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듭풀 무엇인가?

매듭 모양의 V자 형태로 잎 중간이 떨어지는 매듭풀

 

 

 

 

 

 

 

 

img1.jpg

img1.jpg

img1.jpg img1.jpg

 

 

[매듭풀의 잎, 꽃, 열매, 종자의 모습, 사진출처: 일본/대만/한국 구글 이미지 검색]

▶ 항균작용, 청열해독, 배농생기, 갑작스럽게 토하고 설사를 하며 배가 아플 때, 더위 먹었을 때, 습열로 인한 황달, 전염성 간염[임상보고], 서사, 암치질로 인한 변혈, 만성 적백리, 적백리, 학질(말라리아), 소아감적, 위통, 소변이 잘 나오지 않을 때, 열림, 여성의 백대하, 타박상, 간염, 이질, 위장염, 야맹증, 창절다스리는 매듭풀

매듭풀(japan clover)은 쌍떡잎식물 장미목 콩과의 한해살이풀이다.

매듭풀의 학명은 <Kummerowia striata>이다. 매돕풀이라고도 한다. 길가나 들 또는 하천가의 해가 잘 드는 곳에서 흔히 볼 수 있다. 높이 10∼30cm이다. 줄기는 곧게 서며, 가지는 가늘고 갈라져 옆으로 자라는데 아래쪽을 향해 잔털이 난다. 잎은 어긋나며, 3개의 작은잎이 모여 있다. 작은잎은 긴 타원형으로 길이 10∼15mm, 나비 5∼8mm이며 끝이 둥글며 잎자루는 짧다.

꽃은 연한 붉은색으로 8∼9월에 잎겨드랑이에 1∼6개가 모여 피며 길이 약 5mm이다. 꽃자루는 짧고 포와 작은포는 5∼7맥이 있다. 꽃받침은 5갈래로 갈라지고 털이 나며 꽃잎은 꽃받침보다 길고 길이 약 5mm이다. 폐쇄화에는 꽃잎이 없다. 수술은 10개이다.

열매는 핵과로서 지름 약 3.5mm인 납작하고 둥근 모양이며 1개의 종자가 들어 있다. 북아메리카에서는 목초로 재배하며 중국에서는 해열이나 감기에 한약재로 쓴다. 한국, 일본, 중국, 헤이룽강, 사할린섬 등지에 분포한다.

매듭풀이라는 이름의 유래는 <잎이 매듭과 같이 뜯어진다>라고 하여 <매듭풀>이라고 부르게 되었다. 동속 식물인 둥근잎매듭풀<
Kummerowia stipulacea (Maxim.) Makino>도 중국의 어떤 곳에서는 이것을 매듭풀인 계안초와 같은 목적으로 쓴다.

매듭풀의 여러 가지 이름은
계안초[鷄眼草=jī yǎn cǎo=V차오V, 겹부제:掐不齊: 구황본초(救荒本草)], 팔자초[八字草: 본초구원(本草求原)], 반주과[斑珠科, 공모초:公母草: 식물명실도고(植物名實圖考)], 우황황[牛黃黃, 작고기:古基: 중국주요식물도설(中國主要植物圖說), 두과(豆科)], 소축편[小蓄片: 남경민간약초(南京民間藥草)], 매자초[妹子草, 홍화초:紅花草, 지란화:地蘭花: 중의약실험연구(中醫藥實驗硏究)], 토문화[土文花, 만로금계:滿路金鷄, 세화초:細花草: 귀주민간약물(貴州民間藥物)], 백반구와[白斑鳩窩: 사천중약지(四川中藥誌)], 원앙초[鴛鴦草, 야관문:夜關門, 노아수:老鴉鬚, 포지룡:鋪地龍: 호남약물지(湖南藥物誌)], 마의초[螞蟻草: 상해상용중초약(上海常用中草藥)], 연자초[蓮子草, 화화초:花花草, 하폐초:夏閉草, 소연변초:小延邊草, 화생초:花生草, 백편축:白萹蓄, 소관문:小關門, 할안초:瞎眼草: 절강민간상용초약(浙江民間常用草藥)], 소호창승익[小號蒼蠅翼, 홍골단:紅骨丹: 복건중초약(福建中草藥)], 마이골두초[螞蟻骨頭草: 소의(蘇醫), 중초약수책(中草藥手冊)], 야하즈소우[ヤハズソウ, 시괄초:矢筈草: 일문명(日文名)], 매돕풀, 매듭풀, 가위풀, 가새풀 등으로 부른다.

