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릅나무 무엇인가?

봄철 새순을 나물로 먹는 인체에 유익한 두릅나무

 

 

 

 

 

 

 

 

 

 

 

 

 

 

[두릅나무의 새순, 새싹, 전체잎, 가시달린 잎앞면, 가시달린 잎뒷면, 꽃대와 꽃봉오리, 활짝핀 꽃, 둥근형태의 꽃, 둥근 형태의 열매, 열매 전체, 나무껍질, 겨울눈의 모습, 사진출처: 일본/대만/한국 구글 이미지 검색]

▶ 항알레르기 작용, 항염증 작용, 아픔멎이 작용, 진정 작용, 이뇨 작용[오줌내기 작용], 항종양 작용, 성흥분 작용, 독풀이 작용, 창자 운동 강화 작용, 강장 작용, 중추신경흥분 작용, 강심 작용, 항암 작용[위암 등], 혈당량감소 작용, 항방사선 작용, 방사선병 예방 치료 작용, 보기안신, 거풍활혈, 자신, 신경쇠약, 풍습성관절염, 신양부족, 당뇨병, 두통, 비만증, 거풍, 거습, 혈액 순환을 촉진, 지혈, 이뇨, 간염, 무월경, 위경련, 변비, 류머티스성 관절염, 외상출혈, 저감성 신경증, 뇌진탕후 무력증, 심장신경증, 병후 무력증, 급성 대장염, 만성 대장염, 대장염, 방사선중독, 기관지천식, 천식성 기관지염[임상보고], 간경변 치료 증례[임상보고], 가래두릅환으로 아메바성 이질을 치료한 경험[임상보고], 위궤양, 위경련, 신장염, 정신분열증, 불면증, 각기, 수종, 발기력부전, 몸이 쇠약할 때 특히 신경쇠약, 저혈압, 봄나물 & 추천음식[데쳐서 초고추장 찍어 먹거나 무침, 된장국, 장아찌, 전, 튀김, 물김치 등], 관절염을 다스리는 두릅나무

두릅나무는 두릅나무과에 속하는 갈잎떨기나무이다.

두릅나무의 학명은 <
Aralia elata (Miq) Seem.>이다. 높이는 3~4미터까지 자라고 주로 산에서 자란다. 봄에 올라오는 새순을 '두릅'이라고 하며, 맛이 좋아 집주변에 심거나 밭가에 심어 봄나물로 먹는다. 나무껍질은 회백색이고 줄기는 가지가 많이 갈라지지 않고 가지나 잎자루에 거센 가시가 있다. 잎은 어긋나고 2회깃꼴겹잎이다. 낙은잎은 달갈형~타원형이고 끝이 뾰족하며 가장자리에 큰 톱니가 있다. 작은잎 뒷면은 회녹색으로 잎맥 위에 털이 있다. 가지 끝의 커다란 겹총상꽃차례에 자잘한 흰색 꽃이 모여 달린다. 둥근 열매는 작고 검은색으로 익는다. 개화기는 8~9월이고 결실기는 10월이다.

두릅나무과(오갈피나무과)는 주로 열대에 55속 700종이 분포되어 있으며, 우리나라에는 8속 14종이 분포되어 있다. 두릅나무속은 전세계에 35종이 분포되어 있고 우리나라에는 민두릅나무(가시없는 두릅나무), 독활(뫼두릅나무), 두릅나무(참두릅), 둥근잎두릅나무, 애기두릅나무가 자라고 있다.

두릅나무의 다른 이름은
요동총목[遼東楤木=liáo dōng cōng mù=랴오: 중국고등식물도감(中國高等植物圖鑒)], 용아총목[龍牙楤木: 동북목본식물도지(東北木本植物圖志)], 자용아[刺龍牙: 길림토명(吉林土名), 자로아[刺老鴉=cì lǎo yā라오V: 동북토명(東北土名), 흑룡강중약(黑龍江中藥)], 요동총목[遼東, 용아총목:龍牙, 자용아:刺龍牙, 호양자:虎陽刺: 중약대사전(中藥大辭典)], 타라노키[タラノキ=楤木, 유목:桵木, 타라노메: たらのめ=楤芽, 타란보:タランボ, 타라:タラ==, 오니노카나보우:オニノカナボウ: 일문명(日文名)], 목두채[木頭菜: 동의보감(東醫寶鑑)], 총목[木], 참두릅나무, 민두릅나무, 두릅나무, 드릅[경상도 방언], 두릅 등으로 부른다.

줄기껍질을 말린 것을 총목피
(木皮)라고 하며, 뿌리껍질을 말린 것을 총근피(楤根皮)라고 한다. 

[채취]


1, <중약대사전>: "봄에 채취하여 햇볕에 말린다."

2, <실용동약학 93면>: "봄에 뿌리의 껍질 또는 줄기의 껍질을 벗겨 햇볕에 말린다."

3, <중국본초도록>: "뿌리 및 줄기껍질을
봄에 채취해서 햇볕에 말린다."

[약재(藥材)]


<중약대사전>: "
1, 뿌리껍질: 대롱 모양, 한겹 또는 두겹으로 말은 대롱 모양, 혹은 중앙 부분의 아래에 분지(分枝)가 있으며 약간 만곡되었거나 불규칙적으로 구부러져 있다. 일반적으로 길이는 15~36cm이고 껍질의 껍질의 두께는 1.5~30mm이다. 표면은 연한 회갈색 또는 어두운 회갈색이고 바깥층은 코르크가 벗겨져 비늘 모양을 나타내는 것도 있으며 코르크가 떨어진 곳에는 세로로 주름이 있다. 껍질눈은 둥근 점 모양이거나 타원형의 돌기 모양이며 가로로 자란다. 안쪽 표면은 어두운 황갈색이거나 황백색이다. 질은 약해서 갈라지기 쉽다.
단면은 편평하지 않고 연한 황백색 또는 거의 백색으로 자외선 아래에서 연한 남색의 형광빛을 발한다. 거의 냄새가 없고 맛은 처음에는 떫지만 나중에는 쓰고 씹어도 섬유가 없다.

2, 줄기:
아랫부분의 나무껍질 즉 근상경(根狀莖)을 포함한다. 대부분은 느슨하게 한겹 또는 두겹으로 말은 대롱 모양을 나타내며 거의 직선이지만 만곡된 것도 약간 있다. 대부분이 길이는 10~15cm이고 껍질의 두께는 약 1.5~2.0mm이다.

표면에는 엎어 놓은 기왓장 모양의 균열이 있으며 거칠다. 안쪽 표면은 뿌리껍질과 같다. 질은 단단하고도 약해서 부러지기 쉽다. 단면은 섬유성으로 자외선 밑에서는 연한 남색의 형광빛을 발한다. 냄새와 맛은 뿌리껍질과 같다. 씹으면 거친 느낌이 있다. 중국에서는 흑룡강(黑龍江)에서 난다."


[성분]

1, <
중약대사전>: "강심 배당체, 사포닌, 정유 및 미량의 알칼로이드(alkaloid)를 함유하고 있다.  

뿌리는 araloside A, araloside B, araloside C 등을 함유하고 있으며 모두 oleanolic acid의 glycosides 이다.

잎은 사포닌(saponin)을 함유하고 있는데 aglicone은 hederagenin이다."

2, <실용동약학 93면>: "강심배당체, 사포닌, 정유, 미량의 알칼로이드가 들어 있다. 뿌리에는 아랄로지드 A, B, C 등이 있다."

