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전신보혈강장작용,
전신강장작용, 피로회복을 빠르게 하는 작용, 강심작용, 빈혈을 포괄하는
각종 만성소모성질병, 심장쇠약, 매우 좋은 온몸강장제, 여러 소모성
질병에 보약, 기혈을 보하는데, 몸을 튼튼하게 하는데, 추위와 산소기아에
이겨내는 힘을 세게 하는데, 피로를 막아내는데, 노화를 막고 몸을 튼튼하게
하는데, 적혈구와 혈색소가 많아지며 몸무게가 빨리늘리는데, 오랜 옛날부터 민간에서
만들어 쓰는 보약, 건수, 노수, 여러 가지 기생충병을 치료하는 약,
여러 가지 원인으로 허약해졌을 때,
앓고 난 뒤, 노인들의 강장약, 허로손상으로
머리카락이 일찍 희어지며 이빨이 흔들리고 쉽게 피곤해지는 데, 만성
위장병을
다스리는 경옥고
[금기(禁忌:
주의사항)]
1,
<동의처방대전
제6권 108면>:
"소화장애가
심하게 있거나 설사를 할 때는 쓰지 않는다."
2,
<보약
321-322면>:
"건강과
장수를 위한 보약처방을 쓸
때에 주의를 돌려야 할 문제는 다음과 같다.
①
적응증을 잘 가려야 한다.
건강과 장수를 위한 보약처방은
몸이 실하며 튼튼한 사람에게는 알맞지 않고 몸이 약한 상태, 여윈상태에서
쉽게 감기 같은 것에 걸리고 또 일단 걸린 다음에는 쉽게 낫지 않는
사람들에게 좋다.
보약이라하여 아무 사람에게나 다 맞는 것이
아니므로 처음에는 적은양을 써서 반응상태를 보고 적응증이 되는가
안되는가를 가려서 쓰는 것이 좋다.
병치료도 동시에 목적으로
하는 경우에는 병증의 본절을 잘 가려서 써야 한다. 예를 들면 신음,
심혈이 모자라 허열이 생긴 때에는 녹용, 부자 등 보약이 든 처방을
쓰지 말아야 한다.
② 약의 양과 제형, 먹는 기간을 옳게
정해야 한다.
보아 일찍 늙는 것을 막고 몸을 건강하게 하며
오래 살 게 할 목적으로 쓴 때에는 알약 또는 약엿 형태로 만들어 적은양을
비교적 오랜기간에 거쳐 쓰는 것이 좋다.
③ 비위의 기능을
돌보는 약을 알맞게 배합하여 써야 한다.
건강과 장수를
위한 보약들 가운데는 비위의 기능에 지장을 주어 소화장애를 일으키는
약종들이 적지 않게 있으므로 필요에 따라 소화를 돕는 약을 더 넣어서
써야 한다."
1,
<동의처방대전 제1권 33-34면>: "병없이
오래 살게 하기 위해 쓰는 보약 처방:
동의학에서 나온 보약처방들
가운데는 순전히 병 없이 오래 살게 할 목적으로 쓰여 온 것이 많다.
이러한 처방들은 몸의 전반적 기능을 잘 조절하고 도와주어 병을 막아내는
힘을 세게 하며 몸을 튼튼히 하는 방향에서 작용한다.
경옥고(瓊玉膏)
1-찐지황:
9,500g 2-인삼: 900g 3-졸인꿀: 6,000g 4-흰솔풍령: 1,800g
찐지황은
짓찧어 짜서 즙을 내고 인삼, 흰솔풍령은 가루내어 졸인꿀에 갠다.
이상을
질그릇 항아리에 넣고 기름종이로 5겹 싼 다음 김이 새지 않게 덮개를
잘 닫는다. 다음 이것을 물이 든 솥에 넣고 부단히 보충하면서 24시간
달여 졸인엿처럼 되게 한다. 한번에 1~2숟가락씩 따뜻한 술 또는 물에
타서 하루 2~3번 먹는다.
[작용]
기혈을 보하며
몸은 튼튼하게 한다. 인삼, 흰솔풍령은 원기와 비위를 보하고 찐지황은
음혈을 보한다.
※
경옥고는 매우 좋은 온몸강장제이다.
실험적으로 만성적인 실혈성 빈혈을 일으킨 동물의 먹이에 경옥고를
섞어서 일정한 기간 먹이면 적혈구와 혈색소가 많아지며 몸무게가 빨리
는다. 또한 추위와 산소기아에 이겨내는 힘을 세게 하며 피로를 막아내고
피로회복을 빠르게 하는 작용이 증명되고 있다.
[맞음증]
노화를
막고 몸을 튼튼하게 하기 위해 쓰는 외에 허로손상으로 머리카락이 일찍
희어지며 이빨이 흔들리고 쉽게 피곤해지는 데 쓴다.
만성 위장병,
여러 소모성 질병에 보약으로 쓸 수 있다.
[가감방]
익수영진고:
천문동, 맥문동 각각 600g을 더 넣은 것이다. 폐로에 쓴다."
2,
<동의처방대전 제6권 108면>:
"제
2절 복방보약: ≪경옥고≫
인삼
및 솔뿌리혹가루(복령분말)와 지황엑스를 꿀에 개어서
만든 검은 밤색의 약엿이다. 특이한 냄새와 단맛, 약간의
쓴맛이 있다.
경옥고는 오랜 옛날부터 민간에서
만들어 보약으로 썼는데 기혈을 보하고 몸을 튼튼하게
한다. 그러므로 여러 가지 원인으로 허약해졌을 때,
앓고 난 뒤, 만성 위장병, 소모성 질병, 노인들의 강장약으로
쓴다.
한번에 10~20g씩 하루 3번 먹는다. 소화장애가
심하게 있거나 설사를 할 때는 쓰지 않는다."
3,
<보약 321-327면>: "보약처방편:
오랜 예로부터 전해 내려온 수많은 보약처방들은 사람들의 건강을
보호 증진하기 위한 실천적인 투쟁과정에서 얻어진 귀중한 경험적 산물이며
병없이 오래 살려는 사람들의 염원에 맞게 조성된 약화제들이다.
보약처방들에는
순수 보약으로서 몸을 보하기 위해 쓰는 것이 있는 외에 인체의 기 또는
혈, 음, 양이 모자란데서 생기는 이러저러한 병증들과 음양기혈을 소모하는
여러 만성질병들에 치료약으로 쓰이는 것도 있다.
그러므로 보약
처방을 이루는 개별 약재들의 작용과 처방으로서의 종합적인 작용을
잘 알면 보약 처방만으로도 수많은 질병들을 잘 치료할 수 있게 된다.
이것은 거의 모든 보약 처방들이 몸을 보하는 약재가 위주로 되면서도
병을 없애는 약들이 함께 포함되어 있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보약처방이라
하여 순수 보하는 약으로만 보고 그가 가지는 폭넓은 치료적 작용을
소홀히 여겨서는 안된다."
일반적으로 보약처방들에는 병없이
오래 살게 할 목적으로 쓰는 것이 있고 기와 혈 또는 개병장부들의 음이나
양을 보충하여 몸은 튼튼하게 하며 병을 이겨내는 힘을 세게 할 목적으로
쓰이는 것 그리고 병에 의하여 약해진 몸을 추겨세우면서 동시에 병도
고칠 목적으로 쓰이는 것이 있다.
보약 처방편에는 동의보감,
의방류취, 방약합편을 비롯한 우리 나라 고전 문헌들에서 보약 처방에
속하는 것들을 추려서 내용에 포괄시켰다.
음양기혈 또는 5장
6부를 보하는 수많은 보약 처방들이 어느 한 부분만을 보하는데 국한되지
않고 다방면적인 작용을 나타내므로 많은 경우 한계를 명확히 갈라 분류하기가
어렵다. 그러므로 이 책에서는 동의보감의 보약 처방 분류법에 준하면서
해당 처방의 조성 및 종합적인 작용을 참작하여 크게 건강과 장수를
위한 것과 음양기혈, 5장 6부를 보하는 것으로 나누어 내용을 전개하였다.
1,
건강과 장수를 위한 보약처방
동의학에서 나온 보약 처방들
가운데는 순전히 병없이 오래 살게 잘 목적으로 쓰이여 온 것이 수많이
있다. 이러한 처방들은 몸의 전반적 기능을 잘 조절하고 도와주어 병에
이겨내는 힘을 세게 하며 몸을 튼튼히 하는 방향에서 작용한다.
동의고전문헌들에
의하면 이러한 처방들이 사람몸의 정과 수, 5장과 6부를 골고루 다 보하여
사람으로 하여금 늙지 않게 하고 흰머리를 검게 하며 치아를 튼튼하게
하고 갈증과 배고픈 감을 느끼지 않게 한다. 이 부류에 속하는 보약처방들도
온갖 허로손상의 회복에 좋은 영향을 줌으로써 순수 보약으로만 작용하는
것이 아니라 여러 가지 질졍들에 대한 치료적 효과도 나타낸다.
오랜
예로부터 건강과 장수를 위한 목에 쓰이어 온 처방들은 많은 경우 신과
비를 보하면서 약해진 개별적 장부들의 기능을 추세우는 방향에서 이루어졌다.
신을 보하는 약들이 많이 들어 있는 것은 동의학의 원리로부터 신이
온몸의 정기를 간직하고 골, 수, 뇌를 산생시키며 생명유지에 필요한
여러 가지 물질들을 생겨나게 하고 이런 물질들이 사람몸안에서 효과적으로
이용되게 만드는 기능을 수행한다고 보기 때문이다.
도한 비를
보하는 약들이 들어있는 것은 비를 보해야 먹은 것을 잘 삭여 기와 혈을
만들어내고 그것을 온몸에 고루 퍼지게 하여 몸은 튼튼하게 하며 기운을
쓰게 하고 나아가서는 살찌개 할 수 있게 된다고 보기 때문이다.
건강과
장수를 위한 보약처방을 쓸
때에 주의를 돌려야 할 문제는 다음과 같다.
①
적응증을 잘 가려야 한다.
건강과 장수를 위한 보약처방은
몸이 실하며 튼튼한 사람에게는 알맞지 않고 몸이 약한 상태, 여윈상태에서
쉽게 감기 같은 것에 걸리고 또 일단 걸린 다음에는 쉽게 낫지 않는
사람들에게 좋다.
보약이라하여 아무 사람에게나 다 맞는 것이
아니므로 처음에는 적은양을 써서 반응상태를 보고 적응증이 되는가
안되는가를 가려서 쓰는 것이 좋다.
