버섯의 용어 해설 사전

 

"한국토종야생산야초연구소"에서 운영하는 "버섯의 용어 해설 사전" 에 오신것을 진심으로 환영합니다! ~~ 전세계에 계신 남녀노소 누구나 야생 버섯관찰에 참여하실 수 있습니다.  다함께 버섯을 연구하여 독버섯으로부터 자신과 가족을 지키고 나아가 이웃에게도 안전을 가져다 줄 수 있을 것입니다! 그동안 독버섯을 잘못먹고 돌아가신 수많은 영혼들에게 이 인터넷 버섯 도감이 조금이 나마 위안이 될 수 있기를 바랍니다. ~~

 

버섯의 용어 해설 사전(가.나.다 순) [2009년 12월 6일 현재 304종]

img1.jpg
식용및약용버섯순약용버섯순  독버섯순 ↔ 식약독버섯순  식약독불명버섯순 ↔ 학명영명 ↔ 일명 ↔ 중명  버섯의 이름순  버섯문답식게시판 

 

●●●● 맹독버섯: 1~2개만 먹었을 때 죽음에 이르게 하는 버섯.
●●● 준맹독버섯: 먹었을 때 병원으로 후송하여 치료를 받으면 생명에 지장이 없는 버섯.
●● 일반독버섯: 미량의 독성분을 가지고 있으며, 먹었을 경우 약간 이상 증상이 나타나지만, 곧바로 사라져 생명에 지장이 없는 버섯, 독성분을 가지고 있지만 인체에 해를 끼치지 않을 정도의 양을 가진 버섯.
미약 독버섯: 미량의 독성분을 가지고 있지만 우리가 식용할 수 있는 버섯으로, 전혀 몸에 해롭지 않은 버섯.
술독버섯: 술 또는 알코올과 함께 먹으면 중독 증상을 일으키는 버섯.
환각버섯: 먹으면 환각 증상을 나타내는 버섯.
●● 식약독불명버섯: 현재까지 식용이나 약용의 용도를 모르며 독성이 있는지 없는지 밝혀지지 않은 버섯.
●● 식용버섯: 누구나 안전하게 먹을 수 있는 버섯.
●● 약용버섯: 질병을 치료하는 약으로 사용하거나 외상질환 및 피부에 바르거나 살충작용등을 하는 버섯.

