化痰), 통락거풍(通絡祛風)한다. 사과(絲瓜)는 청열화담(淸熱化痰), 양혈해독(凉血解毒)한다. 사과자(絲瓜子)는 이수(利水), 제열(除熱)한다. 사과등(絲瓜藤)은 서근(舒筋), 활혈(活血), 건비(健脾), 살충(殺蟲)한다.

[임상응용]


1. 사과락(絲瓜絡)의 서늘한 약성은 해열, 소염, 해독작용을 일으켜 종기에 유효하며, 유방염 및 불이나 뜨거운 물에 데었을 때는 참기름에 개서 붙이고, 수세미열매의 성근조직은(유관속망)은 경락(經絡)을 잘 소통시키게 하여 풍습성(風濕性)사지마비동통에 유효하다, 화담(化痰)작용이 있어 흉협부의 동통을 제거시키고, 해소와 가래가 많은 증상에 쓰인다.

2. 사과(絲瓜)는 열병으로 신열(身熱)이 나고 번갈증을 일으키며, 해소, 천식을 치료하고, 치질과, 유즙분비가 잘 안될 때 쓰인다.

3. 사과자(絲瓜子)는 전신부종을 다스리고 열이 있으면서 소변이 잘 안나오는 증상에 소변의 배설량을 증가시키며, 치질에 효과가 있다.

4. 사과근(絲瓜根)은 편두통과, 유선염에 효력이 있다.

5 사과등(絲瓜藤)은 사지와 허리, 무릎의 통증을 완화시키고, 생리불순을 치료하며, 살충작용이 있다.

[임상연구]
만성기관지염, 위축성비염에 효력을 나타냈으며, 사지신경통, 허리와 무릎의 동통을 가라앉힌다.

[약리작용]


1. 사과락(絲瓜絡)은 풍습성관절염의 부종, 발적에 소염, 지통작용이 나타났고, 피부세균감염증을 억제시킨다.

2. 사과(絲瓜)는 살충작용이 있었다.

3. 사과자(絲瓜子)는 7∼10개를 복용하면 Elaterin에 의해 설사를 일으키며, 종자에 들어있는 Saponin화학성분은 물고기에 강한 독성을 나타낸다.

4. 사과등(絲瓜藤)은 진해, 거담작용이 나타났고, 폐렴구균을 억제시킨다.

[화학성분]
사과락(絲瓜絡)에서는 saponin, luffein, 다량의 점액과 citrulline, cucurbitacin, xylan 등이 확인되었다. 사과(絲瓜)에서는 Citrulline이 확인되었으며 사과자(絲瓜子)에는 지방유가 다량 함유되어 있고 사과등(絲瓜藤)에는 Saponin이 들어있다.]

수세미오이의 열매 및 수세미오이 열매 속에 스펀지 같은 망에 관해서 북한에서 펴낸
<동의학사전>에서는 이렇게 적고 있다.

[천라(天羅) //수세미오이, 천락사(天絡絲)// [본초]

박과에 속하는 일년생 풀인 수세미오이(Luffa cylindrica Roenner)의 열매를 말린 것이다. 각지에서 심는다. 가을에 따거나 서리를 맞은 다음 따서 말린다. 맛은 달고 성질은 서늘하다.  간경(肝經), 위경(胃經)에 작용한다. 열을 내리고 담을 삭이며 혈열(血熱)을 없애고 해독한다. 열병으로 열이 몹시 나면서 가슴이 답답하고 목이 마른 데, 해소천식, 치질, 출혈, 헌데, 젖이 나오지 않는 데 등에 쓴다. 하루 9~15그램을 탕약으로 먹거나 태워 가루내서 먹는다. 외용약으로 쓸 때는 생것을 짓찧어 즙을짜서 바르거나 가루내서 뿌린다.

민간에서는 수세미 오이씨(사과자)를 이뇨제, 해열제로 쓰고 수세미오이잎(사과엽)은 해열제, 해독약으로 쓴다. 수세미오이껍질(사과피)도 헌데에 짓찧어 붙이며 뿌리(사과근)는 진통약, 소염약으로, 줄기는 진경약으로 쓴다."

사과락(絲瓜絡) //수세미오이속// [본초]

박과에 속하는 수세미오이(Luffa cylindrica Roem.)의 익은 열매를 씨와 껍질을 버리고 말린 것이다. 수세미오이는 각지에서 심는다. 가을에 열매를 따서 껍질과 씨를 버리고 말린다. 맛은 달고 성질은 차다. 폐경(肺經), 위경(胃經), 간경(肝經)에 작용한다. 기혈을 잘 돌게 하고 풍사와 피의 열을 없애며 소변이 잘 나오게 한다. 협통, 사지통증, 유선염, 젖이 잘 나오지 않는 데, 장출혈, 무월경, 빈뇨, 부종, 장염, 옹종, 습진 등에 쓴다. 하루 5~10그램을 탕약으로 먹는다. 외용약으로 쓸 때는 거멓게 볶아 가루내서 기초제에 개어 바른다.
 


