덩굴모밀(화탄모초) 무엇인가?

제주도 서귀포시 일부 지역에만 자생하는 덩굴모밀

 

 

 

 

 

 

 

 

 

 

[덩굴모밀의 잎, 꽃, 검은열매, 전초건조된 모습, 사진 출처: 일본/대만/한국 구글 이미지 검색]

항균작용, 항을혈간염병독작용, 대평활기화골격기적작용, 강압작용, 중추억제작용, 자궁수축작용, 청열이습, 양혈해독, 풍열인후통, 옹종습창, 적리, 설사, 소아주하(하계열), 이질, 장염, 소화불량, 이명, 청력장애, 기허에 의한 두혼, 도상, 혈기통, 급성 만성 이질, 습열 황달, 부인 대하, 피부 풍열, 유주농양, 골절옹종동통, 창만, 부스럼, 습진, 디프테리아[임상보고], 급성장염[임상보고], 진균성 질염[임상보고], 소아 농포창[임상보고], 각막의 운예와 반예와 백반[임상보고], 풍열에 의한 의식불명, 고혈압, 기혈 허약, 현기증, 이명증, 급성유선염, 타박상을 다스리는 덩굴모밀

덩굴모밀은 마
디풀과 여뀌속에 속하는 덩굴성 여러해살이 풀이다.

덩굴모일의 학명은 <
Polygonum chinense L.>이다. 우리나라에서는 제주도의 서귀포시 섶섬과 쇠소깍 등 일부 지역에서만 소수의 개체가 관찰되는 남방계식물이며 별마디풀이라고도 부른다.

다년생의 직립 또는 반(半) 반연성 초본 식물로서 길이는 약 1.5m이다. 줄기에는 약간의 홈이 있고 광택이 있어 매끄럽거나 털 또는 선모로 성글 게 덮여 있다. 지면에 비스듬하게 옆으로 생장하거나 기대어 자란다. 아랫부분의 질은 견실하고 분지가 많으며 포복경은 마디에서 뿌리가 나고 연한 가지는 자홍색이다. 잎은 어긋나고 자루가 있으며 날개가 있다. 잎몸은 달걀 모양의 긴 타원형 또는 달걀 모양 삼각형이고 길이는 7~12cm이며 가장자리가 밋밋하거나 작고 둥근 톱니를 갖고 있으며 기부는 절단형이나 원형 혹은 심장형에 가까우며 때로는 2개의 귀 모양의 열편이 있다.

가지 상부의 잎은 심장형이고 짧은 잎자루가 있거나 혹은 없으며 줄기를 싼다. 윗면은 녹색이고 간혹
'V'자형의 검은 무늬가 있으며 밑면의 주맥에는 털이 있다. 탁엽초(托葉)는 막질이고 경사진 절단형이다. 두상 화서는 다시 원추 또는 산방 화서를 이루고 화서축은 항상 선모로 덮여 있으며 총포는 없다. 작은 꽃떡잎은 광택이 있고 매끄러우며 보통 급격하게 뾰족해진 모양이다. 작은 꽃은 흰색, 연한 홍색 또는 자색이고 꽃덮이는 5개로 갈라진다. 수술은 8개이고 상위 씨방이며 암술대는 3개로 갈라진다. 수과(瘦과)는 달걀 모양이고 검은색이며 모서리가 3개 있고 숙존 꽃덮이에 싸여 있다. 개화기는 중국 사천(四川)의 경우에는 9월이다.  

주로 구릉지대이 햇볕이 잘 드는 풀밭이나 나무숲, 길가의 습윤한 토양에서 잘 자란다.

