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칭개나물(큰물칭개나물) 무엇인가?

식욕촉진작용을 하는 물칭개나물/큰물칭개나물

 

 

 

 

 

 

 

 

 

 

 

 

[물칭개나물의 어린잎, 톱니가 있는 물결 모양의 잎, 샘털이 달린 꽃자루, 흰색에 가까운 꽃, 물결 모양의 자라는 전초, 뿌리, 푸른열매, 종자의 모습, 사진출처: 일본/대만/한국 구글 이미지 검색]

 

 

 

 

 

 

[큰물칭개나물의 어린잎, 톱니가 없는 매끈한 잎, 털이 없는 꽃자루, 청자색이 진하고 좀더 큰 꽃의 모습, 꽃이 핀 전초, 뿌리, 익은열매, 종자의 모습, 사진출처: 일본/대만/한국 구글 이미지 검색]

▶ 해열작용, 혈액순환촉진작용, 진통작용, 진정작용, 지혈작용, 식욕촉진작용, 어혈, 고혈압, 위통, 골절, 지혈지통활혈소종청열이뇨강혈압, 청열이습, 지혈화어, 노상해혈, 이질, 혈림, 월경부조, 산기, 정창, 요통, 신허, 소변삽통, 노상토혈, 아간아주염, 아결석, 아지연지, 부스럼동통, 풍습통, 각종 종양, 각혈, 이뇨, 감기, 인후동통, 부인산후감기, 월경중지, 기침, 출혈, 이질, 혈림, 월경불순, 산증, 정창, 타박상, 인후염, 편도염, 결핵성 해수, 궤양, 생손앓이, 겨울철 수질 오염 정화, 치핵, 방광질병, 신석증, 항괴혈병, 선병질, 봄철 어린잎 식용, 후두가 부으며 나는 동통, 목에 생긴 연주창, 설사, 적리, 피오줌, 열물내기약, 허약체질, 아픔멎이약, 진정약, 피멎이약, 꽃돋이, 옹종, 옴, 머리버짐, 머리비듬을 치료하는 물칭개나물/큰물칭개나물

물칭개나물은 현삼과 개불알풀속에 속하는 월년생 1~2년초이다.

물칭개나물의 학명은 <Veronica undulata Wallich>이다.

큰물칭개나물의 학명은 <
Veronica anagallisaquatica Linne>이다. 개불알풀속은 전세계에 약 300종이 있으며 우리나라에는 약 5종이 분포되어 있다. 우리나라, 일본, 타이완, 중국 동북부, 아무르, 사할린 등지에서 서식하고 있다.

물칭개나물은 논, 논둑, 냇가, 물가의 습지에 나는 월년생 1~2년초이다. 종자로서 번식한다. 키는 약 25~90cm이며 전체에 털이 없고 줄기는 곧게 선다. 잎은 대생(마주나기)하고 윗부분의 잎은 긴 타원상 피침형이며 끝이 뾰족하고 가는 톱니가 있으며 얇고 연질이며 잎자루가 없고 줄기를 둘러싸며 길이 4~10cm이고 너비는 1~3cm이다. 꽃은 줄기 위의 잎겨드랑이에 총상화서로 달리며, 꽃자루는 굽어서 위를 향하고 길이 3mm 가량이며 꽃받침은 깊게 4갈래이고 갈래는 긴 타원형이며 끝이 뾰족하다. 화관은 4갈래이며 깊게 갈라지고 지름 6~7mm이다. 흰색 바탕에 적자색 맥이 있다. 수술은 2개이고 암술은 1개이며 열매는 삭과이며 둥근 모양이다. 끝이 오목하게 들어가고 지름 3mm 가량이며 길이 쪽이 너비 쪽보다 약간 긴데 보통은 작은 벌레가 기생하며 기생 후에 열매는 팽창해서 원구형으로 된다. 열매속에는 다수의 작은 종자가 들어 있다. 보통 어린싹은 가을에 발생하여 그루를 형성하여 월동한 다음 봄에 줄기를 세우며 자란다. 어릴 때에는 무리지어 자라고 잎에는 자주빛이 돈다.  

개화기는 4~6월이며 어린잎은 식용한다. 'undulata Wallich'라는 종소명은 '물결 모양의' 또는 '물결처럼 움직이는'이라는 뜻이며 잎 가장자리의 모양을 보고서 표현된 이름이다.

우리나라에는 물칭개나물, 큰물칭개나물이 자라고 있다.