3, <우리 나라 동약의 성분과 약리작용 제2권 179면>:
"식물 전체에 트리테르펜사포닌, 스테로이드, 카테킨, 기름산, 아미노산 등이 들어 있다."


[약리작용]


1, <중약대사전>: "오가과(五加科) 드릅나무속의 식물은 인삼과 비슷하여 적응원(適應原) 아답토겐(adaptogens) 작용이 있다. 상세한 점은 <오가피(五加皮)>를 참조하라. 그러나 독성은 인삼(人蔘), 자오가(刺五加: 가시오가피) 등의 10배 전후이다. 마우스의 수영법에 의한 측정에서는 자로아(
刺老鴉: 두릅나무)의 알코올침제 2g/kg을 위에 주입하였더니 활동 능력을 높이고 피로가 가중되지 않았다. 게다가 중추 흥분약(caffein, picrotoxin)의 작용을 크게 증강시킨다.

중추 억제약(barbital류)의 작용에 대한 영향에 관한 보고는 결과가 같지 않다. 사람이 1회 또는 장기간 복용하면 체력, 지력 활동을 증진하는 효능이 있다. 자로아(
刺老鴉: 두릅나무)에서 추출한 triterpenoid saponin을 동물에 주사하면 대뇌피질 및 피질하의 흥분 과정, 기동성을 높인다. 자로아(刺老鴉: 두릅나무)의 물-알코올 침제는 개구리의 적출 심장 또는 토끼의 in vivo 심장에 대하여 강심 작용이 있지만 투여량이 너무 많으면 토끼의 in vivo 심장을 억제한다. 호흡, 혈압에 대한 작용은 뚜렷하지 않다. 토끼의 장관(腸管: in vivo) 또는 적출한 것)에 대하여 흥분 작용이 있으며 토끼의 적출 자궁에 대해서도 흥분 작용이 있으나 in vivo 자궁에 대하여서는 억제 작용이 나타났다. 요동총목(遼東木)의 잎 또는 뿌리의 팅크제는 혈압을 내리게 하며 전자는 뇌하수에 후엽 호르몬성 고혈압의 개에 대하여 혈압 하강(정상화) 작용을 촉진하였다. 잎도 뿌리도 토끼의 적출 장(腸)의 장력을 약하게 할 수 있으며 염화바륨에 의한 장관(腸管)의 장력을 높이는데 이완 작용이 있으나, 아세틸 콜린에 의한 경련은 억제할 수 없다. 자로아(刺老鴉: 두릅나무)는 정상적인 토끼의 혈당치를 높인다.

adrenalin성 고혈당 및 alloxan성 당뇨병에 대해서는 혈당을 내리는 작용이 없다. 그러나 총목(
木) Aralia sinesis L.의 나무껍질의 물 추출액을 rat에게 피하 주사하며 alloxan성 고혈당을 내리게 한다. adrenalin 또는 대량의 glucose을 주사한 후에 일어나는 고혈당에 대해서도 경도의 억제 작용이 있다. 봄에 채취한 샘플의 혈당 강하 작용은 강하지만 가을에 채취한 것은 효과가 없다. 총목()에는 또한 항방사선 작용이 있다. 요동총목(遼東木)의 뿌리껍질의 추출물을 마우스의 위에 주입했을 경우 LD50은 28.2g/kg이다. rat에 추출물 2g/kg을 복강 주사했더니 곧 사망했다. 토끼에게 추출물 2.5g/kg까지 증가하였던 약 10시간 후에 사망했다.

감초(甘草) 및 감초사심탕(甘草瀉心湯) 및 보중익기탕(補中益氣湯)은 그의 독성을 약하게 하며 아울러 두릅나무의 사하(祠下) 작용을 경감시킨다. 감초(甘草)에 진피(陳皮), 목향(木香)을 배합하면 반대로 그 독성을 증가시킨다. 쥐에 대한 잎의 독성은 뿌리의 2배이다."

2,
<우리 나라 동약의 성분과 약리작용 제2권 183면>: "성흥분작용: 다 자란 흰생취와 다 자라지 못한 흰쥐를 대상으로하여 실험전에 15일 동안 정상성주기를 검토한 다음 대조 무리에는 생리적 소금물을 주고 실험 무리에는 두릅지드를 0.01% 0.1m/10g씩 배안에 매일 1번씩 31일 동안 주사하였다.

흰생쥐의 대조무리에서는 발정기가 5.5일이었으나 실험무리에서는 8.5일로 길어졌고 흰쥐의 대조무리에서는 발정기가 5일이었으나 실험 무리에서는 11.4일로 길어졌다."


[임상응용]


<우리 나라 동약의 성분과 약리작용 제2권 183면>: "두릅지드알약을 만들어 저감성신경증과 뇌진탕후 무력증, 심장신경증, 병후무력증 환자 114명에게 한번에 50mg씩 하루 3번 먹인 결과 많은예에서 환자들의 정신이 맑아지며 잠이 잘오고 입맛이 좋아지는 등 좋은 효과를 보았다.

급성대장염환자 20례와 만성대장염환자 15례를 대상으로 하여 두릅나무껍질과 소나무꽃가루로 치료하여 일정한 효과를 보았다.

두릅나무뿌리껍질로 엑스를 만들고 10% 정도의 소나무꽃가루를 넣고 반죽하여 알약을 만든 다음 한번에 2알씩 하루 3번 밥먹기 전에 먹이는 방법으로 20~30일 동안 치료하였다.

약을 먹인지 3~4일 지나면 배아픔이 멎으면서 설사가 멎었는데 이때로부터 10~15일동안 약을 더 먹이면 완전히 나았다.

치료에서
주의할점환자의 체질에 비하여 약용량이 많으면 메스꺼움과 어지럼증, 설사와 배아픔 증세가 더 심해질 수도 있기 때문에 양을 잘 정하여야 한다.

여러 가지 원인의 신경증 환자에게 65% 알코올로 팅크를 만들어 빈속에 한번에 2ml씩 하루 3번 먹이었다. 결과 15일째부터 기분이 좋아졌고 치료 전에 하루 잠자는 시간이 3시간 40분으로부터 치료후에 5시간 6분으로 길어졌다. 그리고 4시간 미만으로 잠을 겨우 자던 환자들이 69%로부터 39%로 줄었고 4시간 이상 잠자던 환자는 31%로부터 61%로 길어졌다. 특히 신경쇠약형에서 더 효과가 나타났다."

[포제(
炮製)]

※ 참조=JDM 첨부:
두릅나무가 "
독성은 인삼이나 가시오갈피나무보다 약 10베 세다."라는 기록으로 인해 법제를 하지 않으면 불안해 하시는 분들이 있어 대부분의 본초학에서 법제법이 별도로 기록되지 않았지만 같은과인 <오갈피나무> 법제법을 응용하면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아래의 법제법을 참조할 수 있다.

1, <동약법제 제 221~222면>:
"오갈피나무 껍질:

[가공법제]


문헌자료:
① 약재를 고르고 목질부를 버린다(의방류취).

② 술에 담근다(향약집성방, 의방류취). 또는 술에 담갔다가 볶는다(의방류취). 또는 술에 담그는 데 가을과 봄에는 3일, 여름에는 2일, 겨울에는 4일 동안 담근다(향약집성방). 술로 처리하면 약재의 기본 작용을 돕는다.

③ 약재를 끓인다(동의보감).

경험자료:
일반적으로 잘게 잘라서 그대로 쓴다고 한다. 일부 경험에 의하면 술에 담갔다가 쓰거나 술에 담갔다가 볶아서도 썼다고 한다.

