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란(목단) 무엇인가?

꽃의 색깔이나 모양이 매우 아름다운 모란

 

 

 

 

 

 

 

 

 

 

 

 

 

 

[모란의 새싹, 어린잎, 겨울눈에서 싹이 트는 장면, 꽃봉오리, 붉은꽃, 흰꽃, 노란꽃, 어린가지 및 줄기의 나무껍질, 겨울눈, 익은 열매, 벌어진 열매, 종자의 모습, 사진출처: 일본/대만/한국 구글 이미지 검색]

▶ 항바이스 작용, 항균 작용, 진통 작용[아픔멎이 작용], 혈압을 낮추는 작용, 진정 작용, 진경 작용, 항염증 작용, 피멎이 작용[지혈 작용], 해열 작용[열내림 작용], 항경련 작용, 혈전형성 억제 작용, 항과민 작용, 위액분비 억제 작용, 동물의 자궁점막에 대해 충혈 작용, 위십이장궤양, 청열, 양혈, 화혈, 소어, 열입혈분, 발반, 해열, 진정, 경간, 토혈, 뉵혈[코피], 골증, 노열, 경폐, 징가, 변혈, 월경중지, 정원수, 공원수, 맹장염초기, 부인의 생리전 전신통과 발열, 여성의 히스테리, 장티푸스, 충수염, 빈뇨증, 금창, 팔의 골절에 의한 어혈, 진경, 정혈, 두통, 월경불순, 관절통, 지혈, 타박상, 부스럼, 위통, 상한의 열독으로 인한 완두콩 같은 창, 온병으로 발한되어야 할 것이 발한되지 못하고 혈이 뭉친 증세, 코피, 노혈이 멎지 않는 증세, 체내에 어혈이 적체된 증세, 얼굴색이 노란 증세, 대변이 검은 증세, 어혈을 없애는 데, 임신기 코피, 여자의 골증, 경맥의 불통으로 점차 여위고 쇠약해지는 증세, 장옹(충수염), 소복종비로 누르면 임증 같은 통증이 있는 증세, 빈뇨증, 자주 열이 나고 땀이 나며 오한이 반복되면서 맥이 불규칙하고 농이 생기지 않은 경우, 현옹이 각도(항문) 앞에 생겨 처음엔 소변 후에 몹시 가렵고 그 모양이 잣같으며 한달 후엔 복숭아와 같이 붉게 부어 후기에는 터져서 대소변이 그 구멍으로부터 나와 국노탕을 복용해도 없어지지 않을 경우, 하체에 창이 생겨 구멍이 났을 경우, 금창내루에서 출혈이 없을 경우, 팔의 골절에 의한 어혈의 치료, 고혈압[임상보고], 알레르기성 비염[임상보고], 소염, 진통, 오한, 경련, 요통, 각종 부인병을 다스리는 모란

모란은 작약과 모란속에 속하는 씨앗식물의 한종이다.

모란의 학명은 <Paeonia suffruticosa Andrews>이다. 모란은 1~2m 정도 자라는 넓은잎떨기나무이다. 잎은 두 번깃겹잎이며 어긋나게 붙는다. 쪽잎은 2~3갈래로 얕게 갈라진다. 갈래쪽의 변두리에는 톱니가 없다. 꽃은 5월에 피는데 약 10일 동안 피여 있다. 꽃받침잎은 5개이며 풀색이다. 꽃잎은 8개 또는 그 이상이다. 꽃잎은 흰색, 보라색, 연한 붉은색이다. 수꽃술은 많다. 암꽃술은 3~5개이다. 열매는 쪽꼬투리열매이며 9~10월에 익는다. 모란은 우리나라 각지에서 관상식물로 심어 기른다.  

원산지는 중국의 서부 지방이다. 뿌리껍질을 머리아픔, 배아픔, 뼈마디아픔 때 진통약, 해열약, 부인병 치료약으로 쓴다.   

모란속은 북반구에 약 30종이 자라고 있으며 우리나라에는 산작약(개삼, 산백작약), 적작약, 호작약(적작약), 작약(메함박꽃), 참작약(함박꽃, 가백작약, 집함박꽃, 백작약, 작약), 모란이 자라고 있다.

모란(牡丹)은 목단(
牧丹)에서 변하여 불려진 이름이다. 이 한가지 식물을 <
모란, 목단, 모란, 목란> 등 총 4가지 방법으로 부를 수 있다. 모란의 기본종은 꽃이 홑겹이고 검붉은 색깔이지만, 품종이 매우 다양해서 전세계 300여종 이상이 있으며 꽃의 색깔이나 모양이 대단히 아름답다.

참고로
2011년부터는 분류를 변경하여 모란[낙엽 활엽 관목]과 작약[다년생 초본 식물]을 작약과 작약속(芍藥科芍藥屬)으로 분류하고 있다. 한국과 중국은 작약과 작약속으로 표기하나 일본은 모란과 모란속인데, 학명 상 분류는 같다. 참고로 여기서 오해하면 안 되는것이, 학명 상 분류만 같을 뿐 모란과 작약은 엄연히 다른 종인데, 모란은 나무이며, 작약은 풀이다.

모란의 여러 가지 이름은
모란[牡丹
=mǔ dān=V, 녹구:鹿, 서고:鼠姑: 신농본초경(神農本草經)], 백출[白朮: 광아(廣雅)], 백량금[百兩金, 오모란:吳牡丹: 당본초(唐本草)], 목작약[木芍藥: 개원천보유사(開元天遺事)], 화왕[花王: 낙양명원기(洛陽名園記)], 낙양화[洛陽花: 군방보(郡芳譜)], 철각우[鐵角牛: 중약대사전(中藥大辭典)], 트리 피어니[Tree peony: 영명(英名)], 보탄[ボタン=牡丹: 일문명(日文名)], 모란[丹], 부귀화, 목단[牧丹] 등으로 부른다.

