말뱅이나물(왕류불행) 무엇인가?

혈액순환촉진 월경조절 유즙불통에 효험

 

 

 

 

 

 

 

 

img1.jpg

 

 

img1.jpg

 

 

[말뱅이나물의 어린잎, 자란잎, 전초, 꽃봉오리, 꽃, 꽃확대, 열매, 종자의 모습, 사진출처: 일본/대만/한국 구글 이미지 검색]

▶ 혈액 순환을 촉진, 행경통락, 최생하유, 소종염창, 경폐(무월경), 혈을 잘 순환하게 하는데, 월경을 통하게 하는데, 분만을 촉진시키는데, 젖을 나오게 하는데, 부기를 가라앉히게 하는데, 창을 수렴하는데, 유즙 불통, 혈림, 금창 출혈, 칼 따위에 베인 상처, 지혈, 통증을 멎게 하는데, 가시를 빠지게 하는데, 대상포진(임상보고), 풍비내한을 제거하는데, 심번을 얿애는데, 코피를 멈추게 하는데, 옹저 악창, 유방의 부기, 풍독, 등에 생기는 옹종, 유풍, 풍진, 월경 불순, 난산, 젖을 나오게 하는데, 창양, 소변을 나오게 하는데, 정창, 난산, 유즙불통, 혈림, 옹종, 금창출혈을 다스리는 말뱅이나물

말뱅이나물은 석죽과의 한해살이 또는 두해살이풀이다.

말뱅이나물의 학명은 <Saponaria vaccaria L.; Vaccaria segetalis (Neck.) Garcke ex Asch.>이다. 채소밭에서 자란다. 높이 5060cm이다. 줄기 위쪽에서 가지가 갈라지고 털이 없다. 잎은 마주나고 달걀 모양 바소꼴이거나 바소꼴이며 잎자루가 없다. 끝은 뾰족하고 가장자리가 밋밋하며 전체가 흰빛을 띤 녹색이다.

꽃은 분홍색으로서 67월에 원줄기 끝에서 자란 취산꽃차례[聚揀花序]에 드문드문 달린다. 작은꽃자루 가운데에 작은포가 있다. 꽃받침은 달걀 모양 원통형이고 길이 약 15mm이다. 날개처럼 생긴 5개의 능선이 있고 끝이 5갈래로 갈라진다. 꽃잎은 달걀을 거꾸로 세워놓은 모양이며 끝에 얕고 불규칙한 톱니가 있다. 수술은 10, 암술대는 2개이다.

열매는 삭과(殼果)로서 달걀 모양이며 꽃받침에 싸여 있다. 종자가 여러 개 들어 있는데, 종자는 갈색이며 둥글고 겉에 작은 돌기가 있다. 유럽 원산의 귀화식물이다. 한국(중부 이남), 북아메리카 등지에 널리 분포한다.

※ 참조: 말뱅이나물의 다른 이명은 다음과 같다.

1-Saponaria hispanica Mill.
2-Saponaria vaccaria L.
3-Vaccaria pyramidata Medik.
4-Vaccaria segetalis (Neck.) Garcke ex Asch.
5-Vaccaria vaccaria (L.) Huth
6-Vaccaria vulgaris Host


말뱅이나물의 여러 가지 이름은
왕불류행[王不留行=
wáng bù liú háng=리우: 신농본초경(神農本草經)], 불류행[不留行, 왕불류행:王不留行: 오보본초(吳普本草)], 금궁화[禁宮花, 전금화:剪金花: 일화자제가본초(日華子諸家本草)], 금전도초[金剪刀草: 패사(史)], 금잔은태[金盞銀台: 본초강목(本草綱目)], 맥남자[麥藍子: 감천현지(甘泉縣誌)], 맥남채[麥藍菜: 구황본초(救荒本草)], 도관대맥우[道灌大麥牛, 토아초:兒草, 맥가채:麥加菜, 왕모우:王牡牛: 중약대사전(中藥大辭典)], 서반아왕불류행[西班牙王不留行: 유기백과(維基百科)], 오우후루교우[おうふるぎょう=王不留行: 일문명(日文名)], 말뱅이나물 등으로 부른다. 

