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9일이에요.
Ngày mười chín. 응아이
므어이 찐
- 3성급
호텔, 게스트 하우스
Khách
sạn mini 카익
산 미니
- 3시
10분 전이에요.
Ba giờ kém
mươi. 바
져 깸 므어이
- 3일이에요.
Ngày mồng ba. 응아이
몽 바
- 4,
넷
Tư 뜨
- ~사이에1
Trong 쫑
- ~사이에2,
~중앙에
Giữa 즈어 [※
<Giữa>는
<~사이에, ~중앙에>라는 베트남어 전치사로 전치사 되에는
반드시 명사가 와야 한다.
예를 들어 <당신과 나
사이에=Giữa
anh và tôi=즈어
아인 바 또이>, <도심 중앙에=Giữa
thành
phố=즈어
타인 포>]
- ~시키다,
하게 하다, ~해주다
Cho 쪼 [※
<Cho+사람+동사>는
<~시키다, 하게 하다, ~해주다>라는 베트남어의 사역동사이다.]
- 사거리
Ngã tư 응아
뜨
- 사거리까지
가서 왼쪽으로
도세요.1
Đến
ngã tư rẽ trái 덴
응아 뜨 제 짜이 [※ 주로 베트남 북부에서 사용한다.]
- 사거리까지
가서 왼쪽으로
도세요.2
Đến
ngã tư quẹo trái 덴
응아 뜨 꾸에오 짜이 [※ 주로 베트남 남부에서
사용한다.]
- 사계절,
사철
Bốn mùa 본
무어 [※ 베트남 북부지방에는 뚜렷하지는 않지만 <사계절=bốn mùa=본
무어>이 있다.]
- 사고,
재난
Tai nạn 따이
난
- 사과,
능금
Táo 따오
- 사다
Mua 무어
- 사도행전
Công vụ các sứ đồ 꽁
부 깍 쓰 도 [※
66권
성경 가운데 44권]
- 사람을
부를 때, 부르는 말, 부르는 것에 대답하는 말
Ơi 어이 [※
<Ơi>는
<부르는 말, 부르는 것에 대답하는 말, 사람을 부를 때>
쓴다. <이름, 호칭 + Ơi>는
상대방을 친근감 있게 부를 때 사용한다.
예를 들어
<형! 오빠!=Anh
ơi=아인
어이>, <민수야=Min
- su ơi=민수
어이>, <엄마!=mẹ
ơi=매
어이>]
- 사람의
눈, 시력, 과일 등의 눈, 비싼1
Mắt 맛
- 사람의
눈, 시력, 과일 등의 눈, 비싼2
Con
mắt 꼰
맛
- 사람의
총칭, 인간
Con người 꼰
응오어이
- 사람이
드문, 빈
Vắng 방 [※
<Vắng>은
<사람이 드문, 빈>이라는 뜻으로 수량을 나타내는 베트남어이다.
예를
들어 <저녁에 하노이 거리는 인적이 드물어요.=Vào buổi tối các đường phố Hà Nội vắng người.=바오
부오이 또이 깍 드엉 포 하 노이 방 응어이>]
- 사람이
붐비는, 가득 찬
Đông 동 [※
<Đông>은
<사람이 붐비는, 가득 찬>이란 뜻으로 수량을 나타낸다.
예를
들어 <이 호텔은 보통 붐벼요.=Khách sạn này thường đông người.=카익
산 나이 트엉 동 응어이>]
- 사랑하다
Yêu 이우/이에우
- 사랑해요.
Anh
phải lòng em 아인
파이 롱 앰
- 사무엘상
Sa-mu-ên quyển thứ nhất 사-무-은
꾸옌 트 녓 [※
66권
성경 가운데 9권]
- 사무엘하
Sa-mu-ên quyển thứ hai 사-무-은
꾸옌 트 하이 [※
66권
성경 가운데 10권]
- 사사기
Quan xét 꽌
쌧 [※
성경
66권 중의 7권]
- 사슴,
꽃사슴
Hươu
sao 흐어우
싸오
- 사실
Sự thật 스
텃
- 사업,
업무, 일
Công việc 꽁
비엑
- 사용하다,
쓰다, 드시다
Dùng 중 [※
<Dùng>은
<먹다=ăn=안>,
<마시다=uống=우옹>의
높임말이다.]