모란의 뿌리 껍질의 여러 가지 이름은
모란피[牡丹皮
=mǔ dān pí=V: 진주낭(珍珠囊)], 모란근피[牡丹根皮: 본초강목(本草綱目)], 난피[丹皮: 본초정(本草正)], 난근[丹根: 귀주민간방약집(貴州民間方藥集)], 목란피(牧丹皮), 모란뿌리껍질 등으로 부른다.

모란 꽃의 여러 가지 이름은
모란화[牡丹花
=mǔ dān huā=V후아: 민간상용초약휘편(民間常用草藥彙編)], 모란꽃, 목단꽃 등으로 부른다.

[채취]


<중약대사전>: "3~5년 재배한 모란을 골라 가을이나 초봄에 캐내어 흙을 깨끗하게 씻고 수염뿌리와 줄기 및 싹을 제외한 뿌리껍질을 깍아내어 햇볕에 말린다. 혹은 겉껍질을 벗기고 뿌리껍질을 깍아내어 양건해도 좋다. 전자를 원란피(原丹皮), 후자를 괄란피(刮丹皮)라고 한다."

[성분]


<뿌리껍질>


<중약대사전>: "뿌리에는 paeonol, paeonoside, paeonolide(paeonoside+arabinose), paeoniflorin이 들어 있다. 이 외에도 정유 0.15~0.4% 및 phytosterol 등이 들어 있다."

<꽃>


<중약대사전>: "꽃잎에는 astragalin이 들어 있다."

[약리작용]


<중약대사전>: "
1, 중추에 대한 작용: 마우스에게 paeonol을 복강내에 주사하거나 먹이면 진정, 최면, 진통 작용을 하고 정상인 마우스의 체온을 내려가게 하며(복강 내에 주사하거나 위에 관류했을 때) 인공적으로 발열시킨 마우스에 대해서도(장티푸스, 파라티푸스균의 주사에 의한) 해열 작용을 한다. 또 전기 쇽이나 약물에 의한 경련에 길항하는 작용도 한다.

2, 혈압을 낮추는 작용:
란피(
丹皮)의 탕제(생약 0.75g/kg에 해당)는 마취한 개, 고양이, rat에 대하여 모두 혈압을 낮추는 작용을 한다. paeonol과 paeonol을 제거한 탕액은 급성 동물 실험에서도 강압 효과를 나타낸다. 실험성 고혈압(원발형과 신장형)인 개와 rat에게 경구 투여시키면 모두 혈압을 낮추는 작용을 하지만 비교적 효과가 늦다. 이것은 위와 장관으로부터의 흡수가 늦기 때문일 것이다.

3, 항균 작용:
in vitro에서 백색 포도상 구균, 고초균, 대장균, 장티푸스균 등에 대하여 아주 강한 항균 작용을 한다. 모란피(
牡丹皮)는 적리균, 장티푸스균에 대한 작용이 뚜렷하고(in virot에서 배수 희석법에 의함) pH 7.0~7.6일 때 살균력이 가장 강하다. 한천(寒天) 평판개구법(平板開九法) 등에 의한 장티푸스균, 적리균, 파라티푸스균, 대장균, 변형균(Bacillus proteus), 녹농균, 포도상 구균, 용혈성 연쇄상 구균, 폐렴구균, 콜레라균 등의 여러 가지 세균에 대하여 정도의 차이는 있지만 각기 억제 작용을 한다. paeonol은 in vitro에서 대장균, 고초균(hay bacillus), 황색포도상구균 등에 대하여 억제 작용을 한다. 란피(丹皮)의 침전액은 in vitro에서 녹색 소포자균 등 10종의 피부 진균에 대해서도 상당한 억제 작용을 한다.

4, 기타 작용:
paeonol은 rat의 뒷다리 발꿈치의 부종에 대하여 억제 작용을 하며 혈관의 투과성을 저하시킨다. 모란피(
牡丹皮)에서 paeonol을 제거하면 상술한 작용은 소실된다. 닭의 배(胚)로 실험한 것에 의하면 모란피(牡丹皮)에는 상당한 항바이러스 작용 효과가 있다는 것을 알았으나 마우스 위에 관류하여 인플루엔자(influenza) 바이러스(virus)에 재감염되었는가에 대한 결과는 여러 가지이므로 모란피(牡丹皮)의 항바이러스 작용은 아직 긍정적으로 볼 수 없다. 

5, 독성
: 모란피(牡丹皮)와 paeonol의 독성은 약하다. 마우스에 대한 paeonol의 LD50(48시간 관찰)은 정맥 주사 시 90mg/kg, 복강 주사시 78mg/kg, 위에 관류시 3430mg/kg이다. paeonol을 50% 낙화생유에 용해시켜 마우스에 1차로, 위에 관류시켜 3일간 관찰했더니 그 LD50은 4.9±0.47g/kg이었다. 실험성 고혈압인 개의 재료에 사용해도 간장 기능, 혈장, 혈액의 비단백성 질소, 심전도 등의 이상은 보이지 않았으나 눈의 분비물이 약간 많아지고 눈의 점막에 충혈 현상이 나타났다. 히말라야산 희마모란(喜馬牡丹: Paeonia emodi)의 열추출물은 각종 동물의 자궁에 대하여 모두 흥분 작용을 하지만 개구리의 심장에 대하여는 억제 작용을 하고 토끼, guinea pig의 장관에 대하여는 경련 완화 작용을 한다. 약용 모란(牡丹: Paeonia officinalis의 알코올 추출물은 알코올을 증발시킨 후에도 개구리의 심장에 디기탈리스(digitalis)와 같은 작용을 나타내고 자궁을 흥분시키며 마우스 및 토끼의 장관을 억제하고 rat의 혈압을 약간 저하시키지만 진통 및 항경련 작용은 하지 않는다(전기 쇽 및 pentetrazol의 쇽에 의함)."

[포제(
炮製)]

<1, 모란피(
牡丹皮): 불순물과 목심(木心)을 제거하여 깨끗이 씻은 후 물이 충분히 스며들게 한 후 얇게 썰어서 햇볕에 말린다.

2, 초란피(炒丹皮):
란피(
丹皮)를 뜨거운 남비에 넣고 누런 색이 될 때까지 계속해서 저으며 볶아서 꺼내어 식힌다.