물칭개나물의 여러 가지 이름은
수고매[
水苦蕒=shuǐ kǔ mǎi=수이VV마이V: 중국식물지(中国植物志), 상해식물지(上海植物志)], 수고매[水苦蕒, 반변산:半邊山, 사파채:謝婆菜: 본초도경(本草圖經)], 수와거[水萵苣, 수파채:水菜: 구황본초(救荒本草)], 수선도초[水仙桃草: 귀주민간방약집(貴州民間方藥集)], 선도초[仙桃草, 압아초:鴨兒草, 충충초:蟲蟲草: 사천중약지(四川中藥誌)], 수대엽연[水對葉蓮, 수택란:水澤蘭: 귀주초약(貴州草藥)], 문자초[蚊子草, 개와초:蚧蛙草, 접골도:接骨桃, 수상부평:水上浮萍, 수파랑:水波浪, 수와와:水窩窩, 망종초:芒種草, 이대초:二代草: 섬서중초약(陝西中草藥)], Water Speedwell[영명(英名)], 산개채[山芥菜, 수선도:水仙桃, 접골선도초:接骨仙桃草, 접골선도:接骨仙桃: 일개인여화초적생활(一個人與花草的生活)], 카와치사[カワチサ=川苣=kawachisa, 카와지사:カワジサ=川萵=kawajisa, 카와지사:カワジサ=川萵苣=kawajisa, 카와치사:カワチサ=水苦蕒=kawachisa, 카와치사:カワチサ=水萵苣=kawachisa, 산레이소오:サンレイソウ三礼草=sanreisou, 기바산라이소우:ギバサンライソウ=耆婆三礼草=gibasanraisou: 일문명(日文名)], 물칭개나물 등으로 부른다.

큰물칭개나물의 여러 가지 이름은
북수고매[北水苦荬=běi shuǐ kǔ mǎi=뻬이V수이VV마이V, 선도초:仙桃草: 백도백과(百度百科)], 대선도초[大仙桃草: 남경민간약초(南京民間藥草)], 선인대좌초[仙人對座草: 중국약식도감(中國藥植圖鑑)], 오오가와치샤[オオカワヂシャ=大川萵苣: 일문명(日文名)], 물꼬리풀[중국 옌볜 방언], 물칭개꼬리풀[북측 방언], 미국물칭개, 물까지꽃, 큰물꼬리풀, 물냉이아재비, 물칭개나물, 미국물칭개나물, 큰물칭개나물 등으로 부른다.

물칭개나물 열매의 다른 이름은
수고매과실[水苦蕒果實]이라고 부른다. 중국의 사천(四川) 지역에서는 충영(蟲
)이 붙어 있는 열매를 쓴다. 

물칭개나물 뿌리의 다른 이름은
수고매근[水苦蕒根]이라고 부른다.

[채취]


<전초>


<중약대사전>: "봄과 여름에 채취한다."

<열매>


<중약대사전>: "입하(立夏) 전후에 채취한다."

[성미]


<전초>


1, <중약대사전>: "맛은 쓰며 성질은 서늘하다."

2, <구황본초>: "잎의 맛은 약간 쓰며 성질은 차다."

3, <사천중약지>: "맛은 쓰며 성질은 차고 독이 없다."

4, <귀주초약>: "맛은 달며 성질은 평하다."

[약효와 주치]


<전초>


1, <중약대사전>: "열을 내리고 습을 없애며 지혈하고 어혈을 푼다. 감기, 인후의 동통, 노상(勞傷)으로 인한 기침 및 출혈의 증상, 이질, 혈림, 월경불순, 산증, 정창, 타박상을 치료한다."

2, <귀주민간방약집>: "열을 내리고 이뇨한다."

3, <사천중약지>: "타박상, 노상으로 인한 해혈, 기침, 허약 및 산증을 치료한다."

4, <귀주초약>: "혈을 화(和)하고 통증을 완화시키며 경맥을 통하게 하고 지혈한다. 토혈, 월경 중지, 타박상에 의해 붉게 부은 것을 치료한다."

5, <섬서중초약>: "지혈하고 통증을 완화시키며 혈액 순환을 촉진시키고 부기를 가라앉히며 열을 내리고 이뇨하며 혈압을 내리게 한다. 각혈, 풍습통, 위통, 타박상, 골절, 부스럼의 동통, 각종 종독, 월경통, 월경불순, 후두가 부으며 생기는 동통, 고혈압을 치료한다."

<열매>


1, <중약대사전>: "타박상, 노상(勞傷)으로 인한 토혈을 치료한다."

