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
零 líng 링↗
- 0.20元[서면체]
二分元 èr
fēn yuán 얼↘
펀 ̄
위앤↗
- 0.02元[구어체]
两分 liǎng
fēn 리앙V
펀 ̄ [※
2가 단독으로 쓰이면 <两=liǎng=리앙V>으로
읽는다!]
- 0.20元[서면체]
二毛元 èr
máo yuán 얼↘
마오↗
위앤↗
- 0.20元[구어체]
两毛 liǎng
máo 리앙V
마오↗ [※
2가 단독으로 쓰이면 <两=liǎng=리앙V>으로
읽는다!]
- 0.3
零点三 líng diǎn sān 링↗띠앤V
싼 ̄
- 0.3元/0.30元[서면체]
三毛元 sān
máoyuán 싼 ̄
마오↗위앤↗
- 0.3元/0.30元[구어체]
三毛钱 sān
máoqián 싼 ̄
마오↗치앤↗ [※
한 단위의 액수는 끝에 <钱=qián=치앤↗>을
말한다!]
- 0.03元[서면체]
三分元 sān
fēnyuán 싼 ̄
펀 ̄위앤↗
- 0.03元[구어체]
三分钱 sān
fēnqián 싼 ̄
펀 ̄치앤↗ [※
한 단위의 액수는 끝에 <钱=qián=치앤↗>을
말한다!]
- 1
一 yī 이 ̄ [※
한 일]
- 1+1
행사 상품,
하나를
사면 하나를 더 준다[광고문에 쓰임], 하나를 구입할 시 하나를
무료로 증정합니다
买一送一 mǎi
yī sòng yī 마이V
이 ̄
쏭↘
이 ̄
- 1등,
우승자, 챔피언, 우승
冠军 guànjūn 꾸안↘쮠 ̄
- 1월 1일,
양력설, 신정
元旦 Yuándàn 위앤↗딴↘
- 1월
하순
一月下旬 yī yuè xiàxún 이 ̄
위에↘ 씨아↘쉰↗
- 1인실,
싱글룸
单人间 dān
rénjiān 딴 ̄
런↗찌앤 ̄
- 1인용
침대, 싱글베드, 싱글침대
单人床 dānrénchuáng 딴 ̄
런↗추앙↗
- 2
二 èr 얼↘ [※
두 이]
- 2.00元[서면체]
二元 èr
yuán 얼↘
위앤↗
- 2.00元[구어체]
两块 liǎng
kuài 리앙V
콰이↘ [※
2가 단독으로 쓰이면 <两=liǎng=리앙V>으로
읽는다!]
- 2022
베이징 동계 올림픽 개막!
2022北京冬奥会开幕! èr
líng èr èr běijīng dōngàohuì kāimù 얼↘
링↗
얼↘
얼↘
베이V찡 ̄
똥 ̄아오↘후이↘
카이 ̄무↘
- 2배,
갑절
翻一番 fān yì fān 판 ̄
이↘
판 ̄
- 2분의 1, 반, 매우 적은 양, 절반,
한가운데의, 중간의, 반쯤의
半 bàn 빤↘ [※
<半=bàn>은 <2분의 1, 반, 절반, 매우 적은 양>이라는 뜻의 '수사'이다. 정수(整數)가 없을 때는 양사(量詞)의 앞에, 정수가 있을 때는 양사의 뒤에 쓰인다.
또한 <한가운데의, 중간의, 반쯤의>라는 뜻의 '형용사'이다.
예를 들어 <나는 매일 열시 반에 잠을 잡니다.=我每天晚上十点半睡觉。=wǒ měitiān wǎnshàng shídiǎn bàn shuìjiào.=워V 메이V티앤 ̄ 완V쌍↘ 스↗디앤V 빤↘ 쑤이↘쨔오↘>]
- 2시
15분.1
两点十五分 liǎng
diǎn shí wǔ fēn 리앙V
띠앤V
스↗
우V
펀 ̄
- 2시
15분.2
两点一刻 liǎng
diǎn yí
kè 리앙V
띠앤V
이↗
커↘
- 2시
30분.1
两点三十分 liǎng
diǎn sān
shí
fēn 리앙V
띠앤V
싼 ̄
스↗
펀 ̄
- 2시
30분.2
两点半 liǎng
diǎn bàn 리앙V
띠앤V
빤↘
- 2인실,
트윈 룸
双人间 shuāng
rénjiān 쑤앙 ̄
런↗찌앤 ̄
- 2인용
침대, 더블침대, 더블베드
双人床 shuāngrénchuáng 쑤앙 ̄런↗추앙↗
- 2차
세계 대전
第二次世界大战 Dì Èr Cì Shìjiè Dàzhàn 띠↘
얼↘ 츠↘ 쓰↘찌에↘ 따↘짠↘
- 3
三 sān 싼 ̄
- 4
四 sì 쓰↘
- 5
五 wǔ 우V
- 5분
五分 wǔfēn 우V펀 ̄
- 6
六 liù 리우↘
- 6시,
여섯시
六点
liùdiǎn 리우↘띠앤V
- 7
七
qī 치 ̄
- 7시,
일곱시
七点
qīdiǎn 치 ̄띠앤V
- 8
八
bā 빠 ̄
- 8시,
여덟시
八点
bādiǎn 빠 ̄띠앤V
- 9
九
jiǔ 지우V
- 9시,
아홉시
九点
jiǔdiǎn 지우V띠앤V
- 10
十 shí 스↗
- 10시,
열시
十点
shídiǎn 스↗띠앤V
- 10%
할인됩니다
打九折 dǎ jiǔzhé 다V
지우V저↗ [※
예를 들어 <모든 요리는 10% 할인됩니다.=所有菜都可以打九折。=suǒyǒu cài dōu kěyǐ dǎ jiǔzhé.=쑤오V요우V
차이↘
또우 ̄
커V이V
다V
지우V저↗>]
- 11
十一 shíyī 스↗이 ̄
- 11시,
열한시
十一点
shíyīdiǎn 스↗이 ̄띠앤V
- 12
十二
shíèr 스↗얼↘
- 12시,
열두시
十二点
shíèrdiǎn 스↗얼↘띠앤V
- 18.35元[서면체]
十八元三角五分 shíbā yuán sān
jiǎo wǔ fēn 스↗빠 ̄
위앤↗
싼 ̄
쟈오V
우V
펀 ̄
- 18.35元[구어체]
十八块三毛五 shíbā kuài sān
máo
wǔ 스↗빠 ̄
콰이↘ 싼 ̄
마오↗
우V [※
구어체에서는 제일 마지막 단위는 읽지 않고 생략한다!]
- 32元/32.0元/32.00元[서면체]
三十二元 sānshièr yuán 싼 ̄스얼↘
위앤↗
- 32元/32.0元/32.00元[구어체]
三十二块钱 sānshièr kuàiqián 싼 ̄스얼↘
콰이↘치앤↗ [※
한 단위의 액수는 끝에 <钱=qián=치앤↗>을
말한다!]
- 51.com
51.com
51.com 우V스↗이 ̄
띠앤 씨오엠 [※
2008년
8월 개설된 중국에서 제일 먼저 서비스를 시작한 중국 내 최대
SNS 사이트로, 미국의 인텔 캐피탈(Intel Capital) 등 세계적으로
유명한 기업의 투자로 설립되었다.
홈페이지: http://www.51.com]
- 68.05元[서면체]
六十八元零五分 liùshíbā yuán líng
wǔ fēn 리우↘스↗빠 ̄
위앤↗ 링↗
우V
펀 ̄
- 68.05元[구어체]
六十八块零五 liùshíbā kuài
líng
wǔ 리우↘스↗빠 ̄
콰이↘
링↗
우V [※
중간에 <0>이 있으면 <零=líng=링↗>으로
읽어준다! 가운데 <0>이 아무리 많아도 한번만 읽어준다!
구어체에서는 <六十八块零五毛=liùshíbā kuài
líng
wǔ máo=리우↘스↗빠 ̄
콰이↘
링↗ 우V
마오↗>가
아니라 <六十八块零五=liùshíbā kuài
líng
wǔ=리우↘스↗빠 ̄
콰이↘
링↗ 우V>로
뒤에 <毛=máo=마오↗>는
생략한다.]
- 77.5元[서면체]
七十七元五角 qīshíqī yuán wǔ jiǎo 치 ̄스↗치 ̄
위앤↗
우V
쟈오V
- 77.5元[구어체]
七十七块五 qīshíqī kuài wǔ 치 ̄스↗치 ̄
콰이↘ 우V [※
구어체에서는 제일 마지막 단위는 읽지 않고 생략한다!]
- 100
一百 yì bǎi 이↘바이V
- 108.00元[서면체]
一百零八元 yìbǎi líng bā yuán 이↘바이V
링↗
빠 ̄ 위앤↗
- 108.00元[구어체]
一百零八 yìbǎi líng bā 이↘바이V
링↗
빠 ̄ [※
중간에 <0>이 있으면 <零=líng=링↗>으로
읽어준다! 가운데 <0>이 아무리 많아도 한번만 읽어준다!
구어체에서는 <八元=bā yuán=빠 ̄
위앤↗>가 아니라 <八=bā=빠 ̄>로
뒤에 <元=yuán=위앤↗>을
생략한다.]
- 123.56元[서면체]
一百二十三元五角六分 yìbǎièrshisān yuán wǔ jiǎo liù fēn 이↘바이V얼↘스싼 ̄
위앤↗
우V
쟈오V
리우↘
펀 ̄
- 123.56元[구어체]
一百二十三块五毛六分 yìbǎièrshisān kuài wǔ máo liù fēn 이↘바이V얼↘스싼 ̄
콰이↘
우V
마오↗ 리우↘
펀 ̄
- 180元[서면체]
一百八十元 yìbǎibāshi yuán 이↘바이V빠 ̄스
위앤↗
- 180元[구어체]
一百八块 yìbǎibā kuài 이↘바이V빠 ̄
콰이↘ [※
구어체에서는 백단위 이상에서 <0>으로 끝나면 숫자 마지막
단위는 생략 가능하다!]
- 200(이백)1
二百 èrbǎi 얼↘바이V
- 200(이백)2
两百 liǎngbǎi 리앙V바이V
- 300(삼백)
三百 sānbǎi 싼 ̄바이V
- 1,000
一千 yì qiān 이↘치앤 ̄
- 2000,
이천1
二千 èrqiān 얼↘치앤 ̄
- 2000,
이천2
两千 liǎngqiān 리앙V치앤 ̄
- 3500元[서면체]
三千五百元 sānqiānwǔbǎi yuán 싼 ̄치앤 ̄우V바이V
위앤↗
- 3500元[구어체]
三千五块 sānqiānwǔ kuài 싼 ̄치앤 ̄우V
콰이↘ [※
구어체에서는 백단위 이상에서 <0>으로 끝나면 숫자 마지막
단위는 생략 가능하다!]
- 10,000
一万 yí wàn 이↗완↘
- 20,000,
이만1
二万 èrwàn 얼↘완↘
- 20,000,
이만2
两万 liǎngwàn 리앙V완↘
- 100,000
十万 shí wàn 스↗완↘
- 1,000,000
一百万 yì bǎi wàn 이↘바이V완↘
- 10,000,000
一千万 yì qiān wàn 이↘치앤 ̄완↘
- ~아니다
不 bù 뿌↘ [※
원음
발음 듣기: 구글+바이두+파파고: 1,
2,
3,
]
- ~아니고서는,
오직 ~하여야 비로소, 다만
~함으로써만이 비로소, [유일한 조건을
표시함, ‘只有(단지)’에 상당하는 말], 접속사로
~(지) 않고서는, [계산에 넣지 않는 것을 표시함. ‘除了’(제외하고(는))에
상당하는 말임]
除非
chúfēi 추↗페이 ̄
- ~에1,
~서
在 zài 짜이↘
- ~에2,
~에서
于 yú 위↗
- ~에3,
~에 대해
对于 duìyú 뚜이↘위↗ [※ <对于=duìyú>는 <~에, ~에 대해>라는 뜻을 가진 '개사'이다. 관련된 일이나 사물 등의 화제를 끌어오는 역할을 한다. 주로 주어 앞에 사용한다. 그리고 <동사가 가리키는 동작, 작용이 향하는 대상을 가리킴, 동사의 목적어가 되는 것은 주로 동작 명사로 의미상 그 동작, 작용이 향하는 대상을 가리킴, 사태의 설명이 관련된 대상을 나타냄>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미래에 대한 생각은 모두 아름답습니다.=对于未来的设想,都是美好的。=duìyú wèilái de shèxiǎng,dōu shì měihǎo de.=뚜이↘위↗ 웨이↘라이↗ 더 써↘시앙V, 또우 ̄ 쓰↘ 메이V하오V 더>, <이 문제에 대해 우리는 또 다른 해결 방법이 있습니다.=对于这个问题,我们还有另外的解决办法。=duìyú zhège wèntí,wǒmen háiyǒu lìngwài de jiějué bànfǎ.=뚜이↘위↗ 쩌↘거 원↘티↗, 워V먼 하이↗요우V 링↘와이↘ 더 지에V쥐에↗ 빤↘파V>]
- ~에게1
给 gěi 게이V
- ~에게2,
~한테
冲 chòng 총↘
- ~에게3(~와 ~과 ~을 따라서)
跟 gēn 껀 ̄
- ~에게4,
~와, ~과
和 hé 허↗
- ~에게 ~당하다,
덮다, 입다, 받다, 당하다, 걸치다,
이불
被 bèi 뻬이↘ [※
<被=bèi>는 <이불>을 뜻하는 '명사'이다.
또한 <덮다, 입다, 받다, 당하다, 걸치다,
~에게 ~당하다>라는 뜻의 '동사'이다.
그리고 <피동구에서 주어가 동작의 대상임을 나타내는> '개사구'이다.
예를 들어 <솜이불.=棉被。=miánbèi.=미앤↗뻬이↘>, <은택이 온 세상을 덮다.=泽被天下。=zé bèi tiānxià.=쩌↗ 뻬이↘ 티앤 ̄씨아↘>, <재난을 당하다.=被灾。=bèi zāi.=뻬이↘ 짜이 ̄>, <갑옷을 입다.=被甲。=bèi jiǎ.=뻬이↘ 지아V>, <물고기는 고양이에게 먹혔습니다.=鱼被猫吃了。=yú bèi māo chī le.=위↗ 뻬이↘ 마오 ̄ 츠 ̄ 러>]
- ~에게 ~시키다, 파견하다, ~하게 하다,
쓰다, 써 버리다, 사람을 보내다, 사용하다
使 shǐ 스V [※
<使=shǐ>는 <사람을 보내다, 사용하다, 써 버리다, 쓰다, ~에게 ~시키다, 파견하다, ~하게 하다>라는 뜻의 '동사'이다.
예를 들어 <사람을 보내서 소식을 알아보다=使人去打听消息=shǐ rén qù dǎtīng xiāoxi=스V 런↗ 취↘ 다V팅 ̄ 쌰오 ̄시>, <쓰기 좋다=好使=hǎoshǐ=하오V스V>, <사람을 분기시키다=使人振奋=shǐ rén zhènfèn=스V 런↗ 쩐↘펀↘>]
- ~에게
불쾌한 표정을 짓다, ~에게 싫은 내색을 보이다
给 ~脸色 gěi ~liǎnsè 게이V
~리앤V써↘ [※
<给 ~脸色=gěi ~liǎnsè>는 <~에게 불쾌한 표정을 짓다, ~에게 싫은 내색을 보이다>라는 뜻이다.
예를 들어 <자기가 기분 나쁜 일이 있으면 남에게 싫은 내색을 보이는 것은 옳지 않은 행동입니다.=自己有什么不高兴的事情,就给别人脸色看,是不对的行为。=zìji yǒu shénme bù gāoxìng de shìqing,jiù gěi biérén liǎnsè kàn,shì búduì de xíngwéi.=쯔↘지 요우V 선↗머 뿌↘ 까오 ̄씽↘ 더 쓰↘칭, 찌우↘ 게이V 비에↗런↗ 리앤V써↘ 칸↘, 쓰↘ 부↗뚜이↘ 더 싱↗웨이↗>]
- ~에게 싫은 내색을 보이다, ~에게
불쾌한 표정을 짓다
给 ~脸色 gěi ~liǎnsè 게이V
~리앤V써↘ [※
<给 ~脸色=gěi ~liǎnsè>는 <~에게 불쾌한 표정을 짓다, ~에게 싫은 내색을 보이다>라는 뜻이다.
예를 들어 <자기가 기분 나쁜 일이 있으면 남에게 싫은 내색을 보이는 것은 옳지 않은 행동입니다.=自己有什么不高兴的事情,就给别人脸色看,是不对的行为。=zìji yǒu shénme bù gāoxìng de shìqing,jiù gěi biérén liǎnsè kàn,shì búduì de xíngwéi.=쯔↘지 요우V 선↗머 뿌↘ 까오 ̄씽↘ 더 쓰↘칭, 찌우↘ 게이V 비에↗런↗ 리앤V써↘ 칸↘, 쓰↘ 부↗뚜이↘ 더 싱↗웨이↗>]
- ~에게
인기를 얻다
受…(的)欢迎
shòu…(de)
huānyíng 쏘우↘…(더)
후안 ̄잉↗
- ~에게 전해주다
传给 chuán gěi 추안↗
게이V
- ~에게 환영을
받다
受~欢迎
shòu~huānyíng 쏘우↘~후안 ̄잉↗
- ~에
관계없이 다 ~하다, ~을 막론하고, 다 ~하다
不管…都
bùguǎn…dōu 뿌↘꾸안V…또우 ̄ [※
<不管…都>는
제시된 조건하에서도 결론은 변함 없음을 나타내는 조건 관계
구문으로, <~에 관계없이 다 ~하다, ~을 막론하고, 다 ~하다>라는
뜻이다. 이때 <不管>
대신 <不论>,
<无论>을
쓰기도 하며, 그 뒤에 나오는 조건은 반드시 선택문, 병렬문,
의문사 구조를 가진 의문문이어야 한다.]
- ~에
관하여, ~관한, 관련된 것, ~에 관해서
关于 guānyú 꾸안 ̄위↗
- ~에 관해
말하면, ~에 대해 말하자면
对 ~来说 duì ~láishuō 뚜이↘
~라이↗쑤오 ̄ [※
<对 ~来说=duì ~láishuō>는 <~에 대해 말하자면, ~에 관해 말하면>이라는 뜻으로, <어떤 사람, 어떤 일의 입장에서 볼 때 ~하다>라는 의미이다.
예를 들어 <오늘날의 젊은이들에
대해 말하자면, 외국어를 잘 배우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对当代年轻人来说,学好外语太重要了。=duì dāngdài niánqīngrén láishuō,xué hǎo wàiyǔ tài zhòngyào le.=뚜이↘ 땅 ̄따이↘ 니앤↗칭 ̄런↗ 라이↗쑤오 ̄, 쉬에↗ 하오V 와이↘위V 타이↘ 쫑↘야오↘ 러>, <이런 일을 하는 것은, 여자아이에
대해 말하자면, 너무 힘이 듭니다.=做这种工作,对女孩子来说,有点太费力了。=zuò zhèzhǒng gōngzuò,duì nǚ háizi láishuō,yǒudiǎn tài fèilì le.=쭈오↘ 쩌↘종V 꽁 ̄쭈오↘, 뚜이↘ 뉘V 하이↗쯔
라이↗쑤오 ̄,
요우V디앤V
타이↘
페이↘리↘
러>]
- ~에 관해서,
~에
관하여, ~관한, 관련된 것
关于 guānyú 꾸안 ̄위↗
- ~에 관해서는,
~의 정도에
이르다, ~으로 말하면, 어느 정도에 까지 이르다, 도달하다,
~한 결과에 달하다, ~할 지경이다
至于 zhìyú 쯔↘위↗ [※
<至于=zhìyú>는 <어느 정도에 까지 이르다, 도달하다, ~의 정도에 이르다, ~한 결과에 달하다, ~할 지경이다, ~으로 말하면, ~에 관해서는>이란 뜻이다. 어느 정도에 이르렀음을 나타내며 부정문이나 반어문에 쓰인다. 또한 앞에 <‘才’·‘还’·‘总’·‘该’>를 동반하는 경우가 많다. 화제를 바꾸거나 제시할 때도 쓰인다.]
- ~에
관하여, ~에 관해서는, ~에
대하여, ~으로 말하면,
어느 정도에 까지 이르다, 도달하다, ~의 정도에 이르다, ~한 결과에 달하다, ~할 지경이다,
~때에 이르러
至于 zhìyú 쯔↘위↗ [※
<至于=zhìyú>는 <~에 관하여, ~에 관해서는, ~에 대하여, ~으로 말하면>이라는 뜻으로 '개사'로 쓰여 <至于=zhìyú> 앞부분의 내용과 관련된 단문을 이끌어 낸다. 그리고 화제를 바꾸거나 제시할 때 쓰인다.
예를 들어 <우리가 문제를 해결해 줄 테니 식사 문제는 당신이 해결해야 합니다.=我们帮你解决问题,至于吃饭的问题就要你自己解决了。=wǒmen bāng nǐ jiějué wèntí,zhìyú chīfàn de wèntí jiù yào nǐ zìji jiějué le.=워V먼 빵 ̄ 니V 지에V쥐에↗ 원↘티↗, 쯔↘위↗ 츠 ̄판↘ 더 원↘티↗ 찌우↘ 야오↘ 니V 쯔↘지 지에V쥐에↗ 러>, <이번 회의의 날짜는 이미 해결되었고, 참가 인원에 대해서는 아직 확정되지 않았습니다.=这次会仪的日期已经解决了,至于参加的人员还没有确定。=zhècì huìyí de rìqī yǐjīng jiějué le,zhìyú cānjiā de rényuán hái méiyǒu quèdìng.=쩌↘츠↘ 후이↘이↗ 더 르↘치 ̄ 이V찡 ̄ 지에V쥐에↗ 러, 쯔↘위↗ 찬 ̄찌아 ̄ 더 런↗위앤↗ 하이↗ 메이↗요우V 취에↘띵↘>, <화초 재배에 관해서는 그가 전문가입니다.=至于种花, 他是内行。=zhìyú zhònghuā, tā shì nèiháng.=쯔↘위↗ 쫑↘후아 ̄, 타 ̄ 쓰↘ 네이↘항↗>
또한 <~의 정도에 이르다, ~한 결과에 달하다, ~할 지경이다,
어느 정도에 까지 이르다, 도달하다,>라는 뜻의 '동사'이다. 어느 정도에 이르렀음을 나타내며 '부정문'이나 '반어문'에 쓰인다. 그리고 앞에 <‘才’·‘还’·‘总’·‘该’>를 동반하는 경우가 많다.
예를 들어 <그가 모를 정도는 아닙니다.=他不至于不知道。=tā bù
zhìyú bù zhīdào.=타 ̄ 뿌↘ 쯔↘위↗ 뿌↘ 쯔 ̄따오↘>
그리고 <~때에 이르러>라는 뜻의 '접속사'이다.
예를 들어 <아Q가 여섯 자 가량 나가떨어지고서야 만족하여 돌아갔습니다.=至于阿Q跌出六尺多远, 这才满足地去了。=zhìyú āQ diēchū liùchǐ duō yuǎn, zhè cái mǎnzú de qù le.=쯔↘위↗ 아 ̄큐 띠에 ̄추 ̄ 리우↘츠V 뚜오 ̄ 위앤V, 쩌↘ 차이↗ 만V쭈↗ 더 취↘ 러>]
- ~에 관해서는, ~에
관하여, ~에 대하여, ~으로 말하면,
어느 정도에 까지 이르다, 도달하다, ~의 정도에 이르다, ~한 결과에 달하다, ~할 지경이다,
~때에 이르러
至于 zhìyú 쯔↘위↗ [※
<至于=zhìyú>는 <~에 관하여, ~에 관해서는, ~에 대하여, ~으로 말하면>이라는 뜻으로 '개사'로 쓰여 <至于=zhìyú> 앞부분의 내용과 관련된 단문을 이끌어 낸다. 그리고 화제를 바꾸거나 제시할 때 쓰인다.
예를 들어 <우리가 문제를 해결해 줄 테니 식사 문제는 당신이 해결해야 합니다.=我们帮你解决问题,至于吃饭的问题就要你自己解决了。=wǒmen bāng nǐ jiějué wèntí,zhìyú chīfàn de wèntí jiù yào nǐ zìji jiějué le.=워V먼 빵 ̄ 니V 지에V쥐에↗ 원↘티↗, 쯔↘위↗ 츠 ̄판↘ 더 원↘티↗ 찌우↘ 야오↘ 니V 쯔↘지 지에V쥐에↗ 러>, <이번 회의의 날짜는 이미 해결되었고, 참가 인원에 대해서는 아직 확정되지 않았습니다.=这次会仪的日期已经解决了,至于参加的人员还没有确定。=zhècì huìyí de rìqī yǐjīng jiějué le,zhìyú cānjiā de rényuán hái méiyǒu quèdìng.=쩌↘츠↘ 후이↘이↗ 더 르↘치 ̄ 이V찡 ̄ 지에V쥐에↗ 러, 쯔↘위↗ 찬 ̄찌아 ̄ 더 런↗위앤↗ 하이↗ 메이↗요우V 취에↘띵↘>, <화초 재배에 관해서는 그가 전문가입니다.=至于种花, 他是内行。=zhìyú zhònghuā, tā shì nèiháng.=쯔↘위↗ 쫑↘후아 ̄, 타 ̄ 쓰↘ 네이↘항↗>
또한 <~의 정도에 이르다, ~한 결과에 달하다, ~할 지경이다,
어느 정도에 까지 이르다, 도달하다,>라는 뜻의 '동사'이다. 어느 정도에 이르렀음을 나타내며 '부정문'이나 '반어문'에 쓰인다. 그리고 앞에 <‘才’·‘还’·‘总’·‘该’>를 동반하는 경우가 많다.
예를 들어 <그가 모를 정도는 아닙니다.=他不至于不知道。=tā bù
zhìyú bù zhīdào.=타 ̄ 뿌↘ 쯔↘위↗ 뿌↘ 쯔 ̄따오↘>
그리고 <~때에 이르러>라는 뜻의 '접속사'이다.
예를 들어 <아Q가 여섯 자 가량 나가떨어지고서야 만족하여 돌아갔습니다.=至于阿Q跌出六尺多远, 这才满足地去了。=zhìyú āQ diēchū liùchǐ duō yuǎn, zhè cái mǎnzú de qù le.=쯔↘위↗ 아 ̄큐 띠에 ̄추 ̄ 리우↘츠V 뚜오 ̄ 위앤V, 쩌↘ 차이↗ 만V쭈↗ 더 취↘ 러>]
- ~에 그치지 않다, ~뿐만
아니라, ~만은 아니다
不仅 bùjǐn 뿌↘진V
- ~에 근거하여1
按照 ànzhào 안↘짜오↘
- ~에 근거하여2,
~에 따라
根据 gēnjù 껀 ̄쮜↘
- ~에 능숙하다, ~를 잘하다, 교묘하게, 능숙하게
善于 shànyú 싼↘위↗ [※
<善于=shànyú>는 <~에 능숙하다, ~를 잘하다>라는 뜻의 ‘형용사’이다.
그리고 <교묘하게, 능숙하게>라는 뜻의 ‘부사’이다.
예를 들어 <응대에 능숙하다=善于应酬==shànyú yìngchou=싼↘위↗ 잉↘초우>, <능숙하게 이상(理想)과 일을 결합시켜야 합니다.=应当善于把理想和工作结合起来。=yīngdāng shànyú bǎ lǐxiǎng hé gōngzuò jiéhé qǐlái.=잉 ̄땅 ̄ 싼↘위↗ 바V 리V시앙V 허↗ 꽁 ̄쭈오↘ 지에↗허↗ 치V라이↗>]
- ~에 달려있다, ~에 의해 결정되다, ~에 있다,
바로 ~이다, 마침
~이다
在于 zàiyú 짜위↘위↗ [※
<在于=zàiyú>는 <마침 ~이다, 바로 ~이다, ~에 달려있다, ~에 의해 결정되다, ~에 있다>라는 뜻의 '동사'이다.
예를 들어 <진정한 성공은 부를 얼마나 가졌느냐가 아니라 하루하루를 행복하게 사는 데 있습니다.=真正的成功不在于拥有多少财富,而在于幸福地度过每一天。=zhēnzhèng de chénggōng bú zàiyú yōngyǒu duōshǎo cáifù,ér zàiyú xìngfú de dùguò měi yìtiān.=쩐 ̄쩡↘ 더 청↗꽁 ̄ 부↗ 짜위↘위↗ 용 ̄요우V 뚜오 ̄사오V 차이↗푸↘, 얼↗ 짜위↘위↗ 씽↘푸↗ 더 두↘꾸오↘ 메이V 이↘티앤 ̄>, <가고 안 가고는 너 자신에 달려 있다=去不去在于你自己。=qù bú qù zàiyú nǐ zìjǐ=취↘ 부↗ 취↘ 짜위↘위↗ 니V 쯔↘지V>, <일년에 계획은 봄에 달려 있고, 하루의 계획은 새벽에 달려 있다=一年之计在于春,一日之计在于晨=yì nián zhī jì zàiyú chūn,yí rì zhī jì zàiyú chén=이↘ 니앤↗ 쯔 ̄ 찌↘ 짜위↘위↗ 춘 ̄, 이 르↘ 쯔 ̄ 찌↘ 짜위↘위↗ 천↗>]
- ~에
놓다, ~에 두다
放在 fàngzài 팡↘짜이↘
- ~에
능숙하다, ~를 잘하다
善于 shànyú 싼↘위↗
- ~에 대하여[대상]
对于 duìyú 뚜이↘위↗
- ~에
대하여 말하다, ~을 가지고 말해 보다
拿 ~来说 ná ~lái shuō 나↗
~라이↗ 쑤오 ̄
- ~에
대해 말하자면, ~에 관해 말하면
对 ~来说 duì ~láishuō 뚜이↘
~라이↗쑤오 ̄ [※
<对 ~来说=duì ~láishuō>는 <~에 대해 말하자면, ~에 관해 말하면>이라는 뜻으로, <어떤 사람, 어떤 일의 입장에서 볼 때 ~하다>라는 의미이다.
예를 들어 <오늘날의 젊은이들에
대해 말하자면, 외국어를 잘 배우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对当代年轻人来说,学好外语太重要了。=duì dāngdài niánqīngrén láishuō,xué hǎo wàiyǔ tài zhòngyào le.=뚜이↘ 땅 ̄따이↘ 니앤↗칭 ̄런↗ 라이↗쑤오 ̄, 쉬에↗ 하오V 와이↘위V 타이↘ 쫑↘야오↘ 러>, <이런 일을 하는 것은, 여자아이에
대해 말하자면, 너무 힘이 듭니다.=做这种工作,对女孩子来说,有点太费力了。=zuò zhèzhǒng gōngzuò,duì nǚ háizi láishuō,yǒudiǎn tài fèilì le.=쭈오↘ 쩌↘종V 꽁 ̄쭈오↘, 뚜이↘ 뉘V 하이↗쯔
라이↗쑤오 ̄,
요우V디앤V
타이↘
페이↘리↘
러>]
- ~에
두다, ~에
놓다
放在 fàngzài 팡↘짜이↘
- ~에
따라1, ~에 근거하여
根据 gēnjù 껀 ̄쮜↘
- ~에 따라2,
~을 근거로 해서, ~에
의거하여, 의지하다,
의거하다, 기대다, 몸을 ~에 기대다, 증거
凭 píng 핑↗ [※
<凭=píng>은
<기대다, 몸을 ~에 기대다, 의거하다,
의지하다>라는
뜻의 '동사'이다.
그리고 <~을 근거로 해서, ~에 따라,
~에
의거하여>라는 뜻의 '개사'이다. 동의어로는 <依靠,根据>가 있으며 일반적으로 증거 서류, 증명서, 경험, 능력, 조건 등이 온다.
예를 들어 <그는 다년간의 경험으로 이것이 사기꾼이라고 생각합니다.=他凭多年的经验觉得这个是个骗子。=tā píng duōnián de jīngyàn juéde zhège shì gè piànzi.=타 ̄
핑↗
뚜오 ̄니앤↗
더 찡 ̄옌↘
쥐에↗더
쩌↘거
쓰↘
꺼↘
피앤↘쯔>,
<그는 개인의 노력으로 오늘의 성공을 거두었습니다.=他凭个人的努力获得了今天的成功。=tā píng gèrén de nǔlì huòdé le jīntiān de chénggōng.=타 ̄
핑↗
꺼↘런↗
더 누V리↘
후오↘더↗
러 찐 ̄티앤 ̄
더 청↗꽁 ̄>
또한
<증거>라는
듯의 '명사'이다
※
한자의 뜻으로 <귀신이
들리다, 기대다, 붙다, 의거하다, 전거로 삼다>라는 뜻이다.
<기댈 빙(凭=凴); 心-총16획>]
- ~에
따라3
按照 ànzhào 안↘짜오↘
- ~에 따라4, ~따라서, ~뒤이어, 즉시,
곧
随着 suízhe 쑤이↗저
- ~에 따라서1, 억누르다[감정이나 기분을], 억제하다, 제쳐놓다,
누르다[손이나 손가락으로], 눌러 놓다
按 àn 안↘ [※
<누르다, 당기다, 막다, 쓰다듬다, 어루만지다, 억누르다, 누를 안(按) & 막을 알(按); 手-총9획>]
- ~따라서, ~뒤이어, ~에 따라, 즉시,
곧
随着 suízhe 쑤이↗저
- ~에 따르면,
~에 의거하여
据 jù 쮜↘ [※
<据=jù>는
<~에 따르면, ~에 의거하여>라는 뜻으로, <据…说>,
<据…看>등의
형식으로 자주 쓰인다.]
- ~에 미치지 않다, ~에 이르지 못하다, ~까지는 안 된다
不至于 búzhìyú 부↗쯔↘위↗
- ~에 불과하다1,
~에 지나지 않다, 그런데, 그러나,
그러나 단지~,
이제
不过 búguò 부↗꾸오↘ [※
<不过=búguò>는 <~에 지나지 않다, ~에 불과하다>라는 뜻의 '부사'이다.
또한 <그런데, 그러나,
이제,
그러나 단지~>라는 뜻의 '접속사'이다. ‘但是, 可是’보다 어기가 약하다.
예를 들어 <그것은 변명에 불과합니다.=那不过是借口。=nà búguò shì jièkǒu.=나↘ 부↗꾸오↘ 쓰↘ 찌에↘코우V>, <그는 중국어를 비록 비교적 천천히 말하지만 발음은 매우 분명합니다.=他说中文虽然说得比较慢, 不过发音很清楚。=tā shuō zhōngwén suīrán shuō de bǐjiào màn, búguò fāyīn hěn qīngchǔ.=타 ̄ 쑤오 ̄ 쫑 ̄원↗ 쑤이 ̄란↗ 쑤오 ̄ 더 삐V쨔오↘ 만↘, 부↗꾸오↘ 파 ̄인 ̄ 헌V 칭 ̄추V>]
- ~에 불과하다2, ~일
뿐이다
只不过 ~罢了 zhǐbúguò ~bà le 즈V부↗꾸오↘
~빠↘ 러 [※
<只不过 ~罢了=zhǐbúguò ~bà le>는 <~에 불과하다, ~일 뿐이다>라는 뜻이다. 내용의 정도가 가볍고 심각하지 않음을 나타낸다.
예를 들어 <그와 저는 그저 평범한 친구일 뿐입니다.=我跟他只不过是普通朋友罢了。=wǒ gēn tā zhǐbúguò shì pǔtōng péngyou bà le.=워V 껀 ̄ 타 ̄ 즈V부↗꾸오↘ 쓰↘ 푸V통 ̄ 펑↗요우 빠↘
러>, <그는 특별한 사람은 아닙니다, 단지 작은 회사의 사장일 뿐입니다.=他没什么了不起,只不过是个小公司的经理罢了。=tā méi shénme liǎobuqǐ,zhǐbúguò shì gè xiǎo gōngsī de jīnglǐ bà le.=타 ̄ 메이↗ 선↗머 랴오V부치V, 즈V부↗꾸오↘ 쓰↘ 꺼↘ 샤오V 꽁 ̄쓰 ̄ 더 찡 ̄리V 빠↘
러>]
- ~에
비추어, ~에 따라
按照 ànzhào 안↘짜오↘
- ~에 비할 수 있다, ~에 비해,
~보다, 비교하다, 겨루다, 비유하다, ~로 간주하다, 손짓을 해서 설명하다
比 bǐ 삐V [※
<比=bǐ>는 <비교하다, ~보다,
~에 비해,
겨루다, 비유하다, ~에 비할 수 있다, ~로 간주하다, 손짓을 해서 설명하다>라는 뜻의 '동사'이다.
예를 들어 <크기를 비교하다.=比大小。=bǐ dàxiǎo.=삐V 따↘샤오V>, <사람의 일생은 마치 무거운 짐을 짊어지고 먼 길을 가는 것과 같습니다.=人的一生好比负着重担走远路。=rén de yìshēng hǎobǐ fù zhuó zhòngdān zǒu yuǎn lù.=런↗ 더 이↘썽 ̄ 하오V삐V 푸↘ 주오↗ 쫑↘딴 ̄ 쪼우V 위앤V 루↘>, <말하면서 손짓을 합니다.=连说带比。=lián shuō dài bǐ.=리앤↗ 쑤오 ̄ 따이↘ 삐V>]
-
~에 비해1,
~보다, 비교하다, 겨루다, 비유하다, ~에 비할 수 있다, ~로 간주하다, 손짓을 해서 설명하다
比 bǐ 삐V [※
<比=bǐ>는 <비교하다, ~보다,
~에 비해,
겨루다, 비유하다, ~에 비할 수 있다, ~로 간주하다, 손짓을 해서 설명하다>라는 뜻의 '동사'이다.
예를 들어 <크기를 비교하다.=比大小。=bǐ dàxiǎo.=삐V 따↘샤오V>, <사람의 일생은 마치 무거운 짐을 짊어지고 먼 길을 가는 것과 같습니다.=人的一生好比负着重担走远路。=rén de yìshēng hǎobǐ fù zhuó zhòngdān zǒu yuǎn lù.=런↗ 더 이↘썽 ̄ 하오V삐V 푸↘ 주오↗ 쫑↘딴 ̄ 쪼우V 위앤V 루↘>, <말하면서 손짓을 합니다.=连说带比。=lián shuō dài bǐ.=리앤↗ 쑤오 ̄ 따이↘ 삐V>]
- ~에 비해2,
~보다, 비교하다,
비교적
比较 bǐjiào 비V쨔오↘ [※
<比较=bǐjiào>는 <비교하다>라는 뜻의 '동사'이다.
또한 <비교적>이란 뜻의 '부사'이다.
그리고 <~에 비해, ~보다>라는 뜻의 '개사'로서 정도나 상태의 차이를 비교하는 데 쓰인다.
예를 들어 <이것과 저것과를 비교하여 보면~=这个和那个比较起来~=zhège hé nàge bǐjiào qǐlái~=쩌↘거 허↗ 나↘거 비V쨔오↘ 치V라이↗>, <나는 요즘 비교적 바쁩니다.=我最近比较忙。=wǒ zuìjìn bǐjiào máng.=워V 쭈이↘찐↘ 비V쨔오↘ 망↗>, <우리 회사의 발전 상황은 전시기보다 매우 큰 발전을 이루었습니다.=我们公司发展形势比较前一时期有了很大的发展。=wǒmen gōngsī fāzhǎn xíngshì bǐjiào qián yì shíqī yǒu le hěn dà de fāzhǎn.=워V먼 꽁 ̄쓰 ̄ 파 ̄잔V 싱↗쓰↘ 비V쨔오↘ 치앤↗ 이↘ 스↗치 ̄ 요우V 러 헌V 따↘ 더 파 ̄잔V>]
- ~에 비해 손색이 있다, 약하다, 약한, 젊다, 허약하다,
나이가 어리다, ~만 못하다, ~보다 약하다
弱 ruò 루오↘ [※ <약할 약(弱); 弓-총10획)>]
- ~에
빠지다1, 애호가, 탐닉하다, 판단력을 잃다, 팬, 헷갈리다,
광(狂), ~광, 갈피를 잡지 못하다,
매혹되다, 마니아,
빠지다,
심취하다
迷 mí 미↗
- ~에
빠지다2, 반하다
迷上 míshàng 미↗쌍↘
- ~에도 불구하고,
비록 ~라 하더라도, 설령 ~라 하더라도, 얼마든지,
하고
싶은 대로, 그냥, 늘, 마음 놓고
尽管 jǐnguǎn 진V구안V [※ ① <尽管=jǐnguǎn>은 <그냥, 늘, 마음 놓고, 얼마든지,
하고 싶은 대로>라는 뜻의 ‘부사’이다.
예를 들어 <오늘은 사장님께서 저희를 대접해 주실 테니 마음껏 드셔도 됩니다. 의견이 있으면 편하게 물어보세요.=今天老板请客,大家想吃什么尽管吃。
没关系,有意见尽管提。=jīntiān lǎobǎn qǐngkè,dàjiā xiǎng chī shénme jǐnguǎn chī。méi guānxi,yǒu yìjiàn jǐnguǎn tí.=찐 ̄티앤 ̄
라오V빤V
칭V커↘,
따↘찌아 ̄
시앙V
츠 ̄
선↗머
진V구안V
츠 ̄.
메이↗
꾸안 ̄시,
요우V
이↘찌앤↘
진V구안V
티↗>,
<의견이 있으면 사양 말고 얼마든지 제시하시오.=有意见尽管提, 不要客气。=yǒu yìjiàn jǐnguǎn tí, búyào kèqi.=요우V 이↘찌앤↘ 진V구안V 티↗, 부↗야오↘ 커↘치>, <병이 있으면 일찍 고쳐야지 그냥 그대로 놔두면 좋지 않습니다.=有病早些治, 尽管耽搁着也不好。=yǒu bìng zǎo xiē zhì, jǐnguǎn dāngē zhe yě bù hǎo.=요우V 삥↘ 짜오V 씨에 ̄ 쯔↘, 진V구안V 딴 ̄꺼 ̄ 저 예V 뿌↘ 하오V>,
②
<비록
~라 하더라도, 설령 ~라 하더라도, ~에도 불구하고>라는 뜻의 ‘접속사’로 양보절을 이끈다.
일반적으로 뒤에 <但是,然而,还是,却,仍然,还,也>등을
붙여 쓴다.
예를 들어 <무슨 어려움이 있으면 얼마든지
제게 말씀해 주세요.=有什么困难尽管告诉我。=yǒu shénme kùnnan jǐnguǎn gàosu wǒ.=요우V
선↗머
쿤↘난
진V구안V
까오↘쑤
워V>,
<비록 이후의 변화가 예측하기 힘들다 해도 대체적인 계산은 그래도 가능할 것입니다.=尽管以后变化难测, 然而大体的计算还是可能的。=jǐnguǎn yǐhòu biànhuà náncè, ránér dàtǐ de jìsuàn háishì kěnéng de.=진V구안V 이V호우↘ 삐앤↘후아↘ 난↗처↘, 란↗얼↗ 따↘티V 더 찌↘쑤안↘ 하이↗쓰↘ 커V넝
더>]
- ~에 비해
比 bǐ 삐V
- ~에
살다
住在 zhù zài 주↘
짜이↘
- ~에서,
~에
于 yú 위↗
- ~에서
~까지, 쭉
从 ~直到~ cóng ~zhídào~ 총↗
~즈↗따오↘~ [※
<从 ~直到~=cóng ~zhídào~>는 <~에서 ~까지, 쭉>이라는 뜻이다. 시간의 구간을 나타내며, 시작 시간에서 종결 시간까지 쭉 이어짐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이 꽃은 개화 기간이 더 길며 3월에 시작하여 9월에 시들었습니다.=这种花的花期较长,从3月开始开花,直到9月才凋谢。=zhèzhǒng huā de huāqī jiào cháng,cóng sān yuè kāishǐ kāihuā,zhídào jiǔ yuè cái diāoxiè.=쩌↘종V 후아 ̄ 더 후아 ̄치 ̄ 쨔오↘ 창↗, 총↗ 싼 ̄ 위에↘ 카이 ̄스V 카이 ̄후아 ̄, 즈↗따오↘ 지우V 위에↘ 차이↗ 땨오 ̄씨에↘>, <아들이 아직 집에 오지 않아서 아빠는 걱정이 돼서 9시부터 12시까지 전화기 옆에 앉아 있었어요.=儿子还没回家,爸爸很担心,从9点直到12点,一直坐在电话旁边。=érzi hái méi huíjiā,bàba hěn dānxīn,cóng jiǔ diǎn zhídào shíèr diǎn,yìzhí zuò zài diànhuà pángbiān.=얼↗쯔 하이↗ 메이↗ 후이↗찌아 ̄, 빠↘바 헌V 딴 ̄씬 ̄, 총↗ 지우V 디앤V 즈↗따오↘ 스↗얼↘ 띠앤V, 이↘즈↗ 쭈오↘ 짜이↘ 띠앤↘후아↘ 팡↗삐앤 ̄>]
- ~에서
기원하다1
起源于 qǐ yuányú 치V
위앤↗위↗
- ~에서
기원하다2, ~에서 발원하다
源于 yuányú 위앤↗위↗
- ~에서
발원하다, ~에서
기원하다
源于 yuányú 위앤↗위↗
- ~에서 보내다
在 ~中度过 zài ~zhōng dùguò 짜이↘ ~쫑 ̄ 뚜↘꾸오↘
- ~에
속하다, ~의 소유이다
属于 shǔyú 수V위↗
- ~에
대하여, ~에 관해서는, ~에
관하여, ~으로 말하면,
어느 정도에 까지 이르다, 도달하다, ~의 정도에 이르다, ~한 결과에 달하다, ~할 지경이다,
~때에 이르러
至于 zhìyú 쯔↘위↗ [※
<至于=zhìyú>는 <~에 관하여, ~에 관해서는, ~에 대하여, ~으로 말하면>이라는 뜻으로 '개사'로 쓰여 <至于=zhìyú> 앞부분의 내용과 관련된 단문을 이끌어 낸다. 그리고 화제를 바꾸거나 제시할 때 쓰인다.
예를 들어 <우리가 문제를 해결해 줄 테니 식사 문제는 당신이 해결해야 합니다.=我们帮你解决问题,至于吃饭的问题就要你自己解决了。=wǒmen bāng nǐ jiějué wèntí,zhìyú chīfàn de wèntí jiù yào nǐ zìji jiějué le.=워V먼 빵 ̄ 니V 지에V쥐에↗ 원↘티↗, 쯔↘위↗ 츠 ̄판↘ 더 원↘티↗ 찌우↘ 야오↘ 니V 쯔↘지 지에V쥐에↗ 러>, <이번 회의의 날짜는 이미 해결되었고, 참가 인원에 대해서는 아직 확정되지 않았습니다.=这次会仪的日期已经解决了,至于参加的人员还没有确定。=zhècì huìyí de rìqī yǐjīng jiějué le,zhìyú cānjiā de rényuán hái méiyǒu quèdìng.=쩌↘츠↘ 후이↘이↗ 더 르↘치 ̄ 이V찡 ̄ 지에V쥐에↗ 러, 쯔↘위↗ 찬 ̄찌아 ̄ 더 런↗위앤↗ 하이↗ 메이↗요우V 취에↘띵↘>, <화초 재배에 관해서는 그가 전문가입니다.=至于种花, 他是内行。=zhìyú zhònghuā, tā shì nèiháng.=쯔↘위↗ 쫑↘후아 ̄, 타 ̄ 쓰↘ 네이↘항↗>
또한 <~의 정도에 이르다, ~한 결과에 달하다, ~할 지경이다,
어느 정도에 까지 이르다, 도달하다,>라는 뜻의 '동사'이다. 어느 정도에 이르렀음을 나타내며 '부정문'이나 '반어문'에 쓰인다. 그리고 앞에 <‘才’·‘还’·‘总’·‘该’>를 동반하는 경우가 많다.
예를 들어 <그가 모를 정도는 아닙니다.=他不至于不知道。=tā bù
zhìyú bù zhīdào.=타 ̄ 뿌↘ 쯔↘위↗ 뿌↘ 쯔 ̄따오↘>
그리고 <~때에 이르러>라는 뜻의 '접속사'이다.
예를 들어 <아Q가 여섯 자 가량 나가떨어지고서야 만족하여 돌아갔습니다.=至于阿Q跌出六尺多远, 这才满足地去了。=zhìyú āQ diēchū liùchǐ duō yuǎn, zhè cái mǎnzú de qù le.=쯔↘위↗ 아 ̄큐 띠에 ̄추 ̄ 리우↘츠V 뚜오 ̄ 위앤V, 쩌↘ 차이↗ 만V쭈↗ 더 취↘ 러>]
-
~에
대해, ~에
对于 duìyú 뚜이↘위↗ [※ <对于=duìyú>는 <~에, ~에 대해>라는 뜻을 가진 '개사'이다. 관련된 일이나 사물 등의 화제를 끌어오는 역할을 한다. 주로 주어 앞에 사용한다. 그리고 <동사가 가리키는 동작, 작용이 향하는 대상을 가리킴, 동사의 목적어가 되는 것은 주로 동작 명사로 의미상 그 동작, 작용이 향하는 대상을 가리킴, 사태의 설명이 관련된 대상을 나타냄>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미래에 대한 생각은 모두 아름답습니다.=对于未来的设想,都是美好的。=duìyú wèilái de shèxiǎng,dōu shì měihǎo de.=뚜이↘위↗ 웨이↘라이↗ 더 써↘시앙V, 또우 ̄ 쓰↘ 메이V하오V 더>, <이 문제에 대해 우리는 또 다른 해결 방법이 있습니다.=对于这个问题,我们还有另外的解决办法。=duìyú zhège wèntí,wǒmen háiyǒu lìngwài de jiějué bànfǎ.=뚜이↘위↗ 쩌↘거 원↘티↗, 워V먼 하이↗요우V 링↘와이↘ 더 지에V쥐에↗ 빤↘파V>]
- ~에
대해 이롭다, 좋은 점이 있다
有益于 yǒuyì yú 요우V이↘
위↗ [※
<有益于=yǒuyì yú>는 <~에 대해 이롭다, 좋은 점이 있다>라는 뜻이다.
예를 들어 <이른
아침에 물을 마시는 것은 미용에 좋습니다.=清晨喝水有益于美容。=qīngchén hē shuǐ yǒuyì yú měiróng.=칭 ̄천↗ 허 ̄ 수이V 요우V이↘
위↗ 메이V롱↗>, <과학에 따르면 건강한 식단은 아이들의 학업 성적을 향상시킨다는 것을 보여줍니다.=科学表明,健康饮食有益于孩子学习成绩的提高。=kēxué biǎomíng,jiànkāng yǐnshí yǒuyì yú háizi xuéxí chéngjì de tígāo.=커 ̄쉬에↗ 뱌오V밍↗, 찌앤↘캉 ̄ 인V스↗ 요우V이↘
위↗ 하이↗쯔 쉬에↗시↗ 청↗찌↘ 더 티↗까오 ̄>]
- ~에 맞지 않다, 옳지 않다고 여기다, 아니다,
없다, 그르다고 여기다, 반대하다, 비난하다, 책망하다,
악행, 과실, 잘못
非 fēi 페이 ̄ [※
<非=fēi>는 <그르다고 여기다, ~에 맞지 않다, 아니다, 없다, 옳지 않다고 여기다, 반대하다, 비난하다, 책망하다>라는 뜻의 '동사'이다.
그리고 <과실, 악행, 잘못>이라는 '명사'이다.
예를 들어 <시비를 밝히다=明辨是非=míng biàn shì fēi=밍↗ 삐앤↘ 쓰↘ 페이 ̄>, <예의에 어긋나다=非礼=fēilǐ=페이 ̄리V>, <많은 사람들이 모두 비난한다=众人皆非之=zhòngrén jiēfēi zhī=쫑↘런↗ 찌에 ̄페이 ̄ 쯔 ̄>]
- ~에 비할 수 있다, ~에 비해,
손짓을 해서 설명하다,
상응하다, 비유하다,
비슷한 점을 이끌어내다, 비기다, 보다, ~보다,
복제하다, 비교(比較)하다,
흉내내다,
견주다, 겨루다, 같다, ~로 간주하다, 모방하다, 최근,
근래, 경기 점수의 대비, 비율, 비례, 비(比)
比 bǐ 삐V [※
<比=bǐ>는 <같다, 겨루다, 견주다, ~로 간주하다, 모방하다, 보다, 복제하다, 비교(比較)하다, 비기다, 비슷한 점을 이끌어내다, 비유하다, ~보다,
상응하다, 손짓을 해서 설명하다, ~에 비해,
~에 비할 수 있다, 흉내내다>라는 뜻의 '동사'이다.
또한
<경기 점수의 대비, 근래, 비(比), 비례, 비율, 최근>이라는
뜻의 '명사'이다.
예를 들어 <크기를 비교하다.=比大小。=bǐ dàxiǎo.=삐V 따↘샤오V>, <사람의 일생은 마치 무거운 짐을 짊어지고 먼 길을 가는 것과 같습니다.=人的一生好比负着重担走远路。=rén de yìshēng hǎobǐ fù zhuó zhòngdān zǒu yuǎn lù.=런↗ 더 이↘썽 ̄ 하오V삐V 푸↘ 주오↗ 쫑↘딴 ̄ 쪼우V 위앤V 루↘>, <말하면서 손짓을 합니다.=连说带比。=lián shuō dài bǐ.=리앤↗ 쑤오 ̄ 따이↘ 삐V>,
<반비례=反比=fǎnbǐ=판V삐V>, <근래=比来=bǐlái=삐V라이↗>]
- ~에 비해,
~에 비할 수 있다, 손짓을 해서 설명하다,
상응하다, 비유하다,
비슷한 점을 이끌어내다, 비기다, 보다, ~보다,
복제하다, 비교(比較)하다,
흉내내다,
견주다, 겨루다, 같다, ~로 간주하다, 모방하다, 최근,
근래, 경기 점수의 대비, 비율, 비례, 비(比)
比 bǐ 삐V [※
<比=bǐ>는 <같다, 겨루다, 견주다, ~로 간주하다, 모방하다, 보다, 복제하다, 비교(比較)하다, 비기다, 비슷한 점을 이끌어내다, 비유하다, ~보다,
상응하다, 손짓을 해서 설명하다, ~에 비해,
~에 비할 수 있다, 흉내내다>라는 뜻의 '동사'이다.
또한
<경기 점수의 대비, 근래, 비(比), 비례, 비율, 최근>이라는
뜻의 '명사'이다.
예를 들어 <크기를 비교하다.=比大小。=bǐ dàxiǎo.=삐V 따↘샤오V>, <사람의 일생은 마치 무거운 짐을 짊어지고 먼 길을 가는 것과 같습니다.=人的一生好比负着重担走远路。=rén de yìshēng hǎobǐ fù zhuó zhòngdān zǒu yuǎn lù.=런↗ 더 이↘썽 ̄ 하오V삐V 푸↘ 주오↗ 쫑↘딴 ̄ 쪼우V 위앤V 루↘>, <말하면서 손짓을 합니다.=连说带比。=lián shuō dài bǐ.=리앤↗ 쑤오 ̄ 따이↘ 삐V>,
<반비례=反比=fǎnbǐ=판V삐V>, <근래=比来=bǐlái=삐V라이↗>]
- ~에야, 이제야,
겨우,
마침내, 막,
비로소, 재능, 재주, 재능이 있는 사람, 사람을 비방해서 하는 말
才 cái 차이↗ [※
<才=cái>는 문장 끝에 '了'가 붙지 않으며, 뒤에 오는 사건에 이르기까지 우여곡절이 있어서 <겨우, 마침내, 막, 비로소, 이제야,
~에야> 그렇게 되었다는 것을 나타내는 '부사'이다.
그리고 <재능, 재주, 재능이 있는 사람, 사람을 비방해서 하는 말>이라는 뜻의 '명사'이다.
예를 들어 <덕과 재주를 겸비하다=德才兼备=dé cái jiān bèi=더↗ 차이↗ 찌앤 ̄ 뻬이↘>, <유능한 사람 // 수완가=干才=gāncái=깐 ̄차이↗>, <노예 // 노복=奴才=núcái=누↗차이↗>
<才>는 또한 <강조의 어기를 나타내는데> 다음의 세 가지 경우가 있다.
① 才+형용사+呢: 정도가 강함을 강조한다.
② 才+不+동사+呢: 긍정문에서는 잘 쓰이지 않는다.
③ 才+(是): <다른 것은 그렇지 않다>라는 뜻을 내포하고 있다.
예를 들어: <이 추운 날 냉면을 먹는다고 하니, 저는 안 갈래요.=这么冷的天吃冷面,我才不去呢。=zhème lěng de tiān chī lěngmiàn,wǒ cái bú qù ne.=쩌↘머 렁V 더 티앤 ̄ 츠 ̄ 렁V미앤↘, 워V 차이↗ 부↗ 취↘ 너>]
- ~에
위치하다
位于 wèiyú 웨이↘위↗
- ~에
의거하여1, ~을 근거로 해서, ~에 따라,
의지하다,
의거하다, 기대다, 몸을 ~에 기대다, 증거
凭 píng 핑↗ [※
<凭=píng>은
<기대다, 몸을 ~에 기대다, 의거하다,
의지하다>라는
뜻의 '동사'이다.
그리고 <~을 근거로 해서, ~에 따라,
~에
의거하여>라는 뜻의 '개사'이다. 동의어로는 <依靠,根据>가 있으며 일반적으로 증거 서류, 증명서, 경험, 능력, 조건 등이 온다.
예를 들어 <그는 다년간의 경험으로 이것이 사기꾼이라고 생각합니다.=他凭多年的经验觉得这个是个骗子。=tā píng duōnián de jīngyàn juéde zhège shì gè piànzi.=타 ̄
핑↗
뚜오 ̄니앤↗
더 찡 ̄옌↘
쥐에↗더
쩌↘거
쓰↘
꺼↘
피앤↘쯔>,
<그는 개인의 노력으로 오늘의 성공을 거두었습니다.=他凭个人的努力获得了今天的成功。=tā píng gèrén de nǔlì huòdé le jīntiān de chénggōng.=타 ̄
핑↗
꺼↘런↗
더 누V리↘
후오↘더↗
러 찐 ̄티앤 ̄
더 청↗꽁 ̄>
또한
<증거>라는
듯의 '명사'이다
※
한자의 뜻으로 <귀신이
들리다, 기대다, 붙다, 의거하다, 전거로 삼다>라는 뜻이다.
<기댈 빙(凭=凴); 心-총16획>]
- ~에
의거하여2, ~에 따르면
据 jù 쮜↘ [※
<据=jù>는
<~에 따르면, ~에 의거하여>라는 뜻으로, <据…说>,
<据…看>등의
형식으로 자주 쓰인다.]
- ~에
의하여, ~때문에, 왜냐하면, ~때문이다
因为 yīnwèi 인 ̄웨이↘ [※
원인이나
이유를 나타내는 접속사 <因为>는
<왜냐하면,
~때문에, ~에 의하여, ~때문이다>라는
뜻으로, 원인이나 이유를 먼저
말할 경우에는 <~때문에,
~에 의하여>라는
뜻을 가지고 있다.
예를 들어 <오늘 병 때문에 나는 학교에 가지 않았다.=因为今天有病, 所以我没上学。=yīnwèi jīntiān yǒu bìng, suǒyǐ wǒ méi shàngxué=인 ̄웨이↘ 찐 ̄티앤 ̄ 요우V 삥↘, 쑤오V이V 워V 메이↗
쌍↘쉬에↗>
원인이나
이유를 나중에
말할 경우에는 <왜냐하면,
~때문이다>라는
뜻을 가지고 있다.
예를 들어 <우리들은 그에게 배워야 한다. 왜냐하면 그는 경험이 있기 때문이다.=我们要向他学习, 因为他有经验。=wǒmen yào xiàng tā xuéxí, yīnwèi tā yǒu jīngyàn.=워V먼 야오↘ 시앙↘ 타 ̄ 쉬에↗시↗, 인 ̄웨이↘ 타 ̄ 요우V 찡 ̄옌↘>]
- ~에 의해
~되다
被 bèi 뻬이↘ [※
<被>는
<~에 의해 ~되다>라는 뜻으로, 동사 뒤에 반드시 완성이나
결과를 나타내는 말이 제시된다. 부정은
<没>를
사용하며, 조동사나 부정부사, 부사는 <被>앞에
위치한다.
예를 들어 <요즘 애들은 나쁜 버릇이 들어서
조금도 예의를 갖출 줄 몰라요.=现在的孩子已经被惯坏了,一点儿也不懂礼貌。=xiànzài
de háizi yǐjīng bèi guàn huài
le,yìdiǎnr yě bù dǒng lǐmào.=시앤↘짜이↘
더 하이↗쯔 이V찡 ̄
뻬이↘
꾸안↘
화이↘
러, 이↘띠알V
예V
뿌↘
똥V
리V마오↘>]
- ~에 의해,
~에 따라
按照 ànzhào 안↘짜오↘
- ~에 의해 결정되다, ~에 있다,
~에 달려있다, 바로 ~이다, 마침
~이다
在于 zàiyú 짜위↘위↗ [※
<在于=zàiyú>는 <마침 ~이다, 바로 ~이다, ~에 달려있다, ~에 의해 결정되다, ~에 있다>라는 뜻의 '동사'이다.
예를 들어 <진정한 성공은 부를 얼마나 가졌느냐가 아니라 하루하루를 행복하게 사는 데 있습니다.=真正的成功不在于拥有多少财富,而在于幸福地度过每一天。=zhēnzhèng de chénggōng bú zàiyú yōngyǒu duōshǎo cáifù,ér zàiyú xìngfú de dùguò měi yìtiān.=쩐 ̄쩡↘ 더 청↗꽁 ̄ 부↗ 짜위↘위↗ 용 ̄요우V 뚜오 ̄사오V 차이↗푸↘, 얼↗ 짜위↘위↗ 씽↘푸↗ 더 두↘꾸오↘ 메이V 이↘티앤 ̄>, <가고 안 가고는 너 자신에 달려 있다=去不去在于你自己。=qù bú qù zàiyú nǐ zìjǐ=취↘ 부↗ 취↘ 짜위↘위↗ 니V 쯔↘지V>, <일년에 계획은 봄에 달려 있고, 하루의 계획은 새벽에 달려 있다=一年之计在于春,一日之计在于晨=yì nián zhī jì zàiyú chūn,yí rì zhī jì zàiyú chén=이↘ 니앤↗ 쯔 ̄ 찌↘ 짜위↘위↗ 춘 ̄, 이 르↘ 쯔 ̄ 찌↘ 짜위↘위↗ 천↗>]
- ~에
이롭다
利于 lì yú 리↘
위↗
- ~에 이르지 못하다, ~에 미치지 않다, ~까지는 안 된다
不至于 búzhìyú 부↗쯔↘위↗
- ~에
있다1, ~달려 있다, 문제삼다, 개의하다, 마음에
두다
在乎 zàihu 짜이↘후
- ~에 있다2,
~에 의해 결정되다, ~에 달려있다, 바로 ~이다, 마침
~이다
在于 zàiyú 짜위↘위↗ [※
<在于=zàiyú>는 <마침 ~이다, 바로 ~이다, ~에 달려있다, ~에 의해 결정되다, ~에 있다>라는 뜻의 '동사'이다.
예를 들어 <진정한 성공은 부를 얼마나 가졌느냐가 아니라 하루하루를 행복하게 사는 데 있습니다.=真正的成功不在于拥有多少财富,而在于幸福地度过每一天。=zhēnzhèng de chénggōng bú zàiyú yōngyǒu duōshǎo cáifù,ér zàiyú xìngfú de dùguò měi yìtiān.=쩐 ̄쩡↘ 더 청↗꽁 ̄ 부↗ 짜위↘위↗ 용 ̄요우V 뚜오 ̄사오V 차이↗푸↘, 얼↗ 짜위↘위↗ 씽↘푸↗ 더 두↘꾸오↘ 메이V 이↘티앤 ̄>, <가고 안 가고는 너 자신에 달려 있다=去不去在于你自己。=qù bú qù zàiyú nǐ zìjǐ=취↘ 부↗ 취↘ 짜위↘위↗ 니V 쯔↘지V>, <일년에 계획은 봄에 달려 있고, 하루의 계획은 새벽에 달려 있다=一年之计在于春,一日之计在于晨=yì nián zhī jì zàiyú chūn,yí rì zhī jì zàiyú chén=이↘ 니앤↗ 쯔 ̄ 찌↘ 짜위↘위↗ 춘 ̄, 이 르↘ 쯔 ̄ 찌↘ 짜위↘위↗ 천↗>]
- ~에 종사하다, 연구하다, 혼내다,
하다, 피우다, 꾸미다, 가지고 놀다, 골리다, 골탕을 먹이다, 공작하다,
다루다, 따끔한 맛을 보이다, 만들다,
부리다,
실시하다, 손보다, 시행하다, ~에 종사하다, 처리하다
搞 gǎo 까오V [※
<서로 다르다, 하다, 옆으로 칠 고(搞); 手-총13획>]
- ~에 지나지 않다, ~에 불과하다,
그런데, 그러나,
그러나 단지~,
이제
不过 búguò 부↗꾸오↘ [※
<不过=búguò>는 <~에 지나지 않다, ~에 불과하다>라는 뜻의 '부사'이다.
또한 <그런데, 그러나,
이제,
그러나 단지~>라는 뜻의 '접속사'이다. ‘但是, 可是’보다 어기가 약하다.
예를 들어 <그것은 변명에 불과합니다.=那不过是借口。=nà búguò shì jièkǒu.=나↘ 부↗꾸오↘ 쓰↘ 찌에↘코우V>, <그는 중국어를 비록 비교적 천천히 말하지만 발음은 매우 분명합니다.=他说中文虽然说得比较慢, 不过发音很清楚。=tā shuō zhōngwén suīrán shuō de bǐjiào màn, búguò fāyīn hěn qīngchǔ.=타 ̄ 쑤오 ̄ 쫑 ̄원↗ 쑤이 ̄란↗ 쑤오 ̄ 더 삐V쨔오↘ 만↘, 부↗꾸오↘ 파 ̄인 ̄ 헌V 칭 ̄추V>]
- ~열풍
风 fēng 펑 ̄
-
~오직
~만 있다,
~만 있다, ~해야만, 오직, 오로지, 만약 ~라면
只有 zhǐyǒu 즈V요우V [※
조건을
나타내는 접속사 <只有>는
단지 <~만 있다, ~오직 ~만 있다, ~해야만, 만약 ~라면>이라는 의미로,
부사로 쓰일 때는 <오직, 오로지>라는 뜻으로
부사 <只>에
동사 <有>가
결합한 형태이다. <只有>가
<才>와 함께 쓰이면 접속사 형태로 <오직 ~이어야만
~할 수 있다>라는 의미를 나타낸다.
예를 들어 <당신은
이렇게 해야만 문제를 해결할 수 있습니다.=你只有这样做才能解决问题。=nǐ
zhǐyǒu zhèyàng zuò cái néng
jiějué wèntí.=니V
즈V요우V
쩌↘양↘
쭈오↘
차이↗
넝↗
지에V쥐에↗
원↘티↗>]
- ~와
같다1
像
xiàng 씨앙↘ [※
<像>은
<~와 같다>는 뜻으로 열거된 항목의 앞에 쓰인다. 또한
다른 열거를 나타내는 단어와 함께 앞뒤로 호응하기도 한다.]
- ~와
같다2
跟
~ 一样 gēn
~ yíyàng 껀 ̄
~ 이↗양↘
- ~와 같다3, 그렇다
是 ~的 shì ~de 쓰↘
~더 [※
<是 ~的=shì ~de>는 <그렇다, ~와 같다>라는 강조용법으로 쓰인다. 회화에서는 종종 <是>를 생략해서 쓴다.
예를 들어 <중국인들이 춘절 즉 음력설을 어떻게 보내는지 아시나요?=你知道中国人是如何过春节的吗?=nǐ zhīdào zhōngguó rén shì rúhé guò chūnjié de ma?=니V 쯔 ̄따오↘ 쫑 ̄구오↗ 런↗ 쓰↘ 루↗허↗ 꾸오↘ 춘 ̄지에↗ 더 마?>, <이렇게 먼데, 당신은 어떻게 오셨습니까?=这么远,你是怎么来的?=zhème yuǎn,nǐ shì zěnme lái de?=쩌↘머 위앤V, 니V 쓰↘ 쩐V머 라이↗ 더?>, <그렇소, 바로 나요.=是的, 就是我。=shì de, jiùshì wǒ.=쓰↘ 더, 찌우↘쓰↘ 워V>]
- ~와(과),
또는
与 yǔ 위V
- ~와
마주하고서, ~을 향하여
对着
duìzhe 뚜이↘저
- ~와
비슷하다, 같다
跟 ~没有两样 gēn ~méiyǒu liǎngyàng 껀 ̄
~메이↗요우V
리앙V양↘ [※
<跟 ~没有两样=gēn ~méiyǒu liǎngyàng>은 <~와 비슷하다, 같다>라는 뜻으로 동의어로 <跟 ~差不多=gēn ~chābuduō>가 있다.
예를 들어 <이 식당의 집에서 만든 음식은 우리 어머니가 해준 것처럼 아주 맛있습니다.=这家餐厅的家常菜非常好吃,跟妈妈亲手做的没有两样。=zhèjiā cāntīng de jiāchángcài fēicháng hǎochī,gēn māma qīnshǒu zuò de méiyǒu liǎngyàng.=쩌↘찌아 ̄ 찬 ̄팅 ̄ 더 찌아 ̄창↗차이↘ 페이 ̄창↗ 하오V츠 ̄, 껀 ̄ 마 ̄마 친 ̄쏘우V 쭈오↘ 더 메이↗요우V
리앙V양↘>, <아직은 봄이지만 오늘 날씨는 여름과 다르지 않습니다.=虽然还是春天,但今天的天气跟夏天没有两样。=suīrán hái shì chūntiān,dàn jīntiān de tiānqì gēn xiàtiān méiyǒu liǎngyàng.=쑤이 ̄란↗ 하이↗ 쓰↘ 춘 ̄티앤 ̄, 딴↘ 찐 ̄티앤 ̄ 더 티앤 ̄치↘ 껀 ̄ 씨아↘티앤 ̄ 메이↗요우V
리앙V양↘>]
- ~외에, ~을
제외하고
除了 chúle 추↗러 [※
<除了=chúle>는 <~을 제외하고, ~외에> 등의 뜻을 나타내는 '개사'이다. 다양한 부사와 호응하여 여러 가지 뜻을 나타낸다.
예를 들어 <사과 외에도 저는 바나나를 좋아해요.=除了苹果,我还喜欢香蕉。=chúle píngguǒ,wǒ hái xǐhuan xiāngjiāo.=추↗러 핑↗구오V, 워V 하이↗ 시V후안 썅 ̄쨔오 ̄>, <이 문제 외에는 다른 모두가 좋아요.=除了这个问题,其他的都很好。=chúle zhège wèntí,qítā de dōu hěn hǎo=추↗러 쩌↘거 원↘티↗ 치↗타 ̄ 더 또우 ̄ 헌V 하오V>]
- ~위하여
为 wéi 웨이↗
- ~으로[써, 도구나 수단]
用 yòng 용↘
- ~으로 되다, ~이 되다
成为 chéngwéi 청↗웨이↗ [※
<成为=chéngwéi>는 <~으로 되다, ~이 되다>라는 뜻의 ‘동사’이다.
예를 들어 <모든 사람들의 이야깃거리가 되다=成为大家的话柄=chéngwéi dàjiā de huàbǐng.=청↗웨이↗ 따↘찌아 ̄ 더 후아↘삥V>]
- ~으로 말하면,
~에
대하여, ~에 관해서는, ~에
관하여, ~의 정도에 이르다, ~한 결과에 달하다, ~할 지경이다,
어느 정도에 까지 이르다, 도달하다, ~때에 이르러
至于 zhìyú 쯔↘위↗ [※
<至于=zhìyú>는 <~에 관하여, ~에 관해서는, ~에 대하여, ~으로 말하면>이라는 뜻으로 '개사'로 쓰여 <至于=zhìyú> 앞부분의 내용과 관련된 단문을 이끌어 낸다. 그리고 화제를 바꾸거나 제시할 때 쓰인다.
예를 들어 <우리가 문제를 해결해 줄 테니 식사 문제는 당신이 해결해야 합니다.=我们帮你解决问题,至于吃饭的问题就要你自己解决了。=wǒmen bāng nǐ jiějué wèntí,zhìyú chīfàn de wèntí jiù yào nǐ zìji jiějué le.=워V먼 빵 ̄ 니V 지에V쥐에↗ 원↘티↗, 쯔↘위↗ 츠 ̄판↘ 더 원↘티↗ 찌우↘ 야오↘ 니V 쯔↘지 지에V쥐에↗ 러>, <이번 회의의 날짜는 이미 해결되었고, 참가 인원에 대해서는 아직 확정되지 않았습니다.=这次会仪的日期已经解决了,至于参加的人员还没有确定。=zhècì huìyí de rìqī yǐjīng jiějué le,zhìyú cānjiā de rényuán hái méiyǒu quèdìng.=쩌↘츠↘ 후이↘이↗ 더 르↘치 ̄ 이V찡 ̄ 지에V쥐에↗ 러, 쯔↘위↗ 찬 ̄찌아 ̄ 더 런↗위앤↗ 하이↗ 메이↗요우V 취에↘띵↘>, <화초 재배에 관해서는 그가 전문가입니다.=至于种花, 他是内行。=zhìyú zhònghuā, tā shì nèiháng.=쯔↘위↗ 쫑↘후아 ̄, 타 ̄ 쓰↘ 네이↘항↗>
또한 <~의 정도에 이르다, ~한 결과에 달하다, ~할 지경이다,
어느 정도에 까지 이르다, 도달하다,>라는 뜻의 '동사'이다. 어느 정도에 이르렀음을 나타내며 '부정문'이나 '반어문'에 쓰인다. 그리고 앞에 <‘才’·‘还’·‘总’·‘该’>를 동반하는 경우가 많다.