병치료도 동시에 목적으로
하는 경우에는 병증의 본절을 잘 가려서 써야 한다. 예를 들면 신음,
심혈이 모자라 허열이 생긴 때에는 녹용, 부자 등 보약이 든 처방을
쓰지 말아야 한다.
② 약의 양과 제형, 먹는 기간을 옳게
정해야 한다.
보아 일찍 늙는 것을 막고 몸을 건강하게 하며
오래 살 게 할 목적으로 쓴 때에는 알약 또는 약엿 형태로 만들어 적은양을
비교적 오랜기간에 거쳐 쓰는 것이 좋다.
③ 비위의 기능을
돌보는 약을 알맞게 배합하여 써야 한다.
건강과 장수를
위한 보약들 가운데는 비위의 기능에 지장을 주어 소화장애를 일으키는
약종들이 적지 않게 있으므로 필요에 따라 소화를 돕는 약을 더 넣어서
써야 한다.
경옥고(瓊玉膏)
1-찐지황: 9,500g 2-인삼:
900g 3-졸인꿀: 6,000g 4-흰솔풍령: 1,800g
찐지황을 짓찧어
짜서 즙을 내고 인삼과 흰솔풍령은 가루내어 졸인꿀에 갠다. 그리하여
사기 항아리에 넣고 기름종이로 싼 다음 김이 새어 나가지 않게 마개를
잘 닫는다. 이것을 물이 든 솥에 넣고 물을 부단히 보충하면서 24시간
달인 다음 꺼내면 약엿이 된다. 이 약엿을 한번에 30~60g씩 따뜻한 술
또는 물에 타서 하루 2~3번 끼니 뒤에 먹는다.
[작용 및 용도]
①
기혈을 보하며 몸은 튼튼하게 한다. 늙는 것을 막으며 허로손상으로
머리털이 일찍 희여지며 이빨이 놀고 쉽게 피곤이 오는데 쓴다.
②
전신보혈강장작용, 강심작용을 한다.
빈혈을 포괄하는 각종
만성소모성질병, 만성위장질병, 심장쇠약 등에 쓴다.
[처방풀이]
인삼,
흰솔풍령은 원기와 비위를 보하고 생지황은 음혈을 보한다.
[가미방]
익수영진고:
천문동, 맥문동 각각 600g을 더 넣은 것이다. 폐로에 쓴다.
[현대적연구자료]
경옥고는
전신강장작용을 한다.
실험적만성실혈성빈혈을 일으킨 동물의
먹이에 경옥고를 섞어서 일정한 기간 먹이면 적혈구와 혈색소가 증가되며
몸무게가 빨리 는다. 또한 추위와 산소기아에 이겨내는 힘을 세게 하며
피로의 방지 및 피로회복을 빠르게 하는 작용이 증명되고 있다."
4,
<허준의 동의보감>: "병들지 않게 하며 건강하고 오래 살게 하는 약[養性延年藥餌]
경옥고, 삼정환, 연년익수불로단, 오로환동단, 연령고본단, 반룡환, 이황원, 현토고본환, 고본주 등은 모두 건강하게 하고 오래 살게 한다.
경옥고(瓊玉膏)
정(精)과 수(髓)를 불쿠어 주고 진기를 고르게 하며 원기를 보하여 늙은이를 젊어지게 하고 모든 허손증(虛損證)을 보하며 온갖 병을 낫게 한다. 또한 정신이 좋아지고 5장이 충실해지며 흰머리가 다시 검어지고 빠진 이가 다시 나오며 걸음걸이가 뛰는 말과 같이 빨라진다. 하루에 두세번 먹으면 종일토록 배고프거나 목이 마르는 일이 없다. 이와 같이 이 약의 효과는 이루 다 말할 수 없다. 1제를 5몫으로 나누어 쓴다면 5명의 반신불수 환자를 치료할 수 있고 1제를 10몫으로 나누어 쓰면 10명의 노채환자를 치료할 수 있다. 만약 이 약을 27살부터 먹기 시작하면 360살까지 살 수 있고 만약 64살부터 먹기 시작하면 500살까지 살게 될 것이다.
생지황(짓찧어 즙을 낸다) 9,600g, 인삼(보드랍게 가루낸 것) 900g, 흰솔풍령(백복령, 보드랍게 가루낸 것) 1,800g, 꿀(졸여서 찌꺼기를 버린 것) 6,000g.
위의 약들을 한데 고루 버무려 사기항아리에 넣고 기름먹인 종이로 항아리 아가리를 5겹으로 싼 다음 또 두꺼운 베천 한 겹으로 단단히 싸서 봉한다. 이것을 물을 넣은 구리솥 안에 띄워 놓되 항아리 아가리가 물 밖으로 나오게 한다. 그 다음 뽕나무장작으로 3일 동안 불을 땐다. 만약 솥의 물이 줄면 더운물을 더 붓는다. 3일 동안 달인 다음 꺼내 다시 밀먹인 종이로 항아리 아가리를 잘 싸서 봉한다. 이것을 우물물 속에 하룻동안 담가 두었다가 꺼내 다시 먼저 끓이던 물에 넣고 24시간 동안 달인다. 물기가 다 없어지면 꺼낸다. 먼저 조금 떼내 천지신명에게 제사를 지내고 나서 한번에 한두 숟가락씩 데운 술에 타 먹는다.㈜ 술을 마시지 못하면 끓인 물로 먹는다. 하루에 두세 번씩 먹는다. 만약 여름철 더울 때에는 서늘한 곳이나 얼음 속이나 땅 속에 파묻어 두어야 한다. 반드시 닭과 개소리가 들리지 않는 조용한 곳에 두어야 한다. 약을 만들 때에는 처음부터 마지막까지 무쇠그릇을 쓰지 말 것이며 먹을 때에는 파, 마늘, 무, 식초, 신 것 들을 먹지 말아야 한다[입문].
[註] 약을 만든 다음 먼저 약을 조금 떼내 천지신명에게 제사를 지낸다는 것은 그 당시에는 약뿐만 아니라 새로운 음식을 만든 다음에는 천지신명에게 먼저 제사 지내고 먹는 미신적인 습관이 있었는데 다 허황한 것이다.
○ 『위생방』에는 “생지황 4.8kg, 인삼 1.2kg, 흰솔풍령(백복령) 900g, 꿀(봉밀) 3kg을 쓴다”고 씌어 있다.
○ 영락 때에 태의원회의에서 천문동, 맥문동, 지골피 각각 300g을 더 넣어 약을 만들어 임금에게 올려 먹게 하였는데 임금이 그 약이름을 익수영진고(益壽永眞膏)라고 불렀다.
삼정환(三精丸)
오랫동안 먹으면 몸이 가벼워지고 오래 살게 되며 얼굴이 젊은이와 같이 된다.
삽주(창출, 천정(天精)이다), 지골피(지정(地精)이다) 각각 깨끗하게 가루낸 것 600g, 익은 오디(인정(人精)이다) 12,000g.
위의 익은 오디를 주물러서 명주자루에 넣고 즙을 짜낸 다음 찌꺼기를 버리고 위의 두 가지 약가루를 넣고 반죽하여 단지에 넣고 아가리를 꼭 봉한다. 이것을 시렁 위에 얹어 낮에는 햇빛을 받게 하고 밤에는 달빛을 받게 하면서 자연히 끓어올라 마르게 한다. 이것을 가루내어 꿀로 반죽한 다음 팥알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10알씩 술이나 끓인 물로 먹는다[입문].
연년익수불로단(延年益壽不老丹)
적하수오 160g, 백하수오 160g(위의 두 가지 약을 쌀 씻은 물에 담가서 만문하게<軟> 되면 참대칼로 껍질을 벗겨버리고 썰어서 검정콩을 달인 물에 담갔다가 물이 잦아들면 그늘에서 말린다. 그 다음 다시 감초즙에 버무려 햇볕에 말려 짓찧어서 가루내는데 찌지는 말아야 한다), 지골피(술에 씻어서 햇볕에 말린 것), 흰솔풍령(백복령, 술에 씻어서 햇볕에 말린 것) 각각 200g, 생건지황(술에 하룻밤 담갔다가 햇볕에 말린 것), 찐지황(숙지황, 술에 씻어서 햇볕에 말린 것), 천문동(술에 3시간 담갔다가 심을 버리고 햇볕에 말린 것), 맥문동(술에 3시간 담갔다가 심을 버리고 햇볕에 말린 것), 인삼(노두를 버린 것) 각각 120g.
위의 약들을 보드랍게 가루내어 졸인 꿀(煉蜜)로 반죽한 다음 벽오동씨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30-50알씩 데운 술로 먹는다. 이 약은 천 가지 백 가지로 몸을 좋게 하고 보한다. 이 약을 10일 혹은 한달 동안 먹으면 좋아져서 몰라보게 달라졌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늘 먹으면 그 효과를 다 말할 수 없다. 여조(呂祖)가 신선 공부를 할 때에 이 약을 쓴 데로부터 알려졌다[필용방].
하령만수단(遐齡萬壽丹)
『시(詩)』에 “하령만수단 먹으면 정신이 든다네. 암탉이 알 품듯이 알껍질에 약을 넣어, 품안에 고이 품어 날짜를 채우며, 으슥한 방 문을 닫아 사람 하늘 뵈지 않게 하여, 갑자일과 경신일 두 날 밤에 알약 지어 먹는다네, 한번 품어 60번을 두번 품어 120번, 가루내어 품는 대로 수명연장 할 것이며, 이 알약을 먹어두면 뼈마저 변화되어, 세상처럼 끝이 없이 장생불사 할 수 있네, 비방 중의 비방으로 묘하고도 묘하도다”고 씌어 있다.
복신, 적석지, 조피열매(산초, 진이 나게 약간 볶은 것) 각각 40g, 주사(가루내어 수비한 것), 유향(골풀속살(등심초)과 같이 간 것) 각각 40g.
위의 약에서 따로 가루낸 주사와 유향을 제각기 달걀 2개(흰자위와 노른자위를 다 꺼낸 것)의 껍질 속에 넣고 7겹의 종이를 바르고 퍼런 비단주머니에 넣어서 정력이 왕성한 부인의 품에 품어서 늘 따뜻하게 한다. 주사는 35일 동안, 유향은 49일 동안 품었다가 꺼내 다시 갈아서 위의 3가지 약을 고루 섞이게 가루낸 다음 찐 대추살로 반죽하여 녹두알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날마다 30알씩 데운 술로 빈속에 먹는다. 혹은 인삼을 달인 물로 먹기도 한다. 한달 후에는 양을 더 늘려 40알씩 먹는다. 갑자일이나 경신일 깊은 밤 조용한 곳에서 알약을 만들되 부인들에게 보이지 말아야 한다. 그리고 닭과 개가 보는 데서 만들지 말아야 한다㈜[단계심법].