덩굴모밀의 여러 가지 이름은
화탄모초[火炭母草=
huǒ tàn mǔ cǎo=후오VV차오V: 본초도경(本草圖經)], 화탄모[火炭母: 생초약성비요(生草藥性備要)], 오탄자[烏炭子: 식물명실도고장편(植物名實圖考長編)], 운약[運藥: 분류초약성(分類草藥性)], 산교맥초[山蕎麥草: 복건민간초약(福建民間草藥)], 황선등[黃藤, 훈약:暈藥: 사천중약지(四川中藥誌)], 오백반초[烏白飯草: 천주본초(泉州本草)] 화탄성[火炭星, 작당매:鵲糖梅: 영남초약지(嶺南草藥誌)], 적지리[赤地利, 오백등:烏白藤, 수사감자:水沙柑子, 고자반:鴣鶿飯, 수퇴사:水退: 복건중초약(福建中草藥)], 홍매자엽[紅梅子葉, 백반초:白飯草, 대엽사탄자:大葉沙灘者: 광동중초약(廣東中草藥)], 노서자[老鼠: 광서중초약(廣西中草藥)], 츠루소바[ツルソバ, 우시누밍타마-:ウシヌミンタマー, 시-보-사:シーボーサー, 시-비구사:シービグサ: 일문명(日文名)], 덩굴모밀, 별마디풀 등으로 부른다.   

덩굴모밀 뿌리의 다른 이름은
화탄모초근[火炭母草根: 중경초약(重慶草藥))] 이라고 부른다.

[채취]


<전초>


<중약대사전>: "여름, 가을에 채취하여 햇볕에 말린다."

<뿌리>


<중약대사전>: "여름과 가을에 채취한다."

[약재(藥材)]


<중약대사전>: "말린 중기는 매우 길고 갈색 내지 자갈색이며 세로무늬가 있고 마디 사이는 길며 마디는 팽대해 있다. 질은 무르고 꺾이기 쉬우며 고갱이 부위는 연하다. 잎몸은 쪼그라져 주름이 있고 황색 또는 황녹색이며 주맥의 양측에는 자흑색의 반점이 희미하게 있다. 턱잎은 칼집 모양이고 연한 황갈색이며 늘 파손되어 있고 완전하지 못하다. 약간의 향기가 있으며 맛은 싱겁고 약간 쓰다. 잘 마르고 불순물이 없는 것이 양품이다.

중국의 광동(廣東), 광서(廣西), 사천(四川), 귀주(貴州), 복건(福建) 등지에서 주로 난다."

[성분]


<전초>


<중약대사전>: "플라보노이드 배당체를 함유하고 있다.  

동속식물인 적지리(赤地利: P. chinense var thunbergianum)의 뿌리 줄기는 shakuchirin을 함유한다."

<뿌리>

<중약대사전>: "덩굴모밀 뿌리 중에서 비누화되는 부분에 속하는 것은 포화 지방산인 스테알린산, 팔미틴산, 불포화 지방산인 오레인산, 리놀산이며 비누화 되지 않은 부분에는 β-시토스테롤이 있다."

[약리 작용]


1, <중약대사전>:
"탕제는 마우스의 적출 회장에 대해서는 뚜렷한 작용이 없지만 마우스의 적출 자궁에 대해서는 억제 작용이 있다. 그러나 물 추출액(탕제에 알코올을 가하고 침전물을 제거한 것)은 마우스의 적출 자궁에 대하여 수축 작용이 있고 토끼의 적출 십이지장에 대해서도 그 장력을 약간 증가시킨다. 탕제는 두꺼비의 복직근에 대하여 작용이 없으며 또 추출액은 마우스의 횡경막근과 그의 신경 표본에 대하여 작용이 없다. 탕제는 마우스의 뒷다리 혈관 관류 시험에 대해서도 뚜렷한 작용은 없지만 마취시킨 개의 정맥에 0.1g의 생약/kg을 주사하면 혈압을 낮추는 작용을 한다. 마우스의 복강에 물 추출물 10g의 신선한 생약/kg을 주사하면 억제, 운동 실조가 나타나고 헥소바르비탈나트륨의 수면 시간을 약간 연장 시킨다. (0.02 <P < 0.05). 반량을 정맥 주사하면 억제, 운동 실조, 호흡 증강, 머리의 가벼운 떨림이 나타나고 24시간 후에 5마리 중 1마리가 사망하였으며 나머지는 정상이었다. 마우스의 복강에 탕제 1g 생약/마리를 주사한 결과 24시간 이내에 전부 사망하였다."

