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목련(신이) 무엇인가?

중국 원산의 전국에서 심는 자목련

 

 

 

 

 

 

 

 

   

 

 

   

 

 

   

img1.jpg

 

 

 

 

 

 

[자목련의 모습, 사진출처: 일본/대만/한국 구글 이미지 검색]

항균 작용, 혈압 강하 작용. 자궁 흥분 작용, 거풍, 통규, 두통[머리아픔], 축농증, 코막힘, 치통, 소염, 익폐화기, 가슴아픔, 창독, 콧병[축농증], 강장, 신경성 결장염, 만성 폐 카타르, 기침, 두통, 치통[이아픔, 이쑤심],[주류, 방향제], 복통, 불임을 다스리는 자목련 & 목련 & 백목련

자목련은 피자식물문 목련강 목련목 목련과 목련속의 낙엽교목이다.

자목련의 학명은 <Yulania liliiflora (Desr.) D. L. Fu>이다. 이명은 <Magnolia quinquepeta (Buc' hoz) Dandy>이다. 중국 원산이며 공원, 정원, 유원지 등에 관상용으로 식재하는 낙엽 활엽 큰키나무로 높이 15m에 달한다. 잎은 어긋나며, 도란형 또는 넓은 도란형으로 길이 8~18cm, 폭 4~10cm이고, 잎끝은 안쪽으로 굽으며 뾰족하고, 밑은 뾰족하다. 잎 뒷면은 연한 녹색이다. 잎자루는 길이 10~15cm이다. 턱잎은 가지를 한 바퀴 둘러싼다. 꽃은 양성화로 4~5월에 잎보다 먼저 또는 같은 시기에 피며 진한 자주색, 종 모양이다. 꽃받침잎은 3장, 피침형으로 길이 3cm, 폭 1cm쯤이며, 아래쪽으로 젖혀진다. 꽃잎은 6장, 위를 향해 똑바로 서며, 길이 10cm, 폭 3~4cm, 겉은 진한 자주색이고, 안쪽은 연한 자주색이다.

우리나라 중부 이남에서 식재하며, 일본, 중국 등에 분포한다. 우리나라에서 볼 수 있는 목련속 식물 가운데 자주색 꽃이 피므로 구분된다.

한편 자주목련[Magnolia denudata var. purpurascens (Maxim.) Rehder & E.H. Wilson]은 화피편 안쪽만 흰색이고 바깥쪽은 홍자색이므로 다르다. 관상용으로 식재하며, 꽃봉오리는 약용으로 이용한다. 까치꽃나무라고도 한다.

참조: 중국에서는 <신이(辛夷)>라는 약재료에 아래와 같은 종류를 약용으로 함께 사용하고 있다.

1, 자옥란[
紫玉蘭, 자목련:紫木蓮: Yulania liliiflora (Desr.) D. L. Fu]

2, 옥란[
: 백목련:白木蓮: Magnolia biloba (Rehd et Wils) Cheng.]

3,
망춘화[望春花: Magnolia fargesii Cheng]
중국의 하남(河南) 지방에서 꽃봉오리를 <신이(辛夷)>라고 한다.

4, 전장옥란[
滇藏玉蘭: Magnolia campbellii Hook. f. et Thoms]
중국의 서장(西藏) 지역에서는 의 꽃봉오리를 <신이(辛夷)>라고 한다.


참조: 우리나라, 북한, 일본에서는 <신이(辛夷)>라는 약재료에 아래와 같은 종류를 약용으로 함께 사용하고 있다.

1, 자옥란[
紫玉蘭, 자목련:紫木蓮: Yulania liliiflora (Desr.) D. L. Fu]

2, 옥란[
, 백목련:白木蓮: Magnolia biloba (Rehd et Wils) Cheng.]

3,
목련[木蓮: Magnolia kobus DC.]

※ 그 외에도 화피조각의 안쪽이 흰색이고 바깥쪽은 홍자색인 자주목련[
Magnolia denudata var. purpurascens (Maxim.) Rehder & E.H. Wilson], 화피조각이 12~18개로 많은 것을 별목련[Magnolia stellata], 연한 노란색 꽃이 피는 황목련[Magnolia acuminata], 돈나 품종[], 로얄스타 품종[], 버바니카 품종[], 벌칸 품종[] 등 원예종으로 계속 끝없이 개발되는 품종들이 해마다 늘어나고 있다. 수많은 목련 품종들이 새롭게 개발되고 있지만 위에서 말한 기본 품종들에다 다양한 방법을 이용하여 신품종을 만들어 내고 있기 때문에 효능 또한 기본종과 비슷함므로 <신이(辛夷)>라는 약재료에 모두 포함시켜 사용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자목련의 여러 가지 이름은
자옥란[紫玉蘭
=zǐ yù lán=V, 목란:木蘭, 신이:辛夷=강소(江蘇), 목필:木筆=화경(花镜), 망춘:望春, 여랑화:女郎花: 유기백과(维基百科), 백도백과(百度百科)], 신이[辛夷, 신신:辛矧, 후도:侯桃, 방목:房木, 임란:林蘭: 신농본초경(神農本草經)], 신치[新雉: 감천부(甘泉賦)], 영춘[迎春: 본초습유(本草拾遺)], 목필화[木筆花: 촉본초(蜀本草)], 모신이[毛辛夷, 신이도:辛夷桃: 산서중약지(山西中藥誌)], 강박화[薑朴花: 사천중약지(四川中藥誌)], 목란[木欄, 계란:桂欄: 광아(廣雅)], 두란[杜蘭: 명의별록(名醫別錄)], 목란[木蘭, 자옥란:紫玉蘭: 중약대사전(中藥大辭典)], Lily magnolia[영명(英名)], Magnolia con figura de hojas de lengua[스페인어], Magnolia d' pulmier[프랑스어], 모쿠렌[モクレン=木蓮=木蘭, 시모쿠렌:しもくれん, 코부시:コブシ=辛夷: 일문명(日文名)], 자목련[紫木蓮], 까치꽃나무 등으로 부른다.

자목련의 나무껍질의 여러 가지 이름은
목란피[木蘭皮: 명의별록(名醫別錄)], 강박[薑朴: 중약지(中藥誌)] 등으로 부른다.

자목련의 꽃의 다른 이름은
목란화[木蘭花: 본초강목(本草綱目)]라고 부른다.

[채취]


<꽃봉오리>


<중약대사전>: "일반적으로 봉오리가 아직 피지 않은 이른 봄에 채취한다. 따서 지병(枝柄)을 잘라 내고 말리면 된다."