○ 『회춘』에는 일명 오로환동단(五老還童丹)이라고도 한다고 하였다.
[註] 갑자일과 경신일 조용한 곳에서 약을 만들라고 한 것은 6갑으로 표현한 연월일을 가지고 좋은 일과 언짢은 일, 화와 복을 받는 날이 각각 따로 있다는 것을 신봉하는 미신에서 나온 말이며 부인들에게 약을 보이지 말아야 하고 또 닭과 개가 보는 데서 만들지 말라는 것은 약을 정하고 깨끗하게 만들라는 것을 강조한 끝에 이렇게 말한 것이다. 개와 닭은 더러운 것을 먹기 때문이고 부인은 월경을 한다는 것과 남존여비사상에서 나온 말이다.
연령고본단(延齡固本丹)
온갖 허증(虛證)과 여러 가지 허손증(虛損證), 중년에 성기능이 약해진 것, 50살도 되기 전에 수염과 머리털이 희어지는 것을 치료한다. 이 약을 반 달만 먹으면 성기능이 세지고 한달을 계속 먹으면 얼굴이 젊은이와 같아지고 눈은 10리를 능히 볼 수 있다. 3달 동안 먹으면 흰머리가 검어지고 오랫동안 먹으면 정신과 기운이 쇠약해지지 않으며 몸이 가뿐해지고 건강해져서 오래 살 수 있다.
새삼씨(토사자, 술로 법제한 것), 육종용(술에 씻은 것) 각각 160g, 천문동, 맥문동, 생지황, 찐지황(숙지황, 모두 술로 법제한 것), 마, 쇠무릎(우슬, 술에 씻은 것), 두충(생강즙을 축여 볶은 것), 파극(술에 담갔다가 심을 버린 것), 구기자, 산수유(술에 쪄서 씨를 버린 것), 흰솔풍령(백복령), 오미자, 인삼, 목향, 측백씨(백자인) 각각 80g, 복분자, 길짱구씨(차전자), 지골피 각각 60g, 석창포, 조피열매(산초), 원지(감초를 달인 물에 담갔다가 생강즙으로 축여 볶은 것), 택사 각각 40g.
위의 약들을 보드랍게 가루내어 술을 두고 쑨 묽은 밀가루풀로 반죽한 다음 벽오동씨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80알씩 데운 술로 빈속에 먹는다. 부인이 쓸 때에는 당귀(當歸)와 적석지(赤石脂)를 각각 40g씩 더 넣어 쓴다. 무, 파, 마늘, 쇠고기, 식초, 신 것, 엿, 사탕, 양고기 등은 먹지 말아야 한다[회춘].
반룡환(斑龍丸)
늘 먹으면 더 오래 살 수 있다.
녹각교, 녹각상, 새삼씨(토사자), 측백씨(백자인), 찐지황(숙지황) 각각 300g, 흰솔풍령(백복령), 보골지 각각 160g.
위의 약들을 보드랍게 가루내어 술을 두고 쑨 쌀풀로 반죽한 다음 알약을 만든다. 혹은 녹각교를 좋은 술에 넣고 끓여 녹인 것으로 반죽한 다음 벽오동씨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50알씩 생강과 소금을 끓인 물로 먹는다. 옛날 촉나라에 한 늙은이가 있었는데 이 약을 시장에서 팔 때마다 하는 말이 나이가 380이라고 하면서 자주 다음과 같은 노래를 불렀다. “미려(尾閭)활동 계속하면 창해(滄海)도 마르거든, 구전금단(九轉金丹) 있단 말을 누구라서 믿을손가, 이마 위에 야광주로 반룡환이 나왔다네, 가슴속에 피를 도와 장생불사 시킨다네” 이것을 배운 사람들이 이 처방을 전해 받았다. 그 늙은이는 백학이 되어 날아갔는데 그 종적은 알 수 없다㈜[정전].
[註] 늙은이의 말은 반룡환의 약효가 아주 좋다는 것을 과장한 하나의 전설이다.
인삼고본환(人蔘固本丸)
일명 이황원(二黃元)이라고도 한다. 대체로 사람의 심(心)은 혈(血)을 저장하고 신(腎)은 정액을 저장한다. 정(精)과 혈(血)이 충실하면 머리털이 희어지지 않으며 얼굴빛이 좋아지며 오래 산다. 약으로 보양하려면 생지황과 찐지황(숙지황) 보다 나은 것이 없다. 세상사람들은 생지황과 찐지황(숙지황) 을 먹을 줄만 알고 천문동과 맥문동으로 약 기운을 이끌어가게 할 줄은 모른다. 대개 생지황은 심혈을 생기게 하는데 맥문동을 쓰면 약 기운을 혈기가 생기게 하는 곳까지 잘 이끌어간다. 그리고 찐지황(숙지황) 은 신과 정을 보하는데 천문동을 쓰면 약 기운을 보하는 곳까지 잘 이끌어간다. 이렇게 4가지 약은 상호작용한다. 또 여기에 심기를 통하게 하는 인삼을 넣어 주약으로 했다.
천문동(심을 버리고 생강즙에 2일 동안 담갔다가 또 술에 2일 동안 담근다), 맥문동(심을 버리고 술에 2일 동안 담갔다가 쌀 씻은 물에 3일 동안 담근다), 생건지황, 찐지황(숙지황, 둘 다 술에 담근다) 각각 80g.
위의 약들을 갈아서 진흙같이 하거나 혹은 절구로 짓찧어 살구씨를 달인 물에 풀어서 깨끗이 거른 다음 찌꺼기를 다시 갈아서 거른다. 이 즙을 가라앉혀서 농마가 앉으면 웃물을 버리고 햇볕에 말린다. 여기에 인삼가루 40g을 더 넣어 꿀물로 반죽한 다음 벽오동씨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50-70알씩 데운 술이나 소금 끓인 물로 먹는다. 무, 파, 마늘을 먹지 말아야 한다[필용방].
현토고본환(玄菟固本丸)
위와 같은 병들을 치료한다.
새삼씨(토사자, 술로 법제한 것), 찐지황(숙지황) , 생건지황(둘 다 술에 담갔다가 약한 불기운에 말린다), 천문동, 맥문동(둘 다 술에 담갔다가 심을 버린 것), 오미자, 복신 각각 160g, 마(약간 닦은 것) 120g, 연밥(연실), 인삼, 구기자 각각 80g.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꿀로 반죽한 다음 벽오동씨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80-90알씩 데운 술이나 소금 끓인 물로 먹는다[심법].
고본주(固本酒)
허로병(虛勞病)을 치료하는데 허한 것을 보하고 오래 살게 하며 머리털을 검게 하고 얼굴빛을 좋게 한다.
생건지황, 찐지황(숙지황) , 천문동, 맥문동(둘 다 심을 버린다), 흰솔풍령(백복령) 각각 80g, 인삼 40g.
위의 약들을 썰어서 좋은 술 10병을 둔 사기단지에 넣는다. 3일 동안 담가 두었다가 약하지도 세지도 않은 불에 2-4시간 달인다. 술빛이 거멓게 되면 빈속에 3-5잔을 마신다[위생편].
오수주(烏鬚酒)
위와 같은 병들을 치료한다.
황미(밥을 짓는다) 3말, 맥문동320g, 생지황, 은조롱(하수오) 각각 160g, 천문동, 찐지황(숙지황) , 구기자, 쇠무릎(우슬), 당귀 각각 80g, 인삼 40g.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좋은 누룩과 함께 찰기장쌀밥에 섞어 보통 술을 빚는 것처럼 넣어 두었다가 술이 된 후에 청주만 떠서 매일 1-2잔씩 조금 취할 정도로 이른 새벽에 마신다. 소주, 무, 파, 마늘, 쇠고기를 먹지 말아야 한다. 황미는, 즉 찰기장쌀이며 빛이 누른 것을 말한다[회춘]."
5,
<신동의학사전 75면>: "경옥고(瓊玉膏)
[방제] 생지황 960g(짓찧어 즙을 낸 것), 인삼(가루낸 것)
90g, 백복령(가루낸 것) 180g, 봉밀(졸여서 찌꺼기를 없앤 것) 600g
[동의보감]
정(精)과 수(髓)를 불려주고 기혈(氣血)을 보하여 노쇠를 예방하고 몸을 튼튼하게 하며 허로(虛勞)로 머리카락이 일찍 희어지고 이빨이 흔들리며 쉽게 피곤해지는 데 쓴다. 소모성 질병 때 보약으로 쓸 수 있다.위의 약을 고루 섞어 사기그릇에 넣고 유지(油紙: 기름종이)로 5겹 정도 싼 다음 김이 새지 않게 뚜껑을 덮는다. 이것을 물이 든 솥 안에 들여놓고 물을 계속 보충하면서 24시간 달여 졸인엿이 되게 한다. 한번에 1~2숟가락씩 데운 술이나 물에 타서 하루 2~3번 먹는다."
6,
<>: ""
◆
경옥고로 질병을 치료하는
방법은 아래와 같다.
1,
건수(乾嗽:
마른기침) 건수라는 것은 가래는 나오지 않으면서 나는 기침을 말한다. 이것은 기가 잘 돌지 못하는 데 원인이 있다. 약간씩 기가 돌지 못할 때에는 기침을 십여 번 연달아 해야 가래가 나오고 몹시 돌지 못할 때에는 기침을 십여 번 연달아 하여도 가래가 나오지 않는다. 이런 것을 건수라고 한다[강목].
○ 건수라는 것은 폐 속에 진액(津液)이 없으면 생긴다[입문].
○ 건수는 치료하기 매우 어렵다. 이것은 화울증(火鬱證)에 속하는데 담울(痰鬱)과 폐 속에 있어서 생기는 것이다. 그러므로 도라지(길경)로 폐기를 통하게 한 다음 음을 보하고 화를 내리는 약을 써야 한다. 그래도 낫지 않으면 허로증(虛勞證)이 될 수 있으므로 반드시 도창법(倒倉法)을 써야 한다. 이 병은 뜻을 이루지 못한 사람에게 흔히 생기는데 사물탕에 참대기름(죽력), 황백(닦은 것) 등의 약을 넣어서 써야 한다[단심].
○ 조담(燥痰)이 나오지 않을 때에는 꿀물을 먹고 토해야 한다. 그리고 꿀물에 생강을 달인 것이나 꿀물에 귤껍질(陳皮)을 달인 것, 태운 생강, 호두 등도 쓴다. 가래는 나오지 않으면서 기침이 날 때에는 맛이 맵고 단 약으로 폐를 눅여 주어야 한다[역로].