[채취]


<중약대사전>: "4~5월 밀이 익을 무렵(동북 지역은 가을) 전초를 볕에 말려 열매가 자연적으로 벌어지게 해서 떨어진 종자로부터 불순물을 제거하고 볕에 말린다."

[약재(藥材)]


<중약대사전>: "
건조된 종자는 공 모양에 가깝고 지름이 약 2mm이다. 어릴 때에는 백색이었다가 귤홍색으로 변하고 마지막에는 흑색을 띠며 광택이 생긴다. 표면에 과립상 돌기가 넓게 퍼져 있고 종자의 배꼽은 거의 원형으로 오목하며 그 주위의 과립상 돌기는 작고 한쪽 편에 띠 모양의 오목한 홈이 있는데 홈 안의 과립상 돌기는 세로로 배열되어 있다. 배젖은 젖빛이다. 질은 단단하고 향기는 없으며 맛은 담백하다. 건조되어 있고 알갱이가 고르며 충실하고 살졌으며 색이 검고 잡질이 없는 것이 양품이다.

주산지는 중국의 하북(河北), 산동(山東), 요녕(遼寧), 흑룡강(黑龍江)이다. 이 밖에 산서(山西), 호북(湖北), 호남(湖南), 하남(河南), 안휘(安徽), 섬서(陝西), 강소(江蘇), 절강(浙江), 길림(吉林), 신강(新疆) 등지에서도 난다. 하북(河北)의 산출량이 가장 많다.

왕불류행(王不留行)의 약용 부분은 본초서(本草書)의 기재에서는 대개 전초와 종자를 병용했는데 지금은 종자를 쓴다. 그러나 상품 중에는 콩과 야완두속(野豌豆屬) 식물의 종자가 혼입되어 있는 경우가 있다.

주로 쓰이는 것은 딱딱한 모과야완두[毛果野豌豆: Vicia hirsuta (L.) S. F. Gray]나 착엽야완두[窄葉野豌豆: Vicia angustifolia L.]의 종자인데 구별하지 않으면 안 된다."

[성분]


<중약대사전>: "
종자는 다종의 사포닌을 함유하고 있으며 그 중의 vacsegoside C75 H118 O40gypsogenin, glucronic acid, 포도당, xylose, arabinose, fucose, rhamnose로 조성된다. 사포닌(saponin)의 가수 분해로서 vaccaroside C36 H54 O4(종자 중의 함유량은 약 8%)를 얻을 수 있고 가수 분해를 계속하면 gypsogeninglucronid acid를 얻을 수 있다. 이 밖에 isosaponarin을 함유하고 있으며 가수 분해하면 그 aglyconesaponaretin의 일부분은 탈수(脫水)하여 vitexin을 생성한다. raffinose와 일종의 화학물을 함유하며 융점(融點)265~267로서 가수 분해하면 포도당을 얻을 수 있다. 이 밖에 전분 53%, 지방 4.32%, 단백질 9.34%, 회분 4.28%를 함유한다. 예비 실험에서 알칼로이드와 coumarin류의 반응이 있다.

동속 식물인 착엽야완두[窄葉野豌豆: Vicia angustifolia L.]의 종자는 vicianin을 함유한다.

종자 1kg에 함유되어 있는 vicianin은 시안화수소산을 약 0.75g 함유한다.

꽃과 콩깍지는 멜라닌을 함유한다."

[
포제(炮製)]

<중약대사전>: "
체로 쳐서 불순물을 깨끗이 제거하고 냄비 안에 넣어 약한 불에 볶아 흰 꽃이 6~7할 정도 벌어지면 꺼내어 그대로 식힌다."

[성미]

1, <중약대사전>: "맛은 쓰고 성질은 평하다."

2, <신농본초경>: "맛은 쓰고 성질은 평하다."