[약재(藥材)]


<꽃봉오리>

<중약대사전>: "말린 꽃봉오리는 거꾸로 된 원뿔꼴로 붓끝 모양이며 기부에 목질의 짧은 가지가 있다. 봉오리는 길이가 1~4cm이고 중앙 지름이 0.7~2cm이다. 외측은 2개의 꽃떡잎에 싸여 있고 2층이며 2층 사이에 작은 아린(芽鱗)이 있다. 꽃떡잎은 표면에 황록색의 길고 부드러운 털이 밀집해 있는데 털의 길이는 약 5mm이다. 꽃떡잎의 내표면은 매끄럽고 자갈색이다. 꽃떡잎을 제거하면 3개의 꽃받침과 6~9~12개로 긴밀하게 싼 자갈색의 꽃잎이 보이고 그 속에 여러 개의 황갈색의 수술과 갈색의 암술이 한 개 있다. 질은 취약하여 끊어지기 쉽다. 독특한 향기가 있고 맛은 맵고 차며 약간 쓰다. 꽃봉오리가 피지 않고 건조하며 녹색을 띠고 지병(枝柄)이 없는 것이 양품이다.

중국의 대부분 지역에서 나는데 주로 하남(河南), 사천(四川), 안휘(安徽), 절강(浙江), 섬서(陝西), 하북(河北) 등지에서 난다.

그 외에 하남(河南)에서는 동속 식물인 망춘화[望春花: Magnolia fargesii Cheng]의 꽃봉오리를 <신이(辛夷)>라고 한다. 그리고 서장(西藏) 지역에서는 전장옥란[
滇藏玉蘭: Magnolia campbellii Hook. f. et Thoms]의 꽃봉오리를 <신이(辛夷)>라고 한다."

[성분]


<꽃봉오리>

<중약대사전>: "옥란(玉蘭)의 꽃봉오리는 정유를 함유하는데 그 중에는 citral, eugenol, 1, 8-cineole이 함유되어 있다.

뿌리는 magnoflorine을 함유한다.

잎과 열매는 peonidin 배당체를 함유한다.

<망춘화(望春花: Magnolia fargesii Cheng)>의 꽃봉오리에서는 한 가지 알칼로이드(alkaloid) 결정(C17 H19 O13 N, 융점 208℃)이 추출된다. 이외에 또 eudesmin, rnagnolin, fargeshin 등의 lignan 성분이 분리된다.

전장옥란[
滇藏玉蘭: Magnolia campbellii Hook. f. et Thoms]은 알칼로이드(alkaloid)인 lanuginosine과 oxoushinsunine을 함유하는 외에 sitosterol을 함유하고 있다."

<나무껍질>

<중약대사전>: "magnocurarine, salicifoline 등이 제4급 아모늄염 알칼로이드가 들어 있다."

<꽃>

<중약대사전>: "정유가 들어 있고 주로 citral, eugenol, 1, 8-cineole, chavicol, methylether, cyanidin 및 여러 가지의 배당체가 함유되어 있다."

[약리작용]


<꽃봉오리>

<중약대사전>: "
1, 혈압을 낮추는 작용:
신이(辛夷)의 포(苞)를 말린 가루로 물과 알코올 추출물을 만들어 마취딘 동물(개, 고양이, 토끼, rat 등)의 정맥, 복강, 근육에 주사하면 모두 혈압 강하 작용이 있다. 근육 주사는 마취하지 않은 개에 대해서도 혈압을 낮추는 작용을 나타내고 1g/kg(생약으로 계산)일 때에는 혈압을 40% 이상 낮추며 실험성 신장성 고혈압의 rat에 대해서도 혈압을 낮추는 작용을 하고 신장성 고혈압의 개에 대해서는 효과가 불명확하지만 노년성 원발성 고혈압 개에 대해서는 뚜렷하게 혈압을 낮추는 작용을 한다. 강압 성분은 지방유를 제거한 수용액 중에서 에테르에 용해되는 부분에 있다. 강압의 원리는 중추 신경계와는 별로 관계가 없고 직접심장을 억제하며 특히 혈관을 확장하고 신경절을 차단하여 나타나는 것이다. 경구 복용하면 혈압을 낮추는 작용이 명확하지 않은데 그것은 유효 성분이 흡수되기 어렵기 때문인 것 같다. 뿌리는 magnoflorine을 함유하고 있으므로 혈압을 낮추는 작용을 한다.

2, 횡문근에 대한 작용:
망춘화(望春花) 꽃봉오리 속의 알칼로이드(alkaloid) 결정(C17 H19 C3 N)은 개구리의 복직근 표본에서 curare와 같은 작용이 있다. 한편 탕제는 반대로 acetylcholine과 같은 작용이 있다. 다른 추출 방법으로 상술한 표본에 대하여 비교 실험하면 망춘화(望春花)의 꽃봉오리는 <Magnolia salicifolia Maxim.>의 꽃봉오리와 성질이 같으나 전자의 작용이 비교적 강하다.

3, 자궁에 대한 작용:
rat와 토끼의 적출 자궁, 개와 토끼의 in vivo 자궁 및 자궁 누관 실험에서 신이(辛夷)의 전제, 액체성 엑스(liquid extract)는 자궁에 대하여 흥분 작용을 한다는 것이 증명되었다. 이러한 혈압, 호흡에 대하여 영향이 명확하게 나타나지 않는 정도의 투여량으로도 바로 나타난다. 신이(辛夷)에 들어 있는 자궁 흥분 성분은 물 및 에탄올에 용해되는 비휘발성 물질이라고 한다.

4, 기타 작용:
15~30% 신이(辛夷) 전제는 여러 가지 병원성 진균에 대해 억제 작용이 있다. 침제 또는 전제는 동물에 대해 마취 작용을 한다(guinea pig에 대한 침윤 마취 및 개구리에 대한 차단 마취). 신이(辛夷) <Magnolia kobus DC.>는 핌프구성 맥락 수막염 바이러스에 대해 체외와 체내(전제를 mouse에게 피하 주사함)에서 뚜렷한 항 virus 작용이 있다.

5, 독성:
<신이(辛夷)>는 독성이 극히 적다. 임신하지 않은 개에게 1g/kg 전제와 임신하지 않은 토끼에게 4.75g/kg을 주사해도 모두 죽지 않았다. rat에게 복강 주사할 때의 LD50 측정치는 22.5±0.96g/kg, 마우스(mouse)에서는 19.9±0.25g/kg이다."

<나무껍질>

<중약대사전>: "magnocurarine, salicifoline은 menisperine, magnoflorine, laurifoline의 작용과 비슷하며 curare와 같은 작용과 신경절 차단 작용을 하는데 작용의 강도가 떨어지고 지속 시간도 짧다."

[포제(
炮製)]

<꽃봉오리>

1, <중약대사전>: "지병(枝柄)과 이물질을 제거하고 짓찧어서 쓴다."

