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구리밥(부평초) 무엇인가?

물위에 떠서 자라는 개구리밥 부평초

 

 

 

 

 

 

 

 

 

 

[개구리밥의 모습, 사진출처: 일본 구글 이미지 검색]

▶ 강심 작용, 해열 작용, 살충 작용, 발한거풍, 소종, 이수, 청열, 해독, 풍열감모, 마진불투, 심마진, 유행성열병, 피부소양, 수종, 단독, 화상을 다스리는 개구리밥

개구리밥은 외떡잎식물 천남성목 개구리밥과의 여러해살이풀이다.

학명은 <Spirodela polyrhiza>이다. 부평초, 수평, 머구리밥, 자평이라고 한다. 논이나 연못의 물위에 떠서 산다. 가을에 모체에서 생긴 타원형의 작은 겨울눈이 물속에 가라앉아서 겨울을 나고 이듬해 봄에 물위로 나와 번식한다. 엽상체는 달걀을 거꾸로 세운 모양으로 길이 5∼8mm, 나비 4∼6mm이고 앞면은 녹색이나 뒷면은 자주색이다. 엽상체 뒷면 가운데에서 가는 뿌리가 5∼11개 나오고 그 옆에서 새로운 싹이 생겨 번식한다.

꽃은 흰색이며 7∼8월에 간혹 피는 것이 있으나 매우 작아서 찾아보기 어렵다. 1개의 포 안에 2개의 수꽃과 1개의 암꽃이 생기며, 수꽃의 수술은 1개, 암꽃의 암술도 1개이며 화피가 없다. 열매는 포과로 10월에 익는다.

관상용으로 연못에 키우기도 한다. 한방에서는 풀 전체를 소변불리, 수종, 단독, 가려움증, 두드러기, 암종 등에 처방한다. 민간에서는 이질로 탈항이 되었을 때 가루로 빻아 상처에 뿌린다. 아시아, 유럽, 아프리카, 오스트레일리아, 남북아메리카의 온대에서 열대에 걸쳐 분포한다.

개구리밥과는 물에 뜨고, 줄기가 없으며, 식물체는 녹색이다. 비늘 조각 또는 잎 모양의 엽상체는 1개 또는 소수가 몰려 붙고, 뿌리는 있거나 없다. 새로운 개체는 묘아(苗芽)나 생식 낭상포에서 나온다. 꽃차례는 1~5개의 단성화로 이루어지며, 꽃은 1개의 수술 또는 암술로 되어 있다. 전세계에 6속 30종이 자라고 있다. 우리 나라에는 2속 2종이 자라고 있다.

※ 참조:
중국에서는 부평이라는 약재속에 아래의 2가지 종류를 함게 사용하기도 한다.

1,
자배부평[紫背浮萍=개구리밥, 자평:紫萍, 자부평:紫浮萍, 청평:靑萍: Spirodela polyrhiza Schleid.]

2,
청평[靑萍=좀개구리밥: Lemna minor L.=Lemna perpusilla Torry=L. paucicostata Hegelm.]

개구리밥의 여러 가지 이름은
[浮萍=fú píng=: 당본초(唐本草)], [萍: 이아(爾雅)], 수평[水萍, 수화:水花: 신농본초경(神農本草經)], 부평[浮萍, :: 이아(爾雅), 곽박주(郭璞注)], 평자초[萍子草: 보결주후방(補缺肘後方)], 수백[水白, 수소:水蘇: 명의별록(名醫別錄)], 소평자[小萍子: 본초습유(本草拾遺)], 부평초[浮萍草: 본초도경(本草圖經)], 수선[水: 본초품회정요(本草品滙精要)], 수렴[水簾, 구자평:九子萍: 군방보(郡芳譜)], 전평[田萍: 중약지(中藥誌)], 자배부평[紫背浮萍: 성제총록(聖濟總錄)], 자평[紫萍: 회남만필술(淮南萬畢術)], 자부평[紫浮萍, 청평:靑萍: 세의득효방(世醫得效方)], 우키쿠사[ウキクサ: 일본명(日本名)], 머구리밥, 개구리밥, 부평초 등으로 부른다.

[채취]


<중약대사전>: "6~7월에 건져서 말린다."