  1. 1균사형(一菌絲型, monomitic): 자실체를 구성하는 균사가 원균사(原菌絲, generative hypha)만으로 된 것.
  2. 2균사형(二菌絲型, dimitic): 자실체를 구성하는 균사가 원균사와 골격균사(骨格菌絲, skeletal hypha), 또는 원균사와 결합균사로 된 것.
  3. 2차기생(二次寄生, second parasitism): 성숙한 자실체 위에 다른 균이 침입하여 기생하는 것.
  4. 2차포자(二次胞子, second spore): 자낭포자의 격막 부분이 분열하여 각각이 개별적인 포자의 역할을 하는 것.
  5. 3균사형(三菌絲型, trimitic): 자실체를 구성하는 균사가 원균사, 골격균사, 그리고 결합균사(結合菌絲, binding hypha)로 된 것.
  6. 가근(假根, rhizoid): 버섯류의 대기부 또는 특정 조류 등에서 엽상체의 한 부분을 이루는 단세포 또는 다세포성으로 가는 실뿌리를 닮은 구조이다. 가근은 기질에 부착 또는 물질의 흡수 기관으로서의 역할을 한다.
  7. 가는 조개 껍질형(세조개껍질형, crenulate): 갓끝 또는 주름살끝이 가리비 조개껍질과 같이 규칙적으로 굴곡이 진 상태로 조개껍질형보다 잘고 가늘다.
  8. 가는늑골형(細骨型, costste): 갓의 끝부위가 늑골모양의 것으로 보다 잘고 가늘다.
  9. 각정(중앙볼록, 혹상돌기, mubo): 갓의 중앙 부위에 있는 혹모양의 돌기.
  10. 각정형(중앙볼록형, 혹상돌기형, umvonate): 갓의 중앙 부위에 혹 모양의 돌기가 있는 것.
  11. 각피(殼皮, cuticle): 갓이나 대의 가장 바깥쪽의 외피.
  12. 갈빗살형(양측형, 좌우동형, bilateral, divergent): 주름살을 위에서 아래로 직각으로 잘라서 현미경으로 관찰하면 자실층의 균사조직이 중앙의 평행균사에서 양 바깥쪽으로 일정한 간격으로 비스듬히 나열되어 있는 상태.
  13. 갈색부후(褐色腐朽, brown rot): 목질의 섬유소를 분해하는 균에 의한 부후로, 목질부를 갈색으로 변화시킨다.
  14. 갈색부후균(褐色腐朽菌, brown rotting fungi): 목질부후균으로서 주로 목질의 셀루로오스를 분해하여 목질부를 점차 갈색으로 변화시키는 균.
  15. 갈색부후균(brown rot fungus): 목질의 섬유소를 분해하여 목질부를 갈색으로 변화시키는 균.
  16. 감자한천배지(potato dextrose agar: PDA): 감자 200g을 물 1리터에 넣어 끓인 물에 설탕 18g과 한천 18g을 첨가하여 만든 진균의 배양 증식용 배지.
  17. 강모체(剛毛體, seta): 끝이 뾰족한 작살 또는 빳빳한 털 모양으로 암황갈색~갈색이나 KOH용액에서 암갈색~흑색을 띠는 시스티디아의 일종.
  18. 강모체(剛毛體, seta): 시스티디아의 일종으로, 자실층을 형성하는 균사 중에서 빳빳한 털혈, 작살형, 또는 주머니형으로 변한 것.
  19. 강실(腔室, chamber): 경단버섯 내부에 포자를 형성하는 곳.
  20. 거미집막(cortina): 내피막이 거미집 모양으로 미숙한 주름살을 덮고 있는 것.
  21. 격막(隔膜, septum): 균류에서 균사의 내부에 있는 가로막으로, 고등 균류의 특징이기도 하다.
  22. 격막(隔膜, septum): 균류의 내부에 있는 막으로 균사에는 가로막이 있으며, 균사를 격막이 있는 것과 없는 것이 있다.
  23. 결합균사(結合菌絲, binding hyphae): 세포벽은 두껍고 좁으며 부정형~산호형으로 많은 분지가 있고 격막이 없는 균사.
  24. 경자(莖刺, 小甁, 담자뿔, sterigmata): 담자기의 상단에 형성되는 뿔 모양의 돌기로 4개 또는 2개씩 형성되며, 그 위에 담자포자를 하나씩 형성한다.
  25. 경자(梗子, sterigma): 담자균의 경자는 담자기의 성단에 포자를 부착하는 뿔 모양의 돌기로, 2~4개를 형성한다.
  26. 곤봉형(棍棒型, clavate): 대 또는 시스티디아의 모양이 한쪽으로만 굵어져 곤봉 모양을 이루는 것.
  27. 곤충 기생균(昆蟲寄生菌, entomopathogenic fungi): 곤충에 병원성을 가지는 균으로, 대개의 경우 기주를 치사에 이르게 한다.
  28. 골격균사(骨格菌絲, skeletal hyphae): 세포벽은 두껍고 분지가 없거나 적으며, 격막이 없고 비교적 곧으며 약간 유연성이 있는 균사.
  29. 공구(孔口, ostiole): 자낭각의 돌출부에 있는 구멍으로, 이 구멍으로 자낭포자를 방출한다.
  30. 공부후(孔腐朽, pore rot): 목질의 섬유소를 분해하여 목질부를 구멍이 나게 변화시키는 것.
  31. 공생(共生, mycorrhizae): 수목이나 식물의 뿌리에 기생하여 상호 도움을 주면서 살아가는 것.
  32. 관공(管孔, tube): 갓의 하면에 포자 형성 기관이 주름살 대신 관공모양으로 되어 있다(일부 민주름 버섯목 그물버섯 등).
  33. 관공(管孔, tube): 자실층이 주름살 대신 관 모양의 구멍으로, 그 내측 표면에 담자포자가 형성된다.
  34. 관공(pore tube): 자실층이 주름살 대신 관 모양의 구멍으로 되어 있는 것.
  35. 관공구(管孔口, pore): 관공의 개구부로 원형 또는 각형이며, 여기에서 포자가 방출된다.
  36. 괴근상(塊根狀, bulbous): 대의 기부가 팽대되어 양파 모양으로 된 것.
  37. 구형(求型, globose, spherical): 갓이나 자실체 또는 포자가 공모양으로 둥근 것.
  38. 군생(群生, gregarious): 버섯이 한 장소에서 무리져서 발생하는 것.
  39. 굴곡(屈曲, flexuous): 앞뒤 또는 좌우로 굴곡이 있는 것으로 버섯류 자실체의 대 또는 시스티디아 등의 모양을 표현할 때 사용함.
  40. 균근(菌根, mycorrhiza): 버섯과 나무의 공생으로 버섯의 영양 균사와 고등 식물의 뿌리가 결합하여 형성된 것. 내생균균과 외생균 근의 두 가지 형이 있다.
  41. 균근균(mycorrizhae): 버섯의 균사가 고등식물의 뿌리와 공생하여 서로 도우며 살아가는 균. 균근 형성균이라고도 한다.
  42. 균륜(菌輪, fairy ring): 버섯이 해마다 중심부에서 차츰 바깥쪽으로 동심원을 이루면서 발생하는 것.
  43. 균륜(菌輪, fairyring): 버섯이 매년 중심부에서 차차 바깥쪽으로 동심원을 형성하면서 발생하는 것.
  44. 균륜(gairy ring): 무리지어(군생) 나는 것으로 버섯이 원둘레 모양으로 열을 지어 나는 상태. 균륜은 나무의 나이테처럼 매년 바깥쪽으로 퍼져 나간다.
  45. 균망(菌網, indusium): 망태버섯에서의 망사상의 스커트.
  46. 균모(pileus): 갓이라고도 하며 버섯(자실체)의 위쪽 부분.
  47. 균사(菌絲, hypha): 균류의 본체. 균류의 영양 생장 기관으로 가는 원주형의 세포가 일렬로 연결되어 미세한 실 모양을 이룬다.
  48. 균사(菌絲, hypha): 영양생장기관으로 가늘며 긴 실모양의 기관.