2, <일화자제가본초>: "불에 약간 구워서 쓴다. 이미 개화된 것은 효과가 적고 시든 것은 좋지 않다."

[성미]


<꽃봉오리>

1, <중약대사전>: "맛은 맵고 성질은 따뜻하다."

2, <신농본초경>: "맛은 맵고 성질은 따뜻하다."

3, <명의별록>: "독이 없다."

4, <전남본초>: "맛은 맵고 약간 쓰며 성질은 따뜻하다."

<나무껍질>

1, <신농본초경>: "맛은 쓰고 성질은 차다."

2, <명의별록>: "독이 없다."

<백목련꽃>

<본초강목습유>: "성질은 따뜻하다."

[귀경(歸經)]


<꽃봉오리>

1, <중약대사전>: "폐(肺), 위경(胃經)에 들어간다."

2, <본초강목>: "수태음(手太陰), 족양명경(足陽明經)에 들어간다."

3, <본초신편>: "폐(肺), 담(膽)의 2경(經)에 들어간다."

4, <본초재신>: "비(脾), 폐(肺)의 2경(經)에 들어간다."

5, <본초촬요>: "족궐음경(足厥陰經)에 들어간다."

[약효와 주치]


<꽃봉오리>

1, <중약대사전>: "풍사(風邪)를 몰아내고 규(竅)를 통하게 하는 효능이 있다. 두통, 축농증, 코막힘, 치통을 치료한다."

2, <신농본초경>: "주로 오장의 한열풍사(寒熱風邪), 두통, 얼굴에 난 검은 기미를 치료한다."

3, <명의별록>: "중초를 따뜻하게 하고 근육을 풀어주며 구규(九竅)를 이롭게 하고 코가 막힌 것을 통하게 하며 콧물이 나오게 한다. 얼굴이 부으며 생긴 치통, 차나 배를 탄 것처럼 어지러워 지는 현기증을 치료한다. 수염과 머리도 나게 하며 백충[白蟲: 촌백충, 조충]을 제거한다."

4, <약성론>: "얼굴에 생긴 기미나 여드름을 치료한다. 크림으로 만들어 쓰는데 광택이 나게 한다."

5, <일화자제가본초>: "관맥(關脈)을 통하게 하고 눈을 밝게 한다. 두통, 오한, 체금[體
: 추위로 인한 신진(身震)], 종기의 가려움증을 치료한다."

6, <전남본초>: "축농증을 치료하고 풍을 제거하는데 새 기와 위에서 구워 가루내어 쓴다. 얼굴의 한통(寒通), 위기통(胃氣痛)을 치료할 때에는 더운 술로 복용한다."

7, <본초강목>: "축농증, 비구[풍(風)으로 인해 코가 막힌 것], 비질[鼻窒: 코막힘], 비창(鼻瘡), 천연두 후의 비창(鼻瘡)에는 모두 가루에 사향(麝香)을 조금 넣고 총백(蔥白)에 가루를 약간 묻혀 코에 어러 번 넣는다."

8, <옥추약해>: "폐의 열을 사(瀉)하고 역(逆)을 내리게 하며 기의 순환을 촉진시키고 파옹(破壅)한다."

9, <강서중약>: "외용하면 자궁 수축을 촉진시키며 분만을 촉진하는 작용을 한다."

<나무껍질>

1, <중약대사전>: "
주달(酒疸), 주사면포(酒皶面疱), 음부(陰部)의 습양(濕痒), 나병(癩病), 중설(重舌), 옹저, 수종을 치료한다."

2, <신농본초경>: "신체 피부 중의 고열을 다스리며 면열적포주사(面熱赤疱酒
), 악풍(惡風)에 의한 나질(癩疾), 음부의 양습(痒濕)을 치료한다. 청력과 시력을 좋게 한다."

3, <명의별록>: "중풍상한 및 옹저수종을 치료한다. 악취를 제거한다."

4, <본초강목>: "주달(酒疸)을 치료한다. 소변을 통하게 하며 중설(重舌)을 치료한다."

5, <야생약식도설>: "요통, 치통, 두통을 치료한다."

<꽃>

<본초강목>: "목에 생선가시나 뼈가 걸렸을 때 이것으로 치료한다."

<백목련꽃>

<본초강목습유>: "담(痰)을 소(消)하고 폐(肺)를 보익하며 기(氣)를 조화시킨다. 꿀에 담그었다가 쓰면 효과가 더 좋다."

[용법과 용량]


<꽃봉오리>

<중약대사전>: "내복: 1~3돈을 물로 달이거나 환제, 산제로 하여 복용한다.

외용: 가루내어 코에 넣거나 수침한 증류액을 코에 떨어뜨려 넣는다."

<나무껍질>

<중약대사전>: "내복: 가루내어 복용한다.

외용: 달인 물로 씻거나 또는 식초에 담그어 양치질한다."

[배합(配合)과 금기(禁忌:
주의사항)]

1, <중약대사전>: "음허(陰虛)로 화(火)가 왕성[기능 고진(高進)]한 환자는 복용을 금한다."

2, <신농본초경집주>: "궁궁(芎
)을 사(使)로 쓴다. 오석지(五石脂)는 맞지 않는다. 창포(菖蒲), 포황(蒲黃), 황련(黃連), 석고(石膏), 황환(黃環)을 꺼린다."

3, <신농본초경소>: "기(氣)가 허(虛)한 사람에게는 금기이고 혈허화치(血虛火熾)로 인해 두통이 오는 사람과 위화(胃火)로 인해 치통이 오는 사람은 복용을 금한다."

4, <본초휘언>: "기허(氣虛)한 사람이 우연히 풍한(風寒)으로 인해 제규(諸竅)가 통하지 않는 경우에는 복용을 금한다."

목련, 자목련, 백목련의 효능에 대해서 안덕균의
<원색한국본초도감> 제 29면 13호에서는 다음과 같이 기록하고 있다.

[신이(辛夷)

목련과의 갈잎큰키나무 목련(Magnolia kobus A. P. DC.), 자목련(Magnolia liliiflora Desr.), 백목련(Magnolia denudata Desr.)의 꽃봉오리이다.

성미: 맛은 맵고 성질은 따뜻하다.

효능: 산풍한(散風寒), 통비규(通鼻竅)

해설: ① 외감성으로 인한 코막힘을 다스린다. ② 축농증으로 코가 막히고 콧물이 흐르면서 냄새를 못 맡고 두통이 지속적으로 나타나며 집중력이 떨어지는 증상에 신속한 반응을 보인다. ③ 기후 변화에 따른 감기로 인하여 오한, 발열과 땀이 없고 전신통이 있는 것을 치료한다.

성분: 휘발성 정유, 플라보노이드(flavonoid), 알칼로이드(alkaloid) 등이 함유되어 있다.

