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죽나무 무엇인가?


까죽나물로도 불리는 참죽나무

 

 

 

 

 

 

 

 

 

 

 

 

 

 

 

 

 

 

[<<참죽나무의 다양한 새싹, 잎 앞면, 잎 뒷면, 겨울철 마른 열매, 종자, 마치 사람의 얼굴을 닮은 다양한 겨울눈, 잎자국과 겨울눈, 스트레스를 받지 않고 매끈하게 산속에서 자란 나무껍질, 스트레스를 받고 자란 시골 주변 오래묵은 나무껍질의 모습, 사진-출처: JDM 촬영>>]

제열조습, 활장, 삽장, 평천, 지혈, 살충, 구사[오래된 설사], 구리[오래된 이질], 붕루대하, 유정백탁, 감적, 회충, 해수기천, 폐결핵객혈, 피부궤양, 대변출혈, 산후자궁출혈, 적대하[여성의 성기에서 흘러 나오는 붉은 분비물], 소변색깔이 흰색으로 볼 때, 피부의 옴이나 버짐, 악창을 다스리는 참죽나무

참죽나무는 쌍떡잎식물 이판화군 쥐손이풀목 멀구슬나무과의 낙엽교목이다.

참죽나무의 학명은 <
Cedrela sinensis A. Juss.; Toona sinensis (A. Juss.) Roem.>이다. 참죽나무는 중국이 원산이다. 높이 20m에 달하고 독특한 냄새가 난다. 줄기는 얕게 갈라지며 붉은색이고 가지는 굵고 적갈색이다. 잎은 어긋나고 깃꼴겹잎이다. 작은잎은 10∼20개이고 바소꼴 또는 긴 타원형이며 가장자리에 톱니가 없는 것도 있다. 꽃은 6월에 피고 흰색이며 종처럼 생기고 양성화로 원추꽃차례에 달린다. 꽃받침조각, 꽃잎, 수술 및 헛수술은 5개씩이고 암술은 1개이다.

열매는 삭과(蒴果)로 긴 타원형이고 길이 2.5cm이며 5개로 갈라지고 밑부분은 합쳐진다. 종자는 타원형으로 10월에 익으며 윗부분에 긴 날개가 있어 열매가 벌어짐과 동시에 사방으로 흩어진다. 새순은 붉은빛이 돌기 때문에 아름답고, 식용으로 한다. 목재는 흑갈색이며 무늬가 아름다워 가구재로 이용한다. 뿌리의 껍질은 수렴제(收斂劑)로 사용한다. 농가에서 울타리나무로 심는다.

참죽나무의 여러 가지 이름은
향춘[香椿=
xiāng chūn=씨앙: 경험방(經驗方)], 저춘[猪椿: 맹선(孟詵)], 홍춘[紅椿: 식물명실도고(植物名實圖考)], 춘양수[春陽樹, 춘채수:春菜樹, 춘아수:椿芽樹, 백춘:白椿, 향수:香樹: 중약대사전(中藥大辭典)], 챤친[チャンチン=香椿: 일문명(日文名)], 참죽나무, 가죽나무, 참중나무, 충나무, 쭉나무, 사찰에서 승려들이 어린 순을 튀겨 먹는나무, 까죽나무 등으로 부른다.

참죽나무 껍질의 여러 가지 이름은
춘백피[椿白皮=
chūn bái pí=바이: 식료본초(食療本草)], 향춘피[香椿皮: 경험방(經驗方)], 춘전피[春: 분류초약성(分類草藥性)] 등으로 부른다.

참죽나무의 잎의 여러 가지 이름은
춘엽[椿葉=
chūn yè=: 본초강목(本草綱目)], 춘목엽[椿木葉: 당본초(唐本草)], 춘첨엽[椿尖葉: 중경초약(重慶草藥)] 등으로 부른다.

