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태산목의
잎앞면, 잎뒷면, 꽃봉오리, 꽃, 덜익은 열매, 익은 열매, 겨울눈, 나무껍질의
모습, 사진출처: 일본/대만/한국 구글 이미지 검색]
▶ 거풍,
통규, 비연, 비색불통, 아통, 혈압강하,
두통, 코막힘, 치통을 다스리는 태산목
태산목(泰山木)은 쌍떡잎식물 미나리아재비목 목련과의 상록교목이다.
태산목의 학명은 <Magnolia grandiflora
L.>이다. 양옥란(洋玉蘭)이라고도 한다. 높이 약 20~30m이다. 가지와 겨울눈에 털이 난다. 잎은 어긋나고 긴 타원형이거나 긴 달걀을 거꾸로 세워놓은 모양이고 길이 10∼20cm, 나비 5∼10cm이다. 끝이 둔하고 혁질(革質:가죽 같은 질감)이다. 겉면은 짙은 녹색으로서 윤기가 있고 뒷면에는 갈색 털이 빽빽이 나며 가장자리가 밋밋하다. 잎자루는 길이 2∼3cm이다.
꽃은 5∼6월에 흰색으로 피는데, 지름 15∼20cm이고 가지 끝에 위를 향하여 1개씩 달린다. 향기가 강하고 꽃받침은 3개, 꽃잎은 9∼12개이다. 암술과 수술은 많으며 수술대는 자주색이다. 열매는 골돌과로서 9월에 익는데, 타원형이고 짧은 털이 나며 붉은 종자가 2개씩 나와서 붉은 실로 매달린다.
북아메리카 원산이며 관상용으로 심는다. 미국에서는 잎을 크리스마스 장식용으로 쓴다.
<태산목(泰山木)> 이라는
이름의 유래는 잎과 꽃이 전체적으로 목련에 비해서 크다는 뜻에서 유래하였다.
태산목의
여러 가지 이름은 하화옥란[荷花玉蘭=hé huā yù lán=허↗후아 ̄위↘란↗:
광주식물지(廣州植物志)], 양옥란[洋玉蘭:
중국수목분류학(中國樹木分類學)], 광옥란[廣玉蘭:
상해(上海)], 태산목:泰山木, 목련:木蓮, 목련화:木蓮花, 광목란:廣木蘭, 목란화:木蘭花, 태산박:泰山朴, 대화목란:大花木蘭: 중국식물지(中国植物志)], 타이산보쿠[タイサンボク=泰山木=태산목, 대산목:大山木,
대잔목:大盞木: 일문명(日文名)],
양목란, 큰꽃목련,
태산목 등으로
부른다.
태산목의 효능에 대해서 배기환의 <한국의 약용식물> 제 112면 117호에서는 다음과 같이 기록하고 있다.
[태산목 [목련과]
학명: Magnolia grandiflora L.
늘푸른큰키나무. 높이 5~7m. 꽃은 백색으로 5~6월에 가지 끝에서 핀다. 꽃잎은 9~12개, 수술은 많고, 수술대는 자줏빛이다. 열매는 골돌로 타원형이며 길이 7~9cm로 짧은 털로 덮여 있고, 익으면 터져서 주머니에 있던 적색 종자가 2개씩 나온다.
분포/ 북아메리카 원산으로, 남부 지방의 집 근처에서 재식한다.
약효/ 꽃봉오리를 대화목란(大花木蘭)이라고 하며, 혈압을 강하시키고, 두통, 코막힘, 치통을 치료한다.
사용법/ 꽃봉오리 10g에 물 700mL를 넣고 달인 액을 반으로 나누어 아침 저녁으로 복용하고, 코막힘에 가루를 콧속에 불어넣는다.]
태산목의 효능에 대해서 중국에서 펴낸 <중국본초도록> 제 1권 49면 71호에서는 다음과 같이 기록하고 있다.
[대화목란(大花木蘭)
기원: 목란과(木蘭科=목련과: Magnoliaceae)식물인 하화옥란(荷花玉蘭=태산목: Magnolia grandiflora L.)의 화뢰(花蕾)이다.
형태: 상록성 교목으로 높이는 30m에 달한다. 잎은 혁질(革質)이며 타원형(橢圓形) 또는 도란상(倒卵狀) 타원형(橢圓形)으로 길이는 16∼20cm이고 너비는 6∼10cm이며 뒷면은 다갈색 털이 밀생하고, 탁엽(托葉)과 잎자루는 서로 분리되어 있다. 꽃은 아주 커서 직경이 15∼20cm이고 백색(白色)이며 꽃잎은 9개 혹은 15∼20개이고, 수술은 여러 개이며 수술대는 자색(紫色)이고 화탁이 길게 나와 나선상으로 배열하고, 심피(心皮)는 여러 개이며 암술머리는 바깥쪽으로 굽어져있다. 열매는 취합과(聚合果)로 원추형(圓錐形)이고 긴 융모(絨毛)가 밀생하며, 성숙한 심피(心皮)는 타원상(橢圓狀) 난형(卵形)으고 끝이 바깥쪽으로 굽어져 있으며, 종자(種子)는 홍색(紅色)이고 타원형(橢圓形)이다.

분포: 온난하고 습윤하며 비옥한 토양에서 자란다. 중국의 장강(長江) 이남의 각 지역에서 재배한다.
채취 및 제법: 이른 봄에 꽃봉오리를 채취하여 햇볕에 말린다.
성분: volitile oils.
기미: 맛은 맵고 성질은 따뜻하다.
효능: 거풍(祛風), 통규(通竅).
주치: 혈압하강(血壓下降), 두통(頭痛), 비연(鼻淵), 비색불통(鼻塞不通), 아통(牙痛).
외용(外用): 비색(鼻塞: 갈아서 가루로 만들어 사용).
용량: 3∼9g. 외용시(外用時)에는 적량(適量)을 사용한다.
참고문헌: 광서약용식물명록(廣西藥用植物名錄), 48면.]
상기 자료는 약초연구가로서 우리땅에 존재하는 천연물질의 우수성을
널리 알리고 질병으로 고통을 겪고 있는 환우들에게 희망을 주며 신약을 개발하는데 통찰력을 갖게하고 약초를 사랑하는 모든 사람에게 정보의 목적으로
공개하는 것임을 밝혀 둔다.
(글/ 약초연구가 & 동아대 & 신라대 대체의학 외래교수 전동명)
※ 태산목 사진 및 감상: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네이버+구글+다음+일본구글+대만구글: 1, 2, 3, 4, 5,
※ 태산목 상세 사진 웹사이트: 1, 2, 3,
※ 문의 및 연락처: 010-2545-0777 ;
051-464-0307
※ 홈주소: http://jdm0777.com
※ 페이스북 주소: http://www.facebook.com/jdmsanyacho
※ 이메일: jdm0777@naver.com
※ 아래에 비슷한 식물도 함께 고려해 보시기 바랍니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