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나1,
저
Tôi 또이 [※
인칭대명사로
<1인칭> 나, 저<상대방과의 관계 배제>를 말한다.]
- 나2,
<친구사이>, 나의, 나 자신의
Tớ 떠
- 나3,
<친구사이, 어린아이들이 쓰는 말>, 자기, 자신, 몸,
신체
Mình 민/밍
- 나
36살이에요.
Tôi
ba mươi sáu
tuổi. 또이
바 므어이 사우 뚜오이
- 나가다
Ra 라
- 나가다
/ 들어오다
Ra
/
Vào 라
/ 바오
- 나가고
들어오다, 출입, 들낙날락하다
Ra
vào! 라
바오
- 나는 걸어서
집에 가요.
Tôi đi bộ về nhà. 또이
디 보 베 냐
- 나는
곧 빵을 먹어요.
Tôi sắp ăn bánh mì. 또이
당 안 바인 미 [※ <sắp>은
<근접미래>의 시제 표현이다.]
- 나는 곧
학교에 가요.
Tôi
sắp đi học. 또이
삽 디 혹 [※ <Sắp>은
<곧 ~하다, 막 ~하려하다>라는
뜻으로 <근접 미래형>을 만든다.
※ 베트남어는
문장에 시간이나 때를 나타내는 단어가 있으면 시제를 생략해서
말하기도 한다.]
- 나는
교통 사고를 당했어요.
Tôi bị tai nạn giao thông. 또이
비 따이 난 쟈오 통
- 나는 기차로
하노이에 가요.
Tôi đi Hà Nội bằng tàu hỏa. 또이
디 하 노이 방 따우 호아
- 나는
단 음식을 좋아해요.
Tôi thích món ngọt. 또이 틱
몬 응옷
- 나는
돈을 적게 가지고 있어요.
Tôi ít tiền. 또이 잇
띠엔
- 나는
돌아왔어요.
Tôi về. 또이
베
- 나는
뜨거운 커피를 좋아해요.
Tôi
thích cà phê nóng. 또이
틱 까 페 농
- 나는 막,
방금 학교에 갔어요.1
Tôi
mới đi học. 또이
머이 디 혹 [※ <mới>는
<단지, 비로소>라는 뜻으로 <근접 과거형>을 만든다.
※ 베트남어는 문장에 시간이나 때를 나타내는 단어가
있으면 시제를 생략해서 말하기도 한다.]
- 나는 막,
방금 학교에 갔어요.2
Tôi
vừa đi học. 또이
브어 디 혹 [※ <vừa>는
<막, 방금>이라는 뜻으로 <근접 과거형>을 만든다.
※ 베트남어는 문장에 시간이나 때를 나타내는 단어가
있으면 시제를 생략해서 말하기도 한다.]
- 나는
막, 방금 빵을 먹었어요.
Tôi mới(=vừa=vừa
mới) ăn bánh mì. 또이
머이(=브어=브어 머이) 안 바인 미 [※ <mới>는
<근접과거>의 시제 표현이다.]
- 나는 막,
방금 학교에 갔어요.3
Tôi
vừa mới đi học. 또이
브어 머이 디 혹 [※ <vừa
mới>는
<막, 방금>이라는 뜻으로 <근접 과거형>을 만든다.
※ 베트남어는 문장에 시간이나 때를 나타내는 단어가
있으면 시제를 생략해서 말하기도 한다.]
- 나는 밥을
먹으면서 신문을 읽어요.
Tôi
vừa ăn cơm vừa đọc báo. 또이
브어 안 껌 브어 독 바오
- 나는
베트남어 공부하기를 원해요.
Tôi muốn học tiếng Việt. 또이
무온 혹 띠엥 비엣
- 나는
베트남어를 공부해요.
Tôi
học tiếng Việt. 또이
혹 띠엥 비엣
- 나는
베트남어를 공부하기도 하고 일본어를 공부하기도 한다.
Tôi
vừa học tiếng Việt vừa học tiếng Nhật. 또이 브어
혹 띠엥 비엣 브어 혹 띠엥 녓
- 나는
병원에서 일해요.
Tôi
làm việc ở bệnh viện. 또이
람 비엑 어 베인 비엔
- 나는
부모님을 방문할 필요가 있어요.
Tôi Cần Phải thăm bố mẹ. 또이
껀 파이 탐 보 매
- 나는
빵을 먹는 중이에요.