3, 란피탄(
牡丹皮炭): 모란피(牡丹皮)를 남비에 넣고 센 불에서 약성이 남을 정도로 검게 탈 때까지 볶는다. 맑은 물을 끼얹어 꺼낸 후 충분히 식힌댜ㅏ. >

[성미]


<뿌리껍질>


<중약대사전>: "맛은 맵고 쓰며 성질은 서늘하다."

<꽃>


<사천중약지>: "맛은 약간 싱거우며 성질은 평하고 독이 없다."


[귀경(歸經)]


<중약대사전>: "심(心), 간(肝), 신경(腎經)에 들어간다."

[약효와 주치]


<뿌리껍질>


<중약대사전>: "열을 내리고 혈분(血分)에서 열사(熱邪)를 제거하며 혈액순환을 조절하고 어혈을 없애는 효능이 있다. 열이 혈분(血分)에 들어간 증, 발반(發斑), 경간, 토혈, 코피, 변혈, 골증노열(骨蒸勞熱), 월경중지, 징가(
癥瘕), 옹양(癰瘍), 타박상을 치료한다."

<꽃>


1, <민간상용중초약휘편>: "월경을 조절하고 혈액순환을 촉진시킨다."

2, <사천중약지>: "월경불순을 치료하고 경맥을 통하게 하며 복통을 치료한다."

[용법과 용량]


<뿌리껍질>


<중약대사전>: "내복: 1.5~3돈을 물로 달여서 복용한다. 또는 환을 짓거나 가루내어 복용한다."

<꽃>


내복: 1~2돈을 물로 달여서 복용한다.

[
배합(配合)과 금기(禁忌: 주의사항)]

<뿌리껍질>


1, <중약대사전>: "혈허(血虛)하고 한(寒)한 자, 임신부 및 월경이 과다한 환자는 복용에 주의해야 한다."

2, <신농본초경집주>: "토사자(
菟絲子)와 함께 쓰면 안된다."

3, <고금록험방>: "호수(
胡荽: 고수풀)를 금한다."

4, <당본초>: "패모(貝母), 대황(大黃)을 꺼린다."

5, <일화자제가본초>: "산(蒜)을 금한다."

6, <본경봉원>: "진액을 배출시키기 때문에 자한(自汗) 증상이 있는 환자는 사용해서는 안 된다. 산혈(散血)하는 성질이 강하기 때문에 무근각(無根脚: 아직 발진이 나타나지 않는 증)이 확산되지 않게 두진(痘疹) 초기에는 쓰지 말아야 한다."

7, <득배본초>: "위기(胃氣)가 허냉(虛冷)하고 상화(相火)가 쇠약한 사람은 사용해서는 안 된다."

모란의 효능에 대해서 북한에서 펴낸
<약초의 성분과 이용>에서는 이렇게 기록하고 있다.

[모란(

학명:
Paeonia suffruticosa Andrews

과명:
작약과

다른 이름:
목단, 목작약, 모란꽃

식물:
높이 약 1.5m 되는 나무이다. 잎은 1~2번 3겹잎이고 쪽잎은 3~5개로 갈라졌다. 이른 여름에 큰꽃이 피는데 꽃색은 여러 가지이다.

각지에서 약초 또는 꽃보기식물로 심는다. 새로 키우려면 기간이 오래 걸리므로 함박꽃뿌리에 모란가지를 접하여 빨리 자라게 하기도 한다.

뿌리껍질(목란피):
가을에 뿌리를 캐어 물에 씻은 다음 목부를 빼 버리고 햇볕에 말린다.

성분:
뿌리껍질과 목심에는 페오놀 배당체인 페오노시드(페오놀-β-D-글루코시드), 페오놀리드(페오놀-β-람노글루코시드), 페오니플로린이 있다. 이밖에 안식향산, β-시토스테롤, 캄페스테롤, 페오놀이 있다.  

페오놀 배당체는 약재를 보관할 때 분해되어 페오놀 C9 H10 O3(녹는점 52℃, d18 1,310, n18 1,5432, 알코올과 에테르, 클로로포름에 풀린다)의 결정이 약재의 겉면에 내돋는다.

페오놀의 함량은 뿌리 껍질에서 1.8~1.9%이다.

줄기껍질에는 페오놀은 없고 페오놀리드, 페오니플로린이 있다. 꽃에는 펠라르고닌(클로리드) C27 H31 O15 C1·3½H2 O, 페오닌(클로리드) C28 H33 O16 C1·5H2 O이 있다. 꽃에도 펠라르고닌과 페오닌이 들어 있다.

모란뿌리껍질의
중요한 약리작용 물질은 페오놀과 그의 배당체로 보고 있다. 이 성분은 모란의 뿌리에만 있고 줄기와 함박꽃에는 없다고 한다. 따라서 함박꽃뿌리에 모란가지를 접하여 키운 식물의 뿌리에 페오놀이 들어 있는지 의문이다. 일부 문헌에는 이렇게 접한 식물의 뿌리껍질에는 페오놀이 없다는 자료가 있다.

요즘에 모노테르펜 화합물로서 페오니플로린뿐만 아니라 옥시페오니플로린, 벤조일페오니플로린, 벤조일옥시페오니플로린이 분리되었다.

페오놀이 약품으로 이용되면서 자원식물이 검토되었는데
산해박뿌리에 0.09~1.2% 있으며 앵초속 식물에도 적은 양 있다는 것이 밝혀졌다.

작용:
페오놀은 진정작용, 열내림작용, 아픔멎이작용(진통작용), 진경작용과 같은 중추억제 효과가 있으며 항염증작용, 피멎이작용(지혈작용)도 있다. 페오놀을 먹인 동물은 진정상태에 빠져 자발운동이 약해진다. 카페인을 먹여 항진된 자발운동도 약해진다. 또한 헥소바르비탈에 의한 수면시간을 길게 한다. 혈압도 내린다.  

열내림작용은 배 안에 넣을 때보다 먹일 때 뚜렷하고 오래 간다. 장티푸스와 파라티푸스 혼합백신에 의한 열나기에는 센 열내림작용이 있다. 스트리크닌, 니코틴에 의한 경련도 억제한다.

