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각자나무(주엽나무) 무엇인가?

큰 나무에 작두콩처럼 생긴 열매가 주렁 주렁 열리는 나무

 

 

 

 

 

 

 

 

 

 

[주엽나무의 잎, 꽃, 가시, 열매의 모습, 사진출처: 일본/대만/한국 구글 이미지 검색]

 

 

img1.jpg

img1.jpg img1.jpg img1.jpg

 

 

[조각자나무의 잎, 꽃, 가시, 열매의 모습, 사진출처: 일본/대만/한국 구글 이미지 검색]

▶ 거담작용(가래를 삭이는 작용), 항암작용, 항염작용, 면역 억제 작용, 항균작용, 배농작용, 소염작용, 해열작용, 해독작용, 위점막 자극 작용, 호흡기도 내의 점액 분비 촉진작용, 방탈오발작용, 용혈작용, 살충작용, 신경통, 관절염, 급성장경색, 산후 급성 유선염, 가래, 편도선염, 거담, 개규, 산결소종, 수풍(몸에 물집이 생겼다 터진 다음 허는 병), 급성 장 경색, 산후 급성 유선염, 발독, 여성 유방염, 결핵성 임파선염, 피부감각 마비, 산후 유즙 분비 부족, 좌골신경통, 만성 개선, 소양, 종기에 기혈 부족으로 화농이 될 것 같으면서도 안 되는 경우, 종기 초기 발열, 종창, 동통이 있을 경우, 소종배농, 윤조통변(마른 것을 매끄럽게하여 변이 잘 나가게 되는 것), 풍진개라, 피부의 마비, 근육의 괴사, 풍비, 고질성 피부염, 회충성 장폐색증[임상보고], 귀지가 굳어서 막힌 증상[임상보고], 급성 편도선염[임상보고], 급성 혈흡충병[임상보고], 급성 장폐색[임상보고], 거풍소종, 해독, 해열, 주사독 억제, 유황독 억제, 노사독 억제, 풍열에 의한 치통, 각기로 인한 부종 및 동통, 가래가 끓는 천식 해수, 변비, 종기, 간질, 폐결핵, 설사가 멎지 않는 증상, 편도염, 해수, 천식, 중풍으로 정신혼몽, 인사불성, 간질, 입을 꽉 다물고 열지 못하는 증상, 갑작스런 두통, 중풍으로 입이 굳어져 벌어지지 않아 타액이 위로 올라오며 막힌 증세, 갑작스런 졸도, 피부궤양, 완고한 변비(대변을 잘 못보는 증상), 갑자기 발병한 중풍으로 인한 안면신경마비, 대변 출혈, 객담이 잘 나오지 않고 기도가 불편한 증상, 폐농양, 만성기관지염, 가슴답답증, 가래가 끈끈하고 잘 나오지 않는 증상, 중풍, 기생충 구제, 젖앓이, 옹창, 한센병을 다스리는 조각자나무 및 주엽나무

조각자나무는 콩과의 갈잎큰키나무이다.

조각자나무의 학명은 <Gleditsia sinensis Lam.>이다. 높이가 20~30미터까지 자라며 나무껍질은 흑회색이고 줄기나 가지에 작은 가지 같은 가시가 나는데 가시 단면이 둥글고 갈라진다. 잎은 어긋나고 깃꼴겹잎이다. 작은잎은 3~6쌍이고 긴 타원형~피침형이며 가장자리에 물결 모양의 둔한 톱니가 있다. 짧은 가지 끝의 수상꽃차례에 자잘한 황록색 꽃이 6월에 핀다. 10월에 열리는 꼬투리 열매는 뒤틀리지 않고 길이 20센티미터, 너비 3센티미터이며 쪼개면 매운냄새가 난다. 말린 열매의 표면은 울퉁불퉁하고 적갈색 또는 자홍색이며 회백색의 가루가 덮여 있는데 비비면 광택이 난다. 마른 열매를 손으로 흔들면 씨앗이 속에서 움직이면서 소리가 난다. 쪼개면 연한 황색이 나는데 여러개의 종자가 들어 있다. 종자는 편평한 타원형이고 겉껍질은 황갈색이며 반들반들하고 질은 딱딱하다. 씨앗의 가루는 냄새를 맡으면 매우면서 재채기가 난다.    

조각자나무와 비슷하게 닮은 콩과의 주엽나무가 있다.

주엽나무의 학명은 <Gleditsia japonica Miq. var. koraiensis (Nak.) Nakai>이다. 높이는 20미터까지 자라는데, 줄기나 가지에 작은 가시같은 가시가 나는데 가시 단면이 납작하고 갈라진다. 잎은 어긋나고 깃꼴겹잎이다. 작은 잎은 5~8쌍이고 긴 타원형~긴 달걀형이며 가장자리에 물결 모양의 톱니가 있다. 암수한그루로 짧은 가지 끝의 수상꽃차례에 자잘한 황록색의 꽃이 6월에 핀다. 10월에 열리는 꼬투리 열매는 비틀려서 꼬인다. 원줄기에 가시가 없는 것을 '민주엽나무(for. inarmata)'라고 한다.

조각자나무와 주엽나무(주염나무) 모두 생약명으로 <조협(
)>이라고 하여 동일하게 약용한다. 아마도 한자 이름인 '조협목(木)'이 변해서 '주엽나무'로 이름 붙여진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조각자나무의 중국의 외단본초(外丹本草)에서는 열매를 '현도(懸刀)'라고 부르는데, 뜻은 '매달현', '칼도' 즉 <칼이 매달려 있다>라는 뜻을 가지고 있다. 실제 작두콩만한 칼이 매달려 있는 것처럼 보일 수도 있다. 

기다란 열매 속의 끈끈한 물질을 '주염떡(쥐엄떡)'에 빗대어 '주염나무' 또는 '쥐엄나무'라고도 한다. 필자도 충청북도 시골에서 어릴 때 조각자나무 열매를 주워서 껍질을 찟어 보면 속에 노란색의 꿀이 들어 있는데, 그것을 열심히 빨아먹고 있노라면 그 달콤한 맛에 취해서 배고픔도 잊고 그 맛에 반해 버린 어릴 때 추억을 지금도 잊을 수 없다.

조각자나무 열매를 조협(
莢), 뿌리껍질은 조협근피(莢根皮), 잎을 조협엽(莢葉), 가시를 조각자(角刺), 열매속의 종자를 조협자(莢子), 나무가 노쇠하였거나 손상을 받아 생긴 작은 열매 저아조(猪牙)라고 부르며 모두 약용한다.  

※ 참고:
중국에서는 조협(
)이라고 하여 아래의 6가지 종류를 약용으로 사용하고 있다.

1, 조협[
皂荚=조각자나무: Gleditsia sinensis Lam.]

2, 산조협[山皂荚: Gleditsia melanacanthaTang et Wang.]

3, 일본조협[日本皂荚=
주엽나무:
Gleditsia japonica Miq.]

4, 저아조[猪牙皂:
Gleditsia officinalis Hemsl.]

5, 야조협[野皂荚:
Gleditsia heterophylla Bunge.]

6, 수조협[水皂荚=
차풀:
Cassia nomame(Sieb) Kitagawa.]

※ 참고: 베트남에서는 아래와 같은 15가지 종류가 자라고 있다고 <베트남 위키백과>에서는 기록하고 있다.

1, Gleditsia amorphoides
(Griseb.) Taub.

2, Gleditsia aquatica
Marshall: Bồ kết nước

3, Gleditsia assamica
Bor

4, Gleditsia australis F. B. Forbes & Hemsl.:
Bồ kết quả nhỏ, bồ kết, bù kết, chùm kết, châm kết, mận kết, bồ kếp, tạo giác.

5, Gleditsia caspia Desf.:
Bồ kết Caspi

6, Gleditsia delavayi
Franchet

7, Gleditsia fera (Lour.)
Merr.: Bồ kết Hoa Nam, tạo giác, chùm kết.

8, Gleditsia ferox Desf.

9, Gleditsia japonica
Miq.: Bồ kết núi hay bồ kết Nhật Bản

10, Gleditsia macracantha Desf.

11, Gleditsia microphylla
Isely: Bồ kết dại

12, Gleditsia pachycarpa
Balansa ex Gagnep.: Bồ kết quả dày.

13, Gleditsia sinensis
Lam.: Bồ kết Trung Quốc

14, Gleditsia texana
Sarg.: Bồ kết Texas, đôi khi được coi là loài lai ghép (G. aquatica × G. triacanthos)

15, Gleditsia triacanthos L.:
Bồ kết ba gai


조각자나무(Gleditsia sinensis Lam.)의 다른 이름은
조협[
皂莢=zào jiá=짜오지아: 신농본초경(神農本草經)], 계서자[鷄棲子: 광지(廣誌)], 조각[皂角: 주후비급방(後備急方)], 대조협[大皂莢: 천금방(千金方)], 장조협[長皂莢: 본초도경(本草圖經)], 현도[懸刀: 외단본초(外丹本草)], 장조각[長皂角: 인재직지방(仁齋直指方)], 대조각[大皂角: 본초강목(本草綱目)], 저아조[豬牙皂: 중약지(中藥誌)], 오서[烏犀: 중화본초(中華本草)], 도우사이카치[トウサイカチ, 시나사이카치:シナサイカチ: 일문명(日文名)], 보 껫[Chi BỒ KẾT, 보 껫:BỒ KẾT: 베트남어], 조협나무, 중국주엽나무, 조각나무, 조각자나무, 참조각자나무, 개주염나무 등으로 부른다. 

주엽나무(Gleditsia
japonica Miq.)의 다른 이름은 일본조협[日本皂荚: 바이두 백과사전], 사이카치[サイカチ=皁莢, 카와라후지노키:カワラフジノキ: 일문명(日文名)], 까막까질나무[경북 안동지방 방언], 주엽나모, 주염나무, 주염남우, 주염나무, 쥐엄나무, 민주엽나무, 주엽나무 등으로 부른다.

조각자나무 뿌리껍질의 다른 이름은
조협근피[
莢根皮: 본초강목(本草綱目)], 목유[木乳: 보제방(普濟方)] 등으로 부른다.

조각자나무 잎의 다른 이름은
조협엽[
莢葉: 본초강목(本草綱目)]으로 부른다.

조각자나무의 가시의 다른 이름은
조각자[
角刺: 본경연의보유(本經衍義補遺)], 조협자[刺: 태평성혜방(太平聖惠方)], 조자[刺: 의학입문(醫學入門)], 천정[天丁: 본초강목(本草綱目)], 조각침[角針: 강소식약지(江蘇植藥誌)], 조침[針: 중약재수책(中藥材手冊)] 등으로 부른다. 

조각자나무 열매속의 종자의 다른 이름은
조협자[
莢子: 뇌공포자론(雷公炙論)], 조각자[角子: 천금방(千金方)], 조자[子, 조아:兒: 박제방(博濟方)], 조각핵[角核; 부인양방(婦人良方)] 등으로 부른다.

조각자나무가 이미 시들거나 상한 후에 맺은 열매의 다른 이름은
저아조[猪牙
皂: 명의별록(名醫別錄)], 조협[皂莢: 신농본초경(神農本草經)], 계서자[鷄棲子: 광지(廣誌)], 조각[皂角: 주후방(後方)], 저아조각[猪牙: 해상집험방(海上集驗方)], 아조[牙: 본사방(本事方)], 오서[烏犀: 본초강목(本草綱目)], 소조[小: 본경봉원(本經逢原)], 미조[眉, 소조협:小莢: 중약지(中藥誌)] 등으로 부른다.    

[조각자나무와 주엽나무 구별하기]


1, <오감으로 쉽게 찾는 우리나무 430면>:
"주엽나무의 가시가 납작하며 열매가 비틀리는 점으로 조각자나무와 구별한다. 열매의 내피 속에 달콤한 맛이 나는 끈끈한 잼 같은 것을 먹는다."

2, <JDM>:
"주엽나무는 열매가 길 게 비틀리며 꼬이고 조각자나무는 열매가 비틀리지 않고 길 게 매달려 있다. 가시가 조각자나무는 퉁퉁하고 둥근모습이고 주엽나무 가시는 납작한 모습으로 납작한 가시에 또 가시가 붙는다."

[채취]


<열매>


<중약대사전>: "가을에 열매가 익으면 뜯어서 햇볕에 말린다."

<뿌리껍질>


<중약대사전>: "가을과 겨울에 채취한다."

<가시>


<중약대사전>: "일년 내내 채취할 수 있으나, 9월부터 이듬해 3월까지가 좋다."

<종자>


<중약대사전>: "가을에 열매가 익었을 때에 따서 종자를 꺼내어 햇볕에 말린다. 해충을 방지해야 한다."

<저아조>


<중약대사전>: "늦가을 성숙한 열매를 따서 햇볕에 말린다."

[약재(藥材)]


<열매>


<중약대사전>: "말린 협과는 긴 곤봉 모양으로 편평하거나 조금 만곡되었고 길이는 15~25cm이며 너비는 2~3.5cm이고 두께는 0.8~1.4cm이다. 표면은 울퉁불퉁하고 적갈색 또는 자홍색이며 회백색의 가루가 덮여 있는데 비비면 광택이 난다. 양끝은 조금 뾰족하고 기부에 짧은 과병(열매 꼭지) 또는 과병이 떨어진 흔적이 있으며 등의 봉합선은 도드라져 마름모 모양으로 되어 있다. 질은 단단하고 흔들면 소리가 난다.

쪼개면 연한 황색이 나는데 여러 개의 종자가 들어 있다. 종자는 편평한 타원형이고 겉껍질은 황갈색이며 반들반들하고 질은 굳다. 기미(氣味)는 매운데 가루의 냄새를 맡으면 재채기가 난다. 살지고 실하며 옹골지고 질이 단단한 것이 양품이다.

주로 중국의 하북(河北), 산서(山西), 하남(河南), 산동(山東)에서 나고 동북(東北) 지역 및 강소(江蘇), 체강(滯江), 호북(湖北), 광서(廣西), 사천(四川) 등지에서도 난다."

<가시>


<중약대사전>: "완전한 가지의 가시는 많이 분지하고 기둥 가시는 원기둥 모양이며 길이는 5~15cm이고 기부는 굵으며 약 8~12cm이고 뾰족하다. 분지한 가시는 보통 길이가 1.5~1.7cm이고 때로는 다시 분지하여 작은 가시로 될 때도 있다. 겉은 자갈색이고 뾰족한 부분은 적갈색이며 광택이 있어서 매끄럽고 가는 주름이 있다. 질은 단단하고 잘 꺽어지지 않는다. 약재는 흔히 세로로 잘라서 비스듬한 조각이나 얇은 조각으로 만든다.

그 두께가 2mm 이하인 것은 목질부가 황백색이고 중심은 연한 회갈색이며 푸석푸석한 고갱이 부분으로 되어 있다. 냄새는 없고 맛은 담백하다. 조각이 얇고 깨끗하며 완전하고 가지런한 것이 양품이다.

중국의 강소(江蘇), 호북(湖北), 하북(河北), 산서(山西), 하남(河南), 산동(山東)에서 주로 나고 광동(廣東), 광서(廣西), 사천(四川), 안휘(安徽), 절강(浙江), 귀주(貴州), 섬서(陝西), 강서(江西), 감숙(甘肅) 등지에서도 난다."

<종자>


<중약대사전>: "말린 종자는 긴 타원형이고 한쪽 끝은 조금 좁고 뾰족하며 길이는 11~13mm이고 너비는 7~8mm이며 두께는 약 7mm이다. 표면은 종려나무와 같은 갈색이며 반듯하고 매끈하여 광택이 있으며 좁고 뾰족한 쪽에 약간 우묵해진 점(點) 모양의 종제(種臍)가 있는데 뚜렷하지 않을 때도 있다. 껍질이 떨어지면 황색의 큰 자엽이 두 개 보인다. 질은 매우 단단하고 냄새는 약하며 맛은 담담하다. 알이 옹골지고 단단하며 불순물과 벌레 먹지 않은 것이 양품이다."