실험자료: 실험성적에 의하면 약재를 8mm 두께로 잘라 물로 우릴(1시간) 때 우린 액의 성분 함량이 제일 높았다.

총괄:
자료들에서는 술에 담그는 근거는 배당체 성분의 우려내기를 돕는 데 있다고 인정된다. 문제로 되는 것은 술에 담그는 시간 문제이다. 술에 며칠 동안 담그면 성분이 알코올 용액으로 전부 옮겨지고 남은 것이란 일부분에 지나지 않을 것이다. 이런 측면에서 현단계의 법제에서는 문헌자료의 법제법과는 달리하여 술에 담근 다음 그 술을 약으로 쓰는 것이 합리적이라고 인정된다.

그리고 술에 담갔다가 볶으면 배당체 성분들은 분해되므로 볶지 말아야 한다고 본다. 현대 경험자료를 보면 일반적으로 잘 골라서 그대로 썼다.

이상의 자료를 종합하여 이 약재는 잘 고르고 8mm 정도로 잘라서 말렸다가 그대로 쓰는 것이 좋겠다고 생각된다.

술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알코올 우린 액을 가지고 약으로 만드는 것이 합리적이라고 본다."

2, <JDM-첨부>:
"봄철 두릅나무의 새순은 수천년 동안 조상들이 즐겨 먹었던 나물이다. 두릅나무가 인삼이나 가시오갈피나무보다 쥐를 실험한 독성이 10배나 세다고 북한 자료에서 기록하고 있다. 그렇다고 맹독성이 있다는 뜻이 아니라 인삼과 가시오갈피 2가지를 비교했을 때 쥐를 이용한 수치를 말하고 있다. 그러므로 옛 의학서적에서 <약간의 독이 있다>라는 점을 참조하여 줄기와 뿌리를 잘게 썰어서 말려서 감초 절편 1~2쪽, 대추 서너개를 넣어서 6~12g을 물로 달여 하루 3번에 나누어 먹는 것이 합리적이라고 본다."

[성미]


1, <
동북상용중초약수책>: "맛은 매우며 성질은 평하고 약간의 독이 있다."

2, <실용동약학 93면>:
"맛은 맵고 성질은 평하며 약간 독이 있다."

3, <중국본초도록>:
"
맛은 맵고 성질은 평하다."

[약효와 주치]


1, <
중약대사전>: "기(氣)를 보하고 정신을 안정시키며 정(精)을 강하게 하고 신(腎: 콩팥)을 자양하며 풍을 제거하고 혈액 순환을 촉진시키는 효능이 있다. 신경 쇠약, 류머티스성 관절염, 당뇨병 및 양허기약(陽虛氣弱), 신양부족(腎陽不足) 등을 치료한다."

2,
<동북상용중초약수책>: "풍사(風邪)를 몰아내고 습사(濕邪)를 없애며 혈액 순환을 촉진시키고 지혈한다. 간염, 당뇨병, 위경련, 변비, 류머티스성 관절염, 외상출혈을 치료한다."

3,
<흑룡강주요야생약용식물적감별급중초약신제제>: "기(氣)를 보하고 정신을 안정시키며 정()을 강하게 하고 신(腎: 콩팥)을 자양한다."

4,
<실용동약학 93면>: "기를 보하고 정신을 안정시키며 신을 보하고 정을 보하며 풍을 없애고 피를 잘 돌아가게 한다.

동물실험에서 강장작용, 중추신경계통에 대한 흥분작용, 강심작용, 혈당량을 낮추는 작용 등을 나타낸다는 것이 밝혀졌다."

5, <중국본초도록>:
"
보기안신(補氣安神), 거풍활혈(祛風活血), 자신(滋腎), 신경쇠약(神經衰弱), 풍습성관절염(風濕性關節炎), 당뇨병(糖尿病), 신양부족(腎陽不足)."

[용법과 용량]


1, <중약대사전>:
"내복: 0.5~1냥(신선한 것은 1~2냥)을 물로
달여서 복용한다.

외용: 짓찧어서 환부에 붙인다." 

2,
<실용동약학 94면>: "배합: 다른약을 섞어서 쓸 수도 있으나 이 약 한가지를 쓰는 경우가 많다. 즉 이 약 6~12g을 달여 하루 3번에 나누어 먹는다.

쓰는양: 하루 6~!2g."

3, <중국본초도록>:
"
용량: 15-30g."

[배합(配合)과 금기(禁忌: 주의사항)]

1, <약초의 성분과 이용>:
"
고혈압에는 쓰지 않는다. 독성(LD50)은 5.7g/kg(케르베르법), 1.2g/kg(베렌스법)이며 가시오갈피나무와 땃두릅나무껍질 14.5g/kg(베렌스법)보다 약하다. 두릅나무껍질의 치사량과 독작용의 비는 1:10이며 가시오갈피나무껍질, 땃두릅나무껍질보다 치료폭이 2~5배 넓다. 두릅나무껍질의 긴장작용 세기는 생쥐의 헤엄치는 시간을 잣대로 하여 비교할 때 가시오갈피나무껍질보다 100배나 세다.

두릅나무껍질은 급성 실험에서 혈압을 잠시 내리며 숨쉬기를 약간 흥분시킨다. 또한 고양이 심장에 대한 급성 실험에서 심장살의 긴장성을 높이고 심장 수축폭을 늘린다. 그러나 심장율동과 오줌량에는 뚯렷한 영향이 없다.
"


2, <한국본초도감>:
"주의 사항: 장복하면 독성이 발생한다."

3, <동의학사전>:
"독성은 인삼이나 가시오가피보다 약 10배나 세다."

4, <
실용동약학 93-94면>: "독성은 인삼이나 가시오갈피나무보다 약 10베 세다.

두릅나무 뿌리껍질 우림액을 흰생쥐에게 먹일 때 LD50은 28.2/kg이다.

두릅나무
잎의 독성은 뿌리보다 2배 크다."

5, <
우리 나라 동약의 성분과 약리작용 제2권 183면>: "독풀이작용: 40~70g되는 흰쥐에게 두릅지드 5mg/kg과 10mg/kg을 배안에 주사하고 1시간 지나서 33% 에틸알코올 죽는양인 25ml/kg씩 배안에 주사하고 죽는율을 구하였다.

결과 24시간 동안 관찰할 때 대조에서는 12마리 가운데서 8마리가 죽었으나 두릅지드 5mg/kg에서는 4마리, 10mg/kg에서도 4마리만 죽었다.

흰쥐에게 두릅지드를 0.01%, 0.1ml/10g씩 배안에 매일 31일 동안 주사하고 33% 에틸알코올 25ml/kg을 주사한 결과 대조에 비하여 죽는율이 50%나 적었다.

독성:
흰쥐의 배안에 200~250mg/kg을 주사하였을 때 자발운동이 적어지면서 호흡도 느려지며 일부 동물은 5~15시간 지나서부터 죽었다.

동물실험에서 유효량은 5~10mg/kg이었고 중간 치사량은 610mg/kg이였다."

두릅나무의 효능과 관련하여 기원 1613년 광해군 5년, 계축년에 첫 출판된 조선시대 허준의 <동의보감>에서는 다음과 같이 기록하고 있다.

[목두채(木頭菜: 두릅)

○ 성질이 평하고, 독은 없다. 삶아서 나물이나 절임해서 먹는다.

어느 지방에나 있는데 이른 봄에 딴다[속방].
]

두릅나무의 새순을 나물로 먹는 것과 관련하여 이영득의 <산나물 들나물 대백과> 제 372-373면서는 다음과 같이 기록하고 있다.