[채취]


<중약대사전>: "7~8월에 채취해서 햇볕에 말리거나 신선한 것을 그대로 쓴다."

[성분]


<중약대사전>: "잎에는 플라보노이드(flavonokd)와 glycoside를 함유하고 있다."

[약리작용]


<중약대사전>: "계안초(매듭풀)의 수침제는 in vitro에서 4종의 이질균과 대장균에 대해서는 항균 작용이 없다. 알코올 추출액은 불씨 이질균에 대하여 미약한 작용이 있다. 장악계안초(둥근잎매듭풀)의 유동 추출액은 in vitro에서 불씨, 서씨, 지하씨 이질균에 대하여 일정한 항균 작용이 있다(평판법:平板法)."

[성미]


1, <중약대사전>: "맛은 달고 매우며 성질은 평하다."

2, <본초구원>: "맛은 달고 매우며 성질은 평하다."

3, <사천중약지>: "성질은 차고 맛은 매우며 독이 없다."

[약효와 주치]


1, <중약대사전>: "
열을 내리고 해독하며 비(脾)를 튼튼하게 하고 습기를 제거하는 효능이 있다. 감기로 인한 발열, 서습토사(暑濕吐瀉), 학질, 이질, 전염성 간염, 열림(熱淋), 백탁(白濁)을 치료한다."

2, <본초구원>: "타박상으로 붓는 증상을 치료한다. 해독한다."

3, <식물명실도고>: "화독(火毒)을 없앤다. 더위 먹었을 때는 짓찧은 즙을 냉수와 함께 마신다."

4, <남경민간약초>: "소변이 잘 나오게 하는 효능이 있다."

5, <복주초약>: "뱀에게 물린 상처를 치료한다."

6, <중의약실험연구>: "여성의 백대하, 습열(濕熱)로 인한 황달, 서사(暑瀉), 암치질로 인한 변혈, 적백리를 치료한다."

7, <민간상용초약회편>: "토혈, 사리(瀉痢) 및 소아감질(小兒疳疾)을 치료한다."

8, <귀주민간약물>: "지혈한다. 복통을 치료한다."

9, <사천중약지>: "해열하고 더위를 가시게 하며 요통이 있는 설사, 발사(
發痧), 백리를 치료한다."

10, <절강민간상용초약>: "이습건비(利濕健脾), 해열지리(解熱止痢)하는 효능이 있다."

11, <상해상용중초약>: "감기로 인한 발열, 해수로 인한 흉통, 오도감염, 장염, 이질을 치료한다."

12, <복건중초약>: "이수소적(利水消積)한다. 소화 불량으로 인한 설사를 치효한다."

13, <섬서중초약>: "수렴(收斂)하고 고탈(固脫)한다. 자궁탈수, 탈항을 치료한다."

[용법과 용량]


<중약대사전>: "내복: 11~19g을 물로 달여서 복용한다.

외용: 짓찧어 바르거나 짓찧은 즙을 바른다."

매듭풀의 효능에 대해서 중국에서 펴낸 <중국본초도록> 제 1권 79면 132호에서는 다음과 같이 기록하고 있다.

[계안초(鷄眼草)

기원: 두과(豆科=콩과: Leguminosae)식물인 계안초(鷄眼草=매듭풀: Kummerowia striata (Thunb.) Schindl.)의 전주(全株)이다.

형태: 사방으로 퍼져 자라는 초본이며 항상 마디가 생기며 자란다. 줄기는 털로 덮여 있다. 잎은 삼출복엽(三出複葉)으로 어긋나며 소엽(小葉)은 장타원형(長橢圓形)이고 잎맥과 잎가장자리는 털로 덮이며, 탁엽(托葉)이 2장이고 숙존(宿存)한다. 꽃은 1∼3송이가 액생(腋生)하고, 꽃받침의 색깔은 심홍색(深紅色)이며, 화관(花冠)은 접형(蝶形)이며 장미색이다. 수술은 10개이며 9개와 1개로 나뉘는 양체(兩體)수술이다. 열매는 협과(莢果)이고 난상(卵狀) 장원형(長圓形)이다.

img1.jpg

[사진 출처: 중국 바이두 백과사전]


분포: 산비탈이나 길가, 밭 주위의 초지에서 자란다. 중국의 동북(東北), 화북(華北), 화중(華中), 화남(華南) 지방에 분포한다.