수세미오이로 질병을 치료하는 방법은 아래와 같다.

<열매>


1, 장풍(腸風)의 치료

수의량(隨意量)의 면과(綿瓜)를 약성이 남을 정도로 볶아 2돈을 술로 개어 빈속에 복용한다. [통본사방(統本事方)]

2, 치루와 탈항

사과(絲瓜)를 태워서 재로 만든 것을 5돈, 다년석회(多年石灰) 5돈, 웅황(雄黃) 5돈을 가루내어 저담(猪膽), 계란 흰자위, 참기름을 배합해서 환부가 아물 때까지 붙여 둔다. [손천인집효방(孫天仁集效方)]

3, 항문주치(肛門酒痔: 술을 마실 때마다 통증이 생기고 항문에서 피가 나는 치질)

사과(絲瓜)를 약성이 남을 정도로 볶아서 가루내서 술로 2돈을 복용한다. [본초강목(本草綱目)]

4, 백붕(白崩)의 치료

태워서 재로 한 종려(棕櫚)와 사과(絲瓜)를 등량으로 취하여, 미세한 분말로 가루내어 공복시 술로 복용한다. [기효양방(奇效良方)]

5, 풍열(風熱)로 인한 시종(
腫)
사과(絲瓜)를 약성이 남을 정도로 볶아서 가루내어 물로 반죽하여 문질러 바른다. [본초강목(本草綱目)] 

6, 상처가 아물지 않거나 심부(深部)까지 번진 옹(癰)과 저(疽)의 치료

사과(絲瓜)를 찧은 즙을 자주 바른다. [인재직지방(
仁齋直指方)]

7, 천포습창(天
濕瘡)
사과(絲瓜)의 즙을 진분(辰粉)으로 개어 문질러 바른다. [본초강목(本草綱目)] 

8, 음경창궤(陰莖瘡潰)

사과(絲瓜)를 씨와 함께 짓찧은 즙과 오배자(五倍子) 가루를 함께 자주 바른다. [주진형(
朱震亨)]

9, 건혈기통(乾血氣痛), 부인의 혈기불행(血氣不行), 기(氣)가 심장이나 횡경막에 차올라 건혈기(乾血氣)로 변한 증세의 치료

사과(絲瓜) 1개를 약성이 남을 정도로 볶아 공복에 더운 술로 복용한다. [수역신방(壽域神方)]

10, 경맥불통의 치료

건조한 사과(絲瓜) 1개를 가루내어 흰비둘기의 피로 반죽하여 떡을 빚어 햇볕에 말린 다음 갈아서 분말로 만든다. 먼저 사물탕(四物湯)을 3첩 복용하고 공복에 2돈식 술로 복용한다. [해상명방(海上名方)]

11, 음주로 인한 설사, 혈변, 복통, 혹은 어흉오색(魚胸五色)과 같은 증세의 치료

건조한 사과(絲瓜) 1개를 껍질과 함께 태워서 갈아 공복시 2돈을 술로 복용한다. 또는 약한 불에 구워서 복용한다. [경험양방(經驗良方)]

12, 유즙 불통

사과(絲瓜)를 씨채로 약성이 남을 정도로 볶아 갈아서 1~2돈을 술로 복용한 다음 몸을 덥혀 땀을 낸다. [간편단방(簡便單方)]

13, 풍(風)으로 인한 충치통

건조한 사과(絲瓜)를 서리를 맞혀서 약성이 남을 정도로 볶아 가루내어 문질러 바른다. [인재직지방(
仁齋直指方)]

<종자>


14, 요통이 멎지 않을 때

사과자인(絲瓜子仁)을 눌은 자국이 날 정도로 볶아서 갈아서 술로 복용하고 남은 찌꺼기를 바른다. [부인양방보유(婦人良方補遺)]

15, 회충구제(임상보고)
검은 사과자(絲瓜子: 흰 것은 효과가 없다)의 인(仁)을 공복에 씹어 먹거나 찧어 가루내어 캡슐에 넣어, 1일 1회 복용한다. 성인은 40~50알씩, 소아는 30알을 2일간 연속 복용한다. 857명을 치료한 결과 모두 회충이 나왔다. [중약대사전(
中藥大辭典)]

<뿌리>


16, 편두통

신선한 사과근(
絲瓜根) 3냥, 압단(
鴨蛋: 오리알) 2개를 물로 달여서 복용한다. [강서(江西), 초약수책(草藥手冊)]

17, 요통이 멈추지 않는 증상

사과근(
絲瓜根)을 약성이 남을 정도로 태워서 가루 낸다. 1회에 2돈씩 더운 술로 복용한다. [위생잡흥(衛生雜興)]

18, 후풍종통(喉風腫痛)

질그릇에 물을 넣고 사과근(
絲瓜根)을 담그어 마신다. [해상명방(海上名方)]