2, <백도백과(百度百科)>:
"
药理作用

1.항균작용(抗菌作用): 该品煎剂在试管内对金黄色葡萄球菌、大肠杆菌、炭疽杆菌、乙型链球菌、白喉杆菌、伤寒杆菌绿脓杆菌和痢疾杆菌均有较强的抗菌作用[1]。该品的醇提取液或水提取液对金黄色葡萄球菌、大肠杆菌、绿脓杆菌、肺炎杆菌和痢疾杆菌等也有较强抗菌作用[2]。

2.항을형간염병독작용(抗乙型肝炎病毒作用):
用抑制乙型肝炎病毒DNA多聚酶(HBV-DNAP)及降解HBV-DNA的体外试验法,发现该品煎剂对DNAP抑制率在50%以上,降解HBV-DNA的作用在25%以上,表明该品有抗乙肝病毒作用[3]。

3.대평활기화골격기적작용(对平滑肌和骨骼肌的作用):
该品煎剂对离体豚鼠回肠无明显影响,对离体
大鼠子宫有抑制作用;水提取物对离体豚鼠回肠有收缩作用,对离体兔十二指肠可轻度增强其张力。煎剂对蟾蜍腹直肌,水提取物对大鼠膈肌-膈神经制备均无作用[4-6]。

4.강압작용(降压作用):
煎剂在大鼠后肢灌流实验中无明显作用,给麻醉犬静脉注射0.1g(生药)/kg,有降血压作用[4-6]。

5.중추억제작용(中枢抑制作用):
小鼠腹腔注射水提取物10g(鲜生药)/kg有中枢抑制作用,表现为运动失调,并能延长环己巴比妥钠的催眠时间[4-6]。

6.독성(毒性):
水提取物5g(鲜生药)/kg静脉注射,使小鼠中枢抑制,运动失调、呼吸加深加快,头部轻度震颤,24h后5只中有1只死亡。腹腔注射煎剂1g(生药)/只,24h内小鼠全部死亡[4~6]。"

[성미]

<전초>


1, <중약대사전>: "맛은 시고 달며 성질은 서늘하다."

2, <본초도경>: "성질은 평하고 독이 없으며 맛은 시다."

3, <본초품휘정요>: "맛은 시고 달며 성질은 평하고 독이 없다."

4, <본초강목>: "맛은 시며 성질은 평하고 독이 없다."

5, <생초약성비요>: "맛은 시고 성질은 차다."

6, <광서중초약>: "맛은 약간 시며 떫고 성질은 약간 서늘하다."

<뿌리>

1, <중약대사전>: "맛은 시고 달며 성질은 평하다."

2, <분류초약성>: "맛은 달며 성질은 평하고 독이 없다."

3, <중경초약>: "맛은 달고 시며 성질은 따뜻하고 평하다."

[약효와 주치]


<전초>


1, <중약대사전>: "열을 내리고 습을 제거하며 양혈(凉血), 해독하는 효능이 있다. 설사, 이질, 황달, 풍열인동(風熱咽疼), 허약 두혼(頭昏), 소아주하(小兒
疰夏) 즉 하계열(夏季熱), 경축(警搐), 부인의 백대하, 옹종습창(癰腫濕瘡), 타박상을 치료한다."

2, <본초도경>: "피부풍열(皮膚風熱), 유주농양(流注膿瘍), 골절옹종(骨節癰腫) 동통을 제거한다."

3, <생초약성비요>: "꿀과 함께 볶아 복용하면 설사가 멎는다. 창(瘡), 타박상에 바르고 난각(爛脚)에 붙이면 해독하고 진물을 수렴하며 상처를 아물 게 한다."

4, <영남채약록>: "소아의 발열 경축(警搐), 창만을 치료한다."

5, <복건민간초약>: "혈액 순환을 촉진시키고 해독하며 설사를 멎게 하고 대하를 치료한다."

6, <사천중약지>: "현기증, 기허(氣虛)로 인한 난청을 치료한다."