  49. 균사(hyphae): 균류의 기본을 이루는 형태로 세포가 길게 실 모양으로 연결된 것.
  50. 균사속(菌絲束, rhizomorph): 균사가 모여 노끈 모양으로 길게 뻗어 난 것.
  51. 균사조직(菌絲組織, 菌絲層, trama): 버섯의 자실체를 이루고 있는 불임성의 균사조직으로서 근본적으로 원통형의 균사로 구성되어 있으며 격막(septa)에 의해서 세포가 나누어진다. 현미경적 개념의 용어이다.
  52. 균사체(菌絲體, mycelium): 균류는 실 모양의 관인 균사로 생장하는데, 이 집잔을 일컫는다.
  53. 균핵(菌核, sclerotium): 균사 상호간에 엉퀴고 밀착되어 있는 균사조직으로, 불리한 환경에서도 저항성을 가지는 일종의 휴면 기관.
  54. 균핵(菌核, sclerotium): 균사가 밀집하여 괴상으로 되어 일시 휴면 상태로 된 균사 조직을 말한다.
  55. 균핵(sclerotium): 균사 상호 간에 서로 엉키고 밀착되어 있는 균사 조직의 덩어리.
  56. 그물눈형(areolate): 버섯류의 갓 표면 또는 대의 표면이 그물 모양으로 갈라진 상태.
  57. 근상균사속(根狀菌絲束, rhizomorph): 세포벽이 두껍고 불임성의 균사 다발로서 대기부에 발달하여 넝쿨 모양으로 길게 뻗어난 것. 
  58. 기본체(基本體, gleba): 복균류에서와 같이 자실체 내부에서 유성포자를 형성하는 기본 조직.
  59. 기본체(基本體, gleba): 자실체 내부에서 포자를 형성하는 기본 조직으로서 복균류에서 볼 수 있음.
  60. 기본체(gleba): 담자균의 복균류나 자낭균류의 덩이버섯에서 외피 속의 조직.
  61. 기주 특이성(寄主特異性, host specificity): 주어진 기생균이 제한된 기주에만 공생, 부생 전염 또는 병원성을 가지는 것.
  62. 기주(奇主, host): 버섯이 발생할 수 있는 기질로서 식물, 동물 등이다.
  63. 깃(collar): 대의 상단부위에 둘러진 반지모양의 구조.
  64. 깔때기형(infundibuliformis, funnel-shaped): 갓의 가운데가 깊게 들어가 깔때기 모양으로 된 것.
  65. 꺾쇠(Clamp conection): 버섯의 1차 균사가 접합하여 2차 균사가 형성되는데 이때 형성되는 특유의 꺽쇠 모양의 돌기
  66. 꾀꼬리버섯형(cantharelloid): 꾀꼬리버섯을 닮은, 특히 자실층이 이랑형일 때.
  67. 끝붙은주름살(free): 주름살이 자루의 기점에 붙어 있는 것.
  68. 난균강(卵菌綱, oomycetes): 균류의 한 분류균으로서, 편모가 있어 운동성을 가지는 유주자를 생산하는 것이 특징임.
  69. 난포자(卵胞子, oospore): 난균강의 균류에서 장닌기와 장정기, 두 배우자의 접합에 의하여 형성된 유성포자로, 두꺼운 벽을 가지고 있다.
  70. 난형(卵型, ovoid): 포자 또는 어린 자실체가 달걀 모양을 이룬 것.
  71. 낭상체(cystidia): 담자균류의 자실층을 형성하는 균사 중에서 털 모양, 기둥 모양, 주머니 모양 등으로 변한 것. 주름살의 가장자시 연낭상체와 옆면의 측낭상체의 두 종류가 있으며 민주름목에서는 강모체라고 한다.
  72. 내린주름살(decurrent): 주름살이 길게 매달린 것처럼 자루까지 붙어 있는 것.
  73. 내피막(內被膜, partial veil): 주름버섯목의 어린 버섯의 주름살 또는 관공부를 보호하는 조직으로 생장하면 파열되어 턱받이로 남는 경우가 많다.
  74. 늑골형(肋骨型, costate): 갓의 끝부위가 늑골 모양의 것.
  75. 다년생(多年生, perennial): 자실체가 다년간에 걸쳐 생육하는 것.
  76. 다발생(多發生, fasciculate): 자실체가 다발(bundle)로 발생하는 것.
  77. 다핵균사(多核菌絲, coenocytic hypha): 균사에 격막이 없어 다수의 핵들이 세포질속에 그대로 존재하는 균사.
  78. 단생(單生, solitary): 버섯이 하나씩 발생하는 것.
  79. 담자균(擔子菌, basidiomycetes): 고등균류 중 완전세대를 거친 담자포자를 담자기에 형성하는 균의 총칭.
  80. 담자균류(basidiomycetes): 균류 중에서 담자기에 보통 4개의 담자포자를 형성하는 균류. 간혹 2개를 만드는 것도 있다.
  81. 담자기(擔子器, basidium): 담자균에서 포자를 형성하는 곤봉형의 미세 구조.
  82. 담자기(擔子器, basidium): 담자균류에 있어서 담자포자를 형성하는 곤봉모양의 미세구조.
  83. 담자기(basidium): 담자균류에서 포자를 형성하는 곤봉 모양의 구조.
  84. 담자뿔(小甁, 莖刺, sterigmata): 경자 참조.
  85. 담자포자(擔子胞子, basidiospore): 담자균에서 포자를 형성하는 곤봉형의 미세 구조.
  86. 담자포자(擔子胞子, basidiospore): 담자균류의 담자기 내에서 감수 분열된 후 담자기 외부에 형성되는 포자.
  87. 담자포자(basidiospore): 담자기 내에서 감수분열하여 담자기의 외부에 4개의 담자포자를 형성하는 데 간혹 2개를 만드는 것도 있다.
  88. 대주머니(volva): 유균을 덮고 있던 외피막이 버섯이 생장함에 따라 찢어져 대 기부에 형성된 막질 주머니.
  89. 대주머니(volva): 자루의 근부를 둘러싼 주머니 모양의 조직. 덮개막이라고도 한다. 균모 위에 생긴 사마귀나 비늘 조각은 이 대주머니의 조직이 갈라져서 남아 있는 것이다.
  90. 대주머니(volva): 어린 버섯을 싸고 있던 외피막이 버섯의 생장에 따라 찢어져 대기부에 막질의 주머니를 형성하는 것.
  91. 돌기선(突起線, tubercula-striate): 갓 둘레에 돌기가 형성되어 선을 이룬 것.
  92. 돌기선(突起線, tubercula-striate): 갓 표면의 선 위에 돌기가 형성되는 것.
  93. 두부(頭部, head): 대의 끝 부위나 위쪽이 머리 모양으로 팽대된 것으로, 말뚝버섯, 콩두건버섯, 곰보버섯 등에서 볼 수 있다.
  94. 두부(頭部, head): 대의 끝부위가 상부쪽이 머리 모양으로 팽대한 것(말뚝버섯, 말불버섯).
  95. 두상(頭狀, 유두상, capitate): 정단 부위가 둥글고 머리 모양인 것(주로 시스티디아).
  96. 둔거치형(鈍鋸齒型, 무딘톱니꼴, 조개껍질형, crenate): 갓끝 또는 주름살의 날이 가리비조개껍질의 끝과 같이 규칙적으로 굴곡이 진 상태.
  97. 둔거치형(鈍鋸齒型, 무딘톱니꼴, 조개껍질형, crenate)갓 끝 또는 주름살의 날이 가리비조개껍질의 끝과 같이 규칙적으로 굴곡이 진 상태.
  98. 떨어진주름살(remote): 주름살이 자루와 완전히 떨어져서 균모에 붙어 있는 것.
  99. 레몬형(citriform): 레몬 모양의 형태.
  100. 막질(膜質, membranous): 얇은 막으로 형성된 것.
  101. 망목상(網目狀, reticulate): 버섯의 갓, 대, 포자 표면이 그물 모양을 이룬 것.