- 사이,
중간
Giữa 즈어
- 사이공,
호치민
Sài Gòn 싸이
곤 [※ <Daum백과>:
"호치민시티(Ho Chi Minh City),
호치민, 위치:
베트남 남부, 인구: 1,300,088명(2020년 추계), 면적: 2,095.5㎢,
언어: 영어, 베트남어, 대륙: 아시아, 국가: 베트남
요약:
베트남 사회주의 공화국에서 가장 큰 도시. 오랫동안 '사이공(Sài Gòn=싸이
곤)'이라는 지명으로 불렸던 곳이다. 베트남 동남부 사이공 강 서안에 위치한다. 19세기 프랑스에 점령되어 20세기 중반까지 프랑스의 관할 아래 있었다. 남북 베트남의 통일 이후로는 베트남의 경제 중심지로 성장해왔다. 시내 중심지에는 산업단지가 조성되어 있고, 베트남 최대의 공항인 탄손나트 공항도 호치민시티에 위치한다. 프랑스 보호령 시절에 축조된 아름다운 건축물들로 인해 '동양의 파리'로 일컬어진다."]
- 사이클,
자전거
Xe đạp 쌔
답
- 사자
Sư
tử 쓰
뜨
- 사장
Giám đốc 쟘
독
- 사장님!
Thưa
ông giám đốc 트어
옹 쟘 독 [※ <Thưa>는
<상대에게 부르는 말, 첫머리 존대의 인사말, 공손히 말씀
올리다>라는 뜻으로, <Thưa
+
이름, 호칭>으로 손윗사람을 공식적이거나, 예의, 존경의
의미로 부를 때 사용한다.
예를 들어 <사장님!=Thưa
ông giám đốc=트어
옹 쟘 독>, <의사 선생님!=Thưa
bác sĩ=트어
박 시>, <선생님!=Thưa
thầy=트어
터이>]
- 사전
Từ điển 뜨
디엔
- 사정,
상황, 정세
Tình hình 띤
힌
- 사진1,
영상
Ảnh 아인
- 사진2,
영상
Bức
ảnh 북
아인
- 사촌남동생
Em
trai họ 앰
짜이 호
- 사촌누나,
사촌언니
Chị họ 찌
호
- 사촌여동생
Em
gái
họ 앰
가이 호
- 사촌형,
사촌오빠
Anh họ 아인
호
- 사카린
Saccharin 싹
짜 린 [※
참조: 사카린의
여러 가지 이름은 당정납[糖精鈉=táng
jīng nà=탕↗징 ̄나↘, 인본갑선황선아알납:鄰苯甲酰磺酰亞胺鈉=탕↗뻔V
지아V시앤 ̄
후앙↗시앤 ̄야V안↘나↘:
백도백과(百度百科)], 새커런
소우디엄[Saccharin Sodium:
영명(英名)], 삿카린[サッカリン=saccharin:
일문명(日文名)], 싹짜린[saccharin:
베트남어], 당정[糖精],
감정[甘精],
사카린 나트륨염,
삭카린
나트륨, 사카린 나트륨, 뉴슈가, 특당, 삼성당, 신화당,
삭카린,
사카린
등으로 부른다.]
- 사탕무
Củ cải đường 꾸
까이 드엉
- 사파
Sa Pa 사
빠 [※ <Sa Pa>은
베트남 북부지방의 하노이에서 북서쪽으로 떨어진 고산마을이다.
<사파>의 매력은 자연 그대로의 환경과 사람들이다.
베트남은 54개의 소수민족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사파>에
가면 전통 의상을 입고 토속적인 삶을 살아가는 고산족을 만날
수 있다. 여름철은 한낮에는 덥지만 아침 저녁에는 기온이 많이
떨어지므로 긴 옷을 준비하고 도로 사정이 좋지 않으므로 운동화를
꼭 신어야 한다.]
- 산부인과
Khoa sản 코아
산
- 산소
Ô-xy 오
씨
- 산소
마스크
Mặt
nạ ô-xy 맛
나 오 씨
- 산책하다
Đi dạo 디
자오
- 살다
Sống 송
- 삶,
생활
Cuộc sống 꾸옥 송
- 삼촌,
작은아버지
Chú 쭈
- 상대에게
부르는 말, 첫머리 존대의 인사말, 공손히 말씀 올리다
Thưa 트어 [※
<Thưa>는
<상대에게 부르는 말, 첫머리 존대의 인사말, 공손히 말씀
올리다>라는 뜻으로, <Thưa
+
이름, 호칭>으로 손윗사람을 공식적이거나, 예의, 존경의
의미로 부를 때 사용한다.
예를 들어 <사장님!=Thưa
ông giám đốc=트어
옹 쟘 독>, <의사 선생님!=Thưa
bác sĩ=트어
박 시>, <선생님!=Thưa
thầy=트어
터이>]
- 상점,
가게
Cửa hàng 끄어
항
- 상처를
입다
Bị thương 비
뜨엉
- 상황,
사정, 정세
Tình hình 띤
힌
- 새끼손가락1,
소지
Ngón
út 응온
웃
- 새끼손가락2,
소지
Ngón
tay út 응온
따이 욷
- 새우
요리
Món
tôm 몬
똠
- 새우요리 주세요.