Tôi đang ăn bánh mì. 또이
당 안 바인 미 [※ <đãng>은
<현재진행>의 시제 표현이다.]
- 나는
빵을 먹어요.
Tôi ăn bánh mì. 또이
다 안 바인 미 [※ <현재>의 시제 표현이다.]
- 나는
빵을 먹었어요.
Tôi đã ăn bánh mì. 또이
다 안 바인 미 [※ <đã>는
<과거>의 시제 표현이다.]
- 나는 빵을
먹으려고 해요. 빵을 먹을 예정이에요.
Tôi định ăn bánh mì. 또이
딘 안 바인 미 [※ <định>은
<예정된 미래>의 시제 표현이다.]
- 나는 빵을
먹을 거예요.
Tôi sẽ ăn bánh mì. 또이 새 안
바인 미 [※ <sẽ>은
<미래>의 시제 표현이다.]
- 나는
새 집이 있어요.
Tôi
có nhà mới. 또이
꼬 냐 모이
- 나는
선생님으로부터 꾸중을 들었어요.
Tôi bị thầy giáo mắng. 또이
비 터이 쟈오 망 [※ <주어+Bị+동사/형용사/명사>는
<주어의 입장에서 좋지 않은 경우나 해가 될 때>에 사용하는
수동태의 조동사이다.]
- 나는
수지 친구 진주야.
Tôi là Jinju, bạn của Suzy. 또이
라 진주, 반 끄어 수지
- 나는
시간이 없어요.
Tôi không có thời gian. 또이
콩 꼬 토이 잔
- 나는
시장에 갈 필요가 없어요.
Tôi không cần đi chợ. 또이
콩 껀 디 쩌 [※ 조동사의 부정문을 만들 때 조동사
앞에 <không>을
넣으면 부정이 된다.]
- 나는
아들이 2명 있어요.
Tôi
có hai con trai. 또이
꼬 하이 꼰 짜이
- 나는
어머니로부터 칭찬을 들었어요.
Tôi được mẹ khen. 또이
드억 매 캔 [※ <주어+Được+동사/형용사/명사>는
<주어의 입장에서 이득이 되는 경우>에 사용하는 수동태의
조동사이다.]
- 나는 여기에
살아요.
Tôi
sống ở đây.
- 또이 쏭
오 더이
- 나는 영화
표가 두 장 있어요.
Tôi có hai cái vé đi xem phim. 또이 꼬
하이 까이 배 디 쌤 핌
- 나는
월급이 올랐어요.
Tôi Được tăng tiền lương. 또이
드억 탕 띠엔 르엉 [※ <주어+Được+동사/형용사/명사>는
<주어의 입장에서 이득이 되는 경우>에 사용하는 수동태의
조동사이다.]
- 나는
의사가 되었어요.
Tôi đã trở thành bác sĩ. 또이
다 쩌 타인 박 시
- 나는 의사예요.
Tôi
là bác sĩ. 또이
라 박 시
- 나는
이가 아파요.
Tôi bị đau răng. 또이
비 다우 장
- 나는
이 기사를 몇 번이고 읽었지만 아직 이해가 안가요.
Tôi đọc đi đọc lại bài báo này nhưng tôi chưa hiểu. 또이
독 디 독 라이 바이 바오 나이 니응 또이 쯔어 히에우
- 나는
이 책을 다시 한 번 더 읽고 싶어요.
Tôi muốn đọc lại quyển sách này. 또이
무온 독 라이 꾸이엔 사익 나이
- 나는 자동차를 사기 위한 돈이 충분치 않아요.
Tôi không đủ tiền để mua ô tô. 또이
콩 두 띠엔 데 무어 오 또
- 나는 잡지
2권을 사요.
Tôi mua 2 quyển tạp chí. 또이
무어 하이 꾸이엔 땁 찌 [※ <quyển>은
숫자와 함께 쓰일 때 사용하는 종별사이다.]
- 나는 좋은
집을 가지고 있어요.
Tôi có nhà tốt. 또이
꼬 냐 똣
- 나는 직접
오토바이를 수리해요.1
Tôi tự chữa xe máy. 또이 뜨
쯔어 쌔 마이
- 나는 직접
오토바이를 수리해요.2
Tôi chữa lấy
xe máy. 또이 쯔어
러이 쌔 마이
- 나는 직접
오토바이를 수리해요.3
Tôi tự chữa lấy
xe máy. 또이
뜨 쯔어 러이 쌔 마이
- 나는
천으로 만들어진 여행가방을 좋아하지 않고, 가죽으로 만들어진
여행가방을 더 좋아해요.