채취 및 제법: 여름과 가을철에 채취하여 햇볕에 말린다.

성분: gliucoluteolin등.

기미: 맛은 달고 담담하여 성질은 약간 차다.

효능: 청열해독(淸熱解毒), 배농생기(排膿生肌).

주치: 간염(肝炎), 이질(痢疾), 위장염(胃腸炎), 야맹증(夜盲症), 창절(瘡癤).

용량: 9∼30g.

참고문헌: 회편(滙編), 상권 432면.]

매듭풀로 질병을 치료하는 방법은 아래와 같다.

1,
갑작스럽게 토하고 설사를 하며 배가 아플 때
매듭풀의 어리고 뾰족한 잎을 입에 넣고 씹어서 그즙을 삼킨다. [
귀주민간약물(貴州民間藥物)]

2, 더위 먹었을 때

신선한 매듭풀 111~148g을 찧어서 끓인 물에 타서 복용한다. [복건중초약(福建中草藥)]

3, 습열로 인한 황달, 서사(暑瀉), 암치질로 인한 변혈

매듭풀 26~37g을 물로 달여서 복용한다. 만성 암치질일 때에는 장기적으로 복용하여야 효과가 있다. [중의약실험연구(中醫藥實驗硏究)] 

4, 만성 적백리

신선한 매듭풀 74g, 봉미궐(鳳尾蕨) 18.5g을 물로 달여서 식전에 복용한다. [
절강민간상용초약(浙江民間常用草藥)]

5, 적백리

매듭풀 18.5g, 육월상(六月霜) 7.4g을 달여서 찌꺼기를 버리고 적리에는 홍당(紅糖)을, 백리에는 백당(白糖)을 넣어 복용한다. [중의약실험연구(中醫藥實驗硏究)] 

6, 학질(말라리아)

매듭풀 37~111g을 물로 달여서 2~3번에 나누어 복용한다. 하루 1번씩 3일간 연속 복용한다. [단방험방조사자료선편(單方驗方調査資料選編)]

7, 소아감적(小兒疳積)

매듭풀 18.5g을 물로 달여서 복용한다. [
절강민간상용초약(浙江民間常用草藥)]

8, 위통

매듭풀 1냥을 물로 달여서 따뜻하게 데워서 복용한다. [복건중초약(福建中草藥)]

9, 소변이 잘 나오지 않을 때

신선한 매듭풀 37~74g을 물로 달여서 복용한다. [복건중초약(福建中草藥)]

10, 열림(熱淋)

매듭풀 26g을 미주(米酒)로 달여서 복용한다. [중의약실험연구(中醫藥實驗硏究)]

11, 여성의 백대하

매듭풀 26~37g을 돼지고기 정육 74~111g을 푹 삶은 물로 달여서 복용한다. [중의약실험연구(中醫藥實驗硏究)]

12, 타박상

매듭풀을 찧어서 바른다. [호남약물지(湖南藥物誌)]

13, 전염성 간염
(임상보고)
매일 신선한 매듭풀 6냥(소아는 절반)을 깨끗이 씻어 물을 넣고 20~30분간 달인다. 찌꺼기를 없애고 세 번에 나누어 복용하되 10일간 연속 복용한다. 23례의 관찰에 의하면 황달이 없어지고 간 기능 회복에 대하여 일정한 효과가 있었다. 치료 과정에서는 독성 반응과 부작용이 보이지 않았다. [중약대사전]

상기 자료는 약초연구가로서 우리땅에 존재하는 천연물질의 우수성을 널리 알리고 질병으로 고통을 겪고 있는 환우들에게 희망을 주며 신약을 개발하는데 통찰력을 갖게하고 약초를 사랑하는 모든 사람에게 정보의 목적으로 공개하는 것임을 밝혀 둔다.  

(글/ 약초연구가 & 동아대 & 신라대 대체의학 외래교수 전동명)

매듭풀 사진 감상: 네이버+구글+다음+일본구글+대만구글: 1, 2, 3, 4, 5,

문의 및 연락처: 010-2545-0777 ; 051-464-0307

홈주소: http://jdm0777.com

페이스북 주소: http://www.facebook.com/jdmsanyacho

메일: jdm0777@naver.com


아래에 비슷한 식물도 함께 참조해 보시기 바랍니다. 

 

 

  1. 매듭풀 무엇인가?
  2. 둥근잎매듭풀 무엇인가?

 

 

홈페이지 주소 : http://jdm0777.com 클릭하시면 홈으로 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