예를 들어 <그가 모를 정도는 아닙니다.=他不至于不知道。=tā bù
zhìyú bù zhīdào.=타 ̄ 뿌↘ 쯔↘위↗ 뿌↘ 쯔 ̄따오↘>
그리고 <~때에 이르러>라는 뜻의 '접속사'이다.
예를 들어 <아Q가 여섯 자 가량 나가떨어지고서야 만족하여 돌아갔습니다.=至于阿Q跌出六尺多远, 这才满足地去了。=zhìyú āQ diēchū liùchǐ duō yuǎn, zhè cái mǎnzú de qù le.=쯔↘위↗ 아 ̄큐 띠에 ̄추 ̄ 리우↘츠V 뚜오 ̄ 위앤V, 쩌↘ 차이↗ 만V쭈↗ 더 취↘ 러>]
- ~으로
바뀌다
过来
guòlái 꾸오↘라이↗ [※
<过来>는
동사 뒤에 쓰여 비정상 상태에서 정상 상태로 돌아온다는 의미를
나타낸다. 여기서는 나쁜 습관을 고쳐서 정상 혹은 원래의 상태가
된다는 듯이다.
예를
들어 <혼수 상태에서 깨어나다.=醒过来。=xǐng
guòlái.=싱V
꾸오↘라이↗>,
<이해가 되다.=明白过来。=míngbai
guòlái.=밍↗바이
꾸오↘라이↗>]
- ~은
말할 것도 없고 ~도
~不说,还~ ~bù shuō,
hái~ ~뿌↘
쑤오 ̄, 하이↗~ [※
<~不说,还~=~bù shuō,hái~>는 <~은 말할 것도 없고 ~도>라는 뜻이다. 동의어로 <除了~,还~>,<不但~,而且~>가 있다. 두 개의 단문을 연결하며 앞문장의 상황 외에 뒷문장의 상황도 존재함을 나타내며, 뒷문장을 더욱 더 강조한다.
예를 들어 <그의 아내는 집에서 매일 많은 집안일을 해야 하는 것은 물론 또한 시부모님을 돌보아야 하는데 이는 매우 힘든일입니다.=他的妻子在家每天要做很多家务不说,还要照顾公婆的生活,很辛苦。=tā de qīzi zàijiā měitiān yào zuò hěnduō jiāwù bù shuō,háiyào zhàogù gōngpó de shēnghuó,hěn xīnkǔ.=타 ̄ 더 치 ̄쯔 짜이↘찌아 ̄ 메이V티앤 ̄ 야오↘ 쭈오↘ 헌V뚜오 ̄ 찌아 ̄우↘ 뿌↘
쑤오 ̄, 하이↗야오↘ 짜오↘꾸↘ 꽁 ̄포↗ 더 썽 ̄후오↗, 헌V 씬 ̄쿠V>, <외국어를 잘하려면 더 많이 듣고 더 많이 읽고 말할 수 있는 기회를 찾아야 합니다.=要想学好一门外语,多听多读不说,还应该找机会多说。=yào xiǎng xué hǎo yìmén wàiyǔ,duō tīng duō dú bù shuō,hái yīnggāi zhǎo jīhuì duō shuō.=야오↘ 시앙V 쉬에↗ 하오V 이↘먼↗ 와이↘위V, 뚜오 ̄ 팅 ̄ 뚜오 ̄ 두↗ 뿌↘
쑤오 ̄, 하이↗ 잉 ̄까이 ̄ 자오V 찌 ̄후이↘ 뚜오 ̄ 쑤오 ̄>]
- ~을 가지고 말해 보다, ~에
대하여 말하다
拿 ~来说 ná ~lái shuō 나↗
~라이↗ 쑤오 ̄
- ~을 견지로 삼다, ~을 출발점으로 삼다,
출발,
출발하다
出发 chūfā 추 ̄파 ̄
- ~을 권하다,
양보하다, 옆으로 피하다, 안내하다, ~를 권하다, 비키다, 사양(辭讓)하다
让
ràng 랑↘ [※ <让=ràng>은 <~를 권하다, 비키다, 사양(辭讓)하다, 양보하다, 옆으로 피하다, ~을 권하다, 안내하다>라는 뜻의 '동사'이다.
예를 들어 <사양하다 // 양보하다 // 뒤로 물러나 길을 터주다=退让=tuìràng=투이↘랑↘>, <지나가도록 길을 내주다=让出一条路来=ràng chū yì tiáo lù lái=랑↘ 추 ̄ 이↘ 탸오↗ 루↘ 라이↗>, <차를 권하다=让茶=ràng chá=랑↘ 차↗>
※ <사양할 양(让=讓); 言-총5획>]
- ~을 근거로 해서, ~에 따라,
~에
의거하여, 의지하다,
의거하다, 기대다, 몸을 ~에 기대다, 증거
凭 píng 핑↗ [※
<凭=píng>은
<기대다, 몸을 ~에 기대다, 의거하다,
의지하다>라는
뜻의 '동사'이다.
그리고 <~을 근거로 해서, ~에 따라,
~에
의거하여>라는 뜻의 '개사'이다. 동의어로는 <依靠,根据>가 있으며 일반적으로 증거 서류, 증명서, 경험, 능력, 조건 등이 온다.
예를 들어 <그는 다년간의 경험으로 이것이 사기꾼이라고 생각합니다.=他凭多年的经验觉得这个是个骗子。=tā píng duōnián de jīngyàn juéde zhège shì gè piànzi.=타 ̄
핑↗
뚜오 ̄니앤↗
더 찡 ̄옌↘
쥐에↗더
쩌↘거
쓰↘
꺼↘
피앤↘쯔>,
<그는 개인의 노력으로 오늘의 성공을 거두었습니다.=他凭个人的努力获得了今天的成功。=tā píng gèrén de nǔlì huòdé le jīntiān de chénggōng.=타 ̄
핑↗
꺼↘런↗
더 누V리↘
후오↘더↗
러 찐 ̄티앤 ̄
더 청↗꽁 ̄>
또한
<증거>라는
듯의 '명사'이다
※
한자의 뜻으로 <귀신이
들리다, 기대다, 붙다, 의거하다, 전거로 삼다>라는 뜻이다.
<기댈 빙(凭=凴); 心-총16획>]
- ~을[를]
권하다, 안내하다, 양보하다, 옆으로 피하다, 비키다, 사양하다
让
ràng 랑↘ [※
동사로
쓰여 <양보하다, 사양하다, 옆으로 피하다, 비키다, ~을[를]
권하다, 안내하다>라는 뜻]
- ~을
기한으로 하다
为期 wéiqī 웨이↗치 ̄ [※
<为期=wéiqī>는 <~을 기한으로 하다>라는 뜻의 '동사'이다.
예를 들어 <2008 베이징 올림픽은 16일간 열립니다.=2008北京奥运会为期16天。=èr líng líng bā běijīng àoyùnhuì wéi qī shíliù tiān.=얼↘
링↗
링↗
빠 ̄ 뻬이V찡 ̄ 아오↘윈↘후이↘ 웨이↗치 ̄ 스↗리우↘ 티앤 ̄>,
<일년 기한의 무역 협정.=为期一年的贸易协定。=wéiqī yì nián de màoyì xiédìng.=웨이↗치 ̄ 이↘ 니앤↗ 더 마오↘이↘ 시에↗띵↘>,
<샤오왕은 입사 후 보름 동안 교육을 받아야 합니다.=小王进入公司以后,要进行为期半个月的培训。=xiǎowáng jìnrù gōngsī yǐhòu,yào jìnxíng wéiqī bàn gè yuè de péixùn.=샤오V왕↗ 찐↘루↘ 꽁 ̄쓰 ̄ 이V호우↘, 야오↘ 찐↘싱↗ 웨이↗치 ̄ 빤↘ 꺼↘ 위에↘ 더 페이↗쒼↘>]
- ~을
끌고[행동의 당사자가 본인의 의지보다는 타인에 의해 행동하게
됨을 의미함]
拉着 lāzhe 라 ̄저
- ~을
당하다, ~을 받다, 고생스럽게 보내다, 견디다, 연기하다, 시간을 끌다, 늦추다, 꾸물거리다,
순서를 따르다, 순번을 좇다, 가까이 가다, 접근하다, 착 들러붙다, 기대다
挨
ái 아이↗ [※
<挨=ái>는 성조가 2성이면 <~을 당하다, ~을 받다, 고생스럽게 보내다, 견디다, 연기하다, 시간을 끌다, 늦추다, 꾸물거리다>라는 '동사'이다.
또한 <挨=āi>는
성조가 1성이면 <순서를 따르다, 순번을 좇다, 가까이 가다, 접근하다, 착 들러붙다, 기대다>라는 뜻의 '동사'이다.
예를 들어 <빨리 노래를 불러요, 시간을 끌지 말고.=快唱吧, 不要挨时间了。=kuài chàng ba, búyào ái shíjiān le.=콰이↘ 창↘ 바, 부↗야오↘ 아이↗ 스↗찌앤 ̄ 러>, <집집마다 방문합니다.=挨家访问。=āijiā fǎngwèn.=아이 ̄찌아 ̄ 팡V원↘>, <문 바로 옆에 서 있습니다.=挨门立着。=āimén lì zhe.=아이 ̄먼↗ 리↘ 저>]
- ~을
막론하고1, ~에 관계없이
不管 bùguǎn 뿌↘꾸안V
- ~을
막론하고, ~라 할 것 없이, 편하게, 제멋대로,
마음대로
随便 suíbiàn 쑤이↗삐앤↘ [※
'随便=suíbiàn'은 <마음대로 하다, 좋을대로 하다, 형편대로 하다, 무책임하다, 부주의하다, 함부로 하다, 제멋대로 하다, ~을 막론하고, ~라 할 것 없이, 편하게, 마음대로, 좋을대로, 자유로이, 함부로, 제멋대로>라는 뜻이 있다.]
- ~을 면할 수 없다, 아무래도, 아무래도 ~이다, 어쩔 수 없다, 좀 ~하다,
꼭 ~하다, 불가피하게 ~하다
未免 wèimiǎn 웨이↘미앤V [※
<未免=wèimiǎn>은 <꼭 ~하다, 불가피하게 ~하다, 아무래도, 아무래도 ~이다, 어쩔 수 없다, ~을 면할 수 없다, 좀 ~하다>라는 뜻의 '부사'이다.
예를 들어 <아무래도 너는 걱정이 좀 지나친 것 같습니다.=你的顾虑未免多了些。=nǐ de gùlǜ wèimiǎn duō le xiē.=니V 더 꾸↘뤼↘ 웨이↘미앤V 뚜오 ̄ 러 씨에 ̄>, <두 사람은 성미가 나빠서 싸움을 할 수 밖에 없습니다.=两人脾气都不好, 未免就要争吵。=liǎng rén píqì dōu bù hǎo, wèimiǎn jiù yào zhēngchǎo.=리앙V 런↗ 피↗치↘ 또우 ̄ 뿌↘ 하오V, 웨이↘미앤V 찌우↘ 야오↘ 쩡 ̄차오V>]
- ~을 바라지 않다, 희망이 없다
不指望 bù zhǐwàng 뿌↘
즈V왕↘ [※
<不指望=bù zhǐwàng>은 <指望=zhǐwàng>은 동사로 <기대하다, 희망하다, 바라다>라는 뜻이다. 부정어 <不> 혹은 <没>와 함께 쓰여 <희망이 없다, ~을 바라지 않다>라는 뜻이 된다.
예를 들어 <그녀는 좋은 남자를 만나서 행복한 삶을 살 수 있기를 바랍니다.=她指望着能遇到一个好男人,过上幸福的生活。=tā zhǐwàng zhe néng yùdào yíge hǎo nánren,guò shàng xìngfú de shēnghuó.=타 ̄ 즈V왕↘ 저 넝↗ 위↘따오↘ 이↗거 하오V 난↗런, 꾸오↘ 쌍↘ 씽↘푸↗ 더 썽 ̄후오↗>, <중국 축구는 희망이 없습니다.=中国足球是没指望了。=zhōngguó zúqiú shì méi zhǐwàng le.=쫑 ̄구오↗ 주↗치우↗ 쓰↘ 메이↗ 즈V왕↘ 러>]
- ~을 받다,
고생스럽게 보내다, 견디다, 연기하다, 시간을 끌다, 늦추다, 꾸물거리다,
~을
당하다, 순서를 따르다, 순번을 좇다, 가까이 가다, 접근하다, 착 들러붙다, 기대다
挨
ái 아이↗ [※
<挨=ái>는 성조가 2성이면 <~을 당하다, ~을 받다, 고생스럽게 보내다, 견디다, 연기하다, 시간을 끌다, 늦추다, 꾸물거리다>라는 '동사'이다.
또한 <挨=āi>는
성조가 1성이면 <순서를 따르다, 순번을 좇다, 가까이 가다, 접근하다, 착 들러붙다, 기대다>라는 뜻의 '동사'이다.
예를 들어 <빨리 노래를 불러요, 시간을 끌지 말고.=快唱吧, 不要挨时间了。=kuài chàng ba, búyào ái shíjiān le.=콰이↘ 창↘ 바, 부↗야오↘ 아이↗ 스↗찌앤 ̄ 러>, <집집마다 방문합니다.=挨家访问。=āijiā fǎngwèn.=아이 ̄찌아 ̄ 팡V원↘>, <문 바로 옆에 서 있습니다.=挨门立着。=āimén lì zhe.=아이 ̄먼↗ 리↘ 저>]
- ~을
방에 두었다
我把+목적어+落在房间里了 wǒ
bǎ+목적어+là zài fángjiān lǐ le 워V
바V+목적어+라↘
짜이↘
팡↗찌앤 ̄
리V 러 [※
예를
들어 <나는 열쇠를 방 안에 두고 나왔어요.=我把钥匙落在房间里了。=wǒ
bǎ yàoshi là zài fángjiān lǐ
le.=워V
바V 야오↘스
라↘
짜이↘
팡↗찌앤 ̄
리V 러>]
- ~을
아주 잘한다, ~을 할 줄 안다, ~할 수 있다
会 huì 후이↘ [※
<会>는
<학습에 의해 ~을 할 줄 안다>라는 뜻이 있고, 또한 <어떤
일에 뛰어난 능력이 있어 ~을 아주 잘한다>라고 할 때도
쓸 수 있다.]
- ~을 위하여,
~ 때문에, ~을 위해서
为了 wèi le 웨이↘
러
- ~을 위해서1,
~때문에, ~를 위하여, 쇠퇴하다, 대신해주다, 대신하다
替 tì 티↘ [※ <替=tì>는 <대신하다, 대신해주다, 쇠퇴하다>라는 뜻의 ‘동사’이다.
그리고 <~때문에, ~를 위하여, ~을 위해서>라는 뜻의 ‘개사’이다.]
- ~을 위해서2,
~ 때문에, ~을 위하여
为了 wèi le 웨이↘
러
- ~을
이룰 수 없다, ~할 수 없다
谈不成 tánbù
chéng 탄↗뿌↘
청↗ [※
예를
들어 <내일 비가
온다고요? 그럼 우리는 갈 수 없겠네요.=明天要下雨?
那我们去不成了。=míngtiān yào xiàyǔ? nà
wǒmen qù bù chéng le.=밍↗티앤 ̄
야오↘
씨아↘위V?
나↘
워V먼
취↘
뿌↘
청↗
러>]
- ~을
제외하고, ~외에
除了 chúle 추↗러 [※
<除了=chúle>는 <~을 제외하고, ~외에> 등의 뜻을 나타내는 '개사'이다. 다양한 부사와 호응하여 여러 가지 뜻을 나타낸다.
예를 들어 <사과 외에도 저는 바나나를 좋아해요.=除了苹果,我还喜欢香蕉。=chúle píngguǒ,wǒ hái xǐhuan xiāngjiāo.=추↗러 핑↗구오V, 워V 하이↗ 시V후안 썅 ̄쨔오 ̄>, <이 문제 외에는 다른 모두가 좋아요.=除了这个问题,其他的都很好。=chúle zhège wèntí,qítā de dōu hěn hǎo=추↗러 쩌↘거 원↘티↗ 치↗타 ̄ 더 또우 ̄ 헌V 하오V>]
- ~을
주다,
~되다
予以 yǔyǐ 위V이V
- ~을 출발점으로 삼다,
~을 견지로 삼다, 출발,
출발하다
出发 chūfā 추 ̄파 ̄
- ~을
통해,
~를 통해, 건너가다,
지나가다
通过 tōngguò 통 ̄꾸오↘
- ~을
틈타, 이용하여[시간, 때, 기회 등을], 타다, 소유하다, 쫓아가다,
모이다[어떤 목적으로]
趁 chèn 천↘ [※
쫓을 진(趁), 쫓을 년(趁), 쫓을 연(趁), 달릴주(走) 부수, 총 12획]
- ~을
틈타2, 이용하여[시간, 때, 기회 등을], 타다, 소유하다, 쫓아가다,
모이다[어떤 목적으로]
趁着 chènzhe 천↘저
- ~을 하기
위하여[목적을 나타냄], ~를 위하여, ~을 위해서
为了 wèile 웨이↘러
- ~을 하지 마라, 이별하다, 헤어지다, 돌리다, 변하다,
별개의, 다른, 딴, 별도의
别 bié 비에↗ [※
<别=bié>는 <~을 하지 마라, 이별하다, 헤어지다, 돌리다, 변하다>라는 뜻의 '동사'이다.
또한 <별개의, 다른, 딴, 별도의>라는 뜻의 '형용사'이다.
예를 들어 <그 여자는 머리를 돌렸습니다.=她把头别了过去。=tā bǎ tóubié le guòqù.=타 ̄ 바V 토우↗비에↗ 러 꾸오↘취↘>, <다른 사람=别人=biéren=비에↗런>]
- ~을 향하여1,
~와
마주하고서
对着
duìzhe 뚜이↘저
- ~을 향하여2, ~로,
~을 향하여 가다,
목적지를 향하여 곧장 나아가다, 나이가[40세, 50세 등에] 가까워지다,
나아가다[뒤에 나이를 붙일 경우, 어떤 연령에 가까워진다는 뜻을 갖음], 곧장
가다, 내달리다, 달아나다, 도망치다, 빨리 달리다, 질주하다,
급히 가다
奔 bēn 뻔 ̄ [※
성조가 4성인 <奔=bèn>은 1-<곧장 가다, 나아가다[뒤에 나이를 붙일 경우, 어떤 연령에 가까워진다는 뜻을 갖음], 나이가[40세, 50세 등에] 가까워지다,
목적지를 향하여 곧장 나아가다, ~을 향하여 가다>라는 뜻의 '동사'이다.
예를 들어 <곧 서른 살이되다.=奔三。=bènsān.=뻔↘싼 ̄>, <~을 향해 나아가다.=奔着 ~去。=bènzhe ~qù=뻔↘저 ~취↘>, <각자 전도(前途)를 향해 매진하다.=各奔前程。=gèbēn qiánchéng.=꺼↘뻔 ̄ 치앤↗청↗>, <그는 60세에 가까워 가고 있습니다.=他是奔六十的人了。=tā shì bèn liùshí de rén le.=타 ̄ 쓰↘ 뻔↘ 리우↘스↗ 더 런↗ 러>
※ 성조가 1성인 <奔=bēn>은 2-<~을 향하여, ~로>라는 뜻의 '개사'이다.
예를 들어 <어선이 어장을 향하여 출항하다.=渔轮奔鱼场开去。=yúlún bēn yúchǎng kāi qù.=위↗룬↗ 뻔 ̄ 위↗창V 카이 ̄ 취↘>
※ 성조가 1성인 <奔=bēn>은 3-<급히 가다, 내달리다, 달아나다, 도망치다, 빨리 달리다, 질주하다>라는 뜻의 '동사'이다.
예를 들어 <황급하게 뛰어가다.=拔腿狂奔。=bátuǐ kuángbēn.=바↗투이V 쿠앙↗뻔 ̄>, <경황없이 도망치다.=奔窜。=bēn cuàn.=뻔 ̄ 추안↘>, <먼 곳에서 부모가 돌아가신 소식을 듣고 급히 집으로 돌아가다.=回家奔丧。=huíjiā bēn sàng.=후이↗찌아 ̄ 뻔 ̄ 쌍↘>]
- ~을 향하여 가다,
목적지를 향하여 곧장 나아가다, 나이가[40세, 50세 등에] 가까워지다,
나아가다[뒤에 나이를 붙일 경우, 어떤 연령에 가까워진다는 뜻을 갖음], 곧장
가다, 내달리다, 달아나다, 도망치다, 빨리 달리다, 질주하다,
급히 가다, ~을 향하여, ~로
奔 bèn 뻔↘ [※
성조가 4성인 <奔=bèn>은 1-<곧장 가다, 나아가다[뒤에 나이를 붙일 경우, 어떤 연령에 가까워진다는 뜻을 갖음], 나이가[40세, 50세 등에] 가까워지다,
목적지를 향하여 곧장 나아가다, ~을 향하여 가다>라는 뜻의 '동사'이다.
예를 들어 <곧 서른 살이되다.=奔三。=bènsān.=뻔↘싼 ̄>, <~을 향해 나아가다.=奔着 ~去。=bènzhe ~qù=뻔↘저 ~취↘>, <각자 전도(前途)를 향해 매진하다.=各奔前程。=gèbēn qiánchéng.=꺼↘뻔 ̄ 치앤↗청↗>, <그는 60세에 가까워 가고 있습니다.=他是奔六十的人了。=tā shì bèn liùshí de rén le.=타 ̄ 쓰↘ 뻔↘ 리우↘스↗ 더 런↗ 러>
※ 성조가 1성인 <奔=bēn>은 2-<~을 향하여, ~로>라는 뜻의 '개사'이다.
예를 들어 <어선이 어장을 향하여 출항하다.=渔轮奔鱼场开去。=yúlún bēn yúchǎng kāi qù.=위↗룬↗ 뻔 ̄ 위↗창V 카이 ̄ 취↘>
※ 성조가 1성인 <奔=bēn>은 3-<급히 가다, 내달리다, 달아나다, 도망치다, 빨리 달리다, 질주하다>라는 뜻의 '동사'이다.
예를 들어 <황급하게 뛰어가다.=拔腿狂奔。=bátuǐ kuángbēn.=바↗투이V 쿠앙↗뻔 ̄>, <경황없이 도망치다.=奔窜。=bēn cuàn.=뻔 ̄ 추안↘>, <먼 곳에서 부모가 돌아가신 소식을 듣고 급히 집으로 돌아가다.=回家奔丧。=huíjiā bēn sàng.=후이↗찌아 ̄ 뻔 ̄ 쌍↘>]
- ~을 향하여 던지다, 자르다,
줄이다, 찍다, 취소하다, 팔매질하다, 패다,
감소하다, 던지다, 도끼 따위로 찍다, 베다
砍 kǎn 칸V [※
<砍=kǎn>은 <감소하다, 던지다, 도끼 따위로 찍다, 베다,
~을 향하여 던지다, 자르다, 줄이다, 찍다, 취소하다, 팔매질하다, 패다>라는 뜻의 '동사'이다.
예를 들어 <장작을 패다=砍柴=kǎn
chái=칸V 차이↗>, <값을 깎다=砍价=kǎn jià=칸V 찌아↘>, <벽돌을 개에게 던지다=拿砖头砍狗=ná zhuāntóu kǎn gǒu=나↗ 쭈안 ̄토우↗ 칸V 꼬우V>
※ <베다, 자르다, 벨 감(砍); 石-총9획>]
- ~을
향해, ~쪽으로
往 wăng 왕V
- ~의,
~한, ~하는
的 dė 더 [●
참조: 1-<"중국어 함정 228"-247면>: <<的, 地, 得의 구별:
※ 그는 매우 빨리 달립니다.=他跑的很快。[X] ※ 그는 천천히 교실로 걸어 들어갔습니다.=他慢慢儿的走进教室。[X] 일반적으로 “的”, “地”, “得”의 구별은 다음과 같다.
첫째,
목적어+的+명사
┗→→→→↑ "的"는
한정어를 이끄는 말이다.
① 이것은 그의 책입니다.=这是他的书。=zhè shì tā de shū.=쩌↘ 쓰↘ 타 ̄ 더 쑤 ̄ ②
그 키가 크고 뚱뚱한 사람은 우리의 영어 선생님입니다.=那个又高又胖的人是我们的英语老师。=nàge yòu gāo yòu pàng de rén shì wǒmen de yīngyǔ lǎoshī.=나거 요우 까오 요우 팡 더 런 쓰 워먼 더 잉위 라오쓰 ③
서안으로 가는 여행객이 매우 많습니다.=去西安的游客很多。=qù xīān de yóukè hěnduō.=취 씨엔 더 요우커 헌뚜오 ④
그는 매우 듣기 좋은 중국 이름을 가지고 있습니다.=他有一个很好听的中国名字。=tā yǒu yíge hěn hǎotīng de zhōngguó míngzì.=타 요우 이거 헌 하오팅 더 쫑구오 밍쯔
둘째,
상황어+的+동사
┗→→→→↑ "地"는
한정어를 이끄는 말이다.
⑤ 그는 천천히 교실로 걸어 들어갔습니다.=他慢慢儿地走进教室。=tā mànmànr de zǒu jìn jiàoshì.=타 ̄ 만↘말↘ 더 쪼우V 찐↘ 쨔오↘쓰↘ ⑥
그는 큰소리로 저에게 말했습니다:……=他大声地对我说:……=tā dàshēng de duì wǒ shuō:……=타 따썽 더 뚜이 워 쑤오:…… ⑦
모두들 즐겁게 하루를 놀았습니다.=大家高高兴兴地玩了一天。=dàjiā gāogāoxīngxīng de wán le yìtiān.=따찌아 까오까오씽씽 더 완 러 이티엔
셋째,
동사
/ 형용사+的+보어
↑←←←←←←┛ "得"는
보어 앞에 놓이며, 보어를 이끄는 말이다.
⑧ 우리는 방을 깨끗하게 청소했습니다.=我们把房间打扫得干干净净。=wǒmen bǎ fángjiān dǎsǎo de gāngānjìngjìng.=워V먼 바V 팡↗찌엔 ̄ 다V싸오V 더 깐 ̄깐 ̄찡↘찡↘ ⑨
그는 감격하여 하마터면 울 뻔했습니다.=他激动得差点儿哭了。=tā jīdòng de chàdiǎnr kū le.=타 ̄ 찌 ̄똥↘ 더 차↘디알V 쿠 ̄ 러 ⑩
그는 매우 빨리 달립니다.=他跑得很快。=tā pǎo de hěnkuài.=타 ̄ 파오V 더↗ 헌V콰이↘ ⑪
그는 책을 읽느라고 밥 먹는 것도 잊었습니다.=他看书看得连饭也忘了吃。=tā kàn shū kàn de lián
fàn yě wàng le chī.=타 ̄ 칸↘ 쑤 ̄ 칸↘ 더 리엔↗
판↘ 예V 왕↘ 러 츠 ̄>>
2-<조사
자료>: <<<的=de=더,
地=de=더, 得=de=더, 得=dei=데이>의
쓰임새는 4가지가 있다.
1, <的=de=더:
형용사+的+명사>는
<美丽的花=아름다운 꽃>으로 <~의, ~한>의
뜻으로 1음절 형용사와 결합하여 명사를 꾸며줄 수 없다.
2,
<地=de=더: 형용사+地+동사>는
<努力地工作=열심히 일하다>로 <뒤의 동사를 꾸며주며
회화에서는 생략하는 경우가 많다.> 1음절 형용사와는 같이
사용할 수 없다.
3, <得=de=더:
동사/형용사+得+형용사/구(문장)>은
<해석: 동사하는 정도가 형용사 하다>로서 <看得认真=열심히
읽다>, <長得好看=잘 생기다>, <美得很=아주 아름답다>
4,
<得=děi=데이: 得+동사
형태로 반드시 ~해야 한다>는
뜻이다. 이것은 <‘必须,需要’>와
유사한 뜻을 가진다. 부정형은 <‘不用,不必’>라고
써야 한다. 동사로
쓰일 경우 반드시 읽을 때 <得=děi=데이>로 읽어야 한다.
예를 들어 <오늘
너무 피곤하다. 나 좀 쉬어야겠어.=今天太累, 我得休息一会儿。=jīntiān
tài lèi, wǒ děi xiūxi yíhuìr.=찐 ̄티앤 ̄
타이↘
레이↘,
워V
데이V
씨우 ̄시
이↗후얼↘>
※
참조: <的+地+得>의 차이점은 <1-的+뒤에 명사가 온다. 2-地+뒤에 동사가 온다. 3-得+뒤에 형용사가 온다.>
예를 들어, 1-<的+명사(의)>로 <그는 나의 친구이다.=他是我的朋友。>, 2-<地+동사>로 <천천히 당신이 좋아.=慢慢地喜欢你。>, 3-<得+형용사>로 <그는 너무 잘생겼다.=他长得很帅。>
◆
참조: <的+地+得>의 또 다른 발음의 차이점은 <1-的+명사: 2성=的确=díquè=디↗취에↘, 그녀는 확실히 예뻐요.=她的确很漂亮。, 4성=目的=무↘띠↘, 당신의 목적은 무엇입니까?=你的目的是什么?, 1성=택시=的士=dīshì=띠 ̄쓰↘>, <2-地+동: 4성=땅=地=dì=띠↘, 예) 지방=地方, 지구=地球>, <3-得+형용사/정도보어: 2성=얻다/손에 넣다/획득하다=得到=dédào=더↗따오↘, 일등을 차지하다=获得第一=huòdé dìyī> <4-3성: 무엇을 해야 한다=得=děi=데이V, '要=yào'와 같은 개념으로 쓰인다. 예) 나는 숙제를 해야 한다=我得写作业了。=wǒ děi xiě zuòyè le.>
3-<NAVER 블로그-★_짤배중_★>: <<중국어 조사 “的 [de], 地 [de], 得 [de]” 총 정리:
▶ 중국어 "的[de],地[de],得[de]" , 일명 <더더더> 구조조사는 문장을 꾸며주는 뼈대를 잡는 아주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발음도 같고 쓰임새가 혼동될 때도 많아서 중국인들도 자주 '오타(?)를 내는 단어이기도 해요. 말할 때는 발음이 같으니 전혀 상관없겠지만 : ) , 문자로 작성할 때 항상 쓰이는 조사가 계속 잘못 쓰이는 것도 좋지 않겠죠?
자, 그럼 저의 제자님들은 차이점을 정.확.히. 알고 가시는걸로 ~!
的[de],地[de],得[de]
1. 的[de]
: 중국어로 白,勺[bái, sháo] ‘的’ 라고 구별합니다.
사람과 사물 등을 칭하는 모든 주어나 목적어, 즉 명사를 꾸며주는 '관형어' 입니다.
'~의, ~한' 으로 해석됩니다.
이것은 나의 휴대폰이다.=这是我的手机。=zhè shì wǒ de shǒujī.
[단어]
1) 이(것)=这=zhè: (지시대명사) 2) 그래요, 네, 맞다, 옳다, ~이다=是=shì: (동사) 3) 핸드폰, 휴대폰=手机=shǒujī: (명사)
ex2) 【관형어的+주어(명사)+술어(형용사)】
상해의 야경은 아름답다.=上海的夜景很美。=shànghǎi de yèjǐng hěn měi.
[단어]
1) 야경=夜景=yèjǐng: (명사) 2) 아름답다, 예쁘다=美=měi: (형용사)
ex3) 【관형어的+주어(명사)+술어(동사)+관형어的+목적어(명사)】
나의 (남)동생은 그가 원하는 컴퓨터 한 대를 구입했다.=我的弟弟买了他想要的一台电脑。=wǒ de dìdì mǎi le tā xiǎng yào de yì tái diànnǎo.
[단어]
1) 남동생=弟弟=dìdi: (명사) 2) 구매하다, 구입하다, 사다=买=mǎi: (동사) 3) 술어의 완료=了=le: (조사) 4) 원하다, ~하려고 하다=想要=xiǎngyào: (동사) 5) TV, 카메라 등을 세는 양사=台=tái: (양사) 6) 컴퓨터=电脑=diànnǎo: (명사)
※ 1음절 형용사가 명사를 꾸며주는 경우 的를 사용하지 않습니다.
ex) 빨간 사과 ▼
1-빨간 사과=红苹果=hóng píngguǒ=(O) 2-빨간 사과=红的苹果=hóng de píngguǒ=(X)
2. 地[de]
: 중국어로 土, 也[tǔ, yě] ‘地’ 라고 구별합니다.
동작의 행위, 즉 동사를 (앞에서) 꾸며주는 '부사어' 입니다. 회화체의 경우 地를 생략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ex)【주어(명사)+부사어地+술어(동사)+목적어(명사)】
그는 천천히 걷는다.=他慢慢地走路。=tā mànman de zǒulù.
[단어]
1) 느리다, 천천히=慢慢=mànman: (형용사) 2) 걷다[수단으로서의]=走路=zǒulù: (동사)
3. 得[de]
: 중국어로 双人[shuāngrén] ‘得’ 라고 구별합니다.
동사 뒤에 사용하여 동사가 어떠한지 꾸며주는 역할을 합니다. 得뒤에는 '형용사'나 '구'가 나옵니다.
'동사하는 정도가 형용사 하다' 로 해석됩니다.
ex1)【주어(명사)+술어(동사)+보어得+형용사】
그는 매우 빨리 말한다.=他说得很快。=tā shuō de hěn kuài.
[단어]
1) 말하다, 이야기하다=说=shuō: (동사) 2) 빠르다, 빠른=快=kuài: (형용사)
ex2)【주어(명사)+술어(동사)+得+구(문장)】
나는 요즘 밥 먹을 시간없이 바쁘다.=我最近忙得没有时间吃饭。=tā shuō de hěn kuài.
[단어]
1) 요즘, 최근=最近=zuìjìn: (명사) 2) 바쁘다=忙=máng: (형용사) 3) 가지고 있지 않다, 없다=没有=méiyǒu: (동사) 4) 시간=时间=shíjiān: (명사) 5) 밥 먹다=吃饭=chīfàn: (동사)
<<간단히 총 정리>>
1. 명사 앞⇒的 2. 형용사 + 地 + 동사 3. 동사/형용사 + 得 + 형용사(혹은 문장)>>]
- ~의
사이
之间
zhījiān 쯔 ̄찌앤 ̄
- ~의
안, ~이내
之內
zhīnèi 쯔 ̄네이↘
- ~의
이유, ~한 까닭
之所以 zhī suǒyǐ 쯔 ̄
쑤오V이V [※
예를 들어 <제가 화가 난 이유는 모두 그의 태도가 좋지 않기 때문입니다.=我之所以生气,都是因为他的态度不好。=wǒ zhī suǒyǐ shēngqì,dōu shì yīnwèi tā de tàidu bù hǎo.=워V 쯔 ̄
쑤오V이V 썽 ̄치↘, 또우 ̄ 쓰↘ 인 ̄웨이↘ 타 ̄ 더 타이↘두 뿌↘ 하오V>]
- ~의 입장에서
从 ~的角度 cóng ~de jiǎodù 총↗
~더 쨔오V뚜↘ [※
<从 ~的角度=cóng ~de jiǎodù>는 <~의 입장에서>라는 뜻을 가진 '관용구'이다. 어떤 일을 고려하는 출발점 혹은 어떤 입장에서 사건을 보는 것을 말한다. 문장에서 <从自己的角度>는 자신의 입장에서 어떤 일을 보는 것을 가리킨다.
예를 들어 <이 산은 보는 각도에 따라 보는 풍경이 다릅니다.=从不同的角度看这座山,看到的风景都不一样。=cóng bùtóng de jiǎodù kàn zhè zuò shān,kàndào de fēngjǐng dōu bù yíyàng.=총↗ 뿌↘통↗ 더 쟈오V뚜↘ 칸↘ 쩌↘ 쭈오↘ 싼 ̄, 칸↘따오↘ 더 펑 ̄징V 또우 ̄ 뿌↘ 이↗양↘>, <많은 분들이 좋은 기회라고 생각하는데 제 입장에서는 그렇지 않습니다.=很多人都觉得这是一个好机会,可是从我的角度来看并不是这样。=hěnduō rén dōu juéde zhè shì yíge hǎo jīhuì,kěshì cóng wǒ de jiǎodù lái kàn bìng bú shì zhèyàng.=헌V뚜오 ̄ 런↗ 또우 ̄ 쥐에↗더 쩌↘ 쓰↘ 이↗거 하오V 쮜 ̄후이↘ 커V쓰↘ 총↗ 워V 더 쟈오V뚜↘ 라이↗ 칸↘ 삥↘ 부↗ 쓰↘ 쩌↘양↘>]
- ~의 정도에 이르다, ~한 결과에 달하다, ~할 지경이다,
어느 정도에 까지 이르다, 도달하다, ~때에 이르러,
~으로 말하면,
~에
대하여, ~에 관해서는, ~에
관하여
至于 zhìyú 쯔↘위↗ [※
<至于=zhìyú>는 <~에 관하여, ~에 관해서는, ~에 대하여, ~으로 말하면>이라는 뜻으로 '개사'로 쓰여 <至于=zhìyú> 앞부분의 내용과 관련된 단문을 이끌어 낸다. 그리고 화제를 바꾸거나 제시할 때 쓰인다.
예를 들어 <우리가 문제를 해결해 줄 테니 식사 문제는 당신이 해결해야 합니다.=我们帮你解决问题,至于吃饭的问题就要你自己解决了。=wǒmen bāng nǐ jiějué wèntí,zhìyú chīfàn de wèntí jiù yào nǐ zìji jiějué le.=워V먼 빵 ̄ 니V 지에V쥐에↗ 원↘티↗, 쯔↘위↗ 츠 ̄판↘ 더 원↘티↗ 찌우↘ 야오↘ 니V 쯔↘지 지에V쥐에↗ 러>, <이번 회의의 날짜는 이미 해결되었고, 참가 인원에 대해서는 아직 확정되지 않았습니다.=这次会仪的日期已经解决了,至于参加的人员还没有确定。=zhècì huìyí de rìqī yǐjīng jiějué le,zhìyú cānjiā de rényuán hái méiyǒu quèdìng.=쩌↘츠↘ 후이↘이↗ 더 르↘치 ̄ 이V찡 ̄ 지에V쥐에↗ 러, 쯔↘위↗ 찬 ̄찌아 ̄ 더 런↗위앤↗ 하이↗ 메이↗요우V 취에↘띵↘>, <화초 재배에 관해서는 그가 전문가입니다.=至于种花, 他是内行。=zhìyú zhònghuā, tā shì nèiháng.=쯔↘위↗ 쫑↘후아 ̄, 타 ̄ 쓰↘ 네이↘항↗>
또한 <~의 정도에 이르다, ~한 결과에 달하다, ~할 지경이다,
어느 정도에 까지 이르다, 도달하다>라는 뜻의 '동사'이다. 어느 정도에 이르렀음을 나타내며 '부정문'이나 '반어문'에 쓰인다. 그리고 앞에 <‘才’·‘还’·‘总’·‘该’>를 동반하는 경우가 많다.
예를 들어 <그가 모를 정도는 아닙니다.=他不至于不知道。=tā bù
zhìyú bù zhīdào.=타 ̄ 뿌↘ 쯔↘위↗ 뿌↘ 쯔 ̄따오↘>
그리고 <~때에 이르러>라는 뜻의 '접속사'이다.
예를 들어 <아Q가 여섯 자 가량 나가떨어지고서야 만족하여 돌아갔습니다.=至于阿Q跌出六尺多远, 这才满足地去了。=zhìyú āQ diēchū liùchǐ duō yuǎn, zhè cái mǎnzú de qù le.=쯔↘위↗ 아 ̄큐 띠에 ̄추 ̄ 리우↘츠V 뚜오 ̄ 위앤V, 쩌↘ 차이↗ 만V쭈↗ 더 취↘ 러>]
- ~의하여 알 수 있다[이처럼]
由此可见 yóu cĭ
kĕjiàn 요우↗츠V
커V찌앤↘
- ~의한,
~인하여, ~때문에
由于 yóuyú 요우↗위↗
- ~의
형편에 놓이다, ~한 상황에 있다
到了 ~地步 dào le
dìbù 따오↘
러 띠↘뿌↘ [※
<地步=dìbù>는 <(주로
좋지 않은) 형편, 지경, 상태, 처지, 발판, 지위, 여지>등을 가리키는 명사로
<到了 ~地步=dào le
dìbù>는
<~의
형편에 놓이다, ~한 상황에 있다>라는
뜻이다.
예를 들어 <할머니의 병이 수술을 할 수 없는 지경에 이른 것을 보니 안 될 것 같습니다.=奶奶的病到了不能手术的地步,看来是不行了。=nǎinai de bìng dào le bùnéng shǒushù de dìbù,
kànlái shì bùxíng le.=나이V나이 더 삥↘ 따오↘
러 뿌↘넝↗ 소우V쑤↘ 더 띠↘뿌↘,
칸↘라이↗ 쓰↘ 뿌↘싱↗ 러>, <일이 이 지경에 이르렀는데 울어봐야 무슨 소용이 있겠습니까?=事情到了这种地步,哭有什么用?=shìqíng dào le zhèzhǒng dìbù,kū yǒu shénme yòng?=쓰↘칭↗ 따오↘
러 쩌↘종V 띠↘뿌↘, 쿠 ̄ 요우V 선↗머 용↘?>]
- ~이,
~가
由 yóu 요우↗ [※
행위의
주체를 이끄는 '개사'로 명사와 결합한다. <~이,
~가>의
뜻으로 해석한다.
예를 들어 <이 건물은 그 유명한
설계사가 디자인한 것이다.=这个楼是那个有名的设计师设计的。=zhège lóu shì nàge yǒumíng de shèjìshī shèjì de.=쩌↘거
로우↗
쓰↘
나↘거
요우V밍↗
더 써↘찌↘쓰 ̄
써↘찌↘
더>]
- ~이거나
아니면 ~이다(선택 관계를 나타냄)
或子 huòzhĕ 후오↘저V
- ~이기도 하다, ~라고는 하나
要说~,还是~ yào shuō~,hái shì~ 야오↘
쑤오 ̄~,
하이↗
쓰↘~ [※
<要说~,还是=yào shuō~,hái shì~>는 <~라고는 하나, ~이기도 하다>라는 뜻으로 일반적으로 회화에서 많이 사용하는 말이다. <要说> 뒤에 화제가 이어지고 <还是> 뒤에는 상대방의 의견과 다르다는 내용이 온다.
A: 사우나는 피부에 좋습니다. A: 洗桑拿浴对皮肤很好。 A: xǐ sāngnáyù duì pífū hěn hǎo. A: 시V 쌍 ̄나↗위↘ 뚜이↘ 피↗푸 ̄ 헌V 하오V
B: 피부에 좋으려면 온천에 가는 게 더 좋고, 피부에 닿는 느낌이 아주 좋습니다. B: 要说对皮肤好,还是洗温泉, 洗在皮肤上感觉好极了。 B: yào shuō duì pífū hǎo,hái shì xǐ wēnquán, xǐ zài pífū shàng gǎnjué hǎo jíle. B: 야오↘
쑤오 ̄ 뚜이↘ 피↗푸 ̄ 하오V, 하이↗ 쓰↘ 시V 원 ̄취앤↗, 시V 짜이↘ 피↗푸 ̄ 쌍↘ 깐V쥐에↗ 하오V 지↗러
A: 일본 음식은 맛있습니다. A: 日本菜很好吃。 A: rìběn cài hěn hǎochī. A: 르↘뻔V 차이↘ 헌V 하오V츠 ̄
B: 맛있다고 하면 역시 중국 음식으로 요리는 풍부하고 영양가가 높습니다. B: 要说好吃,还是中国菜,菜式丰富,而且有营养。 B: yào shuō hǎochī,hái shì zhōngguó cài,cài shì fēngfù,érqiě yǒu yíngyǎng。 B: 야오↘
쑤오 ̄ 하오V츠 ̄, 하이↗ 쓰↘ 쫑 ̄구오↗ 차이↘, 차이↘ 쓰↘ 펑 ̄푸↘, 얼↗치에V 요우V 잉↗양V]
- ~이내,
~의
안
之內
zhīnèi 쯔 ̄네이↘
- ~이다,
~입니다
是 shì 쓰↘
- ~이
되다1, ~으로 되다
成为 chéngwéi 청↗웨이↗ [※
<成为=chéngwéi>는 <~으로 되다, ~이 되다>라는 뜻의 ‘동사’이다.
예를 들어 <모든 사람들의 이야깃거리가 되다=成为大家的话柄=chéngwéi dàjiā de huàbǐng.=청↗웨이↗ 따↘찌아 ̄ 더 후아↘삥V>]
- ~이
되다2,
되다, 맡다, 담당하다
当
dāng 땅 ̄
- ~이
되어서야 비로소 ~할 수 있다
才能 cáinéng 차이↗넝↗ [※
<才>는
<비로소, 겨우>라는 뜻의 부사이고, <能>은 <~할
수 있다>라는 가능이나 능력을 나타내는 조동사이다. 이
두 단어가 결합된 <才能>은 시간적으로 <~되어서야
비로소 ~할 수 있다>라는 의미를 나타낸다.]
- ~이야말로 ~라 할 수 있다, 그래야 비로소 ~된다
方可 fāngkě 팡 ̄커V [※
<方可=fāngkě>는 <그래야 비로소 ~된다, ~이야말로 ~라 할 수 있다>라는 뜻이다.
예를 들어 <이렇게 해야 비로소 옳다고 말할 수 있습니다.=如此做方可说是对。=rúcǐ zuò fāngkě shuō shì duì.=루↗츠V 쭈오↘ 팡 ̄커V 쑤오 ̄ 쓰↘ 뚜이↘>]
- ~이지?(추측, ~하자(권유), ~해라(명령)
吧 bā 빠 ̄
- ~인거
아니야?, 이것은 ~하는거 아니야?
这不是 zhè bú shì 쩌↘
부↗ 쓰↘ [※
<这不是=zhè bú shì>는 <이것은 ~하는거 아니야?, ~인거 아니야?>라는 뜻으로 반문할 때 쓴다.
예를 들어
A: 너 왜 이렇게 일찍 일어났어? A: 你怎么这么早就起床了? A: nǐ zěnme zhème zǎojiù qǐchuáng le? A: 니V 쩐V머 쩌↘머 짜오V찌우↘ 치V추앙↗ 러?
B: 아이들을 위한 아침 식사를 준비해야 해서요. B: 这不是要给孩子做早饭嘛。 B: zhè bú shì yào gěi háizi zuò zǎofàn ma. B: 쩌↘
부↗ 쓰↘ 야오↘ 게이V 하이↗쯔 쭈오↘ 짜오V판↘ 마
<이것은 시험을 위해서 아닙니까, 그렇지 않으면 도서관에 오지 않을 것입니다.=这不是为了考试嘛,要不我才不来图书馆呢。=zhè bú shì wèile kǎoshì ma,yàobu wǒ cái bú lái túshūguǎn ne.=쩌↘
부↗ 쓰↘ 웨이↘러 카오V쓰↘ 마, 야오↘부 워V 차이↗ 부↗ 라이↗ 투↗쑤 ̄꾸안V 너>]
- ~인
셈이다, ~라 할 수 있다, 간주하다
算是 suàn
shì 쑤안↘
쓰↘ [※
<算是=suàn shÌ>는 <간주하다, ~인 셈이다, ~라 할 수 있다>라는 뜻을 가진 '동사'이다.
예를 들어 <복제인간은 어떤 부류의 사람입니까?=克隆人算是哪类人?=kèlóngrén suàn
shì nǎ lèi rén.=커↘롱↗런↗ 쑤안↘
쓰↘ 나V 레이↘ 런↗>, <우리는 겨우 두세 번 만났을 뿐, 친구는 아니고 기껏해야 아는 사이입니다.=我们只见过两三次,朋友算不上,顶多算是认识。=wǒmén zhǐ jiàn guò liǎngsān cì,péngyou suàn bú shàng,dǐngduō suàn
shì rènshi.=워V먼 즈V 찌앤↘ 꾸오↘ 리앙V싼 ̄ 츠↘, 펑↗요우 쑤안↘ 부↗ 쌍↘, 띵V뚜오 ̄ 쑤안↘
쓰↘ 런↘스>]
- ~인
줄로 알다, ~라 여기다,
~라고 잘못 여기다
以为
yǐwéi 이V웨이↗
- ~인지 아닌지
是否 shìfŏu 쓰↘포우V [※
부사 '是否=shìfǒu'는 <~인지 아닌지>라는 뜻으로 주로 서면어에 사용한다.
예를 들어 <그가 올 수 있는지 여부는 아직 확실하지 않다.=他是否能来, 还不一定。=tā shìfǒu néng lái, hái bù yídìng.=타 ̄
쓰↘포우V
넝↗
라이↗,
하이↗
뿌↘
이↗띵↘>]
- ~인
척하다, ~인 체하다,
가장하다
佯装 yángzhuāng 양↗쭈앙 ̄ [※
<佯装=yángzhuāng>은 <가장하다, ~인 척하다, ~인 체하다>라는 뜻의 '동사'이다.
예를 들어 <화난 척하다=佯装气恼=yángzhuāng qìnǎo=양↗쭈앙 ̄ 치↘나오V>]
- ~인 체하다1, 분장하다
装 zhuāng 쭈앙 ̄
- ~인 체하다2,
가장하다
假装 jiǎzhuāng 지아V쭈앙 ̄
- ~인 체하다3,
~인 척하다, 가장하다
佯装 yángzhuāng 양↗쭈앙 ̄ [※
<佯装=yángzhuāng>은 <가장하다, ~인 척하다, ~인 체하다>라는 뜻의 '동사'이다.
예를 들어 <화난 척하다=佯装气恼=yángzhuāng qìnǎo=양↗쭈앙 ̄ 치↘나오V>]
- ~인 체하다4, 의상, 장식하다, 치장하다,
가장하다, 단장하다, 분장하다, 변장하다
装扮 zhuāngbàn 쭈앙 ̄빤↘
- ~일
뿐만 아니라1
不仅 bùjǐn 뿌↘진V
- ~일
뿐만 아니라2, 게다가
不光…而且… bùguāng…érqiě… 뿌↘꾸앙 ̄
얼↗치에V
- ~일
뿐이다, ~에 불과하다
只不过 ~罢了 zhǐbúguò ~bà le 즈V부↗꾸오↘
~빠↘ 러 [※
<只不过 ~罢了=zhǐbúguò ~bà le>는 <~에 불과하다, ~일 뿐이다>라는 뜻이다. 내용의 정도가 가볍고 심각하지 않음을 나타낸다.
예를 들어 <그와 저는 그저 평범한 친구일 뿐입니다.=我跟他只不过是普通朋友罢了。=wǒ gēn tā zhǐbúguò shì pǔtōng péngyou bà le.=워V 껀 ̄ 타 ̄ 즈V부↗꾸오↘ 쓰↘ 푸V통 ̄ 펑↗요우 빠↘
러>, <그는 특별한 사람은 아닙니다, 단지 작은 회사의 사장일 뿐입니다.=他没什么了不起,只不过是个小公司的经理罢了。=tā méi shénme liǎobuqǐ,zhǐbúguò shì gè xiǎo gōngsī de jīnglǐ bà le.=타 ̄ 메이↗ 선↗머 랴오V부치V, 즈V부↗꾸오↘ 쓰↘ 꺼↘ 샤오V 꽁 ̄쓰 ̄ 더 찡 ̄리V 빠↘
러>]
- ~일
정도는 아니다
不至于 bú
zhìyú 부↗
쯔↘위↗ [※ <不至于=bú
zhìyú=부↗
쯔↘위↗>는 <~에 이르지 않는다, ~할 정도까지는
아니다>라는 뜻으로, 상황이 이러한 정도로는 일어나지 않을
것이라는 예측을 나타낸다. <不至于>
뒤의 목적어는 일반적으로 화자가 희망하지 않는 일이나 바람직하지
않은 내용이 나온다.]
- ~일지도
모른다1, 아마도,
아마
~일지도 모른다, 아마
~일 것이다,
어쩌면,
짐작하건대 ~일 것이다,
짐작컨대 ~일 것이다, ~할
가능성이 있다, 확실하게
말할 수 없다, 단언하기가 어렵다, 단언하기는 어렵다
说不定
shuō bu dìng 쑤오 ̄
부
띵↘ [※
<说不定=shuō
bu dìng>은 '부사'로 <~일지도 모른다, ~할 가능성이 있다,
아마 ~일지도 모른다,
아마도,
어쩌면, 아마 ~일 것이다, 짐작컨대 ~일 것이다, 짐작하건대 ~일 것이다>라는 뜻이다.
'동사'로 <확실하게 말할 수 없다, 단언하기가 어렵다,
단언하기는 어렵다>라는
뜻이다.
예측을
나타내며 가능성이 클 때 쓴다. 주어의 앞과 뒤 모두 쓰일 수
있다. 일종의
추측을 의미하며 <그럴 가능성이 크다>라는 어감을 갖고
있다. 주어 앞뒤에 다 위치할 수 있지만, 일반적으로 주어 앞에
위치한다.
예를 들어 <아마
스트레스가 풀릴지도 몰라요.=说不定能放松。=shuōbudìng
néng fàngsōng.=쑤오 ̄
부
띵↘
넝↗
팡↘쏭 ̄>,
<도대체, 회의에 참석할 수 있을지 현재
아직 확실하지 않습니다.=到底能不能参加会议,现在还说不定。=dàodǐ néng bù néng cānjiā huìyì,xiànzài hái shuō bu dìng.=따오↘디V 넝↗ 뿌↘ 넝↗ 찬 ̄찌아 ̄ 후이↘이↘, 씨앤↘짜이↘ 하이↗ 쑤오 ̄ 부 띵↘>,
<그는 아마 오지 않을 것입니다. 당신이 더 이상 출발하지 않으면 아마도 비행기를 놓칠지도 모릅니다.=他说不定不来了。
你再不出发,说不定就赶不上飞机了。=tā shuō bu dìng bù lái le。nǐ zài bù chūfā,shuō bu dìng jiù gǎn bú shàng fēijī le.=타 ̄ 쑤오 ̄ 부 띵↘ 뿌↘ 라이↗ 러. 니V 짜이↘ 뿌↘ 추 ̄파 ̄, 쑤오 ̄ 부 띵↘ 찌우↘ 깐V 부↗ 쌍↘ 페이 ̄찌 ̄ 러>]
- ~일지도 모른다2,
아마도, 아마, 가능성, 가망, 가능하다
可能 kěnéng 커V넝↗ [※
<可能=kěnéng>은 <가능하다>라는 뜻의 '형용사'이다.
그리고 <가능성, 가망>이라는 뜻의 '명사'이다.
아울러 <아마, 아마도, ~일지도 모른다>라는 뜻의 '부사'이다.
예를 들어 <가능한 범위 내에서 해결에 협조하다=在可能的范围内帮助解决=zài kěnéng de fànwéi nèi bāngzhù jiějué=짜이↘ 커V넝↗ 더 판↘웨이↗ 네이↘ 빵 ̄쭈↘ 지에V쥐에↗>, <이런 가능성은 많지 않다=这种可能不大=zhè zhǒng kěnéng bú dà=쩌↘ 종V 커V넝↗ 부↗ 따↘>, <그는 아마 오늘 회의를 모르고 있을 것입니다.=他可能不知道今天开会。=tā kěnéng bù zhīdào jīntiān kāihuì.=타 ̄ 커V넝↗ 뿌↘ 쯔 ̄따오↘ 찐 ̄티앤 ̄ 카이 ̄후이↘>]
-
~임에
틀림없다[추측의 필연성을 나타내어], 유쾌하다, 안락하다,
쾌적하다, 편안하다, 필요하다, 틀림없이 ~일 것이다, 틀림없이 ~할 것이다[확신에 찬 추측],
~해야만 한다, ~해야 한다, 기분이 좋다,
걸리다[시간·금전 등이], 만족하다,
마땅히 ~해야 겠다, 마땅히 ~해야 한다,
반드시 ~일 것이다,
~할 만하다,
알맞다, 좋다, 획득하다, 계산하여 값을 얻다, 얻다
得 děi 데이V [※
발음이 2성인 <得=dé>는 <계산하여 값을 얻다, 얻다, 획득하다>라는 뜻의 '동사'이다.
그리고 <알맞다, 좋다, ~할 만하다>라는 뜻의 '형용사'이다.
또한 발음이
경성인 <得=de>는 '조사'로서 다음의 3가지 뜻을 가지고 있다.
1-동사 뒤에 쓰여 <가능(可能)>을 나타낸다.
2-동사와 보어의 가운데 쓰여 <가능>을 나타낸다.
3-동사나 형용사의 뒤에 쓰여, <결과>나 <정도를 표시하는 보어를 연결시키는 역할>을 한다.
아울러 발음이
3성인 <得=děi>는 '조동사'로서
<걸리다[시간·금전 등이],
기분이 좋다, 마땅히 ~해야 겠다, 마땅히 ~해야 한다, 만족하다, 반드시 ~일 것이다, 안락하다, 유쾌하다,
~임에
틀림없다[추측의 필연성을 나타내어], 쾌적하다, 편안하다, 필요하다, 틀림없이 ~일 것이다, 틀림없이 ~할 것이다[확신에 찬 추측],
~해야만 한다, ~해야 한다>라는 뜻으로
쓰인다.]
- ~입니다,
~이다
是 shì 쓰↘
- ~있으면,
~하다
有
~的话, ~ yǒu
~de huà, ~ 요우V
~더 후아↘,
~ [※ <有
~的话, ~>는
<~있으면, ~하다>이다.
예를 들어 <시간 있으면,
우리집에 놀러와.= 有时间的话,
来我家玩儿。=yǒu shíjiān
de
huà, lái wǒjiā wár.=요우V
스↗찌앤 ̄
더 후아↘,
라이↗ 워V찌아 ̄
왈↗>]
- 1층
一楼 yīlóu 이 ̄로우↗
- 2009년
两千零九年 liǎngqiānlíngjiǔ nián 리앙V치앤 ̄링↗지우V
니앤↗
- 20살
二十岁 èrshísuì 얼↘스↗쑤이↘
- 20세기
二十世纪 èrshíshìjì 얼↘스↗쓰↘찌↘
- 2시 5분
两点五分 liǎngdiǎn wǔfēn 리앙V띠앤V
우V펀 ̄
- 2천
两千 liǎngqiān 리앙V치앤 ̄
- 2층
楼上 lóushàng 로우↗쌍↘
- 2층
二楼 èrlóu 얼↘로우↗
- 506
五百零六 wǔbǎilíngliù 우V바이V링↗찌우↘
- 5시 45분
五点四十五分 wǔdiǎn sìshíwǔfēn 우V띠앤V
쓰↘스↗우V펀 ̄
- 5시 45분
五点三刻 wǔdiǎn
sǎnkè 우V띠앤V
싼V커↘
- 6시 50분
差十分七点 chā shífēn qīdiǎn 차 ̄
스↗펀 ̄
치 ̄띠앤V
- 아!1,
경이, 찬탄을 나타냄
啊! ā! 아 ̄! [※
<啊=ā>는
'감탄사'로 쓰이면 성조가 경성이 아니라 1성으로 <啊=ā=아 ̄>로 쓰여 <아!,
경이, 찬탄을 나타냄>이란 뜻이다.
예를 들어 <아!, 무지개가 떴네!=啊!, 出虹了!=ā, chūhóng le!=아 ̄!, 추 ̄홍↗ 러!>]
- 아!2,
허![놀라움을 나타냄]
嗬! hē! 허 ̄
- 아!3,
야!,
삐걱, 삐거덕,
어세(語勢)를 돕기 위하여 문장의 끝에 사용, 문장의 중간에서 어기(語氣)를 잠시 멈출 때 사용하여 어세를 도와줌
呀 ya 야 [※
<呀=ya>라는 뜻의 <조사>는 성조가 없으면 <어세(語勢)를 돕기 위하여 문장의 끝에 사용하는 어기 조사, 문장의 중간에서 어기(語氣)를 잠시 멈출 때 사용하여 어세를 도와주는 어기 조사>이다. 또한 <呀=yā>는 성조가 1성이면 <아!, 야!>라는 뜻의 '감탄사'이다.
그리고 <삐걱, 삐거덕>이라는 뜻의 '의성어' 및 '의태어'이다.
예를 들어 <조사>로 쓰여 <빨리 와!=快来呀!=kuài lái ya.=콰이↘ 라이↗ 야>, <그 사람이라, 아마 안 될 걸.=他呀, 恐怕不行。=tā ya, kǒngpà bùxíng.=타 ̄ 야, 콩V파↘ 뿌↘싱↗>, <이야기를 하다 하다가 밤을 새웠습니다.=谈呀谈呀, 谈了个通宵。=tán ya tán ya, tán le gè tōngxiāo.=탄↗ 야 탄↗ 야, 탄↗ 러 꺼↘ 통 ̄쌰오 ̄>
<감탄사>로 쓰여 <아! 그가 또 왔나?=呀, 他又来了?=yā, tā yòu lái le?=야 ̄, 타 ̄ 요우↘ 라이↗ 러?>
<의성어 및 의태어>로 쓰여 <문이 삐꺽하고 열렸습니다.=门呀的一声开了。=mén yā de yìshēng kāi le.=먼↗ 야 ̄ 더 이↘썽 ̄ 카이 ̄ 러>]
- 아가1,
아기,
예쁜 아기, 예쁜이, 착한 아기,
귀여운 아이,
귀염둥이
宝宝 bǎobao 빠오V빠오 [※
<宝宝=bǎobao>는 어린아이에 대한 애칭으로 <귀여운 아이,
귀염둥이, 아가,
아기,
예쁜 아기, 예쁜이, 착한 아기>라는 뜻의 '명사'이다.
예를 들어 <아기 옷=宝宝装=bǎobao zhuāng=빠오V빠오 쭈앙 ̄>]
- 아가2, 아기,
예쁜 아기, 예쁜이, 보물,
보배, 착한 아기,
귀여운 아이, 귀염둥이, 귀여워하다
宝贝 bǎobèi 빠오V뻬이↘ [※
<宝贝=bǎobèi>는 <귀여운 아이, 귀염둥이, 아가, 아기,
예쁜 아기, 예쁜이, 보물,
보배, 착한 아기>이라는 뜻의 '명사'이다.
그리고 <귀여워하다>라는 뜻의 ‘동사’이다.
예를 들어 <어느 부모가 제 자식을 귀여워하지 않겠습니까?=哪个父母不宝贝自己的儿女呢?=nǎge fùmǔ bù bǎobèi zìjǐ de érnǚ ne?=나V거 푸↘무V 뿌↘ 빠오V뻬이↘ 쯔↘지V 더 얼↗뉘V 너?>, <이건 정말 보배라서, 돈이 있어도 살 데가 없습니다.=这可是个宝贝, 有钱也无处买去。=zhè kěshì gè bǎobèi, yǒu qián yě wúchù mǎi qù.=쩌↘ 커쓰↘ 꺼↘ 빠오V뻬이↘, 요우V 치앤↗ 예V 우↗추↘ 마이V 취↘>]
- 아가3, 아기,
예쁜 아기, 예쁜이, 보물,
보배, 착한 아기,
귀여운 아이, 귀염둥이, 귀여워하다
宝贝儿 bǎobèir 빠오V뻬일↘
- 아가4, 아기,
어린애, 인형, 갓난 아기
娃娃 wáwa 와↗와 [※
<娃娃=wáwa>는 <아가, 아기, 어린애, 인형, 갓난 아기>라는 뜻의 명사이다.
예를 들어 <아가=小娃娃=xiǎo wáwa=샤오V 와↗와>, <서양 인형=洋娃娃=yáng wáwá=양↗ 와↗와>]
- 아가서
雅歌 Yāgē 야 ̄꺼 ̄ [※
성경
66권 중의 22권] [솔로몬의 노래(Song of Solomon, the)라고도
함, 목동에 대한 술람미 소녀(수넴 혹은 술렘 출신의 시골 소녀)의 흔들리지 않는 사랑에 대해서, 그리고 솔로몬 왕이 그 소녀의 사랑을 차지하려다가 실패하는 것에 관하여 알려 주는 히브리어 성경의 한 시서. 히브리어 본문 서두에서는 이 시를 “노래 중의 노래” 즉 “최상의 노래”, 가장 아름답고 가장 탁월한 노래라고 부른다. (제목에 관한 NW 각주 참조) 이 책은 여러 노래의 수집물이 아니라 단 하나의 노래이다.]
- 아가씨1
姑娘 gūniang 꾸 ̄니앙
- 아가씨2
少奶奶 shàonăinai 싸오↘나이V나이
- 아가씨3
小姐 xiăojiĕ 샤오V지에V
- 아가페
阿格配(爱) āgépèi(ài) 아 ̄꺼↗페이↘(아이↘)
- 아기1,
예쁜 아기, 예쁜이, 아가,
착한 아기,
귀여운 아이,
귀염둥이
宝宝 bǎobao 빠오V빠오 [※
<宝宝=bǎobao>는 어린아이에 대한 애칭으로 <귀여운 아이,
귀염둥이, 아가,
아기,
예쁜 아기, 예쁜이, 착한 아기>라는 뜻의 '명사'이다.
예를 들어 <아기 옷=宝宝装=bǎobao zhuāng=빠오V빠오 쭈앙 ̄>]
- 아기2,
예쁜 아기, 예쁜이, 아가, 보물,
보배, 착한 아기,
귀여운 아이, 귀염둥이, 귀여워하다
宝贝 bǎobèi 빠오V뻬이↘ [※
<宝贝=bǎobèi>는 <귀여운 아이, 귀염둥이, 아가, 아기,
예쁜 아기, 예쁜이, 보물,
보배, 착한 아기>이라는 뜻의 '명사'이다.
그리고 <귀여워하다>라는 뜻의 ‘동사’이다.
예를 들어 <어느 부모가 제 자식을 귀여워하지 않겠습니까?=哪个父母不宝贝自己的儿女呢?=nǎge fùmǔ bù bǎobèi zìjǐ de érnǚ ne?=나V거 푸↘무V 뿌↘ 빠오V뻬이↘ 쯔↘지V 더 얼↗뉘V 너?>, <이건 정말 보배라서, 돈이 있어도 살 데가 없습니다.=这可是个宝贝, 有钱也无处买去。=zhè kěshì gè bǎobèi, yǒu qián yě wúchù mǎi qù.=쩌↘ 커쓰↘ 꺼↘ 빠오V뻬이↘, 요우V 치앤↗ 예V 우↗추↘ 마이V 취↘>]
- 아기3,
예쁜 아기, 예쁜이, 아가, 보물,
보배, 착한 아기,
귀여운 아이, 귀염둥이, 귀여워하다
宝贝儿 bǎobèir 빠오V뻬일↘
- 아기4, 아동, 아이,
어린아이, 자녀, 자식
孩子 háizi 하이↗쯔 [※
<孩子=háizi>는 <아기, 아이, 아동, 어린아이,
자녀, 자식>라는 '명사'이다.
예를 들어 <사내아이=男孩子=nánháizi=난↗하이↗쯔>, <그녀는 자식이 둘 있다.=她有两个孩子。=tā yǒu liǎng ge háizi.=타 ̄ 요우V 량V 거 하이↗쯔>]
- 아기5,
아가, 어린애, 인형, 갓난 아기
娃娃 wáwa 와↗와 [※
<娃娃=wáwa>는 <아가, 아기, 어린애, 인형, 갓난 아기>라는 뜻의 명사이다.
예를 들어 <아가=小娃娃=xiǎo wáwa=샤오V 와↗와>, <서양 인형=洋娃娃=yáng wáwá=양↗ 와↗와>]
- 아까워하다1,
애석해하다,
몹시 아끼다, 사랑하다
心疼 xīnténg 씬 ̄텅↗ [※
<心疼=xīnténg>은 <몹시 아끼다, 사랑하다, 아까워하다,
애석해하다>라는 뜻의 '동사'이다.
예를 들어 <그가 네게 일을 시키지 않는 것은 너를 몹시도 아끼기 때문입니다.=他不让你作事, 那是心疼你。=tā bú ràng nǐ zuòshì, nà shì xīnténg nǐ.=타 ̄ 부↗ 랑↘ 니V 쭈오↘쓰↘, 나↘ 쓰↘ 씬 ̄텅↗ 니V>, <이렇게 낭비하는 것을 보니 아깝습니다.=这么浪费, 叫人看了心疼。=zhème làngfèi, jiào rén kàn le xīnténg.=쩌↘머 랑↘페이↘, 쨔오↘ 런↗ 칸↘ 러 씬 ̄텅↗>]
- 아까워하다2,
아쉽다, 미련이 남다, 섭섭하다, 헤어지기 아쉽다
舍不得 shěbude 서V부더 [※
<舍不得=shěbude>는 <미련이 남다, 섭섭하다, 아까워하다, 아쉽다, 헤어지기 아쉽다>라는 뜻이다.
예를 들어 <중대장은 자기 부대를 떠나기가 아쉬워서, 겨우 며칠 쉬고는 곧 돌아왔습니다.=连长舍不得自己的部队, 才休养几天就赶回来了。=lián zhǎng shěbude zìjǐ de bùduì, cái xiūyǎng jǐ tiān jiù gǎn huílai le.=리앤↗ 장V 서V부더 쯔↘지V 더 뿌↘뚜이↘, 차이↗ 씨우 ̄양V 지V 티앤 ̄ 찌우↘ 깐V 후이↗라이 러>]
- 아까워하다3, 아껴주다, 아프다,
물건을 소중히 하다, 매우 사랑하다, 몹시 귀여워하다, 몹시 아끼다,
소중이 하다
疼 téng 텅↗ [※
<疼=téng>은 <매우 사랑하다, 몹시 귀여워하다, 몹시 아끼다, 물건을 소중히 하다, 소중이 하다, 아까워하다, 아껴주다, 아프다>라는 뜻의 '동사'이다.
예를 들어 <머리가 아프다=头疼=tóuténg=토우↗텅↗>, <부부 두 사람이 보배처럼 사랑하다=夫妻俩疼得宝贝似的=fūqī liǎ téng de bǎobèi shìde.=푸 ̄치 ̄ 리아V 텅↗ 더 바오V뻬이↘ 쓰↘더>, <나에게 가장 필요한 것은 여전히 나를 사랑하고 아껴주고 이해해주는 남편입니다.=我最需要的还是一个爱我、疼我、懂我的丈夫。=wǒ zuì xūyào de háishì yí ge ài wǒ、téng wǒ、dǒng wǒ de zhàngfu.=워V 쭈이↘ 쒸 ̄야오↘ 더 하이↗쓰↘ 이↗
거 아이↘ 워V、텅↗ 워V、똥V 워V 더 짱↘푸>]
- 아껴주다, 아프다,
아까워하다, 물건을 소중히 하다, 매우 사랑하다, 몹시 귀여워하다, 몹시 아끼다,
소중이 하다
疼 téng 텅↗ [※
<疼=téng>은 <매우 사랑하다, 몹시 귀여워하다, 몹시 아끼다, 물건을 소중히 하다, 소중이 하다, 아까워하다, 아껴주다, 아프다>라는 뜻의 '동사'이다.
예를 들어 <머리가 아프다=头疼=tóuténg=토우↗텅↗>, <부부 두 사람이 보배처럼 사랑하다=夫妻俩疼得宝贝似的=fūqī liǎ téng de bǎobèi shìde.=푸 ̄치 ̄ 리아V 텅↗ 더 바오V뻬이↘ 쓰↘더>, <나에게 가장 필요한 것은 여전히 나를 사랑하고 아껴주고 이해해주는 남편입니다.=我最需要的还是一个爱我、疼我、懂我的丈夫。=wǒ zuì xūyào de háishì yí ge ài wǒ、téng wǒ、dǒng wǒ de zhàngfu.=워V 쭈이↘ 쒸 ̄야오↘ 더 하이↗쓰↘ 이↗
거 아이↘ 워V、텅↗ 워V、똥V 워V 더 짱↘푸>]
- 아끼다1
省 shĕng 썽V
- 아끼다2,
절약하다
节省 jiéshĕng 지에↗썽V
- 아끼다3,
절약하다
节约 jiéyuē 지에↗위에 ̄ [※
<节约=jiéyuē>는 <아끼다, 절약하다>라는 동사로 '주로 비교적 큰 범위에 사용'된다.
