갈퀴덩굴(팔선초) 무엇인가?

강력한 항암작용을 하는 갈퀴덩굴

 

 

 

 

 

 

 

 

 

 

[갈퀴덩굴의 잎, 줄기, 꽃, 열매의 모습, 사진출처: 일본/대만/한국 구글 이미지검색]

강압자용, 약한 설사작용, 이뇨작용, 항암작용, 완화제, 이뇨제, 피부병, 세균성 이질, 감기, 대장염, 이질, 절종, 각종암(유방암, 식도암, 자궁경부암, 악하선암, 초기폐암, 간암, 위암, 직장암, 자궁암 등), 오림(석림, 기림, 고림, 노림, 혈림), 세균성 이질[임상보고], 종양(유선암, 식도암, 자궁경부암, 악하선암)[임상보고], 삼습, 수종, 소변불리, 비뇨계 감염, 복사, 폐경, 임증, 백탁, 혈뇨, 타박상, 장옹, 이하선염, 중이염, 대장염, 어혈, 해독, 폐렴, 자궁내막염을 다스리는 갈퀴덩굴

갈퀴덩굴은 쌍떡잎식물 용담목 꼭두서니과의 두해살이 덩굴식물이다.

갈퀴덩굴의
학명은 <Galium aparine L.>이다. 가시랑쿠라고도 한다. 길가 또는 빈 터에서 흔히 자란다. 원줄기는 길이 60∼90cm로 네모지고 각 능선(稜線)에 밑으로 향한 가시털이 있어 다른 물체에 잘 붙는다. 잎은 줄기의 각 마디에 6∼8개씩 돌려나고 거꾸로 선 비소꼴이며 길이 1∼3cm, 나비 1.5∼4mm로서 잎자루가 없고 가장자리와 뒷면의 맥위에 가시가 있다.

5∼6월에 잎겨드랑이에 홍록색 꽃이 취산꽃차례를 이룬다. 수술은 4개이며, 작은꽃대에는 꽃받침 밑에 마디가 있다. 씨방은 2실이고 암술대는 둘로 나뉘고 암술머리는 둥글다. 열매는 2개가 함께 붙어 있으며 각각 반타원형이고 갈고리 같은 딱딱한 털로 덮여 다른 물체에 잘 붙는다.

한방에서 7~9월에 전초를 채취하여 말린 것을 산완두(山豌豆)라 하며, 타박상 및 통증, 신경통, 임질의 혼탁뇨, 혈뇨, 장염, 종기, 암종(癌腫) 등의 치료에 사용한다. 한국, 일본, 사할린, 유럽 등지에 분포한다.

갈퀴덩굴은 꼭두서니과의 길가나 빈터 또는 황무지, 과수원 농장, 묵밭의 습지, 경작지 등에서 자라는 두해살이 풀이다. 갈퀴덩굴속은 전세계에 약 300종이 있으며 우리나라에는 약 14종이 분포하고 있다. 덩굴지는 줄기는 60~90센티미터의 길이로 벋으며 네모진 줄기에 밑을 향한 가시털이 있다. 줄기의 마디마다 거꿀 된 좁은 피침형 잎이 6~8개씩 돌려나며, 잎자루는 없고 막질이며 선 모양 피침형이거나 타원 모양 피침형이며 길이는 2~4센티미터, 너비는 2~6밀리이고 끝은 바늘처럼 뾰족하다.

잎의 앞면은 녹색이고 거꾸로 난 백색 가시 모양의 털로 덮여 있으며 뒷면은 연한 녹색이고 중앙맥과 가장자리가 털로 덮여 있는데 다른 부분은 매끄럽고 광택이 있으며 털이 없고 측맥이 뚜렷하지 않다.     

4~6월에 잎겨드랑이의 취산 꽃차례에 누르스름한 색의 자잘한 꽃이 달린다. 꽃은 아주 작은데 지름이 약 1밀리이다. 꽃받침은 절단형이고 길이는 1밀리가 안되며 갈고리 모양의 털이 있다. 꽃잎은 4개인데 연한 녹백색이고 때로는 자주색을 띠기도 하며 달걀 모양이고 아주 짧다. 수술은 4개이고 꽃잎과 어긋난다. 씨방은 밑에 있고 2실이며 암술대는 2개로 갈라져 있다. 과실은 약간 다육질이고 짝수로 나며 표면에 갈고리 모양의 하얀털이 조밀하게 나 있다. 봄철에 새로 나오는 어린순을 나물로 먹기도 한다. 결실기는 9월이다.

