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꽃) 무엇인가?

진흙속에서 자라면서도 청결하고 고귀한 식물 연꽃

 

 

 

 

 

 

 

 

 

 

 

 

 

 

 

 

[연꽃의 잎, 꽃봉오리, 연꽃잎의 물방울, 꽃, 열매, 종자, 발아된 종자, 뿌리의 모습, 사진출처: 일본/대만/한국 구글 이미지 검색]

▶ 강장작용,
강심 작용, 소염작용, 수렴작용, 진통작용, 지혈작용, 신경안정작용, 신경의 피로를 회복시키는 작용, 콜레스테롤치를 떨어뜨리는 작용, 비인암을 억제하는 작용, 자양, 강장, 건비지사, 양심익신. 비허복사, 유정, 실면다몽, 붕루대하. 불면증, 유정, 조루, 축농증, 백탁, 백대, 설사, 구토, 이질, 위궤양, 위십이지장궤양, 치질, 반위토식, 음식물이 내려가지 않을 때, 때때로 가슴이 답답하거나 열이 나고 목이 말라 갈증이 나며, 구토 설사를 하거나 식욕이 부진할 때, 소변이 뜨거워 찔끔찔끔 나오거나 소변이 노랗고 아픈 데, 생선이나 게 중독, 동상, 코에서 피가 날 때나 자궁 하혈, 대소변 하혈, 토혈에, 치루, 대 소변 하혈 자궁 하혈, 산후 하혈, 양위불기나 일어서도 힘이 없고 오래 못 갈 때, 산후 갑자기 가슴, 위와 장 또는 자궁이 아플 때, 오래된 혈리, 풍치나 충치로 아플 때, 소변이 잦은 것, 신장의 기운이 쇠약한데, 토혈과 하혈, 가슴이 뛰고 불안하며 안면이 광택이 없고 기력이 허약하여 열이 나며 체질이 약하고 빈혈이 있을 때, 타박상, 경수가 찜끔찔끔 멎지 않을 때, 풍습 창독, 수종병, 각기 습종통양, 전신 풍습양[일체의 피부병], 감에 체한 데, 폐결핵, 지혈, 각혈, 코피가 나는 데, 버섯 중독, 음종통양, 남성의 악성 유종, 위출혈, 폐출혈, 피부 반진종창, 허열, 빈혈, 비위 쇠약에서 오는 소화불량, 체력 쇠약, 만성 설사, 심장병, 심계정충, 초조불안, 가슴이 뛰고 답답할 때, 소변 요혈, 혈림, 태반이 나오지 않을 때, 추락에 의한 손상과 토혈, 추락과 타박으로 인한 적혈, 심위의 토혈이 멈추지 않는 증상, 천포창의 수포, 고혈압, 저혈압, 자궁근종, 숨이 차고 가슴이 뛸 때, 정신장애, 신경의 불안정, 자율신경실조증, 갑상선 장애, 신경 안정, 위장을 튼튼하게 하는데, 강정, 구내염, 방광에 염증이 있을 때, 술에 취했을 때, 기관지염, 심한 기침, 가래가 낄 때, 코피, 열이 날 때, 위장병에 걸리기 쉬운 체질 개선, 갱년기 장애, 중기와 신을 보하고 기운이 나게 하며 눈과 귀를 밝게 하며 자양하고 안신하데, 스트레스를 다스리는 연꽃

연꽃은 쌍떡잎식물 미나리아재비목 수련과의 여러해살이 수초이다.

학명은 <Nelumbo nucifera>이다. 아시아 남부와 오스트레일리아 북부가 원산지이다. 진흙 속에서 자라면서도 청결하고 고귀한 식물로, 여러 나라 사람들에게 친근감을 주어 온 식물이다. 연못에서 자라고 논밭에서 재배하기도 한다. 뿌리줄기는 굵고 옆으로 뻗어가며 마디가 많고 가을에는 특히 끝부분이 굵어진다.

잎은 뿌리줄기에서 나와서 높이 1∼2m로 자란 잎자루 끝에 달리고 둥글다. 또한 지름 40cm 내외로서 물에 젖지 않으며 잎맥이 방사상으로 퍼지고 가장자리가 밋밋하다. 잎자루는 겉에 가시가 있고 안에 있는 구멍은 땅속줄기의 구멍과 통한다.

꽃은 7∼8월에 피고 홍색 또는 백색이며 꽃줄기 끝에 1개씩 달리고 지름 15∼20cm이며 꽃줄기에 가시가 있다. 꽃잎은 달걀을 거꾸로 세운 모양이며 수술은 여러 개이다. 꽃받침은 크고 편평하며 지름 10cm 정도이고 열매는 견과이다. 종자가 꽃받침의 구멍에 들어 있다. 종자의 수명은 길고 2천 년 묵은 종자가 발아한 예가 있다. 품종은 일반적으로 대륜, 중륜, 소륜으로 나눈다.

잎은 수렴제, 지혈제로 사용하거나 민간에서 오줌싸개 치료에 이용한다. 땅속줄기는 연근(蓮根)이라고 하며, 비타민과 미네랄의 함량이 비교적 높아 생채나 그 밖의 요리에 많이 이용한다. 뿌리줄기와 열매는 약용으로 하고 부인병에 쓴다.

민속과 전승

영어의 로터스는 연과 수련을 함께 취급한다. 나일강가에서 피는 이집트인의 신성한 로터스는 수련이고 그리스 신화에서 식연인(lotus eater)이 먹은 로터스는 벌노랑종류이다. 인디안로터스(Indian lotus)는 연이며 인도의 고대 민속에서 여성의 생식을 상징하고 다산(多産), 힘과 생명의 창조를 나타낸다. 또한 풍요·행운·번영·장수·건강 및 명예의 상징 또는 대지와 그 창조력, 신성 및 영원불사의 상징으로도 삼았다. 인도에서는 BC 3000년경으로 추정되는 연꽃의 여신상(女神像)이 발굴되었고, 바라문교(婆羅門敎)의 경전에는 이 여신이 연꽃 위에 서서 연꽃을 쓰고 태어났다는 기록이 있다.

불교의 출현에 따라 연꽃은 부처의 탄생을 알리려 꽃이 피었다고 전하며, 불교에서의 극락세계에서는 모든 신자가 연꽃 위에 신으로 태어난다고 믿었다. 인도에서는 여러 신에게 연꽃을 바치며 신을 연꽃 위에 앉히거나 손에 쥐어주며, 불교에서도 부처상이나 스님이 연꽃 대좌에 앉는 풍습이 생겼다. 중국에서는 불교 전파 이전부터 연꽃이 진흙 속에서 깨끗한 꽃이 달리는 모습을 속세에 물들지 않는 군자의 꽃으로 표현하였고 종자가 많이 달리는 현실을 다산의 징표로 하였다. 중국에 들어온 불교에서는 극락세계를 신성한 연꽃이 자라는 연못이라고 생각하여 사찰 경내에 연못을 만들기 시작하였다.  

연꽃은 인도와 중국을 중심으로 열대, 온대의 동부아시아에서 남쪽으로는 호주, 서쪽으로는 카스비해지방, 동쪽으로 한국, 일본 등에 널리 분포하고 있다. 물속에서 가련한 꽃을 피우는 수련과 연꽃의 아름다운 모습을 보고 많은 사람들은 '물의 요정'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연꽃은
수련과(Nymphaeaceae)에 속하며 전세계에 약 8속 100여 종이 분포하고 있으며, 우리나라에는 약 5속 9종이 분포하고 있다. 하지만 연꽃을 재배하는 사람들이 늘어나 외래종이 꾸준히 들어오고 있어 그 종류는 계속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또한 교배를 통한 원예종이 계속 탄생하고 있어 꽃을 관상하기 위해 특별히 개량된 원예용 연꽃은 화련(花蓮)이라고도 부른다. 육종기술을 통해서 중국에서는 수십 년 동안 원예종사자들은 각종 육종 방식을 통해 300여 종의 새로운 연꽃 품종을 개발하여 다양화시켰다고 한다. 이미 전세계적으로 품종을 개발한 품종수가 수백종이 넘는다고 알려져 있어 품종수는 앞으로도 계속 늘어날 것으로 추측해 볼 수 있다.  

잠자는 연꽃이란 뜻의 수련(睡蓮)의 꽃은 오전 중에 열렸다가 오후에는 닫히는 운동을 3~4일간 반복한다. 밤에는 꽃을 오므리고 있기 때문에 자고 있는 것처럼 보이기도 한다. 그러나 연꽃도 마찬가지로 오전에 열렸다가 오후에 닫히는 운동을 반복하기 때문에 밤에 잔다고 말할 수 있다. 대체로 초여름에서 음력 7월 보름을 지날 때까지가 개화기로 알려져 있다. 꽃은 보통 동트기 전 이른 아침부터 개화를 시작해 오후에는 오므리는 것이 많아서 연꽃 관람 모임등은 아침부터 개최되는 것도 이런 이유 때문이라고 한다. 연꽃도 수련처럼 3일 정도 개폐를 반복하여 4일째가 되면 꽃잎을 떨어뜨리고 꽃턱(화탁)만을 남긴다. 남겨진 꽃턱에는 몇 주 후에 씨앗이 생긴다.

수련은 수련과 수련속에 포함되는 부엽성 식물이며, 연꽃은 연꽃과 연꽃속에 포함되는 정수식물이다. 즉 수련은 잎이 수면에 뜬다고 하여 부엽 식물이라고 하는데, 하지만 수련도 밀집 상태나 재배 용기가 작은 경우에는 잎을 위로 뻗기도 한다. 연꽃은 잎을 일으켜 세우는 식물이라고 하여 정수 식물이라고 한다. 또한 수련의 잎에는 발수성이 없는데, 연꽃의 잎에는 강한 발수성이 있어서 물방울이 잎 표면에 떨어지면 구슬처럼 굴러다닌다. 수련은 땅속줄기의 속이 꽊 차 있는데 반해, 연꽃의 땅속줄기는 속에 구멍이 나 있는 소위 연근이라는 점 등의 다양한 차이가 있다. 수련은 수면에 사뿐히 떠 있고, 연꽃은 일어서서 물 위에 우거져 있어 잎이 생긴 모양도 다르고 외관상으로 쉽게 구분할 수 있다.

수련은 크게 온대종인 온대 수련과 열대종인 열대 수련으로 분류할 수 있다.

순채속(Brasenia Schreber)에 '순채(Brasenia schreberi J. F. Gmelin)'가 전세계와 우리나라에 1종이 분포하고 있다.

개연꽃속(Nuphar Smith)에 구대륙과 북아메리카에 약 10종 이상이 분포하고 있으며, 우리나라에는 약 4종이 분포되어 있다. '참개연꽃(긴잎좀련꽃, 개련꽃: Nuphar japonicum De Candolle)', 오제왜개연꽃(남개연꽃: Nuphar pumilum (Timm.) De Candolle var. ozeense (Miki) Hara), 왜개연꽃(애기좀련꽃, 왜개련꽃: Nuphar subintegerrimum (Casp.) Makino)가 자라고 있다.

가시연꽃속(Euryale Salisbury)은 전세계에 유일하게 1종이 분포하고 있으며 우리 나라에도 '가시연꽃(가시련: Euryale ferox Salisbury)' 1종이 자라고 있다. 가시연꽃은 수련과 연꽃과는 달리 1년초로서 이듬해에는 채종해 놓은 종자에서 생육할 필요가 있다.  

수련속(Nymphaea Linne)은 전세계에 약 50종이 자라고 있으며 우리나라에는약 2종이 분포하고 있다. '수련(Nymphaea tetragona Georgi)', '각시수련(각씨수련, 애기수련: Nymphaea minima Nakai)'이 자라고 있다.