약리 작용: ① 비염에 수렴 작용이 있어서 점막 표면을 보호하는 동시에 모세 혈관을 확장시키고, 국부의 혈액 순환을 개선시켜 분비물의 흡수를 촉진시키므로 염증을 가라앉히고 호흡을 원활하게 하고 증상을 완화시킨다. ② 약침 요법으로는 혈압 강하 작용을 보인다. ③ 정유 성분은 진통, 진정 작용이 있으며, ④ 약물 달인 물은 혈압 강하 작용을 보이고, ⑤ 피부 진균과 포도상구균의 억제 작용을 보인다.

임상 보고: ① 비염, 부비동염, 과민성비염에 달인 물로 치유율을 높였으며, ② 만성비염에 약침 제제로 유효율을 높였다.]

자목련, 목련, 백목련의 효능에 대해서 배기환의
<한국의 약용식물> 제 113면 119호에서는 다음과 같이 기록하고 있다.

[자목련

학명/ Magnolia liliflora Desr.

갈잎큰키나무. 높이 10~15m. 작은 가지는 회갈색이며, 동아(冬芽)에 털이 많다. 잎은 어긋나고 달걀 모양이며 끝이 갑자기 뾰족해지고, 길이 10~18cm, 너비 5~10cm로 가장자리는 밋밋하며, 양면에 털이 있으나 차츰 없어진다. 꽃은 지름 10cm 정도로 4~5월에 잎이 피기 전에 위를 향하여 핀다. 꽃잎은 6개로 암자색인데, 안쪽은 연한 자줏빛이다. 꽃받침 조각은 3개, 바늘 모양이다. 열매는 원통형으로 갈색이며, 익으면 흰 실같이 생긴 종자 자루에 붉은 종자가 달린다.

분포/ 중국 원산으로, 전국에서 심는다.

채취/ 꽃봉오리를 신이(辛夷)라고 하며, 거풍, 통규의 효능이 있고, 두통, 축농증, 코막힘, 치통을 치료한다. 꽃을 옥란화(玉蘭花)라고 하며, 소염, 익폐화기(益肺和氣)의 효능이 있고, 복통과 불임을 치료한다.

성분/ magnolol, honokiol이 함유되어 있다.

약리 작용/ 신이(辛夷)의 에탄올 엑스를 토끼에게 주사하면 혈압이 강하하고, 달인 액을 쥐나 토끼에게 투여하면 자궁 흥분 작용이 일어나며, 여러 병원균에 대한 항균 작용이 있다. 독성은 매우 적으며, 쥐에게 복강 주사를 할 때 LD50 값은 23g/kg이다.

사용법/ 꽃봉오리 10g에 물 700mL를 넣고 달인 액을 반으로 나누어 아침 저녁으로 복용하거나 환제나 산제로 하여 복용한다. 또 꽃은 20~25개에 물 900mL를 넣고 달여서 매일 아침 복용한다.

참고/ 목련에 비하여 꽃이 자줏빛이고 꽃잎은 곧추서서 반쯤 떨어진다. 꽃이 희고 꽃잎이 넓게 벌어지는 목련(Magnolia kobus DC.), 목련 보다 꽃잎이 큰 백목련(Magnolia denudata Desr.)도 약효가 같다.]

자목련의 효능에 대해서 한미허브연구소에서 펴낸
<원색세계약용식물도감> 제 106면 240호에서는 다음과 같이 기록하고 있다.

[자목련

학명: Magnolia liliflora Desrousseaux.
과명: 목련과

영어: Lily magnolia
스페인어: Magnolia con figura de hojas de lengua
프랑스어: Magnolia d' pulmier
일어: 시모쿠렌[しもくれん]
한자명: 자목련(紫木蓮), 자옥란(紫玉蘭)

낙엽 교목으로 높이 10~15m이다. 수피는 회갈색이다. 겨울눈에는 털이 많다. 잎은 타원상 도란형 길이 8~18cm, 폭 3~10cm 처음엔 양면에 털이 있으나 점차 없어지고 엽병길이 1~2cm이다. 꽃은 잎과 같이 핀다. 지름 10cm 정도이다. 꽃잎은 6매로 외면은 암자색, 내면은 연한 자줏빛이다. 과실은 골돌과로 원추형이며 길이 7~10cm이다.

분포: 우리나라 중부 이남에 재식하고 히말라야, 중국, 보르네오, 자바, 일본, 북미동북부, 베네수엘라, 남아메리카, 아르헨티나와 이웃나라들에 생육한다.

약효: 강장, 신경성 결장염, 만성 폐 카타르, 기침, 두통, 치통을 치료한다.

사용법: 잎, 수피, 꽃 1주먹을 물 1리터로 달여 약간의 포도주를 타서 하루 2~3잔 마신다. 치통에는 양치질한다. 꽃은 주류, 방향제로 사용한다.]

목련, 자목련, 백목련의 효능에 대해서 북한에서 펴낸 <약초의 성분과 이용> 제 245-246면에서는 다음과 같이 기록하고 있다.

[목련

학명: Magnolia kobushi Mayer

식물: 높이 10m에 이르는 잎지는 큰키나무이다. 길이 15cm 되는 달걀 모양의 잎이 어긋나게 붙는다.이른봄 흰 꽃이 피고 열매는 긴 타원형이다. 제주도에서 자라며 중부와 남부에서는 심는다.

꽃봉오리(신이): 꽃봉오리를 따서 말린다.목련과 비슷한데 꽃이 가지색인 자목련(재목련, Magnolia liliflora Desr.), 흰색인 백목련(Magnolia denudata Desr.)도 중부와 남부에서 심는데 꽃봉오리를 동약 <신이>라 하여 쓴다.

성분: 꽃봉오리에 정류가 있다. 주성분은 시트랄(약 7%), 오이게놀, 시네올, 카비콜과 그 밖에 메틸에테르, 피넨, 카프르산, 올레산 등이다. 나무껍질에도 0.5%의 정유가 있으며 정유의 조성은 꽃과 같다.나무껍질에는 또한 쿠라레 유사작용이 있는 독성분인 살리시폴린이 있다. 꽃에는 루틴이 있다(생꽃에 약 0.05%이다).자목련과 백목련에는 살리시폴린과 마그노쿠라린이 있다.

