잎갈나무(낙엽송) 무엇인가?

상록수인 소나무와 달리 잎이 떨어지는 잎갈나무

 

 

 

 

 

 

 

 

 

 

 

 

[잎갈나무의 종자 껍질을 쓰고 올라온 새싹, 암꽃, 수꽃, 잎, 잎과 나무껍질, 겨울눈, 익은 열매, 종자의 모습, 사진출처: 일본/대만/한국 구글 이미지 검색]

 

 

ヌルデ冬芽

 

 

[만주잎갈나무의 종자 껍질을 쓰고 올라온 새싹, 암꽃, 수꽃, 잎, 잎과 나무껍질, 겨울눈, 익은 열매, 종자의 모습, 사진출처: 일본/대만/한국 구글 이미지 검색]

류머티즘, 관절염, 지사, 피부질환, 상처, 궤양, 수렴제, 기관지충혈, 이뇨, 지사, 생리부족, 신장질환, 피부염, 각종잇몸질환, 습진, 피부발적제, 건축용, 갱목, 침목, 선박, 토공용재용, 소탕상(화상, 탕상)을 다스리는 잎갈나무(낙엽송)

잎갈나무 겉씨식물 구과식물아강 구과목 소나무과의 낙엽교목이다.

잎갈나무 즉 낙엽송의 학명은 <
Larix gmelini (Rupr.) Rupr.>이다. 이깔나무라고도 한다. 깊은 산이나 고원에서 자란다. 높이 35m 정도이고, 가지가 수평으로 퍼지거나 밑으로 처진다. 잎은 바늘 모양으로 흩어져나거나 모여난다. 짧은 가지의 잎은 길이 15∼30mm, 나비 1∼1.5mm이고 표면에 기공이 없거나 있다.

열매는 구과(毬果)로 달걀 모양, 타원형, 원통형이며 길이 15∼35mm, 지름 15∼25mm이다. 실편(實片)은 다갈색으로 25∼40개이고 나비 7∼12mm이다. 포편(苞片)은 실편 길이의 반 이상이며 바늘 모양이다. 종자는 길이 4mm, 지름 2mm이고, 날개는 나비가 좁으며 길이 2mm 정도이다.

꽃은 4월에 피고 열매는 9월에 익는다. 목재는 건축재, 전주, 침목 등으로 쓰이고, 결이 곧으며 생장이 빨라 주요 조림수종이다.

잎갈나무와 일본잎갈나무, 만주잎갈나무, 서양잎갈나무의 공통점은 모두 '잎을 가는 나무'라는 뜻이며 두나무 모두 낙엽송(落葉松) 즉 잎이 모두 떨어지는 나무라는 뜻에서는 같다.

우리나라에는 일본이 원산지인 <일본잎갈나무(낙엽송)>, 한국 북부 강원도, 함경남도, 함경북도 지방에서 자라며 열매 조각이 40개 이하이고 열매 조각의 끝이 곧은 점이 다른 <잎갈나무>, 중국, 러시아, 백두산 주변에서 자라는 <만주잎갈나무>가 자라고 있다. 서양에서 자라는 잎갈나무를 <구주낙엽송>이라고 부른다. 약효는 4가지 모두 같은 용도로 활용할 수 있다.

일본이 원산지인 일본잎갈나무는 조림수로 전국에 심는다. 키가 빨리 자라는 속성수이므로 산불 피해 지역의 복구용으로 많이 심겨지고 있다. 일본잎갈나무에 비해 잎갈나무는 솔방울조각의 끝이 뒤로 젖혀지는 점이 다르다. 상록수인 소나무 종류와는 달리 잎이 떨어지는 낙엽수이기 때문에 봄에 꽃이 필 무렵에 새잎이 돋는데, 나무에서 풍기는 은은한 향기의 피톤치드가 기분을 좋게 한다.  

1, 잎갈나무의 여러 가지 이름은
낙엽송[落葉松=luò yè sōng=루오: 내몽고약재자원보사선편(內蒙古藥材資源普査選編)], Larix olgensis Henny.[학명(學名)], Larch[영명(英名)], 이깔나무[잎갈나무: 한국 식물명의 유래] 등으로 부른다.