연꽃속(Nelumbo Adanson)은 전세계에 2종이 자라고 있으며 우리나라에는 1종인 연꽃(련꽃: Nelumbo nucifera Gaertner)이 자라고 있다. 주로 뿌리를 식용으로 쓰기 위해 많이 재배한다. 우리나라, 일본, 중국, 인동 등 아시아를 중심으로 분포하는 동양종(Nelumbo nucifera)과, 주로 북미를 중심으로 분포하는 미국종(N. pentapetala)의 2종이 있다. 미국종은 꽃이 노란색이라 키바나 즉 황화(黃花) 연꽃이라고도 불린다. 이에 반해 동양종의 연꽃은 빨간색과 흰색 그리고 그 중간 색이 있는데, 이점이 양자의 명확한 차이라고 하며, 이 두 종은 교배가 가능하며 최근에는 두 종의 교배종이 개발되어 새롭게 황적, 황백 등의 꽃 색깔을 나타내는 품종도 탄생했다고 한다. 연꽃은 수련과는 달리 잎이 서 있어서 수면보다 높게 뜨고, 꽃도 수면 보다 높이 올라가서 개화한다. 또 연꽃의 땅속줄기는 가늘고 긴데, 이것이 땅속을 기듯이 상당히 길게 자라나서 수십 cm 간격으로 마디를 형성한다. 이 마디에서 한 쌍의 꽃과 선잎 그리고 영양을 흡수하기 위한 가는 뿌리가 나온다. 또 마디에서 가지가 나뉘면서 다른 줄기가 자라나는데, 원래의 줄기와 새로 갈라져 나온 줄기가 각각 다시 자라나서 또 다른 줄기로 나누어지기 때문에 실제로는 상당한 수의 마디가 존재하게 된다. 가을이 되면 땅속줄기 끝의 여러 마디가 비대해져서 연근이라고 불리는 비대줄기를 형성한다. 연근은 영양을 저장하여 겨울을 휴면하면서 이겨 내기 위한 것으로 식용 및 약용을 한다. 미국 원주민들도 식용으로 이용했다고 알려져 있다. 그러나 관상용 연꽃인 화련은 그다지 크지 않기 때문에 식용으로는 적합하지 않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빅토리아속(Victoria)은 전세계에 2종이 있으며, 빅토리아연꽃(Victoria regia)의 원종은 남미 아마존 강 유역에서 자생하는 '아마조니카 종(Victoria amazonica)'과 남미 파라과이 등지에서 자생하는 '크루지아나 종(Victoria cruziana)'이 있으며, 이 두 종의 교배종인 '롱우드 종(V. 'longwood Hybrid')'이 있다. 빅토리아도 가시연꽃처럼 1년초로 알려져 있는데, 실제로 자생지의 기상 조건인 우기와 건기의 영향을 크게 받지 않는 식물원 온실 내에서는 3년 가량 생육할 수 있다고 한다. 빅토리아는 열대 식물답게 높은 수온에서 상당히 빠르게 성장하며, 번식은 가시연과 마찬가지로 종자로만 가능하다.

빅토리아연꽃의 거대한 쟁반같이 생긴 잎은 독특한 아름다움이 있고, 꽃에서는 좋은 향기가 나며 수련과 식물 중 개체가 가장 크기 때문에 '왕련(王蓮)'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왕련의 열매는 삭과(
蒴果)로 구형 또는 구형에 가깝다. 꽃이 떨어진 후 물속으로 가라앉으면 익는다. 껍질은 날카로우며 익은 후에 벌어지고 종자가 물속으로 흩어진다. 종자는 씨껍질, 배, 배유로 이루어져 있다. 원형 또는 타원형이고, 직경은 0.8~0.9cm로 가시연의 열매나 완두콩과 비슷하다. 열매 하나에 250~300개의 종자를 가지고 있다. 모체에서 떨어진 종자는 녹색 또는 어두운 녹색을 띤다. 물에 젖은 1천 개 종자의 무게는 328.2g이라고 한다. 종자는 풍부한 전분을 포함하고 있어 탕을 끓여 먹으면 더위를 해소하는 데 효과가 있다고 전해지며, 종자는 마치 옥수수같이 생겼다고 하여 '물속의 옥수수'라고 불리기도 한다. 

중국에서 펴낸
<중약대사전>에서는 연의 종자를 연자(蓮子), 연의 가는 뿌리 줄기를 우밀(藕蔤), 연의 비후된 뿌리줄기를 우(藕), 연의 근경의 마디 부분을 우절(藕節), 잎을 하엽(荷葉), 잎의 기부를 하엽체(荷葉蒂), 잎자루 혹은 꽃자루를 하경(荷梗), 꽃봉오리를 연화(蓮花), 꽃받침을 연방(蓮房), 수술을 연수(蓮鬚), 종피를 연의(蓮依), 배아를 연자심(蓮子心)이라고 하며 모두 약용을 한다고 기록하고 있다. 주요점을 정리하면 아래와 같다.

1,
연의 종자연자[蓮子=lián zǐ=리앤
V: 신농본초경집주(神農本草經集注)], [的; :薂; 부거:芙渠: 이아(爾雅)], 우실[藕實; 수지단:水芝丹: 신농본초경(神農本草經)], 연실[蓮實: 이아(爾雅), 곽박주(郭璞注)], 택지[澤芝: 본초강목(本草綱目)], 연봉자[蓮蓬子: 산서중약지(山西中藥誌)], [蓮: 명의별록(名醫別錄)], [荷: 시경(詩經)], 부용[芙蓉; 수지:水芝: 최표(崔), 고금주(古今注)], 하스[ハス=蓮: 일문명(日文名)], 리엔[Liên: 베트남어], 연씨, 연종자 등으로 부른다.    

2,
연의 가는 가는 뿌리줄기우밀[藕蔤, 우사채:藕絲菜: 본초강목(本草綱目)], [蔤: 이아(爾雅)]라고 한다.

맛은 달며 성질은 평하고 독이 없다. 번독을 제거하고 어혈을 내린다. 효능은 비후된 뿌리줄기와 같다.

3,
연의 비후된 뿌리줄기[藕: 신농본초경(神農本草經)], 광방[光旁: 시소(詩疏)] 등으로 부른다.

가을, 겨울 및 초봄에 채취한다.  
성분은 살찐 뿌리줄기는 전분, 단백질, asparagine, 비타민 C를 함유하고 있다.  
또 catechol, d-gallocatechol, neochlorogenic acid, leucocyanidin, leucodelphinidin 등 polyphenol 화합물을 모두 0.3% 함유하는 외에 peroxydase를 함유하고 있다.

맛은 달고 성질은 차며 독이 없다. 심, 비, 위경에 작용한다.  

생것을 그대로 쓰면 열을 내리고 혈을 시원하게 하고 어혈을 제거하는 효능이 있다. 열병번갈, 토혈, 코피, 열림을 치료한다. 쪄서 익힌 다음에 복용하면 비장을 튼튼히 하고 식욕을 돋우며 혈을 보익하고 새살이 돋아나게 하며 설사를 멎게 하는 효능이 있다.

생것을 그대로 복용하거나 즙을 짜서 복용하거나 물로 달여서 복용한다. 외용시 환부에 바른다.
주의사항으로 <물류상감지>에서는 "철기를 피해야 한다."고 기록하고 있다.

4,
연의 근경의 마디 부분우절[藕節: 약성론(藥性論), 광우절[光藕節: 강소식약지(江蘇植藥誌)], 우절파[藕節
: 중약지(中藥誌)라고 한다.

가을, 겨울 또는 초봄에 채취한다. 뿌리 줄기를 파내어 흙을 깨끗이 씻어 마디 부분을 자르고 수염뿌리를 없앤 다음 햇볕에 말린다.

성분은 탄닌과 아스파라긴을 함유하고 있다. 법제 방법은 깨끗한 우절을 솥에 넣어 표면이 흑색, 속이 진한 황색으로 될 때까지 볶아서 맑은 물을 약간 뿌린 다음 말린다. 맛은 달고 떫으며 성질은 평하고 독이 없다.

지혈, 어혈을 제거하는 효능이 있다. 각혈, 토혈, 코피, 혈뇨, 혈변, 혈리, 혈붕을 치료한다.  

하루 12~20그램을 물로 달여서 복용한다. 즙 또는 가루내어 먹는다.  

5,
연의 잎하엽[荷葉: 식료본초(食療本草)], [
: 이아(爾雅)] 등으로 부른다.

채취는 6~9월에 한다. 잎자루는 제거하고 70~80% 마를 때까지 햇볕에 말리고 대칭으로 접어 반원형으로 하여 햇볕에 말린다. 여름에는 신선한 잎 또는 처음 나온 어린 잎을 쓴다.

잎에는 roemerine, nuciferine, nornuciferine, armepavine, pronuciferine, N-nornuciferine, D-N-metthylcoclaurine, anonaine, liriodenine, quercctin, isoquercitrin, nelumboside, tartaric acid, malic acid, gluconic acid, acetic acid, succinic acid, 탄닌, 구연산이 함유되어 있다. 또 향유사분열 작용이 있는 염기성 성분이 들어 있다.

연잎 법제법은 물로 깨끗이 씻고 배꼽과 가장자리를 잘라 버리고 선 모양으로 썰어 햇볕에 말린다. 또는 깨끗이 씻은 연잎을 냄비 안에 넣고 입구가 작은 냄비를 덮어서 백지로 위를 붙인다. 두 냄비가 닿는 곳을 진흙으로 봉하고 백지가 누렇게 될 때까지 태운 다음 불을 끄고 식혀서 꺼낸다.

연잎은 맛은 쓰고 떫고 맵고 약간 짜며 성질은 평하고 독이 없다. 심, 간, 비, 폐경에 작용한다. 더운 기운을 제거하고 습을 배출시키며 맑은 양기(陽氣)를 승발(升發)하고 지혈하는 효능이 있다.  습에 의한 설사, 현기증, 수기에 의한 부종, 뇌두풍, 토혈, 비출혈, 붕루, 혈변, 산후의 혈운(血暈)를 치료한다.

하루 4~12그램 신선한 것은 20~40그램을 물로 달여서 복용한다. 또 환을 짓거나 가루내어 복용한다. 외용시 찧은 것 또는 갈아서 곱게 가루낸 것을 바르거나 달인 물로 씻는다.
주의사항으로 기를 승산시켜 소모하므로 몸이 허약한 사람은 이것을 금한다. 벽오동나무 기름, 복령, 백은(白銀)을 꺼린다.

6,
연잎의 기부 하엽체[荷葉蒂, 하비:荷鼻: 본초습유(本草拾遺)], 연체[蓮
: 영남채약록(嶺南採藥錄)] 등으로 부른다.

7~9월에 연잎을 채취하여 잎 기부를 잎자루 주위 잎몸의 일부분과 함께 베어내어 햇볕에 말리거나 신선한 것을 쓴다.  

성분은 연잎꼭지는 roemerine, nornuciferine, nuciferine을 함유한다.  맛은 달고 쓰며 성질은 평하고 독이 없다. 더운 기운을 제거하고 습을 배출시키며 혈을 조화시키고 태를 안정시키는 효능이 있다. 혈리, 하리, 임신시에 태가 움직여 불안한 증세를 치료한다. 하루 6~12그램을 물로 달여서 복용한다. 또는 환을 짓거나 가루내어 복용한다. 외용시 달인 물로 씻는다.

7,
연의 잎자루 혹은 꽃자루하경[荷梗: 본초재신(本草再新)], 우간[藕桿: 수식거음식보(隨息居飮食譜)] 등으로 부른다.

6~9월에 채취하여 칼로 가시를 긁어 버리고 크게 잘라 햇볕에 말린다. 또는 신선한 것을 쓴다.  
성분은 roemirine, nornuciferine 등 많은 알칼로이드가 들어 있고 또 수지와 탄닌도 들어 있다.

열을 내리고 더운 기운을 제거하며 기의 순환을 촉진하고 소변이 잘 나오게 하는 효능이 있다. 서습흉민(暑濕胸悶), 수양성 하리, 이질, 임병, 대하를 치료한다. 하루 12~15그램을 물로 달여서 복용한다. 또는 0.5~1자를 달여 복용한다.

8,
연의 꽃봉오리연화[蓮花: 일화자제가본초(日華子諸家本草)], 함담[菡: 연꽃봉오리함, 萏:연꽃봉오리담:
시경(詩經)], 하화[荷花: 모시전(毛詩傳)], 수화[水花: 최표(崔), 고금주(古今注)], 하스노하나[ハスのはな=蓮の花, 렌게:れんげ=蓮華: 일문명(日文名)], 호아 쌘[Hoa sen: 베트남어], 연꽃, 연꽃봉오리 등으로 부른다.

6~7월에 꽃떡잎에 싸여 피지 않는 꽃봉오리와 핀 꽃을 채취하여 그늘에 말린다.  

성분은 꽃에 quercetin, luteolin, isoquercetin, luteolinglucoside, kaempferol, kaempferol-3-glucorhamnoside, kaempferol-3-diglucoside 등 여러 가지 flavonoid를 함유 한다.
맛은 쓰고 달며 성질은 따뜻하고 독이 없다. 심경, 간경에 작용한다. 혈을 잘 순환하게 하고 지혈하며 습을 제거하고 풍사를 없애는 효능이 있다. 타박상에 의한 토혈, 천포습창을 치료한다. 하루 2~4그램을 가루로 만들어 쓰거나 달여서 복용한다. 외용시 환부에 붙인다.  

9,
연의 꽃받침연방[蓮房: 식료본초(食療本草)], 연봉각[蓮蓬殼: 해상방(海上方)], 연각[蓮殼: 유문사친(儒門事親)] 등으로 부른다.