○ 건수를 치료하고 폐를 보하려고 할 때에는 깨끗하게 씻은 생지황 1.2kg, 살구씨(행인) 80g, 생강, 꿀(봉밀) 각각 160g을 쓰는데 풀지게 짓찧어 사기그릇에 담아 밥짓는 데 놓아 다섯번에서 일곱번 쪄서 새벽(5更)에 3숟가락씩 녹여 먹는다[본사].
○ 또 한 가지 처방은 꿀(봉밀) 600g, 생강 1.2kg(즙을 낸다)으로 되어 있는데 먼저 약을 달일 구리그릇을 저울에 달아 중량을 잰 다음 꿀(봉밀)을 달아 넣고 그 중량을 잰다. 다음 생강즙을 넣고 약한 불에 달이는데 생강즙은 다 졸아들고 꿀(봉밀)만 남을 때까지 달인다. 한번에 대추씨만큼씩 하루 세번 입에 머금고 녹여 먹는다[천금].
○ 건수에는 경옥고(瓊玉膏, 처방은 신형문(身形門)에 있다), 윤폐산, 가미이모환, 가려륵환, 억담환(抑痰丸, 처방은 담음문(痰飮門)에 있다)을 쓴다. [동의보감(東醫寶鑑)]
2,
노수(勞嗽) 허로(虛勞)하여 생긴 기침을 말한다.
○ 노수로 식은땀이 나고 가래가 많고 춥다가 열이 날 때에는 음(陰)을 보하고 폐금(肺金)을 시원하게 해주어야 한다. 그러므로 사물탕(四物湯)에 참대기름(죽력)과 생강즙을 넣어 쓴다.
○ 음이 허하고 화가 동하여 기침이 나는 데는 사물탕과 이진탕을 섞은 데 황백과 지모를 넣어 쓴다.
○ 음이 허하여 숨이 차고 기침이 나며 혹 피를 토하는 데는 사물탕에 황백, 지모, 오미자, 맥문동, 뽕나무뿌리껍질(상백피), 지골피를 넣어서 쓴다[의감].
○ 성생활을 지나치게 하는 사람이 원기가 허약하여 기침이 멎지 않는 데는 경옥고(瓊玉膏, 처방은 신형문(身形門)에 있다)를 쓴다. 이 약은 허로로 마른기침하는 것을 치료하는 데 제일 좋다[단심].
○ 노수에는 인삼청폐탕, 가미이모환, 인삼궁귀탕, 가미인삼자원산, 윤폐환, 보폐탕, 온금산, 대녕소탕, 지모탕, 영수고, 대아교원을 쓴다[저방].
○ 주색(酒色)이 지나쳐서 허로가 되면 혈이 적어지고 진액(津液)이 줄어들면 심화(心火)가 저절로 타오르게 된다. 그러면 조열(燥熱)이 폐로 들어가게 되어 피고름을 뱉게 되고 기가 위[上]로 치밀며 담이 끓으면서[涎潮] 기침이 연이어 나게 된다. 이런 때에는 반드시 육미지황환(六味地黃丸, 처방은 허로문(虛勞門)에 있다)에 귤홍, 패모, 황백, 지모를 넣어 써야 한다[입문].
인삼청폐탕(人蔘淸肺湯)
구수(久嗽)와 노수(勞嗽), 폐위(肺쌇)로 피를 뱉고 목에서 비린내가 나는 것을 치료한다.
인삼, 뽕나무뿌리껍질(상백피), 지골피, 지모, 아교주, 앵속각(꿀에 축여 볶은 것), 살구씨(행인), 도라지(길경), 감초 각각 4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대추, 오매 각각 1알과 함께 물에 달인 다음 찌꺼기를 버린다. 여기에 꿀(봉밀)을 1숟가락 넣고 고루 저어서 가라앉힌 다음 맑은 웃물을 받아 마신다[득효].
○ 일명 인삼청폐음(人蔘淸肺飮)이라고도 한다[입문].
가미이모환(加味二母丸)
구수, 노수, 식적수(食積嗽)를 치료한다.
지모, 패모(파두와 함께 누렇게 닦아 파두는 버린다. 약 만드는 방법은 이모산과 같다), 백반, 백급(백급) 각각 같은 양.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꿀(봉밀)을 섞은 생강즙에 반죽한 다음 가시연밥(검인)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입에 머금고 녹여 먹는다. 혹은 맥문동, 귤껍질(陳皮), 아교주를 넣어 써도 좋다[입문].
인삼궁귀탕(人蔘芎歸湯)
건수(乾嗽)와 허로(虛勞)로 피가 적어져서 조열(燥熱)이 폐에 들어갔기 때문에 피고름을 뱉고 쩍하면 감기에 걸려서 기침하는 것을 치료한다.
당귀, 궁궁이(천궁), 집함박꽃뿌리(백작약) 각각 6g, 벌건솔풍령(적복령), 인삼, 끼무릇(반하), 귤껍질(陳皮), 아교주, 족두리풀(세신), 오미자, 감초 각각 2.8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생강 3쪽, 대추 2알과 함께 물에 달여 먹는다[직지].
가미인삼자원산(加味人蔘紫싾散)
허로로 기침이 나는 것을 치료한다.
인삼, 오미자, 자원용, 귤껍질(陳皮), 차조기잎(자소엽), 패모, 뽕나무뿌리껍질(상백피), 흰솔풍령(백복령) 각각 4g, 살구씨(행인), 감초 각각 3g. 여기에 궁궁이(천궁), 반하국 각각 4g, 아교주 2g을 더 넣어 쓰기도 한다.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생강 5쪽, 대추 2알, 오매 1알과 함께 물에 달여 먹는다[직지].
윤폐환(潤肺丸)
조담(燥痰)과 건수(乾嗽), 노수(勞嗽)를 치료한다.
패모 40g, 하늘타리씨(과루인) 청대 각각 20g.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꿀(봉밀)을 탄 생강즙에 넣고 고약을 만들어 입에 머금고 녹여 먹는다[단심].
보폐탕(補肺湯)
노수(勞嗽)를 치료한다.
뽕나무뿌리껍질(상백피, 꿀에 축여 볶은 것), 찐지황 각각 12g, 인삼, 자원, 단너삼(황기), 오미자 각각 4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물에 달인 다음 꿀(봉밀) 1숟가락을 넣어서 먹는다[단심].
온금산(溫金散)
노수를 치료한다.
방풍, 뽕나무뿌리껍질(상백피), 속썩은풀(황금), 감초 각각 40g, 살구씨(행인, 껍질과 끝을 버린 것) 21알, 인삼, 복신 각각 20g, 맥문동 10g.
위의 약 가운데서 앞에 있는 5가지 약을 먼저 쌀 씻은 물에 하룻밤 동안 담가 두었다가 햇볕에 말린 다음 인삼, 복신, 맥문동과 함께 가루낸다. 한번에 12g씩 황랍 콩알만한 것과 함께 달여 먹는다[단심].
대녕수탕(大寧嗽湯)
노수를 치료하는 데 신기한 효과가 있다.
끼무릇(반하) 8g, 오미자, 벌건솔풍령(적복령), 뽕나무뿌리껍질(상백피), 차조기잎(자소엽), 귤껍질(陳皮), 지각, 살구씨(행인), 아교주, 앵속각(꿀에 축여 볶은 것) 각각 4g, 족두리풀(세신), 감초 각각 2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고 여기에 생강 3쪽, 대추 2알, 오매 1알을 넣어서 물에 달여 먹는다[단심].
지모탕(知母湯)
허로로 기침이 나고 피고름을 뱉는 것을 치료하는데 이것은 심과 폐에 열(熱)이 있기 때문이다.
단너삼(황기, 꿀을 발라 구운 것) 6g, 집함박꽃뿌리(백작약), 생건지황, 속썩은풀(황금), 맥문동, 인삼, 흰솔풍령(백복령), 도라지(길경), 지모 각각 4g, 감초 2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고 여기에 생강 3쪽, 참대잎 3잎, 밀 한자밤을 넣어서 물에 달여 먹는다[단심].
영수고(寧嗽膏)
음이 허하여 화가 동해서 기침이 나며 각혈하는 것을 치료한다.
천문동, 흰삽주(백출) 각각 300g, 백부, 살구씨(행인), 패모, 나리(百合) 각각 160g, 관동화 200g, 자원 120g.
위의 약들을 굵게 썰어서 강물 1말에 넣고 3되가 되게 달인 다음 찌꺼기를 건져서 다른 물에 넣고 다시 3되가 되게 달이는데 이렇게 세번 하여 받은 약물을 섞은 다음 여기에 엿(이당) 300g, 꿀(봉밀) 600g을 넣고 다시 달인다. 다음 갖풀(아교) 160g과 흰솔풍령(백복령, 보드랍게 가루낸 것) 160g을 넣고 고루 섞어서 고약을 만든다. 한번에 3-5숟가락씩 아무 때나 먹는다[의감].
대아교원(大阿膠元)
허로로 기침이 나고 피를 토하며 열이 나고 여위는 것을 치료한다.
마(산약), 오미자, 찐지황, 아교주, 흰솔풍령(백복령) 각각 40g, 맥문동, 단삼, 패모, 방풍, 복신, 측백씨(백자인), 백부근, 두충 각각 20g, 원지, 인삼 각각 10g.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꿀(봉밀)에 반죽해서 달걀 노른자위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1알씩 물에 약간 달여 찌꺼기째로 먹는다[국방]. [동의보감(東醫寶鑑)]
3,
여러 가지 기생충병을 치료하는 약[治諸蟲藥] 기생충을 없애는 약을 만들 때에는 소리를 내지 말고 말을 하지 말아야 한다. 이와 같이 만들어 쓰면 기생충이 곧 나온다[본초].
[註] 기생충구제약(寄生蟲驅除藥)을 만들 때 말과 소리를 내지 말라고 한 것은 기생충들이 몹시 영리해서 듣고 미리 피하기 때문에 잘 구제할 수 없게 된다는 충에 대한 추상적인 생각에서 나온 말이다.
○ 여러 가지 기생충은 뱃속에서 새끼를 치면서 점차 성해지는데 이런 때에는 반드시 적(積)을 헤친[破] 다음 기생충을 죽여야 하므로 목향삼릉산, 하충산, 추충취적산(追蟲取積散, 처방은 위에 있다), 묘응환, 칠전영응단, 만응환(萬應丸, 처방은 위에 있다), 우선단, 추충환, 만병해독단(萬病解毒丹, 처방은 해독문에 있다), 오선환 등을 쓴다.
○ 노채를 치료하는 다른 한 가지 방법은 충을 죽여서 그 근본을 없애는 것이다. 또 한 가지는 허한 것을 보하여 진원(眞元)을 회복시키는 것이다. 병의 상태가 중해져서 원기가 이미 빠졌을 때에는 법대로 치료한다고 하여도 1명도 살릴 수 없다. 오직 충을 없애서 다른 사람에게 옮기는 것만을 막을 수 있을 뿐이다[정전].