중국에서는 2가지 종류를 팔선초라고 하여 함께 약용한다.

1, 납랍등[拉拉藤: Galium aparine L.]

1년생 만성 또는 반연성 혈위 초본 식물로서 길이는 20~40cm이다. 줄기는 녹색이고 가늘며 사각기둥 모양이며 분지되어 있고 모서리 위에 거꾸로 난 작은 가시들이 있다. 개화기는 4~5월이고 황무지, 농장, 경작지에서 자란다.

2, 조엽납납등[粗葉拉拉藤, 거거등:鋸鋸藤: galium asperifolium Wall.]

1년생 초본 식물로서 옆으로 뻗거나 약간 비스듬하게 자란다. 줄기는 육각기둥 모양이고 분지되어 있으며 가지에는 거꾸로 난 작은 가시가 있고 거칠다. 잎은 4~8개로 돌려나며 잎몸은 막질이고 선 모양 피침형이거나 타원 모양 피침형이다. 과실은 약간 다육질이고 갈고리 모양의 하얀 털이 빽빽하게 나 있다. 개화기는 봄이고 산의 경사면이나 길가에서 자란다.


갈퀴덩굴의 다른 이름은
팔선초[八仙草=xiān cǎo=시앤차오V: 전남본초(滇南本草)], 저앙앙[猪殃殃: 야채보(野菜)], 소거등[小鋸藤, 거자초:鋸子草: 귀주민간방약집(貴州民間方藥集)], 소천초[小草, 소비양등:小飛揚藤, 홍사선:紅絲線, 혈견수:血見愁: 광서중약지(廣西中藥誌)], 세천초[細草: 운남중초약(雲南中草藥)], 납랍등[拉拉藤: 식물명실도고(植物名實圖考)], 조엽납납등[粗葉拉拉藤, 거거등:鋸鋸藤: 중약대사전(中藥大辭典)], 소여근[小舒筋: 백도백과(百度百科)], 시라호시무구라[シラホシムグラ=Galium aparine L. ; 야에무구라:ヤエムグラ=Galium spurium L. var. echinospermon: 일문명(日文名)], 산야완두[山野豌豆], 갈퀴나물, 갈키나물, 녹두두미, 큰갈퀴나물, 참갈퀴, 갈퀴덩굴, 말굴레풀, 갈퀴손이 있는 나물, 가시랑쿠 등으로 부른다.

[채취]


<중약대사전>: "가을에 채취하여 햇볕에 말리거나 통풍이 잘 되는 곳에서 말린다."

[약재(藥材)]


<중약대사전>: "마른 전초는 황록색 혹은 황토색이고 전체에 손이 찔릴 정도의 거꾸로 난 가시가 있다. 줄기와 잎은 대부분 오므라들어 둥글 게 되어 있다. 줄기는 단단하고 섬유질이며 잎은 취약하고 쉽게 부서진다. 과실은 대부분 떨어지고 우산 모양의 꽃자루가 숙존한다."

[성분]


<중약대사전>: "quercetin galactoside 등의 flavonoid 배당체, asperuloside, 탄닌 등이 들어 있다. galium속에 속하는 식물의 지상 부분에는 모두 asperuloside와 anthraquinone계의 색소(뿌리에도 들어 있다)가 들어 있다.  

일부 품종에는 또 플라보노이드류의 diosmetin과 hesperidin이 들어 있다."