19, 유선염

사과근(
絲瓜根), 황화근(黃花根), 삼엽목통(三葉木通)의 뿌리를 달여서 술로 복용한다. [강서(江西), 초약수책(草藥手冊)]

20, 장풍(腸風) 하혈, 치루, 탈항

상강(
霜降: 10월 하순) 후의 사과근(絲瓜根)을 그늘에 말려 1회에 3돈을 복용하는데, 소량의 진채유(眞菜油) 즉 유채자유(油菜子油)를 가해서 원통형의 항아리에 넣어 달여서 복용한다. [전남본초(南本草)]

21, 장기간 짓무른 창(瘡)의 치료

오래된 사과근(
絲瓜根)을 약한 불로 장시간 삶은 액을 바른다. [포회응험방(包會應驗方)]

<잎>


22, 어제정창[
魚臍疔瘡: 목축업, 피혁업자에게 많은 탄저(炭疽)의 농양(膿瘍)]의 치료
사과엽(
絲瓜葉), 연수총(連鬚蔥), 구채(
韭菜)를 등량으로 혼합하여 돌절구에 넣고 진흙처럼 될 때까지 찧는다. 술에 타서 복용하는데 왼손의 병이면 왼쪽 겨드랑 밑, 오른손이면 오른쪽 겨드랑 밑, 왼쪽 발이면 왼쪽 허벅지에, 오른쪽 발이면 오른쪽 허벅지에, 중심이면 배꼽에 찌꺼기를 붙이며 피부 밑의 붉은 선이 모두 하얗게 될 때까지 명주로 싸매어 둔다. [세의득효방(世醫得效方)]

23, 충선(蟲癬)

이른 아침에 이슬이 묻어 있는 사과엽(
絲瓜葉)을 뜯어서 상처를 문지른다. [섭생중묘방(攝生中妙方)]

24, 화상

사과엽(
絲瓜葉)을 불에 구워서 가루내어 진분(辰粉) 즉 연분(
粉) 1돈을 넣고 꿀에 개어 문질러 바른다. 생 것인 경우에는 짓짛어 붙인다. [해상명방(海上名方)]

25, 음자편타(
陰子偏墮: 고환의 한쪽이 붓고 아픈 증세)의 치료
약성이 남을 정도로 태운 사과엽(
絲瓜葉) 3돈, 재가 될 때까지 태운 계란 껍질 2돈을 더운 술로 개어 복용한다. [여거사선기방(
余居士選奇方)]

26, 음낭 풍열소양(風熱瘙痒)의 치료

사과엽(
絲瓜葉) 4냥, 창이초(蒼耳草) 1냥, 들국화 2냥을 물로 달여서 복용하거나, 외용으로 탕액으로 씻는다. [중경초약(重慶草藥)]

27, 한반(汗斑: 자색이나 백색의 반점이 있는 전풍:
風)의 치료
사과엽(
絲瓜葉),
붕사(硼砂), 빙편(氷片)을 짓찧어서 바른다. [남영시약물지(南寧市藥物誌)]

28, 부인 혈붕(血崩)의 치료

사과엽(
絲瓜葉)을 검게 될 때까지 볶아서 가루내어 한 번에 2~5돈을 술에 타서 복용한다. [
민남민간초약(閩南民間草藥)]

29, 신경성 피부염
(임상보고)
신선한 사과엽(絲瓜葉)을 깨끗이 씻어서 세심하게 비벼 환부가 붉어지고 피하에 핏기가 보일 정도까지 문지른다. 7일에 1회, 2회를 1치료 단계로 하면 보통 1~2치료 단계에서 조기 치료 효과를 본다. [중약대사전(
中藥大辭典)]

<줄기>


30, 코에서 냄새가 나는 누런 물이 나오며 심한 경우 뇌까지 아픈 증상의 치료

사과등(絲瓜藤)의 뿌리로부터 10~15cm 되는 부분을 약성이 남을 정도로 태워서 미세한 분말로 하여 술에 타서 복용한다. [의학정전(醫學正傳)]

31, 아선노통(牙宣露痛)

사과등(絲瓜藤)을 그늘에 말려 두었다가 필요시에 약성이 남을 정도로 강한 불에 태워서 가루내어 문질러 바른다.
[해상묘방(海上妙方)]

32, 만성 기관지염(임상보고)
① 탕제: 건조한 사과등(絲瓜藤) 3~8냥을 잘 게 썰어 물에 담그었다가 1시간 이상 삶아서 여과한다. 찌꺼기에 물을 붓고 다시 달여서 2회 달인 액을 합하여 100~150ml로 농축한 후, 적당량의 설탕을 가한다. 1회 50~100ml를 1일 2~3회 복용하여 10일을 1치료 단계로 한다. 여러 계절에 반복적으로 검증된 1,000여 예를 통계적으로 본 결과 총유효율은 70% 정도이며 현효율은 30% 정도였다.