페오놀의 항염증작용은 초산에 의한 흰쥐 뒷다리의 부기를 억제한다. 또한 모세혈관의 투과성을 낮춘다. 독성은 약하며 배 안에 넣을 때 781mg/kg, 먹일 때 3,430mg/kg이다.

모란 뿌리껍질 추출물은 많은 양을 먹일 때에도 자발운동에 대한 진정작용 또는 열내림작용이 뚜렷하게 나타나지 않는다. 그러므로 이 약초의 약리작용 물질은 페오놀이라고 생각된다.

응용:
동의치료에서 진정약, 열내림약, 염증약, 아픔멎이약, 정혈약으로 오한과 열나기, 경련과 머리아픔, 배아픔, 월경불순과 허리아픔에 쓴다.

모란뿌리껍질은 복숭아씨와 함께 쓸 때 염증을 없애고 몸 안의 피를 잘 통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고 본다.

모란뿌리껍질 달임약(6g:200cc):
하루 3번 나누어 먹는다. 월경불순, 머리아픔, 관절아픔, 피나기, 타박상, 부스럼 등에 쓴다.

대황목란피탕:
대황뿌리 2g, 모란뿌리껍질, 복숭아씨, 망초 각각 4g, 박씨 6g을 달여 하루 3번 나누어 뜨거울 때 마신다. 변비, 아픔, 열나기가 있는 하반신의 여러 가지 염증, 충수염, 결장염, 직장염, 치질에도 쓴다.  변비가 없을 때에는 처방에서 대황뿌리와 망초를 뺀다.  

참고:
페오놀의 추출분리: 동약재를 가루내어 에테르로 여러 번 우려낸다. 여기에 알칼리 용액을 넣고 흔들면 페오놀이 물층으로 옮겨간다. 이 물층을 황산산성으로 한다. 다시 에테르를 넣고 흔든 다음 에테르층에서 에테르를 회수하고 졸이면 페오놀의 조결정이 얻어진다. 이것을 묽은 알코올로 정제한다. 10~20mg을 근육주사한다.]

목란피의 효능에 대해서 안덕균의《CD-ROM 한국의 약초》에서는 이렇게 알려주고 있다.

[목란피(牧丹皮)

[기원] 작약과의 여러해살이 초본식물인 모란(Paeonia suffruticosa Andr.)의 뿌리껍질이다.

[성미] 맛은 쓰고 매우며, 약성은 조금 차다.

[효능주치] 청열량혈(淸熱凉血), 활혈거어(活血祛瘀)한다.

[임상응용]

1. 혈열(血熱)로 인한 피부반진(斑疹, 반은 점모양 또는 특이한 크기의 색깔 변화가 있어 볼 수는 있으나 만질 수는 없는 것이고, 진은 싸락처럼 도드라져 나와 볼 수도 있고 만질 수도 있는 것), 코피, 토혈에 유효하며, 부인의 생리전 전신통과 발열이 있는 것을 치료하며, 허열(虛熱)을 내리므로 땀이 안 나면서 뼛골이 쑤시는 것을 다스린다.
2. 간울화왕(肝鬱火旺)으로 혈압이 높고 가슴이 답답하면서 열이 많은 증상을 치료한다.
3. 혈액순환을 촉진시키고 어혈(瘀血)을 제거하므로 생리기간이 지나도 생리가 없고 혹 있어도 통증이 심한 증상을 완화시킨다.
4. 타박상이나 어혈(瘀血)로 인한 전신통을 치료한다.
5. 소염작용이 있어 종기가 신체의 내부나 외부에서 발생된 것을 치료하고, 맹장염 초기에 신통한 효력을 나타낸다.

[임상연구]

1. 과민성비염에 달인물을 매일밤 50㎖씩 복용하고 일정한 반응을 얻었다.
2. 원발성혈소판감소성 자전(紫癜:목이나 몸통 등 땀이 많이 나는 부위에 희기도 하고 푸르기도 한 꽃보라 모양의 반점이 생기는 것)병에 유효성을 인정하였고, 이질치료에도 효험을 나타냈다.

[약리]

1. 중추신경계통에 작용하여 진통, 진정, 해열, 항경련작용을 나타낸다.
2. 항염증작용과 혈전형성억제작용, 항과민작용 등이 나타난다.
3. 위액분비억제작용이 있어 위십이지장궤양을 예방한다.
4. 동물의 자궁점막에 대해 충혈작용이 있어 생리를 정상으로 유도한다.
5. 황색포도상구균, 용혈성연쇄상구균, 폐렴쌍구균, 콜레라균에 비교적 강한 항균작용을 나타낸다.

[화학성분]

paeoniflorin, oxypaeoniflorin, benzoylpaeoniflorin, paeonol, paeonoside, apipaeonoside, benzoyloxypaeoniflorin, 2,3-dihydroxy-4-methoxyaceptophenone, 1,2,3,4,6-pentagallotl-glucose 등을 함유하고 있다.]

모란 뿌리인 목란피의 효능에 대해서 중국에서 펴낸 <중국본초도록> 제 1권 44면 61호에서는 다음과 같이 기록하고 있다.

[목란피(牧丹皮)

기원: 작약과(芍藥科: Ranunculaceae)식물인 목단(牧丹=모란: Paeonia suffruticosa Andr.)의 근피(根皮)이다.

형태: 다년생 낙엽관목으로 높이는 1∼1.5m이다. 잎은 어긋나고, 2회(回) 삼출복엽(三出複葉)이며 난형(卵形) 또는 광난형(廣卵形)이고 정생(頂生)하는 소엽(小葉)은 항상 셋으로 갈라지며, 측생(側生)하는 소엽(小葉)도 장상(掌狀)으로 3열(裂)한다. 꽃은 단생(單生)하고 크기가 크며, 꽃받침잎은 5장이고, 꽃잎은 5장 혹은 더 많으며 재배품종의 대부분은 겹꽃이 있고 변이가 많으며 장미색을 비롯하여 홍(紅), 자(紫), 백색(白色) 모두 있다. 수술은 여러 개이고 수술대는 홍색(紅色)이며, 암술은 2∼5개로 암술머리는 엽상(葉狀)이고 화반(花盤)은 술잔모양이다. 열매는 2∼5개의 골돌(蓇葖)로 된 취생과(聚生果)이다.