Cho
tôi món tôm. 쪼
또이 몬 똠
- 새해,
신년
Năm
mới 남
머이
- 색깔,
비옥함, 벼 이외의 곡식
Màu 마우 [※
<Màu>는
<색깔, 비옥함, 벼 이외의 곡식>이라는 뜻이다.
※
색깔의 어두움과 밝음을 표현할 때 <진한, 심하게, 조금
살이 찐=Đậm=덤>,
<연한=Nhạt=냣>이란
단어를 사용한다.
예를 들어 <진한 갈색=Nâu
đậm=너우
덤>, <연한 보라색=Tím
nhạt=띰
냣>
◎ 베트남어 색깔 표현은 아래와 같다.
1-검정색
<Đen=댄>,
2-흰색 <Trắng=짱>,
3-갈색 <Nâu=너우>,
4-회색 <Xám=쌈>,
5-노란색, 금색 <Vàng=방>,
6-빨간색 <Đỏ=도>,
7-주황색 <Da cam=자
깜>, 8-보라색 <Tím=띰>,
9-핑크색, 분홍색 <Hồng=홍>,
10-은색 <Bạc=박>,
11-푸른색 <Xanh=싸인>,
12-파란색, 군청색, 바다색 <Xanh nước biển=싸인
느억 비엔>, 13-하늘색 <Xanh da trời=싸인
자 쩌이>, 14-초록색 <Xanh lá cây=싸인
라 꺼이>라고 한다.]
- 샌드위치
Bánh
mì kẹp 바인
미 깹
- 샐러리맨,
회사원
Nhân viên văn phòng 년
비엔 반 퐁
- 샘,
용천, 원천
Suối 수오이
- 생딸기
주스
Sinh
tố dâu 신
또 저우
- 생딸기
주스 주세요.
Cho
tôi sinh tố dâu. 쪼
또이 신 또 저우
- 생맥주
bia tươi 비어
뜨어이
- 생선,
물고기
Cá 까
- 생선
요리
Món
cá 몬
까
- 생선요리 주세요.
Cho
tôi món cá. 쪼
또이 몬 까
- 생선
전골
Lẩu
cá 러우
까
- 생수1,
[베트남 북부에서 사용]
Nước khoáng 느억
코앙
- 생수2,
[베트남 남부에서 사용]
Nước suối 느억
수오이
- 생업,
직업, 정통한
Nghề 응애 생일 Sinh
nhật! 신
녓!
- 생일
축하해요!
Chúc
mừng sinh nhật! 쭉
믕 신 녓!
- 생활,
삶
Cuộc sống 꾸옥 송
- 샤워기
Vòi hoa sen 보이
호아 샌
- 샤워실
Phòng tắm 퐁
땀
- 샤워실
맞은 편에 세탁기 한 대가 있어요.
Đối diện phòng tắm có một cái máy giặt. 도이 지엔 퐁 땀 꼬 못 까이 머이 잣
- 샴푸
Dầu
gội đầu 저우
고이 더우
- 샴푸가
어디에 있어요?
Dầu
gội đầu ở đâu? 저우
고이 더우
어 더우?
- 서다,
멈추다
Dừng 증
- 서랍
Ngăn kéo 응안 깨오
- 서랍
속에는 종이가 몇 장 있어요.
Trong ngăn kéo có mấy tờ giấy. 쫑 응안 깨오 꼬 머이 떠 저이
- 서랍장,
수납장
Tủ có ngăn kéo 뚜
꼬 응안 깨오
- 서리
Sương gía 쓰엉
자
- 서비스
Dịch vụ 직 부
- 서양
사람들은 숟가락, 포크 그리고 칼로 식사해요.
Người Tây ăn bằng thìa, nĩa và dao. 응어이
떠이 안 방 티어, 니어 바 자오
- 서울대학교
Đại
học Seoul. 다이
혹 서울
- 서울은
부산으로부터 약 400 킬로미터에요.
Seoul cách Busan khoảng 400
km. 서울
까익 부산 코앙 본짬 킬로멧
- 서점
Nhà
sách 냐
사익
- 서점이
어디에 있어요?
Nhà
sách nằm
ở đâu? 냐
사익 남 어 더우?
- 서정이
풍부한, 발라드
Trữ
tình 쯔
띤
- 서쪽
Phiá
tây 피어
떠이
- 석류
Lựu 리우
- 선글라스
kính
râm 낀
점
- 선발하다,
고르다, 채용하다
Tuyển 뚜이엔 선생님1 Giáo
viên 자오
비엔
- 선생님2,
<남자선생님>
Thầy 터이
- 선생님3,
<여선생님>, 아가씨, 아주머니, 고모
Cô 꼬 [※
<Cô>는
<여선생님, 아가씨, 고모, 아주머니> 등 성인 여자를
칭하는 2인칭 호칭이다.]