<저아조>


<중약대사전>: "건조한 협과는 원기둥 모양이고 약간 편평하며 만곡하여 'ㄱ'자형이고 길이는 5~10cm, 너비는 5~12mm이다. 표면은 자갈색이거나 자흑색이고 회백색의 분말로 덮여 있으며 문질러서 제거하면 광택이 있다. 또 가늘고 작은 사마귀 모양의 돌기 및 실모양의 무늬가 있다. 배의 봉합선 돌기는 능척상(綾脊狀)이고 등의 봉합선 돌기는 뚜렷하지 않지만, 황갈색의 세로 무늬가 있다. 선단에는 부리 모양인 암술대의 잔재가 있고 기부에 열매 꼭지의 흔적이 있다.

질은 굳고 부서지기 쉬우며 단면의 외층은 황갈색이고 중간은 황백색이며 중심은 비교적 연하고 담녹색 또는 연한 황갈색의 실 모양과 세로난 망상(網狀) 무의가 있고 세로로 절개하면 가지런하게 배열된 오목한 부위가 있으며 종자는 적다. 냄새는 약하면서도 자극성이 있으며 가루의 냄새를 맡으면 바로 재채기가 난다. 맛은 먼저 단맛이 나다가 나중에 매운 맛이 난다. 작고 충실하며 자흑색이고 광택이 있으며 열매 꼭지가 없고 질이 굳으며 살이 많고 끈기가 있으며 단면이 연한 녹색인 것이 양품이다.

주산지는 사천(四川), 귀주(貴州), 운남(雲南), 산동(山東)이다. 그 외에 섬서(陝西), 호북(湖北), 하북(河北), 산서(山西), 안휘(安徽), 하남(河南), 강소(江蘇) 등지에서도 난다."

[성분]


<열매>


<중약대사전>: "협과는 triterpenoid saponin, 탄닌을 함유한다. 보고에 의하면 사포닌의 한 종류를 gledinin이라 하는데 그 gledigenin의 실험식은 C30 H48 O3이다. 다른 한 종류는 gleditschiasaponin이라고 하는데 그의 gledigenin의 실험식은 C30 H40 O4라고 한다. 이 외에 ceryl alcohol, nonacosane, stigmasterol, sitosterol 등을 함유한다.

동속 식물 Gleditsia triacanthol L.의 잎은 알칼로이드인 triacanthin을 대량으로 함유하고 있다."

<뿌리껍질>


<중약대사전>: "동속 식물 산조협(
山皂荚: Gleditsia horrida Mak.)의 나무껍질, 뿌리는 알칼로이드인 triacanthin을 소량 함유한다."

<잎>


<중약대사전>: "동속 식물 산조협(
山皂荚: Gleditsia horrida Mak.)의 잎은 알칼로이드인 triacanthin을 소량 함유한다."

<가시>


<중약대사전>: "플라본 배당체, 페놀류, 아미노산을 함유한다."

<저아조>


<중약대사전>: "저아조(猪牙
)의 열매에는 사포닌이 함유되어 있다."

[약리작용]


<열매>


<중약대사전>: "
1, 사포닌의 일반적 특성: 사포닌을 함유하는 식물은 매우 많은데 적어도 50과 400종의 식물이 사포닌을 함유한다. 사포닌은 표면 장력을 감소시킬 수 있다. 그 용액(1:10000)을 세게 흔들면 용액 중의 기포의 표면은 모두 사포닌에 둘러 싸여서 얇은 막을 형성하며 거품은 오랫동안 없어지지 않는다. 유류(油類) 물질을 만나면 사포닌의 박막에 의해 유제(乳劑)로 될 수 있다. 또 세포 표면의 투과성을 변화시켜 일반적인 원장독(原漿毒)으로 된다. 매우 강한 용혈 작용(적혈구 표면의 lipoid에 작용한다)이 있지만 콜레스테롤에 대해서는 특별히 강한 친화력이 있으므로 콜레스테롤은 이 용액의 작용에 길항할 수 있다. 어류에 대한 독성은 매우 강하지만 고등 동물이 흡수하는 양은 적기 때문에 주로 국소 점막을 자극하여 분비를 증강시키는 등의 작용으로 나타난다. 그러나 복용량이 너무 많으면 위장 점막에 손상을 주고 주사했을 때에는 전신에 독성이 나타나며 혈구 세포가 용해되고 만다.

특히 중추 신경계에 대한 영향이 크며 먼저 경련이 일고 다음에 마비되어 호흡 중추가 마비되면 죽음을 초래한다. 중국에서 조협(
皂莢)의 탕제(200g에 오래된 식초 한 컵을 넣은 것)를 복용하고 중독되어 죽은 예가 보고 되었다. 대량의 조협(皂莢)에 함유되는 사포닌은 위장 점막을 자극하여 10분 후에 구토를 유발하고 그 다음에 설사를 하게 되며 또 위점막을 부식시키고 흡수에 의한 중독이 발생한다.

2, 담(痰)을 삭이는 작용:
사포닌류를 함유하는 약물은 위점막을 자극하면서 반사적으로 호흡도 점액의 분비를 촉진하여 거담 작용(오심성 거담제:惡心性 去痰劑)이 생긴다. 고양이의 경우에는 조협(
皂莢)이 확실히 호흡도의 분비물을 증가시키지만 길경(桔梗), 전호(前胡) 보다는 못하며 지속 시간도 짧다.

3, 항균 작용:
조협(
皂莢)은 시험관 내에서 몇 가지 그람음성균의 장내 병원균에 대해 억제 작용이 있다. 그의 침제(1:3)는 시험관 내에서 몇 가지 피부 진균에 대해 억제 작용이 있다. 아메리카에서 나는 조각(角)에 함유되는 triacanthin에는 papaverine과 같은 작용이 있으며 고혈압, 기관지 천식, 소화성 궤양 및 만성 담낭염 등의 치료에 사용한다."

[액제(液製)]


<열매>


<중약대사전>: "
불순물을 제거하고 씻어서 햇볕에 말린다. 사용할 때에는 찧는다."

[포제(
炮製)]

<가시>


<중약대사전>: "
불순물을 제거하고 물에 불려서 물이 잘 스며들면 얇게 썰어서 햇볕에 말린다."

<종자>


<뇌공포자론(雷公
炙論)>: "조협자(莢子)를 꺼내어 사기 병에 넣고 물을 넣어서 불 옆에서 끓인다. 연하게 되면 단단한 껍질을 벗겨, 안의 희고 연한 살 두 개를 꺼내어 황색의 부분을 제거한다(황색의 부분은 사람의 신기:腎氣를 소실시킨다). 구리칼로 잘게 베어서 햇볕에 말려 사용한다."

<저아조>


1, <중약대사전>: "
불순물을 제거하고 깨끗이 씻어 햇볕에 말린다. 사용할 때는 짓찧어 부순다."

2, <뇌공포자론(雷公
炙論)>: "조협(莢)을 사용할 경우에는 붉고 기름기가 많으며 살이 두껍고 벌레가 먹지 않은 것을 사용해야 한다. 새로 길어 온 물에 하룻밤 담근 다음 구리칼로 거친 껍질을 벗기고 소()로 여러 번 구워 소()가 없어지면 종자를 털고 찧어서 체로 쳐 사용한다. 조협(莢) 1냥에 소() 2푼을 사용한다."

3, <왕호고(王好古)>: "조협(
莢)을 사용하는 데는 밀자(蜜炙), 소자(炙), 즙액, 태운재에 차이가 있으므로 각각 그 용법에 따른다."

[성미]


<열매>


<중약대사전>: "
맛은 매우며 성질은 따뜻하고 독이 있다."

<뿌리껍질>


<본초강목(本草綱目)>: "맛은 매우며 성질은 따뜻하고 독이 없다."

<가시>

1, <중약대사전>: "
맛은 맵고 성질은 따뜻하다."

2, <본초강목>: "맛은 매우며 성질은 따뜻하고 독이 없다."

3, <의림찬요>: "맛은 맵고 짜며 성질은 따뜻하다."

4, <사천중약지>: "맛은 매우며 성질은 따뜻하고 독이 조금 있다."

<종자>


1, <중약대사전>: "
맛은 매우며 성질은 따뜻하고 독이 있다."

2, <본초강목>: "맛은 매우며 성질은 따뜻하고 독이 없다."

3, <신농본초경소>: "맛은 맵고 짜며 성질은 따뜻하고 독이 조금 있다."

4, <본초휘언>: "맛은 맵고 달며 기(氣)는 따뜻하고 독이 없다."

<저아조>


1, <중약대사전>: "
맛은 맵고 짜며 독이 있다."

2, <신농본초경>: "맛은 시고 짜며 성질은 따뜻하다."

3, <명의별록>: "독이 조금 있다."

4, <약품화의>: "맛은 매우 맵고 성질은 덥다."

5, <장사약해>: "맛은 맵고 쓰고 떫다."

[귀경(歸經)]


<저아조>


1, <중약대사전>: "
폐(肺), 위(胃), 대장경(大腸經)에 들어간다."

2, <탕액본초>: "궐음경(厥陰經)에 들어간다."

3, <본초강목>: "수태음(手太陰), 양명경(陽明經)의 기분(氣分)에 들어간다."

$, <뇌공포제약성해>: "간(肝), 위(胃) 2경(經)에 들어간다."

[약효와 주치]

<열매>


1, <중약대사전>: "
풍담(風痰), 습독울 제거하고 기생충을 구제하는 효능이 있다. 중풍으로 인한 안면 신경 마비, 돌발적인 두통, 해수 및 담이 끓는 증상, 개선(疥癬)과 나병을 치료한다."

2, <본초도경(本草圖經)>: "풍기(風氣)를 제거한다."

<뿌리껍질>

1, <본초강목(本草綱目)>: "뿌리껍질은
풍열담기(風熱痰氣)를 치료하며 기생충을 구제한다."

2, <사천중약지(四川中藥誌)>: "뿌리는 관규(關竅)를 통리(通利)하게 하고 풍을 제거하며 해독한다. 풍습에 의한 골통, 양자(
子), 창독(瘡毒) 및 무명종독(無名腫毒)을 치료한다."

<잎>


<중약대사전>: "풍창(風瘡) 즉 풍진(風疹)을 씻는다. 상처에 뿌린다."

<가시>

1, <중약대사전>: "
풍(風)을 막아주고 독을 제거하며 부기를 가라앉히고 농(膿)을 배출시키는 효능이 있다. 옹종, 창독, 여풍(: 한센씨병=나병), 선창(癬瘡), 태의불하(胎衣不下: 태반이 나오지 않는 증상)를 치료한다."

2, <본초도경(本草圖經)>: "미초(米酢)에 어린 가시를 오랫동안 푹 끓여 짙은 탕액을 만들어 창선(瘡癬)에 바른다."

3, <양자영(楊子
)>: "여러 가지 약의 상행을 도울 수 있고 상초의 병을 치료한다."

4, <본초연의보유(本草衍義補遺)>: "이미 곪아터진 옹저를 치료하고 약을 보조하여 궤란된 환부에 이른다."

5, <본초강목(本草綱目)>: "옹종, 급성 유선염, 풍려(
), 악창, 태의불하(胎衣不下)를 치료한다. 기생충을 구제한다."

6, <본초숭원(本草崇原)>: "풍사(風邪)를 몰아내고 담(痰)을 삭이며 패독(敗毒), 공독(攻毒)한다. 소아의 경련을 진정시키고 두창(痘瘡)이 나오도록 공(攻)하며 독을 삭여 장(漿)으로 한다."

7, <사천중약지(四川中藥誌)>: "풍열로 인한 창진(瘡疹)을 치료하고 젖이 잘 나오게 한다."

8, <약재학(藥材學)>: "편도선염을 치료한다."

<종자>


1, <중약대사전>: "
촉촉하게 하고 변(便)을 통하게 하며 풍을 제거하고 부기를 가라앉힌다. 변비, 장풍 하혈, 이질로 뒤가 무거운 증상, 산기(疝氣), 나력, 종독, 창선(瘡癬)을 치료한다."

2, <본초도경>: "핵중(核中)의 흰 과육은 폐(肺)를 치료하는 약으로 사용된다. 핵(核)을 센불에 구워 안의 황색의 심(心)을 씹어 넘기면 격담(隔痰) 즉 흉중(胸中)의 담증(痰症)과 신물이 나는 증상을 치료한다."

3, <이고(李
)>: "혈을 조화시키고 장을 촉촉하게 한다."

4, <본초숭원>: "풍열(風熱)에 의해 대장(大腸)이 허(虛)하여 생기는 변비, 나력, 종독, 창선(瘡癬)을 치료한다."

5, <본초숭원>: "산기(疝氣)와 고환의 부종 및 동통울 치료한다."

6, <의림찬요>: "감충을 죽인다."

7, <본초구원>: "풍열을 제거하고 마비를 치료한다."

<저아조>


1, <중약대사전>: "
규(竅)를 통하게 하고 담을 제거하며 풍을 구축하고 기생충을 구제하는 효능이 있다. 중풍에 의한 구금(口), 두풍(頭風), 풍간(風癎), 후비(喉痺), 담천(痰喘), 비만적체(痞滿積滯), 관격불통(關格不通), 옹종(癰腫), 개라(疥癩), 선질(癬疾), 두창(頭瘡)을 치료한다."

2, <신농본초경>: "풍비사기(風痺死肌), 사기(邪氣), 두풍누출(頭風淚出)을 다스리고 구규(九竅)를 이롭게 한다.."

3, <명의별록>: "복창만(腹脹滿)을 치료하고 소화를 촉진시킨다. 해수, 낭결(囊結), 부인의 포(胞)가 떨어지지 않는 증상을 치료한다. 시력을 아주 좋게 하고 정(精)을 보익한다."

4, <약성지>: "단단한 종기를 풀고, 복통을 다스리며 낙태시키는 효능이 있다. 조협(
莢)을 술에 담가서 기정(氣精)을 다 우려낸 다음 달여서 고제(膏劑)로 만들어 천에 발라서 모든 종독에 붙여 치료한다. 또한 그와 동시에 통증을 완화시킨다."

5, <일화자제가본초>: "관절을 통하게 하고 두풍사(頭風邪)를 몰아내며 담(痰)을 삭이고 결핵균을 죽이며 골증(骨蒸)을 치료하고 식욕을 돋구며 중풍구금(中風口
)을 치료한다."

6, <왕호고>: "간풍(肝風)을 구축하고 간기(肝氣)를 사(瀉)한다."

7, <본초회편>: "오래된 설사로 인한 탈항을 치료하려면 태운 연기를 쏘인다."

8, <본초강목>: "폐 및 대장의 기(氣)를 순환시키고 인후비색(咽喉痺塞), 담기천해(痰氣喘咳), 풍려개선(風
疥癬)을 치료한다."

9, <본초술>: "주로
서풍(暑風)에 맞은 중상, 후색종통(喉塞腫痛), 풍사간질(風邪癎疾), 풍연현훈(風涎眩暈), 흉격비색(胸膈痞塞), 담역(痰逆), 구토, 반위를 치료한다. 풍습에 의한 종만(腫滿)을 제거하고 이변관격(二便關膈)을 이롭게 한다."

[용법과 용량]

<열매>

<중약대사전>: "내복: 3~5푼을 갈아서 가루를 만들거나 환을 만들어 복용한다.