② 사과등(絲瓜藤) 추출물: L13을 1일 1,200mg, L14를 1일 400mg을 모두 2회에 나누어 복용하며 10일을 1치료 기간으로 한다. 93례를 4치료 기간까지 관찰한 결과 총유효율이 60~63%였으며 현저한 효율은 13~25%으로 탕제와 비교해도 특별한 차이는 없었다. 그 외에 사과락(絲瓜絡), 사과엽(絲瓜葉)의 신선한 즙액 및 천라수(天蘿水)에 대하여 350여 예를 검증한 결과, 총유효율은 모두 사과등보다 낮았다. 그러나 천라수(天蘿水)를 사용한 100례를 관찰한 결과 2치료 단계까지의 유효율이 90%였으며 현효가 50%라는 보고도 있다. 관찰 결과에 의하면 사과등과 그 추출물의 주된 작용은 해수 및 담을 제거하는 것이며 천식 제거 작용은 비교적 떨어지고 뚜렷한 세균 억제 작용과 소염 작용은 없다. 치료 효과와 사과등의 복용량 및 채집 시기(서리 내리기 전 또는 후)와는 명확한 관계가 없다. 단순형 기관염 쪽이 천식형보다 치료 효과가 높으며 폐기종이 없는 경우가 있는 경우보다 치료 효과가 좋았다. 4~7치료 단계까지의 효과가 비교적 높았으며 치료 기간을 연장하여도 효과가 특별히 높아지지는 않았다. 치료 효과와 병에 걸린 시간 사이에는 규칙성은 없었다. 계절에 따라서 치료 효과에 명확한 차이가 있으며 여름에 치료 효과가 가장 좋고 가을과 겨울에는 약간 저조했다. 약 20%의 병례에서 조심(
心), 구건(口乾) 등의 부작용이 있었지만 모두 정도가 가벼웠다. 추출물에는 거의 부작용이 없었다. 간장, 신장 기능에도 뚜렷한 영향은 없었다. [중약대사전(中藥大辭典)]

33, 위축성 비염, 만성 부비강염의 치료
(임상보고)
사과근(絲瓜根) 및 뿌리에 가까운 부분의 사과등(사과등) 1~1.5m를 달여서 1회 3돈을 1일 1회 복용하거나, 뿌리 약 1냥(신선한 것이 좋다)을 돼지의 살코기와 함께 달여서 복용한다. 5회를 1치료 단계로 한다. 관찰에 의하면 1~2회 복용으로 복용으로 비강의 분비물이 많아지고 약간의 현기증을 호소하기도 했으나 곧 소실되었으며 다른 좋지 않은 반응은 없었다. 위축성 비염 15례를 치료한 결과 이 약을 복용한 후 농가(膿痂), 코의 악취가 모두 사라졌으며 후각도 정도의 차이는 있지만 개선되었다. 그러나 비강점막의 위축 정도에는 명확한 변화가 없었다. 6례의 만성 상악동염 및 1례의 좌측 만성 부비강염은 치료 후 콧물이 현저하게 적어지고 두통도 소실 또는 경감되었다. 또 상악동을 찔러 본 결과, 농성(膿性) 및 점성 분비물도 없어졌다. 그 외 마른 덩굴을 잘 게 썰어서 절반쯤 타게 볶아서 분말고 간 것을 하루에 2~3회씩 3~4일을 1치료 단계로 하여 코에 불어 넣어도 만성 축농증에 대하여 상당한 효과를 얻을 수 있었다. [중약대사전(
中藥大辭典)]

<꽃>


34, 폐열 해수, 심한 천식과 호흡 곤란의 치료

사과화(絲瓜花)와 벌꿀을 함게 달여서 복용한다.
[전남본초(
南本草)]

35, 홍종열독창(紅腫熱毒瘡), 치질의 치료

사과화(絲瓜花) 5돈, 화두초(
頭草) 5돈을 생것 그대로 찧어서 붙인다. [중경초약(重慶草藥)]

36, 외상출혈

사과화(絲瓜花), 추규엽(秋葵葉)을 햇볕에 말려 가루내어서 소량의 빙편(氷片)을 넣고 더 갈아 외용한다. [단방험방조사자료선편(
單方驗方新醫療法選編)]

<꼭지>


37, 인후통

강한 불로 태워서 가루낸 사과체(
絲瓜蒂), 강한 불로 구운 거위똥과 빙편(氷片)을 갈아 섞어서 목안에 불어 넣는다. [남영시약물지(南寧市藥物誌)]

<열매껍질>


38, 좌판창(坐板瘡)

사과피(絲瓜皮)를 배건(焙乾)하여 가루내서 소주로 개어 문질러 바른다. [섭생중묘방(攝生衆妙方)]

<식품비방에 기록된 처방>


39, 요통
수세미 껍질 벗긴 것을 보드랍게 으깨어 따끈한 술이나 온수에 약간 술을 타서 8~12그램을 복용하면 된다. 또 수세미오이 뿌리를 태워 가지고 가루를 만들어 따끈한 술이나 온수에 술을 타서 8그램씩 복용해도 효력이 있다. 계속 복용해도 좋다. [식품비방]