가을에 열매가 성숙되었을 때 연봉을 떼어 내어 열매 및 자루를 없애고 햇볕에 말린다.  

성분은 단백질 4.9%, 지방 0.6%, 탄수화물 9%, 조섬유 1%, 회분 1.2%, carotene 0.02%, 비타민 B1 0.17%, 비타민 B2 0.09mg%, nicotinic acid 1.7mg%, 비타민 C 17mg%가 들어 있다. 또 미량의 nelumbine을 함유하고 있다.

깨끗한 연방을 솥에 넣고 입구가 조금 작은 솥으로 덮은 후 백지를 붙이고 솥의 접합부를 진흙으로 밀봉한다. 이것을 백지가 눌어서 노랗게 될 때까지 센불로 구운 다음 불을 끄고 기다렸다가 식으면 꺼낸다.  

맛은 쓰고 떫으며 성질은 따뜻하고 독이 없다. 어혈을 제거하고 지혈하며 습을 제거하는 효능이 있다. 혈붕, 월경 과다, 유산성 출혈, 어혈에 의한 복통, 산후에 태반이 나오지 않는 증상, 혈림, 혈리, 치질 탈항, 피부 습창을 치료한다. 하루 4~12그램을 물로 달여서 복용한다. 또 환을 짓거나 가루내어 먹는다. 외용시 달인 물로 씻거나 가루내어 개어서 바른다.

10,
연의 수술연수[蓮鬚: 본초통현(本草通玄)], 금앵초[金櫻草: 본초품휘정요(本草品彙精要)], 연화수[蓮花鬚: 의학정전(醫學正傳)], 연화예[蓮花蕊: 손천인집효방(孫天仁集效方)], 연예수[蓮蕊鬚: 본초강목(本草綱目)] 등으로 부른다.

여름에 꽃이 왕성하게 필 때 수술을 채취하여 햇볕에 말린다.  

성분은 quercetin, luteolin, isoquercetin, luteolinglucosid를 함유한다. 또 알칼로이드를 함유한다.

맛은 달고 떫으며 성질은 평하고 독이 없다. 심, 신경에 작용한다. 심기를 맑게하고 신을 보익하며 정을 수렴하고 지혈하는 효능이 있다. 몽정, 유정, 토혈, 코피, 혈붕, 대하, 하리를 치료한다. 하루 3~6그램을 물로 달여서 복용하거나 환을 짓거나 가루내어 복용한다.
주의사항으로 지황, 파, 마늘을 피해야 한다. 소변이 불리한 환자는 써서는 안된다.  

11,
연의 종피연의[蓮依: 약품화의(藥品化義)], 연피[蓮皮: 본초재신(本草再新)] 등으로 부른다.

맛은 쓰고 떫으며 성질은 차고 독이 없다. 심, 비경에 작용한다. 실혈 후에 수렴하고 인삼을 좌로 하여 비음을 보하며 혈을 통합하여 경(經)에 귀속시킨다. 하루 3~5푼을 물로 달여서 복용한다.

12,
연의 배아연자심[蓮子心: 식성본초(食性本草)], [薏: 이아(爾雅)], 고의[苦薏: 본초도경(本草圖經)], 연의[蓮薏: 본초강목(本草綱目)], 연심[蓮心: 본초재신(本草再新)] 등으로 부른다.

[채취]


<연자>


<중약대사전>: "늦가을부터 초겨울에 연방(蓮房)을 따서 열매를 꺼내어 햇볕에 말린다. 또는 물속에 떨어져 있거나 흙속에 묻힌 열매를 수집하여 깨끗이 씻어 햇볕에 말린다. 또는 열매 껍질을 벗긴 후 햇볕에 말리는 경우도 있다. 서리를 맞아 잘 익어 껍데기가 흑회색인 것을 석연자(石蓮子)라고 하며 열매 껍데기를 제거한 종자를 연육(蓮肉)이라고 한다."

[약재(藥材)]


<중약대사전>: "
1, 석연자[石蓮子: 명의별록(名醫別錄)]: 첨석연(甛石蓮), 곡연자(穀蓮子), 대피연자(帶皮蓮子)라고도 한다. 둥근 달걀 모양 또는 타원형이고 양끝이 약간 뾰족하며 길이는 1.5~2cm, 지름은 0.8~1.2cm이다. 표면은 회갈색 혹은 회흑색이고 서리 같은 회백색 가루가 덮여 있으며 이것을 없애면 광택이 나고 연한 색의 작은 점이 빽빽하게 있는 것이 보인다. 위의 끝부분에는 작고 둥근 구멍이 있고 줄기 부분에 짧은 열매 꼭지가 있다. 열매 꼭지의 옆에는 원형이며 갈색의 작은 돌기가 있다. 질은 단단하고 쉽게 쪼개지지 않는다. 과피의 두께는 약 1mm이고 안쪽 표면이 적갈색이다. 속에는 종자가 하나 있는데 이것이 연육(蓮肉)이다.

냄새는 없고 맛은 떫으며 약간 달다. 색이 검고 알차며 질이 무겁고 단단한 것이 좋다.

2, 연육[蓮肉: 본초강목(本草綱目)]:
석연육(石蓮肉)이라고도 한다. 타원형으로 길이는 1.2~1.7cm, 지름이 0.7~1.2cm이다. 겉껍질은 적갈색 또는 황갈색이고 세로 무늬가 있으며 종자의 인(仁)에 딱 붙어 있고 잘 벗겨지지 않는다. 한쪽 끝은 짙은 적갈색의 유두 모양 돌기로 되어 있고 열 개구가 많이 있다. 종자의 대부분은 이미 겉껍질이 벗겨져 있고 그 표면은 황백색을 띠고 있다. 종인(種仁)은 2편으로 되어 있으며 살지고 질이 단단하며 가루 성질이 있고 가운데에는 큰 공극이 있으며 속에 녹색의 배아, 즉 연심(蓮心)이 있다. 냄새는 없고 맛은 달고 산뜻하며 약간 떫다. 크고 옹골차며 가지런한 것이 좋은 것이다. 주로 중국의 호남(湖南), 호북(湖北), 복건(福建), 강소(江蘇), 절강(浙江), 강서(江西)에서 난다. 호남(湖南)에서 나는 것이 제일 좋으며 복건(福建)은 생산량이 제일 많다. 이외에 산동(山東), 안휘(安徽), 산서(山西), 하남(河南), 요녕(遼寧), 흑룡강(黑龍江), 운남(雲南), 귀주(貴州), 섬서(陝西) 등지에서도 난다."

[성분]


<연자>

<중약대사전>: "다량의 전분과 raffinose, 단백질 16.6%, 지방 2.0%, 탄수화물 62%, 칼슘 0.069%, 인 0.285%, 철 0.0064%가 들어 있다. 자협(子莢)에 nuciferine, N-nornuciferine, oxoushinsunine와 N-noramepavine이 들어 있다. oxoushinsunine는 비인암(鼻咽癌)을 억제하는 작용이 있다."

[법제]


<연자>

<중약대사전>: "불순물을 깨끗이 제거하거나 두드려 부수어 껍질을 벗기고 배아를 없앤 다음 쓴다. 또는 석연자(石蓮子)를 가마에 넣고 물에 달여 쪼개서 껍질을 벗긴 다음 햇볕에 말린다."

[성미(性味)]


<연자>

1, <중약대사전>: "맛은 달고 떫으며 성질은 평하다."

2, <신농본초경(神農本草經)>: "맛은 달고 성질은 평하다."

3, <본초몽전(本草蒙筌)>: "맛은 달고 떫으며 기(氣)는 평한(平寒)하고 독이 없다."

4, <본초재신(本草再新)>: "맛은 달며 성질은 약간 서늘하고 독이 없다."

5, <수식거음식보(隨息居飮食譜)>: "신선한 것은 달고 평하며 건조한 것은 달고 따뜻하다."

[귀경(歸經)]


<연자>

1, <중약대사전>: "심경(心經), 비경(脾經), 위경(胃經)에 들어간다."

2, <뇌공포제약성해(雷公
製藥性解)>: "심경(心經), 위경(胃經), 방광경(膀胱經)에 들어간다."

3, <신농본초경소(神農本草經疏)>: "족태음(足太陰), 양명경(陽明經)에 들어가며 또 수소음경(手小陰經)에도 들어간다."

4, <본초신편(本草新編)>: "심경(心經), 비경(脾經), 간경(肝經), 신경(腎經)에 들어간다."

[약효와 주치]


<연자>

1, <중약대사전>: "심기를 기르고 신장을 보익하며 비장을 보하고 장을 수렴하는 효능이 있다. 밤에 꿈을 많이 꾸는 증세, 유정, 임탁, 만성 설사와 만성 이질, 허사, 부인의 자궁 출혈과 대하를 치료한다. 석연자는 이밖에 구토를 멎게 하고 소화를 증진시키는 효능이 있으며 상용하면 금구리(
口利)를 치료할 수 있다."

2, <신농본초경(神農本草經)>: "주로 중초를 보(補)하고 신(神)을 보양하며 기력을 돕는다."

3, <맹선(孟詵)>: "오장의 부족, 상중기절(傷中氣絶)을 다스리며 십이경맥(十二經脈)의 혈기를 이롭게 한다."

4, <본초습유(本草拾遺)>: "머리카락을 검게 하고 늙지 않게 한다."

5, <식의심경(食醫心鏡)>: "갈증을 멎게 하고 열을 내린다."

6, <일화자제가본초(
日華子諸家本草)>: "원기를 북돋우고 갈증을 멎게 하며 조심(助心)하고 하리(下痢)를 멎게 하며 요통과 설정(泄精)을 치료한다."

7, <일용본초(日用本草)>: "번갈을 멎게 하고 설사를 치료하며 백탁을 멎게 한다."

8, <전남본초(
滇南本草)>: "심(心)을 맑게 하고 열을 내린다."

9, <
본초강목(本草綱目)>: "심신(心腎)이 서로 통하게 하고 장위(腸胃)를 두껍게 하며 정기(精氣)를 보강하고 근골을 튼튼하게 하며 허손(虛損)을 보하고 이목(耳目)을 이롭게 하며 한습(寒濕)을 제거하고 비설구이(脾泄久痢), 적백탁(赤白濁), 여자의 대하 붕중(崩中) 등 혈병(血病)를 멎게 한다."

10, <본초비요(本草備要)>: "심기(心氣)를 맑게하고 번조(煩躁)를 제거하며 식욕을 촉진한다. 금구리(
口利), 임탁의 여러 증상을 전문적으로 치료한다."

11, <수식거음식보(隨息居飮食譜)>: "해역(咳逆)을 멎게 하고 하초를 튼튼히 하며 대소변 실금을 치료한다."

[용법과 용량]


<연자>

<중약대사전>: "내복: 2~4돈을 물로 달여서 복용한다. 또 환을 짓거나 가루내어 먹는다."

[배합과 금기
(주의사항)]

<연자>

1, <중약대사전>: "중만비창(中滿
痞脹) 및 대변이 조결(燥結)한 환자는 복용해서는 안된다."

2, <본초습유(本草拾遺)>: "날 것은 복부 창만을 일으키고 속에 있는 씨는 토기를 일으키므로 먹을 때에는 이 부분을 피해야 한다."

3, <
본초강목(本草綱目)>: "복령(茯苓), 산약(山藥), 백출(白朮), 구기자(枸杞子)를 같이 쓰면 좋다."

4, <본초비요(本草備要)>: "대변이 건조한 환자는 복용해서는 안 된다."

5, <수식거음식보(隨息居飮食譜)>: "무릇 외감(外感) 전후, 학(瘧), 저(疽), 감(疳), 치(痔), 기울(氣鬱), 비창(痞脹), 익적(溺赤: 소변이 붉은 것), 변비, 식불운화(食不運化) 즉 식체(食滯)로 소화되지 않는 것 및 산후는 모두 가려야 한다."

연뿌리, 연뿌리마디, 연꽃술, 연꽃턱, 연잎, 엽밥, 가시연꽃에 관해서 1885년에 황도연의
<방약합편>에서는 이렇게 기록하고 있다.

[연뿌리(藕=우)

藕味甘寒能淸熱   解酒消煩治諸血
우미감한능청열   해주소번치제혈


연뿌리는 달고 차서
열과 술독 없앤다오
답답한 증 멎게 하며
온갖 혈병 치료하네

○ 연뿌리마디(우절=
절)는 주로 여러 가지 혈증을 치료한다.
○ 연꽃술은 맛이 떫고 성질이 따뜻하며 청심(淸心)작용과 삽정(澁精: 정액이 저절로 나오는 것을 막는 것) 작용이 있다. 혈붕(血崩)과 토혈(吐血)을 치료하는 데 쓴다.
○ 연꽃턱(연방=蓮房)은 어혈을 헤치는 작용이 있으며 태반이 나오지 않는데 쓴다.
○ 연잎은 혈창(血脹)으로 배가 아픈 데 주로 쓴다(본초).