- 선생님!4
Thưa
thầy 트어
터이 [※ <Thưa>는
<상대에게 부르는 말, 첫머리 존대의 인사말, 공손히 말씀
올리다>라는 뜻으로, <Thưa
+
이름, 호칭>으로 손윗사람을 공식적이거나, 예의, 존경의
의미로 부를 때 사용한다.
예를 들어 <사장님!=Thưa
ông giám đốc=트어
옹 쟘 독>, <의사 선생님!=Thưa
bác sĩ=트어
박 시>, <선생님!=Thưa
thầy=트어
터이>]
- 선생님도
만나서 정말 반가워.
Cô
cũng rất
vui được gặp em. 꼬
꿍 젓
부이 드억 갑 앰
- 선생님들
Các
giáo viên 깍
자오 비엔 [※ 2인칭 복수는 2인칭 앞에 <Các=깍>을
붙인다.]
- 선생님
안녕하세요.
Làm không chào cô giáo. 람
콩 짜오 꼬 쟈오
- 선생님이
학교로 들어와요.1
Cô giáo vào trường. 꼬 쟈오
바오 쯔엉
- 선생님이
학교로 들어와요.2
Cô giáo đi vào trường. 꼬 쟈오
디
바오 쯔엉 [※
<đi>라는
동사와 결합하여 사용하기도 한다.]
- 선인장
Cây xương rồng 꺼이
쓰엉 종
- 선풍기
Quạt
máy 꾸앗
마이
- 설탕,
길, 도로, 사당
Đường 드엉
- 성격
Tính cách 띤
까익
- 성함을 여쭤 봐도
될까요?
Cho phép
tôi hỏi tên anh được không? 쪼 펩 또이 호이
뗀 아잉 드억 콩?
- 성형외과
Khoa phẫu thuật tạo hình 코아
퍼우 투엇 따오 힌
- 세
번째
Thứ
ba 트
바
- 세관
Thuế quan 투에
꾸안
- 세면대
Bồn rửa mặt 본
즈어 맛
- 세우다1,
설립하다
Lập 럽
- 세우다2,
건축하다
Xây 써이
- 세탁기
Máy giặt 마이
잣
- 셔츠
áo 아오
- 소(牛)1
Bò 보
- 소(牛)2
Bò
nhà 보
냐
- 소고기,
쇠고기
Thịt
bò 팃
보
- 소고기
주세요.
Cho tôi
thịt
bò 쪼
또이 팃
보
- 소금
muối 무오이
- 소금에
절인 생선 액젓, 베트남 전통 젓갈 간장, 느억맘
Nước
mắm 느억
맘 [※ <nước
mắm>은
<소금에 절인 생선 액젓, 베트남 전통 젓갈 간장>을 말한다.
베트남 요리의 맛을 내는 기본은 <느억 맘=>이라는
생선으로 만든 소스이다. 우리나라 젓갈 냄새처럼 그 강렬한
냄새가 좀 거북하다는 사람도 있지만 익숙해지면 이것이야말로
베트남 요리의 독특한 맛임을 느끼게 된다.
만드는 방법은
물에 식초를 약간 타고 설탕과 고춧가루를 넣어서 만든 양념소스이다.
어떤 요리에나 잘 어울린다.]
- 소나기
Mưa rào 므어
자오
- 소녀
Thiếu nữ 티에우
느
- 소년
Chàng
trai 짱
짜이
- 소리,
말,
언어,
시간, 소요 시간
Tiếng 띠엥
-
소망하다,
원하다, ~하고 싶다
Muốn 무온 [※
<원하다,
소망하다, ~하고 싶다>라는 조동사로 동사 앞에 위치한다.]
- 소방관
Lính cứu hỏi 린
끄우 호이
- 소설외에도,
시를 읽는 것도 좋아해요.
Ngoài tiểu thuyết, tôi cũng thích đọc thơ. 응아이 띠에우 투옛, 또이 꿍 틱 독 터
- 소수점,
콤마
Phẩy 퍼이
- 소스
nước sốt 느억
쏫
- 소아과
Khoa nhi 코아
니
- 소요
시간,
말,
언어,
시간, 소리
Tiếng 띠엥
- 소지1,
새끼손가락
Ngón
út 응온
욷
- 소지2,
새끼손가락
Ngón
tay út 응온
따이 웃
- 소프트베드,
부드러운 침대
Giường mềm 즈엉
멤
- 속눈썹
Lông mi 롱
미
- 속달이에요?