[두릅나무(두릅, 드릅)

두릅나무과ㅣ갈잎떨기나무

크기:
3~4cm
꽃 피는 때:
8~9월
자라는 곳:


새순을 두릅이라 한다. 경상도 지방에서는 드릅이라고 한다. 두릅나무 어린순을 데쳐서 초고추장에 찍어 먹는 고급 나물이다. 무치거나 된장국을 끓여도 좋고, 된장이나 고추장에 박아 장아찌를 담가도 맛있다. 전을 부치기도 하고, 찹쌀 가루나 튀김 가루를 묻혀 튀김도 한다. 두릅 데친 물을 식혀서 물김치도 담근다.

나물 할 때




나물 하는 방법


어린순을 딴다."

추천 음식


데쳐서 초고추장 찍어 먹거나 무침, 된장국, 장아찌, 전, 튀김, 물김치.
]

두릅나무에 대해서 북한에서 펴낸
<약초의 성분과 이용> 494-496면에서는 이렇게 기록하고 있다.

[두릅나무(Aralia elata Seemann)

다른 이름: 참두릅나무

식물:
높이 3~4미터 되는 잎지는 떨기나무이고 가시가 있다. 잎은 2번 깃처럼 갈라진 겹잎이고 쪽잎은 타원형이다. 7~8월에 작은 흰 꽃이 가지 끝에 모여 핀다. 8~9월에 보라색을 띤 검은색의 둥근 열매가 열린다.

잎이 둥근 것을 둥근잎두릅나무(var. rotundata), 잎에 가시털이 없는 것을 중(민)두릅나무(var. canescens)라고 한다.  

각지의 해발 100~1,600미터 되는 산기슭, 산골짜기의 비옥한 곳에서 자란다.  

껍질(총목피):
봄과 가을에 뿌리껍질을 벗겨 햇볕에 말린다. 줄기껍질도 약재로 쓴다.  

성분:
껍질에는 사포닌성 배당체인 아랄로시드(타랄린)가 있다. 아랄로시드 A는 녹는점 섭씨 195~196도, [
α]20D -26.7도이고 물분해하면 올레아놀산과 포도당, 아라비노오스, 2분자의 글루쿠론산이 된다. 아랄로시드 B는 녹는점 섭씨 230도(분해), [α]20D -17.3도이고 물분해하면 올레아놀산과 포도당, 아라비노오스, 2분자의 글루쿠론산이 된다. 아랄로시드 C를 물분해하면 올레아놀산과 포도당, 아라비노오스, 글루쿠론산, 갈락토오스가 된다. 이밖에 올레아놀산, 정유 0.05퍼센트, 프로토카테킨산, 콜린이 있다. 또한 알칼로이드 반응에 양성인 물질이 있다. 사포닌은 줄기껍질보다 뿌리껍질에 많다.  

씨에는 약 5퍼센트의 기름이 있다. 기름에는 페트로셀린산, 팔미트산, 리놀산, 페트로셀리딘산이 있다. 뿌리에는 스티그마스테롤, 탄닌질, 꽃이삭에는 크산틴, 구아닌, 어린싹에는 류신, 아스파라긴산, 글루탐산, 아스파긴, 알라닌, 티로신, 히스티딘 등이 많다.  

작용:
뿌리껍질의 물 또는 알코올 추출물은 흥분작용이 있으며 메디날에 대한 길항작용과 함께 강심작용이 있다.  

뿌리껍질 달임약(1:10)은 개구리에게 0.5~1밀리리터를 근육주사할 때 흥분작용이 있고 심장의 수축폭을 늘리며 심장율동을 느리게 한다. 70퍼센트 알코올로 우려낸 1:5 팅크로 0.1~0.2밀리리터를 주사할 때 위에서와같은 작용이 있다.  

독성(LD50)은 5.7g/kg(케르베르법), 1.2g/kg(베렌스법)이며 가시오갈피나무와 땃두릅나무껍질 14.5g/kg(베렌스법)보다 약하다. 두릅나무껍질의 치사량과 독작용의 비는 1:10이며 가시오갈피나무껍질, 땃두릅나무껍질보다 치료폭이 2~5배 넓다. 두릅나무껍질의 긴장작용 세기는 생쥐의 헤엄치는 시간을 잣대로 하여 비교할 때 가시오갈피나무껍질보다 100배나 세다.

두릅나무껍질은 급성 실험에서 혈압을 잠시 내리며 숨쉬기를 약간 흥분시킨다. 또한 고양이 심장에 대한 급성 실험에서 심장살의 긴장성을 높이고 심장 수축폭을 늘린다. 그러나 심장율동과 오줌량에는 뚯렷한 영향이 없다.

두릅나무껍질의 약리작용 성분은 아랄로시드이다. 아랄로시드(아랄로시드 A와 B의 혼합물)의 독성은 470mg/kg(케르베르법)이며 토끼의 적혈구에 대한 용혈지수는 1:10,000이다. 아랄로시드는 메디날에 대한 길항작용이 있으며 중추신경 계통을 흥분시키고 대뇌의 전기적 활성을 높인다. 심장수축을 세게 하며 양성변역성 작용과 음성변시성 작용이 있다. 숨쉬기에는 뚜렷한 영향을 주지 않는다. 또한 토끼의 귀핏줄을 수축하며 점막에 대한 국소자극작용은 뚜렷하지 않다.

임상 실험에 의하면 아랄로시드는 신경쇠약에 효과가 있다. 아랄로시드는 조식의 산화환원 과정과 부신피질의 글루코코르티코이드 분비 기능을 높이며 유기체의 저항성과 백혈구의 탐식 기능도 높인다. 또한 치주조직층(치주염) 치료에도 좋은 효과가 있다. 혈당을 낮추는 작용도 있으며 혈당을 높인 흰쥐에서 β-리포프로테이드의 함량을 낮춘다.

응용:
몸이 쇠약할 때 특히 신경쇠약, 정신분열증, 저혈압에 쓴다. 고혈압에는 쓰지 않는다.

동의치료에서는 당뇨병에도 쓴다. 또한 오줌내기약으로 쓰며 이밖에 아픔멎이약으로 머리아픔, 산통, 대장염, 위궤양, 위암에 쓴다. 그리고 강장약, 열내림약, 땀내기약으로 쓴다. 월경이 없을 때에도 쓴다.

민간에서는 전초를 위장질병에 쓴다.  

두릅나무껍질 달임약(6~10:200):
일반허약, 신경쇠약, 정신분열증, 저혈압에 하루 3번 나누어 먹는다.  

두릅나무껍질 유동엑스:
잘게 썬 껍질을 75퍼센트 알코올로 우린다. 추출액에서 알코올을 회수하여 1:1의 엑스를 만든다. 두릅나무의 향기와 쓴맛이 있는 누런 액체이며 비중은 0.91~0.93이고 증발 찌꺼기는 0.5~0.7퍼센트이다. 한번에 1.5~2밀리리터씩 하루 3번 물에 타서 먹는다. 달임약과 같은 목적에 쓴다.

사파랄(총배당체 80퍼센트 이상):
미주 신경중추를 흥분시킨다. 신경쇠약, 심장신경증, 일반허약, 잠장애,저혈압, 음위, 심장의 기능장애, 무력증 때 한번에 0.05그램씩 하루 2번 먹는다. 또한 정신 및 육체적 피로의 예방과 치료에도 쓴다.

두릅나무 팅크:
두릅나무뿌리껍질 250킬로그램, 알코올 770리터, 한번에 30~40방울씩 하루 3번 먹는다. 신경쇠약, 정신분열증에 쓴다.  