2, <귀주민간방약집>: "요통, 신허(腎虛), 방광기(膀胱氣)를 치료한다."

<뿌리>


<중약대사전>: "풍(風)과 열이 위로 올라와 막힌 증세, 후두가 부으며 나는 동통, 목에 생긴 연주창을 치료한다. 술에 갈아서 복용한다."

[용법과 용량]


<전초>


<중약대사전>: "내복: 3~5돈을 물로 달여서 복용하거나 갈아서 가루내어 충복(沖服:
몇몇 약물들은 달이지 않고 먼저 그릇에 담아 두었다가 끓인 물을 부은 다음 잘 섞어서 복용 하는 것)한다.

외용: 짓찧어 도포하거나 가루내어 목에 불어 넣는다."

<열매>

<중약대사전>: "가루를 만들어 쓰거나 술에 담가서 우려내어 먹는다."

<뿌리>


<중약대사전>: "술에 갈아서 복용한다."

큰물칭개 나물의 효능에 대하여 북측에서 펴낸
<약초의 성분과 이용>에서는 이와같이 기록하고 있다.

[물칭개나물(Veronica auagallisaquatica L.)

다른 이름:
물칭개꼬리풀

식물:
높이 30~60cm 되는 두해살이풀이다. 잎은 버들잎 모양이다. 이른 여름철에 연한 보라색 줄이 있는 흰색의 작은 꽃이 핀다.

각지의 들판, 물가에서 자란다.

성분:
전초에 배당체 아우쿠빈, 에로니신, 사포닌, 쓴맛물질과 탄닌질, 정유, 유황 그리고 알칼로이드 반응이 있다.

작용:
전초즙은 밥맛을 돋우는 작용을 한다.

응용:
민간에서 신선한 전초즙을 치질에, 달인액을 인후염, 궤양, 생손앓이에 쓴다. 그리고 연화제로 치핵과 종양에 바른다. 또한 오줌내기약으로 방광질병 및 신석증에 쓰며 항괴혈병, 선병질에도 쓴다. 전초 달인액은 설사, 적리, 피오줌에 쓰고 기타 열물내기약, 아픔멎이약, 진정약, 피멎이약으로도 쓴다.

전초 우림약으로는 꽃돋이, 옴, 머리버짐, 머리비듬을 씻는다.
]

큰물칭개나물의 효능에 대해 중국에서 펴낸
<중국본초도록> 제 5권 156면 2311호에서는 이렇게 기술하고 있다.

[수고매(水苦蕒)

기원: 현삼과(玄參科: Scrophulariaceae)식물인 수고매(水苦蕒=큰물칭개나물: Veronica anagallisaquatica L.)의 전초이다.

형태: 일년 혹은 이년생 초본이다. 줄기는 직립하고 높이는 25-90cm이며 풍부한 육질(肉質)이고 중간이 비어있다. 잎은 마주나고 장원상(長圓狀) 피침형(披針形) 혹은 장원상(長圓狀) 난형(卵形)이며 엽저는 귀바퀴모양으로 줄기를 약간 싼다. 총상화서(總狀花序)가 액생(腋生)하며, 포편(苞片)은 타원형(楕圓形)이고 가늘고 작으며, 꽃받침은 4갈래로 갈라라지고, 화관(花冠)은 담자색(淡紫色) 혹은 백색(白色)이며 담자색(淡紫色) 선조(線條)가 있고, 수술은 2개이며 돌출되어있고, 암술은 1개이고 자방상위이다. 삭과(蒴果)는 원형(圓形)에 가깝고, 종자(種子)는 여러개이다. 꽃피는 시기는 4-6월이다.



분포: 논 혹은 계곡가에서 자란다. 우리나라에서는 냇가에서 자란다. 중국의 화북(華北), 화동(華東), 화남(華南) 등에 분포한다.

채취 및 제법: 봄, 여름에 채취해서 그늘에서 말린다.

기미: 맛은 쓰고 성질은 서늘하다.

효능: 청열이습(淸熱利濕), 지혈화어(止血化瘀).

주치: 감모(感冒), 후통(喉痛), 노상해혈(勞傷咳血), 이질(痢疾), 정창(疔瘡), 질타손상(跌打損傷).

용량: 하루 9-15g을 물로 달여서 먹는다.

참고문헌: <중약대사전> 상권 1092호.]