[약리작용]


<중약대사전>: "
납랍등(拉拉藤)의 알코올 추출물에는 혈압을 낮추는 작용이 있지만 심장 박동수를 감소시키지는 않는다. 개에게 1~1.5그램(생약)을 정맥 주사한 결과 즉시 효과를 나타냈으며 독성은 보이지 않았다.

asperuloside는 토끼의 혈압을 낮추는 작용을 한다. 어떤 나라에서는 민간에서 이 즙액을 완화제, 이뇨제 혹은 어떤 종류의 피부병을 치료하는 약으로 썼다. 그 변종(Galium aparine L. var. tenerum {Gren. et. Godr} Rchb 5그램(생약)/ml를 시험관 내 메틸렌 블루법에 따른 선별을 했더니 급성 림프구성 백혈병 및 급성 과립구형 백혈병에 대해 양성을 나타냈다."

[성미]


1, <중약대사전>: "맛은 쓰고 매우며 성질은 차다."

2, <전남본초>: "맛은 맵고 쓰며 성질은 약간 차다."

3, <광서중약지>: "맛은 떫고 성질은 평하다."

4, <호남약물지>: "맛은 달고 떫으며 성질은 약간 차다."

[귀경(歸經)]


<전남본초>: "소음(少陰), 태양경(太陽經)에 들어간다."

[약효와 주치]


1, <중약대사전>: "습열을 제거하고 어혈을 없애주며 부기를 가라앉히고 해독하는 효능이 있다. 임탁, 요혈, 타박상, 장옹(腸癰), 절종(癤腫), 중이염을 낫게 한다."

2, <전남본초>: "습열, 각 경(經)의 객열(客熱), 허로(虛
), 동노(童: 소아의 허약 증상), 관절통과 근육통, 열림(熱淋: 열로 인한 소변 곤란), 적색 변탁(便濁: 혈뇨와 단백뇨), 음경의 통증을 치료한다. 혈분(血分)의 번열을 없애고 요혈을 멎게 한다."

3, <귀주민간방약집>: "개선(疥癬)을 치료한다."

4, <광서중약지>: "월경통을 낫게 한다. 짓찧어 즙을 내서 찹쌀 죽을 쑤어 복용하면 비양창(飛揚瘡: 혈포:血泡가 구강 상악에 생겨 미란:
糜爛된 창:瘡)을 치료한다."

5, <강서, 초약수책>: "열을 내리고 해독하며 부기를 가라앉히고 통증을 완화시킨다. 옹종, 충수염을 낫게 하며
최근에는 암 치료에도 쓰인다."

6, <곤명민간상용초약>: "열을 내리고 소염하며 풍사(風邪)를 몰아내고 습사(濕邪)를 없애고 어혈을 흩어지게 하고 담화열증(痰火熱症: 입안의 점액이 불처럼 뜨거워지는 증상), 풍열(風熱)로 인하여 눈이 탁해져서 잘 보이지 않고 눈꼽이 많아지는 증상, 풍습, 타박동통, 외상으로 인한 피하 어종(瘀腫)을 치료한다."

7, <운남중초약>: "열을 내리고 혈분(血分)에서 열사(熱邪)를 제거하며 이뇨한다. 혈림(血淋), 요로 감염증을 치료한다."

[용법과 용량]


<중약대사전>: "내복: 2~5돈을 물로 달여서 복용하거나 찧어서 즙을 내어 복용한다.

외용: 찧어서 도포하거나 그 즙을 귀에 떨어뜨린다."

갈퀴덩굴의 효능에 대해서 배기환의
<한국의 약용식물> 416면 519호에서는 다음과 같이 기록하고 있다.

[
갈퀴덩굴[Galium spurium L. var. echinospermum (Wallr.) Hayek] [꼭두서니과]

덩굴성 한해살이풀 또는 두해살이풀. 높이 60~90cm. 꽃은 연한 황록색으로 5~6월에 핀다. 열매는 분과로 2개가 함께 붙어 있다.

분포/
전국의 들에서 흔히 자라며, 일본, 만주, 중국, 대만, 시베리아, 유럽, 아프리카에 분포한다.

약효/
전초를 팔선초(八仙草)라고 하며, 청습열, 산어혈, 소종(消腫)의 효능이 있고, 임탁, 타박상, 중이염, 요혈을 치료한다.

성분/
asperuloside, hesperidin 등이 함유되어 있다.

약리 작용/
에탄올 추출물을 개에게 정맥 주사 하면 혈압 강하 작용이 있으나 심박 수에는 변화가 없다.