Tôi không thích cái va li bằng vải, tôi thích cái va li bằng da hơn. 또이
콩 틱 까이 바 리 방 바이, 또이 틱 까이 바 리 방 자 헌 [※
<Bằng>은
<~로 만들어지다>라는 뜻의 재료를 나타내는 전치사이다.]
- 나는 축구
하는 것을 좋아해요.
Tôi
thích chơi bóng đá. 또이
틱 쩌이 봉 다
- 나는
친구에게 전화를 건다.
Tôi gọi điện thoại cho bạn. 또이
고이 디엔 토아이 쪼 반
- 나는
친구에게 편지를 보낸다.
Tôi gửi thư cho bạn. 또이
그이 트 쪼 반
- 나는 펜
1개를 가지고 있어요.
Tôi có 1 cây bút. 또이
꼬 못 까이 붓 [※ <cây>는
숫자와 함께 쓰일 때 사용하는 종별사이다.]
- 나는
편지를 쓰면서 그녀를 그리워해요.
Tôi vừa viết thư vừa nhớ cô ấy. 또이
브어 비엣 트 브어 녀 꼬 어이 [※ <Vừa~vừa~>는
<~하면서 ~하다>라는 뜻의 상관접속사이다.]
- 나는
프랑스어와 독일어 둘 다 알아요.
Tôi biết cả tiếng Pháp và tiếng Đức. 또이
비엣 까 띠엥 팝 바 띠엥 득
- 나는
하노이에 갔어요.
Tôi đi Hà Nội. 또이
디 하 노이
- 나는 하노이
병원에서 일해요.
Tôi
làm việc ở bệnh viện Hà Nội. 또이
람 비엑 어 베인 비엔 하 노이
- 나는 하노이에
갔다 왔어요.
Tôi đi Hà Nội về. 또이
디 하 노이 베
- 나는 하
양과 김 양 둘 다 만나고 싶어요.
Tôi muốn gặp cả cô Ha lẫn cô Kim. 또이
무온 갑 까 꼬 하 런 꼬 낌 [※ <Cả
A lẫn
B>는
<A 와 B> 둘 다를 말하는 상관접속사이다.]
- 나는 학교에
가는 중이에요.
Tôi
đang đi học. 또이
당 디 혹 [※ <đang>은
<~고
있다, ~고 있는 중이다>라는
뜻으로 <현재 진행형>을 만든다.
※ 베트남어는
문장에 시간이나 때를 나타내는 단어가 있으면 시제를 생략해서
말하기도 한다.]
- 나는 학교에
가요.
Tôi
đi học. 또이
디 혹 [※ <đi>는
<가다, 걷다>라는 뜻으로 <현재형>을 만든다.
※
베트남어는 문장에 시간이나 때를 나타내는 단어가 있으면 시제를
생략해서 말하기도 한다.]
- 나는 학교에
갈 거예요.
Tôi
sẽ đi học. 또이
새 디 혹 [※ <sẽ>는
<~할
것이다>라는
뜻으로 조동사역할을
하여 미래시제를 표현하며 <미래형>을
만든다.
※ 베트남어는 문장에 시간이나 때를 나타내는
단어가 있으면 시제를 생략해서 말하기도 한다.]
- 나는 학교에
갈 예정이에요. // 나는 학교에 가려고 해요.
Tôi
định đi học. 또이
딘 디 혹 [※ <định>은
<결정하다, 정하다>라는
뜻으로 <예정된 미래형>을 만든다.
※ 베트남어는
문장에 시간이나 때를 나타내는 단어가 있으면 시제를 생략해서
말하기도 한다.]
- 나는 학교에
갔어요.
Tôi
đã đi học. 또이
다 디 혹 [※ <đã>는
<우선 ~을 했다>라는 뜻으로 <과거형>을 만든다.
※ 베트남어는 문장에 시간이나 때를 나타내는 단어가
있으면 시제를 생략해서 말하기도 한다.]
- 나는 호찌민
시에 살아요. 당신은요?
Tôi
sống ở Thành phố Hồ Chí Minh. Còn anh? 또이
송 어 타인 포 호 찌 민. 꼰 아인?
- 나도
그래요.
Tôi cũng vậy. 또이
꿍 버이
- 나도
음악을 좋아해요.
Tôi cũng thích âm nhạc. 또이
꿍 틱 엄 냑
- 나라1,
국토
Đất
nước 덧
느억
- 나라2,
물
Nước 느억
- 나를
도와주세요.