Có phải chuyển phát nhanh không? 꼬 파이 쭈이엔 팟 냐인 콩
- 손1,
팔
Tay 따이
- 손2
Bàn
tay 반
따이
- 손가락
Ngón
tay 응온
따이
- 손가방,
핸드백, 손으로 가지고 다니다
Xách tay 싸익
따이
- 손목
Cổ tay 꼬
따이
- 손에
쥐다, 얻다
Được 드억 [※
<Được>은
<얻다, 손에 쥐다>라는 수동태의 조동사로 주어 바로
뒤에 아서 주어의 입장에서 이익이 되는 경우에 쓰인다.
예를
들어 <어제 나는 초대장을 받았어요.=Hôm qua tôi được giấy mời.=홈
꾸아 또이 드억 져이 머이>, <우리는 여름방학을
했어요.=Chúng tôi được nghỉ hè.=쭝
또이 드억 응이 해>]
- 손으로
가지고 다니다, 핸드백, 손가방
Xách tay 싸익
따이
- 손자,
조카, 어린아이
Cháu 짜우 [※
<cháu>는
<조카, 손자>라는 뜻으로 어린아이에게
쓰는 호칭이다.]
- 손톱
Móng tay 몽
따이
- 송아지
Bê 베
- 쇠고기,
소고기
Thịt
bò 팃
보
- 쇠고기
쌀국수
Phở
bò 퍼
보 [※ <Phở>는
베트남의 <쌀국수>를 말한다. 우리나라와 마찬가디로
쌀이 주식인 베트남 사람들은 밥도 지어먹고 국수도 만들고
만두피도 만들어 먹는다. 면발의 모양은 우리 나라 칼국수 면발처럼
납작하고 넓다.
이때 <어떤 뼈를 써서 우려냈는가>와
<어떤 고기를 얹는가>에 따라 종류가 나뉘어진다.
예를
들어서 쇠고기를 얹으면 <쇠고기 쌀국수=퍼 보=Phở
bò>,
닭고기를 얹으면 <닭고기 쌀국수=퍼 가=Phở
gà>라고
한다. 베트남에서는 커다란 음식점에서 뿐만 아니라 길거리의
가판대에서도 <퍼=Phở>를
하는데, 아침 출근시간 전에 <퍼=Phở>를
파는 포장마차 앞에 사람들이 길게 줄을 늘어선 광경을 볼 수
있다.]
- 쇠고기
전골
Lẩu
bò 러우
보
- 쇠고기 주세요.
Cho
tôi thịt bò. 쪼
또이 팃 보
- 쇼핑하다
Mua sắm 무어
삼
- 수,
숫자,
번호
Số 소
- 수건,
타월, 목욕 수건
Khăn tắm 칸
땀
- 수고하세요.1
Chào
anh. 짜오
아잉
- 수고하세요.2
Chào
chị. 짜오
찌
- 수납장,
서랍장
Tủ có ngăn kéo 뚜
꼬 응안 깨오
- 수도(首都)
Thủ
đô 투
도
- 수도(水道)
Nước
máy 느억
마이
- 수도꼭지
Vòi
nước 보이
느억
- 수령하다,
받다
Lĩnh 링/린
- 수리하다,
고치다
Chữa 쯔어
- 수박
Dưa hấu 즈어
허우
- 수속,
절차
Thủ tục 투
뚝 [※ <Thủ tục>은
<수속, 절차>라는 뜻으로 <Làm
thủ tục=람
투 뚝>하면 <수속을 밟다>라는 뜻이다.]
- 수속을
밟다
Làm
thủ tục 람
투 뚝
- 수업,
교실
Lớp học 럽
혹
- 수업
시간
Giờ học 져
혹
- 수업
시간 뒤에
Sau
giờ học 사우
져 혹
- 수업
시간 전에
Trước
giờ học 쯔억
져 혹
- 수염
Râu 저우
- 수염을
만져도 될까요?
Tôi
có thể sờ râu của ông được không? 또이
꼬 테 서 저우 꾸어 옹 드억 콩?
- 수영복
Áo tắm 아오
땀
- 수영하다
Bơi 버이
- 수요일
Thứ
tư 트
뜨 [※ 서수를 말할 때 첫 번째는 <못=Một=1>
대신 <녓=Nhật=하나,
첫째>, 네 번째는 <본=Bốn=4>
대신 <뜨=Tư=4,
넷>로 바뀌는 점이 다르다.
요일도 마찬가지로 이러한
서수를 쓴다. 일요일은 <트 못=Thứ
một>이
아닌 <쭈
녓=Chủ
nhật>,
수요일은 <트 본=Thứ
bốn>이
아닌 <트
뜨=Thứ
tư>이다.]
- 수정
Pha lê 파
레
- 수지
씨가 전 씨보다 더 예뻐요.