  102. 망목상(網木狀, reticulate): 갓이나 대 또는 포자 표면에 나타나는 그물 모양의 구조.
  103. 맥관연락(脈管連絡, 融合, 吻合, 側肝脈, anastomoses): 주름상, 이랑이나 엽맥과 엽맥의 사이를 연결하는 cross-connection이다. 포자 표면의 날개(wing)와 날개 사이 또는 균사 사이에 나타나는 cross-connection을 표현할 때 사용함.
  104. 머리(fertile part): 동충하초의 자실체 중 자낭각이 분포하는 상단 부분.
  105. 멜저 시약(Melzer's reagent): 버섯의 포자, 균사를 염색하는 시약. 요오드화칼륨 1.5g, 요오드 0.5g, 클로랄하이드레이트 20g을 증류수 20ml에 용해시켜 조제한 시약.
  106. 멜저용액(Melzer's solution): 포나슘아이오다이드(potassium iodide) 1.5g, 아이오디인(iodine) 0.05g과 클로랄하이드레이트(chloral hydrate) 20g을 증류수 20cc에 용해시켜서 만든다.
  107. 면모상(綿毛狀, 羊毛狀, flocci, floccose): 버섯류의 자실체 갓 또는 대의 표면에 나타난 균사가 솜털(면모상) 또는 양털 모양인 것, 면플란넬을 닮은 것.
  108. 면역 글로불린(immunoglobulin): 면역 작용에 관계하는 단백질.
  109. 목질(木質, woody): 자실층의 육질이 나무의 조직처럼 단단한 상태로 되어 있는 것.
  110. 무성기부(無性基部, sterile base): 말불버섯에서와 같이 포자를 담은 기본체가 없는 하부.
  111. 무성생식(無性生殖, asexual reproduction): 핵융합과 감수분열이 관련되지 않은 생식.
  112. 물한천배지(water agar): 물 1리터에 한천 18g을 넣어 만든 균 분리용 배지.
  113. 미로상(迷路狀, daedaleoid): 자실층의 주름, 관공이 불규칙하고 복잡하게 배열되어 있는 상태.
  114. 미로상(迷路狀, daedaleoid): 자실층의 주름살이나 관공이 불규칙하고 복잡하게 배열되어 있는 상태.
  115. 바른주름살(adnate): 주름살이 자루에 연결되어 붙어 있는 것.
  116. 반구형(半球型, hemiglobose, hemispherical): 갓의 모양이 공을 반으로 잘라 엎어 놓은 모양을 한 것.
  117. 반반구형(半半球型, convex): 갓이 활 또는 만두 모양으로 둥그스럼하게 형성된 모양을 말하며, 폭이 높이 보다 긴 상태.
  118. 발아공(發芽孔, germ pore): 포자의 꼭대기 부분에 있는 작은 구멍. 즉, 2중막이 있는 포자에 있어서 외막의 꼭대기가 중단되어 편평하고 절두상이 된 작은 구멍상의 부분.
  119. 발아공(發芽孔, germ pore): 포자의 정단에 있는 작은 구멍.
  120. 발아공(germ pore): 균사가 발생하여 뻗어 나오는 꼭대기 부분에 있는 작은 구멍.
  121. 발아관(發芽管, germ tube): 짧은 균사와 같은 구조로 많은 종류의 포자가 발아시 형성됨.
  122. 방사상(放射狀, radial): 중심에서 바깥쪽으로 우산살 모양으로 뻗은 모양.
  123. 방사상(radially): 중심에서 바깥쪽으로 우산살 모양으로 뻗는 모양.
  124. 방추형(放錘型, fusiform): 포자나 시스티디아의 양 끝이 좁아져 럭비공모양을 한 것.
  125. 방추형(fusiform): 포자나 낭상체의 양끝이 좁아지는 모양.
  126. 배꼽형(臍型, umbilicate): 중앙부위에 있는 배꼽모양의 홈.
  127. 배꼽홈(umbilicus): 갓의 중앙부위에 있는 배꼽모양의 홈이 있는 것.
  128. 배꼽홈형(umbilicate): 갓의 중앙부위에 배꼽모양의 홈이 있는 것.
  129. 배우자(配偶子, gamete): 단상의 생식세포로, 유성생식 때 융합되어 수정이 일어난다.
  130. 배착성(背着性, resupinate): 자실체의 전체가 기주에 붙어 발생하는 것.
  131. 백색부후(白色腐朽, white rot): 목질의 리그닌을 분해하여 목질부를 차츰 백색으로 변화시키는 것.
  132. 백색부후균(白色腐朽菌, white rotting fungi): 목질 중 주로 리그닌을 분해시키는 균으로 목질부를 점차 백색으로 변화시키는 균.
  133. 백색부후균(white rot fungus): 목질의 섬유소를 분해하여 목질부를 백색으로 변화시키는 균.
  134. 버터형(butiraceous): 갓의 표면이 버터의 표면처럼 매끄러움을 나타낼 때 사용하는 표현.
  135. 변형체(變形體, plasmodium): 점균류에서 포자가 편모를 가진 운동성의 유주자(swarm cell)가 되고, 이것이 한 쌍식 접합하여 이룬 몸체.
  136. 병자각(柄子殼, pycnidium): 보통 구형이거나 플라스크 모양으로 속이 비어 있는 구조를 하고 있으며, 비어 있는 내부에서 분생포자를 생산한다.
  137. 복숭아씨형(扁桃形, 아몬드형, amygdaliform): 복숭아씨(편도)모양, 아몬드(almond-shaped) 모양(주로 포자의 모양을 표현할 때 사용함).
  138. 부리상 돌기(clamp connection): 담자균에 있어서 제 1차 균사가 접촉하면 제 2차 균사가 형성되는데. 이때 형성된 특유한 주둥이 모양의 돌기이다.
  139. 부생(腐生, saprophyte): 사물기생(死物寄生)이라고도 한다. 버섯이 죽은 기주에서 발생하여 영양분을 섭추하며 살아가는 것.
  140. 부속사(附屬絲, appendage): 동충하초의 자실체 중 자낭각이 분포하는 부위가 중앙에 존재할 때, 그 위의 불임성 정단부를 일컬음.
  141. 부착상지(付着上地, suprahilar plage): 포자 표면의 부착점 위의 평활한 연한 색 또는 무색의 지점.
  142. 부착세포(附着細胞, appressorium): 평평한 균사조직으로, 작은 감염 기관이 기주의 표피세포 위에서 자라, 이를 뚫고 들어가는 기관.
  143. 부착점(付着點, hilar appendage): 포자가 경자에 붙은 부분.
  144. 부채꼴(扇形, flabellate): 부채 모양인 것. 버섯류의 자실체 또는 시스티디아의 형태를 묘사할 때 주로 사용함.
  145. 분생자 자루(分生子梗 또는 分生子柄, conidiophore): 체세포 균사로부터 자라 분지한 균사로, 그 위에 또는 측면으로 분생포자 형성 세포를 생산한다.
  146. 분생자(分生子, conidiospore): 무성적으로 분열하여 생긴 포자. 이 포자는 직접 새로운 균사로 발육된다.
  147. 분생자병(分生子柄, conidiophore): 공중으로 뻗어 가는 균사로, 분생포자를 형성한다.
  148. 분생자병속(分生子柄束, synnema): 분생자 자루가 다발로 뭉쳐져 신장된 포자 형성 구조를 만든 것.
  149. 분생포자 형성 세포(分生胞子形成細胞, conidiogenous cell): 분생자 자루 위에서 발달하여 분생포자를 형성하는 세포.
