송악(상춘등) 무엇인가?

중남부 지방에 자생하는 상록성 덩굴나무

 

 

 

 

 

 

 

 

 

 

 

 

[송악의 잎, 꽃봉오리, 꽃, 익은 열매, 종자, 줄기, 줄기의 잔뿌리의 모습, 사진출처: 일본/대만/한국 구글 이미지 검색]

▶ 평간해독작용, 진정작용, 소염작용, 피부진균억제작용, 혈액순한촉진, 미친개에게 물린데, 탈항,
거풍, 소종, 풍습성 관절염, 안면신경마비, 현증, 간염, 황달, 피부가려움증, 종기, 요통, 고혈압, 피부 재생 촉진, 배농을 다스리는 송악(상춘등)

송악은 두릅나무과의 상록성 늘푸른 덩굴나무이다. 

송악의 학명은 <
Hedera rhombea Bean>이다. 남부지방에 바닷가나 산기슭에 나무나 바위를 감고 올라가는 특성이 있다. 길이는 10미터 정도까지 뻗어나가거나 나무를 타고 오른다. 담장나무, 상춘등, 송악으로 불린다. 잎은 서로 어긋나는데, 잎이 어린가지에서는 세모꼴로 생겼고 성숙한 가지에서는 마름모꼴로 바뀐다. 잎이 가죽과 같이 두텁고 빳빳하며 잎 표면에 윤기가 흐른다. 잎의 가장자리에는 톱니가 없이 밋밋하다. 9월에서 11월에 꽃이 피고 열매는 그다음 5월에 푸른색을 띄다가 익으면 검은색으로 오가피 열매 모양으로 둥글게 뭉쳐서 익는다. 

우리나라 중남부지방 및 제주도 산과 들에 야생하는데 대부분 큰 나무와 암석 위로 기어오른다. 정원에서 재배하기도 한다. 남부지방에서는 소가 잘 뜯어 먹는다고 하여 '소밥'이라고도 부른다.

거제도 어느 해변가에 있는 오래된 팽나무 거목에는 사람 팔뚝 굵기 만한 송악이 나무 전체를 감싸고 있는 모습을 볼 수 있다.

우리나라에서 송악이 자랄 수 있는 북방 한계선에
천연기념물 제367호인 전북 고창군 아산면 삼인리 산17-1번지에 줄기 둘레 80센티미터에 나무 높이가 15미터에 이르는 수백년된 송악이 자라고 있다.

송악의 여러 가지 이름은
상춘등[常春藤=cháng chūn téng=: 토고등:土鼓藤: 본초습유(本草拾遺)], 용린벽려[龍鱗薜荔: 일화자제가본초(日華子諸家本草)], 첨엽벽려[尖葉薜荔: 보제방(普濟方)], 삼각풍[三角風, 삼각첨:三角尖: 본초강목(本草綱目)], 상수오공[上樹蜈蚣: 분류초약성(分類草藥性)], 파장호[爬牆虎, 목척풍:木戚楓, 첨각풍:尖角楓, 산포도:山葡萄, 구모사:狗姆蛇: 중국수목분류학(中國樹木分類學)], 찬천풍[鑽天風: 사천중약지(四川中藥誌)], 백각오공[百脚蜈蚣: 중국약식도감(中國藥植圖鑑)], 찬시풍[鑽矢風, 풍하이등:楓荷梨藤: 강서(江西), 초약수책(草藥手冊)], 풍등초[風藤草: 서장상용중초약(西藏常用中草藥)], 이두남풍등[頭南楓藤, 삼각전:三角箭, 토풍등:土楓藤, 산골풍:散骨風, 삼엽목련:三葉木蓮: 절강민간상용초약(浙江民間常用草藥)], 키즈타[キヅタ=木蔦: 일문명(日文名)], 송악, 담장나무, 소밥, 큰잎담장나무 등으로 부른다.

송악의 열매를
상춘등자[常春藤子: 본초강목습유(本草綱目拾遺)], 송악열매, 상춘등열매 등으로 부른다.

[채취]


<줄기와 잎>


<중약대사전>: "가을에 채취한다."

<열매>


<중약대사전>: "늦가을에 채취한다.'

[성분]


<중약대사전>: "줄기는 탄닌(tannin) 12.01%, 나무진을 함유하고 있다. 잎은 hederin, inositol, carotene, 당류를 함유하고 있다. 또한 탄닌(tannin) 29.4%도 함유하고 있다."