참고:
사파랄(총배당체)만드는 법: 뿌리껍질가루 1킬로그램을 10리터의 클로로포름으로 2시간 데워 우린다. 찌꺼기에 7배량의 메탄올을 넣고 1시간 우린다. 이렇게 4번 우린다. 5번째로 우려낸 것을 첫번째의 우림용매로 쓴다. 메탄올 추출액을 합하고 용매를 회수한 다음 찌꺼기를 1리터의 물에 풀고 2N 염산으로 pH 4가 될 때까지 둔 다음 섭씨 80도 아래에서 감압으로 졸인다. 찌꺼기를 300밀리리터의 메탄올에 풀고 1.5리터의 초산에틸에 잘 섞으면 앙금이 생긴다. 앙금을 200밀리리터의 초산에틸로 씻고 섭씨 60~70도 에서 말린다. 거둠률은 7퍼센트이다. 요즘에는 잎을 총배당체 원료로 이용한다.]

두릅나무의 효능에 대해 북측에서 펴낸
<동의학사전>에서는 다음과 같이 기록하고 있다. 

[총목피(
木皮) //두릅나무껍질// [본초]

오갈피나무과에 속하는 낙엽성 관목인 두릅나무(Aralia elata {Miq.} Seem.)의 뿌리껍질 또는 줄기껍질을 말린 것이다. 두릅나무는 각지의 산에서 자란다. 봄에 뿌리껍질과 줄기껍질을 벗겨서 햇볕에 말린다.  

맛은 맵고 성질은 평하며 독이 약간 있다. 기(氣)와 신(腎)을 보하고 정(精)을 불려주며 정신을 안정시킨다. 또 풍(風)을 없애고 혈(血)을 잘 돌게 한다. 

약리실험에서 강장작용, 중추신경흥분작용, 강심작용, 혈당량감소작용, 방사선병예방치료작용 등이 밝혀졌다. 독성은 인삼이나 가시오가피보다 약 10배나 세다. 기허증, 신경쇠약, 관절염, 당뇨병, 심장신경증, 정신분열증, 저혈압,
위암 등에 쓴다. 하루 6~12그램을 달여서 먹는다. 외용약으로 쓸때는 짓찧어 붙인다.]

두릅나무의 효능에 대해 안덕균의
<한국본초도감>에서는 이렇게 기록하고 있다.

[자로아(刺老鴉)

두릅나무과의 갈잎떨기나무 두릅나무[Aralia elata (Miq) Seem.]의 뿌리 껍질과 나무 껍질이다.  

성미: 맛은 맵고 성질은 평하다.  

효능: 보기안신(補氣安神), 강정자신(强精滋腎), 거풍활혈(祛風活血)

해설: ① 기운이 허약하고 신경쇠약이 있을 때 쓰며, ② 풍습성관절염에 진통, 소염 작용을 나타낸다. ③ 콩팥 기능 허약으로 양기가 부족하고 때로는 다리에 힘이 없으면서 보행 장애가 있을 때에 유효하다. ④ 당뇨병에 혈당을 내린다.  

성분: 강심 배당체, 사포닌, 정유 등이 확인되었다. 잎에는 hederagenin이 함유되어 있다.  

약리: ① 항피로 작용이 있으며, ② 면역 기능 항진, ③ 중추 신경 흥분, ④ 혈압 강하 등의 작용을 나타낸다.  

주의 사항: 장복하면 독성이 발생한다.  

기타: 봄에 나온 어린순을 나물로 먹는다.] 

두릅나무의 줄기껍질, 잎, 순의 성분과 목질부 등의 효능과 관련하여 <동의과학연구논문집> 제 1권 95~99면에서는 다음과 같이 기록하고 있다.

[두릅나무

다른 이름: 총목(楤木)
학명: Aralia elata Seem.
과명: 오갈피나무과

[두릅나무 지상부의 성분에 대한 연구]

두릅나무의 자원을 보호하면서 효능이 높은 두릅지드의 생산을 정상화하기 위하여 줄기 껍질과 잎, 순의 사포닌 성분과 그 밖의 성분에 대한 연구를 하였다.

① 두릅나무의 줄기껍질로부터 올레아놀산을 비당질로 하는 트리테르펜 사포닌을 갈라내고 뿌리껍질로부터 갈라낸 두릅지드와 물리화학적 성질들을 대비하였다. 또한 페놀성 물질과 스테롤 성분을 갈라내고 구조상 프로토카테큐산 및 시토스테롤과 각각 같다는 것을 밝혔다.

② 두릅나무의 잎과 순으로부터 올레아놀산과 헤데라게닌을 비당질로 하는 트리테프펜 사포닌을 갈라내고 뿌리, 줄기의 사포닌과 성질상 같은 점과 다른 점을 밝혔으며 아스파라긴, 아스파긴산, 티로신, 로이신, 글루타민산, 리진, 트레오닌, 아르기닌을 포함한 15개 이상의 아미노산을 분리 확인하였다.

③ 두릅나무의 뿌리와 줄기의 다당류 함량을 분석하고 그 구성 당들의 조성을 밝혔다.

④ 두릅나무 줄기껍질로부터 합리적인 두릅지드 제조방법을 완성하였으며 두릅나무의 잎도 두릅지드 제조원료로 쓸 수 있다는 것을 밝혔다(조선노동당 제6차대회 결정 관철을 위한 전국 의학과학토론회 자료, 1980년).

[두릅나무에 대한 연구]

1) 성분검토

부위에 따르는 총배당체의 함량은 지하부의 껍질에 제일 많고(18.0~18.59%) 목질부에는 매우 적다(2.24~2.45%). 시기별 함량에서는 지상부인 경우 3월부터 10월에 이를수록 줄어든다. 지하부 껍질에서의 총배당체 함량은 3월 말의 것에 18.5%, 7월 중순의 것에 18.0% 들어 있었다.

2) 약리검토


① 중추신경 계통에 미치는 영향: 두릅나무 배당체는 전기뇌파 실험과 전기자극 실험에서 중추신경 계통의 흥분성을 높이며 대뇌의 전기활성을 높였다.

② 성기능에 미치는 영향:
흰쥐와 흰생쥐에 대한 성주기 실험에서 발정기를 늘이는 작용이 인정되었다.

③ 심장에 대한 작용:
수축을 세게 하고 긴장성을 높이는 방향에서 작용하였다.

④ 창자운동에 미치는 영향:
토끼와 흰쥐의 창자운동의 긴장성을 높이며 수축을 세게 하였다.

⑤ 독성:
총배당체의 LD50은 610mg/kg이었다(우리나라의 주체적인 의학과학의 성과 3, 1979, 128~159).

[두릅나무 껍질의 항알레르기 및 항염증작용에 대한 연구]

두릅나무 껍질로 만든 여러 가지 추출 분획들로 약리실험을 하여 다음과 같은 성적을 얻었다.

① 항알레르기 작용:
두릅나무 껍질의 비알칼로이드 추출 분획들의 LD50의 1/5 양과 1/10 양을 동물에게 먹였을 때 항체산생 억제작용이 인정되었다. 이 분획을 400mg/kg씩 사람 혈청으로 감작시킨 모르코트에게 20일 동안 배안 주사한 데서는 15마리 중 3마리만이 죽었다(대조 14마리 중 12마리 죽음). 이것은 이 분획이 항아나필락시 작용을 한다는 것을 말해준다. 이밖에 항히스타민 작용, 보체활성을 높이는 작용, 아르튜스 반응에 대한 억제 작용이 증명되었다. 세포성 면역에 대한 작용 검토에서 두릅나무 껍질의 비알칼로이드 추출 분획은 지연형 피부과민반응을 억제하는 작용이 인정되어싿.