연밥(蓮肉: 연꽃열매, 연실)


蓮肉味甘健脾胃   止瀉澁精養心氣
연육미감건비위   지사삽정양심기


연밥은 맛이 단데
비위 기능 좋게 하고
설사 또한 멎게 하오
삽정작용 있으면서
심기 잘 보한다네

○ 연꽃열매는 12경의 혈맥을 보한다.
○ 물에 가라앉는 것을 석련(石蓮)이라고 한다.
○ 의(薏)는 즉 연실(蓮實)인데 혈증에 쓴다(본초).

가시연꽃(
실: 검실, 검인)

實味甘能益精   腰膝濕痺酸疼幷
검실미감능익정   요슬습비산동병


가시연꽃씨 맛이 단데
정을 잘 보해 주네
습비로 허리 무릎
시큰시큰 아픈 데에
흔히 쓰는 약이라오

○ 일명 계두실(鷄頭實)이라고 하는데 어린이가 많이 먹으면 잘 크지 않는다(본초).
]

연 부위의 여러가지 작용에 대해 안덕균의
《CD-ROM 한국의 약초》에서는 이렇게 기록하고 있다.

[연자육(蓮子肉)


[기원]
수련과의 여러해살이 수생식물인 연꽃 Nelumbo nucifera Gaertn.의 잘 익은 과실과 종자이다. 잎은 하엽(荷葉), 뿌리는 우절(藕節), 과방(果房)은 연방(蓮房), 암술은 연수(蓮鬚), 종자 안에 녹색의 배아는 연자심(蓮子心)이라 한다.

[성미]
연자육(蓮子肉), 하엽(荷葉), 우절(藕節), 연수(蓮鬚)의 맛은 달고 떫으며, 약성은 평범하다. 연자심(蓮子心)의 맛은 달고, 약성은 차다. 연방(蓮房)의 맛은 달고 떫으며, 약서은 따뜻하다.

[효능주치]
종인(種仁)은 보비지사(補脾止瀉), 익신고정(益腎固精), 양심안신(養心安神)하고, 하엽(荷葉)은 청서리습(淸暑利濕), 승발청양(升發淸陽), 지혈(止血)하고, 우절(藕節)은 지혈(止血), 산어(散瘀)하고, 연방(蓮房)은 산어(散瘀), 지혈(止血), 거습(祛濕)하고, 연수(蓮鬚)는 청심익신(淸心益腎), 삽정(?精), 지혈(止血)하고, 연자심(蓮子心)은 거열(去熱), 지혈(止血), 삽정(?精)의 효능이 있다.

[임상응용]


1. 연자육(蓮子肉)은 비(脾)기능이 허약해서 설사를 할 때에 비(脾)를 보(補)하여 설사를 멈추게 하는 작용을 한다. 신(腎)기능이 약해서 유정(遺精) 및 몽정(夢精)이 있을 때에 토사자(쪂絲子), 녹용(鹿茸)을 배합해서 쓰고, 부인의 백대하(白帶下:여성의 성기에서 흘러 나오는 흰 분비물)에는 백과(白果), 금앵자(金櫻子)를 배합한다. 음혈(陰血)이 휴손(虧損)되어 가슴이 뛰고 잘 놀래며 잠을 못자는 증상에 산조인(酸棗仁), 맥문동(麥門冬)을 배합해서 사용하면 그 효력이 아주 우수하다. 신경과민한 사람은 밥에 넣어 먹기도 한다.

2. 하엽(荷葉)은 여름에 설사를 그치게 하고 두통과 어지럼증을 해소시킨다. 토혈, 코피, 대변출혈, 자궁출혈을 그치게 하고, 산후에 어혈로 인한 어지럼증을 치료한다.

3. 우절(藕節)은 토혈, 코피, 대변출혈, 치질출혈, 소변출혈, 자궁출혈 등에 지혈효과가 탁월하다.

4. 연방(蓮房)은 자궁출혈, 월경과다, 대변출혈을 그치게 하고, 치질과 탈항, 피부악창에도 활용된다.

5. 연수(蓮鬚)는 꿈이 많고 몽정, 유정을 할 때에도 효력이 있으며, 토혈과 자궁출혈, 대하에도 활용되며, 이질에도 유효하다.

6. 연자심(蓮子心)은 번민이 많고 불안과 헛꿈을 꾸며 구갈이 나고 유정이 있는 것을 치료한다. 토혈을 그치게 하고, 안구출혈로 붓고 아픈 것을 다스린다.

[약리]
코와 인후에 생긴 암을 억제하는 작용이 나타났고 蓮子心의 liensinine은 혈압을 지속적으로 내리는 작용이 있다.

[화학성분]
연자육(蓮子肉)에는 다량의 전분과 raffinose, 단백질, 지방, 탄수화물, 칼륨 등이 확인되었다. 하엽(荷葉)에는 Roemerine, Nuciferine, Nornuciferne 등이 알려졌다. 우절(藕節)에는 Tannin, Asparagine이 함유되어 있다. 연방(蓮房)에는 단백질 4.9%, 지방, 탄수화물 등이 알려져 있다. 연수(蓮鬚)에는 Quercetrine, Luteolin과 Alkaloid가 함유되어 있다. 연자심(蓮子心)에는 Liensinine, Isoliensinine, Neferine 등이 함유되어 있다.

[주의사항]
변비가 있는 사람에게는 피하는 것이 좋다.]

연밥 및 가시연밥의 효능에 대해서 북한에서 펴낸
<동의처방대전> 보양처방편에서는 다음과 같이 기록하고 있다.

[연밥(연자:蓮子)

8-9월에 검고 딴딴한 여문씨를 받아 햇볕에 말린다. 물에 불리어 양쪽 머리 부분과 꼬리 부분을 얇게 썬 다음 껍질을 버리고 쓰는데 이것을 연육이라고 한다. 이것을 다시 물에 불리어 붉은 속껍질을 벗기고 푸른 싹을 없앤다. 

약에 넣을 때에는 쪄서 볕에 말리거나 불에 말려 가루낸다.

[효능 및 맞음증]


중기를 보하고 신을 보하며 기운이 나게 하고 허열을 없애며 심을 자양하고 안신한다.

설사, 두통, 흐린오줌, 이슬, 붕루 등에 쓴다.

[처방예]


① 비가 허하여 설사하거나 유정이 있고 가슴이 두근거리며 잠을 자지 못하는 데는 연밥의 껍질과 심을 버리고 가루내어 죽을 쑤거나 밥을 지어 먹는 것이 좋다. 가루내어 술이나 미음에 마음대로 먹을 수 있다(한번에 8g 정도).

② 연밥죽: 연밥(껍질과 심을 버린 것) 20g을 보드랍게 가루내어 입쌀 450g과 함께 죽을 쑤어 하루에 2-3번 먹는다. 이것을 오래 먹으면 중기를 보하고 기억력을 좋게 하며 눈, 귀를 밝게 한다.

③ 연자병: 석련육 1500g을 보드랍게 하루내어 한 숟가락씩 꿀물에 풀어서 먹는다. 이 약은 중기를 보하고 심을 자양하고 안신하며 눈, 귀를 밝게 하고 늙는 것을 막는다.

가시연밥(검인:芡仁=검실:)

[효능 및 맞음증]

중기와 정기를 보하고 신을 보하며 눈, 귀를 밝게 한다. 
습비, 허리, 잔등, 무릎아픔, 흐린오줌, 유정, 이슬 등에 쓴다.

[처방예]


① 유정, 흐린오줌, 신경쇠약, 만성 소대장염 등이 있는 데는 가시연밥, 금앵자를 같은 양으로 보드랍게 가루내어 섞어서 꿀알약을 만들어 한번에 3-5g씩 하루 3번 먹는다.

② 오줌소태, 유정 등이 있는 데는 백복령과 가시연밥을 함께 보드랍게 가루내어 꿀알약을 만들어 한번에 3-5g씩 빈속에 먹는다.

③ 가시연밥죽: 눈, 귀를 밝게 하고 늙는 것을 막는 데는 가시연밥 가루 300g과 흰쌀 150g으로 죽을 쑤어 2번에 나누어 빈속에 먹는다.

④ 연밥가시연밥죽: 연밥(껍질과 연심을 버린 것) 240g, 가시연밥(잡질을 없앤 것) 160g, 백복령(보드랍게 가루낸 것) 120g, 잣(가루낸 것) 260g

위의 약을 보드랍게 가루내어 잣가루를 내놓고 나머지 약을 섞어서 매번 40g에 잣가루 20g을 섞은 다음 물 1.8리터와 싸라기 즉 부스러진 쌀알을 함께 넣고 죽을 쑤어 꿀물을 조금 타서 하루에 3번 정도 먹는다. 이 약은 몸이 쇠약하고 마음이 불안하고 기력이 나지 않으며 눈, 귀가 어두워지고 머리가 맑지 못한 데 쓴다.

⑤ 마가시연밥죽: 마(쪄서 껍질을 버린 것) 600g과 가시연밥(익혀서 껍질을 버린 것) 300g을 가루내어 흰쌀 750g을 넣고 죽을 쑤어 빈속에 먹는다.

또한 부추씨 75-85g을 가루내서 넣고 죽을 쑤거나 먹을 때에 술 180-360밀리리터 정도 함께 마셔도 좋다. 원기가 허하고 기억력이 나빠지며 유정이 있는 데도 쓴다.

[참 고]


가시연밥에는 단백질, 탄수화물, 기름, 당분, 녹말 등이 있다.
임상에서 수렴약으로 쓰며 만성 소대장염, 유정, 야뇨증, 이슬 등에
쓴다.]

연꽃의 효능에 대해서 중국에서 펴낸 <중국본초도록> 제 3권 65면 1110호에서는 다음과 같이 기록하고 있다.

[연자(蓮子)

기원: 수련과(睡蓮科: Nymphaeaceae)식물인 연(蓮=연꽃: Nelumbo nucifera Gaertn.)의 건조한 과실(果實) 또는 종자(種子)이다.

형태: 다년생(多年生)의 수생(水生) 초본(草本)이다. 근상경(根狀莖) 즉 연우(蓮藕)는 옆으로 뻗으며 비대(肥大)하고 마디가 많다. 잎은 마디에서 나는데 크며 원형(圓形)이고 분녹색(粉綠色)이며, 잎자루는 잎의 중앙에 달리고 길며 가시가 많다. 여름철에 꽃인 하화(荷花)가 피는데 단생(單生)하고 겹꽃이며 홍색(紅色), 분홍색(粉紅色) 또는 백색(白色)으로 향기가 나고, 수술인 연수(蓮鬚)와 심피(心皮)는 여러개인데 심피(心皮)는 도원추형(倒圓錐形)의 화탁(花托)속에 묻혀 있으며, 자방(子房)은 타원상(橢圓狀) 구형(球形)이고, 꽃이 진 후 화탁(花托)이 팽대해져 연방(蓮房)을 이루는데 정부(頂部)가 편평하고 작은 구멍이 20∼30개가 있고 작은 구멍마다 그 안에 황갈색(黃褐色)의 과실(果實)이 하나 들어 있다. 종자(種子)는 유백색(乳白色)으로 속에는 녹색(綠色)의 방망이 모양의 배(胚) 즉 연자심(蓮子心)이 들어 있고 배(胚)를 제거한 종자를 <연육(蓮肉)>이라 이른다.




[연꽃, 연실, 종자, 종자싹의 모습, 사진 출처: 중국본초도록 및 일본 구글 이미지 검색]

분포: 늪, 연못, 얕은 호수에서 자란다. 중국 각지에서 광범위하게 재배된다.

채취 및 제법: 9∼10월사이 과실(果實)이 성숙되었을 때 연방(蓮房)을 잘라내고 과실(果實)을 갈라내어 햇볕에 말린다. 또는 신선할 때 각피(殼皮)를 벗기고 햇볕에 말린다.

성분: 다량의 starch와 raffinose, protein, fat, 광물질 등을 함유한다.

기미: 맛은 달고 떫으며 성질은 평하다.

효능: 건비지사(健脾止瀉), 양심익신(養心益神).

주치: 비허복사(脾虛腹瀉), 유정(遺精), 실면다몽(失眠多夢), 붕루대하(崩漏帶下).

용량: 6∼15g.