예를 들어 <시간을 절약하다.=节约时间。=jiéyuē shíjiān.=지에↗위에 ̄ 스↗찌앤 ̄>
<사람들은 모두 물을 아껴야 합니다.=人们都要节约用水。=rénmen dōu yào jiéyuē yòng shuǐ.=런↗먼 또우 ̄ 야오↘ 지에↗위에 ̄ 용↘ 수이V>]
- 아끼다4,
애호하다,
소중하게 여기다, 매우 귀여워하다
爱惜 àixī 아이↘씨 ̄ [※
<爱惜=àixī>는 <아끼다, 소중하게 여기다, 매우 귀여워하다, 애호하다>라는 뜻의 동사이다.
예를 들어 <시간을 아끼다.=爱惜时间。=àixī shíjiān.=아이↘씨 ̄ 스↗찌앤 ̄>]
- 아끼다5,
애호하다,
소중히 여기다
爱护 àihù 아이↘후↘ [※
<爱护=àihù>는 <소중히 여기다,
아끼다, 애호하다>라는 뜻의 '동사'이다.
예를 들어 <공공물을 애호하다=爱护公物=àihù gōngwù=아이↘후↘ 꽁 ̄우↘>]
- 아끼다6,
진귀하게 여겨 아끼다, 소중히 여기다, 더욱
높이 평가하다
珍惜 zhēnxī 쩐 ̄씨 ̄ [※
<珍惜=zhēnxī>는 <더욱 높이 평가하다, 진귀하게 여겨 아끼다, 소중히 여기다,
아끼다>라는 뜻의 '동사'이다.
예를 들어 <나는 지금 이전 어느 때보다도 우리의 희망을 더욱 높이 평가합니다.=我现在比以往任何时候都更珍惜自己的希望。=wǒ xiànzài bǐ yǐwǎng rènhé shíhòu dōu gèng zhēnxī zìjǐ de xīwàng.=워V 씨앤↘짜이↘ 삐V 이V왕V 런↘허↗ 스↗호우↘ 또우 ̄ 껑↘ 쩐 ̄씨 ̄ 쯔↘지V 더 씨 ̄왕↘>,
<시간을 아끼다. // 시간을 소중히 여기다.=珍惜时间=zhēnxī shíjiān.=쩐 ̄씨 ̄ 스↗찌앤 ̄>]
- 아끼지
않다
不惜 bùxī 뿌↘씨 ̄
- 아날로그 시계
模拟手表 mónǐ shǒubiǎo 모↗니V
소우V뱌오V
- 아내1,
처
妻子 qīzi 치 ̄쯔
- 아내2
愛人 àirén 아이↘런↗
- 아내3
太太 tàitai 타이↘타이
- 아내4,
부인,
마누라, 처, 집사람
老婆 lǎopo 라오V포
- 아내5,
부인, 안주인
内当家 nèidāngjiā 네이↘땅 ̄찌아 ̄
- 아내6,
처
内人 nèirén 네이↘런↗
- 아내가
고우면 처갓집 말뚝 보고 절한다, 사람을 사랑하면 그 집 지붕의
까마귀까지 좋아한다
爱屋及乌 ài
wū jí wū 아이↘
우 ̄
지↗
우 ̄
- 아내가 자기의 남편을 이르던 말,
군자, 높은 관직에 있는 사람, 학식과 덕망이 높은 사람
君子 jūnzǐ 쮠 ̄쯔V [※
<君子=jūnzǐ>는 <군자, 학식과 덕망이 높은 사람, 높은 관직에 있는 사람, 아내가 자기의 남편을 이르던 말>이라는 뜻이다.
예를 들어 <정인군자 // 마음씨가 올바르며 학식과 덕행이 높고 어진 사람 // 품행이 단정한 사람 // 지금은 주로 인격자로 가장한 사람을 풍자하는 말로 쓰임=正人君子=zhèngrén jūnzǐ=쩡↘런↗ 쮠 ̄쯔V>]
- 아내를 다스리는
기술
驭妻术 yùqīshù 위↘치 ̄쑤↘
- 아내를 맞다,
장가들다
讨老婆 tǎolǎopo 타오V라오V포
- 아내를
얻다, 장가가다
娶 qǔ 취V
- 아는 바로는, 아는 바에 의하면, 잘 알았습니다
据悉 jùxī 쮜↘씨 ̄ [※
<据悉=jùxī>는 <아는 바로는, 아는 바에 의하면, 잘 알았습니다>라는 뜻이다.
예를 들어 <아는 바로는, 쌍방이 합의했다고 합니다.=据悉, 双方达成了协议。=jùxī, shuāngfāng dáchéng le xiéyì.=쮜↘씨 ̄ 쑤앙 ̄팡 ̄ 다↗청↗ 러 시에↗이↘>]
- 아는 바에 의하면, 아는 바로는, 잘 알았습니다
据悉 jùxī 쮜↘씨 ̄ [※
<据悉=jùxī>는 <아는 바로는, 아는 바에 의하면, 잘 알았습니다>라는 뜻이다.
예를 들어 <아는 바로는, 쌍방이 합의했다고 합니다.=据悉, 双方达成了协议。=jùxī, shuāngfāng dáchéng le xiéyì.=쮜↘씨 ̄ 쑤앙 ̄팡 ̄ 다↗청↗ 러 시에↗이↘>]
- 아니다1,
부정을 표시
不 bù 뿌↘ [※
<不=bù>는 '부사'로 "동사, 형용사와 다른 부사의 앞에" 쓰여
<아니다>라는 부정을 표시한다. 또는 "현재, 미래의 행위, 동작, 심리 상태, 의지, 가능성"을 부정한다. 그리고 "일상적인 혹은 습관적인 동작이나 상황"을 부정한다.
예를 들어 <난 가지 않습니다.=我不去。=wǒ bú qù.=워V 부↗ 취↘>, <그 지방은 일년 내내 비가 오지 않습니다.=那个地方一年四季不下雨。=nàge dìfāng yì nián sìjì bú xiàyǔ.=나↘거 띠↘팡 이↘ 니앤↗ 쓰↘찌↘ 부↗ 씨아↘위V>, <저는 한국인이 아닙니다.=我不是韩国人。=wǒ bú shì hánguó rén.=워V 부↗ 쓰↘ 한↗구오↗ 런↗>]
- 아니다2,
없다, 옳지 않다고 여기다, 그르다고 여기다, ~에 맞지 않다, 반대하다, 비난하다, 책망하다,
과실, 악행, 잘못
非 fēi 페이 ̄ [※
<非=fēi>는 <그르다고 여기다, ~에 맞지 않다, 아니다, 없다, 옳지 않다고 여기다, 반대하다, 비난하다, 책망하다>라는 뜻의 '동사'이다.
그리고 <과실, 악행, 잘못>이라는 '명사'이다.
예를 들어 <시비를 밝히다=明辨是非=míng biàn shì fēi=밍↗ 삐앤↘ 쓰↘ 페이 ̄>, <예의에 어긋나다=非礼=fēilǐ=페이 ̄리V>, <많은 사람들이 모두 비난한다=众人皆非之=zhòngrén jiēfēi zhī=쫑↘런↗ 찌에 ̄페이 ̄ 쯔 ̄>]
- 아니면,
그렇지 않으면,
아니요, 그렇지 않다
不然 bùrán 뿌↘란↗ [※
<不然=bùrán>은 문장의 앞에 쓰여 상대방의 말을 부정하며 <그렇지 않다, 아니요>라는 뜻의 '형용사'이다.
또한 <그렇지 않으면, 아니면>이란 뜻의 '접속사'이다.
예를 들어 <사실은 그렇지 않습니다.=其实不然。=qíshí bùrán.=치↗스↗ 뿌↘란↗>, <내일 나는 일이 좀 있어. 그렇지 않으면 너희들과 함께 한번 갈 수 있을텐데.=明天我还有点事儿, 不然倒可以陪你们去一趟。=míngtiān wǒ hái yǒu diǎn shìér, bùrán dǎo kěyǐ péi nǐmen qù yí tàng.=밍↗티앤 ̄ 워V 하이↗ 요우V 디앤V 쓰↘얼↗, 뿌↘란↗ 따오V 커V이V 페이↗ 니V먼 취↘ 이↗
탕↘>]
- 아니면,
안 그러면, 그러지 않으면, 그렇지 않으면,
~하거나, ~하든지
要不 yàobù 야오↘뿌↘ [※
<要不=yàobù>는 '접속사'로
복문에서
뒷문장에 쓰여져 <그렇지 않으면, 아니면, 안 그러면, 그러지 않으면, ~하거나, ~하든지>라는 라는 뜻으로, 두 가지 중에서 하나를 선택함을 나타낸다.
예를 들어 <술을 안 드세요? 아니면 콜라를
마시면 어때요?=你不喝酒吗?
要不你喝可乐, 怎么样? nǐ bù hējiǔ ma? yàobu nǐ
hē kělè, zěnmeyàng?=니V
뿌↘
허 ̄지우V
마?
야오↘뿌↘
니V
허 ̄
커V러↘,
쩐V머양↘?>]
- 아니면 ~하든지, ~하거나, ~하든지,
또는, 혹은, 그렇지 않으면
要么
~要么~ yàome
~yàome~ 야오↘머
~야오↘머~ [※
접속사
<要么
~要么~=yàome ~yàome~>는
<~하든지,
~하거나, 아니면 ~하든지, 또는, 혹은, 그렇지 않으면>라는 뜻으로,
두 개의 절 앞에 쓰여 두 가지 이상을
나열하여 그 중 하나의 선택의 가능성을 나타낸다.
예를
들어 <그가 오든지, 내가 가든지, 내일은 어쨌든 얼굴을 맞대고 얘기 좀 해야겠어요.=要么他来, 要么我去, 明天总得当面谈一谈。=yàome tā lái, yàome wǒ qù, míngtiān zǒngděi dāngmiàn tán yī tán.=야오↘머
타 ̄
라이↗,
야오↘머
워V
취↘,
밍↗티앤 ̄
쫑V데이V
땅 ̄미앤↘
탄↗
이 ̄
탄↗>]
- 아니요1
去哪里 qùnăli 취↘나V리
- 아니요2
不 bù 뿌↘
- 아니요,
그렇지 않다, 그렇지 않으면,
아니면
不然 bùrán 뿌↘란↗ [※
<不然=bùrán>은 문장의 앞에 쓰여 상대방의 말을 부정하며 <그렇지 않다, 아니요>라는 뜻의 '형용사'이다.
또한 <그렇지 않으면, 아니면>이란 뜻의 '접속사'이다.
예를 들어 <사실은 그렇지 않습니다.=其实不然。=qíshí bùrán.=치↗스↗ 뿌↘란↗>, <내일 나는 일이 좀 있어. 그렇지 않으면 너희들과 함께 한번 갈 수 있을텐데.=明天我还有点事儿, 不然倒可以陪你们去一趟。=míngtiān wǒ hái yǒu diǎn shìér, bùrán dǎo kěyǐ péi nǐmen qù yí tàng.=밍↗티앤 ̄ 워V 하이↗ 요우V 디앤V 쓰↘얼↗, 뿌↘란↗ 따오V 커V이V 페이↗ 니V먼 취↘ 이↗
탕↘>]
- 아니요.
제 아들이 머리가 너무 지저분해서. 아들의 머리카락을 조금
짧게 잘라주시면 돼요.
不,我儿子头发太乱,给他剪短一点。 bù,
wǒ érzi tóufa tài luàn, gěi tā jiǎnduǎn yìdiǎn. 뿌↘,
워V
얼↗쯔 토우↗파 타이↘ 루안↘, 게이V
타 ̄
찌앤V뚜안V
이↘띠앤V
- 아닥사스다왕
亚达薛西王 yàdáxuēxī wáng 야↘다↗쒸에 ̄씨 ̄
왕↗ [※ <통찰-제
1권 1293면>: <<아닥사스다(Artaxerxes)
아닥사스다(아르타크세르크세스)는 성서에서 두 명의 페르시아 왕에게 사용된 이름 혹은 칭호이다.
1. 페르시아의 통치자. 예루살렘에 있는 여호와의 성전을 건축하는 일을 중단시킨 사람. (라 4:7-24) (기원전 537년에) 유대인들이 예루살렘으로 돌아가도록 허락한 왕인 키루스 대왕의 통치 기간과, 성전 건축에 대하여 내려진 금령을 기원전 520년에 해제해 준 다리우스 대왕의 통치 기간 사이에는 세 왕이 다스렸을 가능성이 있는데, 그 왕들은 캄비세스 2세, 그의 형제인 바르디야(혹은 바르디야로 행세하면서 7개월간 통치한 것으로 전해지는, 사제 집단인 마기에 속한 가우마타로 알려진 인물일 수도 있음), 니딘투벨(겨우 2개월간 다스린 후 다리우스에게 패하여 죽임을 당한 사람)이었을 것이다. 캄비세스는 에스라 4:6에 언급된 “아하수에로”를 가리키는 것 같은데, 성전 재건을 반대하는 자들은 아하수에로에게 처음으로 이의를 제기하였다. 따라서 에스라 4:7부터 나오는 “아닥사스다”로 언급된 통치자는 통치 기간이 7개월(기원전 522년)밖에 지속되지 못한 바르디야 혹은 가우마타이다.
사마리아의 도시들에 사는 사람들은 이 페르시아 왕에게 유대인들을 반대하는 내용의 편지를 썼다. (라 4:7) 이때는 유대인들이 분주하게 성전을 건축하고 있을 때였다. (라 4:1-3) 유대인들의 적대자들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거짓말을 하여, 유대인들이 당시에 예루살렘 성벽을 포함하여 그 도시를 재건하고 있다고 말하였다. (라 4:11-16) 그러한 거짓 고발로 인해 “하느님의 집 공사”는 중단되었다.—라 4:24.
2. 아닥사스다 롱기마누스. 크세르크세스 1세의 아들. 에스라 7:1-28과 느헤미야 2:1-18 및 13:6에 나오는 왕. 대부분의 참조 문헌들은 그의 즉위년이 기원전 465년이라고 알려 준다. 하지만 그의 즉위년을 기원전 475년으로 생각할 만한 합당한 이유가 있다.—페르시아, 페르시아 사람들 (크세르크세스와 아닥사스다의 통치) 참조.
아닥사스다 롱기마누스는 제사장 에스라가 예루살렘으로 가도록 승낙해 주었으며 느헤미야도 그렇게 하도록 승낙해 주었다. (라 7:1-7; 느 2:1, 7, 8) 고대 역사가들은 그가 대체로 인자하고 관대한 성품을 지닌 인물이었다고 생각한다. 이러한 생각은 그가 그의 통치 제칠 년(기원전 468년)에 취한 조처들과도 부합되는데, 당시 롱기마누스는 성전에서 사용할 금은과 그릇뿐 아니라 밀, 포도주, 기름, 소금 등과 같은 양식도 마련해 주게 하는 포고령을 통해 에스라에게 “그가 요청하는 것을 다” 주었다. (라 7:6, 12-23; 8:25-27) 이처럼 그가 관대한 헌물을 하였다는 사실을 고려하면, 에스라 6:14에서 아닥사스다가—실제 성전 건축은 47년 전인 기원전 515년에 끝났는데도—성전을 “건축하고 완성”하는 데 기여한 명령을 내려 준 왕들 가운데 한 사람으로 키루스와 다리우스와 함께 언급되어 있는 이유를 이해하게 된다. 아닥사스다 왕의 포고령은 하느님의 율법(과 왕의 법)을 가르칠 행정관들과 재판관들을 임명하고 그러한 법을 위반하는 자들을 필요한 경우에는 사형에 처할 권한까지 에스라에게 부여하였다.—라 7:25, 26.
아닥사스다 롱기마누스는 그의 통치 제20년(기원전 455년)에 느헤미야에게 예루살렘으로 돌아가 그 도시의 성벽과 성문들을 재건하도록 허가해 주었다. (느 2:1-8) 이 일은 메시아가 오기로 약속된 때와 관련된 것으로 다니엘 9:25에 언급되어 있기 때문에, 아닥사스다 제20년은 매우 중요한 의미가 있는 연대이다.
느헤미야 13:6에는 “아닥사스다 제삼십이 년” 곧 기원전 443년이 나오는데, 그해에 느헤미야는 잠시 아닥사스다 왕의 궁정에 돌아왔다.>>]
- 아담
亚当 yàdāng 야↘땅 ̄
- 아담한 체구의 나와, 몸집이 작은 저와
身材娇小的我与 shēncái jiāoxiǎo de wǒ yǔ 썬 ̄차이↗ 쨔오 ̄샤오V 더 워V 위V
- 아동1, 아이,
어린아이, 아기, 자녀, 자식
孩子 háizi 하이↗쯔 [※
<孩子=háizi>는 <아기, 아이, 아동, 어린아이,
자녀, 자식>라는 '명사'이다.
예를 들어 <사내아이=男孩子=nánháizi=난↗하이↗쯔>, <그녀는 자식이 둘 있다.=她有两个孩子。=tā yǒu liǎng ge háizi.=타 ̄ 요우V 량V 거 하이↗쯔>]
- 아동2
儿童 értóng 얼↗통↗
- 아동3, 어린이, 키드(kid)
孩童 háitóng 하이↗통↗ [※ 참조:
<키덜트(kidult)>는
<kid=키드=아동>이라는 단어와 <adult=어덜트=성인>이라는 두 단어가 합쳐져서 <어린이나 어른이나 즐길 수 있는 TV 오락 프로, 하는 짓이 어린이 같은 어른>을
의미한다.]
- 아동
학대
侵害儿童 qīnhài értóng 친 ̄하이↘
얼↗통↗
- 아득하다,
망망하다, 한없이 넓다, 희미하다
茫茫 mángmáng 망↗망↗ [※
<茫茫=mángmáng>은 <망망하다, 아득하다, 한없이 넓다, 희미하다>라는 뜻의 '형용사'이다.
예를 들면 <끝없이 펼쳐진 자욱한 안개=茫茫一片白雾=mángmáng yípiàn báiwù=망↗망↗ 이↗피앤↘ 바이↗우↘>]
- 아득히 멀다, 요원하다
茫茫 mángmáng 망↗망↗ [※
<遥远=yáoyuǎn>은 <아득히 멀다, 요원하다>라는 뜻의 '형용사'이다.
예를 들어 <아득히 먼 장래=遥远的将来=yáoyuǎn de jiànglái=야요↗위앤V 더 찌앙↘라이↗>]
- 아들
儿子 érzi 얼↗쯔
- 아들딸,
남녀
儿女 érnǚ 얼↗뉘V
- 아랑곳없다, 말할 수 없다, 그렇다고 할 수 없다,
상관없다, 관계없다
无所谓 wúsuǒwèi 우↗쑤오V웨이↘
- 아랑곳하다, 거들떠보다,
관심을 가지다
理 lǐ 리V [※
예를 들어 <그 두 사람은 말다툼을 했는데, 아무도 다른 사람에게 관심을 기울이지 않았습니다.=他俩吵架了,谁也不理谁。=tā liǎ chǎojià le,shéi yě bùlǐ shéi.=타 ̄ 리아V 차오V찌아↘ 러, 쉐이↗ 예V
뿌↘리V 쉐이↗>]
- 아래
下 xià 씨아↘
- 아래턱1,
턱
下颌 xiàhé 씨아↘흐어↗
- 아래턱2
下巴 xiàbā 씨아↘빠 ̄
- 아래턱3
下巴颏儿 xiàbākēr 씨아↘빠 ̄컬 ̄
- 아랫배
小肚子 xiăodùzǐ 샤오V뚜↘쯔V
- 아량,
가슴,
마음, 품, 흉금, 포부, 마음속으로 생각하다
胸怀 xiōnghuái 씨옹 ̄화이↗
- 아량이
넓다, 크다, 넓다, 헐렁헐렁하다
宽阔 kuānkuò 쿠안 ̄쿠오↘
- 아루바
阿鲁巴 ālǔbā 아 ̄루V바 ̄ [※
왕국, 아루바는 카리브해 남쪽에 위치한 섬으로, 네덜란드 왕국의 구성국이다. 소앤틸리스 제도의 중심에서 약 1,000km, 베네수엘라 해안에서 북쪽으로 약 29km 에 위치해 있다. 아루바의 서북단에서 동남단까지 길이가 32km 로, 그 중 가장 넓은 지점은 그 거리가 10km 이다. 수도: 오랑예스타트, 국가 번호: +297, 인구: 10.63만 (2019년) 세계은행, 대륙: 남아메리카]
- 아르메니아
亚美尼亚 yàměiníyà 야↘메이V니↗야↘ [※
아시아의 국가, 아르메니아 공화국, 줄여서 아르메니아는 캅카스 지방에 있는 내륙국이다. 수도는 예레반이며, 공용어는 아르메니아어이다. 조지아, 아제르바이잔, 터키, 이란, 아르차흐 공화국과 국경을 접한다. 대통령: 아르멘 사르키샨, 수도: 예레반, 면적: 29,743km², 인구: 295.8만(2019년) 세계은행, 관광지: 예레반, 세반 호, 딜리잔, 규므리, Jermuk, Tsaghkadzor]
- 아르헨티나
阿根廷 āgēntíng 아 ̄껀 ̄팅↗ [※
남아메리카의 국가, 아르헨티나 공화국 줄여서 아르헨티나는 남아메리카 대륙 남부에 자리 잡고 있은 연방 공화국이다. 연방국가로서 23개의 주와 자치시 1개로 구성되어 있으며, 주요 도시로는 부에노스아이레스, 코르도바, 바이아블랑카, 마르델플라타, 라플라타 등이 있고 수도는 부에노스아이레스이다. 수도: 부에노스아이레스, 대통령: 알베르토 페르난데스,
인구: 4494만 (2019년) 세계은행, 공식 언어: 스페인어]
- 아름다운
땅
荣美之地 róngměi zhī dì 롱↗메이V
쯔 ̄
띠↘
- 아름다운
옥이 눈앞에 가득하다, 갖가지 훌륭한 물건이 많다[주로 책이나
공예품에 대해 쓰임]
琳琅满目 lín láng mǎn mù 린↗
랑↗
만V 무↘ [※
<아름다운 옥 림=임(琳), 옥(玉)부 총12획; 옥 이름 랑=낭(琅), 옥(玉)부 총11획>]
- 아름다운 이름을 따서 일컫는 말,
이름을 아름답게 꾸미다, 좋은 이름을 가져다 붙이다, 그럴
듯한 명분을 내세우다, 듣기 좋은 이름으로 부르다, 듣기 좋은 이름 또는 명칭을 가져다 붙이다,
미명을 내세우다
美其名曰 měi qí míng yuē 메이V 치↗ 밍↗ 위에 ̄ [※
<美其名曰=měi qí míng yuē>는 <그럴
듯한 명분을 내세우다, 듣기 좋은 이름 또는 명칭을 가져다 붙이다, 듣기 좋은 이름으로 부르다, 미명을 내세우다, 아름다운 이름을 따서 일컫는 말,
이름을 아름답게 꾸미다, 좋은 이름을 가져다 붙이다>라는 뜻이다.
예를 들어 <그들은 이름하여 시찰과 학습이라고 하지만 사실은 공적자금으로 여행을 하는 것입니다.=他们美其名曰是去考察学习,其实就是花公款旅行一番。=tāmen měiqí míngyuē shì qù kǎochá xuéxí,qíshí jiùshì huā gōngkuǎn lǚxíng yìfān.=타 ̄먼 메이V 치↗ 밍↗ 위에 ̄ 쓰↘ 취↘ 카오V차↗ 쉬에↗시↗, 치↗스↗ 찌우↘쓰↘ 후아 ̄ 꽁 ̄쿠안V 뤼V싱↗ 이↘판 ̄>, <좋은 쪽으로 말해서 ~이고 나쁜 쪽으로 말해서 ~이다=往好里说 ~往坏里说=wǎng hǎoli shuō ~wǎng huàili shuō=왕V 하오V리 쑤오 ̄ ~왕V 화이↘리 쑤오 ̄>]
- 아름다운
희망을 굳게 잡다
抓紧美好的希望 zhuājǐn měihǎo de xīwàng 쭈아 ̄진V
메이V하오V
더 씨 ̄왕↘
- 아름답다1,
보기좋다
好看 hăokàn 하오V칸↘
- 아름답다2
美丽 měilì 메이V리↘ [※
<고울 려(丽=麗); 一-총7획>]
- 아름답다3,
수려하다
秀丽 xiùlì 씨우↘리↘
- 아름답다4,
모양이 좋다, 마음에
들다, 보기 좋다, 보기에 거슬리지 않다, 공손하게 눈을 내리깔다
顺眼 shùnyǎn 쑨↘옌V [※ <顺眼=shùnyǎn>은 <마음에 들다, 모양이 좋다, 보기에 거슬리지 않다, 보기 좋다, 아름답다>라는 뜻의 '형용사'이다.
그리고 <공손하게 눈을 내리깔다>라는 뜻의 '동사'이다.
예를 들어 <모양이 보기 좋다 // 보기에 아름답다=模样儿长得顺眼=móyàngér zhǎng děi shùnyǎn.=모↗양↘얼↗ 장V 데이V 쑨↘옌V>, <풍속이나 관습을 보면 어느 하나 마음에 들지 않습니다.=风俗举动样样儿不顺眼。=fēngsú jǔdòngyàng yàngér bú shùnyǎn.=펑 ̄쑤↗ 쥐V똥↘양↘ 양↘얼↗ 부↗ 쑨↘옌V>]
- 아름답다5, 밝고 아름답다
亮丽 liànglì 리앙↘리↘ [※ <날이 밝다, 날이 새다, 돕다, 밝다, 명석하다, 분명해지다, 진실, 환하다, 밝을 량=양(亮); 亠-총9획; 고울 려(丽=麗); 一-총7획>]
- 아름답다6,
엄청, 옳다, 우호적이다, 자상하다, 잘 ~하다, 좋다, 좋아하다,
친근하다, ~하기
쉽다, ~하기 일쑤다, 훌륭하다,
능숙하다, 마땅하다, 맞다, 매우, 몸이 건강하다,
병이 다 낫다, 사이가 좋다, 사이좋다,
선량하다
好 hǎo 하오V [※ <사이좋다, 좋다, 아름답다, 옳다, 마땅하다, 자상하다, 훌륭하다, 좋을 호(好); 女-총6획>]
- 아마1,
아마도, 어쩌면,
혹시
也许 yěxǔ 예V쉬V [※
<也许=yěxǔ>는 <아마, 아마도, 어쩌면 혹시>라는 뜻의 '부사'이다.
예를 들어 <그럴지도 모른다=也许是吧=yěxǔ shì ba=예V쉬V 쓰↘ 바>]
- 아마2, 어쩌면, 혹시
或许 huòxǔ 후오↘쉬V [※
<或许=huòxǔ>는 <아마, 어쩌면, 혹시>라는 뜻의 '부사'이다.
예를 들어 <그가 오지 않았는데 혹시 병이 났는지도 모릅니다.=他没来, 或许是病了。=tā méi lái, huòxǔ shì bìng le.=타 ̄ 메이↗ 라이↗ 후오↘쉬V 쓰↘ 삥↘ 러>]
- 아마3, 아마도, ~일지도 모른다,
가능성, 가망, 가능하다
可能 kěnéng 커V넝↗ [※
<可能=kěnéng>은 <가능하다>라는 뜻의 '형용사'이다.
그리고 <가능성, 가망>이라는 뜻의 '명사'이다.
아울러 <아마, 아마도, ~일지도 모른다>라는 뜻의 '부사'이다.
예를 들어 <가능한 범위 내에서 해결에 협조하다=在可能的范围内帮助解决=zài kěnéng de fànwéi nèi bāngzhù jiějué=짜이↘ 커V넝↗ 더 판↘웨이↗ 네이↘ 빵 ̄쭈↘ 지에V쥐에↗>, <이런 가능성은 많지 않다=这种可能不大=zhè zhǒng kěnéng bú dà=쩌↘ 종V 커V넝↗ 부↗ 따↘>, <그는 아마 오늘 회의를 모르고 있을 것입니다.=他可能不知道今天开会。=tā kěnéng bù zhīdào jīntiān kāihuì.=타 ̄ 커V넝↗ 뿌↘ 쯔 ̄따오↘ 찐 ̄티앤 ̄ 카이 ̄후이↘>]
- 아마4
鴉麻 yāmá 야 ̄마↗ [※
<JDM-천연물질대사전(주요 효능)>: <<항암 작용[유방암, 전립선암, 호르몬관계의 암 등], 항염 작용, 강장, 한센병, 동맥경화, 중풍, 어지럼증, 병후쇠약, 피부보호, 화상, 변비, 방사선 피해>>
◎
아마과의 한해살이풀 '아마'의 상세 효능 <JDM-천연물질대사전(가나다순)> 바로 가기:
http://jdm0777.com/jdm/ama.htm]
- 아마 ~일 것이다, 아마 ~일지 모른다,
염려하다,
근심하다, 겁나다, 걱정이 되다, 걱정하다,
두렵다, 두려워하다,
무서워하다,
무섭다
怕 pà 파↘ [※ <怕=pà>는 <걱정이 되다, 걱정하다,
겁나다, 근심하다, 두려워하다, 두렵다, 무서워하다, 무섭다,
염려하다>라는 뜻의 ‘동사’이다.
그리고 <아마 ~일 것이다, 아마 ~일지 모른다>라는 뜻의 ‘부사’로 ‘추측을 표시’한다.
예를 들어 <겁내지 마, 내가 있잖아.=别怕, 我在。=bié pà, wǒ zài.=비에↗ 파↘, 워V 짜이↘>, <내가 걱정하는 것은 그가 할 줄 모르는 것이 아니라, 하려고 하지 않는 것입니다.=我怕的不是他不会做, 而是不肯做。=wǒ pà de bú shì tā bú huì zuò, érshì bù kěn zuò.=워V 파↘ 더 부↗ 쓰↘ 타 ̄ 부↗ 후이↘ 쭈오↘, 얼↗쓰↘ 뿌↘ 컨V 쭈오↘>, <아마 ~일 것이다=恐怕=kǒngpà=콩V파↘>]
- 아마 ~일 것이다, 아마 ~일지 모른다,
염려하다,
근심하다, 겁나다, 걱정이 되다, 걱정하다,
두렵다, 두려워하다,
무서워하다,
무섭다
怕 pà 파↘ [※ <怕=pà>는 <걱정이 되다, 걱정하다,
겁나다, 근심하다, 두려워하다, 두렵다, 무서워하다, 무섭다,
염려하다>라는 뜻의 ‘동사’이다.
그리고 <아마 ~일 것이다, 아마 ~일지 모른다>라는 뜻의 ‘부사’로 ‘추측을 표시’한다.
예를 들어 <겁내지 마, 내가 있잖아.=别怕, 我在。=bié pà, wǒ zài.=비에↗ 파↘, 워V 짜이↘>, <내가 걱정하는 것은 그가 할 줄 모르는 것이 아니라, 하려고 하지 않는 것입니다.=我怕的不是他不会做, 而是不肯做。=wǒ pà de bú shì tā bú huì zuò, érshì bù kěn zuò.=워V 파↘ 더 부↗ 쓰↘ 타 ̄ 부↗ 후이↘ 쭈오↘, 얼↗쓰↘ 뿌↘ 컨V 쭈오↘>, <아마 ~일 것이다=恐怕=kǒngpà=콩V파↘>]
- 아마도1, 어쩌면,
아마,
혹시
也许 yěxǔ 예V쉬V [※
<也许=yěxǔ>는 <아마, 아마도, 어쩌면 혹시>라는 뜻의 '부사'이다.
예를 들어 <그럴지도 모른다=也许是吧=yěxǔ shì ba=예V쉬V 쓰↘ 바>]
- 아마도2,
아마
~일지도 모른다, 아마
~일 것이다,
어쩌면,
~일지도
모른다, 짐작하건대 ~일 것이다,
짐작컨대 ~일 것이다, ~할
가능성이 있다, 확실하게
말할 수 없다, 단언하기가 어렵다, 단언하기는 어렵다
说不定
shuō bu dìng 쑤오 ̄
부
띵↘ [※
<说不定=shuō
bu dìng>은 '부사'로 <~일지도 모른다, ~할 가능성이 있다,
아마 ~일지도 모른다,
아마도,
어쩌면, 아마 ~일 것이다, 짐작컨대 ~일 것이다, 짐작하건대 ~일 것이다>라는 뜻이다.
'동사'로 <확실하게 말할 수 없다, 단언하기가 어렵다,
단언하기는 어렵다>라는
뜻이다.
예측을
나타내며 가능성이 클 때 쓴다. 주어의 앞과 뒤 모두 쓰일 수
있다. 일종의
추측을 의미하며 <그럴 가능성이 크다>라는 어감을 갖고
있다. 주어 앞뒤에 다 위치할 수 있지만, 일반적으로 주어 앞에
위치한다.
예를 들어 <아마
스트레스가 풀릴지도 몰라요.=说不定能放松。=shuōbudìng
néng fàngsōng.=쑤오 ̄
부
띵↘
넝↗
팡↘쏭 ̄>,
<도대체, 회의에 참석할 수 있을지 현재
아직 확실하지 않습니다.=到底能不能参加会议,现在还说不定。=dàodǐ néng bù néng cānjiā huìyì,xiànzài hái shuō bu dìng.=따오↘디V 넝↗ 뿌↘ 넝↗ 찬 ̄찌아 ̄ 후이↘이↘, 씨앤↘짜이↘ 하이↗ 쑤오 ̄ 부 띵↘>,
<그는 아마 오지 않을 것입니다. 당신이 더 이상 출발하지 않으면 아마도 비행기를 놓칠지도 모릅니다.=他说不定不来了。
你再不出发,说不定就赶不上飞机了。=tā shuō bu dìng bù lái le。nǐ zài bù chūfā,shuō bu dìng jiù gǎn bú shàng fēijī le.=타 ̄ 쑤오 ̄ 부 띵↘ 뿌↘ 라이↗ 러. 니V 짜이↘ 뿌↘ 추 ̄파 ̄, 쑤오 ̄ 부 띵↘ 찌우↘ 깐V 부↗ 쌍↘ 페이 ̄찌 ̄ 러>]
- 아마도3, 아마, ~일지도 모른다,
가능성, 가망, 가능하다
可能 kěnéng 커V넝↗ [※
<可能=kěnéng>은 <가능하다>라는 뜻의 '형용사'이다.
그리고 <가능성, 가망>이라는 뜻의 '명사'이다.
아울러 <아마, 아마도, ~일지도 모른다>라는 뜻의 '부사'이다.
예를 들어 <가능한 범위 내에서 해결에 협조하다=在可能的范围内帮助解决=zài kěnéng de fànwéi nèi bāngzhù jiějué=짜이↘ 커V넝↗ 더 판↘웨이↗ 네이↘ 빵 ̄쭈↘ 지에V쥐에↗>, <이런 가능성은 많지 않다=这种可能不大=zhè zhǒng kěnéng bú dà=쩌↘ 종V 커V넝↗ 부↗ 따↘>, <그는 아마 오늘 회의를 모르고 있을 것입니다.=他可能不知道今天开会。=tā kěnéng bù zhīdào jīntiān kāihuì.=타 ̄ 커V넝↗ 뿌↘ 쯔 ̄따오↘ 찐 ̄티앤 ̄ 카이 ̄후이↘>]
- 아마 ~일것이다1
恐怕 kǒngpà 콩V파↘
- 아마
~일 것이다2, 아마도,
아마
~일지도 모른다,
어쩌면, ~일지도
모른다, 짐작하건대 ~일 것이다,
짐작컨대 ~일 것이다, ~할
가능성이 있다, 확실하게
말할 수 없다, 단언하기가 어렵다, 단언하기는 어렵다
说不定
shuō bu dìng 쑤오 ̄
부
띵↘ [※
<说不定=shuō
bu dìng>은 '부사'로 <~일지도 모른다, ~할 가능성이 있다,
아마 ~일지도 모른다,
아마도,
어쩌면, 아마 ~일 것이다, 짐작컨대 ~일 것이다, 짐작하건대 ~일 것이다>라는 뜻이다.
'동사'로 <확실하게 말할 수 없다, 단언하기가 어렵다,
단언하기는 어렵다>라는
뜻이다.
예측을
나타내며 가능성이 클 때 쓴다. 주어의 앞과 뒤 모두 쓰일 수
있다. 일종의
추측을 의미하며 <그럴 가능성이 크다>라는 어감을 갖고
있다. 주어 앞뒤에 다 위치할 수 있지만, 일반적으로 주어 앞에
위치한다.
예를 들어 <아마
스트레스가 풀릴지도 몰라요.=说不定能放松。=shuōbudìng
néng fàngsōng.=쑤오 ̄
부
띵↘
넝↗
팡↘쏭 ̄>,
<도대체, 회의에 참석할 수 있을지 현재
아직 확실하지 않습니다.=到底能不能参加会议,现在还说不定。=dàodǐ néng bù néng cānjiā huìyì,xiànzài hái shuō bu dìng.=따오↘디V 넝↗ 뿌↘ 넝↗ 찬 ̄찌아 ̄ 후이↘이↘, 씨앤↘짜이↘ 하이↗ 쑤오 ̄ 부 띵↘>,
<그는 아마 오지 않을 것입니다. 당신이 더 이상 출발하지 않으면 아마도 비행기를 놓칠지도 모릅니다.=他说不定不来了。
你再不出发,说不定就赶不上飞机了。=tā shuō bu dìng bù lái le。nǐ zài bù chūfā,shuō bu dìng jiù gǎn bú shàng fēijī le.=타 ̄ 쑤오 ̄ 부 띵↘ 뿌↘ 라이↗ 러. 니V 짜이↘ 뿌↘ 추 ̄파 ̄, 쑤오 ̄ 부 띵↘ 찌우↘ 깐V 부↗ 쌍↘ 페이 ̄찌 ̄ 러>]
- 아마
~일지도 모른다, 아마
~일 것이다, 아마도,
어쩌면, ~일지도
모른다, 짐작하건대 ~일 것이다,
짐작컨대 ~일 것이다, ~할
가능성이 있다, 확실하게
말할 수 없다, 단언하기가 어렵다, 단언하기는 어렵다
说不定
shuō bu dìng 쑤오 ̄
부
띵↘ [※
<说不定=shuō
bu dìng>은 '부사'로 <~일지도 모른다, ~할 가능성이 있다,
아마 ~일지도 모른다,
아마도,
어쩌면, 아마 ~일 것이다, 짐작컨대 ~일 것이다, 짐작하건대 ~일 것이다>라는 뜻이다.
'동사'로 <확실하게 말할 수 없다, 단언하기가 어렵다,
단언하기는 어렵다>라는
뜻이다.
예측을
나타내며 가능성이 클 때 쓴다. 주어의 앞과 뒤 모두 쓰일 수
있다. 일종의
추측을 의미하며 <그럴 가능성이 크다>라는 어감을 갖고
있다. 주어 앞뒤에 다 위치할 수 있지만, 일반적으로 주어 앞에
위치한다.
예를 들어 <아마
스트레스가 풀릴지도 몰라요.=说不定能放松。=shuōbudìng
néng fàngsōng.=쑤오 ̄
부
띵↘
넝↗
팡↘쏭 ̄>,
<도대체, 회의에 참석할 수 있을지 현재
아직 확실하지 않습니다.=到底能不能参加会议,现在还说不定。=dàodǐ néng bù néng cānjiā huìyì,xiànzài hái shuō bu dìng.=따오↘디V 넝↗ 뿌↘ 넝↗ 찬 ̄찌아 ̄ 후이↘이↘, 씨앤↘짜이↘ 하이↗ 쑤오 ̄ 부 띵↘>,
<그는 아마 오지 않을 것입니다. 당신이 더 이상 출발하지 않으면 아마도 비행기를 놓칠지도 모릅니다.=他说不定不来了。
你再不出发,说不定就赶不上飞机了。=tā shuō bu dìng bù lái le。nǐ zài bù chūfā,shuō bu dìng jiù gǎn bú shàng fēijī le.=타 ̄ 쑤오 ̄ 부 띵↘ 뿌↘ 라이↗ 러. 니V 짜이↘ 뿌↘ 추 ̄파 ̄, 쑤오 ̄ 부 띵↘ 찌우↘ 깐V 부↗ 쌍↘ 페이 ̄찌 ̄ 러>]
- 아마겟돈,
하르-마게돈(Har–Magedon)
哈米吉多頓 hāmǐjíduōdùn 하 ̄미V지↗뚜오 ̄뚠↘ [※ 1-<요한 계시록 16:16=启示录 16:16>:
<<16 그것들은 히브리어로 아마겟돈*이라고 하는 곳으로 왕들을 모았다.=16
它们把列王召集到一个地方,希伯来语叫哈米吉多顿*。>>에
나오는 인류에 대한 하느님의 최종 심판의 전쟁날, <<각주:
*그리스어 하르마게돈. 하르마게돈은 “므깃도 산”을 의미하는 히브리어 표현에서 유래함.=脚注:
*意思是“米吉多山”。 见词语解释:“哈米吉多顿”。>>
2-<신세계역
성경 연구 노트=圣经新世界-词语解释>:
<<아마겟돈
“므깃도 산”을 의미하는 히브리어 '하르메깃돈'에서 유래. 이 단어는 “전능자이신 하느님의 큰 날의 전쟁”과 관련이 있다. 그 전쟁에서 “사람이 거주하는 온 땅의 왕들”이 여호와를 대적하여 싸우려고 모인다. (계 16:14, 16; 19:11-21)—큰 환난 참조.=哈米吉多顿
个词来自意思是“米吉多山”的希伯来语词。哈米吉多顿跟“全能上帝的大日子”的“战争”密切相关,到时“全天下的君王”会聚集起来跟耶和华交战。(启16:14,16;19:11-21)另见“大患难”。>>
3-<성경
통찰 제 2권 1113-1114면=洞悉圣经 (上册)-552-553页>:
<<하르-마게돈
(Har–Magedon) [“므깃도 산”을 의미하는 히브리어에서 유래]
이 명칭은 “전능자이신 하느님의 큰 날의 전쟁”과 직접 연관되어 있다. 이 용어는 특히 “사람이 거주하는 온 땅의 왕들”이 여호와를 반대하고 예수 그리스도에 의한 그분의 왕국을 반대하여 모이는 상태나 상황을 가리킨다. “아마겟돈”이라고 번역한 역본들도 많이 있다. (계 16:14, 16, 「개역」, 「새」, 「킹」, 「표준」, 「현」, AT, JB, RS, TEV) 히브리어에서 나온 하르-마게돈이라는 명칭의 의미는 단지 “므깃도 산”이다.
이 환상을 기록한 사도 요한의 시대나 그 이전에 약속의 땅 안팎에 “므깃도 산”이라는 곳이 실제로 있었던 것 같지는 않다. 따라서 하르-마게돈의 의미는 고대 도시 므깃도와 연관된 사건들과 관련이 있을 것이다.
므깃도는 갈멜 산에서 남동쪽으로 몇 킬로미터 떨어진 곳에 있으면서, 에스드라엘론(이스르엘) 평야를 내려다보고 동서와 남북을 연결하는 주요 무역로와 군용 도로를 장악하는 곳이다. 가나안의 이 도시를 처음 정복한 사람은 여호수아였다. (수 12:7, 8, 21) 후에 이곳 근처에서 시스라 휘하의 야빈의 군대가 전멸되었다. 그 자리에서 여호와께서는 바락이 인도하는 이스라엘 군대를 자연력으로 지원하셨다. 기록은 이렇게 알려 준다. “바락은 그의 뒤를 따르는 만 명과 함께 다볼 산에서 내려갔다. 여호와께서는 시스라와 그의 모든 병거와 온 진영을 바락 앞에서 칼날로 혼란에 빠뜨리셨다. 마침내 시스라는 병거에서 내려 도보로 도망하였다. 바락은 그 병거들과 진영을 이방 사람들의 하로셋까지 뒤쫓았고, 시스라의 온 진영이 칼날에 쓰러져, 한 사람도 남지 않았다.”—삿 4:14-16.
승리한 후 바락과 여예언자 드보라는 노래를 불렀는데, 그 일부는 이러하였다. “왕들이 와서 싸웠네. 그때에 가나안의 왕들이 므깃도의 물가 다아낙에서 싸웠으나, 그들은 은을 조금도 얻지 못하였네. 하늘에서 별들이 싸웠으니, 그 궤도에서 시스라와 싸웠네. 키손의 급류가 그들을 휩쓸어 갔네, 옛날의 급류, 키손의 급류가. 네가 힘있는 것을 밟고 나아갔구나, 오 나의 영혼이여. 그때에 말발굽이 땅을 찼네, 그의 종마들이 돌진하고 돌진하였기 때문에.”—삿 5:19-22.
예후의 명령으로 유다 왕 아하시야가 치명상을 입은 뒤 죽은 곳도 므깃도였다. (왕하 9:27) 그곳에서 유다 왕 요시야는 파라오 느고와 접전하다가 죽임을 당하였다. (왕하 23:29, 30) 므깃도의 전략적 위치 때문에 여러 나라들이 므깃도 주변에서 전쟁을 벌였다고 세속 역사는 알려 준다. ‘유대인, 이방인, 사라센 제국, 십자군, 이집트인, 페르시아인, 드루즈파, 튀르크족, 아랍인이 저마다 에스드라엘론 평야에 천막을 쳤다.’—「신약 단어 연구」(Word Studies in the New Testament), M. R. 뱅상, 1957년, 2권, 542면.
계시록에서는 땅의 왕들의 연합군이 “히브리어로 하르-마게돈이라고 하는 곳[그리스어, 토포스의 변화형]으로” 모이는 것으로 묘사한다. (계 16:16) 성서에서 토포스는 실제 장소를 가리키기도 하고(마 14:13, 15, 35), 개인의 “기회”를 가리키기도 하며(행 25:16), 비유적인 영역, 상태, 상황을 가리키기도 한다. (계 12:6, 14) 지상의 연합군이 행군하는 “곳”이 바로 그런 비유적인 영역, 상태, 상황임을 문맥으로 알 수 있다.
하르-마게돈에서의 “전능자이신 하느님의 큰 날의 전쟁”은 과거사가 아니라 요한이 환상을 본 이후에 있을 미래사로 계시록에 묘사되어 있다. 왕들이 하르-마게돈으로 모이는 일은 하느님의 분노를 끝나게 해 줄 “마지막” 재앙들을 담고 있는 일곱 대접 중 여섯째 대접을 쏟은 결과로 묘사되어 있다. (계 15:1; 16:1, 12) 또한 하르-마게돈의 전쟁이 그리스도의 임재와 밀접히 연관되어 있음을 지적하는 것으로, 계시록 16장 14절과 16절 사이에 그리스도가 도둑처럼 온다는 경고가 있다.
문맥에서는 이 전쟁이 세계적인 것이라는 사실을 강조한다. 문맥을 보면 여호와를 반대하는 자들은 “사람이 거주하는 온 땅의 왕들”로 밝혀져 있고, 이들은 “악귀들의 영감받은 표현”에 따라 동원된다.—계 16:14.
더 나아가 요한은 이렇게 말한다. “그리고 내가 보니, 야수와 땅의 왕들과 그들의 군대들이, 말을 타신 분과 그분의 군대와 맞서 싸우려고 함께 모여 있었다.” (계 19:19) 계시록 19장은 흰말을 타고 있는 하늘 군대의 지휘관이 “충실하고 참된 이”이자 “하느님의 말씀”이라 불리는 분임을 밝혀 준다. (계 19:11-13) 그러므로 하느님의 하늘 군대의 사령관 역할을 하는 분은 다름 아닌 말씀인 예수 그리스도이시다. (요 1:1; 계 3:14) 그리스도가 하늘 군대를 지휘하신다는 사실을 더 알려 주는 것으로서, 지상의 군대가 “‘어린 양’[예수 그리스도(요 1:29)]과 싸우겠지만, ‘어린 양’은 ‘주들의 주’요 ‘왕들의 왕’이므로 그들을 이길 것이다. 또한 그분과 함께 있는, 부르심을 받고 택하심을 받은 충실한 사람들도 이길 것이다”라는 언급도 있다.—계 17:13, 14.
계시록 19장의 환상은 하늘 군대만이 그 전쟁에 참여하여 하느님의 말씀인 예수 그리스도를 지지하는 것으로 알려 주므로, 지상에 있는 여호와의 그리스도인 종들은 아무도 그 싸움에 참여하지 않을 것임을 시사한다. 이는 예수 그리스도께서 마태 26:52에서 자신의 제자들이 육적 전쟁 무기를 사용하지 않아야 한다고 하신 말씀과 일치한다. (출 14:13, 14; 대하 20:15, 17, 22, 23; 시 2:4-9 비교) 하늘 한가운데를 나는 새들이 살육당한 자들의 시체를 처리할 것이다.—계 19:11-21.
이와 같이 하르-마게돈은 단순히 사람들끼리의 싸움이 아니라 하느님의 보이지 않는 군대가 참여하는 싸움임을 알 수 있다. 그 싸움은 다가오고 있음이 확실하며, “하늘의 군대와 땅의 주민들 가운데서 자신의 뜻대로 행하고 계”시는 여호와 하느님이 정하신 때에 벌어질 것이다.—단 4:35. 또한 마 24:36 참조.=哈米吉多顿
(Har-Magedon)〔希伯来语Har-Ma·ged'on,意即“米吉多山”〕
哈米吉多顿跟“全能上帝的大日子”的“战争”密切相关,指某种情况或形势,到时“普天下的列王”必聚集起来对抗耶和华,对抗他通过耶稣基督所统治的王国。(启16:14,16)哈米吉多顿这个名字源于希伯来语,意思是“米吉多山”。
值得注意的是,无论是使徒约翰(启示录的执笔者)在生之时还是之前,无论是应许之地境内还是境外,看来都没有一座山叫“米吉多山”。因此,哈米吉多顿这个名字的含意,主要跟古代米吉多城的历史事件有关。
米吉多位于迦密山东南面几公里处,俯瞰整个埃斯德赖隆(耶斯列)平原,是东西南北的商贸与军事要冲。米吉多这个迦南人的城镇最先被约书亚所攻取。(书12:7,8,21)后来,耶和华曾在米吉多附近运用大自然的力量去帮助巴拉,使以色列的军队大败耶宾王(由西西拉率领)的大军。圣经记载:“巴拉率领一万人从他泊山下来。耶和华用刀剑击溃西西拉和他的所有战车军兵,他们在巴拉面前乱作一团。西西拉只好下车,拔腿逃跑。巴拉追赶西西拉的战车和军兵,直追到列国的夏罗设。西西拉全军都被刀剑所杀,连一个也没有留下。”(士4:14-16)
以色列人大获全胜后,巴拉和女先知底波拉都高歌赞颂上帝,说:“众王都来争战。那时在米吉多水旁的他纳,迦南众王争战,却没有夺得银子。众星从天上争战,从自己的轨道攻击西西拉。基顺的急流把敌人冲走,那是上古的急流,基顺的急流。我奋力前进!那时牡马嗒嗒奔驰,马蹄嘚嘚刨地。”(士5:19-22)
犹大王亚哈谢被耶户下令击杀,逃到米吉多后伤重死亡。(王下9:27)犹大王约西亚跟法老尼哥交战,在米吉多阵亡。(王下23:29,30)根据世俗历史,米吉多地势险要,不少国家都曾在附近对阵交锋。据说,犹太人,萨拉森人、埃及人、波斯人、德鲁森斯人、土耳其人、阿拉伯人和十字军,都曾在埃斯德赖隆平原安营。(《新约词语研究》,M.R.文森特著,1957,第2卷,542页)
启示录指出,地上列王的军队被召集“到一个地方[希腊语to'pos(托波斯)的一个词形],希伯来语叫哈米吉多顿”。(启16:16)圣经里,“托波斯”可指实际的地方(太14:13,15,35),可指“机会”或机遇(徒25:16),也可比喻处境、情况或形势(启12:6,14)。从启示录16章的上下文来看,地上列王的军队被召集所到的“地方”,指的是一种情况或形势。
启示录显示,约翰接获相关的异象时,“全能上帝的大日子”的战争哈米吉多顿还没发生,仍在前头。圣经说,天使奉命倒出“最后的”灾殃(即上帝的七碗愤怒,上帝通过这些灾殃发尽了他的愤怒);在倒出第六碗以后,列王就被召集到哈米吉多顿去。(启15:1;16:1,12)另外,鉴于启示录16章14节和16节之间加插了一个警告,说耶稣基督要像贼一样来到,显示哈米吉多顿大战跟基督的临在是密切相关的。
根据启示录第16章的上下文,哈米吉多顿显然是一场全球的战争。圣经说,“普天下的列王”受到“邪灵启示的主张”鼓动,聚集起来跟耶和华对抗。(启16:14)
约翰进一步说:“我看见野兽、地上的列王和他们的军队都聚集起来,要跟骑马的和他的军队作战。”(启19:19)启示录第19章指出,骑着白马、率领天军的那位称为“忠信真实的”和“上帝的话语”。(启19:11-13)由此可见,这队天军的统帅就是上帝的“话语”耶稣基督。(约1:1;启3:14)另一段经文也证实这一点,圣经说地上的势力要“跟绵羊羔[即耶稣基督(约1:29)]交战,绵羊羔必战胜他们,因为他是万主之主、万王之王。那些跟他一起蒙召、蒙拣选、忠信的人,也必战胜他们”。(启17:13,14)
启示录第19章的异象显示,到时只有天军跟随耶稣基督作战,耶和华在地上的仆人,即基督徒,并不会参与作战。这跟耶稣基督在马太福音26:52所说的话完全一致,他说他的门徒不会拿起实际的武器去作战。(参看出14:13,14;代下20:15,17,22,23;诗2:4-9)在哈米吉多顿大战中被杀的人的尸体,必被天上的飞鸟吃掉。(启19:11-21)
由此可见,哈米吉多顿不是人与人之间的斗争,而是上帝的隐形天军会投入的一场大战。哈米吉多顿是一定会来的,而且一定会在耶和华上帝指定的时候来。谈到耶和华,圣经说:“在天上的军队和地上的居民当中,他都照自己的旨意做事。”(但4:35;另见太24:36)。>>]
- 아마도1
也许 yěxǔ 예V쉬V
- 아마도2
可能 kěnéng 커V넝↗
- 아마도3
恐怕
kǒngpà 콩V파↘
- 아마도4,
아마
~일지도 모른다, 아마
~일 것이다, 어쩌면,
~일지도
모른다, 짐작하건대 ~일 것이다,
짐작컨대 ~일 것이다, ~할
가능성이 있다, 확실하게
말할 수 없다, 단언하기가 어렵다, 단언하기는 어렵다
说不定
shuō bu dìng 쑤오 ̄
부
띵↘ [※
<说不定=shuō
bu dìng>은 '부사'로 <~일지도 모른다, ~할 가능성이 있다,
아마 ~일지도 모른다,
아마도,
어쩌면, 아마 ~일 것이다, 짐작컨대 ~일 것이다, 짐작하건대 ~일 것이다>라는 뜻이다.
'동사'로 <확실하게 말할 수 없다, 단언하기가 어렵다,
단언하기는 어렵다>라는
뜻이다.
예측을
나타내며 가능성이 클 때 쓴다. 주어의 앞과 뒤 모두 쓰일 수
있다. 일종의
추측을 의미하며 <그럴 가능성이 크다>라는 어감을 갖고
있다. 주어 앞뒤에 다 위치할 수 있지만, 일반적으로 주어 앞에
위치한다.
예를 들어 <아마
스트레스가 풀릴지도 몰라요.=说不定能放松。=shuōbudìng
néng fàngsōng.=쑤오 ̄
부
띵↘
넝↗
팡↘쏭 ̄>,
<도대체, 회의에 참석할 수 있을지 현재
아직 확실하지 않습니다.=到底能不能参加会议,现在还说不定。=dàodǐ néng bù néng cānjiā huìyì,xiànzài hái shuō bu dìng.=따오↘디V 넝↗ 뿌↘ 넝↗ 찬 ̄찌아 ̄ 후이↘이↘, 씨앤↘짜이↘ 하이↗ 쑤오 ̄ 부 띵↘>,
<그는 아마 오지 않을 것입니다. 당신이 더 이상 출발하지 않으면 아마도 비행기를 놓칠지도 모릅니다.=他说不定不来了。
你再不出发,说不定就赶不上飞机了。=tā shuō bu dìng bù lái le。nǐ zài bù chūfā,shuō bu dìng jiù gǎn bú shàng fēijī le.=타 ̄ 쑤오 ̄ 부 띵↘ 뿌↘ 라이↗ 러. 니V 짜이↘ 뿌↘ 추 ̄파 ̄, 쑤오 ̄ 부 띵↘ 찌우↘ 깐V 부↗ 쌍↘ 페이 ̄찌 ̄ 러>]
- 아마도 ~이다,
혹은
要不就是 yàobù jiùshì 야오↘뿌↘
찌우↘쓰↘ [※ <要不就是=yàobù jiùshì>는 <혹은, 아마도 ~이다>라는 의미로 다른 추측과 가능성을 나타낸다. 여기에서 <要不>는 접속사로 <그렇지 않으면, 안 그러면, 그러지 않으면, ~하거나, ~하든지>라는 라는 뜻으로, 두 가지 중에서 하나를 선택함을 나타낸다.
예들 들어 <샤오왕은 학교에서 시험 준비를 하고 있을 수도 있고, 안계십니까? 아니면 아마도 도서관에서 책을 빌리는 중일 수도 있습니다.=小王可能在学校准备考试,不在? 那要不就是在图书馆借书。=xiǎowáng kěnéng zài xuéxiào zhǔnbèi kǎoshì,bú zài? nà yàobù jiùshì zài túshūguǎn jiè shū.=샤오V왕↗ 커V넝↗ 짜이↘ 쉬에↗쌰오↘ 준V뻬이↘ 카오V쓰↘,
부↗ 짜이↘? 나↘ 야오↘뿌↘
찌우↘쓰↘ 짜이↘ 투↗쑤 ̄꾸안V 찌에↘ 쑤 ̄.>, <저는 잠이 잘 오지 않거나, 잠이 오지 않거나, 혹은 자다가 꿈을 꾸는 경우도 있습니다.=我的睡眠不好,要不睡不着,要不就是睡着做梦。=wǒ de shuìmián bù hǎo,yàobù shuì bù zháo,yàobù jiùshì shuìzhe zuòmèng.=워V 더 쑤이↘미앤↗, 뿌↘ 하오V, 야오↘뿌↘ 쑤이↘ 뿌↘ 자오, 야오↘뿌↘
찌우↘쓰↘ 쑤이↘저 쭈오↘멍↘>]
- 아마추어, 여가의, 초심자,
근무 시간 외의, 근무 시간 외의
业余 yèyú 예↘위↗ [※
<业余=yèyú>는 <근무 시간 외의, 아마추어, 여가의, 초심자>라는 뜻의 '형용사'이다.
예를 들어 <근로자가 근무 시간 외에 학습하는 학교=业余学校=yèyú xuéxiào=예↘위↗ 쉬에↗쌰오↘>, <아마추어 가이드=业余导游=yèyú dǎoyóu=예↘위↗ 따오V요우↗>]
- 아메리카너구리, 라쿤(racoon),
너구리
浣熊 huànxióng 후안↘시옹↗ [※
<浣熊=huànxióng>은 <너구리, 아메리카너구리, 라쿤(racoon)>이라는 뜻의 '명사'이다.
한자로 <씻을 완 // 빨 완(浣)>으로 붙인 것은 <먹이를 먹기 전에 먹이를 물에 씻어 먹는 습성이 있어서 붙여진 이름>이다.]
- 아메리칸사모아,
미국령 사모아, 동사모아
美属萨摩亚 měishǔ sàmóyà 메이V수V
싸↘모↗야↘ [※
아메리칸사모아는 미국의 해외 영토이다. 독립 국가인 사모아와 구별하기 위하여 미국령 사모아 또는 동사모아라고도 부르기도 한다. 수도: 파고파고, 국가 번호: +1, 인구: 5.531만(2019년) 세계은행, 대학교: 아메리칸 사모아 커뮤니티 대학, 관광지: 파고파고, 사모아 제도, Tutuila, 타우, Ofu]
- 아멘
啊门 āmén 아 ̄먼↗ [※
“그렇게 되소서” 또는 “확실히”를 뜻하는 표현. 이 표현은 “충실하다, 신뢰할 만하다”를 의미하는 히브리어 어근 <아만>에서 나온 것이다. 맹세나 기도 또는 다른 사람의 말에 동의할 때 “아멘”이라고 말했다. 요한 계시록에서는 예수를 가리키는 칭호로 사용되었다.]
- 아모스
阿摩司书 Āmósīshū 아 ̄모↗쓰 ̄쑤 ̄ [※
성경
66권 중의 30권]
- 아무, 어느,
모
某 mǒu 모우V [<※ 참조: <某=mǒu=모우V>는 '대명사'로 <어느, 아무, 모>라는 뜻으로 <특정한 사람이나 사물의 이름을 감출 경우에 쓰이거나, 불특정한 사람이나 사물을 가리킬 때 쓰인다.> 예를 들어, <나 이 모는 그런 일을 할 사람이 아니다.=我李某不是干这种事的人。=wǒ lǐ mǒu bú shì gàn zhèzhǒng shì de rén.=워V 리V 모우V 부↗ 쓰↘ 깐↘ 쩌↘종V 쓰↘ 더 런↗>]
- 아무것도 모르다1,
어떤 일에 문외한이다,
문외한이다, 문외한,
어떤 일에 대해
아무런 경험이 없다, 경험이 없다, 전문가가 아니다
外行 wàiháng 와이↘항↗
- 아무것도 모르다2, 절대로 모른다고 말하다, 줄곧 모르는 체하다, 한 번 물으면 세 번 모른다고 하다,
시치미를 뚝 떼다, 모르는 체하다
一问三不知 yí wèn sān bùzhī 이↗
원↘ 싼 ̄ 뿌↘쯔 ̄ [※
<一问三不知=yí wèn sān bùzhī>는 <모르는 체하다, 시치미를 뚝 떼다, 아무것도 모르다, 절대로 모른다고 말하다, 줄곧 모르는 체하다, 한 번 물으면 세 번 모른다고 하다>라는 의미가 있는 '성어'이다.
예를 들어 <그들이 무엇을 묻든 자넨 시치미를 떼고 모른다고 하게.=他们问啥, 你也是个一问三不知。=tāmen wèn shá, nǐ yě shì gè yí wèn sān bùzhī.=타 ̄먼 원↘ 사↗, 니V 예V 쓰↘ 꺼↘ 이↗
원↘ 싼 ̄ 뿌↘쯔 ̄>, <저는 그녀에게 상황에 대해 물었지만 그녀는 그것에 대해 아무것도 모르기 때문에 불안했습니다.=我向她打听情况,谁知她一问三不知,把我急得要命。=wǒ xiàng tā dǎtīng qíngkuàng,shéi zhī tā yí wèn sān bùzhī,bǎ wǒ jí dé yàomìng.=워V 씨앙↘ 타 ̄ 다V팅 ̄ 칭↗쿠앙↘, 쉐이↗ 쯔 ̄ 타 ̄ 이↗
원↘ 싼 ̄ 뿌↘쯔 ̄, 바V 워V 지↗ 더↗ 야오↘밍↘>, <아무것도 모르는 그런 사람을 만나면 무엇을 물어봐도 소용이 없습니다.=遇到这样一个一问三不知的人,问什么也是白问。=yùdào zhèyàng yígè yí wèn sān bùzhī de rén,wèn shénme yě shì báiwèn.=위↘따오↘ 쩌↘양↘ 이↗꺼↘ 이↗
원↘ 싼 ̄ 뿌↘쯔 ̄ 더 런↗, 원↘ 선↗머 예V 쓰↘ 바이↗원↘>]
- 아무것도 부족하지 않다, 흠잡을 때가 없다
一无所缺 yìwúsuǒquē 이↘우↗쑤오V취에 ̄ [※
<一无所缺=yìwúsuǒquē>는 <아무것도 부족하지 않다, 흠잡을 때가 없다>라는 뜻이다.
예를 들어 <시편 23:1=诗篇 23:1>: <<23 여호와가 나의 목자시니, 나는 아무것도 부족하지 않습니다.=23 耶和华是我的牧人,我必一无所缺。=23 yēhéhuá shì wǒ de mùrén,wǒ bì yìwúsuǒquē.=23 예 ̄허↗후아↗ 쓰↘ 워V 더 무↘런↗, 워V 삐↘ 이↘우↗쑤오V취에 ̄>>]
- 아무것도
아닌데 괜히 말썽을 피우다, 쓸데없는 일을 하다
没事儿找事儿 méi
shìr zhǎo shìr 메이↗
쓸↘ 자오V
쓸↘
- 아무 때나, 언제 어디서나, 언제든지,
언제나,
수시로,
때를 가리지 않고, 그때그때에 따라서, 형편에 따라, 그때, 즉시, 곧, 제때
随时 suíshí 쑤이↗스↗
- 아무래도, 아무래도 ~이다, 어쩔 수 없다, ~을 면할 수 없다, 좀 ~하다,
꼭 ~하다, 불가피하게 ~하다
未免 wèimiǎn 웨이↘미앤V [※
<未免=wèimiǎn>은 <꼭 ~하다, 불가피하게 ~하다, 아무래도, 아무래도 ~이다, 어쩔 수 없다, ~을 면할 수 없다, 좀 ~하다>라는 뜻의 '부사'이다.
예를 들어 <아무래도 너는 걱정이 좀 지나친 것 같습니다.=你的顾虑未免多了些。=nǐ de gùlǜ wèimiǎn duō le xiē.=니V 더 꾸↘뤼↘ 웨이↘미앤V 뚜오 ̄ 러 씨에 ̄>, <두 사람은 성미가 나빠서 싸움을 할 수 밖에 없습니다.=两人脾气都不好, 未免就要争吵。=liǎng rén píqì dōu bù hǎo, wèimiǎn jiù yào zhēngchǎo.=리앙V 런↗ 피↗치↘ 또우 ̄ 뿌↘ 하오V, 웨이↘미앤V 찌우↘ 야오↘ 쩡 ̄차오V>]
- 아무래도 ~이다, 어쩔 수 없다, ~을 면할 수 없다, 아무래도, 좀 ~하다,
꼭 ~하다, 불가피하게 ~하다
未免 wèimiǎn 웨이↘미앤V [※
<未免=wèimiǎn>은 <꼭 ~하다, 불가피하게 ~하다, 아무래도, 아무래도 ~이다, 어쩔 수 없다, ~을 면할 수 없다, 좀 ~하다>라는 뜻의 '부사'이다.
예를 들어 <아무래도 너는 걱정이 좀 지나친 것 같습니다.=你的顾虑未免多了些。=nǐ de gùlǜ wèimiǎn duō le xiē.=니V 더 꾸↘뤼↘ 웨이↘미앤V 뚜오 ̄ 러 씨에 ̄>, <두 사람은 성미가 나빠서 싸움을 할 수 밖에 없습니다.=两人脾气都不好, 未免就要争吵。=liǎng rén píqì dōu bù hǎo, wèimiǎn jiù yào zhēngchǎo.=리앙V 런↗ 피↗치↘ 또우 ̄ 뿌↘ 하오V, 웨이↘미앤V 찌우↘ 야오↘ 쩡 ̄차오V>]
- 아무래도 ~하는 것이 좋겠다
还是 háishì 하이↗쓰↘
- 아무래도
~해야 한다, 반드시 ~ 해야
한다
怎么也得 zěnme yě dé 쩐V머
예V 더↗ [※
'怎么也得=zěnme yě dé'는 회화에서 주로 쓰이는 표현으로 어떤 상황에서든 혹은 무슨 일이 발생하든 <반드시 ~해야 한다, 아무래도 ~해야 한다>라는 뜻이다.
예를 들어 <저는 여기에서 3년 동안 공부했는데, 어쨌든 학위를 가지고 돌아가야 합니다.=我在这儿学习了三年,怎么也得拿一个学位回去。=wǒ zài zhèr xuéxí le sān nián,zěnme yě dé ná yíge xuéwèi huíqù=워V 짜이↘ 쩔↘ 쉬에↗시↗ 러 싼 ̄ 니앤↗, 쩐V머
예V 더↗ 이↗거 쉬에↗웨이↘ 후이↗취↘>,
<샤오리가 요구하는 아이의 성적은 아무래도 반에서 3등 안에 들어야 합니다.=小李要求他孩子的成绩怎么也得是班上的前三名。=xiǎolǐ yāoqiú tā háizi de chéngjī zěnme yě dé shì bān shàng de qián sān míng.=샤오V리V 야오 ̄치우↗ 타 ̄ 하이↗쯔 더 청↗찌 ̄ 쩐V머
예V 더↗ 쓰↘ 빤 ̄ 쌍↘ 더 치앤↗ 싼 ̄ 밍↗>]
- 아무런
목적없이, 무작정
漫无目的 màn wú mùdì 만↘
우↗ 무↘띠↘
- 아무렇게나, 제멋대로, 함부로,
멋대로, 마음대로, 되는대로, 대충
胡乱 húluàn 후↗루안↘ [※
<胡乱=húluàn>은 <대충, 되는대로, 마음대로, 멋대로, 아무렇게나, 제멋대로, 함부로>라는 뜻의 '부사'이다.
예를 들어 <되는대로 몇 가지를 사서 허기를 채우다=胡乱买些东西来充饥=húluàn mǎi xiē dōngxi lái chōngjī=후↗루안↘ 마이V 씨에 ̄ 똥 ̄시 라이↗ 총 ̄찌 ̄>, <식량은 함부로 낭비해서는 안 됩니다.=粮食不能胡乱糟蹋。=liángshi bùnéng húluàn zāotà.=리앙↗스 뿌↘넝↗ 후↗루안↘ 짜오 ̄타↘>,
<남자가 아무렇게 돈을 쓰는 것을 좋아하지 않습니다.=不再喜欢男人胡乱地花费了。=búzài xǐhuan nánrén húluàn de huāfèi le.=부↗짜이↘ 시V후안 난↗런↗ 후↗루안↘ 더 후아 ̄페이↘ 러>]
- 아무렇게나
대충하다, 불결하다, 깔끔하지 못하다, 칠칠치 못하다, 질서가
없이 엉망진창이다, 산뜻하지 않다
邋遢 lātā 라 ̄타 ̄ [※
'邋遢=lātā'는 "아무렇게나 대충하다, 불결하다, 깔끔하지 못하다, 칠칠치 못하다, 질서가 없이 엉망진창이다, 산뜻하지 않다"라는 뜻으로
예를 들어 <아무렇게나 대충 입거나 상황에 맞지 않게 지나치게 편하게 입는 것.=邋遢或过于随便的衣服。=lātā huò guòyú suíbiàn de yīfu.=라 ̄타 ̄ 후오↘ 꾸오↘위↗ 쑤이↗삐앤↘ 더 이 ̄푸>
※
한자의 뜻 <나부끼는 모양, 가는 모양, 일을 삼가지 아니하다, 나부낄 랍(邋)>, <가다, 조용히 가는 모양, 급히 가는 모양, 일을 삼가지 않는 모양, 갈 탑(遢)>]
- 아무리 ~해도[조건문에 쓰여 임의의 동작이나 속성·상황 따위를 나타냄],
어떤, 어떻게 ~해도,
어떻게, 어째서, 왜[상황·방식·원인 따위를 물음],
무슨[명사 앞에 놓이는 경우로, 명사와의 사이에 그 명사에 대한 양사를 필요로 함]
怎么 zěnme 쩐V머
- 아무 생각이 없다, 염두에 두지 않다, 제멋대로 하다, 좋을 대로 하다, 편한 대로 하다,
개의치 않다, 마음대로 하다, 신경 쓰지 않다
随随便便 suísuí-biànbiàn 쑤이↗쑤이↗-삐엔↘삐엔↘
- 아무 일도 하는 것이 없다, 아무
일도 하지 않다
无所事事 wú suǒ shì shì 우↗ 쑤오V 쓰↘ 쓰↘ [※
<无所事事=wú suǒ shì shì>는 <아무 일도 하지 않다, 아무 일도 하는 것이 없다>라는 뜻이다.
예를 들어 <우리 마을에서는 하루 종일 먹고 노는 사람은 이제 찾아볼 수 없습니다.=我们村里, 一天到晚无所事事的人已经看不到了。=wǒmen cūnlǐ, yìtiān dào wǎn wú suǒ shì shì de rén yǐjīng kànbú dào le.=워V먼 춘 ̄리V, 이↘티앤 ̄ 따오↘ 완V 우↗ 쑤오V 쓰↘ 쓰↘ 더 런↗ 이V찡 ̄ 칸↘부↗ 따오↘ 러>, <샤오왕은 하루 종일 할 일 없이 이리저리 돌아다녔고, 일자리를 구하지도 않았습니다.=小王整天无所事事地东走西逛,也不找个工作干干。=xiǎowáng zhěngtiān wú suǒ shì shì de dōng zǒu xī guàng,yě bù zhǎo gè gōngzuò gàngàn.=샤오V왕↗ 정V티앤 ̄ 우↗ 쑤오V 쓰↘ 쓰↘ 더 똥 ̄ 쪼우V 씨 ̄ 꾸앙↘, 예V 뿌↘ 자오V 꺼↘ 꽁 ̄쭈오↘ 깐↘깐↘>]
- 아무에게도 도움을 받지 못하는 어려운 상황이나 형편, 적에게 완전히 포위되어 희망이 없는 고립무원(孤立無援)의 상태,
사방에서 초나라 노래가 흘러나온다, 사면초가
四面楚歌 sìmiàn Chǔ gē 쓰↘미앤↘ 추V 꺼 ̄ [※
<四面楚歌=sìmiàn Chǔ gē>는 <사면초가, 사방에서 초나라 노래가 흘러나온다, 아무에게도 도움을 받지 못하는 어려운 상황이나 형편, 적에게 완전히 포위되어 희망이 없는 고립무원(孤立無援)의 상태>라는 뜻의 ‘성어’이다.