40, 축농증
수세미오이 뿌리와 덩굴을 태워 재로 만들어 매일 3 차례 식후마다 따끈한 술 또는 온수로 4 그램씩 복용하면 된다. 오래 복용하면 매우 효력이 있다. [식품비방]

41, 장풍하혈(腸風下血), 주리하혈(酒痢下血)

수세미를 껍질째 태워 재로 만들어 매일 3회 식전마다 따끈한 술이나 술을 탄 온수로 2돈중(7.5g)씩 복용한다. [식품비방]

42, 모든 창독(瘡毒), 종통(腫痛)

수세미 전체 또는 덩굴과 뿌리를 태워 가루로 만들어 참기름으로 개어 바르면 된다. 고름이나 구멍이 났을 때에는 마른 가루로 바르거나 막으면 된다. [식품비방]

43, 소장산기통(小腸疝氣痛) 또는 난종편추(卵腫偏墜)

묵은 수세미를 태워 채로 만들어 따끈한 술이나 또는 술을 탄 온수로 2~3돈쭝(7.5~12g)씩 매일 3차례 식전 또는 식후마다 복용하면 된다. [식품비방]

44, 산부 유즙 불통(産婦乳汁不通)

수세미와 씨를 태워 가루를 만들고 이것을 2~3돈쭝(7.5~12g)씩 술로 복용하여 한 차례 땀을 내면 곧 통한다. 만약 듣지 않을 경우 계속 복용하면 된다. 그러나 땀은 다시 내지 않아도 좋다. [식품비방]

45, 월경이 안 멎거나 오랜 하혈

묵은 수세미와 종려(棕櫚) 껍질 전체를 태워 가루로 만들어 섞은 다음 약간의 소금을 탄 술에 온수를 섞어 2~3돈쭝(7.5~12g)씩 매일 3차례 식전마다 복용하면 된다. 술을 못 마시는 사람은 따뜻한 소금물만으로 복용해도 된다. [식품비방]

46, 치장 치루(痔瘡痔漏) 또는 항문 염증(肛門炎症)

수세미 뿌리 덩굴 또는 잎을 삶은 물로 외를 씻고 수세미를 태워 가루로 만들어 매일 3차례 식전마다 2돈쭝(7.5g)씩 술이나 온수로 내복하면 된다. [식품비방]

47, 폐경(閉經), 월경 불순, 월경 과소(月經過少)

마르고 묵은 수세미를 가루로 만들어 흰 비둘기 피로 개어 얇은 떡은 만들어 말려 가지고 가루로 만든 뒤 매일 3차례 식전마다 온수에 술을 타거나 따끈한 술로 2돈쭝(7.5g)씩 오래 복용하면 낫는다. [식품비방]

48, 충치통

수세미를 태워 재로 만들어 바르면 아주 효력이 있다. [식품비방]

49, 풍치통

날 수세미를 썰어 한 쪽에 소금을 바르고 불에 태워 가루를 만든 뒤 아픈 이빨에 자주 바르면 좋다. [식품비방]

50, 비위 적열(脾胃積熱), 교점농질(膠粘膿疾)

수세미를 썰어 각종 조미료를 넣고 국을 끓여 먹으면 열을 배설하고 제담(除痰)하는 효력이 있다. [식품비방]

51, 입이 마르고 코가 터지는 것, 치근 종통(齒根腫痛), 비출혈(鼻出血: 코피)

수세미 편(片) 1~2근(600~1200g)과 생강 2냥쭝(75g)에 물 5~6사발을 넣고 3시간 가량 졸여 수시로 차 마시듯 마시면 된다. [식품비방]

52, 생유탕(生乳湯)

수세미 큰 것 1개(작은 것이면 2개)를 씨까지 썰고 생강 1냥쭝(37.5g)을 썰어 백편두(白偏豆)를 큰 그릇으로 하나를 준비, 먼저 백편두는 뜨겁게 볶은 다음 수세미와 생강 썬 것을 함께 길므으로 볶는다. 그런 다음 소금, 파 따위로 조미를 하고 다 익은 후에 물 3~5 사발을 부어 국을 끓여 부식(副食)으로 먹는다. 이것이 1일 3회분이다. 이렇게 매일매일 만들어 먹는다. 만약 국에 도미나 생선 꼬리를 넣으면 더욱 좋다. [식품비방]

53, 과음 또는 육류 과식으로 입에서 냄새가 나는 것, 변비, 전신이 쑤시는 것, 더욱이 등의 살가죽이 당기고 아픈 것, 그리고 소변시 요도(尿道)가 뜨겁고 따끔따끔한 통증이 있는 것

마른 수세미 1~2개에 약간의 식염을 넣고 물 5~6사발을 끓여 반이 되면 이것을 수시로 차 마시듯 마신다. 1~2일이 지나면 이러한 중세는 곧 없어진다. [식품비방]

