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아지풀(구미초) 무엇인가?

꽃이삭이 강아지 꼬리를 닮은 강아지풀

 

 

 

 

 

 

 

 

긄긩긓깓긐긖궻됓뺜

강아지풀 열매

긄긩긓깓긐긖궻룷뺜

 

 

[강아지풀의 꽃이삭, 열매, 종자의 모습, 사진출처: 일본/대만/한국 구글 이미지 검색]

▶ 청열, 거습, 소종, 이뇨, 창독, 오랜 시력감퇴, 타박상, 반상출혈, 종기, 촌충구제용, 악창, 옴, 버짐, 부종, 얼굴의 피부병, 사마귀, 적안홍종[눈이 충혈된 것]을 다스리는 강아지풀 

강아지풀은 외떡잎식물 벼목 벼과의 한해살이풀이다.

강아지풀의 학명은 <Setaria viridis>이다. 길가나 들에서 자란다. 줄기는 20∼70cm로 뭉쳐나고 가지를 치며 털이 없고 마디가 다소 길다. 잎의 길이는 5∼20cm, 너비 5∼20mm로 밑부분은 잎집이 되며, 가장자리에 잎혀와 줄로 돋은 털이 있다.

꽃은 7~8월 한여름에 피고 원주형의 꽃이삭은 길이 2∼5cm로서 연한 녹색 또는 자주색이다. 작은가지는 길이 6∼8mm로 퍼지고 가시 같다. 종자는 구황식물로 이용되었으며, 민간에서는 9월에 뿌리를 캐어 촌충구제용으로 쓰인다. 한방에서는 여름에 전초를 채취하여 말린 것을 약용으로 사용한다. 전국적으로 분포한다.

강아지풀속은 열대에 약 100종이 있으며 우리나라에는 유사종으로 갯강아지풀(var. pachystachys)은 잔가지의 센털이 길고 밀생하여 잔이삭이 뚜렷하지 않으며 바닷가에서 자란다. 수강아지풀(var. gigantea)은 조와 강아지풀의 잡종이다. 자주강아지풀(for. purpurascens)은 꽃이삭에 달린 털이 자줏빛이며 구별하지 않고 강아지풀로 취급하기도 한다. 금강강아지풀, 주름강아지풀, 가을강아지풀, 가는잎강아지풀 등이 자라고 있다.

강아지풀의 여러 가지 이름은 구미초[狗尾草=gǒu wěi cǎo=꼬우V웨이V차오V, 광명초:光明草, 아라한초:阿羅漢草: 본초강목(本草綱目)], [莠: 시경(詩經)], 구미반지[狗尾半支: 본초강목습유(本草綱目拾遺)], 곡유자[穀莠子: 식물명회(植物名)], 세초[洗草: 귀주민간방약집(貴州民間方藥集)], 견미초[犬尾草, 견미곡:犬尾曲: 복건민간초약(福建民間草藥)], 에노코로게사[エノコログサ=狗尾草: 일문명(日文名)], 구미초[狗尾草], 갯강아지풀[중국 옌볜 방언], 개꼬리풀, 자주강아지풀, 제주개피 등으로 부른다.

[채취]


<중약대사전>: "여름과 가을에 채취하여 햇볕에 말린다."

[성미]


<중약대사전>: "맛은 싱겁고 성질은 서늘하거나 평하고 독이 없다."

[효능]


1, <중약대사전>:
"열을 내리고 습기를 제거하며 부기를 가라앉히는 효능이 있다. 조그마한 종기, 옴, 눈이 벌겋게 충혈되는 증상을 치료한다."

1, <본초강목>:
"우목(
疣目)을 치료하자면 줄기를 꽂아 넣으면 즉시 말라서 없어진다. 눈이 빨갛고 도첩(倒睫)이 있을 때에는 눈꺼풀을 까뒤집고 1~2개의 줄기를 물에 묻혀 악혈(惡血)을 빼낸다."

2, <본초강목습유>:
"정(疔), 옹(癰), 선(癬)을 치료한다. 얼굴에 피부병이 나면 몇 줄기를 부드럽게 하여 자주 문지른다."

3, <귀주민간방약집>:
"해열하며 눈의 질환을 치료한다. 또 사마귀의 치료에 쓴다."

4, <육천본초>:
"거습(祛濕), 소종(消腫)하고 황수창(黃水瘡)을 치료한다."

5, <중경초약>:
"목질유루기무(目疾流淚起霧)를 치료한다."

[사용방법]


<중약대사전>: "내복: 하루 7.5~15g을 신선한 것은 37.5~75g을 물로 달여서 복용한다.

외용: 달인물로 씻거나 또는 찧어서 바른다."

강아지풀에 대해서 북한에서 펴낸
<약초의 성분과 이용>에서는 이렇게 기술하고 있다.