사용법/
전초 15g에 물 700mL를 넣고 달인 액을 반으로 나누어서 아침 저녁으로 복용한다.]

갈퀴덩굴의 효능에 대해서 북한에서 펴낸
<약초의 성분과 이용>에서는 이렇게 기록하고 있다.

[갈퀴덩굴(민갈퀴: Galium aparine L.)

식물: 줄기는 길이 60~90센티미터이고 네모났으며 모서리에 잔가지가 있다. 6~8개의 버들잎 모양 잎이 돌려 붙는다. 풀색, 가지색, 흰색의 작은 꽃이 핀다.

각지의 산기슭, 밭두렁에서 자란다.  

전초(팔선초): 가을에 줄기를 거두어 말린다.
성분: 전초에 쿠에르세틴갈락토시드, 아스페룰로시드, 탄닌질이 있다.
작용: 전초의 알코올 추출물(1~1.5g)을 개에게 정맥주사하면 혈압을 뚜렷이 낮춘다. 아스페롤로시드는 혈압내림작용이 있다. 압착한 즙은 약한 설사작용, 오줌내기작용이 있다.

응용: 민간에서 피오줌, 타박상, 중이염, 대장염, 절종, 유방암, 감기 등에 전초(팔선초)를 7~18그램을 달여서 먹는다. 신선한 전초 300그램으로 즙을 내어 하루 한 번씩 먹거나 또는 마른 전초 36그램을 한 시간 물에 달여서 여러 번에 나누어 하루에 먹으면 유방암, 식도암, 자궁경부암, 이하선염에 효과가 있다. 뿌리는 폐렴과 자궁내막염에 쓴다.

참고: 중국 남부에서 자라는 백화사설초(Hedyotis diffusa Willa)는 초기 폐암, 간암, 위암, 직장암, 자궁암에 써서 좋은 효과가 있다고 한다. 이 식물은 꼭두서니과에 속하며 역시 이리도이드 배당체, 아스페룰로시드, 아스페룰로시드산, 스칸도시드, 게니포시드산이 들어 있다. 위에서 본 바와 같이 이 과의 Asperula, Galium은 항암제로 전망이 있다.

갈퀴덩굴의 효능에 대해서 북한에서 펴낸
<동의학사전>에서는 다음과 같이 기록하고 있다.

[팔선초(八仙草)

//갈퀴덩굴// [본초] 꼭두서니과에 속하는 갈퀴덩굴(Galium aparine L.)의 전초를 말린 것이다. 각지의 산기슭에서 자란다. 가을에 전초를 베어 그늘에서 말린다. 맛은 쓰고 매우며 성질은 차다. 열과 부종을 내리고 습과 어혈을 없애며 해독한다. 약리실험에서 강압자용, 약한 설사작용, 이뇨작용 등이 밝혀졌다. 대장염, 이질, 임증, 백탁, 요혈, 타박상, 장옹, 식도암, 자궁경부암, 이하선염, 중이염 등에 쓴다.  

하루 6~15그램을 물로 달여 먹거나 짓찧어 즙을짜서 먹는다. 외용약으로 쓸 때에는 짓찧어 붙이며 즙을 내어 귀에 넣기도 한다.
]


[갈퀴덩굴의 세밀화, 사진 출처: 일본구글 이미지 검색]

[갈퀴덩굴의 세밀화, 사진 출처: 백도백과(百度百科)]

갈퀴덩굴의 효능에 대해서 중국에서 펴낸 <중국본초도록> 제 1권 184면 342호에서는 다음과 같이 기록하고 있다.

[저앙앙(저殃殃)

기원: 천초과(茜草科=꼭두서니과:Rubiaceae)식물인 저앙앙[猪殃殃=갈퀴덩굴: Galium aparine L. var. tenerum (Gren, et Godr.) Reich b.)의 전초(全草)이다.