[성분]


<중약대사전>: "자배부평(紫背浮萍: 개구리밥)에는 초산칼륨, 염화칼륨, 요오드 및 브롬 등이 들어 있다. 청평(靑萍: 좀개구리밥)에도 비타민(vitamin) B1, 비타민(vitamin) B2, 비타민(vitamin) C 등 수용성 비타민(vitamin)이 다량 들어 있고 luteolin-7-β-D-glucopyranoside, 8-hidroxyluteolin-8-β-glucopyranoside 등 flavonoid류와 요오드, 브롬 등이 들어 있다. 그 다당류는 D-apiose의 풍부한 원천이다. 그 외에 sterol류, 엽록소, 당, 단백질, 점액질, 탄닌(tannin) 등도 들어 있다."

[약리작용]


<중약대사전>: "
1, 심혈관에 대한 작용: 청평(靑萍: 좀개구리밥)의 엑스는 quinine에 의하여 쇠갈(衰竭)을 일으킨 개구리의 심장에 대하여 강심 작용을 하고 칼슘을 증가시키며 대량 투여하면 심장을 이완기에 정지시킨다. 그리고 혈관을 수축시켜 혈압을 상승시킨다.

2, 해열 작용:
청평(靑萍: 좀개구리밥)의 탕제 및 침제 2g/kg을 typhus 혼합 vaccine에 의해 발열한 토끼에게 경구 투여하면 미약한 해열 작용을 한다는 것이 증명되었다.

3, 기타 작용:
청평(靑萍: 좀개구리밥)은 항균, 항말라리아 실험에서 음성이지만 실험실이나 현장에서는 보통 모기의 유충과 번데기를 죽이는 작용을 한다."

[성미]


1, <중약대사전>: "맛은 매우며 성질은 차다."

2, <신농본초경>: "맛은 매우며 성질은 차다."

3, <명의별록>: "맛은 시고 성질은 독이 없다."

4, <전남본초>: "맛은 쓰며 성질은 차다."

5, <의림찬요>: "맛은 짜고 매우며 성질은 평하다."

[귀경(歸經)]


1, <중약대사전>: "폐경(肺經)에 들어간다."

2, <본초강목>: "폐경(肺經)에 들어간다."

3, <뇌공포제약성해>: "폐(肺), 소장(小腸)의 2경(經)에 들어간다."

4, <본초구진>: "간(肝), 비(脾)에 들어간다."

[약효와 주치]


1, <중약대사전>: "발한(發汗)하고 풍을 제거하며 행수(行水)하고 열을 내리며 해독한다. 유행성 열병(熱病), 반진불투(斑疹不透), 풍열은진(風熱
癮疹), 피부소양(皮膚瘙痒), 수종(水腫), 융폐(閉), 창옹(瘡癰), 단독(丹毒), 탕상(湯傷) 등을 치료한다."

2, <신농본초경>: ""

3, <명의별록>: ""

4, <당본초>: ""

5, <본초습유>: ""

6, <일화자제가본초>: ""

7, <본초도경>: ""

8, <전남본초>: ""

9, <본초강목>: ""

10, <옥추약해>: ""

11, <영남채약록>: ""

12, <중국약식도감>: ""

[용법과 용량]


<중약대사전>: "내복: 1~2돈(생것은 0.5~1냥)을 달여 복용한다. 혹은 짓찧어서 즙을 내서 쓰고 환을 짓거나 가루내어 쓴다.

외용: 달인 물로 약기운을 쐬며 가루내어 뿌리거나 붙인다."

[배합(配合)과 금기(禁忌:
주의사항)]

1, <본초경소>: "표기허(表氣虛)로 자한(自汗)할 때에는 쓰지 못한다."

2, <본초종신>: "실열(實熱)이 그리 심하지 않을 때 함부로 쓰면 안 된다."

3, <득배본초>: "혈허부조(血虛膚燥)와 기허풍통(氣虛風痛)에는 쓰지 못한다."

개구리밥의 효능에 대해서 배기환의
<한국의 약용식물> 575면 731호에서는 다음과 같이 기록하고 있다.

[
개구리밥[
Spirodela polyrhiza (L.) Schleiden] [개구리밥과]

물 위에 떠서 사는 여러해살이풀. 꽃은 백색으로 7~8월에 피는 것이 간혹 있고, 엽상체의 뒷면에서 생긴다. 2개의 수꽃과 1개의 암꽃이 1개의 포 안에서 생긴다.