참죽나무의 수액을
춘첨유[春尖油=
chūn jiān yóu=찌앤요우: 중경초약(重慶草藥)]라고 부른다.

참죽나무의 열매를
향춘자[香椿子=
xiāng chūn zǐ=씨앙V: 동북약식지(東北藥植誌)], 춘수자[椿樹子: 생생편(生生編)], 춘아수화[椿芽樹花: 민간상용초약휘편(民間常用草藥彙編)], 춘화[椿花: 사천중약지(四川中藥誌)], 춘첨화[春尖花: 중경초약(重慶草藥)], 향춘령[香椿鈴: 섬서중약지(陝西中藥誌)] 등으로 부른다.

[채취]


<나무 및 뿌리의 속껍질>


<중약대사전>: "일년 내내 채취할 수 있으나 봄에 수분이 충족할 때 껍질을 쉽게 벗길 수 있다. 나무껍질은 마른 것을 벗길 수도 있다. 뿌리껍질은 먼저 뿌리를 파낸 후 바깥 쪽의 검은 껍질을 긁어 버린 후 곤봉으로 가볍게 두드려 껍질과 목질부가 떨어지게 한 후 벗긴다. 곰팡이가 생겨서 검게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안쪽이 햇볕에 마르도록 해야 한다."

<열매>


<중약대사전>: "가을에 채취해서 햇볕에 말린다."

<수액>


<중약대사전>: "10~11월에 채취한다."

[약재]


<나무 및 뿌리의 속껍질>


<중약대사전>: "1, 춘근백피[椿根白皮: 경험방(經驗方)=참죽나무 뿌리 속껍질]라고 한다. 마른 뿌리껍질은 덩어리 모양이거나 긴 권형(券形)으로 두께가 같지 않고 외표면이 적갈색이며 내표면에 수염 모양의 털이 있다. 질은 가볍고 단면이 섬유성을 띤다. 냄새가 약간 있으며 맛이 싱겁다.

2, 춘목피[椿木皮: 당본초(唐本草)=참죽나무 줄기 속껍질]라고 한다. 춘첨피(春尖皮)라고도 한다. 마른 나무껍질은 긴 조각을 이룬다. 외표면은 적갈색의 열편 모양이고 가로 무늬가 있고 간격이 있다. 내표면은 황갈색이고 가는 주름이 있다. 질은 굳고 단면이 선명한 섬유성을 띤다. 향기가 약간 있고 맛이 싱겁다.

춘(椿) 및 향춘(香椿)과 저(樗), 취춘(臭椿)은 과속(科屬)이 다른 두가지 식물이다. 그러나 역대의 본초(本草)에서 흔히 동일하게 서술하였다.

양자의 약효는 대체로 같고 상품도 항상 춘피(椿皮)와 저피(樗皮)를 춘근피(椿根皮)라고 하였다. 지금 비교적 넓게 쓰는 것은 저백피(樗白皮)이며 중국의 섬서(陝西), 사천(四川), 호북(湖北), 귀주(貴州)에서만 춘백피(椿白皮)를 쓴다. 상세한 점은 '저백피(樗白皮: 가죽나무껍질)' 조목을 참조할 수 있다."

<열매>


<중약대사전>: "말린 열매는 길이가 2.5~3.5cm이다. 광리 껍질은 5쪽으로 갈라지고 갈라진 깊이가 전체 길이의 2/3가량 된다. 열편은 피침형으로서 선단이 뾰족하며 외측은 흑갈색이고 가는 줄이 있으며 내측은 황갈색이고 광택이 있고 두께가 약 2.5cm로 질이 무르다. 과측은 원뿔꼴이고 정단은 약간 뾰족하며 황갈색이고 짙은 갈색의 능선(稜線)이 5개 있다. 절단면은 안이 거품 모양이고 황색색이다, 종자는 과축과 과피 쪽 사이에 있으며 5열로 배열되어 있다.