○ 노채는 음허(陰虛)와 담(痰)과 혈병(血病)을 주증으로 하기 때문에 사물탕(四物湯, 처방은 혈문에 있다)에 황백(닦은 것), 참대기름(죽력), 동변, 생강즙을 넣어 써야 한다[단심].
○ 노채전시(勞瘵傳尸)로 춥거나 열이 나는 것이 번갈아 나타나고 오랫동안 기침하며 각혈하고 날로 점차 여위는 데는 먼저 삼요탕(三拗湯, 처방은 기침문에 있다)을 쓴 다음 연심산을 써야 완전히 낫는다[단심].
○ 노채충을 죽이는 데는 태을명월단, 천령개산(天靈盖散), 자금정자, 오지산, 신수산 등을 쓴다.
○ 노채로 허해진 것을 보하는 데는 경옥고, 자하거환, 응신음자 등을 쓴다[입문].
○ 옛사람들이 “노채병은 36가지가 있는데 오직 부모의 덕이 있어야 이 병을 뗄 수 있다. 이 병에 걸리면 산림 속에 들어가거나 조용한 방에 마음을 안정하고 앉아서 이빨을 맞쫏고[叩] 향을 피우며 음식을 조절해서 먹고 성생활을 하지 않는 것 등 양생[保養]하는 데 전심하여야 한다. 그래야 거의 나을 수 있다. 만일 꺼려야 할 것을 지키지 않으면 비록 약을 먹는다고 하여도 효과가 없다”고 하였다[입문].
[註] 노채병은 부모의 덕이 있어야 나을 수 있고 또 산림 속의 조용한 방에 들어앉아 향을 피우면서 양생법을 해야 치료될 수 있다고 한 것은 불교적인 미신적 내용이다.
○ 노채전시병 때 약 연기를 쏘이는 치료법[熏治之藥]이 한 가지가 아니나 효과를 본 사람은 드물다. 오직 죽을 때 약을 태우면 병이 옮아가는 것을 막을 수 있을 뿐이다[쇄쇄].
목향삼릉산(木香三稜散)
뱃속에 기생충이 있어서 얼굴빛이 누르스름한 것을 치료한다.
나팔꽃검은씨(견우자, 절반은 생것으로 절반은 닦아서 맏물가루를 낸다) 20g, 대황 12g, 대복자, 빈랑, 뇌환, 석회(식초에 축여 볶은 것), 삼릉(잿불에 묻어 구운 것), 봉출(잿불에 묻어 구운 것), 목향 각각 8g.
위의 약들을 가루를 내어 한번에 12g씩 꿀물에 타서 빈속에 먹는데 먼저 고기를 씹어 즙을 삼킨 다음 먹어야 한다[서죽].
하충산(下蟲散)
뱃속의 여러 가지 기생충을 없앤다.
사군자육, 빈랑 각각 4g, 대황 2g.
위의 약들을 가루를 내어 고련근을 달인 물에 타서 먹는다[의감].
묘응환(妙應丸)
충적(蟲積)을 치료한다.
빈랑 48g, 나팔꽃검은씨(견우자, 맏물가루를 낸다) 12g, 대황, 뇌환, 석회, 참느릅(무이), 목향, 사군자 각각 4g.
위의 약들을 가루낸다. 그리고 파밑(총백)을 달여서 하룻밤 이슬을 맞힌 다음 그 물에 약가루를 넣고 반죽하여 좁쌀알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16g씩 파밑(총백)을 달인 물로 새벽(4-5시)에 먹는다. 촌백충을 없애려면 석류근피를 달인 물로 먹어야 한다. 어린이는 한번에 2-4g씩 먹는다. 이와 같이 먹으면 날이 샐 무렵에 기생충이 나온다. 이 약은 진기(眞氣)에는 영향을 줌이 없이 기생충이 있으면 기생충을 없애고 적이 있으면 적을 내보내며 기가 몰렸으면 기를 흩어지게 하는데 한번만 먹어도 효과를 본다[입문].
칠전영응단(七轉靈應丹)
여러 가지 충적을 치료한다. 이것은 묘응환에서 사군자 1가지를 뺀 것인데 먹는 방법은 위와 같다[단심].
우선단(遇仙丹)
충적(蟲積)을 치료한다.
나팔꽃검은씨(견우자, 절반은 생것으로 절반은 닦아서 맏물가루를 낸다) 160g, 삼릉, 봉출, 더위지기(인진), 빈랑(이상은 다 생것) 각각 20g.
위의 약들을 가루를 내어 한번에 160g을 쓰는데 밀가루 40g, 주염열매(조각) 20g을 물에 불렸다가 주물러서 짜낸 즙으로 쑨 풀에 반죽하여 벽오동씨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12g씩 새벽에 찻물로 먹는다. 병이 경[淺]하면 한번만 먹어도 효과를 본다. 병이 심하면 두번 이상 먹되 반드시 궂은 것[惡物]이 다 나올 때까지 써야 한다. 나오는 충은 천심충(穿心蟲), 혈별충(血鱉蟲), 전시충(傳尸蟲), 폐충(肺蟲), 질심충(疾心蟲), 마미충(馬尾蟲), 적혈충(積血蟲), 세충(細蟲), 장충(長蟲), 촌백충(寸白蟲)인데 이것들의 생김새는 다 같지 않다. 5가지 빛깔이 나는 것도 있고 언 물고기(魚凍) 같은 것도 있다. 왕경략(王經略)이 광동(廣東)에 갔다가 산람장기(山嵐쎫氣)를 받아서 배가 불러 오르고 그득해졌는데 여러 가지 약을 썼으나 효과가 없었다. 그런데 우연히 한 도인에게서 이 약을 알게 되어 썼는데 생김새가 뱀 같고 길이가 3치 남짓한 충이 나오고 병이 나았다[의감].
추충환(追蟲丸)
충적을 내려가게 한다.
나팔꽃검은씨(흑견우자, 맏물가루를 낸다) 40g, 대황 12g, 사군자육 8g, 목향, 빈랑, 참느릅(무이), 석회 각각 4.8g.
위의 약들을 가루낸다. 그리고 먼저 주염열매(조각)와 고련근피를 진하게 달여서 그 물 2사발을 받아 다시 고약처럼 되게 졸인다. 여기에 약가루를 반죽하여 벽오동씨만하게 알약을 만들어 겉에 침향가루를 입힌 다음 뇌환가루를 또 입힌다. 한번에 50알씩 빈속에 사탕물로 먹으면 충이 나오고 병이 낫는다[회춘].
오선환(五仙丸)
여러 가지 충을 없애는 데 효과가 있다.
대황 160g, 주염열매(조각), 뇌환, 고련근 각각 40g, 목향 8g.
위의 약들을 가루를 내어 술에 쑨 풀에 반죽하여 벽오동씨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30-40알씩 찻물에 먹는다[회춘].
연심산(蓮心散)
노채(勞瘵)를 치료한다.
당귀, 황기, 감초, 자라등딱지(별갑, 식초를 발라 구운 것), 전호, 시호, 따두릅(독활), 강호리(강활), 방풍, 방기, 솔풍령(복령), 끼무릇(반하), 속썩은풀(황금), 귤껍질(陳皮), 아교주, 육계, 함박꽃뿌리(작약), 마황(뿌리와 마디를 버리지 않은 것), 살구씨(행인), 연화예, 천남성, 궁궁이(천궁), 지각 각각 2g, 원화(식초에 축여 까맣게 되도록 볶은 것) 한자밤.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생강 3쪽, 대추 2알과 함께 물에 달여 먹은 다음 토하는 것을 기다렸다가 이상한 것이 나오면 원화(싿花)의 양을 점차 줄여야 한다. 원화는 감초와 상반되는데 충을 죽인다. 원화는 볶아서 써야 열을 내리고 찬 기운을 없앤다. 이것이 묘리이다[단심].
태을명월단(太乙明月丹)
전시노채를 치료한다.
토시(兎尿) 80g, 천령개(天靈盖, 졸인 젖을 발라 구운 것[솺灸]), 자라등딱지(별갑, 졸인 젖(솺)을 발라 구운 것) 40g, 석웅황(웅황), 목향 각각 20g, 경분 10g.
위의 약들을 가루를 내어 좋은 술 1홉에 대황가루 20g과 함께 넣고 고약처럼 되게 달인다. 그 다음 반죽하여 달걀 노른자위만하게 알약을 만들어 주사를 입힌다. 한번에 1알씩 새벽(4-5시)에 술에 타서 환자가 알지 못하고 먹게 해야 한다. 그러면 반드시 충을 토하게 된다. 효과가 없으면 다음날 다시 먹여야 한다[강목].
○ 『득효방(得效方)』에는 웅황원(雄黃元)으로 되어 있다.
자금정자(紫金錠子)
전시노채를 치료한다.
○ 어떤 여자가 오랫동안 노채병을 앓아서 시충(尸蟲)이 생기고 그것한테 물렸을 때 이 약 1알을 갈아 먹으니 단번에 토하고 설사하면서 작은 충이 10여 마리가 나왔다. 그 다음 소합향원을 먹었는데 반달 만에 다 나았다. 이 약을 노채에 써 보았는데 효과를 보지 못한 일이 없다[입문].
○ 한 집안에서 다섯 형제가 모두 전시노채에 걸렸다가 3명은 이미 죽었다. 그런데 한 의사가 자금정을 먹으라고 알려 주기에 각각 1알씩 먹었는데 1명은 설사로 고름 같은 궂은 물[惡物]이 나오고 1명은 설사로 죽은 충이 나오고 다 나았다[의감].
○ 일명 만병해독단(萬病解毒丹, 처방은 해독문에 있다)이라고도 한다.
천령개산(天靈盖散)
○ 노채충을 나오게 한다.
○ 처방
*천령개(손가락 2개만 한 것을 단향 달인 물로 씻어서 연유를 발라 구운 것), 빈랑 5개.
*아위, 감수, 사향, 안식향 각 2돈.
*주사 1돈.
○ 이 약들을 가루내어 3돈씩 먹는다.
○ 따로 해백, 총백 각 14줄기,
○ 청호 2줌.
○ 감초, 복숭아나무 가지, 버드나무 가지, 매화나무 가지(모두 동쪽으로 늘어진 것) 각 5촌.*상백피, 석류근피 각 1쪽을 동변 4되와 함께 사기그릇에 넣고 적당한 불로 1되가 남을 때까지 달인 것을 3번에 나누어 먹는다.