부주: 우절(藕節)- 연(蓮)의 근상경(根狀莖) 즉 우(藕)의 마디부분으로 tannin을 함유하고 소어지혈(消瘀止血)의 효능이 있으며 각종 출혈을 치료한다. 하엽(荷葉)- 많은 종류의 alkaloid, flavonoid을 함유하고 청열(淸熱)해서, 지혈(止血)의 효능이 있다. 연자심(蓮子心)- alkaloid와 flavonoid glycoside 을 함유하고 청심화(淸心火), 강혈압(降血壓)에 사용한다. 연방(蓮房)- alkaloid, flavonoid glycoside를 함유하고 소어지혈(消瘀止血)의 효능이 있다.

참고문헌: 중약대사전, 하권, 369호 ; 회편(滙編), 상권, 689면.]

연꽃과 관련된 역사 및 유래에 대해서 최영전의 <한국민속식물> 234-236면에서는 다음과 같이 기록하고 있다.

[
연꽃(연=蓮)


연꽃은 인도와 중국을 중심으로 열대, 온대의 동부아시아에서 남쪽으로는 호주의 북부, 서쪽으로는 카스비해 지방, 동쪽으로는 한국, 일본 등에 널리 분포되어 있으며 북반구 각지의 백아기(白亞紀) 패암층에 화석으로 발견될 정도로 긴 역사를 가진 고생대 식물이기도 하다.

연꽃이라 하면 일반적으로 불교와 깊은 인연이 있는 것으로 관념지어 버리기 쉬우나 중국이나 인도에서는 불타(석가모니) 이전의 아득한 옛날부터 연꽃은 흙탕물에 자라면서도 꽃은 물론 잎이나 잎 위의 물방울조차도 더러워지지 않는 불염성(不染性)에 한없는 신비를 느껴 신성시했다는 것이다.

인도에서 5천년 전에 만들어진 연꽃의 여신상이 발견된 것은 이를 신성시했음을 말해 준다. 그 후 석가 탄생 때 마야 부인 주위에 오색의 연꽃이 피어 석가는 연꽃 위에서 탄생했다는 불교와의 인연이 시작되어 신성시하였다. 그 후 연꽃이 불교를 상징하는 꽃이 되었는데 불좌상(佛坐像)의 연좌대(蓮坐臺)라든지, 사찰 지붕 기와의 막새에서 볼 수 있는 연꽃무늬, 초파일의 연화등(蓮花燈), 극락 세계를 연화국이라 하는 등 불교와 연관된 것들이 수없이 많다.

불교 전승기였던 고려 때는 고려도경에 보면 연꽃, 연근, 연밥까지도 부처의 보좌로 인정하여 감히 건드리지 못하게 신성시했다고 한다. 그래서 가끔 임금의 행차가 연못가에 머물러 연꽃 구경을 했다는 기록도 있다.

우리나라에서 가장 아름다운 연못은 상주의 공갈못, 수원의 방죽연, 해주의 부용당의 연, 한양 남쪽의 용산호 등이 있다 하며 각 성읍에는 반드시 연못 즉 연지(蓮池)를 만들게 하여 관상과 함께 불의의 재난에 대비했다고 전해진다(화재).

불교와 관계없이 연꽃의 불염(不染)을 사랑한 대표적인 인물은 송나라 때의 주돈이(周敦頣)로 그의 애연설(愛蓮說)은 유명하다. 즉,

"
내가 연꽃을 사랑하는 것은

진흙 속에서 낳지만 더러움에 물들지 않고

맑은 물에 씻겼어도 요염하지 않으며

줄기가 곧고 덩굴지지 않고 가지도 치지 않는다.

꽃향기는 멀어질수록 맑아지며

우뚝 선 깨끗한 모습은 멀리서 바라볼 뿐

가까이서는 볼 수 없으니

연꽃은 꽃 중의 군자라고 했다.
"

불염의 뜻을 함축시켰을 옛 일화에 고려의 충선왕(忠宣王)이 원나라에 가 있을 때 한 미녀와 사랑한 이야기가 있다.

어느 날 그는 고국으로 돌아가게 되어 사랑하던 그녀에게 붉은 연꽃 한 송이를 석별의 증표로 주고 떠났다. 그녀는 님의 뜻을 받들어 순결을 지키며 오매불망 님을 그리며 지내다 마침 고려로 돌아가는 이익재(李益齋) 편에 시 한 수를 적어 보냈다.

"
떠나실 때 주신 연꽃이

처음에는 붉더니

얼마 안 가 떨어지고

초췌한 모양이 사람과 같다
"
고 읊어 자기의 처량함을 호소했더라는 애끓는 사연이 담긴 이야기다.

우리의 유명한 고전 심청전에 심청이 인당수에 빠졌을 때 용왕님이 그녀를 한 송이 연꽃 속에 담아서 물 위에 띄워 인간 세상에 돌려 보내 효심(孝心)이 왕비가 되게 했다는 것도 다분히 불염의 뜻도 함축된 듯하다.

효녀 심청에 대한 상세한 자료는 이곳을 클릭:
< 효녀 심청 무엇인가? >

불교가 성하던 고려 때는 나라에서 큰 잔치를 베풀 때 추던 춤에 연화대(蓮花臺)라는 것이 있어 동기(童妓)가 연꽃 모양의 관을 쓰고 춤을 추는 제도가 있었다고 한다. 또 연화통(蓮花筒)이라 하여 정재(呈才: 대궐 잔치 때하는 춤과 노래) 때 지당판(池糖板) 위에 종이로 큰 연꽃을 만들어 올려 놓고 그 속에 동기가 들어가 앉아 있는 제도도 있었다 한다.

또 우란분(盂蘭盆)이라 하여 범어(梵語)의 Ullambana를 음역한 7월 보름날 행하는 불교 행사가 있다. 연잎에 찰밥을 싸서 찌거나 뜨거운 찰밥을 연잎에 싸서 삼보(三寶: 불=佛, 승=僧, 중생=衆生)에게 공양하여 죽은 사람의 고통을 구원한다는 것인데 나중에는 그것이 변하여 조상의 영혼에 음식을 공양하여 추수를 고하고 은혜를 갚는 행사로 발전하여 처음과는 많이 달라지고 말았다. 다만 이 우란분은 옛날 목련존자(目連尊者)의 모친이 죄를 지어 지옥에 떨어져 있을 때에 어머니를 구하기 위하여 굶은 귀신에게 공양을 베풀고 영혼의 위안을 준 사실에서 비롯된 고통에서 구원한다는 뜻은 살아 있다.

연잎은 우란분의 행사 외에도 널리 쓰였는데 연잎의 줄기를 따낸 후 말려 두고 종이 대신 물건을 싸기도 하고 음식물을 담기도 했다. 또 어린 연잎은 살짝 데쳐서 쌈을 싸 먹었는데 이것을 연화포(蓮花包)라 한다.

연잎을 본따 만들었던 많은 집기류들이 이제는 자취를 감추고 말았는데 그 대표적인 것이 연엽반상(蓮葉飯狀), 연엽주발, 연엽대접, 연엽바리때 등이 그것이다. 또 연엽관(蓮葉冠)이라 하여 처음 상투를 틀고서 쓰는 연잎 모양의 관을 연엽관이라 했으나 이것 역시 보기 드믄 민예품이 되고 말았다. 우리 고유의 명주(名酒)의 하나였던 연엽주(蓮葉酒: 찹쌀과 누룩을 버무려 연잎을 켜켜로 넣든가 연잎에 싸서 익혀 빚는 독특한 향미의 술)라든지 연꽃봉오리를 본떠 만든 연봉잠(비녀), 연밥 모양으로 만든 대통과 담뱃대인 연실죽(蓮實竹)도 잃어버린 민예품들이다.

또, 입춘날 대궐 안 전각 기둥에 써 붙이는 주련(柱聯), 즉 춘첩자(春帖子)나 단오날의 단오첩(端午帖) 등도 연잎과 연꽃의 무늬를 그린 종이에 써서 붙였다 한다.

중국이나 인도에서는 중요한 식량이었으며 약초 구실도 했다. 이것은 우리에게도 전해져 개성 있는 민속식으로 발전했다. 연근(蓮根)은 녹말을 얻는데 이것을 우분이라 했으며 경단도 만들고 갈탕(葛湯)처럼 만들어 마시기도 했다.

연뿌리로는 연근정과 연근저녀, 연근죽, 우분죽도 만들었으며, 연밥은 연실(蓮實)이라 하며 연밥장아찌, 연밥죽, 연인죽(蓮仁粥), 연자당(蓮子糖) 등도 있고 연육(蓮肉)은 약재로도 쓰였다.

특히 연다(蓮茶)라 하여 벌어진 꽃 속에 진한 차(茶)를 부어 꽃향기를 배어나게 하여 이것을 따로 마련해 두고 차에 조금씩 넣어서 그 향미를 즐기는 풍류가 넘치는 민속차도 있었다. 민속약으로는 생연근은 감에 체한 데 좋고 폐결핵, 지혈, 각혈, 코피가 나는 데에 쓰이며 연잎은 버섯 중독에 또 푸른콩 잎, 생밤과 함께 찧어 지네 해독에 쓴다는 것이다.
]

연으로 질병을 치료하는 방법은 아래와 같다.

<연자>


1, 설사가 오래 멎지 않는 경우
배아를 없앤 노연자(老蓮子) 2냥을 가루낸다. 1회 1돈을 진미탕(陳米湯)에 개어서 복용한다. [세의득효방(世醫得效方)]

2, 하리(下痢)로 음식을 먹지 않는 경우, 속명 금구리(噤口利)의 치료

신선한 연육(蓮肉) 1량, 황련(黃連) 5돈, 인삼(人蔘) 5돈을 진하게 달여 조금씩 복용한다. [신농본초경소(神農本草經疏)]

3, 금구리(噤口利)

석련(石連)을 크기에 관계없이 볶지 않고 껍질을 벗겨서 육(肉)과 배아를 곱게 가루낸다. 1회 2돈을 미음에 개어서 복용한다. [백일선방(百一選方)]

4, 심화(心火)가 위로 치솟고 습열이 아래로 성하며 소변이 붉고 삽(澀)하며 임탁붕대(淋濁崩帶), 유정 등의 증세

황금(黃芩), 심을 없앤 맥문동(麥門冬), 지골피(地骨皮), 차전자(車前子), 구운 감초(甘草), 각 반 냥, 배아를 없앤 석연육(石蓮肉), 백복령(白茯苓), 꿀과 구운 황기(黃芪), 인삼(人蔘) 각 7돈 반을 갈아 산제로 만든다. 1회 3돈, 맥문동(麥門冬) 10알을 물 1컵 반으로 달여 8할이 되게 해서 식전 공복에 복용한다. [국방(局方), 청심음(淸心飮)]

5, 심경(心經)에 허열이 있고 소변이 붉고 탁한 경우

석연육(石蓮肉)을 배아가 붙은 채로 6냥, 감초(甘草) 1냥과 함께 곱게 가루낸다. 1회 2돈을 등심(燈心)의 탕액에 개어 복용한다. [인재직지방(仁齋直指方)]

6, 소변 백탁, 몽유설정(夢遺泄精)

연육(蓮肉), 익지인(益智仁), 오색의 용골(龍骨)을 각기 같은 양 곱게 가루내어 1회 2돈을 공복시 맑은 미음으로 복용한다. [기효양방(奇效良方), 연육산(蓮肉散)]

7, 허로(虛勞)를 보익하는 처방

껍질을 없앤 연실(蓮實)을 양에 상관없이 양질의 술에 하룻밤 담그고 큰 저두(猪肚)에 넣어서 물에 푹 끓인 후 꺼내서 불에 쬐어 말려 아주 곱게 가루내어 술로 반죽하여 가시연밥 크기의 환제로 만든다. 1회 50~70알을 식전에 따뜻한 술에 복용한다. [의학발명(醫學發明), 수지환(水芝丸)]

8, 병후 위(胃)가 허약하여 수곡을 소화시키지 못하는 경우

연육(蓮肉), 갱미(粳米) 각 4냥을 볶아 복령(茯苓) 2냥과 함께 가루내어 설탕과 함께 갠다. 1회 1냥 정도를 끓인 맹물로 복용한다. [토재삼서(土材三書), 연육고(蓮肉餻)]

9, 반위(反胃)

석연육(石蓮肉)을 가루내어 소량의 두관말(豆蒄末)을 가하여 뜨거운 미음에 개어서 복용한다. [인재직지방(仁齋直指方), 연자산(蓮子散)]

10, 산후의 위한해역(胃寒咳逆), 구토하고 먹지 못하거나 복부가 창만한 증상

석연육(石蓮肉) 1냥 반, 백복령(白茯苓) 1냥, 정향(丁香) 5돈을 가루내어 1회 2돈을 수시로 강탕(薑湯) 혹은 미음에 1일 3회 복용한다. [부인양방(婦人良方), 석연산(石蓮散)]

<기타>


11, 불면증
연밥살(껍질을 벗기고 속을 뺀 것) 30개, 용안육 약 119그램을 물 6사발로 달여 2사발이 되면 3등분 하여 이것을 매일 3 차례 식후마다 1등 분씩 따끈하게 복용하면 된다. 만약 백합 75그램과 산조인 75그램을 첨가하면 더욱 좋다. [식품비방]

12, 유정, 조루

연꽃술 150그램을 삶아 이 물을 차 마시듯 자주 마시면 된다. 장복하면 매우 효력이 있다. [식품비방]

13, 폐결핵

연 300그램, 돼지 살코기 300그램을 여러 가지 조미료를 넣고 죽을 끓여 이것을 부식 대신 하루 3 차례 같이 먹으면 보약의 효력이 있다. [식품비방]

14, 축농증

연근 마디와 천궁을 은근한 불로 구워 말려 가루로 만들고 매일 3 차례 식후마다 밥물이나 끓인 물로 7.5그램씩 1개월간 복용하면 효과가 있다. [식품비방]

15, 연자청심차(蓮子淸心茶)

이 차는 남녀 노소 모두에게 이롭다. 마음을 맑게 해 주고 장을 건강하게 한다. 그리고 위를 튼튼하게 하고 식욕을 돋워 주며 정력을 강하게 한다. 오래 복용하면 몸이 가벼워지고 늙지 않으며 귀가 잘 들리고 눈이 밝아진다. 특히 양기 부족, 조루, 위장이 차서 설사를 하거나 여자의 백대 하혈 증세에 효력이 있다.  