  150. 분생포자(分生胞子, conidium): 운동성이 없는 무성생식 포자ㄹ, 보통 분생자 자루 위에 형성된다.
  151. 불완전균(不完全菌, imperfect fungi): 생식 수단으로서 분생포자와 같은 무성생식만을 하는 균류.
  152. 비(非)아밀로이드(nonamyloid): 버섯의 포자, 균사 등이 멜저 시약에 의해 무색~담황색으로 나타나는 것.
  153. 비아밀로이드(nonamyloid): 멜저용액에서 버섯의 균사나 포자 등이 담황색 또는 투명하게 나타나는 것.
  154. 빽빽하다(subcrowded): 갓의 14크기에 주름살 수가 18~24개 정도 있는 것.
  155. 사각부후(四角腐朽, quadrangular rot): 목질의 섬유소를 분해하여 목질부를 사각으로 분해시큰 것.
  156. 사물기생(死物奇生, saprophyte): 균이 죽은 기질을 분해하여 영양분을 섭취하며 살아가는 상태.
  157. 산호형(珊胡型, Coral shape, coralloid): 자실체가 하나의 짧은 대에서 계속 작은 분지로 나뉘어져 산호 모양을 이루는 형태.
  158. 서식자(棲息者, habitant): 어떠한 장소에 자생하는 생물.
  159. 서식지(棲息地, 自生地, habitat): 서식 또는 자생하고 있는 장소.
  160. 석회질의(石灰質의, calcareous): 석회를 함유하고 있는(석회암 지대에서).
  161. 선(線, striate): 갓과 대의 표면에 방사상 또는 세로로 형성되는 줄.
  162. 섬모(纖毛, fimbriate): 갓이나 주름살의 가장자리(끝부위)에 미세한 분질 또는 술이 있는 상태.
  163. 섬모형(纖毛型, ciliate): 갓이나 주름살의 끝에 속눈썹 모양의 털이 있는 상태.
  164. 섬유상(纖柔狀, 線型, filiform): 실모양의, 실모양으로.
  165. 섬유질(纖維質, fibrous): 자실체를 형성하는 가늘고 길며 실 같은 조직.
  166. 성글다(distant): 갓의 14크기에 주름살 수가 5개 이내로 된 것.
  167. 세연쇄형(細連鎖型형, 세체인형, catenulate): 연쇄형보다 가늘고 미세한 형.
  168. 세체인형(細連鎖型, catenulate): 세연쇄형을 참조.
  169. 세포형(細胞型, cellular): 식물이나 동물의 세포처럼 둥굴세포로 구성된 균사로 된 조직을 일컬음.
  170. 소담자기(少擔子器, basidiole): 어린 담자기, 담자기와 모양이 비슷하나 아직 소병(담자뿔)이 형성되지 않은 상태.
  171. 소둔거치형(小鈍鋸齒型, crenulate): 갓끝 또는 주름살 끝이 둔거치형보다 가늘고 잘 게 굴곡이 진 상태.
  172. 소둔거치형(小鈍鋸齒型, crenulate): 갓끝 또는 주름살 끝이 둔거치형보다 가늘고 잘게 굴곡이 진 상태.
  173. 소란자(小卵子, peridiole): 기본체가 바둑돌모양으로 포자를 싸고 있으며 포자 분산의 수단으로 이용되며, 찻잔버섯류에서 볼 수 있다.
  174. 소립괴(小粒塊, false peridiole): 모래밭버섯 내부에 있는 알갱이로, 포자가 들어 있다.
  175. 소병(小甁, 경자, 담자뿔, sterigmata): 경자 참조.
  176. 소병포자(phialoconidia): 작은 자루로부터 형성된 포자.
  177. 소피자(小皮子, peridiole): 찻잔버섯류의 자실체 속에 생기는 바둑돌 또는 종자 모양의 기관으로, 포자를 품고 있다. 포자의 분산 수단으로 이용된다.
  178. 습성(習性, habitus): 일반적인 모양. 형상.
  179. 시스티디아(cystidia): 자실층에 있는 담자기 아닌 세포로 곤봉형, 조롱박형, 볼링 핀형, 방추형 등 다양하며, 주름살 측면 또는 관공의 내면에 있는 것을 측시스티디아, 주름살 또는 관공의 가 쪽에 있는 것을 날시스티디아라고 한다. 낭상체(囊狀體)라고도 한다.
  180. 아구형(subspore): 구형과 비슷한 모양.
  181. 아몬드형(扁桃型, 복숭아씨형, amygdaliform): 복숭아씨형 참조.
  182. 아밀로이드(amyloid): 버섯의 포자, 균사 등이 멜저시약에 의해 청색 또는 남청색으로 변하는 것.
  183. 아주 빽빽하다(crowded): 갓의 14크기에 주름살 수가 24개 이상이며 조직이 보이지 않을 정도로 밀집되어 있는 상태.
  184. 알밀로이드(amyloid): 멜저용액에서 버섯의 균사나 포자 등이 청색-흑청색으로 변하는 반응.
  185. 약간 빽빽하다(close): 갓의 14크기에 주름살 수가 11~16개로 된 것.
  186. 약간 성글하다(subclose): 갓의 14크기에 주름살 수가 5~10개로 된 것.
  187. 양모상(羊毛狀, 線毛狀, flocci, floccose): 면모상 참조.
  188. 연골질(軟骨質, cartilaginous): 대의 조직이 단단하고 속이 비어 부러지는 것.
  189. 연골질(軟骨質, cartilaginous): 대의 조직이 단단하여 부러질 때 딱 소리가 나는 것.
  190. 연쇄형(連鎖型, 체인형, catenate): 균사는 짧고 상당히 넓은 세포로 구성되어 있으며, 격막이 있는 부위가 잘록하게 수축되어 있어 마치 체인모양인 것.
  191. 엽상체(葉狀體, thallus): 식물에서는 줄기, 뿌리, 잎의 구분이 없는, 비교적 간단한 식물체를 일컫는데, 균류에서의 엽상체는 영양 기간 동안의 형태를 나타낸다.
  192. 예형(銳型, 圓錐돌기, acute): 끝이 뾰죽한 상태를 나타내며, 버섯류의 자실체에 나타나는 불임성 조직으로 주로 시스티디아의 모양을 표현할 때 사용함.
  193. 올린주름살(adnexed): 주름살이 자루의 꼭대기에 붙은 것.
  194. 외(僞)아밀로이드(pseudoamyloid): 버섯의 포자, 균사 등이 멜저 시약에 의해 갈색~적갈색으로 변하는 것.
  195. 외피(外皮, cortex): 복균류와 같이 자실체의 바깥 껍질을 이루는 조직.
  196. 외피(peridium): 복균류나 덩어리 버섯류와 같이 자실체(지하생)의 바깥 껍질.
  197. 외피막(外被膜, universal veil): 주름버섯목의 어린 버섯 전면을 싸는 조직으로, 생장하면 파열되어 흔히 대주머니로 남는다.
  198. 요막형(尿膜型, 콩팥형, 소시지형, allantoid): 콩팥, 소시지 또는 강낭콩 모양으로 한쪽 면은 안쪽으로 약간 굽어 있고 다른쪽 면은 바깥쪽으로 둥굴게 굽어 있는 상태.
  199. 원추돌기(銳型의, 圓錐돌기, acute): 예형을 참조.
  200. 원추형(圓錐型, conic): 갓의 중앙부위가 뾰족한 고깔 모양이며, 높이가 폭보다 긴 모양.
  201. 원통형(圓筒型, cylindric): 대나 포자의 모양이 같은 굵기로 원통을 이룬 것.
  202. 위(僞)아밀로이드(Pseudoamyloid): 멜저용액에서 버섯의 균사나 포자 등이 적갈색-갈색으로 변하는 반응.
  203. 위유조직(僞柔組織, pseudoparenchyma): 균사조직의 일종으로, 구성 균사들이 그들의 개별성을 잃어 버린 조직.