[강아지풀(Setaria viridis {L.} Beauvois)

식물:
높이 40~70cm 되는 한해살이풀이다. 잎은 줄 모양이다. 여름철에 줄기 끝에 꽃이 이삭 모양으로 핀다.

각지의 들판에서 자란다.

성분: 잎에 싱아산마그네슘의 결정이 있다.

응용: 민간에서 전초를 오줌내기약으로 쓴다. 신선한 잎을 짓찧어 찢긴 상처와 피하일혈반(반상출혈)에 붙인다. 씨는 눈병에 쓴다.

반상출혈이란?

"반상출혈[斑狀出血, ecchymosis]

요약

피하 또는 점막, 장액막(漿液膜) 밑에 일어나는 작은 반상의 출혈.

본문

점상출혈(點狀出血:시침바늘 머리 크기의 출혈)보다 다소 크다. 조직 안에서 나온 혈액이 표면에서 자색 반문(紫色斑文)으로 보이는 것이다. 출혈 원인은 대개가 둔기(鈍器)에 의한 타박이다.

그러나 원인 모르게 나타나거나 가벼운 외력(外力)에 의해 몸의 여러 곳에 출혈이 일어나는 경우가 있다. 그것은 혈액응고 능력이 약해져서 혈액이 잘 응고되지 않을 때, 또는 혈관벽이 약해졌을 경우로, 이런 상태를 출혈성 소인(素因)이라고 한다.

때때로 비출혈(鼻出血), 잇몸 출혈 등을 나타내기도 한다. 출혈반(出血斑)의 크기는 출혈량에 따라 다르지만, 보통 동전만한 크기이고 출혈 직후에는 선명한 자주빛이던 것이 시간이 경과하면서 점차 갈색으로 변하고 황색이 되었다가 차차 엷어지면서 며칠 내로 없어진다.
" [두산백과사전]]

강아지풀의 효능에 대해서 안덕균의
<한국본초도감>에서는 이렇게 기록하고 있다.

[구미초(狗尾草)

화본과의 한해살이풀 강이지풀(Setaria viridis {Linne} Beauv)의 지상부이다.

성미: 맛은 담담하고 성질은 서늘하다.

효능: 제열(除熱), 거습(祛濕), 소종(消腫)

해설: ① 열독(熱毒)을 제거시키므로 종기, 악창, 옴, 버짐에 유효하며, ② 눈이 충혈된 것을 제거한다.]

강아지풀의 효능에 대해서 중국에서 펴낸 <중국본초도록> 제 4권 209면 1909호에서는 다음과 같이 기록하고 있다.

[구미초(狗尾草)

기원: 화본과(禾本科=벼과: Gramineae)식물인 구미초(狗尾草=강아지풀: Setaria viridis (L.) Beauv.)의 전초(全草)이다.

형태:
일년생 초본으로 높이 30∼40cm이다. 잎은 단엽(單葉)으로 어긋나고, 엽초(葉鞘)는 느슨하며, 엽설(葉舌)은 융모(絨毛)가 있고, 엽편(葉片)은 선상(線狀) 장피침형(長披針形)이며 길이는 5∼30cm이다. 원추화서(圓錐花序)가 긴밀히 배열하여 원주형(圓柱形)을 이루는데 꼬리모양이고 길이는 5∼15cm이며 황녹색(黃綠色) 혹은 연한 자색(紫色)이다. 소수(小穗)는 타원형(橢圓形)이고 선단(先端)은 무디다. 곡립(穀粒)은 장원형(長圓形)이고 겉에는 세점상(細點狀) 주름무늬가 있다.



분포:
황야, 길가에 자란다. 중국 대부분의 지역에 분포한다.

채취 및 제법:
여름과 가을에 채취하여 햇볕에 말린다.

기미:
맛은 담담하고 성질은 서늘하다.

효능:
청열(淸熱), 거습(祛濕), 소종(消腫).

주치:
옹종(癰腫), 창독(瘡毒), 적안홍종(赤眼紅腫).

용량:
6∼12g.

참고문헌:
중약대사전, 상권, 2959호.
]

강지풀로 질병을 치료하는 방법은 아래와 같다.