분포: 양지바른 곳에서 자라고 항상 정원에서 재배한다. 중국 각지에서 모두 재배한다.

채취 및 제법: 가을과 봄에 뿌리를 캐고 껍질을 벗겨서 햇볕에 말린다.

성분: Paeond, paeoniflorin 등.

기미: 맛은 맵고 쓰며 성질은 서늘하다.

효능: 청열(淸熱), 양혈(凉血), 화혈(和血), 소어(消瘀).

주치: 열입혈분(熱入血分), 발반(發斑), 경간(驚癎), 토혈(吐血), 뉵혈(衄血), 변혈(便血), 골증(骨蒸), 노열(勞熱), 경폐징가등(經閉癥瘕等).

용량: 4∼12g.

참고문헌: 중약대사전, 상권, 2292호.]

모란의 효능에 대해서 한미허브연구소에서 펴낸
<원색세계약용식물도감> 152면 377호에서는 다음과 같이 기록하고 있다.

[
모란

과명:
작약과

학명:
Paeonia suffruticosa Andr.

영명:
트리 피어니(Tree peony)

일명:
보탄(
ボタン=牡丹)

낙엽 활엽 관목으로 높이 1~1.5m로 자란다. 잎은 2회 3출 복엽으로 길이 20~25cm이다. 중간의 작은 잎은 광난형으로 길이 7~8cm, 폭 5~7cm이고 흔히 3갈래로 갈라지거나 거친 톱니가 있다. 꽃은 가지 끝에 붉은색으로 대형으로 피고 화탁이 주머니 모양으로 씨방을 둘러싼다. 과실은 골돌과로 짧은 털이 나고 종자는 둥글고 검다.

분포:
중국이 원산으로 전국에서 재배한다.

약효:
해열, 소염, 진통, 정혈, 고혈압, 진경에 사용한다.

사용법:
근피 15g을 물 1리터로 달여 일 2~3잔 마신다.]

모란꽃과 관련한 구구한 내력에 대해서 최영전의
<한국민속식물>에서는 이렇게 적고 있다.

[모란(牡丹)

모란은 아득한 옛날부터 오랜 세월 동안 화중왕(花中王: 꽃가운데 임금이란 뜻)으로 군림해 왔다. 활짝 핀 꽃 모양이 어느 꽃보다도 크고 복스러워 보이며 호화로우리 만치 아름다우면서도 야하지 않아 마치 군자의 상(相)을 대한 듯하다 해서 화중왕이라 했다 한다. 그래서 모란은 대개 부귀(富貴)를 나타내는 꽃으로 일컫는다.

모란이 우리나라의 정신문화에 끼친 영향은 단적으로 표현해서, 병풍의 그림에는 반드시 부귀(富貴)를 기원하는 뜻으로 그려졌고 한옥의 벽장문에는 어김없이 모란 그림이 그려진 벽장지를 붙였던 것으로 미루어 얼마만큼 모란을 좋아했나 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안뜰이나 후원에는 반드시 모란을 심었고 도자기의 도안이나 나전칠기의 도안 등으로서, 장롱, 문갑뿐 아니라 어느 집에나 한두 개씩 있는 백항아리의 모란 그림은 모두가 부귀를 기원하는 순박한 소망이 서려 있는 있었던 것이다. 모란은 중국이 원산지로서 옛날 수나라의 양제 때부터 재배가 시작되었으며 당나라 때는 궁중 뿐 아니라 민가에서도 재배가 성행했다고 한다.

모란이 우리나라에 들어온 역사는 다른 꽃과는 달리 뚜렷한 기록과 함께 흥미있는 일화를 남기고 있다. 삼국유사에 보면 신라 진평왕 때 당태종으로부터 홍(紅), 자(紫), 백(白)의 3색 모란을 그린 그림과 함께 그 씨 3되를 보내왔는데 그때 아직 어린 공주였던 선덕여왕은 『꽃은 아름다우나 벌, 나비가 없으니 반드시 향기가 없으리라』고 하였다. 과연 그 씨를 심어 꽃이 핀 후에 보니 향기가 없었으므로 공주의 명민한 선견을 칭찬했다는 일화가 전해져 온다.

또 화왕계(花王戒)에 얽힌 일화도 있다. 신라 신문왕때 설총(薛聰)은 임금으로부터 재미있는 이야기를 하라는 명을 받고 다음과 같은 말을 했다.『모란이 백화의 왕일 때 많은 꽃 중에서 장미라는 요염한 가인(佳人)이 아양으로 아첨하니 길가의 할미꽃이 허리를 구부리고 화왕에게 충언직간을 했는데 요염한 장미에 홀린 화왕은 할미꽃의 충언이 옳은줄 알면서도 장미에게 끌려 갔습니다. 그것을 본 할미꽃은 「왕의 총민(聰敏)이 의리를 명찰하시리라 믿었는데 정작 가까이 와서 보니 그렇지 못하외다. 예로 인군이 요염을 가까이하면 충직을 소원하게 되는 것이니 필경 패망을 부르지 않을 리 없습니다. 서시 같은 요희가 나라를 뒤집고, 맹자 같은 현인이 뜻을 얻지 못한 것입니다. 이런즉 신(臣)인들 어찌하리까」하고 사의를 표하므로 화왕이 그제야 깨닫고 할미꽃에게 사과했다』는 이야기를 들려주자 신문왕은 의중유의(意中有意: 뜻 속에 뜻이 있다)의 풍유(諷諭: 풍자와 비유)가 왕자의 계(戒)가 될 만하니 글로 만들라고 했다. 이것이 바로 "화왕계"이며 이로써 설총은 비유하여 풍간(諷諫)했다는 것은 신라역사에 모란이 남긴 아름다운 고사다.