종자에는 매우 얇은 날개가 있으며 황백색으로 반투명하다. 기부는 비스듬히 열려 있고 배(胚)는 작고 선명하지 앉다. 냄새는 미약하다. 모양이 완전하고 잘 건조된 것이 양품이다. 주산지는 중국의 사천(四川)이다."

[성분]


<나무 및 뿌리의 속껍질>


<중약대사전>: "
나무껍질에는 toosendanin, sterol, 탄닌(tannin)이 함유되어 있다."

<잎>


<중약대사전>: "잎에는 carotene 및 비타민(vitamin) B와 C가 함유되었다."

[포제(炮製)]

1, <중약대사전>: "
춘백피(椿白皮): 코르크층을 긁어 버리고 맑은 물에 담갔다가 건져 내어 눅누갛게 한 후 선(線)형이나 네모형으로 잘라 햇볕에 말린다.

초춘백피(炒椿白皮):
먼저 밀기울을 가마에 넣고 가열하여 연기가 날 때 춘백피(椿白皮)를 넣어 표면이 누렇게 될 때까지 볶은 후 꺼내어 밀기울을 버리고 식힌다(춘백피 100근에 밀기울 10근을 쓴다)."

2, <뇌공포제론(雷公
製論)>: "참중나무의 뿌리를 파낸 후 신선한 파를 넣어 한나절 찐 후 파를 버리고 잘 게 찧어 주머니에 넣고 집안의 남쪽에 걸어 놓아 그늘에서 말린다."

3, <본초구원(本草求原)>: "거친 껍질을 버리고 식초, 꿀로 구워 쓴다."

[성미]


<나무 및 뿌리의 속껍질>


1, <중약대사전>: "맛은 쓰고 떫으며 성질은 담(淡)하다."

2, <당본초>: "맛은 쓰고 독이 있다."

3, <신농본초경소>: "맛은 쓰고 성질은 약간 차다."

4, <본경봉원>: "맛은 달고 성질은 평하며 독이 없다."

5, <의림찬요>: "맛은 쓰고 달며 떫고 성질은 차다."

<잎>


1, <중약대사전>: "맛은 쓰고 성질은 평하다."

2, <당본초>: "맛은 쓰고 독이 있다."

3, <의림찬요>: "맛은 달고 쓰며 맵고 성질은 평하다."

<열매>


<사천중약지>: "성질은 따뜻하고 맛은 맵고 쓰며 독이 없다."

[귀경(歸經)]


<나무 및 뿌리의 속껍질>


<득배본초>: "수(手), 족양명경(足陽明經)의 혈분(血分)으로 들어간다."

<열매>


<사천중약지>: "간(肝), 폐(肺), 2경(經)에 들어간다."

[약효와 주치]


<나무 및 뿌리의 속껍질>


1, <중약대사전>: "열을 제거하고 습을 건조하게 하며 장기(腸氣)를 수렴하고 지혈하며 기생충을 구제한다. 구사구리(久瀉久痢), 장풍변혈(腸風便血), 붕루(崩漏), 대하, 유정, 백탁, 감적, 회충증, 창선(瘡癬)을 치료한다."

2, <뇌공포자론>: "소변이 삽(
)한 증세를 통하게 한다."

3, <당본초>: "감닉(甘img1.jpg)을 치료한다."

4, <맹선>: "여자의 혈붕(血崩) 또는 산후출혈이 멎지 않는 증세, 월경과다, 적대하를 멎게 하고 어린이의 감리(疳痢)를 치료한다."

5, <의림찬요>: "폐기역상(肺氣逆上)을 설(泄)하고 비습(脾濕)을 건조하게 하며 혈중(血中)의 습열사(濕熱邪)를 없앤다. 설사, 만성 설사, 장풍(腸風), 혈붕(血崩), 대하, 소변이 붉고 잦은 증상을 치료한다."