외용: 달인액으로 씻거나 짓찧거나 약성이 남을 정도로 태운 다음 가루내어 바른다."

<뿌리껍질>


<중약대사전>: "내복: 1~5돈을 물로 달이거나 갈아서 가루내어 복용한다."

<가시>


<중약대사전>: "내복: 1~3돈을 물로 달여서 복용한다. 또는 환을 만들어 먹거나 가루내어 먹는다.

외용: 초(酢)로 달여서 바르거나 가루내어 살포하거나 개어서 바른다."

<종자>


<중약대사전>: "내복: 1.5~3돈을 물로 달여서 복용한다. 또는 환을 지어 먹거나 가루내어 복용한다."

<저아조>


<중약대사전>: "내복: 0.5~1돈을 물로 달이거나 환을 만들거나 또는 가루내어 먹는다.

외용: 달인 물로 씻는다. 가루내어 기타 약재와 혼합하거나 물로 개어 바른다. 혹은 코에 불어 넣는다. 졸여서 고제(膏劑)로 만들어 바르거나 태운 연기로 쏘인다."

[배합(配合)과 금기(禁忌:
주의사항)]

<열매>


<중약대사전>: "임신부는 복용을 금한다."

<가시>


<신농본초경소(神農本草經疏)>: "일반적으로 옹저(癰疽)가 이미 터진 경우에는 복용하면 안 된다. 임산부도 이것을 복용하면 안 된다."

<종자>


1,
<중약대사전>: "임신부는 복용에 주의해야 한다."

2,
<남방주요유독식물(南方主要有毒植物)>: "대조협(大皂莢)의 두협(豆莢), 종자, 잎, 나무껍질은 모두 독이 있다.

중독 증상: 종자를 잘못 먹으면 2~3시간 이내에 심와부(心部)가 붓고 뜨거워지고 구역질, 구토가 나고 번조하게 되며 불안하게 된다.

10~12시간 후에는 거품이 나오는 설사, 현기증, 무기력, 사지의 마비 등 증상이 나타난다.

구급 방법: 위를 씻고 필요하면 사하제를 관장하며 포도당, 식염수를 정맥에 점적 주사한다. 또 필요하면 아트로핀 혹은 복방 장뇌 팅크제를 쓴다. 번조하면 진정제를 쓰는 등 대증(對證) 치료를 한다. 

초약 의사의 소개: ① 생강과 감초 3돈을 씹어서 짜낸 즙(汁)을 삼킨다. ② 백출, 향우(香芋), 적작(赤芍), 태오(台烏: 오약의 덩이뿌리) 각 3돈, 곽향(藿香), 강활(羌活) 각 2돈, 대복모(大福毛) 4돈을 토법(土法: 민간요법이란 뜻)으로 볶아 맑은 물 3사발로 1사발이 되게 달여서 복용한다."

<저아조>

1,
<중약대사전>: "몸이 허약한 자 및 임산부는 복용하면 안 된다."

2, <신농본초경집주>: "청상자(靑
葙子)를 보조약으로 한다. 또는 백실(柏實)로 한다고 기재한 책도 있다. 맥문동(麥門冬)을 꺼린다. 공청(空靑), 인삼(人蔘), 고삼(苦蔘) 역시 꺼린다."

3, <본초품휘정요>: "임산부는 복용하면 안 된다."

4, <본초비요>: "나이들어 기허(氣虛)한 사람은 복용하면 안 된다."

5, <득배본초>: "음허담성(陰虛痰盛)하고 열이 심하여 풍이 생기는 경우에는 복용하면 안 된다."

주엽나무열매 및 가시의 효능에 대해서 황도연이 쓴
<방약합편>에서는 이렇게 적고 있다.

[주엽나무열매(아조:
皂=조협)

味辛通關竅 敷腫消痛吐痰妙
아조미신통관규 부종소통토담묘


주엽열매 매워서
관규 잘 통케 하고
종처에 붙여 주면
아픔이 멎는다오
담 게우는 작용 또한
묘하다고 하더라

○ 주엽나무열매의 성질은 따뜻하다.  
○ 수태음경, 수양명경, 수궐음경 기분에 작용한다.
○ 꿀에 버무려 구워 쓰거나 졸인 젖에 축여 구워서 쓴다.
○ 맥문동과는 상오약이고 인삼, 황기와는 상외약이며 주사, 유황, 노사의 독을 억제한다.
○ 주엽나무열매의 씨는 풍증을 낫게 하고 장(腸)을 윤활하게 한다[본초강목].


주엽나무가시(조각자:
角刺)

角刺溫下胞蟲 妬乳癰瘡及大風
조각자온하포충 투유옹창급대풍


조각자는 따스하나
태아를 떨구고
기생충을 몰아 내오
젖앓이와 옹창이며
문둥병에 쓴다네

○ 다른 약을 끌어서 위로 가게 한다.
○ 또한 옹저(癰疽)가 터진 것을 치료한다[본초강목].
]


조각자나무와 주엽나무의 효능에 대해서 안덕균의
<한국본초도감>에서는 이렇게 기록하고 있다.

[조협
()

콩과의 갈잎큰키나무 주엽나무[Gleditsia japonica Miq. var. koraiensis (Nak.) Nakai], 조각나무=조각자나무[Gleditsia sinensis Lam.]의 열매이다. 줄기의 가시를 조각자(
角刺), 종자를 조협자(莢子)라고 한다.

성미:
조협(열매): 맛은 맵고 성질은 따뜻하며 독이 조금있다. 조각자(가시): 맛은 맵고 성질은 따뜻하다. 조협자(씨앗): 맛은 맵고 성질은 따뜻하며 독이 있다.

효능:
조협(열매): 거담, 개규, 산결소종(散結消腫); 조각자(가시): 수풍(搜風: 몸에 물집이 생겼다 터진 다음 허는 병), 발독, 소종배농; 조협자(씨앗): 윤조통변(潤燥通便: 마른 것을 매끄럽게하여 변이 잘나게 되는것), 거풍소종

해설:


[조협(열매)]


① 비교적 강한 거담 즉 가래를 삭이는 작용이 있어서 가슴이 답답하고 해수, 천식과 객담이 잘 나오지 않고 기도가 불편한 증상, 즉 폐결핵, 폐농양에 해수와 상기(上氣)가 될 때에 사용한다.  

② 만성기관지염으로 해수, 천식, 가슴답답증, 가래가 끈끈하고 잘 나오지 않는 증상에 일정한 효과가 있다.  

③ 중풍으로 정신혼몽, 인사불성, 간질, 입을 꽉 다물고 열지 못하는 증상, 또는 갑작스런 졸도 등의 실증(實證)에 세신과 함께 가루를 내어 콧속에 불어 넣는다.

④ 종기, 피부궤양에 식초를 넣고 끓여서 고약 상태로 만들어 환부에 붙인다.

⑤ 완고한 변비에 세신과 함께 가루를 내어서 꿀을 섞어 환을 만든 후 항문에 삽입한다.  

[조각자(가시)]


① 종기에 배농, 소염 작용을 나타내므로 화농(化膿:고름)이 되었거나 파종(破腫:고름이 터짐)이 되었을 때 사용한다.

② 일체의 피부종독을 풀어 준다.  

[조협자(씨앗)]

① 대변을 잘 못 보는 증상에 볶아서 가루를 내어 쓴다.

② 대변 출혈에 회화나무열매와 같이 각각 40그램을 볶아서 1회 4그램씩 복용한다.

③ 독성이 있으므로 반드시 전문의의 지시에 따라야 한다.

성분: 조협(열매)은 tritephene, 사포닌, 탄닌 등이 알려졌고, 글레디닌, 글레디게닌, gleditschiasaponin 등의 유효 성분이 확인되었다. 조각자(가시)는 플라보노이드, 폐놀류, amino acid 등이 확인되었다.

약리: ① 위점막 자극 작용과 호흡기도 내의 점액 분비 촉진으로 거담 작용이 있다. ② 사포닌 성분은 위점막을 부식시키므로 중독 증상을 일으킨다. ③ 항균 작용이 있으며, ④ 과다 복용하면 중추 신경 계통의 흥분과 마비로 사망하게 된다.

임상 보고: 조협(열매)은 ① 거담 작용, ② 급성장경색, ③ 산후 급성 유선염 등에 유효하다. 조각자(가시)는 급성편도선염에 12그램을 물을 넣고 달여서 복용하고 해열, 소염 효과를 얻었다.  

주의사항: 허약자와 임신부는 복용을 금한다.]

조각자나무의 효능에 대해서 배기환의
<한국의 약용식물> 249면 301호에서는 다음과 같이 알려주고 있다.

[조각자나무

(Gleditsia sinensis Lamarck) [콩과]

갈잎큰키나무. 높이 15~20m. 꽃은 연녹색으로 지름 6mm 가량이며 6월에 핀다. 꽃받침잎과 꽃잎은 각각 5개이고, 수술은 9~10개이다. 열매는 협과로 뒤틀리지 않고 편평하며 길이 20~30cm, 너비 3cm로 9~10월에 익는다.

분포/
중국 원산으로, 경주의 안강읍 옥산리의 옥산서원에서 자란다.

채취/
열매는 가을에, 전초는 가을부터 겨울까지 채취하여 말린다.

약효/
열매를 조협(
皂莢)이라고 하며, 거풍, 거습독, 살충의 효능이 있고, 중풍와사, 해수천식, 장풍혈변, 옹종을 치료한다. 종자를 조협자(皂莢子)라고 하며, 윤조(潤燥), 변통, 거풍, 소종의 효능이 있다. 변비, 장풍하혈, 하리복통, 종독을 치료한다. 굵은 가시를 조각자(角刺)라고 하며, 소종, 배농의 효능이 있고, 옹종, 창독, 태의불하(胎衣不下)를 치료한다.

성분/
열매에는 saponin 성분으로 gledinin이 있고, 비당부는 gledigenin이고, 또 gleditsia saponin, nonacosane, stigmasterol 등이 함유되어 있다.

약리 작용/
물로 달인 액은 거담 작용이 있다.

사용법/
열매 2g을 산제나 환제로 만들어 복용한다. 종자, 가시는 각각 10g에 물 700mL를 넣고 달인 액을 반으로 나누어 아침 저녁으로 복용하거나, 1~1.5g을 산제나 환제로 만들어 복용한다. 외용에는 달인 액으로 씻거나 짓찧어서 붙인다.

참고/
이 식물에 비하여 열매가 뒤틀리고 가시가 작고 편평하지 않은 주엽나무(G. japonica Miquel var. koraiensis Nakai)도 약효가 같다.]

조각자의 효능에 대해서 안덕균의
<임상 한약대도감> 864~865면 434호에서는 다음과 같이 알려주고 있다.

[조각자

(
角刺: Gleditsiae Spina)

다른이름: 조협자, 조자, 천정명, 조각침, 조침.
약성: 맵고, 온화하다.
귀경: 간경, 폐경, 위경.

쥐엄나무, 조협나무의 가시를 약용한다.

흡사 아카시아나무같이 키가 크면서 수피에 길고 큰 가시가 나 있어서 접근하기가 쉽지 않다. 그러나 그 가시만을 채취하여 약용하는 데 가시가 사나워도 대개는 정원수로 식재한다. 주로 프랑스 남부 지방, 미국 동부, 중국 중부 지방 등지에서 즐겨 심고 있다.

기원:
이 약은 콩과의 낙엽 지는 큰키나무인 쥐엄나무(Gleditsia japonica Miquel var. koraiensis Nakai),  조협나무(Gleditsia sinensis Lam.)의 가시이다.

형태: 긴 가시로 1~2차 분지되며 약간 눌린 원주상이다. 길이는 5~18cm, 기부는 8~12mm, 말단은 예리하고 분지된 가시는 나선형으로 배열되어 있고 60~80도 각을 이루며 일반적인 길이는 1~7cm이다. 다음 분지 위에는 작은 가시가 있고 분지된 가시의 기부에는 안쪽으로 항상 작은 융기가 있다. 전체는 자적색이며 광활하고 가는 주름 무늬가 있다. 가볍고 질은 단단하며 잘 부러진다.

감별:
상품: 엷고 가지나 줄기가 없고 적자색이며 절단 부위가 적홍색인 것. 하품: 두텁고 가지가 섞이며 적색인 것.

성분:
gleditsia saponin C, gleditsioside E.

약리작용:
1, 항염작용. 2, 항암작용. 3, 면역 억제 작용.

효능:
소염, 배농, 살충 작용을 하므로, 종기, 피부 개선, 습진, 산후 유즙 분비 부족 등에 활용한다.

임상처방 예


1, 종기

종기에 화농 여부룰 막론하고 내복, 외용한다.

1) 종기 초기에 발열, 종창, 동통이 있는 경우
소염, 해열, 해독 작용을 얻는다.
<처방>: "금은화 15g, 조각자 8g, 적작약 8g, 천산갑 6g."

2) 종기에 기혈 부족으로 화농이 될 것 같으면서도 안 되는 경우
소염, 보기혈 작용으로 화농을 촉진한다.
<처방>: "금은화 15g, 포고영 15g, 황기 10g, 당귀 10g, 조각자 8g."

3) 여성 유방염
소염 작용을 얻는다.
<처방>: "조각자 8g, 말십조개 가루 4g을 술에 타서 복용한다."

4) 결핵성 임파선염
소염 작용을 얻는다.
<처방>: "조각자, 백급을 같은 비율로 가루를 내어 환부에 바른다."

2, 피부염


1) 개선, 피부감각 마비, 소양
<처방>: "① 단방으로 조각자를 가루를 내어 복용한다. ② 조각자 8g, 대추 8g, 고삼 8g을 전탕하여 복용하면 살균 작용을 얻는다."

2) 만성 개선
살균 작용으로 치료한다.
<처방>: "단방으로 조각자의 어린 가시를 식초에 넣고 전탕하여 즙액을 환부에 바른다."

3, 산후 유즙 분비 부족


경맥의 소통을 돕고 유즙의 분비를 촉진한다.
<처방>: "왕불류행 12g, 통초 12g, 조각자 10g, 천산갑 8g."

4, 좌골신경통


통증이 감소되고 보행이 자유로워진다.
<처방>: "단방으로 조각자 20~40g에 물 500ml를 붓고 300ml가 되게 하여 1일 2회 복용한다."

용량:
4~10g.

[주의사항]


종기가 이미 화농이 되었으면 사용하지 않고, 임신부는 복용하지 않는다.
]

조각자나무의 효능에 대해서 중국에서 펴낸 <중국본초도록> 2권 77면 627호에서는 다음과 같이 기록하고 있다.

[저아조(豬牙皂 ; 부:附: 대조각:大皂角)

기원: 두과(豆科=콩과: Leguminosae)식물인 저아조(豬牙皂=조각자나무: Gleditsia sinensis Lam.)의 기형(畸形)의 과실(果實)이다.

형태: 낙엽 교목이다. 높이는 15m 정도이고, 줄기에는 가시가 있다. 잎은 우수(偶數) 우상복엽(羽狀複葉)이며 소엽(小葉)은 3∼8개이고 장원형(長圓形) 또는 난형(卵形)이며, 잎가장자리에 가는 톱니가 있다. 총상화서(總狀花序)이며, 꽃은 잡성(雜性)이고, 꽃받침은 종상(鐘狀)으로 네갈래이며, 화관은 좌우대칭이고, 꽃잎은 4장이며 담녹색(淡綠色)이다. 수술은 6∼8개로서 자방은 편형(扁平)하다. 열매는 협과(莢果)로서 긴 가지모양이고 조금 굽어 있는 형태이며 홍종색(紅棕色)이다. 종자(種子)는 여러 개이다.



분포: 온난하고 양지바른 곳에서 자란다. 중국(中國) 각지에서 재배한다.