○ 한 번 먹을 때마다 앞의 약 가루를 타서 새벽에 먹는다.
○ 남자가 앓으면 여자가 달이고 여자가 앓으면 남자가 달인다.
○ 약을 먹은 후에 토하고 싶을 때 백매(白梅)를 입에 머금으면 아침에 반드시 노채충 이나 나쁜 것, 누런 물, 검은똥이 나온다.
○ 그래도 나오지 않으면 한 번 더 먹고 해뜰 무렵에 한 번 더 먹는다.
○ 설사가 멎지 않으면 용골과 황련을 같은 양으로 가루 낸 것 3돈을 맹물에 타서 먹고 흰 죽으로 보한다.『입문』
○ 어떤 부인과 두 남자가 모두 노채를 앓았는데 이 약을 먹었다.
○ 부인은 지네처럼 생긴 충이 1마리 나왔다.
○ 한 남자는 붉은 작은 충이 수십 마리 나왔는데 그 중에 하나는 약간 자주색을 띠고 다른 벌레들보다 크며 머리에 가는 털이 있었다.
○ 한 남자는 오매처럼 생긴 것이 나왔는데 벌려보니 다리가 있는 것이 거미 같았다.『유취』
오지산(五枝散)
전시노채충을 몰아낸다.
복숭아나무가지, 추리나무가지, 매화나무가지, 뽕나무가지, 석류나무가지(모두 동쪽으로 뻗은 작은 가지로 길이가 3치 되는 것) 각각 7개, 제비쑥 작게 1줌, 고련근 7치 남청(생것) 7잎, 파밑(총백, 털뿌리가 달린 채로 씻은 것) 7대.
위의 약들을 썰어서 물 2되 5홉에 넣고 절반이 되게 달여 찌꺼기를 버린다. 여기에 안식향(安息香), 소합향(蘇合香), 아위(阿魏) 각각 4g씩을 넣고 다시 1잔이 되게 달여 찌꺼기를 버린 다음 주사, 석웅황(웅황), 뇌환, 백반(구운 것), 유황(이상 약은 모두 가루를 낸 것) 각각 2g, 빈랑가루 4g, 사향 1g을 넣고 고루 섞는다. 이것을 두번에 나누어 먹는데 초순에는 새벽(4-5시)에 빈속에 한번 먹어야 한다. 만일 충이 나오지 않으면 이른 아침에 다시 먹어야 한다. 그러면 충[蟲物]과 궂은 물[惡積]을 토하기도 하고 설사하기도 한다. 만일 큰 충이 나오면 빨리 쇠집게로 집어서 센 불에 태운 다음 사기병에 넣어 깊은 산 속에 파묻어야 한다. 그리고 그 환자의 옷과 침대, 이불 등을 다 불에 태워 땅 속에 파묻어야 한다[직지].
신수산(神授散)
전시노채충을 치료한다.
홍초(紅椒, 씨와 벌어지지 않은 것을 버리고 진이 나도록 닦은 것) 1,200g.
위의 약들을 가루를 내어 한번에 4g씩(어떤 데는 8g으로 되어 있다) 빈속에 미음에 타 먹는다. 어지럽고 가슴이 답답하여 참을 수 없을 때에는 술에 쑨 풀에 반죽하여 벽오동씨만하게 알약을 만들어 한번에 30-50알씩 빈 속에 먹어야 한다. 이 약을 신수원(神授元)이라고도 한다. 옛날에 어떤 사람이 노채를 앓는 부인과 성생활을 하여 그 병이 옮았다. 이때에 어떤 이인(異人)을 만났는데 그가 말하기를 노채병 기운이 이미 5장(五藏)에 들어갔으나 빨리 신수산 1,200g을 먹으면 병이 나을 것이라고 하였다. 그의 말대로 그 약을 거의 다 먹었는데 대변으로 뱀 같은 것이 1마리 나오고 병이 곧 나았다. 그 후 다른 사람들도 이 약을 먹고 역시 효과를 보았다[득효].
경옥고(瓊玉膏)
노채를 치료하는데 혈(血)을 불쿠어 주고[滋] 기를 보하며 원기(元氣)를 튼튼하게 하는 가장 좋은 약이다. 그리고 약 1제[一料]를 10몫[十劑]으로 나누어 써도 능히 노채환자 10명을 치료할 수 있다고 한 약이 바로 이 약을 두고 한 말이다(처방은 신형문에 있다).
자하거환(紫河車丸)
전시노채를 치료하는데 2달 쓰면 다 나을 수 있다. 기타 허로병은 한달 쓰면 낫는다.
자하거(약한 불기운에 말린 것) 1보, 자라등딱지(별갑, 식초를 발라 구운 것) 20g, 도라지(길경), 호황련, 대황, 너삼(고삼), 황백, 지모, 패모, 헌북가죽 각각 10g, 용담초, 감초 각각 8g, 서각, 봉출, 망초 각각 6g, 주사(수비한 것) 40g.
위의 약들을 가루를 내어 꿀에 반죽하여 벽오동씨만하게 알약을 만들어 주사를 입힌다. 한번에 20-30알씩 데운 술로 먹는데 창자[腸]에 열이 있으면 끼니 전에 먹고 가슴[服膈]에 열이 있으면 끼니 뒤에 먹는다[입문].
응신음자(凝神飮子)
노채로 춥다가 열이 나며 저절로 땀이 나고 각혈(뵦血)하며 몸이 몹시 여위는 것을 치료한다.
인삼, 당귀, 집함박꽃뿌리(백작약), 백복신, 흰솔풍령(백복령), 황기, 흰삽주(백출), 반하국, 오미자, 찐지황(숙지황), 연육, 맥문동, 도라지(길경), 감초 각각 2.8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오매 1개, 대추 2알과 함께 물에 달여 먹는다[득효].
[동의보감(東醫寶鑑)]
4,
정을 보하는 약[補精藥餌] 인삼고본환, 경옥고, 반룡환, 지황원, 연년익수불로단, 연령고본단, 고진음자 등을 쓴다.
인삼고본환(人蔘固本丸)
정(精)을 보하고 피[血]를 생기게 한다(처방은 신형문에 있다).
경옥고(瓊玉膏)
정(精)을 생기게 하고 기(氣)를 보한다(처방은 신형문에 있다).
반룡환(斑龍丸)
정혈(精血)을 보한다(처방은 신형문에 있다).
지황원(地黃元)
즉 전씨(錢氏)의 처방인 육미지황원을 말한다. 주로 신수(腎水)를 보하며 정을 생기게 하고 또 보하며 음기(陰氣)를 불쿠어 준다(처방은 허로문에 있다).
연년익수불로단(延年益壽不老丹)
정(精)을 잘 생기게 하고 신(腎)을 보한다(처방은 신형문에 있다).
연령고본단(延齡固本丹)
정을 잘 보하고 혈기도 보한다(처방은 신형문에 있다).
고진음자(固眞飮子)
정액이 절로 나오면서 허로증이 되려는 것을 치료하는데 신정(腎精)㈜을 잘 보하고 음을 불쿠어 준다(처방은 허로문에 있다).
[註] 신정(腎精) : 신의 정기를 말하는데 정혈이라는 뜻으로도 쓴다. 신의 정기에는 5장 6부의 정기(후천적인 기)와 신장 자체의 정기(선천적인 기)가 있다. [동의보감(東醫寶鑑)]
5,
조병에는 혈을 보하는 것이 좋다[燥宜養血] 경(經)에는 “조(燥)한 것은 눅여 주라고 하였는데 이것은 혈(血)을 보하라는 말이다. 진액이 쌓이면 기운이 생길 수 있고 기운이 몰리면 역시 진액이 생길 수 있다. 이때는 경옥고(瓊玉膏, 처방은 신형문에 있다)를 먹는 것이 좋다”고 씌어 있다[입문].
○ 피부가 쭈글쭈글하며 터져서 피가 나오고 몹시 아프거나 피부가 가렵거나 손발톱이 마르는 것은 다 화(火)가 폐금(肺金)을 녹여 조가 심하게 된 것이다. 이때는 사물탕에서 궁궁이(천궁)를 빼고 생맥산을 합한 데다 천문동, 하늘타리뿌리(과루근), 황백, 지모, 잇꽃(홍화, 술로 법제한 것), 감초(생것) 같은 것을 더 넣는다[입문].
○ 영위(榮衛)가 고갈되었을 때에는 습제(濕劑)로써 축여 줄 수 있다. 천문동, 맥문동, 인삼, 오미자, 구기자 등은 다 혈맥을 생기게 하는 약이고 이황원도 역시 좋다[동원].
○ 조병(燥病)에는 반드시 경지고, 천문동고, 지선전, 생혈윤부음을 쓰는 것이 좋다.
○ 방풍통성산(防風通聖散)이 능히 열을 내리고 조한 것을 축여 줄 수 있다(처방은 풍문에 있다).
당귀승기탕(當歸承氣湯)
조병(燥病)을 치료하는 좋은 약이다.
당귀, 대황 각각 8g, 망초 2.8g, 감초 2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물에 달인 다음 망초(芒硝)를 넣고 저어서 녹여 먹는다[유취].
경지고(瓊脂膏)
조병(燥病)을 치료한다.
생지황(짓찧어 즙을 내어 찌꺼기를 버린다) 1200g, 꿀(끓여 거품을 걷어 버린다) 120g, 녹각교, 졸인 젖(솺油) 각각 600g, 생강(짓찧어 즙을 낸다) 80g.
위의 약에서 먼저 지황즙(地黃汁)을 약한 불에 두어 서너번 끓어오르게 달인 다음 무명으로 깨끗이 걸러서 받는다. 또 그 즙을 20여 번 끓어오르게 달이고 나서 녹각교를 넣고 그 다음 졸인 젖과 생강즙, 꿀을 함께 넣어 달이되 엿처럼 되면 사기그릇에 담아 두고 한 번에 1-2숟가락씩 데운 술로 먹는다[정전].
천문동고(天門冬膏)
조병(燥病)을 치료한다.
천문동(생것으로 심을 버린 것).
위의 약을 짓찧어 즙을 낸 다음 찌꺼기는 버리고 사기약탕관에 넣고 달여 고(膏)를 만든다. 한번에 1-2숟가락씩 술로 먹는다[정전].
지선전(地仙煎)
위와 같은 증상을 치료한다.
마(서여, 잘 짓찧어 가루낸 것) 600g, 살구씨(행인, 잘 갈아서 가루낸 것) 1되, 소젖(우유, 생것) 1되.
위의 약들을 함께 고루 섞어서 짠 즙을 사기병에 넣어 하루동안 중탕(重湯)한다. 한번에 1-2숟가락씩 술로 먹는다[정전].