6, <분류초약성>: "하혈, 토혈을 치료한다. 표(表)를 발(發)하고 한(寒)을 풀어주며 어린이의 천연두를 치료한다."

7, <중국약식도감>: "치질, 타박상을 치료하며 부러진 뼈를 재결합하고 상처의 종통을 제거한다."

8, <사천상용중초약>: "표사(表邪)를 발산시키고 마진을 돋아나게 한다."

<잎>


1, <중약대사전>: "소염하고 해독하며 기생충을 구제한다. 장염, 이질, 정(
), 저(疽), 칠창(漆瘡), 개창(疥瘡), 백독(白禿)을 치료한다."

2, <당본초>: "개창(疥瘡), 풍저(風疽)를 씻는다."

3, <생생편>: "어린 싹을 삶아 먹으면 감기가 낫고 독을 없앤다."

4, <육천본초>: "위(胃)를 튼튼하게 하고 지혈하며 소염하고 기생충을 구제한다. 자궁염, 장염, 이질, 요도염을 치료한다."

<열매>


1, <중약대사전>: "풍사(風邪)을 몰아내고 한(寒)을 풀어주고 통증을 완화시키는 효능이 있다. 풍한외감(風寒外感), 심위기통(心胃氣痛), 풍습성 관절통, 산기(疝氣)를 치료한다."

2, <민간상용중약휘편>: "발한(發汗)과 심위기통(心胃氣痛)을 치료한다."

3, <사천중약지>: "풍한(風寒)을 제거하고 냉골풍(冷骨風), 풍습성 관절통을 치료한다."

<수액>


<중약대사전>: "후병(齁病: 코골이)을 치료한다."

[용법과 용량]


<나무 및 뿌리의 속껍질>


<중약대사전>: "내복: 2~4돈을 물로 달여서 복용한다. 또는 환을 짓거나 가루내어 쓴다.

외용: 달인 물에 씻거나 달여 고(膏: 엿이나 기름형태)를 만들어 붙인다."

<잎>


<중약대사전>: "내복: 신선한 것을 2~4냥 달여서 복용한다."

<열매>


<중약대사전>: "내복: 1~3돈을 달이거나 가루내어 복용한다."

<수액>


<중약대사전>: "내복: 2~3돈을 인유(人乳)와 함께 증화(蒸化)하여 복용한다."

참조: 좀더 정확하게 말하면 중국의 한량은 37.30g이라고 한다. 그렇게 했을 때 <1돈은 3.73g>이라고 말할 수 있으며, <1냥은 37.30g>이라고 말할 수 있다. 또한 중국의 1근은 <500g>이다. 하지만 대부분의 번역서들에서는 한국의 기준으로 삼는 것이 관례가 되어서 1냥을 37.5g, 1돈을 3.75g, 1근을 600g으로 정하기도 한다. 이글을 읽는 독자들은 이점을 유념하여 정확한 계산법을 잘 응용해 보길 바란다. [JDM 첨부]

[배합과 금기
(유의사항)]

<나무 및 뿌리의 속껍질>


<신농본초경소>: "비위(脾胃)가 허한(虛寒)한 환자는 쓰지 못한다. 혈붕대하(血崩帶下)는 음허(陰虛)하기 때문에 생기므로 이런 사람은 쓰지 말아야 한다. 대하로 인한 적기(積氣)가 가시지 않은 자도 쓰지 말아야 한다."

<잎>


1, <맹선>: "춘엽(椿葉)은 풍을 움직이기에 많이 먹으면 의식이 분명치 못하게 되고 혈기가 적어진다."

2, <수식거음식보>: "많이 먹으면 기(氣)가 막히고 풍이 동한다. 만성병이 있는 환자는 먹지 않는 것이 좋다."

참죽나무의 효능에 대해서 안덕균의
《CD-ROM 한국의 약초》에서는 이렇게 알려주고 있다.