Chị Làm ơn giúp tôi. 찌
람 언 줍 또이
- 나무
Cây 꺼이
- 나비
Con bướm 꼰
브엄
- 나쁘다
Xấu 써우
- 나
씨가
한국 사람이에요.
Anh
Na là người Hàn Quốc. 아인
나 라 응어이 한 꾸옥
- 나이,
연령
Tuổi. 뚜오이 [※
나이,
연령, ~살, ~세]
- 나의,
나 자신의, 나<친구사이>
Tớ 떠
- 나의
취미는 탁구예요.
Sở
thích của tôi là chỏi bóng bàn. 쏘
틱 꾸어 또이 라 쪼이 봉 반
- 나
자신의, 나<친구사이>, 나의
Tớ 떠
- 나중,
뒤, 후
Sau 사우
- 나훔
Na-hum 나-훔 [※
성경
66권 중의 34권]
- 낙타
Lạc
đà 락
다
- 난초
Hoa lan 호아
란
- 날1,
일
Hôm 홈 [※
<Hôm>은
<날, 일>이란 뜻으로, 주로 과거의 날을 말할 때 쓰인다.]
- 날2,
일
Ngày 응아이 [※
<Ngày>는
<날, 일>이란 뜻으로, 주로 미래의 날을 말할 때 쓰인다.
날짜를 말하는 순서는 우리와 다르게 거꾸로 작은 단위부터
큰 단위로 읽어가면 된다. 이를 테면 <요일→날짜→월→해>순서가
된다.]
- 날씨1
Thời 터이
- 날씨2,
기후
Thời tiết 터이 띠엣
- 날씨가
날이 갈수록 더워져요.
Thời (càng) ngày càng nóng. 쩌이 (깡) 응아이 깡 농
- 날씨가
더울 때, 뭐가 필요해요?
Khi thời nóng, chị cần gì? 키
터이 농, 찌 껀 지? [※
<Khi thời nóng, chị cần gì?>는
<날씨가 더울 때, 뭐가 필요해요?>라는 뜻으로, <Khi+동사구+~Khi>는
<~할 때>를 나타내는 말이다.]
- 날씨가 추워서
우리는 놀러 못 가요.
Vì trời lạnh nên chúng tôi không đi chơi được. 비
쩌이 라인 넨 쭝 또이 콩 디 쩌이 드억
- 날이
갈수록 국제 우편 요금이 비싸지네요.
Giá gửi bưu phẩm quốc tế càng ngày càng
đắt. 쟈 그이 브우 펌 꾸옥 떼 깡 응아이 깡 닷
- 남(男)
Nam 남
- 남기다,
두다, ~하기 위해서
Để 데 [※
<Để>는
<~하기 위해서>라는 뜻으로, <Để+동사구>는
목적을 나타내는 말이다.]
- 남기실
메모 있나요?
Anh có nhắn gi không? 아인
꼬 냔 지 콩
- 남녀(男女)1
Nam
nữ 남
느
- 남녀(男女)2
Nam
và nữ 남
바 느
- 남동생,
동생,
여동생1
Em
trai 앰
짜이
- 남동생,
동생,
여동생2
Em
gái 앰
가이
- 남성
Đàn ông 단
옹
- 남아있다,
여전히
Còn 꼰
- 남자
Nam 남
- 남자선생님<선생님>
Thầy 터이
- 남자들은
바보입니다.
Đàn
ông ai cũng ngu. 단
옹 아이 꿍 응우
- 남자
배우
Nam
diễn viên 남
지엔 비엔
- 남자의
생식기
Buồi 부오이
- 남자친구
Bạn trai 반 짜이
- 남자친구
만나러 갔다 왔어요.
Tôi đi gặp bạn trai về. 또이
디 갑 반 짜이 베
- 남자친구와
헤어져서 슬퍼요.
Tại vì chia tay với bạn trai nên tôi
buồn. 따이
비 찌어 따이 버이 반 짜이 넨 또이 부온
- 남쪽
Phiá
nam 피어
남
- 남편
Chồng 쫑
- 내가
○○ 만나게 해주세요, ~좀 바꿔주세요
Cho tôi gặp ○○ 쪼
또이 갑 ○○
- 내가
김 씨와 만나게 해주세요. → 김 씨를 좀 바꿔주세요(전화상).
Cho tôi gặp chị Kim. 쪼 또이 갑
찌 낌
- 내가
지나가게 해주세요.