채취 및 제법: 가을에 과실이 익었을 때 채취하여 햇볕에 말린다.

성분: 여러 종류의 saponind을 함유하며, 수피(樹皮)와 잎은 saponin과 Flavonoid glycoside를 함유한다.

기미: 맛은 맵고 성질은 따뜻하며 독이 조금 있다.

효능: 개규(開竅), 거담(祛痰), 해독(解毒).

주치: 돌연혼궐(突然昏厥), 중풍아관긴폐(中風牙關緊閉), 해수담옹(咳嗽痰壅), 전간(癲癎).

외용(外用): 옹창(癰瘡) 종독(腫毒).

용량: 1∼1.5g 외용시(外用時)에는 적량(適量)을 사용한다.

<부주(附註)>: 대조각(大皂角)의 치료 효과도 위와 같다. 씨앗은 변비(便秘), 변혈(便血), 하리이급후증(下痢裏急後重), 나력(瘰癧), 종독(腫毒), 창선(瘡癬)에 사용한다. 용량(用量)은 3∼10g이고 외용시(外用時)에는 적량(適量)을 사용한다.

참고문헌: 중약지(中藥誌), 3권 604면.]

산조협의 효능
에 대해서 중국에서 펴낸 <중국본초도록> 3권 112면 1208호에서는 다음과 같이 기록하고 있다.

[산조협(山皂莢)

기원: 두과(豆科=콩과: Leguminosae)식물인 조협(皂莢: Gleditsia melanacantha Tang et Wang)의 과실(果實)이다.

형태: 낙엽성교목으로 높이가 14m에 달한다. 소지(小枝)는 회녹색(灰綠色)이며 털이 없고 흑종색(黑棕色)의 가시를 가지며 피목(皮目)은 뚜렷하면서 굵고 단단하고 약간 납작하며 분지가 있다. 잎은 우상복엽(羽狀複葉)으로 족생(簇生)하는데 소엽(小葉)은 6-20개로 난상(卵狀) 구원형(矩圓形) 또는 난상(卵狀) 피침형(披針形)이고 길이는 3-6.5cm, 너비로 1.5-3cm인데 잎끝은 무디고 엽저는 활설형(闊楔形)으로 약간 치우쳐져서 기울어져 있으며 잎가장자리에는 가는 원거치(圓鋸齒)가 있다. 자웅이주이며, 수꽃은 배열하여 길이가 약 16cm인 총상화서(總狀花序)를 이루고 수술은 8개며 꽃받침의 열편(裂片)이 짧으며 꽃잎보다 길고, 암꽃 역시 총상(總狀)을 이룬다.



분포: 산비탈의 양지바른 곳 또는 길가에서 자란다. 중국의 동북(東北), 하북(河北), 산동(山東), 하남(河南), 강소(江蘇), 안휘(安徽), 절강(浙江)에 분포한다.

채취 및 제법: 가을철에 과실(果實)이 익었을 때 따서 햇볕에 말린다.

기미: 맛은 맵고 성질은 따뜻하다.

효능: 거담(祛痰), 개규(開竅), 통변(通便).

주치: 담옹효천(痰壅哮喘) 및 변비(便秘)

용량: 2-5g

부주: 이 식물의 줄기에 난 가시도 약용으로 쓰인다.

참고문헌: 절강약용식물지(浙江藥用植物誌), 상권, 586면 ; 길림성중약자원명록(吉林省中藥資源名錄), 78면.]
조각자나무에 대해서 중국의 인터넷 백과사전인
<바이두 백과사전>에서는 아래와 같이 기록하고 있다.

[조협(
皂荚)

皂角一般指皂荚,更多含义请参阅
皂角

皂荚(Gleditsia sinensis Lam)是中国特有的豆科树种,生长旺盛,雌雄异株,雌树结荚(皂角)能力强。皂荚果是医药食品、保健品、化妆品及洗涤用品的天然原料。此外,皂荚种子可消积化食开胃,并含有一种植物胶(瓜尔豆胶)是重要的战略原料;皂荚刺(皂针)内含黄酮甙、酚类,氨基酸,有很高的经济价值。

1, 형태특징(
形态特征)

落叶乔木,高达15-30m,树干皮灰黑色,浅纵裂,干及枝条常具刺,刺圆锥状多分枝,粗而硬直,小枝灰绿色,皮孔显著,冬芽常叠生,一回偶数羽状复叶,有互生小叶3-7对,小叶长卵形,先端钝圆,基部圆形,稍偏斜,薄革质,缘有细齿,背面中脉两侧及叶柄被白色短柔毛,杂性花,腋生,总状花序,花梗密被绒毛,花萼钟状被绒毛,花黄白色,萼瓣均4数。荚果平直肥厚,长达10-20厘米,不扭曲,熟时黑色,被霜粉,花期5-6月,果熟9-10月[1]

落叶乔木或小乔木, 高可达30米;枝灰色至深褐色;刺粗壮,圆柱形,常分枝,多呈圆锥状,长达16厘米。叶为一回羽状复叶,长10~18(26)厘米;小叶(2)3~9对,纸质,卵状披针形至长圆形,长2~8.5 (12.5)厘米,宽1~4(6)厘米,前端急尖或渐尖,顶端圆钝,具小尖头,基部圆形或楔形,有时稍歪斜,边缘具细锯齿,上面被短柔毛,下面中脉上稍被柔毛;网脉明显,在两面凸起;小叶柄长1~2(5)毫米,被短柔毛。花杂性,黄白色,组成总状花序;花序腋生或顶生,长5~14厘米,被短柔毛;雄花:直径9~10毫米;花梗长2~8(10)毫米;花托长2.5~3毫米,深棕色,外面被柔毛;萼片4,三角状披针形,长3毫米,两面被柔毛;花瓣4,长圆形,长4~5毫米,被微柔毛;雄蕊8(6);退化雌蕊长2.5毫米;两性花:直径10~12毫米;花梗长2~5毫米;萼、花瓣与雄花的相似,惟萼片长4~5毫米,花瓣长5~6毫米;雄蕊8;子房缝线上及基部被毛(偶有少数湖北标本子房全体被毛),柱头浅2裂;胚珠多数。荚果带状,长12~37厘米,宽2~4厘米,劲直或扭曲,果肉稍厚,两面臌起,或有的荚果短小,多少呈柱形,长5~13厘米,宽1~1.5厘米,弯曲作新月形,通常称猪牙皂,内无种子;果颈长1~3.5厘米;果瓣革质,褐棕色或红褐色,常被白色粉霜;种子多颗,长圆形或椭圆形,长11~13毫米,宽8~9毫米,棕色,光亮。花期4~6月;果期5~12月。
[1-2]

2, 분포정황(
分布情况)

原产中国长江流域,分布极广,自中国北部至南部及西南均有分布。多生于平原、山谷及丘陵地区。但在温暖地区可分布在海拔1600米处。

3, 생장환경(
生长环境)

性喜光而稍耐荫,喜温暖湿润的气候及深厚肥沃适当的湿润土壤,但对土壤要求不严,在石灰质及盐碱甚至粘土或砂土均能正常生长。皂荚的生长速度慢但寿命很长,可达六七百年,属于深根性树种。需要6~8年的营养生长才能开花结果。但是其结实期可长达数百年。花期4~6月;果熟期10月。[3]

4, 분류학(分类学)

1) 산조협(
山皂荚)

(
G. melanacanthaTang et Wang):其主要特征为小枝灰绿色,无毛,分枝状刺,但微压扁,黑棕色。一回羽状复叶,有小叶6~22枚,缘具细圆锯齿。雌雄异株,荚果条形,纸质、棕黑色、扭曲,长达20~30厘米。

2) 일본조협(日本皂荚)

(
G. japonica Miq.):近似山皂荚,与山皂荚的主要区别为本种小枝绿褐色至赤褐色。小叶较山皂荚明显大而厚,新枝上叶多呈二回羽状复叶,荚果长而扁圆平、扭曲、且有泡状隆起。

3) 저아조(猪牙皂)


(
G. officinalis Hemsl):本种近似皂荚,干皮深灰黑色,纵裂较深,刺单一或分枝,呈圆锥状,赤褐色,常见在老枝分叉处密集生长,小枝灰色,皮孔显著,一回偶数羽状复叶,有小叶6~16枚,缘具不规则细锯齿,小叶柄深褐色密被绒毛。荚果两型:小果镰刀状,肥厚无种子;大果扁平、直或略弯,有种子数粒。大、小果均具长喙。熟后红棕色被霜粉。山东邹城特产树种,荚果入药。

4) 야조협(野皂荚)


(
G. heterophylla Bunge):多为灌木,树皮灰色。多二分枝刺,细而短。当年生枝密被灰黄色短柔毛,一或二回羽状复叶,不占10~28枚,叶片较小,长仅0.8~1.2厘米,腋生或顶生穗状花序,花白色,荚果具长柄,长椭圆形,扁而薄,具喙尖,熟后红褐色,有种子1~3粒,多用作绿篱。

该物种为中国植物图谱数据库收录的有毒植物,其毒性为豆荚、种子、叶及茎皮有毒。人口服200克皂荚的水煎剂可中毒死亡。于服后10分钟出现呕吐,2小时后腹泻,继之痉挛、神志昏迷、呼吸急促,8小时后死亡。尸检可见脑水肿充血,内脏粘膜充血、水肿呈毒血症及缺氧症。小鼠腹腔注射17g/kg种子的乙醇提取物出现活动减少、安静伏地,死亡。
[5]

5) 수조협(水皂荚)

【别名】:水皂角、田皂角、关门草、水通草《江苏中药名实考》) ,金豆子(《贵州民间方药集》),
【直属分科】:为豆科植物。
【功用主治】:清热,利湿,治水肿,热淋,小便赤涩, 热病烦渴,乳汁不下。
【外观特征】:一年生草本植物,成年水皂角,外表绿色,高约30~60厘米 ,枝茎上长短硬毛,小叶8~35对; 花瓣约5,倒卵形,长4~7毫米;雄蕊4;雌蕊1,水皂荚:果实扁平,外似扁豆,长圆形状 ,长约三到五厘米,每片里面含六颗种子,(水皂角种子)有毒,不可入口。水皂荚:花瓣为黄色或淡黄色,花期约7~8月。 果期8~9月。
生长环境:稻田水边,草地、湿润沟坡,路边。
分布地带:浙江、江西、山东、河北,贵州、东北、四川等。
【采集加工】:采全草,夏秋时采,晾干。
【用作药材】: 选用水皂角干草,质硬易折断 ,茎枝圆形,表面有纵纹及疣状皮孔,呈黄白色;
【性味】:甘苦,平。
[6]

5,
재배기술(栽培技术)

[种植]

【种子[7]繁殖】:10月采下果实,取出种子,随即播种;若春播,需将种子在水里泡胀后,再行播种。育苗时,开1.3m宽的高畦,撒施一层腐熟堆肥作为基肥,然后按行距33cm,开深约6~10cm的横沟,把种子每隔4~6cm播粒,播后施人畜粪水,并盖草木灰,最后盖土与畦面齐平。如遇天旱,要经常浇水。苗出齐后,要浅薅,并施人畜粪水,以后再中除、追肥1~2次。第2年再行1~2次中除、追肥等管理,到秋后即可移栽。移栽可按株距7~10m开穴,栽前把幼苗挖起,稍加修剪,每穴栽苗1株,盖土压实,最后再覆松土,使稍高于地面,浇水定根。

【田间管理】 栽后3~4年,每年要在穴边松土除草,并施草木灰或渣滓肥,促使迅速生长。

[园林栽培]

皂荚冠大荫浓,寿命较长,非常适宜作庭荫树及四旁绿化树种。另外、皂荚果实富含胰皂质,故可以煎汁代替肥皂使用;种子榨油可作润滑剂及制肥皂,药用有治癣及通便之功效;皂刺及荚果均可药用;叶、荚煮水还可杀红蜘蛛。皂荚木材坚硬,耐腐耐磨,但易开裂,而且新伐材有很浓郁的气味,因此只可以做家具,建筑中的柱与桩,器物上的把与柄等。

6, 주요가치(主要价值)

[功效]

[8]1、皂角治下痢不止:用皂角子瓦焙为末,加米糊和成丸子,如梧子大。每服四、五十丸,陈茶送下。

2、皂角治肠风下血:用皂角子、槐实各一两,加粘谷糠炒香,去糠,研为末,每服一钱,陈粟为汤送下。此方名“神效散”。

3、皂角治腰脚风痛、不能履地:用皂角子1200个,洗净,以、酥少许熬香,研为末,加蜜做成丸子,如梧子大。每服三十丸,空心服,以蒺藜子、酸仁汤送下。

4、大肠虚秘(时泻时秘):治方同上,服至百丸,以通为度。

5、里急后重:用无蛀的皂角子(米糠炒过),加枳壳(炒过),等分为末,以饭和末成丸子,,如梧子大。每服三十丸,热汤送下。

6、喉痹封口:用皂荚生研为末,取少许点患处,同时以醋调药厚涂项下。不久,病处裂破出血即愈。

7、咽喉肿痛:用皂荚一挺,去皮,米醋浸、炙七次,勿令过焦,研为末。每次少放入咽,吐涎则痛止,病渐愈。

8、皂角治风虫牙痛:用皂角子研为末,棉裹末约弹子大两颗,醋煮热,交替熨患处。每且可熨三、五次。

9、小儿流涎(由于脾热有痰):用皂角子仁半两、半夏(姜汤泡七次)钱二分,共研为末,加姜汁调成丸子,如麻子大。每服五丸,温水送下。

10、中风口:用皂角五两,去皮,为末,加陈年老醋调匀,左 涂右侧,右 涂左侧。药干再涂。

11、中暑不省:用皂荚一两(烧存性)、甘草一两(微炒为末),以温水调一钱灌下。

12、皂角治小儿头疮:用皂角烧黑为末,剥去疮痂敷涂。几次即愈。

13、足上风疮(甚痒):用皂角炙热烙患处。

14、大风癞:用找皂角二十条,炙过,去皮、子,以酒煎稠,滤过。冷后,加入雪糕做成丸子,如梧子大。每服五十丸,酒送下。

15、风邪疾:用皂荚(烧存性)四两,苍耳根、茎、叶(日干)四两,密陀僧一两,共研为末,做成丸子,如梧子大,以朱砂为衣。每服三、四十丸,枣汤送下。一天服二次,病稍减,只服二十丸。此方名“抵住丸”。

16、皂角治咳逆上气、唾浊,不能睡卧:用皂荚(炙,去皮、子)研为末,加蜜做成丸子,如梧子大。每服一丸,枣膏汤送下。白天服三次,夜间服一次。

17、脱肛:用无蛀的皂角五挺,捶碎,加水揉取汁浸患处,自收上。收后以热水烫腰肚上下,令皂角气行,好不再脱肛。另外还须用皂角去皮,酥乐为末,加枣肉和成丸子,米汤送服三十丸。

18、皂角治肛门肿痛:用皂角(炒焦)、水粉(炒),等分为末,热醋调匀,摊巾贴患处,频频以水潮润。又方:用皂角七片,煨黄,去皮,出火毒后研为末。每服五钱,空心服,温酒送下。

19、皂角治腹部肿痛:用皂荚(去皮、子)炙黄为末,加酒一斗,煮开以后饮服。一天服三次。

20、二便不通用皂荚烧过,研为末,稀饭送服三钱,立通:又方:用皂荚炙过,去皮、子,研为末,加酒、面糊成丸子。每服五十丸。酒送下。又方;用皂荚烧出烟,放在桶内人坐桶上受烟熏。亦有效。


[중약간술(中药简述)]