3, <오보본초>: "기백(岐伯), 뇌공(雷公)은 맛이 달다고 하였다."

4, <명의별록>: "맛은 달며 성질은 평하고 독이 없다."

5, <본초편독>: "맛은 쓰고 매우며 성질은 평하다."

[귀경
(歸經)]

1, <중약대사전>: "(), 위경(胃經)으로 들어간다."

2, <
본초강목>: "양명경(陽明經), 충맥(衝脈), 임맥(任脈)으로 들어간다."

3, <
뇌공포제약성해>: "(), ()2()으로 들어간다."

[약효과 주치]


1, <중약대사전>: "혈(血)을 잘 순환하게 하고 월경을 통하게 하며 분만을 촉진시키고 젖을 나오게 한다. 또 부기를 가라앉히게 하고 창(瘡)을 수렴하는 효능이 있다. 여자의 무월경, 유즙 불통, 난산, 혈림(血淋), 옹종(癰腫), 금창 출혈을 치료한다."

2, <신농본초경>: "칼 따위에 베인 상처를 치료하고 지혈 통증을 멎게 한다. 가시를 빠지게 하며 풍비내한(風痺內寒)을 제거한다. "  

3, <명의별록>: "심번(心煩)을 얿애고 코피를 멈추게 하며 옹저 악창, 유방의 부기, 난산을 치료한다."

4, <약성론>: "풍독을 치료하고 혈액 순환을 촉진시킨다."

5, <일화자제가본초>: "등에 생기는 옹종(癰腫), 유풍(遊風), 풍진, 월경 불순, 난산을 치료한다."

6, <진주낭>: "젖을 나오게 하고 창양(瘡瘍)을 치료하며 이질을 치료한다."

7, <본초강목>: "소변을 나오게 한다."

8, <본초종신>: "정창을 치료한다."

[용법과 용량]


<중약대사전>: "내복: 1.5~3돈을 물로 달여서 복용하거나 환제, 산제로 하여 이용한다.

외용: 가루내어 개어서 바른다."

[금기(禁忌:
주의 사항)]

1, <중약대사전>: "임산부는 복용하면 안된다."

2, <신농본초경소>: "임신부는 복용하지 말아야 한다."

3, <본초휘언>: "실혈병(失血病), 붕루병(崩漏病)인 경우에는 복용을 피해야 한다."

말뱅이나물의 효능에 대해서 중국에서 펴낸 <중국본초도록> 제 6권 43면 2572호에서는 다음과 같이 기록하고 있다.

[왕불류행(王不留行)

기원: 석죽과(石竹科: Caryophyllaceae)식물인 맥람채(麥藍菜=말뱅이나물: Vaccaria segetalis (Neck.) Garcke)種子.

형태: 일년생 초본으로 높이는 30-70cm이다. 전주(全株)에는 털이 없다. 잎은 난상(卵狀) 타원형(橢圓形) 내지 난상(卵狀) 피침형(披針形)으로 마주난다. 화서는 취산화서(聚傘花序)이며, 꽃자루는 길고, 꽃받침통은 5개의 녹색(綠色) 능시(稜翅)가 있으며, 꽃잎은 5장으로 분홍색(粉紅色)이다. 열매는 삭과(蒴果)로 난형(卵形)이며 4개의 톱니모양으로 갈라진다.



분포: 농경지, 특히 보리밭에서 잘 자란다. 중국의 화남(華南)을 제외한 전국각지에 고르게 분포한다.

채취 및 제법: 4-5월 보리가 익을때 거두어 전초(全草)를 베어 햇볕에 말려 종자를 떨어내고 잡질을 제거한 다음 햇볕에 말린다.

성분: 종자(種子): 다종의 사포닌(saponin). 이 밖에 starch.

기미: 맛은 쓰고 성질은 평하다.

효능: 행경통락(行經通絡), 최생하유(催生下乳), 소종염창(消腫斂瘡).

주치: 경폐(經閉), 난산(難産), 유즙불통(乳汁不通), 혈림(血淋), 옹종(癰腫), 금창출혈(金瘡出血).