2, 일본잎갈나무의 여러 가지 이름은
일본낙엽송[日本落葉松=rì běn luò shè sōng=르
V루오 ̄, 당송:唐松: 유기백과(維基百科)], larix kaempferi[학명(學名)], Larix Leptolepis[영명(英名)], 카라마츠[カラマツ=唐松, 라쿠요우쇼우:ラクヨウショウ=落葉松, 후지마츠:ふじまつ=富士松: 일문명(日文名)], 낙엽송[落葉松], 락엽송, 창성이깔나무, 청성이깔나무, 일본에서 나는 잎갈나무, 일본잎갈나무 등으로 부른다.

3, 만주잎갈나무의 여러 가지 이름은
Larix olgensis var. amurensis[학명(學名)], 좀이깔나무, 만주에 나는 잎갈나무, 만주잎갈나무 등으로 부른다.

4, 서양잎갈나무의 여러 가지 이름은
European larch[학명(學名)], 구주낙엽송, 오우시우카라마츠[おうしうからまつ=Ousiu-Karamatsu: 일문명(日文名)], 유럽잎갈나무, 서양잎갈나무 등으로 부른다.

잎갈나무인 낙엽송의 효능과 유럽 중부 원산지인 구주낙엽송의 효능과 관련하여
<원색세계약용식물도감> 제 41면 45호 및 44호에서는 다음과 같이 기록하고 있다.

[
잎갈나무

과명:
소나무과
학명:
Larix olgensis Henny.
영명: Larch
일명: 카라마츠=からまつ=Karamatsu
중명: 낙엽송(
落葉松=luò yè sōng=루오)

낙엽 교목으로 높이 30~40m로 자란다. 수피는 짙은 적갈색이고 잎은 길이 15~30mm, 폭 1~1.5mm로 무더기로 난다. 꽃은 4월에 핀다. 9월에 계란형 또는 타원형 구과를 맺고 길이 1~3.5mm 다갈색 종자 25~40개를 내장한다.

분포:
우리나라 북부 백두산, 유럽, 아시아, 북부 러시아, 북아메리카에 분포한다.

약효:
류머티즘, 관절염, 지사, 피부질환, 상처, 궤양을 치료한다.

사용법:
수피인 나무껍질 20g을 물 1리터를 붓고 달여서 하루 2~3잔 마신다. 30~40g을 물 1리터로 달여서 류머티즘, 관절염에 환부 찜질을 하고 상처 궤양 부위를 씻는다.

구주낙엽송

과명:
소나무과
학명:
European larch
일명: 오우시우카라마츠=おうしうからまつ=Ousiu-Karamatsu

낙엽 교목으로 높이 15~30m로 자란다. 수피는 암회색으로 비늘로 덮이고 가지를 치고 잎은 녹색 협침형으로 끝이 예리하다. 과실은 구과대형 난형이며 갈색으로 익는다.

분포:
유럽 중부 원산으로 유럽 동부, 북러시아, 시베리아에 분포하고 섭씨 2~6도가 생장 최저 온도이다.

약효:
수렴제, 기관지충혈, 이뇨, 지사, 생리부족, 신장질환, 피부염, 습진을 치료한다.

사용법:
수피인 나무껍질과 수지인 나무 송진을 사용하고 잎갈나무 사용법에 준한다.
]

낙엽송의 효능에 대해 중국에서 펴낸 <중국본초도록> 제 9권 35면 4054호에서는 다음과 같이 기록하고 있다.

[낙엽송(落葉松)

기원: 송과(松科=소나무과: Pinaceae)식물인 낙엽송(落葉松: Larix gmelini (Rupr.) Rupr.)의 수지(樹脂), 인피(靭皮)이다.