모란, 즉 모란(牡丹)은 당나라 때 일명 목작약(木芍藥)이라고도 불렀는데 그것은 꽃은 작약과 흡사하며 줄기는 나무로 되어 있기 때문인데, 작약이 약초였던 것처럼 모란도 관상용과 약용의 비중이 백중했던 때문인 것 같다. 그래서 모란의 근피는 민간약으로 요통, 월경불순, 냉증, 진통, 해열 등에 쓰였으며 잎은 화상에 쓰기도 했다.

신라 때 들어온 모란의 기록 외에도 고려 충숙왕이 원나라 공주와 결혼하여 본국으로 돌아올 때 원나라 천자가 진귀한 화초를 많이 주었는데 그중에 모란의 황, 백, 적, 홍 등도 있었다고 하니 모란은 이미 그때도 여러 가지 색깔이 있었음을 알 수 있다.

모란의 다양한 색깔에 얽힌 일화로는 중국의 시인이며 경세가인 한퇴지(韓退之)와 학문하기 싫어하는 조카 사이에 얽힌 것이 있다. 하루는 한퇴지가 조카를 꾸짖으며 『사람은 한 가지 재주는 있는데 너는 무슨 재주가 있느냐』고 물었는데 그는 『모란만은 뜻대로 가꿀 수 있다』고 대답하며 『마침 모란이 피고 있으니 한번 색다른 꽃을 피워 보이겠다』하고 1주일만 여유를 달라고 했다. 장막을 둘러치고 그 속에서 1주일을 지낸 후 장막을 거두면서 『이중에서 한 포기의 꽃이 피거든 잘 살펴보시라』고 말하고는 고향으로 돌아갔다. 1개월 후 꽃이 피어 살펴보니 꽃 속에 글씨가 한자씩 나타났는데 14송이에 자기가 어려서 고향을 떠나올 때 지은 시구였더라는 믿기 어려운 놀라운 일화를 남기고 있다.

중국 사람은 모란을 얼마나 사랑하였는지 모란꽃 밑에서 죽는 것은 풍류롭다고 하여 「모란화하사주귀세풍류(牡丹花下死做鬼世風流)」라는 말이 생겼을 정도다. 그것을 잘 나타낸 것이 명나라의 탕임천(湯臨川)이 지은 희곡 「모란정환혼기」이다. 내용인즉 두보(杜寶)의 자손인 남안부 태수 두보(杜寶)의 딸 여랑(麗娘)이 후원에 있는 모란정에서 꿈을 꾸었는데 꿈속에 본 청년을 사모하다 병이 되어 죽고 말았다. 유종원(柳宗元)의 28대손 유춘경이 광동에 가 있을 때 꿈에 매화나무 밑에 서 있는 미인을 보고 그녀를 사모하여 이름을 몽매(夢梅)라고 고쳤는데 그가 과거보러 가는 길에 매화암(梅花菴) 속에서 비바람을 피하고 있다가 그 암자 뜰에 있는 돌 틈에서 여랑의 화상을 발견하고는 그 여자가 꿈속에서 본 여인과 똑같은 데 놀랐다. 이로부터 몽매는 여랑을 더 사모하게 되었으며 여랑은 죽은 지 3년 만에 저승에서 판정에 의해 다시 인간으로 살아나 몽매와 함께 임안으로 가서 산다는 이야기이다. 그래서 모란정환혼기(牡丹亭還魂記)라 했다는 것이다.
]

목란피에서 암세포 증식을 억제하는 작용이 있다는 연구결과에 대해
<
네이버 뉴스 2010-12-29, 연합뉴스 2010. 12. 29>에서는 이렇게 알려주고 있다.

[
≪ 한약재 '목란피'에서 새 항암물질 발견 ≫

한약재로 많이 쓰이는 목란피에서 추출한 물질이 암세포 증식을 막는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습니다.

경희대 한의과대학 배현수 교수팀은 목란피에 함유된 '메틸 갈레이트'가 조절T세포를 효과적으로 차단해 결과적으로 면역세포가 암세포를 파괴하도록 돕는다는 사실을 밝혀냈습니다.

조절T세포는 암세포가 면역세포로부터 공격받을 때 끌어들이는 특이한 세포로, 면역세포의 활동을 억제하는 기능을 합니다.

연구팀은 암세포 뿐 아니라 정상세포까지 죽이는 기존 항암제의 한계를 극복할 새로운 치료제를 개발할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했습니다.

이번 연구결과는 권위 있는 국제 학술지 '면역학 저널' 12월호에 실렸습니다.

≪ 국내서 '목란피(牧丹皮) 연구' 새 항암물질 발견 ≫


정상세포에 독성 기존 항암제 극복

한의학에서 염증 치료제로 사용되는 목란피(牧丹皮)가 암세포 증식을 억제한다는 사실이 국내 연구진에 의해 규명됐다.

2010년 12월 29일 교육과학기술부에 따르면 경희대 한의학대학 배현수 교수팀은 목란피(牧丹皮)에 함유된 성분 '메틸 갈레이트(methyl gallate)'가 조절 T세포의 이동을 효과적으로 차단, 암세포 증식을 억제한다는 사실을 입증했다.

이번 연구결과는 면역학 분야의 권위 있는 국제 학술지인 '면역학저널(Journal of immunology)' 12월호에 게재됐다.

연구진은 면역세포의 한 종류인 조절 T세포가 증가할수록 암세포의 사멸을 유도하는 면역세포의 기능이 억제돼 생체 내의 항암 면역 기능을 저하시킴으로써 빠른 속도로 암을 증식시킨다는 사실에 주목했다.

이에 연구진은 270여종의 한약재를 일일이 확인한 결과 목란피(牧丹皮)가 조절 T세포의 기능을 선택적으로 억제하고, 특히 목란피(牧丹皮)에 함유된 성분인 메틸 갈레이트가 조절 T세포의 암세포로의 이동을 효과적으로 차단해 암세포의 증식을 억제한다는 것을 밝혀냈다.

또한 배 교수팀은 면역력 유무에 따라 메틸 갈레잍의 항암효과도 달라진다는 사실을 동물실험을 통해 검증했다.