용량: 4-9g.

참고문헌: 중약대사전, 상권, 637호.]

장구채의 효능에 대해서 북한에서 펴낸
<약초의 성분과 이용>에서는 이렇게 적고 있다.

[장구채(Melandrium firmum {Sieb. et Zucc.} Rohr.)

식물:
높이 약 60cm 되는 두해살이풀이다. 버들잎 모양의 잎이 마주 붙으며 열매는 작은 꽃단지 모양이다.

각지의 낮은 산, 들판에서 자란다.

전초(왕불류행):
꽃필 때 전초를 베어 그늘에서 말린다.

성분:
전초에 트리테르펜사포닌, 플라보노이드가 있다.

응용: 동의치료에서 피멎이약, 아픔멎이약으로 코피, 찔린 상처, 곪은 데, 피부옴, 자궁출혈, 월경불순에 쓴다.

민간에서는 오줌내기약으로 20그램 정도를 달여 먹는다.

참고:
동약 왕불류행의 기원 식물은 아직 밝혀지지 않았다. 문헌 자료를 종합해 보면 우리나라에서는 장구채를 예로부터 이용해 왔다. 그러나 중국에서는 15세기까지 장구채속 식물의 전초를 이용하였고 그 후에 말뱅이나물속 식물(Vaccaria segetalis Garcke)의 씨를 이용하였다. 이처럼 쓰는 부위와 기원식물이 달라졌을 뿐 아니라 쓰는 데도 피멎이약으로부터 최유약, 염증약, 활혈통경약으로 쓰고 있다. 그리하여 말뱅이속 식물의 씨는 폐경, 젖이 적을 때, 젖염, 산후 자궁회복 등에 쓴다. 5~10그램을 쓰며 깁소게닌의 배당체, 플라본 배당체(박카린)가 분리되었다. 사포닌은 깁소게닌에 많은 당이 붙은 박세고시드 C75 H118 O40이다.]  

우리나라와 북한에서는 장구채와 말뱅이나물을 함께 '왕불류행'이라고 부르고 있지만, 생약명으로 '왕불류행'을 중국에서는 '말뱅이나물'을 지칭하고, 장구채는 '여루채'라고 중약대사전에서는 별도로 분리하여 부르고 있다.   

장구채의 효능에 대해 북측에서 펴낸
<동의학사전>에서는 아래와 같이 기록하고 있다.

[장구채
//왕불유행, 전금화, 금궁화, 금잔은대// [본초]

패랭이꽃과에 속하는 두해살이풀인 장구채(Melandrium firmum Rohrb.)의 옹근풀을 말린 것이다. 각지의 산이나 들에서 자란다. 여름철 씨가 여물기 전에 전초를 베어 햇볕에서 말린다.

맛은 쓰고 달며 성질은 평하다. 위경에 작용한다. 혈을 잘 돌 게 하고 월경을 고르게 하며 젖이 잘 나게 한다. 또한 풍을 없애고 부은 것을 내리며 피나는 것을 멈춘다.

약리실험에서 면역기능을 높이는 작용이 밝혀졌다. 달거리가 없는 데, 젖부족증, 젖앓이 등에 쓴다. 부스럼, 악창, 코피, 다쳐서 피가 나오는데, 뼈마디가 아픈 데, 임증 등에도 쓴다.

하루 6~12g을 달임약, 가루약, 알약 형태로 먹는다. 외용약으로 쓸 때는 가루내어 기초(약)제에 개어서 바른다. 임신부에게는 쓰지 않는다.
]

장구채, 말뱅이나물, 털장구채, 오랑캐장구채의 효능에 대해서 안덕균의
<한국본초도감>에서는 다음과 같이 기록하고 있다.

[왕불류행(王不留行)

석죽과의 한해살이 또는 두해살이풀 말뱅이나물(Saponaria vaccaria Linne)의 종자이다.  