차 만드는 방법은 즉 연밥의 껍질과 속에 있는 내심을 빼고 말리면 말리면 된다(내심은 연밥을 24시간 물에 담갔다가 껍질을 벗기고 2쪽으로 쪼개서 빼낸 것을 말한다).  

또 한가지 방법은 연밥살을 은근한 불에 노랗게 볶아 가루로 만들고 매일 식간에 큰 숟가락 하나로 설탕을 넣어 끓인 물로 복용하면 된다. 이렇게 오랫동안 복용하면 흑발은 하얗게 변하지 않고 흰 머리가 까맣게 된다. [식품비방]

16, 유정, 조루, 백탁 백대, 설사, 구토

껍질과 내심을 뺀 연밥살 1.8킬로그램을 고량주에 2일 동안 담갔다가 꺼내 돼지 위 속에 집어 넣고 잘 꿰멘 다음 이 돼지 위를 항아리에 넣고 보통 술을 부어 익힌다. 그런 다음 돼지 위를 꺼내 말려 가지고 가루를 만든 뒤 연밥살 술에 약간의 밀가루를 섞어 물렁물렁하게 다시 익힌 다음 돼지 위가루를 넣어 녹두알 만한 크기의 환약을 빚는다. 이것을 하루 3차례 식간마다 50~100알씩 복용하면 된다.

또 한가지 방법은 연방의 껍질과 내심을 빼어 백복령을 여러 등분하여 삶아 익힌 다음 말려 가루로 만들고 따뜻한 물, 따뜻한 술, 밥물 또는 물과 술 반반씩 섞은 것으로 한 숟가락씩 복용해도 효과가 있다. [식품비방]

17, 설사, 이질

껍질과 내심을 뺀 연밥살을 노랗게 볶아 가루로 만들어 밥물로 하루 3차례 식전 마다 7.5그램씩 복용하면 된다. 오래 복용하면 효과가 있다. [식품비방]

18, 반위토식(反胃吐食), 음식물이 내려가지 않을 때

껍질과 내심을 뺀 연밥살 22.5그램을 노랗게 볶아 가루로 만들고 오매(烏梅) 12그램에 백두구(白荳
) 12그램을 섞어 같이 갈아 7등분하여 물로 복용하면 효과가 있다. [식품비방]

19, 때때로 가슴이 답답하거나 열이 나고 목이 말라 갈증이 나며, 구토 설사를 하거나 식욕이 부진할 때

날 연근즙, 날 배즙, 생강 즙, 날 포도즙, 날 지황즙을 각각 한 그릇씩의 설탕과 꿀을 섞어 수시로 차 마시듯 마시면 답답하고 열이 나는 것이 없어진다. 이상 다섯 가지 과즙을 전부 만들 수 없을 때에는 2 가지나 3 가지를 섞어도 괜찮다. [식품비방]

20, 소변이 뜨거워 찔끔찔끔 나오거나 소변이 노랗고 아픈 데

날 연근즙, 날 지황즙, 날 포도즙을 각각 섞어 매일 큰 컵으로 하나씩 수시로 마시면 효과가 있다.  그리고 이 처방으로 눈이 빨갛고 아프거나 목이 아픈 것도 치료된다. [식품비방]

21, 생선이나 게(蟹:게해) 중독

날 연근즙을 큰 그릇으로 하나씩 매일 3차례 마시면 곧 효과가 난다. [식품비방]

22, 동상

연근을 삶아 익힌 다음 찧어 가지고 매일 아침 저녁 한 번씩 바꿔 가면서 바르면 금방 생긴 것은 2~3일이면 효과가 난다. [식품비방]

23, 코에서 피가 날 때나 자궁 하혈, 대소변 하혈, 토혈에

증세가 약한 사람은 날 연근즙 한 그릇에 꿀 한 숟가락을 섞어 복용하면 된다. 상부 출혈은 식후에 하부 출혈은 식전에 매일 3 차례 복용한다. 또 껍질과 내심을 뗀 연밥살을 노랗게 볶아 가루로 만들고 이것을 7.5~12그램에 꿀 한 숟가락을 섞어 끊인 물로 복용해도 좋다.

출혈이 심한 급환자는 날 연근즙 큰 그릇 하나에 사람의 머리카락을 태운 재(3.75~7.5그램 타지 않은 재가 있어서는 안된다)을 병 증세의 가볍고 중한 것에 따라 가벼운 환자는 3.75~7.5그램씩, 중 환자는 12~16그램씩에 꿀 한 숟가락을 넣어(꿀을 넣지 않아도 좋다) 복용하고 그치지 않을 때는 다시 복용한다. [식품비방]

24, 치루

연꽃술 3.75그램에 검은나팔 꽃씨 3.75그램, 당귀 약 19그램을 말려 가루를 만들고 매일 3차례 식전 마다 온수나 약간의 술을 넣은 온수로 복용하면 된다. 이렇게 하여 5~7일이 지나면 효과가 있고 1개월이 지나면 근치된다. [식품비방]

25, 대 소변 하혈, 자궁 하혈

마른 연방과 형개 이삭을 여러 등분해서 불에 태워 잿가루로 만들고 밥물로 7.5그램씩 매일 3차례 식전마다 복용하면 효과가 있다. [식품비방]

26, 산후 하혈

연방 5개, 향부자 7.5그램을 태워 잿가루로 만들고 매일 3회 식전마다 밥물로 7.5그램씩 복용하면 된다. [식품비방]

27, 양위불기나 일어서도 힘이 없고 오래 못 갈 때, 조루, 유정, 백탁, 대하 등 성(性) 계통의 쇠약

연꽃술, 연밥살, 감인, 율무쌀, 백하수오, 적하수오, 산약, 말린 것, 백복령, 백복신, 검은깨, 마른 뽕나무잎, 까치콩, 연꽃을 각 약 19그램(적백하수오는 반드시 얇은 조각으로 썰어 넣어야 한다)을 술에 넣고 6 시간 동안 쪄서 말린 후 보드라운 가루로 만들고 금앵자 1.2킬로그램을 털을 깨끗이 씻은 다음에 오랫동안 삶은 다음 즙을 짜고 찌꺼기는 버린 뒤 즙을 다시 달여 묽은 풀처럼 되면 밀가루를 약간 섞어 묽은 고약처럼 되게 한 뒤 위의 각종 약가루를 넣어 개어 가지고 녹두알 크기만한 환약을 빚는다.  

이것을 식전 식후 할 것 없이 온수나 또는 밥물 또는 온수에 술을 약간 풀어서 70알 정도 복용하면 된다. 성이 약한 사람은 매일 3 차례 복용하고 성이 그다지 약하지 않은 사람은 매일 1~2회 복용하면 정력이 약한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 처방은 흑발을 희게 되지 않게 하고 아울러 백발을 검게 한다. 이 처방은 필자의 비방중의 비방이다. [식품비방]

28, 산후 갑자기 가슴, 위, 장 또는 자궁이 아플 때

연 잎사귀 삶은 물을 여러 번 마시면 되며, 토혈과 하혈도 멈추게 한다. [식품비방]

29, 오래된 혈리

연잎과 꼭지를 태운 재를 밥물로 7.5그램씩 마시거나 삶은 물로 여러 번 마셔도 효과가 있다. [식품비방]

30, 풍치나 충치로 아플 때

연잎과 꼭지 다량에 식초를 섞어 삶고 연잎과 꼭지를 떼어 다시 삶으면 고약 상태가 되는데 이 고약을 치아의 아픈 곳에 바르면 곧 효과가 나타난다. [식품비방]

31, 설사

연밥 14개를 껍질을 벗겨 설탕을 넣고 삶은 뒤 이것을 매일 2 차례씩 먹는다. [식품비방]

32, 소변이 잦은 것, 신장의 기운이 쇠약한데, 조루

껍질 벗긴 연밥 14개를 내심을 빼고 설탕을 넣어 달인 뒤 연밥살과 물을 매일 2차례씩 복용하면 된다. [식품비방]

33, 토혈과 하혈

날 연근즙에 약간의 소금을 넣고 자주 마시면 그 지혈 효력이 대단하다. [식품비방]

34, 가슴이 뛰고 불안하며 안면이 광택이 없고 기력이 허약하여 열이 나며 체질이 약하고 빈혈이 있을 때

○ 연근에 설탕을 넣고 달여 이것을 자주 마시면 된다. 달일 때 물을 많이 넣고 오래 달일수록 좋으며 풀처럼 걸죽할수록 좋다. 이 처방은 복부 진통 및 꼬이는 것을 치료한다.  

○ 소화 불량이나 변비가 있는 사람은 연밥 살을 먹어서는 안된다.

○ 소변 불리에는 연꽃술을 먹어서는 안된다.

○ 혈기가 매우 허약한 사람은 연잎을 써서는 안된다. [식품비방]

35, 타박상

연잎을 태워 잿가루를 만들어 따끈한 술로 7.5그램씩 매일 3차례 식전 마다 복용하면 된다. 만약 이 잿가루를 술 대신 3세 이하 남아의 소변으로 복용하면 신기로울 정도의 효과가 있다. [식품비방]

36, 경수가 찔끔찔끔 멎지 않을 때

마른 연방을 태워 잿가루를 만들고 따끈한 술이나 물과 섞은 것으로 7.5그램 정도 복용하면 곧 효력을 본다. 효력이 없으면 장복하면 효력을 본다. [식품비방]

37, 풍습 창독

마른 연방을 태워 잿가루를 만들어 이것으로 문지르면 된다. 진물이 나는 데는 잿가루를 그대로 사용하고 진물이 없을 때에는 잿가루를 참기름에 개어서 바르면 된다. 하루에 2~3차례 바꾸면 매우 효력이 있다(마른 연잎도 된다). [식품비방]

38, 수종병

마른 연잎을 태워 잿가루를 만들어 매일 아침 저녁 2차례 밥물로 7.5그램씩 복용하면 된다. 장복하면 효력이 난다. [식품비방]

39, 각기 습종통양

마른 연잎 삶은 물로 자주 씻으면 된다. [식품비방]

40, 전신 풍습양(일체의 피부병)

마른 연잎(마른 것이나 날 것 다 좋다) 삶은 물로 목욕하면 매우 좋다. [식품비방]

41, 음종통양

연잎과 부평초 같은 양을 함께 삶은 물로 씻으면 좋다. [식품비방]

42, 남자의 악성 유종 또는 조루

연밥 내심(연밥을 쪼개면 속에 푸른심이 있다) 12그램에 진사(辰砂) 1푼을 함께 가루로 만들고 매일 3차례 식전마다 그리고 취침 전에 각각 한 번씩 끓인 물로 복용하면 매우 효력이 있다. [식품비방]

43, 양신죽(養神粥)

산후, 병후 또는 기혈 쇠약자에게는 매우 유익하다. 만드는 방법은 즉 껍질과 내심을 제거한 연밥살을 잘 찧어서(가루를 만들면 안 된다) 쌀고 죽을 쑤어 먹으면 된다. 오래 먹으면 기혈을 돕고 몸을 가볍게 해 주며 몸이 튼튼해진다. [식품비방]

44, 양위환(養胃丸)

위장 쇠약과 자주 설사하는 데, 껍질과 내심을 제거한 연밥살 1.8킬로그램 6시간 쪄서 말려 가지고 가루를 만들어 꿀에 갠다. 이것을 녹두알 만한 크기의 환약을 빚어 매일 아침 저녁 식전에 온수로 30~40알씩 복용하면 된다. 남녀노소나 병이 있든 없든 모두 좋다. 오직 변비가 있는 사람은 삼가야 한다. [식품비방]

45, 위출혈, 폐출혈

날 연뿌리의 즙을 자주 먹으면 효력을 본다. [식품비방]

46, 피부 반진종창(
癍疹腫瘡)
날 연뿌리의 즙을 자주 마시면 곧 효력을 볼 수 있다. [식품비방]

47, 허열(虛熱), 빈혈(貧血)

날 연뿌리의 즙을 자주 마시면 효력을 볼 수 있다. [식품비방]

48, 폐병 출혈

연 300그램, 백합 600그램에 약 5배 가량의 물을 넣고 달여 반이 되면 이것을 매일 3 차례 식후마다 한 그릇씩 따끈하게 복용하면 된다(들백합은 맛은 쓰지만 효력면에서는 매우 좋다).