【药名】皂荚。
【别名】鸡栖子、皂角、大皂荚、长皂荚、悬刀、长皂角、大皂角、乌犀。
【汉语拼音】zào jiá。
【英文名】Chinese Honeylocust Fruit。
【拉丁植物动物矿物名】Gleditsia sinensis Lam.[G.horrida Willd.]。
【归经】肺;大肠经。
【功效】祛痰止咳;开窍通闭;杀虫散结。
【科属分类】豆科、皂荚属。
【主治】痰咳喘满;中风口噤;痰涎壅盛;神昏不语;癫痫;喉痹;二便不通;痈肿疥癣。
【生态环境】生于路边、沟旁、住宅附近比较常见。
【采收和储藏】栽培5~6年后即结果,秋季果实成熟变黑时采摘,晒干。
【资源分布】分布于东北、华北、华东、华南以及四川、贵州等地。
【功效分类】止咳药、祛痰药、祛湿药、生发药剂。
【性味】辛;咸;温;有毒。
【用药禁忌】孕妇、体虚及有出血倾向者禁服皂角。
【出处】《中华本草》
【花语】继成守护的力量与被守护的祝福[9]

[임상응용(临床应用)]

1、脱发,白发。用皂角加以何首乌研磨成粉末状,每日洗头,可减轻脱发,白发状况。[10]

2、腰脚风痛、不能履地。用皂角子一千二百个

3、大肠虚秘(时泻时秘)。治方同上,服至百丸,以通为度。

4、下痢不止。用皂角子瓦焙为末,加米糊和成丸子,如梧子大。每服四、五十丸,陈茶送下。

5、肠风下血。用皂角子、槐实各50克,加粘谷糠炒香,去糠,研为末,每服10克,陈粟为汤送下。此方名“神效散”。

6、妇女难产。吞皂角子二枚。

7、风虫牙痛。用皂角子研为末,棉裹末约弹子大两颗,醋煮热,交替熨患处。每且可熨三、五次。

8、一切疔肿

9、中风口噤、涎潮上。用皂角一挺,去皮,以猪油涂炙成黄色,研为末,每服一钱,温酒调下。体壮者可服二钱,以吐出风涎为度。

10、中风口。用皂角五两,去皮,为末,加陈年老醋调匀,左 涂右侧,右 涂左侧。药干再涂。

11、咽喉肿痛。用皂荚一挺,去皮,米醋浸、炙七次,勿令过焦,研为末。每次少放入咽,吐涎则痛止,病渐愈。

12、咳逆上气、唾浊,不能睡卧。用皂荚(炙,去皮、子)研为末,加蜜做成丸子,如梧子大。每服一丸,枣膏汤送下。白天服三次,夜间服一次。

13、痰喘咳嗽。用长皂荚三长(去皮、子),一荚中装半夏十粒,一荚中装中巴豆,蜜制关夏。再一起火炙成黄色,研为末。每用二、三分,于临卧时以姜汁调服。用特效。

14、牙病喘息、喉中有声。用肥皂荚两挺,酥炙取肉,研为末,加蜜做成丸子,如豆大。每服一丸,以微泻为度,不泻再服药。一天服一次。

15、黄肿气喘。用无蛀的皂角,去皮、子,醋涂,炙焦为末,取一钱,加巴豆(去油膜)七枚,以淡醋研好墨和成丸子,如麻子大。每服三丸,饭后服,陈桔皮汤送下。一天服三次,隔二日增药一丸,以愈为度。

16、身、面发肿。用皂荚去皮炙黄。锉取三升,放酒一斗中浸透后煮沸。每服一升,一天服三次。

17、脚气肿痛。用皂角、赤小豆,共研为末,酒醋调匀贴患处。

18、突然头痛。用皂角研末,吹入鼻中,令打喷嚏。

19、风热牙痛。用皂角一挺,去子,装满盐,再加白矾少许,黄泥封固,火煅后研为末,每日擦牙。

20、风虫牙痛。用皂荚研末涂齿上,有涎即吐去。又方:用皂荚、食盐,等分为末,每日擦牙。

21、肠风下血。用长皂角五挺,去皮、子、酥炙三次,研为末,精羊肉十两,细切,捣烂,和皂角末为丸,如梧子大。每服二十丸,温水送下。

22、肾囊偏痛。用皂角连皮研末,调水敷涂痛处。

23、妇女催乳。用皂角去皮,蜜炙,研细,酒送服一钱。又方:“妇人吹奶法如何?皂角烧灰蛤粉和。热酒一杯调八字(按:一字等于分五厘),管教时刻笑呵呵。”

24、丁肿恶疮。用皂角去皮,酥炙焦。研为末,加麝香、人粪各少许,调匀涂患处,几天后疮根拔出。

25、小儿头疮。用皂角烧黑为末,剥去疮痂敷涂。几次即愈。

26、足上风疮(甚痒)。用皂角炙热烙患处。

27、大风癞。用找皂角二十条,炙过,去皮、子,以酒煎稠,滤过。冷后,加入雪糕做成丸子,如梧子大。每服五十丸,酒送下。

28、积年疮疮。用皂角放猪肚内煮熟,去掉皂角,只吃猪肚。

29、鱼骨鲠咽。用皂角研末,吹鼻取嚏。

30、肾风阴痒。用稻草烧皂角,烟熏十多次,痒即止。用皂角子仁研末敷涂,几日可愈。

31、年久瘰疬。用无蛀皂角子一百粒、米醋一升、硇砂二钱,同煮干,炒信酥。依疬子多少,每一疬子服一粒,细嚼后米汤送下。酒浸煮服亦可。体虚的病人不用硇砂。

[험방(
验方)]

1、小便淋闭。用皂角刺(烧存性)、破故纸,等分为末,酒送服适量。

2、肠风下血。用皂角刺灰100克,胡桃仁、胡故纸(炒)、槐花(炒)各50克,共研为末。每服5克,米汤送下。

3、伤风下痢(伤风久不愈,下痢脓血一天数十次)。用皂角刺、枳实(麸炒)、槐花(生用)各25克,共研为末,加炼蜜做丸子,如梧子大。每服三十丸,米汤送下。天服二次。

4、胎衣不下。用皂角刺烧为灰,酒送服15克,另嚼葵子三、五粒,以患处如针刺为见效。

5、乳痈。用皂角刺(烧存性)50克、蚌粉5克,共研为末,每服5克,温酒送下。

6、疮肿无头。用皂角刺烧灰,酒送服15克,另嚼葵子三、五粒,以患处如针刺为见效。

7、大风疬疮。用黄蘖末、皂角刺灰各15克,研匀,空心服,酒送下。服药后,吃粥两三天及补乞药数剂。如四肢浮肿,有针刺出水再服,忌一切鱼肉和引风之物。

8、背疮不溃。用皂角刺(麦麸炒黄)50克、绵黄芪(焙)50克、甘草25克,共研为末。每服5克,以酒一碗乳香去渣乘热送下。

[약방선록(
药方选录)]

1. 治疗卒中风口:大皂荚一两(去皮、子 研末下筛).以三年大醋和 左 涂右 右 涂左 干更涂之.(《备急千金要方》)

2. 治疗大肠风毒 泻血不止:皂荚(长一尺二寸者)五挺(去黑皮 涂酥三两 炙尽为度) 白羊精肉十两.上药 先捣皂荚为末 后与肉同捣令熟 丸如梧桐子大.每于食前以温水下二十丸[11].(《太平圣惠方》)

3《名医别录》:皂荚,生雍州川谷及鲁邹县。如猪牙者良,九月、十月采荚,阴干。

4.《唐本草》:皂荚,有三种,猪牙皂荚最下,其形曲戾薄恶,全无滋润,洗垢亦不去。其尺二寸者,粗大长虚无润也。若长六、七寸,圆厚节促直者,皮薄多肉味浓,大好也。

5.《本草图经》:皂荚,今所在有之,以怀孟州者为胜。木极有高大者。此有三种,医家作疏风气丸煎,多用长皂荚;治齿及取积药,多用猪牙皂荚。所用虽殊,大抵性味不相远。

6.《本草述》:皂荚修治,其炙固随其所宜,然欲疗风或风痰,止微火煨之足矣,更不可久煨去其辛味也。

[중약재감별(中药材鉴别)]


[성상감별(性状鉴别)]

1.皂荚: 果实呈扁长的剑鞘状而略弯曲.长15~20cm,宽2~3.5cm,厚0.8~1.5cm,表面深紫棕色至黑棕色,被灰色粉霜,种子所在处隆起,基部渐狭而略弯,有短果柄或果柄痕。两侧有明显的纵棱线,摇之有响声,质硬,剖开后,果皮断面黄色,纤维性。种子多数,扁椭圆形,黄棕色,光滑。气特异,有强烈刺激性,粉末嗅之有催嚏性,味辛辣。以肥厚、色紫褐者为佳。

2.猪牙皂: 果实国柱形,略扁,弯曲作镰刀状,长4~12cm,直径0.5~1.2cm。表面紫棕色或紫黑色,被灰白色蜡质粉霜,擦去后有光泽,并有细小疣状突起及线状或网状裂纹,先端有鸟喙状花柱残基,基部具果梗痕。质硬脆,断面棕黄色,外果皮革质,中果皮纤维性,内果皮粉性,中间疏松,有灰绿色或淡棕黄色丝状物。纵向剖开可见整齐的凹窝,偶有发育不全的种子.气微、有刺激性,味微苦、辛,粉末有催嚏性。以个小、饱满、色紫黑、有光泽、肉多而粘、断面淡绿色者为佳。

[현미감별(显微鉴别)]


猪牙皂果实(中部)横切面:外果皮1列细胞,类方形,排列紧密,外具角质层。中果皮外侧有石细胞组成的断续环带,维管束常斜向排列,纤维束多位于维管束内侧或外侧,草酸钙棱晶常见于石细胞群及维管束旁的薄壁细胞中,并有少数草酸钙簇晶;中果皮内侧有厚壁性孔纹细胞1至数列,类方形或长方形,其内外侧常伴有少量纤维束。内果皮厚,白色,由径向延长的薄壁细胞组成,并可见少数草酸钙小簇晶。[9]

[화학감별(化学鉴别)]

1.取该品粉末0.5g,加乙醇5ml,煮沸2~3min,放冷,滤过,取滤液0.5mL,置小瓷血中,蒸干,放冷,加醋酐3滴,搅匀,加硫酸2滴,浙呈红紫色。(检查三萜类皂甙)

2.取生理盐水稀释的2%新鲜兔血1mL,沿管壁加入该品生理盐水浸液(1:0.1g)若干,迅速发生溶血现象。(检查皂甙)

3.薄层色谱 取该品粗粉1g,加甲醇30mL,加热回流6h,滤过,滤液蒸干,残渣溶于20mL水中,用乙醚提取2~3次,回收醚液,水层再用饱和的正丁醇提取3次,合并正丁醇提取液,减压浓缩至干,残渣用少量甲醇溶解,作供试液,以皂甙C(GSaC)作对照品。分别点样于同一硅胶G薄层板,以正丁醇-乙醇一氟水(10:2:5)展开,用20%磷银酸乙醇液喷雾后,于120℃烘烤10min,供试液色谱中在与对照品色谱的相应位置上显相同的深蓝色斑点。[9]

[조각자(皂角刺)]


全年可采,干燥或辰鲜切片后再干燥,生用。性辛、温。功能托毒排脓、活血消痈,适应于痈疽疮毒初起或脓成不溃者。用量 3~10g。外用适量,醋煎涂患处。

[목피(木皮)、근피(根皮)]


风热痰气,杀虫,产后肠脱。

[화학성분(化学成份)]

1、荚果含三萜皂式:皂荚甙(gledinin),甙甙元为皂荚甙元(gledigenin),皂荚皂甙(gleditschia saponin)。尚含蜡酸(ced alcohol),二十九烷(nonacosane),正二十七烷(hepta-cosane),豆甾醇(stigmasterol),谷甾醇(sitosterol),鞣质(tannin)等。[9]

2、荚果含三萜皂甙、鞣质.皂甙有皂荚甙(Gledinin),水解后得甙元(Gledigenin)和皂荚皂甙(Gleditschiasaponin),水解后得甙元(Gleditschiasapogenin)及阿拉伯糖(Arabinose).此外,尚含蜡醇(Ceryl alcohol)、廿九烷(Nonacosa- ne)、豆甾醇(Stigmasterol)、谷甾醇(Sitosterol)等. 同属植物 Gleditsia triacanthos L. 的叶含大量生物碱三刺皂荚碱(Triacanthin).

[약리작용연구(药理作用研究)]


1.防脱乌发作用 :含皂角类成分的药物,能够清热化湿、
祛除多余脂肪、通畅阻塞毛囊,对防脱发和乌发效果颇佳,不会刺激头皮。

2. 祛痰作用: 含皂甙类的药物,能刺激胃黏膜而反射性的促进呼吸道黏液分泌,产生祛痰作用(恶心性祛痰药).动物实验证明: 皂荚煎剂灌胃有明显的祛痰作用,能使猫呼吸道分泌增加,但较桔梗、前胡为差,持续时间较短。

3. 抗菌作用: 在试管内,皂荚对大肠杆菌、宋内痢疾杆菌、变形杆菌、伤寒杆菌、副伤寒杆菌、绿脓杆菌、霍乱弧菌等革兰阴性肠内致病菌均有抑制作用。

皂荚水浸剂(1:3),在试管内对堇色毛癣菌、星形奴卡菌等皮肤真菌均有不同程度的抑制作用。

4. 其他作用:三刺皂荚碱有罂粟碱样作用,可治疗高血压病、支气管哮喘、消化性溃疡及慢性胆囊炎等。

皂甙有显著的溶血作用,但皂荚的溶血作用与远志皂甙的即刻溶血作用不同,一般出现较迟。

皂荚(1:230)对阴道滴虫有中度抑制作用,其机制为: 皂甙能使阴道滴虫胞浆膜变薄,胞浆爆出,致虫体溃灭。

5. 皂甙的一般特性: 皂甙存在于数百种植物之中.它能降低表面张力.其溶液(1:1000)振摇时,溶液中每个气泡的表面皆可被皂甙包围而形成一薄膜,而使泡沫持久不灭.同样,遇油类物质亦可借皂甙薄膜而形成乳剂.皂甙能改变细胞表面的通透性,而成为一般原浆毒.对胆甾醇有特别的亲和力,有很强的溶血作用(作用于血细胞表面的类脂质),但其溶血作用能被胆甾醇所对抗.对鱼类毒性很强,高等动物对皂甙一般很少吸收,因此其主要为局部黏膜的刺激作用及使分泌增加等。

[독리독성(
毒理毒性)]

对鱼类的毒性很强,高等动物对它一般很少吸收,故主要为对局部粘膜的刺激作用,使分泌增加等。但如服用剂量过大或胃肠粘膜有损伤或注射给药,均可产生全身毒性,血细胞溶解;特别是影响中枢神经系统,先痉挛,后麻痹,呼吸中枢麻痹即导致死亡。国内曾报告有服皂荚煎剂(200g加老醋1杯)中毒死亡者。大量皂荚中所含之皂甙不仅刺激胃肠粘膜,10分钟后即呕吐,以后有腹泻;而且腐蚀胃粘膜,发生吸收中毒。[9]

7, 문화내함(文化内涵)

浮生拾慧---皂角[12] (黄廷法 文)

皂角是秋风中最美丽的舞者。可看它一袭褐衣,修长婀娜的身段,隐藏在皂角树硕大碧绿的青罗伞盖里迎风起舞,并伴以皂角果子“大珠小珠落玉盘”般的奏鸣声,那时你就会由衷地生发出此种认识。秋燥天躺卧在长春椅上,沐浴在皂角树庇荫出的阴凉中,仰看皂角舞,凝听天籁音,人生之快事,莫过于此吧!