분포/
전국에서 자라며, 일본, 만주, 중국, 대만, 필리핀에 분포한다.

약효/
전초를 말린 것을 부평(浮萍)이라고 하며, 발한거풍(發汗祛風), 이수(利水), 청열, 해독의 효능이 있고, 유행성열병, 피부소양, 수종, 단독, 화상을 치료한다.

성분/
luteolin-7-glucoside가 함유되어 있다.

약리작용/
물로 달인 액은 quinine에 의해 쇠약해진 개구리 심장에 대하여 강심 작용이 있고, 다량 투여시 혈관이 수축되고 혈압이 상승되며, typhus vaccine에 의하여 발열된 토끼에 경구 투여를 하면 해열 작용이 있고, 해충에 대한 약한 살충 작용이 있다.

사용법/
전초 10g에 물 700mL를 넣고 달인 액을 반으로 나누어 아침 저녁으로 복용한다.]

개구리밥의 효능에 대해서 중국에서 펴낸 <중국본초도록> 제 2권 217면 908호에서는 다음과 같이 기록하고 있다.

[자평(紫萍, 부평:浮萍)

기원: 부평과(浮萍科=개구리밥과: Lemnaceae)식물인 자평(紫萍=개구리밥: Spirodela polyrhiza (L.) Schleid.)의 전초(全草)이다.

형태: 물에 뜨는 작은 초본이다. 뿌리는 많고 가늘며 작다. 엽상체(葉狀體)는 편평(扁平)하고 난원형(卵圓形)이고 항상 2∼4개씩 모여나고 작게는 한개씩도 나며 앞면은 짙은 녹색(綠色)이고 뒷면은 자색(紫色)이며 뚜렷하지 않은 장상맥(掌狀脈)이 5∼11개 있다. 꽃은 단성(單性)으로 자웅동주이고 엽상체(葉狀體)의 가장자리에 달리며 불염포(佛焰苞)는 이층형(二脣形)이고 화피(花被)가 없으며, 수꽃은 2개의 수술이 있고, 암꽃은 1개의 수술이 있고 암술대는 짧고 암술머리는 편평(扁平)하다. 과실(果實)은 원형(圓形)이고 가장자리엔 날개 모양의 과피(果皮)가 있다.



분포: 못, 논 혹은 깨끗한 물에 자란다. 중국각지에 분포(分布)한다.

채취 및 제법: 여름에 물과 같이 채취하여 잡질(雜質)을 가려 꺼내고 햇볕에 말린다.

성분: orientin, vitexin 등.

기미: 맛은 맵고 성질은 차다.

효능: 거풍(祛風), 발한(發汗), 소종(消腫).

주치: 풍열감모(風熱感冒), 마진불투(麻疹不透), 심마진(蕁麻疹), 수종(水腫).

용량: 3∼6g. 외용시(外用時)에는 적량(適量)을 사용(使用)한다.

참고문헌: 회편(滙編), 상권, 643면.]

개구리밥으로 질병을 치료하는 방법은 아래와 같다.

1, 유행성 열병, 발한

부평초(
浮萍草) 1냥, 마황(麻黃: 절:節과 근:根을 제거한 것), 계심(桂心), 부자(附子: 수치:修治하여 터지게 하고 제:臍와 피:皮를 제거한 것) 각 반 냥씩 취한다. 이 네 가지 약을 함께 짓찧어 곱게 가루내어 체로 친다. 한 번에 2돈씩 복용하되, 한 컵 물에 생강 절반을 넣고 6할이 되게 달여 수시로 그 찌꺼기와 함께 온복한다. [본초도경(本草圖經)]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노육반정(胬肉攀睛)
청평(靑萍: 좀개구리밥)을 조금 짓찧어 거기에 편뇌(片腦)를 조금 넣고 눈에 붙인다. [
세의득효방(世醫得效方)]

[각가(各家)의 논술(論述)]


1, <본초연의보유(
本草衍義補遺)>: ""

2, <본초강목(本草綱目)>:
""

3, <본초경소(本草經疏)>:
""