49, 비위 쇠약에서 오는 소화불량

연밥살 약 188그램, 돼지의 위장 1개를 아주 흐물흐물하게 삶아 여기에 여러 가지 양념을 넣고 부식처럼 먹으면 된다. [식품비방]

50, 빈혈 및 체력 쇠약

매일 3 차례 식후마다 연가루를 큰 숟가락으로 하나를 약간의 설탕을 넣고 끓인물로 한 컵씩 복용하면 된다. 아침 공복시나 취침시에 한 컵씩 더 복용하면 더욱 좋다. [식품비방]

51, 만성 설사

매일 아침 저녁 껍질 벗긴 연밥살 1홉과 쌀 1홉으로 죽을 쑤어 먹으면 매우 효력이 있다. [식품비방]

52, 심장병, 심계정충(心悸
怔忡), 불면증, 초조불안, 가슴이 뛰고 답답할 때
연밥살 20개, 용안육 10개, 백자인(栢子仁) 30개, 산조인 약 119그램을 물 5사발로 달여 반이 되면 3등분하여 이것을 매일 3 차례 식후마다 2 등분씩 따끈하게 복용하면 된다. 장복하면 효력이 있다. 병이 있고 없고에 불구하고 연로한 사람들이 이 물을 자주 마시면 매우 좋다. [식품비방]

53, 토혈 또는 하혈

연살을 편으로 썰은 것 600그램, 띠뿌리 37.5그램, 배 1개, 곶감 1개, 연잎 약 113그램(마른 것 약 119그램 다 날 것이면 약 300그램 쯤), 씨를 뺀 대추 10개를 물 6 사발로 달여 반이 되면 이것을 매일 3 차례 식전 또는 식후마다 한 그릇씩 복용하면 된다. 토혈 환자는 식후에 복용하고 하혈 환자는 식전에 복용한다. [식품비방]

54, 소변 요혈(小便尿血), 혈림(血淋)

연즙 한 사발에 머리카락 태운 잿가루 7.5그램을 섞어 이것을 매일 3 차례 식전마다 복용하면 된다. 1~2일이면 효력을 본다. [식품비방]

55, 태반이 나오지 않는 경우

연방 1개를 단맛이 있는 술로 달여 복용한다. [영남채약록]

56, 추락에 의한 손상과 토혈, 추락과 타박으로 인한 적혈, 심위의 토혈이 멈추지 않는 증상

건조한 연꽃을 가루내어 매회 일방촌비 즉 약 1그램의 양을 술로 복용한다. [의방적요]

57, 천포창(天泡瘡)의 수포

연꽃을 붙인다. [간편단방]

58, 저혈압
연근은 저혈압에 효과가 있다. 약효 성분중 주성분은 탄수화물이며 식물성 섬유가 풍부하게 들어 있다. 연근의 식물성 섬유는 장벽을 적당히 자극하여 장내의 활동을 활발히 하며 콜레스테롤치를 떨어뜨리는 작용을 한다. 식물성 섬유가 부족하면 당뇨병이나 통풍, 심장병, 고혈압 등 생활습관병이 생기기 쉬우므로 평소부터 주의해야 한다. 연근에는 비타민 C가 레몬에 필적할 정도로 많아 감기의 예방은 물론 간염의 예방에도 효과적이다.

연근에는 철분과 비타민 B12, 탄닌 성분이 풍부한데 연근에 들어 있는 철분과 탄닌 성분은 소염 작용이 뛰어나 점막 조직의 염증을 가라앉혀 주므로 위궤양이나 십이지장궤양, 코피에도 뚜렷한 효과를 발휘한다. 하지만 열이 있거나 만성 설사증이 있는 사람은 많이 먹지 않는 게 좋다. [먹으면 치료가 되는 음식 672]

59, 자궁근종

연꽃열매가루는 출혈이 심할 때 지혈작용이 대단히 강하다. 자궁근종 때문에 일어나는 출혈에는 연꽃열매 10그램을 가루로 만들어 따뜻한 물과 함께 하루 3회로 나누어 먹으면 좋은 효과가 있다.  

연꽃 열매는 검고 딱딱한 껍질이 붙어 있는데 껍질째 갈아 부수어 가루로 만든다. 만드는 방법은 연의 씨앗 20그램을 껍질째 분마기에 젛어 곱게 간다. 곱게 간 연열매 가루를 미지근한 물과 함께 먹는다. [먹으면 치료가 되는 음식 672]

60, 자양, 강장

연꽃 열매 달인물은 자양, 강장 효과를 낸다. 일반적으로 연꽃하면 연근을 생각하기 쉽다. 그러나 연근보다 뛰어난 효용을 지니고 있는 것이 열매이다. 연꽃 열매는 흔히 자양, 강장제로 이용되고 있는데 스태미터 부족에는 이 연꽃 열매 달인물이 아주 효과적이다.  

검고 단단한 연꽃 열매 15그램을 깨끗이 씻어 물 3컵을 붓고 그 양이 반으로 줄 때까지 달여서 하루에 3회로 나누어 빈속에 마신다. [먹으면 치료가 되는 음식 672]

61, 숨이 차고 가슴이 뛸 때

연밥 달인물은 신경을 안정시켜 준다. 연꽃의 씨인 연밥은 생약명으로 '석연자'라고 하여 자양, 강장을 비롯해 신경안정 작용과 심장과 신장, 위장을 강하게 해주는 약효가 있다. 신경이 예민하여 작은 일에도 쉽게 가슴이 두근두근 뛰는 사람은 연밥의 딱딱한 껍질을 벗겨내고 속만 달여서 차 대신 마신다. [먹으면 치료가 되는 음식 672]

62, 정신장애, 신경의 불안정, 스트레스, 불면증, 자율신경실조증

연뿌리즙은 정신 장애를 예방한다. 연뿌리에는 신경의 피로를 회복시키는 작용이 있으므로 너무 긴장되어 있거나 이완된 신경을 평정시켜 준다. 현대인에게 생기는 만성병의 절반 이상은 스트레스가 쌓여 불안정한 상태에서 일어나는데, 연뿌리는 이런 증세를 예방하는 작용을 한다.

신경의 불안정, 스트레스, 불면증, 자율신경실조증에 효과를 낼 뿐만 아니라 아침에 일어났을 때 가래에 실피가 섞여 나오는 사람, 저녁이면 목이 쉬는 사람에게도 좋은 약효를 낸다. 연뿌리는 즙을 내어 마시는데 체중 1킬로그램당 10밀리리터가 적당량이므로 몇 회에 나누어 먹도록 한다. 조림이나 튀김을 해서 식사 때마다 먹어도 좋다. [먹으면 치료가 되는 음식 672]

63, 갑상선 장애, 신경 안정, 강심 작용, 위장을 튼튼하게 하는데, 강정, 강장

연꽃씨 달인물은 신경을 안정시켜 준다. 연꽃의 씨는 위장을 튼튼하게 할 뿐 아니라 강정, 강장작용, 강심작용 등 보신에도 좋다. 연꽃씨 달인 물을 차 대신 마시면 가슴이 두근거리는 증세에도 효과가 있다. 만드는 방법은 연꽃씨 10그램을 깨끗이 씻어 잘 달구어진 프라이팬에 볶는다. 볶아진 연꽃씨를 냄비에 옮겨담고 물 3컵을 부어 물이 조금 줄 때까지 팔팔 끓여 마신다. [먹으면 치료가 되는 음식 672]

64, 구내염

연근 달인물은 염증을 가라앉힌다. 연근에 풍부하게 들어 있는 탄닌에는 염증을 가라앉히는 소염 작용, 조직을 긴장시켜 조여주는 수렴 작용, 상처 부위의 피를 멎게 하는 지혈작용, 단백질이 응고 작용 등이 있어 구내염 치료에 효과가 있다.

연근을 얇게 썰어 물을 붓고 달여서 이 물로 하루 5~6회 양치질을 한다. 며칠분을 미리 만들어 놓고 사용해도 좋은데, 이때 용기는 유리병으로 해야 한다. [먹으면 치료가 되는 음식 672]

65, 방광에 염증이 있을 때

연근 생즙은 혈뇨와 배뇨통에 효과가 있다. 연근에는 모든 출혈을 멈추게 하는 성분이 있어 방광염뿐만 아니라 위궤양이나 치질에 의한 출혈에도 효과가 있다. 또한 소염작용도 있어 염증을 진정시키고 통증을 가라앉히는 작용을 한다. 방광염에 의한 혈뇨나 배뇨 후의 통증에는 연근즙이 효과가 있다.

거즈에 밭쳐 짠 연근생즙 1작은술을 1회 분량으로 하여 하루에 3회씩 마신다. 연꽃의 열매도 달여 마시면 효과가 있다. 달이는 방법은 열매 120그램에 물 3컵을 붓고 물이 반으로 줄면 불에서 내린다. [먹으면 치료가 되는 음식 672]

66, 술에 취했을 때

연근생강즙은 숙취 피로를 풀어 준다. 연근의 주성분은 당분이며 아미노산으로는 아스파라긴, 알기닌, 레시틴 등이 풍부하게 들어 있고 비타민 C, B1, B2가 많으며 일반 식품에 부족한 비타민 B12가 들어 있다.  

비타민 B12는 숙취로 인한 피로를 빨리 풀어주며 신경의 불안정을 조절한다. 연근을 강판에 갈아 생강즙을 조금 타서 마시거나 연근을 찧어 더운 물에 타서 하루 2회 마신다. 1회 분량은 1컵 정도이다. [먹으면 치료가 되는 음식 672]

67, 기관지염, 심한 기침, 가래가 낄 때

연근즙은 심한 기침을 가라앉힌다. 계속되는 기침을 진정시키는 데는 연근즙이 좋다. 연근을 물로 달여서 먹어도 된다. 또는 연근을 껍질째 말려 얇게 썬 다음 물엿과 함께 달여서 마시면 심한 기침도 가라앉는다. 하루에 세 번 나누어 마신다. 껍질에도 약효가 있으므로 깨끗이 씻어서 그대로 사용하도록 한다. 검은 색을 내는 마디 부분을 갈아 그 즙을 마시면 기침이 멈추고 가슴도 편안해 진다. [먹으면 치료가 되는 음식 672]

68, 열이 날 때

연근즙을 열로 갈증이 심할 때 효과가 있다. 열이 나고 갈증이 심할 때는 신선한 연근즙을 권한다. 이것은 지혈작용과 기침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깨끗이 씻어 껍질째 강판에 갈아 거즈에 밭쳐 즙을 낸다. 이 즙을 마시면 열이 내리고 심한 갈증이 해소된다. 연근즙에 배즙을 조금 섞어 마시면 한층 더 효과가 있다. 연근즙에 불린 쌀을 넣고 죽을 쑤어 먹어도 같은 효과를 낸다. [먹으면 치료가 되는 음식 672]

69, 스트레스, 위장병에 걸리기 쉬운 체질 개선

연근즙은 신경의 피로를 회복시켜준다. 연뿌리에는 신경의 피로를 회복시키는 작용이 있어 너무 긴장되었거나 이완된 신경을 정상으로 조절시켜 준다. 특히 현대인이 겪고 있는 만성병의 절반 이상은 스트레스가 쌓여 신경이 불안정한 상태에서 일어난다. 이런 증세에 연뿌리를 먹으면 몸의 균형이 유지되어 병의 발생을 예방한다.