② 항염증작용:
두릅나무 껍질의 비알칼로이드 추출 분획은 뚜렷한 육아증식 억제 효과가 있었다. 2,000mg/kg의 억제율(48.12%)보다 높은 편이다. 비알칼로이드 분획은 또한 덱스타란 부기와 히스타민 부기도 억제하였다.

③ 아픔멎이 및 진정작용:
비알칼로이드 분획과 수증기증류 분획은 뚜렷한 아픔멎지 및 진정작용이 있었다.

④ 오줌내기 작용:
물엑스는 센 오줌내기 작용이 있었다. 그러나 비 알칼로이드 분획과 알칼로이드인 찌티톤 주사약에서는 오줌내기 작용이 인정되지 않았다.

⑤ 항종양작용:
두릅나무 껍질의 에타놀엑스는 M2 암종의 증식을 억제하며 복수암 흰생주의 수명을 늘였다. 암 억제율은 68.34% P<0.01이었다. 생존일수에 미치는 영향검토에서 대조는 평균 13.9 ± 2.06일인데 비하면 실험무리에서는 19.8 ± 3.34로서 평균 5.9일 연장되었다(P<0.01).

⑥ 독성:
LD50은 비알칼로이드 분획을 먹일 때 27.000mg/kg, 물엑스를 먹일 때 880mg/kg이었다(조선약학, 1983, 3:13~17).

[두릅나무 총배당체의 약리작용에 대한 연구]

① 두릅나무 뿌리만이 아니라 줄기껍질 및 잎의 배당체도 흰생쥐에서의 전기시험, 잠막이 실험에서 중추신경에 대한 흥분 작용을 나타낸다.

② 두릅나무 뿌리, 줄기와 잎의 총배당체들은 두꺼비의 떼낸 심장뛰기에 대하여 1:5,000~10,000배에서 수축진폭과 긴장도를 높였으며 1:1,000배 이상의 높은 농도에서는 긴장도를 더욱 높여 수축성으로 멎게 까지 하였다.

③ 두릅나무 총배당체의 강심 작용은 피로하였거나 긴장도와 수축력이 약해진 심장에서 더욱 뚜렷이 나타났다. 두꺼비의 몸안 심장실험에서도 몸무게 kg당 10mg, 20mg을 가슴임파낭에 주사할 때 심장수축을 세게 하였다.

④ 두릅나무 뿌리 및 줄기껍질과 잎의 총배당체들은 흰쥐의 떼낸 창자운동을 1:1,000~10,000배, 때로는 1:100,000배의 농도에서도 세게하였고 긴장도를 높였다. 이러한 창자운동의 강화는 아트로핀으로 미리 미주신경을 차단한 다음에도 여전히 나타나는 것으로 보아 창자근육에 대한 직접 작용에 의한 것으로 보여진다.

⑤ 두릅나무 총배당체는 몸안 창자운동 실험에서도 몸무게 kg당 10, 20mg을 주입할 때 창자운동의 긴장도를 높였다.

⑥ 두릅나무의 페놀성 물질은 배당체와 달리 심장, 창자운동에 대한 수축작용을 나타내지 않았다.

⑦ 두릅나무 총배당체들은 센 용혈력을 가졌다. 토끼피에 대한 용혈지수는 뿌리껍질 총배당체가 6,670, 줄기껍질 총배당체가 13,300, 잎 총배당체가 26,700이었다.

⑧ 두릅나무 총배당체의 LD50(흰생쥐 배안 주사)은 뿌리껍질이 366.7mg/kg, 줄기껍질이 170.8mg/kg, 잎 총배당체가 187.5mg/kg, 페놀성 물질이 625.0mg/kg이었다(조선노동당 제6차대회 결정 관철을 위한 전국 의학과학 토론회 자료, 1980).

[두릅에 항암작용에 대한 실험적 연구]

<섬유육종 74>를 이식한 흰쥐들에게 24시간 지나서 두릅을 비롯한 몇 가지 동약들의 LD50의 1/50~1/15 양을 매일 위안에 주입하여 종물에대한 억제율을 검토하였다. 그 결과 억제율이 두릅은 67.4%, 갈 뿌리 줄기는 65.2%, 웅덩이젖풀은 57.8%, 소라는 55.0%, 산죽은 53.0%, 조갯살은 47.6%, 개의 비장은 41.5%, 살구씨는 40.0%였다. 이 가운데서 억제율이 제일 센 두릅으로 각이한 농도의 알코올우림액을 만들어 종양억제율을 물우림액과 대비한 결과 물우림액의 효율이 더 높았다.

두릅나무 껍질 우림액과 보통 쓰는 양의 엔도산의 1/2 양을 배합하여 만든 합제의 종양억제율을 검토해본 결과 76.6%로서 두릅 단동을 쓴 때보다 효율이 높았다. 엔독산만을 준 동물에서는 종물이 적어지기는 해도 모두가 다 죽은 데 비하면 배합합제는 종물도 작게 하고 동물의 생존기일도 훨씬 길게 하였다. 즉 대종 동물은 종양이식 후 20~30일만에 모두가 다 죽었으나 실험 흰쥐는 50% 이상이 60일 이상 살아남았다.

<섬유육종 74>를 이식한 동물을 대조와 실험무리로 나누어 15~20일만에 죽여서 본 결과, 실험무리에서 증식중심이 대조에 비해 넓어진 것이 증명되었다. 이것은 면역반응이 높아진 것을 의미한다(제13차 전국 동의학부문 과학토론회 자료, 1984).

[두릅지드가 면역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실험적 연구]

두릅나무 뿌리껍질의 총배당체인 두릅지드를 건강한 토끼와 흰쥐에게 일정한 기간 주면 백혈구 수가 늘어난다. 그리고 사로코리진 타격으로 오는 백혈구의 감소를 유의성있게 막아주는 작용을 한다(P<0.02).두릅지드는 또한 토끼에서 사르코리진 타격 때 낮아지는 백혈구의 탐식활성을 높여준다. 그리고 토끼와 흰쥐의 비장에 임파절에서 찌크로포스파미드에 의하여 억제되는 흉선 의존성 영역(T-세포 반응대)과 흉선비대 의존성 영역(B-세포 반응대)을 높이고 찌크로프스파미드에 의해 억제되는 항체산생능도 높여준다.

암환자들에게 두릅지드와 두릅나무 뿌리껍질 엑스를 쓴 결과 낮아진 세포성 면역능이 높아지는 경향성이 확인되었다(제13차 전국 동의학부문 과학토론회 자료, 1984).
]

두릅나무의 효능과 관련하여 중국에서 펴낸 <중국본초도록> 제 5권 115면 2226호에서는 다음과 같이 기록하고 있다.

[자노아(刺老鴉)

기원: 오가과(五加科=두릅나무과: Araliaceae)식물인 요동총목(遼東楤木=두릅나무: Aralia elata (Miq.) Seem.)의 근피(根皮) 혹은 수피(樹皮)이다.