작용: 살리시폴린은 개구리의 가슴림프낭에 2~3g을 주사할 때 쿠라레와 비슷한 운동마비를 일으킨다. 집토끼에게 정맥주사해도 일시 혈압을 내리지만 곧 완전마비를 일으킨다. 개구리의 떼낸 심장에 대해서는 처음에 니코틴과 비슷한 미주신경 흥분 작용을 일으키고 다음 아트로핀과 비슷한 미주신경 억제 작용을 일으킨다. 물 추출액은 d-투보쿠라린에 길항하는 근육 수축작용이 있다. 추출액의 산성부와 중성부는 아세틸콜린의 근육 수축 작용을 비가역적으로 억제하며 에테르에 풀리는 염기성부는 가역적인 아세틸콜린 작용이 있다. 이 약물의 작용점은 신경근육 접합부이다.메탄올 추출액은 약한 항사세틸콜린 작용이 있으나 근육 수축 작용은 없다. 즉 약리작용은 꽃봉오리의 물 추출액과 메탄올 추출액이 서로 다르게 나타난다.

응용: 동의치료에서 머리아픔, 가슴아픔, 이아픔, 창독, 콧병(축농증)에 쓴다.

목련꽃봉오리 달임약(5~10g:200cc):
하루 3번 나누어 먹는다. 머리아픔, 가슴아픔, 이쑤심, 콧병에 쓴다.

신이탕: 목련꽃봉오리, 방풍뿌리, 족두리풀뿌리, 구리때뿌리 각각 3g으로 200ml 되게 달여 하루 3번 나누어 먹는다. 축농증에 쓴다.

신이청폐탕: 목련꽃봉오리, 비파나무잎 각각 4g, 지모뿌리줄기, 참나리비늘줄기, 속서근풀뿌리, 치자나무열매 각각 6g, 맥문동뿌리, 석곡 각각 10g, 승마뿌리줄기 2g.물에 달여서 하루 2번 나누어 먹는다.코의 살버짐, 비후성 비염, 상악동염에 쓴다.]

자목련의 효능에 대해서 중국에서 펴낸
<중국본초도록> 제 1권 49면 72호에서는 다음과 같이 기록하고 있다.

[신이(辛夷)

기원: 목란과(木蘭科=목련과: Magnoliaceae)식물인 신이(辛夷=자목련: Magnolia liliflora Desr.)의 화뢰(花蕾)이다.

형태: 낙엽성 관목으로 줄기는 직립하고 분지하며 피목은 회백색(灰白色)이고 엽흔(葉痕)은 삼각상(三角狀) 반월형(半月形)이며 눈에는 가는 털이 있다. 단엽(單葉)으로 어긋나며 짧은 잎자루가 있다. 잎은 타원상(橢圓狀) 난형(卵形)으로 잎끝은 뾰쪽하며 전연(全緣)으로 앞면은 유모(柔毛)가 밀생하고, 뒷면은 잎맥에 세모(細毛)가 있다. 꽃잎의 겉은 긴 황록색(黃綠色) 털이 덮여 있으며, 꽃은 잎보다 먼저 피거나 잎과 동시에 피며 가지끝에서 단생(單生)하며 꽃잎의 겉은 자색(紫色)이고 안은 백색(白色)이다. 열매는 취합과(聚合果)로 장원형(長圓形)이다.



분포: 중국의 남방 각지의 정원에서 재배하며 야생은 적다. 중국의 하남(河南), 섬서(陝西) 남부(南部), 산동(山東), 운남(雲南), 사천(四川) 등지에서 재배한다.

채취 및 제법: 봄철 꽃봉우리가 벌어지기 전에 따서 햇볕에 말린다.

성분: volitile oils-주성분은 citral, eugenol, cinnamic acid 등.

기미: 맛은 맵고 성질은 따뜻하다.

효능: 거풍산한(祛風散寒), 통폐규(通肺竅).

주치: 두통(頭痛), 비연(鼻淵), 비색불통(鼻塞不通), 과민성 비염(過敏性 鼻炎), 아통(芽痛).

용량: 3∼9g.

참고문헌: 회편(滙編), 상권, 393면.]

목련, 백목련, 자목련, 일본목련, 태산목, 함박꽃나무 등과 관련하여 최영전의 <한국민속식물> 제 126 ~ 127면에서는 다음과 같이 기록하고 있다.

[목련(木蓮)

목련이라 하면 일반적으로 중국이 원산지인 백목련[白木蓮: Magnolia denudata Desrouy]을 지칭하는 것으로 잘못 인식되어 있다. 그러나 목련류에는 백목련과 함께 중국이 원산지인 자주색꽃이 피는 자목련[紫木蓮]도 있고, 일본 원산의 흔히 <후박>이라 하는 일본목련[Magnolia obovata Thunb.]도 있으며 북미원산의 상록교목인 태산목[Magnolia grandiflora L]도 있어 모두 널리 알려진 목련류의 관상목들이다. 한국에도 이들 외국산 목련류에 못지 않게 꽃도 아름답고 수형도 수려하며 향기로운 목련[Magnolia kobus AP. Dc.]이 제주도 한라산 잡목림 속에 자생하고 있어 남부 지방에서 흔히 식재된 것을 볼 수 있다.

목련의 종(種)명을 <고부스(Kobus)>라 한 것은 일본에도 널리 분포하고 있어 꽃봉오리가 어린이의 주먹 같다 하여 <권(拳)>, 즉 <고부시>라 이름을 붙였다고 하고 혹은 열매가 흡사 주먹 같다 하여 <고부시>라고 이름붙였다고도 하는데 일본 이름이 학명의 종명(種名)으로 된 것은 그만큼 일본에 많다는 것을 말해준다.

우리는 목련이라 이름하여 <백목련>과 혼동되나 <백목련>은 꽃이 더 크고 향기도 더 짙다. 또 목련은 백목련보다 한걸음 앞서 핀다. 그런데 잎이 핀 다음에 크고 소담한 꽃이 피는 함박꽃나무[Magnolia sieboldii K. Koch]도 <목련>이라 부르는 지방이 많아서 목련류만큼 <목련>이라는 한 가지 이름을 여기 저기에 적용시킨 일도 흔치 않다. 그러나 중국에서는 꽃봉오리가 붓끝 갔다 하여서 <목필(木筆)>이라하며 어린 꽃봉오리를 따서 생약으로 두통에 쓰고 이때는 <신이(辛夷)>라 한다. 따라서 목련의 <신의>도 <고부시>도 다 맞는 이름인 것이다.

그러나 목련이란 이름에 관하여 설명이 긴 것은 우리나라 묘목 시장에서는 반드시 <고부시>로만 통용되기 때문에 차제에 이 나무에 주어진 우리의 바른 이름 <목련>을 일깨워주고 싶어서다. 이 습관은 자손만대에 물려주는 우리 얼의 일편(一片)도 되기 때문이다. 목련은 약재로서 집 주위에 흔히 심어졌으나 오랜 세월을 거치는 동안 언제 누구에 의해서인지는 밝혀지지 않았지만 목련이 꽃피는 것을 보고 농사의 지표(指標)로 삼는 지표목이 되었다. 목련꽃이 피면 못자리를 시작해야 한다든가 좀 북쪽에서는 목련꽃이 피면 파종기라든가, 모심는 시기가 되었다는 등 월력에 의하지 않고 자연계절로서 농사철을 알아내는 것이 하나의 상식처럼 생활화되어버린 뿌리깊은 민속이라 할 수 있다.