[약리작용]


<중약대사전>: "동속 식물의 러시아산 상춘등(Hedera colchica C. Koch)에는 진정 작용이 있다. 다른 일종의 H. helix L.은 사포닌(saponin)을 함유하고 진균의 생장에 대하여 억제 작용이 있다.'

[성미]


<줄기와 잎>


1, <중약대사전>: "맛은 쓰고 성질은 서늘하다."

2, <본초습유>: "맛은 쓰다."

3, <본초재신>: "맛은 쓰며 성질은 약간 차고 독이 없다."

4, <서장상용중초약>: "맛은 달고 성질은 평하다."

<열매>


<본초강목습유>: "맛은 달며 성질은 따뜻하고 독이 없다."

[귀경]


<본초재신>: "간(肝), 비(脾)의 2경(經)에 들어간다."

[약효와 주치]


<줄기와 잎>


1, <중약대사전>: "풍사(風邪)를 몰아내고 습을 거두며 간기(肝氣)를 고르게 하고 해독하는 효능이 있다. 풍습성 관절염, 간염, 목현(目眩), 구안와사(口眼
斜: 안면신경마비증), 코피, 목예(目翳: 각막백반, 각막박예), 옹저(癰疽)와 종독을 치료한다."

2, <본초강목>: "풍습유주(風濕流注) 동통 및 옹저(癰疽)와 종독을 주로 치료한다."

3, <본초재신>: "간울(肝鬱)을 치료하고 비(脾)를 보하고 습을 거두며 풍을 제거하고 담을 풀리게 한다. 경락을 통하게 하며 혈을 순환시키고 조화시킨다. 동시에 기의 순환을 조절한다."

4, <본초편방>: "소아의 만성 경련, 풍담(風痰: 감기에 의한 체액 순환의 장애)을 치료하며 도상(刀傷: 칼에 베인 상처)과 개에게 물린 독을 제거한다."

5, <분류초약성>: "관절통과 근육통, 풍습에 의한 마비를 치료하는 데는 술에 담가 복용한다. 창독(瘡毒)을 치료한다."

6, <천보본초>: "간기(肝氣)를 평(平)하게 하고 기(氣)를 순통하게 하고 시력을 아주 좋게 하며 두훈(頭暈)을 치료한다."

7, <사천중약지>: "눈에 난 예(
) 및 간염을 치료한다."

8, <중국약식도감>: "소아의 백선(白癬: 기생충)과 종독을 치료한다."

9, <서장상용중초약>: "혈액 순환을 촉진시키고 근육과 힘줄을 풀며 해독한다. 풍습성 관절염, 간염, 타박상, 광견교상(狂犬咬傷: 미친개에게 물린데)등을 치료한다."

<열매>


<본초강목습유>: "빈혈, 노쇠, 뱃속의 모든 냉에 의한 혈폐(血閉: 빈혈 또는 월경중지)를 주치하며 허리와 다리를 강하게 하며 백발을 검게 한다."

[용법과 용량]


<줄기와 잎>


<중약대사전>: "내복: 1~3돈을 물로 달여 술에 담가 복용하거나 짓찧어 즙을 내어 복용한다.

외용: 달인 물로 씻거나 짓찧어 바른다."

<열매>


<중약대사전>: "내복: 1~3돈을 물로 달여서 복용하거나 술에 담가 복용한다."

송악의 효능에 대해서 북한에서 펴낸
<약초의 성분과 이용>에서는 이렇게 적고 있다.

[담장나무[Hedera rhombea Sieb. et Zucc. (H. tobleri Nakai)]

다른 이름:
상춘등, 송악

식물:
덩굴뻗는 사철푸른 나무이다. 잎은 두껍고 3~5각형으로 얕게 갈라졌다. 늦은 가을에 노란 풀색의 작은 꽃이 핀다. 열매는 둥글고 검게 익는다. 중부와 남부의 산과 들에서 자란다. 

성분:
헤데린 C41 H64 O11·H2O이라는 결정성 사포닌이 있다. 헤데린은 헤데라게닌 C30 H48 O4과 아라비노오스, 람노오스로 물분해되며 녹는점은 섭씨 332~334도 이다. 

열매에는 페트로셀린산, 팔미트산, 올레산, 리놀산, 적은 양의 페트로셀리딘산으로 된 기름이 있다. 줄기에도 잎에 있는 성분이 들어 있다. 