[무성하게 자라는 물칭개나물, 물칭개나물 채집본, 사진 출처: 일본 구글 이미지 검색]

큰물칭개나물의 효능에 대해서 중국의 인터넷백과사전인 <백도백과(百度百科)>에서는 다음과 같이 기록하고 있다.

[북수고매(北水苦蕒)

北水苦蕒學名: Veronica anagallis-aquatica L.是玄參科婆婆納屬植物多年生稀爲一年生草本通常全體無毛極少在花序軸花梗花萼和蒴果上有幾根腺毛根莖斜走莖直立或基部傾斜不分枝或分枝10-100厘米葉無柄上部的半抱莖花序比葉長多花花梗與苞片近等長蒴果近圓形長寬近相等花期4-9

廣泛分布於亞洲溫帶地區及歐洲地區在中國分布於長江以北及西南各省區常見於水邊及沼地在中國西南可達海拔4000米的地方

嫩苗可蔬食可藥用具有지혈(止血)지통(止痛)활혈소종(活血消腫)청열이뇨(清熱利尿)강혈압(降血壓)等功效。(概述圖參考來源)

中文名
: 北水苦蕒
學  名
: Veronica anagallisaquatica L.
別  稱: 仙桃草
: 植物界
: 被子植物門
: 雙子葉植物綱
亞綱
: 合瓣花亞綱
: 管狀花目
: 玄參科
: 婆婆納屬
: 沼生組
: 北水苦蕒
命名者及年代
: Veronica anagallis-aquatica L1753

[주요가치(主要價值)]

식용(食用): 嫩苗可蔬食

약용(藥用): 全草入藥具有청열이습(清熱利濕)지혈화어(止血化瘀)等功效用於감모(感冒)인후통(咽喉痛)노상해혈(勞傷咳血)이질(痢疾)혈림(血淋)월경부조(月經不調)산기(疝氣)정창(疔瘡)질타손상(跌打損傷)과실(果實)或帶충영의 과실<蟲癭的果實>): 用於요통(腰痛)신허(腎虛)소변삽통(小便澀痛)질타손상(跌打損傷)노상토혈(勞傷吐血)

환보(環保): 北水苦蕒對生活汙水中COD去除率爲86.2%NH_3-N去除率爲91.1%TN去除率爲88.7%TP去除率爲87.1%具有較高的環保開發價值

기타(其他): 有些日化公司已研制了含北水苦蕒提取物的牙膏具有지혈지통(止血止痛)호리아간아주염(護理牙齦牙周炎)예방아결석(預防牙結石)거제아지연지(祛除牙漬煙漬)等功效.]

큰물칭개나물이 오염된 수질을 정화시킨다는 내용과 관련하여 <데일리한국 2019.02.27.>에서는 다음과 같은 기사가 실려있다.

[큰물칭개나물 '발굴'의 의미와 수질오염 정화

영하 20도에도 개천에서 자라는 큰물칭개나물동절기 수질 개선 및 생태학에 좋은 표본
"정년이 없는 과학자는 현장 경험이 풍부한 알찬 연구결과를 가져오는 원동력과 같다"

겨울철에도 수질오염을 정화하는 토종 식물종, 큰물칭개나물(Veronica anagallis-aquatica L.)을 발견한 것은 그 의미가 매우 크다.

1988
년부터 우리나라 토종 수질정화식물을 찾아내기 위해 전국을 돌아다니며 마치 약초를 구하듯 식물조사에 나섰던 기억이 지금도 새롭다. 도시 지천을 터전삼아 살아가고 있는 식물들을 조사하기 위해 현장을 누비곤 했다. 당시에 애기부들, , 미나리, 검정말, 부착조류, 개구리밥, , 부레옥잠 등을 조사하며 이들 식물이 수질정화에 실질적인 도움이 되는지를 면민히 조사했다.

그때만해도 우리나라 하천이나 하·폐수처리장 방류수, 축산폐수 처리 후 방류수 등에 적합한 수생생물을 연구해 1990년부터 전국적으로 보급하며 수질 정화를 위해 바쁜 나날을 보냈었다.

대부분의 녹조류는 겨울철에는 증식이 잘 안되는 특성이 있다. 그러한 점을 감안할때 겨울철 수질정화에 도움이 되는 토종식물 큰물칭개나물을 양평 백안리 소하천에서 찾아낸 것은 상당한 의미가 있다. 이 식물을 이용해 겨울철 소하천 정화식물을 개발하려는 연구는 지금도 현재진행형이다.