봄에 제일 먼저 지표가 되는 것이 목련이며 다음이 보리장나무다.

목련은 개화의 시기 뿐 아니라 꽃피는 상태로서도 여러 가지를 점치는데 꽃이 밑은 향하여 피면 비 즉 우(雨)가 오고 위를 향하면 맑는다던가 하여 일기예보의 기상목으로도 삼는다. 또 위를 보고 피어있는 기간이 길면 풍년이 든다고 믿고 있다. 단순하게 꽃피는 한 송이이의 꽃이 이토록 사람에게 희망과 절망을 줄 수 있다는 것은 조물주의 계시를 깨달은 슬기라고 봐야할 것 같다. 목련이 없는 지방에서는 대개 느티나무, 은행나무, 팽나무, 상수리나무 등의 싹트는 시기를 농사철의 지표로 삼는 경우가 허다하다. 이것들을 통털어 <농언목(農諺木)>이라고도 한다.

목련나무는 가지가 굵으나 부러지기 쉽다. 이 가지를 꺾어보면 향기가 나는데 묵은 가지를 태워봐도 역시 향기가 난다.

그래서 장마 때 목련나무 장작을 태우면 집안에 향기가 가득하여 습기를 몰아 내어주는데 옛날에는 목련불을 때면 병마가 그 향기 때문에 쫓겨간다고 믿어 장마 전에 목련나무가지를 땜감으로 준비했다고 한다.

이 민속은 아이누 족에게도 있었던 것 같으며 그들은 목련나무를 좋은 향기를 내는 나무(오마우구시니)라고 부르지만 좋은 향기에는 병마가 이끌려서 찾아온다고 믿고 있어서 일단 전염병이 유행할 때는 이 나무를 <방귀뀌는나무>라고 부른다니 이 해학은 단순하게 웃어 넘길 수만은 없는 병마를 두려워하며 물리치려 애쓴 벽사의 뜻을 엿볼 수 있는 것이다. 아이누 족들은 그렇게 말하면서도 이 나무의 껍질을 다려서 차(茶) 대용으로 줄겨 마셨다는데 목련나무에는 꽃봉우리뿐 아니라 수피나 잎에도 다같이 정유(精油)가 함유되어 있어서 두통이나 창독에 쓰는 약초인 만큼 벽사로 이용한 것은 오히려 그들이 더 슬기롭다고 할 수 있다. 꽃은 향기로와서 향수의 원료로도 쓰이지만 오늘날에는 농사의 지표목의 구실은 차차 사라지고 백목련이나 태산목 같은 관상수의 접붙일 대목(台木)용으로 많이 쓰임을 볼 때 시대가 변천하면 인간의 생각도 이만큼 달라지는 것인가 하고 일찍 꽃피여서 농사철을 알려주던 목련꽃이 애처롭기만하다.
]

자목련, 목련, 백목련으로 질병을 치료하는 방법은 아래와 같다.


1,
비연(鼻淵)
신이(辛夷) 0.5냥, 창이자(蒼耳子) 2.5돈, 향백지(香白芷) 1냥, 박하엽(薄荷葉) 0.5돈을 혼합하여 햇볕에 말린다. 가루내어 1회 2돈을 총(葱), 차(茶)로 식후에 복용한다. [제생방(濟生方), 창이산(蒼耳散)]


2, 비염, 부비강염

① 신이(辛夷) 3돈, 계란(鷄卵) 3개를 함께 끓여 란(卵)을 먹고 탕(湯)을 마신다. [단방험방조사자료선편(單方驗方調査資料選編)]

② 신이(辛夷)와 아불식초(鵝不食草)를 4:1의 비율로 해서 물에 4~8시간 담갔다가 증류시켜 방향수(芳香水)를 코에 떨어 뜨려 넣는다. [광동, 중초약처방선편(廣東, 中草藥處方選編)]


3,
비루(鼻漏), 기공에서 덩어리가 계속 나오는 경우
털을 제거한 신이(辛夷), 꿀로 구운 상백피(桑白皮) 각 4냥, 치자(梔子) 1냥, 지실(枳實), 길경(桔梗), 백지(白芷) 각 2냥을 함께 가루내어 1회에 2돈씩 묽은 나복탕(蘿蔔湯)에 개어서 복용한다. [양의대전(瘍醫大全)]


4,
코가 막혀서 호흡이 불가능한 경우
신이(辛夷), 궁궁(芎藭) 각 1냥, 싹을 제거한 세신(細辛) 7.5돈, 목통(木通) 0.5냥을 함께 가루내어 한 번에 소량씩 솜에 싸서 콧구멍에 넣는다. 축축해지면 바꾸어 주며 5~7일간 실시하면 낫는다. [증치준승(證治准繩), 궁궁산(芎藭散)]


5,
코가 막혀서 냄새를 맡지 못하는 경우
조각(皂角), 신이(辛夷), 석창포(石菖蒲) 각 같은 양을 가루내어 솜에 싸서 비공(鼻孔)에 넣는다. [매씨험방신편(梅氏驗方新編), 궁궁산(芎藭散)]


6,
코 안이 붓거나 창(瘡)이 생긴 경우[이 증상은 주독(酒毒)에 걸린 사람에게 많음]
신이(辛夷) 1냥, 천황련(川黃連) 5돈, 연교(連翹) 2냥을 섞어서 초(炒)하고 가루내어 1회에 2돈씩 식후에 더운 물로 복용한다, [목씨방선(繆氏方編)]

7,
치통, 치종, 치경이 들뜨거나 헐어 있는 경우
신이(辛夷) 1냥, 사상자(蛇床子) 2냥, 청염(靑鹽) 5돈을 함께 가루내어 환부에 문질러 넣는다, [목씨방선(繆氏方編)]

8,
치통, 치종, 치경이 들뜨거나 헐어 있는 경우
신이(辛夷) 1냥, 사상자(蛇床子) 2냥, 청염(靑鹽) 5돈을 함께 가루내어 환부에 문질러 넣는다, [본초휘언(本草彙言)]


9,
머리 혹은 안면이 붓고 가려울 때[이것은 풍담(風痰)에 속한다]
신이(辛夷) 1냥, 백부자(白附子), 반하(半夏), 천화분(天花粉), 백지(白芷), 강잠(강蠶), 현삼(玄蔘), 적작(赤芍) 각 5돈, 박하(薄荷) 8돈을 10제(劑)로 나누어 복용한다, [고금의준(古今醫准)]


10, 비염
[임상보고]
신이(辛夷) 50g을 갈아서 알코올에 3일간 담근 후 여과하여 여액을 가열 증발시켜 점조(粘稠)한 엑스로 농축하고 무수 라놀린 20g을 고루 섞은 다음 다시 바셀린(vaselin) 100g을 첨가하여 연고로 한다. 사용할 때에는 12x3cm의 기름 gauze를 만들어 비강에 넣는다. 하비갑개(下鼻甲介)가 비후하여 gauze를 넣기 어려우면 먼저 1% ephedrine을 떨군 다음 넣는다. gauze의 끝을 비공(鼻孔) 밖으로 나오게 하고 다시 점고(粘膏)로 고정하여 인후 속으로 미끄러져 들어가지 않도록 해야 한다. 2~3시간 후에 꺼낸다. 매일 또는 격일에 한 번씩 넣고 10회를 1치료 기간으로 한다.