형태: 일년생(一年生) 덩굴성 초본(草本)이다. 줄기는 네모지고 측생(側生)하는 작은 가시가 있다. 잎은 6∼8장이 돌려나며 잎자루는 없고 침상(針狀) 선형(線形) 또는 좁은 도란상(倒卵狀) 장타원형(長橢圓形)이며 길이는 1∼2cm이거나 약간 더 길고 잎 가장자리와 뒷면의 잎맥에는 작은 가시가 측생(側生)한다. 취산화서(聚傘花序)가 액생(腋生)하며, 꽃은 백색(白色)이거나 담황색(淡黃色)을 띄고, 악치(萼齒)는 분명하지 않으며, 화관(花冠)은 4갈래이고, 수술은 4개이며, 자방은 하위(下位)이다. 열매는 작고 약간 육질(肉質)이며 2개의 심피(心皮)가 약간 나누어져 있고 각각 반구형(半球形)을 이룬다.



분포: 황무지나 정원 등에서 자란다. 중국의 남부지방에 분포.

채취 및 제법: 여름철에 채취하여 신선한 것을 사용하거나 햇볕에 말린다.

성분: Asperuloside, rubiadinprim veroside.

기미: 맛은 달고 성질은 평하다.

효능: 이뇨(利尿), 삼습(渗濕).

주치: 수종(水腫), 소변불리(小便不利), 비뇨계 감염(泌尿系 感染), 복사(腹瀉).

용량: 6∼15g.

참고문헌: 회편(滙編), 상권, 798면.]

갈퀴덩굴로 질병을 치료하는 방법은 아래와 같다.

1, 오림(석림:石淋, 기림:氣淋, 고림:膏淋, 노림:勞淋, 혈림:血淋)
갈퀴덩굴 12그램, 활석 8그램, 감초 4그램, 쌍과초(雙果草) 8그램을 물로 달여서 도수가 낮은 술 몇방울을 떨어뜨려 복용한다. [전남본초(
滇南本草)]

2, 폐경

갈퀴덩굴 8그램을 물로 달여서 복용한다. [호남약물지(
湖南藥物誌)]

3, 타박상
신선한 갈퀴덩굴 뿌리와 마란근(馬蘭根: 중국에서 자라는 엉거시과의 식물: Kalimeris indica L. Schulz Bip. 해독, 해열, 뱀에 물린데, 외상출혈에 사용하는 약초) 각 15그램을 물과 술을 각각 절반씩 넣고 달여서 복용한다. 별도로 신선한 갈퀴덩굴 전초와 초장초(酢漿草: 괭이밥) 각 같은 양을 짓찧어 바른다. [강서, 초약수책(
江西, 草藥手冊)]

4, 감기
신선한 갈퀴덩굴 40그램과 생강 3쪽을 갈아 즙을 내어 끓인 물로 충복한다. [강서, 초약수책(
江西, 草藥手冊)]

5, 초기 절종

신선한 갈퀴덩굴 적당한 양에 감주를 넣고 짓찧어 도포하는데 하루에 두 번 갈아 준다. [강서, 초약수책(
江西, 草藥手冊)]

6, 급성 충수염
신선한 갈퀴덩굴 120그램을 물로 달여서 복용한다. [강서, 초약수책(
江西, 草藥手冊)]

7, 유방암
신선한 갈퀴덩굴 150그램을 짓찧어 얻은 즙에 돼지기름을 넣어 암 증상이 궤란(潰爛)된 부분에 바른다. 또한 물로 달여서 복용하여도 좋다. [강서, 초약수책(
江西, 草藥手冊)]  

8, 치근출혈
신선한 갈퀴덩굴 80~120그램을 달여서 복용한다. [강서, 초약수책(
江西, 草藥手冊)]

9, 중이염
신선한 갈퀴덩굴을 찧어 얻은 즙을 귀에 떨어뜨린다. [운남중초약(
雲南中草藥)]

10, 세균성 이질
(임상보고)
건조한 갈퀴덩굴 20~40그램을 물로 달여서 하루에 2번씩 나누어 복용하거나 1알이 0.3그램인 환을 만들어 한 번에 10알씩 하루에 4번 복용한다. 또 1알이 0.3그램인 환을 만들어 한 번에 4알씩 하루에 4번 복용한다. 72례를 관찰한 결과 치유(증상이 없어지고 대변의 현미경 감사 법, 배양이 모두 음성을 나타낸 경우) 69례, 호전(증상이 없어졌으나 대변 검사, 배양은 양성인 경우) 2례, 무효가 1례였다. 평균 입원 일 수는 9.23일이었다. [중약대사전]

