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만수국의
다양한 꽃의 모습, 사진출처: 일본/대만/한국 구글 이미지 검색]
▶
청열이습, 지해,
해수, 기침, 이질을
다스리는 만수국
만수국(萬壽菊)은
쌍떡잎식물 초롱꽃목 국화과의 한해살이풀이다.
만수국의 학명은 <Tagetes patula Linnaeus, 1753.>이다. 금송화, 불란서금잔화, 홍황초(紅黃草)라고도 한다.
양지바른 모래흙에서 잘 자란다. 높이 20∼40cm이다. 줄기 밑에서 가지가
많이 갈라지고 털이 없으며 녹색이다. 잎은 어긋나거나 마주나고 1회
깃꼴겹잎이다. 작은잎은 줄 모양 바소꼴이거나 바소 모양이고 가장자리에
뾰족한 톱니와 유점(油點:반투명한 작은 점)이 있다.
꽃은 초여름부터
서리가 내릴 때까지 피지만 온상에서 기른 것은 5월에 피는데, 지름
3∼4cm 정도이며 노란색, 적갈색, 주홍색 등 색깔이 다양하다. 총포는
포조각 밑부분이 합쳐져서 컵처럼 된다. 설상화는 끝부분이 5개로 갈라진다.
열매는 수과로서 끝에 가시 같은 관모가 있다. 씨뿌리기와 꺾꽂이로
번식한다. 멕시코 원산으로 관상용으로 쓰며 다양한 품종이 있다. 한국,
유럽, 아프리카 등지에 분포한다.
만수국의 다른 이름은 공작초[孔雀草=kǒng
què cǎo=콩V취에↘차오V,
황국화:黃菊花:
귀주초약(貴州草藥)], 등국[藤菊,
서번국:西番菊:
중약대사전(中藥大辭典)], 쿠쟈쿠소오[くじゃくそう=孔雀草, 만쥬기쿠:マンジュギク=万寿菊, 후렌치・마리-고-루도:フレンチ・マリーゴールド, 코우오우소오:コウオウソウ=紅黄草: 일문명(日文名)],
홍황초[紅黃草],
만수국[萬壽菊], 금송화,
후랜치메리골드,
천수국,
불란서금잔화
등으로 부른다.
[채취]
<중약대사전>: "여름과 가을에 채취한다."
[성분]
<중약대사전>:
"플라보노이드(flavonoid)
성분인 patuletin, quercotagetin, patuletrin과 quercetagitrin이 함유되어
있다. 또 2종의 thiophene 유도체가 분리되었다. 꽃에는 patuletin,
patuletrin 및 quercetagitrin이 함유되어 있고, 이 이외에 helenine,
helenien, rubichrome, violaxanthine 등을 함유하고 있다."
[성미]
<귀주초약>:
"맛은 쓰고 성질은 평하다."
[약효와 주치]
<귀주초약>:
"청열이습(淸熱利濕)하고 기침을 멎게 하는 효능이 있다. 기침과
이질을 치료한다."
[용법과 용량]
<중약대사전>:
"내복:
11~19g을 물로 달여서 복용하거나 갈아서 가루로 만들어 먹는다."
만수국의
효능에 대해서 중국에서 펴낸 <중국본초도록> 제 6권 189면 2912호에서는 다음과 같이 기록하고 있다.
[공작초(孔雀草)
기원: 국과(菊科=국화과: Compositae)식물인 공작초(孔雀草=만수국: Tagetes patula L.)의 전초(全草)이다.
형태: 일년생 초본으로 높이가 30-50cm이고, 대개 기부(基部)에서 분지를 낸다. 잎은 우상(羽狀)으로 전열(全裂)하고 열편(裂片)은 선상(線狀) 피침형(披針形)이고 길이는 1-2.5cm이며 가장자리에 는 성긴 거치(鋸齒)가 있고 그 끝은 연한 실모양을 나타내며 거치(鋸齒)의 기부(基部) 각각에는 유선(油腺)이 1개씩 있다. 화서(花序)는 두상화서(頭狀花序)로 단생(單生)하고 긴 자루가 있으며, 총포(總苞)는 장타원형(長橢圓形)이고 상부의 가 장자리에는 뾰족하고 예리한 거치(鋸齒)가 있으며 선점(腺點)이 있고, 설상화(舌狀花)는 황색(黃色)이고 자색(紫色)의 홍반(紅斑)이 있고, 통상화(筒狀花)의 선단(先端)은 다섯으로 갈라지고, 수술은 5개이며, 자방 下立이고 1실(室)이며 암술머리는 둘로 갈라진다. 수과(瘦果)는 선형(線形)으로 편평(扁平)하고, 관모(冠毛)는 인편상(鱗片狀)이다.

분포: 중국 각지의 정원에서 재배된다. 우리나라에서는 관상용으로 심는다.
채취 및 제법: 여름과 가을에 채취하여 생용(生用)하거나 햇볕에 말린다.
성분: patuletin, quercetagetin, patuletrin, quercetagitrin, 2개의 thiophene derivs.
기미: 맛은 쓰고 성질은 평하다.
효능: 청열이습(淸熱利濕), 지해(止咳).
주치: 해수(咳嗽), 이질(痢疾).
용량: 9-15g.
참고문헌: 중약대사전, 상권,
1046면.]
상기 자료는 약초연구가로서 지구상에 존재하는 천연물질의 우수성을 널리 알리고 질병으로 고통을 겪고 있는 환우들에게 희망을 주며 기능성 식품이나
신약을 개발하는데 통찰력을 갖게하고 약초를 사랑하는 모든 사람에게 정보의 목적으로 공개하는 것임을 밝혀 둔다.
(글/ 약초연구가 & 동아대 &
신라대 대체의학 외래교수 전동명)
※ 만수국 사진 감상: 네이버+구글+다음+일본구글+대만구글: 1,
2,
3,
4,
5,
※ 문의 및 연락처: 010-2545-0777 ;
051-464-0307
※ 홈주소: http://jdm0777.com
※ 페이스북 주소: http://www.facebook.com/jdmsanyacho
※ 이메일: jdm0777@naver.com
※ 아래의
비슷한 식물들도 함께 참조해 보시기 바랍니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