Chị Su-zy đẹp hơn chị Jeon. 찌
수-지 댑 헌 찌 전
- 수프(soup)1
Súp 숩
- 수프(soup)2,
게 수프
Súp
cua 숩
꾸어
- 수프(soup)3,
야채 수프
Súp
rau 숩
자우
- 수프 주세요.
Cho
tôi súp. 쪼
또이 숩
- 숙모
Thím 팀
- 숙주나물1
Giá 자
- 숙주나물2
Giá đỗ 자
도
- 순서,
등급
Thứ 트
- 숟가락
Thìa 틔어
// 티어
- 술,
포도주
Rượu 즈어우
- 술집
Quán
bar 꾸안
바
- 술집이
어디에 있어요?
Quán
bar nằm
ở đâu? 꾸안
바
남 어 더우?
- 숨쉬기가
힘들어요.
Bị khó thở. 비
코 터
- 숨쉬다
Thở. 터
- 숫자,
수, 번호
Số 소
- 쉽다
Dễ 제 [※
반대말은
<어렵다=khó=코>]
- 슈퍼
Siêu
thị 시에우
티
- 슈퍼가
어디에 있어요?
Siêu
thị nằm
ở đâu? 시에우
티 남 어 더우?
- 스가랴
Xa-cha-ri 싸-짜-지 [※
66권
성경 가운데 38권]
- 스바냐
Xô-phô-ni 쏘-포-니 [※
66권
성경 가운데 36권]
- 스스로
Tự 뜨
- 스스로
~ 직접 ~하다
Tự
+ ~ lấy 뜨
+ ~ 러이 [※ <Tự
+ ~ lấy>는
<스스로 ~ 직접 ~하다>이라는 뜻으로 자기 자신이 직접 행위함을
의미하는 재귀동사이다.
예를들어 아래의 세 문장은 같은 의미이다.
1-<Tự
동사
앞에 위치: 나는 직접 오토바이를 수리해요.=Tôi tự chữa xe máy.=또이 뜨
쯔어 쌔 마이>
2-<Lấy
동사
뒤에 위치: 나는 직접 오토바이를 수리해요.=Tôi chữa lấy
xe máy.=또이 쯔어
러이 쌔 마이>
3-<Tự
~ lấy같이
사용하기도 함: 나는 직접 오토바이를 수리해요.=Tôi tự chữa lấy
xe máy.=또이
뜨 쯔어 러이 쌔 마이>]
- 스웨덴
Thụy
Điển 투이
디엔
- 스웨터
áo len 아오
랜
- 스위스
Thụy
Sĩ 투이
씨
- 스타일,
양식
Kiểu 끼에우
- 스탠드
Đèn bàn 댄
반
- 스테이크
Thịt
bò bít tết 팃
보 빗 뗏
- 스테이크 주세요.
Cho
tôi thịt
bò bít tết. 쪼
또이 팃 보 빗 뗏
- 스크린
Màn
hình 만
힝
- 스페인
Tây
Ban Nha 떠이
반 냐
- 스포츠
Thể thao 테
타오
- 스프링
롤1, 베트남 북부식
만두[고기, 야채말이 애그롤]
Nem 냄
- 스프링
롤2,
튀긴 춘권1
Nem
rán 냄
잔 [※ <Nem
rán>은
<짜죠=Chả
giò>라고도
부르며, <스프링롤, 튀긴 춘권>으로 부른다. 저민고기,
목이버섯, 당면 등을 라이스 페이퍼에 싸서 기름에 튀긴 요리이다.
바삭바삭한 라이스 페이퍼 향이 고소하고, 샐러드 야채로 싸서
<느억맘=Nước
mắm=소금에
절인 생선 액젓, 베트남 전통 젓갈 간장>에 찍어 먹으면
일품요리가 된다.]
- 스프링
롤3,
튀긴 춘권2, 베트남 남부식
만두[고기, 야채말이 애그롤]
Chả
giò 짜
죠 [※ <Nem
rán=냄
잔>은
<베트남 남부=짜죠=Chả
giò>라고도
부르며, <스프링롤, 튀긴 춘권>으로 부른다. 저민고기,
목이버섯, 당면 등을 라이스 페이퍼에 싸서 기름에 튀긴 요리이다.
바삭바삭한 라이스 페이퍼 향이 고소하고, 샐러드 야채로 싸서
<느억맘=Nước
mắm=소금에
절인 생선 액젓, 베트남 전통 젓갈 간장>에 찍어 먹으면
일품요리가 된다.]
- 스프링롤
요리와 쌀국수 요리는 베트남의 특산요리예요.