보통 4~5회로 비강의 통기(通氣)가 호전되기 시작하지만 10회만에 효과를 보는 경우도 있다. 비강이 통기(通氣)된 후에도 다시 5~10회 계속 넣어서 완전히 치료해야 한다.

비후성 비염 100례를 치료하며 2년간 관찰한 결과 완전 치유[비강 통기(通氣)가 호전되고 두통이 없어졌으며 분비물이 감소되고 비갑개(鼻甲介)가 비후하지 않는 상태] 44%, 호전[비강 통기(通氣) 및 비갑개(鼻甲介) 비후 상태가 전보다 매우 개선되었으나 아직 완전히 정상은 아닌 상태] 44%, 무효[1치료 기간 이상 거쳐도 자각 또는 타각 증상이 개선되지 않은 것] 12%였다.

이외에 신이(辛夷) 전제, 유제(油劑), 마유(麻油) 합제 등을 제조하여 솜에 묻혀 코에 넣어도 좋다. 228례를 관찰한 결과 비후성 비염과 급성 비염에; 대한 수렴 작용은 매우 뚜렷했다.

일반적으로 유제와 진한 유제(油劑)이 효과가 가장 좋았으나 그 다음으로 유제(油劑), 탕제의 순이고 마유(麻油) 합제의 효과는 상당히 적었다. [중약대사전]

<나무껍질>

11,
주달(酒疸), 흉민통(胸悶痛), 족경통(足脛痛), 소변황(小便黃), 음주에 의해 적반(赤斑)이 생겨 검게 된 증세
황기(黃芪) 2냥, 목란(木蘭) 1냥을 가루내어 1일 3회 술로 1방촌비(方寸匕)를 복용한다. [보결주후방(補缺肘後方)]


12,
면상사포간회(面上皻疱img1.jpgimg1.jpg)
목란피(木蘭皮) 1근을 잘게 썰어 3년 묵은 초장(酢漿)에 100일 동안 담그었다가 햇볕에 말린 다음 짓찧어서 가루낸다. 1일 3회 매회 장수(漿水)로 1방촌피(方寸匕)를 복용한다. [고금록험방(古今錄驗方)]

13,
소아 중설(重舌)
길이 1자, 너비 4치 되는 목란피(木蘭皮)의 거친 껍질을 벗기고 식초 1되에 담근다. 그 즙을 중설(重舌)에 바른다. [자모비록(子母秘錄)]

<백목련꽃>

14, 월경전 복통, 불임증

피려고 할 때 옥란화(玉蘭花)를 나이 한 살당 한 개씩 매일 아침 공복에 달여 복용한다. [양방집요(良方集要)]

[각가(各家)의 논술(論述)]


<꽃봉오리>

1, <본초강목(本草綱目)>:
"
폐(肺)는 비(鼻)에 개규(開竅)하고 양명위맥(陽明胃脈)은 비(鼻)를 돌아 상행한다. 뇌(惱)는 원해 신(神)의 부(府)이며 비(鼻)는 명문의 규(竅)이다. 사람의 중기(中氣)가 부족하여 청양(淸陽)이 상승하지 않으면 머리가 기울게 되며 구규(九竅)는 제 기능를 하지 못한다. 신이(辛夷)의 매운 맛과 따뜻한 성질은 기(氣)를 운행시키며 폐에 들어가고 위중(胃中)의 청양(淸陽)이 상행하여 천(天)에 통하는 것을 돕기 때문에 중초를 따뜻하게 하고 두부안면(頭部顔面)과 목비(目鼻)의 병을 치료할 수 있다."

2, <신농본초경소(神農本草經疏)>:
"
신이(辛夷)는 오장이나 신체의 한열, 풍두뇌통(風頭腦痛), 안색이 검게 되는 증상을 다스리고 근육을 풀어주며 비폐비류(鼻閉鼻流)를 통하게 한다. 안면이 부어서 치통을 일으키는 것은 족양명(足陽明)과 수태음(手太陰)의 양경(兩經)이 풍사(風邪)를 맞았기 때문이다. 족양명(足陽明)은 기육(肌肉)을 다스리고 수태음(手太陰)은 피모(皮毛)를 다스린다. 풍사(風邪)가 사람에게 들면 반드시 피모기육(皮毛肌肉)으로부터 오장에 달하여 한열(寒熱)로 변한다. 또 비(鼻)는 폐의 규(竅)이고 두(頭)는 제양(諸陽)의 수(首)이며 삼양맥(三陽脈)은 두면(頭面)에서 만난다. 풍이 양분(陽分)에 오면 두통, 얼굴의 흑상(黑狀), 비폐(鼻閉), 비류(鼻流)와 안면이 부어서 치통을 일으키지만 신온(辛搵)은 근육을 풀어주고 표사(表邪)를 흩어지게 할 수 있으며 방향(芳香)은 위로 올라가서 두목(頭目)에 깊이 들어가 양분(陽分)의 풍사(風邪)를 몰아내므로 이러한 여러 가지 증상은 자연히 치유된다. 현기증이나 몸이 배 즉 선(船) 위에 있는 것처럼 느껴지는 증상은 풍(風)이 이리저리 움직이게 하는 성질이 있기 때문이다. 풍사(風邪)가 흩어지고 중기(中氣)가 덥혀지면 규(竅)는 통하게 된다. 대풍(大風)이 인체에 들어오면 모발이 빠지고 풍습이 침음하면 장위(腸胃)에 충(蟲) 생기는데 풍(風)이 흩어지고 습이 통하면 모발이 나고 충(蟲)은 저절로 없어진다."

3, <본초신편(本草新編)>:
"
신이(辛夷)는 규(竅)를 통하여 뇌사(腦舍)에 이른다. 비색과 비연(鼻淵) 등을 치료한다. 그 외에는 쓰지 못한다. 이것을 저장하여 두는 것은 바람직한 일이다. 신온(辛溫)한 것을 다용하면 진기(眞氣)가 손상되므로 잠시 쓸 수는 있으나 장기간 사용하지는 못한다."