형태: 교목으로 높이는 35m에 달하며 흉고 직경은 60∼90cm이다. 어린 수피(樹皮)는 진한 갈색(褐色)이고 인편상(鱗片狀) 괴편(塊片)으로 갈라지며 성숙한 수피(樹皮)는 회색(懷色), 암회색(暗懷色)이며 인편상(鱗片狀)으로 갈라져 떨어져 나가고 떨어진 다음 내피(內皮)는 홍자색(紅紫色)이고, 가지는 비스듬하게 펼쳐지거나 평평하게 펼쳐지며, 수관(樹冠)은 난상(卵狀) 원추형(圓錐形)이고, 1년생의 장지(長枝)는 비교적 길다. 꽃은 단생(單性)으로 자웅동주이며, 웅구화(雄球花)는 수술이 여러개이고, 자구화(雌球花)는 직립하며 주인(珠鱗)은 작다. 구과(球果)는 성숙하면 상단(上端)의 종인(種鱗)이 넓게 벌어지며 중부(中部)의 종인(種鱗)은 오각상(五角狀) 난형(卵形)이고 선단(先端)은 절형(截形)이거나 약간 오목하며 배면에는 털이 없고 광택이 있다. 종자(種子)의 윗 부분에는 막질(膜質)이 긴 날개가 있다.



분포: 땅이 깊고 비옥하며 배수가 잘되는 곳 또는 구릉지대에서 자라며 삼림의 조림 수종(樹種)으로 많이 쓰인다. 중국의 내몽고(內蒙古), 대소흥안령(大小興安嶺)에 분포한다.

채취 및 제법: 수지(樹脂)- 채벌시(採伐時)에 수피(樹皮)를 벗겨낼 때 수지(樹脂)가 흘러 나오면 긁어 모은다. 인피(靭皮)- 수피(樹皮)가 떨어지고 외피를 긁어 낸 다음 햇볕에 말린다.

주치: 수지(樹脂)- 피부발적제(皮膚發赤劑). 인피(靭皮)- 소탕상(燒燙傷)에 외용(外用)한다.

용량: 외용시(外用時)에는 적량(適量)을 사용한다.

참고문헌: 내몽고약재자원보사선편(內蒙古藥材資源普査選編), 제 1권 1호.]

소나무, 구주소나무, 무고소나무, 프랑스해안송, 리기다소나무, 가문비나무, 전나무, 낙엽송, 개잎갈나무(히말라야시다)의 효능에 관하여 Ben-Erik van Wyk, Michael Wink 공저, 조응자, 한덕룡 공역
<세계의 약용식물> 242면에서는 다음과 같이 기록하고 있다.

[
파인(Pine=소나무)

[구주소나무=Pinus sylvestris=스캇스 파인=Scots pine=스코틀랜드 소나무]


과명:
소나무과(Pinaceae)

학명:
1-구주소나무[
피누스 실베스트리스(Pinus sylvestris L.], 2-무고소나무[Pinus mugo subsp. pumilio(pumilio pine)], 3-프랑스해안송[Pinus pinaster(maritime pine)], 4-리기다소나무[Pinus palustris(pitch pine)], 5-가문비나무[Picea abies], 6-전나무[Abies alba], 7-낙엽송[Larixdecidua], 8-개잎갈나무[Cedrus deodora(히말라야시다=Himalyancedar 또는 잎갈나무=deodar)]   

프랑스명(French):
pin sauvage

독일명(German):
Waldkiefer

이탈리아명(Italian):
pino silvestre

스페인명(Spanish):
pino silvestre  

[식물학적 서술]


특유의 붉은 빛을 띤 갈색 껍질을 지닌 키큰 나무(높이 30m 정도), 바늘 같은 잎과 작고 거의 구형 모양 솔방울이 있다.

여러 종은 정유(수증기 증유)와 테르펜(송진, 올레오레진=oleoresin)을 만들기 위해 사용하며, 구주소나무[
피누스 실베스트리스(Pinus sylvestris L.], 무고소나무[Pinus mugo subsp. pumilio(pumilio pine)], 프랑스해안송[Pinus pinaster(maritime pine)], 리기다소나무[Pinus palustris(pitch pine)], 가문비나무[Picea abies], 전나무[Abies alba], 낙엽송[Larixdecidua]을 포함한다. 개잎갈나무[Cedrus deodora(히말라야시다=Himalyancedar 또는 잎갈나무=deodar)는 아유르베다 의약에서 인기가 있다.

[원산지]


유럽, 서북아시아, 소나무, 가문비나무속, 전나무는 거의 대부분 북반구에서 자란다.