  204. 유구(油球, oil drops): 자낭균류의 자낭포자 안에 들어 있는 공 모양의 유적(油滴).
  205. 유구(有口, ostiole): 자낭과에서 목과 같은 구조로, 말단부에는 구멍이 있다.
  206. 유구형(類球型, subspherical, subglobose): 포자나 시스타디아 등의 모양이 한쪽으로 약간 길거나 짧은 구형.
  207. 유성생식(有性生殖, sexual reproduction): 배우자간의 접합에 의하여 생식을 하는 것으로, 핵융합과 감수분열이 일어난다.
  208. 육질(肉質, 組織, flesh. context): 조직 참조.
  209. 융합(融合, 吻合, 脈管連絡, 側肝脈, anastomoses): 맥관연락을 참조.
  210. 이랑형(ridge): 꾀꼬리버섯류에서와 같이 자실층이 밭 이랑 모양으로 주름이 생겨 굴곡이 진 모양.
  211. 이랑형(ridge): 갓의 하면에 포자가 형성되는 부분이 밭이랑모양으로 주름이나 굴곡이 진 모양(꾀꼬리버섯류).
  212. 인편(peridium): 버섯의 균모 또는 자루의 표면에 외피 조각들이 붙어 있는 것.
  213. 인피(鱗皮, scaly): 대 또는 갓 표면에 손거스러미모양으로 끝이 뾰족하거나 뭉툭하게 갈라진 것.
  214. 일년생(一年生, annual): 자실체가 1년 내내 생장을 완성하는 것.
  215. 일반균사(一般菌絲, generative hypha): 세포벽이 얇고 분지가 많으며 일반적으로 격막과 클램프가 있는 균사.
  216. 자낭(子囊, ascus): 자낭균류의 유성 생식에 의해 자낭포자를 형성하는 기관.
  217. 자낭(子囊, ascus): 자낭균류의 특징으로, 보통 핵융합과 감수분열을 거쳐 형성되는 일정한 숫자의 자낭포자(보통 8개)를 포함하는 주머니 모양의 세포.
  218. 자낭(ascus): 보통 8개의 자낭포자가 들어 있는 것이 대부분이나 4개 또는 16개가 들어 있는 긴 주머니 모양의 자루.
  219. 자낭각(子囊殼, perithecium): 자실층이 그 내부에 있는 둥근 술병 모양의 작은 자실체로 대형의 자좌에 매몰~반매몰되어 있다.
  220. 자낭각(子囊殼, perithecium): 정단부에 유구를 가지고 있으며, 자체의 벽을 가지고 있는 자낭과.
  221. 자낭과(子囊果, ascocarp): 자낭균류의 생식 기관의 일종이며, 구형, 아구형, 밥상형 등으로, 속에 자낭이 배열되어 있다.
  222. 자낭균강(子囊菌綱, ascomycetes): 유성생식 포자로서, 일정한 숫자의 자낭포자를 자낭 내에 형성하는 균류.
  223. 자낭균류(ascomycetes): 균류 가운데 자낭에 자낭포자를 형성하는 균.
  224. 자낭반(子囊盤, apothecium): 자낭과가 접시 모양, 안장 모양, 두건 모양, 모자 모양, 창 모양, 밥상 모양으로 되어 자낭이 노출된 기관이며, 나자낭각(裸子囊殼)이라고도 한다.
  225. 자낭포자(子囊胞子, ascospore): 감수분열에 의하여 자낭 내에 형성되는 자낭균류의 유성생식포자.
  226. 자루(柄, stipe): 자실체의 줄기에 해당되는 부위로, 머리를 받쳐 지탱해주는 부분.
  227. 자루(stipe): 버섯을 지탱하고 있는 기둥 모양이 부분. 대라고도 한다.
  228. 자실체(子實體, fruiting body): 고등 균류가 포자를 형성하기 위한 기관. 즉, 갓, 대, 주름살, 관공등의 전체를 말한다. 육안적으로 큰 것을 버섯이라고 한다.
  229. 자실체(子實體, fruting body, carpophore): 버섯의 갓, 주름살, 관공, 대 등 전체를 말한다.
  230. 자실체(fruiting body): 균류의 포자는 생식 기관. 흔히 버섯이라고 하는 부분이다.
  231. 자실층(子實層, hymenium): 포자를 형성하는 담자기나 자낭이 있는 부위로, 주름살, 관공, 침상 돌기 등의 형태를 말한다.
  232. 자실층(子實層, hymenium): 포자를 형성하는 담자기나 자낭이 있는 부위(주름살, 관공, 침상돌기).
  233. 자실층(hymenium): 자실체 내에서 담자기 또는 자낭으로 구성된 조직. 담자균류에서는 주름살의 표면이나 관의 내부에서 볼 수 있으며, 자낭균류에서는 자낭각의 내부나 균류의 내부에서 발달한다.
  234. 자실층사(子實層絲, trama): 자실층 내부의 균사층.
  235. 자실층사(子實層絲, trama): 버섯의 자실층 내부의 균사층.
  236. 자웅이주(雌雄異株, heterothallic): 유성생식을 위해서는 서로 다른 엽상체 위에 존재하는 화합성이 있는 배우자가 필요한 것.
  237. 자좌(子座, stoma): 자낭각이 배열된 곤봉형 또는 반구형의 기관. 자낭균류의 영양 세포의 모체로, 그 속에는 많은 자낭각이 있다.
  238. 자좌(子座, stroma): 자낭각이 배열된 곤보 모양, 또는 반구형의 머리와 이를 지탱하는 자루를 일컬음.
  239. 작은자루(小柄, phialide): 분생포자 형성 세포의 한 형태로, 출아성 분생포자를 생산한다.
  240. 접착줄(funiculus): 찻잔버섯에서 소피자와 내피를 연결하는 실줄.
  241. 접합균강(接合菌綱, zygomycetes): 다핵균사를 가지고 있으며, 세포벽은 키틴 성분을 함유하고 있고, 무성 생식은 포자낭 또는 분생포자를 형성하며, 유성생식은 유산한 형태의 배우자간 접합에 의하여 접합포자를 생산하는 균류.
  242. 접합자(接合子, zygote): 자웅성 세포로 표시되는 2개의 균사가 접근하여 서로 한 덩어리로 연결되어 균사 접합이 이루어져 핵이 합체된 것.
  243. 접합포자(接合胞子, zygospore): 접합균강엣 2개의 배우자간 융합에 의하여 형성된 휴면포자.
  244. 정공(頂孔, aptical stoma): 말불버섯류의 윗부분에 있는 구멍으로, 포자를 분출한다.
  245. 정기준(定基準, holotype): 최초 저자에 의해서 새로운 종의 학명을 위하여 사용하였던 표본으로서 저자에 의해서 지정된 표본.
  246. 정단 고리(頂端 고리, apical ring): 자낭의 정단부에 존재하는 작은 점.
  247. 정단(頂端, apical): 끝에, 끝쪽으로.
  248. 정점(頂點, apex): 포자의 윗부분.
  249. 제1균사형(第1菌絲型, monomitic): 일반균사 한 종류만으로 구성된 균사.
  250. 제2균사형(第2菌絲型, dimitic): 일반균사와 골격균사 또는 일반균사와 결합균사 2종류의 균사로 구성된 것.
  251. 제3균사형(第3菌絲型, trimitic): 일반균사, 결합균사 그리고 골격균사로 구성되어 있는 것.
  252. 조개형(conchate): 버섯의 형태가 대합조개나 굴모양인 것.
  253. 조구(條溝, striation): 찻잔버섯류의 내피에서와 같은 주름줄.
  254. 조직(組織, context, flesh): 버섯의 자실체를 구성하고 있는 세포의 조합.