형태: 가시가 있는 관목이거나 소교목으로 높이는 1.5-6m이다. 소지(小枝)는 담황색(淡黃色)이고 가는 가시가 성기게 나있다. 잎은 크고 잎자루까지 포함해서 40-80cm이며 2회(回) 혹은 3회(回) 우상복엽(羽狀複葉)이고 총엽축(總葉軸)과 우편(羽片)은 보통 가시가 있으며 우편(羽片)에 있는 소엽(小葉)은 7-11쌍이며 난형(卵形) 내지 난상(卵狀) 타원형(橢圓形)이다. 산형화서(傘形花序)는 모여서 정생(頂生)하는 산방상(傘房狀) 원추화서(圓錐花序)를 이루며, 꽃은 백색(白色)이고, 꽃받침의 가장자리에 5개의 거치(鋸齒)가 있으며, 꽃잎은 5장이고, 수술은 5장이고, 자방하위이며 5실(室)이다. 열매는 구형(球形)이고 5개의 능각(稜角)이 있고 익으면 흑색(黑色)이다.



분포: 숲가나 숲속에서 자란다. 중국의 동북(東北)에 분포한다. 우리나라에서는 전석지(轉石地)에 자란다.

채취 및 제법: 봄에 채취해서 햇볕에 말린다.

성분: cordiac glycoside, saponin, volatile oil, 미량의 alkaloid. 근(根): araloside A, B, C.

기미: 맛은 맵고 성질은 평하다.

효능: 보기안신(補氣安神), 거풍활혈(祛風活血), 자신(滋腎).

주치: 신경쇠약(神經衰弱), 풍습성관절염(風濕性關節炎), 당뇨병(糖尿病), 신양부족(腎陽不足).

용량: 15-30g.

참고문헌: 중약대사전, 상권, 2583호.]

두릅나무에 관하여 중국의 <중국식물지(中國植物志)>에서는 다음과 같이 기록하고 있다.

[요동총목(遼東楤木)

학명: Aralia elata (Miq.) Seem.

中國植物志>> 54>> 五加科 Araliaceae >> 楤木屬 Aralia

16.
요동총목[遼東楤木: 중국고등식물도감(中國高等植物圖鑒)], 용아총목[龍牙楤木: 동북목본식물도지(東北木本植物圖志)], 자용아[刺龍牙: 길림토명(吉林土名), 자로아[刺老鴉: 동북토명(東北土名)]

Aralia elata (Miq.) Seem. in Journ. Bot. 6: 134 (Revis. Heder. 90. 1868) 1868; Harms in Enal. & Prantl, Nat. Pflanzenfam. 3 (8): 57. 1894; Nakai in Journ. Arn. Arb. 5: 30. 1924;陳嶸, 中國樹木分類學931. 1937; Li in Sarbentia 2: 107. 1942——Dimorphanthus elatus Miq. Comm. Phytobr. 95. t. 12. 1840——Aralia mandshurica Maxim. in Bull. Phys.-Math. Acad. Sci. St.-Petersb. 15: 134. 156; 劉慎諤等, 東北木本植物圖志432. pl. 137. f. 336. 1955——Dimorphanthus mandshuricus Rupr. & Maxim. in Mem. Div. Sav. Acad. Sci. St.-Petersb. 9: 133. 1859——Aralia manchurica Seem. 1. c. 6: 134. 1868——Aralia mandshurica Komarov in Act. Hort. Petrop. 25: 123. 1907——Aralia chinensis Linn. β. canescens Koehne, Deutsh. Dendr. 432. 1893——Aralia chinensis Linn. var. glabrescens Schneid. Ill. Handb. Laubholzk. 2: 431. 1911; Rehd. in Bailey, Stand. Cycl. Hort. 1: 344. 1914——Aralia chinensis Linn. var. mandshurica Rehd. 1. c. 1: 344. 1914; 鍾心煊, 科學社叢刊1: 189. 1924.

灌木或小喬木1.5-6樹皮灰色小枝灰棕色疏生多數細刺刺長1-3毫米基部膨大嫩枝上常有長達1.5厘米的細長直刺葉爲二回或三回羽狀複葉40-80厘米葉柄長20-40厘米無毛托葉和葉柄基部合生先端離生部分線形長約3毫米邊緣有纖毛葉軸和羽片軸基部通常有短刺羽片有小葉7-11基部有小葉1小葉片薄紙質或膜質闊卵形卵形至橢圓狀卵形5-15厘米2.5-8厘米先端漸尖基部圓形至心形稀闊楔形上面綠色下面灰綠色無毛或兩面脈上有短柔毛和細刺毛邊緣疏生鋸齒有時爲粗大齒牙或細鋸齒稀爲波狀側脈6-8兩面明顯網脈不明顯小葉柄長3-5毫米稀長達1.2厘米頂生小葉柄長達3厘米圓錐花序長30-45厘米傘房狀主軸短2-5厘米分枝在主軸頂端指狀排列密生灰色短柔毛傘形花序直徑1-1.5厘米有花多數或少數總花梗長0.8-4厘米花梗長6-7毫米均密生短柔毛苞片和小苞片披針形膜質邊緣有纖毛前者長5毫米後者長2毫米花黃白色萼無毛1.5毫米邊緣有5個卵狀三角形小齒花瓣51.5毫米卵狀三角形開花時反曲子房5花柱5離生或基部合生果實球形黑色直徑4毫米5花期6-8果期9-10

分布於黑龍江北部黑龍江)、東北部伊春饒河)、南部平山),吉林中部以東蛟河漫江安圖和遼寧東北部雞冠山)。生於森林中海拔約1000米上下朝鮮蘇聯和日本也有分布

本種易和白背葉楤木變種Aralia chinensis Linn. var. nuda Nakai相混但本種小葉片較薄圓錐花序傘房狀分枝指狀排列易於區別

知識共享署名-非商業性使用-禁止演繹 1978中國植物志54166PDF.]

두릅나무로 질병을 치료하는 방법은 아래와 같다.

1, 방사선중독(放射線中毒)
두릅나무잎이나 줄기를 물에 달여서 먹이거나 가루내어 한번에 3~4g씩 하루 3번 먹인다. [동의치료경험집성]

2, 기관지천식, 천식성 기관지염
[임상보고]
참두릅나무열매엿으로 기관지천식을 치료:

[치료대상]

기관지천식 환자 39예[기관지천식 27예, 천식성 기관지염 12예]를 대상으로 하였다.

[치료방법]

9~10월에 딴 참두릅나무 열매를 물에 씻어 말린 다음 보드랍게 가루내어 꿀 또는 물엿을 2:5의 비례로 섞어 만든다. 엿이 변하지 않도록 안식향산 나트륨을 0.3% 되게 섞는다.

12~15세는 6g, 16~20세는 8g, 21~25세는 9g, 28~30세는 10g을 하루량으로 하고 이것을 3번에 나누어 식후에 먹인다. 밤에 발작할 경향이 보이면 한번 더 먹인다(1회량).

[치료 결과]

약을 먹이기 시작하여 3일 만에 임상증상이 좋아지고 5일 만에는 뚜렷이 좋아졌으며 15일 만에는 모든 환자들에게서 천식과 발작성 해수가 없어졌다. 그 후 환자들의 일반상태도 매우 좋아졌다.

6개월 동안의 원격관찰에서 재발한 예는 없었고 부작용도 일으키지 않았다(동의치료경험-내과편, 1991). [동의치료경험집성]

3, 간경변 치료 증례
[임상보고]
[제법과 용법]

두릅나무속껍질과 두릅나무뿌리속껍질을 같은 양 그릇에 넣어 물에 달여서 물엿처럼 농축시킨 다음 유리병에 넣어 밀폐 보관하고 쓴다.

이 약을 12시간에 한번씩 간부위에; 바르고 얇은 비닐로 덮은 다음 일정하게 안정한다.