百木之中,皂角树可与银杏、古桑一字并肩,当之无愧古树的称号了。此说原因有二,其一:现今的地面上,皂角树实在已不多见了!大人们对于皂角树的印象,多半要停留在儿时的回忆中;而小孩子对于皂角树的认识,恐怕也只能来自于文字所传达的意象中了。鲁迅先生的《从百草园到三味书屋》一文描写过这样一个美丽的小园景致:“不必说那碧绿的菜畦,光滑的石井栏,高大的皂荚树,紫红的桑葚;也不必说鸣蝉在树叶里长吟,肥胖的黄蜂伏在菜花上,轻捷的叫天子(云雀)忽然从草间直窜向云霄里去了。单是周围的短短的泥墙根一带,就有无限趣味。油蛉在这里低唱,蟋蟀们在这里弹琴……”小孩子都会读到这篇启蒙美文,可大都无缘得见那皂荚树高大的样子,也只能从老师的描述中了解到皂荚树的概貌了。我所生活的这方天空下,就耳目所及的范围内,也仅仅只看见过两棵皂角古树,其中一棵,至今仍丰姿绰约地站立在许都曹丞相府门前,并被年岁远小于它的后人们悉心挂牌保护,极尽荣耀。另一棵长在乡下,也被当地的乡民们敬畏若神木。其二:是就皂角树的实用功能而言,新生事物日新月异的进化早已使皂角这一盛行千载的洗涤用品淡化出了人们的视野,其功用实在已经作古了。当今天的我们整日被各种洗涤物超标的硫磷含量困扰之时,何曾想到过在老祖宗们手里沿袭过千年的皂角,那应该是最为绿色的洗涤用品了!

千百年前,那水边浣纱的西施、王嫱、陈圆圆,连同那“长安一片月,万户捣衣声”的万千平民,何尝不都是用那捣碎的皂泥作为洗涤物,纤手轻揉,棒槌声声,漂洗出一件件干净的衣衫。那槌声贯穿唐宋明清的时空,直刺着我们现今泛滥的文明。我们抛弃了多少不该抛弃的,又制造了多少不该制造的。在环保的意义上,文明是否也意味着倒退呢?

皂角,别名皂荚,鸡栖子、乌犀,因其形貌,又名悬刀,皮壳子豆。

[참고자료(参考资料)]

1. 皂荚 .百度文库 .2013-08-11 [引用日期2013-08-11] .
2. 中国大百科全书总编辑委员会 《中国大百科全书》第一版生物卷 中国大百科全书出版社 1993年
3. 皂荚 .
4. 皂角,西安白皮松苗木基地 .
5. 皂荚同属常见种 .
6. 常见品种--水皂荚 .
7. 皂角种子 .花乡种子服务站 [引用日期2012-09-1] .
8. 皂角 .中药药用价值网 [引用日期2013-01-24] .
9. http://www.bps029.com/Products.asp?SortId=145 .
10. 皂荚 .二天堂网上药店 [引用日期2012-11-30] .
11. 皂荚药方摘录 .. .
12. 浮生拾慧---皂角 .家庭百科报 .2013-10-1 [引用日期2013-11-20] .
13. 皂荚 .热带亚热带植物基础数据库 [引用日期2013-05-11] .

[상관문헌(相关文献)]


独活、天南星、皂荚中微量元素含量的测定-湖北农业科学-2011年 第11期 (50)
滇皂荚开发现状与前景-中国食物与营养-2011年 第4期 (17)
皂荚栽培技术及利用价值-农技服务-2011年 第7期 (28)

>> 查看更多相关文献.]

조각자나무(주엽나무: 열매, 뿌리껍질, 잎, 가시, 종자, 저아조)로 질병을 치료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열매>


1, 갑자기 발병한 중풍으로 인한 안면신경마비
껍질과 종자를 제거하고 가루를 내어 체에 친 조각자나무열매 37.5그램을 3년 묵은 식초로 개어서 입이 왼쪽으로 비뚤어졌을 때에는 오른쪽에, 오른쪽으로 비뚤어졌을 때에는 왼쪽에 바르고 마르면 다시 바른다. [천금방(
千金方)]  

2, 갑자기 생긴 심한 두통

"긴 조각자열매 1개(겉껍질, 실, 종자를 없앤 것)를 잘게 썰어 꿀물에 섞어서 약간 볶다가 갈아서 매우 곱게 가루낸다. 한번에 1~2리를 코 안에 불어 넣어 재채기를 하게 한다. 또 1푼을 당귀 3.75그램, 천궁 3.75그램과 함께 달여서 복용한다." [여거사선기방(余居士選奇方)]

"조각자나무 열매의 가루를 콧구멍에 불어 넣고 재채기를 하면 바로 멎는다." [두문방(
斗門方)]

3, 가래가 끓는 천식 해수

껍질, 종자를 제거한 긴열매 3개를 쓰는데 한 개에는 파두 10알, 다른 한 개에는 반하 10알, 나머지 한 개에는 은행 10알을 각각 넣어 은행을 넣은 것은 생강즙에 담그고 파두를 넣은 것은 참기름에 담그며 반하를 넣은 것은 꿀에 담그었다가 같은 불에다 각각 누렇게 될 때까지 구워서 가루를 낸다. 1회에 2.5푼을 취침전에 생강즙으로 복용한다. [여거사선기방(余居士選奇方)]

4, 대장(大腸)에 풍독(風毒)이 있어서 피가 섞인 설사가 멎지 않는 증상

길이가 한 자 두 치 되며 검은 껍질을 제거하고 초 3냥을 발라서 잘 구운 조협(
皂莢) 5개, 흰 양의 정육 10냥을 사용한다. 먼저 조협(皂莢)을 찧어 가루내어 다시금 고기와 함께 찧은 다음 푹 삶아서 벽오동씨 크기의 환제로 한다. 매번 식전에 뜨거운 물로 20환씩 복용한다. [태평성혜방(太平聖惠方)]

5, 변독(便毒)과 옹저(癰疽)

조각(
角: 1자 이상 되는 것) 한 개를 초로 연하게 될 때까지 달여 갈아서 고약으로 하여 바른다. [인재직지방(仁齋直指方)] 

6, 대풍으로 인한 모든 한센병 즉 나병
긴 조각자열매 20개를 구워 껍질과 종자를 제거하고 술에다 푹 달여 찌꺼기를 받아 버린다. 식힌 다음에 설고를 넣어서 벽오동씨 크기의 환을 만들어 한 번에 50환씩 술에다 복용한다. [인재직지방(
仁齋直指方), 조각환(角丸)]

7, 풍선개라(風癬疥癩)와 피부의 마비, 근육의 괴사, 풍비, 고질성 피부염
껍질, 종자 실을 뽑은 큰 조각자열매 20개를 잘 게 썰어 물 15사발로 달여 진한 고약으로 하여 매일 소량을 환부에 문질러 피부에 스며들게 한다.

그리고 10숟가락의 구기자탕으로 복용한다. [마경은자득록방(馬敬恩自得錄方)]

8, 회충성 장폐색증의 치료
(임상보고)
조각(
角) 1~3돈을 갈아서 곱게 가루내어 꿀을 섞어 적당량의 끓인 맹물로 몇 번 복용한다(구토해도 계속 복용한다). 1~2시간에 전부 복용한다. 동시에 chlorpromazine, atropine, amytal의 근육 주사와 족삼리(足三里), 내관(內關), 천추(天)에 침구하는 등의 방법을 병행시킨다. 복용 후에는 손으로 가볍게 복부를 문지르고 8~12시간 후에 또 글리세린 20~30ml 또는 10~20%의 염화나트륨 500~800ml(소아에게는 각기 적당히 감량한다)를 관장한다. 치료 중에는 폐색이 완화될 때까지 식사를 금한다.

그러나 구토가 심하고 단식 시간이 길어 물과 전해질의 균형이 깨지면 반드시 치료하여야 한다. 폐색이 완화되는 조짐(복부의 응어리, 창만, 발작성 동통과 구토가 소실되고 변이 통하고 가스가 나온다)이 나타나면 즉시 회충을 구제하는 약을 투여한다. 40례를 관찰한데 의하면 모두 12~24시간 이내에 막힌 것이 제거되었다. 관장하기 전에 적갈색의 변과 회충이 섞인 변이 나오는 경우도 있었지만 대다수는 관장 후에 변과 회충을 배출했다. [중약대사전]

9, 귀지가 굳어서 막힌 증상
(임상보고)
조협(
皂莢) 37.5그램을 1치 길이로 끊어서 물 4리터를 넣어 약한 불에다 2리터가 될 때까지 푹 달이고 여과시켜 방부제를 넣는다. 한번에 2~3방울을 귀에 떨어뜨린다. 500례를 치료한 결과 빠른 것은 2~3시간에 귀지가 연하되어 당일에 제거할 수 있었다. 제일 늦은 것도 3~4일에 연화되고 용해되었다.

이외에 조각자열매가루에 여정자(女貞子), 천리광(千里光) 등을 배합하여 만든 정제는 만성 기관지염의 치료에 사용할 수 있다. [중약대사전(
中藥大辭典)]

<뿌리껍질>


10, 폐의 풍독(風毒)

목유(木乳: 그늘에서 말려 누렇게 구운 것), 질려자(
蒺藜子: 구워서 각:角을 제거한 것), 황기(黃芪: 썰어놓은 것), 인삼(人蔘), 지각(枳殼: 종자를 둘러싼 살을 제거하고 밀기울에 볶은 것), 감초(甘草: 포제:炮製한 것) 각 같은 양을 함께 가루내어 한 번에 한 돈씩 끓인 맹물에 넣어서 복용한다. [보제방(普濟方), 목유산(木乳散)]

11, 산후에 장탈(腸脫)이 낫지 않는 증상
조각수피(
角樹皮) 0.5근, 조각핵(角核) 1홉, 천련수피(川樹皮) 0.5근, 석련자(石蓮子: 초:炒)하여 심:心을 제거한 것) 1홉을 거칠게 가루를 내어 달여서 더울 때에 그 주위를 둘러 막고 그 위에 앉아서 김을 쐬고 환부를 씻은 후 가볍게 닦아 말린다. 연후에 보기환(補氣丸)을 복용하고 반듯이 누워 잠을 잔다. [부인양방(婦人良方)]

<가시>


12, 옹저(癰疽) 악독으로 안팍이 모두 발진하고 터질 듯 하면서 터지지 않으며, 사지, 어깨, 등, 협복(脇腹) 등 외면에 있어서 통증이 매우 심한 종창, 흉격(胸膈), 허리, 겨드랑이, 배, 장위(腸胃) 등 내면에 있는 통증이 매우 심한 종창의 치료

조협자비첨(
皂莢刺飛尖) 1냥, 유향(乳香), 몰약(沒藥), 당귀(當歸), 천궁(川芎), 감초(甘草) 각 2돈, 백지(白芷), 화분(花粉), 금은화(金銀花) 각 5돈에 물과 술 각 1사발을 넣고 1사발 반으로 될 때까지 달인다. 독이 상초에 있는 경우에는 식후에 복용하고 독이 중초에 있는 경우에는 배가 절반 가량 부를 때에 복용하며 독이 하초에 잇는 경우에는 공복에 복용한다. 아직 곪지 않은 것은 없어지고 이미 곪은 것은 곧 터지게 된다. [의감초집(醫鑑初集)]

13,
암표(癌瘭)의 악성 종기
약성이 남을 정도로 태워서 갈아 놓은 조각자(
角刺), 백급(白及) 소량을 가루내어 바른다. [인재직지방(仁齋直指方)]

14, 부인 급성 유선염

약성이 남을 정도로 태운
조각자(角刺) 1냥, 방분(粉) 1돈을 섞어서 갈아 한 번에 1돈씩 따끈한 술에 복용한다. [인재직지방(仁齋直指方)]

15, 두(頭)가 없는 창(瘡)

그늘에서 말려 태워서 재로 한
조각자(角刺)를 가루내어 매번 3돈씩 술에 개어서 규채자(葵菜子) 3~5개와 함께 씹어서 삼킨다. [유문사친(儒門事親)]

16, 치질, 항문 주변 양통(癢痛)이 멎지 않는 경우

연기가 없어질 때까지 태운 조각자(
角刺) 2냥, 약간 구운 취저피(臭皮) 1냥, 노두(蘆頭)를 없앤 방풍(防風) 1냥, 적작약(赤芍藥) 1냥, 밀기울과 조금 누렇게 될 때까지 초(炒)하여 껍질을 없앤 지각(枳殼) 1냥을 찧어서 체에 쳐서 가루내어 짙은 초 1근에 반 냥으로 될 때까지 푹 끓여 고제(膏劑)로 한다. 남은 약은 팥알 만한 환제로 하여 매번 식전에 방풍탕(防風湯)에 20환씩 복용한다. [태평성혜방(太平聖惠方), 조각자환(角刺丸)] 

17, 배 안에 난 창(瘡)이 장(腸) 내에 있는 경우

조각자(
角刺)를 양에 관계없이 양주(良酒) 1사발에 달여서 7푼으로 하여 따뜻할 때 복용한다. 술을 마시지 못하는 사람은 물에 달여도 된다. [인씨경험방(氏經驗方)]

18, 대풍려창(大風
瘡: 나병)으로 몸과 사지에 손상을 입고 흔적이 남아 모양이 변한 경우의 치료
조금 볶아서 갈아서 매우 곱게 가루를 낸
조협자비첨(皂莢刺飛尖) 1근, 잘라서 술에다 끓여 뼈를 제거하고 살을 불에 쪼인 적련사(赤鏈蛇) 1개, 호마(胡麻)의 인(仁) 3냥, 생반하(生半夏) 2냥, 진연분(眞鉛粉) 1냥을 섞어 볶아서 말린다. 가루내어 조협자(皂莢刺) 가루와 함께 물에 넣어서 녹두알 크기의 환제로 하여 햇볕에 말려서 깨끗한 사기 병에 넣는다. 매일 아침 저녁으로 3돈씩 끓인 맹물로 복용한다. [본초휘언(本草彙言)]

19,
태의불하(胎衣不下: 태반이 나오지 않는 증상)의 치료
조각자(角刺)를 태워서 가루내어 한 번에 1돈씩 따끈한 술에 복용한다. [부인양방보유(婦人良方補遺)]

20, 요폐(尿閉)의 치료

약성이 남을 정도로 태운 조각자(
角刺), 파고지(破故紙) 각 같은 양을 가루내어 무회주(無灰酒)로 복용한다. [성제총록(聖濟總錄)]

21, 소아 중설(重舌)의 치료

조각자(
角刺)의 재에 박초(朴硝)나 뇌자(腦子) 소량을 넣고 입을 헹군 다음 혀 밑에 넣고 침으로 서서히 녹인다. [태평성혜방(太平聖惠方)]

22, 급성 편도선염의 치료
(임상보고)
조각자(
角刺) 3돈을 달여 매일 아침, 저녁으로 두 번에 나누어 복용한다. 10례를 관찰한 결과 1례는 효과가 없었고(편도선 주위 농종을 병발:倂發), 그 외의 경우는 모두 2~6일에 치유되었다. 대부분은 복용한 이튿날에 체온과 백혈구가 감소하여 정상으로 되고 자각증상과 편도선의 홍종(紅腫)이 경감되었다. [중약대사전(中藥大辭典)]