생혈윤부음(生血潤膚飮)
조증(燥證)으로 피부가 터지고 손발톱이 마르며 긁으면 비듬이 일어나고 피가 흘러 몹시 아픈 것을 치료한다.
천문동 6g, 생지황, 찐지황(숙지황), 맥문동, 당귀, 단너삼(황기) 각각 4g, 속썩은풀(황금, 술로 법제한 것) 0.4g, 오미자 9알.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물에 달여 먹는다[정전]. [동의보감(東醫寶鑑)]
6,
허로증을 두루 치료하는 약[虛勞通治藥] 대체로 팔다리가 몹시 허약해져서 힘이 없고 매우 노곤해하는데 음과 양, 그 어느 것이 먼저 상했는가를 알 수 없을 때에는 여름이면 육미지황원, 봄과 가을이면 신기환, 겨울에는 팔미환(八味丸, 3가지 처방은 위에 있다)을 쓰는 것이 좋다[보명].
○ 허로에는 천금연수단, 현주운묘단, 신선거승자원, 신선불로환, 올눌보천환, 이신교제단, 무비산약원, 신선기제단, 오보원, 보천대조환(補天大造丸, 처방은 위에 있다), 경옥고(瓊玉膏, 처방은 신형문에 있다), 소건중탕, 대건중탕, 십사미건중탕, 황기익손탕, 진교별갑산, 침향별갑산, 황기별갑산, 서련원, 당귀고, 익수고진단 등을 두루 쓴다.
천금연수단(千金延壽丹)
허로의 여러 가지 증상과 일체 허손증을 치료한다.
육종용 80g, 새삼씨(토사자), 오미자, 쇠무릎(우슬), 두충, 당귀, 마(산약), 천문동, 맥문동, 생건지황, 찐지황(숙지황) 각각 40g, 인삼, 흰솔풍령(백복령), 회향, 택사, 지골피, 녹용, 석창포, 조피열매(천초), 파극, 원지, 복분자, 구기자, 측백씨(백자인) 각각 20g.
위의 약들을 가루를 내어 꿀로 반죽한 다음 벽오동씨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100알씩 데운 술이나 소금 끓인 물로 먹는다[정전].
현주운묘단(玄珠耘苗丹)
장장사(張長沙)는 사람들이 함부로 성질이 조한 약을 경계해야 한다고 하면서 약의 힘이 지나친 것을 먹어 병이 생기는 것은 마치 곡식이 자라지 않는다 하여 안타까워 뽑아 놓는 것과 같다고 하였다. 만일 타고날 때 기혈이 부족한 사람은 약을 먹어야 하는데 만일 먹지 않는 것을 곡식밭의 김을 매지 않는 것과 같다. 때문에 이 약을 운묘단이라고 했다. 운묘단은 5장을 보양하고 부족한 것을 보충하며 진원(眞元)을 튼튼하게 하고 음양의 기를 고르게 하며 영위(榮衛)를 잘 돌아가게 하고 정신을 들게 하며 중기(中氣)를 튼튼하게 한다.
오미자 300g, 파극, 원지, 구기자, 마(산약), 흰솔풍령(백복령), 육종용, 백부, 두충, 뱀도랏열매(사상자), 방풍, 측백씨(백자인), 새삼씨(토사자) 각각 80g.
위의 약들을 가루를 내어 꿀로 반죽한 다음 벽오동씨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50-70알씩 데운 술이나 소금 끓인 물로 먹는다.
○ 이 처방은 전음문(前陰門)에 있는 상단과 같다.
○ 육종용을 더 넣어 쓰면서 여름에는 오미자 160g을 더 넣고 가을에는 구기자 240g을 더 넣어 쓴다[강목].
신선거승자원(神仙巨勝子元)
허로로 생긴 여러 가지 증상을 치료하는데 고루 보한다.
찐지황(숙지황), 생건지황, 하수오 각각 160g, 참깨씨(巨勝子), 구기자. 새삼씨(토사자), 오미자, 메대추씨(산조인), 측백씨(백자인), 파고지, 복분자, 가시연밥(검인), 목향, 연화예, 파극, 육종용, 쇠무릎(우슬), 천문동, 육계, 인삼, 흰솔풍령(백복령), 닥나무열매(저실자), 부추씨, 천웅, 연밥(연육), 속단, 마(산약) 각각 40g.
위의 약들을 가루를 내어 봄과 여름에는 졸인 꿀로 반죽한 다음 알약을 만들고 가을과 겨울에는 찐 대추살과 호두살을 같이 넣고 찧어 찰지게 된 것에 약가루를 넣고 잘 짓찧어 벽오동씨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70-90알씩 데운 술이나 소금 끓인 물로 먹는다. 혹 천웅을 빼고 대신으로 녹용을 넣어 쓰면 더 좋다[기효].
신선불로환(神仙不老丸)
다음과 같이 노래를 지었다.
신선불로 좋은 약 그의 효력 유다르네 늙은 얼굴 젊게 하기 힘이 전혀 안 든다네 인삼 우슬 파극과 당귀 두충 같이 넣고 한가지인 지황을 생것 쓰고 쪄서 쓰며 새삼씨와 측백씨에 석창포와 구기자며 지골피를 달아 넣어 보드랍게 가루내어 꿀을 졸여 반죽하여 오자만큼 알약지어 아침 낮과 잘 무렵에 데운 술로 넘기거나 끓인 물에 소금 두어 성미 맞춰 먹은 뒤에 파와 염교 부추밑과 온갖 피를 안먹으면 하얀 머리 검어지고 흰수염도 검는다네
인삼, 파극(술에 담갔다가 심을 뺀 것), 당귀(술에 담갔다 낸 것), 새삼씨(토사자, 술로 법제한 것) 각각 120g, 찐지황(숙지황), 생건지황(술로 축여 약한 불기운에 말린 것) 각각 80g, 쇠무릎(우슬, 술에 담갔다 낸 것), 두충(밀기울과 같이 닦은 것) 각각 60g, 측백씨(백자인, 껍질을 버리고 따로 가루를 낸 것), 석창포(쌀 씻은 물에 담갔다 낸 것), 구기자(술에 담갔다 낸 것), 지골피 각각 40g.
위의 약들을 썰어서 볕에 말리지 말고 약한 불기운에 말리어 보드랍게 가루를 낸다. 이것을 꿀로 반죽한 다음 잘 짓찧어 벽오동씨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70-90알씩 하루 세번 데운 술이나 소금 끓인 물로 먹는다. 파, 염교, 부추 등과 온갖 피를 먹지 말아야 한다[양로].
올눌보천환(싏뼠補天丸)
망양증(亡陽證)과 실음증(失陰證), 여러 가지 허손증과 음위증, 유정을 치료하는데 성욕을 세게 한다. 다만 과부에게는 좋지 않다(처방은 전음문에 있다).
이신교제단(二神交濟丹)
허로를 보하는데 심, 비, 신 3경의 허손을 치료한다.
복신, 율무쌀(의이인) 각각 120g, 메대추씨(산조인), 구기자, 흰삽주(백출), 약누룩(신국) 각각 80g, 측백씨(백자인), 가시연밥(검인), 생건지황, 맥문동, 당귀, 인삼, 귤껍질(陳皮), 집함박꽃뿌리(백작약), 흰솔풍령(백복령), 사인(축사) 각각 40g.
위의 약들을 가루를 내어 끓인 물 4잔에 졸인 꿀 160g과 마가루 160g을 넣어 쑨 풀로 반죽한 다음 벽오동씨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50-70알씩 미음으로 먹는다.
무비산약원(無比山藥元)
여러 가지 허손증과 5로 7상(五勞七傷)을 치료한다. 정신을 안정시키고 성욕을 세게 하며 근골을 튼튼하게 하고 몸을 가볍게 하며 눈을 밝게 한다(처방은 위에 있다).
신선기제단(神仙旣濟丹)
여러 가지 허손증과 5로 7상을 치료하는데 신수를 불쿠어 주고 심화를 내리며 비토를 보하고 정을 불쿠어 주며 골수를 보하고 기를 도와주며 혈을 고르게 하고 근골을 튼튼하게 하며 피부를 윤기나게 하고 귀와 눈을 밝게 하며 가슴을 시원하게 하고 마음을 안정시키고 성욕을 세게 하며 오래 살게 한다. 약성이 따뜻하면서 열하지 않고 시원하면서 차지 않다. 오랫동안 먹으면 수화(水火)가 잘 오르내려서 음양이 화합된다. 심화가 떠오르지 않으면 정신은 스스로 상쾌해지고 신수가 스며나가지 않으면 정은 자연히 굳건해진다. 그러므로 평순하게 보하는 좋은 약이다.
황백(술로 축여 볶은 것) 160g, 마(산약, 술로 축여 찐 것), 쇠무릎(우슬, 술로 씻은 것) 각각 120g, 인삼, 두충(생강즙으로 축여 볶은 것), 파극, 오미자, 흰솔풍령(백복령), 구기자(술로 씻은 것), 회향(소금물로 축여 볶은 것), 육종용(술로 씻은 것), 산수유(술로 축여 찐 것), 원지(감초 달인 물에 담갔다가 심을 뺀 것), 석창포, 지모(술로 축여 볶은 것), 생건지황(술로 축여 볶은 것), 찐지황(숙지황), 맥문동, 새삼씨(토사자, 술로 법제한 것), 단국화(감국, 술로 씻은 것), 산치자(닦은 것) 각각 80g, 귤껍질(陳皮, 흰 속을 버린 것) 40g.
위의 약들을 가루를 내어 꿀, 찐 대추살과 함께 반죽한 다음 벽오동씨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70-90알씩 소금 끓인 물이나 데운 술로 빈속에 먹는다.
○ 어떤 처방에는 천문동과 당귀(술로 씻은 것) 각각 80g은 있고 단국화(감국), 산치자, 귤껍질(陳皮) 등 3가지는 없다[의감].
오보원(五補元)
여러 가지 허손증을 치료한다.
지골피, 흰솔풍령(백복령), 쇠무릎(우슬), 찐지황(숙지황), 인삼 각각 40g.
위의 약들을 가루를 내어 꿀로 반죽한 다음 벽오동씨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50-70알씩 데운 술이나 소금 끓인 물로 먹는다[입문].
소건중탕(小建中湯)
허로로 뱃속이 켕기고 아프며 몽설하고 팔다리가 저리고 아프며 손발바닥에 번열이 나며 목구멍과 입이 마르는 것을 치료한다.
집함박꽃뿌리(백작약) 20g, 계지(계지가 없으면 박계를 대신 쓴다) 12g, 감초(닦은 것) 4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생강 5쪽, 대추 4알과 함께 물에 넣고 달여 절반이 되면 짜서 찌꺼기를 버리고 검정엿 반잔(40g)을 넣고 다시 달여서 엿이 풀어지면 먹는다[중경].