[치료 효과]

간경변 환자 18명을 90일간 치료하였는데 5명은 다 나았으며 10명은 호전되고 3명은 효과가 없었다.

1년 동안 원격관찰을 하였는데 재발되거나(다 나은 환자 중) 더 악화된 환자는 없었다(송신동의진료소 게춘옥, 김원복, 김성혜: 동의학, 1991-2). [동의치료경험집성]

4, 가래두릅환으로 아메바성 이질을 치료한 경험
[임상보고]
[제법 및 용법]

추목피 200g, 추목근피 50g, 총목피 100g에 물 3리터를 붓고 72시간 동안 실내온도에서 우려 추출액 1.3리터를 얻는다. 그리고 그 찌꺼기에 추목피 200g, 추목근피 50g, 총목피 100g, 현초(玄草) 400g과 함께 물 10리터를 붓고 약한 불에서 물 1/4 되게 달인 다음 찌꺼기를 짜 버리고 다시 1/3 되게 졸인다.

이 농축액과 추출액을 한데 합한 데다 위릉채(委陵菜)가루, 황백가루 각 100g, 고삼가루 50g, 지유가루 200g, 창출가루 600g을 두고 반죽해서 1g/ 알되게 환약을 만들어 한번에 4~5알씩 하루 식전에 먹는다.

[치료결과]

10~20일간 쓴 이후 식욕부진과 소화장애, 제복통(臍腹痛)이 없어졌고 대변 횟수도 훨씬 줄어들었다. 그러나 후중증(후중증)은 잘 나아지지 않았다.

약을 40일 동안 쓴 이후의 종합결과는 총 61예 가운데 뚜렷이 호전된 것 34예, 호전된 것 8예, 낫지 않은 것이 19예였다(제12차 전국동의학부문과학토론회 자료, 1982). [동의치료경험집성]


[두릅나무 재배 방법]

두릅나무

과명: 오갈피나무과

학명: Aralia elata Seem

일명: 민드릅나무, 두릅

생약명: 총목피, 총근피

겨울의 산이나 들에 낙엽이 진 모습을 보면 줄기에서 가시가 많이 돋아 나와 있다.

봄에 나뭇가지의 끝에 있는 어린 눈을 따서 귀한 산채로 이용한다. 맛과 향기가 있어서 각지에서 식용되므로 야생의 맛을 즐길 수 있다.

목재는 붉고 색을 띠고 가볍고 부드러워서 낚시의 부표로도 사용되고 성냥개비, 나무자루 같은 것을 만드는 데 사용한다.

생육장소: 산이나 들에 가면 자생하고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키가 3~4m 정도로 되는 낙엽성 저목으로 줄기에는 뾰족한 가시가 있다. 잎은 서로 마주 보며 착생하고 끝이 뾰족한 달걀 모양을 하고 있으며 가장 자리가 톱니처럼 되어 있다.

8월경 나뭇가지의 끝에서 화수가 나오며 하얗고 작은 꽃이 피고 가을에는 작은 구형의 열매가 맺어 성숙하면 검게 된다.

잎에는 털이 다소 있지만 털이 많은 것도 볼 수 있다.

▶ 종묘 입수


가을에 낙엽이 지고난 무렵 야생하고 있는 것에서 가능한 한 작은 줄기의 것을 골라서 이식하는 것이 좋다.

[재배법]


① 친주 가까이에 어린 줄기의 1m 안팎의 신주가 나와 있으므로 낙엽이 진 무렵 뿌리를 다치지 않도록 파내서 친주에서 잘라내어 묘목으로 한다.

② 미리 파 놓은 심을 구덩이에다 퇴비, 유박, 낙엽 같은 것을 흙과 잘 혼합해 놓은 다음 정식한다.

③ 추운 지방에서는 정식 후에 볏짚을 깔아 주어서 흙의 동결을 방지하면 좋다.

[조제]


고목이 되면 가시가 없으므로 5~6월경 수피를 채취해서 적당한 크기로 잘라 햇볕에 말린다. 근피의 채취도 같은 방법으로 건조하면 된다. 잘게 자른 것은 종이포대 등에 넣어서 저장한다. 30cm 정도의 긴 것은 새끼로 다발로 묶어서 저장한다.

▶ 보존


두 옛날에는 총근탕이라고 해서 건위제 등의 원료오 사용했으나 지금은 거의 사용하지 않는다. [출처: 약초의 이용과 재배 499-500면]

두릅이 당뇨병 치료에 효험이 있다는 것이 밝혀졌다.

두릅나무껍질과 뿌리껍질은 오래전부터 당뇨병, 간장질병, 위염, 위궤양 등에 사용되어 왔는데 최근 어느 한 나라의 과학자가 두릅순에 있는 '에리토사이드'라는 물질이 당흡수억제작용이 높다는 것을 밝혀냈다. 두릅순에서 '에리토사이드'를 추출하여 만든 알약을 먹은 사람들속에서 혈당값이 내려 가고 간기능도 회복되었으며 비만도 훨씬 줄어 들었다. 대체로 사용하기 시작한지 한두달 지나서부터 효과가 나타난다고 한다.

봄철 올라오는 새순을 떼어내어 살짝 데쳐서 초고추장에 찍어 먹기도 하고 나물로 무쳐 먹기도하는데, 산채 가운데 고급품에 속한다. 맛이 상큼하고 먹기에 좋다. 참두릅과 개두릅 모두 식용한다. 

열매는 둥글고 크기는 3밀리 안팎인데 가을에 익으면 검게 변한다. 산행을 하다 두릅나무가 보이면 가시 때문에 피해갈 수 밖에 없다. 비닐 하우스에 재배된 것이 일찍이 시장에 나오는데, 야생 두릅이 효과 면에서 더욱 탁월하다. 

이른 봄에 움이 트기 전에 두릅순을 30센티 길이로 절단하여 땅에 꽃아 심으면 뿌리를 내리면서 두릅순을 채취할 수 있다. 밭가나 담장 울타리에 심어서 매년 식용으로 먹기도 한다.
 

상기 자료는 약초연구가로서 지구상에 존재하는 천연물질의 우수성을 널리 알리고 질병으로 고통을 겪고 있는 환우들에게 희망을 주며 기능성 식품과 신약을 개발하는데 통찰력을 갖게하고 약초를 사랑하는 모든 사람에게 정보의 목적으로 공개하는 것임을 밝혀 둔다.  

(글/ 초연구가 & 동아대 & 신라대 대체의학 외래교수 전동명)

두릅나무 사진 감상: 1, 네이버+구글+다음+일본구글+대만구글: 1, 2, 3, 4, 5,

두릅나무 상세 사진 웹사이트: 1, 2, 3,

문의 및 연락처: 010-2545-0777 ; 051-464-0307

홈주소: http://jdm0777.com

페이스북 주소: http://www.facebook.com/jdmsanyacho

이메일: jdm0777@naver.com


아래에 비슷한 식물들도 함께 검토해 보시기 바랍니다.

 

 

  1. 가시오가피 무엇인가?
  2. 독활 무엇인가?
  3. 두릅나무 무엇인가?
  4. 땃두릅나무(자인심) 무엇인가?
  5. 산삼 무엇인가?
  6. 송악(상춘등) 무엇인가?
  7. 엄나무 무엇인가?
  8. 인삼 무엇인가? 

 

 

※ 아래에 jdm 필자가 찍은 두릅나무 사진도 감상해 보시고 행복하시기 바랍니다~~~^.^

 

 

홈페이지 주소 : http://jdm0777.com 클릭하시면 홈으로 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