7, <광주민간상용중초약수책>: "습열을 청리(淸利)하고 체한 음식물을 내려가게 하며 해독한다. 이질, 장염, 소화 불량, 간염, 편도선염, 인후염, 절종(癤腫), 타박상 염좌, 피부염, 습진, 소양을 치료한다."

8, <남천, 상용중초약수책>: "원기를 북돋우고 혈을 순환시키며 풍을 제거하고 열을 내린다. 허약, 풍사(風邪)의 열(熱), 현기증, 혈기통(血氣痛)을 치료한다."

9, <광동중초약>: "양혈(凉血), 해독한다. 소아의 하계열(夏季熱)을 치료한다."

<뿌리>


1, <중약대사전>: "기허(氣虛)에 의한 두혼(頭昏), 이명(耳鳴), 청력장애, 백대, 타박상을 치료한다."

2, <분류초약성>: "기허(氣虛)에 의한 이농, 부인의 백대하를 치료한다."

3, <광주식물지>: "타박상이나 도상의 치료에서 중요한 약으로 쓰인다."

4, <중경초약>: "원기를 북돋우고 혈을 순환시키며 풍을 제거하고 열을 내린다. 허약, 풍열(風熱), 두혼(頭昏), 기허(氣虛)에 의한 이명, 혈기통(血氣痛), 백대하를 치료한다."

[용법과 용량]


<전초>


<중약대사전>: "내복: 0.5~1냥(신선한 것이면 1~2냥)을 물로 달이거나 찧어서 그 즙을 복용한다.

외용: 짓찧어서 바르거나 달인 물로 씻는다."

<뿌리>


<중약대사전>: "내복: 3~5돈(신선한 것은 1~2냥)을 물로 달여서 복용한다.

외용: 가루내어 개어서 바른다."

덩굴모밀의 효능에 대해서 중국에서 펴낸 <중국본초도록> 제 3권 52면 1085호에서는 다음과 같이 기록하고 있다.

[화탄모(火炭母)

기원: 요과(蓼科=마디풀과: Polygonaceae)식물인 화탄모(火炭母=덩굴모밀: Polygonum chinense L.)의 전초(全草)이다.

형태:
다년생(多年生) 덩굴성 초본(草本)이다. 줄기는 약간의 각진 홈이 있고 털이 없거나 약간 있다.잎에는 짧은 잎자루가 있고 잎자루의 기부(基部) 양측에는 항상 각각 1개씩 귓불처럼 늘어진 작은 열편(裂片)이 있는데 보통 조락성(早落性)이고 잎은 난형(卵形) 혹은 각진 원상(圓狀) 난형(卵形)으로 길이가 5∼10cm이며 너비는 3∼6cm인데 잎가장자리는 전연(全緣)이고 때때로 뒷면의 잎맥을 따라 털이 있으며, 탁엽(托葉)은 막질(膜質)로 비스듬히 잘린 모양이다. 여러개의 두상화서(頭狀花序)가 배열해서 산방화서(傘房花序)나 원추화서(圓錐花序)를 이루고, 포편(苞片)은 막질(膜質)로 난형(卵形)이며 털이 없고, 꽃은 백색(白色) 혹은 담홍색(淡紅色)으로 화피(花被)가 5갈래이고, 수술은 8개, 암술대는 3개이다. 열매는 수과(瘦果)로 난형(卵形)이며 3개의 능각(稜角)이 있으며 흑색(黑色)이다.




분포:
양지바른 풀밭, 숲가나 길가에서 자란다. 중국의 강서(江西), 복건(福建), 호북(湖北), 호남(湖南), 광서(廣西), 광동(廣東), 사천(四川)과 귀주(貴州) 등 각 지방에 분포.

채취 및 제법:
연중 채취가 가능하며 신선한 채로 사용하거나 깨끗이 씻어서 햇볕에 말 린다.

성분:
flavonoid glycoside등.

기미:
맛은 약간 시고 달며 성질은 서늘하다.

효능:
청열이습(淸熱利濕), 양혈해독(凉血解毒).