Anh cho
(phép) tôi đi qua. 아인
쪼 (팹) 또이 디 꾸아
- 내가 직접
요리해요.1
Tôi tự nấu ăn. 또이
뜨 너우 안
- 내가 직접
요리해요.2
Tôi nấu ăn lấy. 또이
너우 안 러이
- 내가 직접
요리해요.3
Tôi tự nấu ăn lấy. 또이
뜨 너우 안 러이 [※ <Tự
+ ~ lấy>는
<스스로 ~ 직접 ~하다>이라는 뜻으로 자기 자신이 직접 행위함을
의미하는 재귀동사이다.
예를들어 아래의 세 문장은 같은 의미이다.
1-<Tự
동사
앞에 위치: 내가 직접 요리해요.= Tôi tự nấu ăn.=또이
뜨 너우 안>
2-<Lấy
동사
뒤에 위치: 내가 직접 요리해요.= Tôi nấu ăn lấy.=또이
너우 안 러이>
3-<Tự
~ lấy같이
사용하기도 함: 내가 직접 요리해요.=Tôi tự nấu ăn lấy.=또이
뜨 너우 안 러이>]
- 내가
집에 가게 해주세요.
Cho tôi về nhà. 쪼 또이 베
냐
- 내가
책을 빌리게 해주세요. → 책을 빌려주세요.
Cho tôi mượn sách. 쪼 또이 므언
사익
- 내
강아지는 정말 예뻐요.
Con chó của tôi rất đẹp. 꼰
쪼 꾸어 또이 댑 람 [※ <Con>은
<특정 사실>을 말하는 베트남어 종별사이다.]
- 내과
Khoa nội 코아
노이
- 내
남동생은 항상 돈이 부족해요.
Em trai tôi luôn luôn
thiếu tiền. 앰
짜이 또이 루온 루온 티에우 띠엔
- 내년1
Năm
sau 남
사우 [※ <Năm
sau>는
<내년>이라는 뜻으로, 날짜를 나타내는 베트남어이다.]
- 내년2
Sang
năm 상
남 [※ <Sang
năm>은
<내년>이라는 뜻으로, 날짜를 나타내는 베트남어이다.]
- 내려가다
Xuống 쑤옹
- 내려가다
/ 올라가다
Xuống
/ Lên 쑤옹
/ 렌
- 내리다,
아래, 여름
Hạ 하
- 내
베트남어가 날이 갈수록 진보해요.
Tiếng Việt của tôi càng ngày càng tiến bộ. 띠엥
비엣 꾸어 또이 깡 응아이 깡 띠엔 보 [※ <Càng ~
ngày
càng~>은
<날이 갈수록 ~하다>라는 베트남어 상관접속사이다.]
- 내
생각에는~
Theo
tôi, ~ 태오
또이, ~ [※ 직역하면 <나에 따르면>이라른 뜻이지만
관용적으로 <내 생각에는~>이라고 자기 의견을 말할 때
사용한다.]
- 내
어머니는 매년 조금씩 늙어가세요.
Mẹ tôi mỗi năm một già. 매
또이 모이 남 못 쟈
- 내일
Ngày
mai 응아이
마이 [※ <Ngày
mai>는
<내일>이라는 뜻으로, 날짜를 나타내는 베트남어이다.]
- 내일
나는 이 책을 다시 읽을 거예요.
Ngày mai tôi lại đọc quyển sách này. 응아이
마이 또이 라이 독 꾸이엔 사익 나이
- 내일
날씨가 나빠질 거예요.
Ngày mai thời tiết sẽ trở nên xấu. 응아이
마이 터이 띠엣 새 쩌 넨 써우
- 내일
만납시다.
Hẹn gặp ngày mai. 핸
갑 응아이 마이
- 내일
시간 있니?
Ngày mai, có thời không? 응아이
마이 꼬 터이 콩?
- 내일
아침에 나는 '다낭'으로 가요.
Sáng mai tôi ra Đà Nẵng. 상
마이 또이 자 다 낭 [※ 베트남 남쪽에서 북쪽으로 갈 때<ra=나가다>
동사를 쓰고, 북쪽에서 남쪽으로 갈 때 <Vào=들어가다/오다>라는
동사를 쓴다.
위의 문장은 지금은 '다낭'보다 아래지역에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 내일은
무슨 요일이에요?
Ngày
mai là thứ mấy? 응아이
마이 라 트 머이?