54, 수종(水腫), 부종(浮腫), 소변 불순

수세미 3돈쭝(약 12g), 판 흰 것 3돈쭝(약 12g)을 모두 삶아 한 번에 다 먹는다. 소아는 2~3회 나눠서 복용한다. 오래 복용하면 매우 효력이 있다. [식품비방]

55, 해수 치료(咳嗽治療)와 담습 제거(痰濕除去)

수세미를 태워 가루를 만들고 큰 대추를 삶아 껍질과 씨를 빼고 다시 끓여 걸쭉하게 되었을 때 수세미 가루를 넣어 개어 가지고 녹두알 만한 환약을 빚어 매일 3회 식후마다 온수로 50알씩 계속 복용하면 효력이 있다. [식품비방]

56, 수족 동상으로 생긴 창(瘡)

묵은 수세미를 태워 가루를 만들어 돼지 기름으로 개어 가지고 바르면 된다. [식품비방]

57, 음낭편추(陰囊偏墜)

수세미잎을 태워 만든 가루 3돈쭝(약 12g)과 계란 껍데기를 태워 만든 가루 2돈쭝(7.5g)을 섞어 따끈한 술을 타서 매일 3차례 식전마다 장기간 복용하면 된다. [식품비방]

58, 인후통, 종통 및 폐색(閉塞)

연한 수세미로 즙을 내어 이것을 삼키거나, 묵은 마른 수세미를 태워 만든 가루를 목구멍에 불어 넣고 천천히 삼킨다. 반복하면 매우 좋다. [식품비방]

59, 외상신선한(外傷神仙散)

이 산(散: 가루)은 지혈(止血), 소염(消炎), 진통(鎭痛) 또는 모든 외상에 신약(神藥)이 된다. 만드는 방법은 연한 수세미 잎과 뿌리를 8돈쭝(30g), 연한 부추 뿌리 8돈쭝(30g), 풍화석회(風化石灰) 8돈쭝(30g), 생석회(生石灰) 8돈쭝(30g)을 혼합하여 돌절구에 넣어 천 번 찧는다. 떡처럼 되면 그늘에 말려 보드라운 가루로 만든 뒤 상처에 바르면 그 효력이야말로 기가 막힐 정도이다. [식품비방]

60, 식체, 주체 및 황달병

묵은 수세미 전체(속과 씨 포함)를 10분의 7정도로 태워 가루로 만든 뒤 매일 3회 식후 1시간 뒤에 따끈한 술이나 밥물 또는 온수에 약간의 술을 타서 2돈쭝(7.5g)씩 장기 복용하면 낫는다. [식품비방]

61, 탈장(脫腸) 및 산기통(疝氣痛)

묵은 수세미를 기와에 놓고 태운 뒤 가루를 만들어 매일 식전에 3돈쭝(약 12g)씩 따끈한 청주로 복용하면 된다. 술을 못하는 사람은 술과 물을 반 반씩 섞은 것으로 복용해도 무방하다. [식품비방]

62, 치질(痔疾)

수세미 1개, 석회(石灰) 1돈쭝(3.75g), 유황(
琉黃) 1돈쭝을 가루로 만들어 돼지 쓸개 1개와 계란 1개의 흰자위를 참기름 1숟가락으로 개어서 바르면 된다. [식품비방]

63, 산기증(疝氣症)

수세미를 태워 가루를 만들어 따끈한 술에 3돈쭝(12g)을 풀어 마시면 된다. 2차례 복용하면 낫는다. [식품비방]

64, 폐위열(肺胃熱), 불시(不時)에 걸쭉한 농담(膿痰)을 토하는 사람, 그리고 복통이 없으면서도 설사하는 병세

수세미를 달인 물을 마시면 된다. 이것은 또한 이질과 가슴 쓰리는 데 효과가 있다. [식품비방]

65, 입이 마르고 콧물이 잦으며 심지어는 잇몸이 아프고 비출혈과 강한 일광에 쐬어 얼굴이 빨갛게 달아오르고 머리가 무거울 때, 그리고 소변의 양이 적을 뿐만 아니라 빛깔도 너무 노란 것

수세미 1~2근(600~1.200g)에 생강 묵은 것  1개를 넣고 2~3시간 삶은 물을 먹거나 또는 여기에 쇠고기를 삶아 함께 복용해도 된다. [식품비방]

66, 젖이 적은 데

수세미 2개(쪼갠 것), 생강 1냥(37.5g), 백편두(白偏豆) 3홉을 준비하고 백편두는 먼저 볶아서 둔다. 그런 다음 모두 함께 볶아 물을 넣고 달여 마시면 된다. 여기에 물고기 한 마리 또는 생선 꼬리를 첨가하면 아주 좋다. [식품비방]

67, 과음, 지방질 과식, 입안의 냄새, 변비, 전신 통증 등과 피부가 당기고 아픈 데, 그리고 요도(尿道)가 따갑고 아픈 데

묵은 수세미를 불에 약간 구워 이것을 달인 물을 수시로 마시면 된다. [식품비방]