<종자>


23, 대장(大腸)의 풍비(風痺) 즉 풍열(風熱)에 의한 변비의 치료

조협자(
皂莢子) 300알을 두 조각으로 부수어 약한 불에 볶아서 말린다. 대추만한 소()를 넣고 또 볶아서 말려 다시 소()를 넣고 검게 될 때까지 볶아서 가루내어 꿀로 벽오동씨 만한 크기의 환을 만든다. 한 번에 30알씩 질려(蒺藜)와 산조인(酸棗仁)을 달인 탕으로 빈속에 복용한다. 후에 변이 나오지 않을 때에는 다시 복용하기 시작하여 100환까지 점차 복용량을 늘리며 변이 통하게 되면 약을 중단한다. [부인양방(婦人良方)]

24, 장풍(腸風) 하혈

조협자(皂莢子) 1냥, 괴실(槐實: 회화나무 열매) 1냥을 겨와 함께 볶아서 향기가 나면 겨를 제거하고 가루내어 묵은 좁쌀 미음으로 1돈을 복용한다. [태평성혜방(太平聖惠方), 신효산(神效散)] 

25, 이급후중(裏急後重)의 치료

지각(枳殼),
조협자(皂莢子) 같은 양을 볶아서 말린 다음 가루내어 미음으로 벽오동씨 크기의 환을 만든다. 1회에 30환씩 빈속에 미음으로 복용한다. [보제방(普濟方)]

26,
설사가 멎지 않는 증상
조각자
(角子)를 기와에다 구워 가루내어 쌀풀로 벽오동씨 만한 크기의 환을 만든다. 한번에 40~50개를 오래된 차(茶)로 복용한다. [의방적요(醫方摘要)]

27, 허리와 다리가 풍통(風痛)으로 땅을 밟기 어려운 증세의 치료

조각자(角子)를 씻어 소량의 조()와 함께 푹 끓여서 향기로와지면 가루내어 꿀로 벽오동씨 크기의 환을 만든다. 빈속에 질려자(蒺藜子)와 산조인(酸棗仁)을 끓인 맹물로 30환씩 복용한다. [천금방(千金方)]  

28, 나력이 두부 전체에 퍼지고 터지지 않으면서 부어서 아픈 증상

벌레가 먹지 않은 조자
(子) 300개와 요사(硇砂) 1냥을 술 1.5되에 7일간 담갔다가 약한 불, 강한 불로 술이 없어질 때까지 달인다. 매일 취침 전에 3알을 입에 물고 녹인다. [조제방(濟方)]

29, 기독(氣毒)이 엉켜 나력으로 되어 돌처럼 단단하게 부어서 아픈 증상

태워서 재로 한 조협자(
皂莢子) 1냥, 조백피(皂白皮)의 가루 1냥을 갈아서 부드럽게 하여 매번 식전에 2돈씩 따끈한 술로 복용한다. [태평성혜방(太平聖惠方)]

30, 모든 정종(
疔腫)
조협자(皂莢子)의 살을 가루내어 바른다. [천금방(千金方)] 

<저아조>


31, 갑작스런 중풍으로 풍연(風
)이 상격(上膈)까지 습하게 하여 저려서 기(氣)가 통하지 않으며 의식이 흐려져서 취한 것 같고 쓰러질 듯 하거나 입 주위의 신경이 예민해져서 타액이 나오는 증상
흑피(黑皮)를 깍아서 벗겨 낸 저아조각(猪牙
角) 4개, 진반(礬) 1냥을 함께 찧어 체로 쳐서 미세한 분말을 만들고 다시 갈아서 가루로 만든다. 일반 환자는 0.5돈, 중증인 경우는 7.5푼을 끓인 물로 개어 입에 흘려 넣으면 심한 구토는 하지 않지만 타액이 나온다. 1~2되가 나올 때도 있는데, 그런 경우에는 침착하게 천천히 조리하면서 치료하고 심한 구토를 하지 않도록 한다. 만약 과도해지면 생명을 잃을 위험이 있다. [손용화구급희연산(孫用和救急稀涎散)]

32, 중풍으로 인한 구금(口
)으로 입이 벌어지지 않아 타액이 위로 올라오며 막힌 증세
껍질을 제거한 조각(
角) 1개에 저지(猪脂)를 도포하고 누렇게 되게 구워서 가루로 만들어, 1회에 1돈을 알맞게 데운 술로 복용한다. 기(氣)가 장(壯)한 환자는 2돈을 복용하고 풍연(風)을 토하면 중지한다. [간요제중방(簡要濟衆方)]

33, 기(氣), 담(痰), 풍(風), 화(火)에 의하여 제규(諸竅)가 통하지 않는 증상, 갑작스러운 병으로 규(竅)가 폐색(閉塞)한 증상

껍질, 덩굴, 종자를 제거하고 볶은 저아조협(猪牙
皂莢)을 미세한 분말로 갈아, 콧구멍에 불어 넣으면 바로 통하게 된다. [본초휘언(本草彙言)]

34, 갑작스런 두통

조협(
皂莢)의 가루를 콧구멍에 불어 넣고 재채기를 하면 바로 멎는다. [두문방(斗門方)]

35, 뇌선(腦宣)의 치료

껍질, 덩굴, 종자를 제거한 조각(
角)을 밀자(蜜炙)하여 부수어서 물속에서 주물러 농즙으로 만들고 달여서 고제(膏劑)로 하여, 코로 냄새를 맡고 타액이 나올 때까지 입에 젓가락을 물고 있는다. [유문사친(儒門事親)]

36, 풍사(風邪)로 인한 간질

약성이 남을 정도로 태운 조협(
皂莢) 4냥, 창이근(蒼耳根)을 햇볕에 말린 경엽 4냥, 밀타승(密陀僧) 1냥을 분말로 하여 벽오동 열매 크기로 환을 만들고 주사(朱砂)를 입혀, 1회에 30~40환을 조탕(棗湯: 대추탕)과 함께 1일 2회 복용하며 증세가 조금 나으면 20환을 복용한다. [영류검방(永類鈐方), 저주방(抵柱方)]

37, 급성 후폐(喉閉)로 인하여 위급한 증상

껍질과 종자를 제거한 신선한 조협(
皂莢) 0.5냥을 가루로 만들어 매회 조금씩 복용하고 젓가락으로 부은 자리를 찌른 다음, 식초로 가루를 개어 목덜미 아래에 두껍게 바르면 잠시 후, 터져서 피가 조금 나며 바로 치유된다. [영원방(靈苑方)]

38, 목구멍이 붓고 아픈 증상

아조(牙
) 1개의 껍질을 제거하고 미초(米醋)에 담가서 지나치게 타지 않게 7회 구워서 가루로 만든 다음 매회 소량을 목구멍에 불어 넣는다. 목안에 들어가서 타액이 나오면 중지한다. [성제총록(聖濟總錄)]

39, 해역상기(咳逆上氣)하고 가끔 탁한 타액을 뱉으며 누워 있어도 잠들지 못하는 증상

껍질을 문질러 벗기고 소(
)를 발라 구운 조협(皂莢) 8냥을 가루로 만들고 꿀로 벽오동 열매 크기로 환약을 만들어 대추의 고(膏)와 끓인 물로 3환을 낮에 3회, 밤에 1회 복용한다. [금궤요략(金要略), 조협환(皂莢丸)]

40, 모든 양사(陽邪)의 적체, 기적(氣積), 혈적(血積), 충적(蟲積), 식적(食積), 상한(傷寒), 실열(實熱)에 의한 비결(秘結) 등의 치료

약간 누렇게 구운 아조각(牙
角) 1냥 6돈, 천대황(川大黃) 1근을 함게 섞어서 가루로 만든다. 끓인 맹물에 담갔다가 꺼낸 찐빵을 위 가루와 함께 섞어서 녹두 크기의 환제로 만들어 1회에 0.5~1돈 또는 2~3돈을 복용한다. 꿀로 환약을 만들어도 좋다. [경악전서(景岳全書), 백순환(百順丸)]

41, 대소변 불통, 관격불리의 치료

태운 조협(
皂莢)을 미세한 분말로 하여 죽으로 3돈을 복용한다. [손사막(孫思邈)]

42, 관락전근(
霍亂轉筋)의 치료
조협(
皂莢) 가루를 팥알만큼 콧구멍에 불어 넣으면 재채기를 하면서 즉시 치유된다. [매사집험방(梅師集驗方)]

43, 다리의 풍창(風瘡)이 몹시 가려운 증상

조각(
角)을 구워 뜨겁게 해서 환부에 눌러 덮는다. [본초강목(本草綱目)]

44, 신풍음양(腎風陰
)의 치료
볏짚으로 조각(
角)을 태워서 그 연기를 환부에 10여회 쏘이면 즉시 멎는다. [제급선방(濟急仙方)]

45, 갑작스런 외신편동(外腎偏
)의 치료
조협(
皂莢)과 껍질을 가루로 만들고 물로 개어 바른다. [매사집험방(梅師集驗方)]

46, 비옹(鼻
齆: 코가 막히는 증상)
구운 조협(
皂莢)을 가루로 만든 다음 소두(小豆) 정도의 양을 대롱에 넣고 콧구멍에 불어 넣는다. [천금방(千金方)]

47, 소아 두창(頭瘡)이 두껍게 딱지가 앉은 증세 및 백독(白禿)의 치료

조각(
角)을 검게 태우고 분말로 갈아서 부스럼 딱지를 떼고 바른다. [위생잡흥(衛生雜興)]

48, 취유(吹乳)

껍질과 덩굴을 제거한 저아조각(猪牙
角)을 밀자(蜜炙)하여 가루로 만들어 술로 복용한다. [수진방(袖珍方)]

49, 풍열(風熱)에 의한 치통

종자를 제거한 조각(
角)의 껍데기 하나에 소금을 가득 채우고 백반(白礬)을 약간 가하여 진흙 모양으로 해서 강한 불로 구워서 가루로 만들고 매일 환부에 발라 문지른다. [양성경험방(楊誠經驗方)]

50, 각기 부종 및 동통

조각(
角), 적소두(赤小豆)를 가루내어 술과 식초로 개어 환부에 붙인다. [영류검방(永類鈐方)]

51, 급성 혈흡충병(血吸蟲病)의 치료
(임상보고)
아조(牙
), 오배자(五倍子)를 갈아서 미세한 분말로 하여 각각 캡슐에 담아 채운다. 아조(牙) 0.45g, 오배자(五倍子) 0.5g으로 한다. 첫 날에 4알 복용하고 이튿날부터는 1회에 각각 2알을 복용한다. 평균 1일에 3회 복용한다. 2주일 정도를 1치료 기간으로 한다. 관찰에 의하면 중등 또는 경도의 급성 혈흡충병(血吸蟲病) 환자에 대해서 상당한 해열 작용이 있고 중도(고열이 있다) 환자에 대한 효과는 뚜렷하지 않았다. 치료한 9례에서 복용 후 4일이 되어도 열이 내리지 않아서 호르몬을 사용한 1례를 제외하고는 모두 해열 효과가 있었다. 해열 시간은 보통 4~7일이다. 열이 내리면 다시 안티몬제를 사용하거나 혈방편(血防片)을 복용해서 근치한다. [중약대사전]

52, 급성 장폐색의 치료
(임상보고)
저아조(猪牙
) 2냥을 찧어서 약한 불에 연기가 나게 태우고 항문을 약 10~15분간 쪼이면 즉시 장명(腸鳴)이 일어난다.

효과가 없을 때에는 다시 1~2회 더 쪼인다. 치료한 10례 중 9례에서 효과가 있었다. 이 약의 향기는 찬투(
透)작용이 있고 장도(腸道)를 자극해서 장도(腸道)의 연동 항진을 불러 일으키며 통변 배기하는 효과가 있다. [중약대사전]

<기타>

53, 편도염(扁桃炎: Tonsillitis)

주염나무 열매 15~20g을 물에 달여 하루 2번에 나누어 끼니 사이에 먹는다. [고려의학 365면]

[각가(各家)의 논술(論述)]


<열매>


<본초봉원(本草逢源)>:
"크고 작은 두 가지 조(
皂)는 치료에 다소 차이가 있다. 풍담(風痰)을 치료하는 데는 아조(牙皂)가 제일 좋고 습담(濕痰)을 치료하는 데는 대조(大皂)가 낫다."

<가시>


1, <의학입문(醫學入門)>:
"조자(
皂刺)는 옹저(癰疽)가 터지지 않은 경우에 구멍을 뚫을 수 있다. 이미 터진 것에 대해서는 약으로 하여금 창(瘡)이 있는 곳에 이르게 하므로 여러 가지 악창선(惡瘡癬)과 여풍(風: 한센병)의 주요약이다."

2, <본초강목(本草綱目)>:
"조협자(
皂莢刺)는 풍(風)을 치료하고 기생충을 구제한다. 효능은 조협(皂莢)과 같지만 예리하고 병이 있는 곳에 직접 이르는 점에서 다르다."

3, <본초휘언(本草彙言)>:
"조협자(
皂莢刺)는 독을 빼고 풍(風)을 제거한다. 옹저(癰疽)가 아직 나지 않는 것은 없애고 흩어지게 하고 이미 지금 터질 듯한 경우에는 옹저(癰疽)의 끝을 나오게 하며 이미 터진 경우에는 고름이 나오게 한다. 양독(瘍毒)의 약 중에서도 첫째로 꼽는 중요한 약이다. 또 혈중의 풍열풍독(風熱風毒)을 설(泄)하기 때문에 여풍약(風藥: 한센병) 중에서도 전봉(前鋒)을 개도(開導)하는 데에 이것을 사용한다. 심씨(沈氏)는 '조협자(皂莢刺)는 두자(頭刺)의 매우 날카로운 끝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가시 아래의 마디가 지경(枝硬) 또는 경(梗) 같은 것은 힘이 약하다'고 한다. 요계원(姚繼元)은 "여풍나질(風癩疾), 풍선풍창(風癬風瘡), 소양풍설(瘙風屑)를 치료하는 데는 고삼(苦蔘)과 함께 사용하면 그 효력이 배로 증가한다."고 한다."

4, <본초봉원(本草逢源)>:
"각자(角刺)는 두진(痘疹)으로 기(氣)가 막힌 증세를 치료한다. 돌기가 되지 않아서 농(膿)을 배출시키지 못하는 경우에 제일 첩효(捷效)가 있다. 그러나 기(氣)가 허약한 증세에는 신중해야 하며 잘못 쓰면 안 된다. 표면에 나는 것이 너무 뾰족하여 도리어 허포(虛泡)를 나게 하면 안 되기 때문이다. 만약 혈(血)이 막혀 돌기가 되지 않고 농(膿)을 배출하지 못하는 경우에는 각자(角刺)는 적합하지 않으며 능리(
鯪鯉: 천산갑)를 필요로 한다. 단방(丹方)에서는 대풍악질(大風惡疾), 눈썹이 떨어지고 코가 찌그러진 증상을 치료하는 데는 조각자(角刺) 3근의 소회(燒灰) 분말을 사용하여 식후에 대황탕(大黃湯)을 달여서 1비(匕)를 조복(調服)하면 전제(全劑)를 모두 복용하기 전에 낫는다. 종양(腫瘍)에 복용하면 즉시 없어지고 궤양에는 복용해도 수렴되기 어렵다. 그것은 그의 성(性)이 개설(開泄)하게 할 수 있기 때문이다."

<종자>


1, <본초강목(本草綱目)>:
"조협(
皂莢)은 대장(大腸)의 양명(陽明)에 통하여 금(金: 폐)의 습을 제거하는데 이는 매운맛으로써 촉촉하게 하는 것이지 습을 얻어 미끄럽게 하는 것은 아니다."

2, <본초봉원(本草逢源)>:
"약성이 남을 정도로 태운 조협자(
皂莢刺)의 재는 대장(大腸)의 풍비조결(風秘燥結)을 치료한다. 이로부터 이 약이 풍을 제거하고 예(穢)를 몰아내는 성질이 있음을 알 수 있다."