배 교수는 이번 연구에 대해 "암세포뿐 아니라 정상세포에도 독성을 일으키는 기존 항암제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새로운 물질을 한약재인 목란피(牧丹皮)에서 발견했다는 점이 중요하다"고 의미를 부여했다.
]

모란속의 비슷한 식물 4가지를 나열하면 다음과 같다.

1, 메함박꽃[Paeonia albiflora Pallas(Paeonia lactiflora Palls var. hirta Regel)]의 다른 이름은 작약, 호작약이다. 뿌리를 적작약 또는 작약이라고 한다.  

2, 함박꽃(Paeonia albiflora Pallas var. trichocarpa Bunge)의 다른 이름은 참작약, 가백작약, 집함박꽃이라고 한다. 뿌리를 백작약 또는 작약이라고 한다.

3, 산작약[Paeonia obovata Maximowciz.(Paeonia japonica {Mak.} Miyabe et Takeda)]의 다른 이름은 개삼, 산백작약, 초작약이라고 한다. 뿌리를 백작약이라고 부른다.  

4, 모란(Paeonia suffruticosa Andrews)의 다른 이름은 목단, 목작약, 모란꽃이라고 한다. 뿌리껍질을 목란피라고 부른다.  

모란으로 질병을 치료하는 방법은 아래와 같다.

1, 상한(傷寒)의 열독으로 인한 완두콩 같은 창(瘡)

모란피(牡丹皮), 산치자인(山梔子仁), 검은 꼴술을 제거한 황금(黃芩), 짓찧어서 볶은 대황(大黃), 목향(木香), 뿌리와 마디를 제거한 마황(麻黃) 등 6가지 생약을 같은 양으로 취하여 마두(麻豆) 크기로 짓찧은 후 1회 3돈을 물 한컵에 넣어 7할이 되게 달인 후 찌꺼기를 버리고 따뜻할 때 복용한다. [성제총록(聖濟總錄), 모란탕(牡丹湯)]

2, 여자의 히스테리에 대한 치료

모란피(牡丹皮) 반 냥, 연기가 나지 않을 때까지 태운 건칠(乾漆) 반냥을 물 2간에 넣어 1잔이 될 때까지 달여서 복용한다. [제증변의(諸症辨疑)]

3, 장티푸스 및 온병(溫病)으로 발한되어야 할 것이 발한되지 못하고 혈이 뭉친 증세, 코피, 노혈이 멎지 않는 증세, 체내에 어혈이 적체된 증세, 얼굴색이 노란 증세, 대변이 검은 증세, 어혈을 없애는 치료

서각(犀角) 1냥, 신선한 지황(地黃) 8냥, 작약(芍藥) 3냥, 모란피(牡丹皮) 2냥을 잘 게 썰어 물 9되에 넣어 3되가 될 때까지 달여서 3회로 나누어 복용한다. [천금방(千金方), 서각지황탕(犀角地黃湯)]

4, 임신기 코피

모란피, 황금(黃芩), 포황(蒲黃), 백작(白芍), 측백엽(側柏葉)을 함께 곱게 가루낸 후 쌀풀로 환을 지어 빈속에 끓인 물로 100알을 복용한다. [비전내부경험여과(秘傳內府經驗女科)]

5, 여자의 골증(骨蒸), 경맥(經脈)의 불통으로 점차 여위고 쇠약해지는 증세

모란피(牡丹皮) 1냥 반, 겉껍질을 제거한 계(桂) 1냥, 짓찧어서 볶은 목통(木通) 1냥, 작약(芍藥) 1냥 반, 식초로 구워 군란(
裙襴)을 제거한 별갑(鼈甲) 2냥, 토과근(土瓜根) 1냥 반, 뜨거운 물에 담가 껍질, 첨쌍인(尖雙仁)을 제거하여 볶은 도인(桃仁) 50개를 거칠게 짓찧어서 체로 친다. 이것을 1회에 5돈당 물 한 컵 반의 비율로 취하여 한 컵이 될 때까지 달여 찌꺼기를 버리고 2회로 나누어 공복 시와 식후에 각각 1회 따뜻하게 하여 복용한다. [성제총록(聖濟總錄), 모란탕(牡丹湯)]

6, 장옹(腸癰: 충수염), 소복종비(小腹腫
)로 누르면 임증(淋症) 같은 통증이 있는 증세, 빈뇨증, 자주 열이 나고 땀이 나며 오한이 반복되면서 맥이 불규칙하고 농이 생기지 않은 경우는 복용할 수 있다. 하혈, 맥이 홍수(洪數: 강하게 뛰는 것)하고 농이 생겼을 때에는 복용할 수 없다.
대황(大黃) 4냥, 모란(牡丹) 1냥, 도인(桃仁) 50개, 과자(瓜子) 반 되, 망초(芒硝)를 넣어 다시 달여 끓인 것은 돈복한다. 농이 있으면 곧 나오고 농이 없을 때엔 하혈한다. [금궤요략(金
要略), 대황모란탕(大黃牡丹湯)]

7, 현옹(懸癰)이 각도(殼道: 항문) 앞에 생겨 처음엔 소변 후에 몹시 가렵고 그 모양이 잣같으며 한달 후엔 복숭아와 같이 붉게 부어 후기에는 터져서 대소변이 그 구멍으로부터 나와 국노탕(國老湯)을 복용해도 없어지지 않을 경우의 치료

모란피(牡丹皮), 대황(大黃), 패모(貝母), 백지(白芷), 감초(甘草), 당귀(當歸)를 각 5돈씩 곱게 가루내어 술로 2돈을 빈속에 복용한다. [본초휘언(本草彙言), 장군산(將軍散)]

8, 하체에 창(瘡)이 생겨 구멍이 났을 경우의 치료

모란(牡丹) 방촌비(方寸匕:
약 1g)를 1일 3회 복용한다. [보결주후방(補缺後方)]

9, 금창내루(金瘡內漏)에서 출혈이 없을 경우의 치료

모란피(牡丹皮)를 가루내어 두 손가락으로 3번 집어서 물로 복용하면 배뇨할 때 출혈한다. [천금방(千金方)]