  255. 조직(組織, 肉質, flesh. context): 버섯 자실체의 각피 아래의 조직을 구성하고 있는 불임성 세포의 집합체로서 유안적 개념의 용어(균사조직, trama 참조).
  256. 종형(鐘型, campanulate): 갓이 종모양으로 된 것.
  257. 주름살(gill, lamella): 주름버섯류에서 갓의 아랫면에 부채주름 모양으로 구성되어 있는 포자를 형성하는 기관.
  258. 주름살(gill, lamella): 주름버섯류에서 갓의 하면에 포자가 형성되는 물고기 아가미 모양의 판.
  259. 주름살(lamella): 주름버섯류에서 균모의 아랫면에 부채 주름 모양으로 구성되어 있는 포자를 형성하는 기관.
  260. 주축(柱軸, columella): 말불버섯 내부 중앙에 있는 기둥.
  261. 중심형(中心型, centric): 대가 갓의 정중앙에 위치하는 것.
  262. 중앙볼록형(각정형, 배꼽돌기형, umbonate): 각정형 참조.
  263. 중앙불록(각정, 혹상돌기, 배꼽돌기, umbo): 각정 참조.
  264. 중앙오목형(concave): 갓의 중앙부위가 함몰됙나 오목하게 되어 있는 상태, 접시 모양의 것(반의어:반반구형=convex).
  265. 체인상(체인형, 連鎖狀, catenate): 균사는 짧고 상당히 넓은 세포가 연결되어 있으며, 격막이 있는 부위가 잘록하게 수축되어 있어 마치 체인(chain) 모양인 것.
  266. 총생(叢生, caespitose 또는 cespitose): 자실체의 대기부가 근접하여 매우 치밀하고 수북하게 발생하는 것.
  267. 출아세포(出芽細胞, blast cell): 무성생식 세포의 일종으로 효모류에서 발견되는데, 출아법에 의하여 세포가 증식되는 것.
  268. 측간맥(側肝脈, 融合, 吻合, 脈管連絡, anastomoses): 맥간연락을 참조.
  269. 측사(側絲, paraphysis): 자낭과(子囊果) 중의 자낭 사이를 잇는 실 모양의 기관. 그 길이, 모양, 크기 등이 버섯을 분류하는 데 중요하다.
  270. 측생(lateral): 규모의 옆 가장자리에 자루가 붙어 있는 것. 균모가 원형이 아니고 부정형인 것에서 볼 수 있다.
  271. 측형(側型, lateral): 갓의 가장자리에 대가 위치하고 있는 것.
  272. 타원형(楕圓型, elliptic): 갓이나 포자의 모양이 길쭉하게 둥근 상태.
  273. 탁실균사(托室菌絲, capillitium): 복균류에서 포자낭 내에 있는 실 모양의 관공 또는 균사체.
  274. 탁실균사(托室菌絲, capillitium): 포자낭 내에 있는 사상형 관공 또는 균사(말불버섯류).
  275. 탁지(托枝, arm): 세발버섯, 게발톱버섯에서 볼 수 있는 대에서 나온 분지로, 안쪽에 기본체가 묻어 있다.
  276. 턱받이(annulus): 고리라고도 하는 자루의 부속물로, 어릴 때는 버섯의 가장자리와 연결되고 성장하면 자루의 윗부분이나 가운데 부분에 원반 모양 또는 거미집 모양으로 남아 있는 것.
  277. 턱받이(annulus, ring): 대와 갓이 성장하면 내피막의 일부가 대에 남아 막질의 반지 모양을 이루는 것(annulate 턱받이를 가진 또는 턱받이가 있는).
  278. 턱받이(ring, annulus): 갓과 대가 생장하면 내피막의 일부가 대에 남아 반지 모양 또는 치마 모양을 이루는 것.
  279. 톱니형(serrate): 주름살 끝이 톱니 모양으로 되어 있는 것(잣버섯, 표고버섯).
  280. 파상형(波狀型, undulate): 갓의 끝이나 주름살, 자실체가 불규칙한 파도 모양으로 형성된 것.
  281. 편도형(아몬드형, amygdaliform): 복숭아씨형 참조.
  282. 편심형(偏心型, excentric): 대가 갓의 중앙부이에서 약간 벗어난 위치에 있는 것.
  283. 폐포형(肺胞型, alveolate): 버섯류 자실체의 갓이나 대의 표면에 곰봇자국 모양의 홈이 파여 있는 상태.
  284. 포자(胞子, spore): 생식 세포의 일종으로, 담자포자, 자낭포자는 유성포자이고 분생자는 무성포자이다.
  285. 포자(胞子, spore): 균류에서 종자의 역할을 하는 작은 번식 단위.
  286. 포자괴(胞子塊, spore mass): 복균류에서 자실체 내부에 있는 포자를 함유한 덩어리.
  287. 포자꼬리(pedicel): 말불버섯의 포자에 형성된 가늘고 긴 대 모양의 것.
  288. 포자꼬리(pedicell): 포자의 기부에 형성된 가늘고 긴 대로서 말불버섯류에서 흔히 볼 수 있다.
  289. 포자낭(胞子囊, sproangium): 주머니와 같은 구조로, 내부 원형질 성분 전부가 다수의 포자로 전환된다.
  290. 포자문(胞子紋, spore print): 버섯의 갓만 잘라 흰 종이 또는 검은 종이 위에 주름살이 아래쪽으로 가도록 놓고 컵을 덮어 놓으면 포자는 종이 위에 낙하하여 포자 무늬를 이룬다.
  291. 포자문(spore print): 버섯의 균모를 수평으로 잘라 흰 종이 또는 검은 종이 위에 주름살이 아래쪽으로 가도록 놓고 컵을 덮어 놓으면 포자는 종이 위에 떨어져서 포자무늬를 나타낸다.
  292. 포자반(胞子盤, spore base or proximal end): 포자의 작은 대의 부착점 부근에 있는 둥글고 평평한 부분.
  293. 포자배꼽(胞子臍, apiculus): 포자가 담자뿔에 부착되었던 부위로 포자의 기부에 유두상으로 돌출된 부위.
  294. 포자퇴(胞子堆, sorus): 식물의 조직 속에 균사의 습피부가 생겨, 거기에서 포자가 더미로 형성된 것. 흑수균류에서 흔히 볼 수 있다.
  295. 품종(品種, forma): 분류학적으로 종(species) 하위 계급의 분류 단위, 변종(variety) 하위의 계급으로서 유전적변이보다는 환경 영향에 의한 변이로 추정되는 품종.
  296. 해변질(海綿質, corky): 조직이 코르크 모양으로 되어 있는 것.
  297. 혹상돌기(중앙볼록, 각정, umbo): 각정 참조.
  298. 혹상돌기형(중앙볼록형, 각정형, umbonate): 각정형 참조.
  299. 홈파진주름살(sinuate): 주름살이 자루와 가까운 부분에서 높이가 낮아져서 자루를 오목하게 둘러싸고 있는 것.
  300. 후막포자(厚膜胞子, chlamydospore): 균사의 선단 또는 중간에 세포벽이 두꺼워져 형성된 대형으 무성 포자.
  301. 후막포자(厚膜胞子, chlamydospore): 휴먼포자로서의 기능을 하는, 두꺼운 벽을 가진 모성포자(Lentinellus cochleatus와 Nyctalis의 포자).
  302. 휴면포자(休眠胞子, resting spore): 장기간의 휴면 기간을 거쳐 발아하는 두거운 벽을 가진 포자.
  303. 흑수포자(黑穗胞子, ustilospore): 흑수균류가 형성하는 포자로, 이 포자가 발아하면 담자기, 담자포자를 형성한다.
  304. 흡반(吸盤, haustorium): 영양균사체가 기주의 표면 또는 내부에 침입하여 영양을 섭취하기 위해 원반형으로 발달된 특수한 기관. 메꽃버섯에서 볼 수 있다.