[춘백피(椿白皮)

[기원]
멀구슬나무과의 낙엽성 큰키나무인 참죽나무(Cedrela sinensis A. Juss.)의 나무껍질과 뿌리껍질이다.

[성미]
맛은 쓰고, 떫으며, 약성은 서늘하다.

[효능주치]
제열조습(除熱燥濕), 활장(滑腸), 지혈(止血), 살충(殺蟲)한다.

[임상응용]
오래된 설사, 이질에 유효하고, 대변출혈, 산후(産後)자궁출혈에 지혈(止血)반응을 보이며, 적대하(赤帶下:여성의 성기에서 흘러 나오는 붉은 분비물)와 소변색깔이 흰색으로 볼 때에 활용되고, 피부의 옴이나 버짐, 악창치료에도 쓰인다.

[화학성분]
탄닌(tannin), 시토스테롤(sitosterol)이 함유되어 있다.]


참죽나무의 효능에 대해서 북한에서 펴낸
<약초의 성분과 이용> 446면에서는 이렇게 기록하고 있다.

[참죽나무(Toona sinensis Roem.)

식물:
잎지는 큰키나무이다. 잎은 달걀 모양의 쪽잎으로 된 깃겹잎이다. 흰색의 작은 꽃이 가지 끝에 핀다.

남부와 중부의 집 근처에 심는다.

응용:
민간에서 잎(춘목잎)을 물에 달여서 옴, 악창을 씻는다. 뿌리껍질(춘근피, 향춘피)은 설사멎이약, 피멎이약으로 쓴다.]

참죽나무에 대해서 중국에서 펴낸 <중국본초도록> 제 10권 88면 4685호에서는 이렇게 기록하고 있다.

[춘백피(椿白皮)

기원: 연과(楝科=멀구슬나무과: Meliaceae)식물인 향춘(香椿=참죽나무: Toona sinensis (A. Juss.) Roem.)의 수피(樹皮), 근피(根皮)이다.

형태:
낙엽 관목으로 수피(樹皮)는 회갈색(灰褐色)이며 세로로 갈라진다. 어린 가지에 털이 없다. 잎은 쌍수우상(雙數羽狀) 복엽(複葉)으로 어긋나며, 소엽(小葉)은 10∼26개이고 거의 마주나며 지질(紙質)이고 난상(卵狀) 피침형(披針形)이며 잎가장자리에는 성긴 거치(鋸齒)가 있고 털은 거의 없으며 뒷면은 분록색(粉綠色)이다. 화서(花序)는 원추화서(圓錐花序)로 정생(頂生)하고 밑으로 쳐져있으며, 꽃은 백색(白色)이고, 꽃잎은 5장이며, 퇴화수술은 5개이다. 삭과(蒴果)는 장타원형(長橢圓形)이며 목질(木質)이고 선단(先端)은 5개로 갈라진다. 종자는 편평(扁平)하고, 윗끝에는 막질(膜質)의 날개가 있다.





분포:
산비탈의 성긴 숲에서 자라거나 재배한다. 중국의 중남(中南), 화동(華東), 서남(西南), 화북(華北)에 분포한다.

채취 및 제법:
연중 채취가 가능하며 햇볕에 말린다.

성분:
근(根)- Toosendanin.

기미:
맛은 쓰고 떫으며 성질은 서늘하다.

효능:
제열(制熱), 조습(燥濕), 삽장(澁腸), 지혈(止血), 평천(平喘), 살충(殺蟲).

주치:
구사(久瀉), 구리(久痢), 장풍변혈(腸風便血), 붕루대하(崩漏貸下), 유정백탁(遺精白濁), 감적(疳積), 회충(蛔蟲), 해수기천(咳嗽氣喘), 폐결핵객혈(肺結核喀血).

외용(外用)- 창선(瘡癬), 피부궤양(皮膚潰瘍).

용량:
6∼12g. 외용시(外用時)에는 적량(適量)을 사용한다.