장구채(Melandryum firmum {Sieb. et Zucc.} Rchrb.), 털장구채(Melandryum firmum {Sieb. et Zucc.} Rchrb. for. pubescens Ohwi), 오랑캐장구채(Silene repens Pers.)의 지상부를 대신 약용한다.

성미:
맛은 쓰고 성질은 평하다.

효능:
활혈통경(活血通經), 하유(下乳)

해설:
① 여자의 생리불순, 생리통 및 생리가 없는 증상에 쓰인다. ② 산후 유즙 분비 부족, 유방염 등에도 활용된다.

성분:
사포닌, 알칼로이드 등이 함유되어 있다.

약리:
① 자궁 흥분 작용이 있고 ② 폐암과 복수암에 억제작용을 보인다.

임상보고:
① 임신 말기의 유산에 이 약물 다량을 물을 넣고 달여서 복용하였으며, ② 비뇨기 결석에서 결석의 용해도가 높게 나타났다.]


[말뱅이나물 즉 왕류불행의 세밀화, 사진 출처: 대만 구글 이미지 검색]

말뱅이나물(왕불류행)으로 질병을 치료하는 방법은 아래와 같다.

1,
()에 의해 젖이 극히 적게 나올 경우
구맥
(瞿麥)의 수(), ()을 제거한 맥문동(麥門冬), 왕불류행(不留行), 긴용골(緊龍骨), 종이에 싸서 황색이 될 때까지 구운 천산갑(穿山甲) 각각 같은 양을 가루내어 11돈을 식전에 뜨거운 술과 섞어서 마신다. 그 다음 돼지 족발 탕을 약간 마시고 나무 빗으로 좌우의 유방을 30여 회 빗질한다. 13회 이것을 반복한다. [위생보감(衛生寶鑑), 용천산(涌泉散)]

2, 산부의 유즙이 적은 증상

장구채, 황기(단너삼) 각 20그램과 당귀 12그램을 달여서 복용한다. [영하중초약수책(寧夏中草藥手冊)]

3, 쇠약으로 인한 부종

장구채, 백출, 복령껍질 각 20그램을 물로 달여서 복용한다. [영하중초약수책(寧夏中草藥手冊)]

4, 부스럼

장구채, 우모전(牛毛
) 각 적당한 양을 짓찧어서 환부에 붙인다. [귀주본초(貴州本草)]

장구채의 꽃봉오리는 마치 장구를 치는 막대기인 장구채를 닮았다고 하여 '장구채'로 부른다. 꽃의 생김새가 작으면서도 앙증맞고 대단히 아름답다.

상기 자료는 약초연구가로서 지구상에 존재하는 천연물질의 우수성을 널리 알리고 질병으로 고통을 겪고 있는 환우들에게 희망을 주며 기능성 식품과 신약을 개발하는데 통찰력을 갖게하고 약초를 사랑하는 모든 사람에게 정보의 목적으로 공개하는 것임을 밝혀 둔다.   

(글/ 약초연구가 & 동아대 & 신라대 대체의학 외래교수 전동명)

말뱅이나물 사진 감상: 네이버+구글+다음+일본구글+대만구글: 1, 2, 3, 4, 5,

문의 및 연락처: 010-2545-0777 ; 051-464-0307

주소: http://jdm0777.com ; http://www.eherb.kr

페이스북 주소: http://www.facebook.com/jdmsanyacho

메일: jdm0777@naver.com ; jdm0777@hanmail.net

아래에 비슷한 식물도 함께 고려해 보시기 바랍니다.


 

 

  1. 개별꽃 무엇인가?
  2. 동자꽃 무엇인가?
  3. 말뱅이나물(왕류불행) 무엇인가?
  4. 벼룩나물 무엇인가?
  5. 벼룩이자리 무엇인가?
  6. 별꽃 무엇인가?
  7. 술패랭이꽃 무엇인가?
  8. 장구채 무엇인가?
  9. 점나도나물 무엇인가?
  10. 패랭이꽃 무엇인가?

 

 

홈페이지 주소 : http://jdm0777.com 클릭하시면 홈으로 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