올해 양평 최저기온인 -20에서도 하천에서 거뜬히 살아가고 있는 큰물칭개나물은 겨울이 제철인 식물 냉이와 같이 수질을 정화시킨다. 흔히 봄나물로 알고 있는 냉이는 사실은 겨울에 제철인 나물이다. 쌍떡잎식물 합판화군 십자화과의 두해살이 식물이기 때문이다.

3
년간 관찰한 결과 2017년부터 2019년 겨울 최저, 평균 기온은 다음과 같았다. 2017년 겨울(2016.12~2017.2) 평균 -0.8, 최저 -17.0, 2018년 겨울(2017.12~2018.2) 평균 -3.4, 최저 -19.9, 2019년 겨울(2018.12~2019.2) 평균 -1.4, 최저 -14.9도로 조사됐다. 큰물칭개나물은 거의 영하 20에 달하는 온도에서도 살아남는 놀라운 생명력을 보였던 셈이다.


[2017
년 겨울 영하 20도에도 성장하는 수생식물인 큰물칭개나물을 찾아낸 것은 발굴 이상의 의미가 있다. 사진은 양평 백안리 소하천에서 발견된 큰물칭개나물.<사진=류재근 교수 제공>]

지금까지 여름철에는 수질정화식물로 개발한 애기부들, 부레옥잠, 개구리밥, , 미나리 등이 소하천의 수질을 정화하는 식물로 널리 보급돼왔다. 하지만 이 식물들은 영하 4이하에서는 증식하지 못하고 사멸되기 때문에 태생적 한계를 안고 있다.

1988
년부터 현재까지 겨울철 수질을 정화하는 식물을 찾아내기 위해 노력한 결과 큰물칭개나물이라는 수생식물을 만날수 있었다고 생각한다. 물 속에 사는 검정말 등은 겨울철에도 물 속 온도가 0이상을 유지하므로 오히려 사멸하지 않고 생존력을 발휘한다.

하지만 겨울철 영하의 추운 날씨에 외부에 잎과 줄기를 드러내놓고도 증식이 가능한 식물은 이번에 찾아낸 큰물칭개나물외에는 별로 없을 듯 싶다. 이 식물은 소하천에 살면서 얼음이 얼 정도로 추운 날씨에도 자라며 수질 정화에 기여하는 그야말로 자연친화적인 고마운 식물이다.


[2017
년 겨울 영하 20도에도 양평 백안리 소하천에서 자라나는 큰물칭개나물을 찾아낸 것은 수질개선 측면에서 큰 성과라 할 수 있다. <사진=류재근 교수 제공>]

사계절 소하천에 수질정화 식물을 이용하면 하수도를 설치하기 어려운 지역하천에서도 오염을 막고 수질을 정화할 수 있게 된다. 특히 큰물칭개나물이 영하 20에서도 생존한다는 사실을 밝혀냈기에 새로운 시도를 할 수 있었던 셈이다.

자기 지역의 하천에 큰물칭개나물이 없다면 이 식물을 옮겨다 심는 것도 한 방법일 수 있다. 수질 개선은 물론 생태계도 살리는 계기가 될 수 있기 때문이다.

앞으로 전국적으로 소하천 및 도시하천 즉 청계천, 중랑천, 탄천, 안양천 등에도 큰물칭개나물을 정화식물로 활용할 수 있게 될 것으로 기대된다.

과학자는 정년이 없다. 현실에 안주하지 말고 연구에 매진하다 보면 훌륭한 연구결과를 계속해서 도출해낼 수 있다. 특히 현장 경험을 토대로 연구해야 실질적인 성과를 끄집어낼 수 있다. 풍부한 현장 경험이 훌륭한 연구결과를 가져온다는 것은 수학공식이나 마찬가지다. 자기 꿈을 계속 키우고 정진하면 새로운 발견이나 발굴 등 세상을 개선하는 촉매제 역할을 얼마든지 해낼 수 있을 것이다.

류재근 한국교통대학교 석좌교수 프로필

고려대학교 생물학과를 졸업하고 서울대 보건대학원 환경보건학 석사를 거쳐 건국대에서 환경미생물학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 국립보건연구원 미생물부 연구관을 거쳐 국립환경연구원 원장, 한국환경기술진흥원 원장, 국가과학기술자문위원(2001~2004), 한국물환경학회 회장, 한국환경분석학회 명예회장 등을 지내면서 수질연구 등 물환경, 바이오, 환경분석과 관련된 분야에서 주로 일했으며, 열정과 추진력이 뛰어나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요즘도 한국교통대 석좌교수로 강단에 서고 있으며, 한국환경학술단체연합회 회장으로 왕성한 활동을 펼치고 있다. '물박사'로 유명하며, '대한민국 환경지킴이'라는 닉네임도 갖고 있다.]