[사용부위]


신선하고 건조된 어린 가지(소나무싹-Pini turiones), 잎의 정유와 어린 가지(솔잎유-Pini aetheroleum) 혹은 테르펜에서 나온 정유(정화한 테르펜유-Terebinthinae aetheroleum rectificatum), 또한 생전나무 싹(Piceae turiones recentes), 전나무잎 오일(Piceae aetheroleum)이 사용된다. 낙엽송의 경우 줄기에서 발삼(bal-sam)을 채취한다.

[치료영역]


거담제, 표면 자극제
.

[응용과 특성]


솔잎유와 테르펜유는
전통적 거담제이며 상부와 하부 기도의 카타르 치료에 사용했다. 테르펜유는 특히 대량 분비를 하는 기관지 질환에 사용하고, 오일이나 처방제품(tinctures, ointments, gels, emulsions)은 근육통, 신경통, 류마티스 치료로 피부에 바른다. Larix balsam은 흡입제로 사용하고 류마티스, 신경통에도 사용했다.

[처방과 용량]


감기약에 포함
되고 흡입제로 사용한다. 싹은 시럽 혹은 팅크로 먹을 수 있다.

[활성인자]


테르펜유는 주로 α-pinene, β-pinene, camphene, β-phyllandrene, Δ3-carene과 limonene를 포함한다. 솔잎유는 monoterpenoids와 유사하지만, 특이한 향기는 에스테르 때문이며 주로 (-)-bornyl acetate이다.

[약리학적 효능]


테르펜유와 솔잎유는 살충제와 secretolytic이다. 테르펜유나 솔잎유의 국소적 용도는
말초적 순환을 자극한다(충혈 특징).

[의약학적 위상]


Pharm. ; Comm. E+(소나무 싹, 오일, 테레빈유 ; 전나무 싹, 오일 ; larix balsam).
]

[<<잇몸에 좋은 솔방울 활용법>>]

[재료 준비]


종류를 불문하고 침엽수의 모든 솔방울에는 생송진과 테르펜유라는 성분이 있는데 이것이 살균작용, 항염증작용, 진통작용을 한다. 꿩은 상처가 나면 주둥이에 송진을 묻혀서 상처에 문질러 바른다고 전해 내려오고 있다. 이러한 성분이 잇몸에 작용을 하여 세균을 제거 하고 잇몸을 강화해서 잇몸질환에 대단히 효과가 있다.

봄철 5~6월에 새로 올라오는 푸른 솔방울을 준비한다. 소나무는 가장 흔한 한솔 즉 적송으로 알려진 솔방울이 열매가 부드럽고 채취하기도 쉽다. 하지만 곰솔, 백송, 잣나무, 섬잣나무, 눈잣나무, 가문비나무, 잎갈나무, 종비나무, 솔송나무, 분비나무, 구상나무, 전나무, 금송을 비롯한 외래종 소나무 종류인 구주소나무, 무고소나무, 프랑스해안송, 리기다소나무, 개잎갈나무(히말라야시다), 스트로브잣나무, 강철소나무, 풍겐스소나무, 테에다소나무, 리기테다소나무 등 지구상에 존재하는 거의 모든 소나무 종류의 솔방울을 활용할 수 있다.

[만드는 법]

① 솔방울을 씻고서 솥에 넣고 솔방울이 잠길 정도로 물을 자작하게 붓는다. 혼자 사용할려면 2리터 물에 솔방울 7~8개 정도를 넣고 처음에 센 불에 끓이다 끓기 시작하면 약불로 낮춰 천천히 더 끓여 식힌다.

② 천일염 한줌이나 깨끗한 바닷물을 한 컵 넣으면 더욱 효과적이다.

③ 처음에는 팔팔 끓이다가 중불로 다리면 우유와 비슷한 색깔이 우러나온다.

④ 국물이 우유빛깔처럼 우러나오면 솔방울은 건져내고 국물만 따라 놓는다.

⑤ 일반적으로 하루 3번 양치질 후 입안에 머금고 가글을 한 다음 뱉어낸다. 하지만 입안 염증이 심한 사람은 한번에 3번 정도 가글하고 뱉어낸다.