 

주요 참고 문헌(가.나.다 순) [2014년 8월 20일 현재 55종]

 

  1. 간을 보호하고 암을 이기는 버섯 균사체[손의섭, 도서출판 삼문, 1997년]
  2. 검색입문 키노코도감(檢索入門 きのこ?鑑)[本鄕次雄·上田俊穗·伊?正名, 保育社, 1985년]
  3. 균학연구(菌學硏究)(개정증보판:改正增補版)[이재동 정영기 주우홍 공저, 세종출판사, 1994년]
  4. 나는 버섯을 겪는다[조덕현, 한림미디어, 2005년]
  5. 내손으로 재배하는 가정버섯 효능과 활용법[장현유 박순애 조우식 김영수 이경남 장현국 공저, 문예마당, 2003년]
  6. 도설한방의약대사전(圖說漢方醫藥大事典)[중국 진존인, 1982년, 1~4권, 도서출판 송악, 1988년 번역 발행]
  7. 독버섯 도감[석순자 외 7인, 푸른행복, 2011년]
  8. 버섯 대백과[고미야마 가츠지, 옮긴이 및 감수 김현정, 동학사, 2008년]
  9. 버섯[박완희, 교학사, 2003년]
  10. 버섯[조덕현, 지성사, 2001년]
  11. 버섯백과 554가지[투리구얼, 행복을 만드는 세상, 2014년]
  12. 버섯학[성재모 유영복 차동열, 교학사, 1998년]
  13. 본초강목(本草綱目)[명나라 이시진(李時珍)저, 1~52권, 1596년, 고문사 백윤기 편집, 1973년]
  14. 본초강목(本草綱目)[명나라 이시진(李時珍)저, 1~52권, 1596년, 인민위생출판사, 상하권, 1982년 1판, 2005년 2판 14차 인쇄, 1982년]
  15. 본초강목(本草綱目)[명나라 이시진(李時珍)저, 1~52권, 문연각 사고전서, 1596년]
  16. 본초강목(新註解 本草綱目)[명 이시진(李時珍)저, 1~52권, 新註校訂代表者: 木村康一,譯者: 鈴木眞海:1997년, 한글번역: 김종하 1-17권, 여일, 2007년]
  17. 본초강목부도(新註解 本草綱目附圖)[명 이시진, 武林錢蔚起本+金陵胡承龍刊本, 譯者: 鈴木眞海:1997년, 번역: 김종하 상.하권, 여일, 2007년]
  18. 사고전서(四庫全書)[청나라 건륭제(乾隆帝), 3,458종, 79,582권, 문연각(文淵閣), 1781년, CD-ROM 153장, 1997년]
  19. 산림총서7[임록재, 리소하, 강준구, 최용협, 김용걸, 리근 공저, 공업종합출판사, 2000년]
  20. 새로운 한국의 버섯[박완희, 이지헌, 교학사, 2011년]
  21. 새로운 채소 도감[초토출판 간행, 류경오 이상수 옮김, 허브월드, 1998년]
  22. 암과 고매영지(癌과 古梅靈芝)[松本紘齊 저, 장현호 번역, 시문사, 1983년]
  23. 암을 이기는 신비의 약용버섯, 꽃송이버섯[야도마에 토시로, 나카지마 미츠오 공저, 류태형 옮김, 정신세계사, 2001년]
  24. 영지버섯 이야기[일양약품 홍보실, 영지버섯 체험수기 작품집, 삶과함께, 1995년]
  25. 영지여건강법(靈芝與健康法)[재등가병위(齋藤嘉兵?), 림아황(林阿晄) 번역, 개산서점(開山書店), 중화민국 71년, 1982년]
  26. 영지지용법여효과(靈芝之用法與效果)[채종통(蔡宗統) 요숙녀(廖淑女) 편저, 삼운출판사(參雲出版社), 1982년]
  27. 우리 산의 버섯, 약초 건강법[정종운, 도서출판 백암, 2006년]
  28. 우리 산에서 만나는 버섯 200가지[국립수목원, 지오북, 2009년]
  29. 원색한국약용버섯도감(原色韓國藥用버섯圖鑑)[박완희 이호득, 교학사, 1999년
  30. 원색한국의버섯[조덕현, 아카데미서적, 2003년]
  31. 자연의 신비한 기적! 버섯건강요법[김병각 외 6명, 가림, 1995년]
  32. 제주도 버섯[서재철 조덕현, 일진사, 2004년]
  33. 조덕현의 재미있는 독버섯 이야기[조덕현, 양문, 2007년]
  34. 조선버섯도감[윤영범, 과학백과사전출판사, 1978년]
  35. 중국본초도감(中國本草圖鑑)[소배근, 1~4권, 인민위생출판사, 1994년]
  36. 중국본초도감(中國本草圖鑑)[소배근, 인민위생출판사, CD판, (주) 솔빛미디어, 여강출판사, 1994년]
  37. 중국본초도록(中國本草圖錄)[소배근(蕭培根), 1~10권, 색인, 인민위생출판사, 1990년]
  38. 중국의학대계(中國醫學大系)[청나라 건륭황제, 사고전서(79,582권) 중 의서 97종 1,864권(733책~785책) 1~53권으로 출판, 자금성문연각사고전서, 1714년]
  39. 중약대사전(中?大?典)[上下권, 강소신의학원편, 상해과학기술출판사, 1977년]
  40. 중약대사전(中藥大辭典)[강소신의학원, 1975년판, 도야 무(嶋野 武)외 24인 일어번역, 부록 색인 1권 포함 총 1-5권, 상해과학기술출판사 소학관, 1985년]
  41. 중약대사전(中藥大辭典)[上中下권, 색인 포함 총 1-4권, 강소신의학원편, 상해인민출판사, 1975년]
  42. 중약대사전(中藥大辭典)[상해과학기술출판사, 1977년판, 김창민 외 101인 한글번역, 부록 색인 1권 포함 총 1-11권, 도서출판 정담, 1997년]
  43. 중초약채색도보(中草?彩色??)(수정본:修?本)[서국균(徐??), 복건과학기술출판사(福建科?技?出版社), 1997년]
  44. 차가버섯의 실체와 응용[심재성 이병화 강석증, 국제농업개발원, 2004년]
  45. 최신 약용버섯 재배기술[차동열 장현유 지음, 문예마당, 2000년]
  46. 최신식용버섯재배기술(最新食用버섯裁培技術)[Shu-Ting Chang, Philip G. Miles 공저, 김경수, 유창현, 차동열 공역, 현암, 1995년]
  47. 한국동식물도감 제 28권 고등균류편(버섯류)[이지열 홍순우, 문교부, 국정교과서주식회사, 1985년]
  48. 한국의 버섯목록(2013년)[한국균학회 균학용어심의위원회, 석순자 외 11인, 사단법인 한국균학회, 2013년]
  49. 한국의 독버섯 독식물[배기완 박완희 정경수 안병태 이준성, 교학사, 1997년]
  50. 한국의 버섯1(식용버섯과 독버섯 원색도감)[농촌진흥청 농업과학기술원, 김영사, 2008년]
  51. 한국의 버섯2[농촌진흥청 농업과학기술원, 동방미디어, 2004년]
  52. 한국의 버섯3[박완희 이호득, 교학사, 1991년]
  53. 한국의 버섯4[자연을 담는 사람들, 문학사계, 2010년]
  54. 한국의 식용·독버섯 도감[조덕현, 도서출판 일진사, 2009년]
  55. Discovering Wild Plants(ALASKA, WESTERN CANADA, THE NORTHWEST)[BY JANICE J. SCHOFIELD ILLUSTRATED BY RICHARD W. TYLER, EATON, 1989년]


(버섯 용어 해설 모음/ 약초연구가 & 동아대 & 신라대 대체의학 외래교수 전동명)

참고문헌: http://jdm0777.com/jdm-1/Chamgomunheon.htm

참조: 독버섯중독 무엇인가?: http://jdm0777.com/jilbyeong/dogbeoseot.htm

참조: 버섯의 용어 해설 사전: http://jdm0777.com/beoseot/1-jeonsegye-11.htm

문의 및 연락처: 010-2545-0777 ; 051-464-0307

홈주소: http://jdm0777.com ; http://www.eherb.kr

이메일: jdm0777@naver.com ;
jdm0777@hanmail.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