4, <장수신(
張壽頣)>: "부평(浮萍)은 성질이 제일 가벼우므로 상승하여 위로는 폐기(肺氣)를 돕고 밖으로는 피모(皮毛)에 이르러 발한(發汗)하고 설열(泄熱)하며 아래로는 수도(水道)를 통하게 한다. <신농본초경(神農本草經)>, <명의별록(名醫別錄)>과 명(明)나라의 여러 학자들의 주치(主治)도 모두 이 범주에 속한다. 그러나 기분(氣分)에 들어갈 뿐만 아니라 혈열(血熱)도 없애기에 <성제총록(聖濟總錄)>에서 토혈이 멎지 않는데 썼고 <태평성혜방(太平聖惠方)>에서 비열이 나는 것도 치료해으며 빈호(瀕湖)는 부평(浮萍)으로 목적(目赤), 구창을 치료했는데 청화(淸火)하는 효능이 있었다. 그리고 또 열을 아래로 끌어 내리는데 그 효과는 빠르고 우수하다. 지금 사람들은 발한약(發汗藥)으로만 알고 청열(淸熱)의 장점을 몰라 그 용도를 다 이용하지 못했다고 본다. 이 밖에 부평(浮萍)은 질이 가장 가볍고 기미(氣味)가 모두 박(薄)하여 비록 발한(發汗)한다고 하나 성질이 온열(溫熱)하지 않으므로 과한(過汗)을 우려할 필요는 없다."

[비고(備考)]


1, <당본초(唐本草)>:
"수평(水萍)에는 3가지가 있다. 큰 것을 평(萍)이라고 부른다. 물 속에 또 행평(
荇萍)이라는 것이 있는데 비슷하지만 잎이 둥글다. 물 위의 소부평(小浮萍)은 화창(火瘡)을 다스린다."

2, <본초습유(本草拾遺)>: "소평자(小萍子)는 도랑에 있는 것이다......<신농본초경(神農本草經)>에서 말하는 수평(水萍)은 작은 것이다."

3, <본초강목(本草綱目)>:
"<본초(本草)>에 쓴 수평(水萍)은 소부평(小浮萍)이고 대평(大萍)이 아니다. 이는 도(陶)씨와 소(蘇)씨가 모두 대평(大萍)이라 주석을 달았는데 이는 그릇된 것이다. 평(萍)과 평(
)은 음이 같으나 글자가 다르고 형태도 다르다. 부평(浮萍)은 곳곳에 있는 늪의 고인 물에 매우 많으며 봄부터 자란다. 한 잎에서 하룻밤만 지나면 여러 개의 잎이 생기고 잎 아래에 가느다란 수염이 자라는데 그것이 뿌리이다. 한 가지는 잎의 밑면과 윗면이 다 푸르다. 다른 한 가지는 윗면은 푸르고 밑면은 피처럼 적자색이다. 두 번째 것을 자평(紫萍)이라 부르는데 약으로 쓰기 좋다. 자평(紫萍)은 7월에 채취한다. 자평부평(紫萍浮萍)은 7월에 채취하여 깨끗이 씻어서 대나무 채반에다 말린다. 그 밑에 물을 한 대야 떠 놓으면 빨리 마른다."

4, <본초구진(本草求眞)>:
"부평(浮萍) 연기는 모기를 잘 쫒는다. 그러나 기(氣)가 허(虛)한 사람은 절대 접근하지 말아야 한다."

상기 자료는 약초연구가로서 지구상에 존재하는 천연물질의 우수성을 널리 알리고 질병으로 고통을 겪고 있는 환우들에게 희망을 주며 기능성 식품과 신약을 개발하는데 통찰력을 갖게하고 약초를 사랑하는 모든 사람에게 정보의 목적으로 공개하는 것임을 밝혀 둔다.  

(글/ 약초연구가 & 동아대 & 신라대 대체의학 외래교수 전동명)

개구리밥 사진 감상: 네이버+구글+다음+일본구글+대만구글: 1, 2, 3, 4, 5,  

문의 및 연락처: 010-2545-0777 ; 051-464-0307

홈주소: http://jdm0777.com ; http://www.eherb.kr

페이스북 주소: http://www.facebook.com/jdmsanyacho

이메일: jdm0777@
naver.com ; jdm0777@hanmail.net

참조: 아래의 비슷한 식물도 함께 고려해 보시기 바랍니다.

 

 

  1. 개구리밥(부평초) 무엇인가?
  2. 좀개구리밥(청평) 무엇인가?

 

 

 

 

 

홈페이지 주소 : http://jdm0777.com 클릭하시면 홈으로 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