참고문헌:
중약대사전, 하권 5067 ; 광서민족약간편(廣西民族藥簡編), 176.]

참죽나무로 질병을 치료하는 방법은 아래와 같다.

<나무껍질 및 뿌리껍질>

1, 휴식리(休息痢)가 수시로 나오고 비리고 심한 냄새가 나며 제복(臍腹)이 아픈데 여러 가지 약이 효과가 없을 때

가자(
子) 5돈(핵초:核梢를 없앤 것), 참죽나무뿌리속껍질 1냥, 모정향(母丁香) 30개를 함께 가루낸 후 식초와 밀가루를 풀처럼 만들어 벽오동 열매의 크기로 환을 만든다. 한 번에 50환씩 묵은 쌀 죽에 식초를 조금 넣고 오경(오전 3시~오전 5시)에 복용하되 3일에 3번 복용한다. [비위론(脾胃論), 가려늑환(訶黎勒丸)]

2, 습기(濕氣)로 인한 설사, 혈변, 백대하, 그리고 비위(脾胃)에 오랫동안 쌓인 질병

참죽나무뿌리속껍질 4냥, 활석(滑石) 2냥을 혼합하여 가루낸 후 미음으로 벽오동 열매 크기의 환을 지어, 공복시에 끓인 물로 100알/식 복용한다. [단계심법(丹溪心法)]

3, 어린이 감기, 갈증이 나며 약해지는 증상

참죽나무뿌리(마르고 가루낸 것), 속미(粟米: 껍질을 벗기고 가루 낸 것)에 꿀을 넣고 환을 지어 나을 때까지 5알 또는 7~10알씩 복용한다. [광제방(廣劑方)]

4, 장독(臟毒), 적백리

참죽나무를 깨끗이 씻고 껍질을 벗겨 햇볕에 말려 가루내서 1돈씩 복용한다. [경험방(經驗方)]

5, 임탁(淋濁), 백대하

참죽나무뿌리속껍질 2냥에 물을 적당히 넣고 물로 달여서 복용한다. [복건민간초약(福建民間草藥)]

6, 복중비괴(腹中
痞塊)
잘 게 썬 참죽나무뿌리속껍질 2근을 가마에 넣고 달여 찌꺼기를 버리고 다시 달여 고약을 만든 후 천에 펴 놓는다.

먼저 생강으로 배의 피부를 닦고 약을 불에 쪼여 덥힌 후 비괴증이 있는데 붙인다. 처음에는 약간 아프지만 한나절이 지나면 아픈 것이 없어진다.

자연적으로 떨어질 때까지 기다린다. 또는 사향(麝香)을 약간 넣고 붙이면 주위가 터지면서 물이 나온다. [영남채약록(嶺南採藥錄)]

7, 위궤양 출혈

참죽나무줄기껍질를 약성이 남을 정도로 구워서 금은화덩굴을 8돈을 넣고 물로 달여서 복용한다. [광서(廣西), 중초약신의료법처방집(中草藥新醫療法處方集)]

8, 위 및 십이지장 궤양

참죽나무의 뿌리, 껍질 6돈을 달여서 복용한다. [서주포(徐州布), 단방험방신의료법선편(單方驗方新醫療法選編)]

<잎>

9, 적백리

참가죽나무잎 2~4냥에 물을 적당히 넣고 달여서 복용한다. [복건민간초약(福建民間草藥)]

10, 입술에 난 종기

참죽나무잎을 찧어서 술을 넣어 마신다. [영남채약록(嶺南採藥錄)]

11, 어린이의 머리가 백독(白禿: 대머리)이 되어 머리카락이 나지 않는 증상

참죽나무잎, 추엽(楸葉), 도엽심(桃葉心)의 즙을 취하여 바른다. [주후방(
肘後方)]

12, 칠창(漆瘡: 옻이 오른데)