응용:
민간에서는 줄기와 잎을 물에 축여 짓찧어 얻은 즙을 각혈에 피멎이약으로 쓴다. 그러나 독성이 있으므로 쓰는 양에 주의해야 한다.] 

송악의 효능에 대해서 안덕균의《CD-ROM 한국의 약초》426호 에서는 아래와 같이 알려주고 있다.

[상춘등(常春藤)

[기원] 두릅나무과의 상록성 덩굴식물인 송악(Hedera rhombea Bean)의 줄기와 잎이다.

[성미] 맛은 쓰고, 약성은 서늘하다.

[효능주치] 거풍이습(祛風利濕), 평간해독(平肝解毒)한다.

[임상응용]

1. 풍습성(風濕性)관절염, 요통에 유효하며, 간염에 패장(敗醬)과 같이 달여서 복용한다.
2. 고혈압으로 어지럽고 구안와사가 발병한데에 쓰인다.
3. 피부종기에 소염과 배농작용 및 새로운 피부조직의 재생력을 촉진하는 데에도 효과가 있다.

[약리작용] 진정작용과, 피부진균의 억제작용을 나타낸다.

[화학성분] 탄닌(tannin), 수지 등을 함유하고 있다.]

송악의 효능에 대해서
<원색천연약물대사전>에서는 다음과 같이 기록하고 있다.  

[상춘등

상춘등은 상록성 덩굴줄기로서 10여미터 이상 자라며, 뿌리가 있다. 잎은 호생하고 난형내지 삼각형 난형, 또는 오각형이며 가죽질이고 잎에 광택이 있다. 10월에 녹색꽃이 피며, 열매는 11~12월로서 검게 익으며, 열매를 '상춘등자'라 하며 약용한다.

전북 등 남부 지방과, 울릉도 및 인천 앞바다까지 분포하며 나무나 바위로 기어 오르며 자란다.

가을에 채취하여 햇볕에 말린다. 그대로 썰어서 사용한다. 성질은 서늘하고 맛은 쓰다. 비장, 간경에 들어간다. 거풍, 청간, 소종의 효능이 있으며, 풍습성관절염, 안면신경마비, 현훈, 간염, 황달, 안질, 옹종을 낫게 한다. 하루 6~12그램을 물로 달이거나 생즙을 내어 복용한다. 외용시는 생잎이나 줄기를 짓찧어 환처에 붙이거나 또는 달여서 환처를 닦아 낸다.
]   


[
천연기념물 제367호 전북 고창군 아산면 삼인리 선운사 입구 송악의 줄기와 잎 모습, 사진 출처: jdm 직접 촬영, 2015년 10월 8일 JDM 필자와 약사모 여성 회원]

송악(상춘등)으로 질병을 치료하는 방법은 아래와 같다.

1, 간염

송악, 패장초(
敗醬草: 마타리 및 뚝깔의 뿌리)의 탕액을 복용한다. [강서(江西), 초약수책(草藥手冊)]

2, 관절 풍통(風痛) 및 요부산통(腰部酸痛)

송악의 줄기 및 뿌리 3~4돈, 황주(黃酒), 물 각각 절반으로 달여서 복용한다. 또 달인물로 환부를 씻는다. [절강민간상용초약(浙江民間常用草藥)]

3, 산후 감기에 의한 두통

송악 3돈을 황주(黃酒)로 볶은 다음 붉은 대추 7개를 가해 달여서 식후에 복용한다. [절강민간상용초약(浙江民間常用草藥)]

4, 정창(
疔瘡)에서 가운데가 파이고 주위가 검게 부은 증상의 치료
머리카락으로 엮은 끈으로 매고 송악을 짓찧은 즙을 꿀에 섞어서 한컵을 복용한다. 또한 총백(蔥白)과 꿀을 함께 찧어 환부에 바른다. [보제방(普濟方)]

5, 모든 옹저(癰疽)

송악 한줌을 곱게 찧어 술에 풀어서 온복한다. 오물을 내보내는 데에 매우 효과가 좋다. [외과정요(外科精要)]

6, 코피가 멎지 않는 증상

송악을 물로 갈아서 복용한다. [성제총록(聖濟總錄)]

7, 독을 드러내며 농을 배출시키는 치료법

신선한 송악 1냥을 물로 달여 조주(粗酒: 맛이 좋지 않은술 또는 남에게 대접하는 술 또는 막걸리 등의 술)에 타서 복용한다. [강서(江西), 초약수책(草藥手冊)]