※ <사면초가-유래-나무위키>: <<사기 ‘항우본기’에서 유래한다. 항우가 해하에서 한군에 포위되었는데, 초나라군이 죽기살기로 덤벼들어 쉽게 기세가 꺾이지 않자, 어느날 한군이 초군의 사기를 꺾기 위해 사방에서 초나라 노래가 울려퍼지게 했다.
이러자 고향과 가족 생각에 기세가 꺾인 초군에서 탈영병이 생겨났고, 한군에서 탈영하는 초군을 죽이지 않고 일부러 지나가게 해주자 탈영병의 규모는 삽시간에 늘어났다. 심지어 항우의 숙부인 항백, 초군에서 최고의 장군인 종리말, 계포 등도 탈영했을 지경이었는데, 결국 초나라군에는 환초, 주란, 항장과 800여명의 군사만이 남았다고 한다.
이에 항우는 "한나라가 이미 초나라를 점령했다는 말인가, 어째서 초나라 노래를 부를 줄 아는 사람이 이토록 많은가!" 라는 식으로 크게 놀라고 슬퍼했다. 이때 항우는 비통해하며 노래를 불렀는데, 이것이 그 유명한 '해하가'다.
[항우, <해하가(垓下歌)>]
1-<역발산혜기개세=力拔山兮氣蓋世=힘은 산을 뽑고 기개는 세상을 덮었도다.>
2-<시불리혜추불서=時不利兮騅不逝=하지만 시운이 불리하니 추(騅)도 나아가지 않는구나.>
3-<추불서혜가나하=騅不逝兮可奈何=추마저 나아가지 않으니 난 어찌해야 하는가.>
4-<우혜우혜내약하=虞兮虞兮奈若何=우희(虞姬)여, 우희여! 그대를 어찌하면 좋은가.>
항우가 노래를 부르자, 우희(虞姬)도 답가를 불렀다고 전해진다.
[우희(虞姬), <화항왕가(和项王歌)>]
1-<한병이략지=漢兵已略地=한군이 이미 천하를 다 빼았으매>
2-<사면초가성=四面楚歌聲=사방에서 들려오는 것은 초나라의 노랫소리>
3-<대왕의기진=大王義氣盡=대왕의 의기가 다하셨다면>
4-<천첩하료생=賤妾何聊生=천첩이 살아서 무엇하리요.>
결국 서초패왕 항우도 눈물을 흘리기 시작했고, 그 모습을 본 사람들도 모두 눈물을 흘리면서 차마 항우의 얼굴을 바라보지 못했다고 한다.
이후 소설 초한지에서는 우미인 자신이 항우의 걸림돌이 된다며 직후 자결하였다는 내용이 나오지만, 정사에선 거론되지 않는 내용이다. 애초에 우미인 자체가 항우에게 총애받았다는 것 외에는 많은 서술이 남아있지 않는 인물이다.
사실 ‘사면초가’와 비슷하게 적군에게 익숙한 노래 등을 틀어서 사기를 꺾는 심리전은 예전에도 있었고, 지금도 종종 유용하게 사용되는 방법이다.>>]
- 아무
일도 하지 않다, 아무 일도 하는 것이 없다
无所事事 wú suǒ shì shì 우↗ 쑤오V 쓰↘ 쓰↘ [※
<无所事事=wú suǒ shì shì>는 <아무 일도 하지 않다, 아무 일도 하는 것이 없다>라는
뜻이다.
예를 들어 <우리 마을에서는 하루 종일 먹고 노는 사람은 이제 찾아볼 수 없습니다.=我们村里, 一天到晚无所事事的人已经看不到了。=wǒmen cūnlǐ, yìtiān dào wǎn wú suǒ shì shì de rén yǐjīng kànbú dào le.=워V먼 춘 ̄리V, 이↘티앤 ̄ 따오↘ 완V 우↗ 쑤오V 쓰↘ 쓰↘ 더 런↗ 이V찡 ̄ 칸↘부↗ 따오↘ 러>, <샤오왕은 하루 종일 할 일 없이 이리저리 돌아다녔고, 일자리를 구하지도 않았습니다.=小王整天无所事事地东走西逛,也不找个工作干干。=xiǎowáng zhěngtiān wú suǒ shì shì de dōng zǒu xī guàng,yě bù zhǎo gè gōngzuò gàngàn.=샤오V왕↗ 정V티앤 ̄ 우↗ 쑤오V 쓰↘ 쓰↘ 더 똥 ̄ 쪼우V 씨 ̄ 꾸앙↘, 예V 뿌↘ 자오V 꺼↘ 꽁 ̄쭈오↘ 깐↘깐↘>]
- 아무튼1, 어쨌든,
어차피, 결국
反正 fǎnzheng 판V정 [※
<反正=fǎnzheng=판V정>은 뒤에 오는 단어 <zheng=정>이 경성일 때, '부사'로 쓰여 <결국, 어차피, 어쨌든, 아무튼>이라는 뜻을 가지고 있다. 단호하고 확실한 어기에 쓰이며, 상황은 비록 다르지만 결과는 같다는 것을 나타낸다.
예를 들어 <어차피 가든 안가든 마찬가지입니다.=反正去不去都是一样的。=fǎnzheng qù bú qù dōu shì yíyàng de.=판V정 취↘ 부↗ 취↘ 또우 ̄ 쓰↘ 이↗양↘ 더>,
<조급해 하지 마세요, 어쨌든 아무 일도 아닙니다.=你别着急,反正不是什么事。=nǐ bié zháojí,fǎnzheng bú shì shénme shì.=니V 비에↗ 자오↗지↗, 판V정 부↗ 쓰↘ 선↗머 쓰↘>
<反正=fǎnzheng=판V정>은
성조가 경성이면 <어쨌든, 아무튼, 결국, 어차피>의 뜻이 되고 <反正=fǎnzhèng=판V쩡↘>
성조가 4성이면 <투항해 오다, 귀순하다[적의 군대 또는 사람이], 정상적인 상태로
돌아오다>가 된다.]
- 아무튼2,
어쨌든, 요컨대,
결국, 총괄적으로
말해서, 하여간, 한마디로 말하면
总之 zǒngzhī 쫑V쯔 ̄
- 아바타(avatar),
변화신(變化身), 성육신(成肉身), 화신
化身 huàshēn 후아↘썬 ̄ [※
<化身=huàshēn>은 <변화신(變化身), 성육신(成肉身), 아바타(avatar), 화신>이란 뜻의 '명사'로 추상적 관념의 구체적 형상이다.
예를 들어 <정의의 화신=正义的化身=zhèngyì de huàshēn=쩡↘이↘ 더 후아↘썬 ̄>]
- 아버지1,
부친
父亲
fùqīn 푸↘친 ̄ [※
<父亲=fùqīn>은 <부친, 아버지>라는 뜻의 '명사'이다.
예를 들어 <나의 아버지=我的父亲=wǒ de fùqīn=워V 더 푸↘친 ̄>]
- 아버지2,
아빠
爸爸 bàba 빠↘바 [※
<爸爸=bàba>는 <아빠>라는 뜻의 '명사'이다.
예를 들어 <그분은 나의 친아빠입니다.=他是我的亲爸爸。=tā shì wǒ de qīn bàba.=타 ̄ 쓰↘ 워V 더 친 ̄ 빠↘바>
<아버지의 속칭, 노인의 존칭, 아비
파(爸)=父-총8획>]
- 아버지3
爹爹
diēdie 띠에 ̄디에
- 아보카도1
牛油果 niúyóuguǒ 니우↗요우↗꾸오V
- 아보카도2
油梨 yóulí 요우↗리↗
- 아보카도3
酪梨 làolí 라오↘리↗
- 아부하는
말,
아첨하는 말, 알랑거리는 말, 비위를 맞추는 말
马屁 mǎpì 마V피↘
- 아부하다1,
아첨하다, 알랑거리다, 비위를 맞추다
拍马屁 pāi
mǎpì 파이 ̄
마V피↘
- 아부하다2, 아첨하다, 열망하다, 진력하다, 힘쓰다,
노력하다,
몹시 바라다,
비위를 맞추다
巴结 bājie 빠 ̄지에 [※ <巴结=bājie>는 <노력하다, 몹시 바라다, 비위를 맞추다, 아부하다, 아첨하다, 열망하다, 진력하다, 힘쓰다>라는 뜻의 '동사'이다.
예를 들어 <그 사람은 남의 비위를 잘 맞춥니다.=他会巴结人。=tā huì bājie rén.=타 ̄ 후이↘ 빠 ̄지에 런↗>, <관직을 얻기 위해 애씁니다.=巴结差事。=bājie chàshì.=빠 ̄지에 차↘쓰↘>, <그는 돈벌기를 몹시 바랍니다.=他巴结发财。=tā bājie fācái.=타 ̄ 빠 ̄지에 파 ̄차이↗>]
- 아브라함의 씨의 이차적인 부분
亚伯拉罕的次要苗裔 yàbólāhăn de cìyào miáoyì 야↘보↗라 ̄한V
더 츠↘야오↘
먀오↗이↘
- 아빠,
아버지
爸爸 bàba 빠↘바 [※
<爸爸=bàba>는 <아빠>라는 뜻의 '명사'이다.
예를 들어 <그분은 나의 친아빠입니다.=他是我的亲爸爸。=tā shì wǒ de qīn bàba.=타 ̄ 쓰↘ 워V 더 친 ̄ 빠↘바>
<아버지의 속칭, 노인의 존칭, 아비
파(爸)=父-총8획>]
- 아수라장이다,
혼잡하다, 엉망진창이다
乱七八糟 luàn
qī bā zāo 루안↘
치 ̄
빠 ̄ 짜오 ̄
- 아쉬운
대로, 양보하다,
한곳에 모으다,
대충, 다가서다, 한 곳에 모이다, 같이 걷다, 가까이 오다, 기분을 맞추다,
그런대로
~할 만하다, 보조를 맞추다
凑合 còuhe 초우↘허
- 아쉬운 대로 참고 견디다, 아쉬운 대로 하다, 어물쩍하다, 얼버무리다,
그럭저럭 때우다, 대처하다, 대응하다, 대강하다
应付 yìngfu 잉↘푸 [※
<应付=yìngfu>는 <그럭저럭 때우다, 대강하다, 대응하다, 대처하다, 아쉬운 대로 참고 견디다, 아쉬운 대로 하다, 어물쩍하다, 얼버무리다>라는 뜻의 '동사'이다.
예를 들어 <복잡한 국면에 대처하다=应付复杂局面=yìngfu fùzá júmiàn=잉↘푸 푸↘짜↗ 쥐↗미앤↘>, <적당히 하다=应付事儿=yìngfu shìr=잉↘푸 쓸↘>, <이 옷으로 금년은 그럭저럭 지낼 수 있습니다.=这件衣服今年还可以应付得过去。=zhè jiàn yīfu jīnnián hái kěyǐ yìngfu de guòqù.=쩌↘ 찌앤↘ 이 ̄푸 찐 ̄니앤↗ 하이↗ 커V이V 잉↘푸 더 꾸오↘취↘>]
- 아쉬운 대로 참고 견디어 온전함을 바라다, 일을 그르치지 않으려고 유연한 태도를 취하다,
자기 의견을 굽혀 일을 성사시키려고 하다, 자신의 뜻을 굽히면서 일을 성사시키려 함을 가리킴, 전반적인 국면을 위해서 양보함, 그럭저럭 양보하며 보전을 꾀하다
委曲求全 wěi qū qiú quán 웨이V 취 ̄ 치우↗ 취앤↗ [※
<委曲求全=wěi qū qiú quán>는 <그럭저럭 양보하며 보전을 꾀하다, 아쉬운 대로 참고 견디어 온전함을 바라다, 일을 그르치지 않으려고 유연한 태도를 취하다,
자기 의견을 굽혀 일을 성사시키려고 하다, 자신의 뜻을 굽히면서 일을 성사시키려 함을 가리킴, 전반적인 국면을 위해서 양보함>이라는 뜻이다.
예를 들어 <그는 회사에서 수모를 당해도, 굽힐 수밖에 없습니다.=为了保住这份工作,他即使在公司受了气,也只能委曲求全。=wèile bǎozhù zhè fèn gōngzuò,tā jíshǐ zài gōngsī shòu le qì,yě zhǐnéng wěi qū qiú quán.=웨이↘러 바오V쭈↘ 쩌↘ 펀↘ 꽁 ̄쭈오↘, 타 ̄ 지↗스V 짜이↘ 꽁 ̄쓰 ̄ 쏘우↘ 러 치↘, 예V 즈V넝↗ 웨이V 취 ̄ 치우↗ 취앤↗>, <자기 뜻을 굽혀 안전을 꾀하며 되는 대로 살아가는 것은 결코 진정한 삶이 아니다.=委曲求全的苟活决不是真正的生。=wěi qū qiú quán de gǒuhuó juébú shì zhēnzhèng de shēng.=웨이V 취 ̄ 치우↗ 취앤↗ 더 꼬우V후오↗ 쥐에↗부↗ 쓰↘ 쩐 ̄쩡↘ 더 썽 ̄>
※ 참조
1-유의어: <고분고분하고 조심하는 모양.=底声下气。=dǐ shēng xià qì.=띠V 썽 ̄ 씨아↘ 치↘>
2-반의어: <비굴하지도 거만하지도 않다. // 언행이 자연스럽고 의젓하다.=不卑不亢。=bù bēi bù kàng.=뿌↘ 뻬이 ̄ 뿌↘ 캉↘>]
- 아쉬운 대로 하다, 어물쩍하다, 얼버무리다,
아쉬운 대로 참고 견디다, 그럭저럭 때우다, 대처하다, 대응하다, 대강하다
应付 yìngfu 잉↘푸 [※
<应付=yìngfu>는 <그럭저럭 때우다, 대강하다, 대응하다, 대처하다, 아쉬운 대로 참고 견디다, 아쉬운 대로 하다, 어물쩍하다, 얼버무리다>라는 뜻의 '동사'이다.
예를 들어 <복잡한 국면에 대처하다=应付复杂局面=yìngfu fùzá júmiàn=잉↘푸 푸↘짜↗ 쥐↗미앤↘>, <적당히 하다=应付事儿=yìngfu shìr=잉↘푸 쓸↘>, <이 옷으로 금년은 그럭저럭 지낼 수 있습니다.=这件衣服今年还可以应付得过去。=zhè jiàn yīfu jīnnián hái kěyǐ yìngfu de guòqù.=쩌↘ 찌앤↘ 이 ̄푸 찐 ̄니앤↗ 하이↗ 커V이V 잉↘푸 더 꾸오↘취↘>]
- 아쉬워하다1,
아쉽다
可惜 kĕxī 커V씨 ̄
- 아쉬워하다2, 안타까워하다, 애석해하다[남의 불행이나 슬픔에 대해서]
惋惜 wǎnxī 완V씨 ̄
- 아쉽다1,
아쉬워하다
可惜 kĕxī 커V씨 ̄
- 아쉽다2,
아까워하다, 미련이 남다, 섭섭하다, 헤어지기 아쉽다
舍不得 shěbude 서V부더 [※
<舍不得=shěbude>는 <미련이 남다, 섭섭하다, 아까워하다, 아쉽다, 헤어지기 아쉽다>라는 뜻이다.
예를 들어 <중대장은 자기 부대를 떠나기가 아쉬워서, 겨우 며칠 쉬고는 곧 돌아왔습니다.=连长舍不得自己的部队, 才休养几天就赶回来了。=lián zhǎng shěbude zìjǐ de bùduì, cái xiūyǎng jǐ tiān jiù gǎn huílai le.=리앤↗ 장V 서V부더 쯔↘지V 더 뿌↘뚜이↘, 차이↗ 씨우 ̄양V 지V 티앤 ̄ 찌우↘ 깐V 후이↗라이 러>]
- 아스팔트1,
역청
沥青 lìqīng 리↘칭 ̄
- 아스팔트2,
콜타르
柏油 băiyóu 바이V요우↗
- 아시아,
아시아 주
亚洲 Yàzhōu 야↘쪼우 ̄
- 아시아
다람쥐, 다람쥐, 시베리아 다람쥐, 칩멍크(chipmunk)
花鼠 huāshǔ 후아 ̄수V [※
<나무위키>: <<쥐목 다람쥣과의 동물(스크워얼=squirrel), 아래의 다람쥐(칩멍크=chipmunk)를 포함하고 있는, 영어로 '스크워얼=squirrel'로 부르는 동물의 총칭. 한국에는 다람쥐, 청설모(레드 스크워얼=red squirrel) 등이 산다. 우리가 주로 말하는 다람쥐는 광의의 의미로 다람쥣과를 말한다. 다람쥣과는 다람쥐, 하늘다람쥐, 날다람쥐, 청설모, 프레리독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 동물들을 총칭하는 명칭으로 다람쥐를 사용하나 엄밀하지는 않다. 좁은 의미의 다람쥐(칩멍크=chipmunk)는 학명: <Tamias sibiricus=태미어즈 시비리커스> 혹은 <Eutamias sibiricus=유테이미어즈 시비리커스>이다. 영어: <chipmunk=칩멍크>, <Siberian chipmunk=사이비어리언 칩멍크>, <Asiatic chipmunk=에이지애틱 칩멍크>라고 부른다.
줄무늬 다람쥐는 산에서 흔히 볼 수 있는 동물이고 이에 따라 다람쥐는 '산골짝의 다람쥐'라는 동요까지 있을 정도로 한국인에게 친숙하다.
북아메리카와 동아시아 북동부에서 사는 설치류의 한 종류이다. 등에 줄무늬가 있는 것이 특징이다. 대부분의 종이 북아메리카에서 살며, 한국과 동아시아에서 사는 시베리아 다람쥐는 전 다람쥐 중에서 유일하게 북아메리카 이외의 지역에 사는 종이다. 어원은 'ᄃᆞᄅᆞᆷ+쥐'로, 'ᄃᆞᄅᆞᆷ'은 '달리다(走)'라는 뜻인 'ᄃᆞᆮ다'의 명사형이다. 재빠르게 잘 달리는 쥐라는 뜻인데, 현대국어식으로 바꾸면 '달림쥐' 또는 '달리기쥐' 라고 할 수 있겠다.>>
<중국 위키 백과(维基百科,自由的百科全书)>: <<花鼠(学名:
Eutamias sibiricus)为松鼠科花鼠属的动物,亦称“五道眉”。已知有2属,东美花鼠属有一种,栖息在北美洲东部;花鼠属有16种,栖息在北美西部、中亚和东亚。
[목록(目录)]
1. 특정(特征) 2. 분포(分布) 3. 아종(亚种) 4. 참고문헌(参考文献)
[특정(特征)]
花鼠比松鼠小,体长13~16厘米,尾长9~13厘米。背有5条明显的黑纵纹,中间一条最长,向前延伸到头顶,最外2条较短,围有白纹;头顶为棕黑色,眼上下和耳缘为白色,四肢为淡黄色。
[분포(分布)]
在中国大陆,分布于黑龙江、青海、内蒙古、甘肃、河南、陕西、山西、宁夏、河北、辽宁、吉林、新疆、四川等地,一般生活于森林、灌丛。该物种的模式产地在Barnaul,Sibiria。[1]
[아종(亚种)]
1-花鼠太白亚种(学名:Eutamias sibiricus albogularis),J. Allen于1909年命名。在中国大陆,分布于陕西(南部)、甘肃、青海、四川等地。该物种的模式产地在陕西太白山。[2] 2-花鼠黑龙江亚种(学名:Eutamias sibiricus lineatus),Siebold于1824年命名。在中国大陆,分布于黑龙江(三江平原)等地。该物种的模式产地在日本北海道。[3] 3-花鼠榆林亚种(学名:Eutamias sibiricus ordinalis),Thomas于1908年命名。在中国大陆,分布于陕西(北部)、宁夏、山西等地。该物种的模式产地在陕西榆林。[4] 4-花鼠乌苏里亚种(学名:Eutamias sibiricus orientalis),Bonhote于1898年命名。在中国大陆,分布于吉林(长白山)、辽宁等地。该物种的模式产地在东西伯利亚乌苏里江上游。[5] 5-花鼠北京亚种(学名:Eutamias sibiricus senecens),Miller于1898年命名。在中国大陆,分布于河北、河南、山西等地。该物种的模式产地在北京。[6] 6-花鼠指名亚种(学名:Eutamias sibiricus sibiricus),Laxmann于1769年命名。在中国大陆,分布于黑龙江(北部)、内蒙古(东北部)、新疆(北部)等地。该物种的模式产地在阿尔泰山。[7]
[참고문헌(参考文献)]
1. 跳转至: 1.0 1.1 中国科学院动物研究所. 花鼠. 《中国动物物种编目数据库》. 中国科学院微生物研究所. [2009-03-27]. (原始内容存档于2013-12-03). 2. 中国科学院动物研究所. 花鼠太白亚种. 《中国动物物种编目数据库》. 中国科学院微生物研究所. [2009-03-27]. (原始内容存档于2016-03-05). 3. 中国科学院动物研究所. 花鼠黑龙江亚种. 《中国动物物种编目数据库》. 中国科学院微生物研究所. [2009-03-27]. (原始内容存档于2016-03-05). 4. 中国科学院动物研究所. 花鼠榆林亚种. 《中国动物物种编目数据库》. 中国科学院微生物研究所. [2009-03-27]. (原始内容存档于2016-03-05). 5. 中国科学院动物研究所. 花鼠乌苏里亚种. 《中国动物物种编目数据库》. 中国科学院微生物研究所. [2009-03-27]. (原始内容存档于2016-03-05). 6. 中国科学院动物研究所. 花鼠北京亚种. 《中国动物物种编目数据库》. 中国科学院微生物研究所. [2009-03-27]. (原始内容存档于2013-12-03). 7. 中国科学院动物研究所. 花鼠指名亚种. 《中国动物物种编目数据库》. 中国科学院微生物研究所. [2009-03-27]. (原始内容存档于2016-03-05).>>]
-
아시아 주,
아시아
亚洲 Yàzhōu 야↘쪼우 ̄
-
아시안
게임
亚运会 Yàyùnhuì 야↘윈↘후이↘
- 아예1,
처음부터 끝까지, 전혀
根本 gēnběn 껀 ̄번V [※
부사
<根本>은
부정문에서 <전혀, 아예, 처음부터 끝까지>의 뜻으로
쓰인다.]
- 아예2,
전혀, 시원스럽다, 시원스럽게, 깨끗하게, 근본적으로 명쾌하다,
명쾌하다, 간단명료하다, 그냥,
차라리, 사람의
말이나 행동이나 성격 등이 단독직입적이다
干脆 gāncuì 깐 ̄추이↘ [※
<干脆=gāncuì>는 '형용사'로는 <근본적으로
명쾌하다, 사람의 말이나 행동이나 성격 등이 단독직입적이다,
간단명료하다, 시원스럽다, 명쾌하다>라는 뜻이다.
'부사'로는 <차라리, 그냥, 아예, 전혀, 깨끗하게, 시원스럽게>라는
뜻이다.
예를 들어 <당신이 생각하는 대로 간단하게 말해보세요.=你怎么想就怎么说,干脆点儿。=nǐ zěnme xiǎng jiù zěnme shuō,gāncuì diǎnr=니V 쩐V머 시앙V 찌우↘ 쩐V머 쑤오 ̄, 깐 ̄추이↘ 띠알V & 질질끌지 말고 그냥 헤어지세요!=不要拖拖拉拉的,干脆分手吧!=búyào tuōtuōlālā de,gāncuì fēnshǒu ba!=부↗야오↘ 투오 ̄투오 ̄라 ̄라 ̄ 더, 깐 ̄추이↘ 펀 ̄쏘우V 바!>]
- 아예3,
완전히, 전혀, 정말, 차라리,
실로, 솔직하게, 숨김없이, 명백히, 그야말로
简直 jiǎnzhí 지앤V즈↗ [※
<简直=jiǎnzhí>는 <그야말로,
명백히,
솔직하게, 숨김없이, 실로, 아예, 완전히, 전혀, 정말, 차라리>라는 뜻의 '부사'이다.
예를 들어 <전혀 모릅니다.=简直不知道。=jiǎnzhí bù zhīdào.=지앤V즈↗ 뿌↘ 쯔 ̄따오↘>, <비가 저렇게 많이 오는데 차라리 돌아가지 마세요.=雨下得那么大, 你简直别回去了。=yǔ xià de nàme dà, nǐ jiǎnzhí bié huíqù le.=위V 씨아↘ 더 나↘머 따↘, 니V 지앤V즈↗ 비에↗ 후이↗취↘ 러>, <사실대로 말해보세요.=简直地说出来。=jiǎnzhí de shuō chūlái.=지앤V즈↗ 더 쑤오 ̄ 추 ̄라이↗>,
<이렇게 돈을 쓰는 것은 정말 큰 낭비입니다.=这样花钱,简直太浪费了。=zhèyàng huāqián,jiǎnzhí tài làngfèi le.=쩌↘양↘ 후아 ̄치앤↗, 지앤V즈↗ 타이↘ 랑↘페이↘ 러>
- 아예4, 차라리, 체면도 없이, 충분히, 마음껏,
부끄러움도 없이, 성격이 강직하다
索性 suǒxìng 쑤오V씽↘ [※ <索性=suǒxìng>은 <마음껏, 부끄러움도 없이, 아예, 차라리, 체면도 없이, 충분히>라는 뜻의 '부사'이다.
그리고 <성격이 강직하다>라는 뜻의 '형용사'이다.<아예 가지 마라=索性不走吧=suǒxìng bù zǒu ba=쑤오V씽↘ 뿌↘ 쪼우V 바>, <체면도 없이 목을 놓아 울기 시작했습니다.=索性放声大哭起来了。=suǒxìng fàngshēng dà kū qǐlái le.=쑤오V씽↘ 팡↘썽 ̄ 따↘ 쿠 ̄ 치V라이↗ 러>, <격하고 강직한 대장부=激烈索性的好汉=jīliè suǒxìng de hǎo hàn=찌 ̄리에↘ 쑤오V씽↘ 더 하오V 한↘>]
- 아우디(Audi)
奥迪 Àodí 아오↘디↗
- 아울러,
그리고2, ~까지, 및
以及 yǐjí 이V지↗
- 아이,
어린아이, 아동, 아기, 자녀, 자식
孩子 háizi 하이↗쯔 [※
<孩子=háizi>는 <아기, 아이, 아동, 어린아이,
자녀, 자식>라는 '명사'이다.
예를 들어 <사내아이=男孩子=nánháizi=난↗하이↗쯔>, <그녀는 자식이 둘 있다.=她有两个孩子。=tā yǒu liǎng ge háizi.=타 ̄ 요우V 량V 거 하이↗쯔>]
- 아이가
울기 시작했다
孩子开始哭起来了 háizi kāishǐ kū qǐlái le 하이↗쯔
카이 ̄스V
쿠 ̄
치V라이↗
러
- 아이구!,
어![놀람을 나타냄]
咦!
yí! 이↗
- 아이들의 장난, 아희, 어린이 장난, 중요한 일에 대해서 무책임하고 진지하게 하지 않다
儿戏 érxì 얼↗씨↘ [※
<儿戏érxì>는 <아이들의 장난, 아희, 어린이 장난, 중요한 일에 대해서 무책임하고 진지하게 하지 않는 것>이라는 뜻의 '명사'이다.
예를 들어 <결혼은 아이들의 장난이 아닙니다, 평생을 함께 하기로 약속했으니 상대방에 대한 책임을 져야 합니다.=婚姻不是儿戏,既然承诺了携手一生,就要对对方负责。=hūnyīn bú shì érxì,jìrán chéngnuò le xiéshǒu yìshēng,jiù yào duì duìfāng fùzé.=훈 ̄인 ̄ 부↗ 쓰↘ 얼↗씨↘, 찌↘란↗ 청↗누오↘ 러 시에↗소우V 이↘썽 ̄, 찌우↘ 야오↘ 뚜이↘ 뚜이↘팡 ̄ 푸↘쩌↗>]
- 아이디[ID]1
帐号 zhànghào 짱↘하오↘
- 아이디[ID]2
网名 wǎngmíng 왕V밍↗
- 아이디[ID]3
用户名 yònghùmíng 용↘후↘밍↗
- 아이라인(eye
line), 눈선, 감시자, 밀정, 스파이, 시선(視線)
眼线 yǎnxiàn 옌V씨앤↘
- 아이리스(Iris=붓꽃)
鸢尾花 yuānwěihuā 위앤 ̄웨이V후아 ̄ [※
아이리스(Iris=붓꽃),
꽃말:
<좋은 소식, 잘 전해 주세요>
※ 꽃말에 대한 좀 더 방대한 자료는 <JDM
꽃말 사전 바로 가기 클릭>
이탈리아에 아이리스라는 미인이 있었다. 명문 귀족 출신으로 착한 마음씨와 고귀한 성품을 지닌 그녀는 로마의 한 왕자와 결혼을 했지만 얼마 지나지 않아 왕자가 병으로 죽고 만다. 홀로 된 아이리스는 청혼을 하는 사람이 많았으나, 그 누구에게도 응하지 않고 항상 푸른 하늘만 마음속으로 동경하며 지냈다. 그러던 어느 날, 산책길에 젊은 화가를 만났고 그 역시도 아이리스를 사랑하게 된다. 화가는 열심히 청혼을 했고, 결국 화가의 열정에 감동한 아이리스는 다음과 같은 조건을 제시했다.
"살아 있는 것과 똑같은 꽃을 그려 주세요."
화가는 온 열정을 다해 그림을 그렸고, 아이리스는 그림을 본 순간 그 아름다운 자태에 감동했다. 하지만 이내 "이 그림에는 향기가 없네요." 하고 실망스런 탄성을 내쉬었다. 그때였다. 어디선가 노랑나비 한 마리가 날아와 그림에 살포시 내려앉더니, 날개를 차분히 접고 꽃에 키스를 하는 것이 아닌가. 그 순간 아이리스는 감격에 차 눈을 반짝이면서 화가에게 키스를 했다. 이후 푸른 하늘빛의 꽃, 아이리스는 그들이 처음 나누었던 키스의 향기를 그대로 간직해 지금도 꽃이 필 때면 은은하고 그윽한 향기를 풍긴다고 한다.
‘아이리스’는 무지개란 뜻이다. 붓꽃의 꽃말은 비 내린 뒤에 보는 무지개처럼 ‘기쁜 소식’이다.]
- 아이쇼핑(eye shopping)하다,
쇼핑하다, 거리를 구경하며 돌아다니다, 거리를 쏘다니다, 거리를 거닐다, 거리 구경을 하다
逛街 guàngjiē 꾸앙↘찌에 ̄
- 아이스크림1
冰淇淋 bīngqílín 삥 ̄치↗린↗
- 아이스크림2
雪糕 xuěgāo 쉬에V까오 ̄
- 아이스크림3
冰激凌 bīngjīlíng 삥 ̄찌 ̄링↗
- 아이스티,
아이스 홍차, 얼음 홍차
冰红茶 bīnghóngchá 삥 ̄홍↗차↗
- 아이슬란드
冰岛 bīngdǎo 삥 ̄따오V [※
유럽의 국가, 아이슬란드는 북유럽에 위치한 섬나라이다. 그린란드의 남동쪽, 영국과 덴마크의 자치령인 페로 제도의 북서쪽에 위치하고 있으며, 수도는 레이캬비크이다. 대서양 중앙 해령의 위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아이슬란드는 화산 활동이 활발하며, 지열의 작용도 거대한 규모로 이뤄진다. 수도: 레이캬비크, 면적: 103,000km², 인구: 35.7만(2019년) 유로스태트, 대통령: 그뷔드니 소를라시위스 요한네손, 여행 계획하기, 즐길 거리, 3성급 호텔은 평균 ₩191,720, 5성급 호텔은 평균 ₩630,465입니다. 관광지: 레이캬비크, Jökulsárlón, Thingvellir National Park]
- 아이의
공부를 돌봐주다
陪读 péidú 페이↗두↗
- 아이티
海地 hǎidì 하이V띠↘ [※
카리브 제도의 국가, 아이티 공화국, 약칭 아이티는 북아메리카 카리브해의 섬나라이며, 수도는 포르토프랭스, 언어는 프랑스어와 아이티어이다. 수도: 포르토프랭스, 대통령: 조베넬 모이즈, 인구: 1126만(2019년) 세계은행, 공식 언어: 아이티어, 불어, 관광지: 포르토프랭스, 라바디, 토르투가 섬, 카프아이시앵, 자크멜]
- 아인슈타인
爱因斯坦 àiyīnsītǎn 아이↘인 ̄쓰 ̄탄V [※
알베르트 아인슈타인, 독일-미국-스위스 이론 물리학자, 알베르트 아인슈타인은 독일 태생으로 스위스와 미국에서 활동한 이론물리학자이다. 그의 일반 상대성이론은 현대 물리학의 형성에 지대한 영향을 끼쳤다. 1921년 광전효과에 관한 기여로 인하여 노벨 물리학상을 수상하였다. 출생: 1879년 3월 14일, 독일 울름, 사망 정보: 1955년 4월 18일, 미국 뉴저지 펜 메디신 프린스턴 메디컬 센터, 배우자: 엘사 아인슈타인(1919년–1936년), 밀레바 마리치(1903년–1919년), 자녀: 에두아르트 아인슈타인, 한스 알베르트 아인슈타인, 리제를 아인슈타인, 학력: 취리히 대학교(1905년), 철학과 사상: "나는 천재가 아닙니다. 다만 남보다 오래 한 가지 일만 해 왔을 뿐입니다.
종교적 견해: 아인슈타인은 불가지론자였다. 특히 확률적으로 존재하기 어려운 인격신, 유대교와 기독교 세계관의 여호와를 부정하였으며, 자유의지의 존재도 과학적으로 확인되지 않았다는 이유로 믿지 않았고, 생명체의 사고는 주로 환경에 의해 결정된다고 보았다. 생전에 아인슈타인은 이런 말을 했다.
“나는 자신의 창조물을 심판한다는 신을 상상할 수가 없다. 또한 나는 물리적인 죽음을 경험하고도 살아남는 사람이란 것을 상상할 수도 없으며, 믿고 싶지도 않다. 유약한 영혼들이 두려움이나 터무니없는 자기중심적 사고에 빠진 나머지 그런 사고를 전도한다. 나는 삶의 영원성이 미스터리로 남은 지금 그대로에, 그리고 내가 현 세계의 놀라운 구조를 엿볼 수 있음에 만족하며, 또한 비록 작은 부분이기는 하지만, 자연에 스스로를 체화한 이성의 일부를 이해하는 데 내가 전력투구해온 삶에 만족한다.”— 아인슈타인, "Mein Weltbild"
(1931)
또한 1954년에 아인슈타인이 철학자 에릭 구트킨트(Eric Gutkind)에게 보내는 편지에는 이런 내용들이 적혀있다.
“내게 신이라고 하는 단어는 인간의 약점을 드러내는 표현이나 산물에 불과하다. 성서는 명예롭지만 꽤나 유치하고 원시적인 전설들의 집대성이며 아무리 치밀한 해석을 덧붙이더라도 이 점은 변하지 않는다.”— 아인슈타인, 1954년 1월 3일의 편지
아인슈타인의 종교적 관점에서의 창조주에 대한것은 다음과 같은 아인슈타인의 견해가 기록되어 있다.
“인간이 도저히 이해가 되지 않는 우주에 나타나 있는 초월적 존재에 대한 감성적인 확신이 내가 이해하는 하느님이다”— 아인슈타인, 1953 출간된 영국 런던의 책자.]
- 아일랜드
爱尔兰 àiěrlán 아이↘얼V란↗ [※
유럽의 국가, 아일랜드는 유럽의 북서쪽 브리튼 제도에 있는 섬나라로 아일랜드섬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아일랜드라는 말은 지리적인 의미와 혼동할 수 있으며, 아일랜드 공화국이라는 명칭으로 사용하는 예가 많다. 수도: 더블린, 인구: 490.4만 (2019년) 유로스태트, 대통령: 마이클 D. 히긴스, 관광지: 더블린, 골웨이, 코크, 킬라니, 킬케니, 딩글, 워터포드, 리머릭, 공식 언어: 아일랜드어, 영어]
- 아저씨1,
[존칭], 스승, 사부, 사범
师傅 shīfu 쓰 ̄푸
- 아저씨2,
삼촌, 숙부, 시동생
叔叔 shūshu 쑤 ̄수
- 아제르바이잔
阿塞拜疆 āsàibàijiāng 아 ̄싸이↘빠이↘찌앙 ̄ [※
국가, 아제르바이잔 공화국, 줄여서 아제르바이잔은 캅카스에 위치한 공화국으로, 수도는 바쿠, 공용어는 아제르바이잔어이다. 주민은 아제르바이잔인이다. 수도: 바쿠, 인구: 1002만 (2019년) 세계은행, 대통령: 일함 알리예프, 국무총리: 알리 아사도프, 공식 언어: 아제르바이잔어]
- 아조레스,
아조레스 제도, 아소르스 제도
亚速尔群岛 yàsùěrqúndǎo 야↘쑤↘얼V췬↗따오V [※
아소르스 제도 또는 아조레스 제도는 포르투갈령의 해외 섬이다. 행정상 공식 명칭은 아소르스 자치 지방으로, 중심 도시는 폰타델가다이다. 이름은 참매에서 유래했다. 면적: 2,346km², 국가: 아소르스 찬가, 대학교: University of the Azores, 관광지: 사오 미겔, 폰타델가다, 테르세이라 섬, 피쿠 섬, 파이알 섬]
- 아주1,
대단히, 꼭대기
顶 dǐng 띵V
- 아주2,
대단히, 특별히, 별다르다, 보통이 아니다
特别 tèbié 터↘비에↗
- 아주3,
의심쩍다, 이상하다, 괴상하다,
괴이쩍다, 괴이하다, 매우, 정말, 탓하다
怪
guài
꽈이↘ [※
<怪=guài>는 '형용사'로 <이상하다, 괴상하다>라는 뜻이고, '동사'로 <의심쩍다, 괴이쩍다, 괴이하다,
탓하다>라는 뜻이다. 그리고 '부사'로 <매우, 정말, 아주>라는 뜻이다.
예를 들어 <괴상한 일=怪事=guàishì=꽈이↘쓰↘>, <이상할 것 없다.=难怪。=nánguài.=난↗꽈이↘>, <참으로 가련하다.=怪可怜。=guài kělián.=꽈이↘ 커V리앤↗>]
- 아주4, 몹시, 매우,
대단히, 잘, 정말,
퍽, 악랄하다, 악독하다, 잔인하다, 매섭다,
모질다
很 hěn 헌V [※
<很=hěn>은 1-<대단히, 매우,
몹시, 아주, 잘, 정말, 퍽>이라는 뜻의 '부사'이다. 그리고 형용사가 가리키는 성질이나 상태의 정도를 나타낸다. 또한 ‘有’가 보통 추상적인 뜻의 목적어를 취하는 구문에서, 어떤 상태를 가리키는 경우, 그 정도를 나타낸다. 구체적인 사물을 지시하는 명사가 쓰여도 이 경우에는 추상적인 개념을 가지게 된다.
또한 2-<악독하다, 악랄하다, 매섭다,
모질다, 잔인하다>라는 뜻의 '형용사'이다.
예를 들어 <아니, 불편한 데라고는 없습니다. 아주 좋습니다. 아주 좋습니다.=不, 我没有什么不舒服, 我很好, 很好。=bù, wǒ méiyǒu shénme bù shūfu, wǒ hěn hǎo, hěn hǎo.=뿌↘, 워V 메이↗요우V 선↗머 뿌↘ 쑤 ̄푸, 워V 헌V 하오V, 헌V 하오V>, <그가 내놓은 의견은 매우 이치에 맞는 것입니다.=他所提的意见是很有道理的。=tā suǒ tí de yìjiàn shì hěn yǒu dàolǐ de.=타 ̄ 쑤오V 티↗ 더 이↘찌앤↘ 쓰↘ 헌V 요우V 따오↘리V 더>]
-
아주5, 지나치게,
몹시, 매우, 대단히, 너무, 극히
太 tài 타이↘ [※
<太=tài>는 <극히, 너무, 대단히, 매우, 몹시, 아주, 지나치게>라는 뜻의 '부사'이다.
또한 동사나 형용사 앞에 쓰여 <감탄>을 나타낸다.
예를 들어 <너무 덥다=太热=tài rè=타이↘ 러↘>, <이 방법이 아주 좋다=这办法太好了=zhè bànfǎ tài hǎo le=쩌↘ 빤↘파V 타이↘ 하오V 러>, <너무 차이가 나다=太悬殊=tài xuánshū=타이↘ 쉬앤↗쑤 ̄>]
- 아주6, 지독히,
매우, 죽을 지경이다, 심하다,
애태우게 하다, 죽이다, 질리게 하다, 남을 곤란하게 하다, 목숨을 빼앗다, 생명을 잃게 하다
要命 yào mìng 야오↘ 밍↘ [※
<要命=yào mìng>은 <남을 곤란하게 하다, 목숨을 빼앗다, 생명을 잃게 하다, 애태우게 하다, 죽이다,
질리게 하다>라는 뜻의 '동사'로, 초조하거나 원망할 때 주로 쓰인다.
그리고 <심하다, 죽을 지경이다>라는 뜻의 '형용사'로 정도 보어에 쓰여서 상황이나 상태가 극점에 달한 것을 나타낸다.
또한 <매우, 아주, 지독히>라는 뜻의 '부사'이다.
예를 들어 <돈이라면 없지만 목숨이라면 하나 있습니다.=要钱没有, 要命倒是有一条。=yào qián méiyǒu, yào mìng dǎo shì yǒu yìtiáo.=야오↘ 치앤↗ 메이↗요우V, 야오↘ 밍↘ 따오V 쓰↘ 요우V 이↘탸오↗>, <그는 매일 와서 귀찮게 구니, 정말 지겹습니다.=他天天来吵闹, 真要命。=tā tiāntiān lái chǎonào, zhēn yào mìng.=타 ̄ 티앤 ̄티앤 ̄ 라이↗ 차오V나오↘, 쩐 ̄ 야오↘ 밍↘>, <아파 죽겠다=疼得要命=téng de yào mìng=텅↗ 더 야오↘ 밍↘>, <우리가 여기에 왔을 때 날씨가 너무 추웠습니다.=我们来到这里时,天气冷得要命。=wǒmen láidào zhèlǐ shí,tiānqì lěng de yào mìng.=워V먼 라이↗따오↘ 쩌↘리V 스↗, 티앤 ̄치↘ 렁V 더 야오↘ 밍↘>]
- 아주7, 완전하다, 완전히,
절대로, 전적으로, 전부, 전혀, 참으로, 충분하다,
모조리
完全 wánquán 완↗취앤↗
- 아주 뛰어나다,
비할 바 없다
无比 wúbǐ 우↗삐V [※ <없을 무(无=無); 无-총4획; 견줄 비(比); 比-총4획>]
- 아주
오래 전에, 옛날에
很早以前 hěn zǎo yǐqián 헌V
짜오V
이V치앤↗
- 아주
나쁘다, 매우 고약하다
很坏 hěn huài 헌V 화이↘
- 아주 넉넉하다, 여유작작하다,
여유가 많다, 여유롭다, 충분하다
绰绰有余 chuò chuò yǒu yú 추오↘
추오↘
요우V
위↗ [※ <绰绰有余=chuò chuò yǒu yú>는 <여유롭다, 여유가 많다, 아주 넉넉하다, 여유작작하다, 충분하다>라는 뜻이다.
예를 들어 <그의 힘은 탁자를 옮기기에 충분합니다.=他的力气搬张桌子绰绰有余。=tā de lìqì bān zhāng zhuōzi chuò chuò yǒu yú.=타 ̄ 더 리↘치↘ 빤 ̄ 짱 ̄ 쭈오 ̄쯔 추오↘
추오↘
요우V
위↗>]
- 아주
달다, 달콤하다, 유쾌하다
甜蜜 tiánmì 티엔↗미↘
- 아주
매력이 있다
非常有魅力 fēicháng yǒu mèilì 페이 ̄창↗
요우V
메이↘리↘
- 아주
맵다
特辣 tè là 터↘
라↘ <※
맵기
조절은 이렇게 해요!=辣度调节是这样做的!=làdù tiáojié shì zhèyàng zuò de.=라↘뚜↘
탸오↗지에↗ 쓰↘ 쩌↘양↘ 쭈오↘ 더, 예를 들어, <안 맵게=不辣=bú là=부↗
라↘>, <약간 맵게=微辣=wēi là=웨이 ̄
라↘>, <중간 맵게=中辣=zhōng là=쫑 ̄
라↘>, <아주 맵게=特辣=tè là=터↘
라↘>, <최고 맵게=变太辣=biàn tài là=삐앤↘
타이↘
라↘>]
- 아주머니1[어린아이가 친척이 아닌 어머니 또래의 여자를 부르는 말],
이모, 아줌마, 유아원 혹은 유치원의 보육 교사, 보모
阿姨 āyí 아 ̄이↗ [※
<阿姨=āyí>는 <이모, 아줌마, 아주머니[어린아이가 친척이 아닌 어머니 또래의 여자를 부르는 말], 보모, 유아원 혹은 유치원의 보육 교사>를 뜻하는 명사이다.
예를 들어 <아주머니, 지갑이 땅에 떨어졌어요.=阿姨, 您的钱包掉地上了。=āyí, nín de qiánbāo diào dìshàng le.=아 ̄이↗, 닌↗ 더 치앤↗빠오 ̄ 땨오↘ 띠↘쌍↘ 러>, <탁아소 보모는 아이들에게 참 잘해 줍니다.=托儿所阿姨对孩子特别好。=tuō'érsuǒ āyí duì háizi tèbié hǎo.=투오 ̄얼↗쑤오V 아 ̄이↗ 뚜이↘ 하이↗쯔 터↘비에↗ 하오V>]
- 아주머니2
大婶
dàshĕn 따↘선V
- 아주머니3
大娘娘 dàniángniáng 따↘니앙↗니앙↗
- 아주머니4
老大娘
lǎodàniang
라오V따↘니앙 [※
할머니,
늙은 여자의 존칭]
- 아주 많은 돈, 큰 성과를 거두고 돌아오다,
거액, 거금, 떼돈, 모든 용기가 다 찼다, 막대한 수입이나 이윤,
벌어들인 돈이 많다
盆满钵满 pén mǎn bō mǎn 펀↗ 만V 뽀 ̄ 만V [※
<盆满钵满=pén mǎn bō mǎn>은 <거금, 거액, 떼돈, 막대한 수입이나 이윤, 모든 용기가 다 찼다, 벌어들인 돈이 많다, 아주 많은 돈, 큰 성과를 거두고 돌아오다>라는 뜻이다.
예를 들어 <지난번 투자가 성공하여 그 남자는 엄청난 돈을 벌었습니다.=上次的投资成功了, 让他赚了个盆满钵满。=shàngcì de tóuzī chénggōng le, ràng tā zhuàn le gè pén mǎn bō mǎn.=쌍↘츠↘ 더 토우↗쯔 ̄ 청↗꽁 ̄ 러, 랑↘ 타 ̄ 쭈안↘ 러 꺼↘ 펀↗ 만V 뽀 ̄ 만V>, <벼락부자 // 졸부(猝富)=暴发户=bàofāhù=빠오↘파 ̄후↘>, <졸부(猝富) // 지방 호족 // 토호=土豪=tǔháo=투V하오↗>, <지금 그는 이미 벼락부자입니다.=现在他已是暴发户儿了。=xiànzài tā yǐ shì bàofāhùr le.=씨앤↘짜이↘ 타 ̄ 이V 쓰↘ 빠오↘파 ̄훌↘ 러>, <연예 스타들이 잇달아 책을 출간하여 엄청나게 많은 돈을 벌어들였습니다.=娱乐明星相继因出书而赚得盆满钵满。=yúlè míngxīng xiāngjì yīn chū shū ér zhuàn de pén mǎn bō mǎn.=위↗러 밍↗씽 ̄ 씨앙 ̄찌↘ 인 ̄ 추 ̄ 쑤 ̄ 얼↗ 쭈안↘ 더 펀↗ 만V 뽀 ̄ 만V>]
- 아주 많이 모인 사람의 무리,
인산인해
人山人海 rén shān rén hǎi 런↗
싼 ̄
런↗
하이V
- 아주 비슷해서 잘 구별하기가 어렵다, 엇비슷하다, 마치 ~인 듯하다, 마치 ~인 것 같다, 흡사
似乎 sìhū 쓰↘후 ̄ [※
<似乎=sìhū>는 <마치 ~인 것 같다, 마치 ~인 듯하다, 아주 비슷해서 잘 구별하기가 어렵다, 엇비슷하다, 흡사>라는 뜻의 '부사'이다.
예를 들어 <이렇게 물질은 마치 사랑이 견고한지의 여부를 재는 중요한 꼬리표가 되었습니다.=就这样,物质似乎成了衡量爱情坚贞与否的重要标签。=jiù zhèyàng,wùzhì sìhū chéng le héngliáng àiqíng jiānzhēn yǔfǒu de zhòngyào biāoqiān.=찌우↘ 쩌↘양↘, 우↘쯔↘ 쓰↘후 ̄ 청↗ 러 헝↗리양↗ 아이↘칭↗ 찌앤 ̄쩐 ̄ 위V포우V 더 쫑↘야오↘ 뺘오 ̄치앤 ̄>]
- 아주 새롭다, 참신하다, 새롭다
崭新 zhǎnxīn 잔V씬 ̄ [※
<崭新=zhǎnxīn>은 <새롭다, 참신하다, 아주 새롭다>라는 뜻의 '형용사'이다.
예를 들어 <참신한 시대=崭新的时代=zhǎnxīn de shídài=잔V씬 ̄ 더 스↗따이↘>, <새로운 세상에 살게 될 때=迎接崭新的世界=yíngjiē zhǎnxīn de shìjiè=잉↗찌에 ̄ 잔V씬 ̄ 더 쓰↘찌에↘>]
- 아주
정확하다
挺准 tǐngzhǔn 팅V준V
- 아주
좋다1, 대단히 아름답다
绝佳 juéjiā 쥐에↗찌아 ̄
- 아주 좋다2, 굉장히
훌륭하다, 끝내준다
倍儿棒 bèiér bàng
// bèir bàng 뻬이↘얼↗ 빵↘
// 뻬일↘ 빵↘
- 아주 짧은 시간,
순식간, 순간, 손가락을 튀길 동안의 시간
弹指 tánzhǐ 탄↗즈V
- 아주
춥다, 추위가 심하다,
엄동설한,
엄한, 된 추위, 혹한
严寒 yánhán 옌↗한↗ [※ <严寒=yánhán>은 <된 추위, 엄동설한,
엄한, 혹한>이라는 뜻의 '명사'이다.
그리고 <아주 춥다, 추위가 심하다>라는 뜻의 '형용사'이다.
예를 들어 <날씨가 몹시 춥다=天气严寒=tiānqì yánhán=티앤 ̄치↘ 옌↗한↗>]
- 아주
큰 컵
特大杯 tèdà bēi 터↘따↘
뻬이 ̄ [※ 참고:
컵 사이즈 종류는 <작은
컵(스몰)=小杯=xiǎo
bēi=샤오V
뻬이 ̄>,
<중간 컵(톨/레귤러)=中杯=zhōng
bēi=쫑 ̄
뻬이 ̄>, <큰 컵(그란데/라지)=大杯=dà
bēi=따↘
뻬이 ̄>, <아주 큰 컵(벤티)=特大杯=tèdà bēi=터↘따↘
뻬이 ̄>
◎
아주 큰 컵의 '벤티'의 뜻은? <벤티(Venti)는 이탈리아어, 스페인어 등에서 20을 의미한다. 흔히 커피 전문점에서 이 벤티(Venti)라는 말을 사이즈를 나타내는 데에 사용하곤 하는데, 이 경우 20온스의 음료를 담는 큰 컵을 사용했다는 것을 의미한다. 참고로 일반적인 커피 체인점의 컵 용량은 9~11온스 이다.>]
- 아주 흔하다[아주 많거나 보편적임을 묘사], 어디에나 있다,
도처에 있다
比比皆是 bǐbǐ-jiēshì 삐V비V-찌에 ̄쓰↘
- 아줌마, 아주머니[어린아이가 친척이 아닌 어머니 또래의 여자를 부르는 말],
이모, 유아원 혹은 유치원의 보육 교사, 보모
阿姨 āyí 아 ̄이↗ [※
<阿姨=āyí>는 <이모, 아줌마, 아주머니[어린아이가 친척이 아닌 어머니 또래의 여자를 부르는 말], 보모, 유아원 혹은 유치원의 보육 교사>를 뜻하는 명사이다.
예를 들어 <아주머니, 지갑이 땅에 떨어졌어요.=阿姨, 您的钱包掉地上了。=āyí, nín de qiánbāo diào dìshàng le.=아 ̄이↗, 닌↗ 더 치앤↗빠오 ̄ 땨오↘ 띠↘쌍↘ 러>, <탁아소 보모는 아이들에게 참 잘해 줍니다.=托儿所阿姨对孩子特别好。=tuō'érsuǒ āyí duì háizi tèbié hǎo.=투오 ̄얼↗쑤오V 아 ̄이↗ 뚜이↘ 하이↗쯔 터↘비에↗ 하오V>]
- 아직1,
아직도,
여전히, 다시,
또, 또, 더,
더욱, 더더욱,
더
还 hái 하이↗ [※
1-아직, 아직도,
여전히[동작이나 상태가 지속됨을 나타냄]
2-더, 더욱,
더더욱[주로 ‘比’와 함께 쓰여 정도가 깊음을 나타냄]
3-또, 더[항목·수량이 증가하거나 범위가 확대되는 것을 나타냄]
4-또,
다시[의문문에서 사용]
※
다시+돌아올
환(还=還)]
- 아직2
还没 hái méi 하이↗
메이↗
- 아직
~하지 않다
尚未 shàngwèi 쌍↘웨이↘ [※ <尚未=shàng wèi=쌍↘웨이↘>는 <아직 ~하지
않다>는 뜻이다. 예를 들어 <아직 비교적 큰 규모를 형성하지 못했다.=尚未形成较大规模。=shàngwèi xíngchéng jiào dàguīmó.=쌍↘웨이↘ 싱↗청↗
쨔오↘ 따↘꾸이 ̄모↗>]
- 아직도1,
아직,
여전히, 다시,
또, 또, 더,
더욱, 더더욱,
더
还 hái 하이↗ [※
1-아직, 아직도,
여전히[동작이나 상태가 지속됨을 나타냄]
2-더, 더욱,
더더욱[주로 ‘比’와 함께 쓰여 정도가 깊음을 나타냄]
3-또, 더[항목·수량이 증가하거나 범위가 확대되는 것을 나타냄]
4-또,
다시[의문문에서 사용]
※
다시+돌아올
환(还=還)]
- 아직도2,
여전히,
역시, 아니면
还是 háishi 하이↗스
- 아직 상장되지 않은 주식, 아직 시장에 나오지 않은 주식, 원시주,
돈을 벌다, 비상장 주식, 수익
原始股 yuánshǐgǔ 위앤↗스V꾸V [※
<原始股=yuánshǐgǔ>는 <돈을 벌다, 비상장 주식, 수익, 아직 상장되지 않은 주식, 아직 시장에 나오지 않은 주식>이라는 뜻의 '명사'이다.
예를 들어 <이곳의 집은 마치 비상장 주식과 같습니다, 비록 지금은 더 저렴하지만, 지하철이 개통된 후에는 반드시 가격이 폭등할 것입니다.=这里的房子就像原始股, 虽然现在更宜, 但是通了地铁以后, 价钱一定会狂涨的。=zhèlǐ de fángzi jiù xiàng yuánshǐgǔ, suīrán xiànzài gèngyi, dànshì tōng le dìtiě yǐhòu, jiàqián yídìng huì kuángzhǎng de.=쩌↘리V 더 팡↗쯔 찌우↘ 씨앙↘ 위앤↗스V꾸V, 쑤이 ̄란↗ 씨앤↘짜이↘ 껑↘이, 딴↘쓰↘ 통 ̄ 러 띠↘티에V 이V호우↘, 찌아↘치앤↗ 이↗딩↘ 후이↘ 쿠앙↗장V 더>, <우량주 // 블루칩=蓝筹股=lánchóugǔ=란↗초우↗꾸V>, <성장 잠재주=潜力股=qiánlìgǔ=치앤↗리↘꾸V>]
- 아직 시장에 나오지 않은 주식, 원시주,
아직 상장되지 않은 주식, 돈을 벌다, 비상장 주식, 수익
原始股 yuánshǐgǔ 위앤↗스V꾸V [※
<原始股=yuánshǐgǔ>는 <돈을 벌다, 비상장 주식, 수익, 아직 상장되지 않은 주식, 아직 시장에 나오지 않은 주식>이라는 뜻의 '명사'이다.
예를 들어 <이곳의 집은 마치 비상장 주식과 같습니다, 비록 지금은 더 저렴하지만, 지하철이 개통된 후에는 반드시 가격이 폭등할 것입니다.=这里的房子就像原始股, 虽然现在更宜, 但是通了地铁以后, 价钱一定会狂涨的。=zhèlǐ de fángzi jiù xiàng yuánshǐgǔ, suīrán xiànzài gèngyi, dànshì tōng le dìtiě yǐhòu, jiàqián yídìng huì kuángzhǎng de.=쩌↘리V 더 팡↗쯔 찌우↘ 씨앙↘ 위앤↗스V꾸V, 쑤이 ̄란↗ 씨앤↘짜이↘ 껑↘이, 딴↘쓰↘ 통 ̄ 러 띠↘티에V 이V호우↘, 찌아↘치앤↗ 이↗딩↘ 후이↘ 쿠앙↗장V 더>, <우량주 // 블루칩=蓝筹股=lánchóugǔ=란↗초우↗꾸V>, <성장 잠재주=潜力股=qiánlìgǔ=치앤↗리↘꾸V>]
- 아찔아찔하다,
어찔어찔하다, 어지럽다,
기절하다, 까무러치다, 현기증이 나다, 멀미하다,
무리, 부분
晕 yūn 윈 ̄ [※
<晕=yūn>은 1-<어지럽다, 어찔어찔하다, 아찔아찔하다>라는 뜻의 '형용사'이다.
또한 2-<기절하다, 까무러치다, 현기증이 나다, 멀미하다>라는 뜻의 '동사'이다.
그리고 태양이나 달 둘레에 생기는 3-<무리>라는 뜻의 '명사'이다.
또한 종기의 주위에 염증이 나서 붉어진 4-<부분>이라는 뜻의 '명사'이다.
예를 들어 <머리가 어지럽다.=头晕。=tóuyūn.=토우↗윈 ̄>, <햇무리.=日晕。=rìyùn.=르↘윈↘>, <타박(打撲)에 의한 피하 출혈.=血晕。=xuèyùn.=쉬에↘윈↘>]
- 아첨하는
말, 아부하는 말
, 알랑거리는 말, 비위를 맞추는 말
马屁 mǎpì 마V피↘
- 아첨하다1,
아부하다, 알랑거리다, 비위를 맞추다
拍马屁 pāi
mǎpì 파이 ̄
마V피↘
- 아첨하다2,
어린아이를 구슬리다, 어르다, 알랑거리다, 달래다, 감언이설로 환심을 사다, 비위를
맞추다, 말로 속이다, 기만하다
哄 hǒng 홍V [※
<哄=hǒng>은 <달래다, 어르다, 어린아이를 구슬리다, 감언이설로 환심을 사다, 비위를 맞추다, 말로 속이다, 기만하다, 알랑거리다, 아첨하다>라는 동사이다.
예를 들어 <아이가 울자 엄마는 초콜릿을 사서 달래 주었습니다.=孩子哭了,妈妈买巧克力哄她。=háizi kū le,māma mǎi qiǎokèlì hǒng tā=하이↗쯔 쿠 ̄ 러, 마 ̄마 마이V 챠오V커↘리↘ 홍V 타 ̄>]
- 아첨하다3, 열망하다, 진력하다, 힘쓰다,
노력하다,
몹시 바라다,
비위를 맞추다, 아부하다
巴结 bājie 빠 ̄지에 [※ <巴结=bājie>는 <노력하다, 몹시 바라다, 비위를 맞추다, 아부하다, 아첨하다, 열망하다, 진력하다, 힘쓰다>라는 뜻의 '동사'이다.
예를 들어 <그 사람은 남의 비위를 잘 맞춥니다.=他会巴结人。=tā huì bājie rén.=타 ̄ 후이↘ 빠 ̄지에 런↗>, <관직을 얻기 위해 애씁니다.=巴结差事。=bājie chàshì.=빠 ̄지에 차↘쓰↘>, <그는 돈벌기를 몹시 바랍니다.=他巴结发财。=tā bājie fācái.=타 ̄ 빠 ̄지에 파 ̄차이↗>]
- 아출(봉아출)
莪朮(蓬莪朮) ézhú(péngézhú) 으어↗주↗(펑↗으어↗주↗)
- 아침
早上 zăoshang 짜오V상
- 아침 9시에서 오후 5시까지 근무하다, 아침 9시에 출근해서 저녁 5시에 퇴근하다, 오전 9시 출근에 오후 5시에 퇴근함
朝九晚五 zhāo jiǔ wǎn wǔ 짜오 ̄ 지우V 완V 우V [※ <朝九晚五=zhāo jiǔ wǎn wǔ>는 <아침 9시에서 오후 5시까지 근무하다, 아침 9시에 출근해서 저녁 5시에 퇴근하다, 오전 9시 출근에 오후 5시에 퇴근함>이라는 뜻의 ‘성어’이다.
예를 들어 <아침 9시에서 오후 5시까지 근무하고, 수시로 초과근무를 하다 보니 현대인이 사무실에서의 생활은 적어도 8시간이며 어떤 때는 심지어 집에 있는 시간보다 더 오래 생활합니다.=朝九晚五,时不时加班,现代人在办公室里的生活至少8小时,有时甚至比在家还要久。=zhāo jiǔ wǎn wǔ,shíbùshí jiābān,xiàndàirén zài bàngōngshì lǐ de shēnghuó zhìshǎo 8xiǎoshí,yǒushí shènzhì bǐ zàijiā háiyào jiǔ.=짜오 ̄ 지우V 완V 우V, 스↗뿌↘스↗ 찌아 ̄빤 ̄, 씨앤↘따이↘런↗ 짜이↘ 빤↘꽁 ̄쓰↘ 리V 더 썽 ̄후오↗ 쯔↘사오V 8샤오V스↗, 요우V스↗ 썬↘쯔↘ 비V 짜이↘찌아 ̄ 하이↗야오↘ 지우V>]
- 아침 9시에 출근해서 저녁 5시에 퇴근하다, 아침 9시에서 오후 5시까지 근무하다, 오전 9시 출근에 오후 5시에 퇴근함
朝九晚五 zhāo jiǔ wǎn wǔ 짜오 ̄ 지우V 완V 우V [※ <朝九晚五=zhāo jiǔ wǎn wǔ>는 <아침 9시에서 오후 5시까지 근무하다, 아침 9시에 출근해서 저녁 5시에 퇴근하다, 오전 9시 출근에 오후 5시에 퇴근함>이라는 뜻의 ‘성어’이다.
예를 들어 <아침 9시에서 오후 5시까지 근무하고, 수시로 초과근무를 하다 보니 현대인이 사무실에서의 생활은 적어도 8시간이며 어떤 때는 심지어 집에 있는 시간보다 더 오래 생활합니다.=朝九晚五,时不时加班,现代人在办公室里的生活至少8小时,有时甚至比在家还要久。=zhāo jiǔ wǎn wǔ,shíbùshí jiābān,xiàndàirén zài bàngōngshì lǐ de shēnghuó zhìshǎo 8xiǎoshí,yǒushí shènzhì bǐ zàijiā háiyào jiǔ.=짜오 ̄ 지우V 완V 우V, 스↗뿌↘스↗ 찌아 ̄빤 ̄, 씨앤↘따이↘런↗ 짜이↘ 빤↘꽁 ̄쓰↘ 리V 더 썽 ̄후오↗ 쯔↘사오V 8샤오V스↗, 요우V스↗ 썬↘쯔↘ 비V 짜이↘찌아 ̄ 하이↗야오↘ 지우V>]
- 아침
달리기, 조깅
晨跑 chénpǎo 천↗파오V
- 아침
일찍 나가서 밤늦게 돌아오다
早出晚归 zǎo
chū wǎn guī 짜오V
추 ̄
완V 꾸이 ̄
- 아크로스포츠(acrosports), 테크닉,
무예(武藝), 무술, 기교, 기술
技巧 jìqiǎo 찌↘챠오V [※
<技巧=jìqiǎo>는
<기교, 기술, 무술, 무예(武藝), 아크로스포츠(acrosports), 테크닉>라는 뜻의 '명사'이다.
예를 들어 <회화 기교.=绘画技巧。=huìhuà jìqiǎo.=후이↘후아↘ 찌↘챠오V>, <아크로스포츠 경기.=技巧比赛。=jìqiǎo bǐsài.=찌↘챠오V 삐V싸이↘>]
- 아파트
公寓 gōngyù 꽁 ̄위↘ [※
예를
들어, <샤오장은 대출을 받아 아파트를 한 채 샀다.=小张贷款买了一套公寓。=Xiǎo Zhāng dàikuǎn mǎi le yí tào gōngyù.=샤오V 짱 ̄ 따이↘쿠안V 마이V러 이↗ 타오↘ 꽁 ̄위↘>]
- 아편쟁이,
해커(hacker), 해킹
黑客 hēikè 헤이 ̄커↘
- 아프다1,
아껴주다, 아까워하다, 물건을 소중히 하다, 매우 사랑하다, 몹시 귀여워하다, 몹시 아끼다,
소중이 하다
疼 téng 텅↗ [※
<疼=téng>은 <매우 사랑하다, 몹시 귀여워하다, 몹시 아끼다, 물건을 소중히 하다, 소중이 하다, 아까워하다, 아껴주다, 아프다>라는 뜻의 '동사'이다.
예를 들어 <머리가 아프다=头疼=tóuténg=토우↗텅↗>, <부부 두 사람이 보배처럼 사랑하다=夫妻俩疼得宝贝似的=fūqī liǎ téng de bǎobèi shìde.=푸 ̄치 ̄ 리아V 텅↗ 더 바오V뻬이↘ 쓰↘더>, <나에게 가장 필요한 것은 여전히 나를 사랑하고 아껴주고 이해해주는 남편입니다.=我最需要的还是一个爱我、疼我、懂我的丈夫。=wǒ zuì xūyào de háishì yí ge ài wǒ、téng wǒ、dǒng wǒ de zhàngfu.=워V 쭈이↘ 쒸 ̄야오↘ 더 하이↗쓰↘ 이↗
거 아이↘ 워V、텅↗ 워V、똥V 워V 더 짱↘푸>]
- 아프다2,
병이 나다, 발병하다
生病 shēngbìng 썽 ̄삥↘
- 아프다3, 아픔,
굉장히 애지중지하다, 너무너무 아끼고 사랑하다, 동통
疼痛 téngtòng 텅↗통↘
- 아프리카(Africa)1
非洲 fēizhōu 페이 ̄쪼우 ̄
- 아프리카(Africa)2
阿非利加
Āfēilìjiā 아 ̄페이 ̄리↘찌아 ̄
- 아프리카
사자
非洲狮 fēizhōushī 뻬이 ̄쪼우 ̄쓰 ̄
- 아픔1
非洲狮 fēizhōushī 뻬이 ̄쪼우 ̄쓰 ̄
- 아픔2,
고통, 고초, 비통, 괴롭다,
고통스럽다
痛苦 tòngkǔ 통↘쿠V [※
<痛苦=tòngkǔ>는 <고초, 고통, 비통, 아픔>이라는 뜻의 '명사'이다.
그리고 <고통스럽다, 괴롭다>라는 뜻의 '형용사'이다.
예를 들어 <정신상의 고통=精神上的痛苦=jīngshén shàng de tòngkǔ=찡 ̄선↗ 쌍↘ 더 통↘쿠V>, <무거운 부담을 진 채 지내자니 정말 괴롭습니다.=担着重担子过日子, 真是痛苦。=dān zhuó zhòng dānzi guò rìzi, zhēn shì tòngkǔ.=딴 ̄ 주오↗ 쫑↘ 딴 ̄쯔 꾸오↘ 르↘쯔, 쩐 ̄ 쓰↘ 통↘쿠V>]
- 아픔3,
아프다, 굉장히 애지중지하다, 너무너무 아끼고 사랑하다, 동통
疼痛 téngtòng 텅↗통↘
- 아희, 아이들의 장난, 어린이 장난, 중요한 일에 대해서 무책임하고 진지하게 하지 않다
儿戏 érxì 얼↗씨↘ [※
<儿戏érxì>는 <아이들의 장난, 아희, 어린이 장난, 중요한 일에 대해서 무책임하고 진지하게 하지 않는 것>이라는 뜻의 '명사'이다.
예를 들어 <결혼은 아이들의 장난이 아닙니다, 평생을 함께 하기로 약속했으니 상대방에 대한 책임을 져야 합니다.=婚姻不是儿戏,既然承诺了携手一生,就要对对方负责。=hūnyīn bú shì érxì,jìrán chéngnuò le xiéshǒu yìshēng,jiù yào duì duìfāng fùzé.=훈 ̄인 ̄ 부↗ 쓰↘ 얼↗씨↘, 찌↘란↗ 청↗누오↘ 러 시에↗소우V 이↘썽 ̄, 찌우↘ 야오↘ 뚜이↘ 뚜이↘팡 ̄ 푸↘쩌↗>]
- 악계, 흉계, 함정, 트랩(trap),
덫
陷阱 xiànjǐng 씨앤↘징V
- 악기
乐器 yuèqì 위에↘치↘
- 악기점
乐器店 yuèqìdiàn 위에↘치↘띠앤↘
- 악당1, 총명한 사람,
시세에 밝은 사람, 부랑자, 무뢰한, 홀아비
光棍 guānggùn 꾸앙 ̄꾼↘
- 악당2, 악인
歹徒 dǎitú 따이V투↗ [※
<歹徒=dǎitú>는 <악당, 악인>이라는 뜻의 '명사'이다.
예를 들어 <악당을 만나다=遇见歹徒=yùjiàn dǎitú=위↘찌앤↘ 따이V투↗>
※ <나쁘다, 부서진 뼈 알(歹); 歹-총4획>]
- 악당의
무리, 못된 친구
狐朋狗友 hú péng gǒu yǒu 후↗
펑↗
꼬우V 요우V
- 악독하다1, 악랄하다, 잔인하다, 매섭다,
모질다, 몹시, 매우,
아주, 대단히, 잘, 정말,
퍽
很 hěn 헌V [※
<很=hěn>은 1-<대단히, 매우,
몹시, 아주, 잘, 정말, 퍽>이라는 뜻의 '부사'이다. 그리고 형용사가 가리키는 성질이나 상태의 정도를 나타낸다. 또한 ‘有’가 보통 추상적인 뜻의 목적어를 취하는 구문에서, 어떤 상태를 가리키는 경우, 그 정도를 나타낸다. 구체적인 사물을 지시하는 명사가 쓰여도 이 경우에는 추상적인 개념을 가지게 된다.
또한 2-<악독하다, 악랄하다, 매섭다,
모질다, 잔인하다>라는 뜻의 '형용사'이다.
예를 들어 <아니, 불편한 데라고는 없습니다. 아주 좋습니다. 아주 좋습니다.=不, 我没有什么不舒服, 我很好, 很好。=bù, wǒ méiyǒu shénme bù shūfu, wǒ hěn hǎo, hěn hǎo.=뿌↘, 워V 메이↗요우V 선↗머 뿌↘ 쑤 ̄푸, 워V 헌V 하오V, 헌V 하오V>, <그가 내놓은 의견은 매우 이치에 맞는 것입니다.=他所提的意见是很有道理的。=tā suǒ tí de yìjiàn shì hěn yǒu dàolǐ de.=타 ̄ 쑤오V 티↗ 더 이↘찌앤↘ 쓰↘ 헌V 요우V 따오↘리V 더>]
- 악독하다2, 악랄하다
歹毒 dǎidú 따이V두↗
- 악랄하다1, 악독하다, 잔인하다, 매섭다,
모질다, 몹시, 매우,
아주, 대단히, 잘, 정말,
퍽
很 hěn 헌V [※
<很=hěn>은 1-<대단히, 매우,
몹시, 아주, 잘, 정말, 퍽>이라는 뜻의 '부사'이다. 그리고 형용사가 가리키는 성질이나 상태의 정도를 나타낸다. 또한 ‘有’가 보통 추상적인 뜻의 목적어를 취하는 구문에서, 어떤 상태를 가리키는 경우, 그 정도를 나타낸다. 구체적인 사물을 지시하는 명사가 쓰여도 이 경우에는 추상적인 개념을 가지게 된다.
또한 2-<악독하다, 악랄하다, 매섭다,
모질다, 잔인하다>라는 뜻의 '형용사'이다.