11, 종양(유선암, 식도암, 자궁경부암, 악하선암)
(임상보고)
신선한 갈퀴덩굴 300그램에서 짜낸 즙에 흑설탕을 적당히 넣어 하루에 1첩을 더운 물에 타서 복용하거나 마른 것 40그램을 깨끗이 씻어 잘라 부순 다음 물로 30~60분간 달인 후 흑설탕을 적당히 넣고 하루에 1첩을 3~6회 나누어 복용한다. 또는 마른 것을 깨끗이 씻어 잘라 부순 다음 쇠가마에 넣고 살짝 볶아서 하루에 40그램을 끓인 물에 담가 몇 번이고 나누어 복용한다. 유선암, 식도암, 악하선암, 자궁경부암 등을 치료한 9례 가운데 임상적 치유(증상이 없어지고 객관적 검사에서 종양이 사라졌다고 인정되고 체력이 회복되어 1년 이상 관찰한 결과 재발하지 않은 경우) 1례, 현효(증상이 거의 없어지고 종양이 눈에 띄게 작아지고 체력이 어느 정도 회복되어 그 상태가 1년 이상 지속된 경우) 2례, 무효 3례였다.  

양성종양 6례를 치료한 결과 그 가운데 현효 2례, 유효 4례였다. 치료 기간은 가장 짧은 경우가 1개월 남짓이고 가장 긴 경우가 2년이다.
장기간 복용하여도 독성 반응이나 부작용은 없다. 극히 일부의 환자는 복용 후 현기증과 구역증이 나타났지만 흑설탕을 넣고 복용하면 반응을 가볍게 할 수 있으며 동시에 자양강장의 토종약초를 복용하면 저항력이 강해져 반응이 거의 사라진다. [중약대사전]

가장 흔하게 자라는 잡초 갈퀴덩굴이 대단히 안전하고 항암효과까지 있다는 것은 남들이 흔하다고 무시하고 천대받는 풀이 강력한 항암작용까지 들어 있는데도 알아주지 못하고 먹지않고 명약을 옆에 놔두고 첨단 의학만 신뢰하다가 죽어간 사람들이 대부분이다. 참으로 서글픈 일이 아닐 수 없다. 이제부터라도 흔한 잡초의 효능을 잘 알아 무시하지 않고 사용함으로 건강증진에 큰 유익을 얻도록 하자!

상기 자료는 약초연구가로서 지구상에 존재하는 천연물질의 우수성을 널리 알리고 질병으로 고통을 겪고 있는 환우들에게 희망을 주며 기능성 식품과 신약을 개발하는데 통찰력을 갖게하고 약초를 사랑하는 모든 사람에게 정보의 목적으로 공개하는 것임을 밝혀 둔다.   

(글/
약초연구가 & 동아대 & 신라대 대체의학 외래교수 전동명)

갈퀴덩굴 사진 감상: 1, 2, 네이버+구글+다음+일본구글+대만구글: 1, 2, 3, 4, 5,

문의 및 연락처: 010-2545-0777 ; 051-464-0307

홈주소: http://jdm0777.com

페이스북 주소: http://www.facebook.com/jdmsanyacho

이메일: jdm0777@naver.com


아래의 비슷한 식물도 함께 참조해 보시기 바랍니다.

 

 

  1. 갈퀴나물(산야완두) 무엇인가?
  2. 갈퀴덩굴(팔선초) 무엇인가?
  3. 꼭두서니(천초) 무엇인가?
  4. 자귀풀 무엇인가?
  5. 자운영 무엇인가?
  6. 차풀 무엇인가?

 

 

※ 아래에 jdm 필자가 찍은 갈퀴덩굴 사진도 감상해 보시고 행복하시기 바랍니다~~~^.^

 

 

홈페이지 주소 : http://jdm0777.com 클릭하시면 홈으로 갑니다.