- 내일은
비가 와요.
Ngày mai trời mưa. 응아이
마이 쩌이 므어 [※ 베트남어로 날씨를 말할 때
<trời
~>라고
표현한다.]
- 내일은
토요일이에요.
Ngày
mai là thứ bảy 응아이
마이 라 트 바이
- 내일
저녁 8시
Năm giờ tôi
ngày
mai 남
져
또이 응아이 마이 [※
베트남에서는 시간대를 말할 때 우리말과 반대로 말한다. 시간을
먼저 말하고 하루 중 시간대를 붙인다.]
- 내일
저는 당신을 만날 수 없어요.
Ngày mai tôi không thể gặp anh được. 응아이
마이 또이 콩 테 갑 아인 드억
- 내
자전거는 새것이에요.
Chiếc xe đạp của tôi mới. 찌엑
쌔 답 꾸어 또이 머이
- 내
친구는 베트남어 공부하면서 일을 해요.
Bạn tôi vừa học tiếng Việt vừa làm việc. 반
또이
브어 혹 띠엥 비엣 브어 람 비엑 [※ <Vừa~vừa~>는
<~하면서 ~하다>라는 뜻의 상관접속사이다.]
- 내
친구는 정말 예뻐요.1
Bạn
tôi đẹp lắm. 반
또이 댑 람
- 내
친구는 정말 예뻐요.2
Bạn
tôi xinh lắm. 반
또이 씬 람
- 내
친구는 정말 좋아요.
Bạn tôi
tốt quá. 반
또이 똣 꾸아
- 내
친구들[몇몇, 일부의]
Những bạn tôi 니응
반 또이 [※ <Những>은
해당하는 모두가 아닌 몇몇을 가리킬 때 사용한다.
베트남어에서
복수는 <Các>,
<Những>이란
단어를 명사 앞에 써서 표현한다.]
- 내
친구들 모두
Các bạn tôi 깍
반 또이 [※ <Các>은
해당하는 모두를 가리킬 때 사용한다.
베트남어에서
복수는 <Các>,
<Những>이란
단어를 명사 앞에 써서 표현한다.]
- 내후년
Năm
sau nữa 남
사우 느어 [※ <Năm
sau nữa>는
<내후년>이라는 뜻으로, 날짜를 나타내는 베트남어이다.]
- 냉차,
차가운 음료, 찬거
Đồ
uống lạnh 도
우옹 라잉
- 냐짱[베트남
중남부지방의 해변 휴양지]
Nha
Trang 냐
짱 [※ <Nha
Trang>은
베트남 중남부지방의 최고 해변 휴양지로서 아름다운 백사장과
석양이 유명하다. 최근에 만들어진 케이블카로 주변을 즐길
수 있고 <냐짱> 해변 북쪽에는 <뽀나가짬 탑>이
<참파 왕국>의 모습을 보여준다.]
- 냐짱으로
편지 한 통을 부치고 싶어요.
Tôi muốn gửi một bức thư đền Nha Trang. 또이 무온 그이 못 븍 트 덴 냐 짱
- 너1,
<아랫사람>, 학생<선생님이 부를 때>, 동생
Em 앰 [※
<Em>은
동생, 학생<선생님이 부를 때>, 너<아랫사람>,
남녀 성별 구분 없이 나보다 손아랫사람에게 칭하는 2인칭 호칭이다.
우리말에도 2인칭 호칭이 다양하듯, 베트남에서도 호칭을 중요하게
생각한다.]
- 너2,
<친구사이>, 외삼촌
Cậu 꺼우
- 너3,
<친구사이>, 친구, 동료
Bạn 반
- 너는
어느 나라 사람이니?
Em
là người nước nào? 앰
라 응어이 느억 나오? [※ <Em
là người nước nào?>는
<어느 나라 사람이니?>라는 국적을 묻는 표현으로 가장
일반적으로 묻는 질문이다.]
- 너
몇 살이니?
Cháu
mấy tuổi? 짜우
머이 뚜오이? [※ 10살 미만 어린아이에게 나이를 묻는
표현]
- 너무
많은, 잉여의, 남는[수, 양]
Thừa 트어 [※
<Thừa>는
<수와 양에 있어서 너무 많은, 잉여의, 남는>이라는 뜻으로 수량을 나타내는 베트남어이다.
예를
들어 <이 방에는 너무 많은 책상이 있어요.=Phòng này thừa bàn.=퐁
나이 트어 반>]
- 너무
좋습니다.