68, 황달(黃疸)

수세미와 씨를 함께 태워 매일 3차례 식후마다 온수로 2돈쭝(7.5g)씩 자주 먹으면 효력이 있다. [식품비방]

임상보고:
임상 시험에서 얻은 경험에 따르면 수세미의 약용도(藥用度)는 매우 넓다. 그리고 채취하기 쉽고 값도 싸다. 위의 처방 가운데 ≪까맣게 태운다.≫, ≪잿 가루를 만든다.≫에서 태운다는 것은 7/10, 8/10. 정도 태우는 것을 말한다. 완전히 태우면 약효가 적어지므로 주의 해주기 바란다. [식품비방]

[각가(各家)의 논술(論述)]


1, <학포잡소(
學圃雜疏)>: "사과(絲瓜)는 북방에서 재배된 것이 좋으며 가늘고 길며 어린 것이 맛이 좋다. 성질은 차고 독이 없으며 이것을 많이 복용하면 양기가 쇠약해진다고 하는데 북방 사람들은 그것을 모르는 채 이것을 가끔 먹고 있다. 그 꼭지로 소아의 두(痘)를 치료할 수 있다. 즙을 병에 받아서 마시면 담화(痰火)를 다스리므로 사과(絲瓜)의 성질이 서늘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2, <본초구진(本草求眞)>:
"
사과(絲瓜)의 성질은 한물(寒物)에 속하며 맛은 달고 체(體)는 매끌매끌하다. 풍담(風痰) 습열과 충독혈적(蟲毒血積)이 경락에 유체(留滯)하여 옹저, 창종(瘡腫)이 알어났을 때나 붕루장풍(崩漏腸風), 수종 등의 병증에는 이것을 복용하면 통경달락(通經達絡)하여 이르지 않는 곳이 없어서 효과가 있다. 그러나 과식하면 장이 활(滑)해져 설사를 일으키므로 고서(古書)에서는 사과(絲瓜)를 식용할 때 이 점을 명심하라고 하였다. 이것을 먹을 때에는 장기(臟氣)를 보고 그 가부를 판단하여야 한다."

[비고(備考)]


<본초강목(本草綱目)>:
"
사과(絲瓜)는 당송(唐宋) 이전에는 소개된 적이 없었으나, 오늘날에는 남북 어디에나 있으며 상용하는 채소로 되어 있다. 2월에 파종하며 싹이 나면 수목이나 대나무에 덩굴을 뻗게 하거나 시렁을 만들어 덩굴이 뻗게 한다. 잎은 촉규(蜀葵) 정도이고 갈래가 많고 뾰족하며 가는 털 가시가 있다. 즙을 취하여 녹색으로 염색할 수 있다. 줄기에는 모서리가 있으며 6~7월에 다섯 잎의 노란 꽃이 피는데 오이꽃과 비슷하다. 예와 화판은 모두 황색이다. 크기는 1치 남짓되며 길이는 1~2자이고 긴 것은 3~4자가 된다. 짙은 녹색이며 점이 있고 사과(絲瓜)의 머리는 자라의 목과 비슷하다. 어릴 때에는 껍질을 벗기고 삶거나 햇볕에 말려 차에 곁들여 복용하면 좋다. 성숙된 것은 절구공이만큼 크며 줄기가 엮은 끈 모양으로 엉켜서 있다. 서리가 내려서 말라 죽으면 신발을 만들거나 솥을 씻는 데에 쓰기 때문에 시골 사람들은 세과라과(羅瓜)라고 부른다. 안에 격(隔)이 있으며 격(隔) 안에 종자가 있고 괄루자(栝蔞子)와 같은 형상으로 흑색이고 편평하다. 꽃받침과 어린 잎과 덩굴손도 모두 먹을 수 있다."

어린 수세미오이는 식용으로 이용하였으며, 수세미오이의 줄기에서 채취한 수액은 화장수로 이용하거나 갖가지 질병치료에 이용되어 왔다. 피부가 거칠거나 살갗이 튼데는  8~9월 경에 수세미오이줄기를 땅에서부터 약 50cm 높이에서 자르고 뿌리가 달린 쪽 줄기 끝을 병에 넣어 놓으면 며칠 사이에 물이 나와서 고이는데 500ml에 꿀 5~6 숟가락의 비로 섞어 서늘한 곳에 두고 겨울에 하루 3번씩 상처를 깨끗이 씻고 바른다. 피부가 터실터실 하고 거친 데 주로 바르는데 피부 밑의 혈액순환을 좋게 하고 염증을 없애는 작용을 하므로 피부가 튼 것을 낫게 한다. 배에 복수가 찬데는 수세미오이의 덩굴을 땅에서 30cm 정도 올라간 부위의 줄기를 칼로 자르고 그 끝을 병에 넣어 하룻밤 두면 500ml의 물이 나온다. 이 물을 여러 번에 나누어 마시면 오줌이 잘 나가면서 복수가 빠진다. 