예를 들어 <아니, 불편한 데라고는 없습니다. 아주 좋습니다. 아주 좋습니다.=不, 我没有什么不舒服, 我很好, 很好。=bù, wǒ méiyǒu shénme bù shūfu, wǒ hěn hǎo, hěn hǎo.=뿌↘, 워V 메이↗요우V 선↗머 뿌↘ 쑤 ̄푸, 워V 헌V 하오V, 헌V 하오V>, <그가 내놓은 의견은 매우 이치에 맞는 것입니다.=他所提的意见是很有道理的。=tā suǒ tí de yìjiàn shì hěn yǒu dàolǐ de.=타 ̄ 쑤오V 티↗ 더 이↘찌앤↘ 쓰↘ 헌V 요우V 따오↘리V 더>]
- 악랄하다2, 악독하다
歹毒 dǎidú 따이V두↗
- 악마,
마귀
魔鬼 móguǐ 모↗구이V
- 악마의 손톱,
악한 자의 손아귀, 마수
魔爪 mózhǎo 모↗자오V
- 악몽,
불길한 꿈
噩梦 èmèng 으어↘멍↘
- 악보
乐谱 yuèpǔ 위에↘푸V
- 악수하다
握手 wò
shŏu 워↘
소우V
- 악어
鳄鱼 èyú 으어↘위↗
- 악어와
악어새,
鳄鱼和鳄鱼鸟 èyú
hé èyú niǎo 으어↘위↗
허↗ 으어↘위↗
냐오V [※ <공생관계는
상리공생 즉 서로 이익이되는 관계>를 말한다. 악어새가
악어의 입을 청소해 주는 동안 악어는 입을 닫지 않고 서로
공생한다는 설에서 유래 되었다. 사실은
잘못된 상식이다.
악어새의
정식 명칭은 악어물떼새 혹은 이집트물떼새로 도요목 악어물떼새과의
조류이다. 학명은 '플루비아누스 아이귑티우스'이다. 북부 아프리카의
강변에 주로 서식하는 새인데 악어와의 공생으로 잘못 알려져
있는 새다. 악어새가 악어의 입을 청소해 주는 동안 악어는
입을 닫지 않는다는 잘못된 상식이 흔히 널리 알려져 있다.
심지어 교과서에도 실려 있는 잘못 알려진 상식 중 하나. 악어는
평생 50회 이상에 걸쳐 이빨 3,000여 개를 갈기에 악어새 같은
치과 의사는 불필요하며, 악어새가 악어 입에 들어가는 건 단순한
자살행위일 뿐이다. 악어새 입장에서도 악어새의 주식은 벌레와
식물의 씨앗이므로, 악어의 이빨에 남은 고기조각을 노릴 이유가
없다.
악어새가 악어의 입을 청소해 주는 동안 악어는
입을 닫지 않는다는 잘못된 상식이 퍼지게 된 원인은 이 새가
악어의 입속을 들락거리는 장면이 포착된 적이 있기 때문인데,
그때도 딱히 찌꺼기를 청소하거나 하지는 않는다. 이 오류의
기원은 기원전 400년까지 거슬러 올라가는데 당시 그리스의
학자인 헤로도토스의 기록 중 이런 서술이 있었다고 하고 이후
사람들의 의식에 공생을 대표할 정도로 전형이 될 만하거나
특징이 있는 예로 어느 정도 고정된 위치를 차지하게 됐다.
이 전설 같은 이야기는 공생 관계를 대상으로 한 어떤
증거도 여태껏 밝혀진 적이 없는 터무니없는 헛소문에 불과하다.
실제론 서로 아무 상관이 없다.]
- 악어의
눈물, 가식적인 마음
鳄鱼的眼泪 èyú
de yănlèi 으어↘위↗
더 옌V레이↘ [※
<鳄鱼的眼泪>는
악어의 눈물이라는 뜻인데 <가식적인 마음, 위선적인 눈물>을 비유하는
관용어이다.
관용어의 두드러진 특징은 묘사, 비유,
인용 등의 방법을 통해 더욱 형상적이고 구체적으로 원하는
내용을 전달할 수 있다는 점이다. 때문에 듣는 사람에게 강한
인상을 남길 수 있다.]
- 악이 불처럼 타올라 가시덤불과 잡초를 태워 버릴 것이다
邪恶就像燃烧的火焰,吞噬荆棘和杂草 xiéè jiù xiàng ránshāo de huǒyàn,tūnshì jīngjí hé zácǎo 시에↗으어↘
찌우↘ 씨앙↘ 란↗싸오 ̄
더 후오V옌↘,
툰 ̄쓰↘ 찡 ̄지↗
허↗
짜↗차오V
- 악인1, 악당
歹徒 dǎitú 따이V투↗ [※
<歹徒=dǎitú>는 <악당, 악인>이라는 뜻의 '명사'이다.
예를 들어 <악당을 만나다=遇见歹徒=yùjiàn dǎitú=위↘찌앤↘ 따이V투↗>
※ <나쁘다, 부서진 뼈 알(歹); 歹-총4획>]
- 악인, 원수, 좋지 않은 사람, 추한 사람
恶人 èrén 으어↘런↗
- 악전고투,
격투, 악전고투하다,
격투하다, 싸우다
搏斗 bódòu 보↗또우↘ [※
<搏斗=bódòu>는 <격투, 악전고투>라는 뜻의 ‘명사’이다.
그리고 <격투하다, 싸우다, 악전고투하다>라는 뜻의 ‘동사’이다.
예를 들어 <적군과 격투하다=与敌军搏斗=yǔ díjūn bódòu=위V 디↗쮠 ̄ 보↗또우↘>
※ <가지다, 때리다, 싸우다, 잡다, 찾아내어 붙잡다, 치다, 취(取)하다, 잡을 박(搏); 手-총13획; 구기, 별 이름, 용량의 단위, 자루가 달린 술 따위를 푸는 기구, 말 두(斗); 斗-총4획>]
- 악전고투하다1,
격투하다, 싸우다, 악전고투,
격투
搏斗 bódòu 보↗또우↘ [※
<搏斗=bódòu>는 <격투, 악전고투>라는 뜻의 ‘명사’이다.
그리고 <격투하다, 싸우다, 악전고투하다>라는 뜻의 ‘동사’이다.
예를 들어 <적군과 격투하다=与敌军搏斗=yǔ díjūn bódòu=위V 디↗쮠 ̄ 보↗또우↘>
※ <가지다, 때리다, 싸우다, 잡다, 찾아내어 붙잡다, 치다, 취(取)하다, 잡을 박(搏); 手-총13획; 구기, 별 이름, 용량의 단위, 자루가 달린 술 따위를 푸는 기구, 말 두(斗); 斗-총4획>]
- 악전고투하다2, 힘쓰고 있다
竭力奋斗 jiélì fèndòu 지에↗리↘ 펀↘또우↘ [※ <竭力奋斗=jiélì fèndòu>는 <악전고투하다, 힘쓰고 있다>라는 뜻이다.
예를 들어 <디모데 전서 4:10=提摩太前书 4:10>: <<10 이 때문에 우리는 열심히 일하며 힘쓰고 있습니다. 우리가 모든 부류의 사람들 특히 충실한 사람들의 구원자이신 살아 계신 하느님께 희망을 두었기 때문입니다.=10 为了这个目标,我们辛勤工作,竭力奋斗,因为我们寄望于真实存在的上帝。他是各种各样的人的救主,尤其是忠信的人的救主。=10 wèile zhège mùbiāo,wǒmen xīnqín gōngzuò,jiélì fèndòu,yīnwèi wǒmen jìwàng yú zhēnshí cúnzài de shàngdì. tā shì gèzhǒng-gèyàng de rén de jiùzhǔ,yóuqí shì zhōngxìn de rén de jiùzhǔ.=10 웨이↘러 쩌↘거
무↘뺘오 ̄,
워V먼
씬 ̄친↗
꽁 ̄쭈오↘,
지에↗리↘ 펀↘또우↘, 인 ̄웨이↘ 워V먼 찌↘왕↘ 위↗ 쩐 ̄스↗ 춘↗짜이↘ 더 쌍↘띠↘. 타 ̄ 쓰↘ 꺼↘종V-꺼↘양↘ 더 런↗ 더 찌우↘주V, 요우↗치↗ 쓰↘ 쫑 ̄씬↘ 더 런↗ 더 찌우↘주V>>]
- 악취,
구린내
臭味儿 chòuwèir 초우↘월↘
- 악하다, 음식이 상하다, 탈나다, 탈 나게 하다, 탈을 내다, 품질이 나쁘다,
썩히다, 썩다,
썩게 하다,
성품이 나쁘다, 상하다, 못쓰게 되다,
망치다, 망가지다, 나쁘게 하다, 나빠지다,
나쁘다,
그르치다, 고장
나다
坏 huài
화이↘ [※
<坏=huài>는 <고장
나다, 그르치다, 나쁘다, 나빠지다,
나쁘게 하다, 망치다,
망가지다, 못쓰게 되다,
상하다, 성품이 나쁘다, 썩다, 썩히다, 썩게 하다,
악하다, 음식이 상하다, 탈나다, 탈 나게 하다, 탈을 내다, 품질이 나쁘다>라는 뜻의 '형용사'이다.
예를 들어 <일을 괜찮게 하다.=工作做得不坏。=gōngzuò zuò dé bú huài.=꽁 ̄쭈오↘ 쭈오↘ 더↗ 부↗ 화이↘>, <악한 사람과 나쁜 일=坏人坏事=huàirén huàishì=화이↘런↗ 화이↘쓰↘>, <과일이 상했다.=水果坏了。=shuǐguǒ huài le.=수이V구오V 화이↘ 러>]
- 악한 마음
恶心 èxīn 으어↘씬 ̄
- 악한 자의
손아귀, 마수, 악마의 손톱
魔爪 mózhǎo 모↗자오V
- 악행, 과실, 잘못,
아니다,
없다, 옳지 않다고 여기다, 그르다고 여기다, ~에 맞지 않다, 반대하다, 비난하다, 책망하다
非 fēi 페이 ̄ [※
<非=fēi>는 <그르다고 여기다, ~에 맞지 않다, 아니다, 없다, 옳지 않다고 여기다, 반대하다, 비난하다, 책망하다>라는 뜻의 '동사'이다.
그리고 <과실, 악행, 잘못>이라는 '명사'이다.
예를 들어 <시비를 밝히다=明辨是非=míng biàn shì fēi=밍↗ 삐앤↘ 쓰↘ 페이 ̄>, <예의에 어긋나다=非礼=fēilǐ=페이 ̄리V>, <많은 사람들이 모두 비난한다=众人皆非之=zhòngrén jiēfēi zhī=쫑↘런↗ 찌에 ̄페이 ̄ 쯔 ̄>]
- 악화되다, 악화시키다, 악화하다
恶化 èhuà 으어↘후아↘ [※
<恶化=èhuà>는 <악화되다, 악화시키다, 악화하다>라는 뜻의 '동사'이다.
예를 들어 <그의 병세가 악화되었습니다.=他的病情恶化了。=tā de bìngqíng èhuà le.=타 ̄ 더 삥↘칭↗ 으어↘후아↘ 러>]
- 악화시키다, 악화하다,
악화되다
恶化 èhuà 으어↘후아↘ [※
<恶化=èhuà>는 <악화되다, 악화시키다, 악화하다>라는 뜻의 '동사'이다.
예를 들어 <그의 병세가 악화되었습니다.=他的病情恶化了。=tā de bìngqíng èhuà le.=타 ̄ 더 삥↘칭↗ 으어↘후아↘ 러>]
- 악화하다,
악화시키다, 악화되다
恶化 èhuà 으어↘후아↘ [※
<恶化=èhuà>는 <악화되다, 악화시키다, 악화하다>라는 뜻의 '동사'이다.
예를 들어 <그의 병세가 악화되었습니다.=他的病情恶化了。=tā de bìngqíng èhuà le.=타 ̄ 더 삥↘칭↗ 으어↘후아↘ 러>]
- 안1, 안쪽, 처(妻), 처가의 친척,
궁중(宮中),
내실(內室), 내부,
속
内 nèi 네이↘ [※
<内=nèi>는 <궁중(宮中), 내부, 내실(內室), 속, 안, 안쪽, 처(妻), 처가의 친척>이란 뜻의 '명사'이다.
예를 들어 <속옷 // 내의=内衣=nèiyī=네이↘이 ̄>, <아내 // 처=内人=nèirén=네이↘런↗>, <집에 마루가 하나, 내실이 둘 있습니다.=家有一堂二内。=jiā yǒu yìtáng èr nèi.=찌아 ̄ 요우V 이↘탕↗ 얼↘ 네이↘>]
- 안2, 안쪽,
내부, 거친 면[종이나 베의], 속[옷·이불·모자·신발 따위의], 가운데,
내부, 가운데, 안, 속
里 lǐ 리V [※
※
성조가 3성인 <里=lǐ>는 <가운데, 거친 면[종이나 베의], 속[옷·이불·모자·신발 따위의], 안, 안쪽>이라는 뜻의 '명사'이다.
그리고 성조가 경성인 <里=li>는 <가운데, 내부, 안, 속>이라는 뜻의 '명사'로 명사 뒤에 붙어 일정한 공간·시간·범위를 나타낸다.
또한 성조가 3성인 <里=lǐ>는 <이=这=zhè=쩌↘, 그=那=nà=나↘, 어디=哪=nǎ=나V>등의 뒤에 붙어 장소를 나타내는 '접미사'이다.
예를 들어 <이불 안=被里儿=bèi lǐr=뻬이↘ 릴V>, <프린트지에는 안팎이 있다=印花布有里儿, 有面儿=yìnhuābù yǒu lǐr, yǒu miànr=인↘후아 ̄뿌↘ 요우V 릴V, 요우V 미알↘>, <뒷방=里屋=lǐwū=리V우>, <손안=手里=shǒulǐ=소우V리V>, <여기=这里=zhèlǐ=쩌↘리V>]
- 안3, 내부, 가운데, 속,
거친 면[종이나 베의], 속[옷·이불·모자·신발 따위의], 안, 안쪽,
가운데
里 li 리 [※
성조가 3성인 <里=lǐ>는 <가운데, 거친 면[종이나 베의], 속[옷·이불·모자·신발 따위의], 안, 안쪽>이라는 뜻의 '명사'이다.
그리고 성조가 경성인 <里=li>는 <가운데, 내부, 안, 속>이라는 뜻의 '명사'로 명사 뒤에 붙어 일정한 공간·시간·범위를 나타낸다.
또한 성조가 3성인 <里=lǐ>는 <이=这=zhè=쩌↘, 그=那=nà=나↘, 어디=哪=nǎ=나V>등의 뒤에 붙어 장소를 나타내는 '접미사'이다.
예를 들어 <이불 안=被里儿=bèi lǐr=뻬이↘ 릴V>, <프린트지에는 안팎이 있다=印花布有里儿, 有面儿=yìnhuābù yǒu lǐr, yǒu miànr=인↘후아 ̄뿌↘ 요우V 릴V, 요우V 미알↘>, <뒷방=里屋=lǐwū=리V우>, <손안=手里=shǒulǐ=소우V리V>, <여기=这里=zhèlǐ=쩌↘리V>]
- 안각, 눈구석, 눈가, 눈초리
眼角 yănjiăo 옌V쟈오V
- 안개1,
안개 같은 작은 물방울
雾 wù 우↘ [※
<雾=wù>는 <안개, 안개 같은 작은 물방울>을 뜻하는 '명사'이다.
예를 들어 <안개가 짙다=雾大=wù dà=우↘ 따↘>, <분무기=喷雾器=pēnwùqì=펀 ̄우↘치↘>
※ <안개 무(雾=霧); 雨-총13획>]
- 안개2
雾气 wùqì 우↘치↘
- 안개가
끼다
起雾 qǐwù 치V우↘
- 안개 같은 작은 물방울,
안개
雾 wù 우↘ [※
<雾=wù>는 <안개, 안개 같은 작은 물방울>을 뜻하는 '명사'이다.
예를 들어 <안개가 짙다=雾大=wù dà=우↘ 따↘>, <분무기=喷雾器=pēnwùqì=펀 ̄우↘치↘>
※ <안개 무(雾=霧); 雨-총13획>]
- 안개꽃,
하늘 가득한 별
满天星 mǎntiānxīng 만V티앤 ̄씽 ̄
- 안건,
사건, 사항
案件 ànjiàn 안↘찌앤↘
- 안경
眼镜 yănjìng 옌V찡↘ [※
참고: 눈에 쓰는 안경은 <眼镜=yǎnjìng=옌V찡↘>, 3성과 4성으로 발음하고, 사람의 눈은 <眼睛=yǎnjing=옌V징>으로 3성과 경성으로 발음한다.
한자도 <거울 경(镜)>과 <눈동자 정(睛)>으로 전혀 다르다.]
- 안고
있다, 품고 있다
抱着 bàozhe 빠오↘저
- 안과
眼科 yǎnkē 옌V커 ̄
- 안 그러면, 아니면,
그러지 않으면, 그렇지 않으면,
~하거나, ~하든지
要不 yàobù 야오↘뿌↘ [※
<要不=yàobù>는 '접속사]로
복문에서
뒷문장에 쓰여져 <그렇지 않으면, 아니면, 안 그러면, 그러지 않으면, ~하거나, ~하든지>라는 라는 뜻으로, 두 가지 중에서 하나를 선택함을 나타낸다.
예를 들어 <술을 안 드세요? 아니면 콜라를
마시면 어때요?=你不喝酒吗?
要不你喝可乐, 怎么样? nǐ bù hējiǔ ma? yàobu nǐ
hē kělè, zěnmeyàng?=니V
뿌↘
허 ̄지우V
마?
야오↘뿌↘
니V
허 ̄
커V러↘,
쩐V머양↘?>]
- 안내,
분장실, 무대의 앞 부분, 무대, 공개된 장소
前台 qiántái 치앤↗타이↗
- 안내인
招待员 zhāodàiyuán 짜오 ̄따이↘위앤↗
- 안내
사항, 주의 사항, 준칙,
모름지기 알아야 한다, 반드시 알아야 한다, 알지 않으면 안 된다
须知 xūzhī 쒸 ̄쯔 ̄ [※ <须知=xūzhī>는 <모름지기 알아야 한다, 반드시 알아야 한다, 알지 않으면 안 된다>라는 뜻의 '동사'이다.
그리고 <안내 사항, 주의 사항, 준칙>이라는 뜻의 '명사'이다.
예를 들어 <농사는 쉬운 일이 아니라는 것을 반드시 알아야 합니다.=须知稼穑之不易。=xūzhī jiàsè zhī búyì=쒸 ̄쯔 ̄ 찌아↘써↘ 쯔 ̄ 부↗이↘>, <신용장 개설 주의 사항=开信用状须知=kāi xìnyòng zhuàng xūzhī.=카이 ̄ 씬↘용↘ 쭈앙↘ 쒸 ̄쯔 ̄>
※ <모름지기 수(须); 頁-총9획; 알 지(知); 矢-총8획>]
- 안내하다1, 양보하다, 옆으로 피하다, ~을 권하다,
~를 권하다, 비키다, 사양(辭讓)하다
让
ràng 랑↘ [※ <让=ràng>은 <~를 권하다, 비키다, 사양(辭讓)하다, 양보하다, 옆으로 피하다, ~을 권하다, 안내하다>라는 뜻의 '동사'이다.
예를 들어 <사양하다 // 양보하다 // 뒤로 물러나 길을 터주다=退让=tuìràng=투이↘랑↘>, <지나가도록 길을 내주다=让出一条路来=ràng chū yì tiáo lù lái=랑↘ 추 ̄ 이↘ 탸오↗ 루↘ 라이↗>, <차를 권하다=让茶=ràng chá=랑↘ 차↗>
※ <사양할 양(让=讓); 言-총5획>]
- 안내하다2,
이끌다, 인도하다
引导 yǐndǎo 인V다오V [※
<引导=yǐndǎo>는 <안내하다, 이끌다, 인도하다>라는 뜻의 '동사'이다.
예를 들어 <주인은 기자를 안내하여 몇 개의 주요 작업장을 참관시켰습니다.=主人引导记者参观了几个主要车间。=zhǔrén yǐndǎo jìzhě cānguān le jǐ gè zhǔyào chējiān.=주V런↗ 인V다오V 찌↘저V 찬 ̄꾸안 ̄ 러 지V 꺼↘ 주V야오↘ 처 ̄찌앤 ̄>, <지도자 // 인도자=引导者=yǐndǎozhě=인V다오V저V>]
- 안녕, 안녕히 가십시오, 안녕히계십시오,
또 만나요, 다시만나요, 또 뵙겠습니다
再见 zàijiàn 짜이↘찌앤↘ [※
<再见=zàijiàn>은 <다시만나요,
또 만나요, 또 뵙겠습니다, 안녕, 안녕히 가십시오, 안녕히 계십시오>라는 뜻으로 다시 만날 기일을 말하지 않고 헤어질 때 주로 쓴다. 비슷한 말로 <재회하다=再会=zàihuì=짜이↘후이↘>가 있다.
예를 들어 <여러분 안녕!=同学们再见!=tóngxué men zàijiàn!=통↗쉬에↗ 먼 짜이↘찌앤↘!>]
- 안녕하세요1,
[일반적]
你好 nǐ
hǎo 니V
하오V
- 안녕하세요2,
[존칭]
您好! Nín hǎo! 닌V
하오V!
- 안녕하십니까?1,
[아침인사]
早上好! zăoshang hăo 짜오V상
하오V
- 안녕하십니까?2,
[저녁인사]
晩上好! wănshang hăo 완V상
하오V
- 안녕히 가십시오, 안녕히계십시오,
또 만나요, 다시만나요, 안녕, 또 뵙겠습니다
再见 zàijiàn 짜이↘찌앤↘ [※
<再见=zàijiàn>은 <다시만나요,
또 만나요, 또 뵙겠습니다, 안녕, 안녕히 가십시오, 안녕히 계십시오>라는 뜻으로 다시 만날 기일을 말하지 않고 헤어질 때 주로 쓴다. 비슷한 말로 <재회하다=再会=zàihuì=짜이↘후이↘>가 있다.
예를 들어 <여러분 안녕!=同学们再见!=tóngxué men zàijiàn!=통↗쉬에↗ 먼 짜이↘찌앤↘!>]
- 안녕히계십시오1,
[안녕히 가십시오]
回见 huíjiàn 후이↗찌앤↘
- 안녕히계십시오2,
또 만나요, 다시만나요, 안녕, 안녕히 가십시오, 또 뵙겠습니다
再见 zàijiàn 짜이↘찌앤↘ [※
<再见=zàijiàn>은 <다시만나요,
또 만나요, 또 뵙겠습니다, 안녕, 안녕히 가십시오, 안녕히 계십시오>라는 뜻으로 다시 만날 기일을 말하지 않고 헤어질 때 주로 쓴다. 비슷한 말로 <재회하다=再会=zàihuì=짜이↘후이↘>가 있다.
예를 들어 <여러분 안녕!=同学们再见!=tóngxué men zàijiàn!=통↗쉬에↗ 먼 짜이↘찌앤↘!>]
- 안녕히주무셨습니까?
早安! zăoān! 짜오V안 ̄!
- 안녕히주무십시오[저녁인사]
晩安! wănān! 완V안 ̄
-
안다,
껴안다, 포옹하다, 자식이나 손자를 처음으로 얻다, 어린애를 양자 또는 양녀로 삼다
抱 bào 빠오↘ [※
<抱=bào>는 <안다, 껴안다, 포옹하다, 자식이나 손자를 처음으로 얻다, 어린애를 양자 또는 양녀로 삼다>라는 '동사'이다.
예를 들어 <어머니가 아이를 안고 있습니다.=母亲抱着孩子。=mǔqīn bào zhe háizi.=무V친 ̄ 빠오↘ 저 하이↗쯔>, <듣자니 당신이 손자를 보았다면서요.=听说你抱孙子了。=tīngshuō nǐ bào sūnzi le.=팅 ̄쑤오 ̄ 니V 빠오↘ 쑨 ̄쯔 러>, <그의 딸은 양녀입니다.=他的女儿是抱的。=tā de nǚér shì bào de.=타 ̄ 더 뉘V얼↗ 쓰↘ 빠오↘ 더>]
-
안달하다,
서두르다, 조급해하다
着急 zháojí 자오↗지↗
- 안
돼요, 할 수 없다, ~할
수 없다, ~할 방법이 없다, ~할 도리가 없다, 무법이다, 난폭하다
无法 wúfǎ 우↗파V [※
<无法=wúfǎ>는 <안
돼요, 할 수 없다, ~할 도리가 없다, ~할 방법이 없다,~할 수 없다>라는 뜻의 '동사'이다.
그리고 <난폭하다, 무법이다>라는 뜻의 '형용사'이다.
예를 들어 <알 도리가 없습니다.=无法知道。=wúfǎ zhīdào.=우↗파V 쯔 ̄따오↘>]
- 안 된다, 불가능하다
不可以 bù kěyǐ 뿌↘
커V이V
- 안도라
安道尔 āndàoěr 안 ̄따오↘얼V [※
유럽의 국가, 안도라 공국, 줄여서 안도라는 유럽의 카탈루냐와 프랑스 사이에 있는 공국이다. 468 평방 킬로미터의 작은 나라이며 프랑스 대통령과 스페인 카탈루냐 지방의 교구인 우르젤의 주교가 공동영주로서 지배하는 나라이다. 수도: 안도라라베야, 면적: 468km², 인구: 7.714만 (2019년) 세계은행, 여행 계획, 하기, 즐길 거리, 3성급 호텔은 평균 ₩74,441, 5성급 호텔은 평균 ₩125,702입니다. 관광 명소: Grandvalira, Ordino Arcalís estación de esquí, 공식 언어: 카탈루냐어]
- 안도의
한숨을 쉬다, 한시름 놓다
松了一口气 sōng
le yīkŏuqì 쏭 ̄
러 이 ̄코우V치↘
- 안드레아스
安德烈亚斯 Āndélièyàsī 안 ̄더↗리에↘야↘쓰 ̄ [※
외국인 '안드레아스'의 중국식 한자 표기]
- 안락의자
安乐椅 ānlèyǐ 안 ̄러↘이V
- 안락하다, 유쾌하다,
~임에
틀림없다[추측의 필연성을 나타내어], 쾌적하다, 편안하다, 필요하다, 틀림없이 ~일 것이다, 틀림없이 ~할 것이다[확신에 찬 추측],
~해야만 한다, ~해야 한다, 기분이 좋다,
걸리다[시간·금전 등이], 만족하다,
마땅히 ~해야 겠다, 마땅히 ~해야 한다,
반드시 ~일 것이다,
~할 만하다,
알맞다, 좋다, 획득하다, 계산하여 값을 얻다, 얻다
得 děi 데이V [※
발음이 2성인 <得=dé>는 <계산하여 값을 얻다, 얻다, 획득하다>라는 뜻의 '동사'이다.
그리고 <알맞다, 좋다, ~할 만하다>라는 뜻의 '형용사'이다.
또한 발음이
경성인 <得=de>는 '조사'로서 다음의 3가지 뜻을 가지고 있다.
1-동사 뒤에 쓰여 <가능(可能)>을 나타낸다.
2-동사와 보어의 가운데 쓰여 <가능>을 나타낸다.
3-동사나 형용사의 뒤에 쓰여, <결과>나 <정도를 표시하는 보어를 연결시키는 역할>을 한다.
아울러 발음이
3성인 <得=děi>는 '조동사'로서
<걸리다[시간·금전 등이],
기분이 좋다, 마땅히 ~해야 겠다, 마땅히 ~해야 한다, 만족하다, 반드시 ~일 것이다, 안락하다, 유쾌하다,
~임에
틀림없다[추측의 필연성을 나타내어], 쾌적하다, 편안하다, 필요하다, 틀림없이 ~일 것이다, 틀림없이 ~할 것이다[확신에 찬 추측],
~해야만 한다, ~해야 한다>라는 뜻으로
쓰인다.]
- 안마기
按摩靠枕 ànmó kàozhěn 안↘모↗
카오↘전V
- 안마사,
맛사지사
按摩服务 ànmó fúwù 안↘모↗
푸↗우↘
- 안마하다,
마사지하다
按摩 ànmó 안↘모↗
- 안맵다
不辣 bú là 부↗
라↘ [※
예를 들어 <맵기
조절은 이렇게 해요!=辣度调节是这样做的!=làdù tiáojié shì zhèyàng zuò de.
- !=라↘뚜↘
탸오↗지에↗ 쓰↘ 쩌↘양↘ 쭈오↘ 더!>, <안 맵게=不辣=bú là=부↗
라↘>, <약간 맵게=微辣=wēi là=웨이 ̄
라↘>, <중간 맵게=中辣=zhōng là=쫑 ̄
라↘>, <아주 맵게=特辣=tè là=터↘
라↘>, <최고 맵게=变太辣=biàn tài là=삐앤↘
타이↘
라↘>]
- 안면, 연고(緣故), 우정, 은혜, 인간관계에서 오고 가는 접대의 예의 풍속, 인정, 인지상정, 정실(情實), 정의(情誼), 체면, 호의,
개인적인 정, 선심,
人情 rénqíng 런↗칭↗ [※ <人情=rénqíng>은 <개인적인 정, 선심, 안면, 연고(緣故), 우정, 은혜, 인간관계에서 오고 가는 접대의 예의 풍속, 인정, 인지상정, 정실(情實), 정의(情誼), 체면, 호의>라는 뜻의 '명사'이다.
예를 들어 <인정은 인정, 장사는 장사다=人情是人情, 买卖是买卖=rénqíng shì rénqíng, mǎimài shì mǎimài=런↗칭↗ 쓰↘ 런↗칭↗, 마이V마이↘ 쓰↘ 마이V마이↘>, <안면이나 연고를 이용하여 일 또는 직장을 구하다=托个人情找事=tuō gè rénqíng zhǎoshì=투오 ̄ 꺼↘ 런↗칭↗ 자오V쓰↘>, <남에게 친절하게 하거나 은혜를 베풀다 // 대접하다=做个人情=zuò gè rénqíng=쭈오↘ 꺼↘ 런↗칭↗>]
- 안목,
안식,
취미, 통찰력, 관찰력, 관점, 관념, 견해, 견식, 눈빛, 눈길, 눈썰미,
뜻,
분별력, 식견, 시선, 사고방식
眼光 yǎnguāng 옌V꾸앙 ̄ [※
<眼光=yǎnguāng>은 <시선, 눈길, 눈빛, 안목, 견식, 식견, 통찰력, 관찰력, 분별력, 관점, 견해, 관념, 사고방식, 안식, 뜻, 취미>를 의미하는 명사이다.
예를 들어 <그녀는 물건을 사는 안목이 매우 좋고, 산 물건도 저렴합니다.=她买东西的眼光很好, 买的东西又便宜。=tā mǎi dōngxi de yǎnguāng hěn hǎo, mǎi de dōngxi yòu piányi.=타 ̄ 마이V 똥 ̄시 더 옌V꾸앙 ̄ 헌V 하오V, 마이V 더 똥 ̄시 요우↘ 피앤↗이>]
- 안목이 없어 취사선택(取舍選擇)을 잘못하다,
진주 상자는 사고 진주는 되돌려 주다, 본말이 전도되다, 쓸모없는 데 현혹되어 일을 그르치다,
구슬 상자를 사고 주옥을 되돌려 주다
买椟还珠 mǎi dú huán zhū 마이V 두↗ 후안↗ 쭈 ̄
- 안배하다1,
계획하다, 마련하다, 배정하다
安排 ānpái 안 ̄파이↗
- 안배하다2, 일을 안배하다, 징벌하다, 처리하다, 처벌하다, 처분하다, 해결하다,
내린 가격으로 혹은 시가(時價)로 처분하다, 문제를 해결하다
处理 chǔlǐ 추V리V [※
<处理=chǔlǐ>는 <내린 가격으로 혹은 시가(時價)로 처분하다, 문제를 해결하다, 안배하다, 일을 안배하다, 징벌하다, 처리하다, 처벌하다, 처분하다, 해결하다>라는 뜻의 '동사'이다.
예를 들어 <법에 따라 처리하다=依法处理=yīfǎ chǔlǐ=이↘파V 추V리V>, <과일 가격을 인하하여 팔다=处理水果=chǔlǐ shuǐguǒ=추V리V 수이V구오V>]
- 안배하다3,
조합하다,
곁들이다, 격식을
차리다, 결합하다,
맞추다,
배합하다
搭配 dāpèi 따 ̄페이↘ [※ <때리다, 수레․배․비행기 따위를 타다, 싣다, 치다, 타다, 탈것에 타다, 태우다, 탈 탑(搭); 手-총13획; 걸맞다, 배우자, 술의 빛깔, 적수, 짝지다, 짝지어 주다, 아내 배(配) & 짝 배(配); 酉-총10획>]
- 안
보인다, 없어졌다, 사라졌다
不见了
bú jiàn
le 부↗
찌앤↘
러 [※
물건이나
사람이 보이지 않을 때 쓰는 표현이다. <안 보인다, 없어졌다,
사라졌다> 등으로 해석한다.
예를 들어 <내 컵이
어디로 갔죠? 왜 안 보이죠?=我的杯子哪儿去了?
怎么不见了?=wǒ de bēizi nǎr qù le? zěnme bú jiàn
le?=워V
더 뻬이 ̄쯔
날V
취↘
러? 쩐V머
부↗
찌앤↘
러?>]
- 안부를
묻다, 문안 드리다
问候 wènhòu 원↘호우↘
- 안부 인사, 인사말, 만났을 때 서로 안부를 묻고 날씨에 대해 이야기하는 등의 상투적인 인사말,
인사말을 나누다,
안부 인사를 하다
寒暄 hánxuān 한↗쒸앤 ̄ [※
<寒暄=hánxuān>는 <만났을 때 서로 안부를 묻고 날씨에 대해 이야기하는 등의 상투적인 인사말,
안부 인사, 인사말>라는 뜻의 ‘명사’이다.
그리고 <안부 인사를 하다, 인사말을 나누다>이라는 뜻의 ‘동사’이다.
비슷한 말로 <만나 뵙게 되어 반갑습니다.=幸会=xìnghuì=씽↘후이↘>, <존함은 오래 전부터 들었습니다.=久仰=jiǔyǎng=지우V양V>
예를 들어 <한번은 한 친구가 저녁에 갑자기 방문했기에 안부인사를 하고 나서 저는 공손하게 들으면서 그가 온 이유를 알고 싶었죠.=有次一个朋友晚上突然来访,一番寒喧之后,我洗耳恭听,想弄清他的来的来意。=yǒu cì yíge péngyou wǎnshang tūrán láifǎng,yìfān hánxuān zhīhòu,wǒ xǐěr gōngtīng,xiǎng nòngqīng tā de lái de láiyì.=요우V 츠↘ 이↗거 펑↗요우 완V상 투 ̄란↗ 라이↗팡V, 이↘판 ̄ 한↗쒸앤 ̄ 쯔 ̄호우, 워V 시V얼V 꽁 ̄팅 ̄, 시앙V
농↘칭 ̄ 타 ̄ 더 라이↗ 더 라이↗이↘>
※ <식히다, 얼다, 차다, 차갑다, 차게하다, 추위로 손발 등이 곱다, 찰 한(寒); 宀-총12획; 따뜻하다, 온난하다, 따뜻할 훤(暄); 日-총13획>]
- 안부인사를 하고 나서
寒喧之后 hánxuān zhīhòu 한↗쒸앤 ̄ 쯔 ̄호우
- 안부 인사를 하다,
인사말을 나누다, 안부 인사, 인사말, 만났을 때 서로 안부를 묻고 날씨에 대해 이야기하는 등의 상투적인 인사말
寒暄 hánxuān 한↗쒸앤 ̄ [※
<寒暄=hánxuān>는 <만났을 때 서로 안부를 묻고 날씨에 대해 이야기하는 등의 상투적인 인사말,
안부 인사, 인사말>라는 뜻의 ‘명사’이다.
그리고 <안부 인사를 하다, 인사말을 나누다>이라는 뜻의 ‘동사’이다.
비슷한 말로 <만나 뵙게 되어 반갑습니다.=幸会=xìnghuì=씽↘후이↘>, <존함은 오래 전부터 들었습니다.=久仰=jiǔyǎng=지우V양V>
예를 들어 <한번은 한 친구가 저녁에 갑자기 방문했기에 안부인사를 하고 나서 저는 공손하게 들으면서 그가 온 이유를 알고 싶었죠.=有次一个朋友晚上突然来访,一番寒喧之后,我洗耳恭听,想弄清他的来的来意。=yǒu cì yíge péngyou wǎnshang tūrán láifǎng,yìfān hánxuān zhīhòu,wǒ xǐěr gōngtīng,xiǎng nòngqīng tā de lái de láiyì.=요우V 츠↘ 이↗거 펑↗요우 완V상 투 ̄란↗ 라이↗팡V, 이↘판 ̄ 한↗쒸앤 ̄ 쯔 ̄호우, 워V 시V얼V 꽁 ̄팅 ̄, 시앙V
농↘칭 ̄ 타 ̄ 더 라이↗ 더 라이↗이↘>
※ <식히다, 얼다, 차다, 차갑다, 차게하다, 추위로 손발 등이 곱다, 찰 한(寒); 宀-총12획; 따뜻하다, 온난하다, 따뜻할 훤(暄); 日-총13획>]
- 안색,
얼굴빛
脸色 liǎnsè 리앤V써↘
- 안식1
安息 ānxī 안 ̄씨 ̄
- 안식2,
안목,
취미,
통찰력, 관찰력, 관점, 관념, 견해, 견식, 눈빛, 눈길, 눈썰미,
뜻,
분별력, 식견, 시선, 사고방식
眼光 yǎnguāng 옌V꾸앙 ̄ [※
<眼光=yǎnguāng>은 <시선, 눈길, 눈빛, 안목, 견식, 식견, 통찰력, 관찰력, 분별력, 관점, 견해, 관념, 사고방식, 안식, 뜻, 취미>를 의미하는 명사이다.
예를 들어 <그녀는 물건을 사는 안목이 매우 좋고, 산 물건도 저렴합니다.=她买东西的眼光很好, 买的东西又便宜。=tā mǎi dōngxi de yǎnguāng hěn hǎo, mǎi de dōngxi yòu piányi.=타 ̄ 마이V 똥 ̄시 더 옌V꾸앙 ̄ 헌V 하오V, 마이V 더 똥 ̄시 요우↘ 피앤↗이>]
- 안식일
安息日 ānxīrì 안 ̄씨 ̄르↘
- 안심하다1,
마음을 놓다
放心 fàngxīn 팡↘씬 ̄
- 안심하다2
安心 ānxīn 안 ̄씬 ̄
- 안전,
안전하다
安全 ānquán 안 ̄취앤↗
- 안절부절 못하다, 15개의 두레박으로 물을 길으니 7개는 위를 향하고 8개는 아래를 향한다,
가슴이 두근거리다, 마음이 혼란하고 불안하다
十五个吊桶打水 - 七上八下 shí wǔ gè diào tǒng dǎ shuǐ - qī shàng bā xià 스↗
우V 꺼↘ 땨오↘
통V 다V 수이V - 치 ̄ 쌍↘ 빠 ̄ 씨아↘ [※ <十五个吊桶打水 - 七上八下shí wǔ gè diào tǒng dǎ shuǐ - qī shàng bā xià>는 <가슴이 두근거리다, 마음이 혼란하고 불안하다, 안절부절 못하다, 15개의 두레박으로 물을 길으니 7개는 위를 향하고 8개는 아래를 향한다>라는 뜻의 ‘헐후어(歇后语=xiēhòuyǔ)’이다.
예를 들어 <용기를 내어 그녀에게 사랑을 고백했지만, 받아들여야 할지 거절해야 할지 알 수 없는 그녀의 무뚝뚝한 표정을 보며 내 마음은 혼란하고 불안했다.=虽然鼓起勇气向她表白了,但是看着她不置可否的表情,不知道到底是接受还是拒绝,我的心里像十五个吊桶打水 - 七上八下=suīrán gǔ qǐ yǒngqì xiàng tā biǎobái le,dànshì kàn zhe tā búzhì-kěfǒu de biǎoqíng,bù zhīdào dàodǐ shì jiēshòu hái shì jùjué,wǒ de xīnlǐ xiàng shíwǔ gè diào tǒng dǎ shuǐ - qī shàng bā xià.=쑤이 ̄란↗ 구V 치V 용V치↘ 씨앙↘ 타 ̄ 뱌오V바이↗ 러, 딴↘쓰↘ 칸↘ 저 타 ̄ 부↗쯔↘-커V포우V 더 뱌오V칭↗, 뿌↘ 쯔 ̄따오↘ 따오↘디V 쓰↘ 찌에 ̄쏘우↘ 하이↗ 쓰↘ 쮜↘쥐에↗, 워V 더 씬 ̄리V 씨앙↘
스↗
우V 꺼↘ 땨오↘
통V 다V 수이V - 치 ̄ 쌍↘ 빠 ̄ 씨아↘>
※ <헐후어(歇后语=xiēhòuyǔ)>란 <'헐(歇)'은 '쉬다'라는 뜻이고, '후(后)'는 '뒤'라는 뜻>이다. 따라서 '헐후어'를 직역하면 <뒤를 쉬는 말>이 된다.
중국 사람들이 예부터 일상생활에서 만들어 쓰기 시작한 일종의 특수한 언어 형식으로, 짧고 해학적이며 생동적이라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원래 두 부분으로 나뉘어져 있는 헐후어는 보통 앞부분만 이야기하고, 뒤(后)에 나오는 말(语)을 쉰다(歇)라는 뜻으로 우리말로 '끝줄임말'이라고도 한다.
덧붙여서, 이 헐후어는 “일부러 미친 척하다. 멍청한 척하다”라는 의미의 '성어'인 <装疯卖傻=zhuāng fēng mài shǎ=쭈앙 ̄ 펑 ̄ 마이↘ 사V>와도 일맥상통한다. <중국어의 꽃>으로 불리는 <헐후어>는 속담처럼 구전으로 전해 내려온 중국어 숙어의 한 종류다. 한족 평민들이 일상에서 사용하던 말에서 전래하였다고 한다.]
- 안정되다1,
움직이지 않다
稳
wěn 원V
- 안정되다2,
심정이 안정되다,
소요가 없이 평안하다, 평화,
편하다,
편안하다
安宁 ānníng 안 ̄닝↗
- 안정시키다,
안착하다, 적절하게 배치하다
安顿 āndùn 안 ̄뚠↘
- 안전성
稳定性 wěndìngxìng 원V띵↘씽↘
- 안주인,
부인, 아내
内当家 nèidāngjiā 네이↘땅 ̄찌아 ̄
- 안중,
눈 속, 마음속
眼里 yǎnlǐ 옌V리V
- 안쪽1
里边 lǐbiān 리V삐앤 ̄
- 안쪽2,
부분, 뒷면, 뒤, 등,
책임을 지다, 죄를 뒤집어 쓰다,
짊어지다, 업다, 등지다, 외우다,
짐
背 bèi 뻬이↘ [※
<背=bèi>는 <등, 등 부분, 뒤, 뒷면, 안쪽>이라는 뜻의 '명사'이다.
또한 <등지다, 업다, 외우다,
죄를 뒤집어 쓰다, 짊어지다, 책임을 지다>라는 뜻의 '동사'이다.
그리고 <짐>을 뜻하는 '양사'이다.
예를 들어 <등을 씻다.=擦背。=cā bèi.=차 ̄ 뻬이↘>, <산을 등지고 바다를 향하다.=背山面海。=bèi shānmiàn hǎi.=뻬이↘ 싼 ̄미앤↘ 하이V>, <아이를 업고 있다.=背着孩子。=bèi zhe háizi.=뻬이↘ 저 하이↗쯔>, <나는 그에게 많은 빚을 지고 있습니다.=我给他背着好些账呢。=wǒ gěi tā bèi zhe hǎoxiē zhàng ne.=워V 게이V 타 ̄ 뻬이↘ 저 하오V씨에 ̄ 짱↘ 너>, <보리 한 짐=一背麦子。=yì bèi màizi.=이↘ 뻬이↘ 마이↘쯔>]
- 안쪽3,
안, 내부, 거친 면[종이나 베의], 속[옷·이불·모자·신발 따위의], 가운데,
내부, 가운데, 안, 속
里 lǐ 리V [※
※
성조가 3성인 <里=lǐ>는 <가운데, 거친 면[종이나 베의], 속[옷·이불·모자·신발 따위의], 안, 안쪽>이라는 뜻의 '명사'이다.
그리고 성조가 경성인 <里=li>는 <가운데, 내부, 안, 속>이라는 뜻의 '명사'로 명사 뒤에 붙어 일정한 공간·시간·범위를 나타낸다.
또한 성조가 3성인 <里=lǐ>는 <이=这=zhè=쩌↘, 그=那=nà=나↘, 어디=哪=nǎ=나V>등의 뒤에 붙어 장소를 나타내는 '접미사'이다.
예를 들어 <이불 안=被里儿=bèi lǐr=뻬이↘ 릴V>, <프린트지에는 안팎이 있다=印花布有里儿, 有面儿=yìnhuābù yǒu lǐr, yǒu miànr=인↘후아 ̄뿌↘ 요우V 릴V, 요우V 미알↘>, <뒷방=里屋=lǐwū=리V우>, <손안=手里=shǒulǐ=소우V리V>, <여기=这里=zhèlǐ=쩌↘리V>]
- 안쪽4, 안, 처(妻), 처가의 친척,
궁중(宮中),
내실(內室), 내부,
속
内 nèi 네이↘ [※
<内=nèi>는 <궁중(宮中), 내부, 내실(內室), 속, 안, 안쪽, 처(妻), 처가의 친척>이란 뜻의 '명사'이다.
예를 들어 <속옷 // 내의=内衣=nèiyī=네이↘이 ̄>, <아내 // 처=内人=nèirén=네이↘런↗>, <집에 마루가 하나, 내실이 둘 있습니다.=家有一堂二内。=jiā yǒu yìtáng èr nèi.=찌아 ̄ 요우V 이↘탕↗ 얼↘ 네이↘>]
- 안착하다,
안정시키다, 적절하게 배치하다
安顿 āndùn 안 ̄뚠↘
- 안치하다,
사람이나 사물을 제 위치에 놓다, 배치하다, 대신(大臣)을 귀양보내다, 직위,
지위, 잘
놓아 두다
安置 ānzhì 안 ̄쯔↘ [※
<安置=ānzhì>는 <잘 놓아 두다, 안치하다, 배치하다, 사람이나 사물을 제 위치에 놓다, 대신(大臣)을 귀양보내다, 지위, 직위>라는 뜻의 '동사' 및 '명사'이다.
예를 들어 <짐을 제자리에 놓으십시오.=安置行李。=ānzhì xíngli.=안 ̄쯔↘ 싱↗리>, <퇴역 군인들은 모두 적당한 자리를 배치받았습니다.=复员军人都得到了适当的安置。=fùyuán jūnrén dōu dédào le shìdàng de ānzhì.=푸↘위앤↗ 쮠 ̄런↗ 또우 ̄ 더↗따오↘ 러 쓰↘땅↘ 더 안 ̄쯔↘>
- 안타까워하다, 아쉬워하다, 애석해하다[남의 불행이나 슬픔에 대해서]
惋惜 wǎnxī 완V씨 ̄
-
안타깝다, 애타다,
좀이 쑤시다,
~하고 싶어 못 견디다, 근질근질하다,
가렵다
痒痒 yǎngyang 양V양 [※
<痒痒=yǎngyang>은
<가렵다, 근질근질하다,
안타깝다, 애타다,
좀이 쑤시다,
~하고 싶어 못 견디다>라는 뜻의 '형용사'이다.
예를 들어 <가려운 곳을 긁다=抓痒痒=zhuā yǎngyang=쭈아 ̄ 양V양>, <나는 당신 말을 듣고 마음이 안타까워졌습니다.=我听您说的我心里痒痒起来了。=wǒ tīng nín shuō de wǒ xīnli yǎngyang qǐlái le.=워V 팅 ̄ 닌↗ 쑤오 ̄ 더 워V 씬 ̄리 양V양 치V라이↗ 러>]
- 안테나에
닭털을 꽂다-정말
큰 먼지털이⇒[담이
크다]
电线杆插鸡毛-好大的掸子⇒[好大的胆子] diànxiàngān
chā jīmáo-hǎo dà de dǎnzi⇒[hǎo
dà de dǎnzi] 띠앤↘시앤↘깐
차 ̄ 찌 ̄마오↗-하오V
따↘
더 딴V쯔⇒[하오V
따↘
더 딴V쯔] [※
이런
헐후어는 후반부의 설명 속에 발음이 같은 단어를 사용한 중의법(뜻이
중복됨)을 사용한다. 후반부는 표면적인 뜻만 가리키지만 그
안에 그 헐후어가 진정으로 전하고자 하는 바를 담고 있다.]
- 안휘성
安徽省 ānhuīshěng 안 ̄후이 ̄썽V [※
중국 31개성 중의 하나]
- 앉거나 누워 있을 때 더 편안하기 위하여 품에 껴안는 베개,
쿠션,
허그 쿠션
抱枕 bàozhěn 빠오↘전V
- 앉다
坐 zuò 쭈오↘
- 알1
卵 luǎn 루안V
- 알2,
방울[둥글고 작은 알갱이를 셀 때 쓰임]
颗 kē 커 ̄
- 알3, 알갱이, 입자, 낟알,
톨, 가루,
잘게 부순 것
粒 lì 리↘
- 알게되어
认识你 rènshì nǐ 런↘쓰↘
니V
- 알고보니,
이전의 어느 시점, 원래의, 원래, 변화가 없는,
본래, 처음, 과거의
原来 yuánlái 위앤↗라이↗ [※
<原来>는
첫째 '명사'로 <원래, 본래, 처음, 이전의 어느 시점>
등의 뜻이 있고, 둘째 속성을 나타내는 '형용사'로 <원래의,
과거의, 변화가 없는>의 뜻이며, 셋째 '부사'로 <원래,
알고 보니>라는
뜻으로 예전에 모르고 있던 상황을 알아차렸음을 나태낸다.
예를 들어 <알고 보니 그는 여자친구가 없었습니다.=原来他没有女朋友。=yuánlái tā méiyǒu nǚpéngyou.=위앤↗라이↗ 타 ̄ 메이↗요우V 뉘V펑↗요우>, <당신은 그의 원래 이름을 알고 있습니까?=你知道他原来的名字?=nǐ zhīdào tā yuánlái de míngzì?=니V 쯔 ̄따오↘ 타 ̄ 위앤↗라이↗ 더 밍↗쯔?>, <이 옷은 원래 흰색이었는데, 지금은 왜 노란색입니까?=这件衣服原来是白色的,现在怎么黄了?=zhè jiàn yīfu yuánlái shì báisè de,xiànzài zěnme huáng le?=쩌↘ 찌앤↘ 이 ̄푸 위앤↗라이↗ 쓰↘ 바이↗써↘ 더, 씨앤↘짜이↘ 쩐V머 후앙↗ 러?>]
- 알다1,
이해하다
懂 dǒng 똥V [※ <懂=dǒng>은 <알다, 이해하다>라는 뜻의 '동사'이다.
예를 들어 <영어를 알다=懂英语=dǒng yīngyǔ=똥V 잉 ̄위V>, <나에게 가장 필요한 것은 여전히 나를 사랑하고 아껴주고 이해해주는 남편입니다.=我最需要的还是一个爱我、疼我、懂我的丈夫。=wǒ zuì xūyào de háishì yí ge ài wǒ、téng wǒ、dǒng wǒ de zhàngfu.=워V 쭈이↘ 쒸 ̄야오↘ 더 하이↗쓰↘ 이↗
거 아이↘ 워V、텅↗ 워V、똥V 워V 더 짱↘푸>
※
<알다+이해하다+심란할
동(懂); 心-총16획>]
- 알다2,
이해하다
懂得 dǒngde 똥V더
- 알다3,
이해하다, 깨닫다, 사실이나 지식을 알다
知道 zhīdào 쯔 ̄따오↘
- 알다4,
인식하다, 인식
认识 rènshi 런↘스 [※
<认识=rènshi>는 <알다, 인식하다>라는 뜻의 '동사'이다.
그리고 <인식>이라는 뜻의 '명사'이다.
예를 들어 <당신은 어디서 그녀를 알게 되었습니까?=你在哪儿认识她的?=nǐ zài nǎr rènshi tā de?=니V 짜이↘ 날V 런↘스 타 ̄ 더?>, <감정적인 인식=感性认识=gǎnxìng rènshi=깐V씽↘ 런↘스>]
- 알다5[자세하게 잘], 알아보다, 이해하다, 조사하다
了解 liăojiĕ 랴오V지에V [※
<了解=liǎojiě>는 <알다[자세하게 잘], 알아보다, 이해하다, 조사하다>라는 뜻의 '동사'이다.
예를 들어 <눈을 아래로 돌려야만 비로소 군중의 소망과 요구를 진정으로 이해할 수 있습니다.=只有眼睛向下, 才能真正了解群众的愿望和要求。=zhǐyǒu yǎnjing xiàng xià, cái néng zhēnzhèng liǎojiě qúnzhòng de yuànwàng hé yàoqiú.=즈V요우V 옌V징 씨앙↘ 씨아↘, 차이↗ 넝↗ 쩐 ̄쩡↘ 랴오V지에V 췬↗쫑↘ 더 위앤↘왕↘ 허↗ 야오↘치우↗>, <손수 가서 한 번 조사해 보겠습니다.=自己去了解一下。=zìjǐ qù liǎojiě yíxià.=쯔↘지V 취↘ 랴오V지에V 이↗씨아↘>]
- 알다6,
이해하다
理解 lĭjiĕ 리V지에V
- 알다7,
명백하다, 명백, 분명하다, 분명, 이해하다, 총명하다, 깨닫다
明白 míngbai 밍↗바이
- 알라(Allah)[아랍어],
하느님
安拉 ānlā 안 ̄라 ̄ [※
<알라(Allah)는 아랍어로 '신(神)'
또는 '하느님'이라는 뜻이다. 이슬람(Islam) 교도(敎徒)들은 '알라(Allah)'를 '유일신'으로 섬긴다.>]
- 알람
시계, 자명종(自鳴鐘)
闹钟 nàozhōng 나오↘쫑 ̄
- 알랑거리다, 아첨하다,
어린아이를 구슬리다, 어르다, 달래다, 감언이설로 환심을 사다, 비위를
맞추다, 말로 속이다, 기만하다
哄 hǒng 홍V [※
<哄=hǒng>은 <달래다, 어르다, 어린아이를 구슬리다, 감언이설로 환심을 사다, 비위를 맞추다, 말로 속이다, 기만하다, 알랑거리다, 아첨하다>라는 동사이다.
예를 들어 <아이가 울자 엄마는 초콜릿을 사서 달래 주었습니다.=孩子哭了,妈妈买巧克力哄她。=háizi kū le,māma mǎi qiǎokèlì hǒng tā=하이↗쯔 쿠 ̄ 러, 마 ̄마 마이V 챠오V커↘리↘ 홍V 타 ̄>]
- 알랑거리는
말, 아부하는 말
, 아첨하는 말, 비위를 맞추는 말
马屁 mǎpì 마V피↘
- 알랑거리다,
아첨하다, 아부하다, 비위를 맞추다
拍马屁 pāi
mǎpì 파이 ̄
마V피↘
- 알레르기,
과민하다, 알레르기
반응을 보이다, 예민하다
过敏 guòmǐn 꾸오↘민V [※
<过敏=guòmǐn>은 1-<알레르기(allergy)>라는 뜻의 '명사'이다.
또한 2-<과민하다, 알레르기
반응을 보이다, 예민하다>라는 뜻의 '형용사'이다.
예를 들어 <피부가 알레르기 반응을 보이다.=皮肤过敏。=pífū guòmǐn.=피↗푸 ̄ 꾸오↘민V>, <너 너무 예민해 하지 마라. 너에 대한 나쁜 말을 하는 사람은 없으니깐.=你不要太过敏, 没人再说你的坏话。=nǐ búyào tài guòmǐn, méi rén zài shuō nǐ de huàihuà.=니V 부↗야오↘ 타이↘ 꾸오↘민V, 메이↗ 런↗ 짜이↘ 쑤오 ̄ 니V 더 화이↘후아↘>]
- 알레르기
반응을 보이다, 예민하다,
과민하다, 알레르기
过敏 guòmǐn 꾸오↘민V [※
<过敏=guòmǐn>은 1-<알레르기(allergy)>라는 뜻의 '명사'이다.
또한 2-<과민하다, 알레르기
반응을 보이다, 예민하다>라는 뜻의 '형용사'이다.
예를 들어 <피부가 알레르기 반응을 보이다.=皮肤过敏。=pífū guòmǐn.=피↗푸 ̄ 꾸오↘민V>, <너 너무 예민해 하지 마라. 너에 대한 나쁜 말을 하는 사람은 없으니깐.=你不要太过敏, 没人再说你的坏话。=nǐ búyào tài guòmǐn, méi rén zài shuō nǐ de huàihuà.=니V 부↗야오↘ 타이↘ 꾸오↘민V, 메이↗ 런↗ 짜이↘ 쑤오 ̄ 니V 더 화이↘후아↘>]
- 알렉산더
대왕
亚历山大大帝 yàlìshāndà
dàdì 야↘리↘싼 ̄따↘
따↘띠↘ [※ 1-<성경통찰 제2권 104-105면>: <<알렉산더(Alexander) [인간의 옹호자]
1. 알렉산더 대왕. 마케도니아의 필리포스 2세와 그의 아내 올림피아스의 아들. 기원전 356년에 펠라에서 태어났다. 성서에 이름이 나오지는 않지만, 그가 다섯 번째 세계 제국을 통치할 것이라는 점은 그가 태어나기 2세기 전에 예언되었다.—단 8:5-7, 20, 21.
 [<<[105면 삽화], 사람들이 알렉산더 대왕의 모습이라고 주장하는 초상이 새겨져 있는 메달>>]
알렉산더는 아버지가 암살되어 자신이 왕위에 오른 지 2년 후, 20대 초의 나이에 세계 정복에 착수하였다. (단 8:5) 이 용맹하고 젊은 전략가는 비교적 소수에 불과한 자신의 군대가 여러 겹의 밀집 방진 대형으로 싸우게 하였는데, 밀집 방진 대형은 알렉산더의 아버지가 사용하기 시작한 것을 알렉산더가 고도의 효율성을 발휘하도록 발전시킨 전술이었다.
소아시아에서 두 차례의 대승리(첫 번째 승리는 그라니코스 강에서, 두 번째 승리는 이수스 평야에서 거두었는데, 이수스 평야에서는 50만 명으로 추정되는 페르시아 대군이 참패를 당하였음)를 거둔 후, 알렉산더는 도망가는 페르시아군을 뒤쫓기보다는 섬 도시 티레에 주의를 돌렸다. 티레는 그 성벽과 망대들과 집들과 심지어 그 흙마저 바다에 던져질 것임이 여러 세기 전에 예언되었다. (겔 26:4, 12) 따라서 알렉산더가 느부갓네살(네부카드네자르)이 여러 해 전에 멸망시킨 본토 도시의 잔해를 가져다 그 섬 도시까지 800미터 길이의 둑길을 만든 것은 매우 의미심장한 일이다. 알렉산더는 해군과 전쟁 장비들로 맹공격을 가하여 이 교만한 바다의 여왕을 기원전 332년 7월에 멸망시켰다.
한편, 예루살렘은 성문을 열고 항복하였다. 요세푸스의 말에 따르면(「유대 고대사」 Jewish Antiquities, XI, 337 [viii, 5]), 그곳 사람들은 알렉산더에게 다니엘의 예언서를 보여 주었는데, 아마도 위력 있는 그리스 왕이 페르시아 제국을 굴복시켜 정복할 것임을 알려 주는 8장의 내용이었을 것이다. 그 때문에 알렉산더는 예루살렘을 공격하지 않았고 남쪽으로 진격하여 이집트로 갔는데, 그곳에서 그는 구출자로 환영받았다. 그는 이집트에 알렉산드리아라는 도시를 세웠는데, 학문의 중심지인 이 도시에서 그리스어 「칠십인역」이 만들어졌다. 동방으로 눈을 돌린 알렉산더는 이집트에서 팔레스타인을 거쳐 돌아왔으며, 재조직된 페르시아의 대군에게 4만 7000명의 병사로 가우가멜라 근처에서 압승을 거두었다. 그 후 다리우스 3세가 이전의 벗들에 의해 살해되고, 바빌론이 항복하고, 알렉산더가 진격을 계속하여 수사와 페르세폴리스를 손에 넣는 일이 짧은 기간에 연이어 일어났다. 알렉산더는 원정을 계속하여 인도까지 갔으며 그다음 다시 서방으로 눈을 돌렸다.
정복 후에 있었던 사건들: 알렉산더는 바빌론을 재건하여 자신의 수도로 삼으려는 원대한 계획을 가지고 있었으나, 그 계획은 결코 실현되지 못했다. 다니엘이 예언한 대로 그는 “위력 있게 되자마자” 즉 세력이 절정에 달했을 때 죽음으로 인해 끊어지고 꺾이게 되었다. (단 8:8) 바빌론을 재건하려던 알렉산더의 야심이 실패한 이유는, 그가 아마도 무분별한 생활 때문에 악화된 말라리아열로 인해 인생에서 한창때인 32세의 나이로 기원전 323년에 갑자기 사망하였기 때문이다. 그의 시신은 방부 처리되어 후에 이집트 알렉산드리아에 묻혔다.
짧은 생애 중에 알렉산더는 자신이 정복한 박트리아의 왕의 딸인 록사나와 결혼하였으며, 또한 페르시아 왕 다리우스 3세의 딸 스타티레와도 결혼하였다. 알렉산더는 록사나를 통해 알렉산더(알루)라는 아들을 낳았다. 그리고 바르시네라는 여자를 통해 헤라클레스(헤르쿨레스)라는 서자를 낳았다. 하지만 다니엘의 예언에서는 그의 제국이 “그의 후손에게 돌아가지도 않”을 것이라고 예언하였다. 알렉산더의 가족과 그의 상속자들이 오래지 않아 모두 죽임을 당함으로 그 예언은 성취되었다. (단 11:3, 4) 뿐만 아니라 이러한 내용도 기록되어 있다. “그런데 그것이 꺾이고 그 대신에 마침내 네 뿔이 일어났으니, 그의 나라에서 네 왕국이 일어날 것이다. 그러나 그만큼의 힘은 없을 것이다.” (단 8:22) 따라서 제국이 알렉산더의 네 장군에 의해 분할되어, 셀레우코스 니카토르가 메소포타미아와 시리아를, 카산드로스가 마케도니아와 그리스를, 프톨레마이오스 라고스가 이집트와 팔레스타인을, 리시마코스가 트라키아와 소아시아를 차지하게 된 것은 단순한 역사적 우연이 아니었다.
알렉산더의 정복 활동은 그리스의 언어와 문화를 광범위하게 퍼뜨림으로 역사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다. 그리스 공통어(코이네)는 국제어가 되었으며, 그 때문에 성서의 뒷부분은 히브리어가 아닌 코이네로 기록되었다.
[알렉산더 대왕과 성서 예언]
1-<예언>:
<<“숫염소 한 마리가 ··· 숫양을 쳐서 쓰러뜨리고 그 두 뿔을 꺾었[다].” “네가 본 두 뿔 가진 숫양은 메디아와 페르시아의 왕들을 의미한다. 털이 많은 숫염소는 그리스의 왕을 의미[한다].” (단 8:5, 7, 20, 21)>>
<성취>:
<<아시아에서 두 차례에 걸쳐 메디아·페르시아군을 무찌른 후 알렉산더의 군대는 처음에는 남쪽으로 그다음에는 동쪽으로 진격하여 메디아·페르시아 제국을 완전히 정복하였다>>
2-<예언>:
<<“네[티레의] ··· 흙을 물 한가운데에 집어넣을 것이다.” (겔 26:4, 12)>>
<성취>:
<<기원전 332년에 알렉산더는 티레의 본토 도시의 잔해를 이용하여 섬 도시 티레에 이르는 둑길을 만들어 그 섬 도시를 멸망시켰다>>
3-<예언>:
<<“그것이 위력 있게 되자마자 큰 뿔이 꺾[였다].” (단 8:8)>>
<성취>:
<<기원전 323년에 그는 32세의 나이에 병에 걸려 사망하였다>>
4-<예언>:
<<“[바빌론이] 한정 없는 때까지 황무지가 될 것이기 때문이다.” (렘 51:26)>>
<성취>:
<<바빌론을 자신의 수도로 재건하려던 그의 원대한 계획은 이와 일치하게 실패로 돌아갔고 결국 바빌론이 있던 곳은 황무지가 되었다>>
5-<예언>:
<<“그의 왕국이 깨어져서 ··· 나뉠 것이나, 그의 후손에게 돌아가지도 않[을 것이다].” (단 11:4)>>
<성취>:
<<알렉산더의 상속자들은 살해되었으며 그의 왕국은 나뉘어졌다>>
6-<예언>:
<<“큰 뿔이 꺾이고, 그 대신에 뿔 넷이 ··· 돋아 나왔다.” (단 8:8, 22)>>
<성취>:
<<기원전 301년에 알렉산더의 장군 네 사람은 이전 제국을 분할하여 지배하였다>>
2. 키레네의 시몬의 아들이며 루포의 형제. 그 두 형제의 아버지는 강요에 의해 예수의 고통의 기둥을 나르는 일을 하였다.—막 15:21; 누 23:26.
3. 수제사장 안나스의 친족. 베드로와 요한을 재판할 때 참석하였다.—행 4:6.
4. 에베소에 사는 유대인. 은세공인들이 바울에 반대하여 폭동을 일으켰을 당시 그 자리에 있었다. 알렉산더가 그들에게 이야기하려고 하자 흥분한 폭도들은 소리를 질러 그의 말이 들리지 않게 하였다.—행 19:33, 34.
5. 후메내오와 더불어, “믿음에 있어서 파선을 경험한” 사람. 신성을 모독하였기 때문에 제명되었다. (딤전 1:19, 20) 아래 6번에 나오는 사람과 같은 사람일 수 있다.
6. 구리 세공인. 이 사람은 바울에게 “많은 해”를 입혔기 때문에 디모데는 이 사람에 대해 경고를 받았다.—딤후 4:14, 15.>>
2-<나무위키-2025-2-10>: <<어원적으로는 고대 그리스어 동사인 <ἀλέξειν(aléxein)>과 <νήρ(anḗr)>의 속격형인 ἀνδρός(andrós)가 합쳐져 '수호자·보호자'라는 의미를 지닌다.>>
3-<네이버 블로그-파란하늘>: <<알렉산더(Alexander)는 그리스어 이름 알렉산드로스(Alexandros / Aléxandros)의 라틴어 버전 이름으로 원래 의미는 '남자다움·용맹함'(manliness)'이며, 이후 '민중의 수호자'(defender of the people)를 의미하게 되었다.
그리스어 Aléxandros(Ἀλέξανδρος)는 동사 aléxein(ἀλέξειν; 방어하다, 피하다)와 명사 anḗr(ἀνήρ, 속격 andrós / ἀνδρός; 사람)의 합성어이다.
4세기 그리스 마케도니아의 통치자이자 역사상 가장 강력한 군사 지휘관 중 한 사람인 알렉산더 대왕(Alexander the Great, 356 - 323 BC)은 이 이름으로 가장 잘 알려져 있다.
알렉산더는 대부분 국민의 수호자(Defender of People)를 의미하는 그리스 남성 이름이다.
알렉산드라(Alexandra)는 선형문자 B 음절문자로 작성된 미케네의 그리스어(Mycenaean Greek) 여성 인명으로 이 이름의 가장 초기 형태이다.>>]
- 알리다,
고하다, 말하다
告诉 gàosu 까오↘쑤
- 알맞게도,
공교롭게, 때마침, 마침, 공교롭다
巧 qiǎo 챠오V [※
<凑巧=còuqiǎo>는 <공교롭다>라는 뜻의 '형용사'이다.
그리고 <공교롭게, 때마침, 마침, 알맞게도>라는 뜻의 '부사'이다.
예를 들어 <그들이 길에서 마주쳤으니, 정말 공교롭습니다.=他们在路上相遇真是凑巧。=tāmen zài lùshàng xiāngyù zhēnshì còuqiǎo.=타 ̄먼 짜이↘ 루↘쌍↘ 씨앙 ̄위↘ 쩐 ̄쓰↘ 초우↘챠오V>, <내가 그를 찾아 가려고 하는데 마침 그가 왔습니다.=我正想去找他, 凑巧他来了。=wǒ zhèng xiǎng qù zhǎo tā, còuqiǎo tā lái le.=워V 쩡↘ 시앙V 취↘ 자오V 타 ̄, 초우↘챠오V 타 ̄ 라이↗ 러>]
- 알맞다1,
적당하다, 적절하다
适当 shìdàng 쓰↘땅↘ [※
예를 들어 <매일 일하면서 공부하는 것 외에도 자신에게 적당히 긴장을 풀어야 합니다.=每天除了工作学习,也要适当地给自己放松放松。=měitiān chúle gōngzuò xuéxí,yě yào shìdàng de gěi zìjǐ fàngsōng fàngsōng.=메이V티앤 ̄ 추↗러 꽁 ̄쭈오↘ 쉬에↗시↗, 예V 야오↘ 쓰↘땅↘ 더 게이V 쯔↘지V 팡↘쏭 ̄ 팡↘쏭 ̄>]
- 알맞다2, 어울리다,
우연히 맞아 떨어지다,
우연히 서로 합치되다,
적절하다, 적합하다
适合 shìhé 쓰↘허↗
-
알맞다3,
적당하다
合适 héshì 허↗쓰↘
- 알맞다4
合适的 héshìde 허↗쓰↘더
- 알맞다5,
딱 좋다
正好 zhènghăo 쩡↘하오V
- 알맞다6,
타당하다,
온당하다, 적당하다
妥当 tuǒdang 투오V땅
- 알맞다7,
일정하다, 조절하다, 적당하다, 적절하다, 순조롭다, 고루 섞다,
배합하다, 적절하게 혼합하다, 조정하다, 고르다
调 tiáo 탸오↗
- 알맞다8,
적합하다,
적당하다, 적응, 적응하다
适应 shìyìng 쓰↘잉↘ [※
<适应=shìyìng>은 <적응하다, 적응, 적합하다, 적당하다, 알맞다>라는 명사, 동사, 형용사이다.
예를 들어 <그녀는 빠르게 현지 생활에 적응했습니다.=她很快就适应了当地的生活。=tā hěnkuài jiù shìyìng le dàng dì de shēnghuó.=타 ̄ 헌V콰이↘ 찌우↘ 쓰↘잉↘ 러 땅↘ 띠↘ 더 썽 ̄후오↗>]
- 알맞다9, 좋다, ~할 만하다,
계산하여 값을 얻다, 얻다, 획득하다,
기분이 좋다,
걸리다[시간·금전 등이], 만족하다,
마땅히 ~해야 겠다, 마땅히 ~해야 한다,
반드시 ~일 것이다,
~임에
틀림없다[추측의 필연성을 나타내어], 유쾌하다, 안락하다, 쾌적하다,
틀림없이 ~일 것이다, 틀림없이 ~할 것이다[확신에 찬 추측],
필요하다,
편안하다, ~해야만 한다,
~해야 한다,
得 dé 더↗ [※
발음이 2성인 <得=dé>는 <계산하여 값을 얻다, 얻다, 획득하다>라는 뜻의 '동사'이다.
그리고 <알맞다, 좋다, ~할 만하다>라는 뜻의 '형용사'이다.
또한 발음이
경성인 <得=de>는 '조사'로서 다음의 3가지 뜻을 가지고 있다.
1-동사 뒤에 쓰여 <가능(可能)>을 나타낸다.
2-동사와 보어의 가운데 쓰여 <가능>을 나타낸다.
3-동사나 형용사의 뒤에 쓰여, <결과>나 <정도를 표시하는 보어를 연결시키는 역할>을 한다.
아울러 발음이
3성인 <得=děi>는 '조동사'로서
<걸리다[시간·금전 등이],
기분이 좋다, 마땅히 ~해야 겠다, 마땅히 ~해야 한다, 만족하다, 반드시 ~일 것이다, 안락하다, 유쾌하다,
~임에
틀림없다[추측의 필연성을 나타내어], 쾌적하다, 편안하다, 필요하다, 틀림없이 ~일 것이다, 틀림없이 ~할 것이다[확신에 찬 추측],
~해야만 한다, ~해야 한다>라는 뜻으로
쓰인다.]
- 알바니아
阿尔巴尼亚 āěrbāníyà 아 ̄얼V빠 ̄니↗야↘ [※
발칸 반도의 국가, 알바니아는 동남유럽 지역에 위치한 국가이다. 공식 국명은 알바니아 공화국이다. 총면적 28,748km²로 2016년 기준 300만 명 가까이의 인구를 보유하고 있다. 티라나는 알바니아에서 가장 큰 도시이자 수도이며, 두러스와 블로러 등의 대도시들이 알바니아에 위치하고 있다. 수도: 티라나, 인구: 286.2만 (2019년) 유로스태트, 대통령: 일리르 메타, 통화: 알바니아 레크]
- 알아낼
수 있다, 알아낼 수 없다[동사의 동작을 통해서]
동사+出来 동사+chūlái 동사+추 ̄라이 [※
<동사+出来>는
<동사+(不)+出来>로
쓰이며, <(동사의 동작을 통해서), 알아낼 수 있다, 또는
알아낼 수 없다>라는 뜻이다. 주로 무언가를 식별해내려
할 때 사용한다.