Tốt quá. 똣
꾸아
- 너무
피로해서 그는 일찍 자러 갔어요.
Vì mệt mỏi quá nên anh ấy đi ngủ sớm. 비
멧 모이 꾸아 넨 아인 어이 디 응우 섬 [※ <Vì+원인+nên+결과>는
<원인 때문 결과 ~하다>라는 뜻의 상관접속사이다.]
- 너
영화 보고 싶어?
Em
có muốn xem phim không? 앰
꼬 무온 쌤 핌 콩?
- 넉넉한,
부자인
Giàu có 자우
꼬
- 넓은
Rộng 롱
- 넓은
/ 좁은
Rộng
/ Chặt 롱
/ 쩟
- 네,
그럼 안녕히 가세요.
Vâng,
anh đi ạ. 벙,
아잉 디 아
- 네,
맞아요. 저는
교수예요.
Da,
phải. Tôi là giáo sư. 자,
파이. 또이 라 쟈오 스
- 네
번째
Thứ
tư 트
뜨 [※ 서수를 말할 때 첫 번째는 <못=một=1>
대신 <녓=Nhật=하나,
첫째>, 네 번째는 <본=bốn=4>
대신 <뜨=Tư=4,
넷>로 바뀌는 점이 다르다.
요일도 마찬가지로 이러한
서수를 쓴다. 일요일은 <트 못=Thứ
một>이
아닌 <쭈
녓=chủ
nhật>,
수요일은 <트 본=Thứ
bốn>이
아닌 <트
뜨=Thứ
tư>이다.]
- 네.
베트남어 공부해요.
Có.
tôi học tiếng Việt. 꼬.
또이 혹 띠엥 비엣
- 네,
저는 쌀국수 먹는 것을 좋아해요.
Vâng,
tôi thích ăn phở. 벙,
또이 틱 안 퍼
- 네!
저는 오빠 가족 사진을 정말 보고 싶어요.
Có!
Tôi rất muốn xem ảnh gia đình của anh. 꼬!
또이 젓 무온 쌤 안 쟈 딘 꾸어 안
- 네.
저는 이미 결혼했어요.1
Rồi.
Toi đã lập
gia dình rồi. 조이.
또이 다 럽 쟈 딘 조이
- 네.
저는 이미 결혼했어요.2
Rồi.
Toi đã sự
kết
hôn rồi. 조이.
또이 다 쓰 껫 혼 조이
- 네,
저는 한국 사람이에요.
Vâng,
tôi là người Hàn Quốc. 벙,
또이 라 응어이 한 꾸옥
- 네.
저 이미 식사했어요.
Rồi tôi đa ăn cơm rồi. 조이
또이 다 안 껌 조이
- 네, 처음이에요.
Vâng,
đây là lần đầu tiên. 벙, 더이 라 런
더우 띠엔
- 네덜란드
Hà
Lan 하
란
- 넷,
4
Tư 뜨
- 넷째손가락,
약지, 무명지, 반지를 끼는 손가락
Ngón
đeo nhẫn 응온
대오 년
- 녀(女)
nữ 느
- 년,
해
Năm 남
- 노란색,
금색
Vàng 방
- 노래1,
노래하다
Hát 핫
- 노래2,
노래하다
Bày
hát 바이
핫
- 노인
lão nhân 라오
년
- 노트북
máy tính xách tay 마이
띤 싸익 따이
- 녹차1
Trà xanh 짜
싸인
- 녹차2
Chè xanh 째
싸인
- 높은,
키가 큰
Cao 까오
- 놓치다
Nhỡ 녀
- 누가
누구를 사랑해?
Ai
yêu ai? 아이
이에우 아이?
- 누가
누구에게 편지를 써요?
Ai viết thư cho ai? 아이 비엣 트 쪼 아이?
- 누가
베트남어를 해요?
Ai
nói tiếng Việt? 아이
노이 띠엥 비엣?
- 누가복음
Tin mừng do Lu-ca ghi lại 띤
믕 조 루-까 지 라이 [※
성경
66권 중의 42권]
- 누가
중국에 가요?
Ai đi Trung Quốc? 아이
디 쭝 꾸옥?
- 누가
한국 사람이에요?
Ai là người Hàn Quốc? 아이 라
응어이 한 꾸옥
- 누구,
누구를
Ai [※
<Ai=아이>는
'누구'에 해당하는 인칭대명사이다. 누구, 누구를 모두 <ai>로
쓴다.]