○ 집함박꽃뿌리(백작약)는 맛이 신 약인데 비위에 들어가서 억제하는 간기(肝氣)를 사해주므로 주약으로 하였고 엿과 감초는 성질이 따뜻한 약인데 비위를 보하므로 신약(臣藥)으로 하였다. 수기가 간목의 힘과 어울려서 비토를 억누르기 때문에 맥이 현하면서 배가 아프게 된다. 그러므로 몹시 맵고 성질이 열한 육계로 집함박꽃뿌리(백작약)를 도와서 찬 수기를 없애야 하고 생강과 대추는 달고 맵고 성질이 따뜻한 약인데 땀을 내게 하여 양기가 경락과 피모로 잘 돌게 하므로 사약으로 하였다. 그러므로 건중(建中)이란 이름은 여기서부터 나온 것이다[동원].
○ 허로로 기가 허하여 저절로 땀이 나는 것을 치료하는데 본 처방에 단너삼(황기, 꿀로 축여 볶은 것) 4g을 더 넣어쓴다. 이것을 황기건중탕(黃뺢建中湯)이라고 한다.
○ 허로로 혈이 허하여 저절로 땀이 나는 것을 치료하는 데는 본 처방에 당귀 4g을 더 넣어 쓴다. 이것을 당귀건중탕(當歸建中湯)이라고 한다. 먹는 법은 위와 같다[중경].
대건중탕(大建中湯)
여러 가지 허증으로 아랫배가 켕기면서 아프고 조열이 나며 식은땀이 나고 가래가 많으며 기침하고 계속 누워있는 것을 치료한다.
단너삼(황기), 부자(싸서 구운 것), 녹용(술로 축여 찐 것), 지골피, 속단, 석곡, 집함박꽃뿌리(백작약), 인삼, 궁궁이(천궁), 당귀, 원지싹(小草) 각각 4g, 감초(닦은 것) 2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생강 5쪽, 대추 2알과 함께 물에 넣고 달여 먹는다[득효].
십사미건중탕(十四味建中湯)
허로로 기혈이 부족한 것을 치료한다.
십전대보탕(十全大補湯, 처방은 위에 있다)에 부자(싸서 구운 것), 육종용, 끼무릇(반하), 맥문동 각각 같은 양을 더 넣은 것이다.
먹는법은 위와 같다[득효].
황기익손탕(黃뺢益損湯)
허로로 생긴 여러 가지 증상을 치료한다.
인삼, 단너삼(황기), 목향, 흰삽주(백출), 당귀, 계피, 흰솔풍령(백복령), 집함박꽃뿌리(백작약), 끼무릇(반하), 궁궁이(천궁), 찐지황(숙지황), 마(산약), 오미자, 모란뿌리껍질(목단피), 맥문동, 석곡, 감초 각각 2.8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생강 5쪽, 대추 2알, 오매 1개, 밀 50알과 함께 넣고 달여 먹는다[득효].
진교별갑산(秦빫鼈甲散)
허로로 조열이 나고 식은땀이 나며 가래가 나오면서 기침하는 것을 치료한다.
칡뿌리(갈근) 6g, 형개, 패모, 전호, 천선등(天仙藤, 청목향덩굴이다), 선귤껍질(청피), 시호, 진교, 자라등딱지(별갑), 감초 각각 3g, 구릿대(백지), 강호리(강활), 육계 각각 1.4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생강 3쪽과 함께 물에 넣고 달여 먹는다[득효].
침향별갑산(沈香鼈甲散)
여러 가지 허손증과 허로로 몸이 약해진 것을 치료한다.
자라등딱지(별갑, 식초를 발라 구운 것), 부자(싸서 구운 것), 육계 각각 4g, 당귀, 찐지황(숙지황), 강호리(강활) 각각 3g, 침향, 목향, 인삼, 파극, 흰솔풍령(백복령), 쇠무릎(우슬), 단너삼(황기), 시호, 형개, 끼무릇(반하), 진교 각각 2g, 전갈 1g, 육두구(잿불에 묻어 구운 것) 1개.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생강 3쪽, 대추 2알, 파밑(총백) 2개과 함께 달여 먹는다[득효].
황기별갑산(黃뺢鼈甲散)
위와 같은 증상을 치료한다.
자라등딱지(별갑), 천문동 각각 4g, 지모, 지골피, 단너삼(황기), 진교, 흰솔풍령(백복령), 함박꽃뿌리(적작약), 시호 각각 3g, 뽕나무뿌리껍질(상백피), 끼무릇(반하), 감초 각각 2g, 개미취(자원), 생지황 각각 1.6g, 인삼, 육계, 도라지(길경) 각각 1.2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생강 3쪽, 대추 2알과 함께 달여 먹는다[입문].
서련환(瑞蓮丸)
허로를 치료하는데 마음을 안정시키고 신을 따뜻하게 해주며 혈을 생기게 하고 담을 삭힌다.
삽주(창출, 비를 주관한다) 600g(160g은 생것을 쓰고 나머지는 술과 식초, 쌀 씻은 물에 각각 160g씩 담근다), 연밥(연육, 심은 주관한다, 껍질과 심을 버리고 술에 담갔다가 만문해지면 돼지위 2보에 나누어 넣고 푹 삶은 다음 약한 불기운에 말린다) 600g, 구기자(간을 주관한다), 오미자(폐를 주관한다), 파고지(신을 주관한다), 찐지황(숙지황, 혈을 주관한다) 각각 80g.
위의 약들을 가루를 내어 먼저 삶은 돼지위를 짓찧어 고약처럼 만든 것과 함께 술을 두고 쑨 풀로 반죽한 다음 벽오동씨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50-70알씩 술로 먹는다[입문].
당귀고(當歸膏)
5로 7상과 여러 가지 허손증을 치료하는데 비위를 보하고 힘줄과 뼈를 자양한다.
구기자, 당귀 각각 200g, 생건지황, 흰삽주(백출), 집함박꽃뿌리(백작약, 쌀가루와 함께 닦은 것) 각각 160g, 흰솔풍령(백복령) 120g, 율무쌀(의이인) 80g, 마(산약), 맥문동 각각 50g, 지골피, 연밥(연육), 인삼 각각 40g, 찐지황(숙지황), 패모, 감초 각각 30g, 천문동 20g, 오미자 10g, 호박 2.4g.
위의 약들을 물 5되에 넣고 약한 불에 달이다가 다시 물 5되를 넣고 달인다. 이렇게 일곱번 한 다음 짜서 찌꺼기를 버리고 다시 약하지도 세지도 않은 불에 달인다. 이렇게 만든 약 600g에 졸인 꿀 160g의 비례로 꿀을 넣고 달여 고(膏)를 만든다. 한번에 약숟가락으로 2숟가락씩 끓인 물에 타서 빈속에 먹는다[입문].
익수고진단(益壽固眞丹)
정을 보충하고 기혈을 보하며 정신을 맑게 하고 늙은이를 젊어지게 하며 오래 살게 한다. 중년 이후에 늘 먹으면 아주 좋다.
새삼씨(토사자, 술에 담갔다가 달인 다음 약한 불기운에 말리어 가루를 낸 것) 120g, 찐지황(숙지황, 술로 축여 찐 것), 생건지황(술에 담갔다가 약한 불기운에 말린 것), 자석(불에 달구어 식초에 담그기를 아홉번 한 다음 가루를 내어 수비한 것), 하수오(쌀 씻은 물에 하룻밤 담갔다가 저며서 검정콩 달인 물로 버무려 찐 다음 햇볕에 말린 것), 육종용(술에 담갔다가 껍질을 벗겨 버리고 쪄서 살을 쓴다) 각각 80g, 천문동(심을 버린 것), 맥문동(심을 버린 것), 마(산약, 약간 닦은 것), 당귀(술로 씻어서 약한 불기운에 말린 것), 흰솔풍령(백복령, 수비한 것), 택사(술로 축여 찐 것), 모란뿌리껍질(목단피) 각각 60g, 인삼, 가시연밥(검인), 산수유(술에 담갔다가 살을 쓴다), 석곡(술로 씻어서 약한 불기운에 말린 것), 복분자(술로 씻어서 약한 불기운에 말린 것), 구기자(술로 씻어서 약한 불기운에 말린 것), 오미자(술로 씻어서 약한 불기운에 말린 것), 뱀도랏열매(사상자, 닦아서 두드려 껍질을 버린 것), 두충(겉껍질을 버리고 썰어서 생강즙으로 축여 볶아 실을 버린 것), 파극(소금물에 달여 심을 버린 것), 녹용(구워서 솜털을 없앤다), 부추씨(닦은 것), 적석지(수비한 것), 익지인(껍질을 버리고 소금물을 두고 한번 끓어 오르게 한 것), 연화예, 파고지(닦은 것), 측백씨(백자인, 껍질을 버린 것), 돌소금, 천웅(동변에 3일 동안 담갔다가 싸서 구운 다음 껍질과 배꼽을 버린 것), 양기석(불에 달군 것) 각각 40g, 올눌제(졸인 젖을 발라 누른 빛이 나게 구운 것) 1개(없으면 졸인 젖을 발라 누른빛이 나게 구운 누른개의 음경 3-5개를 대신 쓴다).
위의 약(다 쇠절구로 찧지 않는다)들을 보드랍게 가루를 내어 찹쌀가루를 술에 두고 쑨 풀로 반죽한 다음 잘 짓찧어 벽오동씨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8-12g씩 데운 술인 소금 끓인 물이나 미음으로 빈속에 먹는다. ○ 여름에는 천웅을 빼고 황백을 대신 넣는다.
○ 파, 마늘, 무 및 식초 등을 먹는 것과 주색을 금해야 한다[신방]. [동의보감(東醫寶鑑)]
7,
상기 자료는 약초연구가로서 조상
대대로 전해져 내려오는 약초요법 및 민간요법의 우수성을
널리 알리고 질병으로 고통을 겪고 있는 환우들에게 희망을 주며 신약을 개발하는데 통찰력을 갖게하고 약초를 사랑하는 모든 사람에게 정보의 목적으로
공개하는 것임을 밝혀 둔다.
(병없이
오래 살게 하기 위해 쓰는 보약 처방
자료 모음/ 약초연구가 & 동아대 & 신라대 대체의학 외래교수 전동명)
※ 문의 및 연락처: 010-2545-0777 ;
051-464-0307
※ 홈주소: http://jdm0777.com
※ 페이스북 주소: http://www.facebook.com/jdmsanyacho
※ 이메일: jdm0777@naver.com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