예를 들어 <그의 변화가 너무 커서
누구도 그를 알아내지 못했다.=他的变化太大,谁都认不出他来了。=tā de biànhuà tài dà,shéi dōu rèn bù chū tā lái le.=타 ̄ 더 삐앤↘후아↘ 타이↘ 따↘, 쉐이↗ 또우 ̄ 런↘ 뿌↘ 추 ̄ 타 ̄ 라이↗ 러>]
- 알아맞히다,
의심하다, 추측해서 풀다,
추측하다, 의심
猜
cāi 차이 ̄ [※
<猜=cāi>는 <알아맞히다, 의심하다, 추측하다, 추측해서 풀다>라는 뜻의 ‘동사’이다.
그리고 <의심>이라는 뜻의 ‘명사’이다.
예를 들어 <이 수수께끼는 정말 풀기 어렵습니다.=这个谜语真难猜。=zhège míyǔ zhēn nán cāi.=쩌↘거 미↗위V 쩐 ̄ 난↗ 차이 ̄>, <남에게 의심을 받다=见猜于人=jiàn cāiyú rén=찌앤↘ 차이 ̄위↗ 런↗>, <어리석은 사람은 의심을 품습니다.=愚者怀猜。=yúzhě huáicāi.=위↗저V 화이↗차이 ̄>
※ <두려워하다, 샘, 샘하다, 싫어하다, 원망하다, 의심, 의심하다, 샘할 시(猜); 犬-총11획>]
- 알아보다1,
물어보다
打听 dǎtīng 다V팅 ̄
- 알아보다2, 질문하다, 문의하다, 물어보다
询问 xúnwèn 쉰↗원↘
- 알아보다3, 이해하다, 알다[자세하게 잘], 조사하다
了解 liăojiĕ 랴오V지에V [※
<了解=liǎojiě>는 <알다[자세하게 잘], 알아보다, 이해하다, 조사하다>라는 뜻의 '동사'이다.
예를 들어 <눈을 아래로 돌려야만 비로소 군중의 소망과 요구를 진정으로 이해할 수 있습니다.=只有眼睛向下, 才能真正了解群众的愿望和要求。=zhǐyǒu yǎnjing xiàng xià, cái néng zhēnzhèng liǎojiě qúnzhòng de yuànwàng hé yàoqiú.=즈V요우V 옌V징 씨앙↘ 씨아↘, 차이↗ 넝↗ 쩐 ̄쩡↘ 랴오V지에V 췬↗쫑↘ 더 위앤↘왕↘ 허↗ 야오↘치우↗>, <손수 가서 한 번 조사해 보겠습니다.=自己去了解一下。=zìjǐ qù liǎojiě yíxià.=쯔↘지V 취↘ 랴오V지에V 이↗씨아↘>]
- 알아볼
수 없다[사람을]
认不出来 rèn
bu chūlái 런↘
부 추 ̄라이↗
- 알약1,
환약
丸药 wányào 완↗야오↘
- 알약2,
환약
药丸 yàowán 야오↘완↗
- 알약3,
정제(錠劑)
药片 yàopiàn 야오↘피앤↘
- 알지 않으면 안 된다,
모름지기 알아야 한다, 반드시 알아야 한다, 안내
사항, 주의 사항, 준칙
须知 xūzhī 쒸 ̄쯔 ̄ [※ <须知=xūzhī>는 <모름지기 알아야 한다, 반드시 알아야 한다, 알지 않으면 안 된다>라는 뜻의 '동사'이다.
그리고 <안내 사항, 주의 사항, 준칙>이라는 뜻의 '명사'이다.
예를 들어 <농사는 쉬운 일이 아니라는 것을 반드시 알아야 합니다.=须知稼穑之不易。=xūzhī jiàsè zhī búyì=쒸 ̄쯔 ̄ 찌아↘써↘ 쯔 ̄ 부↗이↘>, <신용장 개설 주의 사항=开信用状须知=kāi xìnyòng zhuàng xūzhī.=카이 ̄ 씬↘용↘ 쭈앙↘ 쒸 ̄쯔 ̄>
※ <모름지기 수(须); 頁-총9획; 알 지(知); 矢-총8획>]
- 알코올,
주정
酒精 jiǔjīng 지우V찡 ̄
- 알코올솜
酒精棉 jiǔjīng mián 지우V찡 ̄
미앤↗
- 알코올 의존증1
縱酒 zòngjiǔ 쫑↘지우V
- 알코올 의존증2
酒瘾 jǐuyǐn 지우V인V [※
<술․담배의 중독, 두드러기[약이나 음식을 잘못 먹거나 또는 환경의 변화로 인해 생기는 피부병의 하나], 두드러기 은(癮); 疒-총22획>]
- 알코올 의존증3
酗酒 xùjiǔ 쒸↘지우V [※
<술에 빠지다, 술에 취하여 정신없이 말하거나 행동하다, 주정하다, 탐닉하다, 주정할 후(酗); 酉-총11획>]
- 알콩달콩,
꽁냥꽁냥, 남녀 간에 서로 사랑하고 매우 사이가 좋다
卿卿我我 qīng qīng wǒ wǒ 칭 ̄
칭 ̄ 워V
워V [※ <卿卿我我=qīng qīng wǒ wǒ>는 <꽁냥꽁냥, 남녀 간에 서로 사랑하고 매우 사이가 좋다,
알콩달콩>이라는 것을 형용한 뜻이다.
예를 들어 <연인이 꽁냥꽁냥하는 모습은 객차 안의 다른 승객들을 매우 난처하게 만들었습니다.=那对恋人卿卿我我的样子,搞得车厢里别的乘客十分尴尬。=nà duì liànrén qīng qīng wǒ wǒ de yàngzi,gǎo de chēxiāng lǐ biéde chéngkè shí fēn gāngà.=나↘ 뚜이↘
리앤↘런↗ 칭 ̄
칭 ̄ 워V
워V 더 양↘쯔, 까오V 더 처 ̄씨앙 ̄ 리V 비에↗더 청↗꺼↘ 스↗ 펀 ̄ 깐 ̄까↘>]
- 알킨
루스(Arkin Roos)[인명]
阿金鲁斯 Ājīn Lǔsī 아 ̄찐 ̄
루V쓰 ̄
- 암
癌症 áizhèng 아이↗쩡↘ [※
<癌症=áizhèng>은 질병 이름으로 <암>이라는 뜻의
'명사'이다.
예를 들어 <듣자하니 그는 암에 걸렸어요.=听说他的癌症。=tīngshuō tā de áizhèng.=팅 ̄쑤오 ̄ 타 ̄ 더 아이↗쩡↘>]
- 암범, 암호랑이,
무서운
여자, 심술궂은
여자, 성질이
사나운 여자, 언행이 난폭하고 교활한 여자,
범의
암컷
母老虎 mǔ lǎohǔ 무V
라오V후V
- 암시하다
暗示 ànshì 안↘쓰↘
- 암암리에, 암중(暗中),
어둡다,
어리석다, 우둔하다, 우매하다, 은근히, 은밀하게, 은밀한,
은밀한 가운데, 가만히, 개인적으로, 껌껌하다, 깜깜하다, 컴컴하다, 캄캄하다, 미련하다, 사리분별을 잘 못하다, 도리에 어둡다, 흐리터분하다, 흐리멍덩하다, 비밀의, 숨은, 밖으로 드러나지 않은, 내부에 숨겨진, 지하의, 떳떳하지 못한, 뒤가 구린,
남몰래, 홀로, 비밀리에, 슬그머니
暗 àn 안↘ [※
<暗=àn>은 <어둡다, 껌껌하다, 깜깜하다, 컴컴하다, 캄캄하다, 우매하다, 어리석다, 미련하다, 사리분별을 잘 못하다, 우둔하다, 도리에 어둡다, 흐리터분하다, 흐리멍덩하다, 은밀한. 비밀의, 숨은, 밖으로 드러나지 않은, 내부에 숨겨진, 지하의, 떳떳하지 못한, 뒤가 구린>이라는 뜻의 '형용사'이다.
또한 '부사'로 쓰여서 <개인적으로, 남몰래, 홀로, 비밀리에, 은밀하게, 암암리에, 슬그머니, 은근히, 가만히, 은밀한 가운데, 암중(暗中)>이라는 뜻이다.
예를 들어 <해가 서산을 넘어가니 하늘은 금방 어두워졌습니다.=太阳落山了,天很快暗了下来。=tàiyáng luò shān le,tiān hěnkuài àn le xiàlái.=타이↘양↗ 루오↘ 싼 ̄ 러, 티앤 ̄ 헌V콰이↘ 안↘ 러 씨아↘라이↗>, <음으로 양으로 싸우다. // 옥신각신하다.=明争暗斗。=míngzhēng àndòu.=밍↗쩡 ̄ 안↘또우↘>]
- 암약하다,
적극적으로 활동하다, 활약하다, 활발히 하다, 활기를 띠게 하다,
活跃 huóyuè 후오↗위에↘ [※ <活跃=huóyuè>는 <활기를 띠게 하다, 활발히 하다, 활약하다, 적극적으로 활동하다, 암약하다>라는 뜻이 동사이다.
예를 들어 <내외의 교류를 활발히 했습니다.=活跃了内外交流。=huóyuè le nèiwài jiāoliú.=후오↗위에↘ 러 네이↘와이↘ 쨔오 ̄리우↗>, <해외에서 활약했습니다.=活跃海外。=huóyuè hǎiwài.=후오↗위에↘ 하이V와이↘>]
- 암중(暗中),
암암리에, 어둡다,
어리석다, 우둔하다, 우매하다, 은근히, 은밀하게, 은밀한,
은밀한 가운데, 가만히, 개인적으로, 껌껌하다, 깜깜하다, 컴컴하다, 캄캄하다, 미련하다, 사리분별을 잘 못하다, 도리에 어둡다, 흐리터분하다, 흐리멍덩하다, 비밀의, 숨은, 밖으로 드러나지 않은, 내부에 숨겨진, 지하의, 떳떳하지 못한, 뒤가 구린,
남몰래, 홀로, 비밀리에, 슬그머니
暗 àn 안↘ [※
<暗=àn>은 <어둡다, 껌껌하다, 깜깜하다, 컴컴하다, 캄캄하다, 우매하다, 어리석다, 미련하다, 사리분별을 잘 못하다, 우둔하다, 도리에 어둡다, 흐리터분하다, 흐리멍덩하다, 은밀한. 비밀의, 숨은, 밖으로 드러나지 않은, 내부에 숨겨진, 지하의, 떳떳하지 못한, 뒤가 구린>이라는 뜻의 '형용사'이다.
또한 '부사'로 쓰여서 <개인적으로, 남몰래, 홀로, 비밀리에, 은밀하게, 암암리에, 슬그머니, 은근히, 가만히, 은밀한 가운데, 암중(暗中)>이라는 뜻이다.
예를 들어 <해가 서산을 넘어가니 하늘은 금방 어두워졌습니다.=太阳落山了,天很快暗了下来。=tàiyáng luò shān le,tiān hěnkuài àn le xiàlái.=타이↘양↗ 루오↘ 싼 ̄ 러, 티앤 ̄ 헌V콰이↘ 안↘ 러 씨아↘라이↗>, <음으로 양으로 싸우다. // 옥신각신하다.=明争暗斗。=míngzhēng àndòu.=밍↗쩡 ̄ 안↘또우↘>]
- 암호1,
비밀번호(PW)
密码 mìmǎ 미↘마V
- 암호2,
구호, 군호(軍號), 슬로건(slogan)
口号 kǒuhào 코우V하오↘
- 암호랑이,
무서운
여자, 심술궂은
여자, 성질이
사나운 여자, 언행이 난폭하고 교활한 여자,
암범, 범의
암컷
母老虎 mǔ lǎohǔ 무V
라오V후V
- 압구정
狎鸥亭 Xiáōutíng 시아↗오우 ̄팅↗ [※
압구정(狎鷗亭)은 세조 때의 권신인 상당부원군(上黨府院君) 한명회(韓明澮)의 별장이었다. 한명회는 '세상일 다 버리고 강가에서 살며 갈매기와 노닌다. '는 뜻의 압구(狎=익숙할
압, 鷗=갈매기 구)를 호로 삼고, 풍광이 좋았던 동호 지역에 정자를 지어 은거하고자 했다. 현재
서울특별시 강남구의 행정 구역 중 하나이다.]
- 압력,
스트레스
压力 yālì 야 ̄리↘
- 압력밥솥1
电压力锅
diànyālìguō 띠앤↘야 ̄리↘꾸오 ̄
- 압력밥솥2
压力电饭锅
yālì
diànfànguō 야 ̄리↘
띠앤↘판↘꾸오 ̄
- 압박과 속박, 가쇄, 속박,
멍에, 칼과 족쇄
枷锁 jiāsuǒ 찌아 ̄쑤오V [※ <枷锁=jiāsuǒ>는 <가쇄, 멍에, 속박,
압박과 속박, 칼과 족쇄>라는 뜻의 ‘명사’이다.
예를 들어 <정신적 속박=精神枷锁=jīngshén jiāsuǒ=찡 ̄선↗ 찌아 ̄쑤오V>
※ <낟알을 떠는 농기구의 한 가지, 칼, 칼을 쓰다, 칼을 씌우는 형벌, 형틀의 한 가지, 도리깨 가(枷); 木-총9획; 가두다, 자물쇠, 항쇄, 쇠사슬 쇄(锁); 金-총12획>]
- 압출,
내다, 짜내다
挤出 jǐchū 지V추 ̄
- 앙갚음하다, 보복하다[자기의 단점이나 잘못을 지적한 사람에게 직권 등을 이용하여], 타격을 주고 보복하다
打击报复 dǎjī bàofù 다V찌 ̄ 빠오↘푸↘ [※
<打击报复=dǎjī bàofù>는 <보복하다[자기의 단점이나 잘못을 지적한 사람에게 직권 등을 이용하여], 앙갚음하다, 타격을 주고 보복하다>라는 뜻이다.
예를 들어 <앙갚음하는 행위는 군자가 할 일이 아닙니다.=打击报复不是正人君子做的事情。=dǎjī bàofù bú shì zhèngrén jūnzǐ zuò de shìqíng.=다V찌 ̄ 빠오↘푸↘ 부↗ 쓰↘ 쩡↘런↗ 쮠 ̄쯔V 쭈오↘ 더 쓰↘칭↗>]
- 앙골라
安哥拉 āngēlā 안 ̄꺼 ̄라 ̄ [※
센트럴 아프리카의 국가, 앙골라 공화국, 줄여서 앙골라는 아프리카 남서부에 있는 국가이다. 남쪽은 나미비아, 북쪽은 콩고 민주 공화국, 동쪽은 잠비아와 접한다. 서쪽은 대서양을 닿고 있다. 월경지인 카빈다는 콩고 민주 공화국과 콩고 공화국을 접한다. 수도: 루안다, 대통령: 주앙 로렌수, 인구: 3183만 (2019년) 세계은행, 공식 언어: 포어]
- 앙양되다,
충혈되다[머리 또는 얼굴이], 팽창하다, 고조되다, 높아지다, 붇다, 상기되다, 값이 오르다, 물가가 올라가다, 물이 붇다,
수위가 올라가다
涨 zhàng 짱↘ [※ <涨=zhǎng>은 성조가 3성으로 <값이 오르다, 물가가 올라가다, 물이 붇다, 수위가 올라가다>라는 뜻의 '동사'이다.
그리고 <涨=zhàng>은 성조가 4성이면 <고조되다, 높아지다, 붇다, 상기되다, 앙양되다, 충혈되다[머리 또는 얼굴이], 팽창하다>라는 뜻의 '동사'이다.
예를 들어 <물이 불어나면 배도 높이 뜨게 됩니다. // 사물은 그 기초의 변화에 따라 변합니다.=水涨船高。=shuǐ zhǎng chuán gāo=수이V 장V 추안↗ 까오 ̄>, <물가가 폭등하다=物价暴涨=wùjià bàozhǎng=우↘찌아↘ 빠오↘장V>,
<최근 물가가 올랐습니다.=最近的物价上涨了。=zuìjìn de wùjià shàng
zhǎng le.=쭈이↘찐↘ 더 우↘찌아↘ 쌍↘
장V 러>
<콩이 물에 불었다=豆子泡涨了=dòuzi pào zhàng le=또우↘쯔 파오↘ 짱↘ 러>, <머리가 현기증이 나서 어찔어찔하다=头昏脑涨=tóu hūn nǎo zhàng=토우↗ 훈 ̄ 나오V 짱↘>, <사기가 앙양되다=情绪高涨=qíngxù gāozhàng=칭↗쒸↘ 까오 ̄짱↘>]
- 앞
前 qián 치앤↗
- 앞다투어
일등이 되다, 경쟁해서 일등이 되다
争当第一 zhēngdāng dìyī 쩡 ̄땅 ̄
띠↘이 ̄
- 앞당기다[예정된
시간이나 위치 또는 기한을]
提前 tíqián 티↗치앤↗
- 앞발[걸음 걸을 때의], 먼저, 한 발 먼저
前脚 qiánjiǎo 치앤↗쟈오V [※
<前脚=qiánjiǎo>는 <앞발[걸음 걸을 때의], 먼저, 한 발 먼저>라는 뜻의 명사이다. 뒤에 <后脚=hòujiǎo>와 함께 써 시간적으로 <서로 전후하여>의 뜻을 나타낸다.
예를 들어 <내가 먼저 대문을 들어서자, 그가 뒤따라 도착했습니다.=我前脚儿进大门, 他后脚就赶到了。=wǒ qiánjiǎor jìn dàmén, tā hòujiǎo jiù gǎndào le.=워V 치앤↗쟐V 찐↘ 따↘먼↗, 타 ̄ 호우↘쟈오V 찌우↘ 깐V따오↘ 러>]
- 앞 사람의 실패를 보고 교훈으로 삼다, 앞 수레가 뒤집히는 것을 보고 뒷 수레가 교훈으로 삼다,
경고의 본이 되다
前车之鉴 qiánchēzhījiàn 치앤↗처 ̄쯔 ̄찌앤↘
- 앞 수레가 뒤집히는 것을 보고 뒷 수레가 교훈으로 삼다,
앞 사람의 실패를 보고 교훈으로 삼다, 경고의 본이 되다
前车之鉴 qiánchēzhījiàn 치앤↗처 ̄쯔 ̄찌앤↘
- 앞에 가는 사람이 소리쳐 길을 열고 뒤에 가는 사람든 에워싸고 호위하다[귀인이나 고관이 행차할 때], 위세가 대단하다[예전에는 관료가 외출할 때 따르는 사람이 많음을 나타냈으며, 지금 역시 사람이 매우 많고 시끌벅적함을 가리킴]
前呼后拥 qián hū hòu yōng 치앤↗
후 ̄ 호우↘ 용 ̄ [※
<前呼后拥=qián hū hòu yōng>은 <앞에 가는 사람이 소리쳐 길을 열고 뒤에 가는 사람은 에워싸고 호위하다[귀인이나 고관이 행차할 때], 위세가 대단하다[예전에는 관료가 외출할 때 따르는 사람이 많음을 나타냈으며, 지금 역시 사람이 매우 많고 시끌벅적함을 가리킴]라는 뜻이다.
예를 들어 <처음에는 거만한 태도로 나오다가, 나중에는 공손하게 되다.=前倨后恭。=qián jù hòu gōng.=치앤↗ 쮜↘ 호우↘ 꽁 ̄>, <희생을 무릅쓰고 용감하게 앞으로 나아가다[주로 '前○后○' 형식으로 사용됨]. // 앞에 있는 사람이 용감히 돌진하고, 뒤에 있는 사람이 바짝 뒤쫓아 가다.=前赴后继。=qián fù hòu jì.=치앤↗ 푸↘ 호우↘ 찌↘>]
- 앞일을 예견하거나 통찰력이 있는 사람, 유유자적하게 걱정 없이 생활하는 사람,
선인(仙人), 신선
神仙 shénxiān 선↗씨앤 ̄ [※
<神仙=shénxiān>은 <신선, 선인(仙人), 앞일을 예견하거나 통찰력이 있는 사람, 유유자적하게 걱정 없이 생활하는 사람>을 뜻하는 '명사'이다.
예를 들어 <신선이 인간 세상에 내려오다.=神仙下凡。=shénxiān xiàfán.=선↗씨앤 ̄ 씨아↘판↗>, <그는 신선같은 생활을 하고 있습니다.=他过着神仙般的生活。=tā guò zhe shénxiān bān de shēnghuó.=타 ̄ 꾸오↘ 저 선↗씨앤 ̄ 빤 ̄ 더 썽 ̄후오↗>]
- 앞장서다,
통솔,
인도하다
领 lǐng 링V
- 앞절의
상황보다 뒷절의 상황이 심하다1
不仅~, 还~ bùjǐn~, hái~ 뿌↘진V~,
하이↗~ [※
<不仅~, 还~=bùjǐn~, hái~>는 <앞절의 상황보다 뒷절의 상황이 심하다>라는 뜻으로 점층관계를 나타낸다.
동의어로 1-<不仅~, 也~=bùjǐn~, yě~>, 2-<不但~, 还~=búdàn~, hái~>, 3-<不但~,而且~=búdàn~,érqiě~>, 4-<不仅~, 而且~=bùjǐn~, érqiě~>등이 있다.
예를 들어 <그는 효자일 뿐만 아니라 모범적인 남편입니다.=他不仅是个孝子,还是个模范丈夫。=tā bùjǐn shì gè xiàozi,hái shì gè mófàn zhàngfu.=타 ̄ 뿌↘진V 쓰↘ 꺼↘ 쌰오↘쯔, 하이↗ 쓰↘ 꺼↘ 모↗판↘ 짱↘푸>, <성공한 남자 뒤에는 열심히 일한 땀뿐만 아니라 헌신적이고 사심없는 여자도 있습니다.=一个成功男人的背后,不仅有努力的汗水,还有一个无私奉献的女人。=yíge chénggōng nánrén de bèihòu,bùjǐn yǒu nǔlì de hànshuǐ,háiyǒu yíge wúsīfèngxiàn de nǚrén.=이↗거 청↗꽁 ̄ 난↗런↗ 더 뻬이↘호우↘, 뿌↘진V 요우V 누V리↘ 더 한↘수이V, 하이↗요우V 이↗거 우↗쓰 ̄펑↘씨앤↘ 더 뉘V런↗>, <운동은 사람의 건강을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아름다운 체형을 형성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运动不仅能增强人的健康,还能帮人塑造优美的体形。=yùndòng bùjǐn néng zēngqiáng rén de jiànkāng,hái néng bāng rén sùzào yōuměi de tǐxíng.=윈↘똥↘ 뿌↘진V 넝↗ 쩡 ̄치앙↗ 런↗ 더 찌앤↘캉 ̄, 하이↗ 넝↗ 빵 ̄ 런↗ 쑤↘짜오↘ 요우 ̄메이V 더 티V싱↗>]
- 앞절의
상황보다 뒷절의 상황이 심하다2
不仅~, 也~ bùjǐn~, yě~ 뿌↘진V~,
예V~
- 앞절의
상황보다 뒷절의 상황이 심하다3
不但~, 还~ búdàn~, hái~ 부↗딴↘~,
하이↗~
- 앞절의
상황보다 뒷절의 상황이 심하다4
不但~,而且~ búdàn~,érqiě~ 부↗딴↘~,
얼↗치에V~
- 앞절의
상황보다 뒷절의 상황이 심하다5
不仅~, 而且~ bùjǐn~, érqiě~ 뿌↘진V~,
얼↗치에V~
- 앞줄
前排
qiánpái 치앤↗파이↗
- 앞지르다1,
넘다, 따라 앞서다[뒤에 있었던 것이],
상회하다,
초과하다, 추월하다
超过 chāoguò 차오 ̄꾸오↘ [※
<超过=chāoguò>는 <넘다, 따라 앞서다[뒤에 있었던 것이], 상회하다, 앞지르다,
초과하다, 추월하다>라는 뜻의 ‘동사’이다.
예를 들어 <그의 차는 옆으로 해서 앞에 가는 화물 자동차를 추월했습니다.=他的车从旁边超过了前面的卡车。=tā de chē cóng pángbiān chāoguò le qiánmiàn de kǎchē.=타↘ 더 처↘ 총↗ 팡↗삐앤 ̄ 차오 ̄꾸오↘ 러 치앤↗미앤↘ 더 카V처 ̄>, <이 편지는 3그램이 넘습니다.=这封信超过三克。=zhè fēng xìn chāoguò sānkè.=쩌↘ 펑 ̄ 씬↘ 차오 ̄꾸오↘ 싼 ̄커↘>]
- 앞지르다2[차를],
추월하다
超车 chāochē 차오 ̄처 ̄
- 앞쪽
前边 qiánbiān 치앤↗삐앤 ̄
- 애걸복걸하다,
애원하다, 할아버지에게 구하고 할머니에게 알리다, 여기저기 닥치는 대로 부탁하다, 만사를 남에게 의뢰하다, 무엇이나 남의 지시를 받다
求爷爷告奶奶。 qiú yéye gào nǎinai 치우↗
예↗예
까오↘
나이V나이 [※
<求爷爷告奶奶。=qiú yéye gào nǎinai>는 <할아버지에게 구하고 할머니에게 알리다, 애걸복걸하다, 애원하다, 여기저기 닥치는 대로 부탁하다, 만사를 남에게 의뢰하다, 무엇이나 남의 지시를 받다>라는 뜻으로 어떤 목적을 위해서 주변 사람들에게 부탁하고 애원함을 비유한다.
예를 들어, <내가 능력이 있다면, 어디 여기저기 가서 애걸복걸하러 다닐 필요가 있겠습니까?=我要是有本事,哪还用得着到处去求爷爷告奶奶的呢?=wǒ yào shì yǒu běnshì,nǎ hái yòng dézháo dàochù qù qiú yéye gào nǎinai de ne?=워V 야오↘ 쓰↘ 요우V 뻔V쓰↘, 나V 하이↗ 용↘ 더↗자오↗ 따오↘추↘ 취↘ 치우↗
예↗예
까오↘
나이V나이 더 너?>, <그 돈을 마련하기 위해 그는 할 수 없이 애원하여 돈을 빌리러 다녔습니다.=为了凑足那笔钱,他只好求爷爷告奶奶地到处借钱。=wèile còuzú nà bǐ qián,tā zhǐhǎo qiú yéye gào nǎinai de dàochù jiè qián。=웨이↘러 초우↘쭈 나↘ 삐V 치앤↗, 타 ̄ 즈V하오V 치우↗
예↗예
까오↘
나이V나이 더 따오↘추↘ 찌에↘ 치앤↗>, <나는 아무런 권한도 없기 때문에 무슨 일이든 윗사람의 지시를 받아야 합니다.=我没有什么权限, 什么事都得求爷爷告奶奶。=wǒ méiyǒu shénme quánxiàn, shénme shì dōu de qiú yéye gào nǎinai.=워V 메이↗요우V 선↗머 취앤↗씨앤↘, 선↗머 쓰↘ 또우 ̄ 더 치우↗
예↗예
까오↘
나이V나이>]
- 애고(愛顧)하다,
어떤 것에 마음이 끌려 주의를 기울이다, 지켜보다, 관심하다, 돌보다, 돌봐 주다
眷顾 juàngù 쮜앤↘꾸↘
- 애니메이션1,
만화영화
动画片 dònghuàpiān 똥↘후아↘피앤 ̄
- 애니메이션2,
만화영화
动画片儿 dònghuàpiānr 똥↘후아↘피알 ̄
- 애매모호하다, 애매하다,
떳떳하지 못하다, 미심쩍다,
불확실하다
暧昧 àimèi 아이↘메이↘ [※
<暧昧=àimèi>는 '형용사'로 <애매하다, 애매모호하다, 떳떳하지 못하다, 미심쩍다,
불확실하다>라는 뜻이다.
예를 들어 <그 사람은 태도가 좀 애매모호해서 믿을 수가 없습니다.=他那个人, 态度有点儿暧昧, 靠不住。=tā nàge rén, tàidù yǒudiǎnr àimèi, kàobúzhù.=타 ̄ 나↘거 런↗ 타이↘뚜↘ 요우V디알V 아이↘메이↘, 카오↘부↗쭈↘>, <관계가 애매합니다.=关系暧昧。=guānxi àimèi.=꾸안 ̄시 아이↘메이↘>]
- 애매하다, 애매모호하다, 떳떳하지 못하다, 미심쩍다,
불확실하다
暧昧 àimèi 아이↘메이↘ [※
<暧昧=àimèi>는 '형용사'로 <애매하다, 애매모호하다, 떳떳하지 못하다, 미심쩍다,
불확실하다>라는 뜻이다.
예를 들어 <그 사람은 태도가 좀 애매모호해서 믿을 수가 없습니다.=他那个人, 态度有点儿暧昧, 靠不住。=tā nàge rén, tàidù yǒudiǎnr àimèi, kàobúzhù.=타 ̄ 나↘거 런↗ 타이↘뚜↘ 요우V디알V 아이↘메이↘, 카오↘부↗쭈↘>, <관계가 애매합니다.=关系暧昧。=guānxi àimèi.=꾸안 ̄시 아이↘메이↘>]
- 애벌레,
유충
幼虫 yòuchóng 요우↘총↗
- 애석상,
위로상[패자를 위로하기 위해 주는 상]
安慰奖 ānwèijiǎng 안 ̄웨이↘지앙V
- 애석해하다1[남의 불행이나 슬픔에 대해서], 안타까워하다, 아쉬워하다
惋惜 wǎnxī 완V씨 ̄
- 애석해하다2,
아까워하다,
몹시 아끼다, 사랑하다
心疼 xīnténg 씬 ̄텅↗ [※
<心疼=xīnténg>은 <몹시 아끼다, 사랑하다, 아까워하다,
애석해하다>라는 뜻의 '동사'이다.
예를 들어 <그가 네게 일을 시키지 않는 것은 너를 몹시도 아끼기 때문입니다.=他不让你作事, 那是心疼你。=tā bú ràng nǐ zuòshì, nà shì xīnténg nǐ.=타 ̄ 부↗ 랑↘ 니V 쭈오↘쓰↘, 나↘ 쓰↘ 씬 ̄텅↗ 니V>, <이렇게 낭비하는 것을 보니 아깝습니다.=这么浪费, 叫人看了心疼。=zhème làngfèi, jiào rén kàn le xīnténg.=쩌↘머 랑↘페이↘, 쨔오↘ 런↗ 칸↘ 러 씬 ̄텅↗>]
- 애쓰다, 열심히 일하다, 피로하게 하다,
수고하다, 과도하게 쓰다, 지나치게 사용하다, 지치다,
피로하다,
피곤하다,
힘들다, 거듭하다, 쌓이다, 연속하다, 점점 증가하다,
누차, 여러 번, 연속으로
累 lèi 레이↘ [※
<累=lèi>는 1-<지치다,
피곤하다, 피로하다,
힘들다>라는 '형용사'이다.
또한 2-<과도하게 쓰다, 수고하다, 열심히 일하다, 애쓰다, 지나치게 사용하다, 피로하게 하다>라는 뜻의 '동사'이다.
그리고 성조가 4성에서 <累=lèi> 3성으로 <累=lěi> 발음하면 3-<거듭하다, 쌓이다, 연속하다, 점점 증가하다>라는 뜻의 '동사'이다.
또한 4-<누차, 여러 번, 연속으로>라는 뜻의 '부사'이다.
예를 들어 1-<할수록 신이 나서 조금도 피로를 느끼지 않습니다.=越干越有劲儿, 一点儿也不觉得累。=yuè gān yuè yǒu jìnér, yìdiǎnér yě bù juéde lèi.=위에↘ 깐 ̄ 위에↘ 요우V 찐↘얼↗, 이↘디앤V얼↗ 예V 뿌↘ 쥐에↗더 레이↘>, 2-1-<잔 글자를 보는 것은 눈을 피로하게 합니다.=看小字累眼睛。=kàn xiǎozì lèi yǎnjīng.=칸↘ 샤오V쯔↘ 레이↘ 옌V찡 ̄>, 2-2-<하루 종일 수고하셨으니 쉬셔야 합니다.=你累了一天, 该休息了。=nǐ lèi le yìtiān, gāi xiūxi le.=니V 레이↘ 러 이↘티앤 ̄, 까이 ̄ 씨우 ̄시 러>, 3-<날과 달이 쌓이다. // 오랜 세월이 흐르다.=日积月累。=rìjīyuèlěi.=르↘지 ̄위에↘레이V>, <문장이 길고 지루합니다.=连篇累牍。=lián piān lèi dú.=리앤↗ 피앤 ̄ 레이↘ 두↗>, 4-<여러 번 경고하였으나 고치지 않습니다.=累戒不改。=lěijiè bù gǎi.=레이V찌에↘ 뿌↘ 까이V>]
- 애완동물
宠物 chǒngwù 총V우↘
- 애원하다1, 여기저기 닥치는 대로 부탁하다, 애걸복걸하다,
할아버지에게 구하고 할머니에게 알리다, 만사를 남에게 의뢰하다, 무엇이나 남의 지시를 받다
求爷爷告奶奶。 qiú yéye gào nǎinai 치우↗
예↗예
까오↘
나이V나이 [※
<求爷爷告奶奶。=qiú yéye gào nǎinai>는 <할아버지에게 구하고 할머니에게 알리다, 애걸복걸하다, 애원하다, 여기저기 닥치는 대로 부탁하다, 만사를 남에게 의뢰하다, 무엇이나 남의 지시를 받다>라는 뜻으로 어떤 목적을 위해서 주변 사람들에게 부탁하고 애원함을 비유한다.
예를 들어, <내가 능력이 있다면, 어디 여기저기 가서 애걸복걸하러 다닐 필요가 있겠습니까?=我要是有本事,哪还用得着到处去求爷爷告奶奶的呢?=wǒ yào shì yǒu běnshì,nǎ hái yòng dézháo dàochù qù qiú yéye gào nǎinai de ne?=워V 야오↘ 쓰↘ 요우V 뻔V쓰↘, 나V 하이↗ 용↘ 더↗자오↗ 따오↘추↘ 취↘ 치우↗
예↗예
까오↘
나이V나이 더 너?>, <그 돈을 마련하기 위해 그는 할 수 없이 애원하여 돈을 빌리러 다녔습니다.=为了凑足那笔钱,他只好求爷爷告奶奶地到处借钱。=wèile còuzú nà bǐ qián,tā zhǐhǎo qiú yéye gào nǎinai de dàochù jiè qián。=웨이↘러 초우↘쭈 나↘ 삐V 치앤↗, 타 ̄ 즈V하오V 치우↗
예↗예
까오↘
나이V나이 더 따오↘추↘ 찌에↘ 치앤↗>, <나는 아무런 권한도 없기 때문에 무슨 일이든 윗사람의 지시를 받아야 합니다.=我没有什么权限, 什么事都得求爷爷告奶奶。=wǒ méiyǒu shénme quánxiàn, shénme shì dōu de qiú yéye gào nǎinai.=워V 메이↗요우V 선↗머 취앤↗씨앤↘, 선↗머 쓰↘ 또우 ̄ 더 치우↗
예↗예
까오↘
나이V나이>]
- 애원하다, 간청하다[윗사람에게]
央求 yāngqiú 양 ̄치우↗ [※
<央求=yāngqiú>는 <간청하다[윗사람에게], 애원하다>라는 뜻의 ‘동사’이다.
예를 들어 <내가 재삼 간청해서야 그는 허락을 했습니다.=我再三央求, 他才答应。=wǒ zàisān yāngqiú, tā cái dáyìng.=워V 짜이↘싼 ̄ 양 ̄치우↗ 타 ̄ 차이↗ 다↗잉↘>
※ <끝장나다, 다하다, 시간적으로 멀다, 오래다, 가운데 앙(央); 大-총5획>]
- 애인1,
남편, 아내
爱人 àirén 아이↘런↗
- 애인2[대상=결혼상대]
对象 duìxiàng 뚜이↘씨앙↘
- 애인3[여자친구]
女朋友 nǚpěngyou 뉘V펑V요우
- 애인4
情人 qíngrén 칭↗런↗
- 애인5,
짝
另一半儿 lìng yí bànr 링↘
이↗
빨↘
- 애인6, 마음에 둔 사람, 사랑하는 사람
心上人 xīnshàngrén 씬 ̄쌍↘런↗ [※
<心上人=xīnshàngrén>은 <마음에 둔 사람, 사랑하는 사람, 애인>이라는 뜻의 '명사'이다.
예를 들어 <그는 대학에서 그의 사랑하는 사람을 만났습니다.=他是在大学里遇到了他的心上人的。=tā shì zài dàxué lǐ yùdào le tā de xīnshàngrén de.=타 ̄ 쓰↘ 짜이↘ 따↘쉬에↗ 리V 위↘따오↘ 러 타 ̄ 더 씬 ̄쌍↘런↗ 더>]
- 애정,
사랑, 남녀간의 애정
爱情 àiqíng 아이↘칭↗
- 애정
방면의 좋은 운, 여색의 운, 여자복이나 남자복이 있다, 행운,
좋은 운수
桃花运 táohuāyùn 타오↗후아 ̄윈↘
- 애정을 기울이다, 사랑에 빠지다
钟情 zhōngqíng 쫑 ̄칭↗ [※
<钟情=zhōngqíng>은 <사랑에 빠지다, 애정을 기울이다>라는 뜻의 '동사'이다.
예를 들어 <한 번 보고 사랑에 빠지다 // 첫눈에 반하다=一见钟情=yíjiàn zhōngqíng=이↗찌앤↘ 쫑 ̄칭↗>, <그와 그의 부인은 첫눈에 반했습니다.=他跟他夫人是一见钟情。=tā gēn tā fūrén shì yíjiàn zhōngqíng.=타 ̄ 껀 ̄ 타 ̄ 푸 ̄런↗ 쓰↘ 이↗찌앤↘ 쫑 ̄칭↗>]
- 애지중지하는
딸, 매우 아끼는 물건
掌上明珠 zhǎng
shàng míngzhū 장V
쌍↘
밍↗쭈 ̄
- 애지중지하다1,
보호하다
呵护 hēhù 허 ̄후↘
- 애지중지하다2,
익애하다, 지나치게 귀여워하다, 귀여워하다
溺爱 nì’ài 니↘아이↘ [※
<溺爱=nì’ài>는 <귀여워하다, 익애하다, 지나치게 귀여워하다, 애지중지하다>라는 뜻의 '동사'이다.
예를 들어 <아이를 지나치게 귀여워하는 것은 아이에게 관계라기보다는 해를 끼치는 것입니다.=过度溺爱孩子,与其说是关系孩子不如说是害孩子。=guòdù nìài háizi,yǔqí shuō shì guānxì háizi bùrú shuō shì hài háizi.=꾸오↘뚜↘ 니↘아이↘ 하이↗쯔, 위V치↗ 쑤오 ̄ 쓰↘ 꾸안 ̄씨↘ 하이↗쯔 뿌↘루↗ 쑤오 ̄ 쓰↘ 하이↘ 하이↗쯔>
※ <빠질 닉(溺); 水-총13획>]
- 애창곡,
18번
拿手歌 náshǒugē 나↗소우V꺼 ̄
- 애처로운
세상 부모들의 마음
可怜天下父母心
kělián
tiānxià fùmǔ xīn 커V리앤↗
티앤 ̄씨아↘ 푸↘무V
씬 ̄
- 애타다,
안타깝다, 좀이 쑤시다,
~하고 싶어 못 견디다, 근질근질하다,
가렵다
痒痒 yǎngyang 양V양 [※
<痒痒=yǎngyang>은
<가렵다, 근질근질하다,
안타깝다, 애타다,
좀이 쑤시다,
~하고 싶어 못 견디다>라는 뜻의 '형용사'이다.
예를 들어 <가려운 곳을 긁다=抓痒痒=zhuā yǎngyang=쭈아 ̄ 양V양>, <나는 당신 말을 듣고 마음이 안타까워졌습니다.=我听您说的我心里痒痒起来了。=wǒ tīng nín shuō de wǒ xīnli yǎngyang qǐlái le.=워V 팅 ̄ 닌↗ 쑤오 ̄ 더 워V 씬 ̄리 양V양 치V라이↗ 러>]
- 애태우게 하다, 죽이다, 질리게 하다, 남을 곤란하게 하다, 목숨을 빼앗다, 생명을 잃게 하다,
지독히, 매우, 아주, 죽을 지경이다, 심하다
要命 yào mìng 야오↘ 밍↘ [※
<要命=yào mìng>은 <남을 곤란하게 하다, 목숨을 빼앗다, 생명을 잃게 하다, 애태우게 하다, 죽이다,
질리게 하다>라는 뜻의 '동사'로, 초조하거나 원망할 때 주로 쓰인다.
그리고 <심하다, 죽을 지경이다>라는 뜻의 '형용사'로 정도 보어에 쓰여서 상황이나 상태가 극점에 달한 것을 나타낸다.
또한 <매우, 아주, 지독히>라는 뜻의 '부사'이다.
예를 들어 <돈이라면 없지만 목숨이라면 하나 있습니다.=要钱没有, 要命倒是有一条。=yào qián méiyǒu, yào mìng dǎo shì yǒu yìtiáo.=야오↘ 치앤↗ 메이↗요우V, 야오↘ 밍↘ 따오V 쓰↘ 요우V 이↘탸오↗>, <그는 매일 와서 귀찮게 구니, 정말 지겹습니다.=他天天来吵闹, 真要命。=tā tiāntiān lái chǎonào, zhēn yào mìng.=타 ̄ 티앤 ̄티앤 ̄ 라이↗ 차오V나오↘, 쩐 ̄ 야오↘ 밍↘>, <아파 죽겠다=疼得要命=téng de yào mìng=텅↗ 더 야오↘ 밍↘>, <우리가 여기에 왔을 때 날씨가 너무 추웠습니다.=我们来到这里时,天气冷得要命。=wǒmen láidào zhèlǐ shí,tiānqì lěng de yào mìng.=워V먼 라이↗따오↘ 쩌↘리V 스↗, 티앤 ̄치↘ 렁V 더 야오↘ 밍↘>]
- 애태우다,
고민하다, 걱정하다, 노심하다, 마음을 졸이다, 마음을 쓰다
操心 cāoxīn 차오 ̄씬 ̄
[※ <잡을 조(操); 手-총16획; 마음 심(心); 心-총4획>]
- 애티1, 어린애 티가 나다, 유치(幼稚)하다,
치기(稚氣), 치기가 있다
稚气 zhìqi 쯔↘치 [※
<유치(幼稚)하다>라는 뜻은 <행동거지가 어른스럽지 못하고 미숙함>을 뜻하는 말이다. 유치원(幼稚園)의 '유치'도 이 한자를 쓴다.
※
<어릴 치(稚); 禾-총13획>]
- 애티2, 어린애 티가 나다, 치기(稚氣), 치기가 있다
孩子气 háiziqì 하이↗즈치↘
- 애프터서비스(A/S)
售后服务 shòuhòu
fúwù 쏘우↘호우↘
푸↗우↘ [※ <나무위키>: <<애프터 서비스: 이미 팔린 물건에 대해 일정기간을 정해서 그 기간 안에 문제가 발생했을 경우 그 문제점을 해결해주는 서비스를 의미한다. 흔히 A/S라고 부른다.>>]
- 애플
주스, 사과 주스
苹果汁 píngguǒzhī 핑↗구오V쯔 ̄
- 애호가1
爱好者 àihǎozhě 아이↘하오V저V
- 애호가2, ~에
빠지다, 탐닉하다, 판단력을 잃다, 팬, 헷갈리다,
광(狂), ~광, 갈피를 잡지 못하다,
매혹되다, 마니아,
빠지다,
심취하다
迷 mí 미↗
- 애호가(愛好家)3, 마니아(Mania),
팬,
녹말로 만든 당면,
서포터(Supporter)
粉丝 fěnsī 펀V쓰 ̄ [※
<粉丝=fěnsī>는 <녹말로 만든 당면>을 뜻하는 ‘명사’이다.
또한 영어 <fans=팬즈>를 음역하여 <팬, 서포터(Supporter), 애호가(愛好家), 마니아(Mania)>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열성 팬=忠实粉丝=zhōngshí fěnsī=쫑 ̄스↗ 펀V쓰 ̄>
※ <위키백과>: <<영어로
팬(Fan) 또는 서포터(Supporter: 가터, 뒷바라지꾼, 버팀, 보좌역, 부양자, 서포터[운동용의], 원조자, 자기편, 지주, 지지물, 지지자, 찬성자, 후원자, 한편), 애호가(愛好家), 마니아(Mania)는 어떤 특정한 스포츠나 연예인, 음악이나 배우, 영화, 소설, 만화 등에 열광적으로 사랑하면서 자신의 노력, 시간, 돈을 소비하는 사람을 말한다. 팬들은 관련된 물품을 사기도 하며, 인터넷 카페 등에서 활동하기도 한다.>>]
- 애호하다1, 자애(自愛)하다,
꾸미기를 좋아하다,
기호, 체면을 차리다, 취미, 체면을 중시하다, 멋을 내다, 멋을 부리다, ~하기를
즐기다
爱好 àihào 아이↘하오↘ [※ <爱好=àihào>는 <취미, 기호, 체면을 중시하다, 체면을 차리다, 애호하다, 자애(自愛)하다, 멋을 내다, 멋을 부리다, 꾸미기를 좋아하다,
~하기를 즐기다>라는 명사 및 동사이다.
예를 들어 <그녀는 어릴 때부터 멋을 부려서 외출 때는 언제나 예쁘게 차려 입는다.=她从小就很爱好,出门总是穿得漂漂亮亮的。=tā cóngxiǎo jiù hěn àihào,chūmén zǒngshì chuān de piàopiào-liàngliàng de.=타 ̄ 총↗샤오V 찌우↘ 헌V 아이↘하오↘, 추 ̄먼↗ 쫑V쓰↘ 추안 ̄ 더 퍄오↘퍄오↘-리앙↘리앙↘ 더>,
<당신의 취미는 무엇입니까?=你的爱好是什么?=nǐ de àihào shì shénme?=니V 더 아이↘하오↘ 쓰↘ 선↗머?>
<※
참조: 여기에서 <好=hǎo>는
3성이지만 취미를 물을 때는 같은 한자이지만, <好=hào>
4성으로 발음한다.>]
- 애호하다2,
소중히 여기다, 아끼다
爱护 àihù 아이↘후↘ [※
<爱护=àihù>는 <소중히 여기다,
아끼다, 애호하다>라는 뜻의 '동사'이다.
예를 들어 <공공물을 애호하다=爱护公物=àihù gōngwù=아이↘후↘ 꽁 ̄우↘>]
- 애호하다3,
아끼다, 소중하게 여기다, 매우 귀여워하다
爱惜 àixī 아이↘씨 ̄ [※
<爱惜=àixī>는 <아끼다, 소중하게 여기다, 매우 귀여워하다, 애호하다>라는 뜻의 동사이다.
예를 들어 <시간을 아끼다.=爱惜时间。=àixī shíjiān.=아이↘씨 ̄ 스↗찌앤 ̄>]
- 액자1,
그림틀
画框 huàkuàng 후아↘쿠앙↘
- 액자2,
그림틀
画框儿 huàkuàngr 후아↘쿠알↘
- 액화 석유 가스, 일산화탄소, 탄내,
가스[석탄]
煤气 méiqì 메이↗치↘ [※ <먹, 석탄, 그을음 매(煤); 火-총13획>]
- 앤티가,
앤티가 바부다, 앤티가 섬
安提瓜岛 āntíguādǎo 안 ̄티↗꾸아 ̄따오V [※
카리브 제도의 국가, 앤티가 바부다는 카리브 해와 대서양을 끼고 있는 섬나라이자 영국 연방의 회원국이다. 앤티가 섬과 바부다 섬이라는 비교적 면적이 넓은 섬 두 개와 작은 섬들로 이루어진 소규모 열도를 영토로 가지고 있다. 수도: 세인트존스, 국가 번호: +1, 인구: 9.712만 (2019년) 세계은행, 통화: 동카리브 달러, 여행 계획하기, 즐길 거리, 3성급 호텔은 평균 ₩168,964, 5성급 호텔은 평균 ₩1,509,598입니다.]
- 앵귈라
安圭拉 ānguīlā 안 ̄꾸이 ̄라 ̄ [※
영국 해외 영토, 앵귈라는 서인도 제도에 있는 영국의 해외 영토이다. 소앤틸리스 제도의 리워드 제도 북부에 있으며 동쪽에는 푸에르토 리코와 버진 제도가 있고, 바로 북쪽에는 생마르탱이 있다. 수도는 더밸리. 공용어는 영어이다. 수도: 발리, 국가 번호: +1, 인구: 1.509만 (2011년), 대륙: 북아메리카, 여행 계획하기‘ 즐길 거리, 3성급 호텔은 평균 ₩332,166, 5성급 호텔은 평균 ₩957,005입니다.]
- 앵글,
사물을 보거나 생각하는 출발점, 관점, 각도,
견지
角度 jiǎodù 쟈오V뚜↘ [※
<角度=jiǎodù>는 <각도, 견지, 관점, 사물을 보거나 생각하는 출발점, 앵글>이라는 뜻의 '명사'이다.
예를 들어 <각도를 측량하다.=测量角度。=cèliáng jiǎodù.=처↘리앙↗ 쟈오V뚜↘>, <여러 각도에서 문제를 연구합니다.=从各个角度来研究问题。=cóng gègè jiǎodù lái yánjiū wèntí.=총↗ 꺼↘꺼↘ 쟈오V뚜↘ 라이↗ 옌↗찌우 ̄ 원↘티↗>]
- 야!,
아!,
삐걱, 삐거덕,
어세(語勢)를 돕기 위하여 문장의 끝에 사용, 문장의 중간에서 어기(語氣)를 잠시 멈출 때 사용하여 어세를 도와줌
呀 ya 야 [※
<呀=ya>라는 뜻의 <조사>는 성조가 없으면 <어세(語勢)를 돕기 위하여 문장의 끝에 사용하는 어기 조사, 문장의 중간에서 어기(語氣)를 잠시 멈출 때 사용하여 어세를 도와주는 어기 조사>이다. 또한 <呀=yā>는 성조가 1성이면 <아!, 야!>라는 뜻의 '감탄사'이다.
그리고 <삐걱, 삐거덕>이라는 뜻의 '의성어' 및 '의태어'이다.
예를 들어 <조사>로 쓰여 <빨리 와!=快来呀!=kuài lái ya.=콰이↘ 라이↗ 야>, <그 사람이라, 아마 안 될 걸.=他呀, 恐怕不行。=tā ya, kǒngpà bùxíng.=타 ̄ 야, 콩V파↘ 뿌↘싱↗>, <이야기를 하다 하다가 밤을 새웠습니다.=谈呀谈呀, 谈了个通宵。=tán ya tán ya, tán le gè tōngxiāo.=탄↗ 야 탄↗ 야, 탄↗ 러 꺼↘ 통 ̄쌰오 ̄>
<감탄사>로 쓰여 <아! 그가 또 왔나?=呀, 他又来了?=yā, tā yòu lái le?=야 ̄, 타 ̄ 요우↘ 라이↗ 러?>
<의성어 및 의태어>로 쓰여 <문이 삐꺽하고 열렸습니다.=门呀的一声开了。=mén yā de yìshēng kāi le.=먼↗ 야 ̄ 더 이↘썽 ̄ 카이 ̄ 러>]
- 야, 우와, 이거,
어머나, 세상에, 그것 참!, 허!, 참!
好家伙 hǎojiāhuǒ 하오V찌아 ̄후오V [※
<好家伙=hǎojiāhuǒ>는 놀람이나 칭찬을 나타내는데 <어머나, 세상에, 우와, 그것 참!, 허!, 야, 이거, 참!>이라는
뜻의 '감탄사'이다. <감탄, 놀람, 칭찬> 등을 나타낼 때 내는 소리이다. 회화에서 많이 쓰는 표현으로 공식적인 자리에서는 보통 쓰지 않는다.
예를 들어 <참, 이번에 내려오느라 정말 힘들었습니다.=好家伙,这一趟下来,可真够累的。=hǎojiāhuǒ,zhè yí tàng xiàlái,kě zhēn gòu lèi de.=하오V찌아 ̄후오V, 쩌↘ 이↗ 탕↘ 씨아↘라이↗, 커V 쩐 ̄ 꼬우↘ 레이↘ 더>, <이거, 정말 긴장되네요.=好家伙, 真够紧张的。=hǎojiāhuǒ, zhēn gòu jǐnzhāng de.=하오V찌아 ̄후오V, 쩐 ̄ 꼬우↘ 진V짱 ̄ 더>, <허! 어떻게 이렇게 빨리 하였니.=好家伙, 你们怎么干得这么快呀。=hǎojiāhuǒ, nǐmen zěnme gān dé zhème kuài ya.=하오V찌아 ̄후오V, 니V먼 쩐V머 깐 ̄ 더↗ 쩌↘머 콰이↘ 야>]
- 야간1
夜班 yèbān 예↘빤 ̄
- 야간2,
밤
夜晚 yèwǎn 예↘완V
- 야간
학교
夜校 yèxiào 예↘쌰오↘
- 야간 학교에 다니다
上夜校 shàng yèxiào 쌍↘ 예↘쌰오↘
- 야고보서
雅各书 Yăgèshū 야V꺼↘쑤 ̄ [※
성경
66권 중의 59권]
- 야곱
雅各 yăgè 야V꺼↘
- 야광배
夜光杯 yèguāngbēi 예↘꾸앙 ̄뻬이 ̄ [※ 야광 술잔을
말한다.]
- 야구
棒球 bàngqiú 빵↘치우↗
- 야근하다1
夜班 yèbān 예↘빤 ̄
- 야근하다2,
특별히 편성하다, 증편(增便)하다, 초과 근무하다, 시간 외
근무를 하다, 잔업(殘業)하다, 특근하다
加班 jiābān 찌아 ̄빤 ̄
- 야단났다1,
심하다[정도가], 매우 심하다, 대단하다, 큰일났다
不得了 bùdéliǎo 뿌↘더↗랴오V [※
<不得了=bùdéliǎo>는 <대단하다, 매우 심하다, 심하다[정도가],
야단났다, 큰일났다>라는 뜻의 '형용사'이다.
예를 들어 <그들 두 사람은 사이가 아주 좋습니다.=他们俩好得不得了。=tāmen liǎ hǎo de būdéliǎo.=타 ̄먼 리아V 하오V 더 뿌↘더↗랴오V>, <앗, 큰일났다. 불이야!=哎呀, 不得了, 着火了!。=āiya, bùdéliǎo, zháohuǒ le.=아이 ̄야, 뿌↘더↗랴오V, 자오↗후오V 러>, <그는 병이 심합니다.=他病得不得了。=tā bìng de būdéliǎo.=타 ̄ 삥↘ 더 뿌↘더↗랴오V>]
- 야단났다2, 야단이다[상황이나 결과가 심각하여 수습할 방도가 없을 때], 엄청나다, 예사롭지 않다, 지독하다, 큰일났다, 큰일이다, 심하다, 비범하다, 무시무시하다, 굉장하다, 뛰어나다, 대단하다,
훌륭하다
了不得 liǎobudé 랴오V뿌더↗ [※
<了不得=liǎobudé>는 <굉장하다, 대단하다, 뛰어나다, 무시무시하다, 비범하다, 심하다, 야단났다, 야단이다[상황이나 결과가 심각하여 수습할 방도가 없을 때], 엄청나다, 예사롭지 않다, 지독하다, 큰일났다, 큰일이다, 훌륭하다>라는 뜻의 형용사이다.
예를 들어 <그의 솜씨는 정말 대단합니다.=他的本领真了不得。=tā de běnlǐng zhēn liǎobudé.=타 ̄ 더 뻔V링V 쩐 ̄ 랴오V뿌더↗>, <기뻐 어쩔 줄 모릅니다.=高兴得了不得。=gāoxìng de liǎobudé.=까오 ̄씽↘ 더 랴오V뿌더↗>, <정말 큰일났습니다. 그는 기절했습니다!=可了不得, 他昏过去了!=kě liǎobudé, tā hūn guòqù le!=커V 랴오V뿌더↗, 타 ̄ 훈 ̄ 꾸오↘취↘ 러!>]
- 야단이다[상황이나 결과가 심각하여 수습할 방도가 없을 때], 야단났다, 엄청나다, 예사롭지 않다, 지독하다, 큰일났다, 큰일이다, 심하다, 비범하다, 무시무시하다, 굉장하다, 뛰어나다, 대단하다,
훌륭하다
了不得 liǎobudé 랴오V뿌더↗ [※
<了不得=liǎobudé>는 <굉장하다, 대단하다, 뛰어나다, 무시무시하다, 비범하다, 심하다, 야단났다, 야단이다[상황이나 결과가 심각하여 수습할 방도가 없을 때], 엄청나다, 예사롭지 않다, 지독하다, 큰일났다, 큰일이다, 훌륭하다>라는 뜻의 형용사이다.
예를 들어 <그의 솜씨는 정말 대단합니다.=他的本领真了不得。=tā de běnlǐng zhēn liǎobudé.=타 ̄ 더 뻔V링V 쩐 ̄ 랴오V뿌더↗>, <기뻐 어쩔 줄 모릅니다.=高兴得了不得。=gāoxìng de liǎobudé.=까오 ̄씽↘ 더 랴오V뿌더↗>, <정말 큰일났습니다. 그는 기절했습니다!=可了不得, 他昏过去了!=kě liǎobudé, tā hūn guòqù le!=커V 랴오V뿌더↗, 타 ̄ 훈 ̄ 꾸오↘취↘ 러!>]
- 야만적이다
野蛮 yěmán 예V만↗
- 야생양,
들양, 산양
野绵羊 yěmiányáng 예V미앤↗양↗ [※
<성경통찰 제 2권 147면>: <<<들양>: 히브리어 테오는 “들소”(「킹」), “영양”(「표준」, AS), “가젤”(Ro)로 다양하게 번역되었다. 하지만 쾰러와 바움가르트너 공편 「구약 성서 사전」(Lexicon in Veteris Testamenti Libros, 라이덴, 1958년, 1016면)은 “들양”을 가능한 번역 표현으로 제시하며, 그에 따라 신명기 14:5과 이사야 51:20에 이 단어는 “들양”으로 번역되어 있다.
들양은 그 외피로 사육하는 양과 구별되는데, 들양의 외피는 양모가 아니라 거친 털로 되어 있다. 현재 지리적으로 팔레스타인에서 가장 가까운 곳의 야생종 양은 아르메니아들양(Ovis gmelini)으로, 소아시아와 이란 동부의 산맥에 살고 있다. 이 종의 숫양은 어깨높이가 0.9미터가 채 안 된다.= <野绵羊>: 在圣经里,希伯来语te’oh´(特奥)的不同译法包括“野牛”(KJ)和“羚羊”(吕译)。可是,根据凯勒和鲍姆加特纳合编的《旧约全书辞典》(莱顿,1958,1016页),申命记14:5和以赛亚书51:20中的“特奥”也可以译做“野绵羊”。
野绵羊跟家养绵羊的主要区别,在于野绵羊的毛比较粗糙。现时分布于小亚细亚和伊朗东部山区的亚美尼亚野绵羊(学名=Ovis gmelini),
是生活于最接近巴勒斯坦一带的野绵羊种类,肩高不到0.9米(3英尺)。>>
※
참조: <신명기 14:5=申命记 14:5>: <<5 사슴, 가젤, 노루, 들염소, 영양, 들양, 산양입니다.=5 鹿、瞪羚、红鹿、野山羊、羚、野绵羊、岩羚羊。=5 lù、dènglíng、hónglù、yěshānyáng、líng、yěmiányáng、yánlíngyáng。=5 루↘、떵↘링、홍↗루↘、예V싼 ̄양↗、링↗、예V미앤↗양↗、옌↗링↗양↗>>]
- 야영,
숙영, 캠프, 캠핑,
노영, 노영하다, 야영하다, 숙영하다, 캠핑하다,
캠프하다
露营 lùyíng 루↘잉↗ [※
<露营=lùyíng>은 <노영, 숙영, 야영, 캠프,
캠핑>이라는 뜻의 '명사'이다.
그리고 <노영하다, 야영하다, 숙영하다, 캠프하다,
캠핑하다>라는 뜻의 '동사'이다.]
- 야영하다1, 숙영하다, 캠핑하다,
캠프하다, 노영하다, 캠프,
캠핑,
노영, 숙영, 야영
露营 lùyíng 루↘잉↗ [※
<露营=lùyíng>은 <노영, 숙영, 야영, 캠프,
캠핑>이라는 뜻의 '명사'이다.
그리고 <노영하다, 야영하다, 숙영하다, 캠프하다,
캠핑하다>라는 뜻의 '동사'이다.]
- 야영하다2,
야외에 막사를(천막을) 치고 숙박하다
野营 yěyíng 예V잉↗
- 야옹
喵 miāo 먀오 ̄ [※
대다수
사람들의 인정을 받아 동물들이 내는 공통된 의성어
소리]
- 야외
野外 yěwài 예V와이↘
- 야외에
막사를(천막을) 치고 숙박하다, 야영하다
野营 yěyíng 예V잉↗
- 야외에서
하는 식사 장소, 피크닉장
野餐区 yěcānqū 예V찬 ̄취 ̄
- 야외
봉사1
传道工作 chuándào gōngzuò 추안↗따오↘
꽁 ̄쭈오↘
- 야외
봉사2
外勤传道 wàiqín chuándào 와이↘친↗
추안↗따오↘
- 야외
봉사를 위한 모임
传道前讨论 chuándào qián tǎolùn 추안↗따오↘
치앤↗
타오V룬↘
- 야외
봉사에 힘쓰십시오
用心准备传道工作 yòngxīn zhǔnbèi chuándào gōngzuò 용↘씬 ̄ 준V뻬이↘ 추안↗따오↘ 꽁 ̄쭈오↘
- 야채, 요리
菜 cài 차이↘
- 야채 따위를 오래 삶다, 끓이다,
푹
삶다, 참다,
죽을
쑤다, 조리다, 제련하다,
달이다, 고통이나 곤란 따위를 참고 견디다, 인내하다,
오랫동안 끓이다, 오래
끓이다
熬 āo 아오 ̄ [※
<熬=áo>는 성조가 2성이면 <오래
끓이다, 오랫동안 끓이다, 인내하다,
고통이나 곤란 따위를 참고 견디다,
달이다, 제련하다, 조리다, 죽을 쑤다, 참다,
고통이나 곤란 따위를 참고 견디다>라는 뜻으로 오랫동안 끓여 풀 같은 상태 또는 진한 액체로 만드는 것을 가리키는 '동사'이다.
또한 <熬=āo>성조가 1성이면 <야채 따위를 오래 삶다, 끓이다,
푹
삶다>라는 '동사'이다.
예를 들어 <제염하다.=熬盐。=áo yán.=아오↗ 옌↗>, <오랫동안 고난을 참고 견디다.=苦熬岁月。=kǔ áo suìyuè.=쿠V 아오↗ 쑤이↘위에↘>, <배추를 삶다.=熬白菜。=āo báicài.=아오 ̄ 바이↗차이↘>]
- 야채를
사다, 남새를 사다
买菜 măicài 마이V차이↘
- 야채
요리
素菜
sùcài 쑤↘차이↘
- 야프
雅浦 yǎpǔ 야V푸V [※
미크로네시아 연방의 섬, 야프섬 또는 야프 제도는 미크로네시아 연방의 섬이다. 가길섬, 토밀섬, 마프섬, 루뭉섬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행정 구역상으로는 야프주에 속한다. 가장 큰 야프 섬에는 173m 높이의 타비월 산을 비롯한 구릉들로 이루어진 중앙 산맥이 있으며 숲이 우거져 있다. 면적: 100km², 높이: 178m, 인구: 1.138만(2010년), 단과 및 종합 대학교: 미크로네시아 대학 - 야프 캠퍼스, 미크로네시아 대학 - FSM, 피셔리스 앤드 매리타임 인스티투테]
- 야회복,
연미복, 이브닝 드레스
晚礼服 wǎnlǐfú 완V리V푸↗
- 약
药 yào 야오↘
- 약 40명의 사람
大约四十个人 dàyuē sìshígè rén 따↘위에 ̄
쓰↘스↗꺼↘
런↗
- 약간1,
조금,
몇
些 xiē 씨에 ̄
- 약간2,
잠깐, 조금, 잠시
稍 shāo 싸오 ̄
- 약간3, 조금씩,
하나씩
하나씩
一点一滴 yì diǎn yì dī 이↘
띠앤V
이↘
띠 ̄ [※
<一点一滴=yì diǎn yì dī>는 <약간, 조금씩,
하나씩 하나씩>이라는 뜻이다.
예를 들어 <당신이 나에게 잘해준 것을, 저는 하나하나 마음에 새겼습니다.=你对我的好,我一点一滴都记在心理了。=nǐ duì wǒ de hǎo,wǒ yì diǎn yí dī dōu jì zài xīnlǐ le.=니V 뚜이↘ 워V 더 하오V, 워V 이↘
띠앤V
이↘
띠 ̄ 또우 ̄ 찌↘ 짜이↘ 씬 ̄리V 러>]
- 약간4,
조금, 좀, 다소
稍微 shāowēi 싸오 ̄웨이 ̄ [※
<稍微=shāowēi>는 <약간, 조금, 다소, 좀>이라는 '부사'이다.
예를 들어 <잠시만 기다려 주세요, 그가 곧 올 것입니다.=你先稍微等一下,他马上就来。=nǐ xiān shāowēi děng yíxià,tā mǎshàng jiù lái.=니V 씨앤 ̄ 싸오 ̄웨이 ̄ 덩V 이↗씨아↘, 타 ̄ 마V쌍↘ 찌우↘ 라이↗>, <오늘은 좀 춥습니다.=今天稍微有点儿冷。=jīntiān shāowēi yǒudiǎnr lěng.=찐 ̄티앤 ̄ 싸오 ̄웨이 ̄ 요우V디알V 렁V>]
- 약간5, 어느 정도, 조금, 좀,
다소,
소량이다, 조금 있다
有点 yǒudiǎn 요우V디앤V [※
<有点=yǒudiǎn>은 <다소, 약간, 어느 정도, 조금, 좀>이라는 뜻의 '부사'이다. 주로 불만스러운 일에 쓰인다.
그리고 <소량이다, 조금 있다>라는 뜻의 '동사'이다.
예를 들어 <요즘 가슴이 조금 답답합니다.=最近心情有点烦。=zuìjìn xīnqíng yǒudiǎn fán.=쭈이↘찐↘ 씬 ̄칭↗ 요우V디앤V 판↗>, <냉장고에 먹을 것이 조금 남아 있습니다.=冰箱里还有点儿吃的。=bīngxiāng lǐ hái yǒudiǎnr chī de.=삥 ̄씨앙 ̄ 리V 하이↗ 요우V디알V 츠 ̄ 더>]
- 약간
맵다
微辣 wēi là 웨이 ̄
라↘ <※ <맵기
조절은 이렇게 해요!=辣度调节是这样做的!=làdù tiáojié shì zhèyàng zuò de.=라↘뚜↘
탸오↗지에↗ 쓰↘ 쩌↘양↘ 쭈오↘ 더>
예를 들어, <안 맵게=不辣=bú là=부↗
라↘>, <약간 맵게=微辣=wēi là=웨이 ̄
라↘>, <중간 맵게=中辣=zhōng là=쫑 ̄
라↘>, <아주 맵게=特辣=tè là=터↘
라↘>, <최고 맵게=变太辣=biàn tài là=삐앤↘
타이↘
라↘>]
- 약국1,
약방
药店 yàodiàn 야오↘띠앤↘
- 약국2,
약방
药房 yàofáng 야오↘팡↗
- 약물,
약품
药物 yàowù 야오↘우↘
- 약방1,
약국
药店 yàodiàn 야오↘띠앤↘
- 약방2,
약국
药房 yàofáng 야오↘팡↗
- 약병
药瓶 yàopíng 야오↘핑↗
- 약사1
药师
yàoshī 야오↘쓰 ̄
- 약사2,
약제사
药剂师
yàojìshī 야오↘찌↘쓰 ̄
- 약제
药剂
yàojì 야오↘찌↘
- 약제사,
약사
药剂师
yàojìshī 야오↘찌↘쓰 ̄
- 약속은
반드시 지키다, 말한 것은 반드시 실행하다
说到做到 shuō
dào zuò dào 쑤오 ̄
따오↘ 쭈오↘ 따오↘
- 약속을 실행하다,
약속을 이행하다, 환·어음 따위를 현금으로 바꾸다, 현금으로 바꾸다[어음, 수표 등을 은행에서], 현금을 지불하다[결산할 때], 현금, 현금 교환
兑现 duìxiàn 뚜이↘씨앤↘ [※
<兑现=duìxiàn>은 <약속을 실행하다, 약속을 이행하다, 환·어음 따위를 현금으로 바꾸다, 현금으로 바꾸다[어음, 수표 등을 은행에서], 현금을 지불하다[결산할 때]>라는 뜻의 '동사'이다.
그리고 <현금, 현금 교환>이란 뜻의 '명사'이다.
예를 들어 <수표를 가지고 은행에 가서 현금으로 바꾸다=拿着支票去银行兑现=ná zhe zhīpiào qù yínháng duìxiàn=나↗ 저 쯔 ̄퍄오↘ 취↘ 인↗항↗ 뚜이↘씨앤↘>, <말한 것은 실행해야 한다=说的话必须兑现=shuō de huà bìxū duìxiàn=쑤오 ̄ 더 후아↘ 삐↘쒸 ̄ 뚜이↘씨앤↘>
※ <빛나다, 기름지다, 서방(西方), 바꾸다, 지름길, 괘(卦) 이름, 기뻐할 태(兑=兌); 儿-총7획>]
- 약속을 이행하다, 약속을 실행하다,
환·어음 따위를 현금으로 바꾸다, 현금으로 바꾸다[어음, 수표 등을 은행에서], 현금을 지불하다[결산할 때], 현금, 현금 교환
兑现 duìxiàn 뚜이↘씨앤↘ [※
<兑现=duìxiàn>은 <약속을 실행하다, 약속을 이행하다, 환·어음 따위를 현금으로 바꾸다, 현금으로 바꾸다[어음, 수표 등을 은행에서], 현금을 지불하다[결산할 때]>라는 뜻의 '동사'이다.
그리고 <현금, 현금 교환>이란 뜻의 '명사'이다.
예를 들어 <수표를 가지고 은행에 가서 현금으로 바꾸다=拿着支票去银行兑现=ná zhe zhīpiào qù yínháng duìxiàn=나↗ 저 쯔 ̄퍄오↘ 취↘ 인↗항↗ 뚜이↘씨앤↘>, <말한 것은 실행해야 한다=说的话必须兑现=shuō de huà bìxū duìxiàn=쑤오 ̄ 더 후아↘ 삐↘쒸 ̄ 뚜이↘씨앤↘>
※ <빛나다, 기름지다, 서방(西方), 바꾸다, 지름길, 괘(卦) 이름, 기뻐할 태(兑=兌); 儿-총7획>]
- 약속의 땅
应许之地 yīngxǔ zhī dì 잉 ̄쉬V
쯔 ̄
띠↘
- 약속하다,
내기하다,
맹세하다, 서약하다
打赌 dǎdǔ 다V두V [※ <打赌=dǎdǔ>는
<내기하다, 맹세하다, 서약하다, 약속하다>라는 뜻의
'동사'이다.
예를 들어 <내기하자.=打个赌把。=dǎ
ge dǔ ba.다V 거 두V 바>
※ <내기하다, 걸다, 노름, 도박 도(赌=賭); 貝-총12획>]
- 약솜,
탈지면
药棉 yàomián 야오↘미앤↗
- 약식의 차용 증서, 차용증
借条 jiètiáo 찌에↘탸오↗
- 약어,
요약하다, 축사하다, 단축말, 줄임말
缩写 suōxiě 쑤오 ̄시에V [※
<缩写=suōxiě>는 명사 <약어>라는 뜻으로 예를 들어 [C(탄소), cm, Eng, Kg, No 따위] 등이 있다. 동사로는 <요약하다, 축사하다>라는 뜻을 가지고 있다.]
- 약육강식
优胜劣汰 yōu shèng liè tài 요우 ̄
썽↘ 리에↘
타이↘ [※ 예를 들어, <이번 채용의 기준은 바로 "약육강식"입니다.=这次招聘的标准就是"优胜劣汰"。=zhècì zhāopìn de biāozhǔn jiù shì "yōu shèng liè tài"=쩌↘츠↘ 짜오 ̄핀↘ 더 뺘오 ̄준V 찌우↘ 쓰↘ "요우 ̄
썽↘ 리에↘
타이↘">]
- 약을
먹다1
服药 fúyào 푸↗야오↘
- 약을
먹다2
吃药 chīyào 츠 ̄야오↘
- 약을
바르다1
涂药 tú yào 투↗
야오↘ [※ 예를 들어, <제가 약 발라 드리겠습니다.=我给你涂点儿药。=wǒ gěi nǐ tú diǎnr yào.=워V 게이V 니V 투↗ 디알V 야오↘>]
- 약을
바르다2, 약을 붙이다
上药 shàngyào 쌍↘야오↘
- 약을
잘못 먹다
吃错药 chī
cuòyào 츠 ̄
추오↘야오↘ [※
정신이
이상함을 비유하는 말로도 쓰인다.]