Món nem và món phở là món đặc sản của Việt Nam. 몬
냄 바 몬 퍼 라 몬 닥 산 꾸어 비엣 남
- 슬리퍼,
신발
Dép 잽
- 슬프다,
우울하다
Buồn. 부온
- 습하다
Ẩm 엄
- 시,
시각
Giờ 져
- 시간1
Thời gian 터이
잔
- 시간2,
소요 시간,
말,
언어,
소리
Tiếng 띠엥
- 시간이
없어서 병원에 갈 수 없어요.
Vì không có thời gian nên không thể đi bệnh viện. 비 콩 꼬 터이 잔 넨 콩 테 디 벤 비엔
- 시간 있어요?
Cô có thời gian không? 꼬
꼬 터이 잔 콩?
- 시계
Đồng hồ 동
호
- 시계를
원해요.
Tôi muốn
đồng hồ 또이
무온 동
호
- 시계를
차다
Đeo đồng hồ 대오
동
호
- 시계를 풀다
Tháo đồng hồ 타오
동
호
- 시금치1
Rau chân vịt 자우
쩐 빗
- 시금치2
Rau bina 자우
빈어
- 시다
Chua 쭈어
- 시력,
사람의 눈, 과일 등의 눈, 비싼
Con
mắt 꼰
맛
- 시멘트
Xi măng 씨
망
- 시아버지
Bố
chồng 보
쫑
- 시어머니
Mẹ
chồng 매
쫑
- 시원하다
Mát 맛
- 시원해요.
Thời mát. 쩌이
맛
- 시장[市場]
Chợ 쩌
- 시키다,
~하게 하다, ~해주다
Cho 쪼
- 시클로,
시크로, 인력거
Xích lô 씩
로
- 시편
Thi thiên 티
티엔 [※
66권
성경 가운데 19권]
- 시험
삼아 한 번 해보다
Thử 트
- 시험
치다
Thi 티
- 식당
Nhà
hàng 냐
항 [※ 호텔
로비에 있는 식당]
- 식당이
어디에 있어요?
Nhà
hàng ở đâu? 냐
항
어 더우?
- 식사
Bữa ăn 브어
안
- 식사
중에, 나와 내 남편은 많은 이야기를 해요.
Trong bữa ăn, tôi và chồng tôi nói chuyện nhiều. 쫑
브어 안, 또이 바 쫑 또이 노이 쭈이엔 니에우 [※ <Trong+명사>는
<명사+중에>라는 뜻을 가진 때를 나타내는 부사구이다.]
- 식사
하셨어요?
Anh đã ăn cơm chưa? 아인
다 안 껌 쯔어 [※ 상대방에게 식사했는지 물어볼 때는
반드시 의문문을 사용한다.]
- 식사
후에 저는 셋집을 보러 가요.
Sau khi ăn cơm, tôi đi xem nhà cho để thuê. 사우
키 안 껌, 또이 디 쌤 냐 데 투에
- 식중독
Ngộ độc thực ăn 응오
독 특 안
- 식중독에
걸렸어요.
Bị ngộ độc thực ăn. 비
응오 독 특 안
- 식초
dấm 점
- 신경쓰지
마세요.
Đừng bận tâm. 등 번 떰
- 신년,
새해
Năm
mới 남
머이
- 신맛이
나는 독특한 맛의 베트남식 수프, 국
Canh
chua 까인
쭈어 [※
<Canh
chua>는
<국, 신맛이
나는 독특한 맛의 베트남식 수프>를
말한다. 보통은 민물고기나 가물치가 사용된다. 토마토, 토란줄기,
오크라, 콩, 파인애플 등 야채도 많이 들어간 수프를 밥과 함께
먹는 것이 정통 식사 방법이다. 더위로 식욕이 없을 때에 이것을
먹으면 거뜬해진다. 특히 베트남 남부쪽에서 자랑하는 요리이다.]
- 신명기
Phục truyền luật lệ 푹
쭈옌 루엇 레 [※
성경
66권 중의 5권]
- 신문1
Báo 바오
- 신문2
Tờ
báo 떠
바오
- 신문과
잡지
Báo và tạp chí 바오 바 땁 찌
- 신문기사
Bày
báo 바이
바오
- 신문 주세요.
Cho
tôi báo. 쪼
또이 바오
- 신발1,
구두
Giày 쟈이
- 신발2,
구두
Đôi
giày 도이
자이
- 신발3,
슬리퍼
Dép 잽
- 신발을
신다1
Đi giày 디
쟈이
- 신발을
신다2
Đi dép 디
잽
- 신발을
벗다1
Bỏ
giày 보
쟈이
- 신발을
벗다2
Bỏ
dép 보
잽
- 신청하다,
청하다
Xin 씬 [※
<Xin>은
<신청하다, 청하다>라는 뜻으로 문장 맨 앞에 쓰이면
예의 있는 표현이 된다.]