물칭개나물/큰물칭개나물로 질병을 치료하는 방법은 아래와 같다.

<전초>


1, 부인의 산후 감기

물칭개나물 탕액에 붉은설탕을 넣어 복용한다. [남경민간약초(南京民間藥草)]

2, 월경 중지

물칭개나물 37.5g, 혈파목근(血巴木根) 37.5g을 술에 담가 따뜻하게 해서 복용한다. [귀주초약(貴州草藥)]

3, 소아 산기(疝氣)

물칭개나물 20g, 쌍신초(雙腎草), 팔월과근(八月瓜根), 소회향근(小茴香根) 각 3.75g씩을 취해 달인 즙을 복용한다. [중경초약(重慶草藥)]

4, 편도염

물칭개나물을 그늘에 말려 곱게 가루내서 목구멍에 불어 넣는다. [귀주민간방약집(貴州民間方藥集)]

5, 타박상, 결핵성 해수, 요통, 아랫 부분 출한(出汗: 속칭 소당:燒
)
물칭개나물을 가루내어 술에 타서 3.75~7.5g씩 복용한다. [사천중약지(四川中藥誌)]

6, 옹종(癰腫),
각종 종양
물칭개나물, 민들레를 각각 적당량을 함께 짓찧어 환부에 바른다. 또는 독각련(獨角蓮), 생지(生地)를 물칭개나물에 배합하고 다시 계란 흰자위를 넣어 진흙 모양으로 될 때까지 찧은 다음 환부에 바른다. [섬서중초약(陝西中草藥)]

<열매>


7, 타박상, 골절

물칭개나물의 열매 또는 충영이 붙은 열매를 술에 담그거나 술과 함께 약한 불에 달여 복용한다. [사천중약지(四川中藥誌)]

8, 노상(
: 결핵성 폐병) 토혈
물칭개나물열매, 세초(細草), 견혈청(見血淸) 각 같은 양을 가루내어 1회에 12g씩 동변(
童便: 12세 이하의 사내아이 소변)과 함께 복용한다. [사천중약지(四川中藥誌)]

<뿌리>


9, 풍(風)과 열이 위로 올라와 막힌 증세, 후두가 부으며 나는 동통, 목에 생긴 연주창

물칭개나물 뿌리를 술에 갈아서 복용한다. [중약대사전(中藥大辭典]

우리나라에 깨끗한 청정지역 물가에 자생하고 있는 물칭개나물을 잘 가꾸고 보존하여 꽃보기 식물로 볼 수 있고 물을 정화시키는 식물로도 유용하며 연할 때는 나물로도 일품인 물칭개나물을 잘 활용해 볼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자료는 약초연구가로서 지구상에 존재하는 천연물질의 우수성을 널리 알리고 질병으로 고통을 겪고 있는 환우들에게 희망을 주며 기능성 식품과 신약을 개발하는데 통찰력을 갖게하고 약초를 사랑하는 모든 사람에게 정보의 목적으로 공개하는 것임을 밝혀 둔다.   

(글/ 약초연구가 & 동아대 & 신라대 대체의학 외래교수 전동명)

물칭개나물/물칭개나물 사진 감상: 1, 2, 3, 4, 5, 6, 7, 8, 네이버+구글+다음+일본구글+대만구글: 1, 2, 3, 4, 5,

물칭개나물 상세 사진 웹사이트: 1, 2, 3,

큰물칭개나물 상세 사진 웹사이트: 1, 2,

문의 및 연락처: 010-2545-0777 ; 051-464-0307

홈주소: http://jdm0777.com ; http://www.eherb.kr

페이스북 주소: http://www.facebook.com/jdmsanyacho

이메일: jdm0777@naver.com ;
jdm0777@hanmail.net

참조: 아래의 식물들도 함께 참조해 보시기 바랍니다.

 

 

  1. 개불알꽃 무엇인가?
  2. 개불알풀 무엇인가?
  3. 광대나물 무엇인가?
  4. 냉초 무엇인가?
  5. 문모초 무엇인가?
  6. 물칭개나물 무엇인가?

 

 

※ 아래에 jdm 필자가 찍은 큰물칭개나물 사진도 감상해 보시고 행복하시기 바랍니다~~~^.^

 








 

홈페이지 주소 : http://jdm0777.com 클릭하시면 홈으로 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