주치:
이질(痢疾), 장염(腸炎), 황달(黃疸), 풍열인후통(風熱咽喉痛), 옹종습창(癰腫濕瘡), 질타손상(跌打損傷).

용량:
25∼50g.

참고문헌:
회편(滙編), 상권, 142면 ; 중약대사전, 상권, 102호.
]

덩굴모밀로 질병을 치료하는 방법은 아래와 같다.

<전초>


1, 적리

덩굴모밀 전초와 해금사를 지찧은 즙을 끓인 물과 섞고 설탕을 약간 가하여 복용한다. [영남채약록(嶺南採藥錄)]

2, 이질, 장염, 소화불량

덩굴모밀, 소봉미(小鳳尾), 포사엽(布渣葉), 각 24그램을 물로 달여서 복용한다. [광서, 중초약처방선편(廣西, 中草藥處方選編)]

3, 급성 만성 이질

덩굴모밀, 야모단(野牡丹) 각 80그램을 달여 1제를 3번에 나누어 복용한다. 만성 이질에 대해서는 같은 양으로 매일 2번 관장하고 7~10일을 1치료 기간으로 한다. [광서, 중초약신의요법처방집(廣西, 中草藥新醫療法處方集)]


4, 습열 황달

덩굴모밀 40그램과 계골초(鷄骨草) 40그램을 달여서 복용한다. [광서중초약(廣西中草藥)]

5, 부인 대하

신선한
덩굴모밀 80~120그램, 백계관화(白鷄冠花) 3~5개를 반공기가 되게 달여서 하루에 2번 식후에 복용한다. [복건민간초약(福建民間草藥)]

6, 피부 풍열, 유주농양(流注膿瘍), 골절옹종동통

덩굴모밀잎의 달인물로 씻는다. [영남채약록(嶺南採藥錄)]

7, 창만(脹滿)

덩굴모밀전초 달인 물로 씻고 동시에 찧어서 바른다. [영남채약록(嶺南採藥錄)]

8, 부스럼

신선한 덩굴모밀 전초 40그램을 물로 달여 술로 개어 복용한다. 남은 찌꺼기는 꿀 또는 찹쌀밥으로 개어 짓찧어 환부에 바른다. [복건중초약(福建中草藥)]

9, 습진

신선한 덩굴모밀 전초 40~80그램을 물로 달여서 복용한다. 별도로 신선한 전초의 달인물로 씻는다. [복건중초약(福建中草藥)]

10, 디프테리아
[임상보고]
덩굴모밀의 신선한 잎을 짓찧어 만든 30밀리리터의 즙에 꿀을 적당량 가하여 매일 6번에 나누어 복용한다. 중증인 경우에는 소량씩 여러번 복용한다. 임상 관찰한 63례는 전부 치유되었으며 치료 기간은 보통 2~4일이었다. [중약대사전]

11, 급성장염
[임상보고]
덩굴모밀 40그램, 고양등(古羊藤: Streptocaulon griffithii Hook. f.) 20그램을 달여서 하루에 2번 복용한다. 1,584례를 시험한 결과 유효율은 90%였다. [중약대사전]

12, 진균성 질염
[임상보고]
덩굴모밀 탕액으로 좌욕한다. 물로 씻어낸 다음 국소에 덩굴모밀전초 가루를 뿌린다. 이 두가지를 3~5회 반복하는 것을 1치료 기간으로 한다.

17례를 치료한 결과 모두 효과가 있었다. 그중 9례는 강(腔:빈속강)분비물의 도말(塗抹) 표본으로 진균 검사한 결과 모두 음성으로 변화했다. [중약대사전]

13, 소아 농포창
[임상보고]
덩굴모밀 전초 120~200그램을 잘게 썰어 짓찧은 것을 적량의 물로 15~20분간 끓인 다음 여과하고 매일 그 여과액에 국소를 담그어 씻는다. 이것을 여러 번 반복한다. 전신 감염 증상이 있는 사람은 별도로 중약(重藥)를 쓴다. 25례를 치료한 결과 모두 치유되었다. [중약대사전]