신경의 불안정, 스트레스가 끊이지 않거나 불면증, 눈의 피로로 인한 염증, 자율신경실조의 여러 증세에도 효과가 있다. 또한 아침에 일어났을 때 가래가 실같은 피가 섞여 나오거나 저녁 무렵이면 목이 쉬는 사람에게 좋은데 이런 증세는 수면부족이나 스트레스 때문에 생기는 출혈의 한 증세이기 때문이다. 체중 1킬로그램당 연근즙 10밀리리터가 적당하므로 자신의 체중에 따라 양을 정해 몇 회에 나누어 마신다. 조림, 튀김으로 조리해서 먹어도 좋다. [먹으면 치료가 되는 음식 672]

70, 갱년기 장애

연근즙은 초조감, 흥분을 가라앉히는데 좋다. 연근은 신경의 흥분을 진정시키는 진정 작용을 하고 혈관의 탄력성을 강화시켜 혈액순환을 촉진시켜 준다. 또 연근에 들어 있는 탄닌에는 수렴 작용이 있으므로 지혈효과도 볼 수 있다. 이런 작용으로 갱년기의 월경불순에도 효과적이다. 폐경기의 부정출혈이나 안절부절 못하는 사람은 연근을 늘 먹는 것이 좋다. 연근을 갈아 즙을 내어 소금을 조금 넣어 마시면 효과가 있다. [먹으면 치료가 되는 음식 672]

71, 코피가 날 때

이유없이 코피가 자주 나는 사람은 신선한 연근을 깨끗이 손질해서 강판에 간 다음 거즈에 밭쳐 즙만 소주잔으로 한잔씩 마신다. 조금 번거롭더라도 매일 하루 분량씩 만들어 마시는 것이 좋다. [먹으면 치료가 되는 음식 672]   

청나
라때 조정동이 1~5권을 저술한 <
노노항언(老老恒言)>에서는 상품 36종에 연육죽, 연뿌리죽, 연잎꼭지죽, 가시연밥죽을 1~4위에 열거하고 있는데 이렇게 적고 있다.

[연육죽
성혜방에 있다. 중초를 보하고 의지를 강하게 하며 겸하여 정신을 보양하고 비장을 이롭게 하며 정을 굳세게 하고, 모든 병을 없앤다고 하였다. 껍질과 심을 제거하고, 신선한 것으로 죽을 끓이면 더욱 좋고, 마른 것은 불로 구워낸 것과 같은데 육질이 단단한데 끓여도 퍼지지 않는다. 혹 가루를 갈아 넣기도 하는데, 소상강에서 나는 연이 복건성에서 나는 연보다 나아서 껍질이 얇고 육질이 실하다.

연뿌리죽
자산(
조정동의 호는 '자산')이 추가하였다. 열갈을 치료하고 설사를 그치게 한다. 위를 열어 소화가 잘되게 하며 어혈을 풀어준다. 오래 복용하면 마음을 즐겁게 한다. 가루로 갈아서 조식하는데 맛이 지극히 담백하다. 썰어서 죽을 끓이는데 달고 향기롭다. 보통 만드는 법이 다르면 그 기운과 맛을 바꿀 수 있음이 이와 같은 것이다.

연잎꼭지죽(하비죽)
자산이 추가하였다.  하비(荷鼻:연하,코비)란 연잎 꼭지를 말한다. 원기를 생기게 하며, 비위를 돕고, 갈증과 설사를 그치게 하고 정을 굳세게 한다. 줄기잎을 또한 같이 쓰며, 색은 푸르고 형태는 우아하며, 그 가운데는 비어 있고 진괘(震卦)의 상(象)을 얻었다. 진주 주머니에 달여서 밥을 볶거나 약에 섞으면 비장을 치료하는 데, 죽을 끓이면 향이 맑아 더없이 좋다.

가시연밥죽(감실죽)
탕액본초에 있다. 정력을 증진시키고 의지를 강하게 하며 눈과 귀를 밝게 한다. 겸하여 습비를 치료하고, 허리와 등 및 무릎이 아픈데, 소변이 나오지 않는데, 유정, 백탁을 치료한다. 딱딱하고 연한 것 두 종류가 있는데 성질이 같다. 죽에 넣어 푹 익혀 끓이는데 신선한 것이 좋다. 양웅방언(楊雄方言)에 남초(南楚)에서는 계두(
頭) 즉 닭의 머리 라고 한다고 했다.]

고대 중국에서 펴낸
<식경(食經)>에서는 연의 열매, 연밥, 연화예 즉 연의 꽃술에 대해서 이렇게 기록하고 있다.

[식의심경에는 "연의 열매 맛은 달고 평탄하며 독성이 없고 몸속을 보양하고 기를 길러서 정신을 맑게 하고 온갖 질병을 다스려 준다. 또 오랫동안 복용하면 사람으로 하여금 갈증이 없어지게 하고 얼굴이 온화해지고 윤택해지게 한다."고 쓰여 있다.

일화자제가본초에 이르기를 "연의 열매와 석련 즉 한해를 넘긴 오래 묵은 연밥을 함께하여 심을 제거하고 오래도록 먹으면 사람으로 하여금 마음이 즐거워지게 하고 기를 증진시켜 주며 갈증을 없애 주고 허리의 통증과 조루증과 설사를 다스려 준다."고 하였다.

또한 "연꽃의 꽃술을 오랫동안 복용하면 마음을 진정시켜주고 얼굴의 색을 좋아지게 하며 안색을 늙지 않게 하고 몸을 가볍게 한다."고 하였다.
]  

[각가(各家)의 논술(論述)]


<연자>

1, <본초강목(本草綱目)>:
"연(蓮)의 맛은 달고 기(氣)는 따뜻하며 성질은 삽(澀)하고 청방(淸芳)의 기(氣)가 있으며 곡물의 미(味)가 있고 비(脾)에 효과가 있는 과실이다. 비토(脾土)는 원기(元氣)의 모(母)로서 모기(母氣)가 화(和)하면 진액이 생기며 시력이 좋아지고 자연히 정신이 나서 불로장수하게 된다. 이것은 서두(序頭)의 말이다. 옛날 사람들은 심신불교(心腎不交), 노상백탁(勞傷白濁)을 치료하는 데에 청심연자음(淸心蓮子飮)을 사용하였다. 심신(心腎)을 보하고 정혈(精血)을 이롭게 하는 데에는 서연환(瑞蓮丸)을 썼는데 모두 이 이치에 의한 것이다."

2, <본경봉원(本經逢原)>:
"석연자(石蓮子)란 연실(蓮實)이 연방(蓮房) 속에서 오래되어 땅속에 떨어져 오랜 세월을 거쳐 돌과 같이 단단하고 검게 된 것이기 때문에 이러한 이름이 붙은 것이다. 열독 금구리(噤口痢: 이질로 음식을 먹지 못하는 것)의 전문 치료약이다. ....... 비음(脾陰)을 보조하고 열독을 척제(滌除)하지만 반드시 인삼(人蔘)의 위기(胃氣)를 개제(開提)하는 힘을 함께 써야 효력을 본다. 하리(下痢)가 오래 계속되고 위기허한(胃氣虛寒)이 있는 자와 구금(口噤)으로 음식을 먹지 못하는 자에게는 이 약은 좋은 효능이 있다."

3, <옥추약해(玉楸藥解)>: "연자(蓮子)는 그 성미가 달고 평(平)하여 비위(脾胃)에 매우 유익하고 고삽성(固澁性)이 있어 활설병(滑泄病)에 가장 적합하고 유정 변당(便溏)에도 큰 효과가 있다."

4, <의림찬요(醫林纂要)>: "연자(蓮子)는 심을 제거하고 껍질쩨 생것을 씹으면 가장 유익하다. 번(煩)을 제거하여 갈증을 멎게 하고 정(精)을 삽(澁)하게 하며 혈(血)을 잘 조화시키고 몽유를 멎게 해 한열(寒熱)을 조화하는 효능이 있다. 끓여서 복용하면 모든 비설구리(脾泄久痢)를 치료하고 위장을 튼튼히 하는 효능은 있으나 심신(心腎)을 교(交)하는 효능은 줄어든다. 더욱이 껍질을 제거한 것은 떫은 맛이 없어져서 그 효능은 비(脾)를 보익할 뿐이다."

5, <중경당수필(重慶堂隨筆)>: "연자(蓮子)는 심신(心腎)을 통하게 하지만 심을 제거하면 안 된다. 그러면 기(氣)를 체하게 한다."

6, <왕씨의안(王氏醫案)>: "연자(蓮子)는 위기(胃氣)를 보(補)하는 효능이 제일 좋고 허역(虛逆)을 누른다. 위허(胃虛)로 인한 번위에 기(氣)가 상충하여 음식을 먹지 못하는 증상에는 매일 건연자(乾蓮子)를 잘 게 씹어 복용하면 다른 약보다 좋은 효과가 있다. 위기(胃氣)가 박양한 환자는 옥지환(玉芝丸)을 상시 복용하면 살찌고 튼튼하게 된다. 이증금구(痢症噤口)의 경우에는 열사(熱邪)가 위중(胃中)의 청화(淸和)한 기(氣)를 상하게 하는데 황련(黃連)의 쓴맛으로 그의 사(邪)를 설(泄)하고 연자(蓮子)의 단맛에 의하여 위(胃)를 진정시킨다. 오늘날 약방에 있는 석연자(石蓮子)는 모두 가짜로서 맛이 써서 오히려 위(胃)를 상하게 하므로 쓰면 안 된다. 그러나 신선한 연자(蓮子)는 달이면 청향(淸香)이 탁(濁)하지 않아 위(胃)를 진정시키는 좋은 효능이 있다. 만약 신선한 연자(蓮子)가 없으면 마른 연자(蓮子)라도 좋다."

<연자심>

<온병조변(溫病條辨)>: "연심(蓮心)은 신(腎)으로 통하기 때문에 심화(心火)를 아래로 신(腎)에 통하게 하고 또 회환상승(回環上昇)되게 하여 신수(腎水)가 위로 심(心)에 이르게 한다."

참으로 연은 뻘과 같은 진흙속에서 자라지만 더러워지지 않고 청렴한 꽃을 피우며, 늘 물속에서 자라지만 물에 자신은 침투당하지 않고 살아가고 있다. 뿌리에서 잎사귀에 이르기까지 모두 약이되며 옛부터 신선의 음식으로 장수 음식으로 전해져 내려오고 있다. 오랫동안 복용할 수만 있다면 만병을 물리치고 예방할 수 있으며, 얼굴이 늘 어린아이의 피부와 같이 젊어지며 흰머리가 검게된다. 연을 못이나 방죽에 심어 기르면 아름다운 풍치를 더해준다. 각가정에서도 수련용 화분을 이용하여 누구나 쉽게 키울 수 있다. 연을 많이 심어 아름다움을 감상하고 식품으로 또는 약용으로 지혜롭게 잘 활용함으로 누구나 무병장수하며 큰 유익을 얻을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자료는 약초연구가로서 지구상에 존재하는 천연물질의 우수성을 널리 알리고 질병으로 고통을 겪고 있는 환우들에게 희망을 주며 기능성 식품이나 신약을 개발하는데 통찰력을 갖게하고 약초를 사랑하는 모든 사람에게 정보의 목적으로 공개하는 것임을 밝혀 둔다.

(글/ 약초연구가 & 동아대 & 신라대 대체의학 외래교수 전동명)

연꽃 사진 감상: 1, 2, 3, 4, 5, 6, 7, 가시연8, 9, 10, 11, 12, 13, 14, 15, 16, 수련17,

네이버+구글+다음+일본구글+대만구글+베트남구글:
1, 2, 3, 4, 5, 6, 가시연1, 가시연2, 가시연3, 빅토리아연1, 빅토리아연2, 빅토리아연3

문의 및 연락처: 010-2545-0777 ; 051-464-0307

홈주소: http://jdm0777.com

페이스북 주소: http://www.facebook.com/jdmsanyacho

이메일:
jdm0777@naver.com

참조: 아래에 비슷한 식물도 함께 고려해 보시기 바랍니다.

 

 

  1. 가시연꽃 무엇인가?
  2. 노랑어리연꽃 무엇인가?
  3. 수련 무엇인가?
  4. 순채 무엇인가?
  5. 연꽃 무엇인가?
  6. 왜개연꽃 무엇인가?

 

 

※ 아래에 jdm 필자가 찍은 연꽃의 부위별 사진 감상하시고 행복하시기 바랍니다~~~^.^

 


















 

홈페이지 주소 : http://jdm0777.com 클릭하시면 홈으로 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