수세미오이의 섬유는 그릇을 닦는 데 이용되었으며 슬리퍼, 바구니, 모자속 등의 재료로 이용되고 있다. 종자는 기름을 짜거나 약용으로 또는 사료용으로 이용되기도 한다. 헛배부른데는 수세미오이씨를 약한 불에 말린 다음 보드랍게 가루내어 한 번에 3-5그램씩 술 한잔에 타서 먹는다. 수세미오이씨는 뱃물도 잘 빠지게 할 뿐 아니라 헛배 부른 것도 잘 낫게 한다. 회충에는 수세미오이씨 40-50알을 하루 양으로 하여 씨를 까서 먹는다. 회충이 죽는다. 

만성 신장염에는 늦은 여름에 수세미오이 줄기를 땅에서부터 40-50cm정도 올라가 자르고 그 끝에 깨끗한 병 아가리에 연결시켜 즙액을 받아 한번에 30-50ml씩 하루 3-4번 끼니 사이에 먹는다. 또는 줄기 40-80그램을 물에 달여서 하루 2-3번에 나누어 1주일 정도 먹어도 좋다. 오줌을 잘 나가게 하므로 부은 것을 내린다.

비염에는 수세미오이 줄기를 적당한 크기로 썬 것 10-15그램을 물에 달여 한번에 먹거나 약한 불에 볶아서 보드랍게 가루내어 코 안에 불어 넣는다. 달여 먹는 것이 더 효과가 있다. 1~2번 먹으면 막혔던 코가 뚫리고, 5~6번 만 먹으면 만성 단순성 코염은 낫는다. 만성 위축성 코염 때에 고름 같은 콧물이 나고 냄새를 맡지 못하는 경우에도 효과가 있다.

축농증에는 수세미오이 줄기 10~15그램을 물에 달여 하루 한 번 자기 전에 먹는다. 5~6번 먹으면 상악동 안의 염증이 가라앉으면서 막혔던 코가 뚫리고 냄새를 제대로 맡는다.

유즙이 부족할 때는 수세미오이 덩굴을 태워서 가루내어 한번에 4그램씩 하루 한번 3일 동안 먹는다. 수세미오이는 젖이 잘 나오지 않을 때에도 효과가 있고 젖앓이 때도 쓴다.

수세미오이를 집안에 잘 가꾸면 여름철 그늘을 제공해주고 쉴 공간도 마련해 준다. 노란꽃과 길게 매달린 수세미 오이의 열매와 덩굴 그늘 아래에서 쉬고 있노라면 어느새 무더운 여름은 지나가고 성큼 가을문턱에 와 있는 계절의 변화무쌍함을 깨닫게 된다. 수세미오이를 집집마다 잘 가꾸어 가정 상비약으로 누구나 요긴하게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자료는 약초연구가로서 우리땅에 존재하는 천연물질의 우수성을 널리 알리고 질병으로 고통을 겪고 있는 환우들에게 희망을 주며 신약을 개발하는데 통찰력을 갖게하고 약초를 사랑하는 모든 사람에게 정보의 목적으로 공개하는 것임을 밝혀 둔다.

(글/ 초연구가 & 동아대 & 신라대 대체의학 외래교수 전동명)

참조: 아래에 누구나 프린터할 수 있는 아래한글 문서입니다. '주는 것이 받는 것 보다 더 행복하다'는 취지를 실천하기 위한 사랑과 자비의 서비스입니다. 경제적인 부담(종이값, 잉크, 토너 비용 등)이 되신다면 아래의 문서를 각자의 컴퓨터 및 기타 저장매체에 담아 놓고 볼 수 있습니다. 소중한 자원낭비가 되지 않기 위하여 프린터하기 전에 한번더 개인적으로 결정해 보시기 바랍니다. 여러분 모두도 다른 사람에게 더 많이 주어서 더 행복하시기 바랍니다.

아래한글문서 25쪽 분량을 프린터할 수 있는 사랑과 자비의 서비스: 1, 수세미오이 무엇인가?

수세미오이 사진 감상: 1, 네이버+구글+다음+일본구글+대만구글: 1, 2, 3, 4, 5,

문의 및 연락처: 010-2545-0777 ; 051-464-0307

홈주소: http://jdm0777.com ; http://www.eherb.kr

페이스북 주소: http://www.facebook.com/jdmsanyacho

이메일:
jdm0777@naver.com ; jdm0777@hanmail.net

박과에 속하는 다른 자료는 아래를 마우스로 클릭하여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1. 오이 무엇인가?
  2. 차요테(불수과, 하야토우리) 무엇인가?
  3. 하늘타리 무엇인가?
  4. 호박 무엇인가?

 

 

※ 아래에 jdm 필자가 찍은 수세미오이 사진도 감상해 보시고 행복하시기 바랍니다~~~^.^

 

 

홈페이지 주소 : http://jdm0777.com 클릭하시면 홈으로 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