4, <본경속소(
本經續疏)>: "오장과 신체에 한열이 없으면서 풍두뇌통(風頭腦痛)을 일으키는 경우는 양(陽)의 음기(淫氣)가 극히 상승하여 음(陰)과 접하지 못하고 풍으로 화(化)하였기 때문인데 이런 경우에는 신이(辛夷)로 치료할 수 없다. 오장과 신체에 한열이 있고 풍두뇌통(風頭腦痛)이 없는 경우는 사(邪)가 안팎으로 이어지며 양기(陽氣)를 따라 침투하여 도달하지 않기 때문인데 이런 경우에도 신이(辛夷)로 치료할 수 없다. 다만 풍두뇌통(風頭腦痛)이 오장과 신체의 한열(寒熱)에 속해 있는 경우에만 신이(辛夷)로 치료할 수 있다."

[비고(備考)]


<꽃봉오리>

1, <당본초(唐本草)>:
"신이(辛夷)는 수화(樹花)인데 꽃이 피기 전에 수확하기 때문에 1~2월에 채취하는 것이 좋다. 그 나무는 둘레가 한 아름 되고 높이는 몇 길이나 되며 잎은 감나무 잎보다 크고 여기저기에 나 있다. 과실은 악취가 나며 약용으로 쓰지 못한다."

2, <본초연의(本草衍義)>:
"신이(辛夷)에는 홍색과 자색 종류가 있다. 한 종류는 복숭아꽃과 비슷한 색이고 다른 한 종류는 자색인데 오늘날 약용으로는 자색의 신이(辛夷)를 쓰고 있다."

3, <본초강목(本草綱目)>:
"신이(辛夷)의 꽃은 가지 끝에 막 나오기 시작할 때에는 포(苞)의 길이가 반 치 정도로 예리한 붓끝처럼 생겼다. 청황색의 털이 겹쳐지듯이 순서대로 퍼져 있고 길이는 1.5cm 정도이다. 꽃이 피면 연꽃과 비슷하지만 옥배(玉杯)만큼 작고 포는 자색이며 꽃은 불꽃처럼 붉다. 연꽃, 난초꽃의 향기가 난다. 또 흰색인 것도 있는데 이를 옥란(玉蘭)이라 부르고 천엽(千葉)인 것도 있다."

<백목련꽃>

<본초강목습유(本草綱目拾遺)>:
"빈호(瀕湖)는 <본초강목(本草綱目)>의 신이(辛夷)의 집해(集解)의 후반부에서 꽃이 흰 것을 사람들은 옥란(玉蘭)이라고 부른다고만 하였을 뿐이고 주치(主治)에 대하여서는 언급하지 않았다. <신이(辛夷)>는 결국 꽃망울을 쓴 것이며 꽃을 쓸 펼요가 없
."

[<<자목련, 목련, 백목련 재배 방법>>]


1, <중약대사전>:
<<1, 기후와 토양: 따뜻하고 건조한 남향 산비탈이 좋다. 배수가 잘되고 비옥하며 부식질이 많이 들어 있는 검은 사질 양통가 좋다.

2, 번식:
① 종자 번식: 봄(춘분), 가을(추분)에 종자를 뿌린다. 먼저 땅을 갈아 내고 거름(구비 또는 퇴비)를 준 후 두둑을 짓고 모판을 짠다. 종자를 초목회에 섞고 따뜻한 물에 3~5일간 담가서 유피(유피)를 제거한 다음 다시 온수에 담근다. 하루 반이 지나면 건져내어 거적을 덮어 놓고 수시로 물을 뿌려 주면서 일정한 습도와 온도를 유지하여 준다. 이렇게 하여 싹이 트면 모판에 심고 흙을 3cm 정도의 두께로 덮어서 살짝 다져 놓는다. 보통 2년 후에 이식한다. 이식할 때는 포기 사이 거리와 이랑 사이 거리를 각각 2~3m로 하여 구멍을 파고 밑거름을 준 후 모에 흙이 붙은 채로 심는다.

② 삽조법(揷條法):
2년 이상 자란 튼튼한 가지를 골라 60~70cm로 잘라서 여름과 가을에 비가 내린 후 또는 흐린 날에 삽목을 하여(땅 속에 약 30cm 깊이로 심는다) 재배한다. 기타는 ①의 방법과 같다.

③ 접목법:
백옥란(白玉蘭)을 도마 모양으로 하고 신이(辛夷)를 싹붙이기하거나 잘라 붙인다. 이 방법은 그다지 많이 쓰이지는 않는다.

3, 경작 관리:
싹이 땅에서 나오기 시작하여 1개월 내에 삽지하여 그늘을 만들어 자주 물을 뿌려주고 제때에 김매기하며 비료를 준다. 이식 후 묵은 가지를 잘라 내는 데 신경을 써서 생장을 촉진시킨다.
>>

상기 자료는 약초연구가로서 지구상에 존재하는 천연물질의 우수성을 널리 알리고 질병으로 고통을 겪고 있는 환우들에게 희망을 주며 기능성 식품과 신약을 개발하는데 통찰력을 갖게하고 약초를 사랑하는 모든 사람에게 정보의 목적으로 공개하는 것임을 밝혀 둔다.  
 

(글/ 초연구가 & 동아대 & 신라대 대체의학 외래교수 전동명)

자목련 사진 감상: 1, 2, 3, 4, 5, 6, 7, 네이버+구글+일본구글+대만구글: 1, 2, 34,

자목련 상세 사진 웹사이트: 1, 2, 3,

문의 및 연락처: 010-2545-0777 ; 051-464-0307

주소: http://jdm0777.com

페이스북 주소: http://www.facebook.com/jdmsanyacho

메일: jdm0777@naver.com

아래의 비슷한 식물들도 참조하여 도움되시기 바랍니다.

 

 

  1. 남오미자 무엇인가?
  2. 목련(신이) 무엇인가?
  3. 백목련(신이) 무엇인가?
  4. 붓순나무 무엇인가?
  5. 오미자 무엇인가?
  6. 일본목련(화후박) 무엇인가?
  7. 자목련(신이) 무엇인가?
  8. 태산목(대화목란) 무엇인가?
  9. 함박꽃나무(천녀목란) 무엇인가?
  10. 후박(厚朴) 무엇인가?
  11. 후박나무(홍남) 무엇인가?

 

 

※ 아래에 jdm 필자가 찍은 자목련의 사진도 감상해 보시고 행복하시기 바랍니다~~~^^

 















 

 

홈페이지 주소 : http://jdm0777.com 클릭하시면 홈으로 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