- 약을
조제하다
配药 pèiyào 페이↘야오↘
- 약을
처방하다
开药 kāi
yào 카이 ̄야오↘
- 약자 앞에 강하고 강자 앞에 약하다,
약한 자를 업신여기고 강한 자를 두려워하다
欺软怕硬 qī ruǎn pà yìng 치 ̄ 루안V 파↘ 잉↘
- 약재
药材 yàocái 야오↘차이↗
- 약점,
결점
短处 duǎnchù 뚜안V추↘
- 약점을 보이지 않으려 하다, 자기가 남보다 못한 것을 보이기 싫어하다
不甘示弱 bù gān shì ruò 뿌↘ 깐 ̄ 쓰↘ 루오↘
- 약지,
무명지, 넷째손가락
无名指 wúmíngzhǐ 우↗밍↗즈V
- 약초1
药草 yàocăo 야오↘차오V [※
약
약(药=藥),
풀 초(草)=또는 <药草=yàocăo=야오↘차오V>=[약초(药草)]
- 약초2
草药 căoyào 차오V야오↘ [※
약
약(药=藥),
풀 초(草)=또는 <药草=yàocăo=야오↘차오V>=[약초(药草)]
- 약초전문가
药草专家 yàocǎo zhuānjiā 야오↘차오V
쭈안 ̄찌아 ̄
- 약칭,
약칭하다
简称 jiǎnchēng 찌앤V청 ̄
- 약칭하다,
약칭
简称 jiǎnchēng 찌앤V청 ̄
- 약탕기
煎药器 jiānyàoqì 찌앤 ̄야오↘치↘
- 약통
药盒
yàohé 야오↘허↗
- 약품1
药品 yàopǐn 야오↘핀V
- 약품2,
약물
药物 yàowù 야오↘우↘
- 약하다, 약한, 젊다, 허약하다,
나이가 어리다, ~만 못하다, ~보다 약하다, ~에 비해 손색이 있다
弱 ruò 루오↘ [※ <약할 약(弱); 弓-총10획)>]
- 약한1, 약하다, 젊다, 허약하다,
나이가 어리다, ~만 못하다, ~보다 약하다, ~에 비해 손색이 있다
弱 ruò 루오↘ [※ <약할 약(弱); 弓-총10획)>]
- 약한2
脆弱 cuìruò 추이↘루오↘
- 약한 자를 업신여기고 강한 자를 두려워하다,
약자 앞에 강하고 강자 앞에 약하다
欺软怕硬 qī ruǎn pà yìng 치 ̄ 루안V 파↘ 잉↘
- 약혼하다
订婚 dìnghūn 띵↘훈 ̄
- 약효
药效 yàoxiào 야오↘쌰오↘
- 얇다1
薄 báo 바오↗
- 얇다2
薄薄的 báobáo
de 바오↗바오↗
더
- 얌전하다,
착하다
乖 guāi 꽈이 ̄
- 양1
羊 yáng 양↗ [※
<성경통찰 제 2권 145-147면>: <<양(sheep):
목축 생활에서 중요한 동물 가운데 하나. (창 24:35; 26:14) 양은 반추 동물 즉 되새김질을 하는 동물이다. 고대 팔레스타인에서 우세종은 오늘날과 마찬가지로 꼬리가 넓적한 양이 주종을 이루었을 것이다. 이 양은 눈에 띄게 기름진 꼬리가 특징인데, 꼬리의 무게는 대개 약 5킬로그램 또는 그 이상 나간다. (출 29:22; 레 3:9 비교) 양은 일반적으로 색깔이 하얀색이었지만(아 6:6), 암갈색 양이나 얼룩덜룩한 양도 있었다. (창 30:32) 목축 사회에서 욥과 같은 큰 부자는 수천 마리의 양을 소유하였다. (욥 1:3, 16; 42:12) 아마도 이스라엘 사람들은 어린양을 애완동물로도 키웠을 것이다.—삼하 12:3; 렘 11:19.
사육하는 양은 목자가 없을 때 무력하고 두려워한다. 양들은 길을 잃고 흩어지며 완전히 적들의 손아귀에 들어가고 만다. (민 27:16, 17; 렘 23:4; 겔 34:5, 6, 8; 미 5:8) 양은 인도를 받아들이며 목자를 충실하게 따른다. 양은 목자의 음성을 알아들을 수 있으며 그에게만 반응을 보인다. (요 10:2-5) J. 하틀리 저 「그리스와 레반트 지방에서의 연구」(Researches in Greece and the Levant, 런던, 1831년, 321, 322면)의 한 구절은 이 점을 다음과 같이 설명해 준다.
“지난밤에 나는 요한 10:3의 말씀에 주의를 돌려서 ··· 양에게 이름을 붙여 주는 것이 그리스에서 보통 있는 일인지 하인에게 물어보았다. 그는 그렇다고 하면서, 목자가 양의 이름을 부르면 양은 목자의 말에 따른다고 알려 주었다. 오늘 아침 나에게는 이 말이 사실이라는 것을 확인해 볼 수 있는 기회가 있었다. 양 떼를 지나가면서 하인에게 했던 것과 같은 질문을 목자에게 하였더니, 목자도 나에게 같은 대답을 해 주었다. 그래서 그에게 양 한 마리를 불러 보라고 하였다. 목자가 양 한 마리를 부르자, 양은 즉시 목초와 무리를 떠나 기쁨을 표현하면서 달려와 목자의 손에 안겼다. 나는 그처럼 즉각 순응하는 것을 전에 그 어떤 동물한테서도 보지 못하였다. 또한 이 나라의 양들이 낯선 사람은 따라가지 않고 그에게서 도망한다는 것도 사실이다. ··· 목자가 나에게 해 준 말에 따르면, 그의 양들 중 여러 마리가 아직도 길들여지지 않아서 아직 자기의 이름을 익히지 못하였지만 가르치면 모두 이름을 익히게 될 것이라고 한다.”—목자 참조.
고대에 양을 기르기에 적합했던 지역 중에는 네게브(삼상 15:7, 9), 하란(창 29:2-4), 미디안 땅(출 2:16), 갈멜의 도시가 있었던 유다 산간 지방(삼상 25:2), 우스 땅(욥 1:1, 3), 바산과 길르앗(신 32:14; 미 7:14)이 있었다.
양은 히브리인들과 다른 민족들에게 여러 가지 생산물을 제공해 주었다. 숫양의 뿔로는 용기나 뿔나팔을 만들었다. (수 6:4-6, 8, 13; 삼상 16:1) 양가죽은 때때로 의복으로 쓰였고(히 11:37), 붉게 염색한 숫양 가죽은 장막 건축에 쓰였다. (출 26:14) 양털로 짜서 만든 모직물은 아마도 가장 일반적인 의복 재료였을 것이다. (욥 31:20; 잠 27:26) 양은 중요한 교역품 중 하나였으며(겔 27:21), 조공으로 바치기까지 하였다. (왕하 3:4; 대하 17:11) 양의 젖과 고기는 모두 식품으로 쓰였다. (신 14:4; 32:14; 삼하 17:29; 사 7:21, 22) 양고기와 어린양 고기는 왕들과 총독들과 기타 사람들이 일상적으로 즐겨 먹던 음식이었다.—삼상 8:17; 왕상 4:22, 23; 느 5:18; 암 6:4.
고기는 삶거나 구워서 조리하였다. 유월절 때에는 일 년 된 숫양이나 숫염소를 가죽을 벗기고 내장을 씻은 후에 통째로 구웠다. (출 12:5, 9) 양을 삶아서 조리할 때는 먼저 가죽을 벗기고 토막을 내었다. 때때로 뼈를 깨서 골수를 빼내기도 하였다. 그리고 살과 뼈를 큰 그릇에 함께 넣고 삶았다. (겔 24:3-6, 10; 미 3:1-3) 일단 고기가 다 익으면, 고기를 솥에서 꺼내고, 남은 국물은 따로 식탁에 올렸다. (판 6:19 비교) 어린양 고기를 손님에게 대접하는 것은 후대의 표현이었다.—삼하 12:4.
양털을 깎는 때는 기대감을 가지고 기다리는 때였는데, 그때가 수확하는 때와 비슷하였기 때문이다. 이때는 잔치를 벌이고 즐겼다.—삼상 25:2, 11, 36; 삼하 13:23, 24, 28.
모세의 율법은 양의 기름을 먹는 것과(레 7:23-25), 양과 그 새끼를 같은 날 잡는 것을 금하였다. (레 22:28) 또한 율법에는 길을 잃은 양과 잃어버렸거나 병신이 되거나 도둑을 맞은 양과 관련된 문제를 다루는 규정이 포함되어 있었다. (출 22:1, 4, 9-13; 신 22:1, 2) 이스라엘의 양 떼와 소 떼가 축복을 받느냐 저주를 받느냐는 이스라엘이 하느님의 법에 순종하느냐에 달려 있었다.—신 7:12, 13; 28:2, 4, 15, 18, 31, 51.
양은 인류 역사 초기부터 희생으로 바쳐졌다. (창 4:2, 4; 22:7, 8, 13; 욥 42:8) 율법 아래서 처음 난 어린 숫양은 모두 희생으로 바쳐야 하였지만, 적어도 팔 일은 되어야 바칠 수 있었다. 처음 난 수나귀를 구속하기 위해서도 양을 바쳐야 하였다. (출 34:19, 20; 레 22:27) 숫양은 죄과 제물(레 5:15, 16, 18; 6:6), 번제물(레 9:3; 16:3; 23:12), 친교 희생(레 9:4)으로 바쳐졌다. 또한 숫양은 아론계 제사장을 위한 임직식 제물로도 쓰였다. (출 29:22; 레 8:22-28) 매일 일 년 된 숫양 두 마리는 항상 바치는 번제물로 쓰였다. (출 29:38-42) 항상 바치는 번제물과는 별도로, 월초에 그리고 연례 축제와 관련하여 숫양과 어린 숫양을 희생으로 바쳤다. (민 28:11, 17-19, 26, 27; 29:1-38) 숫양은 이스라엘의 제물들 가운데 그처럼 두드러진 것이어서 예언자 사무엘은 “숫양의 기름”을 “희생 제물”의 대구 표현으로 사용하였다. (삼상 15:22) 하지만 때때로 어린 암양도 친교 희생(레 3:6), 속죄 제물(레 4:32; 민 6:14), 죄과 제물(레 5:6)로 바칠 수 있었다.
예언적·비유적 용법 성경에서 흔히 “양”은 방어 능력이 없고 순진한, 때로는 학대받는, 여호와의 백성을 의미하기도 한다. (삼하 24:17; 시 44:11, 22; 95:7; 119:176; 마 10:6, 16; 요 21:16, 17; 로 8:36) 불충실한 목자 또는 지도자 아래서 하느님의 양들인 이스라엘 사람들은 큰 고통을 받았다. 여호와께서는 예언자 에스겔을 통하여 방치된 양들의 몹시 애처로운 상태를 다음과 같이 표현하셨다. “너희는 ··· 양 떼는 먹이지 않는다. 너희는 병약한 양들을 강하게 하지 않았고, 병든 양을 고쳐 주지 않았으며, 상한 양을 싸매어 주지 않았고, 흩어진 양을 다시 데려오지 않았으며, 잃어버린 양을 찾으려고 하지 않았다. 오히려 거칠고도 포학하게 그들을 복종시켰다. 그래서 그들은 목자가 없기 때문에 점차 흩어졌다. 온갖 들짐승의 먹이가 되[었다].” (겔 34:3-5) 그와는 대조적으로 예수의 인도를 따르는 그분의 양들은 “적은 무리”나 “다른 양들” 모두 훌륭한 보살핌을 받는다. (누 12:32; 요 10:4, 14, 16; 계 7:16, 17) 예수께서는 그분의 형제들 중 가장 작은 자에게 선을 행하는 사람들을 양에 비유하셨지만, 그렇게 하기를 거부하는 사람들은 염소에 비하셨다.—마 25:31-45.
“숫양”은 때때로 사람을 나타내기도 하는데, 특히 멸망받게 되어 있는 압제적인 국가 지도자들을 나타낸다. (렘 51:40; 겔 39:18) 에스겔 34:17-22에서 숫양과 숫염소와 살찐 양은 이스라엘의 불충실한 지도자들을 상징한다. 그들은 자기들을 위하여 제일 좋은 것들을 착복하고서, 마르고 병든 양들 곧 압제받고 착취당하며 혹사당하는 사람들을 위하여 남겨진 것은 더럽혔다.
예수 그리스도는 예언적으로 도살장에 끌려가는 양과 털 깎는 사람 앞에서 잠잠히 있는 암양으로 묘사되었다. (사 53:7; 행 8:32, 35. 베전 2:23 비교) 예수의 희생적인 역할 때문에, 침례자 요한은 예수를 “세상의 죄를 없애시는 하느님의 ‘어린 양’”이라고 밝히며, 계시록에서는 하느님의 아들을 가리켜 거듭거듭 “어린 양”이라고 부른다.—요 1:29; 계 5:6; 6:16; 7:14, 17; 14:1; 17:14; 19:7.
메디아·페르시아 세계 강국은 비유적으로 길이가 다른 두 개의 뿔을 가진 숫양으로 표현되었다. 긴 뿔은 페르시아의 왕들이 우월해진 것을 의미하였을 것으로 생각된다. (단 8:3-7, 20) 계시록 13:11에 나오는 땅에서 올라온 야수는 어린양처럼 두 뿔을 가지고 있는데, 이것은 해를 주지 않을 것처럼 보인다는 것을 암시한다. 그와 비슷하게 예수께서는 거짓 예언자들을 양의 덮개를 쓴 이리라고 말씀하셨는데, 그것은 그들이 해가 없어 보이지만 위험하기 때문이었다.—마 7:15.
‘숫양처럼 껑충껑충 뛰는 산’이라는 비유는 여호와께서 이스라엘에게 율법을 주실 때에 시나이 산이 진동한 것(출 19:18)을 암시하는 듯하다.—시 114:4-6. 시 29:5, 6; 68:8 비교.
<들양>: 히브리어 테오는 “들소”(「킹」), “영양”(「표준」, AS), “가젤”(Ro)로 다양하게 번역되었다. 하지만 쾰러와 바움가르트너 공편 「구약 성서 사전」(Lexicon in Veteris Testamenti Libros, 라이덴, 1958년, 1016면)은 “들양”을 가능한 번역 표현으로 제시하며, 그에 따라 신명기 14:5과 이사야 51:20에 이 단어는 “들양”으로 번역되어 있다.
들양은 그 외피로 사육하는 양과 구별되는데, 들양의 외피는 양모가 아니라 거친 털로 되어 있다. 현재 지리적으로 팔레스타인에서 가장 가까운 곳의 야생종 양은 아르메니아들양(Ovis gmelini)으로, 소아시아와 이란 동부의 산맥에 살고 있다. 이 종의 숫양은 어깨높이가 0.9미터가 채 안 된다.=绵羊(Sheep): 牧民饲养的主要家畜之一。(创24:35;26:14)绵羊是反刍动物。无论古今,在巴勒斯坦地区最常见的绵羊也许是尾巴又肥又粗的那种,它们的尾巴重约5公斤(11磅)或以上。(参看出29:22;利3:9)绵羊一般是白色的(歌6:6),但也有少数是深棕色或杂色有斑点的。(创30:32)在以牧民为主的社会里,富户可以有数以千计的绵羊,约伯就是一个例子。(伯1:3,16;42:12)以色列人很可能把一些小羊当宠物看待。(撒下12:3;耶11:19)
没有牧人照顾,家养绵羊是十分胆怯和无助的。它们容易迷路、分散,也毫无自卫能力。(民27:16,17;耶23:4;结34:5,6,8;弥5:8)绵羊生性温驯,喜欢跟随牧人的引领。它们能学会辨认牧人的声音,惟独听从他的召唤。(约10:2-5)关于绵羊的这种特性,《希腊与黎凡特考察之旅》(J.哈特利著,伦敦,1831,321-322页)中有以下的描述:
“昨夜,有人跟我说起约翰福音10:3的话……于是我问家仆,希腊人也习惯给每只羊都起个名吗?他说是的,而且羊一听到牧人喊它的名字,就会乖乖的走过去。今天早上,我有机会验证这个说法究竟对不对。一群羊走过以后,我问那个牧人关于为羊起名的事,他的答案竟然跟我的家仆所说的一模一样。于是我请他示范一下。他随口喊了个名字,一只羊果然马上离开草场,离开同伴,开心地跑到牧人身边,是那么的听话、反应是那么的迅速,我没有见过其他动物是这样的。在这个国家也一样,绵羊不会随便跟陌生人走,会马上逃开……那个牧人还告诉我,虽然有些羊还未驯养,不晓得自己的名字,但一经训练,就能记得自己的名字了。”(见牧人)
古时,很多地区都宜于牧羊,包括南地一带(撒上15:7,9),哈兰(创29:2-4),米甸一带(出2:16),迦密城所在的犹大山区(撒上25:2),乌斯地(伯1:1,3),还有巴珊和基列(申32:14;弥7:14)。
希伯来人和某些民族生活中有很多东西,都离不开绵羊。例如,羊角可制容器和号角(书6:4-6,8,13;撒上16:1),羊皮可制衣物(来11:37),染成红色的羊皮曾用来做圣幕的盖(出26:14)。羊毛的用途广泛,很可能是制衣的最主要原料。(伯31:20;箴27:26)绵羊也是重要的贸易商品(结27:21),有时还用作贡品。(王下3:4;代下17:11)羊奶和羊肉都可食用。(申14:4;32:14;撒下17:29;赛7:21,22)羊肉更是君王、首领及人们经常享用的食物。(撒上8:17;王上4:22,23;尼5:18;摩6:4)
一般来说,羊肉可用水煮,可用火烤。逾越节期间,以色列人把一岁大的公绵羊或公山羊宰了以后,剥皮和洗净内脏,再用火把整只羊一同烤熟。(出12:5,9)如果用水煮的话,就得先去皮,再剁成块;或者打碎羊骨,取出骨髓,再连骨带肉放进大锅里煮。(结24:3-6,10;弥3:1-3)肉煮好以后要先拿出来,汤可以留在锅里。(参看士6:19)用羊来款待客人,是殷勤好客的表现。(撒下12:4)
剪羊毛是人人期待的大日子,就好像收割时期一样,大家都一同欢宴,大事庆祝。(撒上25:2,11,36;撒下13:23,24,28)
摩西律法规定,人不可吃绵羊的脂肪(利7:23-25),也不可在同一天内宰杀母绵羊和它的羊羔。(利22:28)对于有人看见羊迷了路,或者死掉、受伤、被偷该怎样处理,律法都有详细的规定。(出22:1,4,9-13;申22:1,2)牲畜是否蒙福,取决于以色列人是否服从上帝的律法。(申7:12,13;28:2,4,15,18,31,51)
在人类历史的最早期,绵羊已被用来作祭牲。(创4:2,4;22:7,8,13;伯42:8)律法规定,所有头生的公绵羊出生八天后,都要献给上帝做祭牲。谁要赎回头生的驴,就要献上一只绵羊。(出34:19,20;利22:27)公绵羊被用作赎愆祭(利5:15,16,18;6:6)、全烧祭(利9:3;16:3;23:12)和交谊祭(利9:4);在亚伦和他儿子被立为祭司的就职礼上,同样要献上一只公绵羊。(出29:22;利8:22-28)祭司每天都要献两只一岁的公绵羊羔,做常献的祭。(出29:38-42)每月的第一天以及庆祝节期时,除了平时献的祭牲之外,还要按规定另外献上公绵羊和公绵羊羔。(民28:11,17-19,26,27;29:1-38)由于公绵羊是以色列人常献的祭牲,因此撒母耳先知把“公羊的脂肪”和“献祭”用做排比,可见两者关系密切。(撒上15:22)当然,有时母绵羊羔也被献作交谊祭(利3:6)、赎罪祭(利4:32;民6:14)和赎愆祭(利5:6)。
用做预言和比喻 圣经常常以“绵羊”代表耶和华的子民,他们没有自卫能力,性格温顺,甚或遭人宰割。(撒下24:17;诗44:11,22;95:7;119:176;太10:6,16;约21:16,17;罗8:36)由于受到悖逆不忠的牧人和首领欺压,上帝在古代的绵羊以色列人可说吃尽了苦头。耶和华通过以西结先知,描述他的羊群因无人照顾而处境堪怜。他说:“你们吃羊脂,穿羊毛,宰肥壮的,却不喂养羊群。虚弱的,你们没有养壮;患病的,你们没有医治;受伤的,你们没有包扎;被驱散的,你们没有领回;迷了路的,你们没有寻找。你们反而用暴虐的手段严厉地管辖羊群。因为没有牧人,羊就四散;羊既四散,就成了野地一切猛兽的食物。”(结34:3-5)耶稣的“小群羊”和“另外的绵羊”的情况却刚刚相反,他们紧紧跟随耶稣,得到他的悉心照料。(路12:32;约10:4,14,16;启7:16,17)耶稣在比喻中指出,谁善待他弟兄中最小的,就好比绵羊;拒绝这样做的,就好比山羊。(太25:31-45)
“公绵羊”有时用来指某些人,特别指国中的暴君,他们必逃不过毁灭的下场。(耶51:40;结39:18)在以西结书34:17-22,公绵羊、公山羊和肥羊代表以色列国中毫不尽责的领袖,他们把最好的拿走,剩下的还肆意践踏一番,才留给虚弱患病的羊,就是受剥削压迫、被推来挤去的平民百姓。
圣经预告,耶稣基督必像绵羊被人牵去宰杀,又像母羊在剪毛人面前一言不发。(赛53:7;徒8:32,35;另见彼前2:23)耶稣把自己的生命献做赎价,因此施浸者约翰把他称为“上帝的绵羊羔,是除掉世人的罪的”。另外,启示录也再三称上帝的儿子为“绵羊羔”。(约1:29;启5:6;6:16;7:14,17;14:1;17:14;19:7)
圣经用一只双角的公绵羊来代表米底亚-波斯这个世界霸权,较高的那只角显然代表后来崛起的波斯王朝。(但8:3-7,20)启示录13:11描述,从地里上来的野兽有两只角像公绵羊,由此暗示它必假装成绵羊那般温驯,仿佛与世无争。耶稣也把假先知比作披着羊皮的狼,看似善良,其实阴险恶毒。(太7:15)
耶和华向以色列人颁下律法时,西奈山猛烈地震动(出19:18);圣经说“山岳好像公绵羊跳动”,形容的看来就是这个情景。(诗114:4-6;另见诗29:5,6;68:8)
<野绵羊>: 在圣经里,希伯来语te’oh´(特奥)的不同译法包括“野牛”(KJ)和“羚羊”(吕译)。可是,根据凯勒和鲍姆加特纳合编的《旧约全书辞典》(莱顿,1958,1016页),申命记14:5和以赛亚书51:20中的“特奥”也可以译做“野绵羊”。
野绵羊跟家养绵羊的主要区别,在于野绵羊的毛比较粗糙。现时分布于小亚细亚和伊朗东部山区的亚美尼亚野绵羊(学名Ovis gmelini),是生活于最接近巴勒斯坦一带的野绵羊种类,肩高不到0.9米(3英尺)。>>]
- 양2,
면양, 양처럼 온순한 사람
绵羊 miányáng 미앤↗양↗
- 양고기
羊肉 yángròu 양↗로우↘
- 양고기
샤브샤브
涮羊肉 shuànyángròu 쑤안↘양↗로우↘
- 양과 염소
綿羊和山羊 miányáng hé shānyáng 미앤↗양↗
허↗
싼 ̄양↗
- 양관
阳关 yángguān 양↗꾸안 ̄ [※
현재의
감숙성 돈황현 서남쪽에 있던 관문]
- 양귀비1
杨贵妃 yāngguìfēi 양 ̄꾸이↘페이 ̄ [※
<杨贵妃>는
쌍떡잎식물
양귀비목 양귀비과의 두해살이풀이다.
학명은 <Papaver somniferum L.>이다.
익지
않은 열매에 상처를 내어 받은 유즙을 60℃ 이하의 온도로 건조한
것이 아편이다. 성분으로는 모르핀·파파베린·코데인
등의 알칼로이드 성분과, 납, 수지, 타닌, 단백질 색소 등이
들어 있다. 중추신경 계통에 작용하여 진통, 진정, 지사 효과를
내므로 복통, 기관지염, 불면, 만성 장염 등에 복용한다.
민간에서는
열매와 식물체를 분리해 두었다가 응급 질환에 사용했다. 아편을
담배와 함께 피면 마취 상태에 빠져 몽롱함을 느끼고 습관성이
되면 중독 현상이 나타나며 심하면 죽음에 이르기도 한다. 종자(양귀비씨)에는
아편 성분이 거의 없어 향신료 등의 식재료로 활용된다.
아편을
합법적으로 생산하는 나라는 불가리아, 그리스, 인도, 일본,
파키스탄, 터키, 러시아, 유고 등이며, 한국에서는 법으로 재배가
금지되어 있다.]
- 양귀비2,
당나라 현종의 황후
杨贵妃 yāngguìfēi 양 ̄꾸이↘페이 ̄ [※
<杨贵妃>는
당(唐)나라
현종(玄宗)의 비(妃)이다. 그의 본명은 옥환(玉環)이다. 그녀의
미모는 예쁜꽃으로 알려진 <양귀비>도 울고 갈 정도로
빼어나다고 한다.]
- 양다리를 걸치다
脚踩两只船 jiǎo cǎi liǎngzhī chuán 쟈오V 차이V 리앙V쯔 ̄ 추안↗
- 양력설,
신정, 1월 1일
元旦 Yuándàn 위앤↗딴↘
- 양말
袜子 wàzi 와↘쯔
- 양반
다리를 하다, 책상다리를 하다, 서너 명이 한쪽 다리를 걸고 앙감질하며 도는 어린이 놀이
盘腿 pántuǐ 판↗투이V
- 양방이 관계가 있는, 경계에 근접한, 계선, 거의 닿을 듯한 곳이나 상태, 가장자리, 가,
더 이상의 여지가 없는 상태, 위기
边缘 biānyuán 삐앤 ̄위앤↗
- 양보,
양보하다
让步 ràngbù 랑↘뿌↘ [※
<让步=ràngbù>는 <양보>라는 뜻의 '명사'이다.
그리고 <양보하다>라는 뜻의 '동사'이다.
예를 들어 <무리한 요구에 대해 양보하지 않다=不向无理要求让步=bú xiàng wúlǐ yàoqiú ràngbù=부↗ 씨앙↘ 우↗리V 야오↘치우↗ 랑↘뿌↘>]
- 양보하다1, 옆으로 피하다, 안내하다,
~을 권하다,
~를 권하다, 비키다, 사양(辭讓)하다
让
ràng 랑↘ [※ <让=ràng>은 <~를 권하다, 비키다, 사양(辭讓)하다, 양보하다, 옆으로 피하다, ~을 권하다, 안내하다>라는 뜻의 '동사'이다.
예를 들어 <사양하다 // 양보하다 // 뒤로 물러나 길을 터주다=退让=tuìràng=투이↘랑↘>, <지나가도록 길을 내주다=让出一条路来=ràng chū yì tiáo lù lái=랑↘ 추 ̄ 이↘ 탸오↗ 루↘ 라이↗>, <차를 권하다=让茶=ràng chá=랑↘ 차↗>
※ <사양할 양(让=讓); 言-총5획>]
- 양보하다2,
조정하다, 섞다, 조화롭다, 타협하다
调和 tiáohé 탸오↗허↗
- 양보하다3,
아쉬운
대로, 한곳에 모으다, 대충, 다가서다, 한 곳에 모이다, 같이 걷다, 가까이 오다, 기분을 맞추다,
그런대로
~할 만하다, 보조를 맞추다
凑合 còuhe 초우↘허
- 양보하다4,
양보
让步 ràngbù 랑↘뿌↘ [※
<让步=ràngbù>는 <양보>라는 뜻의 '명사'이다.
그리고 <양보하다>라는 뜻의 '동사'이다.
예를 들어 <무리한 요구에 대해 양보하지 않다=不向无理要求让步=bú xiàng wúlǐ yàoqiú ràngbù=부↗ 씨앙↘ 우↗리V 야오↘치우↗ 랑↘뿌↘>]
- 양복
西装 xīzhuāng 씨 ̄쭈앙 ̄
- 양복과
가죽 구두
西装革履 xīzhuāng gélǚ 씨 ̄쭈앙 ̄
꺼↗뤼V [※
<西装革履=xīzhuāng gélǚ>는 <양복과 가죽 구두>라는 뜻이다.
예를 들어 <그는 오늘 양복과 가죽 구두를 차려입어서 매우 활력넘쳐 보입니다.=他今天穿得西装革履的,看上去很精神。=tā jīntiān chuān de xīzhuāng géllǚ de,kànshàngqù hěn jīngshén.=타 ̄ 찐 ̄티앤 ̄ 추안 ̄ 더 씨 ̄쭈앙 ̄
꺼↗뤼V 더, 칸↘쌍↘취↘ 헌V 찡 ̄선↗>]
- 양분,
영양
营养 yíngyǎng 잉↗양V
- 양산1,
파라솔
遮阳伞 zhēyángsǎn 쩌 ̄양↗싼V
- 양산2,
파라솔
遮日伞 zhērìsǎn 쩌 ̄르↘싼V
- 양산3,
파라솔
阳伞 yángsǎn 양↗싼V
- 양생(養生)하다, 정비하다,
보양하다, 손질하다
保养 bǎoyǎng 바오V양V
- 양성하다1
养成 yăngchéng 양V청↗
- 양성하다2,
키우다
培养 péiyǎng 페이↗양V
- 양성하다3,
교육을 받다, 훈련하다
培训 péixùn 페이↗쒼↘ [※
<培训=péixùn>은 기술자나 전문 간부 등을
<교육을 받다, 양성하다, 훈련하다>라는 뜻의 '동사'이다.
예를 들어 <기술자를 양성하다.=培训技术人员。=péixùn jìshù rényuán.=페이↗쒼↘ 찌↘쑤↘ 런↗위앤↗>]
- 양식1,
식량,
곡류
粮食 liángshi 리앙↗스
- 양식2,
스타일, 격식
款式 kuǎnshì 쿠안V쓰↘
- 양식3,
표
表格 biǎogé 뱌오V꺼↗
- 양심
良心 liángxīn 리앙↗씬 ̄
- 양심적인 말을 하다
说句良心话 shuō jù liángxīnhuà 쑤오 ̄ 쮜↘ 리앙↗씬 ̄후아↘ [※
<说句良心话=shuō jù liángxīnhuà>는 <양심적인 말을 하다>라는 뜻이다.
유사어로 <실제적으로 말해서=说句实在话=shuō jù shízài huà=쑤오 ̄ 쮜↘ 스↗짜이↘ 후아↘>, <사실대로 말하다 // 솔직히 말하다 // 진실을 말하다=说实话=shuō shíhuà=쑤오 ̄ 스↗후아↘>, <솔직히 말해서=不瞒你说=bù mán nǐ shuō=뿌↘ 만↗ 니V 쑤오 ̄>, <사실 // 솔직히 말해서 // 정말이지=说实在的=shuō shízài de=쑤오 ̄ 스↗짜이↘ 더> 등이 있다.
예를 들어 <양심적으로 말하자면, 저는 당신을 돕고 싶지 않은 것이 아니라, 단지 정말 마음으로는 여유가 있지만 힘이 부족할 뿐입니다.=说句良心话, 我不是不想帮你, 只是实在心有余而力不足。=shuō jù liángxīn huà, wǒ bú shì bù xiǎng bāng nǐ, zhǐ shì shízài xīnyǒuyú érlì bùzú.=쑤오 ̄ 쮜↘ 리앙↗씬 ̄후아↘ 워V 부↗ 쓰↘ 뿌↘ 시앙V 빵 ̄ 니V, 즈V 쓰↘ 스↗짜이↘ 씬 ̄요우V위 얼↗리↘ 뿌↘쭈↗>, <저도 사장님에 대해 가끔 불평을 하지만, 양심적으로 말하자면, 그분은 아직 괜찮은 사람입니다.=虽然我对老板也时有抱怨, 但是说句良心话, 他还是个不错人。=suīrán wǒ duì lǎobǎn yě shí yǒu bàoyuàn, dànshì shuō jù liángxīn huà, tā hái shì gè búcuò rén.=쑤이 ̄란↗ 워V 뚜이↘ 라오V빤V 예V 스↗ 요우V 빠오↘위앤↘, 딴↘쓰↘ 쑤오 ̄ 쮜↘ 리앙↗씬 ̄후아↘, 타 ̄ 하이↗ 쓰↘ 꺼↘ 부↗추오↘ 런↗>]
- 양약
西药 xīyào 씨 ̄야오↘
- 양육하다1
养育 yǎngyù 양V위↘
- 양육하다2,
부양하다
养活 yǎnghuo 양V후오
- 양육하다3,
배양(培養)하다, 동물이 새끼를 먹이어 기르다
哺育 bǔyù 뿌V위↘ [※
<哺育=bǔyù>는 <양육하다, 배양(培養)하다, 동물이 새끼를 먹이어 기르다>라는 '동사'이다.
예를 들어 <어미새가 새끼새를 양육하다.=哺育雏鸟。=bǔyù chúniǎo.=뿌V위↘ 추↗냐오V>]
- 양육하다4, 재배하다, 출산하다, 치다,
가꾸다, 기르다[가축이나 화초 따위를], 낳다[자식을], 먹여 살리다,
부양하다, 사육하다
养 yǎng 양V
- 양의
탈을 쓴 늑대, 겉으로 웃는 호랑이, 겉은 착한 것 같지만
속은 음흉한 사람, 언제나
웃고 있는 사람
笑面虎 xiàomiànhǔ 쌰오↘미앤↘후V [※
예를
들어 <사장님은 겉으로 웃는 호랑이라서, 하지만 그가 웃을 때는 매우 화가 날 때이다.=老总是笑面虎,但他笑的时候很可能是非常生气的时候。=lǎozǒng shì xiàomiànhǔ,dàn tā xiào de shíhou hěn kěnéng shì fēicháng shēngqì de shíhou.=라오V쫑V 쓰↘ 쌰오↘미앤↘후V, 딴↘ 타 ̄ 쌰오↘ 더 스↗호우 헌V 커V넝↗ 쓰↘ 페이 ̄창↗ 썽 ̄치↘ 더 스↗호우>]
- 양자 간의 관계가 밀접하고 복잡하게 얽혀있다,
천 갈래 만 갈래로
대단히 복잡하게 얽혀 있다, 대단히 복잡하게 뒤엉킨 실, 대단히 복잡하게 얽혀 있다,
관계가 밀접하다
千丝万缕 qiānsī-wànlǚ 치앤 ̄쓰 ̄-완↘뤼V [※
<千丝万缕=qiānsī-wànlǚ>는 <관계가 밀접하다, 대단히 복잡하게 얽혀 있다, 대단히 복잡하게 뒤엉킨 실,
양자 간의 관계가 밀접하고 복잡하게 얽혀있다,
천 갈래 만 갈래로
대단히 복잡하게 얽혀 있다>를 뜻하는 '성어'이다.
예를 들어 <대단히 복잡하게 관련되어 있습니다.=有着千丝万缕的联系。=yǒuzhe qiānsī-wànlǚ de liánxì.=요우V저 치앤 ̄쓰 ̄-완↘뤼V 더 리앤↗씨↘>]
- 양쪽,
피차,
상호,
서로, 쌍방, 저 사람과 이 사람
彼此 bĭcĭ 삐V츠V [※
<彼此=bǐcǐ>는 '대명사'로 <피차, 상호, 서로, 쌍방, 양쪽,
저 사람과 이 사람>라는 뜻을 가지고 있다.
예를 들어 <우리는 사이가 매우 좋아서 이미 서로를 구분하지 못합니다.=我们关系非常好,已经不分彼此了。=wǒmen guānxì fēicháng hǎo,yǐjīng bù fēn bǐcǐ le.=워V먼 꾸안 ̄씨↘ 페이 ̄창↗ 하오V, 이V찡 ̄ 뿌↘ 펀 ̄ 삐V츠V 러>,
<모두 동창이니 서로 돕는 것은 당연한 일입니다.=大家是同学,彼此互相帮助是应该的。=dàjiā shì tóngxué,bǐcǐ hùxiāng bāngzhù shì yīnggāi de.=따↘찌아 ̄ 쓰↘ 통↗쉬에↗, 삐V츠V 후↘씨앙 ̄ 빵 ̄쭈↘ 쓰↘ 잉 ̄까이 ̄ 더>]
- 양쯔강, 장강
长江 Chángjiāng 창↗찌앙 ̄ [※
<长江=Chángjiāng>은 중국의
<양자강(楊子江=yángzijiāng=양↗쯔찌앙 ̄). 장강(長江=Chángjiāng=창↗찌앙 ̄)>이라는 뜻의 ‘명사’이다.
그리고 <옛날 현(縣) 이름으로, 지금의 쓰촨(四川=sìchuān=쓰↘추안 ̄)성 펑시(蓬溪=péngxī=펑↗씨 ̄)현>에 있다.]
- 양처럼 온순한 사람,
양, 면양
绵羊 miányáng 미앤↗양↗
- 양탄자,
카펫, 융단
地毯 dìtǎn 띠↘탄V [※
<地毯=dìtǎn>은 <융단, 양탄자, 카펫>을 말한다.
한자로 <담요 담(毯) ; 毛-총12획>]
- 양파
洋葱 yángcōng 양↗총 ̄
- 얕다,
좁다, 짧다
浅 qiăn 치앤V
- 얕보다,
경시하다, 무시하다
轻视 qīngshì 칭 ̄쓰↘
- 얕지않다,
적지 않다
匪浅 fěiqiǎn 페이V치앤V
- 얘기를
꺼내다
提起
tíqǐ 티↗치V
- 어!,
아이구!(놀람을 나타냄)
咦!
yí! 이↗
- 어긋나다, 어울리지 않다, 엉뚱하다, 연관성을 잃다, 조화가
안 되다, 짜개지다, 탈구(脫臼)하다,
서로
맞지 않다, 관절이 빠지다, 갈라지다,
동떨어지다, 빠지다, 삐다
脱节 tuōjié 투오 ̄지에↗ [※
<脱节=tuōjié>는 <서로 맞지 않다, 조화가 안 되다, 탈구(脫臼)하다, 관절이 빠지다, 삐다, 연관성을 잃다, 어울리지 않다, 엉뚱하다, 동떨어지다, 어긋나다, 갈라지다, 짜개지다, 빠지다>라는 동사이다.
예를 들어 <이 작가가 쓴 소설은 내용이 좀 동떨어져 있습니다.=这位作者写的小说,内容有点脱节了。=zhè wèi zuòzhe xiě de xiǎoshuō,nèiróng yǒudiǎn tuōjié le.=쩌↘ 웨이↘ 쭈오↘저 시에V 더 샤오V쑤오 ̄, 네이↘롱↗ 요우V디앤V 투오 ̄지에↗ 러>]
- 어기다,
위반하다(법규 등을), 재발하다(병 따위가)
犯
fàn 판↘
- 어기조사(명령, 추측, 동의를 나타내는 어기조사)
吧 ba 바
- 어기조사(상황, 상태변화)
了 le 러
- 어깨,
책임
肩膀 jiānbăng 찌앤 ̄빵V [※
<肩膀=jiānbǎng>은 <어깨, 책임>이라는 뜻의 '명사'이다.
예를 들어 <어깨를 으쓱거리다=耸耸肩膀=sǒngsǒng jiānbǎng=쏭V쏭V 찌앤 ̄빵V>, <책임감이 강하다=有肩膀=yǒu jiānbǎng=요우V 찌앤 ̄빵V>]
- 어깨를 추키다, 우뚝 솟다, 으쓱거리다,
놀라게 하다, 솟다, 주의를 끌다, 치솟다
耸 sǒng 쏭V [※
<耸=sǒng>은 <놀라게 하다, 솟다, 어깨를 추키다, 우뚝 솟다, 으쓱거리다, 주의를 끌다, 치솟다>라는 뜻의 '동사'이다.
예를 들어 <높이 치솟다=高耸=gāosǒng=까오 ̄쏭V>, <어깨를 으쓱거리다=耸一耸肩膀 // 耸耸肩膀=sǒng yī sǒng jiānbǎng // sǒngsǒng jiānbǎng=쏭V 이 ̄ 쏭V 찌앤 ̄빵V
// 쏭V쏭V 찌앤 ̄빵V>, <깜짝 놀랄 만한 이야기를 하여 사람을 놀라게 하다=危言耸听=wēi yán sǒng tīng=웨이 ̄ 옌↗ 쏭V 팅 ̄>
※ <솟을 용(耸); 耳-총10획>]
- 어깨에
닿는 머리, 긴 머리
披肩发
pījiānfà 피 ̄찌앤 ̄파↘
- 어깨에
메다, 걸머메다
肩挑 jiāntiāo 찌앤 ̄탸오 ̄
- 어느1,
어떤, 어디, 어느것
哪 nă 나V [※
<哪>,
<呀>
둘 다 어기조사 <啊=a=아>와
같은 의미로 편의에 따라 변형된
것이다. 앞 음절이 n으로 끝나면 <哪=na=나>로,
앞 음절이 <a, e, i, o, ü>로
끝나면 <呀=ya=야>로
발음한다.]
- 어느2,
어떤,
...들
哪些 năxiē 나V씨에 ̄ [※
(又讀=něixiē=네이V씨에 ̄), 복수를 나타냄]
- 어느3,
아무, 모
某 mǒu 모우V [※ 참조: <某=mǒu=모우V>는 '대명사'로 <어느, 아무, 모>라는 뜻으로 <특정한 사람이나 사물의 이름을 감출 경우에 쓰이거나, 불특정한 사람이나 사물을 가리킬 때 쓰인다.>
예를 들어, <나 이 모는 그런 일을 할 사람이 아니다.=我李某不是干这种事的人。=wǒ lǐ mǒu bú shì gàn zhèzhǒng shì de rén.=워V 리V 모우V 부↗ 쓰↘ 깐↘ 쩌↘종V 쓰↘ 더 런↗>]
- 어느것,
어떤
哪个 năge 나V거 [※
(又讀=něige=네이V거)]
- 어느
날
某日 mǒu rì 모우V
르↘
- 어느 높이를 넘어서다,
숨다, 사라지다, 가라앉다, 물에 잠기다, 가득
차서 넘치다
没 mò 모↘ [※
<没=mò>는 성조 2성인 <没=méi>가 아니라, 4성으로 발음하면 뜻이 전혀 달라진다.
사람이나 사물이 <가득 차서 넘치다, 가라앉다, 물에 잠기다, 사라지다, 숨다, 어느 높이를 넘어서다>라는 뜻의 '동사'이다.
예를 들어 <잠수함은 금새 물속으로 들어갔습니다.=潜水艇很快就没入水中。=qiánshuǐtǐng hěnkuài jiù mò rù shuǐzhōng.=치앤↗수이V팅V 헌V콰이↘ 찌우↘ 모↘ 루↘ 수이V쫑 ̄>, <눈이 무릎 위까지 올라왔습니다.=雪深没膝。=xuěshēn mò xī.=쉬에V썬 ̄
모↘
씨 ̄>, <출몰하다.=出没。=chūmò.=추 ̄모↘>]
- 어느덧,
눈 깜짝할 사이
转眼 zhuǎnyǎn 주안V옌V
- 어느분
哪位 năwèi 나V웨이↘ [※
(又讀=něi wèi),
‘谁’의 경어로 사용됨]
- 어느
산에 가면 그
산의 노래를 부른다, 구체적인 장소와 그곳의 상황과 풍속에 근거해서 적당한 행동을 취하다, 시간과 장소와 경우에 맞게 행동하고 말하다, TPO(Time=타임=시간, Place=플레이스=장소, Occasion=어케이전=경우)에 맞게 행동하고 말하다
到什么山上唱什么歌 dào shénme shānshàng chàng shénme gē 따오↘
선↗머
싼 ̄쌍↘
창↘
선↗머
꺼 ̄ [※ <到什么山上唱什么歌=dào shénme shānshàng chàng shénme gē>는 <구체적인 장소와
그곳의 상황과 풍속에 근거해서 적당한 행동을 취하다, 어느
산에 가면 그
산의 노래를 부른다, 시간과 장소와 경우에 맞게 행동하고 말하다, TPO(Time=타임=시간, Place=플레이스=장소, Occasion=어케이전=경우)에 맞게 행동하고 말하다>라는 뜻의 속담으로 구체적인 장소, 그곳의 상황과 풍속에 근거해서 적당한 행동을 취함을 비유한다.
비슷한 말로 <로마에 가면 로마법을 따른다=入境随俗=rùjìng suísú=루↘찡↘ 수이↗쑤↗>와 같은 의미이다.
예를 들어 <당신은 지금 외국에 있다는 사실을 잊지 말고, 구체적인 장소와
그곳의 상황과 풍속에 근거해서 적당한 행동을 취하세요, 고집을 부리지 마세요.=别忘了你现在是在外国,到什么山上唱什么歌吧,别固执了。=bié wàng le nǐ xiànzài shì zài wàiguó,dào shénme shānshàng chàng shénme gē ba,bié gùzhí le.=비에↗ 왕↘ 러 니V 씨앤↘짜이↘ 쓰↘ 짜이↘ 와이↘구오↗, 따오↘
선↗머
싼 ̄쌍↘
창↘
선↗머
꺼 ̄ 바, 비에↗ 꾸↘즈↗ 러>, <샤오왕은 직장을 옮긴 후 구체적인 장소와
그곳의 상황과 풍속에 근거해서 적당한 행동을 취하여, 지금은 새 직장에서 물고기가 물을 만난 것과 같습니다.=小王跳槽后,很快学会了什么山上唱什么歌,现在在新单位如鱼得水。=xiǎowáng tiàocáo hòu,hěnkuài xuéhuì le shénme shānshàng chàng shénme gē,xiànzài zài xīn dānwèi rúyúde shuǐ.=샤오V왕↗ 탸오↘차오↗ 호우↘, 헌V콰이↘ 쉬에↗후이↘ 러 선↗머
싼 ̄쌍↘
창↘
선↗머
꺼 ̄, 씨앤↘짜이↘ 짜이↘ 씬 ̄ 딴 ̄웨이↘ 루↗위↗더 수이V>]
- 어느 정도, 조금, 좀,
약간, 다소,
소량이다, 조금 있다
有点 yǒudiǎn 요우V디앤V [※
<有点=yǒudiǎn>은 <다소, 약간, 어느 정도, 조금, 좀>이라는 뜻의 '부사'이다. 주로 불만스러운 일에 쓰인다.
그리고 <소량이다, 조금 있다>라는 뜻의 '동사'이다.
예를 들어 <요즘 가슴이 조금 답답합니다.=最近心情有点烦。=zuìjìn xīnqíng yǒudiǎn fán.=쭈이↘찐↘ 씬 ̄칭↗ 요우V디앤V 판↗>, <냉장고에 먹을 것이 조금 남아 있습니다.=冰箱里还有点儿吃的。=bīngxiāng lǐ hái yǒudiǎnr chī de.=삥 ̄씨앙 ̄ 리V 하이↗ 요우V디알V 츠 ̄ 더>]
- 어느 정도에 까지 이르다, 도달하다, ~의 정도에 이르다, ~한 결과에 달하다, ~할 지경이다,
~때에 이르러,
~으로 말하면,
~에
대하여, ~에 관해서는, ~에
관하여
至于 zhìyú 쯔↘위↗ [※
<至于=zhìyú>는 <~에 관하여, ~에 관해서는, ~에 대하여, ~으로 말하면>이라는 뜻으로 '개사'로 쓰여 <至于=zhìyú> 앞부분의 내용과 관련된 단문을 이끌어 낸다. 그리고 화제를 바꾸거나 제시할 때 쓰인다.
예를 들어 <우리가 문제를 해결해 줄 테니 식사 문제는 당신이 해결해야 합니다.=我们帮你解决问题,至于吃饭的问题就要你自己解决了。=wǒmen bāng nǐ jiějué wèntí,zhìyú chīfàn de wèntí jiù yào nǐ zìji jiějué le.=워V먼 빵 ̄ 니V 지에V쥐에↗ 원↘티↗, 쯔↘위↗ 츠 ̄판↘ 더 원↘티↗ 찌우↘ 야오↘ 니V 쯔↘지 지에V쥐에↗ 러>, <이번 회의의 날짜는 이미 해결되었고, 참가 인원에 대해서는 아직 확정되지 않았습니다.=这次会仪的日期已经解决了,至于参加的人员还没有确定。=zhècì huìyí de rìqī yǐjīng jiějué le,zhìyú cānjiā de rényuán hái méiyǒu quèdìng.=쩌↘츠↘ 후이↘이↗ 더 르↘치 ̄ 이V찡 ̄ 지에V쥐에↗ 러, 쯔↘위↗ 찬 ̄찌아 ̄ 더 런↗위앤↗ 하이↗ 메이↗요우V 취에↘띵↘>, <화초 재배에 관해서는 그가 전문가입니다.=至于种花, 他是内行。=zhìyú zhònghuā, tā shì nèiháng.=쯔↘위↗ 쫑↘후아 ̄, 타 ̄ 쓰↘ 네이↘항↗>
또한 <~의 정도에 이르다, ~한 결과에 달하다, ~할 지경이다,
어느 정도에 까지 이르다, 도달하다,>라는 뜻의 '동사'이다. 어느 정도에 이르렀음을 나타내며 '부정문'이나 '반어문'에 쓰인다. 그리고 앞에 <‘才’·‘还’·‘总’·‘该’>를 동반하는 경우가 많다.
예를 들어 <그가 모를 정도는 아닙니다.=他不至于不知道。=tā bù
zhìyú bù zhīdào.=타 ̄ 뿌↘ 쯔↘위↗ 뿌↘ 쯔 ̄따오↘>
그리고 <~때에 이르러>라는 뜻의 '접속사'이다.
예를 들어 <아Q가 여섯 자 가량 나가떨어지고서야 만족하여 돌아갔습니다.=至于阿Q跌出六尺多远, 这才满足地去了。=zhìyú āQ diēchū liùchǐ duō yuǎn, zhè cái mǎnzú de qù le.=쯔↘위↗ 아 ̄큐 띠에 ̄추 ̄ 리우↘츠V 뚜오 ̄ 위앤V, 쩌↘ 차이↗ 만V쭈↗ 더 취↘ 러>]
- 어느 해 어느 달, 언제쯤이나, 원숭이의 해 말의 달,
목표를 달성할 수 있는 시기가 요원하다
猴年马月 hóu nián mǎ yuè 호우↗ 니앤↗ 마V 위에↘ [※ <猴年马月=hóu nián mǎ yuè>는 <목표를 달성할 수 있는 시기가 요원하다, 어느 해 어느 달, 언제쯤이나, 원숭이의 해 말의 달>이란 뜻으로 목표를 달성할 수 있는 시기가 요원함을 가리킨다. <간지(干支)에 없는 나귀의 해 말의 달 // 절대 있을 수 없는 일 // 근거 없는 일=驴年马月=lǘ nián mǎ yuè>라고도 한다.
예를 들어 <내가 느릿느릿 여행가방을 챙기는 모습을 보고 엄마는 참지 못하고 "너 이 속도라면 어느 세월에나 다 챙길 수 있겠니!"=看着我慢吞吞地收拾行李箱的样子,妈妈忍不住地说: "照你这个速度,猴年马月 才能收拾完啊!"=kàn zhe wǒ màntūntūn de shōushi xínglǐxiāng de yàngzi,māma rěnbúzhù de shuō: "zhào nǐ zhège sùdù,hóunián mǎ yuè cái néng shōushi wán a!"=칸↘ 저 워V 만↘툰 ̄툰 ̄ 더 쏘우 ̄스 싱↗리V씨앙 ̄ 더 양↘쯔, 마 ̄마 런V부↗쭈↘ 더 쑤오 ̄: “짜오↘ 니V 쩌↘거 쑤↘뚜↘, 호우↗ 니앤↗ 마V 위에↘ 차이↗ 넝↗ 쏘우 ̄스 완↗ 아!”>, <왕리(王黎)는 남편에게 "도대체 어느 세월에야 당신네 직장에서 당신에게 분양을 해 주는군요!"라고 불평했습니다.=王黎不满地对丈夫说: "到底猴年马月,你们单位才给你分房啊!"=wánglí bùmǎn de duì zhàngfu shuō: "dàodǐ hóu nián mǎ yuè,nǐmen dānwèi cái gěi nǐ fēnfáng a!=왕↗리↗ 뿌↘만V 더 뚜이↘ 짱↘푸 쑤오 ̄: “따오↘디V 호우↗ 니앤↗ 마V 위에↘, 니V먼 딴 ̄웨이↘ 차이↗ 게이V 니V 펀 ̄팡↗ 아!”>]
- 어덜트(adult),
어른, 성년, 성인
成年人 chéngniánrén 청↗니앤↗런↗
- 어둡다,
암암리에, 암중(暗中),
어리석다, 우둔하다, 우매하다, 은근히, 은밀하게, 은밀한,
은밀한 가운데, 가만히, 개인적으로, 껌껌하다, 깜깜하다, 컴컴하다, 캄캄하다, 미련하다, 사리분별을 잘 못하다, 도리에 어둡다, 흐리터분하다, 흐리멍덩하다, 비밀의, 숨은, 밖으로 드러나지 않은, 내부에 숨겨진, 지하의, 떳떳하지 못한, 뒤가 구린,
남몰래, 홀로, 비밀리에, 슬그머니
暗 àn 안↘ [※
<暗=àn>은 <어둡다, 껌껌하다, 깜깜하다, 컴컴하다, 캄캄하다, 우매하다, 어리석다, 미련하다, 사리분별을 잘 못하다, 우둔하다, 도리에 어둡다, 흐리터분하다, 흐리멍덩하다, 은밀한. 비밀의, 숨은, 밖으로 드러나지 않은, 내부에 숨겨진, 지하의, 떳떳하지 못한, 뒤가 구린>이라는 뜻의 '형용사'이다.
또한 '부사'로 쓰여서 <개인적으로, 남몰래, 홀로, 비밀리에, 은밀하게, 암암리에, 슬그머니, 은근히, 가만히, 은밀한 가운데, 암중(暗中)>이라는 뜻이다.
예를 들어 <해가 서산을 넘어가니 하늘은 금방 어두워졌습니다.=太阳落山了,天很快暗了下来。=tàiyáng luò shān le,tiān hěnkuài àn le xiàlái.=타이↘양↗ 루오↘ 싼 ̄ 러, 티앤 ̄ 헌V콰이↘ 안↘ 러 씨아↘라이↗>, <음으로 양으로 싸우다. // 옥신각신하다.=明争暗斗。=míngzhēng àndòu.=밍↗쩡 ̄ 안↘또우↘>]
- 어디1,
어느곳
哪里 năli 나V리
- 어디2,
어느곳
哪儿 năr 날V
- 어디서,
어디에서
从哪儿 cóng năr 총↗
날V
- 어디서든 언제나,
언제 어디서든
无论何地何时 wúlùn héde héshí 우↗룬↘
허↗더 허↗스↗
- 어디에
什么地方 shénme dìfāng 선↗머
띠↘팡 ̄
- 어디에 갑니까?
去哪里? qù năli? 취↘
나V리?
- 어디에나 있다,
아주 흔하다[아주 많거나 보편적임을 묘사], 도처에 있다
比比皆是 bǐbǐ-jiēshì 삐V비V-찌에 ̄쓰↘
- 어디에서1,
어디서
从哪儿 cóng năr 총↗
날V
- 어디에서2
在哪儿 zài năr 짜이↘
날V
- 어떠한,
~라도
任何 rènhé 런↘허↗ [※
<任何=rènhé>는 <어떠한, ~라도>라는 뜻의 '대명사'이다. 흔히 <都>와 호응하여 쓰인다.]
- 어떤1,
일부분
有些 yŏuxiē 요우V씨에 ̄
- 어떤2
任何 rènhé 런↘허↗
- 어떤3, 어떻게 ~해도,
어떻게, 어째서, 왜[상황·방식·원인 따위를 물음],
아무리 ~해도[조건문에 쓰여 임의의 동작이나 속성·상황 따위를 나타냄],
무슨[명사 앞에 놓이는 경우로, 명사와의 사이에 그 명사에 대한 양사를 필요로 함]
怎么 zěnme 쩐V머
- 어떤
~
怎么个 ~法 zěnme gè ~fǎ 쩐V머
꺼↘
~파V [※
<怎么个 ~法=zěnme gè ~fǎ> 는 <어떤 ~>의 뜻이다. 더 구체적인 정보를 알고 싶어하는 것을 나타낸다.
예를 들어 <100위안은 어떤 종류의
벌금을 내야 하나요?=100块钱怎么个罚法?=yìbǎi kuài qián zěnme gè fáfǎ?=이↘바이V 콰이↘ 치앤↗ 쩐V머 꺼↘ 파↗파V>, <어떻게
배상하는 가는 공장측이 당신과 상의해야 합니다.=怎么个赔偿法,广家应该和你商量。=zěnme gè péichángfǎ,chǎngjiā yīnggāi hé nǐ shāngliáng.=쩐V머 꺼↘ 페이↗창↗파V, 창V찌아 ̄ 잉 ̄까이 ̄ 허↗ 니V 쌍 ̄리앙↗>]
- 어떤 것, 어떤 사람
有的 yǒude [※
<有的=yǒude>는 <어떤 것, 어떤 사람>이라는 뜻의 ‘대명사’로 대개 반복적으로 사용된다.
예를 들어 <마태복음 13:8=马太福音
13:8>: <<8
또 어떤 씨는 좋은 흙에 떨어져 열매를 맺기 시작했는데, 어떤 것은 100배, 어떤 것은 60배, 어떤 것은 30배를 맺었습니다.=8
还有些落在好土上,结出果实来,有100倍的,有60倍的,有30倍的。=8 hái yǒuxiē luò zài hǎotǔ shang,jié chū guǒshí lái,yǒu yìbǎi bèi de,yǒu liùshí bèi de,yǒu sānshí bèi de.=8 하이↗
요우V씨에 ̄
루오↘
짜이↘
하오V투V
상, 지에↗
추 ̄
꾸오V스↗
라이↗,
요우V
이↘바이V
뻬이↘
더, 요우V
리우↘스↗
뻬이↘
더, 요우V
싼 ̄스↗
뻬이↘
더>>]
- 어떤
것과도 비교가 되지 않는[유일무이하다, 비할 바가 없다]
无可比拟 wúkěbǐnǐ 우↗커V삐V니V
- 어떤 것에 마음이 끌려 주의를 기울이다, 애고(愛顧)하다,
지켜보다, 관심하다, 돌보다, 돌봐 주다
眷顾 juàngù 쮜앤↘꾸↘
- 어떤 것이 좋고 어떤 것이 나쁜가, 누가 더
낫고 누가 더 못한가[대상을 비교할 때]
孰优孰劣 shú yōu shú liè 수↗ 요우 ̄ 수↗ 리에↘
- 어떤 기술을 능숙하게 파악하다, 윗수,
윗자리, 일수(一手), 고수(高手), 노련한 사람, 베테랑, 상좌, 상석(上席), 상수(上手), 선수(善手)
上手 shàngshǒu 쌍↘쏘우V [※
<上手=shàngshǒu>는 <고수(高手), 노련한 사람, 베테랑, 상석(上席), 상수(上手), 상좌, 선수(善手), 어떤 기술을 능숙하게 파악하다, 윗수,
윗자리, 일수(一手)>라는 뜻의 ‘명사’이다.
예를 들어 <상석에 앉으시지요!=请坐上手!=qǐng zuò shàngshǒu!=칭V 쭈오↘ 쌍↘쏘우V!>, <바둑에서는 상수가 백을 잡고 두도록 되어 있습니다.=围棋中高手执白棋。=wéiqí zhōng gāoshǒu zhíbái qí.=웨이↗치↗ 쫑 ̄ 까오 ̄쏘우V 즈↗바이↗ 치↗>]
- 어떤
기적을 행했습니까?
施行了什么奇迹? shīxíng le shénme qíjì? 쓰 ̄싱↗
러 선↗머 치↗찌↘?
- 어떤 때는
有时 yŏushí 요우V스↗
- 어떤 방면에서 우수한 인재를 선발하는 일종의 활동이나 행위를 가리킨다, 오디션, 우수한 인재를 뽑다, 성적이 우수한 사람을 선발하다
选秀 xuǎnxiù 쉬앤V씨우↘
- 어떤 사람, 어떤 것
有的 yǒude [※
<有的=yǒude>는 <어떤 것, 어떤 사람>이라는 뜻의 ‘대명사’로 대개 반복적으로 사용된다.
예를 들어 <마태복음 13:8=马太福音
13:8>: <<8
또 어떤 씨는 좋은 흙에 떨어져 열매를 맺기 시작했는데, 어떤 것은 100배, 어떤 것은 60배, 어떤 것은 30배를 맺었습니다.=8
还有些落在好土上,结出果实来,有100倍的,有60倍的,有30倍的。=8 hái yǒuxiē luò zài hǎotǔ shang,jié chū guǒshí lái,yǒu yìbǎi bèi de,yǒu liùshí bèi de,yǒu sānshí bèi de.=8 하이↗
요우V씨에 ̄
루오↘
짜이↘
하오V투V
상, 지에↗
추 ̄
꾸오V스↗
라이↗,
요우V
이↘바이V
뻬이↘
더, 요우V
리우↘스↗
뻬이↘
더, 요우V
싼 ̄스↗
뻬이↘
더>>]
- 어떤 사람의 불행에 동정을 하면서도 무기력한 모습에 화가 나다,
동정은 하지만 분발하지 않은 것에 분노를 느끼다, 딱하게 여기면서도 약하고 변변치 못한 모습에 분노가 일다,
불쌍하지만 제구실 못하는 것에 성이 나다, 불행함에 슬퍼하고 투쟁하지 않음에 분노하라, 불행을 슬퍼하고 논쟁을 못함에 성을 낸다, 불행을 슬퍼하고 다투지 않는 것에 분노한다
哀其不幸, 怒其不争 āi qí bù xìng, nù qí bù zhēng 아이 ̄ 치↗ 뿌↘ 씽↘, 누↘ 치↗ 뿌↘ 쩡 ̄ [※
<哀其不幸, 怒其不争=āi qí bù xìng, nù qí bù zhēng>은 <애기불행(哀其不幸), 노기불쟁(怒其不争)>으로 <동정은 하지만 분발하지 않은 것에 분노를 느끼다, 딱하게 여기면서도 약하고 변변치 못한 모습에 분노가 일다, 불쌍하지만 제구실 못하는 것에 성이 나다,
불행을 슬퍼하고 논쟁을 못함에 성을 낸다, 불행을 슬퍼하고 다투지 않는 것에 분노한다, 불행함에 슬퍼하고 투쟁하지 않음에 분노하라, 어떤 사람의 불행에 동정을 하면서도 무기력한 모습에 화가 나다>라는 뜻이다.
중국의 대문호 노신(鲁迅=lǔxùn=루V쒼↘: 1881-1936) 선생의 어록 중(中) 나오는 말이다. 노신(鲁迅)의 본명은 주수인(周树人)이다. 절강성(浙江省) 소흥부(绍兴府) 회계현(会稽县), 지금의 소흥현(绍兴县)에서 태어났고, 1902년 일본에서 의학 공부를 시작했으나 중국의 비참한 현실을 확인하고 글을 쓰기 시작했다. 중국의 작가, 사회운동가, 사상가. 근현대 중문학을 대표하는 가장 중요한 인물이자 근현대 중문학의 아버지다. 중국 현대문학의 선구자적인 작가이다. 오늘날까지도 중국에서 '민족의 영혼'이라 칭송받는다.]
- 어떤 영역이나 지역에서 패자(覇者)라고 칭하는 사람이나 집단,
지배권,
맹주(盟主)
霸主 bàzhǔ 빠↘주V [※
<霸主=bàzhǔ>는 <맹주(盟主), 어떤 영역이나 지역에서 패자(覇者)라고 칭하는 사람이나 집단, 지배권>이라는 뜻의 '명사'이다.
예를 들어 <해상 무역왕=海上霸主=hǎishàng bàzhǔ=하이V쌍↘ 빠↘주V>, <세계의 지배권=世界霸主=shìjiè bàzhǔ=쓰↘찌에↘ 빠↘주V>]
- 어떤 일에 문외한이다,
문외한이다, 문외한,
어떤 일에 대해
아무런 경험이 없다, 경험이 없다, 전문가가 아니다, 아무것도 모르다
外行 wàiháng 와이↘항↗
- 어떤 일에 대해
아무런 경험이 없다, 어떤 일에 문외한이다,
문외한이다, 문외한,
경험이 없다, 전문가가 아니다, 아무것도 모르다
外行 wàiháng 와이↘항↗
- 어떤
일을 하기 싫어하다, ~하기
싫다, 하기 귀찮다
懒得
lǎnde 란↗더
- 어떤 일이 있어도, 억지로, 일부러, 한사코,
도무지,
꼭, 굳이, 기어코,
기를 쓰고,
공교롭게도, 뜻밖에, 마침,
예상외로, 우연히, 의외로, 단지 ~만,
오직 ~만, 유달리, 유독, 하필이면
偏偏
piānpiān 피앤 ̄피앤 ̄ [※
<偏偏=piānpiān>은 1-<기를 쓰고, 기어코,
굳이, 꼭, 도무지,
어떤 일이 있어도, 억지로, 일부러, 한사코>라는 뜻의 '부사'이다. 고의로 일반적인 상식이나 남의 요구를 거스르는 것을 나타낸다.
또한 2-<공교롭게, 뜻밖에, 마침,
예상외로, 우연히, 의외로>를 뜻하는 '부사'이다. 주관적인 희망,
예상, 기대나 혹은 객관적인 요구가 사실과 상반되거나 어긋날
때 쓰는 말이다.
그리고 3-<단지 ~만,
오직 ~만, 유달리, 유독, 하필이면>이라는 뜻의 '부사'이다. 범위를 표시하며, ‘单单(오직)’·‘唯独(유독)’과 거의 같으며 불만의 어감을 나타낸다.
예를 들어 1-1-<모두가 그에게 그렇게 말하지 말라고 했지만 그는 한사코 말하려고 합니다.=大家叫他不要这样说了,他偏偏要说。=dàjiā jiào tā búyào zhèyàng shuō le,tā piānpiān yào shuō.=따↘찌아 ̄ 쨔오↘ 타 ̄ 부↗야오↘ 쩌↘양↘ 쑤오 ̄ 러, 타 ̄ 피앤 ̄피앤 ̄ 야오↘ 쑤오 ̄>
2-1-<밀이 한창 이삭이 나오고 있는데 하느님만 유독 비를 내리지 않네.=麦子正在抽穗,老天偏偏不下雨。=màizi zhèng zài chōusuì,lǎotiān piānpiān bú xiàyǔ.=마이↘쯔 쩡↘ 짜이↘ 초우 ̄쑤이↘ 라오V티앤 ̄ 피앤 ̄피앤 ̄ 부↗ 씨아↘위V>,
2-2-<제가 오전에도 당신 집을
몇 번이나 찾아봤는데, 당신은 공교롭게도 없었습니다.=我上午找了你好几家,可你偏偏不在。=wǒ shàngwu zhǎo le nǐ hǎo jǐ jiā,kě nǐ piānpiān bú zài.=워V 쌍↘우 자오V 러 니V 하오V 지V 찌아 ̄, 커V 니V 피앤 ̄피앤 ̄ 부↗ 짜이↘>
3-1-<왜 유독 우리 회사만 월급이 오르지 않지?=为什么偏偏我们公司没有长工资?=wèishén me piānpiān wǒmen gōngsī méiyǒu zhǎng gōngzī.=웨이↘선↗머 피앤 ̄피앤 ̄ 워V먼 꽁 ̄쓰 ̄ 메이↗요우V 장V 꽁 ̄쯔 ̄>,
3-2-<그는 오늘 8시 30분에 회사로 출발했는데 가는 도중에 지하철이 하필이면 고장이 났습니다.=他今天8:30才出发去公司,可是路上地铁偏偏出了故障。=tā jīntiān bāshí sānshifēn cái chūfā qù gōngsī,kěshì lùshàng dìtiě piānpiān chū le gùzhàng.=타 ̄ 찐 ̄티앤 ̄ 빠 ̄스↗ 싼 ̄스펀 ̄ 차이↗ 추 ̄파 ̄ 취↘ 꽁 ̄쓰 ̄, 커V쓰↘ 루↘쌍↘ 띠↘티에V 피앤 ̄피앤 ̄ 추 ̄ 러 꾸↘짱↘>]
- 어떤 일이 하고 싶어서 못 견디다, 죽을 지경이다
心痒痒 xīn yǎngyang 씬 ̄ 양V양 [※
<心痒痒=xīn yǎngyang>은 <어떤 일이 하고 싶어서 못 견디다, 죽을 지경이다>라는 뜻이다.
그리고 <痒痒=yǎngyang>은 <가렵다, 근질근질하다, 안타깝다, 애타다>라는 뜻이다.
또한 <痒痒=yǎngyang>이 쓰이는 단어로는 <손이 근질근질하다=手痒痒=shǒu yǎngyang>,<발이 근질근질하다=脚痒痒=jiǎo yǎngyang> 등이 있다.
예를 들어 <그들이 즐겁게 여행 준비를 하는 것을 보니, 마음이 참으로 근질근질하고 같이 가고 싶은 마음이 간절합니다.=看他们兴高采烈地准备旅行的东西,我的心里真痒痒,恨不得跟他们一起去。=kàn tāmen xīnggāocǎiliè de zhǔnbèi lǚxíng de dōngxi,wǒ de xīnli zhēn yǎngyang,hènbude gēn tāmen yìqǐ qù.=칸↘ 타 ̄먼 씽 ̄까오 ̄차이V리에↘ 더 준V뻬이↘ 뤼V싱↗ 더 똥 ̄시, 워V 더 씬 ̄리 쩐 ̄ 양V양, 헌↘부더 껀 ̄ 타 ̄먼 이↘치V 취↘>, <처음 운전을 배웠을 때, 차를 보면 손이 근질근질하지 않을 수 없었습니다.=刚学会开车的时候,看见车就忍不住手痒痒。=gāng xué huì kāichē de shíhou,kànjiàn chē jiù rěnbúzhù shǒu yǎngyang.=깡 ̄ 쉬에↗ 후이↘ 카이 ̄처 ̄ 더 스↗호우, 칸↘찌앤↘ 처 ̄ 찌우↘ 런V부↗쭈↘ 쏘우V 양V양>]
- 어떤 합리적인 소비
如何合理消费 rúhé hélǐ xiāofèi 루↗허↗ 허↗리V 쌰오 ̄페이↘
- 어떻게1,
어떠하냐, 어떠니
怎样 zěnyàng 쩐V양↘
- 어떻게2,
어때요,
어떻습니까?
怎么样? zěnmeyàng? 쩐V머양↘?
- 어떻게3, 어떻게 ~해도,
어째서, 어떤, 왜[상황·방식·원인 따위를 물음],
아무리 ~해도[조건문에 쓰여 임의의 동작이나 속성·상황 따위를 나타냄],
무슨[명사 앞에 놓이는 경우로, 명사와의 사이에 그 명사에 대한 양사를 필요로 함]
怎么 zěnme 쩐V머
- 어떻게4
如何 rúhé 루↗허↗
- 어떻게
~할 생각을 하다1, 어찌 ~의 생각을 하다
怎么提起 ~来了 zěnme tíqǐ ~lái le 쩐V머
티↗치V
~라이↗
러
- 어떻게
~할 생각을 하다2, 어찌 ~의 생각을 하다
怎么想起 ~来了 zěnme xiǎngqǐ ~lái le 쩐V머
시앙V치V
~라이↗
러 [※ <怎么想起 ~来了=zěnme xiǎngqǐ ~lái le>는 의혹이나 놀람을 나타내어, <어떻게 ~할 생각을 하다, 어찌 ~의 생각을 하다>라는 뜻이다. 생각지도 못한 일이 갑자기 생각해 낸 것을 말한다. <怎么提起 ~来了=zěnme tíqǐ ~lái le>로도 말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그가 죽은 지 그렇게 여러 해가 되었는데, 당신은 왜 그를 생각합니까?=他都死了那么多年了,你怎么想起他来了?=tā dōu sǐ le nàme duōnián le,nǐ zěnme xiǎngqǐ tā lái le?=타 ̄ 또우 ̄ 쓰V 러 나↘머 뚜오 ̄니앤↗ 러, 니V 쩐V머
시앙V치V 타 ̄
라이↗ 러?>, <오늘 왜 공원에 갈 생각을 했어?=你今天怎么想起去公园来了?=nǐ jīntiān zěnme xiǎngqǐ qù gōngyuán lái le?=니V 찐 ̄티앤 ̄ 쩐V머
시앙V치V 취↘ 꽁 ̄위앤↗ 라이↗ 러?>]
- 어떻게 ~해도,
어떻게, 어떤, 어째서, 왜[상황·방식·원인 따위를 물음],
아무리 ~해도[조건문에 쓰여 임의의 동작이나 속성·상황 따위를 나타냄],
무슨[명사 앞에 놓이는 경우로, 명사와의 사이에 그 명사에 대한 양사를 필요로 함]
怎么 zěnme 쩐V머
- 어떻게 해서든지,
어쨌든, 어찌 되었든 관계없이
无论如何 wúlùn rúhé 우↗룬↘
루↗허↗
- 어려서부터,
어릴 때부터
自幼 zìyòu 쯔↘요우↘
- 어려운 문제, 이해할 수 없는 사실,
불가사의한 일, 베일에 가려진 일, 수수께끼
谜 mí 미↗ [※
<谜=mí>는 <베일에 가려진 일, 불가사의한 일, 수수께끼, 어려운 문제, 이해할 수 없는 사실>이라는 뜻의 '명사'이다.