8, 정창(
疔瘡), 부스럼
신선한 송악 2냥을 물로 달여서 복용한다. 외용으로는 신선한 송악잎을 짓찧어 설탕과 소주를 가하여 살짝 섞어서 바른다. [강서(江西), 초약수책(草藥手冊)]

9, 구안와사(口眼
斜: 안면신경마비증)
송악 5돈, 백풍등(白風藤) 5돈, 구등(鉤藤) 7개를 술 1근에 담갔다가 한 번씩 약주 5돈 또는 증류주를 적당량 복용한다. [귀양민간약초(貴陽民間藥草)]

10, 피부 가려움증

송악의 전초 1근을 물로 달여서 사흘에 한 번씩 목용한다. [귀양민간약초(貴陽民間藥草)]

11, 탈항(脫肛)

송악 2~3냥을 물로 달여 김을 쐬고 씻는다. [강서(江西), 초약수책(草藥手冊)]

연중 채취 가능하며, 송악의 잎이나 줄기 열매를 채취하여 말려놓았다가 하루 2~12그램의 소량을 물 2리터에 붓고 달여서 복용한다. 또는 생즙을 내어 복용한다. 종기의 치료에는 생으로 된 잎이나 줄기를 짓찧어서 환부에 붙이면 된다. 특히 평간해독작용이 있어 간을 맑게 해주는 귀중한 약나무이다. 우리나라 남부지방에서는 아주 흔하게 널려 있는 덩굴성 식물이지만 대부분 알아주지도 않고 바라보기만하는 식물이 되어 버렸다. 아무데서나 잘자라고 늘 푸른잎과 열매가 오가피 열매처럼 보기도 좋고 9~11월에 피는 흰꽃도 아름답기 때문에 누구나 잘 가꾸어 감상할 수 있다.

상기 자료는 약초연구가로서 지구상에 존재하는 천연물질의 우수성을 널리 알리고 질병으로 고통을 겪고 있는 환우들에게 희망을 주며 기능성 식품과 신약을 개발하는데 통찰력을 갖게하고 약초를 사랑하는 모든 사람에게 정보의 목적으로 공개하는 것임을 밝혀 둔다.  

(글/ 초연구가 & 동아대 & 신라대 대체의학 외래교수 전동명)

송악
사진 및 감상: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네이버+구글+다음+일본구글+대만구글: 1, 2, 3, 4, 5,

송악 상세 사진 일본 웹사이트: 1, 2, 3,

문의 및 연락처: 010-2545-0777 ; 051-464-0307

주소: http://jdm0777.com

페이스북 주소: http://www.facebook.com/jdmsanyacho

메일: jdm0777@naver.com

아래의 비슷한 덩굴성 식물들도 함께 참조해 보시기 바랍니다.

 

 

  1. 가시박 무엇인가?
  2. 개머루덩굴 무엇인가?
  3. 계뇨등 무엇인가?
  4. 나도하수오 무엇인가?
  5. 노박덩굴 무엇인가?
  6. 다래나무 무엇인가?
  7. 단풍마 무엇인가?
  8. 담쟁이덩굴 무엇인가?
  9. 댕댕이덩굴 무엇인가?
  10. 등나무 무엇인가?
  11. 등삼칠(운남백약) 무엇인가?
  12. 마(참마, 산약) 무엇인가?
  13. 마삭줄 무엇인가?
  14. 머루덩굴 무엇인가?
  15. 무화과잎 호박 무엇인가?
  16. 밀나물 무엇인가?
  17. 박 무엇인가?
  18. 백하수오 무엇인가?
  19. 사위질빵 무엇인가?
  20. 송악(상춘등) 무엇인가?
  21. 왕과 무엇인가?
  22. 위령선 무엇인가?
  23. 인동덩굴 무엇인가?
  24. 적하수오 무엇인가?
  25. 차요테(하야토우리) 무엇인가?
  26. 청가시덩굴 무엇인가?
  27. 청미래덩굴 무엇인가?
  28. 칡 무엇인가?
  29. 하늘타리 무엇인가?
  30. 호박 무엇인가?

 

 

※ 아래에 jdm 필자가 찍은 송악의 사진도 함께 감상해 보시고 행복하시기 바랍니다~~~^.^

 


 

홈페이지 주소 : http://jdm0777.com 클릭하시면 홈으로 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