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큰망초의
어린잎, 꽃봉오리, 열매 및 종자의 모습, 사진출처: 일본/대만/한국 구글 이미지 검색]
▶
묵나물, 된장국용, 새순을 봄나물로 데쳐서 먹거나 무치거나 볶아서
먹는데, 치통을 다스리는 큰망초
큰망초는
피자식물문 쌍떡잎식물강 남부지방에서 자라는 국화과의 한두해살이풀이다.
큰망초의
학명은 <Erigeron sumatrensis>이다.
망초보다
키가 커서 큰망초라고 부른다. 보통 80~180cm 높이로 곧게 자라는 줄기는
연한 털이 빽빽이 난다. 줄기에 어긋나는 피침형 잎은 4~8개의 거친
톱니가 있으며 양면에 짧은 털이 빽빽이 난다. 7~9월에 줄기와 가지
끝에 자잘한 흰색 꽃송이가 달려 전체적으로 원추꽃차례를 만든다. 꽃송이의
가장자리에 있는 혀꽃은 2개로 갈라지지만 너무 짧아 거의 총포 속에
들어 있기 때문에 잘 보이지 않는다. 솜털이 달린 씨는 둥글게 모여
달린다. 남아메리카 원산의 귀화식물이다.
뿌리잎을 데쳐서
우려내고 먹는다. 새순이 올라오기 시작할 때도 데쳐서 무치거나 볶는다.
된장국을 끓이거나 튀김도 하고, 묵나물로 먹기도 한다. 시금치 대신
잡채에 넣어도 좋다.
큰망초
외에도
망초, 개망초, 실망초,
주걱망초(주걱개망초), 민망초,
애기망초, 산망초(구름망초), 봄망초(대구망초) 등이 자라고 있다.
큰망초의 다른 이름은 소문백주초[蘇門白酒草=sū mén bái jiǔ cǎo=쑤 ̄먼↗바이↗지우v차오v, 야동호:野茼蒿=yě tóng hāo=예v통↗하오 ̄: 중국식물지(中國植物志)], 오오아레치노기쿠[オオアレチノギク=大荒地野菊: 일문명(日文名)], erigeron sumatrensis[학명(學名)], 큰망초 등으로 부른다.
큰망초의 효능에 대해서 <대만 원주민 약용식물> 홈페이지에서는 다음과 같이 밝혀주고 있다.
[야동호(野茼蒿)
학명(學名):
Conyza sumatrensis (Retz.) Walker Erigeron sumatrensis Retzius
과속(科屬):
菊科(Compositae)飛蓬屬(Erigeron )
모어(母語):
Hourenkanisimo-tu巒(布農)
용도(用途):
치통(齒痛),將葉於食鹽內搓揉後貼於患部
野茼蒿全年都能開花,它的小花數量很多,白色的舌狀花不明顯,2齒裂,白色;中央為管狀花,5齒裂,黃色;子房被毛,花束圓錐形。
長橢圓形的瘦果扁平,和冠毛都是淡咖啡色,數量很多,能夠隨風飄到四方。
根生葉叢生,倒卵狀匙形,疏鋸齒緣,先端銳尖;莖生葉披針形至線形,長 2~8 公分,寬 1.5~1 公分,基部漸狹,先端銳尖,疏鋸齒緣或全緣,兩面無毛或稀有毛,具毛緣;比較寬的根生葉有柄,互生的莖生葉無柄。
기타(其他):
一年生草本,莖直立,具短粗毛,上方分枝。野茼蒿憑著高超的適應能力和繁衍能力,無孔不入,在全世界溫暖地區都佔有一席之地。其驚人的擴張力令人刮目相看.]
상기 자료는 약초연구가로서 지구상에 존재하는 천연물질의 우수성을
널리 알리고 질병으로 고통을 겪고 있는 환우들에게 희망을 주며 기능성 식품과 신약을 개발하는데 통찰력을 갖게하고 약초를 사랑하는 모든 사람에게
정보의 목적으로 공개하는 것임을 밝혀 둔다.
(글/ 약초연구가 & 동아대 & 신라대 대체의학 외래교수 전동명)
※ 큰망초 사진 감상: 네이버+구글+다음+일본구글+대만구글: 1, 2, 3, 4, 5,
※ 문의 및 연락처: 010-2545-0777 ;
051-464-0307
※ 홈주소: http://jdm0777.com ; http://www.eherb.kr
※ 페이스북 주소: http://www.facebook.com/jdmsanyacho
※ 이메일: jdm0777@naver.com ; jdm0777@hanmail.net
※ 참조: 아래의 비슷한 식물을 함께 참조해 보시기 바랍니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