1, 오랜 시력감퇴

강아지풀을 갈아 가루내어 양의 간과 함께 쪄서 복용한다. [분류초약성(分類草藥性)]

2, 양모반(
羊毛癍: 일명 양모사:羊毛痧: 환부에 흰색을 띤 가는 털이 보이는데, 그 형상이 양털과 같으므로 붙여진 질병의 하나)
강아지풀 달인 물을 내복하고 밖으로 은침(銀針)으로 빨갛게 부은 곳을 찔러서 터뜨리고 삼끈으로 그 안의 양털 모양의 흰실을 밀어낸다. 그렇지 않으면 부어올라 죽는다. [주익생가보방(周益生家寶方)]

각주: <사증전서(痧證全書) 권중에서 "양모사(羊毛痧)는 복부가 창만하여 배부(背部)나 흉부(胸部)에까지 파급되고, 허리부분과 사타구니에 찌르는 듯한 통증이 발생하기도 하는데, 소주병에 묻어 있는 때를 벗겨 체로 곱게 친 다음, 소주와 섞어 단(團)을 만들어서 환부를 문질러 주면 흰색을 띤 가는 털이 단(團)에 달라붙는다."고 하였다. 옛 사람들은 구리선을 환부에 올려놓고 쑥을 구리선 위에 놓고 태우면서 와관(瓦罐)이나 죽관(竹罐:대나무죽,두레박관)을 그 위에 덮었는데, 즉시 한수(汗水)가 빨려나오면서 나았다. 또한 손으로 배부(背部)의 이근(二筋)을 집음으로써 사통(痧痛)을 치료하기도 하였다.> [동양의학대사전]

[비고(備考)]


<본초강목>: "유초(莠草)는 아름다우나 열매가 없기 때문에 유(莠)라고 한다. 이삭의 모양이 개꼬리와 비슷하기 때문에 민간에서 구미(狗尾)라고 한다. 그의 줄기는 눈이 아픈 것을 치료하기에 방사(方士)들은 광명초(光明草), 아라한초(阿羅漢草)라고 부른다. 너른 들판과 담벽에서 많이 자란다. 싹과 잎은 속(粟: 조)와 비슷하고 작다. 그의 이삭도 조와 비슷하며 황백색이고 열매가 없다. 온전한 줄기를 채취하여 눈병을 치료한다. 오유(惡莠)의 어지러운 싹이 바로 이것이다."

강아지풀의 화수(花穗: 한개의 꽃대에 무리 지어 이삭 모양으로 피는 꽃 즉 꽃이삭)를 손 바닥 위에 놓고 손을 오므렸다 펴는 운동을 반복하면 강아지와 같이 앞으로 기어간다고 하여 '강아지풀'이라고 한다. 필자도 어릴 때 시골에서 강아지풀 꽃이삭을 따서 손 바닥에 넣고 강아지 처럼 소리를 내어 부르면서 움직이는 모습을 체험한 적이 기억이 난다. 또는 강아지풀 꽃이삭이 늘어뜨린 강아지꼬리를 닮았다고 하여 그렇게 부르기도 한다.


상기 자료는 약초연구가로서 우리땅에 존재하는 천연물질의 우수성을 널리 알리고 질병으로 고통을 겪고 있는 환우들에게 희망을 주며 신약을 개발하는데 통찰력을 갖게하고 약초를 사랑하는 모든 사람에게 정보의 목적으로 공개하는 것임을 밝혀 둔다.

(글/ 약초연구가 & 동아대 & 신라대 대체의학 외래교수 전동명)

강아지풀 사진 감상: 강아지풀1, 2, 3, 4, 5, 6, 7, 8, 갯강아지풀9, 10, 11, 12, 가을강아지풀 종자13, 금강아지풀14, 15, 네이버+구글+다음+일본구글+대만구글: 1, 2, 3, 4, 5,

문의 및 연락처: 010-2545-0777 ; 051-464-0307

홈주소: http://jdm0777.com

페이스북 주소: http://www.facebook.com/jdmsanyacho

이메일: jdm0777@naver.com


아래에 비슷한 식물도 함께 참조해 보시기 바랍니다.

 

 

  1. 갈대(노위) 무엇인가?
  2. 강아지풀(구미초) 무엇인가?
  3. 개솔새(구엽운향초) 무엇인가?
  4. 달뿌리풀 무엇인가?
  5. 뚝새풀(간맥낭) 무엇인가?
  6. 물억새(적) 무엇인가?
  7. 바랭이(마당) 무엇인가?
  8. 솔새(황배초) 무엇인가?
  9. 수크령(지랑풀) 무엇인가?
  10. 억새(망경) 무엇인가?
  11. 잔디(초평) 무엇인가?
  12. 줄(줄풀) 무엇인가?

 

 

※ 아래에 jdm 필자가 찍은 강아지풀, 갯강아지풀, 가을강아지풀, 금강아지풀 사진도 감상해 보시고 행복하시기 바랍니다~~~^.^

 

<강아지풀과 마른 열매 및 종자>

<갯강아지풀>

<가을강아지풀 마른 열매와 종자>

<금강아지풀 푸른 열매와 마른 열매 및 종자>

 

홈페이지 주소 : http://jdm0777.com 클릭하시면 홈으로 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