예를 들어 <알아맞히기 어려운 문제. // 은어.=哑谜。=yǎmí.=야V미↗>]
- 어려움,
곤란, 곤란하다
困难 kùnnan 쿤↘난
- 어렵고 막중한 일을 가볍게 처리하다,
무거운 물건을 가볍게 들다, 무거운 물건을 가벼운 물건 들 듯하다, 능력이
좋아서 힘겨운 일을 능히 감당할 수 있거나 곤란한 문제를 수월하게 처리할 수 있다,
큰일을 감당할 대단한 능력을 갖추고 있다
举重若轻 jǔ zhòng ruò qīng 쥐V 쫑↘ 루오↘ 칭 ̄ [※
<举重若轻=jǔ zhòng ruò qīng>은 <능력이 좋아서 힘겨운 일을 능히 감당할 수 있거나 곤란한 문제를 수월하게 처리할 수 있다, 무거운 물건을 가벼운 물건 들 듯하다, 무거운 물건을 가볍게 들다, 어렵고 막중한 일을 가볍게 처리하다,
큰일을 감당할 대단한 능력을 갖추고 있다>라는 뜻이다.
예를 들어 <다른 사람들은 힘들고 어렵다고 하는 일을 그녀는 아주 쉽게 해치운다.=别人觉得痛苦困难的工作,她举重若轻地应付了过去。=biéren juéde tòngkǔ kùnnán de gōngzuò,tā jǔ zhòng ruò qīng de yīngfù le guòqu.=비에↗런 쥐에↗더 통쿠 쿤난↗ 더 꽁 ̄쭈오↘, 타 ̄ 쥐V 쫑↘ 루오↘ 칭 ̄ 더 잉 ̄푸↘ 러
꾸오↘취>
★ 냉정하고 침착하게 사건을 처리하는 것을 나타내는 성어: <얼굴빛 하나 변하지 않다 // 위기 상황에서도 태연자약하다=面不改色=miàn bù gǎi sè=미앤↘ 뿌↘ 가이V 써↘>, <심상치 않은 상황에 처해서도 태연자약하다. // 변화무쌍한 환경에 처해도 놀라지 않다.=处变不惊=chǔ biàn bù jīng=추V 삐앤↘ 뿌↘ 찡 ̄>]
- 어렵고
험하다,
험한 낭떠러지, 울퉁불퉁
崎岖不平 qíqū-bùpíng 치↗취 ̄-뿌↘핑↗
- 어렵다1
难 nán 난↗ [※
어려울
난(难=難)]
- 어렵다2, 어렵고도 방대하다, 어렵고 힘들다,
막중하다, 간고하고도 막중하다, 대단히 어렵고 힘들다
艰巨 jiānjù 찌앤 ̄쮜↘ [※
<艰巨=jiānjù>는 <간고하고도 막중하다, 어렵다, 어렵고 힘들다,
어렵고도 방대하다, 대단히 어렵고 힘들다, 막중하다>라는 뜻의 '형용사'이다.
예를 들어 <간고하고도 막중한 임무 // 어려운 임무=艰巨的任务=jiānjù de rènwù=찌앤 ̄쮜↘ 더 런↘우↘>
※ <어려울 간(艰); 艮-총8획; 클 거(巨); 工-총5획>]
- 어렵고 힘들다,
어렵고도 방대하다, 어렵다, 막중하다,
간고하고도 막중하다, 대단히 어렵고 힘들다
艰巨 jiānjù 찌앤 ̄쮜↘ [※
<艰巨=jiānjù>는 <간고하고도 막중하다, 어렵다, 어렵고 힘들다,
어렵고도 방대하다, 대단히 어렵고 힘들다, 막중하다>라는 뜻의 '형용사'이다.
예를 들어 <간고하고도 막중한 임무 // 어려운 임무=艰巨的任务=jiānjù de rènwù=찌앤 ̄쮜↘ 더 런↘우↘>
※ <어려울 간(艰); 艮-총8획; 클 거(巨); 工-총5획>]
- 어렵고도 방대하다, 어렵다, 어렵고 힘들다,
막중하다, 간고하고도 막중하다, 대단히 어렵고 힘들다
艰巨 jiānjù 찌앤 ̄쮜↘ [※
<艰巨=jiānjù>는 <간고하고도 막중하다, 어렵다, 어렵고 힘들다,
어렵고도 방대하다, 대단히 어렵고 힘들다, 막중하다>라는 뜻의 '형용사'이다.
예를 들어 <간고하고도 막중한 임무 // 어려운 임무=艰巨的任务=jiānjù de rènwù=찌앤 ̄쮜↘ 더 런↘우↘>
※ <어려울 간(艰); 艮-총8획; 클 거(巨); 工-총5획>]
- 어렵사리,
오기 힘든
难不到 nán bú dào 난↗
부↗ 따오↘
- 어렵지
않다
不难 bù
nán 뿌↘
난↗
- 어루만지다, 집어내다, 짚어 보다, 짐작하다,
모색하다[이해·방법 따위를], 추측하다, 탐색하다, 탐지하다,
손으로 짚어 보다, 쓰다듬다,
손으로 더듬다, 손으로 더듬어 꺼내다
摸 mō 모 ̄ [※ <摸=mō>는 <모색하다[이해·방법 따위를], 손으로 짚어 보다, 쓰다듬다, 손으로 더듬다, 손으로 더듬어 꺼내다, 어루만지다, 짐작하다,
집어내다, 짚어 보다, 추측하다, 탐색하다, 탐지하다>라는 뜻의 '동사'이다.
예를 들어 <젖은 손으로 전기 스위치를 만져서는 안 됩니다.=不要用湿手摸电门。=bú yào yòng shīshǒu mō diànmén.=부↗ 야오↘ 용↘ 쓰 ̄소우V 모 ̄ 띠앤↘먼↗>, <돈지갑에서 돈을 더듬어 꺼냈습니다.=从钱包里摸出一张钞票来。=cóng qiánbāo lǐ mō chū yì zhāng chāopiào lái.=총↗ 치앤↗빠오 ̄ 리V 모 ̄ 추 ̄ 이↘ 짱 ̄ 차오 ̄퍄오↘ 라이↗>, <영문을 모르겠습니다.=摸不着头脑。=mō bú zháo tóunǎo.=모 ̄ 부↗ 자오↗ 토우↗나오V>
※ <찾다, 더듬어 찾다, 잡다, 쥐다, 가지다, 베끼다, 본뜨다, 찾을 모(摸); 手-총14획>]
-
어르다, 어린아이를 구슬리다, 알랑거리다, 아첨하다,
달래다, 감언이설로 환심을 사다, 비위를
맞추다, 말로 속이다, 기만하다
哄 hǒng 홍V [※
<哄=hǒng>은 <달래다, 어르다, 어린아이를 구슬리다, 감언이설로 환심을 사다, 비위를 맞추다, 말로 속이다, 기만하다, 알랑거리다, 아첨하다>라는 동사이다.
예를 들어 <아이가 울자 엄마는 초콜릿을 사서 달래 주었습니다.=孩子哭了,妈妈买巧克力哄她。=háizi kū le,māma mǎi qiǎokèlì hǒng tā=하이↗쯔 쿠 ̄ 러, 마 ̄마 마이V 챠오V커↘리↘ 홍V 타 ̄>]
- 어르신
老人家 lǎorénjiā 라오V런↗찌아 ̄
- 어른1,
성인
大人 dàrén 따↘런↗
- 어른2, 어덜트(adult),
성년, 성인
成年人 chéngniánrén 청↗니앤↗런↗
- 어리다1,
젊다
年轻 niánqīng 니앤↗칭 ̄
- 어리다, 여리다, 연하다,
엷다,
음식이 만만하다, 색깔이 연하다, 말랑말랑하다, 부드럽다
嫩
nèn 넌↘ [※
<嫩=nèn>은 <말랑말랑하다, 부드럽다, 색깔이 연하다, 어리다, 여리다, 연하다, 엷다, 음식이 만만하다>라는 뜻의 형용사이다.
예를 들어 <부드러운 잎=嫩叶=nèn yè=넌↘ 예↘>, <이 고깃점을 아주 만만하게 볶았다.=这肉片炒得很嫩。=zhè ròupiàn chǎo de hěn nèn.=쩌↘ 로우↘피앤↘ 차오V 더 헌V 넌↘>, <연한 황색=嫩黄=nènhuáng=넌↘후앙↗>]
- 어리둥절하다1, 얼떨떨하다,
흐리멍텅하다
糊里糊涂 húlihútú 후↗리후↗투↗
- 어리둥절하다2, 우두커니 바라보다,
기다리다,
멍해지다, 멍청해지다, 멍청히 바라보다
愣 lèng 렁↘ [※
<愣=lèng>은 <기다리다, 멍청해지다, 멍청히 바라보다, 멍해지다, 어리둥절하다, 우두커니 바라보다>라는 뜻의 ‘동사’이다.
예를 들어 <나는 듣자마자 멍해졌습니다.=我一听就愣了。=wǒ yì tīng jiù lèng le.=워V 이↘ 팅 ̄ 찌우↘ 렁↘ 러>, <깜짝 놀라 그는 어리둥절해졌습니다.=吓得他一愣。=xià de tā yí lèng.=씨아↘ 더 타 ̄ 이↗ 렁↘>, <두 눈으로 멍청히 바라보다=两眼发愣=liǎng yǎn fā lèng=리앙V 옌V 파 ̄ 렁↘>, <먼저 가십시오, 저는 여기서 좀 기다리겠습니다.=您请先走, 我还在这儿愣一会儿。=nín qǐng xiān zǒu, wǒ hái zài zhèr lèng yíhuìr.=닌↗ 칭V 씨앤 ̄ 쪼우V, 워V 하이↗ 짜이↘ 쩔↘ 렁↘ 이↗후얼↘>
※
<멍청할 릉=능(愣); 心-총12획>]
- 어리석다1,
어색하다, 우둔하다, 육중하다, 능숙하지 못하다, 둔하고 무겁다, 멍청하다,
무겁다,
미련하다, 서투르다, 서툴다, 투박하다,
힘들다
笨 bèn 뻔↘ [※
<笨=bèn>은 <어리석다, 우둔하다, 멍청하다, 미련하다, 서투르다, 서툴다, 어색하다, 능숙하지 못하다, 둔하고 무겁다, 육중하다, 투박하다,
힘들다, 무겁다>라는 뜻의 '형용사'이다.
예를 들어 <우둔합니다.=愚笨。=yúbèn.=위↗뻔↘>, <말하는 것이 서투릅니다.=拙嘴笨腮。=zhuózuǐ bèn sāi.=주오↗쭈이V 뻔↘ 싸이 ̄>, <이 괭이는 투박하고 무겁습니다.=这把锄头太笨。=zhè bǎ chútóu tài bèn.=쩌↘ 바V 추↗토우↗ 타이↘ 뻔↘>
<거칠
& 조잡할 & 어리석을 & 댓속껍질 분(笨),
대죽(竹) 부수, 총 11획>]
- 어리석다, 암중(暗中),
암암리에, 어둡다,
우둔하다, 우매하다, 은근히, 은밀하게, 은밀한,
은밀한 가운데, 가만히, 개인적으로, 껌껌하다, 깜깜하다, 컴컴하다, 캄캄하다, 미련하다, 사리분별을 잘 못하다, 도리에 어둡다, 흐리터분하다, 흐리멍덩하다, 비밀의, 숨은, 밖으로 드러나지 않은, 내부에 숨겨진, 지하의, 떳떳하지 못한, 뒤가 구린,
남몰래, 홀로, 비밀리에, 슬그머니
暗 àn 안↘ [※
<暗=àn>은 <어둡다, 껌껌하다, 깜깜하다, 컴컴하다, 캄캄하다, 우매하다, 어리석다, 미련하다, 사리분별을 잘 못하다, 우둔하다, 도리에 어둡다, 흐리터분하다, 흐리멍덩하다, 은밀한. 비밀의, 숨은, 밖으로 드러나지 않은, 내부에 숨겨진, 지하의, 떳떳하지 못한, 뒤가 구린>이라는 뜻의 '형용사'이다.
또한 '부사'로 쓰여서 <개인적으로, 남몰래, 홀로, 비밀리에, 은밀하게, 암암리에, 슬그머니, 은근히, 가만히, 은밀한 가운데, 암중(暗中)>이라는 뜻이다.
예를 들어 <해가 서산을 넘어가니 하늘은 금방 어두워졌습니다.=太阳落山了,天很快暗了下来。=tàiyáng luò shān le,tiān hěnkuài àn le xiàlái.=타이↘양↗ 루오↘ 싼 ̄ 러, 티앤 ̄ 헌V콰이↘ 안↘ 러 씨아↘라이↗>, <음으로 양으로 싸우다. // 옥신각신하다.=明争暗斗。=míngzhēng àndòu.=밍↗쩡 ̄ 안↘또우↘>]
- 어리석은
사람1, 개새끼[아이를 욕하는 말], 요놈 새끼, 강아지
小狗 xiǎogǒu 샤오V
꼬우V
- 어리석은
사람2, 개새끼[아이를 욕하는 말], 요놈 새끼, 강아지
小狗儿 xiǎogǒur 샤오V꼴V
- 어리석은
사람3, 개새끼[아이를 욕하는 말], 요놈 새끼, 강아지
小狗子 xiǎogǒuzi 샤오V 꼬우V쯔
- 어린
숫양
公羊羔 gōng-yánggāo 꽁 ̄-양↗까오 ̄
- 어린
아들이 마트에 나오다
年幼的儿子走出超市 niányòu de érzi zǒu chū chāoshì 니앤↗요우↘
더 얼↗쯔
쪼우V
추 ̄
차오 ̄쓰↘
- 어린아이1,
아기, 아동, 아이,
자녀, 자식
孩子 háizi 하이↗쯔 [※
<孩子=háizi>는 <아기, 아이, 아동, 어린아이,
자녀, 자식>라는 '명사'이다.
예를 들어 <사내아이=男孩子=nánháizi=난↗하이↗쯔>, <그녀는 자식이 둘 있다.=她有两个孩子。=tā yǒu liǎng ge háizi.=타 ̄ 요우V 량V 거 하이↗쯔>]
- 어린아이,
어린이
小孩子 xiǎoháizi 샤오V하이↗쯔
- 어린아이의 천진함
같은 어른
童真的成人 tóngzhēn de chéngrén 통↗전 ̄ 더 청↗런↗
- 어린아이를 구슬리다, 어르다, 알랑거리다, 아첨하다,
달래다, 감언이설로 환심을 사다, 비위를
맞추다, 말로 속이다, 기만하다
哄 hǒng 홍V [※
<哄=hǒng>은 <달래다, 어르다, 어린아이를 구슬리다, 감언이설로 환심을 사다, 비위를 맞추다, 말로 속이다, 기만하다, 알랑거리다, 아첨하다>라는 동사이다.
예를 들어 <아이가 울자 엄마는 초콜릿을 사서 달래 주었습니다.=孩子哭了,妈妈买巧克力哄她。=háizi kū le,māma mǎi qiǎokèlì hǒng tā=하이↗쯔 쿠 ̄ 러, 마 ̄마 마이V 챠오V커↘리↘ 홍V 타 ̄>]
- 어린이,
어린아이
小孩子 xiǎoháizi 샤오V하이↗쯔
- 어린이의 천진함
童真 tóngzhēn 통↗전 ̄
- 어린
암양
母羊羔 mǔ-yánggāo 무V-양↗까오 ̄
-
어린애를 양자 또는 양녀로 삼다,
안다,
껴안다, 포옹하다, 자식이나 손자를 처음으로 얻다
抱 bào 빠오↘ [※
<抱=bào>는 <안다, 껴안다, 포옹하다, 자식이나 손자를 처음으로 얻다, 어린애를 양자 또는 양녀로 삼다>라는 '동사'이다.
예를 들어 <어머니가 아이를 안고 있습니다.=母亲抱着孩子。=mǔqīn bào zhe háizi.=무V친 ̄ 빠오↘ 저 하이↗쯔>, <듣자니 당신이 손자를 보았다면서요.=听说你抱孙子了。=tīngshuō nǐ bào sūnzi le.=팅 ̄쑤오 ̄ 니V 빠오↘ 쑨 ̄쯔 러>, <그의 딸은 양녀입니다.=他的女儿是抱的。=tā de nǚér shì bào de.=타 ̄ 더 뉘V얼↗ 쓰↘ 빠오↘ 더>]
- 어린애 티가 나다1, 애티, 유치(幼稚)하다,
치기(稚氣), 치기가 있다
稚气 zhìqi 쯔↘치 [※
<유치(幼稚)하다>라는 뜻은 <행동거지가 어른스럽지 못하고 미숙함>을 뜻하는 말이다. 유치원(幼稚園)의 '유치'도 이 한자를 쓴다.
※
<어릴 치(稚); 禾-총13획>]
- 어린애 티가 나다2, 애티, 치기(稚氣), 치기가 있다
孩子气 háiziqì 하이↗즈치↘
- 어린양1
绵羊羔 miányánggāo 미앤↗양↗까오 ̄ [※
참조: 성경 <요한복음 1:29=约翰福音1:29>: <<29 다음 날 그는 예수께서 자기에게 오시는 것을 보고 말했다. “보십시오. 세상의 죄를 없애는 하느님의 ‘어린양’이십니다!=29 第二天,约翰看见耶稣向他走过来,就说:“看,这是上帝的绵羊羔,是除掉世人的罪的!=29 dì èr tiān,yuēhàn kànjiàn yēsū xiàng tā zǒu guòlái,jiù shuō:“kàn,zhè shì shàngdì de miányánggāo,shì chúdiào shìrén de zuì de!=29 띠↘ 얼↘ 티앤 ̄, 위에 ̄한↘ 칸↘찌앤↘ 예 ̄쑤 ̄ 씨앙↘ 타 ̄ 쪼우V 꾸오↘라이↗, 찌우↘ 쑤오 ̄:“칸↘, 쩌↘ 쓰↘ 쌍↘띠↘ 더 미앤↗양↗까오 ̄, 쓰↘ 추↗땨오↘ 쓰↘런↗ 더 쭈이↘ 더!>>]
- 어린양2,
새끼양, 뱃속에 든 양의 새끼
羊羔 yánggāo 양↗까오 ̄
- 어린양3,
새끼양, 천진, 순결, 연약한 사람
羔羊 gāoyáng 까오 ̄양↗
- 어린양4,
새끼양
小羊 xiǎoyáng 샤오V양↗
- 어린애, 아가, 아기,
인형, 갓난 아기
娃娃 wáwa 와↗와 [※
<娃娃=wáwa>는 <아가, 아기, 어린애, 인형, 갓난 아기>라는 뜻의 명사이다.
예를 들어 <아가=小娃娃=xiǎo wáwa=샤오V 와↗와>, <서양 인형=洋娃娃=yáng wáwá=양↗ 와↗와>]
- 어린이1
儿童 értóng 얼↗통↗
- 어린이2,
아동,
갓태어난
幼 yòu 요우↘
- 어린이3, 아동, 키드(kid)
孩童 háitóng 하이↗통↗ [※ 참조:
<키덜트(kidult)>는
<kid=키드=아동>이라는 단어와 <adult=어덜트=성인>이라는 두 단어가 합쳐져서 <어린이나 어른이나 즐길 수 있는 TV 오락 프로, 하는 짓이 어린이 같은 어른>을
의미한다.]
- 어린이 장난, 아희, 아이들의 장난, 중요한 일에 대해서 무책임하고 진지하게 하지 않다
儿戏 érxì 얼↗씨↘ [※
<儿戏érxì>는 <아이들의 장난, 아희, 어린이 장난, 중요한 일에 대해서 무책임하고 진지하게 하지 않는 것>이라는 뜻의 '명사'이다.
예를 들어 <결혼은 아이들의 장난이 아닙니다, 평생을 함께 하기로 약속했으니 상대방에 대한 책임을 져야 합니다.=婚姻不是儿戏,既然承诺了携手一生,就要对对方负责。=hūnyīn bú shì érxì,jìrán chéngnuò le xiéshǒu yìshēng,jiù yào duì duìfāng fùzé.=훈 ̄인 ̄ 부↗ 쓰↘ 얼↗씨↘, 찌↘란↗ 청↗누오↘ 러 시에↗소우V 이↘썽 ̄, 찌우↘ 야오↘ 뚜이↘ 뚜이↘팡 ̄ 푸↘쩌↗>]
- 어머나, 야, 우와, 이거,
세상에, 그것 참!, 허!, 참!
好家伙 hǎojiāhuǒ 하오V찌아 ̄후오V [※
<好家伙=hǎojiāhuǒ>는 놀람이나 칭찬을 나타내는데 <어머나, 세상에, 우와, 그것 참!, 허!, 야, 이거, 참!>이라는
뜻의 '감탄사'이다. <감탄, 놀람, 칭찬> 등을 나타낼 때 내는 소리이다. 회화에서 많이 쓰는 표현으로 공식적인 자리에서는 보통 쓰지 않는다.
예를 들어 <참, 이번에 내려오느라 정말 힘들었습니다.=好家伙,这一趟下来,可真够累的。=hǎojiāhuǒ,zhè yí tàng xiàlái,kě zhēn gòu lèi de.=하오V찌아 ̄후오V, 쩌↘ 이↗ 탕↘ 씨아↘라이↗, 커V 쩐 ̄ 꼬우↘ 레이↘ 더>, <이거, 정말 긴장되네요.=好家伙, 真够紧张的。=hǎojiāhuǒ, zhēn gòu jǐnzhāng de.=하오V찌아 ̄후오V, 쩐 ̄ 꼬우↘ 진V짱 ̄ 더>, <허! 어떻게 이렇게 빨리 하였니.=好家伙, 你们怎么干得这么快呀。=hǎojiāhuǒ, nǐmen zěnme gān dé zhème kuài ya.=하오V찌아 ̄후오V, 니V먼 쩐V머 깐 ̄ 더↗ 쩌↘머 콰이↘ 야>]
- 어머니1,
엄마
妈妈 māma 마 ̄마
- 어머니2
母亲 mŭqīn 무V친 ̄
- 어머니와
자식은 마음이 잘 통한다
母子连心 mǔzǐ lián xīn 무V쯔V
리앤↗
씬 ̄
- 어머니의
날[5월 둘째 주 일요일]
母亲节 mŭqīnjié 무V친 ̄지에↗
- 어물어물하다, 얼버무리다,
깜빡이다, 가물거리다, 번쩍이다, 번뜩거리다, 반짝이다
闪烁 shǎnshuò 산V쑤오↘ [※
<闪烁=shǎnshuò>는 동사로 <반짝이다, 깜빡이다, 가물거리다, 번쩍이다, 번뜩거리다, 어물어물하다, 얼버무리다>라는 뜻이다.
예를 들어 <뭇별들이 반짝이고 있습니다.=繁星闪烁着。=fánxīng shǎnshuò zhe.=판↗씽 ̄ 산V쑤오↘ 저>, <그는 얼버무리며, 긍정적인 답변을 하지 않았습니다.=他闪闪烁烁, 不做肯定的答复。=tā shǎnshǎn shuòshuò, bú zuò kěndìng de dáfù.=타 ̄ 산V산V 쑤오↘쑤오↘, 부↗ 쭈오↘ 컨띵↘ 더 다↗푸↘>]
- 어물쩍하다, 얼버무리다,
아쉬운 대로 참고 견디다, 아쉬운 대로 하다, 그럭저럭 때우다,
대처하다, 대응하다, 대강하다
应付 yìngfu 잉↘푸 [※
<应付=yìngfu>는 <그럭저럭 때우다, 대강하다, 대응하다, 대처하다, 아쉬운 대로 참고 견디다, 아쉬운 대로 하다, 어물쩍하다, 얼버무리다>라는 뜻의 '동사'이다.
예를 들어 <복잡한 국면에 대처하다=应付复杂局面=yìngfu fùzá júmiàn=잉↘푸 푸↘짜↗ 쥐↗미앤↘>, <적당히 하다=应付事儿=yìngfu shìr=잉↘푸 쓸↘>, <이 옷으로 금년은 그럭저럭 지낼 수 있습니다.=这件衣服今年还可以应付得过去。=zhè jiàn yīfu jīnnián hái kěyǐ yìngfu de guòqù.=쩌↘ 찌앤↘ 이 ̄푸 찐 ̄니앤↗ 하이↗ 커V이V 잉↘푸 더 꾸오↘취↘>]
- 어버이날1
父母节 Fùmǔjié 푸↘무V지에↗
- 어버이날2
双亲节 shuāngqīnjié 쑤앙 ̄친 ̄지에↗
- 어색하게 대답하다, 어색하게 말하다, 어색해하다, 작업걸다, 작업하다, 적당히 얼버무리다,
가스라이팅, 거북해하다, 꼬시다, 느릿느릿 걷다[동물이], 데이트 폭력,
멋쩍어하다, 머뭇거리다, 무안해 하다
搭讪 dāshàn 따 ̄싼↘ [※
<가스라이팅(Gas-lighting)>이란, "타인의 심리나 상황을 조작하여 그 사람이 스스로를 의심하게 만듦으로써 자신의 지배력을 강화하는 행위"를 말한다.
상대방의 자주성(自主性)을 교묘히 무너뜨리는 언행을 의미하는 '신조어'이다. 이는 학대적인 관계에서 자주 사용되는 전술이며 피해자에게 심각한 심리적 영향을 미쳐 혼란스럽고 불안하며 자신의 판단을 신뢰할 수 없게 만들 수 있다.
전문적인 용어는 아니며, 일시적인 용어 유행에 힘입어 '세뇌'라는 기존의 용어를 대체하기에 이르렀으나, 현재는 유행이 사그라들어 본 용어의 사용은 일부 인터넷 커뮤니티를 제외하면 드문 편이다.
※ <때리다, 물건을 싣다, 수레·배·비행기 따위를 타다, 싣다, 치다, 타다, 태우다, 탈 탑(搭); 手-총13획; 남을 해치려고 헐거나 해쳐서 말하다, 부끄러워하다, 비방하다, 윗사람을 비방하다, 헐뜯다, 헐뜯을 산(讪); 言-총5획>]
- 어색하게 말하다, 어색해하다, 어색하게 대답하다, 작업걸다, 작업하다, 적당히 얼버무리다,
가스라이팅, 거북해하다, 꼬시다, 느릿느릿 걷다[동물이], 데이트 폭력,
멋쩍어하다, 머뭇거리다, 무안해 하다
搭讪 dāshàn 따 ̄싼↘ [※
<가스라이팅(Gas-lighting)>이란, "타인의 심리나 상황을 조작하여 그 사람이 스스로를 의심하게 만듦으로써 자신의 지배력을 강화하는 행위"를 말한다.
상대방의 자주성(自主性)을 교묘히 무너뜨리는 언행을 의미하는 '신조어'이다. 이는 학대적인 관계에서 자주 사용되는 전술이며 피해자에게 심각한 심리적 영향을 미쳐 혼란스럽고 불안하며 자신의 판단을 신뢰할 수 없게 만들 수 있다.
전문적인 용어는 아니며, 일시적인 용어 유행에 힘입어 '세뇌'라는 기존의 용어를 대체하기에 이르렀으나, 현재는 유행이 사그라들어 본 용어의 사용은 일부 인터넷 커뮤니티를 제외하면 드문 편이다.
※ <때리다, 물건을 싣다, 수레·배·비행기 따위를 타다, 싣다, 치다, 타다, 태우다, 탈 탑(搭); 手-총13획; 남을 해치려고 헐거나 해쳐서 말하다, 부끄러워하다, 비방하다, 윗사람을 비방하다, 헐뜯다, 헐뜯을 산(讪); 言-총5획>]
- 어색하다1,
어울리지 않다, 부자연스럽다
别扭 bièniu 삐에↘니우
- 어색하다2, 입장이
난처하다, 입장이
곤란하다, 입장
따위가 난처하다,
거북하다,
곤란하다,
곤혹(困惑)스럽다, 기색 또는 태도 등이 부자연스럽다, 난감하다, 난처하다,
당혹스럽다, 부자연스럽다, 쑥스럽다, 쪽팔리다
尴尬 gāngà 깐 ̄까↘ [※
<尴尬=gāngà>는
<거북하다,
곤란하다,
곤혹(困惑)스럽다, 기색 또는 태도 등이 부자연스럽다, 난감하다, 난처하다,
당혹스럽다, 부자연스럽다, 쑥스럽다, 어색하다, 입장
따위가 난처하다,
입장이
곤란하다, 입장이
난처하다, 쪽팔리다>라는 뜻이다.
예들 들어, <거북한 장면=尴尬的场面=gāngà de chǎngmiàn=깐 ̄까↘ 더 창V미앤↘>, <저 사람은 안색이 좀 이상하다.=那人神色有点尴尬。=nà rén shénsè yǒudiǎn gāngà.=나↘ 런↗ 선↗써↘ 요우V띠앤V 깐 ̄까↘>]
- 어색하다3, 어리석다,
우둔하다, 육중하다, 능숙하지 못하다, 둔하고 무겁다, 멍청하다,
무겁다,
미련하다, 서투르다, 서툴다, 투박하다,
힘들다
笨 bèn 뻔↘ [※
<笨=bèn>은 <어리석다, 우둔하다, 멍청하다, 미련하다, 서투르다, 서툴다, 어색하다, 능숙하지 못하다, 둔하고 무겁다, 육중하다, 투박하다,
힘들다, 무겁다>라는 뜻의 '형용사'이다.
예를 들어 <우둔합니다.=愚笨。=yúbèn.=위↗뻔↘>, <말하는 것이 서투릅니다.=拙嘴笨腮。=zhuózuǐ bèn sāi.=주오↗쭈이V 뻔↘ 싸이 ̄>, <이 괭이는 투박하고 무겁습니다.=这把锄头太笨。=zhè bǎ chútóu tài bèn.=쩌↘ 바V 추↗토우↗ 타이↘ 뻔↘>
<거칠
& 조잡할 & 어리석을 & 댓속껍질 분(笨),
대죽(竹) 부수, 총 11획>]
- 어색하다4, 자연스럽지 못하다,
거북하다, 구속하다, 딱딱하다, 속박하다
拘束 jūshù 쮜 ̄쑤↘
- 어색한 장면, 연극의 막간(幕間), 침묵이 흐르는 장면,
난처한 장면, 모임에서 발언하는 사람이 없어서 분위기가 어색하거나 멋쩍거나 침묵이 흐르는 장면,
쑥스러운 장면
冷场 lěngchǎng 렁V창V [※
<冷场=lěngchǎng은 <난처한 장면, 모임에서 발언하는 사람이 없어서 분위기가 어색하거나 멋쩍거나 침묵이 흐르는 장면, 쑥스러운 장면, 어색한 장면, 침묵이 흐르는 장면>이라는 뜻의 '명사'이다.
연극에서 배우가 제때에 등장하지 않거나 대사를 잊어버려 쑥스러운 장면이나 주로 접대하거나 회의를 열 때, 발언하는 사람이 없어서 분위기가 매우 어색함을 가리킨다.
예를 들어 <다들 열렬히 발언하여 침묵이 흐르는 따분한 장면이 조금도 없었습니다.=大家发言很热烈, 一点儿也没有冷场。=dàjiā fāyán hěn rèliè, yìdiǎnr yě méiyǒu lěngchǎng=따↘찌아 ̄ 파 ̄옌↗ 헌V 러↘리에↘, 이↘디알V 예V 메이↗요우V 렁V창V>, <중국의 경극은 처음부터 끝까지 막간이 없습니다.=中国的京戏从始至终没有冷场。=zhōngguó de jīngxì cóng shǐzhìzhōng méiyǒu lěngchǎng=쫑 ̄구오↗ 더 찡 ̄씨↘ 총↗ 스V쯔↘쫑 ̄ 메이↗요우V 렁V창V>, <난처하다=难堪=nánkān=난↗칸 ̄>, <썰렁한 농담=冷笑话=lěngxiàohua=렁V쌰오↘후아>]
- 어색해하다, 어색하게 대답하다, 어색하게 말하다, 작업걸다, 작업하다, 적당히 얼버무리다,
가스라이팅, 거북해하다, 꼬시다, 느릿느릿 걷다[동물이], 데이트 폭력,
멋쩍어하다, 머뭇거리다, 무안해 하다
搭讪 dāshàn 따 ̄싼↘ [※
<가스라이팅(Gas-lighting)>이란, "타인의 심리나 상황을 조작하여 그 사람이 스스로를 의심하게 만듦으로써 자신의 지배력을 강화하는 행위"를 말한다.
상대방의 자주성(自主性)을 교묘히 무너뜨리는 언행을 의미하는 '신조어'이다. 이는 학대적인 관계에서 자주 사용되는 전술이며 피해자에게 심각한 심리적 영향을 미쳐 혼란스럽고 불안하며 자신의 판단을 신뢰할 수 없게 만들 수 있다.
전문적인 용어는 아니며, 일시적인 용어 유행에 힘입어 '세뇌'라는 기존의 용어를 대체하기에 이르렀으나, 현재는 유행이 사그라들어 본 용어의 사용은 일부 인터넷 커뮤니티를 제외하면 드문 편이다.
※ <때리다, 물건을 싣다, 수레·배·비행기 따위를 타다, 싣다, 치다, 타다, 태우다, 탈 탑(搭); 手-총13획; 남을 해치려고 헐거나 해쳐서 말하다, 부끄러워하다, 비방하다, 윗사람을 비방하다, 헐뜯다, 헐뜯을 산(讪); 言-총5획>]
- 어서오십시오!
欢迎光临! huānyíngguānglín 후안 ̄잉↗꾸앙 ̄린↗
- 어선1
渔船 yúchuán 위↗추안↗
- 어선2,
고기잡이배
捕鱼船 bǔyúchuán 뿌V위↗추안↗
- 어세(語勢)를 돕기 위하여 문장의 끝에 사용, 문장의 중간에서 어기(語氣)를 잠시 멈출 때 사용하여 어세를 도와줌,
야!, 아!,
삐걱, 삐거덕
呀 ya 야 [※
<呀=ya>라는 뜻의 <조사>는 성조가 없으면 <어세(語勢)를 돕기 위하여 문장의 끝에 사용하는 어기 조사, 문장의 중간에서 어기(語氣)를 잠시 멈출 때 사용하여 어세를 도와주는 어기 조사>이다. 또한 <呀=yā>는 성조가 1성이면 <아!, 야!>라는 뜻의 '감탄사'이다.
그리고 <삐걱, 삐거덕>이라는 뜻의 '의성어' 및 '의태어'이다.
예를 들어 <조사>로 쓰여 <빨리 와!=快来呀!=kuài lái ya.=콰이↘ 라이↗ 야>, <그 사람이라, 아마 안 될 걸.=他呀, 恐怕不行。=tā ya, kǒngpà bùxíng.=타 ̄ 야, 콩V파↘ 뿌↘싱↗>, <이야기를 하다 하다가 밤을 새웠습니다.=谈呀谈呀, 谈了个通宵。=tán ya tán ya, tán le gè tōngxiāo.=탄↗ 야 탄↗ 야, 탄↗ 러 꺼↘ 통 ̄쌰오 ̄>
<감탄사>로 쓰여 <아! 그가 또 왔나?=呀, 他又来了?=yā, tā yòu lái le?=야 ̄, 타 ̄ 요우↘ 라이↗ 러?>
<의성어 및 의태어>로 쓰여 <문이 삐꺽하고 열렸습니다.=门呀的一声开了。=mén yā de yìshēng kāi le.=먼↗ 야 ̄ 더 이↘썽 ̄ 카이 ̄ 러>]
- 어울리다1
配 pèi 페이↘
- 어울리다2,
조화롭다
协调 xiétiáo 시에↗탸오↗
- 어울리다3,
우연히 맞아 떨어지다,
우연히 서로 합치되다,
알맞다, 적절하다, 적합하다
适合 shìhé 쓰↘허↗
- 어울리지
않다1, 부자연스럽다, 어색하다
别扭 bièniu 삐에↘니우
- 어울리지 않다2, 어긋나다, 엉뚱하다, 연관성을 잃다, 조화가
안 되다, 짜개지다, 탈구(脫臼)하다,
서로
맞지 않다, 관절이 빠지다, 갈라지다,
동떨어지다, 빠지다, 삐다
脱节 tuōjié 투오 ̄지에↗ [※
<脱节=tuōjié>는 <서로 맞지 않다, 조화가 안 되다, 탈구(脫臼)하다, 관절이 빠지다, 삐다, 연관성을 잃다, 어울리지 않다, 엉뚱하다, 동떨어지다, 어긋나다, 갈라지다, 짜개지다, 빠지다>라는 동사이다.
예를 들어 <이 작가가 쓴 소설은 내용이 좀 동떨어져 있습니다.=这位作者写的小说,内容有点脱节了。=zhè wèi zuòzhe xiě de xiǎoshuō,nèiróng yǒudiǎn tuōjié le.=쩌↘ 웨이↘ 쭈오↘저 시에V 더 샤오V쑤오 ̄, 네이↘롱↗ 요우V디앤V 투오 ̄지에↗ 러>]
- 어이1,
이봐
喂 wèi 웨이↘
- 어이2, 여보시오[주의 환기],
허![놀라움이나
경탄]
嘿
hēi 헤이 ̄
- 어이가
없다, 엉터리이다, 터무니없다, 황당무계하다, 황당하다
荒谬 huāngmiù 후앙 ̄미우↘ [※
<荒谬=huāngmiù>는 <어이가 없다, 엉터리이다, 터무니없다, 황당무계하다, 황당하다>라는 뜻의 '형용사'이다.
예를 들어 <황당무계하기 짝이 없습니다.=荒谬透顶。=huāngmiù tòudǐng.=후앙 ̄미우↘ 토우↘띵V>]
- 어제
昨天 zuótiān 쭈오↗티앤 ̄
- 어지럽다1
乱 luàn 루안↘
- 어지럽다2,
어찔어찔하다, 아찔아찔하다,
기절하다, 까무러치다, 현기증이 나다, 멀미하다,
무리, 부분
晕 yūn 윈 ̄ [※
<晕=yūn>은 1-<어지럽다, 어찔어찔하다, 아찔아찔하다>라는 뜻의 '형용사'이다.
또한 2-<기절하다, 까무러치다, 현기증이 나다, 멀미하다>라는 뜻의 '동사'이다.
그리고 태양이나 달 둘레에 생기는 3-<무리>라는 뜻의 '명사'이다.
또한 종기의 주위에 염증이 나서 붉어진 4-<부분>이라는 뜻의 '명사'이다.
예를 들어 <머리가 어지럽다.=头晕。=tóuyūn.=토우↗윈 ̄>, <햇무리.=日晕。=rìyùn.=르↘윈↘>, <타박(打撲)에 의한 피하 출혈.=血晕。=xuèyùn.=쉬에↘윈↘>]
- 어지럽히다, 타다, 혼잡하게 하다, 혼합시키다, 혼합하다,
뒤섞다, 섞이다, 섞다, 섞이게 하다
掺杂 chānzá 찬 ̄짜↗ [※
<掺杂=chānzá>는 <뒤섞다, 섞다, 섞이게 하다, 섞이다, 어지럽히다, 타다, 혼잡하게 하다, 혼합시키다, 혼합하다>라는 뜻의 ‘동사’이다.
예를 들어 <참말과 거짓말을 한데 섞다=把真话假话掺杂在一起=bǎ zhēnhuà jiǎhuà chānzá zài yìqǐ=바V 쩐 ̄후아↘ 지아V후아↘ 찬 ̄짜↗ 짜이↘ 이↘치V>
※ <가늘 섬(掺); 手-총11획; 뒤섞이다, 만나게 하다, 만나다, 섞다, 섞이다, 얼룩, 장황하고 번거롭다, 흩어지다, 섞일 잡(杂=雜); 木-총6획>]
- 어진 사람은 어진 점을 보고 지혜로운 사람은 지혜로운 점을 본다1, 입장이
다르면 의견도 다르다, 사람에 따라 견해 또는 보는 각도가 다르다
见仁见智 jiànrénjiànzhì 찌앤↘런↗찌앤↘쯔↘ [※
<见仁见智=jiànrénjiànzhì>는 <입장이 다르면 의견도 다르다, 어진 사람은 어진 점을 보고 지혜로운 사람은 지혜로운 점을 본다, 사람에 따라 견해 또는 보는 각도가 다르다>라는 뜻의 '성어'로, 동일한 문제에 대해서 각자의 생각과 의견이 있음을 뜻한다.
비슷한 말로 <仁者见仁, 智者见智=rénzhějiànrén, zhìzhějiànzhì=런↗저V찌앤↘런↗,
쯔↘저V찌앤↘쯔↘>라고도 말할 수 있다.
예를 들어 <A: 왜 나는 이 영화가 재미없다고 생각하는데 그는 재미있다고 생각합니까?=为什么我觉得这部电影没劲透了,他却觉得很有意思呢?=wèishénme wǒ juéde zhè bù diànyǐng méijìn tòu le,tā què juéde hěn yǒu yìsi ne?=웨이↘선↗머 워V 쥐에↗더 쩌↘ 뿌↘ 띠앤↘잉V 메이↗찐↘ 토우↘ 러, 타 ̄ 취에↘ 쥐에↗더 헌V 요우V 이↘쓰?
B: 이것을 서로 다른 의견이라고 합니다.=这就叫见仁见智。=zhè jiù jiào jiànrénjiànzhì.=쩌↘ 찌우↘ 쨔오↘ 찌앤↘런↗찌앤↘쯔↘>
<이건 어디까지나 의견의 문제이고, 서로 다른 의견을 갖는 것이 정상입니다.=这是一个见仁见智的问题,有不同的看法很正常。=zhè shì yíge jiànrénjiànzhì de wèntí,yǒu bùtóng de kànfǎ hěn zhèngcháng.=쩌↘ 쓰↘ 이↗거 찌앤↘런↗찌앤↘쯔↘ 더 원↘티↗, 요우V 뿌↘통↗ 더 칸↘파V 헌V 쩡↘창↗>]
- 어진 사람은 어진 점을 보고 지혜로운 사람은 지혜로운 점을 본다2, 입장이
다르면 의견도 다르다, 사람에 따라 견해 또는 보는 각도가 다르다
仁者见仁, 智者见智 rénzhějiànrén, zhìzhějiànzhì 런↗저V찌앤↘런↗,
쯔↘저V찌앤↘쯔↘
- 어질고
총명하다[여자가]
贤惠 xiánhuì 시앤↗후이↘
- 어째서, 왜[상황·방식·원인 따위를 물음],
아무리 ~해도[조건문에 쓰여 임의의 동작이나 속성·상황 따위를 나타냄],
어떤, 어떻게 ~해도,
어떻게, 무슨[명사 앞에 놓이는 경우로, 명사와의 사이에 그 명사에 대한 양사를 필요로 함]
怎么 zěnme 쩐V머
- 어쨌든1,
어떻게 해서든지, 어찌 되었든 관계없이
无论如何 wúlùn rúhé 우↗룬↘
루↗허↗
- 어쨌든2,
아무튼, 어차피, 결국
反正 fǎnzheng 판V정 [※
<反正=fǎnzheng=판V정>은 뒤에 오는 단어 <zheng=정>이 경성일 때, '부사'로 쓰여 <결국, 어차피, 어쨌든, 아무튼>이라는 뜻을 가지고 있다. 단호하고 확실한 어기에 쓰이며, 상황은 비록 다르지만 결과는 같다는 것을 나타낸다.
예를 들어 <어차피 가든 안가든 마찬가지입니다.=反正去不去都是一样的。=fǎnzheng qù bú qù dōu shì yíyàng de.=판V정 취↘ 부↗ 취↘ 또우 ̄ 쓰↘ 이↗양↘ 더>,
<조급해 하지 마세요, 어쨌든 아무 일도 아닙니다.=你别着急,反正不是什么事。=nǐ bié zháojí,fǎnzheng bú shì shénme shì.=니V 비에↗ 자오↗지↗, 판V정 부↗ 쓰↘ 선↗머 쓰↘>
<反正=fǎnzheng=판V정>은
성조가 경성이면 <어쨌든, 아무튼, 결국, 어차피>의 뜻이 되고 <反正=fǎnzhèng=판V쩡↘>
성조가 4성이면 <투항해 오다, 귀순하다[적의 군대 또는 사람이], 정상적인 상태로
돌아오다>가 된다.]
- 어쨌든3,
결국, 전부의, 총괄하다, 모으다, 묶다, 합치다
总 zǒng 쫑V
- 어쨌든4,
아무튼, 요컨대, 결국, 총괄적으로
말해서, 하여간, 한마디로 말하면
总之 zǒngzhī 쫑V쯔 ̄
- 어쨌든
이것도......
不管怎么说,
这也是...... bùguǎn
zěnme shuō, zhè yě shì....... 뿌↘꾸안V
쩐V머
쑤오 ̄, 쩌↘ 예V
쓰↘....... [※
<不管怎么说,这也是>는
사정이나 상황이 어떻든지 간에 결과가 변하지 않음을 나타낸다.]
- 어쩌다 마주치다, 우연히 만나다, 충돌하다,
시험해 보다, 서로 맞닥뜨리다, 부딪치다, 부딪쳐 보다, 마주치다, 만나다, 뜻하지 않게 만나다
撞 zhuàng 쭈앙↘ [※
<撞=zhuàng>은 <뜻하지 않게 만나다, 마주치다, 만나다, 부딪쳐 보다, 부딪치다, 서로 맞닥뜨리다, 시험해 보다, 어쩌다 마주치다, 우연히 만나다, 충돌하다>라는 뜻의 동사이다.
예를 들어 <종을 치다=撞钟=zhuàng zhōng=쭈앙↘ 쫑 ̄>, <그를 만나고 싶지 않았는데 공교롭게도 마주쳤습니다.=我不想见他, 偏撞上他了。=wǒ bù xiǎng jiàn tā, piān zhuàng shàng tā le.=워V 뿌↘ 시앙V 찌앤↘ 타 ̄, 피앤 ̄ 쭈앙↘ 쌍↘ 타 ̄ 러>, <운(運)을 시험해 보다 // 되든 안 되든 부딪쳐 보다=撞运气=zhuàng yùnqì=쭈앙↘ 윈↘치↘>
※ <두드리다, 부딪치다, 쳐서 찌르다, 치다, 칠 당(撞); 手부-총15획>]
- 어쩌면1,
아마도, 아마,
혹시
也许 yěxǔ 예V쉬V [※
<也许=yěxǔ>는 <아마, 아마도, 어쩌면 혹시>라는 뜻의 '부사'이다.
예를 들어 <그럴지도 모른다=也许是吧=yěxǔ shì ba=예V쉬V 쓰↘ 바>]
- 어쩌면2, 아마, 혹시
或许 huòxǔ 후오↘쉬V [※
<或许=huòxǔ>는 <아마, 어쩌면, 혹시>라는 뜻의 '부사'이다.
예를 들어 <그가 오지 않았는데 혹시 병이 났는지도 모릅니다.=他没来, 或许是病了。=tā méi lái, huòxǔ shì bìng le.=타 ̄ 메이↗ 라이↗ 후오↘쉬V 쓰↘ 삥↘ 러>]
- 어쩌면3,
아마도, 아마
~일지도 모른다, 아마
~일 것이다, ~일지도
모른다, 짐작하건대 ~일 것이다,
짐작컨대 ~일 것이다, ~할
가능성이 있다, 확실하게
말할 수 없다, 단언하기가 어렵다, 단언하기는 어렵다
说不定
shuō bu dìng 쑤오 ̄
부
띵↘ [※
<说不定=shuō
bu dìng>은 '부사'로 <~일지도 모른다, ~할 가능성이 있다,
아마 ~일지도 모른다,
아마도,
어쩌면, 아마 ~일 것이다, 짐작컨대 ~일 것이다, 짐작하건대 ~일 것이다>라는 뜻이다.
'동사'로 <확실하게 말할 수 없다, 단언하기가 어렵다,
단언하기는 어렵다>라는
뜻이다.
예측을
나타내며 가능성이 클 때 쓴다. 주어의 앞과 뒤 모두 쓰일 수
있다. 일종의
추측을 의미하며 <그럴 가능성이 크다>라는 어감을 갖고
있다. 주어 앞뒤에 다 위치할 수 있지만, 일반적으로 주어 앞에
위치한다.
예를 들어 <아마
스트레스가 풀릴지도 몰라요.=说不定能放松。=shuōbudìng
néng fàngsōng.=쑤오 ̄
부
띵↘
넝↗
팡↘쏭 ̄>,
<도대체, 회의에 참석할 수 있을지 현재
아직 확실하지 않습니다.=到底能不能参加会议,现在还说不定。=dàodǐ néng bù néng cānjiā huìyì,xiànzài hái shuō bu dìng.=따오↘디V 넝↗ 뿌↘ 넝↗ 찬 ̄찌아 ̄ 후이↘이↘, 씨앤↘짜이↘ 하이↗ 쑤오 ̄ 부 띵↘>,
<그는 아마 오지 않을 것입니다. 당신이 더 이상 출발하지 않으면 아마도 비행기를 놓칠지도 모릅니다.=他说不定不来了。
你再不出发,说不定就赶不上飞机了。=tā shuō bu dìng bù lái le。nǐ zài bù chūfā,shuō bu dìng jiù gǎn bú shàng fēijī le.=타 ̄ 쑤오 ̄ 부 띵↘ 뿌↘ 라이↗ 러. 니V 짜이↘ 뿌↘ 추 ̄파 ̄, 쑤오 ̄ 부 띵↘ 찌우↘ 깐V 부↗ 쌍↘ 페이 ̄찌 ̄ 러>]
- 어쩐지1,
과연
难怪 nánguài 난↗꽈이↘ [※
예를 들어 <어쩐지 그가 오늘 이렇게 기뻐하더라니, 알고 보니 그가 원하는 대학에 합격했군요.=难怪他今天这么高兴,原来他考上了理想的大学。=nánguài tā jīntiān zhème gāoxìng, yuánlái tā kǎoshàng le lǐxiǎng de dàxué.=난↗꽈이↘ 타 ̄ 찐 ̄티앤 ̄ 쩌↘머 까오 ̄씽↘, 위앤↗라이↗ 타 ̄ 카오V쌍↘ 러 리V씨앙V 더 따↘쉬에↗>]
- 어쩐지2,
과연, 책망할 수 없다, 그러기에, 탓할 수 없다
怪不得 guàibude 꽈이↘뿌더 [※
<怪不得=guàibude>는 <어쩐지, 과연, 그러기에, 책망할 수 없다, 탓할 수 없다>라는 뜻을 가진 '부사'이다. 상황에 대한 원인과 이유를 알게 되어 더 이상 의아하게 여기지 않음을 나타낸다. <怪不得> 뒤에는 결과에 해당하는 내용을 쓰며, 동의어로는 <难怪=nánguài>가 있다.
예를 들어 <공무원은 안정적이고 급여도 낮지 않으니, 어쩐지 모두가 시험에 신청하는군요!=公务员又稳定,工资又不底,怪不得人人都报名参加考试呢!=gōngwùyuán yòu wěndìng,gōngzī yòu bù dǐ,guàibude rénrén dōu bàomíng cānjiā kǎoshì ne!=꽁 ̄우↘위앤↗ 요우↘ 원V띵↘, 꽁 ̄쯔 ̄ 요우↘ 뿌↘ 디V, 꽈이↘뿌더 런↗런↗ 또우 ̄ 빠오↘밍↗ 찬 ̄찌아 ̄ 카오V쓰↘ 너>, <이 식당의 불고기는 맛이 정말 좋네요, 어쩐지 올 때마다 줄을 서서 기다려야 하는군요!=这家饭馆的烤肉味道真不错,怪不得每次来都得排队位呢!=zhèjiā fànguǎn de kǎoròu wèidào zhēn búcuò,guàibude měicì lái dōu děi páiduì wèi ne!=쩌↘찌아 팡↘꾸안V 더 카오V로우↘ 웨이↘따오↘ 쩐 ̄ 부↗추오↘, 꽈이↘뿌더 메이V츠↘ 라이↗ 또우 ̄ 데이V 파이↗뚜이↘ 웨이↘ 너>]
- 어쩔 도리가 없다,
문제를 만나면 마치 손을 묶은 것 같이 어떤 방법도 없다, 속수무책이다
束手无策 shù shǒu wú cè 쑤↘ 소우V 우↗ 처↘ [※
<束手无策=shù shǒu wú cè>는 <문제를 만나면 마치 손을 묶은 것 같이 어떤 방법도 없다, 속수무책이다, 어쩔 도리가 없다>는 뜻의 ‘성어’이다.
예를 들어 <이 병은 불치병이라 모든 의사들이 속수무책입니다.=这种病是绝症,所有的大夫都束手无策。=zhèzhǒng bìng shì juézhèng,suǒyǒu de dàifu dōu shù shǒu wú cè.=쩌↘종V 빙↘ 쓰↘ 쥐에↗쩡↘, 쑤오V요우V 더 따이↘푸 또우 ̄ 쑤↘ 소우V 우↗ 처↘>
유의어: <무능해서 아무 일도 못하다 // 일을 추진시킬 힘이 없다 // 힘을 제대로 쓰지 못하다 // 능력이 없다=无能为力=wú néng wéi lì=우↗ 넝↗ 웨이↗ 리↘>
반의어: <다급한 가운데 좋은 생각이 떠오르다=急中生智=jí zhōng shēng zhì=지↗ 쫑 ̄ 썽 ̄ 쯔↘>]
- 어쩔 바를 몰라 하다, 두려워하다, 당황해 하다, 불안해하다, 무서워하다,
덤비다, 당혹스럽다, 당황하다, 허둥대다, 갈팡질팡하다
慌 huāng 후앙 ̄ [※
<慌=huāng>은 1-<당황하다, 당혹스럽다, 덤비다, 허둥대다, 갈팡질팡하다>라는 뜻의 '형용사'이다.
또한 2-<당황해 하다, 어쩔 바를 몰라 하다, 불안해하다, 두려워하다, 무서워하다>라는 뜻의 '동사'이다.
<동사+得慌=dé huāng>의 형태로 쓰여, <못
견디게 ~하다>라는 뜻으로 육체적·심리적으로 견딜 수 없음을 나타내는 '정도보어'로 쓰인다.]
- 어쩔 수 없다1,
에이, 망했다, 끝났다, 할 수 없다, 끝장이다, 글렀구나,
그만두다, 개의하지 않다, 됐다, 어쩔 수 없다,
됐어 됐어 뭘,
됐다, 단지
~일 뿐이다
罢了 bà le 빠↘
러 [※
<罢了=bà le>는 '조사'로서 서술문의 끝에 쓰여 1-<단지
~일 뿐이다>의 뜻을 나타낸다. 보통 <不过, 无非, 只是>등과 앞뒤에서 호응한다.
또한 '감탄사'로 2-<에이, 할 수 없다,
어쩔 수 없다, 망했다, 끝났다>라는 뜻으로 불만의 어기를 나타낸다.
그리고 뒷 부분이 <liǎo>로 바뀌면 3-<그만두다, 개의하지 않다, 됐다, 어쩔 수 없다>라는 뜻의
'동사'로 용인하여 따지지 않는 뜻을 나타낸다.
또한 4-<끝장이다, 글렀구나>라는 뜻으로 위험에서 벗어나지 못할 때 쓰인다.
아울러 '조사'로서 5-<됐다, 됐어 됐어 뭘>이라는 뜻으로 긍정 또는 허락의 뜻을 나타낸다.
예를 들어 1-<이것은 별것 아니다, 단지 내가 마땅히 해야 할 일을 했을 뿐이다.=这有什么, 我不过做了我应该做的事罢了。=zhè yǒu shénme, wǒ búguò zuò le wǒ yīnggāi zuò de shì bà le.=쩌↘ 요우V 선↗머, 워V 부↗꾸오↘ 쭈오↘ 러 워V 잉 ̄까이 ̄ 쭈오↘ 더 쓰↘ 빠↘ 러>, 2-<에라, 할 수 없지, 내가 항복할 수밖에!=罢了, 我只好认输吧!=bà le, wǒ zhǐhǎo rènshū ba!=빠↘ 러, 워V 즈V하오V 런↘쑤 ̄ 바!>, 3-<그가 승낙하지 않은 것은 그렇다 치자, 편지 한 통도 없다니.=他不肯也罢了, 连个回信也不给。=tā bùkěn yě bà le, lián gè huíxìn yě bù gěi.=타 ̄ 뿌↘컨V 예V 빠↘ 러, 리앤↗ 꺼↘ 후이↗씬↘ 예V 뿌↘ 게이V>, 4-<아! 나는 이번엔 죽었구나.=阿呀! 我今番罢了。=āya! wǒ jīnfān bà liǎo.=아 ̄야! 워V 찐 ̄판 ̄ 빠↘ 랴오V>, 5-<너는 돌아가도 된다.=你回去罢了。=nǐ huíqù bà liǎo.=니V 후이↗취↘ 빠↘ 랴오V>]
- 어쩔 수 없다2, ~을 면할 수 없다, 아무래도, 아무래도 ~이다, 좀 ~하다,
꼭 ~하다, 불가피하게 ~하다
未免 wèimiǎn 웨이↘미앤V [※
<未免=wèimiǎn>은 <꼭 ~하다, 불가피하게 ~하다, 아무래도, 아무래도 ~이다, 어쩔 수 없다, ~을 면할 수 없다, 좀 ~하다>라는 뜻의 '부사'이다.
예를 들어 <아무래도 너는 걱정이 좀 지나친 것 같습니다.=你的顾虑未免多了些。=nǐ de gùlǜ wèimiǎn duō le xiē.=니V 더 꾸↘뤼↘ 웨이↘미앤V 뚜오 ̄ 러 씨에 ̄>, <두 사람은 성미가 나빠서 싸움을 할 수 밖에 없습니다.=两人脾气都不好, 未免就要争吵。=liǎng rén píqì dōu bù hǎo, wèimiǎn jiù yào zhēngchǎo.=리앙V 런↗ 피↗치↘ 또우 ̄ 뿌↘ 하오V, 웨이↘미앤V 찌우↘ 야오↘ 쩡 ̄차오V>]
- 어쩔
수 없이1, 그렇지만, 그러나, 유감스럽게도, 공교롭게도
无奈 wúnài 우↗나이↘
- 어쩔
수 없이2, 부득이
只好 zhǐhǎo 즈V하오V
- 어쩔
수 없이3, 반드시 해야 한다, ~하지 않으면 안 된다
不得不 bùdébù 뿌↘더↗뿌↘ [※
<不得不=bùdébù>는 <어쩔 수 없이, 반드시 해야 한다, ~하지 않으면 안 된다>라는 뜻의 '부사'이다.
예를 들어 <빨리 돌아가지 않으면 안 됩니다.=不得不早回去。=bùdébù zǎo huíqù.=뿌↘더↗뿌↘ 짜오V 후이↗취↘>, <당신은 탄복하지 않을 수가 없군요.=我不得不佩服你。=wǒ bùdébú pèifú nǐ.=워V 뿌↘더↗뿌↘
페이↘푸↗ 니V>]
- 어쩔
수 없이 하다, 억지로
하다, 염치 불고하고, 체면 가리지 않고, 뻔뻔스럽게,
부득이하게
억지로, 무리하게
일하다, 무리하다,
마지못해
하다, 마지못해,
단단한 머리가죽,
낯가죽
두껍게, 눈
딱 감고, 할 수 없이
硬着头皮 yìngzhe tóupí 잉↘저 토우↗피↗ [※
<硬着头皮=yìngzhe tóupí>는 <단단한 머리가죽>이라는 뜻의 '성어'로, <낯가죽 두껍게, 눈 딱 감고, 단단한 머리가죽,
마지못해,
마지못해 하다, 무리하게 일하다, 무리하다, 부득이하게
억지로, 뻔뻔스럽게, 어쩔 수 없이 하다, 억지로
하다, 염치 불고하고, 체면 가리지 않고, 할 수 없이>라는 의미로 쓰인다. 자신이 하기 싫은 일을 어쩔 수 없이 해야 하는 것을 가리킨다.
예를 들어 <그녀는 남자친구의 가족을 만나는 것을 매우 두려워하지만, 남자친구를 위해 억지로 그의 집에 방문합니다.=她很怕见男朋友的家人,但是为了男友,还是硬着头皮去他家做客。=tā hěn pà jiàn nánpéngyou de jiārén,dànshì wèile nányǒu,hái shì yìng zhe tóupí qù tā
jiā zuòkè.=타 ̄
헌V
파↘
찌앤↘
난↗펑↗요우
더 찌아 ̄런↗,
딴↘쓰↘
웨이↘러
난↗요우V,
하이↗
쓰↘
잉↘
저 토우↗피↗ 취↘
타 ̄
찌아 ̄
쭈오↘커↘>,
<그는 공부를 싫어해서 매일 억지로 학교에 가서 수업을 합니다.=他不爱学习,每天都是硬着头皮去学校上课。=tā bú ài xuéxí,měitiān dōu shì yìng zhe tóupí qù xuéxiào shàngkè.=타 ̄
부↗
아이↘
쉬에↗시↗,
메이V티앤 ̄
또우 ̄
쓰↘
잉↘
저 토우↗피↗ 취↘
쉬에↗쌰오↘
쌍↘커↘>]
- 어찌
~의 생각을 하다1, 어떻게 ~할 생각을 하다
怎么提起 ~来了 zěnme tíqǐ ~lái le 쩐V머
티↗치V
~라이↗
러
- 어찌
~의 생각을 하다2, 어떻게 ~할 생각을 하다
怎么想起 ~来了 zěnme xiǎngqǐ ~lái le 쩐V머
시앙V치V
~라이↗
러 [※ <怎么想起 ~来了=zěnme xiǎngqǐ ~lái le>는 의혹이나 놀람을 나타내어, <어떻게 ~할 생각을 하다, 어찌 ~의 생각을 하다>라는 뜻이다. 생각지도 못한 일이 갑자기 생각해 낸 것을 말한다. <怎么提起 ~来了=zěnme tíqǐ ~lái le>로도 말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그가 죽은 지 그렇게 여러 해가 되었는데, 당신은 왜 그를 생각합니까?=他都死了那么多年了,你怎么想起他来了?=tā dōu sǐ le nàme duōnián le,nǐ zěnme xiǎngqǐ tā lái le?=타 ̄ 또우 ̄ 쓰V 러 나↘머 뚜오 ̄니앤↗ 러, 니V 쩐V머
시앙V치V 타 ̄
라이↗ 러?>, <오늘 왜 공원에 갈 생각을 했어?=你今天怎么想起去公园来了?=nǐ jīntiān zěnme xiǎngqǐ qù gōngyuán lái le?=니V 찐 ̄티앤 ̄ 쩐V머
시앙V치V 취↘ 꽁 ̄위앤↗ 라이↗ 러?>]
- 어찌 ~이 아닌가1, 정말 ~이 아닌가,
그렇고 말고요, 그렇다, 그래도 ~은 아니다, 그러나 ~은 아니다
可不 kě bù 커V 뿌↘
- 어찌 ~이 아닌가2, 정말 ~이 아닌가,
그렇고 말고요, 그렇다, 그래도 ~은 아니다, 그러나 ~은 아니다
可不是 kěbushì 커V부쓰↘ [※ <可不是=kěbushì>는 <그래도 ~은 아니다, 그러나 ~은 아니다, 그렇다, 그렇고 말고요, 어찌 ~이 아닌가, 정말 ~이 아닌가>라는 뜻이다.
예를 들어 <그러나 이것은 내가 해낸 생각은 아니다=这可不是我出的主意=zhè kěbushì wǒ chū de zhǔyì.=쩌↘ 커V부쓰↘ 워V 추 ̄ 더 주V이↘>, <내가 다시 한 번 자세히 보니, 글쎄 정말 그가 아니겠습니까=我再一细看, 可不是他吗=wǒ zài yí xìkàn, kěbushì tā ma.=워V 짜이↘ 이↗ 씨↘칸↘, 커V부쓰↘ 타 ̄ 마>]
- 어찌 기쁘지 않겠는가
不亦乐乎 bú yì lè hū 부↗ 이↘ 러↘ 후 ̄
- 어찌
되었든 관계없이, 어떻게 해서든지, 어쨌든
无论如何 wúlùn rúhé 우↗룬↘
루↗허↗
- 어찌
된 일인지 모르겠다
不知怎么搞的 bù
zhī zěnme gǎo de 뿌↘
쯔 ̄ 쩐V머
까오V
더
- 어찌
할 도리가 없다
无可奈何
wúkěnàihé 우↗커V나이↘허↗
- 어찔어찔하다, 아찔아찔하다,
어지럽다,
기절하다, 까무러치다, 현기증이 나다, 멀미하다,
무리, 부분
晕 yūn 윈 ̄ [※
<晕=yūn>은 1-<어지럽다, 어찔어찔하다, 아찔아찔하다>라는 뜻의 '형용사'이다.
또한 2-<기절하다, 까무러치다, 현기증이 나다, 멀미하다>라는 뜻의 '동사'이다.
그리고 태양이나 달 둘레에 생기는 3-<무리>라는 뜻의 '명사'이다.
또한 종기의 주위에 염증이 나서 붉어진 4-<부분>이라는 뜻의 '명사'이다.
예를 들어 <머리가 어지럽다.=头晕。=tóuyūn.=토우↗윈 ̄>, <햇무리.=日晕。=rìyùn.=르↘윈↘>, <타박(打撲)에 의한 피하 출혈.=血晕。=xuèyùn.=쉬에↘윈↘>]
- 어차피,
어쨌든,
아무튼, 결국
反正 fǎnzheng 판V정 [※
<反正=fǎnzheng=판V정>은 뒤에 오는 단어 <zheng=정>이 경성일 때, '부사'로 쓰여 <결국, 어차피, 어쨌든, 아무튼>이라는 뜻을 가지고 있다. 단호하고 확실한 어기에 쓰이며, 상황은 비록 다르지만 결과는 같다는 것을 나타낸다.
예를 들어 <어차피 가든 안가든 마찬가지입니다.=反正去不去都是一样的。=fǎnzheng qù bú qù dōu shì yíyàng de.=판V정 취↘ 부↗ 취↘ 또우 ̄ 쓰↘ 이↗양↘ 더>,
<조급해 하지 마세요, 어쨌든 아무 일도 아닙니다.=你别着急,反正不是什么事。=nǐ bié zháojí,fǎnzheng bú shì shénme shì.=니V 비에↗ 자오↗지↗, 판V정 부↗ 쓰↘ 선↗머 쓰↘>
<反正=fǎnzheng=판V정>은
성조가 경성이면 <어쨌든, 아무튼, 결국, 어차피>의 뜻이 되고 <反正=fǎnzhèng=판V쩡↘>
성조가 4성이면 <투항해 오다, 귀순하다[적의 군대 또는 사람이], 정상적인 상태로
돌아오다>가 된다.]
- 억
亿 yì 이↘
- 억누르다[감정이나 기분을], 억제하다, ~에 따라서, 제쳐놓다,
누르다[손이나 손가락으로], 눌러 놓다
按 àn 안↘ [※
<누르다, 당기다, 막다, 쓰다듬다, 어루만지다, 억누르다, 누를 안(按) & 막을 알(按); 手-총9획>]
- 억양,
말투
口音 kǒuyīn 코우V인 ̄
- 억울하게 하다1, 억울한 일을 당하게 하다, 섭섭하게 하다,
억울하다,
괴롭다, 불평 불만, 억울함
委屈 wěiqu 웨이V취 [※
<委屈=wěiqu>는 <괴롭다,
억울하다[부당한 지적이나 대우를 받아]>라는 뜻의 '형용사'이다.
그리고 <섭섭하게 하다억울하게 하다, 억울한 일을 당하게 하다>라는 뜻의 '동사'이다.
또한 <불평 불만, 억울함>이란 뜻의 '명사'이다.
예를 들어 <이건 정말 너무 억울합니다.=这真是太委屈了。=zhè zhēnshì tài wěiqu le.=쩌↘ 쩐 ̄쓰↘ 타이↘ 웨이V취 러>, <욕을 보게[섭섭하게]하여 미안합니다=对不起, 委屈你了=duìbuqǐ, wěiqu nǐ le.=뚜이↘부치V, 웨이V취 니V 러>, <억울함을 당하다 // 억울하게 되다=受委屈=shòu wěiqu=쏘우↘ 웨이V취>]
- 억울하게 하다2, 억울한 누명을 씌우다,
억울하다, 헛되다, 가치가 없다, 분하다, 무고한 죄를 입어 억울하다, 쓸데없다
冤枉 yuānwang 위앤 ̄왕 [※
<冤枉=yuānwang>은 <가치가 없다, 분하다, 무고한 죄를 입어 억울하다, 쓸데없다, 억울하다, 헛되다>라는 뜻의 '형용사'이다.
그리고 <억울하게 하다, 억울한 누명을 씌우다>라는 뜻의 '동사'이다.
예를 들어 <그가 나를 욕하는데 정말 억울합니다!=他骂我真冤枉!=tā mà wǒ zhēn yuānwang!=타 ̄ 마↘ 워V 쩐 ̄ 위앤 ̄왕!>, <이 돈은 정말 헛되이 썼습니다.=这个钱花得真冤枉!=zhège qián huā de zhēn yuānwang!=쩌↘거 치앤↗ 후아 ̄ 더 쩐 ̄ 위앤 ̄왕>, <남에게 억울한 누명을 씌우다=冤枉别人=yuānwang biéren=위앤 ̄왕 비에↗런>
※ <구부리다, 굽다, 무실(無實)의 죄, 불평, 원한, 원통할 원(冤); 冖-총10획; 굽다, 굽히다, 사곡(邪曲)한 왕, 굽을 왕(枉); 木-총8획>]
- 억울하다1,
괴롭다, 섭섭하게 하다,
억울하게 하다, 억울한 일을 당하게 하다, 불평 불만, 억울함
委屈 wěiqu 웨이V취 [※
<委屈=wěiqu>는 <괴롭다,
억울하다[부당한 지적이나 대우를 받아]>라는 뜻의 '형용사'이다.
그리고 <섭섭하게 하다억울하게 하다, 억울한 일을 당하게 하다>라는 뜻의 '동사'이다.
또한 <불평 불만, 억울함>이란 뜻의 '명사'이다.
예를 들어 <이건 정말 너무 억울합니다.=这真是太委屈了。=zhè zhēnshì tài wěiqu le.=쩌↘ 쩐 ̄쓰↘ 타이↘ 웨이V취 러>, <욕을 보게[섭섭하게]하여 미안합니다=对不起, 委屈你了=duìbuqǐ, wěiqu nǐ le.=뚜이↘부치V, 웨이V취 니V 러>, <억울함을 당하다 // 억울하게 되다=受委屈=shòu wěiqu=쏘우↘ 웨이V취>]
- 억울하다2, 헛되다, 가치가 없다, 분하다, 무고한 죄를 입어 억울하다, 쓸데없다, 억울하게 하다, 억울한 누명을 씌우다
冤枉 yuānwang 위앤 ̄왕 [※
<冤枉=yuānwang>은 <가치가 없다, 분하다, 무고한 죄를 입어 억울하다, 쓸데없다, 억울하다, 헛되다>라는 뜻의 '형용사'이다.
그리고 <억울하게 하다, 억울한 누명을 씌우다>라는 뜻의 '동사'이다.
예를 들어 <그가 나를 욕하는데 정말 억울합니다!=他骂我真冤枉!=tā mà wǒ zhēn yuānwang!=타 ̄ 마↘ 워V 쩐 ̄ 위앤 ̄왕!>, <이 돈은 정말 헛되이 썼습니다.=这个钱花得真冤枉!=zhège qián huā de zhēn yuānwang!=쩌↘거 치앤↗ 후아 ̄ 더 쩐 ̄ 위앤 ̄왕>, <남에게 억울한 누명을 씌우다=冤枉别人=yuānwang biéren=위앤 ̄왕 비에↗런>
※ <구부리다, 굽다, 무실(無實)의 죄, 불평, 원한, 원통할 원(冤); 冖-총10획; 굽다, 굽히다, 사곡(邪曲)한 왕, 굽을 왕(枉); 木-총8획>]
- 억울한 누명을 씌우다,
억울하게 하다, 억울하다, 헛되다, 가치가 없다, 분하다, 무고한 죄를 입어 억울하다, 쓸데없다
冤枉 yuānwang 위앤 ̄왕 [※
<冤枉=yuānwang>은 <가치가 없다, 분하다, 무고한 죄를 입어 억울하다, 쓸데없다, 억울하다, 헛되다>라는 뜻의 '형용사'이다.
그리고 <억울하게 하다, 억울한 누명을 씌우다>라는 뜻의 '동사'이다.
예를 들어 <그가 나를 욕하는데 정말 억울합니다!=他骂我真冤枉!=tā mà wǒ zhēn yuānwang!=타 ̄ 마↘ 워V 쩐 ̄ 위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