[활용법]

이가 아프거나 흔들림, 잇몸이 붓거나, 잇몸에서 피가 나거나 하면 달인 솔방울 물을 입에 넣고 2분정도 머금고 뱉어내고를 3번 정도 반복하면 좋아지는 것을 느낄 수 있다. 이후 보통은 3~4년은 재발이 없다. 상태가 많이 나쁜 치과 질환은 2~3개월의 효과만 있을 수 있으므로 자주 반복하여 기간을 늘려가야 한다. 수차례하다 보면 반드시 좋아진다. 만약에 좋아지지 않는다면, 수일간 반복한다. 예방차원에서는 달인 물을 위의 방법으로 3회를 반복하는데, 시간은 1회에 1분~2분 정도 가글하듯 우글거리다가 뱉어낸다. 입 냄새가 많이 나는 사람도 깜짝 놀랄 정도로 효과를 본다.

옛 조상때부터 민간요법으로 여러 사람들의 임상실험으로 검증된 효과이다. 제주도에 살고 있는 80이 넘은 할머니는 수십년간 이 방법을 실천하고 있는데 모든 치아가 튼튼하고 치아 질환을 앓은 적이 한번도 없다고 한다. 심지어 어떤 사람은 이빨이 흔들릴 정도로 심한 치과질환으로 고생하여 좋아하는 콩국수도 못 먹게 되었다고 슬퍼하다가 이 방법으로 치료 후 콩국수에 각무 김치반찬을 맛있게 먹게 되었다고 한다.

5~6월 정도면 시기적으로 솔방울이 적당한 크기로 자라는 시기인데그 때가 적기이지만 솔방울이 송진을 많이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쉽게 상하지 않는 점을 고려하면 냉장고에서도 어느 정도 보관은 된다. 잘 준비해두었다가 입안 염증으로 주위에 고생하시는 분들에게 권하면 좋다.

솔방울을 그대로 냉동실에 얼려 두었다가 활용하면 오랫동안 사용할 수도 있다. 그리고 체질에는 전혀 구애 받을 일이 없다. 실수로 삼켜도 해가 없다. 끓일 때 뚜껑을 닫으면 좋은데 송진 성분 때문에 뚜껑이 들러 붙어 뚜껑 열기 어려운 일이 있기도 하다. 그리고 충분히 식은 후에 활용한다. [민간요법, 인터넷 자료에 JDM 해설 추가함]

상기 자료는 약초연구가로서 지구상에 존재하는 천연물질의 우수성을 널리 알리고 질병으로 고통을 겪고 있는 환우들에게 희망을 주며 기능성 식품과 신약을 개발하는데 통찰력을 갖게하고 약초를 사랑하는 모든 사람에게 정보의 목적으로 공개하는 것임을 밝혀 둔다.  

(글/ 약초연구가 & 동아대 & 신라대 대체의학 외래교수 전동명)

잎갈나무 사진 감상: 네이버+구글+다음+일본구글+대만구글: 1, 2, 3, 4, 5,

만주잎갈나무 사진 감상: 네이버+구글+다음+일본구글+대만구글: 1, 2, 3, 4, 5,

문의 및 연락처: 010-2545-0777 ; 051-464-0307

주소: http://jdm0777.com

페이스북 주소: http://www.facebook.com/jdmsanyacho

메일: jdm0777@naver.com

아래의 비슷한 식물도 함께 참조해 보시기 바랍니다. 

 

 

  1. 개잎갈나무(히말라야시다) 무엇인가?
  2. 나한송 무엇인가?
  3. 낙우송 무엇인가?
  4. 노간주나무 무엇인가?
  5. 메타세쿼이아 무엇인가?
  6. 소나무 무엇인가?
  7. 일본잎갈나무(일본낙엽송) 무엇인가?
  8. 잎갈나무(낙엽송) 무엇인가?
  9. 잣나무 무엇인가?
  10. 죽백나무 무엇인가?
  11. 측백나무 무엇인가?
  12. 편백나무 무엇인가?
  13. 향나무 무엇인가?

 

 

홈페이지 주소 : http://jdm0777.com 클릭하시면 홈으로 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