참죽나무잎 1근, 고호(苦蒿) 적당량, 홍부표(紅浮漂) 적당량을 달인 액으로 씻는다. [
중경초약(重慶草藥)]

<열먜>

13, 풍한외감(風寒外感)

참죽나무열매, 녹함초(鹿
草)를 달여서 복용한다. [사천중약지(四川中藥誌)]

14, 흉통(胸痛)

참죽나무열매, 용골(龍骨)을 가루내어 끓인 물로 복용한다. [호남약물지(湖南藥物誌)]

15, 풍습성 관절통

참죽나무열매를 돼지고기 또는 양고기와 함께 고아서 복용한다. [
사천중약지(四川中藥誌)]

16, 산기통(疝氣痛)

참죽나무열매 5돈을 물로 달여서 복용한다. [호남약물지(湖南藥物誌)]

17, 치루

참죽나무열매, 이당(飴糖: 엿)을 쪄서 복용한다. [귀주중의험방(貴州中醫驗方)]

우리나라 남부지방에서는 '참죽나무'를 '가죽나무' 또는 '까죽나무'라고 부르며 '가죽나무'는 나물로 못먹는 나무라고 하여 '개가죽나무'라고 부른다. 봄철 참죽나무의 올라오는 어린순을 날 것으로 꺽어서 먹기도 하는데 아주 이상한 양파 냄새가 나기도 하는데, 날로 먹거나 고추장을 찍어 먹어도 맛이 아주 좋다. 누구나 텃밭이나 집안 울타리 주변에 몇그루 심어놓기만 하면 누구나 매년 봄철에 훌륭한 나물을 맛볼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자료는 약초연구가로서 지구상에 존재하는 천연물질의 우수성을 널리 알리고 질병으로 고통을 겪고 있는 환우들에게 희망을 주며 기능성 식품과 신약을 개발하는데 통찰력을 갖게하고 약초를 사랑하는 모든 사람에게 정보의 목적으로 공개하는 것임을 밝혀 둔다.  

(글/ 약초연구가 & 동아대 & 신라대 대체의학 외래교수 전동명)

참조: 아래에 누구나 프린터할 수 있는 아래한글 문서입니다. '주는 것이 받는 것 보다 더 행복하다'는 취지를 실천하기 위한 사랑과 자비의 서비스입니다. 경제적인 부담(종이값, 잉크, 토너 비용 등)이 되신다면 아래의 문서를 각자의 컴퓨터 및 기타 저장매체에 담아 놓고 볼 수 있습니다. 소중한 자원낭비가 되지 않기 위하여 프린터하기 전에 한번더 개인적으로 결정해 보시기 바랍니다. 여러분 모두도 다른 사람에게 더 많이 주어서 더 행복하시기 바랍니다.

아래한글문서 10쪽 분량을 다운로드하여 프린터할 수 있는 사랑과 자비의 서비스: 1, 참죽나무 무엇인가?

아래한글문서 1쪽 분량의 요점잡힌 글만 프린터할 수 있는 사랑과 자비의 서비스: 2, 참죽나무 무엇인가?

참죽나무사진 감상: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네이버+구글+다음+일본구글+대만구글: 1, 2, 3, 4, 5,

문의 및 연락처: 010-2545-0777 ; 051-464-0307

주소: http://jdm0777.com

페이스북 주소: http://www.facebook.com/jdmsanyacho

메일: jdm0777@naver.com

아래에 비슷한 식물들도 함께 고려해 보시기 바랍니다.

 

 

  1. 검양옻나무 무엇인가?
  2. 덩굴옻나무 무엇인가?
  3. 산검양옻나무 무엇인가?
  4. 황칠나무 무엇인가?

 

 

※ 아래에 jdm 필자가 찍은 참죽나무 사진도 감상해 보시고 행복하시기 바랍니다~~~^.^

 

 

홈페이지 주소 : http://jdm0777.com 클릭하시면 홈으로 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