- 신체,
자기, 자신, 몸, 나<친구사이, 어린아이들이 쓰는 말>
Mình 민/밍
- 실례지만
지금 몇 시예요?
Xin
lỗi, bây giờ là mấy giờ? 씬
로이, 버이 져 라 머이 져?
- 실례지만
화장실이 어디입니까?
Xin
lỗi, phòng vệ sinh ở đâu? 씬
로이, 퐁 베 신 어 더우?
- 실수하다,
잘못 알다
Nhầm 념
- 심장
Tim 띰
- 심하게
아픈
Ốm nặng 옴
낭
- 싱글베드,
1인용 침대
Giường một 즈엉
못
- 싸다1
Rẻ 재 [※
반대말은
<비싸다=đắt=닷>]
- 싸다2,
꾸리다
Đóng 동
- 싸우다,
말다툼하다
Cãi
nhau 까이
냐우
- 싸우지
마!
Các em chớ cã i nhau! 깍
앰 쩌 까이 나우 [※
<Đừng=등>,
<Chớ=쩌>,
<Cấm=껌>은
<~하지마, ~하지 마세요>라는 뜻의 부정명령문이다.]
- 쌀국수1
Phở 퍼 [※
<Phở=퍼>는
베트남의 <쌀국수>를 말한다. 우리나라와 마찬가지로
쌀이 주식인 베트남 사람들은 밥도 지어먹고, 국수도 만들고,
만두피도 만들어 먹는다. 면발의 모양은 우리 나라 칼국수 면발처럼
납작하고 넓다.
이때 <어떤 뼈를 써서 우려냈는가>와
<어떤 고기를 얹는가>에 따라 종류가 나뉘어진다.
예를
들어서 쇠고기를 얹으면 <쇠고기 쌀국수=퍼 보=phở
bò>,
닭고기를 얹으면 <닭고기 쌀국수=퍼 가=Phở
gà>라고
한다. 베트남에서는 커다란 음식점에서 뿐만 아니라 길거리의
가판대에서도 <퍼=Phở>를
하는데, 아침 출근시간 전에 <퍼=Phở>를
파는 포장마차 앞에 사람들이 길게 줄을 늘어선 광경을 볼 수
있다.
베트남 요리는 오랫동안 중국 지배를 받아온 베트남의
역사적 배경으로 인해 중국 요리와 비슷한 것이 많지만 중국
요리처럼 기름기가 많지 않다. 또 지리적으로 가까운 태국 요리와는
향미료를 사용한다는 점이 비슷하지만 맵지 않다.
베트남
요리는 담백한 맛이 나는 요리가 많아서 기호에 따라 맛을 낼
수 있다. 게다가 샐러드 오이, 향미료 등의 야채와 함께 먹기
때문에 건강을 생각하는 사람에게도 적합한 요리이다. 같은
요리라고 해도 각 지방마다 독특한 향토 요리가 있는데 그 종류의
다양함도 베트남 요리의 특징이다. 맛내기도 지방마다 달라,
<북부는
담백>하게,
<남부는
약간 달게>,
<중부는
맵게> 맛은
낸다.]
- 쌀국수2,
쇠고기 쌀국수
Phở
bò 퍼
보
- 쌀국수3,
닭고기 쌀국수
Phở
gà 퍼
가
- 쌀국수 주세요.
Cho
tôi phở. 쪼
또이 퍼
- 쌍,
쌍의, 짝, 벌
Đôi 도이 [※
<Đôi>는
<쌍, 쌍의, 짝, 벌>이라는 뜻도 있지만, 주로 쌍으로
이루어진 명사 앞에 종별사로 쓰인다.
예를 들어 <신발(쌍)=Đôi
giày=도이
자이>, <젓가락(쌍)=Đôi
đũa=도이
두어]
- 쌍꺼풀
Mắt hai mí 맛
하이 미
- 쑤시다,
통증을 느끼다
Nhức 느윽
- 쓰다1[모자,
안경], 차다[시계], 끼다[반지], 걸다, 붙이다
Đeo 대오
- 쓰다2[모자]
Đội 도이 [※
모자는
<Đội>라는
동사를 쓴다. 예를 들어 <모자를 쓰다=Đội
mũ=도이
무=베트남 북부에서 주로 사용, 베트남 남부에서는 <모자를
쓰다=Đội
nón=도이
논>을 사용한다.>]
- 쓰다3,
사용하다, 드시다
Dùng 중 [※
<Dùng>은
<먹다=ăn=안>,
<마시다=uống=우옹>의
높임말이다.]
- 쓰다4,
맛이 쓰다
Đắng 당
- 쓰다5,
저술하다, 연필
Viết 비엣
- 씨클로,
인력거
Xích lô 씩
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