- 누구나
이 사실을 알아요.
Ai cũng biết sự thật này. 아이
꿍 비엣 스 텃 나이
- 누구든지
이 사실을 알아요.
Người nào cũng biết sự thật này. 응어이
나오 꿍 비엣 스 텃 나이
- 누구나
이 산에 대해 궁금해해요.
Ai cũng tò mò về núi này. 아이 꿍 또 모 베 누이 나이
- 누구
중국 가는 사람 있어요?
Có ai đi Trung Quốc không? 꼬
아이 디 쭝 꾸옥 콩?
- 누구
차례인가요?
Đến
lượt ai đây? 덴
르엇 아이 더이
- 누구
피곤한 사람 있어요?
Có ai mệt không? 꼬
아이 멧 콩 [※ <누군가=ai=아이>,
<무엇인가=gì=지>,
<어떠한 것=nào=나오>,
<어딘가=đâu=더우>는
일정하지 않은 부정(不定) 명사로 사용된다.]
- 누군가에게
부탁 할 때 예의 있게 사용하는 표현
Làm ơn 람
언 [※ <Làm ơn>는
누군가에게 부탁할 때 예의 있게 사용하는 표현이다.
예를
들어 <나를 도와주세요.=Chị Làm ơn giúp tôi.=찌
람 언 줍 또이>]
- 누군가의
허락, 허가를 구할 때 사용하는 표현
Cho
(phép) 쪼
(팹) [※ <Cho
(phép)>는
누군가의 허락, 허가를 구할 때 사용하는 표현이다.
예를
들어 <내가 지나가게 해주세요.=Anh cho
(phép) tôi đi qua.=아인
쪼 (팹) 또이 디 꾸아>
- 누나,
언니
Chị 찌 [※
<Chị>는
<언니, 누나>라는 뜻으로, 주로 손위 여성에게 쓰인다.
특히 자신보다 나이가 어려도 상대 여성을 높여줄 때 사용한다.
◆
베트남어
2인칭:
베트남어에서 <당신, 너>를 지칭하는 말은 다음과 같다.
성별, 나이에 따라 단어가 달라진다.
① <할아버지=옹=Ông=나이가
지긋하거나 사회적 지위가 높은 남성에게 쓰임> ② <할머니=바=Bà=나이가
지긋한 여성에게 쓰임>
③ <오빠, 형=아인=Anh=손위 남성에게 쓰임(자신보다 나이가
어려도 상대를 높여줄 때 사용> ④ <누나, 언니=찌=Chị=손위
여성에게 쓰임(자신보다 나이가 어려도 상대를 높여줄 때 사용>
⑤ <고모=꼬=Cô=성인
여자, 여자 선생님에게 쓰임> ⑥ <동생=앰=Em=나이가
어린 사람에게 남녀 구분 없이 쓰임>]
- 누나들,
언니들
Các
Chị 깍
찌 [※ 2인칭 복수는 2인칭 앞에 <Các=깍>을
붙인다.]
- 눈1[사람의],
시력, 과일등의 눈, 비싼
Mắt 맛/맡
- 눈2(雪)
Tuyết 뚜옛
- 눈동자1
Đồng tử 동
뜨
- 눈동자2
Con ngươi 꼰
응어이
- 눈썹
Lông mày 롱
마이
- 뉴질랜드
Niu-di-lan 니우
지 런
- 느끼다,
보다, 발견하다
Thấy 터이
- 느억맘,
소금에 절인 생선 액젓, 베트남 전통 젓갈 간장
Nước
mắm 느억
맘 [※ <nước
mắm>은
<소금에 절인 생선 액젓, 베트남 전통 젓갈 간장>을 말한다.
베트남 요리의 맛을 내는 기본은 <느억 맘=>이라는
생선으로 만든 소스이다. 우리나라 젓갈 냄새처럼 그 강렬한
냄새가 좀 거북하다는 사람도 있지만 익숙해지면 이것이야말로
베트남 요리의 독특한 맛임을 느끼게 된다.
만드는 방법은
물에 식초를 약간 타고 설탕과 고춧가루를 넣어서 만든 양념소스이다.
어떤 요리에나 잘 어울린다.]
- 느헤미야
Nê-hê-mi 네-헤-미 [※
성경
66권 중의 16권]
- 늑대
Chó
sói 쪼
쏘이
- 늙다
Già 쟈
- 늦어서
죄송해요.
Xin
lỗi vì đến muộn. 씬
로이 비 덴 무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