10, 팔의 골절에 의한 어혈의 치료

맹충(
蟲) 20개, 모란(牡丹) 1냥을 체로 쳐서 술로 방촌비(方寸匕: 약 1g) 복용한다. [천금방(千金方)]

11, 고혈압
(임상보고)
모란피(牡丹皮) 50~75g을 120~150ml 되게 달여서 1일 3회로 나누어 복용한다. 첫 용량을 25~30g으로 하여 부작용이 없으면 50g까지 늘린다. 치료한 20례 정도는 일반적으로 복용 5일 전후에 혈압이 확실히 내려가고 증상이 개선되었다. 복용한지 6~33일 후의 확장기압은 평균 10~20mmHg으로 하강되고 수축기압의 평균 혈압을 정상 범위까지 하강, 혹은 정상 범위에 접근시켜 증상도 이에 따라 소실되거나 개선되지만 장기 치료 효과는 계속하여 관찰하지 않으면 안 된다. 환자에 따라 복용한 후에 오심, 현기증 등의 부작용이 있는데 복용을 중지하지 않아도 자연히 소실되었다. [중약대사전]

12, 알레르기성 비염
(임상보고)
10% 모란피(牡丹皮) 탕제를 매일 저녁 50ml씩 10일을 1 치료 기간으로 하여 복용한다. 치료 31례 중에서 완전 치유가 12례였다. 또 9례의 치료에서는 복용 후 증상이 신속히 호전되었지만 근치된 예는 없다. 그 외에 유두 모양 부분의 절개 수술 후 알레르기 반응으로 인해 귀가 잘 마르지 않는 환자 6례에 10% 란피(丹皮) 탕액을 내복시킨(매일 저녁 50mm) 결과 5례가 완전 치유되었고 1례가 경감되었다. [중약대사전]

[<<모란 재배법>>]


1, 기후와 토양

온난한 기후를 좋아한다. 재배지는 햇볕이 충분하고 배수가 잘 되며 지하 수위가 낮은 땅을 선택하는데 비옥한 사질 양토나 부식질 토양이 가장 좋다.

2, 번식

① 분주 번식:
두 가지 방법이 있다.
A: 8월 하순~10월 상순에 포기를 캐내어 자연스런 성장의 형태를 따라 뿌리부터 가른다(싹을 상하게 하면 안 된다). 보통 3~5포기로 가르는 것이 좋다. 큰 뿌리와 중간 정도의 뿌리는 잘라서 약용하고 작은 뿌리는 통풍이 잘 되는 곳에서 건조시켜 자른 자리를 유합시켜 썩지 않도록 보관한다. 이랑 사이 거리와 포기 사이 거리를 각각 60cm로 하고 골은 가로와 세로를 각각 24cm, 깊이를 30~45cm로 하여 판다. 심을 때에는 뿌리를 사방으로 고루 펼쳐 나눈 후 흙을 뿌리고 꼭꼭 누른 다음 12~16cm 두께가 되도록 흙을 덮는다.

B: 봄에 어미그루의 기부에 새 가지와 뿌리가 많이 나올 수 있게 한다. 2년째 되는 가을에 분주 번식을 할 수 있다. 이 분주법은 어미 그루의 성장에 나쁜 영향을 주지 않으며 번식도 비교적 빠르다.

② 종자 번식:
9월 중, 하순에 종자를 채취하여 곧 파종한다. 줄뿌리기를 하며 깊이가 3~5cm의 얕은 골을 파고 약 3cm 두께로 흙을 덮는다. 무(畝)당 파종량은 5kg 전후로 하는데 약 10일이 되면 싹이 나온다. 2~3년 지난 후 봄과 가을에 이랑 사이와 포기 사이를 각각 60cm로 하여 이식하며 심고 나서 물을 준다.

3, 경작 관리:
모란은 비료를 좋아하므로 대량의 밑거름 외에도 매년 4월과 7월에 각 1회씩 추가로 비료를 주어야 한다. 포기 옆에 깊이 5~7cm되는 골을 파고 고형 비료나 쇠두엄에 인비료를 잘 섞어서 골 안에 뿌린다. 사이갈이는 뿌리가 상하면 생산량에 영향이 있으므로 너무 깊게 파지 않도록 한다. 재배 과정에서 꽃 봉오리가 보이면 곧 따주어야 한다. 늦은 가을 서리가 내리기 전에 12~20cm로 흙을 붇돋아주어 월동 준비를 한다.

4, 병충해 대책:
엽반병은 대부분 4월 하순에 발생한다. 보르도(bordeaux)액을 분무하면 좋다. 겨울에는 남은 포기나 낙엽을 깨끗이 제거해 둔다. 땅쏙의 해충은, 잡아 제거하는 방법 외에도 땅을 고를 때 6%의 BHC 가루를 1무(畝)당 1.5kg으로 해서 흙 표피층에 뿌리는 방법도 있다.

상기 자료는 약초연구가로서 우리땅에 존재하는 천연물질의 우수성을 널리 알리고 질병으로 고통을 겪고 있는 환우들에게 희망을 주며 신약을 개발하는데 통찰력을 갖게하고 약초를 사랑하는 모든 사람에게 정보의 목적으로 공개하는 것임을 밝혀 둔다.  

(글/ 약초연구가 & 동아대 & 신라대 대체의학 외래교수 전동명)

모란 사진 감상: 1, 2, 3, 4, 5, 네이버+구글+다음+일본구글+대만구글: 1, 2, 3, 4, 5,

모란 상세 사진 웹사이트: 1, 2,

문의 및 연락처: 010-2545-0777 ; 051-464-0307

주소: http://jdm0777.com

페이스북 주소: http://www.facebook.com/jdmsanyacho

메일: jdm0777@naver.com

참조: 아래에 비슷한 종류들을 참조해보시기 바랍니다.

 

 

 

 

※ 아래에 jdm 필자가 찍은 모란 사진도 감상해 보시고 행복하시기 바랍니다~~~^.^

 






 

홈페이지 주소 : http://jdm0777.com 클릭하시면 홈으로 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