14, 각막의 운예(雲翳), 반예(斑翳), 백반(白斑)
[임상보고]
100%의 덩굴모밀 점안제는 1~2시간에 한번 점안 한다. 연속 1~2개월 사용하여 1치료 기간으로 한다. 각막의 운예(雲翳) 88례, 반예(斑翳) 163례, 백반(白斑) 65례 합계 316례를 치료한 결과 양호한 효과를 얻은 사람(원래의 시력에 비하여 2행 이상 진보함)은 각막 운예(雲翳)의 병례 중 53,4%, 각막 반예(斑翳)의 병례 중 46%, 각막 백반(白斑)의 병례 중 38.4%를 차지하였다.

그러나 덩굴모밀 점안제의 용액은 불안정하고 4~5일 사용하면 변질되어 효과가 없어지므로 다시 신선한 안약으로 바꾸어야 한다. 또 덩굴모밀, 십대공로엽(十大功勞葉) 각 40그램을 물 2.000밀리리터로 4~5시간 달여 찌꺼기를 제거한 다음 150밀리리터로 농축 여과한 맑은 약액으로 점안할 수 있다.

점안 할때 이물감이 있어서는 안 된다. 십대공로엽(十大功勞葉)을 가하는 이유는 용액의 PH를 교정하기 위해서이다. 용액은 새롭게 조정하여야 한다. 1~2시간에 한번 점안하는데 1~2개월 계속해 준다.

각막 운예(雲翳), 반예(斑翳), 비중심성 각막백반에, 급성 결막염, 결막포진(결막 헤르페스), 천층각강막막염(淺層角强膜炎), 전광성 안염(電光性 眼炎), 각결막화학상(角結膜化學傷)과 같은 외안성(外眼性) 질병에 적용된다. 임상 치료 200례에서 효과가 양호했던 것은 각막 운예(雲翳)에서 36례, 반예(斑翳)에서 45례, 백반(白斑)에서 17례로서 총 유효율은 92%에 달하였다. [중약대사전]

<뿌리>

15, 풍열에 의한 의식불명, 고혈압, 기혈 허약, 현기증, 이명증

덩굴모밀 뿌리 600그램을 흑피계(黑皮鷄)와 함께 고아서 복용한다. [중경초약(重慶草藥)]

16, 급성 유선염

신선한
덩굴모밀뿌리 40그램을 술로 개어서 복용한다. [복건중초약(福建中草藥)]

17, 타박상

신선한
덩굴모밀뿌리 80그램을 돼지고기와 함께 고아 술을 가하여 다시 10여분 고아서 복용한다. [천주본초(泉州本草)]

상기 자료는 약초연구가로서 지구상에 존재하는 천연물질의 우수성을 널리 알리고 질병으로 고통을 겪고 있는 환우들에게 희망을 주며 기능성 식품과 신약을 개발하는데 통찰력을 갖게하고 약초를 사랑하는 모든 사람에게 정보의 목적으로 공개하는 것임을 밝혀 둔다.   

(글/ 약초연구가 & 동아대 & 신라대 대체의학 외래교수 전동명)

덩굴모밀 사진 감상: 네이버+구글+다음+일본구글+대만구글: 1, 2, 3, 4, 5,

문의 및 연락처: 010-2545-0777 ; 051-464-0307

홈주소: http://jdm0777.com

페이스북 주소: http://www.facebook.com/jdmsanyacho

이메일:
jdm0777@naver.com

아래에 비슷한 식물들도 함께 고려해 보시기 바랍니다.

 

 

  1. 나도하수오 무엇인가?
  2. 덩굴모밀(화탄모초) 무엇인가?
  3. 박주가리(라마) 무엇인가?
  4. 백수오-1(백하수오) 무엇인가?
  5. 백수오-2(대근우피소) 무엇인가?
  6. 삼도하수오 무엇인가?
  7. 이엽우피소(비래학) 무엇인가?
  8. 하수오(적하수오) 무엇인가?
  9. 홍약자 무엇인가?

 

 

홈페이지 주소 : http://jdm0777.com 클릭하시면 홈으로 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