<저아조>

1, <본초강목(本草綱目)>:
"조각(
皂角)은 맛이 시고 성질이 조(燥)하며 기(氣)가 부산(浮散)하다. 이것을 불어서 코에 넣으면 상하의 모든 규(竅)를 통하게 한다. 복용하면 풍습담천종만(風濕痰喘腫滿)을 치료하고 기생충을 구제한다. 도포하면 종기를 풀고 소독하며 풍(風)을 제거하고 창(瘡)을 치료한다."

2, <신농본초경소(神農本草經疏)>
: "조협(
皂莢)은 구규(九竅)를 이롭게 하고 장위(腸胃)의 옹체(壅滯)를 소도(疏導)하며 세구이(洗垢), 활담연(痰涎), 산풍사(散風邪)하는 효능이 있으며 급병에 기(氣)가 실한 사람이 사용하면 특히 효과가 있다. 그러나 음허(陰虛)의 화염으로 인한, 중풍의 증세와 비슷한 증세가 진액을 졸이는 경우에 그것이 엉켜서 담(痰)이 되고 열이 극점에 달해서 풍(風)을 일으키니 그로 인해 갑자기 복궐(蹶)하게 되는데 세상 사람들은 희연산(稀涎散)으로 토(吐)하게 한다. 그러니 그 부족한 것을 더 부족하게 하고 진액을 점점 더 소모하게 하기 때문에 경락을 자양할 만한 영양이 없게 되므로 경련이 일거나 반신 불수증이 생기게 되는 것이다. 이것은 본약의 사용에 있어서 가장 주의 해야 할 점이다."

3, <약품화의(藥品化義)>:
"조협(
皂莢)은 담을 수렴하는 약이다. 무릇 담(痰)이 장위(腸胃)에 있는 경우에는 내리게 하여 치유할 수 있다. 만약 흉격(胸隔) 위에 담(痰)이 고이면 지막(脂膜)에 들어가 굳어져서 찐득찐득하게 되는데 이것을 제거하려 해도 되지 않고 사하하려 해도 내려 가지 않는다. 그 때문에 기(氣)가 막혀서 천식이 심해지며 심할 때에는 답답하고 통증이 일어나 정신이 흐리게 되거나 늘 탁담(濁痰)을 토하거나 앉을 수는 있어도 잠들지 못하게 된다. 이러한 증상에는 본품과 해석(海石)을 합해서 환제로 만들어 사용하면 횡흉(橫胸)의 탁담(濁痰)을 천천히 제거하고 응결한 담을 나오게 하여 크게 효과를 발휘한다."

4, <본초신편(本草新編)>:
"심통(心痛)의 병이 나으면서 따라서 또 발병할 때에는 반드시 조협(
皂莢)을 사용해야만 그 근원을 제거할 수 있는데 이것은 본초서(本草書)에는 기재되어 있지 않다.

장부자(張夫子)는 일찍이 필자에게 심통(心痛) 치료의 처방을 전수해 주셨는데 이에 의하면 볶은 조협(
皂莢) 1냥, 볶은 치자(梔子) 1냥, 자감초(炙甘草) 5돈, 백작(白芍) 2냥,광목향(廣木香) 3돈을 미세한 분말로 갈아 묵은 황미(黃米)로 끓인 죽으로 쌀알의 절반 크기의 환약을 만들고 끓인 맹물로 복용하면 즉시 낫고 영원히 재발하지 않는다. 즉 조협(皂莢)도 심통(心痛)을 치료한다는 것이다. 그렇지만 조협(皂莢)은 심통(心痛)을 치료하는 약은 아니고 다만 규(竅)를 열어 모든 약을 심중(心中)으로 끌어 들여 다른 약으로 하여금 심(心)의 사기(邪氣)를 직접 치게 하는 것이다. 조협(皂莢)이 익은 것은 사용해도 효과가 없고 꼭 생것을 사용해야 하며 또 생것이라 해도 벌레가 먹은 것은 절대 사용해서는 안 된다. 갈아서 미세한 분말로 하여, 즉시 종이 봉지로 싸서 보관하되 반드시 수시로 꺼내어 바람을 쏘여 벌레가 먹는 것을 방지해야 한다. 이외에 가장 좋은 수치법이 있는데 그것은 사향(麝香)과 함께 싸서 벌레가 먹는 것을 방지하는 동시에 사향(麝香)의 향기 때문에 콧구멍에 끌어들일 경우 닫힌 것을 열어 주는 효능이 더욱 강해진다."

5, <본초봉원(本草逢原)>:
"대소(大小) 이조(二
)는 치료하는 곳이 조금 다르다. 풍담(風痰) 치료에는 아조(牙)가 제일 좋고 습담(濕痰) 치료에는 대조(大)가 낫다. 고방(古方)에서 사용하는 일이 매우 많았지만 탕제로 하는 예는 매우 적었다. 어떤 양의(瘍醫)가 아조(牙)의 탕액으로 풍담(風痰)을 토하게 했더니 복용 후에 전신에 붉은 비()가 나고 여러 날 후에 껍질이 벗겨지면서 원기를 크게 상하게 하였다. 그러므로 신중하게 사용하지 않으면 안 되며 진후풍증(鎭喉風症)에는 더욱 사용을 금한다. 본약이 담을 움직이고 목구멍을 막아 토하지 못하게 되어 순식간에 죽게 되는 일도 흔히 볼 수 있다."

6, <장사약해(長沙藥解)>:
"조협(
皂莢)은 신열(辛烈)하여 개충(開衝), 통관(通關), 투규(透竅)하고 담연(痰涎)을 모으며 어탁(瘀濁)을 씻어 흘려보내고 그 점연교열(粘聯熱)의 성질을 변화시켜 그 근거지(根據地)와 부착할 곳을 제거하므로 장부(臟腑)가 수용하지 못하여 자연히 밖으로 나가게 된다. 이때에 패탁(敗濁)한 것을 토(吐)하는데, 본질적으로 토하게 하는 약이 아니다. 본약의 주치는 개구금(開口), 통후비(通喉痺), 토노담(吐老痰), 소악창(消惡瘡)하고 구리탈항(久痢脫肛)에 그 연기를 쏘이며 부인의 취유(吹乳)를 다스리는 것으로서 이런 것들은 모두 관(關)을 통하게 하고 체(滯)를 통하게 하는 효능에 의한다."

7, <본경소증(本經疏證)>:
"조협(
皂莢)이 치료하는 것은 결국 풍폐(風閉)에 지나지 않는다. 풍폐(風閉)의 원인은 두 가지가 있는데 그 중 하나는 땀구멍을 밖에서부터 막는 것으로 예를 들면 풍비사기(風痺死肌)에서의 사기(邪氣)가 바로 그것이다. 또 하나는 구규(九竅)를 안에서부터 막는 것으로 예를 들면 풍두누출(風頭淚出)이 바로 그것이다."

[비고(備考)]


1, <명의별록(名醫別錄)>:
"조협(
皂莢)은 옹주(雍州: 섬서:陝西, 감숙:甘肅의 일부)의 골짜기와 냇가에서 나며 또 노추현(魯縣)에서 난다. 저아(猪牙)와 비슷한 것이 좋다. 9-10월에 협()을 뜯어 그늘에서 말린다."

2, <당본초(唐本草)>:
"조협(
皂莢)에는 3가지가 있다. 저아조협(猪牙皂莢)은 제일 질이 떨어지고 그 모양은 낫 모양으로 만곡되었고 얇고 단단하며 축축한 느낌이 전혀 없고 때를 씻어내어도 떨어지지 않는다. 길이가 1자 2치쯤 되는 것은 굵고 크며 속이 비고 매끄럽지 않다. 길이가 6-7치 되는 것은 둥글고 두꺼우며 마디가 바른 것은 열매껍질이 얇고 과육이 많으며 맛이 진해 매우 좋다."

3, <본초도경(本草圖經)>:
"조협(
皂莢)은 지금 도처에 있다. 회주(懷州: 하남성:河南省), 맹주(孟州: 하남성:河南省)의 것이 좋다. 나무의 높이가 매우 높은 것이 있다.

세 가지가 있는데 의사는 풍기(風氣)를 제거하는 환제나 탕제로 긴 조협(
皂莢)을 많이 사용한다. 치아의 치료와 적체의 치료에는 저아조협(猪牙皂莢)을 많이 사용한다. 사용하는 방법은 다르다 해도 성미는 거의 차이가 없다."

4, <본초술(本草述)>:
"조협(
皂莢)은 구워서 수치하는데 사용하는 용도에 따라 다르다. 풍(風) 혹은 풍담(風痰)을 치료하려면 약한 불에 구워 내면 된다. 오랫동안 쪄서 그 매운 맛이 없어지면 안 된다."

5, <남방주요유독식물(南方主要有毒植物)>: "대조협(大
皂莢)의 두협(豆莢), 종자, 잎, 나무껍질은 모두 독이 있다.

중독 증상: 종자를 잘못 먹으면 2~3시간 이내에 심와부(心部)가 붓고 뜨거워지고 구역질, 구토가 나고 번조하게 되며 불안하게 된다.

10~12시간 후에는 거품이 나오는 설사, 현기증, 무기력, 사지의 마비 등 증상이 나타난다.

구급 방법: 위를 씻고 필요하면 사하제를 관장하며 포도당, 식염수를 정맥에 점적 주사한다. 또 필요하면 아트로핀 혹은 복방 장뇌 팅크제를 쓴다. 번조하면 진정제를 쓰는 등 대증(對證) 치료를 한다. 

초약 의사의 소개: ① 생강과 감초 3돈을 씹어서 짜낸 즙(汁)을 삼킨다. ② 백출, 향우(香芋), 적작(赤芍), 태오(台烏: 오약의 덩이뿌리) 각 3돈, 곽향(藿香), 강활(羌活) 각 2돈, 대복모(大福毛) 4돈을 토법(土法: 민간요법이란 뜻)으로 볶아 맑은 물 3사발로 1사발이 되게 달여서 복용한다."

[주엽나무 및 조각자나무 재배법]


1, 기후와 토양:
따스한 양지가 좋으며 토양에 대한 조건이 까다롭지 않고 배수가 잘 되어야 한다. 산간 지대, 제방, 공지의 모퉁이 등에서 재배할 수 있다.

2, 번식:
종자로 번식한다. 모를 키울 때에는 너비가 1.3m되는 높은 둑을 만들고 잘 썩은 퇴비를 밑거름으로 주어야 한다. 이랑 사이 거리를 33cm로 하고 깊이가 약 6~10cm 되는 골을 파고 종자를 4~6cm 간격으로 한 알씩 둔다. 사람과 가축의 똥오줌을 주는 동시에 초목회로 덮고 마지막에 흙을 덮어서 두둑면과 같은 높이로 되게 한다. 가물 때에는 자주 관수해야 한다. 모가 가지런하게 나오면 김매기를 하고 사람과 가축의 똥오줌을 주어야 한다. 또 사이갈이와 감매기와 덧거름을 2~3회 하여야 한다. 두 번째 해에는 사이갈이와 김매기와 덧거름 등 관리를 1~2회 해야 하며 가을 후에 이식할 수 있다. 이식할 때에는 포기 사이 거리를 7~10m로 하여 홈을 판다. 이식하기 전에 모를 파내어 전지하고 하나의 홈에 한 포기씩 심고 흙으로 묻고 다진 후 마지막에 보드라운 흙을 덮어 지면보다 조금 높게 하여 물을 주어 뿌리를 심는다.

3, 경작 관리:
이식 후 심어 3~4년 사이에 해마다 나무 주위의 흙을 성글게 하고 김매기하여 초목회 또는 콩깨묵 등속의 비료를 주어 생장을 촉진시켜야 한다. [중약대사전]

베트남에도 우리나라에서 자라는 조각자 및 주엽나무과 비슷한 것이 자라는데 베트남어로 <
보 껫[BỒ KẾT> 또는 <찌 보 껫[Chi BỒ KẾT>이라고 부른다. 머리털을 검게 하는 용도로 열매를 불에 살짝 구워서 끓인물에 머리를 감는 용도로 사용하고 있어 우리나라에서 자라는 조각자 및 주엽나무의 열매도 베트남처럼 활용해 볼 가치가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조각자나무는 참으로 가시가 무섭게 생겼고 그 큰나무가 커다란 작두콩만한 열매가 열려 있는 모습을 보면 신기하게만 느껴진다. 어떻게 나무에서 저렇게 큰 작두콩처럼 생긴 꼬투리 열매가 그렇게도 많이 열릴 수 있단 말인가?

조각자나무를 만든 조물주는 아마도 식물에서 콩이 열리는 것이 단조롭다고 느낀 나머지 나무에 큰콩이 열리는 모습을 사람에게 보여준다면 그 신묘막측함에 반해서 조물주를 생각하게 되고 인생을 살아가는데 지겹지 않고 흥미를 더해줄 것으로 알고 만들어 놓은 것이 아닌가 생각해 본다.

주엽나무 및 조각자나무 2종류의 열래 속에는 끈적 끈적한 잼깥은 달콤한 물질이 들어 있어 jdm 필자도 어릴 때 시골에서 이 꼬투리 열매를 주어서 쪼개어 빨아 먹은 기억이 되살아 난다. 속씨 검은 열매는 독성이 있어 먹지 않는다. 신경통, 관절염에 효험이 있다고 하여 농촌에서 열매 1개를 물 1~1.8리터 정도 붓고 달여서 먹는데 약용으로 사용할 때도 종자
[<<1~1.5g을 약용으로 활용하나 많이 먹으면 중독된다>>]는 빼내고 겉껍질과 과육을 약용으로 활용한다.

상기 자료는 약초연구가로서 지구상에 존재하는 천연물질의 우수성을 널리 알리고 질병으로 고통을 겪고 있는 환우들에게 희망을 주며 기능성 식품과 신약을 개발하는데 통찰력을 갖게하고 약초를 사랑하는 모든 사람에게 정보의 목적으로 공개하는 것임을 밝혀 둔다.   

(글/ 약초연구가 & 동아대 & 신라대 대체의학 외래교수 전동명)

참조: 아래에 누구나 프린터할 수 있는 아래한글 문서입니다. '주는 것이 받는 것 보다 더 행복하다'는 취지를 실천하기 위한 사랑과 자비의 서비스입니다. 경제적인 부담(종이값, 잉크, 토너 비용 등)이 되신다면 아래의 문서를 각자의 컴퓨터 및 기타 저장매체에 담아 놓고 볼 수 있습니다. 소중한 자원낭비가 되지 않기 위하여 프린터하기 전에 한번더 개인적으로 결정해 보시기 바랍니다. 여러분 모두도 다른 사람에게 더 많이 주어서 더 행복하시기 바랍니다.

아래한글문서 46쪽 분량을 프린터할 수 있는 사랑과 자비의 서비스: 1, 조각자나무(주엽나무) 무엇인가?

아래한글문서 1쪽 분량을 프린터할 수 있는  사랑과 자비의 서비스: 2, 조각자나무(주엽나무) 무엇인가?

주엽나무 사진 감상: 1, 2, 3, 4, 5, 6, 7, 네이버+구글+다음+일본구글+대만구글: 1, 2, 3, 4, 5, 조각자나무 네이버+구글+다음+일본구글+대만구글+베트남구글: 1, 2, 3, 4, 5, 6,

문의 및 연락처: 010-2545-0777 ; 051-464-0307

주소: http://jdm0777.com

페이스북 주소: http://www.facebook.com/jdmsanyacho

이메일: jdm0777@naver.com


 

 

※ 아래에 쥐엄나무 및 조각자나무 사진 감상해 보시고 행복하시기 바랍니다~~~^.^

 

 

홈페이지 주소 : http://jdm0777.com 클릭하시면 홈으로 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